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64293A - 자동판매기의 상품투출장치 - Google Patents

자동판매기의 상품투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64293A
KR20000064293A KR1019980702935A KR19980702935A KR20000064293A KR 20000064293 A KR20000064293 A KR 20000064293A KR 1019980702935 A KR1019980702935 A KR 1019980702935A KR 19980702935 A KR19980702935 A KR 19980702935A KR 20000064293 A KR20000064293 A KR 200000642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shock absorbing
vending machine
movable plat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29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84751B1 (ko
Inventor
유타카 다카하시
히사시 후나코시
Original Assignee
우시구보 마사요시
산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시구보 마사요시, 산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우시구보 마사요시
Publication of KR200000642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42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47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475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 G07F11/34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the magazines are of zig-zag for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8Payment architectures involving self-service terminals [SST], vending machines, kiosks or multimedia terminal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 G07F11/04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magazines the articles are stored one vertically above the other
    • G07F11/16Delivery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Vending Machines For Individual Products (AREA)

Abstract

병, 깡통 등의 원통상 내지 이에 비슷한 형상을 갖는 상품을 적층상으로 수납하고, 투출지령에 의거하여 상품을 투출하는 자동판매기에 상품투출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상품투출장치는 상품의 투출통로의 일면을 구성하고 상품을 1개씩 투출하는 투출기구를 갖는 고정벽과, 이 고정벽에 대하여 상대향하여 설치된 가동벽을 구비하고 있다. 이 가동벽은 자동판매기의 기체측에 장치되는 기체틀과 이 기체틀의 측벽부에 형성된 지지구멍에 이동축에 의하여 피복지지된 가동판과 상기 기체틀의 측벽부에 형성되고 상기 가동판의 적어도 일단에 돌출설치된 위치결정편이 투출통로를 통과하는 상품직경에 따라 선택적으로 걸어맞춤하는 계단상의 위치결정걸어맞춤부를 갖고 있다. 상기 가동판에는 그 하단이 투출통로측으로 돌출한 상태에 가압하는 가압수단이 설치되어 있다.

Description

자동판매기의 상품투출장치
근년, 자동판매기는 여러가지 상품분야에 있어서 급속히 보급하여 있고, 그중에서도 음료용의 병이나 깡통의 자동판매기의 보급은 눈부시고, 이들의 상품은 일반소비자가 언제나 자동판매기에 의하여 손쉽게 구입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상기의 음료의 병이나 깡통은 상품에 따라 외경이 다르지만, 대부분의 상품을 자동판매기에서의 판매가 가능하게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의 자동판매기에 있어서는 예를들면, 소직경의 상품의 외경에 적합한 통로폭을 갖는 통로내에 그 상품보다 대직경의 상품이 투입되면 통로내에서 막힘이 생겨 투출불능으로 되고, 또 대직경의 상품의 외경에 적합한 통로폭을 갖는 통로내에 그 상품보다 소직경의 상품이 투입되면 그 상품은 그냥지나처 배출되고, 떨어져 버릴뿐아니라, 매출시에 다수의 상품이 배출되어 버리는 것으로 된다.
이와같은 사실로부터,자동판매기로 취급하는 상품이 변경되고, 상품의 외경이 변경하는 경우에는 투출통로의 통로폭을 그 상품의외경에 적합하는 폭으로 변경할 필요가 있다.
종래의 상기 통로폭의 변경에는, 도 19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자동판매기(1)의 각 상품별통로(2,2,…)의 하단위치에 있는 투출통로(3,3,…)의 배면측에 위치하는 통로판(4)을 일손에 의하여 이동시키든가, 혹은 두께가 다른 통로판과 바꾸어 붙임으로서 통로폭을 결정하도록 되어 있다.
즉, 일반적으로는 상품 A를 1개씩 투출하는 기능을 갖는 투출기구(5)를 구비하여 자동판매기의 기체측에 고정적으로 설치되는 고정벽(6)과 이 고정벽(6)에 상대향하여 설치되는 통로판(4)으로 투출통로(3)가 구성되어, 이 통로판(4)은 도 20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그 상하의 측부에 돌출설치된 핀(7,8)이 기체측에 설치된 상하의 위치결정구멍(9,10)에 끼워맞춤함으로서 지지되어 있다. 하부의 위치결정구멍(10)은 역U자상을 이루어 복수 연속해 있고, 상품직경에 대응하는 위치를 취하도록 형성되고, 상부의 위치 결정공(9)은 연속한 크랭크상을 이루고있고, 하부의 핀(8)을 하부의 위치 결정공(10)의 어느것인가 하단에 위치시키므로서 상품 A의 외경에 적합하는 위치「a」,「b」,「c」,「d」에 놓여지도록 되어 있다.
혹은 도 21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통로판(4)을 도 20의「b」,「d」에 상당하는 2위치를 취하도록하고, 도 20의「a」,「c」에 상당하는 위치를 얻는데는 도 22a 및 22b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통로판(4)의 표면에 소정의 판두께의 당판(11)을 그 배면의 훅상의 절기(12,12)를 통로판(4)에 설치된 절단구멍에 걸어맞춤시키므로서 최소직경의 상품 A1(도 22a), 중간직경의 상품 A3(도 22b)에 대응시키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상품의 외경변경은 핫상품과 콜드상품의 전환시기나 신상품의 시장투입시, 매상상품성적등에 따라 연간에 빈번하게 행해지고, 그때마다 통로폭의 변경작업이 필요하고, 그 변경작업은 상술의 도 19에 도시한 바와같이 자동판매기(1)의 하부에 있어서 더듬질 상태로 행하는 것으로 되므로 무리한 자세에서의 작업이 강요되고 중작업으로 된다.
게다가 바르게 조정하였는가의 여부의 육안 확인을 할 수 없으므로, 전환불량율은 극히 높은 것으로 되어 있었다. 그러므로 제한된 오페레이터 밖에 조작할 수 없는 현상에 있다. 이 때문에 통로폭의 변경기능은 거의 사용되지 않고 통로폭을 고정한대로 사용되는 케이스가 많고, 조정기능이 사장되어 있는 것이 실상이다.
상기 음료상품의 자동판매기는 일본국내에서는 업계추정으로 250만대를 초과하여 있고, 실용내용연수는 5∼7년정도이고, 따라서 매년 상당한 율로 신규 기계로 바꿔지지만, 남아 있는 기계는 내용기간중 계속하여 사용되므로 그 사이에 통로폭의 조정은 빠뜨릴 수 없는 것으로 된다. 특히 시즌에 의하여 상품을 전환할때 등 단시간에 통로폭의 변경을 행하여야 하고, 이때문에 메이커로서는 외부로부터 요원을 확보한 다음 필요한 연수를 행하여 야하는 등, 그 밖에 상이하는 직경상품의 오투입에 의한 막힘의 해제등, 이들의 요하는 경비는 막대한 것으로 된다.
상기의 조정작업의 경감을 도모하기 위하여 예를들면 일본특개평 7-21457호 공보(공지예 1), 혹은 일본특개평 7-160941호공보(공지예 2)에 기재의 기술이 제안되고 있다.
상기 공지예 1에 기재의 것은 소직경 깡통 및 대직경깡통용의 일시금지용 플랩을 솔레노이드에 의하여 움직임으로 의하여 각 상품 사이즈에 대응시키려고 하는 것이고, 또 공지예 2에 기재의 것은 제1∼제 3스토퍼부를 솔레노이드에 의하여 조정하여 각 상품사이즈에 대응시키려고 하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 어느 공지기술도, 대상으로 하는 상품의 굵기의 종류가 한정되므로 외경이 다른 다품종의 상품을 판매하는 자동판매기에는 적용할 수가 없고, 또 플랩을 움직이는 것에서는 솔레노이드와 플랩의 조정관계가 충분히 기능하지 않는 일이 있고, 이때문에 트러블의 발생원인을 내재하는 것이었다.
본 발명은 병이나, 깡통에 충전된 음료등의 상품의 자동판매기에 관한 것이며, 특히 외경의 다른 복수종류의 상품을 제가꿈따로 수납하고, 그 상품에 적합하는 통로폭의 투출통로를 형성하여 상품의 투출을 원활히 행하게 하기 위한 자동판매기의 상품투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하는 자동판매기의 일예를 도시하는 전면 문짝을 열은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있어서 래크의 하나를 꺼내어 도시하는 확대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상품투출장치의 일실시형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4는 도 3에 있어서 고정벽의 정면도,
도 5는 도 3에 있어서 가동벽의 절반부의 배면도,
도 6은 도 3에 있어서 가동벽의 절반부의 배면도,
도 7은 도 3의 작동상태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8은 도 3 및 도 7에 있어서 지지구멍의 형태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9는 도 3에 있어서 가동벽의 기체틀을 도시하는 분해사시도,
도 10은 도 3에 있어서 충격흡수부재의 일부노치 사시도,
도 11은 도 3에 있어서 제 1가동판의 일단부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2는 도 3에 있어서 제 2가동판의 일단부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가동벽의 자동판매기에의 장치위치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14는 가동벽의 자동판매기에의 장치과정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15는 가동벽의 자동판매기에의 장치완료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6a∼도 16d는 충격흡수수단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17은 본 발명의 제 2실시형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18은 조작의 플로차아트
도 19는 종래의 투출통로의 통로쪽의 조정의 곤난성을 도시하는 설명도,
도 20은 종래의 통로폭 조정기구의 개략 단면도,
도 21은 종래의 통로폭 조정기구의 개략 단면도,
도 22a 및 도 22b는 도 20의 조정기구의 중간간격 조정수단을 도시하는 설명도,
본 발명은 상품의 투출통로폭을 그 투출통로를 사용하는 상품자체에 의하여 결정하고, 외부로부터 일손에 의한 조정을 일체불요로 하여 자동판매기의 관리를 용이하게 하는 일, 및 기존의 자동판매기의 투출통로에의 적용이 용이하고, 동시에 투출통로의 폭방향에 요하는 두께를 극소로하여 기설의 자동판매기를 개조할 필요없이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과제로 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병, 깡통 등의 원통상 내지는 그에 비슷한 형상, 예를들면 다각형 용기등의 상품을 적층상으로 수납하고 투출지령에 의거하여 상품을 투출하는 자동판매기에 있어서, 투출통로의 일면을 구성하고 상품을 1개씩 투출하는 투출기구를 구비한 고정벽과 이 고정벽에대하여 상대향하여 설치되는 가동벽을 구비하고, 이 가동벽은 자동판매기의 기체측에 장치되는 기체(機體)틀과 이 기체틀의 측벽부에 그 전후방향으로 형성된 지지구멍에 이동축에 의하여 피벗된 가동판과 상기 기체틀의 측벽부에 형성된 상기 가동판의 적어도 일단에 돌출설치된 위치결정편이 투출통로를 통과하는 상품직경에 따라 선택적으로 걸어맞춤하는 계단상의위치 결정 걸어맞춤부와 상기 가동판을 그 하단이 고정벽측으로 돌출한 상태로 가압하는 가압수단으로 구성한 것에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지구멍을 고정벽에서 이간함에 따라 하강하는 경사상으로 하면, 상기 계단상위치결정 걸어맞춤부의 단차를 크게취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고, 또 상기 기체틀의 상방에 상품의 낙하가속도를 흡수하여 상품을 고정벽측으로 유도하는 충격흡수단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통로의 확정을 보다 확실하기 위하여 상기 가동판을 상하로 2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하위의 가동판은 상하방향의 폭을 길게 형성하고, 상기 위치결정편을 가동판의 상하부에 한상씩 설치함과 동시에 이 위치결정편이 걸어맞춤하는 계단상의 위치결정 걸어맞춤부를 기체틀의 측벽부에 상하한쌍씩 설치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위의 가동판은 상하방향의폭이 상위의 가동판 보다 길게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하위의 가동판의 상하방향의 폭을 상위의 가동판과 대략 동일하게 하여도 좋다.
상기 충격흡수수단으로서는 상품의 주면이 당접함으로서 후퇴하는 충격흡수부재를 사용하여 이 충격흡수부재의 양단축부를 기체틀의 측벽부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구멍에 슬라이드 자유로이 지지하도록함과 동시에 고정벽측의 방향으로 스프링 가압하도록 하면 상하방향의 스페이스를 취하지 않고 상품의 낙하시의 충격을 완화하여 투출통로내로 스므즈하게 진입시킬 수가 있다. 이 경우, 충격흡수부재의 양단에 축부를 설치하도록하고, 이축부가 슬라이드 자유로이 끼워맞춤하는 가이드구멍의 상기 고정벽측의 단부에 축부가 감입할 수 있는 함입부를 상,하 또는 상방으로 설치하도록하여 상품의 충격시에축부가 함입부로 부터 빠져나갈 경우의 저항에 의하여 일차적으로 충격을 흡수하고, 뒤이어 가이드구멍을 슬라이드 함으로써 2차적으로 충격을 흡수하도록 하여도 좋다. 더욱더 충격흡수부재와 이를 가세하는 스프링 사이에 상품의 낙하가속도를 완전흡수하여 상품자중에만 감쇠시키는 공기들이 충격흡수붕지체를 설치하면 한층충격흡수 효과를 높일 수가 있다.
상기 가동판의 지지구멍은, 고정벽측의 단부에 굴곡한 부분을 설치하여 그외는 스트레이트한 긴구멍으로 좋지만, 가동판의 위치결정을 보다 확실하기 위하여 상기 계단상의 위치결정 걸어맞춤부의 단부와 대응하는 단부를 갖는 계단상의 경사구멍으로 하여도 좋다.
더욱더 상기 충격흡수수단을 기체틀의 측벽부의 상부간에 피봇되어 고정벽 방향으로 경사진 상방을 향한 지지판과, 이 지지판의 선단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된 충격흡수판으로 구성하도록 하여, 상기 가동판은 그 상단이 기체틀의 측벽부의 상부간에 피봇된 경사판의 하단에 회전가능하게 고정연결하고, 이 연결축의 양단을 측벽부의 경사된 지지구멍에 이동이 자유롭게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충격흡수판의 이면을 상기 연결축부분의 외면에 따라 놓여지도록 하는 구성으로 하면, 충격흡수판이 상품의 낙하시의 가속도를 흡수하면서 가동판을 소정의 위치로 변위시켜, 동시에 충격흡수한 이 가동판에의 중개역활을 다하면 상품을 스므즈로 투출통로로 유도하고 안정한 투출을 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에 도시하는 제 1의 실시형태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적용대상인 자동판매기(1)의 일예의 전면문짝(13)을 열은 상태를 도시하여 있고, 자동판매기(1)내에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같은 복수개의 래크(14,14…)가 인출가능하게 설치되고, 이들 래크(14,14…)의 하부에 본 발명에 의한 상품투출장치가 설치된다.
상기 래크(14)에는, 통상 4종류의 상품이 수납할 수 있게 되어 있고, 따라서 각 상품을 투출하기 위한 4개의 상품투출통로(3,3…)가 설치되고, 그 상방위치에는 각 투출통로(3,3…)에 상품 A을 보급하기 위한 상품투입구(3a,3a…)가 있고 지그재그상의 통로(2,2…)내에 상품 A가 충만하는 상태로 채워지도록 되어 있다.
도 3은 그 하나의 투출통로(3)를 꺼내어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동도에 있어서 6은 종래와 같은 구성을 갖는 고정벽을 15은 본 발명에 있어서 가동벽을 도시하고, 그 사이가 상품 A이 통과하는 투출통로(3)로된다. 그리고 다른 2면은 기계본체측의 벽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벽(6)은 종래부터 사용되고 있는 투출기구를 구비하는 것으로, 판재의 양측부가 직각으로 절곡되어 횡단면이 얕은 コ자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상기 절곡된 측판(16,16)의 상단과 하단에 훅부(17,18)가 형성되고, 상부의 훅부(17)는 래크(14)측의 고정샤프트(19)에 하방에서 끼우고, 하부의훅부(18)는 래크(14)측의 샤프트(20)에 떨어뜨려서 장치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고정벽(6)에는 도 3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상부중앙위치에 상품없음을 검지하기 위한 품절검지편(21)이 스프링(22)의 가압에 의하여 도 3의 상태로 돌출하는 특성이 부여되어 피봇되어 이 품절검지편(21)이 돌출하였을때, 즉 상품이 존재하지 않는 빈 상태시에 품절의 신호를 얻는 스위치 S가 설치되어 있고, 이 스위치 S가 작동하였을때 자동판매기(1)의 전면문짝(13)의 해당하는 상품의 도시하지 않는 품절램프가 점등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품절검지편(21)보다 하방위치에는 최하위의 상품을 받아내는 상품투출판(23)과, 차위의 상품을 멈추어 두기 위한 스토퍼(24)가 설치되어 있고, 이들에의하여 상품을 1개씩 투출하는 투출기구를 구성하고 있다.
상기 상품투출판(23)은 그 기부가 고정벽(6)의 배면의 축받이부(25,25)의 위치에 고정지지된 샤프트(26)에 피봇되고, 이 샤프트(26)에는 コ자상을 이루는 요동틀(27)이 요동자유로이 지지되어 있고, 이 요동틀(27)의 하단가까이 삽통된 크랭크상의 연접봉대의 단부가 고정벽(6)의 배면에 장치된 솔레노이드(29)의 플랜저(29a)에 연결되어 있고, 솔레노이드(29)가 여자되었을때 상기 연접봉(28)을 통하여 요동틀(27)이 수직자세로부터 수평자세로 요동하도록 되어 있다. 더우기 3D은 귀환용 스프링이다.
상기 요동틀(27)의 상기 연접봉(28)에는 밀어올림부재(31)의 하부가 피봇되어 있고, 이 밀어올림부재(31)의 상단가까이에는 이동샤프트(32)가 삽통지지되어 있다. 이의 이동샤프트(32)의 양단은 고정벽(6)의 배면에 끝맺고 일으키게된 축받이편(33,33)의 상하방향의 긴구멍(34,34)에 삽통되어 상하이동이 안내되고 있다.
상기 이동샤프트(32)는 상기 상품투출판(23)의 상단에 돌출하는 수부(35,35)에 걸어맞춤이 자유롭게되어 있고, 상품투출판(23)의 상단일측 근처에는 상기 이동샤프트(32)의 하강시에 당접하여 이 투출판(23)을 투출위치에 요동시키기 위한 캠(36)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스토퍼(24)는 하부의 축받이부(37,37)가 상기 샤프트(26)에 피봇되고, 이 축받이부(37)로부터 상방으로 연장하는 부분에 캠구멍(38)이 형성되어 있고, 이 캠구멍(38)에 상기 이동샤프트(32)가 삽통되어 있고, 이동샤프트(32)가 하강하고 있을때는 스토퍼(24)는 고정벽(6)의 표면내에 퇴몰(退沒)한 위치에 놓여져, 차위의 상품의 유지를 풀고, 이동샤프트(32)가 상승하였을때, 즉 상품투출판(23)이 고정벽(6)의 표면내로 퇴몰하였을때 스토퍼(24)는 이표면에서 돌출하여 차위의 상품을 멈추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 고정벽(6)에 정대하는 위치에 놓여져, 이 고정벽(6)와의 사이에서 상품투출통로(3)를 구성하는 가동벽(15)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도 15에 도시하는 가동벽(15)은 하나의 유니트로서 구성되고, 자동판매기(1)의 래크(14)내에 수시로 장착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기존의 자동판매기에의 장치를 가능한 구성으로 한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도 3∼도 15에 도시하는 제 1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평면에서 보았을때 コ자상을 갖는 기체틀(40)의 측벽부(41,41)사이의 상방부에 충격흡수수단(42)을 그 하위에 상하방향폭이 좁은 가동판(43)을 더욱더 그 하위에 상하방향폭이 상기 가동판(43)의 대략 2배정도의 길이를 갖는 가동판(44)을 설치하도록 한 경우를 도시하는 것으로 편의상 실시형태의 설명에 있어서는 상기 짧은 가동판(43)을 제 1가동판, 긴 가동판(44)을 제 2가동판로 칭하여 설명한다.
상기 충격흡수수단(42)은, 상기 기체틀(40)의 측벽부(41,41)의 대향면간거리에 가급적 근사한 길이를 갖는 충격흡수판(45)을 갖고 있다.
이 충격흡수판(45)은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같은 가늘고 긴 판재로 이루어지고, 그 길이방향 양단에는 직각으로 젖혀서 세운 축받이부(46,46)를 갖고, 이 축받이부(46,46)의 외면에 돌출설치된 축부(47,47)가 기체틀(40)의 측벽부(41,41)에 수평방향으로 뚫어설치된 가이드구멍(48,48)(도 3)에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드 자유로이 끼워맞춤 지지되고, 상기 축받이부(46,46)의 선단에 외측방으로 굴곡하는 스토퍼(49,49)가 상기가이드구멍(48,48)의 단부에 당접함으로써 상기 고정벽(6)에 대하여 소정의 간격 이상으로 통로폭이 좁아지지 않도록 되어 있다. 상기 소정의 간격은 그 자동판매기로 취급하는 상품의 최대직경의 것의 반경보다 약간 넓은 치수로 된다.
상기 충격흡수판(45)의 길이방향측 가장자리는 배면측에 대략 직각상으로 절곡되어있고, 그 절곡부(45a,45a)의 외우부의 알(R)부분에 상품의 외주가 부딪치는 것으로 상품의 낙하 당접시의 충격력이 큰 경우 이라도 상품에 상처나, 움푹팸이나, 손상을 주지않도록 되어 있다.
또, 이충격 흡수판(45)의 배면측에는 중앙위치가 기체틀(40)의 배면(50)에 핀고정된 원호상으로 요곡하는 판스프링(51)(도 14에 도시)의 자유단이 당접되어, 이 스프링(51)의 휨에 의하여 충격을 흡수한다. 충격흡수판(45)의 후퇴스트로크를 보다 크게하기 위하여, 기체틀(40)의 배판(50)에는 충격흡수판(45)의 하측의 절곡부(45a)가 진입할 수 있는 슬릿(5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체틀(40)의 측벽부(41,41)의 상단에는 상품이 측벽부(41,41)사이에 낙입할 경우에 그 상품의 단부가 측벽부(41,41)의 상단 가장자리에 부딪쳐서 경사자세로 되는 일이 없도록 하기 위하여 도 9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얇은 스프링판으로 이루어지는 안내판(53,53)이 그 각부(53a,53a)를 측벽부(41,41)에 스폿용접등에 의하여 장치되어있고, 좌우의 안내판(53,53)에서 역 ハ의자상의 유도로를 구성하고 있다.
상기 제 1가동판(43)은 상기 충격흡수판(45)과 같은 가로폭을 갖는 것으로, 그 양단상방위치에는 도 11에 한쪽만을 도시하도록 직각으로 젖혀서세운 축받이부(54,54)을 갖고, 이 축받이부(54,54)의 외면에 돌출설치된 축(55,55)이 기체틀(40)의 측벽부(41,41)에 형성된 지지구멍(56,56)에 끼워맞춤되어 이 축(55,55)을 중심으로 요동이 자유로이 지지되어 있다.
상기 지지구멍(56)은 투출통로(3)로부터 이간함에 따라 하강하도록 계단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더우기, 지지구멍(56)을 스트레이트한 긴구멍상으로 형성하여도 좋다.
상기 제 1가동판(43)의 선단근처의 양단부에는 위치결정편(57,57)이 돌출설치되어 있고, 이 위치결정편(57,57)은 기체틀(40)의 측벽부(41,41)에 형성된 계단상의 위치결정 걸어맞춤부(58,58)의 단부의 하나에 걸어맞춤하도록 되어 있다. 이 위치결정걸어 맞춤부(58,58)의 단부(581,582,583)는 균등의 높이로 되고, 이에 위치결정편(57,57)이 걸어맞춤할때 제 1가동판(43)이「a」,「b」,「c」의 위치를 취하고, 이 단부(581∼583)에 의한 경사방향에 맞추어서 상기 지지구멍(56)의 경사각도가 정해져 있고, 제 1가동판(43)의 최대이동시(최대직경의 상품대응시)에는 기체틀(40)의 배판(50)에 밀접하는 위치로 되어「d」의 위치를 취한다. 이때는 제 1가동판(43)의 상하의 절곡부(43a,43a)가 기체틀(40)의 배판(50)의 슬릿(59,59)에 끼워넣도록 되어 있다.
이 제 1가동판(43)의 배면측에는 중앙위치가 기체틀(40)의 배판(50)에 핀고정된 원호상으로 요곡하는 판스프링(60)(도 14에 도시)의 자유단이 당접되고, 이 판스프링(60)의 가압에 맞서서 제 1가동판(43)이 도 3와 같이「d」위치에 이르기까지 이동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상기 축받이부(54,54)의 부근부분의 상부측은 제 1가동판(43)의 상단에서 약간 상방으로 돌출하여 있어 돌출부(61)로 되어 있고, 이 돌출부(61)는 제 1가동판(43)의 상단에 상품이 부딪칠때에는 도 3에 있어서 시계방향으로 과잉하게 회전하려고할때 배판(50)에 부딪쳐 그 회전을 제한하고, 신속히 수직자세로서 통로폭의결정동작에 들어가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 돌출부(61)에 의하는 외에, 상기축(47)과 나열하여 또 다른 1개의 축을 설치하고 이축이 지지구멍(56)의 아래가장자리에 부딪치도록 하여도 좋다. 상기 제 1가동판(43)의 하방에 설치되는 제 2가동판(44)은 상기 제 1가동판(43)의 상하방향폭의 약 2배정도의 상하방향폭을 갖는 이외는 제 1가동판(43)과 꼭같은 구성이고, 상하방향폭을 넓게한 것은 상품의 투출통로(3)의 상하방향의 길이를 확보하여 보다 확실한 투출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 2가동판(44)도 도 12에 한쪽만 도시하는 바와같이 그 양단상방위치에 직각으로 젖혀서세운 축받이부(62,62)가 경사상방을 향하여 설치되고, 이 축받이부(62,62)의 외면에 돌출설치된 축(63,63)이 기체틀(40)의 측벽부(41,41)에 형성된 상기의 지지구멍(56,56)과 같은 구조의 지지구멍(64,64)에 끼워맞춤되어 요동자유로이 지지되어 있다.
제 2가동판(44)에서는 상기 축받이부(62,62)에 가까운 위치의 양단부와 선단에 가까운 위치의 양단부에 위치결정편(65,66)이 돌출설치되어 있고, 이 위치결정편(65,66)는 기체틀(40)의 측벽부(41,41)에 형성된 상기의 위치결정 걸어맞춤부(58,58)와 같은 구조의 위치결정 걸어맞춤부(67,67)의 단부(671,672,673)의 어느 하나에 걸어맞춤되도록 되어 있다. 이 제 2가동판(44)도 최대이동시에는 기체틀(40)의 배판(50)에 밀접하는 위치를 취하기 때문에 기체틀(40)의 배판(50)에 제 2가동판(44)의 상단의 절곡부(44a)가 상기 슬릿(59)에 끼워들어가도록 되어 있고, 한편, 하단의 절곡부(44a)는 배판(50)의 하단밖에 위치된다. 이로서 제 2가동판(44)도 제 1가동판(43)과 같이「a」,「b」,「c」,「d」의 각 위치를 취할 수가 있다.
이 제 2가동판에 있어서도 중앙위치가 기체틀(40)의 배판(50)에 핀고정된 원호상으로 요곡하는 판스프링(68)(도14에 도시)의 자유단이 당접되어 이 판 스프링(68)의 가압에 맞서서「a」∼「d」의 범위에서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 위치「a」∼「d」는 현재유통하고 있는 음료깡통의 외경 47ø(A1), 53ø(A2), 60ø(A3), 66ø(A4)와 대응시키고 있다.
따라서, 상기 가동벽(15)의 구성을 채용하면, 제 1, 제 2가동판(43,44), 충격흡수판(45)이 가장 후퇴한 상태시에는 이들의 판두께와, 기체틀(40)의 배판(50)의 판두께와, 판스프링(51,60,68)의 판두께와의 합계두께에 그치고, 실질상 기존의 자동판매기의 투출통로(3)내에 있어서 여백스페이스내에 받아 들어질 수 있는 두께(수mm정도)이내로 할 수가 있다.
더우기, 상기 실시의 형태에서는 제 1, 제 2가동판(43,44)을 사용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실질상은 제 2가동판(44)안에 의한 가동벽으로도 좋고, 또 상품의 낙하시의 충격을 흡수하여 확실히 통로폭을 얻기 위하여 상기 제 2가동판(44)의 상방에 충격흡수수단(42)을 설치하고, 충격흡수수단(42)과 제 2가동판(44)와의 조합으로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 충격흡수수단(42)만에 의하여 충격을 흡수할 수 없는 상품의 경우에는 제 1가동판(43)을 설치하는 것이 좋다.
상기 가동벽(15)의 자동판매기내에의 장치수단으로서는 상기 기체틀(40)의 좌우의 측벽부(41,41)의 외면에서 상하방향대략 중앙위치의 고정벽(6)측의 단부에 도 14에서 볼 수 있는 바와같이 지지아암(69,69)의 기부를 핀(70)으로 피봇하고 이 지지아암(69)의 선단에는 오목부(69a)가 있고, 이 오목부(69a)를 상기 고정벽(6)의 하부를 지지하고 있는 샤프트(20)에 상방에서 떨어뜨리도록 끼워맞춤시킴으로서 장치되게 되어 있다. 즉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고정벽(6)과 자동판매기의 투출통로(3)부분에 있는 통로벽(71) 사이에 하방에서 화살표 Y와 같이 삽입하고, 상기 지지아암(69,69)의 하단의 오목부(69a,69a)를 샤프트(20)에 떨어뜨리면 도 15와 같이 그 위치에서 기체틀(40)은 지지되고, 상품투출시에 기체틀(40)에 가해지는 하방에의 압압력에 대하여는 기체틀(40)의 배판(50)이 통로벽(71)에 눌러붙여짐으로서 흡수하고, 따라서 하방에의 압압력이 가해지면 가해질수록 공고히 고정되는 상태로 된다.
더우기, 상기 기체틀(40)은,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판금을 단면 コ자상으로 형성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측벽부(41,41)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축군을 코킹등에 의하여 측벽부(41,41)에 고정하면, 배판(50)은 반드시 필요로 하지 않는다. 또, 측판은 자동판매기에 구비되는 측판을 직접사용하도록 하여도 좋다.
다음에 상기 실시형태의 작용을 설명한다.
투출통로(3)내에 놓여지는 상기의 가동벽(15)의 충격흡수수단(42)의 충격흡수단(45)은 판스프링(51)의 가압을 받아 전진한 위치에 놓여지고, 제 1, 제 2가동판(43,44)도 판스프링(60,68)의 작용에 의하여 전진한 위치, 즉 축(55,63)이 지지구멍(56,64)의 도 3에 있어서 좌단에 위치하고, 동시에 제 1, 제 2가동판(43,44)의 하단을 투출통로(3)내로 진출하도록 경사자세로 놓여져 있어 각 위치결정편(57,65,66)은 위치결정 걸어맞춤부(58,67,67)의 어느단부에도 걸어맞춤하지 않는 상태로 놓여져 있다.
자동판매기의 래크(14)내에 상품 A이 장전되면, 그 상품 A은 충격흡수수단(42)의 충격흡수판(45)의 상단위로 떨어지고, 상품 A의 외주면에 의하여 충격흡수판(45)을 밀어내고 하방으로 떨어진다. 이 충격흡수판(45)에의 충접에 의하여 상품 A의 낙하가속도가 충격흡수판(45)이 스프링(51)에 맞서서 이동함으로서 흡수되어 안정화하여 하방으로 이행한다.
상품 A가 제 1가동판(43)의 영역에 이르면, 그 상품 A의 외경에 따라 제 1가동판(43)을 도 3, 도 7에 있어서 우방으로 밀어낸다. 이때 최소직경의 상품 A1이면, 제 1가동판(43)의 축(55)은 지지구멍(56)의 최상단 위치에서 약간우방으로 이동한 후, 이 축(55)을 중심으로 수직자세로 변환하고, 그때 위치결정편(57)이 위치결정 걸어맞춤부(58)의 최선의 단부(581)에 당접하여 그 이상의 이동이 저지되고,「a」위치에서 고정된다. 따라서 동일경의 상품 A1이 후속하면 제 1가동판(43)을 상기「a」위치를 유지한채로 투출통로(3)의 통로벽의 일방을 계속구성한다. 상품 A의 외경이 A2의 상품이면「b」위치에 같은 A3에서는「c」위치에 A4에서는「d」위치로 된다.
최초로 투입된 상품(A)이 제 2가동판(44)의 영역에 이르면, 상기 제 1가동판(43)의 경우와 완전히 꼭같이하여 그 상품(A)이 A1이면 그 외경에 대응한 위치의 위치결정 걸어맞춤부(67,67)의 단부(671,671)에 제 2가동판(44)의 위치결정편(65,66)이 걸어맞춤하고 상기 제 1가동판(43)과 같게「a」위치에 고정되어 동일면을 이루고, 통로벽을 구성한다. 이리하여 제 2가동판(44)의 위치가 상품 A에 의하여 정해지면 동시에 그 상품 A은 고정벽(6)의 상품투출판(23)에서 막아내어져서,투출지령을 기다린다.
상품 A의 투출동작 자체는 종래와 꼭같이 행해진다. 즉, 자동판매기(1)의 전면문짝(13)의 배출버튼이 눌리면, 고정벽(6)의 솔레노이드(29)에 통전되어, 플랜저(29a)가 귀환스프링(30)에 맞서서 끌리고, 이에 연결되어 있는 연접봉(28)을 통하여 요동틀(27)이 수평자세로 되는 방향으로 요동하고, 이에 동반하여 밀어올림 부재(31)가 상승하여 이동샤프트(32)가 상승한다. 이로서 상품투출판(23)의 걸림이 풀리므로 상품투출판(23)은 상품 A의 중량에 의하여 축(26)을 중심으로 요동하고, 고정벽(6)의 표면내로 퇴몰한 위치로되어 1개의 상품 A이 하강하여 투출된다.
이것과 동시에 상기 이동샤프트(32)의 상승에 의하여 그의 이동샤프트(32)가 스토퍼(24)의 캠구멍(38)을 통하여 스토퍼(24)가 고정벽(6)의 표면에서 돌출한 위치에 구속되고, 이로서 2개째의 상품이 스토퍼(24)에 걸어맞춤하여 멈쳐놓여진다.
상품투출후, 솔레노이드(29)가 소자하고 그 플랜저(29a)가 귀환스프링(30)에 의하여 되돌려지고 이로서 요동틀(27)이 수직자세로 되는 방향으로 요동하고, 밀어올림부재(31)가 하강함으로서 이동샤프트(32)가 하강하고, 이 이동샤프트(32)의 하강도상에서 상품투출판(23)의 캠(36)을 밀고, 아울러 이 요동판(23)의 기부를 구속하여 상품투출판(23)이 고정벽(6)의 표면에서 돌출한 상태로 로크된다.
상기 이동샤프트(32)의 하강에 의하여 구속이 풀린 스토퍼(24)의 위치로부터 차위의 상품(A)이 하강하고, 그 상품 A이 상품투출판(23)에 의하여 막아져서 유지되어 차회의 투출에 대기한다.
상기에 있어서 래크(14)내에 상이한 직경의 상품의 잘못하여 혼입하였을때에는, 그 상품 A이 그 상품 A 보다 대직경이면 충격흡수판(45)를 다시 밀어내어, 뒤이어 제1가동판(43)의 상단에 부딪쳐서 제 1가동판(43)을 도 3에 있어서 시계방향을 피전운동시켜, 이로서 위치결정편(57)이 위치결정 걸어맞춤부(58)의 단부(581)로부터 빠져서 도 3에서 우방으로 이행하고, 그 상이한 직경 상품의 외경에 적합하는 위치의 단부에 걸어맞춤하여 멈춘다. 제 2가동판(44)에 대하여도 완전히 꼭같이하여 상이한 직경 상품을 받아들이게 되고, 투출지령시에 투출된다. 소지자는 구입하려고 한 상품과 달라졌지만, 그의 자동판매기의 설치점에 신고하여 희망상품과 교환하여 받으므로서 해결할 수가 있고, 자동판매기의 막힘에 의하여 아무것도 투출되지 않는 종래기의 경우와 같이 보수요원을 초치하여서의 막힘해소조작과 비교하면 훨씬 이득이 있다.
상기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 가동벽(15)에서는 충격흡수수단(42), 제 1가동판(43), 제 2가동판(44)의 순으로 배치한 구성으로 한것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충격흡수수단(42)은 생략하고, 제 1가동판(43)을 2련으로하여 구성하더라도 좋고, 또는 제 1가동판(43)을 3련으로서 사용하도록 하여도 좋다. 더욱더,제 1, 제 2가동판(43,44)을 상하로 갈아넣은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어느것에 있어서도 그 투출통로(3)에 상품(A)이 충전되어 있는 한 그 상품(A)의 외경에 알맞는 통로폭을 구성하여 있고, 투출통로(3)에 상품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는 각 가동판은 최전진위치에 놓여져 다음의 상품의 충전에 의하여만 통로벽을 구성하는 것으로 되는것에 대하여도 변함이 없다.
더우기, 정규의 상품 보다 대직경의 상품이 혼입하고 있었던 경우, 종래기와 꼭같이 투출을 증지시키도록 할 수도 있다. 그 경우에는 가동벽(15)의 장치위치를 상방으로 이동시킨 위치로하고, 제 2가동판(44)의 상단부와 고정벽(6)의 상품품절 검지편(21)와의 위치관계를 조정함으로서 대응할 수가 있다.
도 16a∼도 16c는 도 3에 도시한 충격흡수수단(42)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것으로 충격흡수판(45)의 양단에 고정벽(6)측을 향하여 측판(72)이 설치되어, 이 측판(72)의 외면에 전후방향으로 이간한 2개의 축부(73,74)가 돌출설치되어 있다.
상기 축부(73,74)가 슬라이드 자유로이 끼워맞춤하는 가이드구멍(75)은 상기 고정벽(6)측의 단부에 한쪽의 축부(73)가 끼워넣을 수 있는 함입부(76)가 형성되어있다. 더구나 상기 함입부(76)와 가이드구멍(75)의 연결부분은 축부(73)을 탈출시키기 위하여 알(R)을 붙이고 있다.
도 16a는 상기 함입부(76)를 가이드구멍(75)의 단부로 부터 상방으로 형성한 것이고, 상시는 스프링(51)의 가입에 의하여 축부(73)가 함입부(76)에 들어 있고, 상품 A이 충격흡수판(45)에 충접하였을때 타방의 축부(74)가 지점으로되어 충격흡수판(45)이 도면에 있어서 정시계 방향으로 회전운동하는 힘을 받아, 뒤이어 축부(73)가 함입부(76)로부터 차차로 빠져, 서서히 충격흡수판(45)이 가이드구멍(75)에 따라 후퇴하는 작용에 의하여 충격을 흡수하도록 되어 있다. 이로서 상품의 낙하시에 있어서 가속도를 단계적으로 흡수하므로 충격흡수효과를 높일 수 있다.
도 16b는 상기 함입부(76)를 상하로(76,76a)로서 설치하고, 축부(73)를 상하의 함입부(76,76a)에 출입시켜서 충격흡수판(45)의 이동을 늦추고, 그런후 후방으로 슬라이드 시키도록 한 것이고, 더욱더 충격흡수효과를 올리고 있다. 그리고 도 16c는 함입부(76)을 하측의 76a만으로 한 것으로 이것에 의해서도 충접시에 일단 축부(73)가 하강하여 함입부(76a)로 들어간 후, 밀어내어지므로 꼭같은 충격흡수를 도모할 수 있다.
더욱더 도 16d는 충격흡수수단(42)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하는 것으로 폴리프로필렌, 탄성중합체, 생고무등 탄성에 풍부하고 복원력이 있는 재료에 의하여 충격흡수판(45)의 길이에 대략 같은 가늘고 긴 봉지체(80)를 사용하고, 이 봉지체(80)에 공기출입용의 작은구멍(81)을 뚫어설치하여 상기 충격흡수판(45)과 판스프링(51)사이에 개재시켜 양자에 접착등에 의하여 고정하여 설치하도록 하면, 이 봉지체(80)가 쇼크업소버로서 상품 A의 충접시에 내부의 공기가 작은구멍(81)에서 배출되면서 차례로 편평화 함으로서 충격을 흡수하고 상품통과후 작은구멍(81)으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팽창하는 것을 반복하여 상품 A의 낙하시에 있어서 가속시에 있어서 가속도를 완전히 흡수하면서 판스프링(51)의 휨할때에 두께를 필요로 하지 않는 충격흡수수단으로 할 수가 있다.
상기 함입부(76,76)는 상기 가이드구멍(75)의 시단위치 뿐만아니라, 도 8의 각 위치「a」∼「d」에 대응하는 위치에도 설치하도록 하고, 각 위치에 이르기 까지의 사이에 저항을 부여하도록 하여도 좋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 2의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것을 기체틀(82)의 측벽부(83,83)의 상부간에 경사판(84)의 상단이 축(85)에 의하여 피봇되고, 이 경사판(84)의 하단에는 가동판(86)의 상단이 축(87)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고, 이 경사판(84) 및 가동판(86)의 배후는 기체틀(82)의 배판(88)에 고정의 스프링(89,90)에 의하여 전진(고정벽 6방향에의 이동)하는 습성이 주어져 있다.
상기 가동판(86)의 상단의 축(87)의 단부는 기체틀(82)의 측벽부(83,83)에 후방을 향하여 수평상태로 형성된 지지구멍(91,91)에 끼워맞춤되어, 가동판(86)의 상하부의 양측에는 위치결정편(92,93)이 돌출설치되어 있어, 상기 실시형태와 꼭같이 기체틀(82)의 측벽부(83,83)에 형성된 위치결정 걸어맞춤부(94,94)의 단부(941∼943)에 걸어맞춤이 자유로이 되어 있다.
한편, 충격흡수수단(42)으로서는 기체틀(82)의 측벽부(83,83)사이에서 상기 경사판(84)을 피봇지지하는 축(85)의 하방위치에 축(95)에 의하여 경사상방을 향하여 피봇지지된 지지판(96)과 이 지지판(96)의 선단에 축(97)(또는 걸림)에 의하여 연결된 충격흡수판(98)으로 구성되고, 이 충격흡수판(98)은 상기 가동판(86)의 상단을 넘어 그 축(87)보다 약간 하방위치까지 연장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충격흡수판(98)의 상단은 취급하는 상품의 가장 대직경의 상품의 중심위치보다 약간 기체틀(82)의 배판(88)측에 접근한 위치에 놓여 있다. 99는 지지판(96)의 가압스프링이다.
따라서,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래크(14)에 장전된 상품 A이 투출통로(3)에 진입할때 맨 먼저 충격흡수판(98)의 상단에 부딪쳐 이것을 밀어내도록하여 하강하고, 그 사이에 충격흡수판(98)을 상품직경에 따라 압압하고, 이로서 가동판(86)의 상단의 축(87)이 눌러져 스프링(89,90)에 맞서서 후퇴하고, 가동판(86)의 위치결정편(92,93)이 위치결정 걸어맞춤부(94,94)의해당하는 단부(941∼943)또는 배판(88)에 걸어맞춤하여 통로벽을 구성한다.
더구나 투출통로(3)에 상품이존재하지 않을때에는 상기 실시형태와 꼭같은 가동판(86)은 스프링(89,90)의 가압에 의하여 도 17에 실선으로 도시하는 바와같이 경사자세로 놓여져, 위치결정편(92,93)는 위치결정 걸어맞춤부(94,94)의 단부로부터 빠져서 그 상단의 축(87)이 지지구멍(91)의 전단위치로 복귀하여 초기상태로 귀환한다.
다음에 상술한 상품투출장치의제어계의 일예를 도 18에 도시하는 플로차아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8에 있어서 ①의 계는 정상판매시, ②의 계는 상품의 보충 또는 사이즈 변경시를 도시하고 있다.
①의 계에 있어서 판매 대기시(스텝 S1)로부터 상품변경의 요부가 판단되고(스텝 S2), 변경의 필요가 없을때에는 재고의 유무가 판단된다(스텝 S3). 상품의 변경을 요할때에는 ②의 계로 이행한다. 또 재고가 없는 경우에는 품절램프 표시가 되어진다(스텝 S4). 재고가 있을때에는 지정액의 코인이 투입되고(스텝 S5), 그 투입액이 지정액과 일치하여 있는가 여부가 판단된다(스텝 S6). 지정액과 일치하여 있으면 상품선택 버튼을 누름(스텝 S7)으로서 솔레노이드(29)에 통전되어(스텝 S8), 1개의 상품이 투출되고(스텝 S9), 판매종료로 된다. 투출이 없는 경우에는 스텝 S2으로 되돌아 간다.
②의 계에 있어서는 우선 전면문짝(13)을 열어(스텝 S10), 래크(14)를 인출하고(스텝 S11), 상품변경이 필요한가 여부(스텝 S12)에 의하여 이를 필요할때에는 래크(14)내에 재고가 있는가 여부(스텝 S13)가 보여지고, 재고 있을 경우는 재고를 빈것으로 한다(스텝 S14). 재고가 없는 경우는 상품표시변경(스텝 S15)이 되어진다.
뒤이어 래크(14)내에 상품을 보충하고(스텝 S16), 다른 래크에도 상품을 보충하는가 여부가 보이고(스텝 S17), 보충을 요할때에는 스텝 S11으로 되돌아 간다. 타상품의 보충을 요하지 않을 때에는 래크(14)을 수납하고(스텝 S18), 전면문짝 13을 닫음(스텝 S19)으로서 보충, 변경이 종료하고, ①의 계로 되돌아간다.
더우기 상기 ②의 계에 있어서, 래크(14)의 인출(스텝 S11) 및 래크(14)의 수납(스텝 S18)은 반드시 행할 필요는 없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병, 깡통등의 원통상을 갖는 상품을 1개씩 투출하기 위한 투출통로를 고정벽과 가동벽으로 구성하고, 이들 벽사이를 지나는 상품의 통과에 의하여 그때마다 통로폭이 자동결정되므로, 종래와 같이 상품직경의 변경에 동반하는 통로폭의 설정에 일일이 일손에 의하여 조정하는 작업이 일체불필요로되고, 자동판매기의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가 있다.
또 투출통로를 통과하는 상품의 외경마다 가동벽이 그 외경에 적합하는 위치에 변위하여 통로벽을 구성하므로, 가령 상이한 직경의 상품이 혼입하고 있었던 경우에도 막힘이 생기는 일없이 투출되고, 트레블해소를 위하여 보안요원을 파견하여서의 수지가 불요로되고, 그 결과, 파견요원의 확보나 매점등으로부터의 고충처리,수리대기의 로스타입, 상품구입자에 부여하는 불쾌감, 기업이 이미지다운, 자동판매기 본체의 파손행위등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가 있어, 얻어지는 경제적 효과는 극히 크다.
더욱더 상기 각 실시의 형태에 의하면, 전기적 수단이 일체 불요이기 때문에 기존의 자동판매기에의 적용이 가능하게 되므로, 신기종 뿐만아니라 구기종에 대하여도 용이하게 장치할 수가 있어, 더하여 가동벽에는 신뢰성이 높은 것으로 할 수가 있다.

Claims (12)

  1. 기체를 갖고, 병, 깡통 등의 원통상 내지 이에 비슷한 형상을 갖는 상품을 적층상으로 수납하고 투출지령에 의거하여 상품을 투출하는 자동판매기에 설치된 상품투출장치에 있어서,
    상품의 투출통로의 일면을 구성하고 상품을 1개씩 투출하는 투출기구를 갖는 고정벽과,
    이 고정벽에 대하여 상대향하여 설치되는 가동벽와를 구비하고,
    이 가동벽은 자동판매기의 기체측에 장치됨과 동시에 한쌍의 측벽부를 갖는 기체틀과, 이 기체틀의 각측 벽부에 형성된 지지구멍을 이동축에 의하여 피봇지지된 가동판과, 상기 기체틀의 측벽부에 형성된 계단상의 위치결정 걸어맞춤부에 투출통로를 통과하는 상품직경에 따라 선택적으로 걸어맞춤함과 동시에 상기 가동판의 적어도 일단에 돌출설치된 위치결정편과, 상기 가동판을 그 하단이 투출통로측으로 돌출한 상태로 가압하는 가압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기의 상품투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기체틀의 각측벽부에 형성된 지지구멍은 측벽부의 전후방향으로 연장하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기의 상품투출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기체틀의 각 측벽부에 형성된 지지구멍은 고정벽에서 이간함에 따라 하강하도록 경사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기의 상품투출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가동벽은 기체틀의 상방에 위치하고 상품의 낙하가속도를 흡수하여 상품을 고정벽측으로 유도하는 충격흡수수단을 더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기의 상품투출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벽은 상기 가동판을 상하로 2개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기의 상품투출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가동판 중 적어도 하위의 가동판은 상하방향의폭이 상위의 가동판 보다 길게형성되고, 상기 위치결정편은 하위가동판의 상하부에 각각 설치됨과 동시에 하위가동판의 위치결정편이 걸어맞춤하는 계단상의 위치결정 걸어맞춤부가 기체틀의 측벽부에 상하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기의 상품투출장치.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흡수수단은 상품의 주면이 당접함으로서 후퇴하는 충격흡수부재를 갖고, 이 충격흡수부재는 그 양단축부가 기체틀의 측벽부에 그 전후 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구멍에 슬라이드 자유로이 지지되어 있음과 동시에 투출통로측 방향으로 스프링 가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기의 상품투출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흡수수단의 충격흡수부재는 그 양단에 축부를 갖고, 이 축부가 슬라이드 자유로이 끼워맞춤하는 가이드구멍의 상기 고정벽측의 단부에 축부가 끼워넣을 수 있는 함입부를 상부, 하부 또는 쌍방에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기의 상품투출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흡수부재와 이를 가압하는 스프링 사이에 상품의 낙하가속도를 흡수하여 상품자중에만 감쇠시키는 공기들의 충격흡수 봉지체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기의 상품투출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판의 지지구멍은 상기 계단상의 위치결정 걸어맞춤부의 단부와 대응하는 단부를 갖는 계단상의 경사구멍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기의 상품투출장치.
  11.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흡수수단은 기체틀의 측벽부의 상부간에 피봇지지되어 고정벽 방향으로 경사상방을 향하는 지지판과, 이 지지판의 선단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된 충격흡수판으로 구성되고, 상기 가동판은 그 상단이 기체틀의 측벽부의상부간에 피봇지지된 경사판의 하단에 회전가능하게 고정연결되어 있고, 이 연결측의 양단이 측벽부에 설치된 지지구멍에 이동자유로이 지지되어 있음과 동시에 상기 충격흡수판의 이면은 상기 연결측 부분의 외면에 따라 놓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기의 상품투출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판의 상하부에 위치결정편이 한쌍씩 설치됨과 동시에 이 위치결정편이 걸어맞춤하는 계단상의 위치결정 걸어맞춤부가 기체틀의측벽부에 상하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기의 상품투출장치.
KR1019980702935A 1996-08-23 1997-08-21 자동판매기의 상품투출장치 KR1002847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6-222382 1996-08-23
JP8222382A JP2948152B2 (ja) 1996-08-23 1996-08-23 自動販売機の商品投出装置
PCT/JP1997/002906 WO1998008200A1 (fr) 1996-08-23 1997-08-21 Ejecteur d'articles pour distributeur automatiqu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4293A true KR20000064293A (ko) 2000-11-06
KR100284751B1 KR100284751B1 (ko) 2001-03-15

Family

ID=167814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2935A KR100284751B1 (ko) 1996-08-23 1997-08-21 자동판매기의 상품투출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012604A (ko)
EP (1) EP0875869A4 (ko)
JP (1) JP2948152B2 (ko)
KR (1) KR100284751B1 (ko)
AU (1) AU728362B2 (ko)
TW (1) TW338144B (ko)
WO (1) WO199800820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42775A (ja) * 1997-12-25 1999-09-07 Sanden Corp 自動販売機の商品収納コラムのスペーサ
JP2000105866A (ja) * 1998-09-29 2000-04-11 Sanden Corp 自動販売機の商品収納幅調整装置
US8113601B2 (en) 2004-02-03 2012-02-14 Rtc Industries, Inc. Product securement and management system
US9706857B2 (en) 2004-02-03 2017-07-18 Rtc Industries, Inc. Product securement and management system
US11375826B2 (en) 2004-02-03 2022-07-05 Rtc Industries, Inc. Product securement and management system
US8047385B2 (en) 2004-02-03 2011-11-01 Rtc Industries, Inc. Product securement and management system
US8235222B2 (en) 2004-02-03 2012-08-07 Rtc Industries, Inc. Product securement and management system
US9375100B2 (en) 2004-02-03 2016-06-28 Rtc Industries, Inc. Product securement and management system
US7404501B2 (en) * 2004-05-14 2008-07-29 Dixie-Narco, Inc. Product positioning mechanism for a vending machine
US7828158B2 (en) * 2005-07-14 2010-11-09 Displays Plus, Inc. Merchandise dispensing apparatus providing theft deterrence
US7784644B2 (en) * 2005-10-14 2010-08-31 Dixie-Narco, Inc. Tandem gate release mechanism for a vending machine
US9149405B2 (en) * 2009-03-03 2015-10-06 Aesynt Incorporated Medication storage and dispensing unit having a vial dispenser
JP2012118902A (ja) * 2010-12-03 2012-06-21 Fuji Electric Retail Systems Co Ltd 自動販売機
JP6221756B2 (ja) * 2014-01-10 2017-11-01 富士電機株式会社 商品払出装置
JP6244963B2 (ja) * 2014-02-17 2017-12-13 富士電機株式会社 自動販売機の商品搬出装置
WO2016084598A1 (ja) * 2014-11-28 2016-06-02 富士電機株式会社 商品払出装置
JP2019021030A (ja) * 2017-07-18 2019-02-07 富士電機株式会社 商品払出装置
IT202000023599A1 (it) * 2020-10-07 2022-04-07 Df Italia S R L Unipersonale Macchina automatica distributrice di prodotti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58245A (en) * 1962-11-19 1964-11-24 Aloysius N Budjinski Gravity conveyors
US3338470A (en) * 1965-03-25 1967-08-29 Westinghouse Electric Corp Bottle dispensing apparatus having ice breaker members
US3362582A (en) * 1965-04-28 1968-01-09 Westinghouse Electric Corp Vending machine with separately acting, series, article releasers
US3361505A (en) * 1966-05-24 1968-01-02 Westinghouse Electric Corp Vending machine
US3464529A (en) * 1968-03-04 1969-09-02 Theodore Horsky Jr Fruit handling device
JPS5996682A (ja) * 1982-11-25 1984-06-04 オリエント時計株式会社 小型電子機器用のリ−ド端子絶縁板
JPS5996682U (ja) * 1982-12-17 1984-06-30 三洋電機株式会社 自動販売機の商品規制装置
US4576272A (en) * 1984-06-21 1986-03-18 The Coca-Cola Company Counter-top or wall-mounted vending machine
JP2793260B2 (ja) * 1989-05-29 1998-09-03 ペガサスミシン製造株式会社 縫製不良検出装置
JPH0442392A (ja) * 1990-06-07 1992-02-12 Matsushita Refrig Co Ltd 自動販売機の商品通路幅調節装置
JP3256705B2 (ja) 1993-06-30 2002-02-12 東芝機器株式会社 自動販売機の商品搬出装置
JP3256706B2 (ja) 1993-12-03 2002-02-12 東芝機器株式会社 自動販売機の商品送り出し装置
JPH07220154A (ja) * 1994-02-01 1995-08-18 Matsushita Refrig Co Ltd 自動販売機の商品収納棚
JP3227981B2 (ja) * 1994-03-24 2001-11-12 富士電機株式会社 自動販売機に搭載した商品ラックの通路幅調節装置
JP3101191B2 (ja) * 1995-09-26 2000-10-23 松下電工株式会社 光電式煙感知器における煙センサ回路
JPH0991514A (ja) * 1995-09-28 1997-04-04 Fuji Electric Co Ltd 箱形商品自動販売機のプッシャ式商品搬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728362B2 (en) 2001-01-11
US6012604A (en) 2000-01-11
JP2948152B2 (ja) 1999-09-13
TW338144B (en) 1998-08-11
EP0875869A4 (en) 1999-05-26
JPH1063939A (ja) 1998-03-06
EP0875869A1 (en) 1998-11-04
AU5034898A (en) 1998-03-06
WO1998008200A1 (fr) 1998-02-26
KR100284751B1 (ko) 2001-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84751B1 (ko) 자동판매기의 상품투출장치
US7918365B2 (en) Bottle display and dispenser device and method
US7784644B2 (en) Tandem gate release mechanism for a vending machine
US8002144B2 (en) Drive system for a vending machine dispensing assembly
JP6447025B2 (ja) 自動販売機の商品搬出装置
CA1225373A (en) Article vendor
JP4661079B2 (ja) 自動販売機の商品搬出装置
CA2235539C (en) Article dispensing device for automatic vending machine
JP3706941B2 (ja) 自動販売機の商品投出装置
AU2001282715A1 (en) A dispensing apparatus
JPH11154272A (ja) 自動販売機の商品投出装置
JPH0991517A (ja) 自動販売機の商品投出装置
JP4099007B2 (ja) 自動販売機の商品ガイドストッパ
JP2009087125A (ja) 自動販売機の商品収納ラック
JP3947783B2 (ja) 自動販売機のサーペンタイン式商品収納ラック
JPS609904Y2 (ja) 自動販売機
JPH0991516A (ja) 自動販売機の商品投出装置
KR100400881B1 (ko) 캔 제품 자동판매기
JP3530115B2 (ja) 自動販売機の商品投出装置
JP2003317141A (ja) 自動販売機の商品投出装置
JP2798860B2 (ja) 自動販売機の商品収納ラック
KR20030030738A (ko) 자동판매기의 상품적재랙
JP2002063644A (ja) 自動販売機のサーペンタイン式商品収納ラック
JP2002373371A (ja) 自動販売機の商品搬出装置
KR20010002369A (ko) 자동 판매기의 상품 불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