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0446Y1 - 외부장치와 연결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 Google Patents

외부장치와 연결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0446Y1
KR200180446Y1 KR2019990027342U KR19990027342U KR200180446Y1 KR 200180446 Y1 KR200180446 Y1 KR 200180446Y1 KR 2019990027342 U KR2019990027342 U KR 2019990027342U KR 19990027342 U KR19990027342 U KR 19990027342U KR 200180446 Y1 KR200180446 Y1 KR 20018044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ernal device
terminal
main board
connection terminals
p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734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정욱
Original Assignee
엘지정보통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정보통신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정보통신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9002734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044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044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0446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외부장치와 연결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단말기의 기능을 제어하는 회로가 실장된 주 보드와, 주 보드의 일단의 양면에 마련되며, 그 양 표면에는 주 보드를 외부 장치와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복수의 접속단자가 상호 소정 간격 이격되어 각각 마련되어 있는 패드부 및 접속단자와 결합되며 외부 장치에 신호를 전달하는 케이블을 포함한다.
여기서, 패드부의 측면에는 외부 장치와의 결합시, 패드부의 외부 장치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돌기부가 마련된다.
또한, 복수의 접속단자는 상기 패드부의 양면에 상호 소정 간격 이격되어 각각 마련되되, 일측면의 복수의 접속단자와 타측면의 복수의 접속단자가 상호 교번 엇갈림 형태로 배열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별도의 리셉터클 없이 외부 장치와 연결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외부장치와 연결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station capable of connecting external device}
본 고안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별도의 리셉터클 (Receptacle) 없이 외부 장치와 연결이 가능한 외부장치와 연결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이동통신 단말기는 휴대의 간편성 및 편리성으로 인하여 생활의 필수품으로 자리잡고 있으며, 많은 사람들이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연락처, 전화번호, 일정 관리, 메모 등을 입력할 수 있는 기능이 있어서, 전화 통화를 위한 수단을 넘어서 개인 정보 관리(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기능을 위한 수단으로 변화되고 있다. 한편, 이동통신 단말기를 다른 외부 장치와 연결하여 다양한 기능을 수행한다.
도 1은 종래의 외부장치와 연결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외부장치와 연결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일반적인 주 보드(Main PCB)(101)와, 그 주 보드(101)의 패드부(102)에 결합되는 리셉터클(103)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패드부(102)에는 복수의 접속단자(102t)가 마련되어 있으며, 도 1에서 참조번호 105는 상기 리셉터클(103)에 연결되어지는 케이블(cable)(105), 예컨대 컬 케이블(CULL CABLE)을 나타낸다.
한편, 도 2는 도 1의 단말기에 채용되는 충전지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채용되는 충전지(20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평한 충전지 단자(202)를 가지며, 이 충전지 단자(202)는 상기 리셉터클(103)의 단자(104)와 결합된다.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를 차량용 핸즈프리킷 또는 PC등의 외부 장치와 연결하기 위해서는 상기 단말기의 리셉터클(103)에 상기 케이블(105)을 삽입함으로써 외부장치와 연결하게 되는 데, 상기 리셉터클(103)을 실장하기 위한 공정이 복잡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생산성을 저하시킬 뿐 아니라 상기 리셉터클(103)의 단품 불량으로 인한 서비스 요금의 지출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별도의 리셉터클 없이 외부장치와 연결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외부장치와 연결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분리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단말기에 채용되는 충전지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외부장치와 연결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분리 사시도.
도 4a는 도 3의 단말기 주 보드를 나타낸 정면 사시도.
도 4b는 도 3의 단말기 주 보드를 나타낸 배면 사시도.
도 5는 도 3의 단말기의 주 보드와 접속되는 외부 케이블의 사시도.
도 6a는 도 5의 A-A` 선에 따라 자른 단면도.
도 6b는 도 6a의 B-B` 선에 따라 자른 단면도.
도 7은 도 3의 단말기에 채용되는 충전지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301... 주 보드 102, 302... 패드부
102t, 302t... 복수의 접속 단자 103... 리셉터클
104... 단자 105, 310, 500...케이블
201, 701... 충전지 202, 702... 충전지 단자
303... 돌기부 501... 핀
601... 제 1 돌기부 602... 제 2 돌기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외부장치와 연결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단말기의 기능을 제어하는 회로가 실장된 주 보드와;
상기 주 보드의 일단의 양면에 마련되며, 그 양 표면에는 상기 주 보드를 외부 장치와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복수의 접속단자가 상호 소정 간격 이격되어 각각 마련되어 있는 패드부; 및
상기 접속단자와 결합되며 외부 장치에 신호를 전달하는 케이블을 포함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여기서, 상기 패드부의 측면에는 외부 장치와의 결합시, 패드부의 외부 장치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돌기부가 마련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접속단자는 상기 패드부의 양면에 상호 소정 간격 이격되어 각각 마련되되, 일측면의 복수의 접속단자와 타측면의 복수의 접속단자가 상호 교번 엇갈림 형태로 배열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별도의 리셉터클 없이 외부 장치와 연결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외부장치와 연결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4a는 도 3의 단말기 주 보드를 나타낸 정면 사시도이고, 도 4b는 도 3의 단말기 주 보드를 나타낸 배면 사시도이다.
도 3,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외부장치와 연결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단말기의 기능을 제어하는 회로가 실장된 주 보드(301)와, 상기 주 보드(301)의 일단의 양면에 마련되며, 그 양 표면에는 상기 주 보드(301)를 외부 장치와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복수의 접속단자(302t)가 상호 소정 간격 이격되어 각각 마련되어 있는 패드부(302) 및 상기 접속단자(302)와 결합되며 외부 장치에 신호를 전달하는 케이블(310)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패드부(302)의 측면에는 외부 장치와의 결합시, 상기 패드부 (302)의 외부 장치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돌기부(303)가 마련된다.
또한, 상기 복수의 접속단자(302t)는 상기 패드부(302)의 양면에 상호 소정 간격 이격되어 각각 마련되되, 일측면의 복수의 접속단자와 타측면의 복수의 접속단자가 상호 교번 엇갈림 형태로 배열된다. 이때, 상기 패드부(302)는 케이블(310)을 통하여 외부 장치와 연결된다.
한편, 상기 패드부(302)의 전원단과 그라운드(GND:Ground)단은 신호를 전달하는 다른 패드와는 다르게, 그 패드의 폭을 넓게하여 전원 공급이 안정적으로 이루어 지게 한다.
일반적으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주 보드(301)는 주로 8층의 구조로 되어 있으며, 그 두께가 0.8~1mm이기 때문에 상기 패드부(302)의 패드 배열에는 아무런 문제가 없다. 상기 패드부(302)에는 외부장치와 연결하는데 필요한 전원부, 음성부, 데이타 통신부, 핸즈프리 인식부, 다기능 마이크 연결부 등이 포함된다.
또한, 도 5는 도 3의 단말기의 주 보드와 접속되는 외부 케이블의 사시도이고, 도 6a는 도 5의 A-A` 선에 따라 자른 단면도이고, 도 6b는 도 6a의 B-B` 선에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5와,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상기 케이블(500)은, 상기 주 보드(301)의 패드부(302)와 연결되는 아래위로 엇갈린 핀(PIN)(501)과, 상기 패드부(302)의 측면에 마련된 돌기부(303)와 결합되는 제 1 돌기부(601) 및 제 2 돌기부(602)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핀(501)은 탄성있는 전도성이 좋은 금속체로 구성되며,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엇갈리는 구조를 이루어, 그 핀(501)들 사이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패드부(302)가 삽입될 때, 그 패드부(302)를 아래위로 누르는 힘이 생겨 상기 패드부(302)의 유동을 방지한다.
또한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블(500) 내부의 양쪽 가장자리에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패드부(302)가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상기 제 1 돌기부 (601) 및 제 2 돌기부(602)가 마련된다. 한편, 상기 제 1 돌기부(601)는 탄성을 가지는 금속체로 구성된다.
또한, 도 7은 도 3의 단말기에 채용되는 충전지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 채용되는 충전지(701)는, 상기 단말기의 패드부(302)와 결합되는 충전지 단자(702)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이는 상기 단말기 패드부(302)의 접촉되는 패드가 편평한 것을 고려하여, 상기 충전지(701)와의 연결을 좋게 하기 위하여, 상기 충전지 단자(702)를 탄성력 있는 돌출부로 형성한 것이다.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외부장치와 연결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리셉터클 없이 외부장치와 연결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리셉터클의 단품 불량으로 인한 서비스 요금을 줄일 수 있으며, 이동통신 단말기의 생산성을 높일 뿐 아니라 제조원가를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단말기의 기능을 제어하는 회로가 실장된 주 보드와;
    상기 주 보드의 일단의 양면에 마련되며, 그 양 표면에는 상기 주 보드를 외부 장치와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복수의 접속단자가 상호 소정 간격 이격되어 각각 마련되어 있는 패드부; 및
    상기 접속단자와 결합되며 외부 장치에 신호를 전달하는 케이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장치와 연결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부의 측면에는 외부 장치와의 결합시, 패드부의 외부 장치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돌기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장치와 연결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접속단자는 상기 패드부의 양면에 상호 소정 간격 이격되어 각각 마련되되, 일측면의 복수의 접속단자와 타측면의 복수의 접속단자가 상호 교번 엇갈림 형태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장치와 연결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KR2019990027342U 1999-12-07 1999-12-07 외부장치와 연결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KR20018044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7342U KR200180446Y1 (ko) 1999-12-07 1999-12-07 외부장치와 연결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7342U KR200180446Y1 (ko) 1999-12-07 1999-12-07 외부장치와 연결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0446Y1 true KR200180446Y1 (ko) 2000-05-01

Family

ID=196000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7342U KR200180446Y1 (ko) 1999-12-07 1999-12-07 외부장치와 연결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044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777842B2 (ja) 一体型受話器収納およびバッテリ充電装置
JPH10145473A (ja) 電話送受器用の電気コネクタ
US5761299A (en) Auxiliary component connector including microphone channel
US6511329B2 (en) Waterproof connector apparatus
JP3763703B2 (ja) 無線通信機および電池パックおよびコネクタ
US6424842B1 (en) Dual function connector for cellular phones
US6280258B1 (en) Arrangements relating to electrical connections between apparatuses containing electrical circuitry
US7101230B2 (en) Combined connector
KR100772985B1 (ko) 휴대폰 및 휴대용 음향기기의 이어폰 세트
KR20020066129A (ko) 통전 수단을 구비한 헤드셋의 힌지 장치
JP3122429B2 (ja) 無線通信機と電池パックとコネクタ
KR200180446Y1 (ko) 외부장치와 연결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KR20020009810A (ko) 내장형 안테나 장치
KR200382247Y1 (ko) 마그네트를 이용한 비삽입 접촉식 커넥터와 이 커넥터가연결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휴대폰용 충전기
EP0409640B1 (en) Connector assembly for electronic devices
CN1321483C (zh) 端子及使用该端子的便携设备
US5999133A (en) Retractable antenna with shifting electrical length
KR20020052514A (ko) 이동통신 단말기
KR100272089B1 (ko) 공용잭이 구비된 이동전화기의 배터리 및 충전용 아답터
CN213636366U (zh) 电子装置
JP2756055B2 (ja) 無線端末装置の外部インタフェース用コネクタ
WO2001099297A1 (en) One-touch handsfree connecting system
KR200334343Y1 (ko) 휴대폰용 콘넥터
KR20040107056A (ko) 이어폰 플러그의 접속장치
KR200217333Y1 (ko) 이중탑재 방식의 슬롯을 이용한 충전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22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