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62991A - 일체형 유압 매니폴드를 갖춘 동력 취출기 하우징 - Google Patents

일체형 유압 매니폴드를 갖춘 동력 취출기 하우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62991A
KR20000062991A KR1020000014706A KR20000014706A KR20000062991A KR 20000062991 A KR20000062991 A KR 20000062991A KR 1020000014706 A KR1020000014706 A KR 1020000014706A KR 20000014706 A KR20000014706 A KR 20000014706A KR 20000062991 A KR20000062991 A KR 200000629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take
manifold
control system
hydraulic control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147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커크패트릭챠드에이.
쿠드립라이나
랑브라이언엘.
와너러쎌케이.
Original Assignee
수 에이 그리핀
데이나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수 에이 그리핀, 데이나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수 에이 그리핀
Publication of KR200000629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2991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 B60K17/28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power take-of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0003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ments of the control apparatus, e.g. valve assemblies or snapfittings of valves; Arrangements of the control unit on or in the transmission gearbox
    • F16H61/0009Hydraulic control units for transmission control, e.g. assembly of valve plates or valve uni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19Gearing
    • Y10T74/19219Interchangeably locked
    • Y10T74/19251Control mechanis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Hydraulic Clutches, Magnetic Clutches, Fluid Clutches, And Fluid Joints (AREA)
  • Arrangement And Driving Of Transmission Devices (AREA)
  • Fluid-Pressure Circuits (AREA)
  • General Details Of Gea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그 안에 형성된 복수 내부 통로를 가진 외부 매니폴드를 구비하는 동력 취출기(取出器) 및 유압식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발생원(source)으로부터의 압축 유체를 매니폴드에 설치된 입력 포트에 공급한다. 매니폴드에 장착한 솔레노이드 밸브를 제 1 및 제 2모드로 선택적으로 동작시키어서, 동력 취출기의 클러치 작동 포트로의 그를 통하여 흐르는 압축 유체의 흐름을 제어하는 것이다. 내부 윤활 유체가 제공되도록 매니폴드의 저압 포트로부터 저압 유체를 동력 취출기에 공급한다. 또한, 온도 스위치와 압력 스위치를 매니폴드에 바로 장착시킬 수도 있다. 브라켓 또는 다른 메카니즘을 제공하여 자동차용 프레임 조립체의 측부 레일과 같은 지지 면에 매니폴드를 장착한다. 다르게는, 복수 내부 통로를 동력 취출기용 하우징 내에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솔레노이드 밸브, 온도 스위치, 및 압력 스위치 모두를 동력 취출기의 하우징에 직접 장착할 수 있으며, 그리고 외부 장착 브라켓 또는 다른 메카니즘을 필요로 하지 않게 된다.

Description

일체형 유압 매니폴드를 갖춘 동력 취출기 하우징{POWER TAKE-OFF UNIT HOUSING HAVING INTEGRAL HYDRAULIC MANIFOLD}
본 발명은 엔진 구동 차량에 설치되는 구동 보조장치에 회전력을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동력 취출기(取出器)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그 안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유압 매니폴드가 설치된 동력 취출기용 하우징에 적합하게 개량된 구조에 관한 것이다.
동력 취출기는 구동 보조기를 회전식으로 구동시키기 위하여, 자동차 엔진 및 변속기와 같은 회전 에너지 발생원(source)과 관련하여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공지된 기구 디바이스 이다. 예를 들어, 동력 취출기는, 플라우(plows), 트래시 컴팩터(trash compactors), 승강 메카니즘, 윈치(winches), 등과 같은 유압식 구동 보조장치를 순차적으로 작동시키는 유압 펌프를 동작시키는 다양한 산업적 관절 차량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전형적인 동력 취출기는 차량의 변속기 케이스에 장착되는 경성 하우징을 구비한다. 변속기의 케이스와 동력 취출기의 하우징의 대응 면에는 그를 관통하여 형성된 대형 트인 구멍이 형성된다. 동력 취출기의 하우징은 입력 기어 및 입력 기어와 맞물리는 출력 기어를 회전식으로 지지하며 그리고, 출력 기어는 구동 보조장치에 접속되는 것이다. 입력 기어의 일 부분은, 자동차 엔진에 의해 일정하게 구동되는 변속기 기어의 하나와의 결합부 쪽으로, 변속기 케이스와 동력 취출기의 하우징에 트인 구멍을 통하여 외부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것이다. 그 결과, 동력 취출기의 입력 기어와 출력 기어가 변속기 기어 그리고 그에 따른 자동차의 엔진에 의해 일정하게 회전식으로 구동되는 것이다.
임의적 상황에서는, 출력 기어가 출력축에 바로 접속되어서, 출력축도 또한 일정하게 회전식으로 구동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다른 상황에서는, 클러치 조립체가 구동 보조장치의 단속적인 동작을 허용하도록 출력축에 출력 기어를 선택적으로 접속시키기 위할 목적으로 설치된다. 다르게는, 복수 다른 크기로 이루어진 출력 및 입력 기어가 입력 기어와 출력축과의 사이에 복수 감속도 기어비(speed reduction gear ratios)를 제공하도록 동력 취출기의 하우징 내에 지원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클러치 조립체가 다양한 기어비 사이에서의 승강 동작(shifting)을 조성하게 되는 것이다.
클러치 조립체를 갖춘 이러한 동력 취출기에서는, 흔하게 유압식 제어 시스템을 설치하여서 그 동작을 제어하게 된다. 일반적인 유압식 제어 시스템은 변속기로부터의 압력 유체를 활용하여 선택적으로 클러치 조립체와의 결합 및 결합해제를 이루는 것이다. 이러한 작업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동력 취출기의 클러치 작동포트와 변속기의 고압력 유체 포트와의 사이에 솔레노이드 밸브를 접속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구동 보조장치의 작동을 원할 시에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개방동작시키어서, 동력 취출기의 클러치 작동 포트와 변속기의 고압력 유체 포트와의 사이에 유체 교통을 이루는 것이다. 가해지는 고압 유체에 반응하여, 클러치 조립체가 결합되어서 구동 보조장치의 동작을 개시시키게 된다. 구동 보조장치의 작동을 원하지 않을 시에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폐쇄동작 시키어서, 동력 취출기의 클러치 작동 포트와 변속기의 고압 유체 포트와의 사이에 유체 교통을 차단시키는 것이다. 가해지는 고압 유체에 반응하여, 클러치 조립체가 결합해제되어서 구동 보조장치의 동작의 정지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종래, 변속기 및 동력 취출기 양쪽으로부터 분리 성분으로서 솔레노이드 밸브를 설치하였다. 따라서, 공지된 솔레노이드 밸브는 자동차의 타 부분에 즉, 일반적으로 차량용 프레임 조립체의 측부 레일에 장착되어졌다. 그런데, 자동차 프레임 조립체에 장착작업에는, 일반적으로, 시간 소비 뿐만 아니라 불필요한 측부 레일의 약화도 초래하는 측부 레일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드릴 가공 또는 다른 가공방식으로 이루어진 1개 이상의 장착 구멍을 필요로 하는 것이다. 더우기, 복수 가요성 호스가 일반적으로 변속기, 솔레노이드 밸브, 및 동력 취출기 사이를 접속하는데 필요하게 된다. 상기 호스의 사용은 설치 공정을 더욱 곤란하게 하며 설치에 소요되는 바람직하지 않은 점유 공간량의 증가를 초래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술된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 동력 취출기에 적합하게 개량된 구조체를 제공할 필요성이 있게되었다.
본 발명은 설치 및 조작이 간단하면서 저렴한 비용이 소요되는 동력 취출기 및 유압식 제어 시스템용의 개량된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서는, 발생원(source)으로부터의 압축 유체가 그 안에 형성된 복수 내부 통로를 가진 외부 매니폴드에 설치된 입력 포트에 공급되는 것이다. 솔레노이드 밸브는 매니폴드에 장착되고 그리고 제 1 및 제 2모드로서 선택적으로 동작하여서, 동력 취출기의 클러치 작동 포트로의 그를 통하여 흐르는 압축 유체의 흐름을 제어하는 것이다. 내부 윤활 유체의 제공을 위해서 매니폴드의 저압 포트로부터 저압 유체를 동력 취출기에 공급한다. 또한, 온도 스위치와 압력 스위치를 매니폴드에 바로 장착시킬 수도 있다. 브라켓 또는 다른 메카니즘을 제공하여 자동차용 프레임 조립체의 측부 레일과 같은 지지 면에 매니폴드를 장착시킬 수도 있다. 제 2실시예에서는, 복수 내부 통로를 동력 취출기용 하우징 내에 형성시킬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솔레노이드 밸브, 온도 스위치, 및 압력 스위치 모두가 동력 취출기의 하우징에 직접 장착되고, 그리고 외부 장착 브라켓 또는 다른 메카니즘을 필요로 하지 않게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의 여러 목적 및 이점을 첨부 도면을 참고로 하여 양호한 실시예를 통해 당 분야의 기술인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이하에 기술하며, 본 발명은 첨부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유압식 제어 시스템의 제 1구조를 구비하는 복합 변속기 및 동력 취출기(取出器) 조립체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다이어그램.
도 2는 종래 기술의 유압식 제어 시스템의 제 2구조를 구비하는 복합 변속기 및 동력 취출기 조립체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다이어그램.
도 3은 본 발명에 따르는 유압식 제어 시스템의 제 1실시예를 구비하는 복합 변속기 및 동력 취출기 조립체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다이어그램.
도 4는 도 3에 설명된 매니폴드와 관련 성분을 부분적으로 단면하여 확대시키어 나타낸 입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르는 유압식 제어 시스템의 제 2실시예를 구비하는 복합 변속기 및 동력 취출기 조립체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다이어그램.
도 6은 도 5에 설명된 동력 취출기와 유압식 제어 시스템의 사시도.
도 7은 펌프 장착 플랜지가 명료한 도시를 목적으로 제거되어진 도 6에 설명된 동력 취출기 및 유압식 제어 시스템을 부분적으로 단면으로하여 나타낸 입면도.
도 8은 도 7의 8-8선을 따라 절취된 동력 취출기 및 유압식 제어 시스템을 단면으로 하여 나타낸 입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20, 30, 40: 변속기 11, 21, 31, 41: 동력 취출기
12, 22, 32, 42: 유압식 제어 시스템 13, 24, 34, 60: 솔레노이드 밸브
14, 25: 지지 면 15, 27, 36, 65: 압력 스위치
23, 33: 매니폴드 26, 35, 66: 온도 스위치
50: 하우징 52: 구멍
53: 장착 플랜지 55: 도관
56: 피팅(fitting) 70: 클러치 조립체
71: 출력 기어 72: 출력축(shaft)
73: 클러치 팩(pack) 조립체 74: 실(chamber)
도면에서, 도 1은 당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유압식 제어 시스템(12)의 제 1구조를 포함하는 복합 변속기(10) 및 동력 취출기(11)의 조립체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다이어그램이다. 변속기(10)와 동력 취출기(11)는 모두 유압 펌프와 같이 구동 보조장치(도시 않음)를 선택적으로 동작시키기 위해 자동차에 장착된 공지된 기계적 구조이다. 변속기 및 동력 취출기는 널리 공지된 구조인 것이기 때문에, 본 발명의 이해가 일층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위해서 변속기(10) 및 동력 취출기(11)의 작동에 대해서만 간단하게 기술한다. 변속기(10)의 케이스(도시 않음)에 장착된 경성 하우징(도시 않음)은 동력 취출기(11)에 포함되는 것이다. 변속기(10)의 케이스 및 동력 취출기(11)의 하우징의 대응 면은 그를 관통하여 형성된 대형 트인 구멍을 가진다. 동력 취출기(11)의 하우징은, 구동 보조장치(도시 않음)에 접속되도록 채택되는 출력축(도시 않음), 입력 기어와 맞물리는 출력 기어(도시 않음), 및 입력 기어(도시 않음)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입력 기어의 일 부분은 변속기(10) 내에 함유된 일 기어(도시 않음)와의 결합부 쪽으로 변속기(12)의 케이스와 동력 취출기(11)의 하우징에 있는 트인 구멍을 외부 방향으로 통하여 연장 형성된다. 이러한 형성으로, 취출기(11)의 입력 기어와 출력 기어는 차량 동작시 마다 변속기(10)에 의해 일정하게 회전식으로 구동된다.
구동 보조장치의 단속적 동작을 허용하도록 출력축에 출력 기어를 선택적으로 접속시키는 내부 클러치 조립체(도시 않음)가 동력 취출기(11)에 포함된다. 다르게는, 클러치 조립체의 결합 시에 입력 기어와 출력축 사이에 복수 감속도 기어비를 제공하도록 동력 취출기(11)의 하우징 내에서 복수 차등 크기로 이루어진 입력 및 출력 기어의 지원을 받게된다. 다른 경우에서는, 클러치 조립체를 선택적으로 결합 및 결합해제을 이루는데, 유압식 제어 시스템(12)이 변속기(10)로부터의 압력 유체를 활용한다. 이러한 사실을 이루기 위해서, 동력 취출기(11)의 클러치 작동 포트와 변속기의 고압 유체 포트와의 사이에 솔레노이드 밸브(13)를 접속시킨다. 솔레노이드 밸브(13)의 작동은 조작자에 의해 또는 전자식 제어기(도시 않음)에 의해 수동식으로 제어가 이루어진다. 구동 보조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해서는 솔레노이드 밸브(13)를 개방시키어 동력 취출기(11)의 클러치 작동 포트와 변속기(10)의 고압 유체 포트와의 사이에 유체 교통을 허용하면 된다. 적용되는 고압 유체에 응답하여, 클러치 조립체가 구동 보조장치의 작동을 발생하도록 결합된다. 구동 보조장치의 작동을 원하지 않을 시에는 솔레노이드 밸브(13)를 폐쇄시키어 동력 취출기(11)의 클러치 작동 포트와 변속기(10)의 고압 유체 포트와의 사이에 유체 교통을 차단하면 된다. 고압 유체의 적용해제에 응답하여, 클러치 조립체가 결합해제되어서 구동 보조장치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솔레노이드 밸브(13)는 변속기(10)와 동력 취출기(11) 모두로부터 분리된 성분이다. 따라서, 공지된 솔레노이드 밸브(13)는 차량용 프레임 조립체의 측부 레일과 같은 지지 면(14)에 일반적으로 장착되어져 있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1조의 가요성 유압형 호스가 동력 취출기(11)의 클러치 작동 포트에 그리고 변속기(10)의 고압 포트에 솔레노이드 밸브(13)를 접속시키는데 필요하게 된다. 또한, 취출기(11)의 베어링 윤활 포트에 제 3가요성 유압형 호스를 통해 접속되는 변속기(10)에 설치된 저압 포트도 유압식 제어 시스템(12)이 구비하게 된다. 변속기(10)의 저압 포트로부터의 저압 유체를 사용하여 공지된 방식으로 동력 취출기(11)에 내부 윤활 유체를 제공한다. 동력 취출기(11)에 설치된 복귀 포트에 제 4가요성 유압형 호스를 통하여 접속된 솔레노이드 밸브(13)에 제공된 덤프 포트가 유압 제어 시스템(12)에 부가로 구비된다. 덤프 포트는 클러치 조립체로부터의 유체가 솔레노이드 밸브(13)를 통하여 뒤로 배출되어서 동력 취출기(11)로 복귀하도록 하는 것이다. 다음, 유체가 동력 취출기(11)를 통하여 동력 취출기(11)와 변속기(10)에 형성된 정렬 배치된 내부 통로(점선으로 표시)를 통하여 변속기(10)로 배출된다.
끝으로, 동력 취출기(11)의 클러치 작동 포트와 솔레노이드 밸브(13)간에 접속된 압력 스위치(15)가 유압식 제어 시스템(12)에 포함된다. 압력 스위치(15)는 종래 기술로 제작된 일반적인 것이며, 동력 취출기(11)의 클러치 작동 포트에 공급되는 유체 압력이 미리 정해진 크기를 초과할 때마다 신호를 발생하도록 채택되어진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미리 정해진 크기는 클러치 조립체를 결합하는데 필요한 압력 량 또는 그 근처로 설정된다. 따라서, 압력 스위치(15)로부터의 신호는 동력 취출기(11)의 클러치 조립체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데(예를 들면, 결합 상태 또는 결합해제 상태) 사용되는 것이다.
도 2는 당 분야에서 공지된 유압식 제어 시스템(22)용의 제 2구조체를 구비하는 복합 변속기(20)와 동력 취출기(21)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다이어그램이다. 변속기(20)와 동력 취출기(21)는 상술된 바와 같은 동력 취출기(11)와 변속기(10)이며 대형크기의 것이다. 동력 취출기(21)는 출력축에 출력 기어를 선택적으로 접속시키는 내부 클러치 조립체(도시 않음)를 구비하며 그리고 유압식 제어 시스템(22)은 클러치 조립체를 선택적으로 결합 및 결합해제하는데 변속기(20)로부터의 압력 유체를 활용한다. 이러한 구조를 이룸으로서, 변속기(20)의 고압 포트가 가요성 유압호스를 통해서 매니폴드(23)에 제공된 입력 포트에 접속되는 것이다. 매니폴드(23)는 기본적으로 그 안에 형성된 복수 내부 통로(도시 않음)를 가진 블록 기구이다. 제 1통로는 입력 포트로부터 매니폴드(23)에 설치된 고압 출력 포트로 연장형성되는 것이다. 제 2통로는 제 1통로로부터 매니폴드(23)에 설치된 저압 포트로 연장형성되는 것이다.
차례로 동력 취출기(11)의 클러치 작동 포트에 접속되는 솔레노이드 밸브(24)에, 제 2가요성 유압형 호스에 의해 매니폴드(23)의 고압 포트가 접속된다. 솔레노이드 밸브(24)의 작동은 구동 보조장치의 선택적인 가역 동작을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를 하게 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매니폴드(23)와 솔레노이드 밸브(24)는 동력 취출기(21)와 변속기(20)로부터 분리된 성분이다. 따라서, 공지된 매니폴드(23)와 솔레노이드 밸브(24)는 차량용 프레임 조립체의 측부 레일과 같은 1개 이상의 지지 면(25)에 일반적으로 장착되어진다.
유압식 제어 시스템(22)은 변속기(20)에 제공된 저압 포트를 구비하지 않는다. 오히려, 매니폴드(23)의 저압 포트로부터의 저압 유체가 제 3가요성 유압형 호스를 통해 공급되어 공지된 방식으로 동력 취출기(21)에 내부 윤활 유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동력 취출기(21)에 설치된 복귀 포트에 제 4가요성 유압형 호스를 통해 접속된 솔레노이드 밸브(24)에 제공된 덤프 포트가 부가로 유압식 제어 시스템(22)에 포함된다. 덤프 포트는 클러치 조립체로부터의 유체가 솔레노이드 밸브(24)를 통하여 뒤로 배출되도록 허용하여 동력 취출기(21)로 복귀하게 한다. 다음, 유체가 동력 취출기(21)를 통하여 동력 취출기(21)와 변속기(20)에 형성된 정렬 배치된 내부 통로(점선으로 표시)를 통하여 변속기(20)에 동력 취출기(21)를 통해 배출되는 것이다.
매니폴드(23)에 직접 장착된 온도 스위치(26)를 유압식 제어 시스템(22)은 선택적으로 구비할 수 있다. 온도 스위치(26)는 상술된 제 1통로가 있는 매니폴드(23)에 형성된 제 3내부 통로를 통하여 교통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온도 스위치(26)는 매니폴드(23)를 통하여 흐르는 고압 유체의 압력에 반응하는 것이다. 온도 스위치(26)는 종래 기술로 제작되며, 동력 취출기(21)의 클러치 작동 포트에 그리고 솔레노이드(24)에 공급되는 유체 온도가 미리 정해진 크기를 초과할 때마다 신호를 발생하는데 채택되는 것이다. 따러서, 온도 스위치(26)로부터의 신호는 수용할 수 있는 수준 이상으로 유압 유체의 온도가 상승할 시에 동력 취출기(11)의 클러치 조립체를 결합해제하는데 또는 전체 유압식 제어 시스템(22)의 작동이 불가능하게 하는데 사용된다. 끝으로, 동력 취출기(21)의 클러치 작동 포트와 솔레노이드 밸브(24) 사이에 접속되는 압력 스위치(27)가 유압식 제어 시스템(22)에 포함된다. 압력 스위치(27)는 상술된 바와 같은 동일한 방식으로 작용을 할 수 있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르는 유압식 제어 시스템(32)용의 제 1실시예를 구비하는 복합 변속기(30)와 동력 취출기(31)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다이어그램이다. 변속기(30)와 동력 취출기(31)는 상술된 바와 같은 동력 취출기(21)와 변속기(20)와 동일한 것이다. 동력 취출기(31)는 출력축에 출력 기어를 선택적으로 접속시키는 내부 클러치 조립체(도시 않음)를 구비하여 구동 보조장치의 단속 동작을 허용하며 그리고 유압식 제어 시스템(32)은 클러치 조립체를 선택적으로 결합 및 결합해제하는데 변속기(30)로부터의 압력 유체를 활용한다. 이러하게 이루어진 구조로, 변속기(30)의 고압 포트가 제 1가요성 유압형 호스를 통해서 매니폴드(33)에 제공된 입력 포트에 접속되는 것이다.
매니폴드(33)의 구조에 대해서는 도 4에 상세하게 도시하였으며, 도시된 바와 같이, 매니폴드(33)는 기본적으로 그 안에 형성된 복수 내부 통로를 가진 블록 기구이다. 제 1통로(33a)는 입력 포트로부터 내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그리고 제 2통로(33b)는 매니폴드(33)에 설치된 고압 출력 포트로부터 내부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것이다. 내부 실(室)(33c)은 제 1통로(33a)와 제 2통로(33b) 모두와 교통한다. 솔레노이드 밸브(34)는 매니폴드(33)에 장착되고 내부 실(33c) 내로 연장 형성된다. 솔레노이드 밸브(34) 자체는 종래 기술의 것이고, 제 1 및 제 2통로(33a, 33b) 사이에 유체 교통을 허용하는 제 1모드 그리고 제 1 및 제 2통로(33a, 33b) 사이에 유체 교통을 차단하는 제 2모드로 선택적으로 작동되는 것이다. 매니폴드(33)의 고압 포트는 동력 취출기(31)의 클러치 작동 포트에 제 2가요성 유압형 호스에 의해 접속된다. 솔레노이드 밸브(24)의 작동은 구동 보조장치의 선택적인 가역 동작을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를 하는 것이다.
유압식 제어 시스템(32)은 변속기(30)에 제공된 저압 포트를 구비하지 않는다. 오히려, 매니폴드(33)의 저압 포트로부터의 저압 유체가 제 3가요성 유압형 호스를 통해 공급되어 공지된 방식으로 동력 취출기(31)에 내부 윤활 유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동력 취출기(31)에 설치된 복귀 포트에 제 4가요성 유압형 호스를 통해 접속된 솔레노이드 밸브(34)에 제공된 덤프 포트가 부가로 유압식 제어 시스템(32)에 포함된다. 덤프 포트는 클러치 조립체로부터의 유체가 솔레노이드 밸브(34)를 통하여 뒤로 배출되도록 허용하여 동력 취출기(31)로 복귀하게 한다. 다음, 유체가 동력 취출기(31)를 통하여 동력 취출기(31)와 변속기(30)에 형성된 정렬 배치된 내부 통로(점선으로 표시)를 통하여 변속기(30)에 동력 취출기(31)를 통해 배출되는 것이다. 매니폴드(33)에 직접 장착된 온도 스위치(35)를 유압식 제어 시스템(32)은 선택적으로 구비할 수 있다. 온도 스위치(35)는 상술된 제 1통로(33a)가 있는 매니폴드(33)에 형성된 제 3내부 통로(도시 않음)를 통하여 교통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온도 스위치(35)는 매니폴드(33)를 통하여 흐르는 고압 유체의 온도에 반응되는 것이다. 온도 스위치(35)는 종래 기술로 제작되는 일반적인 것이며, 동력 취출기(31)의 클러치 작동 포트에 그리고 솔레노이드 밸브(34)에 공급되는 유체 온도가 미리 정해진 크기를 초과할 때마다 신호를 발생하도록 채택된다. 따라서, 온도 스위치(35)로부터의 신호는 수용할 수 있는 수준 이상으로 유압 유체의 온도가 상승할 시에 동력 취출기(31)의 클러치 조립체를 결합해제하는데 또는 전체 유압식 제어 시스템(32)의 작동이 불가능하게 하는데 사용된다. 끝으로, 매니폴드(33)에 직접 장착되는 압력 스위치(36)가 유압식 제어 시스템(32)에 포함된다. 압력 스위치(36)는 상술된 바와 같이 제 2통로(33b)가 있는 매니폴드(33)에 형성된 제 4내부 통로(도시 않음)를 통하여 교통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압력 스위치(36)는 매니폴드(33)를 통하여 흐르는 고압 유체의 압력에 반응하는 것이다. 압력 스위치(36)는 종래 기술로 제작된 일반적인 것이며, 동력 취출기(31)의 클러치 작동 포트에 공급되는 유체 압력이 미리 정해진 크기를 초과할 때마다 신호를 발생하도록 채택된다. 따라서, 압력 스위치(36)로부터의 신호는 동력 취출기(31)의 클러치 조립체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데(예를 들면, 결합 상태 또는 결합해제 상태) 사용되는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니폴드(33)는 변속기(30)와 동력 취출기(31) 모두로부터의 분리 성분이다. 따라서, 차량용 프레임 조립체의 측부 레일과 같은 지지 면(37)에 매니폴드를 장착하기 위해서는 브라켓(도시 않음) 또는 다른 메카니즘이 제공된다. 상기 외부 장착작업을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예가 요구하기는 하지만, 매니폴드(33)상에 압력 스위치(36), 온도 스위치(35) 및, 솔레노이드 밸브(34)의 장착작업은 상술된 종래 기술의 유압식 제어 시스템(12, 22)과 비교하여 유압식 제어 시스템(32)에 의해 점유되는 물리적 공간량을 저하시키고 그리고 상기 종래 기술 시스템을 능가하는 설치의 용이성이 부가되어진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르는 유압식 제어 시스템(42)용의 제 2실시예를 구비하는 복합 변속기(40)와 동력 취출기(41)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다이어그램이다. 변속기(40)와 동력 취출기(41)는 상술된 바와 같은 동력 취출기(31)와 변속기(30)와 동일한 것이다. 동력 취출기(41)는 출력축에 출력 기어를 선택적으로 접속시키는 내부 클러치 조립체(도 8을 참고)를 구비하여 구동 보조장치의 단속 동작을 허용하며 그리고 유압식 제어 시스템(42)은 클러치 조립체를 선택적으로 결합 및 결합해제하는데 변속기(40)로부터의 압력 유체를 활용한다. 이하에 보다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예의 전체 유압식 제어 시스템(42)은 동력 취출기(41)의 하우징 내에 내재되거나 또는 장착되는 것이다.
동력 취출기(41)의 구조는 도 6에서 보다 명료하게 나타내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동력 취출기(41)는 기부(51)를 가진 하우징(50)을 구비하는 것이다. 복수 구멍(52)(2개만 도시)이 하우징(50)의 기부(51)를 통하여 형성되어서 상술된 목적으로 변속기(40)의 케이스(도시 않음)에 취출기(41)를 장착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해준다. 장착 플랜지(53)가 하우징(50)에 고정되면, 종래 기술의 방식으로 동력 취출기(41)에 유압 펌프와 같은 보조장치 디바이스(도시 않음)의 접속을 용이하게 한다.
변속기(40)의 고압 포트는 취출기(41)의 하우징(50)에 제공된 입력 포트에 피팅(56)을 통하여 양호하게 경성 금속관인 제 1도관(55)을 통해 접속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 포트는 내부 실(室)(58)과 동력 취출기(41)의 하우징(50) 내에 형성된 제 1통로(57)를 통해 교통한다. 솔레노이드 밸브(60)는 동력 취출기(41)의 하우징(50)에 직접 장착되고 내부 실(58) 내로 연장 형성된다. 솔레노이드 밸브(60) 자체는 종래 기술의 것이고, 제 1통로(57)로부터 제 2통로(61)로의 유체 교통을 허용하는 제 1모드 그리고 제 1 및 제 2통로(57, 61) 사이에 유체 교통을 차단하는 제 2모드로 선택적으로 작동되는 것이다. 제 2통로(61)는 동력 취출기(41)의 하우징(50) 내에 형성된 제 3통로(62)와 제 4통로(63)와 교통하는 것이다.
유압식 제어 시스템(42)은 동력 취출기(41)의 하우징(50)에 직접 장착되는 압력 스위치(36)를 포함한다. 압력 스위치(65)는 하우징(50) 내에 형성된 제 4통로(63)와 교통하여서, 그 안에 유압 유체의 압력 크기에 반응하는 것이다. 압력 스위치(65)는 종래 기술로 제작된 일반적인 것이며, 상술된 바와 동일한 방식으로 작용을 하는 것이다. 동력 취출기(41)의 하우징(50)에 직접 장착되는 온도 스위치(66)도 유압식 제어 시스템(22)에 포함된다. 온도 스위치(66)는 하우징(50) 내에 형성된 제 3통로(62)와 교통하여서, 그 안에 유압 유체의 온도 크기에 반응하는 것이다. 온도 스위치(66)는 종래 기술로 제작된 일반적인 것이며, 상술된 바와 동일한 방식으로 작용을 하는 것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4통로(63)는 동력 취출기(41) 내에 배치된 클러치(70)와 교통하는 것이다. 클러치 조립체(70)는, 클러치 팩 조립체(73) 및 하우징(50) 내에서 회전식으로 지지를 받는 출력축(72) 그리고 입력 기어(도시 않음)에 의해 회전식으로 구동되는 출력 기어(71)를 구비하는 것이다. 공지된 바와 같이, 출력 기어(71)와 같이 회전을 하도록 출력축(72)이 선택적으로 클러치 팩 조립체(73)와 접속된다. 솔레노이드 밸브(60)가 제 1모드에서 작동하면, 제 1통로(57)로부터 동력 취출기(41)의 하우징(50) 내에 형성된 제 2통로(61)로의 유체 교통이 허용되는 것이다. 그 결과로는, 고 유압 유체가, 제 1통로(57), 제 2통로(61), 제 3통로(62) 및 제 4통로(63)를 통하는 변속기(40)로부터, 출력축(72)의 일 단부에 인접하여 있는 동력 취출기(41)의 하우징(50) 내에 형성된 실(74)로 흐른다. 고 유압 유체는, 출력축(72)을 통하여 형성된 제 1 및 제 2내부 통로(72a, 72b)를 통하는 실(74)로부터, 클러치 팩 조립체(73)로 흐른다. 그 결과로는, 클러치 팩 조립체(73)가 출력 기어(71)와의 회전을 위해 출력축(72)과 접속하도록 공지된 방식으로 작동하게 된다. 역으로, 솔레노이드 밸브(60)가 제 2모드에서 작동되면, 제 1통로(57)로부터 동력 취출기(41)의 하우징(50) 내에 형성된 제 2통로(61)로의 유체 교통이 허용되지 않는다. 그러한 결과로는, 변속기(40)로부터 클러치 팩 조립체(73)로 고 유압 유체가 흐르지 않게 된다. 따라서, 클러치 팩 조립체(73)가 출력 기어(71)와 같이 회전하는 출력축(72)이 접속해제 되도록 동작하게 된다.
도 5 및 도 6을 다시 참고로 하여 보면, 유압식 제어 시스템(42)이 변속기(40)에 제공된 저압 포트를 구비하지 않았음을 볼 수 있다. 오히려, 제 1통로(57)와 교통하는(도 7에 도시) 하우징(50) 내에 형성되는 제4통로로부터 동력 취출기(41)용의 내부 윤활 유체가 공급되는 것이다. 따라서, 유압 유체는, 제 2도관(82)(양호하게 경성 금속관)과 하우징(50)의 실외에 장착된 피팅(81)을 통하는 제 1통로(57) 및 제 4통로(80)로부터, 하우징(50)의 실외에 장착된 피팅(83)으로 흐르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내부 윤활 유체는 동력 취출기(41)에 일정하게 공급된다. 동력 취출기(41)에 설치된 복귀 포트에 하우징(50)의 실외에 장착된 피팅(85)에 피팅(83), 제 3도관(84)(양호하게 경성 관)을 통하여 접속된 솔레노이드 밸브(60)에 제공된 덤프 포트가 부가로 유압식 제어 시스템(42)에 포함된다. 덤프 포트는 클러치 팩 조립체(73)로부터의 유체가 솔레노이드 밸브(60)를 통하여 통로(72b, 72a, 74, 63, 62, 61)를 통해 뒤로 배출되도록 허용하여 동력 취출기(41)로 복귀하게 한다. 다음, 유체가 동력 취출기(41)와 변속기(40)에 형성된 정렬 배치된 내부 통로(도 5에서 점선으로 표시)를 통하여 변속기(40)에 동력 취출기(41)를 통해 배출되는 것이다.
동력 취출기(41)와 유압식 제어 시스템(42)용의 상기 구조는 여러 이점을 제공하는 것이다. 먼저, 동력 취출기(41)와 유압식 제어 시스템(42)에 의해 점유되는 물리적 공간이 이전 구조에 비해 현정하게 작아졌다. 다음, 모든 성분이 동력 취출기(41)의 하우징(50) 내에 내재되거나 또는 직접 장착되기 때문에, 동력 취출기(41) 조립체 및 유압식 제어 시스템(42)을 설치하는 공정이 현저하게 간단하게 되었다. 그리고, 상술된 가요성 호스를 모두 제거하여서, 동력 취출기(41) 조립체와 유압식 제어 시스템(42)이 열 또는 충격으로부터의 손상에 민감하지 않게 되었다.
상술된 본 발명에 대한 기술은 양호한 설명을 목적으로 기술한 것이며,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을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의 변경 및 개조가 가능한 것이다.

Claims (10)

  1. 복합 취출기 및 유압식 제어 시스템은:
    클러치 작동 포트를 가진 동력 취출기 및;
    입력 포트로부터 출력 포트로 그를 통해 형성된 내부 통로를 가진 매니폴드를 구비하는 유압식 제어 시스템을 포함하며;
    상기 출력 포트는 상기 동력 취출기의 클러치 작동 포트와 교통하고;
    매니폴드에 장착된 밸브는, 출력 포트와 입력 포트 사이에 교통을 허용하는 제 1모드로 그리고 출력 포트와 입력 포트 사이에 교통을 차단하는 제 2모드로의 동작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취출기 및 유압식 제어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매니폴드는 동력 취출기에서 외부 부재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취출기 및 유압식 제어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통로에 압력을 나타내는 표시를 발생하도록 매니폴드에 장착된 압력 스위치를 부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취출기 및 유압식 제어 시스템.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통로에 온도를 나타내는 표시를 발생하도록 매니폴드에 장착된 온도 스위치를 부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취출기 및 유압식 제어 시스템.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통로에 압력을 나타내는 표시를 발생하도록 매니폴드에 장착된 압력 스위치 및, 상기 내부 통로에 온도를 나타내는 표시를 발생하도록 매니폴드에 장착된 온도 스위치를 부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취출기 및 유압식 제어 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 취출기는 하우징을 구비하고, 그리고 상기 매니폴드는 동력 취출기의 하우징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취출기 및 유압식 제어 시스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통로에 압력을 나타내는 표시를 발생하도록 동력 취출기의 하우징에 장착된 압력 스위치를 부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취출기 및 유압식 제어 시스템.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통로에 온도를 나타내는 표시를 발생하도록 동력 취출기의 하우징에 장착된 온도 스위치를 부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취출기 및 유압식 제어 시스템.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통로에 압력을 나타내는 표시를 발생하도록 동력 취출기의 하우징에 장착된 압력 스위치 및, 상기 내부 통로에 온도를 나타내는 표시를 발생하도록 동력 취출기의 하우징에 장착된 온도 스위치를 부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취출기 및 유압식 제어 시스템.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는 솔레노이드 밸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취출기 및 유압식 제어 시스템.
KR1020000014706A 1999-03-25 2000-03-23 일체형 유압 매니폴드를 갖춘 동력 취출기 하우징 KR2000006299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9/275,986 US6151975A (en) 1999-03-25 1999-03-25 Power take-off unit housing having integral hydraulic manifold
US9/275,986 1999-03-2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2991A true KR20000062991A (ko) 2000-10-25

Family

ID=230546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4706A KR20000062991A (ko) 1999-03-25 2000-03-23 일체형 유압 매니폴드를 갖춘 동력 취출기 하우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6151975A (ko)
EP (1) EP1038716B1 (ko)
JP (1) JP2000289480A (ko)
KR (1) KR20000062991A (ko)
AU (1) AU761688B2 (ko)
BR (1) BR0001856A (ko)
CA (1) CA2300746C (ko)
DE (1) DE60029858D1 (ko)
ES (1) ES2267460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0207311T2 (de) * 2001-01-22 2006-07-20 Isuzu Motors Ltd. Schaltaktuator für Getriebe
US6564915B2 (en) 2001-08-10 2003-05-20 Caterpillar Inc Power take-off clutch control system
US7510064B2 (en) * 2006-03-20 2009-03-31 Parker-Hannifin Corporation Power take-off having an axially movable bearing
US8864619B2 (en) 2008-10-16 2014-10-21 Parker-Hannifin Corporation Planetary power take off device
US8783124B2 (en) * 2011-10-11 2014-07-22 Parker-Hannifin Corporation Hydraulic shifter on split shaft PTO for automatic transmission
CN103303140B (zh) * 2013-06-06 2015-06-24 东风汽车公司 可行车取力的双h操纵的取力器电控系统及其使用方法
WO2016112074A1 (en) * 2015-01-06 2016-07-14 Parker-Hannifin Corporation Power take-off unit with attached pneumatic valve
CN113757355A (zh) * 2021-11-08 2021-12-07 杭州非古科技有限公司 新能源汽车液压阀板总成及变速器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16525A (en) * 1969-03-13 1970-06-23 Billy J Skaggs Vehicle power take-off and brake control
US4411345A (en) * 1981-01-23 1983-10-25 Deere & Company Clutch modulating system
US4597301A (en) * 1984-03-30 1986-07-01 Dana Corporation Power takeoff speed control assembly
US4773277A (en) * 1986-12-17 1988-09-27 Dana Corporation Self-contained power take-off
US5103953A (en) * 1989-03-29 1992-04-14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Hydraulic clutch construction
US5299129A (en) * 1990-03-26 1994-03-29 Aisin Seiki Kabushiki Kaisha PTO control apparatus for vehicular automatic transmission
GB9111811D0 (en) * 1991-06-01 1991-07-24 Ford New Holland Limited Power take-off devices
DE4215583A1 (de) * 1992-05-12 1993-11-18 Bosch Gmbh Robert Verfahren zum Zuschalten der Zapfwelle an einem Nutzfahrzeug mitttels einer mechanischen Kupplung
JP2766144B2 (ja) * 1992-10-26 1998-06-18 株式会社クボタ 作業機のptoクラッチ
JP3012426B2 (ja) * 1993-04-19 2000-02-21 株式会社クボタ 農作業車の伝動構造
US5806640A (en) * 1997-04-29 1998-09-15 Case Corporation Clutch control for locked power take off shaft during power take off clutch engage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0029858D1 (de) 2006-09-21
AU761688B2 (en) 2003-06-05
JP2000289480A (ja) 2000-10-17
CA2300746A1 (en) 2000-09-25
EP1038716B1 (en) 2006-08-09
BR0001856A (pt) 2000-10-31
CA2300746C (en) 2008-05-13
AU2067200A (en) 2000-09-28
US6151975A (en) 2000-11-28
EP1038716A2 (en) 2000-09-27
EP1038716A3 (en) 2003-04-16
ES2267460T3 (es) 2007-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04292B1 (en) External lube system for a transmission
CN1085806C (zh) 自动电液控制变速器的控制装置
CN101208544A (zh) 驱动装置
KR20000062991A (ko) 일체형 유압 매니폴드를 갖춘 동력 취출기 하우징
JP3222892B2 (ja) 電気油圧制御式自動変速機
US4083266A (en) Power shift transmission with replaceable control unit
JP2002531795A (ja) 内燃機関と変速機との間に配置されたクラッチのためのハイドロリック非常制御装置
EP2150431B1 (en) Hydraulically operated shifter for power take-off
KR20070018939A (ko) 차량용 유압 구동부
JP2000074096A (ja) 駆動連結装置
JPH08285059A (ja) 油圧制御装置及び変速装置
KR101091486B1 (ko) 자동변속기의 유압 제어 시스템
JP3025663B2 (ja) 2輪駆動−4輪駆動切換装置
JPH10151952A (ja) 車両用駆動力伝達装置のポンプ取付け構造
WO2015041587A1 (en) Pump unit for a power take-off, power take-off for a take-off module, take-off unit and a vehicle including a power take-off
JPH062063Y2 (ja) 二段変速機
JPS5926825B2 (ja) 遊星歯車減速機構
GB1590461A (en) Agricultural tractors
US20060160649A1 (en) Fluid pump for a transmission
JPH01208251A (ja) 制動装置
KR0131307B1 (ko) 자동 변속기의 댐퍼 클러치 작동 제어장치
KR19990037828U (ko) 특수 용도용 화물 자동차의 동력 인출장치
JPH08128323A (ja) 自動車用冷却ファン駆動装置
JPH0320157A (ja) 歯車変速機におけるギヤのガタ音防止機構
JPH075030B2 (ja) トランスファ装置における直流モータの作動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