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22292A - 플립아암 마이크로폰용 슬립링 상호접속을 가지는전기통신장치 - Google Patents

플립아암 마이크로폰용 슬립링 상호접속을 가지는전기통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22292A
KR20010022292A KR1020007000870A KR20007000870A KR20010022292A KR 20010022292 A KR20010022292 A KR 20010022292A KR 1020007000870 A KR1020007000870 A KR 1020007000870A KR 20007000870 A KR20007000870 A KR 20007000870A KR 20010022292 A KR20010022292 A KR 200100222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crophone
slip ring
flip arm
disposed
stu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008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젠닝스윌리엄에이치
웨아돈마크윌리엄
Original Assignee
찰스 엘 무어 쥬니어
에릭슨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찰스 엘 무어 쥬니어, 에릭슨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찰스 엘 무어 쥬니어
Publication of KR200100222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2292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3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e.g. telephone hand-s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lectrostatic, Electromagnetic, Magneto- Strictive, And Variable-Resistance Transducers (AREA)
  • Details Of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플립아암(24)에 실장된 마이크로폰을 갖는 전기통신장치(10)는 슬립링 접속을 통해 장치(10)의 송ㆍ수신기부에 전기적으로 상호연결된다. 슬립링 접속은 플립아암(24)이 사용 동안에 보존위치와 작동위치 간을 회전할 수 있도록 해주고 또한 수리 또는 교체를 위해 쉽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해준다. 슬립링 접속은 플립아암과 장치의 몸체 간에 있는 와이어들 또는 탄성 회로들의 필요성을 없애준다.

Description

플립아암 마이크로폰용 슬립링 상호접속을 가지는 전기통신장치{TELECOMMUNICATION INSTRUMENT HAVING SLIP RING INTERCONNECTION FOR FLIP ARM MICROPHONE}
휴대용 전기통신장치들의 플립커버에 실장되는 마이크로폰은 일반적으로 높은 고장율을 가진다. 플립커버-실장된 마이크로폰은 충격과, 마이크로폰과 장치의 주몸체 간의 전기적 리드의 휘어짐과, 그리고 "피드겟 인자(fidget factor)", 예컨대 동적인 또는 가동 메커니즘을 발생시키는 인간의 행위의 결과로 손상을 쉽게 받는다. 플립 어셈블리에 실장된 마이크로폰의 교체는 전형적으로, 인증받은 수리업체의 숙련된 기술자의 서비스를 필요로 하는 장치의 분해를 필요로 한다.
결과적으로, 전기통신장치의 플립커버에 실장된 마이크로폰은 장치의 주 하우징 내에 위치한 인쇄회로기판에 하드 와이어 연결된다. 따라서, 마이크로폰과 장치 회로를 상호 연결할 수 있는 유연한 케이블의 와이어들의 한 단부가, 비교적 무거운 플립커버 어셈블리에 실장된 마이크로폰에 납땜되고, 또한 대응하는 비교적 무거운 인쇄회로기판에 제공된 콘택에 다른 단부가 납땜된다. 그러므로, 각 부재에 대한 납땜 전기접속은 플립부재의 움직임 동안에 각 접속구조물로부터 느슨하게 되는 경향이 있다. 게다가, 와이어들 및/또는 탄성스트립은 종종, 플립환경에서 나타는 사이클요구(cycle requirements)를 충족시킬 수 없다.
지금까지 플립커버에 실장된 마이크로폰은 세 가지 주요 단점들을 가졌다. 첫번째 문제점은 굴곡모드(bending mode)에서 구부러지는 플립커버와 장치의 주 하우징 간의 동적인 힌지(hinge)의 비신뢰성으로 인해, 빨리 고장이 발생하는 경향이 있는 것이다. 전기통신장치의 플립커버에 실장되어 와이어 연결된 마이크로폰이 가지는 다른 문제점은, 플립힌지를 통해 송수신기 하우징 내로 마이크로폰 와이어 또는 탄성 스트립들을 삽입하고, 또한 인쇄회로기판에 후속 납땜접속을 해야한다는 것이다. 장치의 세 가지 주요 부품들은, 즉 인쇄회로기판, 플립커버 및 하우징들을 조립을 위해 동시에 처리하여야만 한다. 이는 사실상, 조립공정의 자동화를 이룰수 없게 한다. 세번째로 문제점은 와이어 연결되어 플립-실장된 마이크로폰이, 동작 동안에 인쇄회로기판에 대한 접속이 끊어지면, 접속점의 수선은 상당한 문제점을 가진다. 장치를 분해하여야만 하고, 플립 어셈블리를 제거해 교체해야 하고, 인쇄회로기판에 대한 상호접속을 수선하여야 하고, 그리고 적절한 동작을 보장하기 위해 장치를 순응 테스팅(compliance testing)을 하여야 한다. 장치를 개방하였기 때문에, 완벽한 전기적 검사, 예컨대 장치를 사용하기 전에, 전자기 간섭(EMI) 차폐의 복원을 검사하여야만 한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나열한 문제점들을 극복하기 위한 것이다. 사용자의 입 가까이에 위치할 수 있고 또한 사용하지 않을 시에는, 보존위치(stored position)으로 접혀질 수 있는 플립아암에 실장된 마이크로폰을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장치에 착탈할 수 있어서, 플립아암, 마이크로폰, 또는 장치회로에 대한 마이크로폰의 전기적 상호접속이 손상을 받게되면 플립아압과 마이크로폰 어셈블리를 쉽게 교체할 수 있는 플립아암에 실장된 마이크로폰을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장치의 내부 회로들에 대해 직접 납땜접속을 필요로 하지 않는 전기통신장치의 플립아암에 실장된 마이크로폰을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플립 어셈블리에 실장된 마이크로폰을 가지는 전기통신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플립-실장(flip-mounted)된 마이크로폰과 장치몸체간의 전기접속이 슬립링 접속으로 이루어지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장치의 주 송신신부와 분리된 가동 플립아암을 보여주는 본 발명을 구현하는 전기통신장치의 삼차원도.
도 2는 송수신기 하우징 내에 슬립링 커넥터와 실방 배열의 세부를 보여주는 본 발명을 구현하는 전기통신장치의 삼차원 분해도.
도 3은, 플립아암 내 내부 전기접속들을 보다 더 잘 보여주기 위해 플립아암의 커버의 제거된 본 발명을 구현하는 전기통신장치의 플립아암 어셈블리의 삼차원도.
도 4는 플립아암의 스터브 축에 주입성형 되기 전의 슬립링의 삼차원도.
도 5는 본 발명을 구현하는 전기통신장치용 슬립링 커넥터의 삼차원 분해도.
본 발명의 한 일면에 따라, 전기통신장치는, 내부에 배치된 슬립링(slip ring) 커넥터 실장면과 하우징의 내면과 외면 간을 연장하는 개구를 가지는 하우징을 가진다. 장치는 또한, 하우징의 실장면에 실장되어 하우징의 개구와 정렬된 슬립링 커넥터를 포함한다. 플립아암이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실장되고 그리고 제1단부에 배치된 마이크로폰과 제2단부에 배치된 스터브 축(stub shaft)을 가진다. 스터브 축은 플립아암의 제2단부에서부터 외방으로 연장하여, 하우징의 개구를 통해 삽입되어 상기 개구와 정렬된 슬립링 커넥터 내에 수용되기 적합하게 만들어진다. 스터브 축은 마이크로폰과 개별적인 전기 통신을 하는 축방향으로 이격된, 전기적 전도성의 다수의 연속링들을 가진다. 장치는 또한, 슬립링 커넥터 내 플립아암의 스터브 축을 유지하여, 플립아암이 스터브 축을 통해 연장하는 길이방향 축에 주위로, 하우징에 대해 선택적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해주는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을 구현하는 전기통신장치의 다른 형태는, 플립아암의 스터브 축을 수용하기에 적합하도록 된 중앙 구멍(central bore)과, 상기 중앙 구멍을 따라 축방향으로 이격된, 정렬된 다수의 구멍 쌍들이 있는 몸체를 가지는 슬립링 커넥터를 포함한다. 상기 구멍들 각각은 몸체의 저면과 중앙 구멍 간을 연장한다. 상방으로 연장하는 한 쌍의 다리(leg)를 각각 가지는, 전기적 전도성의 다수 U-형 클립들이, 각각이 상방으로 연장하는, 각 U-형 클립의 다리들이 정렬된 구멍쌍들의 구멍들 각각에 배치되도록, 커넥터 몸체에 실장된다. 상방으로 연장하는, U-형 클립들의 다리들은 구멍들 각각을 통해 연장해, 슬립링 커넥터 몸체의 중앙 구멍 내로 연장한다. 각 U-형 클립의 양 다리들은, 스터브 축이 슬립링 커넥터 내에 수용되면 플립아암의 스터브 축에 배치된 전기적 전도성의 연속링들 각각과 바이어스된 공통 전기접촉 상태를 각각 유지한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는, 슬립링 커넥터와 인쇄회로기판 사이에 배치된 탄성 (elastomeric) 패드를 가지는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탄성패드는, 인쇄회로기판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전기적 전도성 콘택과 U-클립들 중 하나의 베이스 간을 개별적으로 각각 연장하는 이격된 다수의 전기적 전도성 부분을 가진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따라, 전기통신장치용 마이크로폰 어셈블리는 전기통신장치에 회전 가능하게 실장할 수 있고 또한 플립아암의 제1단부에 배치된 마이크로폰과 제2단부에 배치된 스터브 축을 가지는 플립아암을 가진다. 스터브 축은 플립아암의 제2단부에서부터 외방으로 연장하고 또한 전기통신장치의 하우징에 형성된, 규정된 개구를 통해 삽입되기에 적합하게 되어있고 또한 그 위에 배치된, 축방향으로 이격된 다수의 전기적 전도성의 연속링들 가진다. 상기 전기적 전도성의 연속링들 각각은 마이크로폰과 개별적인 전기통신을 한다.
전기통신장치용 마이크로폰 어셈블리의 다른 형태들은, 플립아암 내에 배치되어 스터브 축 상의 전기적 전도성의 연속링들 각각과 마이크로폰 간에 전기적 통신을 제공하는 탄성 스트립을 가진다. 다른 형태는, 스터브 축에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마이크로폰을 위한 지지를 제공하는 스터브 축과 마이크로폰 간을 연장하는 베이스부재를 가지는 플립아암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구조와 동작의 보다 완벽한 이해는, 첨부도면과 함께 이루어진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도 1과 2에 도시된 셀룰러전화(10)와 같은, 전기통신장치는 전면 하우징(12)과 후면 하우징(14)을 가진다. 인쇄회로기판(PCB) (16)이 전면 하우징과 후면 하우징(12, 14) 내에 실장된다. PCB(16)는, 다수의 전기적 전도성의 표면콘택(20)들이 형성되는 규정된 표면영역(18)을 가진다. 또한 장치(10)의 전면과 후면 하우징(12, 14) 사이에, 아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게 될 슬립링 커넥터 어셈블리(22)가 배치된다.
예시적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전기통신장치(10)는, 전면 하우징(12)에 제공된 요입부(24)에 플립아암 어셈블리(24)가 위치하게 되는 보존위치와 플립아암(24)의 말단(28)이 전면 하우징(12)으로부터 떨어지게 되는 작동위치 간에 이동을 위해 전면 하우징(12)에 회전 가능하게 실장되는 플립아암 어셈블리(24)를 가진다. 플립아암 어셈블리(24)는 제1단부, 또는 가까운 단부(32)에 배치된 스터브 축(30)을 포함한다. 스터브 축(30)은 길이방향 축(34)에 대해 동심으로 형성되고, 상기 길이방향 축 주위로 플립아암 어셈블리(24)가 회전한다. 전형적으로, 보존위치와 작동위치 간의 각도변화는 약 120도 정도이다. 도 1과 3에 가장 잘 도시되어 있듯이, 스터브 축(30)은 플립아암(24)으로부터 외방으로 연장하고, 도 1에 도시되어 있듯이, 전면 하우징(24)에 미리 형성된 개구를 관통해 삽입되기에 적합하게 되어 있다. 도 2와 5에 도시되어 있듯이, 슬립링 커넥터 어셈블리(22)는, 스터브 축(30)이 개구(36)를 통해 삽입되면, 스터브 축이 슬립링 어셈블리(22)의 중앙 구멍(38) 내에 수용되도록, 하우징(12) 내 개구(36)와 정렬되는 중앙 구멍(38)을 가진다.
중요한 것은, 스터브 축(30)이, 스터브 축(30)과 주입성형되는 축방향으로 이격된 다수의 전기적 전도성의 연속링(40)들을 가진다는 것이다. 바람직하게, 전기적 전도성의 연속링(40)들 각각은, 내부식성의 전기적 전도성 표면을 제공하도록 니켈 전이코딩이 도금되어 있는 황동과 단단한 금으로 된 외부 층으로 형성된다. 도 4에 도시되어 있듯이, 스터브 축(30)과 주입성형하기 전에, 전기적 전도성의 연속링(40)들 각각은, 플립아암 어셈블리(24)의 제2단부, 또는 말단(28)에 배치된 마이크로폰(46)과 연속링(40)들 각각 간의 개별적인 전기통신을 제공하는, 미리 부착되는 전기리드(42)를 가진다. 리드(42)들 각각은 마이크로폰(46)에 제공된 콘택들로 직접 연장하거나, 또는 도 3에 도시되어 있듯이, 마이크로폰(46)과 전기통신을 하는, 통상적인 탄성스트립 커넥터와 같은 탄성 회로부재(48)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탄성 스트립(48)은 리드(42)들 중 하나를 통해 전기적 전도성의 연속링들 각각에 한 단부가 작동적으로 연결되고 그리고 마이크로폰(46) 상의 규정된 단자에 제2단부가 각각 연결되는, 다수의 개별적인 전기적 리드들을 포함한다. 그러므로, 연속링(40)들 각각과 마이크로폰(46)간에 개별적인 전기적 통신이 이루어진다.
설명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플립아암 어셈블리(24)는 스터브 축(30)과 마이크로폰(46) 간을 연장하고 또한 스터브 축(30)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마이크로폰(46)을 위한 지지를 제공하는 베이스부재(50)를 포함한다. 스터브 축(30)은 전기적 비전도 재료로 만들고 또한 주입성형에 앞서 성형 중공 내에 미리 위치하는 전기적 전도성의 연속링(40)과 함께, 베이스부재(50)와 일체적으로 성형된다. 플립아암 어셈블리(24)는 또한, 베이스부재(50) 상에 배치된 커버(52)를 포함하여, 마이크로폰의 보호와 그리고 마이크로폰과 스터브 축(30) 상에 배치된 연속링(40) 간의 내부 배선을 제공한다. 커버(52)는, 나사, 접착성 접합, 초음파 접합, 또는 다른 통상적인 접합기술을 사용하여, 베이스부재(50)에 적절히 제공된 홈들 내에 스냅 고정되는 적절한 탭으로 베이스부재(50)에 고정될 수 있다. 만일 필요하다면, 플립아암 어셈블리(24)의 베이스부재(50)와 커버(52)는, 충격손상에 대해 향상된 내성을 제공하는 폴리우레탄과 같은 탄성재료로 만들 수 있다. 또한 필요하다면, 베이스부재(50)와 커버(52)는 탄성 스트립(48)과 마이크로폰(46)의 적어도 일부분이 베이스부재(50)와 커버(52) 내에 주입성형이 되는 단일 구조로 형성할 수 있다.
도 5에 가장 잘 도시되어 있듯이, 슬립링 커넥터 어셈블리(22)는 중앙 구멍(38)을 관통해 연장하고, 또한 플립아암 어셈블리(24)의 스터브 축(30)을 수용하도록 적합하게 된 몸체(54)를 가진다. 다수의 U-형 클립(56)들이 정렬된 구멍(58)들 쌍을 통해 연장하여, 몸체(54)의 중앙 구멍(38) 내로 연장한다. 스터브 축(30)이 개구(36)를 통해 전면 하우징(12) 내에 삽입되고 또한 슬립링 커넥터 어셈블리(22)의 중앙 구멍(38) 내로 삽입되면, 전기적 전도성의 연속링(40)들 각각은 U-형 클립(56)들 각각과 정렬한다. 몸체(54)를 통해 연장하는 구멍(58)들의 위치는, 전기적 전도성의 연속링(40)들 중 대응하는 하나와 각각 바이어스된 공통 전기접촉을 유지하도록, 클립(56)들의 외방으로 연장하는 다리들을 지지한다. 그러므로, 플립아암(24)이 그의 보존위치와 동작위치 간을 이동하면, 보존위치와 동작위치 각각에서 또는 이동 동안에, 링(40)과 U-형 클립(56)들 간에 전기적 접촉이 유지된다. 바람직하게, U-형 클립(56)들은 베릴리움 카파(beryllium copper)와 같은, 내부식성의 전기 전도재료로 만든다.
도 2에 도시되어 있듯이, 공통적으로 "제브라 스트립(zebra strip)"으로 부르는, 탄성패드(60)는, 전기적 전도부가 비 전도부에 의해 분리되도록 교대로 배열된 다수의 전기적 를 비 전도부를 가진다. 탄성패드(60)는, 탄성패드(60)의 개별적인 전기 전도부가 U-형 클립(56)들 각각의 베이스와 PCB(16)의 표면 상의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콘택(20)과 정렬되도록, 슬립링 커넥터 어셈블리(22)의 몸체(54)와 인쇄회로기판(16) 사이에 위치한다. 그러므로, 설명한 실시예에서, 탄성 스트립(48)과, 탄성 회로(48)와 연속링(40)들 간을 연장하는 리드(42)들을 경유해, 그리고 개별적으로 위치한 전기 전도성 U-형 클립(56)을 통해 전기적 전도성의 연속링(40)들 각각에서부터 인쇄회로기판(16) 상의 하나 또는 그 이사의 각 콘택(20)까지 플립아암(24)의 말단(28)에 위치한 마이크로폰(46)과 인쇄회로기판(16) 내에 배치된 회로들 간에 전기적 통신이 이루어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만일 필요하다면, 슬립링 커넥터 어셈블리(22)는 또한 커버(54) 위로 연장하는 커버(64)를 가져, 슬립링 상호접속 둘레에 전자기 간섭(EMI) 차폐를 제공할 수 있다. 커버(64)는 적절한 금속성 또는 비금속성의 EMI 차폐재료로 만들 수 있거나 또는 내부 EMI 차폐 코팅이 제공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만일 필요하다면, 플립아암 어셈블리(24)는 EMI 차폐를 제공하는 재료로 내부가 코팅될 수 있거나, 또는 상기 재료로 만들 수 있다.
슬립링 커넥터 어셈블리(22)는 플립아암 어셈블리(24)의 조립에 관해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적절한 접착제 또는 기계적 부착방법을 사용하여 인쇄회로기판(22)에 대해 고정적인 관계로 유지될 수 있다. 예컨대, 슬립링 커넥터 어셈블리(22)의 커버(64)에는, 나사가 관통해 삽입되어 인쇄회로기판(16)에 고정되는 수평으로 연장하는 탭이 제공될 수 있다. 달리, 슬립링 커넥터 어셈블리(22)의 커버(64)는 PCB(16)를 관통해 제공된 홈들과 맞물리게에 적합하게 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하방으로 연장하는 탭들을 가질 수 있다. 다른 구성에서, 슬립링 커넥터 어셈블리(22)의 몸체(54)는 전면 하우징(12)이 후면 하우징(14)과 조립되면 전면 하우징(12)의 내부면과 직접 접하여 몸체(54)가 하방으로 탄성 패드(60)와 강제 접촉을 하도록 몸체(54)에 대해 바이어스력을 제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전기통신장치(19)는 또한, 스터브 축(30)의 세로방향 축(34) 주위로 플립아암(24)의 회전을 허용하는 한편, 슬립링 커넥터 어셈블리(22) 내에 스터브 축(30)을 유지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스터브 축 유지수단은 도 5에 도시되어 있듯이 몸체(54)의 하부를 통해 상방으로 연장하여, 주입성형된 연속링(40)들과 플립아암 어셈블리(24)의 베이스부재(50) 간의 위치에서 스터브 축(30)에 형성된, 평형한 표면의 횡단 홈(68)과 맞물리는 스프링강 와이어 클립(66)으로 제공될 수 있다. 횡단 홈(68)의 평평 표면은, 보존위치로 이동할 때에 플립아암 어셈블리(24)에 대한 디텐트(detent)위치를 제공한다. 마찬가지로, 원하는 작동위치와 같은 다른 디텐트위치들이 원하는 반경방향 위치에서 홈(68)에 형성된 부가적인 평평한 표면들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슬립링 커넥터 어셈블리(2) 내에 스터브 축(30)의 유지는 통상적인 C-클립 또는 유사한 분할-링 유지클립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만일, 장치(10)의 사용 동안에 마이크로폰(46)이 또는 마이크로폰(46)과 스터브 축(30) 상의 전기적 전도링(40)들 간의 접촉들이 손상을 받게 된다면, 사용자는 플립아암 어셈블리(24)를 손쉽게 제거하여 교체할 수 있다. 전기통신장치(10)의 송ㆍ수신기부에서부터 플립아암 어셈블리(24)의 제거는 커넥터 어셈블리(22)의 중앙 구멍(38)에서부터 스터브 축(30)을 단순히 당김으로써 이루어진다. 설명한 실시예에서, 스터브 축(30)의 제거는 와이어 클립이 홈(68)의 평평한 요입면에 대해 더 이상 위치하지 않는 반경방향 위치로 플립아암 어셈블리(24)를 회전시키거나, 또는 홈(68)의 선두 모서리에 둥근 홈을 제공함으로써 용이하게 이루어 질 수 있다. 고장난 플립아암 어셈블리(24)의 제거 후에, 새로운 플립아암을 개구(36)와 하우징(12)을 통해 삽입하고 그리고 와이어 클립(66)이 스터브 축(30) 상의 홈(68)에 위치할 때까지 플립아암을 몸체(54)의 중앙 구멍(38)에 밀어넣을 수 있다. 보다 중요한 것은 전기통신장치(10)의 송,수신기부를 개방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장치(10)의 특성의 재인증이 필요치 않게 된다. 게다가, 플립아암 어셈블리(24)의 제거와 교체를 비숙련자가 할 수 있기 때문에, 플립아암 어셈블리(24), 마이크로폰(46), 또는 마이크로폰(46)과 인쇄회로기판(16) 간의 전기접속점의 수리를 위해 서비스센터로 장치(10)을 반환하는 것이 필요치 않다.
그러므로 장치의 손상 또는 고장시에 장치(10)를 해체하는일이 없이, 전기통신장치(10)와, 특히 마이크로폰(46)을 내장한 플립아암 어셈블리(24)를 쉽게 교체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셀룰러전화, 휴대용 2-웨이 무선기, 무선전화 등과 같은 휴대용 전기통신장치들의 작동에서 특히 중요하다. 게다가, 본 발명을 구현하는 슬립링 마이크로폰 어셈블리는, 상호접속 하드 와이어 회로들의 잘못된 접속에 기여할 수 있는 잠재적인 고장들을 제거하는 한편, 장치의 조립을 크게 단순화시킨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구성에 따라서, 전기통신장치의 송ㆍ수신기부와 마이크로폰/플립아암부는 제조공정에서 개별적으로 완전히 조립된 다음 최종 단계에서 결합될 수 있는데, 이는 장치(10)의 내부회로와 인터페이스하는 마이크로폰에 상호접속 하드 와이어 연결된 납땜접속점이 없기 때문이다. 게다가, 플립아암과 장치(10) 간의 슬립링 접속은 반복적으로 휘면 고장나게 되는 와이어들의 휨을 제거한다. 본 발명을 구현하는 슬립링 인터페이스는 수 백만번의 사이클을 지속할 수 있는데 이는 내부-접속 전기부품들의 휨 또는 굽힘이 없기 때문이다.
비록, 전기통신장치의 마이크로폰과 송,수신기부 간의 슬립링 상호접속의 핵심 구조를 가지고서,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설명하였다 하더라도,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를 이탈하는 일이 없이, 와이어 클립들의 구성과 배열 및 특별히 설명한 구조재의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인식하게 될 것이다. 상기 변경들은 다음 청구항들의 범위내에 포함되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들 및 특징들과 장점들은 첨부된 청구항들과 더불어, 본 발명의 개시와 도면들을 연구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Claims (11)

  1. 그 외부면과 내부면 간을 연장하는 규정된 개구를 가지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 실장되고 또한 상기 하우징 내 상기 규정된 개구와 정렬되는 슬립링 커넥터 어셈블리와,
    상기 하우징 상에 회전가능하게 실장되고 또한 제1단부에 배치된 마이크로폰과 제2단부에 배치된 스터브 축을 가지는 플립아암을 포함하며, 상기 스터브 축은 플립아암의 상기 제2단부에서부터 외방으로 연장하고 또한 상기 하우징 내 상기 규정된 개구를 통해 삽입되기에 적합하게 되어 있으며 그리고 상기 규정된 개구와 정렬된 상기 슬립링 커넥터 내에 수용되며, 상기 스터브 축은 또한 상기 마이크로폰과 개별적으로 각각 전기통신을 하는, 그 위에 축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된 다수의 전기적 전도성의 연속링들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통신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플립아암이 상기 하우징에 대해, 상기 스터브 축을 통해 연장하는 세로방향 축 주위를 선택적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슬립링 커넥터 내에 상기 플립아암의 스터브 축을 유지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통신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된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통신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슬립링 커넥터는 플립아암의 스터브 축을 수용하기에 적합한 중앙 구멍과 중앙 구멍을 따라 축방향으로 이격되고 또한 몸체의 저면과 상기 중앙 구멍 간을 각각 연장하는 다수의 정렬된 구멍 쌍들 가지는 몸체와, 수평으로 연장하는 베이스로 그 들의 각 저단에서 상호연결되는, 상방으로 연장하는 다리 쌍을 각각 가지는 다수의 전기적 전도성의 U-형 클립들을 가지고, U-형 클립들 각각의 상방으로 연장하는 상기 다리들 각각은 정렬된 구멍 쌍의 각 구멍에 배치되어 상기 슬립링 커넥터 몸체의 상기 중앙 구멍 내로 상방으로 연장하여, U-형 클립들 각각의 양 다리들이, 상기 스터브 축이 상기 슬립링 커넥터 내에 수용되면 플립아암의 상기 스터브 축 상에 배치된 전기적 전도성의 연속링들 각각과 바이어스된 공통 전기접촉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통신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규정된 표면영역 상에 미리 배열된 패턴으로 배치된 다수의 전기적 전도성의 콘택들을 가지고, 상기 장치는 상기 슬립링 커넥터와 상기 인쇄회로기판 사이에 배치되고 또한 상기 인쇄회로기판 상에 배치된 상기 전기적 전도서의 콘택들 중 하나와 상기 U-형 클립들 중 하나의 베이스에서부터 개별적으로 각각 연장하는 다수의 이격된 전기적 전도성 부분을 가지는 탄성(elastomeric)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통신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립링 커넥터는 플립아암의 상기 스터브 축을 수용하기에 적합한 중앙 구멍을 가지는 몸체와 상기 몸체 위를 연장하고 또한 상기 슬립링 커넥터에 대해 전자기 간섭차폐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통신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립링 커넥터 내 상기 슬립아암의 스터브 축을 유지하는 상기 수단은 상기 스터브 축에 형성된 횡단홈과 상기 횡단홈과 맞물리게에 적합한 클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통신장치.
  8. 전기통신장치용 마이크로폰 어셈블리는, 상기 전기통신장치 상에 회전가능하게 실장될 수 있고 또한 제1단부에 배치된 마이크로폰과 제2단부에 배치된 스터브 축을 가지는 플립아암을 포함하고, 상기 스터브 축은 플립아암의 상기 제2단부에서부터 외방으로 연장하고 또한 상기 전기통신장치의 하우징 내에 제공된 규정된 개구를 통해 삽입되기에 적합하게 되어 있으며 또한, 그 위에 배치되어 상기 마이크로폰과 개별적인 전기통신을 각각하는 다수의 축방향으로 이격된 전기적 전도성의 링들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통신장치용 마이크로폰 어셈블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적 전도성의 연속링들 각각과 마이크로폰 간의 전기통신은, 상기 플립아암 내에 배치되고 또한 상기 전기적 전도성의 연속링들 각각에 한 단부가 작동으로 연결되고 상기 마이크로폰 상의 규정된 단자에 제2단부가 각각 연결되는 개별적인 전기적 리드들을 포함하는 탄성 스트립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폰 어셈블리.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플립아암은 상기 스터브 축과 상기 마이크로폰 간을 연장하고 또한 상기 스터브 축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마이크로폰을 위한 지지를 제공하는 베이스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스터브 축 상에 배지된 상기 전기적 전도성의 연속링들을 상기 스터브 축에 주입성형되고, 또한 상기 스터브 축은 플립아암의 상기 베이스부재와 일체적으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폰 어셈블리.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플립아암은 상기 스터브 축과 상기 마이크로폰 간에 연장하는 베이스부재와, 상기 베이스부재 상에 배치된 커버와, 상기 마이크로폰과 상기 스터브 축 상에 배치된 상기 전기적 전도성의 연속링들 간에 전기적 통신을 제공하는 탄성 회로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부재와 상기 커버는 상기 탄성 회로부재와 상기 마이크로폰의 적어도 일부분에 대해 몰딩되는 탄성재료로 만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폰 어셈블리.
KR1020007000870A 1997-08-08 1998-08-06 플립아암 마이크로폰용 슬립링 상호접속을 가지는전기통신장치 KR2001002229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8/907,519 1997-08-08
US08/907,519 US6005956A (en) 1997-08-08 1997-08-08 Telecommunication instrument having slip ring interconnection for flip arm microphone
PCT/US1998/016537 WO1999008430A1 (en) 1997-08-08 1998-08-06 Telecommunication instrument having slip ring interconnection for flip arm microphon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2292A true KR20010022292A (ko) 2001-03-15

Family

ID=254242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00870A KR20010022292A (ko) 1997-08-08 1998-08-06 플립아암 마이크로폰용 슬립링 상호접속을 가지는전기통신장치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6005956A (ko)
EP (1) EP1002412A1 (ko)
JP (1) JP2001513601A (ko)
KR (1) KR20010022292A (ko)
CN (1) CN1265801A (ko)
AU (1) AU758429B2 (ko)
BR (1) BR9811139A (ko)
EE (1) EE04212B1 (ko)
MY (1) MY119572A (ko)
WO (1) WO199900843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1495A (ko) * 2004-02-13 2005-08-19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폰의 지향성 마이크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353889B (en) * 1999-09-02 2003-12-31 John Wolfgang Halpern Telephone-supported travel pass for the transfer of funds and of authentic entitlement passes or tickets
US7603148B2 (en) * 2003-12-16 2009-10-13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Integrated wireless headset
KR100768042B1 (ko) * 2006-11-23 2007-10-17 삼성전자주식회사 돌출형 마이크 모듈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
JP2012064363A (ja) * 2010-09-14 2012-03-29 Sharp Corp 携帯端末用コネクタカバー及びそれを備えた携帯端末
CN103491472A (zh) * 2012-06-12 2014-01-01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话筒组件及应用其的便携式电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89845A (en) * 1987-09-30 1989-04-0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Electric appliance
JPH0275252A (ja) * 1988-09-09 1990-03-14 Nippon Denso Co Ltd 自動車用電話装置
JPH03160851A (ja) * 1989-11-20 1991-07-10 Fujitsu Ltd 携帯電話機
JPH0491541A (ja) * 1990-08-07 1992-03-25 Fujitsu Ltd 電話機用ハンドセット
JP3303394B2 (ja) * 1993-02-12 2002-07-22 ソニー株式会社 携帯電話機
US5511995A (en) * 1994-10-31 1996-04-30 Cheng; Yu F. Direct current connector
US5639262A (en) * 1995-03-27 1997-06-17 Thomas & Betts Corporation Shielded electrical connector component assembly
JPH0936939A (ja) * 1995-07-24 1997-02-07 Toyo Denso Co Ltd 電話機載置用回転台
US5731663A (en) * 1996-04-01 1998-03-24 Davis; Ralph K. Variable power control lamp adapt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1495A (ko) * 2004-02-13 2005-08-19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폰의 지향성 마이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9811139A (pt) 2000-07-18
AU8775398A (en) 1999-03-01
US6005956A (en) 1999-12-21
MY119572A (en) 2005-06-30
WO1999008430A1 (en) 1999-02-18
CN1265801A (zh) 2000-09-06
EE04212B1 (et) 2003-12-15
EP1002412A1 (en) 2000-05-24
EE200000067A (et) 2000-10-16
AU758429B2 (en) 2003-03-20
JP2001513601A (ja) 2001-09-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58892A (en) Molded-in antenna with solderless interconnect
US5066235A (en) Connector assembly for electronic devices
KR100356005B1 (ko) 전기 회로를 포함하는 장치들 사이의 전기적 접속에 관련된 장치
KR20060095579A (ko) 전자 장치용 힌지 커넥터
EP1278274A2 (en) Coaxial connector assembly and antenna assembly having a switching function
EP0888031A1 (en) Miniature microphone component
KR20010022292A (ko) 플립아암 마이크로폰용 슬립링 상호접속을 가지는전기통신장치
US6600937B1 (en) Vibrator assembly for mobile telephone
KR100678187B1 (ko) 휴대 단말기의 인쇄회로기판간 연결 케이블 장치
JP3125220B1 (ja) 電子部品用コネクタ
EP1238446A1 (en) An electrical contact device for interconnecting electrical components
JP2007512678A (ja) 電子装置用ヒンジコネクタ
AU632834B2 (en) Connector assembly for electronic devices
JPH1141682A (ja) マイク取付装置及び取付方法
JP3556592B2 (ja) 振動部品用コネクタ
JP3085988B2 (ja) 電気的なコネクタ
US20070128949A1 (en) High frequency coaxial jack
JP3559963B2 (ja) コンタクト部品及びコネクタ
JP2002319461A (ja) コネクタ
JPH06112669A (ja) 電子機器の組立方法
JP2002246095A (ja) 基板保持部品
JP2002246096A (ja) 基板保持部品
RU2001109383A (ru) Электрический соединитель
JP2004320843A (ja) 充電装置
JP2003273986A (ja) 携帯無線電話機および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