KR20000068149A - 전기 회로를 포함하는 장치들 사이의 전기적 접속에 관련된 장치 - Google Patents

전기 회로를 포함하는 장치들 사이의 전기적 접속에 관련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68149A
KR20000068149A KR1019997001223A KR19997001223A KR20000068149A KR 20000068149 A KR20000068149 A KR 20000068149A KR 1019997001223 A KR1019997001223 A KR 1019997001223A KR 19997001223 A KR19997001223 A KR 19997001223A KR 20000068149 A KR20000068149 A KR 200000681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al
contact
resilient
connector
electrical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012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56005B1 (ko
Inventor
프로흐런드스티그
Original Assignee
클라스 노린, 쿨트 헬스트룀
텔레폰악티에볼라겟엘엠에릭슨(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클라스 노린, 쿨트 헬스트룀, 텔레폰악티에볼라겟엘엠에릭슨(펍) filed Critical 클라스 노린, 쿨트 헬스트룀
Publication of KR200000681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81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60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600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1/00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 H01R11/01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arrangement of the conductive interconnection between the connecting lo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5/00Flexible or turnable line connectors, i.e. the rotation angle being limited
    • H01R35/04Turnable line connectors with limited rotation angle with frictional contact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01R13/71Contact members of coupling parts operating as switch, e.g. linear or rotational movement required after mechanical engagement of coupling part to establish electrical conn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1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telephon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전기 커넥터(311)는 제1전기 장치(300)의 콘택트 패드(313)와 제2전기 장치(307)의 콘택트 패드(331) 사이의 전기적 접촉을 가능케 한다. 커넥터(311)는 적어도 제1전기 장치(300)에 기계적으로 부착되고 그로부터 분리될 수도 있다. 적어도 제1전기 장치(300)에 부착되었을 때, 탄력있는 제1콘택트 핀(312)은 제1전기 장치(300)의 콘택트 패드(313)와 접합되고 탄력있는 제2콘택트 핀은 제2전기 장치(307)의 콘택트 패드(331)와 접합된다.

Description

전기 회로를 포함하는 장치들 사이의 전기적 접속에 관련된 장치{ARRANGEMENTS RELATING TO ELECTRICAL CONNECTIONS BETWEEN APPARATUSES CONTAINING ELECTRICAL CIRCUITRY}
휴대용 이동 전화 단말기 분야의 기술적 발전은 단말기가 무게 및 크기 등의 특징 면에서 외관을 고려하여 만들어져야 한다는 시점에 이르렀다. 이전 세대의 단말기 크기에 대한 한계는 단말기의 부품들, 특히 배터리 팩(battery pack)의 크기에 의해 결정되었다. 이와는 달리, 오늘날의 단말기들은 손바닥 크기 정도의 장치 내부에 쉽게 설치되는 소수의 고집적 저전력 회로를 포함한다. 사실상 최근 개발된 단말기들 중에서 소형의 단말기에서는 수화기(loudspeaker)와 송화기(microphone) 사이의 거리가 중요한 설계 요인이 되었다. 단말기들을 더 소형화하기 위해서, 수화기/송화기와 사용자의 귀/입 사이를 적당히 조절하는 한편, 송화기 또는 수화기에 있는 접을 수 있는 리드 또는 암(foldable lids and arms) 등을 사용하는 지금까지의 기계적 해결 방법은 이제 진부할 정도로 보편화되어 있다. 접을 수 있는 플립-리드(flip-lid)가 장치된 단말기들, 및 요컨대 서로 기계적으로 분리 가능한 부속 장치를 포함하는 어떤 장치에 관한 문제점은 보통 일상적인 마멸(wear) 손상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부주의로 발생할 수 있는 고장 등의 기계적인 고장(abuse)에 대한 그 장치들의 민감성이다.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해 단말기들의 리드들, 및 리드와 장치 사이, 또는 장치들 간의 부속 장치들 사이의 커넥터 수단을 교체할 수 있어야 한다는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이 점에 대한 일반적인 예의 기술 상태는 공고 번호가 EP-0720339인 유럽 특허 출원으로, 힌지 구조를 가진 전기 장치(electric apparatus)가 공지되었다. 전기 장치의 두 케이싱(casing) 부분의 회로를 연결하기 위한 착탈식 힌지 커넥터는 플렉서블 인쇄 회로 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형태의 전기 전도성 부재를 포함한다. 인쇄 회로 기판의 반대 단에서 PCMCIA 커넥터들을 통해 전기적 접촉이 이루어진다.
EP-0720339에서 공지된 커넥터는 장치의 두 케이싱 부분 사이의 기계적 커넥터 구실을 한다. 두 케이싱 부분의 회전 이동을 가능케 하기 위해서, 커넥터는 서로에 대해 회전하는 두 개의 개별 슬리브(sleeve) 부분을 포함한다. 전도성 부재는 슬리브 부분들 내에 위치되고 슬리브 부분이 회전할 때 구부러지는 작동을 하게된다. 전도성 부재는 플렉시블 인쇄 회로 기판의 형태로 존재하므로, 커넥터는 지나치게 큰 회로 기판을 포함하게 된다.
또한, EP-0720339에서 공지된 커넥터의 커플링 부분(coupling part)은 PCMCIA 커넥터의 형태를 취한다는 점에서 이러한 커넥터는 물리적 크기가 소형인 것이 합당한 상황에서는 적합하지 않다.
본 발명은 서로 기계적으로 부착되고 분리될 수 있는 장치들 사이의 전기적 접촉(contact)을 가능케 하는 착탈식 전기 접속 수단(removable electric connector means)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간략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두 개의 전기 장치를 접속하는 커넥터의 제2실시예를 간략하게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를 포함하는 교체 가능한 플립-리드가 있는 전화 단말기의 간략한 사시도.
도 4a는 본 발명의 커넥터에 의해 단말기에 접속된 교체 가능한 리드가 있는 이동 전화 단말기의 간략한 평면도.
도 4b는 본 발명에 의한 리드의 간략한 단면도.
도 4c는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를 포함하는 전화의 리드 및 하우징의 간략한 단면도.
상기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선행 기술을 감안하여 볼 때, 휴대용 전기 장치들에서 착탈식 리드(attachable and detachable lid)들을 위한 전기적 커넥터들에 대하여, 요컨대 기계적으로 분리 가능한 장치들로 구성된 어떤 전기적 장치의 커넥터에 대하여 해결해야할 여러 가지 문제점들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으로 해결된 첫 번째 문제점은 개별 전기 장치들 사이의 전기 접촉(galvanic contact)을 가능케 하는 한편 동시에 크기가 소형이고 쉽게 교체할 수 있는 커넥터를 어떻게 제공하는가 하는 것이다.
본 발명으로 해결된 또 다른 문제점은 상호간에 회전하는 전기 장치들 사이에서 전기 접촉을 가능케 하는 전기 커넥터를 어떻게 제공하는가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서 언급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는 것이다. 이 것은 간단히 말해 두 개의 전기 장치들 사이가 부착되었을 때, 장치들의 접촉 패드들과 접해 있는 커넥터 뿐만 아니라 커넥터를 포함하는 휴대용 장치를 제공하여 성취되었다.
좀 더 구체적으로 말하면, 제1전기 장치의 콘택트 패드와 제2전기 장치의 콘택트 패드 사이의 전기적 접촉을 위한 전기 커넥터를 제시하였다. 상기 커넥터는 적어도 제1전기 장치에 대해 착탈식이며 탄력있는 제2콘택트 핀에 접속된 탄력있는 제1콘택트 핀을 포함한다. 적어도 제1전기 장치에 기계적으로 부착되었을 때, 탄력있는 제1콘택트 핀은 제1전기 장치의 콘택트 패드와 접해 있고 탄력있는 제2콘택트 핀은 제2전기 장치의 콘택트 패드와 접해 있다. 그 것은 전기적 커넥터가 배치된 휴대용 전기 장치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장점은 그 것이 소형이고 따라서 두 개의 전기 장치 사이에서 필수적인 힌지 구조로서 쉽게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장점은, 그 것이 탄력있는 콘택트 핀을 포함한다는 점에서, 그 것이 전기적 장치들 사이에서 확실한 전기 접촉을 제공하는 한편 동시에 전기적 장치의 두 부분간의 상대적 움직임을 가능케 한다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장점은 장치의 교체에 지장이 없어야만 한다는 점에서 휴대용 장치를 위해 쉽게 교체할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한다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전기 커넥터(100)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가 도 1에 표현되어 있다. 도 1은 제1단면도(150)와 제1단면도(150)의 단면(A-A)에 해당하는 제2단면도(160)로 이루어져 있다.
연장된 비전도성 슬리브(non-conductive sleeve)(107) 내에는 제1콘택트 핀(101)과 제2콘택트 핀(106)이 있다. 커넥터(100)는 제1전기 장치(131)의 제1콘택트 패드(130)와 제2전기 장치(141)의 제2콘택트 패드(140)를 동전기적으로 접속시킨다. 제1콘택트 핀(101)은 제1전기 장치(131)의 제1콘택트 패드(130)와 접촉되고 제2콘택트 핀(106)은 제2전기 장치(141)의 제2콘택트 패드(140)와 접촉된다. 핀(101, 106)의 탄력성으로 인해 패드(130, 140)와 접촉하게 되므로 핀(101, 106)과 각 콘택트 패드(130, 140) 사이의 전기적 접촉이 보장된다.
전기 장치(131, 141)는 자세하게 나타내지 않았으며 이는 단지 설명에 도움이 되는 예로서 나타낸 것이다. 즉, 장치(131, 141)는 기술 분야에서 공지된 유형의 어떤 것일 수 있다. 또한 아래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이동 전화와 같은 구체적인 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 분야에서 알려진 포고-핀(Pogo-pin)과 같은 제1콘택트 핀(101)은 길게 연장되어 있으며 이는 A-A 단면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원형 단면을 가지고 있다. 핀(101)은 전도성 핀 쉘(shell)(102)의 원형 단면과 동심으로 홀로(hollow)(110)에 배치된다. 핀(101)은 제1방향(X)으로 탄력성이 있으므로 제1콘택트 패드(130)에 부딪쳐 밀착된다. 제1콘택트 핀(101)의 탄력성은 제1핀(101) 주위와 쉘(110) 내부에 집중적으로 배치된 헤리컬 스프링(103)에 의한 것이다. 핀(101)에 대한 핀 플랜지(108)와 쉘(102) 내부의 쉘 플랜지(109)는 스프링을 위한 지지물이다. 플랜지(108, 109)와 스프링(103)을 통해 제1핀(101)과 쉘(110) 사이의 전기적 접촉이 유지된다.
연장된 비전도성 슬리브(107)는 제1콘택트 핀(101)이 부분적으로 슬리브(107) 밖으로 튀어나오게 제1콘택트 핀을 둘러싼다. 슬리브(107)의 재료로 어떤 특수한 물질을 선택 사용하는 것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지 않으며, 비록 기술 분야에 알려진 바와 같이 플라스틱 물질 등이 값싼 대체물로서 이용될 수 있다는 것은 확실하지만 여기서는 더 설명하지 않는다.
탄력있는 제2콘택트 핀(106)은 쉘(110)에 접속된 중간 휨부(bent intermediate section)(105)가 있는 연장된 실 모양(thread-like)의 전도성 장치이다. 제2방향(Y)으로의 탄력성은 핀(106)과 중간 휨부(105)의 실 모양 구조에 의한 것이며 그 것은 슬리브(107)의 홀로(111) 내에서 제2방향(Y)을 따라 이동하는 것이 자유롭다.
도 2는 커넥터(200)가 제1전기 장치(201)의 제1콘택트 패드(203)와 제2전기 장치(205)의 제2콘택트 패드(207) 사이의 전기적 접촉을 지원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낸다. 장치(201, 205)는 기계적 커넥터(216)를 수단으로 하여 서로 기계적으로 부착된다. 본 발명의 구현에 적용할 수 있는 기계적인 커넥터의 예는 이동 전화기와 같은 휴대용 장치의 힌지 구조 중 하나이다. 콘택트 패드(203, 207)는 장치들의 전기 회로(202, 206)에 접속된다. 제1콘택트 패드(203)는 제1장치(201)의 리세스(204)에서 접근하기 쉽고, 제2콘택트 패드(207)는 제2장치(205)의 리세스(208)에서 접근하기 쉽다.
커넥터(200)는 장치(201, 205)의 리세스(204, 208)에 적합한 형태의 보디(body)(209)를 포함한다. 커넥터 보디(209)의 정확한 모양과 또한 리세스(204, 208)의 정확한 모양은 본 발명의 예증을 위해서만 제한되는데 일반적으로 직사각형으로 나타내었다. 커넥터(200)의 보디(209) 내에는 상호 접속된 두 개의 탄력있는 콘택트 핀들, 즉, 제1핀(210) 및 제2핀(212)이 배치된다. 핀(210, 212) 모두는, 스프링과 같은 구조(211, 213)로 간략하게 나타낸 것과 같은 방향(Z)으로 탄력성이 있다. 핀(210, 212)은 커넥터 보디(209)에서 서로 반대편을 향해 돌출되고 리세스(204, 208)에서 콘택트 패드(203, 207)의 W-방향을 따른 위치에 해당하는 네 와 같이 향(W)을 따른 위치에 위치된다. 도 1과 관련하여 설명한 이전 실시예에서와 같이, 스프링 형태의 구조(212, 213)는 포고 핀의 탄력있는 구조 또는 본 기술에서 공지된 기타 유사 구조의 형태일 수 있다.
커넥터(200)는 리세스(204, 208)로 쉽게 삽입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삽입되었을 때, 커넥터(200)는 보디(209)의 모양이 리세스(204, 208)의 모양에 상응하고 콘택트 핀(210, 212)의 탄력성이 콘택트 핀(210, 212)과 콘택트 패드(203, 207) 사이에서 마찰력(frictional force)을 발생시키는 위치에서 유지된다. 또한 콘택트 핀(210, 212)의 탄력성으로 인해, 기계적 커넥터(216)에 의해 허용된 바와 같은, 어떤 방향(Z, W)에 따른 장치들(201, 205) 사이의 상호적인 움직임은 콘택트 핀(210, 212)과 콘택트 패드(203, 207) 사이의 전기적 접촉에 손해를 주는 것은 아니다.
도 3 및 4a-c는 휴대용 이동 단말기와 접속되어 구현되는 경우의 본 발명을 예시한다. 도 3은 하우징(301) 및 착탈식 플립-리드(302)가 있는 휴대용 전화기(300) 형태의 전기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전화 단말기(300)는 기술적으로 공지된 다수의 부품들을 포함하므로 간략하게만 설명될 것이다. 안테나(303), 스피커(306)는 하우징의 홀들(340), 디스플레이(304) 및 키들(305)과 인접하여 배치된다. 접을 수 있는 플립-리드(302)는 기계적 접속 장치(308, 309), 리드 커넥터(308) 및 하우징 커넥터(309)에 의해 하우징(301)에 부착될 수도 있고 하우징과 분리될 수도 있다. 플립 리드는 도 3에서 나타낸 바와 같은 그 것의 위치에서 부분적으로 전화기(300)의 키들을 덮는 접힌 위치까지 접혀질 수 있다. 플립 리드(302)는 리드(302)에 있는 홀(330)에 인접하여 위치된 마이크(307)를 포함한다. 하우징(301) 내에는 전화 단말기(300)의 사용자가 전기 통신망(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음), 예를 들어 셀룰러 GSM 이동 전화망 또는 어떤 기타의 디지털 또는 아날로그망에서 기술적으로 잘 알려진 방법으로 통신할 수 있게 해주는 전기적 부품들(도 3에서는 나타내지 않음)이 포함된다.
플립-리드(302) 내의 마이크(307)는 전기적 리드 도입선(electrical lid lead)(320)을 경유하여 전기적 커넥터(311)를 통해 하우징(301) 내의 전기 부품들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커넥터(311)는 하우징 커넥터(309)의 리세스(310) 내에 설치될 수 있고 하우징의 밖으로부터 리세스로 삽입될 수 있으며,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것의 퇴출된 위치만큼 리세스(310)로부터 하우징(301) 밖으로 빼내는 것이 가능하다. 커넥터는 탄력있는 제1전기 콘택트 핀들(312) 및 탄력있는 제2콘택트 핀들(도 4c에서 432)을 포함하며 이는 도 1과 관련하여 설명한 형태의 것일 수 있다. 탄력있는 제1콘택트 핀들(312)은 기계적 리드 커넥터(308)에 장치된 리드 콘택트 패드들(331)과 전기적 접촉을 이룬다. 탄력있는 제2콘택트 핀들(도 4c에서 432)은 하우징(301) 내 회로의 단자 콘택트 패드들(313)과 전기적 접촉을 이룬다.
커넥터(311)의 정확한 모양은 그 것이 리세스(310)에 맞게 설치되는 한 그리 중요한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아야 한다. 예를 들어, 그 것은 어느 정도 연장된 모양의 것으로 그 것이 리세스(310)에 꼭 맞게 설치되도록 하는 노브(knob)들 또는 결각(indentation)들을 포함한다.
도 4a, 4b 및 4c는 이동 전화 단말기(400)의 하우징(301) 내 회로와 마이크(307) 사이의 접속을 좀 더 자세히 예시한 도면이다. 도 4a는 전화기(400)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4b는 도 4a에 나타낸 전화기(400)의 제1단면(A-A)이고 도 4c는 전화기(400)의 제2단면(B-B)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의 예와 같이, 전화기(400)는 기술적으로 잘 알려진 부품들을 포함하며, 따라서 자세히 설명하지 않는다. 도 4a의 전화기(400)는 내부 스피커(나타내지 않음)에 인접한 홀(440)들이 있는 하우징(401), 무선 신호의 송수신을 위한 안테나(403), 공지된 기술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작용하는 디스플레이(404) 및 키(405)로 이루어져 있다. 플립-리드(402)는 기계적 리드 커넥터(408)에 의해 하우징(401)의 기계적 커넥터(409)에 부착된다. 상기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플립-리드(402)는 그 것이 적어도 하우징(401)을 부분적으로 덮을 수 있게 축(442)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플립-리드(402)는 리드 홀들(430) 뒷면의 내부 마이크(도 4b 및 4c에서 407)를 포함한다.
도 4b에서 단면도(A-A)는 도 3에서 나타낸 이러한 리드 패드들(331)과 같은 리드 콘택트 패드들(431)의 위치를 예시한다. 리드 콘택트 패드들(431)은 기계적 리드 커넥터(408)의 일부를 형성하고, 도 4c와 관련하여 설명되는 바와 같이, 축(442)에 대한 리드의 각으로 회전 이동할 정도까지 연장되어 커넥터(411)의 탄력있는 콘택트 핀(도 4c에서 412)과의 끊임없는 접촉을 허용한다. 리드 콘택트 패드들(431)은, 예를 들어, 단순한 전선(wire) 또는 플렉스-필름(flex-film)과 같이, 기술적으로 공지된 종류의 어떤 것일 수 있는 전기적 리드 도입선들(441)을 통해 마이크(407)와 접속되어 있다.
도 4c의 단면도(B-B)는 기계적 하우징 커넥터(409)의 리세스(410) 내의 전기적 커넥터(411)의 위치를 예시한다. 하우징(401)은 인쇄 회로 기판(PCB)(440)에 설치된 전기 회로(444)를 포함한다. 회로(444)는 기계적 커넥터(409)의 리세스(410) 위치에서 PCB(440) 상에 위치된 회로 콘택트 패드(413)를 포함한다. 전기적 커넥터(411)는 리세스(410) 내에 장치되고 전기적 커넥터(411)의 탄력있는 제2콘택트 핀들(432)은 PCB(440) 상의 콘택트 패드들(413)에 대항하여 탄력적인 힘을 받는다. 전기 커넥터(411)의 탄력있는 제1콘택트 핀들(412)은 리드 콘택트 패드(도 4b에서 431)에 대하여 탄력적으로 힘을 받는다.

Claims (13)

  1. 제1전기 장치(141, 201, 300, 400)의 콘택트 패드(140, 203, 313, 413)와 제2전기 장치(131, 205, 307, 407)의 콘택트 패드(130, 207, 331, 431) 사이의 전기적 접촉을 가능케 하는, 적어도 제1전기 장치(141, 201, 300, 400)에 기계적으로 부착되고 그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전기 커넥터(100, 200, 311, 411)에 있어서, 그 것은 탄력있는 제2콘택트 핀(106, 212, 432)에 접속된 탄력있는 제1콘택트 핀(101, 210, 312, 412)을 포함하고, 적어도 제1전기 장치(141, 201, 300, 400)에 기계적으로 부착되었을 때, 탄력있는 제1콘택트 핀(101, 210, 312, 412)은 제1전기 장치(141, 201, 300, 400)의 콘택트 패드(140, 203, 313, 413)와 접촉되고 탄력있는 제2콘택트 핀(106, 212, 432)은 제2전기 장치(131, 205, 307, 407)의 콘택트 패드(130, 207, 331, 431)와 접촉되는 것이 특징인 전기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그 것은 탄력있는 콘택트 핀들(101, 106)이 부분적으로 설치된 연장된 슬리브 부분(107)을 더 포함하는데, 상기 탄력있는 제1콘택트 핀(101)은 연장되고 슬리브 부분(107)의 연장선 방향과 평행인 제1방향(X)이 탄력의 방향이며, 상기 탄력있는 제2콘택트 핀(106)은 주로 제2방향(Y)을 따라 탄력이 있는 것이 특징인 전기 커넥터.
  3. 제1 내지 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탄력있는 핀(101)들 중 적어도 하나는 포고-핀인 것이 특징인 전기 커넥터.
  4. 제1 내지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제1전기 장치(300, 400)에 부착되었을 때, 그 것은 상기 장치들(300, 302, 400, 402) 사이의 전기적 접속 및 기계적 접속을 지원하면서, 제1전기 장치(300, 400)와 제2전기 장치(302, 402) 회전 이동을 가능케 하는 힌지 구조(308, 309, 408, 409)의 부분을 형성하는 것이 특징인 전기 커넥터.
  5. 제1 내지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제1전기 장치(300, 400)에 기계적으로 부착되었을 때, 그 것은 하우징(301, 401) 밖으로부터 접근하기 쉬운, 하우징(301, 401)의 리세스(310, 410)에 위치되는 것이 특징인 전기 커넥터.
  6. 제5항에 있어서, 그 것은 리세스(310, 410)로 삽입될 수 있고 리세스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는 것이 특징인 전기 커넥터.
  7. 제1전기 장치(141, 201, 300, 400), 제2전기 장치(131, 205, 307, 407) 및 제1전기 장치(141, 201, 300, 400)의 콘택트 패드(140, 203, 313, 413)와 제2전기 장치(131, 205, 307, 407)의 콘택트 패드(130, 207, 331, 431) 사이의 전기적 접촉을 가능케 하는 전기 커넥터(100 200, 311, 411)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기 장치에서, 상기 커넥터는 적어도 제1장치(141, 201, 300, 400)에 부착되고 분리될 수 있는 휴대용 전기 장치(portable electric arrangement)에 있어서, 커넥터(100, 200, 311, 411)는 탄력있는 제2콘택트 핀(106, 212, 432)에 접속된 탄력있는 제1콘택트 핀(101, 210, 312, 412)을 포함하고, 적어도 제1전기 장치(141, 201, 300, 400)에 부착되었을 때, 탄력있는 제1콘택트 핀(101, 210, 312, 412)은 제1전기 장치(141, 201, 300, 400)의 콘택트 패드(140, 203, 313, 413)와 접촉되고 탄력있는 제2콘택트 핀(106, 212, 432)은 제2전기 장치(131, 205, 307, 407)의 콘택트 패드(130, 207, 331, 431)와 접촉되는 것이 특징인 휴대용 전기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전기 커넥터(100)는 탄력있는 콘택트 핀(101, 106)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장치된 연장된 슬리브 부분(107)을 더 포함하는데, 탄력있는 상기 제1콘택트 핀(101)이 연장되어 슬리브 부분(107)의 연장선 방향과 평행인 제1방향(X)과 같은 탄력성 방향을 가지며, 탄력있는 상기 제2콘택트 핀(106)은 주로 제1방향(Y)에 따른 탄력의 방향을 가지는 것이 특징인 휴대용 전기 장치.
  9. 제7 내지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탄력있는 핀들(101) 중 적어도 하나는 포고-핀인 것이 특징인 휴대용 전기 장치.
  10. 제7 내지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커넥터(311, 411)가 적어도 제1전기 장치(300, 400)에 기계적으로 접속되었을 때, 그 것은 상기 장치들(300, 302, 400, 402) 사이의 전기적 및 기계적 접속을 지원하면서, 제1전기 장치(300, 400)와 제2전기 장치(302, 402) 사이의 회전 이동을 가능케 하는 힌지 구조(308, 309, 408, 409) 부분을 형성하는 것이 특징인 휴대용 전기 장치.
  11. 제7 내지 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커넥터(311, 411)가 적어도 제1전기 장치(300, 400)에 기계적으로 부착되었을 때, 그 것은 하우징(301, 401) 밖으로부터 접근하기 쉬운, 하우징(301, 401)의 리세스(310, 410)에 위치되는 것이 특징인 휴대용 전기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커넥터(311, 411)는 리세스(310)에 삽입할 수도 있고 리세스 밖으로 떼어낼 수도 있다는 것이 특징인 휴대용 전기 장치.
  13. 제7 내지 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휴대용 전기 장치는 이동 전화 단말기인 것이 특징인 휴대용 전기 장치.
KR1019997001223A 1998-02-26 1998-12-22 전기 회로를 포함하는 장치들 사이의 전기적 접속에 관련된 장치 KR1003560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SE9800588-7 1998-02-26
SE9800588A SE514237C2 (sv) 1998-02-26 1998-02-26 Utbytbart kontaktdon för inbördes roterande enheter och en bärbar anordning försedd med sådant kontaktd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8149A true KR20000068149A (ko) 2000-11-25
KR100356005B1 KR100356005B1 (ko) 2002-10-18

Family

ID=204103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1223A KR100356005B1 (ko) 1998-02-26 1998-12-22 전기 회로를 포함하는 장치들 사이의 전기적 접속에 관련된 장치

Country Status (17)

Country Link
US (1) US6280258B1 (ko)
EP (1) EP1040537B1 (ko)
JP (1) JP3157845B2 (ko)
KR (1) KR100356005B1 (ko)
CN (1) CN1126198C (ko)
AU (1) AU739423B2 (ko)
BR (1) BR9807066A (ko)
DE (1) DE69800943T2 (ko)
EE (1) EE03581B1 (ko)
ES (1) ES2159196T3 (ko)
HK (1) HK1021775A1 (ko)
ID (1) ID22031A (ko)
MY (1) MY120065A (ko)
RU (1) RU2163047C2 (ko)
SE (1) SE514237C2 (ko)
TR (1) TR199900536T2 (ko)
WO (1) WO199904426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990909A (fi) * 1999-04-22 2000-10-23 Nokia Mobile Phones Ltd Viestin
JP3515084B2 (ja) 2001-08-02 2004-04-05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ヒンジ用コネクタ及びこのコネクタに接続される回路基板
US6565395B1 (en) * 2001-12-21 2003-05-20 Northrop Grumman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ion to a coil spring through a local interference fit for connection to a vibratory rotation sensor and method of forming the same
US6878016B2 (en) * 2002-12-12 2005-04-12 Symbol Technologies, Inc. High cycle connector contact system
JP4048435B2 (ja) 2003-10-23 2008-02-20 ソニー株式会社 電子機器
KR100810383B1 (ko) * 2006-12-01 2008-03-04 삼성전자주식회사 내장형 안테나 장치
US7338288B1 (en) * 2006-12-29 2008-03-04 Vega Force International Corp. Battery connecting structure
US7815471B2 (en) * 2008-08-01 2010-10-19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Rotatable electrical interconnection device
US7789711B2 (en) * 2008-08-01 2010-09-07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Rotatable electrical interconnection device
KR101817804B1 (ko) * 2011-08-03 2018-01-11 삼성전자주식회사 접촉 단자
KR101947440B1 (ko) * 2016-02-04 2019-05-10 주식회사 아모텍 클립형 컨택터 및 이를 포함하는 보호장치
GB201603108D0 (en) * 2016-02-23 2016-04-06 Cooper Technologies Co Configurable isolator
GB201603111D0 (en) * 2016-02-23 2016-04-06 Cooper Technologies Co Universal isolator
GB201603207D0 (en) * 2016-02-24 2016-04-06 Cooper Technologies Co Electronic device configuration
US11092933B2 (en) 2018-09-25 2021-08-17 Google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reliably transferring signals between electronic components
DE102019215933A1 (de) 2019-07-26 2021-01-28 Hanon Systems Efp Deutschland Gmbh Flügelzellenpumpe
TWI790713B (zh) * 2021-08-13 2023-01-21 怪怪貿易股份有限公司 電動玩具槍及其轉軸通電裝置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71110A (en) * 1971-11-23 1973-11-06 Walton Prod Inc Electrical contact pins
US4200351A (en) * 1978-06-12 1980-04-29 Everett/Charles, Inc. Straight through electrical spring probe
US4845772A (en) 1988-06-13 1989-07-04 Motorola, Inc. Portable radiotelephone with control switch disabling
JP2663591B2 (ja) * 1988-12-12 1997-10-15 日本電気株式会社 回転部の接続構造
US5259019A (en) * 1991-04-08 1993-11-02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Apparatus providing for a curved device with hinged cover
US5237488A (en) * 1992-05-11 1993-08-17 Virginia Polytechnic Institute & State University Portable computer with display unit connected to system unit through conducting hinge
GB2273830B (en) * 1992-12-24 1997-04-16 Whitaker Corp Electrical contact elements for interposer structures
US5310352A (en) * 1992-12-24 1994-05-10 The Whitaker Corporation Substrate interfacing electrical connector system
US5308252A (en) * 1992-12-24 1994-05-03 The Whitaker Corporation Interposer connector and contact element therefore
US5358411A (en) 1993-08-09 1994-10-25 The Whitaker Corporation Duplex plated epsilon compliant beam contact and interposer
JPH0745102A (ja) 1993-07-30 1995-02-14 Stanley Electric Co Ltd 車両用灯具
US5548824A (en) * 1993-08-25 1996-08-20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Portable radio communication device housing having a battery storage unit
US5382169A (en) * 1994-01-14 1995-01-17 Labinal Components And Systems, Inc. Electrical connectors
US5723331A (en) * 1994-05-05 1998-03-03 Genzyme Corporation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the repair of articular cartilage defects in mammals
US5509813A (en) * 1994-05-20 1996-04-23 Lu; Sheng N. Joint assembly for electrically engaging a portable computer with a battery
JP2658935B2 (ja) 1994-12-30 1997-09-30 日本電気株式会社 ヒンジ構造を有する電子装置
US5732331A (en) * 1995-01-12 1998-03-24 Ericsson Inc. Portable radio having a detachable flip portion
US5649309A (en) * 1995-05-18 1997-07-15 Motorola, Inc.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having an axially aligned cover release mechanism
JP3156957B2 (ja) * 1995-08-29 2001-04-16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KR200141099Y1 (ko) 1995-09-19 1999-05-15 김광호 휴대용 전화기의 버튼커버 개페장치
JP2000515136A (ja) 1996-07-13 2000-11-14 グラクソ、グループ、リミテッド プロテインチロシンキナーゼ阻害剤としての二環式ヘテロ芳香族化合物
US5746606A (en) * 1996-09-30 1998-05-05 Hughes Electronics Spring loaded contact device and rotary connector
EP0836308A1 (en) * 1996-10-09 1998-04-15 Framatome Connectors International Portable telephone with rotary contacts
EP0956688A1 (fr) * 1997-01-28 1999-11-17 Framatome Connectors International Telephone mobile a couvercle articule et contacts tournants
JPH11232965A (ja) 1998-02-19 1999-08-27 Alps Electric Co Ltd 回転型コネクタ付スイッ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157845B2 (ja) 2001-04-16
ID22031A (id) 1999-08-26
EE9900390A (et) 2000-04-17
JP2000514954A (ja) 2000-11-07
SE9800588D0 (sv) 1998-02-26
KR100356005B1 (ko) 2002-10-18
SE514237C2 (sv) 2001-01-29
RU2163047C2 (ru) 2001-02-10
BR9807066A (pt) 2000-05-02
MY120065A (en) 2005-08-30
AU1994099A (en) 1999-09-15
CN1231072A (zh) 1999-10-06
DE69800943D1 (de) 2001-07-19
ES2159196T3 (es) 2001-09-16
WO1999044262A1 (en) 1999-09-02
EE03581B1 (et) 2001-12-17
EP1040537B1 (en) 2001-06-13
DE69800943T2 (de) 2001-10-04
HK1021775A1 (en) 2000-06-30
US6280258B1 (en) 2001-08-28
EP1040537A1 (en) 2000-10-04
TR199900536T2 (xx) 2001-08-21
CN1126198C (zh) 2003-10-29
AU739423B2 (en) 2001-10-11
SE9800588L (sv) 1999-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56005B1 (ko) 전기 회로를 포함하는 장치들 사이의 전기적 접속에 관련된 장치
KR100313144B1 (ko) 와치 타입 휴대용 무선단말기
US6256481B1 (en) Microphone connecting device for flip type portable telephone
KR100304520B1 (ko) 고밀도 가요성 회로 요소 및 이를 사용한 통신 장치
KR100678082B1 (ko) 폴더 타입 휴대폰에서 메인 보드와 엘씨디 모듈간의연결장치
RU2189092C2 (ru) Антенный адаптер
KR100334919B1 (ko) 휴대용 무선전화기 구조
RU2201038C2 (ru) Крепление микрофона для электрического соединения микрофона и звуковой цепи радиотелефона с откидной крышкой и с механическим контактным устройством
JP2003338769A (ja) 携帯無線端末装置
US20030123232A1 (en) Handheld type electronic device
JP2003069441A (ja) 折り畳み型携帯無線機
RU2170495C1 (ru) Устройство подключения микрофона для переносного телефона откидного типа
JP2004128982A (ja) 着脱式アンテナ装置
KR20000017171A (ko) 안테나 장치 및 휴대용 무선전화기
EP1083623A1 (en) Antenna device installed in flip cover of flip-up type portable phone
KR20020066129A (ko) 통전 수단을 구비한 헤드셋의 힌지 장치
KR100700580B1 (ko) 분리형 접촉단자부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의 내장형 안테나
KR20010022292A (ko) 플립아암 마이크로폰용 슬립링 상호접속을 가지는전기통신장치
JP2756055B2 (ja) 無線端末装置の外部インタフェース用コネクタ
KR100630173B1 (ko)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유닛
KR20040100057A (ko) 이동통신기기용 내장형 안테나 및 이를 이용한 이동통신기기
AU1988699A (en) Arrangements and a method relating to an apparatus containing electrical circuitry
JP2002367717A (ja) 電気的接続装置および電気的接続装置を有する電子機器
KR200180446Y1 (ko) 외부장치와 연결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JP2004221911A (ja) 小型携帯無線端末用アンテ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92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