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62505A - 유체 기계 - Google Patents

유체 기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62505A
KR20000062505A KR1020000003698A KR20000003698A KR20000062505A KR 20000062505 A KR20000062505 A KR 20000062505A KR 1020000003698 A KR1020000003698 A KR 1020000003698A KR 20000003698 A KR20000003698 A KR 20000003698A KR 20000062505 A KR20000062505 A KR 200000625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chamber
pressure
fluid
compres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036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23264B1 (ko
Inventor
구마자와신고
이마니시다께시
야마다기요히로
가와구찌마사히로
Original Assignee
이시카와 타다시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지도숏키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시카와 타다시,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지도숏키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이시카와 타다시
Publication of KR200000625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25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32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3264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16Filtration; Moisture sepa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1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having stationary cylinders
    • F04B27/1036Component parts, details, e.g. sealings, lubr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14Control
    • F04B27/16Control of pumps with stationary cylinders
    • F04B27/18Control of pumps with stationary cylinders by varying the relative positions of a swash plate and a cylinder bloc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14Control
    • F04B27/16Control of pumps with stationary cylinders
    • F04B27/18Control of pumps with stationary cylinders by varying the relative positions of a swash plate and a cylinder block
    • F04B27/1804Controlled by crankcase pressure
    • F04B2027/1809Controlled pressure
    • F04B2027/1813Crankcase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14Control
    • F04B27/16Control of pumps with stationary cylinders
    • F04B27/18Control of pumps with stationary cylinders by varying the relative positions of a swash plate and a cylinder block
    • F04B27/1804Controlled by crankcase pressure
    • F04B2027/184Valve controlling parameter
    • F04B2027/1859Suction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207/00External parameters
    • F04B2207/03External 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49/00Control, e.g. of pump delivery, or pump pressure of, or safety measures for,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47/00
    • F04B49/06Control using electricity
    • F04B49/065Control using electricity and making use of compu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51/00Testing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ressor (AREA)
  • Compressors, Vaccum Pumps And Other Relevant System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유체의 통로 상에 배치되는 필터의 장착 자동화가 용이하고, 상기 필터의 배치 자유도가 향상된 유체 기계를 제공한다.
리어 하우징 (13) 의 내부 저면 (13c) 상에 설치 오목부 (72) 를 오목설치한다. 이 설치 오목부 (72) 의 바닥부에 도중에, 압축기의 토출 용량을 조정하기 위한 제어밸브 (32) 가 배열설치된 급기통로 (31) 의 입구를 개구한다. 그리고, 상기 설치 오목부 (72) 에 대하여 커버가 있는 원통형 철망으로 이루어지는 여과재부와 지지링으로 이루어지는 필터 (71) 를 압입함으로써 고정한다. 또, 상기 여과재부의 두부는 상기 필터 (71) 를 장착할 때에 있어서 상기 내부 저면 (13c) 에서 팽출되도록 형성한다.

Description

유체 기계{FLUID MACHINE}
본 발명은 기체를 압축하기 위한 압축기 등의 유체 기계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유체 기계로는, 예컨대 다음과 같이 구성된 차량 공조 장치에 사용되는 압축기가 알려져 있다.
즉, 하우징의 내부에 크랭크실이 구획 형성되어 구동축이 크랭크실을 가로질러 가도록 하여 상기 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상기 크랭크실 내에서 상기 구동축에는 캠 플레이트를 이루는 경사판이 회전지지체를 통하여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또한 경사운동이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그 경사판의 외주부에는 복수의 피스톤이 연결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의 일부를 구성하는 실린더 블록에는 상기 구동축을 둘러싸도록 소정 간격을 두고 실린더 보어가 형성되어 있다. 그 실린더 보어 내에는 상기 각각의 피스톤의 두부가 왕복운동이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축이 예컨대 차량의 엔진등의 외부 구동원으로부터 벨트 등을 통하여 전달된 구동력에 의해 회전 구동되면, 상기 회전지지체를 통하여 상기 경사판이 회전되고, 그 경사판의 회전운동은 피스톤의 왕복운동으로 변환된다. 이로써 상기 실린더 보어로의 냉매 가스의 흡입, 흡입 냉매 가스의 압축, 및 압축된 냉매 가스의 실린더 보어로부터의 토출이라는 일련의 압축 사이클이 반복되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압축기에는, 예컨대 다음과 같은 토출 용량의 가변기구를 구비한 것도 알려져 있다.
즉, 상기 압축된 냉매 가스가 일시적으로 체류하는 토출실과 상기 크랭크실이 제어밸브를 구비한 급기통로를 통하여 연통되어 있다. 이 제어밸브는 상기 급기통로에서의 개구면적을 변경하여, 상기 크랭크실로의 고압 토출 냉매 가스의 공급량을 조절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이 토출 냉매 가스의 공급량 조절에 의해 상기 크랭크실 내의 압력이 변경되어, 상기 피스톤을 통한 크랭크실과 실린더 보어 내의 압력차가 변경된다. 이 압력차의 변경에 따라 상기 경사판의 경사각이 변경되어, 상기 피스톤의 스트로크, 요컨대 토출 용량이 조절되게 되어 있다.
이러한 압축기는, 상기 구동축의 베어링부, 상기 피스톤과 실린더 보어 사이, 상기 경사판과 피스톤의 연결부 등, 많은 슬라이딩부를 갖고 있다. 이러한 슬라이딩부에 이물질이 끼거나 하면 각각의 슬라이딩부의 원활한 동작이 손상되고, 상기 외부 구동원에 대한 부하가 증대하는 일이 있다. 특히, 상기 슬라이딩부에 눌어붙는 일이 생기기라도 하면, 상기 외부 구동원에 중대한 영향을 끼치게 된다.
또, 상기 토출 용량의 가변기구를 구비한 압축기에서는, 상기 제어밸브 내에 이물질이 침입하면 그 제어밸브의 밸브체와 밸브구멍 사이에 상기 이물질이 끼어 그 개방도 조정 기능이 손상되는 일이 있다. 이처럼 제어밸브의 개방도 조정 기능에 이상이 생기면, 상기 크랭크실로의 토출 냉매 가스의 공급조절이 적절히 행해지지 않아 상기 토출 용량의 조절 정밀도가 크게 저하하는 일이 있다.
이러한 이물질의 침입에 의한 문제점을 회피하기 위해서, 외부 냉매 회로에서 압축기로의 냉매 가스의 입구, 상기 급기통로의 입구 등에 필터를 장착한 압축기도 알려져 있다.
이러한 종류의 필터 중에서, 예컨대 상기 급기통로의 입구에 장착되는 필터의 고정 구성을 예시하면, 도 6 에 도시한 것과 같은 것이 있다.
즉, 리어 하우징 (101) 의 외주부에 구획 형성된 토출실 (102) 의 내부 저면에 설치 오목부 (103) 가 형성되고, 그 설치 오목부 (103) 내에 상기 급기통로 (104) 의 입구가 개구되어 있다. 상기 설치 오목부 (103) 의 내주면에는, 거의 중앙에 계단부 (105), 그리고 그 설치 오목부 (103) 의 개구부와 계단부 (105) 사이에 환형 홈 (106) 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예컨대 철망으로 이루어지는 원판상 필터 (107) 는 상기 계단부 (105) 에 수용되며, 상기 환형 홈 (106) 내에 부착된 고정 고리 (108) 에 의해 탈락방지 고정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종래 구성에서는, 상기 필터 (107) 를 장착하는 경우, 우선 상기 필터 (107) 를 상기 계단부 (105) 내에 떨어뜨린다. 이어서 상기 고정 고리 (108) 를, 프라이어 등을 이용하여 직경을 좁히면서 설치 오목부 (103) 의 개구부에 대응시킨 후, 고정 고리 (108) 의 직경을 좁히는 작업을 해제하여 고정 고리 (108) 를 상기 환형 홈 (106) 내에 떨어뜨릴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필터 (107) 를 장착할 때에는 세밀한 작업이 요구되어, 그 장착작업의 자동화가 곤란하여 사람의 손에 의지할 수 밖에 없으므로, 압축기의 제조비용이 비싸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여기서, 상기 압축기는 상기 차량 엔진을 구동원으로 하기 때문에, 상기 차량의 엔진 룸 내에 있는 상기 차량 엔진의 근방에 탑재된다. 이 엔진 룸 내에서의 압축기 탑재 공간은 한정되어 있으므로, 압축기를 소형화하려는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설치 오목부 (103) 가 형성되는 토출실 (102) 의 개구부도 작아져 왔다. 더구나, 상기 리어 하우징 (101) 의 외주부에는, 압축기 전체의 하우징을 접합고정하기 위한 관통 볼트를 나사 장착할 공간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이 공간은 상기 토출실 (102) 의 내주면에서 팽출부를 만들어 내게 된다.
한편, 소정 여과면적을 확보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상기 필터 (107) 를 그 직경방향으로 단순하게 소형화하는 것도 곤란하다. 따라서, 상기 필터 (107) 는 상기 리어 하우징 (101) 내에 배치할 때에, 그 배치장소가 엄격한 제약을 받는다는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필터 (107) 를, 소정 여과면적을 확보하면서 직경방향으로 소형화하기 위해, 필터 (107) 의 일부를 축선방향으로 팽출시키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필터 (107) 를 설치 오목부 (103) 의 개구부측에 팽출시키면 상기 고정 고리 (108) 의 부착 작업이 현저하게 곤란해진다. 또, 상기 필터 (107) 를 설치 오목부 (103) 의 안 측으로 팽출시키면 그 필터 (107) 의 팽출부 내에 이물질이 축적될 우려가 있다는 새로운 문제를 발생시킨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기술에 존재하는 문제점에 착안하여 완성된 것이다. 그 목적으로는 유체의 통로 상에 배치되는 필터의 장착 자동화가 용이하고, 상기 필터의 배치 자유도가 향상된 유체 기계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가변용량 압축기 전체를 도시한 단면도.
도 2 는 도 1 의 2-2 선 단면도.
도 3 은 도 1 의 필터의 설치구조를 확대하여 도시한 부분 단면도.
도 4 는 도 1 의 필터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5 는 제 2 실시형태의 필터의 설치구조에 있어서, (a) 는 필터 장착전의 상태, (b) 는 필터장착후의 상태를 각각 확대하여 도시한 부분 단면도.
도 6 은 종래 필터의 설치구조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하우징의 일부를 구성하는 프론트 하우징
12 : 하우징의 일부를 구성하는 실린더 블록
12a : 작동실로서의 실린더 보어
13 : 하우징의 일부를 구성하는 리어 하우징
16 : 압력실로서의 크랭크실
17 : 구동축
19 : 캠 플레이트로서의 경사판
21 : 피스톤
24 : 압력실로서의 흡입실
25 : 압력실로서의 토출실
30 : 연통로로서의 추기(抽氣)통로
31 : 연통로로서의 급기통로
32 : 제어밸브
34 : 연통로로서의 흡입통로
36 : 연통로로서의 토출통로
56 : 연통로로서의 검압(檢壓)통로
71, 81 : 필터
72 : 개구단부로서의 설치 오목부
73 : 여과재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가변용량 압축기에 관련된 본원 청구항 1 에 기재된 발명은, 하우징 내에 복수의 압력실, 용적변화에 의해 수용된 유체에 소정 압력을 발생시키는 작동실, 및 상기 하우징에 천공 설치되어 외부와 상기 압력실 간 또는 상기 각각의 압력실 간을 연통하는 연통로를 구비한 유체 기계에 있어서, 상기 연통로에서의 하우징 개구단부에 대하여 필터를 압입 또는 코킹에 의해 고정하도록 한 것을 요지로 하는 것이다.
이 본원 청구항 1 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하우징의 개구단부에 대하여 필터를 대응시켜, 그 필터를 그대로 압입한다는 간단한 작업으로, 또는 필터를 삽입한 후 노출부분을 가압한다는 간단한 작업으로, 그 필터가 하우징에 고정된다. 따라서 필터의 장착 작업을 용이하게 자동화할 수 있다.
또, 본원 청구항 2 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청구항 1 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상기 연통로 내의 상기 유체의 유통방향에서의 입구측의 상기 개구단부에 설치한 것임을 요지로 하는 것이다.
이 본원 청구항 2 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상기 청구항 1 에 기재된 발명의 작용에 더하여, 상기 연통로 내에 이물질이 침입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필터가 유체의 압력에 의해 연통로측으로 가압되기 때문에 필터가 부주의하게 탈락하는 일이 없다.
또, 본원 청구항 3 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 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입체 형상을 한 여과재부를 구비한 것을 요지로 하는 것이다.
이 본원 청구항 3 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상기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 에 기재된 발명의 작용에 더하여, 소정의 여과면적을 확보하면서 필터를 직경방향으로 소형화할 수 있다.
또, 본원 청구항 4 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청구항 3 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여과재부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하우징의 개구단부에서 이간하는 방향으로 팽출하도록 형성한 것을 요지로 하는 것이다.
이 본원 청구항 4 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상기 청구항 3 에 기재된 발명의 작용에 더하여, 상기 여과재부를 이물질이 퇴적하기 어려운 구조로 할 수 있다.
또, 본원 청구항 5 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유체가 압축성 유체이고, 상기 압력실은 외부에서 공급되는 압축성 유체를 수용하는 흡입실과 상기 작동실에서 토출되는 압축성 유체를 수용하는 토출실을 포함하는 것을 요지로 하는 것이다.
여기서, 압축성 유체, 요컨대 기체를 압축하는 압축기에서는 그 슬라이딩면에 항상 다량의 액체가 접촉되는 것은 아니며, 다소의 윤활유가 공급되어 있는 것에 지나지 않는다. 따라서, 그 슬라이딩면에 부착된 이물질이 잘 씻겨 내려가지 않는다는 문제가 있다. 이 본원 청구항 5 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상기 압축기에 있어서 이물질의 영향을 저감할 수 있어, 상기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명의 작용을 현저하게 실현시킬 수 있다.
또한, 본원 청구항 6 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청구항 5 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연통로 중 적어도 하나가 그 도중에 개구면적을 변경하기 위한 제어밸브를 구비한 것을 요지로 하는 것이다.
이 본원 청구항 6 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상기 청구항 5 에 기재된 발명의 작용에 더하여, 이물질에 의해 연통로 개구면적의 변경에 지장을 초래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 본원 청구항 7 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청구항 6 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압력실은, 상기 제어밸브의 동작에 따라 내부에 수용된 압축성 유체의 압력이 변경되고, 상기 구동축에 경사운동이 가능하게 부착된 캠 플레이트를 수용하는 크랭크실을 포함하고, 상기 작동실에는 상기 캠 플레이트에 연결된 피스톤을 왕복운동이 가능하게 수용하고, 상기 크랭크실 내의 압력 변경에 의해 상기 크랭크실과 상기 실린더 보어 내와의 상기 피스톤을 통한 압력차를 변경하고, 그 압력차의 변경에 근거하여 상기 캠 플레이트의 경사각을 변경함으로써 상기 압축성 유체의 토출용량을 변경하도록 한 것을 요지로 하는 것이다.
이 본원 청구항 7 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상기 청구항 6 에 기재된 발명의 작용에 더하여, 상기 제어밸브에 이물질이 침입하는 것이 미연에 억제되어, 그 제어밸브의 정확한 동작을 확보할 수 있다. 이로써 압축기에서의 정확한 상기 토출 용량의 변경동작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원 청구항 8 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청구항 7 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이 항상 외부 구동원에 접속된 것을 요지로 하는 것이다.
이러한 소위 클러치리스 타입의 압축기에서는, 상기 제어밸브에 문제가 발생하면, 토출 용량의 제어성이 크게 저하된 상태에서 운전이 계속될 우려가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요구되고 있는 토출 용량과 일치하지 않는 토출 용량으로 운전될 우려가 있다. 이 때문에, 이 본원 청구항 8 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소위 클러치리스 타입의 압축기에서 상기 청구항 7 에 기재된 발명의 작용이 특히 현저하게 발휘된다.
(제 1 실시형태)
이하에, 본 발명을 편두 (片頭) 피스톤 타입의 경사판식 가변용량 압축기로 구체화한 제 1 실시형태에 관하여 도 1 내지 도 4 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먼저, 상기 가변용량 압축기 (이하, 「압축기」라 한다) 의 개략 구성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론트 하우징 (11) 은 실린더 블록 (12) 의 전단에 접합되어 있다. 리어 하우징 (13) 은 실린더 블록 (12) 의 후단에 밸브 플레이트 (14) 를 통하여 접합되어 있다. 이들 프론트 하우징 (11), 실린더 블록 (12) 및 리어 하우징 (13) 은 관통 볼트 (15) 에 의해 접합 고정되어, 압축기의 하우징이 구성되어 있다.
상기 프론트 하우징 (11) 과 상기 실린더 블록 (12) 에 둘러싸인 바와 같이, 압력실로서의 크랭크실 (16) 이 구획 형성되어 있다. 구동축 (17) 은 크랭크실 (16) 을 가로질러 가도록 하여 프론트 하우징 (11) 과 실린더 블록 (12) 사이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가설 지지되어 있다. 이 구동축 (17) 은 그 전단측이 도시되지 않은 풀리, 벨트 등을 통해 차량 엔진 등의 외부 구동원에 항상 접속되어 있다. 이러한 소위 클러치리스 타입의 압축기에서는 차량 엔진으로부터의 구동력이 구동축 (17) 에 항상 전달되어, 그 구동축 (17) 이 항상 회전되게 되어 있다.
또, 구동축 (17) 에는 상기 크랭크실 (16) 내에서 회전지지체 (18) 가 고정됨과 동시에 캠 플레이트를 이루는 경사판 (19) 이 슬라이드이동이 가능하게 끼워져 있다. 이 경사판 (19) 은 힌지기구 (20) 를 통하여 상기 회전지지체 (18) 에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 힌지기구 (20) 및 상기 경사판 (19) 과 구동축 (17) 과의 끼움 관계에 의해, 상기 경사판 (19) 이 구동축 (17) 에 대하여 그 축선방향으로 경사운동하면서 슬라이드이동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즉, 도 1 에 있어서 이점 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경사판 (19) 의 반경 중심부가 실린더 블록 (12) 측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면, 경사판 (19) 의 경사각이 감소된다. 한편, 도 1 에서 실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경사판 (19) 의 반경 중심부가 회전지지체 (18) 측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면, 경사판 (19) 의 경사각이 증대된다.
상기 실린더 블록 (12) 에는 그 구동축 (17) 의 축선 주위의 동일 원주상에 소정 간격을 두어, 복수 (예컨대 6 개) 의 작동실로서의 실린더 보어 (12a) 가 형성되어 있다. 각각의 실린더 보어 (12a) 에는 편두형 피스톤 (21) 의 두부 (21a) 가 왕복운동이 가능하게 수용되어 있다. 그 피스톤 (21) 의 네크부 (21b) 측은 슈 (22) 를 통하여 상기 경사판 (19) 의 외주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로 인하여 상기 구동축 (17) 의 회전운동이, 상기 회전지지체 (18), 힌지기구 (20), 경사판 (19) 및 슈 (22) 를 통해 피스톤 (21) 의 두부 (21a) 의 실린더 보어 (12a) 내에서의 전후 왕복운동으로 변환된다.
도 1 및 도 2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리어 하우징 (13) 에는 그 중심부에 압력실로서의 흡입실 (24) 과 그 외주부에 압력실로서의 토출실 (25) 이 각각 구획 형성되어 있다. 그 토출실 (25) 의 내향 둘레벽면 (25a) 상에는 복수의 팽출부 (13a) 가 형성되며, 그 팽출부 (13a) 에는 상기 관통 볼트 (15) 에 나사결합하는 나사구멍 (13b) 이 천공설치되어 있다.
상기 밸브 플레이트 (14) 에는, 상기 각각의 실린더 보어 (12a) 에 대응하도록 흡입포트 (26), 흡입밸브 (27), 토출포트 (28) 및 토출밸브 (29) 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흡입포트 (26) 는 상기 흡입실 (24) 과 각각의 실린더 보어 (12a) 를 연통시키고, 상기 흡입밸브 (27) 는 이 흡입포트 (26) 를 개폐한다. 상기 토출포트 (28) 는 상기 토출실 (25) 과 각각의 실린더 보어 (12a) 를 연통시키고, 상기 토출 밸브 (29) 는 이 토출포트 (28) 를 개폐한다.
여기서, 상기 구동축 (17) 이 도시되지 않은 외부 구동원에 의해 회전 구동되어, 피스톤 (21) 이 상사점측에서 하사점측으로 이동되면, 흡입실 (24) 내의 냉매 가스가 흡입밸브 (27) 를 밀어내어 흡입포트 (26) 를 통하여 실린더 보어 (12a) 에 흡입된다. 실린더 보어 (12a) 에 흡입된 냉매 가스는, 피스톤 (21) 의 하사점측에서 상사점측으로 이동함으로써 소정 압력에 이를 때까지 압축된다. 이 압축된 냉매 가스는 토출 밸브 (29) 를 밀어내어 토출포트 (28) 를 통하여 토출실 (25) 로 토출된다.
상기 크랭크실 (16) 과 흡입실 (24) 은 연통로로서의 추기통로 (30) 에 의해 연통되어 있다. 상기 토출실 (25) 과 크랭크실 (16) 은 연통로로서의 급기통로 (31) 에 의해 연통되어 있다. 도 1 및 도 2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급기통로 (31) 도중에는 그 개구면적을 변경하기 위한 제어밸브 (32) 가 접속되어 있다. 이 제어밸브 (32) 는 상기 리어 하우징 (13) 의 후단부에 천공 설치된 설치구멍 (33) 내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흡입실 (24) 은 연통로로서의 흡입통로 (34) 를 통하여 외부 냉매 회로 (35) 의 일단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토출실 (25) 은 연통로로서의 토출통로 (36) 를 통하여 외부 냉매 회로 (35) 의 타단에 접속되어 있다. 이 외부 냉매 회로 (35) 는 응축기 (39), 팽창밸브 (40) 및 증발기 (41) 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외부 냉매 회로 (35) 와 상기 구성의 압축기에 의해 냉동회로가 구성되어 있다.
증발기 온도센서 (42) 는 상기 증발기 (41) 근방에 설치되어 그 증발기 (41) 에서의 온도를 검출한 다음, 이 검출온도 정보를 제어컴퓨터 (43) 에 출력한다. 이 제어컴퓨터 (43) 에는 예컨대 차량의 실내 온도를 설정하기 위한 차량 실내 온도 설정기 (44) 및 차량 실내 온도 센서 (45) 가 접속되어 있다.
상기 제어컴퓨터 (43) 는, 예컨대 차량 실내 온도 설정기 (44) 에 의해 미리 설정된 실내 온도, 증발기 온도 센서 (42) 에서 얻을 수 있는 검출온도, 및 차량 실내 온도 센서 (45) 에서 얻을 수 있는 검출온도 등의 외부신호에 근거하여 입력전류치를 구동회로 (46) 에 지령한다. 구동회로 (46) 는 지령된 입력전류치를 후술하는 제어밸브 (32) 의 코일 (67) 에 대하여 출력한다.
상기 제어밸브 (32) 는 전자구동부 (51) 와 밸브 하우징 (52) 이 중앙부에서 접합되어 이루어진 것이다. 상기 밸브 하우징 (52) 의 선단측 내부에는 벨로우즈 (53) 를 수용하는 감압실(感壓室) (54) 이 구획 형성되어 있다. 이 감압실 (54) 은 감압구멍 (55) 및 연통로로서의 검압통로 (56) 를 통해 상기 흡입실 (24) 에 연통되어 있다. 이로써 상기 흡입실 (24) 내의 흡입압력 (Ps) 이 감압실 (54) 내로 유도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밸브 하우징 (52) 내부의 상기 전자구동부 (51) 측에는 밸브체 (57) 를 수용하는 밸브실 (58) 이 구획 형성되어 있다. 이 밸브실 (58) 의 밸브체 (57) 와 대향하는 위치에는 밸브구멍 (59) 의 일단이 개구되어 있다. 이 밸브구멍 (59) 의 타단은 밸브 하우징 (52) 의 외주면에서 상기 감압실 (54) 과 밸브실 (58) 거의 중간에 개구되어 있다. 이 밸브구멍 (59) 에는 하류측 급기통로 (31a) 를 통하여 상기 크랭크실 (16) 이 연통되어 있다. 이로 인하여 상기 밸브체 (57) 가 상기 밸브구멍 (59) 을 폐쇄한 상태에서는 그 밸브구멍 (59) 내에 상기 크랭크실 (16) 내의 크랭크실 압력 (Pc) 이 유도되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밸브실 (58) 에는 급기구멍 (60) 및 상류측 급기통로 (31b) 를 통하여 상기 토출실 (25) 이 연통되어 있다. 이로 인하여 상기 밸브실 (58) 내에 상기 토출실 (25) 내의 토출압력 (Pd) 이 유도되게 되어 있다.
이처럼, 상기 상류측 급기통로 (31b), 급기구멍 (60), 밸브실 (58), 밸브구멍 (59) 및 하류측 급기통로 (31a) 에 의해 상기 급기통로 (31) 가 구성되어 있다.
상기 밸브체 (57) 에는 감압 로드 (61) 가 일체로 형성되며, 이 감압 로드 (61) 에 의해 상기 벨로우즈 (53) 와 밸브체 (57) 가 작동 연결되어 있다. 즉, 상기 벨로우즈 (53) 가 상기 흡입압력 (Ps) 의 변동에 따라서 신축되면, 그 흡입압력 (Ps) 의 변동에 따른 가압력이 상기 감압 로드 (61) 를 통해 밸브체 (57) 에 전달된다.
상기 밸브체 (57) 와, 그 밸브체 (57) 에 대향하는 밸브실 (58) 의 내벽면 사이에는 강제 개방 스프링 (62) 이 배치되어 있다. 이 강제 개방 스프링 (62) 에 의해 상기 벨로우즈 (53) 및 전자구동부 (51) 의 비작동 상태에서, 상기 밸브체 (57) 가 상기 밸브구멍 (59) 을 개방하게 되어 있다.
상기 전자구동부 (51) 의 내부에는 플런저실 (63) 이 구획 형성되고, 그 플런저실 (63) 의 위쪽 개구부에는 고정철심 (64) 이 끼워맞춰져 있다. 상기 플런저실 (63) 의 내부에는 가동철심 (65) 이 상기 고정철심 (64) 과 대향하도록 수용되어 있다. 그 가동철심 (65) 과 플런저실 (63) 의 저면 사이에는 추종 스프링 (66) 이 배치되며, 이 추종 스프링 (66) 에 의해 가동철심 (65) 가 상기 밸브실 (58) 측에 가압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철심 (64) 과 상기 가동철심 (65) 의 외측에는 양 철심 (64, 65) 에 걸쳐서 코일 (67) 이 배치되어 있다. 이 코일 (67) 에는 상기 구동회로 (46) 가 접속되어 있고, 그 구동회로 (46) 에서의 입력전류치에 따른 전자력이 발생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밸브체 (57) 에는, 상기 감압 로드 (61) 와는 반대측에서 전자구동 로드 (68) 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 전자구동 로드 (68) 의 가동철심 (65) 측 단부는 상기 강제 개방 스프링 (62) 및 추종 스프링 (66) 의 가압력에 의해 가동철심 (65) 에 맞닿아 있다. 이로써 가동철심 (65) 과 밸브체 (57) 가 전자구동 로드 (68) 를 통하여 작동 연결되어, 상기 코일 (67) 에서 발생된 전자력에 따른 가압력이 상기 밸브체 (57) 에 전달되도록 되어 있다.
이어서, 상기 구성의 압축기의 토출 용량의 변경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예컨대, 차량 실내 온도 센서 (45) 에서 얻은 검출온도가 차량 실내 온도 설정기 (44) 의 설정 온도 이상인 경우에는, 제어컴퓨터 (43) 는 구동회로 (46) 에 지령하여 제어밸브 (32) 의 코일 (67) 에 소정 전류를 공급한다. 코일 (67) 에 대한 전류의 공급이 개시되면 상기 양 철심 (64, 65) 간에는 입력전류치에 따른 흡인력 (전자력) 이 발생한다. 이 흡인력은 강제 개방 스프링 (62) 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밸브구멍 (59) 에 접근하는 방향, 다시 말하면 급기통로 (31) 의 개구 면적이 감소하는 방향의 하중으로서 밸브체 (57) 에 전달된다.
한편, 벨로우즈 (53) 는 검압통로 (56) 를 통하여 감압실 (54) 에 도입되는 흡입압력 (Ps) 의 변동에 따라 신축된다. 이 벨로우즈 (53) 의 신축에 따라 감압 로드 (61) 를 통하여 밸브체 (57) 전달되는 하중이 변화한다.
즉, 상기 흡입압력 (Ps) 이 높아지면 상기 벨로우즈 (53) 가 수축되고, 상기 밸브체 (57) 에는 밸브구멍 (59) 에 접근하는 방향, 다시 말하면 급기통로 (31) 의 개구 면적이 감소하는 방향의 하중이 전달된다. 한편, 상기 흡입압력 (Ps) 이 낮아지면 상기 벨로우즈 (53) 가 늘어나, 상기 밸브체 (57) 에는 밸브구멍 (59) 에 이간하는 방향, 다시 말하면 급기통로 (31) 의 개구 면적이 증대하는 방향의 하중이 전달된다. 그리고, 제어밸브 (32) 는 상기 고정철심 (64) 과 가동철심 (65) 간의 흡인력에 근거하는 부여 하중 및 벨로우즈 (53) 의 신축에 근거하는 부여 하중 외에, 상기 강제 개방 스프링 (62) 및 추종 스프링 (66) 에 근거하는 가압력등의 총합력에 의해 밸브체 (57) 를 동작시켜 급기통로 (31) 의 개구 면적을 결정한다.
제어밸브 (32) 내에서의 급기통로 (31) 의 개구 면적이 작아지면 토출실 (25) 로부터 급기통로 (31) 를 경유하여 크랭크실 (16) 로 공급되는 냉매 가스량이 적어진다. 크랭크실 (16) 내의 냉매 가스는 추기통로 (30) 를 통하여 항상 소정량이 흡입실 (24) 로 유출되고 있기 때문에, 크랭크실 (16) 내의 크랭크실 압력 (Pc) 이 저하한다. 따라서, 상기 크랭크실 압력 (Pc) 과 실린더 보어 (12a) 내의 압력과의 피스톤 (21) 을 통한 차가 작아져, 경사판 (19) 의 경사각이 커진다. 그 결과, 피스톤 (21) 의 스트로크가 커져 토출 용량이 증대한다.
한편, 제어밸브 (32) 내에서의 급기통로 (31) 의 개구 면적이 커지면, 토출실 (25) 로부터 크랭크실 (16) 로 공급되는 냉매 가스량이 많아져, 크랭크실 (16) 의 크랭크실 압력 (Pc) 이 상승한다. 따라서, 상기 크랭크실 압력 (Pc) 과 실린더 보어 (12a) 의 압력과의 피스톤 (21) 을 통한 차가 커져, 경사판 (19) 의 경사각이 작아진다. 그 결과, 피스톤 (21) 의 스트로크가 작아져 토출 용량이 감소한다.
그런데, 차량 실내에서의 냉방 요구가 큰 경우에는, 예컨대 차량 실내 온도 센서 (45) 에 의해 검출된 검출온도와 차량 실내 온도 설정기 (44) 에 의한 설정온도와의 차가 커진다. 제어컴퓨터 (43) 는, 구동회로 (46) 에 대하여 상기 검출온도와 상기 설정온도의 차가 클수록 제어밸브 (32) 의 코일 (67) 로의 입력전류치를 크게 하도록 지령한다. 이로써 고정철심 (64) 과 가동철심 (65) 간의 흡인력이 커져, 제어밸브 (32) 내에서 급기통로 (31) 의 개구 면적을 작게 하는 방향의 밸브체 (57) 로의 부여 하중이 증대한다.
따라서, 제어밸브 (32) 는 보다 낮은 흡입압력 (Ps) 을 목표 (설정 흡입압) 로 하여 벨로우즈 (53) 에 의해 밸브체 (57) 를 동작시켜서 밸브구멍 (59) 을 개폐한다. 바꾸어 말하면, 제어밸브 (32) 는 코일 (67) 로의 입력전류치가 증대됨에 따라, 보다 낮은 흡입압력 (Ps) 을 유지하도록 압축기의 토출 용량을 조절한다.
반대로, 차량 실내에서의 냉방 요구가 작은 경우에는, 예컨대 차량 실내 온도 센서 (45) 에 의해 검출된 검출온도와 차량 실내 온도 설정기 (44) 에 의한 설정온도와의 차는 작아진다. 제어컴퓨터 (43) 는, 구동회로 (46) 에 대하여 상기 검출온도와 상기 설정온도의 차가 작을수록 제어밸브 (32) 의 코일 (67) 로의 입력전류치를 작게 하도록 지령한다. 이로써 고정철심 (64) 과 가동철심 (65) 간의 흡인력이 작아져, 제어밸브 (32) 내에서의 급기통로 (31) 의 개구 면적을 작게 하는 방향의 밸브체 (57) 로의 부여 하중이 감소한다.
따라서, 제어밸브 (32) 는 보다 높은 흡입압력 (Ps) 을 설정 흡입압으로 하여 벨로우즈 (53) 에 의해 밸브체 (57) 를 동작시켜서 밸브구멍 (59) 을 개폐한다. 바꾸어 말하면, 제어밸브 (32) 는 코일 (67) 로의 입력전류치가 감소됨에 따라, 보다 높은 흡입압력 (Ps) 을 유지하도록 압축기의 토출 용량을 조절한다.
이상과 같이, 제어밸브 (32) 에 있어서 벨로우즈 (53) 에 의한 급기통로 (31) 의 개폐 동작은 코일 (67) 에 대한 입력전류치의 대소에 따라 변화한다. 이러한 제어밸브 (32) 를 구비함으로써 압축기는 냉동회로에서 냉동능력을 변경하는 역할을하고 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 형태의 특징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리어 하우징 (13) 의 내부 저면 (13c) 에서 아래쪽의 상기 팽출부 (13a) 근방에는, 필터 (71) 를 설치하기 위한 평면 원형인 설치 오목부 (72) 가 오목하게 설치되어 있다. 그 설치 오목부 (72) 에는 중앙보다 약간 안 측에 계단부 (72a) 가 형성되어 있고, 바닥부 (72b) 에 상기 상류측 급기통로 (31b) 가 개구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이 설치 오목부 (72) 는 상기 급기통로 (31) 에서의 냉매 가스 입구 및 리어 하우징 (13) 의 개구 단부를 구성하고 있다.
상기 필터 (71) 는, 커버가 있는 원통형 철망으로 이루어지는 여과재부 (73) 와 상기 설치 오목부 (72) 의 개구 형상에 대응하도록 형성된 금속제의 2 매의 지지링 (74) 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여과재부 (73) 의 개구단으로부터 플랜지부 (73a) 가 팽출되어 있다. 상기 지지링 (74) 을 이루는 상부 지지링 (74a) 과 하부 지지링 (74b) 은 상기 플랜지부 (73a) 를 사이에 둔 상태로 스폿 용접되어 있다. 이로써 상기 여과재부 (73) 와 지지링 (74) 이 일체화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여과재부 (73) 의 두부 (73b) 는 상기 상부 지지링 (74a) 에서 소정 높이만큼 팽출되어 있다. 이로써 필터 (71) 를 상기 설치 오목부 (72) 내에 장착한 상태로, 그 여과재부 (73) 의 두부 (73b) 가 상기 리어 하우징 (13) 의 내부 저면 (13c) 에서 팽출되게 되어 있다.
이 지지링 (74) 의 외경은 상기 설치 오목부 (72) 의 개구부에서의 내경보다도 약간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하부 지지링 (74b) 의 장착방향측 단면의 외주 테두리에는 그 장착방향을 향해 직경을 좁히는 테이퍼면이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상기 설치 오목부 (72) 에 대한 필터 (71) 의 압입에 의한 장착 및 고정이 가능해지고 있다. 이 필터 (71) 가 설치 오목부 (72) 내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상기 하부 지지링 (74b) 의 단면이 설치 오목부 (72) 의 계단부 (72a) 에 맞닿게 되어 있다.
이 필터 (71) 를 장착하는 경우에는, 그 하부 지지링 (74b) 을 설치 오목부 (72) 의 개구부에 대응시킨 상태에서, 소정의 지그를 이용하여 상부 지지링 (74a) 을 리어 하우징 (13) 측에 가압함으로써 압입한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한 제 1 실시형태에 의하면, 아래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가) 이 제 1 실시형태의 압축기에서는, 급기통로 (31) 에서 리어 하우징 (13) 의 개구단부를 구성하는 설치 오목부 (72) 에 대하여 필터 (71) 가 압입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설치 오목부 (72) 에 대하여 필터 (71) 를 대응시켜, 그 필터 (71) 를 그대로 압입한다는 간단한 작업으로, 그 필터 (71) 가 리어 하우징 (13) 에 고정된다. 이로써 필터 (71) 의 장착 작업을 용이하게 자동화할 수 있다. 또, 설치 오목부 (72) 내에 환형 홈을 형성할 필요가 없으며, 설치 오목부 (72) 의 형상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어 가공이 용이해진다. 따라서, 압축기 제조 비용의 삭감을 도모할 수 있다.
(나) 이 제 1 실시형태의 압축기에서는 필터 (71) 가 급기통로 (31) 의 냉매 가스 입구에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급기통로 (31) 내로 이물질이 침입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음과 동시에, 필터 (71) 가 냉매 가스의 압력에 의해 급기통로 (31) 측에 가압되기 때문에 필터 (71) 가 부주의하게 탈락되는 일이 없다.
(다) 이 제 1 실시형태의 압축기에서는, 필터 (71) 는 커버가 있는 원통형인 여과재부 (73) 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소정의 여과 면적을 확보하면서 필터 (71) 의 지지링 (74) 을 직경방향으로 용이하게 소형화할 수 있어, 급기통로 (31) 및 그 주변 구성의 설계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라) 이 제 1 실시형태의 압축기에서는, 필터 (71) 에서의 여과재부 (73) 의 두부 (73b) 가 토출실 (25) 내로 팽출된 상태로 노출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필터 (71) 를, 그 상기 여과재부 (73) 에 이물질이 퇴적하기 어렵고 또 부착된 이물질은 상기 토출실 (25) 내에 냉매 가스가 흐름에 따라 제거되기 쉬운 구조로 할 수 있다. 따라서, 필터 (71) 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나아가서는 압축기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마) 이 제 1 실시형태의 압축기에서는, 상기 (가) 내지 (라) 에 기재된 효과를 갖는 필터 (71) 가 급기통로 (31) 의 입구에 장착되어 있다.
여기서, 냉매 가스를 압축하는 압축기에는, 특히 그 크랭크실 (16) 내를 중심으로 하여 구동축 (17), 회전지지체 (18) 등의 베어링부, 경사판 (19) 과 피스톤 (21) 과의 계류(係留)부, 피스톤 (21) 과 실린더 보어 (12a) 간 등, 많은 슬라이딩면이 존재한다. 그리고, 이들 각각의 슬라이딩면은 항상 다량의 액체가 접하는 것이 아니라 다소의 윤활유가 공급되어 있는 것에 지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각각의 슬라이딩면에 이물질이 부착되면 그 이물질이 잘 씻겨나가지 않는 일이 있다.
이에 대하여, 이 제 1 실시형태의 압축기에서는, 상기 각각의 슬라이딩면에서 여러 가지 문제를 야기하는 이물질이 필터 (71) 에 의해 제거되기 때문에, 그 이물질이 토출실 (25) 로부터 크랭크실 (16) 로의 냉매 가스의 공급시에 함께 들어가는 것이 억제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각각의 슬라이딩면에서의 눌어붙음 등과 같은 문제의 발생이 효과적으로 억제되어, 압축기의 안정적인 운전상태를 확보할 수 있음과 동시에 압축기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바) 이 제 1 실시형태의 압축기에서는, 제어밸브 (32) 의 동작에 따라 크랭크실 (16) 내의 크랭크실 압력 (Pc) 이 변경되어, 이 크랭크실 압력 (Pc) 의 변경에 의해 그 크랭크실 (16) 과 실린더 보어 (12a) 내와의 피스톤 (21) 을 통한 압력차가 변경된다. 그리고, 이 차의 변경에 근거하여, 경사판 (19) 의 경사각이 변경되고 피스톤 (21) 의 스트로크가 변경되며 토출 용량이 변경되게 되어 있다.
따라서, 제어밸브 (32) 내에 이물질이 침입하여, 밸브체 (57) 와 밸브구멍 (59) 간, 감압 로드 (61) 의 슬라이딩부, 전자 구동 로드 (68) 의 슬라이딩부 등에 끼이면 이 제어밸브 (32) 에 의한 급기통로 (31) 의 개구 면적을 정확하게 조정하기 곤란하게 되기도 한다. 이 상태에서는 상기 압력차의 조정에 지장을 불러 압축기의 토출 용량 제어가 곤란해진다.
이에 대하여, 이 제 1 실시형태의 압축기에서는, 급기통로 (31) 의 입구에 장착된 필터 (71) 에 의해, 제어밸브 (32) 내로 이물질이 침입하는 것이 효과적으로 억제되고 있다. 이 때문에 제어밸브 (32) 에 이물질이 침임함으로 인한 문제가 미연에 억제되어, 그 제어밸브 (32) 의 정확한 동작을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압축기에서의 정확한 토출 용량의 변경동작을 확보할 수 있다.
더구나, 상기 제어밸브 (32) 는 상기 크랭크실 (16) 내에서의 엄밀한 압력 제어가 요구되기 때문에, 그 밸브체 (57) 등은 대단히 미묘한 동작을 수행하게 되어 있다. 또, 밸브체 (57) 와 밸브구멍 (59) 과의 클리어런스도 매우 작게 설정되어 있다. 이처럼 제어밸브 (32) 는 이물질이 침입하면 막히기 쉬운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제어밸브 (32) 의 상류에서 이물질을 제거하면 그 효과가 특히 커진다.
(사) 이 제 1 실시형태의 압축기에서는, 구동축 (17) 이 항상 외부 구동원에 접속되어 있다. 이러한 소위 클러치리스 타입의 압축기에서는, 제어밸브 (32) 에 문제가 발생하면 토출 용량의 제어성이 크게 저하된 상태에서 운전이 계속될 우려가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요구되고 있는 토출 용량과 일치하지 않는 토출 용량으로 운전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상기 (가) 내지 (사)에 기재된 바와 같은 효과를 갖는 필터 (71) 의 구성은 소위 클러치리스 타입의 압축기에 채용하면 그 효과가 특히 현저하게 발휘된다.
(제 2 실시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하여 상기 제 1 실시형태와는 다른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5a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제 2 실시형태의 필터 (81) 에서는, 여과재부 (73) 의 플랜지부 (73a) 에 수지제의 지지링 (82) 이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또, 상기 설치 오목부 (72) 의 계단부 (72a) 와 개구부 간에서의 내주면 중앙에는 환형 홈 (83) 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링 (82) 의 외경은 상기 설치 오목부 (72) 의 개구부에서의 내경과 거의 동등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5b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필터 (81) 는 코킹에 의해 팽출변형된 지지링 (82) 의 팽출부 (82a) 와 상기 환형 홈 (83) 의 걸어맞춤에 의해 설치 오목부 (72) 내에 고정되어 있다.
이 필터 (81) 를 장착하는 경우에는, 상기 지지링 (82) 을 그 단면이 계단부 (72a) 에 맞닿도록 설치 오목부 (72) 내에 삽입한다. 이 상태로 소정의 지그를 이용하여 상기 지지링 (82) 을 리어 하우징 (13) 측에 가압함으로써, 그 지지링 (82) 외주부의 일부를 설치 오목부 (72) 의 환형 홈 (83) 내에 팽출시킨다. 이로써 지지링 (82) 의 팽출부 (82a) 와 설치 오목부 (72) 의 환형 홈 (83) 의 걸어맞춤에 의해 필터 (81) 가 리어 하우징 (13) 에 대해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제 2 실시형태에 의하면, 상기 제 1 실시형태에 기재한 (나) 내지 (사) 와 거의 동일한 효과에 더하여, 아래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아) 이 제 2 실시형태의 압축기에서는, 급기통로 (31) 에서 리어 하우징 (13) 의 개구 단부를 구성하는 설치 오목부 (72) 에 대하여 필터 (81) 가 코킹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설치 오목부 (72) 에 대해 필터 (81) 를 삽입하여, 그 지지링 (82) 을 가압한다는 간단한 작업으로 그 필터 (81) 가 리어 하우징 (13) 에 고정된다. 이로써 필터 (81) 의 장착 작업을 용이하게 자동화할 수 있다.
(변경예)
또한, 상기 본 발명의 각각의 실시형태는 아래와 같이 변경해도 된다.
상기 각각의 실시형태에서는, 필터 (71, 81) 를 급기통로 (31) 의 입구를 구성하는 설치 오목부 (72) 에 장착하였지만, 그 필터 (71, 81) 를, 검압통로 (56) 의 흡입실 (24) 에 면하는 입구에 설치 오목부 (72) 를 설치하여 장착해도 된다.
이렇게 한 경우, 벨로우즈 (53), 감압 로드 (61) 및 그 주변 구성에 이물질이 부착함으로 인하여 흡입압 (Ps) 의 변동에 따른 밸브체 (57) 로의 가압력 조정 및 그 전달에 지장이 생기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각각의 실시형태에서는, 필터 (71, 81) 를, 급기통로 (31) 의 입구를 구성하는 설치 오목부 (72) 에 장착하였지만, 흡입통로 (34) 의 외부 냉매 회로 (35) 와의 접속부에 설치 오목부 (72) 를 설치하여 그 필터 (71, 81) 를 장착해도 된다.
이렇게 한 경우, 외부 냉매 회로 (35) 에서 압축기내로 이물질이 침입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 1 실시형태의 필터 (71) 에 있어서, 지지링 (74) 의 외주면 상에 예컨대 고리등의 압입시에 탄성변형 가능한 걸기부를 설치함과 동시에, 설치 오목부 (72) 의 내주면 상에, 예컨대 홈, 오목부등의 상기 걸기부와 걸어맞춤될 수 있는 걸어맞춤부를 형성해도 된다.
이렇게 한 경우, 필터 (71) 를 설치 오목부 (72) 에 대하여 보다 확실하게 탈락방지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제 2 실시형태의 필터 (81) 에 있어서, 그 지지링 (82) 의 외주에 장착할 때의 가압력에 의해 소성변형 가능한 금속, 예컨대 알루미늄, 납, 구리 등의 비교적 유연한 금속제의 링을 더 장착해도 된다. 또, 예컨대 상기 지지링 (82) 을 상기 장착시의 가압력에 의해 소성변형 가능한 금속으로 형성해도 된다.
이렇게 해도 상기 제 2 실시형태와 거의 동등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각각의 실시형태에서는, 구동축 (17) 이 외부 구동원에 항상 작동 연결되도록 구성하였지만, 상기 구동축 (17) 을 외부 구동원에 대하여 전자 클러치 등을 통해 단속 (斷續) 가능하게 작동 연결되도록 해도 된다. 그리고, 차량 실내의 냉방 요구 유무에 따라 상기 구동축 (17) 과 외부 구동원을 단속하도록 해도 된다.
또, 차량 실내에 공조장치 작동 스위치를 설치하여 그 온·오프에 따라 상기 구동축 (17) 과 외부 구동원을 단속함과 동시에, 상기 스위치의 온 상태에서는 상기 구동축 (17) 과 외부 구동원을 항상 작동 연결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상기 전자 클러치의 온·오프 횟수를 격감시킴으로써 차량의 주행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각각의 실시형태에서는, 필터 (71, 81) 의 여과재부 (73) 을 커버가 있는 원통형으로 형성하였지만, 상기 여과재부 (73) 를 예컨대 커버가 있는 다각기둥형, 단면이 별형, 톱니바퀴형 등인 기둥형, 원추형, 다각뿔형, 대략 반구형, 대략 반타원형 등으로 형성해도 된다.
상기 각각의 실시형태에서는 본 발명을 흡입압력 (Ps) 의 변동과 압축기 외부에서의 신호 두 가지에 근거하여 토출 용량을 제어하는 제어밸브 (32) 를 갖는 압축기로 구체화하였다. 이에 대하여 본 발명은 흡입압력 (Ps) 의 변동과 압축기 외부에서의 신호 중 어느 하나에 근거하여 토출 용량을 제어하는 제어밸브를 갖는 압축기로 구체화해도 된다.
상기 각각의 실시형태에서는, 본 발명을 토출실 (25) 로부터 크랭크실 (16) 로의 냉매 가스의 공급량을 변경하여 토출 용량을 변경시키는 제어밸브 (32) 를 갖는 압축기로 구체화하였다. 이에 대하여 본 발명은 크랭크실 (16) 로부터 흡입실 (24) 로의 냉매 가스의 방출량을 변경하여 토출 용량을 변경시키는 제어밸브를 갖는 압축기로 구체화해도 된다. 이 경우, 그 제어밸브는 추기통로 (30) 도중에 배열설치되고 상기 필터 (71, 81) 는 추기통로 (30) 의 크랭크실 (16) 에 면한 실린더 블록 (12) 의 벽면 상 입구에 부착된다.
상기 각각의 실시형태에서는, 본 발명을 편두 피스톤 타입의 경사판식 가변용량 압축기 급기통로 (31) 의 입구 부분에 있는 필터의 고정 구성으로 구체화하였다. 이에 대하여 본 발명은 양두(兩頭) 피스톤 타입의 경사판식 압축기, 웨이브 캠식 압축기, 워블식 압축기, 스크롤식 압축기, 베인식 압축기 등의 압축기, 또 유압펌프와 같은 액체펌프 등에서의 하우징에 천공설치된 유체 통로의 입구에 있는 필터의 고정 구성으로 구체화해도 된다.
또, 이러한 유체 기계는 가변용량형, 고정용량형 중 어느 것이든 상관없다. 또, 이들 유체 기계는 구동축이 외부 구동원에 항상 작동 접속된 소위 클러치리스 타입인 것이어도 되고, 구동축이 클러치를 통하여 외부 구동원에 단속 가능하게 접속된 것이어도 된다.
이렇게 해도 상기 실시형태와 거의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원 청구항 1 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필터의 장착 작업을 용이하게 자동화할 수 있어 유체 기계의 제조비용을 삭감할 수 있다.
본원 청구항 2 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상기 청구항 1 에 기재된 발명의 효과에 더하여, 상기 연통로내로 이물질이 침입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음과 동시에 필터가 부주의하게 탈락되는 일이 없다.
또한, 본원 청구항 3 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상기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 에 기재된 발명의 효과에 더하여, 소정의 여과 면적을 확보하면서 필터를 직경방향으로 소형화할 수 있어 설계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원 청구항 4 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상기 청구항 3 에 기재된 발명의 효과에 더하여, 상기 여과재부를 이물질이 퇴적하기 어려운 구조로 할 수 있어 필터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원 청구항 5 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이물질이 씻겨나가기 어려운 구조의 압축기에 있어서, 상기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명의 효과를 현저하게 실현시킬 수 있다.
또한, 본원 청구항 6 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상기 청구항 5 에 기재된 발명의 효과에 더하여, 제어밸브에 이물질이 막히거나 하여 문제가 생기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원 청구항 7 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상기 청구항 6 에 기재된 발명의 효과에 더하여, 압축기에서의 정확한 상기 토출 용량의 변경 동작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원 청구항 8 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소위 클러치리스 타입의 압축기에 있어서 상기 청구항 7 에 기재된 발명의 효과가 특히 현저하게 발휘된다.

Claims (8)

  1. 하우징 내에 복수의 압력실, 용적변화에 의해 수용된 유체에 소정 압력을 발생시키는 작동실, 및 상기 하우징에 천공 설치되어 외부와 상기 압력실 간 또는 상기 각각의 압력실 간을 연통하는 연통로를 구비한 유체 기계에 있어서,
    상기 연통로에서의 하우징 개구단부에 대하여 필터를 압입 또는 코킹에 의해 고정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기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상기 연통로 내의 상기 유체의 유통방향에서의 입구측의 상기 개구단부에 설치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기계.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입체 형상을 한 여과재부를 구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기계.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재부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하우징의 개구단부에서 이간하는 방향으로 팽출하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기계.
  5. 제 1 항, 제 2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가 압축성 유체이고, 상기 압력실은 외부에서 공급되는 압축성 유체를 수용하는 흡입실과 상기 작동실에서 토출되는 압축성 유체를 수용하는 토출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기계.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로 중 적어도 하나가 그 도중에 개구면적을 변경하기 위한 제어밸브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기계.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실은, 상기 제어밸브의 동작에 따라 내부에 수용된 압축성 유체의 압력이 변경되고, 상기 구동축에 경사운동이 가능하게 부착된 캠 플레이트를 수용하는 크랭크실을 포함하고, 상기 작동실에는 상기 캠 플레이트에 연결된 피스톤을 왕복운동이 가능하게 수용하고, 상기 크랭크실 내의 압력 변경에 의해 상기 크랭크실과 상기 실린더 보어 내와의 상기 피스톤을 통한 압력차를 변경하고, 그 압력차의 변경에 근거하여 상기 캠 플레이트의 경사각을 변경함으로써 상기 압축성 유체의 토출용량을 변경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기계.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이 항상 외부 구동원에 접속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기계.
KR1020000003698A 1999-03-15 2000-01-26 필터가 장착된 유체 기계 KR1003232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1069033A JP2000265960A (ja) 1999-03-15 1999-03-15 流体機械
JP99-069033 1999-03-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2505A true KR20000062505A (ko) 2000-10-25
KR100323264B1 KR100323264B1 (ko) 2002-02-06

Family

ID=133908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3698A KR100323264B1 (ko) 1999-03-15 2000-01-26 필터가 장착된 유체 기계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422830B1 (ko)
EP (1) EP1036941A3 (ko)
JP (1) JP2000265960A (ko)
KR (1) KR100323264B1 (ko)
CN (1) CN1266945A (ko)
BR (1) BR0001319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07156A (ja) * 2001-04-11 2002-10-22 Toyota Industries Corp ダイキャスト方法および金型装置
US6634102B2 (en) * 2002-02-27 2003-10-21 U-Tech Environmental Manufacturing Supply, Inc. Method of removing a sensing rod from a hydraulic water pump
US7462215B2 (en) * 2004-06-10 2008-12-09 Airsept, Inc. Very thin profile filter with large filter media area
US7866964B2 (en) * 2005-05-20 2011-01-11 Emerson Climate Technologies, Inc. Sensor for hermetic machine
BRPI0602962A (pt) * 2006-07-06 2008-02-26 Whirlpool Sa abafador acústico para compressor de refrigeração
CN101862562B (zh) * 2006-09-28 2012-10-31 大协西川株式会社 过滤器以及机油集滤器
JP5073751B2 (ja) * 2006-10-10 2012-11-14 エーエスエム アメリ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前駆体送出システム
US8262372B2 (en) 2007-05-10 2012-09-11 Emerson Climate Technologies, Inc. Compressor hermetic terminal
US8939734B2 (en) * 2007-08-28 2015-01-27 Emerson Climate Technologies, Inc. Molded plug for a compressor
JP2009074431A (ja) * 2007-09-20 2009-04-09 Toyota Industries Corp 圧縮機
US8684704B2 (en) * 2007-12-21 2014-04-01 Carleton Life Support Systems, Inc. Radial cam-driven compressor and radial cam-driven compressor assemblies
JP2009197685A (ja) 2008-02-21 2009-09-03 Toyota Industries Corp 斜板式圧縮機
US8939735B2 (en) * 2009-03-27 2015-01-27 Emerson Climate Technologies, Inc. Compressor plug assembly
JP5413834B2 (ja) * 2009-11-27 2014-02-12 サンデン株式会社 往復動圧縮機
KR100991513B1 (ko) 2010-07-16 2010-11-04 한국기계연구원 필터 내장형 유압펌프 및 모터 피스톤 조립체
KR101258795B1 (ko) 2012-02-02 2013-04-26 김기연 차량용 가변용량 압축기의 체크밸브의 이물질 유입 방지 구조
US9480177B2 (en) 2012-07-27 2016-10-25 Emerson Climate Technologies, Inc. Compressor protection module
US11002268B2 (en) 2015-07-27 2021-05-11 Cobham Mission Systems Davenport Lss Inc. Sealed cavity compressor to reduce contaminant induction
US11926894B2 (en) 2016-09-30 2024-03-12 Asm Ip Holding B.V. Reactant vaporizer and related systems and methods
US10876205B2 (en) 2016-09-30 2020-12-29 Asm Ip Holding B.V. Reactant vaporizer and related systems and methods
US11634812B2 (en) 2018-08-16 2023-04-25 Asm Ip Holding B.V. Solid source sublimator
DE102019118124A1 (de) * 2019-07-04 2021-01-07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Filtereinheit zum Filtern eines Fluids einer hydraulischen Strecke sowie Kupplungssystem mit der Filtereinheit
US11624113B2 (en) 2019-09-13 2023-04-11 Asm Ip Holding B.V. Heating zone separation for reactant evaporation system
JP2024046961A (ja) * 2022-09-26 2024-04-05 サンデン株式会社 可変容量圧縮機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94855A (en) 1974-01-28 1975-07-15 Tecumseh Products Co Compressor inlet filter
US4428718A (en) 1982-02-25 1984-01-31 General Motors Corporation Variable displacement compressor control valve arrangement
SG30647G (en) * 1991-01-28 1995-09-01 Sanden Corp Slant plate type compressor with variable displacement mechanism
JP3329006B2 (ja) 1993-03-31 2002-09-30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可変容量型圧縮機用制御弁
JP3242496B2 (ja) 1993-07-06 2001-12-25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可変容量圧縮機の外部切換式容量制御弁
JP2713544B2 (ja) * 1993-10-12 1998-02-16 松下冷機株式会社 冷凍装置及び冷媒圧縮機
JP3205453B2 (ja) * 1994-03-18 2001-09-04 サンデン株式会社 冷却用圧縮機
JP3733633B2 (ja) 1996-02-01 2006-01-11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可変容量圧縮機
JPH109160A (ja) * 1996-06-24 1998-01-13 Daikin Ind Ltd スクロール圧縮機
JPH10281060A (ja) * 1996-12-10 1998-10-20 Toyota Autom Loom Works Ltd 可変容量圧縮機
JPH1193832A (ja) * 1997-09-25 1999-04-06 Sanden Corp 可変容量圧縮機
JP4019336B2 (ja) * 1998-03-18 2007-12-1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アコンプレッサ
US6117202A (en) * 1998-03-27 2000-09-12 Floratech Industries, Inc. Gasket seal for filter unit
US6189333B1 (en) * 1999-07-26 2001-02-20 Delphi Technologies, Inc. Refrigerant filter for use in an automotive air conditioning system
US6176093B1 (en) * 1999-09-15 2001-01-23 Airsept, Inc. Automotive air conditioning refrigerant filter and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0265960A (ja) 2000-09-26
EP1036941A3 (en) 2001-02-28
KR100323264B1 (ko) 2002-02-06
BR0001319A (pt) 2000-10-17
EP1036941A2 (en) 2000-09-20
US6422830B1 (en) 2002-07-23
CN1266945A (zh) 2000-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23264B1 (ko) 필터가 장착된 유체 기계
EP1852606B1 (en) Capacity control valve
CN110582641B (zh) 螺线管控制阀和包括该螺线管控制阀的可变容量压缩机
KR100276036B1 (ko) 가변용량 압축기용 제어밸브
KR970002331B1 (ko) 용량 가변 기구를 구비한 경사판식 압축기
EP0809025A1 (en) Reciprocating pistons of piston-type compressor
JP4840363B2 (ja) 圧縮機
EP2065598A2 (en) Structure for mounting a filter in a compressor
EP0900937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of fluid displacement apparatus with variable displacement mechanism
US6280152B1 (en) Variable-type swash plate compressor having a cock member for fixed capacity operatio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US6203284B1 (en) Valve arrangement at the discharge chamber of a variable displacement compressor
JPWO2019142931A1 (ja) 容量制御弁
CN109154285B (zh) 可变容量压缩机
JP5413834B2 (ja) 往復動圧縮機
US10815980B2 (en) Variable displacement swash plate type compressor
JP2000257552A (ja) 可変容量圧縮機における制御弁の取付構造
US6681587B2 (en) Flow restricting structure in displacement controlling mechanism of variable displacement compressor
US6637223B2 (en) Control apparatus for variable displacement compressor
US8215924B2 (en) Oil separating structure of variable displacement compressor
JP7185560B2 (ja) 可変容量圧縮機
CN109937300B (zh) 可变容量压缩机
EP1983191A1 (en) Variable displacement-type clutchless compressor
JP6469994B2 (ja) 圧縮機
WO2021015116A1 (ja) 可変容量圧縮機の制御弁
EP1455089A1 (en) Variable displacement compress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