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62806A - 지폐정리기 - Google Patents

지폐정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62806A
KR20000062806A KR1020000011849A KR20000011849A KR20000062806A KR 20000062806 A KR20000062806 A KR 20000062806A KR 1020000011849 A KR1020000011849 A KR 1020000011849A KR 20000011849 A KR20000011849 A KR 20000011849A KR 20000062806 A KR20000062806 A KR 200000628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knote
setting
lamp
key
banknot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118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86464B1 (ko
Inventor
사카이게이지
Original Assignee
이케베 다케시
로렐뱅크머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케베 다케시, 로렐뱅크머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이케베 다케시
Publication of KR200000628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28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64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6464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3/00Sorting a mixed bulk of coins into denomin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1/00Pile receivers
    • B65H31/04Pile receivers with movable end support arranged to recede as pile accumulates
    • B65H31/08Pile receivers with movable end support arranged to recede as pile accumulates the articles being piled one above another
    • B65H31/10Pile receivers with movable end support arranged to recede as pile accumulates the articles being piled one above another and applied at the top of the pi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1/00Pile receivers
    • B65H31/04Pile receivers with movable end support arranged to recede as pile accumulates
    • B65H31/06Pile receivers with movable end support arranged to recede as pile accumulates the articles being piled on edg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50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2/00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handling apparatus
    • B65H2402/40Details of frames, housings or mountings of the whole handling apparatus
    • B65H2402/45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4/00Parts for transporting or gui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4/10Rollers
    • B65H2404/11Details of cross-section or profile
    • B65H2404/111Details of cross-section or profile shape
    • B65H2404/1114Paddle whe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09/00Classifying, separating, and assorting solids
    • Y10S209/90Sorting flat-type mai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ile Receivers (AREA)

Abstract

집적수단에 집적되는 지폐의 오퍼레이터에 의한 부주의한 취출을 방지할 수 있는 지폐정리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복수의 집적수단(69 내지 71)에, 제어수단에 의해 개폐가 제어됨과 동시에, 개방상태에서는 집적시킨 지폐의 취출을 가능하게 하는 한편, 폐쇄 상태에서는 집적시킨 지폐의 취출을 일절 불가능하게 하는 셔터(118)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Description

지폐정리기{Apparatus for sorting paper currency}
본 발명은 지폐를 감별하고 그 감별 결과에 따라 분류할 수 있는 지폐정리기에 관한 것이다.
지폐를 감별하고 그 감별 결과에 따라 분류할 수 있는 지폐정리기가 있으며, 그 일예가 일본국 특개평 7-21437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다.
이 지폐정리기는 장전부, 반송부, 감별부, 복수의 집적부 및 다발작성부를 구비하고 있다.
장전부에는 다수의 지폐가 집적상태로 장전된다. 장전부는 다수의 지폐를 한 장씩 분리하여 지폐정리기로 보낸다.
감별부는 장전부에서 지폐정리기 내부로 보내진 지폐의 종류를 감별한다.
반송부는 장전부에서 지폐정리기로 보내진 지폐를 감별부의 감별결과에 따라 복수의 집적부 및 다발작성부 중 어느 하나로 운반한다.
각 집적부는, 반송부에 의해 장전부로부터 반송되어 온 지폐를 집적시킨다. 각 집적부는 기계 밖으로 향하는 위치에 있다. 이 때문에, 각 집적부에 집적된 지폐는 오퍼레이터에 의해 취출가능하게 된다.
다발작성부는 반송부에 의해 장전부로부터 반송되어 온 지폐를 소정 매수 집적시킨다. 집적된 지폐의 주위에 결속 테이프를 감아 다발지폐로 한다.
상기 지폐정리기는 그 각 집적부가 기계 밖을 향하는 위치에 있다. 그리고, 각 집적부로 방출된 지폐는 언제나 그 취출이 가능하게 된다. 이에 따라 문제를 발생시키는 경우가 있었다.
이 문제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지폐정리기는 복수의 집적부에 지폐를 여러 목적으로 분류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분류처리 도중에 집적부로부터 오퍼레이터가 부주의하게 지폐를 뽑아버리면, 뽑은 지폐가 무슨 목적으로 분류된 지폐인지 모르는 경우가 있었다. 또한, 처리후에 지폐정리기가 계수한 지폐의 계수값과 실제 지폐의 매수가 일치하지 않게 되는 경우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집적수단에 집적되는 지폐의 오퍼레이터에 의한 부주의한 취출을 방지할 수 있는 지폐정리기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지폐정리기의 일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지폐정리기의 일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지폐정리기의 일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지폐정리기의 일실시형태의 집적부를 나타내는 측단면도로서, 셔터가 닫힌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지폐정리기의 일실시형태의 집적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지폐정리기의 일실시형태의 집적부를 나타내는 정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지폐정리기의 일실시형태의 집적부를 나타내는 측단면도로서 가이드 기구부의 일예를 상세하게 나타내는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지폐정리기의 일실시형태의 집적부를 나타내는 측단면도로서 셔터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지폐정리기의 일실시형태의 집적부를 나타내는 측단면도로서 가이드 기구부의 다른 예를 상세하게 나타내는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지폐정리기의 일실시형태의 기능표시부, 제1조작부 및 제2조작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지폐정리기의 일실시형태의 각 키의 기능을 일람하게 한 도표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지폐정리기의 일실시형태의 기능설정시의 화면의 변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지폐정리기의 일실시형태의 분류설정을 일람하게 한 도표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지폐정리기의 일실시형태의 개별표시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지폐정리기의 일실시형태의 전체표시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지폐정리기의 일실시형태의 표시부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는 집적 매수로 표시한 패턴, (b)는 금액으로 표시한 패턴, (c)는 집적 매수로 표시한 패턴, (d)는 배치 매수에 대한 나머지 매수로 표시한 패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지폐정리기의 일실시형태의 기능표시부에서의 손권의 내용의 표시패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지폐정리기의 일실시형태의 기능표시부에서의 위권의 내용의 표시패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부호의 간단한 설명〉
11 장전부(장전수단)
12 반송부(반송수단)
13 감별부(감별수단)
15 조작부(조작수단)
17 제어부
69 내지 71 집적부(집적수단)
77 셔터기구부(자세 변경수단)
118 셔터
154 압출부재(자세 변경수단)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지폐정리기는, 지폐가 장전됨과 동시에 장전된 지폐를 한 장씩 공급하는 장전수단과, 상기 장전수단으로부터 공급된 지폐를 반송하는 반송수단과, 상기 반송수단에 의해 반송 중인 지폐를 감별하는 감별수단과, 상기 반송수단에 의해 반송되어 온 지폐를 취출가능하게 집적시키는 복수의 집적수단과, 상기 장전수단에 장전되는 지폐의 분류방법을 정하는 복수의 분류처리모드 중에서 하나의 분류처리모드를 선택하는 조작이 이루어지는 조작수단과, 상기 장전수단으로부터 방출된 지폐를 상기 감별수단의 감별결과에 따라 ,상기 조작수단에 의해 선택된 분류처리모드에 따른 상기 복수의 집적수단 중의 하나에 상기 반송수단에 의해 반송시키는 제어수단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집적수단에는, 상기 제어수단에 의해 개폐가 제어됨과 동시에, 개방 상태에서는 집적시킨 지폐의 취출을 가능하게 하는 한편, 폐쇄 상태에서는 집적시킨 지폐의 취출을 불가능하게 하는 셔터가 각각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장전수단에 장전된 지폐가 상기 장전수단으로부터 공급되면, 이것을 반송수단이 반송한다. 이 반송 중에 지폐는 감별수단에 의해 감별된다. 제어수단은 지폐를 감별수단의 감별결과에 따라, 조작수단에 의해 선택된 분류 처리 모드에 따른 복수의 집적수단 중의 하나로 반송수단에 의해 반송시킨다.
이와 같이 하여, 집적수단에 지폐가 집적되게 된다. 복수의 집적수단에는 제어수단에 의해 개폐가 제어되는 셔터가 각각 설치된다. 그리고, 셔터는 개방 상태에서는, 집적시킨 지폐의 취출을 가능하게 하는 한편, 폐쇄 상태에서는 집적시킨 지폐의 취출을 불가능하게 한다. 이에 따라, 셔터를 폐쇄 상태로 함으로써, 집적수단에 집적되는 지폐의 오퍼레이터에 의한 부주의한 취출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집적수단으로부터의 지폐의 취출을 허용하는 상태와 상기 집적수단으로부터의 지폐의 취출을 금지하는 상태가 존재하며,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집적수단으로부터의 지폐의 취출이 허용된 상태에서만 상기 셔터를 개방 상태로 하도록 구성한다.
이에 따라, 집적수단에 집적되는 지폐의 오퍼레이터에 의한 부주의한 취출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셔터가 폐쇄 상태에서는 개방이 불가능하게 고정되도록 구성한다.
이에 따라, 폐쇄 상태에서는 수동으로도 셔터가 열리지 않는다. 따라서, 집적 수단에 집적되는 지폐의 오퍼레이터에 의한 부주의한 취출을 더욱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집적수단에는 집적시킨 지폐의 자세를 변경할 수 있는 자세변경수단이 각각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셔터의 개방작동시 집적시킨 지폐의 자세를 상기 자세변경수단에 의해 변경시키도록 구성한다.
이에 따라, 집적시킨 지폐를 취출하기 어려운 자세에서 취출하기 쉬운 자세로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오퍼레이터가 집적수단으로부터 지폐를 취출할 때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자세변경수단은 상기 셔터의 개방작동에 연동하여 지폐의 자세를 변경하도록 구성한다.
이에 따라, 셔터를 개방 작동시키는 구동원과 자세변경수단에 의한 지폐의 자세변경을 행하는 구동원이 공용화된다. 따라서, 원가절감을 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지폐정리기의 일실시예를 도 1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 지폐정리기는 지폐를 계수하면서 목적에 따라 분류하는 것으로, 장전부(장전수단)(11)와, 반송부(반송수단)(12)와, 감별부(감별수단)(13)와, 화폐취출부(14)와, 조작부(조작수단)(15)와, 표시부(16)와, 이들을 제어하는 제어부(제어수단)(17)를 가지고 있다.
[기체(機體)]
지폐정리기의 기체(10)는, 전면부(20)와, 후면부(21)와, 좌우 한쌍의 측면부(22, 22)와, 저면부(24)와, 상면부(25)를 가지고 있다.
전면부(20)는 거의 수직하게 연장되어 있다.
일방의 측면부(22)는 전면부(20)의 좌단에서 후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한, 타방의 측면부(22)는 전면부(20)의 우단에서 후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양측면부(22, 22)는 함께 수직으로 연장됨과 동시에 서로 평행을 이루고 있다.
후면부(21)는 양측면부(22, 22)의 후단부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후면부(21)는 전면부(20)와 거의 평행을 이루고 있다.
저면부(24)는, 전면부(20), 양측면부(22, 22) 및 후면부(21)의 하단부에 설치된다. 이 저면부(24)는 수평으로 연장되어 있다.
상면부(25)는 전면부(20), 양측면부(22, 22) 및 후면부(21)의 상단부에 설치된다. 이 상면부(25)는 경사져 있다. 상면부(25)는 그 후방이 그 전방에 비하여 상방에 위치하고 있다.
전면부(20)의 하부에는 메인 스위치(27)가 설치되어 있다. 이 메인 스위치(27)는 오퍼레이터에 의해 조작되는 것으로, 지폐정리기의 주전원을 온/오프하기 위한 것이다.
[장전부]
장전부(11)는 기체(10)의 앞부분에 설치된다. 장전부(11)에는 다수의 지폐가 집적된 상태의 집적지폐(S)가 장전된다. 집적지폐(S)는 집적방향을 거의 상하방향으로 한 상태에서 장전부(11)에 장전된다. 장전부(11)는 장전된 집적지폐(S)를 그 맨밑의 것으로부터 분리하여 한 장씩 기체(10)의 내부를 향하여 방출하는 것이다.
이 장전부(11)는 장전저면부(29)와, 한 쌍의 장전측면부(30, 30)와, 장전후면부(32)를 가지고 있다.
장전저면부(29)는 전면부(20)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장전저면부(29)는 후방이 전방보다 아래쪽에 위치하도록 경사져 있다.
일측의 장전측면부(30)는 장전저면부(29)의 좌측에 설치된다. 타측의 장전측면부(30)는 장전저면부(29)의 우측에 설치된다. 양 장전측면부(30, 30)는 기체(10)의 측면부(22, 22)와 평행을 이루고 있다.
장전후면부(32)는 양 장전측면부(30, 30)의 후단부 사이에 설치된다. 이 장전후면부(32)는 기체(10)의 전면부(20)와 평행을 이루고 있다.
이들 장전저면부(29)와, 양 장전측면부(30, 30)와, 장전후면부(32)에 의해, 기체(10)의 전면부(20)로부터 약간 후방으로 오목한 형상의 장전공간부(33)가 형성되어 있다. 이 장전공간부(33)는 기체(10)의 상면부(25)측에는 관통하는 형상을 이루고 있다.
장전공간부(33)에는 집적지폐(S)가 길이 방향을 좌우방향으로 따르게 한 상태에서 장전된다. 이 때, 집적지폐(S)는 길이 방향에서의 양측이 양 장전측면부(30, 30)에 의해 안내된다. 또한, 이 때 집적지폐(S)의 후방이 장전후면부(32)에 의해 안내된다. 또한, 이 때 집적지폐(S)는 장전저면부(29)와 거의 평행을 이루고 있다. 즉, 장전저면부(29)의 후방이 전방보다 아래쪽에 위치하도록 약간 경사져 있다. 여기서, 장전저면부(29)와 장전후면부(32)의 경계부분에 지폐투입구(34)가 설치된다. 이 지폐투입구(34)는 기체(10)의 내부에 집적지폐(S)를 투입하기 위한 입구이다.
장전부(11)는 그 하부에 지폐공급구(36)를 가지고 있다.
이 지폐공급구(36)는 축출로울러(37), 공급로울러(38), 분리로울러(39) 및 이들을 구동하는 반송구동모터(40)를 가지고 있다.
축출로울러(37)는 장전저면부(29)의 전후방향에 있어서의 중간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축출로울러(37)는 그 일부가 장전저면부(29)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축출로울러(37)는 반송구동모터(40)에 의해 회전구동된다. 축출로울러(37)는 장전공간부(33)에 장전된 집적지폐(S) 중의 맨 밑의 지폐에 맞닿아 상기 지폐를, 지폐투입구(34)로 내보낸다.
공급로울러(38)는 지폐투입구(34)의 하측에 설치된다. 분리로울러(39)는 공급로울러(38)의 상측에 설치된다. 공급로울러(38)는 반송구동모터(40)에 의해 회전구동된다. 공급로울러(38)는 축출로울러(37)에 의해 보내진 지폐에 접촉하여 이것을 기체(10)의 내부로 공급한다.
분리로울러(39)는 축출로울러(37)에 의해 보내진 지폐와 함께 이동하는 상기 지폐의 상측에 있는 지폐에 접촉한다. 그리고, 이 지폐가 지폐투입구(34)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한다. 즉, 축출 로울러(37)에 의해 보내진 지폐 이외의 지폐를 장전공간부(33)에 멈추게 한다.
이에 따라, 지폐공급구(36)는, 장전공간부(33)에 장전된 집적지폐(S)를 한 장씩 분리하여 기체(10)의 내부로 공급한다.
장전부(11)는 그 상부에 지폐누름부(42)를 가지고 있다.
지폐누름부(42)는 압압면(43)을 가지고 있다. 지폐누름부(42)는 기립한 상태에서는, 기체(10)의 장전후면부(32)보다 후방으로 들어간다.
지폐누름부(42)는, 그 하부를 중심으로 회전함으로써 전방으로 쓰러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쓰러진 상태에서는, 압압면(43)을 하측으로 향한 상태로 하고, 또한 압압면(43)을 장전저면부(29)의 바로 위에 위치시킨다.
이에 따라, 지폐누름부(42)는, 장전공간부(33)에 장전된 집적지폐(S)가 비교적 적을 때, 전방으로 쓰러져 집적지폐(S)를 상방에서 하방을 향하여 누른다. 이 때, 지폐누름부(42)가 집적지폐(S)를 누르는 힘은, 지폐누름부(42)의 자기무게에 의해 발생한다.
이와 같이 지폐누름부(42)는 집적지폐(S)를 상방으로부터 누름으로써, 집적지폐(S) 중의 맨 밑의 지폐와 축출로울러(37)와의 사이의 마찰력을 누르지 않은 경우보다 크게 한다. 그 결과, 장전공간부(33)에 장전되는 집적지폐(S)의 양이 적은 경우에도, 집적지폐(S) 중 맨 밑의 지폐가 축출로울러(37)에 의해 양호하게 보내지게 된다.
한편, 지폐누름부(42)는 기립한 상태에서는, 압압면(43)을 장전후면부(32)와 거의 동일면에 배치한다. 이 때, 지폐누름부(42)는 장전공간부(33)로부터 물러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장전공간부(33)에 장전되는 집적지폐(S)가 비교적 많은 경우에, 지폐누름부(42)를 장전공간부(33)로부터 물러나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지폐누름부(42)가, 장전부(11)에 장전되는 집적지폐(S)의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지폐누름부(42)가 기립상태로 되는 것은, 집적지폐(S)로서, 맨 밑의 지폐와 축출로울러(37)와의 사이의 마찰력을 충분한 값으로 할 수 있는 양의 집적지폐(S)가 장전공간부(33)에 장전되는 경우이다.
이 지폐누름부(42)는 오퍼레이터의 수작업으로 기립상태와 쓰러진 상태를 절환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장전부(11)에는 지폐검지센서(44)가 설치된다. 이 지폐검지센서(44)는 장전부(11)에서의 지폐의 유무를 검출한다. 지폐검지센서(44)는 이 검출결과를 제어부(17)로 출력한다.
[반송부]
반송부(12)는 장전부(11)로부터 공급된 지폐를 반송하는 것이다. 반송부(12)는 지폐를 그 길이 방향을, 좌우방향으로 따르게 한 상태로 반송한다. 반송부(12)는 그 작동이 제어부(17)에 의해 제어된다.
반송부(12)는 제1반송로(45), 제2반송로(46), 제3반송로(47), 제4반송로(48), 제5반송로(49), 제6반송로(50), 제7반송로(51) 및 제8반송로(52)를 가지고 있다. 이들 반송로(45 내지 52)는 복수의 로울러, 복수의 반송 벨트 및 복수의 가이드부재(미도시)를 가지고 있다. 또한, 이들 반송로(45 내지 52)는 장전부(11)의 지폐공급구(36)와 공통의 반송구동모터(40)에 의해 구동된다.
제1반송로(45)는 장전부(11)로부터 공급된 지폐를 기체(10)의 하부에 있어서 전방에서 후방으로 반송한다.
제2반송로(46)는 제1반송로(45)의 말단에 접속되어 있다. 제2반송로(46)는 제1반송로(45)에서 반송되는 지폐를 상기 제1반송로(45)로부터 받아들인다. 그리고, 이 지폐를 기체(10)의 후부에 있어서 하측에서 상측으로 반송한다.
제3반송로(47)는 제2반송로(46)의 말단의 제1분기점(54)에 접속되어 있다. 제3반송로(47)는 제2반송로(46)에서 반송되는 지폐를 상기 제2반송로(46)로부터 받아들인다. 그리고, 이 지폐를 기체(10)의 더욱 후부로 반송한 후, 상방을 향하여 반송한다.
제4반송로(48)는 제1분기점(54)에 접속되어 있다. 제4반송로(48)는 제2반송로(46)에서 반송되는 지폐를 상기 제2반송로(46)로부터 받아들인다. 그리고, 이 지폐를 전방을 향하여 반송한다.
제5반송로(49)는 제4반송로(48)의 말단의 제2분기점(55)에 접속되어 있다. 제5반송로(49)는 제4반송로(48)에서 반송되는 지폐를 상기 제4반송로(48)로부터 받아들인다. 그리고, 이 지폐를 상방을 향하여 반송한다. 제2분기점(55)은 제1분기점(54)보다 앞에 위치한다.
제6반송로(50)는 제2분기점(55)에 접속되어 있다. 제6반송로(50)는 제4반송로(48)로 반송되는 지폐를 상기 제4반송로(48)로부터 받아들인다. 그리고, 이 지폐를 전방을 향하여 반송한다.
제7반송로(51)는 제6반송로(50)의 말단의 제3분기점(56)에 접속되어 있다. 제7반송로(51)는 제6반송로(50)에서 반송되는 지폐를 상기 제6반송로(50)로부터 받아들인다. 그리고, 이 지폐를 상방을 향하여 반송한다. 제3분기점(56)은 제2분기점(55)보다 앞에 위치한다.
제8반송로(52)는 제3분기점(56)에 접속되어 있다. 제8반송로(52)는 제6반송로(50)에서 반송되는 지폐를 상기 제6반송로(50)로부터 받아들인다. 그리고, 이 지폐를 전방을 향하여 반송한다.
반송부(12)는 제1분배부재(58), 제2분배부재(59), 제3분배부재(60), 제1솔레노이드(61), 제2솔레노이드(62) 및 제3솔레노이드(63)를 가지고 있다.
제1분배부재(58)는 제1분기점(54)에 설치되어 있다. 제1분배부재(58)는 제1솔레노이드(61)에 의해 구동됨으로써, 제2반송로(46)를 제3반송로(47) 및 제4반송로(48)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접속시킨다. 즉, 제1분배부재(58)는 제2반송로(46)에서 반송되어 온 지폐의 행선지를 제3반송로(47) 및 제4반송로(48) 중 어느 하나로 선택적으로 절환한다.
제2분배부재(59)는 제2분기점(55)에 설치되어 있다. 제2분배부재(59)는 제2솔레노이드(62)에 의해 구동됨으로써, 제4반송로(48)를 제5반송로(49) 및 제6반송로(50)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접속시킨다. 즉, 제2분배부재(59)는 제4반송로(48)에서 반송되어 온 지폐의 행선지를 제5반송로(49) 및 제6반송로(50) 중 어느 하나로 선택적으로 절환한다.
제3분배부재(60)는 제3분기점(56)에 설치되어 있다. 제3분배부재(60)는 제3솔레노이드(63)에 의해 구동됨으로써, 제6반송로(50)를 제7반송로(51) 및 제8반송로(52)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접속시킨다. 즉, 제3분배부재(60)는 제6반송로(50)에서 반송되어 온 지폐의 행선지를 제7반송로(51) 및 제8반송로(52) 중 어느 하나로 선택적으로 절환한다.
또한, 반송로(45 내지 52)의 도중에는, 복수의 지폐검지센서(64)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지폐검지센서(64)는 각각 반송로(45 내지 52) 중의 지폐를 검지하는 것이다. 이들 지폐검지센서(64)는 반송로(45 내지 52) 중의 지폐의 상태의 정상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이용된다. 또한, 이들 지폐검지센서(64)는 솔레노이드(61 내지 63)에 의한 분배부재(58 내지 60)의 구동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하여 이용된다.
[감별부]
감별부(13)는 반송부(12)의 제1반송로(45)에서 반송 중인 지폐를 감별하고, 감별결과를 제어부(17)로 출력한다. 감별부(13)는 제1감별부(66)와 제2감별부(67)를 가지고 있다.
제1감별부(66)는 반송부(12)에서 반송 중인 지폐의 화상 데이타와, 지폐의 잉크에 포함되는 물질의 자기(磁氣)데이터를 검출한다. 그리고, 제1감별부(66)는 검출결과를 제어부(17)에 출력한다. 제어부(17)에서는 검출된 화상 데이타를 기준 화상 데이타와 비교하고, 또한 검출된 자기 데이터를 기준 자기 데이터와 비교한다. 제어부(17)는 이 비교결과에 따라 지폐의 진위, 종류, 전후, 상하 및 정손(正損)을 판정한다.
제2감별부(67)는 반송부(12)에서 반송 중인 지폐에 자외선을 조사한다. 또한 제2감별부(67)는 지폐로부터의 반사광(가시광)의 유무를 검출한다. 제2감별부(67)는 검출결과를 제어부(17)에 출력한다. 진짜 지폐의 잉크에는 자외선을 가시광으로 바꾸는 물질이 함유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어부(17)에서는, 지폐로부터의 가시반사광의 유무로 상기 물질의 유무를 판단하여 지폐의 진위를 판정한다.
제어부(17)는 제1감별부(66) 및 제2감별부(67)의 판정결과를 합하여 지폐의 진위, 종류, 전후, 상하 및 정손을 판정한다.
진위판정이란 지폐가 진권인가 위권인가의 판정이다.
종류판정은 지폐의 종류가 무엇인지의 판정이다.
전후판정이란 지폐가 전면인지 후면인지를 판정하는 것이다. 여기서, 전면이란, 제1감별부(66)를 통과하였을 때, 그 위쪽이 전면이 되는 지폐를 말한다. 후면이란 제1감별부(66)를 통과하였을 때, 그 위쪽이 후면이 되는 지폐를 말한다.
상하판정이란, 지폐가 상향권인지 하향권인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향권이란 제1감별부(66)를 통과하였을 때, 반송방향 하류측이 위가 되는 지폐를 말한다. 하향권이란 제1감별부(66)를 통과하였을 때, 반송방향 하류측이 아래가 되는 지폐를 말한다.
정손판정이란, 지폐가 정권인지 손권인지를 판정하는 것이다. 여기서, 정권이란, 깨끗하고 재사용에 적합한 지폐를 말한다. 손권이란 오손(汚損) 및 손상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속하여 재사용에 부적당한 지폐를 말한다.
또한, 제어부(17)는 제1감별부(66)에서 지폐를 진권으로 판정하더라도, 제2감별부(67)에서 검출되어야 하는 반사광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 위권으로 판정한다.
[화폐취출부]
화폐취출부(14)는 제어부(17)에 의해 제어되는 것으로, 복수의 집적부, 즉 제1집적부(집적수단)(69), 제2집적부(집적수단)(70) 및 제3집적부(집적수단)(71)와, 리젝트부(72)를 가지고 있다. 제1집적부(69), 제2집적부(70), 제3집적부(71) 및 리젝트부(72)는 반송부(12)에서 반송되어 온 지폐를 오퍼레이터가 취출하도록 집적시키는 것이다.
제1집적부(69)는 기체(10)의 상부의 앞부분에 설치되어 있다. 제1집적부(69)는 제7반송로(51)의 반송방향에서의 최하류 위치에 접속되어 있다.
제2집적부(70)는 기체(10)의 상부의 제1집적부(69)로부터 후방에 설치되어 있다. 제2집적부(70)는 제5반송로(49)의 반송방향에서의 최하류 위치에 접속되어 있다.
제3집적부(71)는 기체(10)의 상부의 제2집적부(70)보다 후방에 설치되어 있다. 제3집적부(71)는 제3반송로(47)의 반송방향에서의 최하류 위치에 접속되어 있다.
리젝트부(72)는 기체(10)의 상부의 제1집적부(69)보다 전방 및 장전공간부(33)보다 후방에 설치되어 있다. 리젝트부(72)는 제8반송로(52)의 반송방향에서의 최하류 위치에 접속되어 있다.
제1집적부(69), 제2집적부(70) 및 제3집적부(71)는, 상기한 바와 같이, 각각의 배치 위치 및 접속되는 반송로가 다르다. 그러나, 이러한 점 이외에는, 제1집적부(69), 제2집적부(70) 및 제3집적부(71)는 완전히 같은 구조이다.
여기서는, 제1집적부(69)를 예로 들어 도 3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집적부(69)는 저부형성부(74), 지폐배출기구부(75), 상부커버부(76) 및 셔터기구부(자세변경수단)(77)를 가지고 있다.
저부형성부(74)는 주부재(79)와 지지부재(80)를 가지고 있다.
주부재(79)는 후판부(81), 전판부(82), 상판부(83), 좌우 한 쌍의 지지판부(84)(일측만 도시), 및 도 6에 도시한 좌우 한 쌍의 측판부(86, 86)를 가지고 있다.
후판부(81)는 후부가 상방에, 전부가 하방에 위치하도록 경사져 있다. 후판부(81)의 전부에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홈(89)이 복수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후판부(81)의 전부에는,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하부결합장공(90)이 형성되어 있다.
주부재(79)의 전판부(82)는 후판부(81)의 전단부에서 전방 및 상방을 향하여 형성되어 있다. 전판부(82)에는, 도 7에 도시한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장공(95)이 좌우 양측에 형성되어 있다. 전판부(82)의 상단부에는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상부결합장공(96)이 좌우 양측에 형성되어 있다. 전판부(82)의 상부에는, 도 4 및 도 7에 도시한 삽입홈부(97)가 좌우방향에서의 중간부에 형성되어 있다.
지지부재(80)는 접합판부(92)와 계지판부(93)를 가지고 있다.
이 지지부재(80)는 접합판부(92)의 상부에서 주부재(79)의 전판부(82)의 전방에 접합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접합판부(92)의 하부는 주부재(79)의 후판부(81)보다 아래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또한 계지판부(93)는 후판부(81)의 하부결합장공(90)의 하측에 배치되어 있다.
주부재(79)의 상판부(83)는 전판부(82)의 상단부로부터 상방 및 후방을 향하여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지지판부(84)는 전판부(82)의 장공(95)의 하방에 배치되어 있다. 지지판부(84)에는 도 7에 도시한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장공(98)이 형성되어 있다.
도 6에 도시한 일방의 측판부(86)는 전판부(82) 및 후판부(81) 사이의 일측에 설치된다. 타방의 측판부(86)는 전판부(82) 및 후판부(81) 사이의 타측에 설치되어 있다. 양측판부(86, 86)는 기체(10)의 측면부(22, 22)와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도 4에 도시한 지폐배출기구부(75)는 화폐배출벨트(100)와, 전송로울러(101)와, 임펠러(102)를 가지고 있다. 이 지폐배출기구부(75)는 장전부(11) 및 반송부(12)와 공통의 반송구동모터(40)에 의해 구동된다.
화폐배출벨트(100)는 전측이 상측이 되고, 후측이 하측이 되도록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다.
전송로울러(101)는 화폐배출벨트(100)의 후부의 하측에 배치되어 있다. 임펠러(102)는 화폐배출벨트(100)의 전부의 하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지폐배출기구부(75)는 제7반송로(51)에서 반송되어 온 지폐를 화폐배출벨트(100)와 전송로울러(101) 사이로 받아 들인다. 그리고, 받아 들인 지폐를 화폐배출벨트(100)와 전송로울러(101)에서 임펠러(102)로 보낸다. 그리고, 지폐를 화폐배출벨트(100)와 임펠러(102) 사이에서 저부형성부(74)상으로 공급한다.
이 때, 지폐배출기구부(75)는 지폐를 저부형성부(74)의 전판부(82)와 거의 평행한 상태로 공급한다. 최종적으로, 지폐배출기구부(75)로부터 공급된 지폐는 후술되는 셔터기구부(77)에 의해 공급방향(화살표 X방향)의 이동이 규제된다. 이 때문에, 지폐배출기구부(75)는, 이와 같이 공급방향의 이동이 규제된 상태의 지폐를 전판부(82)와 거의 평행을 유지시킨 상태에서, 임펠러(102)에 의해 전판부(82)의 방향(화살표 Y방향)으로 떨어뜨린다. 이에 따라, 지폐배출기구부(75)에서 공급된 지폐와, 이어서 공급되는 지폐와의 충돌을 방지한다. 따라서, 여러장의 지폐를 확실하게 집적시킬 수 있다.
상부 커버부(76)는, 제1 가이드부재(104)와 제2 가이드부재(105)를 가지고 있다.
제1 가이드부재(104)는 지폐배출기구부(75)의 상측에 설치되어 있다. 제1 가이드부재(104)는 저부형성부(74)의 전판부(82)와 거의 평행을 이루고 있다.
제2 가이드부재(105)는 제1 가이드부재(104)의 상단부에 연결되어 있다. 제2 가이드부재(105)도 저부형성부(74)의 전판부(82)와 거의 평행을 이루고 있다. 제2 가이드부재(105)는 그 상단부의 높이가 기체(10)의 상면부(25)의 높이와 거의 일치하고 있다.
제2 가이드부재(105)에는 연장부(106)가 설치된다. 연장부(106)는, 제2 가이드부재(105)의 중간 소정위치로부터 상기 제2 가이드부재(105)에 대하여 직교 연장되어 있다. 이 연장부(106)는, 그 상단부의 높이가 기체(10)의 상면부(25)의 높이와 거의 일치하고 있다. 연장부(106)는 그 전면(108)이 전방 및 상방을 향하고 있다.
또한, 제2 가이드부재(105)의 상부에는 삽입홈(107)이 형성되어 있다. 제1집적부(69)의 집적지폐(S)를 오퍼레이터가 취출할 때, 오퍼레이터는 이 삽입홈(107)에 손가락을 통과시킨다. 그 결과, 오퍼레이터에 의한 집적지폐(S)의 취출이 양호하게 된다.
또한, 저부형성부(74) 및 상부 커버부(76)의 내측에, 지폐를 집적시키기 위한 집적공간부(109)가 형성되어 있다. 이 집적공간부(109)의 상부는 개구되어 있고, 이 부분이 오퍼레이터가 지폐를 취출하기 위한 취출구(110)로 되어있다. 즉, 취출구(ll0)는 저부형성부(74)의 상판부(83)의 상단부와, 저부형성부(74)의 양측판부(86, 86)의 상단부와, 상부 커버부(76)의 제2가이드부재(105)의 상단부로 형성되어 있다.
제1집적부(69)는 잔류지폐검지센서(111)를 가지고 있다. 이 잔류지폐검지센서(111)는 제1집적부(69)의 집적공간부(109)의 내부에 잔류하는 지폐의 유무를 검출한다. 잔류지폐 검지센서(111)는 검지결과를 제어부(17)에 출력한다. 잔류지폐검지센서(111)는 발광소자와 수광소자를 가지고 있다. 이들 발광소자 및 수광소자는, 저부형성부(74)의 전판부(82)의 외측 및 상부 커버부(76)의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저부형성부(74)의 전판부(82) 및 상부 커버부(76)에는 발광소자로부터 수광소자를 향하여 출력되는 광을 통과시키는 구멍(미도시)이 형성되어 있다.
잔류지폐 검지센서(111)는 발광소자로부터 출력되는 광을 수광소자가 검지하는 경우, 집적공간부(109)내에 잔류하는 지폐가 없음을 검지한다. 한편, 잔류지폐검지센서(111)는 발광소자로부터 출력되는 광을 수광소자가 검지할 수 없는 경우, 집적공간부(109) 내에 잔류하는 지폐가 있음을 검지한다.
제1집적부(69)는 풀검지센서(114)를 가지고 있다. 이 풀검지센서(114)는 제1집적부(69)의 집적공간부(109) 내의 지폐가 가득한지의 여부를 검출한다. 풀검지센서(114)는, 검지결과를 제어부(17)로 출력한다. 풀검지센서(114)는 발광소자와 수광소자를 가지고 있다. 이들 발광소자 및 수광소자는 저부형성부(74)의 양측판부(86, 86)의 외측에, 상부 커버부(76)에 근접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저부형성부(74)의 양측판부(86, 86)에는 발광소자로부터 수광소자를 향하여 출력되는 광을 통과시키는 구멍(115)(일측만 도시)이 형성되어 있다.
풀검지센서(114)는 발광소자로부터 출력되는 광을 수광소자가 검지할 수 없는 경우, 집적공간부(109) 내에 지폐가 가득한 상태에 있음을 검지한다. 한편, 풀검지센서(114)는 발광소자로부터 출력되는 광을 수광소자가 검지하는 경우, 집적공간부(109) 내에 지폐가 가득한 상태가 아님을 검지한다.
셔터기구부(77)는 제어부(17)에 의해 제어되는 것으로, 도 5에 도시한 셔터구동부(117)와, 셔터(118)를 가지고 있다.
셔터구동부(117)는 지지부재(119)와, 한 쌍의 회전축(일측만 도시)(120)과, 검지편(121)과, 스프링재(122)와, 클러치(123)와, 기어(124)와, 고정축(125)과, 기어(126)와, 풀리(127)와, 벨트(128)와, 풀리(129)와, 한 쌍의 가이드 로울러(일측만 도시)(130)와, 셔터구동모터(131)를 가지고 있다.
지지부재(119)는 집적공간부(109)에 대하여 우측 프레임(132)보다 더 우측에 고정되어 있다.
집적공간부(109)에 대하여 좌측 프레임보다 더 좌측에 지지부재(미도시)가 고정되어 있다.
일방의 회전축(120)은 좌우방향으로 연장된 상태에서 우측의 지지부재(119)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타방의 회전축(미도시)은 좌측의 지지부재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들 회전축은 동축을 이루고 있다.
검지편(121)은 회전축(120)에 고정되어 있다.
스프링재(122)는 회전축(120)을 그 상부가 후방으로 이동하는 방향으로 가압한다.
클러치(123)는 제어부(17)에 의해 상태의 절환이 제어되는 것으로, 회전축(120)에 취부되어 있다. 클러치(123)에는 기어(124)가 취부되어 있다. 클러치(123)는 기어(124)를 회전축(120)에 일체로 고정시키는 상태와, 기어(124)와 회전축(120)을 떼어내는 상태로 절환된다.
고정축(125)은 지지부재(119)에 고정되어 있다. 이 고정축(125)에는 기어(126)가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 기어(126)는 클러치(123)의 기어(124)에 항상 맞물려 있다.
풀리(127)는 기어(126)에 고정되어 있다.
셔터구동모터(131)는 지지부재(119)에 지지되어 있다. 셔터구동모터(131)는 회전축(133)을 가지고 있다. 셔터구동모터(131)는 제어부(17)에 의해 회전축(133)의 회전·정지와 회전시에 있어서의 회전방향이 제어된다. 이 회전축(133)에는 풀리(129)가 고정되어 있다.
가이드 로울러(130)는 셔터구동모터(131)와 기어(126)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벨트(128)는 그 일단부가 풀리(127)에 걸림과 동시에 타단부가 풀리(129)에 걸리고, 또한 중간부가 한 쌍의 가이드 로울러(130)에 걸려 있다.
셔터(118)는 한 쌍의 회전축(120) 사이에 고정되어 있다. 셔터(118)는 만곡판부(135)와, 평판부(136)와, 한 쌍의 돌기부(137, 137)와, 경사부(139)를 가지고 있다.
만곡판부(135)는 원통을 중심축선을 지나는 두개의 평면으로 절단하였을 때 생기는 형상을 이루고 있다. 만곡판부(135)는 그 중심축선이 회전축(120)의 회전중심에 일치하고 있다.
돌기부(137, 137)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만곡판부(135)의 좌우측에 형성되어 있다. 돌기부(137, 137)도 만곡판부(135)와 연속되도록 원통의 일부의 형상을 이루고 있다. 즉, 돌기부(137, 137)의 중심축선 및 반경은 만곡판부(135)의 중심축선 및 반경과 일치하고 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평판부(136)는, 만곡판부(135)의 돌기부(137, 137)에 대하여 반대측에 형성되어 있다. 만곡판부(135)는 전체적으로 평판부(136)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다.
경사부(139)는 만곡판부(135)와 평판부(136)와의 경계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경사부(139)는 그 만곡판부(135)측의 부분이, 만곡판부(135)의 탑부에 근접하도록 평판부(136)에 대하여 경사져 있다. 경사부(139)는 셔터(118)의 좌우방향에 있어서의 중간부에 형성되어 있다.
셔터구동부(117)가 클러치(123)에 의해 기어(124)와 회전축(120)을 고정한 상태에서, 셔터구동모터(131)를 소정의 일방향으로 구동한다. 이에 따라, 셔터구동 모터(131)의 회전축(133)의 회전이 풀리(129), 벨트(128), 풀리(127), 기어(126), 기어(124) 및 클러치(123)를 통하여 회전축(120)에 전달된다. 이에 따라, 도 4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셔터(118)가 만곡판부(135)보다 평판부(136)를 후방에 배치하고, 또한 만곡판부(135)보다 돌기부(137, 137)를 전방에 배치한 상태에서, 취출구(110)를 폐쇄시킨다. 이 때 만곡판부(135)는 상방으로 볼록하게 된다.
또한, 이 상태에서, 셔터구동부(117)가 클러치(123)로 기어(124)와 회전축(120)을 고정한 상태에서, 셔터구동모터(131)를 정지시킨다. 그러면, 셔터(118)가 취출구(110)를 폐쇄한 상태에서 개방이 불가능하게 고정된다.
이러한 폐쇄 상태에 있어서, 셔터(118)는 집적공간부(109)에 집적시킨 지폐의 상기 집적공간부(109)로부터 밖으로의 취출을 일절 불가능하게 한다.
셔터구동부(117)가 클러치(123)로 기어(124)와 회전축(120)을 고정한 상태에서 셔터구동모터(131)를 소정의 역방향으로 구동한다. 이에 따라, 셔터구동모터(131)의 회전축(133)의 회전이, 풀리(129), 벨트(128), 풀리(127), 기어(126), 기어(124) 및 클러치(123)를 통해 회전축(120)에 전달된다. 이에 따라,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셔터(118)는 평판부(136)가 위쪽의 전방에 위치하도록 회전한다. 최종적으로, 셔터(118)는 취출구(110)를 개방시킨다.
여기서, 셔터(118)는 취출구(110)를 완전 개방하기 직전의 소정위치로부터 완전 개방하기까지의 위치 사이에서, 돌기부(137, 137)가 전후 이동한다. 이 결과, 돌기부(137, 137)는 저부형성부(74)의 전판부(82)의 삽입홈부(97)를 통하여 집적공간부(109) 내로 돌출된다.
셔터(118)는 취출구(110)를 완전 개방한 상태에서 평판부(136)가 상측에 위치하고, 또한 만곡판부(135)가 하측에 위치한다. 또한, 평판부(136)는 그 상부가 하부에 비하여 전방에 위치하도록 경사진다.
또한, 이 상태에서 셔터구동부(117)가 클러치(123)로 기어(124)와 회전축(120)을 고정한 채, 셔터구동모터(131)를 정지시킨다. 그러면, 셔터(118)가 취출구(110)를 완전 개방한 상태로 고정된다.
이러한 개방 상태에 있어서, 셔터(118)는 집적공간부(109)에 집적시킨 지폐의 상기 집적공간부(109)로부터 밖으로의 취출을 가능하게 한다.
셔터구동부(117)가 클러치(123)에 의해 기어(124)와 회전축(120)의 연결을 끊은 상태로 한다. 그러면, 셔터(118)는 오퍼레이터에 의해 수동으로 취출구(110)를 개폐할 수 있게 된다. 단, 클러치(123)에 의해 기어(124)와 회전축(120)의 연결을 끊은 상태에서는 스프링재(122)가 셔터(118)를 가압한다. 그 방향은, 셔터(118)가 취출구(110)를 폐쇄시키는 방향이다. 이 때문에, 오퍼레이터의 힘이 셔터(118)에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셔터(118)는 취출구(110)를 폐쇄시킨 상태가 된다.
또한, 취출구(110)를 폐쇄시킨 상태의 셔터(118)는 그 평판부(136)가, 지폐배출기구부(75)의 지폐를 공급하는 방향의 전방에 위치하게 된다. 이에 따라, 폐쇄 상태의 셔터(118)는, 지폐배출기구부(75)에 의해 공급된 지폐의 공급방향의 이동을 규제한다. 그 결과, 지폐배출기구부(75)는 공급한 지폐의 후단부를 임펠러(102)에 의해 전판부(82)의 방향으로 두드릴 수 있다.
셔터구동부(117)는 셔터폐쇄위치센서(141)와 셔터개방위치센서(142)를 가지고 있다.
셔터폐쇄위치센서(141)는 검지편(121)의 검출의 유무에 따라, 셔터(118)가 취출구(ll0)를 완전히 폐쇄한 상태(도 4 및 도 7에 도시한 상태)에 있는지의 여부를 검출한다.
셔터개방위치센서(142)는 검지편(121)의 검출의 유무에 따라, 셔터(118)가 취출구(110)를 완전히 개방한 상태(도 8의 상태)에 있는지를 검출한다.
이들, 셔터폐쇄위치센서(141) 및 셔터개방위치센서(142)는, 검출결과를 제어부(17)로 출력한다.
또한, 제1집적부(69)에는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이드기구부(가이드 수단)(144)가 설치된다. 가이드기구부(144)는 좌우 한쌍의 가이드판(145, 145)과, 각 가이드판(145, 145)에 각각 설치된 축(147) 및 스프링재(148)를 가지고 있다.
가이드판(145)은 주판부(149)와, 결합편부(150)와, 복수의 가이드편부(151)를 가지고 있다.
결합편부(150)는 주판부(149)의 상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결합편부(150)는 주판부(149)에 대하여 직각을 이루고 있다.
가이드편부(151)는 주판부(149)의 하단부에 돌출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편부(151)는 주판부(149)와 동일면에 배치된다.
가이드판(145, 145)은 저부형성부(74)의 상측에 배치된다. 즉, 가이드판(145, 145)은, 각각 결합편부(150)가 저부형성부(74)의 전판부(82)의 상부결합장공(96)에 결합되고, 또한 가이드편부(151)가 후판부(81)의 가이드홈(89)에 삽입된다.
이 때, 가이드판(145, 145)은 결합편부(150)와 주판부(149)와의 사이의 굴곡부(152)의 부분이 전판부(82)에 지지되게 된다. 그 결과, 가이드판(145, 145)은 회전가능하게 되도록 제1집적부(69)에 지지되게 된다. 이 때의 회전중심은 굴곡부(152)와 전판부(82)와의 접점(B)이 된다. 가이드판(145, 145)은 제1집적부(69)에 있어서의 취출구(110)측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게 된다.
단, 가이드판(145, 145)의 회전가능한 범위는, 가이드편부(151)가 삽입되는 가이드홈(89)의 크기로 정해진다.
가이드판(145, 145)의 주판부(149)에는 축(147)이 고정되어 있다. 이 축(147)은 주판부(147)와 직교되어 있다. 이 축(147)은 저부형성부(74)의 전판부(82)에 형성된 장공(95)을 통하고, 지지판부(84)에 형성된 장공(98)을 통하고 있다.
스프링재(148)는, 그 안쪽에 축(147)을 삽입 통과시키고 있다. 스프링재(148)는 주판부(149)와 지지판부(84)와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스프링재(148)는 가이드편부(151)가 가이드홈(89)의 후단부에 위치하도록 가이드판(145, 145)을 가압한다.
또한, 집적공간부(109)는 가이드판(145, 145)보다 상부커버부(76)측이 된다.
이상에 의해, 가이드판(145, 145) 상에 지폐가 실리지 않은 상태에서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이드판(145, 145)은 스프링재(148)의 탄성압력에 의해 가이드편부(151)를 가이드홈(89)의 후단부에 위치시킨다. 이 상태에서, 가이드판(145, 145)은 전판부(82)와의 각도를 가장 크게 한다. 즉, 이 상태에서, 가이드판(145, 145)은 그 하단부를 전판부(82)의 하단부보다 상측의 후방에 위치시켜, 집적공간부(109)의 용적을 가장 작게 한다.
가이드판(145, 145)이 상기 상태에 있을 때는, 지폐배출기구부(75)가 지폐를 집적공간부(109)로 공급한 한 후, 임펠러(102)에 의해 전판부(82)의 방향으로 떨어뜨린다. 그러면, 지폐는 가이드판(145, 145)의 위, 또는 가이드판(145, 145)의 위에 이미 집적된 지폐상에 적치된다. 이 상태에서, 처음으로 가이드판(145, 145)에 적치되는 지폐는 수평에 대한 각도가 가장 작다.
이와 같이 하여 순차적으로 지폐가 가이드판(145, 145)상에 실리면, 지폐의 중량에 따라 가이드판(145, 145)이 굴곡부(152)를 중심으로 회전한다. 이 때의 가이드판(145, 145)의 회전각도는 지폐의 중량에 상응하는 각도가 된다. 즉, 지폐의 중량이 커질수록, 가이드판(145), 145)과 전판부(82)와의 각도가 작아진다. 지폐의 중량이 커질수록, 가이드판(145, 145)은, 집적공간부(109)의 용적을 크게 한다.
바꿔 말하면, 가이드판(145, 145)은 제1집적부(69)에 반송부(12)로부터 공급된 지폐의 중량에 따라 이동한다. 또한, 스프링재(148)는 가이드판(145, 145)을 가압함으로써, 제1집적부(69)로 반송부(12)로부터 공급된 지폐의 중량에 따른 위치에 가이드판(145, 145)을 위치시킨다.
그리고, 가이드판(145, 145) 상에 소정량 이상의 지폐가 실리면, 가이드판(145, 145)이 스프링재(148)에 압력을 가하면서 그 가이드편부(151)를 가이드홈(89)의 전단부에 위치시킨다. 이 상태에서 가이드판(145, 145)은 전판부(82)와의 각도를 가장 작게, 구체적으로는 0으로 한다. 즉, 이 상태에서, 가이드판(145, 145)은 집적공간부(109)의 용적을 가장 크게 한다. 이 상태에서, 가이드판(145, 145)에 재치된 지폐는 수평에 대한 각도가 가장 커진다.
이에 따라, 가이드판(145, 145)은 제1집적부(69)의 집적지폐(S)의 중량에 따라 집적지폐(S)의 자세를 변경하게 된다.
또한, 제1집적부(69)에는 도 4, 도 6 및 도 8에 도시한 압출부재(자세변경수단)(154)가 설치되어 있다. 압출부재(154)는 좌우 가이드판(145, 145)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압출부재(154)는 주판부(155)와, 결합편부(156)를 가지고 있다.
결합편부(156)는 주판부(155)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결합편부(156)는 주판부(155)에 대하여 직각을 이루고 있다.
주판부(155)의 상부에는 오목부(157)가 형성되어 있다. 주판부(155)의 하부에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장공(158, 158)이 좌우 양측에 형성되어 있다. 이들 장공(158, 158)은 잔류지폐검출센서(111)의 발광소자로부터 출력되는 광을 통과시킨다.
압출부재(154)는 저부형성부(74)의 상측에 배치된다. 즉, 압출부재(154)는 결합편부(156)가 저부형성부(74)의 후판부(81)의 하부결합장공(90)에 결합되어 계지판부(93) 상에 재치된다. 이 때, 압출부재(154)는, 결합편부(156)와 주판부(155)와의 사이의 굴곡부(159)가 지지부재(80)에 지지되게 된다.
그 결과, 압출부재(154)는 회전가능하게 되도록 제1집적부(69)에 지지되게 된다. 이 때의 회전 중심은 지지부재(80)와 굴곡부(159)의 접촉점 A가 된다.
주판부(155)의 상단부는 셔터(118)의 돌기부(137, 137)에 접촉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셔터(118)가 취출구(110)를 폐쇄한 상태에서는, 상기 셔터(118)의 돌기부(137, 137)가 주판부(155)에 접촉되는 일은 없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셔터(118)가 취출구(110)를 개방하도록 회전하면, 소정 위치에서 돌기부(137, 137)가 주판부(155)에 전방부터 접촉된다. 이 소정 위치는, 셔터(118)가 취출구(110)를 완전 개방시키기 직전이다. 그리고, 이 소정위치로부터 셔터(118)가 취출구(110)를 완전 개방시키는 동안, 돌기부(137, 137)는 주판부(155)를 상부커버부(76)의 방향으로 압력을 가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셔터기구부(77)의 셔터(118)가 닫혀진 상태에서는, 압출부재(154)는 자체무게에 의해 전판부(82)와 이루는 각도를 가장 작게, 구체적으로는 0으로 한다. 이 때, 압출부재(154)는 전판부(82)에 중첩되게 된다.
압출부재(154)가 이 상태에 있을 때, 지폐배출기구부(75)가 지폐를 저부형성부(74)의 전판부(82)와 거의 평행을 이루는 상태로 공급한 후, 거의 그 자세로 임펠러(102)에 의해 전판부(82)의 방향으로 떨어뜨린다. 그러면, 지폐는 압출부재(154)의 위, 또는 가이드판(145, 145)의 위에 재치된다.
이 상태로부터 제어부(17)가 셔터기구부(77)의 셔터(118)를 열면, 압출부재(154)는 셔터(118)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한다. 이 때, 압출부재(154)는 전판부(82)와 이루는 각도를 가장 크게 하도록 회전된다. 그러면, 집적지폐(S)는 상부를 상방 및 후방으로 이동시킨다. 즉, 압출부재(154)는 제어부(17)의 제어에 의한 셔터(118)의 개방 작동시, 집적지폐(S)의 자세를 변경하게 된다. 이 때, 집적지폐(S)는 그 상부가 저부형성부(74)의 전판부(82)로부터 이격되도록 자세가 변한다. 다시말하면, 집적지폐(S)는 그 상부의 위치가 높아지도록 일어선다. 그 결과, 취출구 (110)로부터의 지폐의 취출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상술한 가이드판(145, 145)을, 제1집적부(69)로 반송부(12)로부터 공급된 지폐의 중량에 의해 변형하는 탄성변형 가능한 수지재료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부형성부(74)의 전판부(82)와 상판부(83)와의 경계에 가이드판(145, 145)의 상단부를 고정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판(145, 145)상에 지폐가 실리면, 실린 지폐의 중량에 따라 가이드판(145 145)이 변형된다. 이 경우도, 지폐의 중량이 커질수록 가이드판(145, 145)과 전판부(82)가 이루는 각도가 작아진다.
또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집적부(70)는 그 지폐배출기구부(75)가 제5반송로(49)에 접속되어 있는 이외에는 제1집적부(69)와 같다.
제3집적부(71)도 그 지폐배출기구부(75)가 제3반송로(47)에 접속되어 있는 이외에는 제1집적부(69)와 같다.
이상에 따라, 복수의 집적부(69 내지 71)에는, 각각 별도로 셔터(118)와, 상기 셔터(118)를 개폐시키는 셔터구동모터(131)를 포함하는 셔터구동부(117)가 설치되어 있다.
이어서, 다음에 리젝트부(72)에 대하여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리젝트부(72)는 저부형성부(161)와, 지폐배출기구부(162)와, 상부 커버부(163)와, 개폐기구부(164)를 가지고 있다.
저부형성부(161)는 후판부(165)와, 전판부(166)와, 상판부(167)와, 한 쌍의 측판부(미도시)를 가지고 있다.
후판부(165)는 후부가 상방에 전부가 하방에 위치하도록, 제1집적부(69)의 후판부(81)와 거의 같은 각도로 경사져 있다. 여기서, 리젝트부(72)의 후판부(165)의 전후방향 길이는 제1집적부(69)의 후판부(81)의 전후방향 길이보다 짧게 되어 있다.
전판부(166)는 후판부(165)의 전단부에서 전방 및 상방을 향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 전판부(166)는 제1집적부(69)의 전판부(82)와 거의 같은 각도로 경사져 있다.
상판부(167)는 전판부(166)의 상단부에서 전방을 향하여 형성되어 있다. 상판부(167)는, 수평으로 연재하고 있다. 상판부(167)의 전단부의 위치는 장전부(11)의 장전후면부(32)의 위치와 맞는다.
양측판부는, 전판부(166) 및 후판부(165)의 양측에 설치되어 있다. 양측판부는 기체(10)의 측면부(22, 22)와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지폐배출기구부(162)는 제8반송로(52)에 접속되는 점 이외에는 제1집적부(69)의 지폐배출기구부(75)와 같다.
상부 커버부(163)는 지폐배출기구부(162)의 상방에 설치되어 있다. 상부커버부(163)는 제1판부(170)와 제2판부(121)를 가지고 있다.
제1판부(170)는 저부형성부(161)의 전판부(166)와 거의 평행을 이루고 있다. 제1판부(170)는 그 상단부의 높이가 기체(10)의 상면부(25)의 높이와 거의 일치하고 있다.
제2판부(171)는 제1판부(170)의 상단부에서 전방 및 하방을 향하여 형성되어 있다.
상부 커버부(163)에는 제1판부(170)의 중간 소정위치로부터 상기 제1판부(170)에 대하여 직교 연장되는 연장부(172)가 설치되어 있다. 이 연장부(172)는 그 상단부의 높이가 기체(10)의 상면부(25)의 높이와 거의 일치하고 있다.
연장부(172)는 그 전면(173)이 전방 및 상방을 향하고 있다.
또한, 저부형성부(161) 및 상부 커버부(163)의 내측이 지폐를 집적시키기 위한 집적공간부(174)로 되어 있다. 이 집적공간부(174)의 상부는 오퍼레이터가 지폐를 취출하기 위한 리젝트구(175)로 되어 있다. 즉, 리젝트구(175)는 저부형성부(161)의 전판부(166)의 상단부와, 저부형성부(161)의 양측판부의 상단부와, 상부 커버부(163)의 제2판부(171)의 전단부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리젝트부(72)의 저부형성부(161)의 전판부(166)와 상부 커버부(163)의 제1판부(170)의 거리는, 제1집적부(69)의 저부형성부(74)의 전판부(82)와 제1 가이드부재(104)의 거리보다 짧게 되어 있다. 이에 따라, 리젝트부(72)의 집적공간부(174)는 제1집적부(69)의 집적공간부(109)보다 용적이 작게 되어 있다.
리젝트부(72)도 제1집적부(69)와 같은 잔류지폐 검지센서(111) 및 풀 검지센서(114)를 가지고 있다(도 2 참조). 리젝트부(72)에는 이들 발광소자로부터 수광소자를 향하여 출력되는 광을 통과시키는 구멍도 형성되어 있다.
개폐기구부(164)는 오퍼레이터에 의해 수동으로 개폐되는 것으로, 개폐문(177)과, 회전축(178)과, 스프링재(미도시)를 가지고 있다.
회전축(178)은 저부형성부(161)의 상판부(167)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다. 회전축(178)은 좌우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스프링재는 회전축(178)을 그 상부가 후방으로 이동하는 방향으로 가압한다.
개폐문(177)은 상기 회전축(178)에 고정되어 있다. 개폐문(177)은 제1평판부(180)와, 제2평판부(181)와, 지지부(182)를 가지고 있다.
제1평판부(180)와 제2평판부(181)는 둔각을 이루고 있다.
지지부(182)는 제2평판부(181)의 제1평판부(180)에 대하여 반대측에 형성되어 있다.
이 개폐문(177)은 지지부(182)가 회전축(178)에 고정되어 있다.
개폐문(177)은 오퍼레이터의 힘이 걸리지 않은 상태에서는, 스프링재의 탄성가압력으로 제2평판부(181)보다 제1평판부(180)를 후방에 배치하고, 또한 제2평판부(181)를 세운 상태에서 리젝트구(175)를 폐쇄시킨다.
이와 같이 리젝트구(175)를 폐쇄한 상태의 개폐문(177)은 그 제1평판부(180)가 지폐배출기구부(162)의 공급방향의 전방에 위치하게 된다. 이에 따라, 폐쇄 상태의 개폐문(177)은 지폐배출기구부(162)에서 공급된 지폐의 공급방향의 이동을 규제한다. 그 결과, 지폐배출기구부(162)는 공급된 지폐의 후단부를 임펠러(102)로 두드릴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개폐문(177)이 리젝트구(175)를 폐쇄한 상태에서, 오퍼레이터가 수동으로 개폐문(177)을 회전시킨다. 그러면, 개폐문(177)은 회전축(l78)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전방으로 쓰러진다. 이에 따라, 리젝트구(175)가 개방된다. 한편, 이 상태에서 오퍼레이터가 개폐문(177)으로의 힘을 빼면, 스프링재의 탄성압력에 의해 개폐문(177)은 회전하여 리젝트구(175)를 폐쇄시킨다.
또한, 리젝트부(72)에는 제1집적부(69)에서는 설치되어 있던 가이드기구부(144) 및 압출부재(154)는 설치되어 있지 않다.
이상에 따라, 리젝트부(72)의 개폐문(177)은 언제나 오퍼레이터가 수동으로 리젝트구(175)를 개폐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집적부(69 내지 71)의 셔터(118)에서는, 오퍼레이터가 수동으로는 취출구(110)를 개폐할 수 없는 상태를 필요에 따라 만들어낼 수 있다. 더구나, 집적부(69 내지 71)의 셔터(118)는 자동으로 개폐하게 된다.
[조작부]
조작부(15)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 쌍의 스타트/스톱키(184, 184)와, 제1조작부(185)와, 제2조작부(186)를 가지고 있다.
일방의 스타트/스톱키(184)는 기체(10)의 상면부(25)의 리젝트부(72)에 대하여 좌측에 설치되어 있다. 타방의 스타트/스톱키(184)는 기체(10)의 상면부(25)의 리젝트부(72)에 대하여 우측에 설치되어 있다. 이들 스타트/스톱키(184)는 누를 때마다 신호를 제어부(17)로 출력한다.
제1조작부(185)는 기체(10)의 상면부(25)의 제2집적부(70)의 좌측에 설치되어 있다.
제1조작부(185)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치」(batch)의 문자가 표시된 「배치」키(188)와, 「전면/후면」의 문자가 표시된 「표리」키(189)와, 「정상/손상」의 문자가 표시된 「정손」키(190)와, 「UV」의 문자가 표시된 「UV」키(191)와, 「100」의 숫자가 표시된 「100」키(192)와, 「50」의 숫자가 표시된 「50」키(193)와, 「10」의 숫자가 표시된 「10」키(194)와, 「OL」의 문자가 표시된 「OL」키(195)와, 「프린트」의 문자가 표시된 「인자」키(196)와, 「기능」의 문자가 표시된 「기능」키(197)를 가지고 있다. 이들 키(188 내지 197)는, 누를 때마다 신호를 제어부(17)로 출력한다.
제1조작부(185)에는 문이 설치되어 있지 않고, 항상 외부에 노출되어 있다. 이것은, 제1조작부(185)는 사용빈도가 높기 때문이다.
제2조작부(186)는 기체(10)의 상면부(25)의 제1조작부(185)보다 앞에 설치되어 있다. 제2조작부(186)는 제1조작부(185)와 이웃하고 있다.
제2조작부(186)는 「0」의 문자가 표시된 「0」키 내지 「9」의 문자가 표시된 「9」키를 갖는 텐키(199), 「매액(枚額)」의 문자가 표시된 「매액」키(200), 「합계」의 문자가 표시된 「합계」키(201), 「설정」의 문자가 표시된 「설정」키(202), 「모드」의 문자가 표시된 「모드」키(203), 「CE」의 문자가 표시된 「CE」키(204) 및「ENT」의 문자가 표시된 「ENT」키(205)를 가지고 있다. 이들 키(199 내지 205)는 누를 때마다 신호를 제어부(17)로 출력한다.
이 제2조작부(186)에는 수동의 슬라이드문(206)이 설치되어 있어, 외부에 노출되는 상태와 외부에 노출되지 않는 상태로 절환된다. 이것은 제2조작부(186)는 사용빈도가 낮기 때문이다.
이상에 설명한 키(184, l88 내지 197, 199 내지 205)의 기능에 대하여 도 11의 도표로 나타낸다.
이 도표에 있어서, 「분류설정」에서 ○가 표시되어 있는 것은, 주로 장전부(11)에 장전된 지폐를 집적부(69 내지 71)에 분류시키는 분류처리시의 분류방법을 설정하는 분류설정시에 사용되는 키이다.
또한, 이 도표에 있어서, 「기능설정」에서 ○가 표시되어 있는 것은, 주로 이하의 ① 내지 ③의 기능설정을 행하는 경우에 사용된다.
① 배치처리의 매수의 설정. 여기서, 배치처리는 장전부(11)에 장전된 지폐를 미리 정해진 매수(예컨대 100장)씩으로 나누는 처리이다.
② 손권(損券)판별 레벨의 설정. 여기서, 손권판별레벨은 제1감별부(66)에서 검출한 지폐가 정권(正券)인지 손권인지를 구별할 때의 판정 레벨이다. 손권판별 레벨은 H, M, L의 3단계가 있다. H는 높은 레벨, M은 중간 레벨, L은 낮은 레벨이 된다. 손권 판별 레벨이 H인 경우, 지폐의 오손 및 손상의 정도가 작더라도 손권이라고 판정된다. 반대로, 손권 판별 레벨이 L인 경우, 지폐의 오손 및 손상의 정도가 비교적 크더라도 손권이라고 판정되지 않는다.
③ UV 판별 레벨의 설정. 여기서, UV 판별 레벨은, 제2감별부(67)가 지폐에 조사한 자외선에 의해 지폐에 생기는 가시반사광의 검출의 유무를 판정할 때의 판정 레벨이다.
UV 판별 레벨은 H, M, L의 3단계가 있다. H는 높은 레벨, M은 중간 레벨, L은 낮은 레벨이 된다. UV 판별 레벨이 L인 경우, 지폐로부터의 반사광이 적더라도 반사광 있음으로 판정된다. 반대로, UV 판별 레벨이 H인 경우, 지폐로부터의 반사광이 비교적 높더라도 반사광 없음으로 판정된다.
수가 한정된 이들 키(184, 188 내지 197, 199 내지 205)에서 다수의 설정을 행한다. 이 때문에, 하나의 키가 복수의 기능을 가지고 있다. 이하, 각 키(184, 188 내지 197, 199 내지 205)의 주된 기능을 설명하기로 한다.
스타트/스톱키(184)는 분류처리의 개시 및 정지를 조작하는 경우에 오퍼레이터에 의해 눌러진다. 또한, 분류처리의 종료후, 셔터(118)를 열 때 오퍼레이터에 의해 눌러진다.
지폐정리기가 분류처리를 행하고 있지 않은 대기상태에 있어서 스타트/스톱키(184) 중 어느 일방으로부터 신호가 출력된다. 그러면, 제어부(17)에서는 지폐정리기를 이 스타트/스톱키(184)의 점유상태로 한다. 즉, 다음에 대기상태가 될 때 까지 타방의 스타트/스톱키(184)로부터의 신호는 접수하지 않은 상태가 된다.
「배치」키(188)는, 예컨대 분류처리에 배치처리를 조합하여 실시하는 처리를 설정하는 경우에 오퍼레이터에 의해 눌러진다. 또한, 「배치」키(188)는 분류처리의 실행 중에 집적부(69∼71)의 지폐의 잔량을 표시부(16)에 표시시키는 경우에 오퍼레이터에 의해 눌러진다.
「표리(表裏)」키(189)는, 예컨대 분류처리로서 표리분류처리를 설정하는 경우에 오퍼레이터에 의해 눌러진다. 여기서, 표리분류처리란, 장전부(11)에 장전된 지폐를 앞면이 일방을 향한 것과 후면이 상기 일방을 향한 것으로 분리하는 처리이다.
「정손」키(190)는, 예컨대 분류처리로서 정손분류처리를 설정하는 경우에 오퍼레이터에 의해 눌러진다. 또한, 「정손」키(190)는 이미 설정되어 있는 손권판별레벨의 내용을 표시부(16)에 표시시키는 경우에 오퍼레이터에 의해 눌러진다. 여기서, 정손분류처리란, 장전부(11)에 장전된 지폐를 정권과, 손권으로 분리하는 처리이다.
「UV」키(191)는, 예컨대 리젝트부(72)로 공급된 지폐의 내용을 표시부(16)에 표시시킬 때 오퍼레이터에 의해 눌러진다.
「100」키(192)는, 예컨대 A 금종을 선택할 때 오퍼레이터에 의해 눌러진다.예컨대, 이 지폐정리기가 일본 국내에서 사용되는 경우에는 A 금종은 만엔권이고, 이것을 나타내는 수치는「100」이 된다.
「50」키(193)는, 예컨대 B 금종을 선택할 때 오퍼레이터에 의해 눌러진다. 예컨대, 이 지폐정리기가 일본 국내에서 사용되는 경우에는, B 금종은 5000엔권이고, 이것을 나타내는 수치는 「50」이 된다.
「10」키(194)는, 예컨대 C 금종을 선택할 때 오퍼레이터에 의해 눌러진다. 예컨대, 이 지폐정리기가 일본 국내에서 사용되는 경우에는, C 금종은 천엔권이고, 이것을 나타내는 수치는 「10」이 된다.
「OL」키(195)는, 예컨대 이 지폐정리기와 다른 기기를 접속하고 온라인으로 데이터 통신을 행하는 경우에 오퍼레이터에 의해 눌러진다.
「배치」키(188), 「표리」키(189), 「정손」키(190), 「UV」키(191), 「100」키(192), 「50」키(193), 「10」키(194) 및「설정」키(202)에 의해, 장전부(11)에 장전되는 지폐의 분류 방법을 정하는 복수의 분류처리모드 중에서 하나의 분류처리 모드를 선택하는 조작이 이루어진다.
「인자」키(196)는, 예컨대 설정 데이터나 처리에 의해 얻어진 데이터를 인자시키는 경우에 오퍼레이터에 의해 눌러진다.
「기능」키(197)는, 예컨대 복수의 기능 설정 중의 하나를 선택하는 경우에 오퍼레이터에 의해 눌러진다.
텐키(199)는, 예컨대 수치를 입력할 때 오퍼레이터에 의해 눌러진다.
「매액」키(200)는, 예컨대 표시부(16)에 매수를 표시하거나(매수표시라 함), 금액을 표시하는(금액표시라 칭함) 것을 절환하는 경우에 오퍼레이터에 의해 눌러진다.
또한, 분류처리가 개시될 때에는, 매수표시 및 금액표시 중 어느 하나가 최초로 표시되도록 미리 설정되어 있다.
「합계」키(201)는, 예컨대 표시부(16)에 합계치를 표시하거나(합계표시라 함), 소계치를 표시하는(소계표시라 함) 것을 절환하는 경우에 오퍼레이터에 의해 눌러진다. 이 소계치란, 각 집적부(69 내지 71)의 각각 실제로 집적되어 있는 지폐의 매수 또는 금액의 개별값, 및 이들 전 집적부(69 내지 71)의 매수 또는 금액의 값을 누계한 값이다. 합계치란, 하나의 분류처리에 있어서 각 집적부(69 내지 71)에 각각 보내진 지폐의 매수 또는 금액의 개별값, 및 이들 전 집적부(69 내지 71)의 매수 또는 금액의 값을 누계한 값이 된다.
또한, 분류처리가 개시될 때에는, 소계표시 및 합계표시 중 어느 하나가 최초로 표시되도록 미리 설정되어 있다.
「설정」키(202)는, 예컨대 설정의 초기화를 행하는 경우에 오퍼레이터에 의해 눌러진다.
「모드」키(203)는, 예컨대 처리 모드를 설정하는 경우에 오퍼레이터에 의해 눌러진다.
「CE」키(204)는, 입력된 수치를 취소하는 경우에 오퍼레이터에 의해 눌러진다.
「ENT」키(205)는, 입력된 내용을 확정하는 경우에 오퍼레이터에 의해 눌러진다.
[표시부]
표시부(16)는, 기능표시부(208)와, 전체표시부(전체표시수단)(209)와, 제1개별표시부(표시수단)(210)와, 제2개별표시부(표시수단)(211)와, 제3개별표시부(표시수단)(212)와, 리젝트표시램프(213)와, 한 쌍의 점유표시램프(214, 214)를 가지고 있다. 이들은, 각각 표시할 내용을 변경할 수 있고, 각각의 표시내용이 제어부(17)에 의해 제어되게 되어 있다.
기능표시부(208)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체(10)의 상면부(25)의 제1조작부(185)보다 후방에 설치되어 있다. 기능표시부(208)는 제1조작부(185)와 이웃하고 있다. 기능표시부(208)는, 기능설정시의 설정 내용 및 가이던스를 표시한다. 또한, 기능표시부(208)는, 전체표시부(209) 및 개별표시부(210 내지 212)에 표시되는 이외의 정보를 표시한다. 그 표시내용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되어 있다.
전체표시부(209)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체(10)의 상면부(25)의 최후방에 설치되어 있다. 이 전체표시부(209)는, 예컨대 집적부(69 내지 71)의 전부에 집적된 지폐의 매수 및 금액의 적어도 어느 하나를 표시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 전체표시부(209)는 모든 집적부(69 내지 71)에 공통하는 것으로, 예컨대 지폐정리기의 전체에 관한 데이터를 표시한다. 그 표시내용은,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되어 있다.
즉, 전체표시부(209)는, 가이던스 표시부(216)와, 「이상(異常)」램프(217)와, 「합계」램프(218)와, 「매수」램프(219)와, 「금액」램프(220)와, 디지털표시부(221)를 가지고 있다. 여기서「매수」램프(219) 및 「금액」램프(220)를 전체매액 램프군(222)이라 칭한다.
가이던스 표시부(216)는, 전체표시부(209)의 가장 좌측에 설치되어 있다. 가이던스 표시부(216)는 지폐정리기의 개략적인 레이아웃도가 표시되어 있다. 이 개략적인 레이아웃도에는, 지폐정리기의 각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LED(223)가 설치되어 있다. 이 LED(223)는 점등/소등된다.
집적부(69 내지 71) 및 리젝트부(72)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집적된 지폐가 가득찬 것이 풀검지센서(114)에서 검출된다. 이 경우, 제어부(17)는 이상이라고 판단한다. 그리고, 제어부(17)는 가이던스 표시부(216)의 이상 대상 지역에 대응하는 LED(223)를 점등시킨다.
또한, 반송부(12)에 설치된 지폐검지센서(64)에서 반송불량이 검출된 경우에도, 제어부(17)는 이상이라고 판단한다. 그리고, 제어부(17)는 가이던스 표시부(216)의 이상 대상 개소에 대응하는 LED(223)를 점등시킨다.
또한, 배치처리시에 있어서도, 제어부(17)는 집적지폐가 배치매수에 도달한 집적부(69 내지 71)가 있으면, 이에 대응하는 가이던스 표시부(216)의 LED(223)를 점등시킨다.
「이상」램프(217)는, 가이던스 표시부(216)의 우측 상방에 설치되어 있다. 이 「이상」램프(217)는 이상이 생긴 것을 표시하는 「이상」이라는 문자와, 이 「이상」의 문자의 뒷편에 설치된 LED로 이루어진 백라이트를 가지고 있다. 이 백라이트는 점등/소등된다.
집적부(69 내지 71)및 리젝트부(72)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집적된 지폐가 가득찬 것이 풀검지센서(114)에서 검출된다. 이 경우, 제어부(17)는 이상이라고 판단한다. 그리고, 제어부(17)는 「이상」램프(217)를 점등시킨다.
또한, 반송부(12)에 설치된 지폐검지센서(64)에서 반송불량이 검출된 경우에도, 제어부(l7)는 이상이라고 판단한다. 그리고, 제어부(17)는 「이상」램프(217)를 점등시킨다.
「합계」램프(218)는, 「이상」램프(217)의 하측에 설치되어 있다. 이 「합계」램프(218)는 「합계」의 문자와, 이 「합계」의 문자의 뒤쪽에 설치된 LED로 이루어진 백라이트를 가지고 있다. 이 「합계」의 문자는 금액의 합계치 또는 매수의 합계치를 디지털 표시부(221)에 표시하는 것을 나타낸다. 백라이트는 점등/소등된다.
「매수」램프(219)는, 「이상」램프(217)의 우측에 설치되어 있다. 「매수」램프(219)는 매수를 나타내는 문자 「매수」와 이 「매수」의 문자의 뒤쪽에 설치된 LED로 이루어진 백라이트를 가지고 있다. 이 백라이트는 점등/소등된다.
「금액」램프(220)는, 「합계」램프(218)의 우측에 설치된다. 「금액」램프(220)는 금액을 나타내는 문자 「금액」과, 이 「금액」의 문자의 뒤쪽에 설치된 LED로 이루어진 백라이트를 가지고 있다. 이 백라이트는 점등/소등된다.
디지털표시부(221)는 「매수」램프(219) 및 「금액」램프(220)의 우측에 설치되어 있고, 임의의 8자리의 수치를 표시할 수 있는 LED로 이루어진다.
제1개별표시부(21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집적부(69)의 연장부(106)에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제1개별표시부(210)는, 제1집적부(69)의 취출구(1l0) 및 셔터(118)의 바로 뒤에 설치되어 있다. 이 제1개별표시부(210)는 이에 대응하는 제1집적부(69)에 관한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 데이터는, 예컨대 제1집적부(69)에 집적된 지폐의 매수 및 금액의 적어도 어느 하나이다.
제2개별표시부(211)는 제2집적부(70)의 연장부(106)에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제2개별표시부(2l1)는 제2집적부(70)의 취출구(110) 및 셔터(118)의 바로 뒤에 설치되어 있다. 이 제2개별표시부(211)는 이에 대응하는 제2집적부(70)에 관한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게 된다. 이 데이터는, 예컨대 제2집적부(70)에 집적된 지폐의 매수 및 금액의 적어도 어느 하나이다.
제3개별표시부(212)는 제3집적부(71)의 연장부(106)에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제3개별표시부(212)는 제3집적부(71)의 취출구(110) 및 셔터(118)의 바로 뒤에 설치되어 있다. 이 제3개별표시부(212)는 이에 대응하는 제3집적부(71)에 관한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 데이터는, 예컨대 제3집적부(71)에 집적된 지폐의 매수 및 금액의 적어도 어느 하나이다.
이에 따라 복수의 집적부(69 내지 71)에는 각각에 대응하여 개별표시부(210 내지 212)가 설치되어 있다.
제1개별표시부(210), 제2개별표시부(211) 및 제3개별표시부(212)는 모두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금종(金種) 램프군(224)과, 내용 램프군(225)과, 매액 램프군(226)과, 디지털 표시부(227)를 가지고 있다.
금종 램프군(224)은, 「100」램프(229), 「50」램프(230) 및 「10」램프(231)를 가지고 있다.
내용 램프군(225)은, 전면 램프(232), 후면 램프(233), 정 램프(234) 및 손 램프(235)를 가지고 있다.
매액 램프군(226)은, 「매수」램프(237)와, 「금액」램프(238)를 가지고 있다.
「100」램프(229)는 A 금종을 나타내는 숫자인 「100」과, 이 「100」의 숫자의 뒷편에 설치된 LED로 이루어지는 백라이트를 가지고 있다. 이 백라이트는 점등/소등된다.
「50」램프(230)는, 「100」램프(229)의 우측에 설치되어 있다. 「50」램프는, B 금종을 나타내는 숫자인 「50」과, 이 「50」의 숫자의 뒷편에 설치된 LED로 이루어지는 백라이트를 가지고 있다. 이 백라이트는 점등/소등된다.
「10」램프(231)는, 「50」램프(230)의 우측에 설치되어 있다. 「10」램프(231)는, C 금종을 나타내는 숫자인 「10」과, 이 「10」의 숫자의 뒷편에 설치된 LED로 이루어지는 백라이트를 가지고 있다. 이 백라이트는 점등/소등된다.
전면 램프(232)는 「10」램프(231)의 우측 상방에 설치된 LED로, 점등/소등된다. 전면 램프(232)의 우측에는, 지폐의 앞면을 나타내는 문자인 「전면」이 표시되어 있다.
후면 램프(233)는 전면 램프(232)의 밑에 설치된 LED로 점등/소등된다. 이 후면 램프(233)의 우측에는, 지폐의 뒷면을 나타내는 문자인 「후면」이가 표시되어 있다.
정 램프(234)는 문자 「표면」의 우측에 설치된 LED로, 점등/소등된다. 이 정 램프(234)의 우측에는 정권을 나타내는 문자인 「정상」이 표시되어 있다.
손 램프(235)는 정 램프(234)의 밑에 설치된 LED로, 점등/소등된다. 이 손 램프(235)의 우측에는 손권을 나타내는 문자인 「손상」이 표시되어 있다.
「매수」램프(237)는 문자 「정」의 우측쪽에 설치되어 있다. 「매수」램프(237)는 매수를 나타내는 문자인 「매수」와, 이 「매수」의 문자 뒷편에 설치된 LED로 이루어지는 백라이트를 가지고 있다. 이 백라이트는 점등/소등된다.
「금액」램프(238)는 문자 「손상」의 우측에 설치되어 있다. 「금액」램프(238)는 금액을 나타내는 문자인 「금액」과, 이 「금액」 문자의 뒷편에 설치된 LED로 이루어지는 백라이트를 가지고 있다. 이 백라이트는 점등/소등된다.
디지털 표시부(227)는 「매수」램프(237) 및 「금액」램프(238)의 우측에 설치되어 있고, 임의의 8자리의 수치를 표시할 수 있는 LED로 이루어진다.
리젝트표시램프(213)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젝트부(72)의 연장부(172)에 설치된 LED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리젝트표시램프(213)는 리젝트부(72)의 리젝트구(175) 및 개폐문(177)의 바로 뒤에 설치되어 있다. 제어부(17)는 리젝트부(172)의 잔류지폐검지센서(111)가 지폐를 검지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리젝트표시 램프(213)를 점등시킨다. 제어부(17)는 리젝트부(172)의 잔류지폐검지센서(111)가 지폐를 검지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리젝트표시램프(213)를 소등시킨다.
점유표시램프(214, 214)는 스타트/스톱키(184, 184)의 바로 뒤에 설치된 LED로 이루어진다. 좌측의 점유표시램프(214)는 좌측의 스타트/스톱키(184)가 지폐정리기를 점유한 상태인 경우에 점등한다. 우측의 점유표시램프(214)는, 우측의 스타트/스톱키(184)가 지폐정리기를 점유한 상태인 경우에 점등한다.
이어서, 지폐정리기의 설정처리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기능설정
기능설정시에는, 설정조작의 내용에 따라 필요한 정보가 도 10에 도시한 기능표시부(208)에 표시되게 된다. 오퍼레이터는, 이 표시내용을 확인하면서 원하는 기능설정을 행한다.
기능설정시에 있어서의 조작부(15)의 조작내용 및 기능표시부(208)의 표시내용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오퍼레이터에 의해 메인 스위치(27)가 ON되면, 제어부(17)는 기능표시부(208)에 도 10에 도시한 내용을 표시한다.
즉, 제어부(17)는 기능표시부(208)의 상단의 좌측에 날짜를 표시하고, 상단의 우측에 시간을 표시한다. 또한, 제어부(17)는 기능표시부(208)의 하단의 좌측에 그 시점에서 메모리에 기억되어 있는 배치처리매수의 수치(예컨대 「100」)를 표시한다. 또한, 제어부(17)는 기능표시부(208)의 하단의 중앙에 손권판별레벨을 나타내는 문자 「UF」와 그 시점에서 메모리에 기억되어 있는 손권판별레벨의 고저(예컨대 「H」)를 표시한다. 또한, 제어부(17)는 기능표시부(208)의 하단의 우측에 UV 검출 레벨을 나타내는 문자 「UV」와 그 시점에서 메모리에 기억되어 있는 UV 검출 레벨의 고저(예컨대「H」)를 표시한다.
그리고, 메인 스위치(27)가 ON된 후, 예컨대 소정시간이 경과하면, 제어부(17)는 지폐정리기를 대기상태로 하고, 기능표시부(208)에, 도 12(a)에 도시한 내용을 표시한다. 즉, 제어부(17)는 상단의 날짜를 바꿔 오퍼레이터 번호를 나타내는 문자 「0P.」와, 그 시점에서 메모리에 기억되어 있는 오퍼레이터 번호를 나타내는 수치(예컨대「123」)를 표시한다.
또한, 어떠한 처리가 끝나 지폐정리기가 대기상태가 되면, 제어부(17)는 기능표시부에 초기 상태로서 도 12(a)의 내용을 표시한다.
이 대기상태에 있을 때만, 후술하는 분류설정이 가능해진다.
이 대기상태에 있을 때만, 장전부(11)에 장전된 지폐의 분류처리가 실행가능하게 된다. 이 경우, 스타트/스톱키(184)가 눌러지면, 제어부(17)는 그 시점에서 설정된 기능설정의 내용 및 분류설정의 내용에 의해 분류처리를 실행한다.
초기 상태로부터, 오퍼레이터가 「ENT」키(205)를 누른다. 그러면, 제어부(17)는 기능표시부(208)에, 도 12(b)에 도시한 내용을 표시한다. 즉, 제어부(17)는 도 12(a)에 도시한 내용 중, 오퍼레이터 번호를 나타내는 수치를 빈칸으로 한다. 그리고, 오퍼레이터가, 텐키(199)를 이용하여 오퍼레이터 번호를 입력시킨다. 그러면, 제어부(17)는 상기 빈칸 부분에 텐키(199)에 의해 입력된 수치를 표시한다.
텐키(199)에 의해 수치가 입력되고, 「ENT」키(205)가 눌러지면, 제어부(17)는 입력된 오퍼레이터 번호의 수치를 메모리에 기억시킨다. 그리고, 제어부(17)는 기능표시부(208)에, 도 12(c)에 도시한 내용을 표시한다. 즉, 제어부(17)는 배치매수라는 의미를 나타내는 문자 「BATCH」와, 그 시점에서 메모리에 기억되어 있는 배치매수의 수치(예컨대 「100」)를 기능표시부(208)에 표시한다.
또한, 텐키(199)에 의해 입력한 수치가 틀린 경우, 「CE」키(204)를 누르면, 입력된 수치가 소거된다.
기능표시부(208)에, 도 12(c)에 도시한 내용을 표시한 상태에서, 오퍼레이터에 의해 「설정」키(202)가 눌러지면, 제어부(17)는 기능표시부(208)에, 도 12(d)에 도시한 내용을 표시한다. 즉, 제어부(17)는, 도 12(c)에 도시한 내용 중, 배치매수의 수치(예컨대「(100)」)의 우측으로 변경이라는 의미를 나타내는 기호 「-〉」를 표시하고, 상기 기호의 우측을 빈칸으로 한다. 그리고, 오퍼레이터가 텐키(199)를 이용하여 배치매수의 수치를 입력한다. 그러면, 제어부(17)는 상기 빈칸에 텐키(199)로 입력된 수치를 표시한다. 그리고, 오퍼레이터에 의해 텐키(199)로 수치가 입력되고, 「ENT」키(205)가 눌러진다. 그러면, 제어부(17)는 메모리에 기억되어 있는 배치매수를 새롭게 입력된 수치로 변경한다. 동시에, 제어부(17)는 기능표시부(208)에, 도 12(c)에 도시한 내용을 표시한다. 단, 제어부(17)는 이 때의 배치매수의 수치로서 메모리에 새롭게 기억된 수치를 표시한다.
도 12(c)에 도시한 내용의 표시 중에, 「ENT」키(205)가 압압되면, 제어부(17)는 도 12(e)에 도시한 내용을 기능표시부(208)에 표시한다. 즉, 제어부(17)는 손권판별레벨이라는 의미를 나타내는 문자 「UF」와, 그 시점에서 메모리에 기억되어 있는 손권판별레벨의 고저를 나타내는 문자(예컨대「H」)를 기능표시부(208)의 상단의 좌측에 표시한다. 또한, 제어부(17)는 A 금종을 나타내는 숫자「100」과, 오손 판별레벨이라는 의미를 나타내는 문자 「D」와, 그 시점에서 메모리에 기억되어 있는 A 금종의 오손판별레벨의 수치(예컨대「8」)와, 손상의 판별 레벨이라는 의미를 나타내는 문자 「T」와, 그 시점에서 메모리에 기억되어 있는 A 금종의 손상판별레벨의 수치(예컨대「8」)를, 기능표시부(208)의 상단 우측에 표시한다. 또한, 제어부(17)는 B 금종을 나타내는 숫자 「50」과, 오손판별레벨이라는 의미를 나타내는 문자「D」와, 그 시점에서 메모리에 기억되어 있는 B 금종의 오손판별레벨의 수치(예컨대「8」)와, 손상판별레벨이라는 의미를 나타내는 문자「T」와, 그 시점에서 메모리에 기억되어 있는 B 금종의 손상판별레벨의 수치(예컨대「8」)를, 기능표시부(208)의 하단 좌측에 표시한다. 또한, 제어부(17)는 C 금종을 나타내는 숫자「10」과, 오손판별레벨이라는 의미를 나타내는 문자「D」와, 그 시점에서 메모리에 기억되어 있는 C 금종의 오손판별레벨의 수치(예컨대「8」)와, 손상판별레벨이라는 의미를 나타내는 문자「T」와, 그 시점에서 메모리에 기억되어 있는 C 금종의 손상판별레벨의 수치(예컨대「8」)를, 기능표시부(208)의 하단 우측에 표시한다. 여기서, 판별 레벨은 1 내지 10의 수치 중 어느 하나이다.
이 상태에서, 오퍼레이터가 손권판별레벨을 변경할 때는, 「설정」키(202)를 누른다. 그러면, 제어부(17)는 기능표시부(208)에, 도 12(f)에 도시한 내용을 표시한다. 즉, 제어부(17)는, 도 12(e)에 도시한 내용 중, A 금종의 오손판별레벨의 수치를 빈칸으로 한다. 그리고, 「설정」키(202)를 누르는 회수에 따라 빈칸의 위치를 이동시킨다. 그리고, 적절한 위치에 빈칸을 위치시킨 상태에서, 오퍼레이터가 텐키(199)를 이용하여 수치를 입력한다. 그러면, 제어부(17)는 상기 빈칸에 텐키(199)에 의해 입력된 수치를 표시한다. 텐키(199)에 의해 수치가 입력되고, 「ENT」키(205)가 눌러진다. 그러면, 제어부(17)는 메모리에 기억되어 있는 판별레벨수치를 새롭게 입력된 수치로 변경한다. 동시에, 제어부(17)는 기능표시부(208)에, 도 12(e)에 도시한 내용을 표시한다. 단, 이 때 판별 레벨의 수치로는 메모리에 새롭게 기억된 수치가 표시된다. 또한, 이들 수치로부터, 필요한 경우 그 시점에서 메모리에 기억되어 있는 판별 레벨의 고저를 나타내는 문자(H 내지 L)를 절환한다.
도 12(e)에 도시한 내용의 표시 중, 「ENT」키(205)가 눌러지면, 제어부(17)는, 도 12(g)에 도시한 내용을 기능표시부(208)에 표시한다. 즉, 제어부(17)는 UV 검출 레벨이라는 의미를 나타내는 문자 「UV」와, 그 시점에서 메모리에 기억되어 있는 UV 검출 레벨의 고저를 나타내는 문자(예컨대「H」)를 기능표시부(208)의 상단 좌측에 표시한다. 또한, 제어부(17)는 A 금종을 나타내는 숫자 「100」과, 그 시점에서 메모리에 기억되어 있는 A 금종의 UV 검출 레벨의 수치(예컨대「8」)를 기능표시부(208)의 상단 우측에 표시한다. 또한, 제어부(17)는 B 금종을 나타내는 숫자 「50」과, 그 시점에서 메모리에 기억되어 있는 B 금종의 UV 검출 레벨의 수치(예컨대 「8」)를 기능표시부(208)의 하단 좌측에 표시한다. 또한, 제어부(17)는 C 금종을 나타내는 숫자「10」과, 그 시점에서 메모리에 기억되어 있는 C 금종의 UV 검출 레벨의 수치(예컨대 「8」)를, 기능표시부(208)의 하단 우측에 표시한다. UV 검출 레벨은 1 내지 10의 수치 중 어느 하나이다.
이 상태에서, 오퍼레이터가 UV 검출 레벨을 변경할 때는, 「설정」키(202)를 누른다. 그러면, 제어부(17)는 기능표시부(208)에, 도 12(h)에 도시한 내용을 표시한다. 즉, 제어부(17)는, 도 12(g)에 도시한 내용 중, A 금종의 UV 검출 레벨의 수치를 빈칸으로 한다. 그리고, 「설정」키를 누르는 회수에 따라, 빈칸의 위치를 이동시킨다. 그리고, 적절한 위치에 빈칸을 위치시킨 상태에서, 오퍼레이터가 텐키(199)를 이용하여 수치를 입력시킨다. 그러면, 제어부(17)는 상기 빈칸에 텐키(199)에 의해 입력된 수치를 표시한다. 텐키(199)에 의해 수치가 입력되고, 「ENT」키(205)가 눌러진다. 그러면, 제어부(17)는 메모리에 기억되어 있는 UV 검출 레벨의 수치를 새롭게 입력된 수치로 변경한다. 동시에, 제어부(17)는, 도 12(g)에 도시한 내용을 표시한다. 단, 이 때, 판별 레벨의 수치로는 메모리에 새롭게 기억된 수치가 표시된다.
도 12(g)에 도시한 내용의 표시 중, 「ENT」키(205)가 압압되면, 제어부(17)는, 도 12(a)에 도시한 내용을 기능표시부(208)에 표시한다. 즉, 기능설정을 종료한다.
분류처리모드의 설정
분류처리모드의 설정은, 상기 기능설정이 행해지지 않는 대기상태에서 행하여진다. 이 분류처리모드의 설정조작의 내용에 따라 제어부(17)는 필요한 정보를 전체표시부(209) 및 개별표시부(210 내지 212)에 표시하게 된다. 즉, 제어부(17)는 지폐처리기 전체에 관한 설정내용에 따른 표시를 전체표시부(209)에 표시한다. 또한, 제어부(17)는 제1집적부(69)에 관한 설정내용에 따른 표시를 제1개별표시부(210)에 표시한다. 또한, 제어부(17)는 제2집적부(70)에 관한 설정내용에 따른 설정을 제2개별표시부(211)에 표시한다. 또한, 제어부(17)는 제3집적부(71)에 관한 설정내용에 따른 표시를 제3개별표시부(212)에 표시한다. 그리고, 오퍼레이터는, 이들 표시내용을 확인하면서 원하는 설정을 행한다. 또한, 제어부(17)는 전체표시부(209) 및 개별표시부(210 내지 212)에 그 시점에서 설정되어 있는 내용에 따른 표시를 항상 행하게 한다.
이 분류처리모드의 설정은, 「배치」키(188), 「표리」키(189), 「정손」키(190), 「UV」키(191), 「100」키(192), 「50」키(193), 「10」키(194) 및 「설정」키(202)의 조작에 의해 행하여진다. 분류설정은, 도 13의 일람표에 도시한 복수종류의 분류설정의 내용 중 하나가 선택된다. 또한, 이하에서는 「표리」키(189), 「정손」키(190), 「UV」키(191), 「100」키(192), 「50」키(193) 및 「10」키(194)의 6개의 키를 정리하여 설정 키군(240)으로 한다.
또한, 도 13에서 ○가 표시되어 있는 것은, 배치처리를 조합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배치」키(188)가 입력된 경우, 제어부는, 이하에 설명하는 설정중, 배치처리를 조합할 수 있는 것에 있어서는, 배치처리를 조합하여 실시하는 분류처리모드를 설정하게 된다.
이하의 설정에 배치처리가 조합된 경우, 다음과 같은 처리를 제어부(17)는 실시하게 된다. 분류처리 중에 집적부(69 내지 71) 중 어느 하나에 집적된 지폐의 매수가 배치매수에 도달한다. 그러면, 제어부(17)는 분류처리를 일단 중단시킨다. 그리고, 배치매수에 달한 집적지폐(S)가 취출된 것이 잔류지폐검지센서(111)에서 검지되면, 분류처리를 재개한다.
또는, 제어부(17)는 다음과 같은 처리를 실시하게 된다. 분류처리 중에 집적부(69 내지 71) 중 어느 하나에 집적된 지폐의 매수가 배치매수에 달한다. 그러면, 이 지폐와 같은 지폐를 집적시키는 다른 집적부가 있는 경우에는, 이 집적부에 그 후의 지폐는 집적시킨다.
분류처리 모드의 설정의 내용을 도 13을 참조하여 이하에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도 13은 이 지폐정리기가 일본 국내에서 사용되는 경우에 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이에 따라, 도 13에서는, A 금종은 만엔권이고, 이를 나타내는 수치는 「100」으로 되어 있다. 또한, B 금종은 5000엔권이고, 이를 나타내는 수치는 「50」으로 되어 있다. 또한, C 금종은 천엔권이고, 이를 나타내는 수치는 「10」으로 되어 있다.
화폐분류처리모드의 설정으로서 이하의 설정 1 내지 4가 있다. 여기서, 화폐분류처리모드란, 집적부(69 내지 71)에 각각 다른 종류의 지폐를 집적시키는 것이다.
{설정 1} 설정 1은, 제1집적부(69)에 A 금종의 진권을, 제2집적부(70)에 B 금종의 진권을, 제3집적부(71)에 C 금종의 진권을, 리젝트부(72)에 이들 이외의 지폐를 각각 집적시키는 분류처리모드의 설정이다. 여기서, 리젝트부(72)에 집적되는 지폐는 위권이다. 설정 키군(240)이 모두 입력되지 않은 상태인 경우, 제어부(17)는 이 설정 1의 분류처리 모드를 설정하게 된다.
이 설정 1의 분류처리모드가 설정된 상태에서 제어부(17)는, 제1개별표시부(210)에 있어서는, 금종 램프군(224)에서는 「100」램프(229)만을 점등시키고, 내용 램프군(225)은 전부 소등시킨다. 또한 이 상태에서 제어부(17)는, 제2개별표시부(211)에 있어서는, 금종 램프군(224)에서는 「50」램프(230)만을 점등시키고, 내용 램프군(225)은 전부 소등시킨다. 또한, 이 상태에서 제어부(17)는 제3개별표시부(212)에 있어서 금종 램프군(224)에서는 「10」램프(231)만을 점등시키고, 내용 램프군(225)은 모두 소등시킨다.
또한, 이 설정 1의 분류처리모드를 설정한 상태에서, 「배치」키(188)가 입력 된 경우, 제어부(17)는 상기에 더하여 「배치」키(188)를 점등시킨다. 동시에, 제어부(17)는 배치처리를 설정 1에 조합하여 실시하는 분류처리모드를 설정하게 된다. 이 설정은, 배치처리를 집적부(69 내지 71)의 전부에 관하여 실시하는 설정이 된다.
{설정 2} 설정 2는, 제1집적부(69)에 A 금종의 진권이며 앞면이 일방을 향한 표권(表券)을 집적시키고, 제2집적부(70)에 B 금종의 진권이며 표권을 집적시키며, 제3집적부(71)에 C 금종의 진권이며 표권을 집적시키고, 리젝트부(72)에 이들 이외의 지폐를 집적시키는 분류처리모드의 설정이다. 여기서, 리젝트부(72)에 집적되는 지폐는 위권과 A 금종의 뒷면이 일방을 향한 이권(裏券), B 금종의 이권 및 C 금종의 이권이다. 설정 키군(240) 중, 「표리」키(189)만이 입력된 경우, 제어부(17)는 이 설정 2의 분류처리모드를 설정하게 된다.
설정 2의 분류처리모드가 설정된 상태에서 제어부(17)는 제1개별표시부(210)에 있어서 금종 램프군(224)에서는 「100」램프(229)만을 점등시키고, 내용 램프군(225)에서는 전면 램프(232)만을 점등시킨다. 또한 이 상태로 제어부(17)는 제2개별표시부(211)에 있어서 금종 램프군(224)에서는 「50」램프(230)만을 점등시키고, 내용 램프군(225)에서는 전면 램프(232)만을 점등시킨다. 또한, 이 상태에서 제어부(17)는, 제3개별표시부(212)에 있어서, 금종 램프군(224)에서는 「10」램프(231)만을 점등시키고, 내용 램프군(225)에서는 전면 램프(232)만을 점등시킨다.
또한, 이 설정 2의 분류처리모드가 설정된 상태에서 「배치」키(188)가 입력된 경우, 제어부(17)는 「배치」키(188)를 점등시킨다. 동시에, 제어부(17)는 배치처리를 설정 2에 조합하여 실시하는 분류처리 모드를 설정하게 된다. 이 설정은, 배치처리를 집적부(69 내지 71)의 모두에 대하여 행하는 설정이 된다.
{설정 3} 설정 3은, 제1집적부(69)에 A 금종의 진권 및 정권을, 제2집적부(70)에 B 금종의 진권 및 정권을, 제3집적부(71)에 C 금종의 진권 및 정권을 집적시키고, 리젝트부(72)에 이들 이외의 지폐를 집적시키는 분류처리 모드의 설정이다. 여기서, 리젝트부(72)에 집적되는 지폐는, 위권과 A 금종의 손권, B 금종의 손권 및 C 금종의 손권이다. 설정 키군(240) 중, 「정손」키(190)만이 입력된 경우, 제어부(17)는 이 설정 3의 분류처리모드를 설정하게 된다.
이 설정 3의 분류처리모드가 설정된 상태에서는, 제어부(17)는, 제1개별표시부(210)에 있어서, 금종 램프군(224)에서는 「100」램프(229)만을 점등시키고, 내용 램프군(225)에서는 정 램프(234)만을 점등시킨다. 또한 이 상태에서 제어부(17)는, 제2개별표시부(211)에 있어서, 금종 램프군(224)에서는 「50」램프(230)만을 점등시키고, 내용 램프군(225)에서는 정 램프(234)만을 점등시킨다. 또한 이 상태에서 제어부(17)는, 제3개별표시부(212)에 있어서, 금종 램프군(224)에서는 「10」 램프(231)만을 점등시키고, 내용 램프군(225)에서는 정 램프(234)만을 점등시킨다.
또한, 이 설정 3의 분류처리모드가 설정된 상태에서 「배치」키(188)가 입력있음인 경우, 제어부(17)는 「배치」키(188)를 점등시킨다. 동시에, 제어부(17)는 배치처리를 설정 3에 조합하여 행하는 분류처리모드를 설정하게 된다. 이 설정은, 배치처리를 집적부(69 내지 71)의 전부에 대하여 행하는 설정이 된다.
{설정 4} 설정 4는, 제1집적부(69)에 A 금종의 진권으로 정권 및 표권을, 제2집적부(70)에 B 금종의 진권으로 정권 및 표권을, 제3집적부(71)에 C 금종의 진권으로 정권 및 표권을 각각 집적시키고, 리젝트부(72)에 이들 이외의 지폐를 집적시키는 분류처리모드의 설정이다. 여기서, 리젝트부(72)에 집적되는 지폐는 위권, A 금종의 이권, B 금종의 이권, C 금종의 이권, A 금종의 손권, B 금종의 손권 및 C 금종의 손권이다. 설정 키군(240) 중, 「표리」키(189) 및 「정손」키(190)만이 입력되어 있는 경우, 제어부(17)는 이 설정 4의 분류처리모드를 설정하게 된다.
이 설정 4의 분류처리모드가 설정된 상태에서, 제어부(17)는 제1개별표시부(210)에 있어서, 금종 램프군(224)에서는 「100」램프(229)만을 점등시키고, 내용 램프군(225)에서는 전면 램프(232) 및 정 램프(234)만을 점등시킨다. 또한 이 상태에서 제어부(17)는 제2개별표시부(211)에 있어서, 금종 램프군(224)에로서는 「50」램프(230)만을 점등시키고, 내용 램프군(225)에서는 전면 램프(232) 및 정 램프(234)만을 점등시킨다. 또한 이 상태에서 제어부(17)는, 제3개별표시부(212)에 있어서, 금종 램프군(224)에서는 「10」램프(231)만을 점등시키고, 내용 램프군(225)에서는 전면 램프(232) 및 정 램프(234)만을 점등시킨다.
또한, 이 설정 4의 분류처리모드가 설정된 상태에서 「배치」키(188)가 입력되어 있는 경우, 제어부(17)는 「배치」키(188)를 점등시킨다. 동시에, 제어부(17)는 배치처리를 설정 4에 조합하여 실시하는 분류처리모드를 설정하게 된다. 이 설정은, 배치처리를 집적부(69 내지 71)의 전부에 대하여 행하는 설정이 된다.
지정화폐분류의 설정으로서 이하의 설정 5 내지 22가 있다. 지정화폐분류란, 특정한 하나의 화폐만을 목적별로 분류하는 것이다. 지정화폐분류에는, A 금종용의 설정 5 내지 10과, B 금종용의 설정 11 내지 16과, C 금종용의 설정 17 내지 22가 있다.
{설정 5} 설정 5는 제1집적부(69), 제2집적부(70) 및 제3집적부(71) 순으로, A 금종의 진권을 집적시키고, 리젝트부(72)에 이 이외의 지폐를 집적시키는 분류처리모드의 설정이다. 여기서, 리젝트부(72)에 집적되는 지폐는, 위권 및 A 금종 이외의 지폐이다. 설정 키군(240) 중, 「100」키(192)만이 입력되어 있는 경우, 제어부(17)는 이 설정 5의 분류처리모드를 설정하게 된다.
이 설정 5의 분류처리모드가 설정된 상태에서는, 제어부(17)는 개별표시부(210 내지 212)의 전부에 있어서, 금종 램프군(224)에서는 「100」램프(229)만을 점등시켜, 내용 램프군(225)은 모두 소등시킨다.
또한, 이 설정 5의 분류처리모드가 설정된 상태에서 「배치」키(188)가 입력있음인 경우, 제어부(17)는 「배치」키(188)를 점등시킨다. 동시에, 제어부(17)는 배치처리를 설정 5에 조합하여 실시하는 분류처리모드를 설정하게 된다. 이 설정은, 배치처리를 집적부(69 내지 71)의 전부에 대하여 행하는 설정이 된다.
{설정 6} 설정 6은, 제1집적부(69)에 A 금종의 진권 및 앞면을, 제2집적부(70)에 A 금종의 진권 및 앞면을, 제3집적부(71)에 A 금종의 진권 및 뒷면을 각각 집적시키고, 리젝트부(72)에 이들 이외의 지폐를 집적시키는 분류처리모드의 설정이다. 여기서, 리젝트부(72)에 집적되는 지폐는 위권 및 A 금종 이외의 지폐이다. 설정 키군(240) 중, 「100」키(192) 및 「표리」키(189)만이 입력 있음의 상태인 경우, 제어부(17)는 이 설정 6의 분류처리모드를 설정하게 된다.
이 설정 6의 분류처리모드가 설정된 상태에서는, 제어부(17)는 제1개별표시부(210)에 있어서, 금종 램프군(224)에서는 「l00」램프(229)만을 점등시키고, 내용 램프군(225)에서는 전면 램프(232)만을 점등시킨다. 또한 이 상태에서 제어부(17)는 제2개별표시부(211)에 있어서, 금종 램프군(224)에서는 「100」램프(229)만을 점등시키고, 내용 램프군(225)에서는 전면 램프(232)만을 점등시킨다. 또한, 이 상태에서 제어부(17)는, 제3개별표시부(212)에 있어서, 금종 램프군(224)에서는 「100」램프(229)만을 점등시키고, 내용 램프군(225)에서는 후면 램프(233)만을 점등시킨다.
또한, 이 설정 6의 분류처리모드가 설정된 상태에서 「배치」키(188)가 입력있음인 경우, 제어부(17)는 「배치」키(188)를 점등시킨다. 동시에, 제어부(17)는 배치처리를 설정 6에 조합하여 실시하는 분류처리모드를 설정하게 된다. 이 설정은 배치처리를 집적부(69 내지 71)의 전부에 대하여 행하는 설정이 된다.
{설정 7} 설정 7은, 제1집적부(69)에 A 금종의 진권 및 정권을, 제2집적부(70)에 A 금종의 진권 및 정권을, 제3집적부(71)에 A 금종의 진권 및 손권을 집적시키며, 리젝트부(72)에 이들 이외의 지폐를 집적시키는 분류처리모드의 설정이다. 여기서, 리젝트부(72)에 집적되는 지폐는 위권 및 A 금종 이외의 지폐이다. 설정 키군(240) 중, 「100」키(192) 및「정손」키(190)만이 입력 있음의 상태인 경우, 제어부(17)는, 이 설정 7의 분류처리모드를 설정하게 된다.
이 설정 7의 분류처리모드가 설정된 상태에서는, 제어부(17)는 제1개별표시부(210)에 있어서, 금종 램프군(224)에서는 「100」램프(229)만을 점등시키고, 내용 램프군(225)에서는 정 램프(234)만을 점등시킨다. 또한 이 상태에서 제어부(17)는, 제2개별표시부(211)에 있어서, 금종 램프군(224)에서는 「100」램프(229)만을 점등시키고, 내용 램프군(225)에서는 정 램프(234)만을 점등시킨다. 또한, 이 상태에서 제어부(17)는, 제3개별표시부(212)에 있어서, 금종 램프군(224)에서는 「100」램프(229)만을 점등시키고, 내용 램프군(225)에서는 손 램프(235)만을 점등시킨다.
또한, 이 설정 7의 분류처리모드가 설정된 상태에서 「배치」키(188)가 입력있음인 경우, 제어부(17)는, 「배치」키(188)를 점등시킨다. 동시에, 제어부(17)는 배치처리를 설정 7에 조합하여 행하는 분류처리모드를 설정하게 된다. 이 설정은 배치처리를 집적부(69, 70)에 대해서만 행하는 설정이 된다.
{설정 8} 설정 8은 제1집적부(69)에 A 금종의 진권으로 표권이며 정권을, 제2집적부(70)에 A 금종의 진권으로 이권이며 정권을, 제3집적부(71)에 A 금종의 진권이며 손권을 각각 집적시키고, 리젝트부(72)에 이들 이외의 지폐를 집적시키는 분류처리모드의 설정이다. 여기서, 리젝트부(72)에 집적되는 지폐는, 위권 및 A 금종 이외의 지폐이다. 설정 키군(240) 중, 「100」키(192), 「표리」키(189) 및 「정손」키(190)만이 입력 있음의 상태인 경우, 제어부(17)는 이 설정 8의 분류처리모드를 설정하게 된다.
이 설정 8의 분류처리모드가 설정된 상태에서는, 제어부(17)는 제1개별표시부(210)에 있어서, 금종 램프군(224)에서는 「100」램프(229)만을 점등시키고, 내용 램프군(225)에서는 전면 램프(232) 및 정 램프(234)만을 점등시킨다. 또한 이 상태에서 제어부(17)는, 제2개별표시부(211)에 있어서, 금종 램프군(224)에서는 「100」램프(229)만을 점등시키고, 내용 램프군(225)에서는 후면 램프(233) 및 정 램프(234)만을 점등시킨다. 또한 이 상태에서 제어부(17)는, 제3개별표시부(212)에 있어서, 금종 램프군(224)에서는 「100」램프(229)만을 점등시키고, 내용 램프군(225)에서는 손 램프(235)만을 점등시킨다.
또한, 이 설정 8의 분류처리모드가 설정된 상태에서 「배치」키(188)가 입력되어 있는 경우, 제어부는 「배치」키(188)를 점등시킨다. 동시에, 제어부(17)는, 배치처리를 설정 8에 조합하여 행하는 분류처리모드를 설정하게 된다. 이 설정은, 배치처리를 집적부(69, 70)에만 대하여 행하는 설정이 된다.
{설정 9} 설정 9는, 제1집적부(69)에 A 금종의 진권으로서 표권이며 상향권을 집적시키고, 제2집적부(69)에 A 금종의 진권으로서 표권이며 하향권을 집적시키며, 제3집적부(70)에 A 금종의 진권으로서 이권을 집적시켜, 리젝트부(71)에 이들 이외의 지폐를 집적시키는 분류처리모드의 설정이다. 여기서, 리젝트부(72)에 집적되는 지폐는 위권 및 A 금종이외의 지폐이다. 설정 키군(240) 중, 「100」키(192), 「표리」키(189) 및 「UV」 키(191)만이 입력되어 있는 경우, 제어부(17)는 이 설정 9의 분류처리모드를 설정하게 된다.
이 설정 9의 분류처리모드가 설정된 상태에서는, 제어부(17)는, 제1개별표시부(210)에 있어서, 금종 램프군(224)에서는 「100」램프(229)만을 점등시키코, 내용 램프군(225)에서는 전면 램프(232)만을 점등시킨다. 또한 이 상태에서 제어부(17)는, 제2개별표시부(211)에 있어서, 금종 램프군(224)에서는 「100」램프(229)만을 점등시키고, 내용 램프군(225)에서는 전면 램프(232)만을 점등시킨다. 또한 이 상태에서 제어부(17)는, 제3개별표시부(212)에 있어서, 금종 램프군(224)에서는 「100」램프(229)만을 점등시키고, 내용 램프군(225)에서는 후면 램프(233)만을 점등시킨다.
또한, 이 설정 9의 분류처리모드가 설정된 상태에서 「배치」키(188)가 입력 있음인 경우, 제어부(17)는 「배치」키(188)를 점등시킨다. 이와 동사에, 제어부(17)는 배치처리를 설정 9에 조합하여 행하는 분류처리모드를 설정하게 된다. 이 설정은 배치처리를 집적부(69, 70)에만 대하여 행하는 설정이 된다.
{설정 10} 설정 10은, 제1집적부(69)에 A 금종의 진권이며 정권을 집적시키고, 제2집적부(70)에 A 금종의 진권이며 손권을 집적시키며, 제3집적부(71)에 위권을 집적시켜, 리젝트부(72)에 이들 이외의 지폐를 집적시키는 분류처리모드의 설정이다. 여기서, 리젝트부(72)에 집적되는 지폐는 A 금종 이외의 지폐이다. 설정 키군(240) 중, 「100」키(192), 「정손」키(190) 및 「UV」키(191)만이 입력 있음의 상태인 경우, 제어부(17)는 이 설정(10)의 분류처리모드를 설정하게 된다.
이 설정 10의 분류처리모드가 설정된 상태에서는, 제어부(17)는, 제1개별표시부(210)에 있어서, 금종 램프군(224)에서는「100」램프(229)만을 점등시키고, 내용 램프군(225)에서는 정 램프(234)만을 점등시킨다. 또한 이 상태에서 제어부(17)는, 제2개별표시부(211)에 있어서, 금종 램프군(224)에서는 「100」램프(229)만을 점등시키고, 내용 램프군(225)에서는 손 램프(235)만을 점등시킨다. 또한 이 상태에서 제어부(17)는, 제3개별표시부(212)에 있어서, 금종 램프군(224)에서는 「100」램프(229)만을 점등시키고 내용 램프군(225)은 모두 소등시킨다.
또한, 이 설정 10의 분류처리모드가 설정된 상태에서 「배치」키(188)가 입력되어 있는 경우, 제어부(17)는 「배치」키(188)를 점등시킨다. 동시에, 제어부(17)는 배치처리를 설정 10에 조합하여 행하는 분류처리모드를 설정하게 된다. 이 설정은 배치처리를 집적부(69)에만 행하는 설정이 된다.
{설정 11} 설정 11은, 설정 5의 A 금종을 B 금종으로, 설정 5의 「100」키(192)를 「50」키(193)로, 설정 5의 「100」램프(229)를 「50」램프(230)로 각각 바꾼 것이다.
{설정 12} 설정 12는, 설정 6의 A 금종을 B 금종으로, 설정 6의 「100」키(192)를 「50」키(193)로, 설정 6의 「100」램프(229)를 「50」램프(230)로 각각 바꾼 것이다.
{설정 l3} 설정 13은, 설정 7의 A 금종을 B 금종으로, 설정 7의 「100」키(192)를 「50」키(193)로, 설정 7의 「100」램프(229)를 「50」램프(230)로 각각 바꾼 것이다.
{설정 14} 설정 14는, 설정 8의 A 금종을 B 금종으로, 설정 8의 「100」키(192)를 「50」키(193)로, 설정 8의 「100」램프(229)를 「50」램프(230)로 각각 바꾼 것이다.
{설정 15} 설정 15는, 설정 9의 A 금종을 B 금종으로, 설정 9의 「100」키(192)를 「50」키(193)로, 설정 9의 「100」램프(229)를 「50」램프(230)로 각각 바꾼 것이다.
{설정 16} 설정 16은, 설정 10의 A 금종을 B 금종으로, 설정 10의 「100」키(192)를 「50」키(193)로, 설정 10의 「100」램프(229)를 「50」램프(230)로 각각 바꾼 것이다.
{설정 17} 설정 17은, 설정 5의 A 금종을 C 금종으로, 설정 5의 「100」키(192)를 「10」키(194)로, 설정 5의 「100」램프(229)를 「10」램프(231)로 각각 바꾼 것이다.
{설정 18} 설정 18은, 설정 6의 A 금종을 C 금종으로, 설정 6의 「100」키(192)를 「10」키(194)로, 설정 6의 「100」램프(229)를 「10」램프(231)로 각각 바꾼 것이다.
{설정 19} 설정 19는, 설정 7의 A 금종을 C 금종으로, 설정 7의 「100」키(192)를 「10」키(194)로, 설정 7의「100」램프(229)를 「10」램프(231)로 각각 바꾼 것이다.
{설정 20} 설정 20은, 설정 8의 A 금종을 C 금종으로, 설정 8의 「100」키(192)를 「10」키(194)로 설정 8의 「100」램프(229)를 「10」램프(231)로 각각 바꾼 것이다.
{설정 21} 설정 21은, 설정 9의 A 금종을 C 금종으로, 설정 9의 「100」키(192)를 「10」키(194)로, 설정 9의 「100」램프(229)를 「10」램프(231)로 각각 바꾼 것이다.
{설정 22} 설정 22는, 설정 10의 A 금종을 C 금종으로, 설정 10의 「100」키(192)를 「10」키(194)로, 설정 10의 「100」램프(229)를 「10」램프(231)로 각각 바꾼 것이다.
또한, 상기와는 다른 진위분류처리로서 이하의 설정 23이 있다. 이 진위분류처리는, 단순히 지폐를 진권과 위권으로 분류하여 진권만을 계수하는 처리이다.
{설정 23} 설정 23은, 집적부(69) 내지 집적부(71)에 차례로 진권을 집적시키고, 리젝트부(72)에 위권을 집적시키는 분류처리모드의 설정이다. 설정 키군(240) 중 「UV」키(191)만이 입력되어 있는 경우, 제어부(17)는 이 설정 23의 분류처리모드를 설정하게 된다.
이 설정 23의 분류처리모드가 설정된 상태에서는, 제어부(17)는 모든 개별표시부(210 내지 212)에 있어서, 금종 램프군(224) 및 내용 램프군(225)을 모두 소등시킨다.
또한, 이 설정 23에 배치처리를 조합하여 행하는 분류처리모드의 설정은 없다.
설정 1 내지 23 중 어느 것에 있어서도, 「매액」키(200)가 입력된 경우, 제어부(17)는 개별표시부(210 내지 212)의 매액 램프군(226)에서는 각각 「매수」램프(237)만을 점등시킨다. 이 때, 상기한 지정금종분류의 설정 5 내지 23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전체매수를 표시하는 것에 의미가 있으므로, 제어부(17)는 전체표시부(209)의 전체 매액 램프군(222)에서는 「매수」램프(219)만을 점등시킨다. 또한 이 때, 상기한 금종분류의 설정 1∼4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전체매수를 표시함에 그다지 의미가 없기 때문에, 제어부(17)는 전체표시부(209)의 전체 매액 램프군(222)에서는 「금액」램프(220)만을 자동적으로 점등시킨다.
설정 1 내지 23의 어느 것에 있어서도, 「매액」키(200)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 제어부(17)는, 개별표시부(210 내지 212)의 매액 램프군(226)에서는, 각각 「금액」램프(237)만을 점등시킨다. 또한 이 때 제어부(17)는, 전체표시부(209)의 전체 매액 램프군(222)에서는, 「금액」램프(220)만을 점등시킨다.
따라서, 전체표시부(209)는, 매수 및 금액 중 어느 것이 선택되어 있는지를 표시할 수 있게 된다.
설정 1 내지 23 중 어느 것에 있어서도, 제어부(17)는 「합계」키(201)가 입력 있음인 경우, 전체표시부(209)의 「합계」램프(218)를 점등시킨다. 제어부(17)는, 「합계」키(201)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 전체표시부(209)의 「합계」램프(218)를 소등시킨다.
이상에 따라, 조작부(15)에, 복수의 분류처리모드 중에서 하나의 분류처리모드를 선택하는 조작이 이루어진다. 그러면, 제어부(17)는 상기 선택된 분류처리모드에 따라, 제1집적부(69)에 분류되는 지폐의 내용을 제1개별표시부(210)에, 제2집적부(70)에 분류되는 지폐의 내용을 제2개별표시부(211)에, 제3집적부(71)에 분류되는 지폐의 내용을 제3개별표시부(212)에, 각각 대응시켜 표시하게 된다.
이어서, 상기 지폐정리기의 작동에 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조작부(15)에서 상기한 분류처리모드 중의 어느 하나가 설정되고, 또한 이 분류처리모드에 배치 처리가 조합되지 않은 경우를 설명한다. 또한, 제어부(17)는, 상술한 바와 같이, 설정된 분류처리모드에 따른 표시를 개별표시부(210 내지 212) 및 전체표시부(209)에 행하게 한다.
스타트/스톱키(184)가 눌러지면, 제어부(17)는, 이번의 하나의 분류처리를 실행시킨다. 우선, 제어부(17)는 눌러진 측의 스타트/스톱키(184)가 점유상태에 있음을 기억함과 동시에, 이 스타트/스톱키(184)에 대응하는 점유표시램프(214)를 점등시킨다. 동시에, 제어부(17)는, 장전부(11)의 지폐검지센서(44)에 의해 지폐가 검출된 것을 조건으로, 우선 집적부(69 내지 71)의 모든 클러치(123)를 ON시킨다. 이에 따라, 집적부(69 내지 71)의 폐쇄 상태에 있던 모든 셔터(118)는, 폐쇄 상태로 고정되고, 오퍼레이터가 수동으로 개방하는 것이 금지된다. 이 상태에서, 제어부(17)는 선택된 분류처리를 실행한다.
우선, 제어부(17)는 반송구동모터(40)에 의한 장전부(11) 및 반송부(12)의 구동을 개시한다. 그 결과, 장전부(11)로부터 지폐가 한 장씩 공급된다. 그리고, 제어부(17)는 장전부(11)로부터 공급된 지폐를, 감별부(13)의 제1감별부(66) 및 제2감별부(67)에서 감별하여 계수한다. 동시에, 제어부(17)는 장전부(11)로부터 공급된 지폐를, 분배부재(58 내지 60)를 제어함으로써, 집적부(69 내지 71) 및 리젝트부(72) 중의 하나로 반송하게 된다. 여기서, 제어부(17)는 지폐를, 감별부(13)의 감별결과에 따라, 분류처리모드에 의해 설정된 장소로 반송하게 된다. 또한, 리젝트부(72)로 지폐가 반송됨으로써, 상기 리젝트부(72)에 설정된 잔류지폐검지센서(111)가 지폐를 검출한 상태에서만, 제어부(17)는, 리젝트표시램프(213)를 점등시키게 된다.
집적부(69 내지 71)에 있어서, 가이드판(145, 145) 상에 지폐가 실려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가이드판(145, 145)은, 스프링재(148)의 탄성압력에 의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하단부를 전판부(82)의 하단부로부터 상측, 후방에 위치시키고 있다. 그 결과, 가이드판(145, l45)은 집적공간부(109)의 용적을 가장 작게 하고 있다. 이 상태에서, 지폐배출기구부(75)가, 지폐를 집적공간부(109)로 공급한 후, 임펠러(102)에 의해 전판부(82)의 방향으로 떨어뜨린다. 그러면 지폐는 가이드판(145, 145) 상에 재치된다.
이와 같이 하여 지폐가 가이드판(145, 145) 상에 차례로 실리면, 집적지폐(S)의 중량에 의해, 가이드판(145, 145)이 굴곡부(152)를 중심으로 회전한다. 그리고, 집적지폐(S)의 중량이 커질수록, 가이드판(145, 145)은 집적공간부(109)의 용적을 크게 한다.
최종적으로, 제어부(17)는, 지폐검지센서(44, 64)의 검출 결과로부터, 장전부(11)에 장전된 지폐가 모두 집적부(69 내지 71) 및 리젝트부(72)에 받아들여진 것을 검출한다. 그러면 제어부(17)는, 집적부(69 내지 71)로부터의 지폐의 취출을 허용하는 상태가 되었다고 판정한다. 이 상태에서, 오퍼레이터는 셔터(118)를 열기 위하여 점유측의 스타트/스톱키(184)를 누른다. 그러면 제어부(17)는, 집적부(69 내지 71)의 모든 셔터구동모터(131)를 셔터(118)를 여는 방향으로 구동한다. 그리고, 제어부(17)는 셔터개방위치센서(142)에 의해 검지편(121)이 검출될 때까지 셔터구동모터(131)를 구동한다. 그 결과, 제어부(17)는 모든 셔터(118)를 개방상태로 한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집적부(69 내지 71)의 모든 셔터(118)의 개방작동에 의해, 집적부(69 내지 71)의 모든 압출부재(154)는 회전한다. 그 결과, 모든 압출부재(154)는 전판부(82)와의 각도가 가장 커진다. 그러면 집적부(69 내지 71)의 모든 집적지폐(S)는 상부를 상측 후방으로 이동시키도록 자세가 변한다. 이렇게하여, 모두 집적지폐(S)의 오퍼레이터에 의한 취출구(110)를 통한 취출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집적부(69 내지 71)에 있어서, 집적지폐(S)가 취출된 것이 잔류지폐검지센서(111)에서 검출된다. 그러면 이에 대하여, 제어부(17)는 셔터구동모터(131)를 역방향으로 구동한다. 그리고, 제어부(17)는 셔터폐쇄위치센서(141)에서 검지편(121)이 검출될 때까지 셔터구동모터(131)를 구동한다. 이와 같이 하여, 제어부(17)는 모든 셔터(118)를 닫는다.
그리고, 모든 셔터(118)가 닫히면, 제어부(17)는 이번의 하나의 분류처리를 종료시킨다. 동시에, 제어부(17)는 점유측의 스타트/스톱키(184)에 대응하는 점유표시램프(214)를 소등시킨다.
여기서, 하나의 분류처리로서 장전부(11)로의 집적지폐의 장전을 여러번으로 나누어 실시하는 경우도 있고, 또한 하나의 분류처리로서 장전부(11)로의 집적지폐의 장전을 일회만 실시하는 경우도 있다. 어떠한 경우라도, 앞의 분류처리에서 장전부(11)에 장전된 지폐가 모두 집적부(69 내지 71) 및 리젝트부(72)에 받아들여지고, 또한 집적부(69 내지 71)로부터 집적지폐가 모두 취출되고, 또한 모든 셔터(118)가 닫힌 조건하에서, 처음으로 스타트/스톱키(184)가 눌러지고 나서, 장전부(11)에 장전된 지폐가 전부 집적부(69 내지 71) 및 리젝트부(72)에 수납되고, 또한 집적부(69 내지 71)로부터 집적지폐가 전부 취출되고, 또한 모든 셔터(118)가 닫힐 때까지가 하나의 분류처리로 된다.
또한, 장전부(11)에 장전된 모든 지폐가, 집적부(69 내지 71) 및 리젝트부(72)에 수납된 것을 검출할 때까지는, 제어부(17)는 집적부(69 내지 71)로부터의 지폐의 취출을 금지하는 상태에 있다고 판단한다. 그 결과, 제어부(17)는 집적부(69 내지 71)의 모든 셔터구동모터(131)에 의해 모든 셔터(118)를 폐쇄 상태로 한다.
또한, 셔터구동모터(131)에 의해 셔터(118)를 폐쇄 상태로 한 상태에서는, 클러치(123)로 기어(124)와 회전축(120)을 고정하고 있다. 이에 따라, 셔터(118)는, 폐쇄 상태에서는 오퍼레이터가 수동으로 개방이 불가능하게 고정되게 된다.
또한, 장전부(11)에 장전된 모든 지폐가 집적부(69 내지 71) 및 리젝트부(72)에 수납된 것을 확인하기 전의 시점에서, 집적부(69 내지 71) 및 리젝트부(72)중 어느 하나에서, 풀검지센서(114)에 의해 지폐가 가득찬 것으로 검출되는 경우가 있다. 그러면 제어부(17)는 반송구동모터(40)를 정지시키고, 장전부(11) 및 반송부(12)의 구동을 일단 정지시킨다(이 상태를 처리중단상태라 함). 동시에, 제어부(17)는 집적부(69 내지 71) 및 리젝트부(72) 중, 풀검지센서(114)에 의해 지폐가 가득찬 것으로 검출된 것에 대하여, 지폐의 취출을 허용하고, 셔터구동모터(118)에 의해 셔터(118)를 개방상태로 한다. 이 때, 제어부(17)는 전체표시부(209)의 「이상」램프(217)를 점등시킨다. 또한 이 때, 제어부(17)는 전체표시부(209)의 가이던스 표시부(216) 중, 풀검지센서(114)에 의해 지폐의 가득찬 것으로 검출된 부분의 LED(223)를 점등시킨다.
그리고, 집적부(69 내지 71) 및 리젝트부(72) 중, 풀검지센서(114)에 의해 지폐가 가득함이 검출되어 있던 것에 대하여, 풀검지센서(114)에 의해 지폐가 가득함이 검출되지 않게 된다. 그러면 제어부(17)는, 오퍼레이터에 의해 지폐가 제거되었다고 판단한다. 그 결과, 제어부(17)는, 이것에 대하여, 셔터구동모터(131)에 의해 셔터(118)를 폐쇄 상태로 한다. 이 때, 제어부(17)는 전체표시부(209)의 「이상」램프(217) 및 가이던스 표시부(216)가 대응하는 LED(223)를 소등시킨다. 그 후, 점유측의 스타트/스톱키(184)가 눌러진 것을 조건으로, 제어부(17)는 반송구동모터(40)에 의한 장전부(11) 및 반송부(12)의 구동을 재개시킨다.
또한, 장전부(11)에 장전된 지폐가 모두 집적부(69 내지 71) 및 리젝트부(72)에 수납된 것을 검출하면, 제어부(17)는 점유측의 스타트/스톱키(184)의 누름조작과는 무관하게, 자동적으로 집적부(69 내지 71)의 모든 셔터(118)를 개방 상태로 하여도 된다.
또한, 하나의 분류처리의 실행 중에, 점유 상태에 있는 스타트/스톱키(184)가 눌러진 경우도, 제어부(17)는 반송구동모터(40)를 정지시키고, 장전부(11) 및 반송부(12)의 구동을 일단 정지시킨다(이 상태도 처리중단상태라 함). 그 후, 점유측의 스타트/스톱키(184)가 눌러진 것을 조건으로, 제어부(17)는 반송구동모터(40)에 의한 장전부(11) 및 반송부(12)의 구동을 재개시킨다.
이어서, 조작부(15)에 의해 상기한 분류처리모드 중의 어느 하나가 선택되고, 또한 이 분류처리모드에 배치처리가 조합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여기서는, 배치처리를 조합하지 않은 상술한 내용과의 상위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제어부(17)가 장전부(11)로부터 지폐를 한 장씩 공급한다. 그리고, 제어부(17)는 장전부(l1)로부터 공급된 지폐를 감별부(13)에 의해 감별하여 계수한다. 동시에, 제어부(17)는 장전부(11)로부터 공급된 지폐를 감별부(13)의 감별 결과에 따라 분류처리모드로 설정된 집적부(69 내지 71) 및 리젝트부(72) 중의 하나로 반송하게 된다.
그리고, 집적부(69 내지 71)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집적지폐가 배치 매수에 달하면, 제어부(17)는 반송구동모터(40)를 정지시키고, 장전부(11) 및 반송부(12)의 구동을 일단 정지시킨다(이 상태도 상기한 처리중단상태에 포함된다). 동시에, 제어부(17)는 집적부(69 내지 71) 및 리젝트부(72) 중, 집적지폐가 배치 매수로 된 것이 검출된 것에 대하여 지폐의 취출이 허용된 상태로 판단하고, 셔터구동모터(131)에 의해 셔터(118)를 개방 상태로 한다. 이 때, 제어부(17)는 전체표시부(209)의 가이던스 표시부(216)의 배치 매수가 된 곳의 LED(223)를 점등시킨다.
그리고, 집적부(69 내지 71) 중, 집적지폐가 배치 매수에 달한 것에 대하여, 잔류지폐검지센서(111)에서 지폐가 검출되지 않게 되면, 제어부(17)는 오퍼레이터에 의해 지폐가 제거된 것으로 판단한다. 그 결과, 제어부(17)는 셔터구동모터(131)에 의해 셔터(118)를 폐쇄 상태로 한다. 그 후, 제어부(17)는 점유측의 스타트/스톱키(184)가 눌러진 것을 조건으로, 장전부(11) 및 반송부(12)의 구동을 재개한다.
이하, 제어부(17)에 의해 제어되는 표시부(16)의 수치 표시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매액」키(200)의 조작으로 매수 표시가 선택되고, 「합계」키(201)에서 소계 표시가 선택된 경우, 제어부(17)는 하나의 분류처리를 종료할 때까지(표시 기간이라 함), 이하의 표시 제어를 한다.
제어부(17)는 설정 1∼22의 모드로 하나의 분류처리를 행하는 경우, 제1개별표시부(210)의 디지털표시부(227)에, 그 시점에서 제1집적부(69)에 집적되어 있는 지폐의 매수가 되는 소계치를 표시한다. 또한 이 때, 제어부(17)는 제2개별표시부(211)의 디지털표시부(227)에, 그 시점에서 제2집적부(70)에 집적되어 있는 지폐의 매수가 되는 소계치를 표시한다. 이 때, 제어부(17)는 제3개별표시부(212)의 디지털 표시부(227)에, 그 시점에서 제3집적부(71)에 집적되어 있는 지폐의 매수가 되는 소계치를 표시한다.
이 때, 상기 지정 금종 분류가 설정 5 내지 22 중 어느 하나의 처리인 경우, 제어부(17)는 전체표시부(209)의 디지털 표시부(221)에, 그 시점에서 전 집적부(69 내지 71)에 집적되어 있는 지폐의 누계 집적 매수가 되는 소계치를 표시한다.
한편, 상기 금종 분류의 설정 1 내지 4, 23 중 어느 하나의 처리인 경우, 제어부(17)는 전체표시부(209)의 디지털 표시부(221)에, 집적되는 금종이 다른 전 집적부(69 내지 71)의 누계집적매수가 되는 소계치를 표시하더라도 의미가 없다. 따라서, 이 경우, 제어부(17)는 전체표시부(209)의 디지털 표시부(221)에, 매수 표시의 선택과는 관계없이, 그 시점에서의 전집적부(69 내지 71)에 집적되어 있는 지폐의 전 금액의 소계치만을 표시한다.
여기서, 배치 처리를 유효로 한 설정에 의해 하나의 분류처리가 행해지는 경우, 상기 하나의 분류 처리 중에 집적부(69 내지 71) 중 어느 하나에 의해 배치 매수에 달한 지폐를 빼내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그 지폐를 빼낸 후의 집적부에 따른 소계치는 「0」이 되며, 또한 그 시점에서의 전체표시부(209)의 소계치도 이 빠진 지폐의 매수를 감산한 값이 된다. 이와 같이 하나의 분류처리 중에 지폐를 빼내면, 소계치만으로는 그 하나의 분류처리에서 전체의 처리 결과를 알 수 없다. 이 때문에, 제어부(17)는 상기 하나의 분류처리에 있어서 각 집적부(69 내지 71)에 보내진 지폐의 집적 매수의 합계치를 집적부(69 내지 71)별로 메모리에 기억하고 있다. 그리고, 「합계」키(201)의 표시 절환 조작에 의해 합계표시가 선택되면, 이 기억된 데이터로부터 상기 하나의 분류처리에 있어서의 각 집적부(69 내지 71)마다의 합계치를 제1개별표시부(210 내지 212)에 대응시켜 표시하고, 이들 합계치를 모두 가산한 합계치를 전체표시부(209)에 표시하게 되어 있다.
「매액」키(200)에 의해 매수 표시의 선택 조작이 이루어지고, 「합계」키(201)에 의해 합계 표시의 선택 조작이 이루어진 경우, 제어부(17)는 표시기간에 이하의 표시 제어를 행한다. 이것은 설정 1 내지 22 중의 어떠한 모드의 분류처리를 실행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동일하다.
제어부(17)는 제1개별표시부(210)의 디지털 표시부(227)에, 현재 실행중인 하나의 분류처리에 있어서 그때까지 제1집적부(69)에 보내진 지폐의 매수의 합계치를 표시한다. 또한 제어부(17)는 제2개별표시부(211)의 디지털 표시부(227)에 상기 하나의 분류처리에 있어서 그때까지 제2집적부(70)에 보내진 지폐의 매수의 합계치를 표시한다. 또한 제어부(17)는 제3개별표시부(212)의 디지털표시부(227)에 상기 하나의 분류처리에 있어서 그때까지 제3집적부(71)에 보내진 지폐의 매수의 합계치를 표시한다.
이 때, 설정 5 내지 22 중 어느 하나의 모드에 의해 하나의 분류처리를 실행하고 있는 경우, 제어부(17)는 표시 기간에, 전체표시부(209)의 디지털표시부(221)에, 상기 하나의 분류처리에 있어서의 집적부(69 내지 71)의 전 집적 매수의 합계치를 표시한다.
또한, 설정 1 내지 4, 23 중 어느 하나의 모드에 의해 하나의 분류처리를 실행하고 있는 경우, 전체표시부(209)의 디지털표시부(221)에, 집적되는 금종이 다른 전 집적부(69 내지 71)의 누계 매수를 전체의 합계치로서 표시하더라도 의미가 없다. 따라서, 이 경우 제어부(17)는 「매액」키(200)의 절환 조작과는 무관하게, 상기 하나의 분류처리에 있어서의 전 집적부(69 내지 71)의 금액을 누계한 합계치를 표시한다.
도 16(a)에, 설정 8의 분류처리모드에 의한 하나의 분류처리에서 「매액」키(200)에 의해 매수 표시가 선택된 경우의 제1개별표시부(210), 제2개별표시부(211) 및 제3개별표시부(212)의 각 디지털표시부(227) 및 전체표시부(209)의 디지털표시부(221)로의 표시예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이들은 모두 집적 매수가 표시된다.
「매액」키(200)에서 금액 표시의 선택 조작이 이루어지고, 「합계」키(201)에서 소계 표시의 선택 조작이 이루어진 경우, 제어부(17)는 표시기간에대하여 이하의 표시 제어를 행한다. 이것은 설정 1 내지 23 중의 어떠한 모드에 의해 하나의 분류 처리를 실행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동일하다.
제어부(17)는 제]개별표시부(210)의 디지털표시부(227)에, 그 시점에서 제1집적부(69)에 집적되어 있는 집적지폐의 금액이 되는 소계치를 표시한다. 또한 제어부(17)는 제2개별표시부(211)의 디지털표시부(227)에, 그 시점에서 제2집적부(70)에 집적되어 있는 집적지폐의 전체 금액이 되는 소계치를 표시한다. 또한 제어부(17)는 제3개별표시부(212)의 디지털표시부(227)에, 그 시점에서 제3집적부(71)에 집적되어 있는 집적지폐의 전체 금액이 되는 소계치를 표시한다. 또한 제어부(17)는 전체표시부(209)의 디지털표시부(221)에, 그 시점에서 집적부(69 내지 71)에 집적되어 있는 전체 집적지폐의 금액이 되는 소계치를 표시한다.
「매액」키(200)에서 금액표시의 선택조작이 이루어지고, 「합계」키(201)에 의해 소계 표시의 선택 조작이 이루어진 경우, 제어부(17)는 표시기간에 대하여 이하의 표시제어를 행한다. 이것은 설정 1 내지 23 중의 어떠한 모드에 의해 하나의 분류처리를 실행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동일하다.
제어부(17)는 제1개별표시부(210)의 디지털표시부(227)에, 하나의 분류처리에 있어서 제1집적부(69)에 보내진 집적지폐의 금액을 누계한 합계치를 표시한다. 또한 제어부(17)는 제2개별표시부(211)의 디지털표시부(227)에, 상기 하나의 분류처리에 있어서 제2집적부(70)로 보내진 집적지폐의 금액을 누계한 합계치를 표시한다. 또한 제어부(17)는, 제3개별표시부(212)의 디지털표시부(227)에, 상기 하나의 분류처리에 있어서 제3집적부(71)로 보내진 집적지폐의 금액을 누계한 합계치를 표시하게 된다. 또한 제어부(17)는, 전체표시부(209)의 디지털표시부(221)에 상기 하나의 분류처리에 있어서 전 집적부(69 내지 71)에 보내진 집적지폐의 금액을 누계한 합계치를 표시하게 된다.
도 16(b)에, 설정 8의 분류처리모드에 의한 하나의 분류처리에 있어서 「매액」키(200)에 의해 금액표시가 선택된 경우의 제1개별표시부(210), 제2개별표시부(211) 및 제3개별표시부(212)의 각 디지털표시부(227) 및 전체표시부(209)의 디지털표시부(221)로의 표시예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이들은 모두 금액이 표시된다.
또한, 배치 처리가 조합된 분류처리의 표시기간에 있어서, 「배치」키(188)에 입력이 행해지면, 제어부(17)는 집적부(69 내지 71) 중 배치 처리가 실행되고 있는 개별표시부(210 내지 212)에 따른 디지털표시부(227)에, 그 시점에서의 배치매수에 대한 부족매수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설정 1 내지 22의 어느 하나의 모드에 있어서도, 이 배치 매수에 대한 부족분을 표시하기 전에는, 어느 하나의 표시 상태에 있어도 되며, 또한 그 표시 내용이 절환되는 것은 제1개별표시부(210), 제2개별표시부(211) 및 제3개별표시부(212)만이다.
도 16(c)에, 배치 처리와 조합된 설정 1의 모드에 의해 하나의 분류처리를 실행한 경우의 제1개별표시부(210), 제2개별표시부(211) 및 제3개별표시부(212)의 각 디지털표시부(227) 및 전체표시부(209)의 디지털표시부(221)로의 표시 예를 나타낸다. 이 표시예는, 「배치」키(188)의 입력이 행해지지 않은 경우이고, 상술한 바와 같이 집적 매수가 표시된다.
도 16(d)에, 배치 처리와 조합한 설정 1의 모드에 의해 하나의 분류처리를 실행한 경우의 제1개별표시부(210), 제2개별표시부(211) 및 제3개별표시부(212)의 각 디지털표시부(227) 및 전체표시부(209)의 디지털표시부(221)로의 표시예를 나타낸다. 이 표시예는, 「배치」키(188)의 입력이 행해진 경우이고, 개별표시부(210 내지 212)에는, 모두 배치 매수에 대한 부족 매수가 표시된다.
또한, 상기 처리중단상태에 있어서, 「정손」키(190)가 입력되어 있으면, 제어부(17)는 기능표시부(208)에, 이하에 도시한 것과 같은 손권 내용을 표시한다(도 17 참조). 이것은 설정 1 내지 설정 23 중의 어떠한 모드의 분류처리를 실행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동일하다.
제어부(17)는 손권 매수라는 의미를 나타내는 문자 「UF」와, 손권 매수의 수치(예컨대 「30」)를 이웃하게 기능표시부(208)에 표시한다. 또한 제어부(17)는 손권 중의 오손지폐라는 의미를 나타내는 문자 「D」와, 오손지폐의 매수의 수치 (예컨대 「20」)를 이웃하게 기능표시부(208)에 표시한다. 또한 제어부(17)는 손권 중의 손상지폐라는 의미를 나타내는 문자「T」와, 손상지폐의 매수의 수치(예컨대「10」)를 이웃하게 기능표시부(208)에 표시한다. 또한, 제어부(17)는 테이프가 붙은 지폐라는 의미를 나타내는 문자「t」와, 테이프가 붙은 지폐의 매수의 수치(예컨대 「2」)를 이웃하게 기능표시부(208)에 표시한다. 또한 제어부(17)는, 찢어지거나 접힌 곳이 있는 지폐라는 의미를 나타내는 문자 「d」와, 찢어지거나 접힌 곳이 있는 지폐의 매수의 수치(예컨대 「8」)를 이웃하게 기능표시부(208)에 표시하게 된다. 또한, 「합계」키(201)가 입력 없음의 상태에서는, 제어부(17)는 표시기간 내에 실행되는 하나의 분류처리에 관한 손권 내용을 표시하게 된다.
또한, 상기한 처리중단상태에 있어서, 「UV」키(191)가 입력되어 있으면, 제어부(17)는 기능표시부(208)에, 이하에 도시한 것과 같은 위권의 내용을 표시한다(도 18 참조). 이것은 설정 1 내지 설정 23 중 어떠한 모드의 분류처리를 실행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동일하다.
제어부(17)는, 위권이라는 의미를 나타내는 문자「RJ」와, 위권의 매수의 수치(예컨대 「3」)를 기능표시부(208)에 이웃하게 하여 표시한다. 또한 제어부(17)는, 자외선에 의해 지폐에 생기는 가시광의 검출 결과에 따라 위권으로 판단된 지폐라는 의미를 나타내는 문자 「UV」와, 이 위권의 매수의 수치(예컨대 「2」)를 기능표시부(208)에 이웃하게 하여 표시한다. 또한 제어부(17)는 자기 데이터에 따라 위권으로 판단된 지폐라는 의미를 나타내는 문자 「MG」와, 이 위권의 매수의 수치(예컨대 「1」)를 기능표시부(208)에 이웃하게 하여 표시한다. 또한 「합계」키(201)가 입력 없음인 상태에서는, 제어부(17)는 표시기간 내에 실행되는 하나의 분류처리에 관한 위권 내용을 표시하게 된다.
상술한 지폐정리기에 의하면, 장전부(11)에 장전된 지폐가 상기 장전부(11)로부터 공급되면, 이것을 반송부(12)가 반송한다. 이 반송 중에 지폐는 감별부(13)에 의해 감별된다. 제어부(17)는 지폐를 감별부(13)의 감별 결과에 따라 조작부(15)에서 선택된 분류처리모드에 따른 복수의 집적부(69 내지 71) 중의 하나로 반송부(12)에 의해 반송시킨다.
이와 같이 하여, 집적부(69 내지 71)에 지폐가 집적되게 된다. 복수의 집적부(69 내지 71)에는, 제어부(17)에 의해 개폐가 제어되는 셔터(118)가 각각 설치된다. 그리고, 셔터(118)는, 개방 상태에서는 집적시킨 지폐의 취출을 가능하게 하는 한편, 폐쇄 상태에서는 집적시킨 지폐의 취출을 일절 불가능하게 한다. 이에 따라, 집적부(69 내지 71)에 집적되는 지폐의 오퍼레이터에 의한 부주의한 취출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집적부(69 내지 71)로부터의 지폐의 취출을 허용하는 상태와 집적부(69 내지 71)로부터의 지폐의 취출을 금지하는 상태가 존재하며, 제어부(17)가 집적부(69 내지 71)의 지폐의 취출이 허용된 상태에서만 셔터(118)를 개방 상태로 한다. 이 때문에, 집적부(69 내지 71)에 집적되는 지폐의 오퍼레이터에 의한 부주의한 취출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셔터(118)가 폐쇄 상태에서는 개방이 불가능하게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폐쇄 상태에서는 수동으로도 셔터(118)가 개방되지 않는다. 따라서, 집적부(69 내지 71)에 집적되는 지폐의 오퍼레이터에 의한 부주의한 취출을 더욱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집적부(69 내지 71)에, 집적시킨 지폐의 자세를 변경할 수 있는 압출부재(154)를 각각 마련하고, 제어부(17)가 셔터(118)의 개방 작동시에 집적시킨 지폐의 자세를 압출부재(154)에 의해 변경시킨다. 이 때문에, 집적시킨 지폐를 취출하기 어려운 자세에서 취출하기 쉬운 자세로 변경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오퍼레이터가 집적부(69 내지 71)로부터 지폐를 취출할 때의 작업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압출부재(154)가 셔터(118)의 개방작동에 연동하여 지폐의 자세를 변경한다. 이 때문에, 셔터(118)를 개방 작동시키는 구동원과 압출부재(154)에 의한 지폐의 자세변경을 행하는 구동원이 공용화된다. 이 경우, 구동원은 셔터구동모터(131)이다. 따라서, 원가절감을 꾀할 수 있다.
또한, 집적부(69 내지 71)에는, 집적부(69 내지 71)에 반송부(12)로부터 공급된 지폐의 중량에 의해 이동하는 가이드 기구부(144)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가이드 기구부(144)가, 지폐가 적은 상태에서는 집적부(69 내지 71)의 집적공간부(109)를 줄이고, 지폐가 증가되면 집적부(69 내지 71)의 내부의 집적공간부(109)를 늘리도록 이동하므로, 초기에 집적부(69 내지 71)에 반송부(12)로부터 공급된 지폐가 집적부(69 내지 71)에 있어서 움직일 수 있는 범위가 커져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초기에 집적부(69 내지 71)에 반송부(12)로부터 공급된 지폐는 자세가 안정되게 된다. 이 때문에, 초기에 집적부(69 내지 71)에 반송부(12)로부터 공급된 지폐는, 집적부(69 내지 71) 내에서, 다음에 반송부(12)로부터 집적부(69 내지 71)로 공급되는 지폐와 충돌하는 일이 없어지고, 상기 지폐의 집적상태를 흐트러뜨리는 일이 없게 된다. 따라서, 집적부(69 내지 71)의 집적용량을 증대시킨 경우에도, 집적부(69 내지 71)에 반송부(12)로부터 공급되는 지폐를 확실하게 집적시킬 수 있다.
또한, 가이드 기구부(144)는, 집적부(69 내지 71)에 반송부(12)로부터 공급된 지폐의 중량에 의해 이동된다. 이와 같이, 가이드 기구부(144)가 지폐의 중량에 의해 이동하므로, 집적지폐의 두께로 가이드 기구부(144)를 이동시킬 필요가 없어진다. 따라서, 반송부(12)로부터 자유로운 상태에서 지폐를 집적부(69 내지 71)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기구부(144)는, 가이드판(145)이 스프링재(148)의 탄성압력에 의해, 집적지폐(S)의 중량이 작은 상태에서는 집적부(69 내지 71)의 내부의 집적공간부(109)의 용적을 줄이고, 지폐가 증가하면 집적부(69 내지 71)의 집적공간부(109)의 용적을 늘리도록 이동한다. 이 때문에, 초기에 집적부(69 내지 71)에 반송부(12)로부터 공급된 지폐가 집적부(69 내지 71)에 있어서 움직일 수 있는 범위가 커져 버리는 것을 간단한 구성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가이드 기구부(144)를 간단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기구부(144)는, 집적부(69 내지 71)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그리고, 가이드 기구부(144)가, 집적부(69 내지 71)에 대하여, 지폐가 적은 상태에서는 집적부(69 내지 71)의 집적공간부(109)의 용적을 줄이고, 지폐가 증가하면 집적부(69 내지 71)의 집적공간부(109)의 용적을 늘리도록 회전한다. 그 결과, 초기에 집적부(69 내지 71)에 반송부(12)로부터 공급된 지폐가 집적부(69 내지 71)에 있어서 움직일 수 있는 범위가 커져 버리는 것을 간단한 구성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기구부(144)는, 집적부(69 내지 71)의 지폐의 취출구(110)측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에 따라, 집적부(69 내지 71)의 취출구1(10)의 개구면적이 가이드 기구부(144)에서 좁혀지는 일이 없다. 따라서, 오퍼레이터가 집적부(69 내지 71)로부터 취출구(110)를 통해 지폐를 취출할 때, 용이하게 지폐를 취출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기구부(144)를, 집적부(69 내지 71)에 반송부(12)로부터 공급된 지폐의 중량에 의해 변형하는, 탄성변형가능한 수지재료로 구성한다. 그리고, 탄성변형가능한 수지재료로 이루어지는 가이드 기구부(144)가 지폐가 적은 상태에서는 집적부(69 내지 71)의 집적공간부(109)의 용적을 줄이고, 지폐가 증가하면 집적부(69 내지 71)의 집적공간부(109)의 용적을 늘리도록 변형한다. 그 결과, 초기에 집적부(69 내지 71)에 반송부(12)로부터 공급된 지폐가 집적부(69 내지 71)에 있어서 움직일 수 있는 범위가 커지는 것을 간단한 구성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조작부(11)에 복수의 분류처리모드 중에서 하나의 분류처리 모드를 선택하는 조작이 이루어지면, 각 개별표시부(210 내지 212)가 각각 조작부(11)에 의해 선택된 분류처리모드에 따라 대응하는 집적부(69 내지 71)의 분류내용을 표시하게 된다.
이 때문에, 각 개별표시부(210 내지 212)에, 집적부(69 내지 71)중 어느 것에 어떠한 분류로 분류된 지폐가 집적되는 지를 표시하게 된다. 따라서, 다양한 분류처리를 행하는 경우에도, 집적부(69 내지 71)에 어떠한 분류에 의해 나뉜 지폐가 각각 집적되는지를 용이하게 오퍼레이터에게 확인시킬 수 있다.
또한, 각 개별표시부(210 내지 212)가, 각각 대응하는 집적부(69 내지 71)에 집적된 지폐의 매수 및 금액의 적어도 어느 한쪽을 표시함으로써, 집적부(69 내지 71)마다의 지폐의 집적량을 오퍼레이터에게 인식시킬 수 있다.
또한, 모든 집적부(69 내지 71)에 공통의 전체표시부(209)를 더 설치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전체표시부(209)가 모든 집적부(69 내지 71)에 공통된 정보인, 모든 집적부(69 내지 71)에 집적된 지폐의 매수 또는 금액을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모든 집적부(69 내지 71)에 공통의 정보를 오퍼레이터에게 인식시킬 수 있다.
또한, 전체표시부(209)가 집적부(69 내지 71)에 집적된 지폐의 매수 및 금액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표시시키면, 제어부(17)가 이것과 함께 매수 및 금액 중 어느 것이 선택되었는지를 「매수」램프(219) 또는「금액」램프(220)의 점등으로 표시하게 된다. 따라서, 매수 및 금액의 어느 것이 표시되어 있는지를 오퍼레이터에게 인식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조작부의 각 키의 표시 내용에 대해서는, 상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일본 국내에서 사용되는 경우, 「100」키(193)의 표시는 「만」, 「50」키(193)의 표시는「5000」, 「10」키(194)의 표시는 「천」이라 하여도 된다. 또한, 제1개별표시부(210), 제2개별표시부(211), 제3개별표시부(212), 전체표시부(209), 기능표시부(208)에 표시되는 화폐의 종류를 나타내는 「100」, 「50」, 「10」에 대해서도, 상기한 바와 같이 「만」, 「5천」, 「천」으로 표시하여도 된다.
또한, 제1개별표시부(210), 제2개별표시부(211), 제3개별표시부(212), 전체표시부(209)의 디지털 표시부(227, 221)의 표시에 대해서도, 예컨대, 일본 국내에서 「1만」의 금액을 나타내는 경우 「10,O00」과 같이 표시하여도 된다.
또한, 일본 국외에서 사용되는 경우, 각 표시부의 표시 내용은, 그 나라에 해당하는 언어, 화폐 종류의 내용을 표시하면 된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지폐정리기에 의하면, 복수의 집적수단에는, 제어수단에 의해 개폐가 제어됨과 동시에, 개방 상태에서는 집적시킨 지폐의 취출을 가능하게 하는 한편, 폐쇄 상태에서는 집적시킨 지폐의 취출을 일절 불가능하게 하는 셔터가 각각 설치된다.
그리고, 셔터는 개방 상태에서는 집적시킨 지폐의 취출을 가능하게 하는 한편, 폐쇄 상태에서는 집적시킨 지폐의 취출을 일절 불가능하게 한다. 이에 따라, 셔터를 폐쇄 상태로 함으로써, 집적수단에 집적되는 지폐의 오퍼레이터에 의한 부주의한 취출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집적수단으로부터의 지폐의 취출을 허용하는 상태와 집적수단으로부터의 지폐의 취출을 금지하는 상태가 존재하며, 제어수단이 집적수단으로부터의 지폐의 취출이 허용된 상태에서만 셔터를 개방 상태로 하도록 구성한다.
이에 따라, 집적수단에 집적되는 지폐의 오퍼레이터에 의한 부주의한 취출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셔터가 폐쇄 상태에서는 개방불가능하게 고정되도록 구성한다. 이에 따라, 폐쇄 상태에서는 수동에 의해서도 셔터가 열리지 않는다. 따라서, 집적수단에 집적되는 지폐의 오퍼레이터에 의한 부주의한 취출을 더욱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집적수단에 집적시킨 지폐의 자세를 변경할 수 있는 자세변경수단을 각각 마련하고, 제어수단이 셔터의 개방작동시 집적시킨 지폐의 자세를 자세변경수단에 의해 변경하도록 구성한다.
이에 따라, 집적시킨 지폐를 취출하기 어려운 자세에서 취출하기 쉬운 자세로 변경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오퍼레이터가 집적수단으로부터 지폐를 취출할 때의 작업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자세변경수단이 셔터의 개방 작동에 연동하여 지폐의 자세를 변경하 도록 구성한다.
이에 따라, 셔터를 개방작동시키는 구동원과 자세변경수단에 의한 지폐의 자세변경을 행하는 구동원이 공용화된다. 따라서, 원가절감을 꾀할 수 있다.

Claims (8)

  1. 지폐가 장전됨과 동시에 장전된 지폐를 한 장씩 공급하는 장전수단과,
    상기 장전수단으로부터 공급된 지폐를 반송하는 반송수단과,
    상기 반송수단에 의해 반송 중인 지폐를 감별하는 감별수단과,
    상기 반송수단에 의해 반송되어 온 지폐를 취출가능하게 집적시키는 복수의 집적수단과,
    상기 장전수단에 장전되는 지폐의 분류방법을 정하는 복수의 분류처리모드 중에서 하나의 분류처리모드를 선택하는 조작이 이루어지는 조작수단과,
    상기 장전수단으로부터 공급된 지폐를 상기 감별수단의 감별결과에 따라, 상기 조작수단에 의해 선택된 분류처리모드에 따른 상기 복수의 집적수단 중의 하나에 상기 반송수단에 의해 반송시키는 제어수단을 갖는 지폐정리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집적수단에는, 상기 제어수단에 의해 개폐가 제어됨과 동시에, 개방 상태에서는 집적시킨 지폐의 취출을 가능하게 하는 한편, 폐쇄 상태에서는 집적시킨 지폐의 취출을 불가능하게 하는 셔터가 각각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정리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집적수단으로부터의 지폐의 취출을 허용하는 상태와 상기 집적수단으로부터의 지폐의 취출을 금지하는 상태가 존재하며,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집적수단으로부터의 지폐의 취출이 허용된 상태에서만 상기 셔터를 개방 상태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정리기.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는 폐쇄 상태에서는 개방 불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정리기.
  5.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집적수단에는 집적시킨 지폐의 자세를 변경할 수 있는 자세변경수단이 각각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셔터의 개방작동시에 집적시킨 지폐의 자세를 상기 자세변경수단에 의해 변경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정리기.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집적수단에는 집적시킨 지폐의 자세를 변경할 수 있는 자세변경수단이 각각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셔터의 개방작동시에 집적시킨 지폐의 자세를 상기 자세변경수단에 의해 변경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정리기.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세변경수단은 상기 셔터의 개방작동에 연동하여 지폐의 자세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정리기.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세변경수단은 상기 셔터의 개방작동에 연동하여 지폐의 자세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정리기.
KR10-2000-0011849A 1999-03-10 2000-03-09 지폐정리기 KR1003864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1-064109 1999-03-10
JP06410999A JP3537697B2 (ja) 1999-03-10 1999-03-10 紙幣整理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2806A true KR20000062806A (ko) 2000-10-25
KR100386464B1 KR100386464B1 (ko) 2003-06-02

Family

ID=132485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1849A KR100386464B1 (ko) 1999-03-10 2000-03-09 지폐정리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328166B1 (ko)
EP (1) EP1035522B1 (ko)
JP (1) JP3537697B2 (ko)
KR (1) KR100386464B1 (ko)
CN (1) CN1146835C (ko)
DE (1) DE60027945T2 (ko)
HK (1) HK1031016A1 (ko)
TW (1) TW41704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62125B1 (en) 1996-05-29 2012-04-24 Cummins-Allison Corp. Apparatus and system for imaging currency bills and financial documents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US7753189B2 (en) 2003-08-01 2010-07-13 Cummins-Allison Corp. Currency processing device, method and system
JP3741893B2 (ja) * 1999-03-10 2006-02-01 ローレルバンクマシン株式会社 紙幣整理機
JP4152763B2 (ja) * 2003-01-31 2008-09-17 グローリー株式会社 紙葉類振分装置
US20040173432A1 (en) * 2003-03-05 2004-09-09 Jones William J. Compact currency bill and coin processing device
EP1652154B1 (en) * 2003-08-01 2008-08-06 Cummins-Allison Corporation Currency processing device, method and system
US7686151B2 (en) 2006-06-01 2010-03-30 Cummins-Allison Corp. Angled currency processing system
KR20150093249A (ko) * 2007-04-24 2015-08-17 글로리 글로벌 솔루션스 (홀딩스) 리미티드 물품을 분류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JP5088038B2 (ja) 2007-08-07 2012-12-05 沖電気工業株式会社 紙幣整理装置
AT505308B1 (de) * 2007-09-07 2008-12-15 Oebs Gmbh Verfahren zum verteilen von wertdokumenten
WO2009040944A1 (ja) * 2007-09-28 2009-04-02 Glory Ltd. 紙葉類処理機および紙葉類処理システム
WO2009107165A1 (ja) 2008-02-27 2009-09-03 グローリー株式会社 紙葉類処理装置
WO2009122503A1 (ja) * 2008-03-31 2009-10-08 グローリー株式会社 貨幣処理装置
EP2261870A4 (en) 2008-03-31 2011-05-25 Glory Kogyo Kk APPARATUS FOR MANIPULATING BANKNOTES
US9004350B2 (en) 2008-10-28 2015-04-14 Glory Ltd. Money handling apparatus
JP2010160532A (ja) * 2009-01-06 2010-07-22 Oki Electric Ind Co Ltd 券類処理装置、プログラム及び方法
US9695005B2 (en) * 2009-02-19 2017-07-04 Glory Ltd. Paper-sheet counting machine
US20110304091A1 (en) * 2009-02-19 2011-12-15 Manabu Hirano Paper-sheet counting machine
KR101387271B1 (ko) 2009-12-21 2014-04-21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지엽류 처리 장치
WO2011109569A1 (en) 2010-03-03 2011-09-09 Cummins-Allison Corp. Currency bill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JP5595955B2 (ja) * 2011-03-18 2014-09-24 株式会社東芝 紙葉類処理装置
JP5954038B2 (ja) * 2012-08-09 2016-07-20 沖電気工業株式会社 紙幣処理装置、及び紙幣処理方法
JP6119217B2 (ja) * 2012-12-05 2017-04-26 沖電気工業株式会社 媒体受渡装置及び媒体処理装置
CN103679924B (zh) * 2013-12-26 2016-03-30 上海古鳌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取钞开闭传动装置的清分机
JP6362479B2 (ja) * 2014-08-27 2018-07-25 グローリー株式会社 紙葉類処理装置
JP6587312B2 (ja) * 2015-01-29 2019-10-09 グローリー株式会社 有価媒体処理装置、有価媒体処理システムおよび有価媒体処理方法
CN105654613B (zh) * 2016-01-12 2018-09-25 广东工业大学 纸币自动整理装置
JP6578213B2 (ja) * 2016-01-19 2019-09-18 グローリー株式会社 紙幣処理装置
KR101864143B1 (ko) * 2016-11-30 2018-06-29 주식회사 에이텍에이피 매체집적장치 및 금융기기
CN110599670B (zh) * 2019-08-26 2021-11-16 深圳市合众金融设备服务有限公司 钞箱纸币数量的异常检测方法、系统、服务器和金融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19297A (en) * 1978-03-09 1979-09-17 Toshiba Corp Classifying and counting apparatus of paper leaves
US4251009A (en) * 1978-04-03 1981-02-17 Mclaughlin Richard S Security door assembly for an automatic document dispensing device
JPS57121761A (en) * 1981-01-22 1982-07-29 Toshiba Corp Automatic transaction device of currency
JPS5953358A (ja) * 1982-09-17 1984-03-28 Toshiba Corp 区分集積装置
US4709914A (en) * 1985-02-07 1987-12-01 Brandt, Inc. Electronic controller for dispensers and the like
JPS63177290A (ja) * 1987-01-19 1988-07-21 株式会社東芝 紙葉類処理装置
JPS63177289A (ja) * 1987-01-19 1988-07-21 株式会社東芝 紙葉類処理装置
JP2726550B2 (ja) * 1990-05-28 1998-03-11 株式会社東芝 現金管理システム
JP3315204B2 (ja) 1993-06-30 2002-08-19 株式会社東芝 紙葉類処理装置
JPH1164109A (ja) 1997-08-15 1999-03-05 Japan Aviation Electron Ind Ltd 分光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0027945D1 (de) 2006-06-22
JP2000259882A (ja) 2000-09-22
HK1031016A1 (en) 2001-05-25
CN1267042A (zh) 2000-09-20
US6328166B1 (en) 2001-12-11
CN1146835C (zh) 2004-04-21
EP1035522A1 (en) 2000-09-13
JP3537697B2 (ja) 2004-06-14
TW417044B (en) 2001-01-01
KR100386464B1 (ko) 2003-06-02
DE60027945T2 (de) 2007-04-26
EP1035522B1 (en) 2006-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86465B1 (ko) 지폐정리기
KR100386464B1 (ko) 지폐정리기
KR100386466B1 (ko) 지폐정리기
US7735621B2 (en) Multiple pocket currency bill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KR101254445B1 (ko) 지엽류 처리 장치
JP4813022B2 (ja) 貨幣入出金機
JP5009384B2 (ja) 貨幣入出金機
KR20070111961A (ko) 지폐처리장치
KR20060101937A (ko) 권종 분류 기능을 구비한 지폐 방출기
JP2009199170A (ja) 貨幣処理機
JPH0638280B2 (ja) 硬貨処理機の代替出金方法
JP5095268B2 (ja) 硬貨入金機
JPH10255104A (ja) 硬貨入出金機の取引口装置
JP3336226B2 (ja) 硬貨処理機
JP6761326B2 (ja) 貨幣処理機および貨幣処理方法
JP2003162749A (ja) 貨幣処理装置、貨幣処理装置の運用方法
JP2001101475A (ja) 循環式硬貨入出金機
JPH02302894A (ja) 紙幣入出金機
JP3655141B2 (ja) 硬貨入出金機
JP2003030709A (ja) 硬貨入出金機
JPS61175886A (ja) 循環式硬貨入出金機
JPS61175888A (ja) 循環式硬貨入出金機
JP2003030712A (ja) 硬貨入出金機
JP2015176431A (ja) 有価媒体処理装置および有価媒体処理方法
JPS61283991A (ja) 循環式入出金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1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