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62480A - 압축기의 흡입 머플러 구조 - Google Patents

압축기의 흡입 머플러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62480A
KR20000062480A KR1020000001977A KR20000001977A KR20000062480A KR 20000062480 A KR20000062480 A KR 20000062480A KR 1020000001977 A KR1020000001977 A KR 1020000001977A KR 20000001977 A KR20000001977 A KR 20000001977A KR 20000062480 A KR20000062480 A KR 200000624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ffler
chamber
suction
passage
compres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019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47390B1 (ko
Inventor
가미시마히로시
나가이히로유끼
이와마가즈아끼
무라오가즈시게
Original Assignee
이시카와 타다시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지도숏키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시카와 타다시,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지도숏키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이시카와 타다시
Publication of KR200000624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24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73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7390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0027Pulsation and noise damping means
    • F04B39/0055Pulsation and noise damping means with a special shape of fluid passage, e.g. bends, throttles, diameter changes, pipes
    • F04B39/0061Pulsation and noise damping means with a special shape of fluid passage, e.g. bends, throttles, diameter changes, pipes using muffler volum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0027Pulsation and noise damping means
    • F04B39/0033Pulsation and noise damping means with encapsulations
    • F04B39/0038Pulsation and noise damping means with encapsulations of inlet or outlet chan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ressor (AREA)
  • Compressors, Vaccum Pumps And Other Relevant Systems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 Applications Or Details Of Rotary Compressors (AREA)

Abstract

(과제) 액체 압축실에 수반되는 진동이나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는 압축기의 흡입 머플러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해결수단) 머플러실 (38) 은 흡입실 (24) 과 외부 냉매 회로 (51)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머플러실 (38) 과 흡입실 (24) 은 흡입 통로를 사이에 두고 연통되어 있다. 머플러실에서 흡입 통로 (39) 로의 입구 (40) 보다도 하측 영역에는 액체 저장 공간 (38b) 이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압축기의 흡입 머플러 구조 {SUCTION MUFFLER STRUCTURE OF COMPRESSOR}
본 발명은 예컨대 차량 공조장치를 구성하는 압축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외부 냉매 회로로부터의 흡입 냉매 가스의 압력 맥동을 저감시키기 위한 흡입 머플러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런 종류의 흡입 머플러 구조로서는 예컨대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7-139463 호에 개시된 것이 존재한다. 즉, 도 6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압축기는 피스톤 (101) 의 도면 좌우방향에 대한 왕복운동으로 흡입실 (102) 에서 압축실 (103) 로의 냉매 가스 흡입, 흡입 냉매 가스의 압축 및 압축이 다 된 냉매 가스의 토출실 (104) 로의 토출의 일련된 압축 사이클을 반복하는 구성이다. 머플러실 (105) 은 외부 냉매 회로와 흡입실 (102)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외부 냉매 회로에서의 압축실 (103) 로 흡입되는 흡입 냉매 가스의 압력 맥동은 머플러실 (105) 에 의한 팽창형 머플러 작용으로 감쇠되고, 이 압력 맥동에서 기인하여 외부 냉매 회로의 배관 등에 발생하는 진동이나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일반적으로 차량 공조장치는 차량이 낮은 위치에 있는 차량 엔진에 의해 압축기가 구동되는 관계로 냉매 회로 중에 압축기가 낮은 위치가 되는 상황이 적지 않다. 따라서, 차량 정지 중에 외부 냉매 회로의 액상 냉매가 고저차로 압축기로 유입되기 쉬워지고 차량 정지가 장시간에 걸치면 압축기의 다음 회의 기동시에는 흡입실 (102), 머플러실 (105) 및 흡입 통로 (106) 가 액상 냉매로 거의 채워진 상황이 되었다.
도 6 에 나타낸 흡입 머플러 구조는 머플러실 (105) 을 흡입실 (102) 로 연통하는 복수의 흡입 통로 (106) 중 한 입구 (107) 가 머플러실 (105) 에서 그 최하측 위치에 개구되어 있다. 요컨대 머플러실 (105) 은 흡입 통로 (106) 로의 입구 (107) 보다도 하측 영역에는 거의 용적을 갖지 못한다. 따라서, 압축기의 다음 회의 기동시에는 머플러실 (105) 의 액상 냉매가 모두 액상 상태로 흡입실 (102) 로 이동되어 액체 압축 상태가 오래 끌어 이 액체 압축에 의거한 진동이나 소음이 심해지는 문제를 발생시켰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에 존재하는 문제점에 착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액체 압축에 수반되는 진동이나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는 압축기의 흡입 머플러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청구항 1 의 발명은, 흡입실과 외부 냉매 회로 사이에 머플러실이 배치되며 머플러실과 흡입실은 흡입 통로를 사이에 두고 연통되고, 머플러실에는 흡입 통로로의 입구보다도 하측 영역에 액체 저장 공간이 형성된 흡입 머플러 구조이다.
청구항 2 의 발명은, 상기 머플러실이 머플러 하우징과 머플러 하우징에 접합 고정된 머플러 커버에 걸쳐 구획 형성되고, 흡입 통로는 머플러 하우징 또는 머플러 커버 중 어느 한 일측을 경유하여 머플러실에 이르며 머플러실의 흡입 통로로의 입구를 형성하는 구성은 머플러 하우징과 머플러 커버의 접합 라인을 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청구항 3 의 발명은, 상기 머플러실의 흡입 통로로의 입구가 상측 또는 하측 중 어느 한 일측쪽으로 개구되어 있다.
(작용)
상기 구성의 청구항 1 의 발명에서는 예컨대 외부 냉매 회로에서 머플러실로 유입된 액상 냉매는 액체 저장 공간에 일단 저장된다. 흡입 통로로의 입구는 액체 저장 공간보다도 상측에 있기 때문에 액체 저장 공간의 액상 냉매가 액상 상태로 흡입 통로를 통해 흡입실로 이동되는 일은 거의 없다. 액체 저장 공간의 액상 냉매는 운전시의 압축기의 발열 등으로 기화되어 바로 가스 상태에서 흡입실로 이동된다. 따라서, 액체 압축에 수반되는 진동이나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청구항 2 의 발명에서는 머플러실의 흡입 통로로의 입구를 형성하는 구성은 머플러 하우징과 머플러 커버의 접합 라인을 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머플러 하우징 또는 머플러 커버의 일측에서 타측과의 접합면을 연마 처리할 때에 입구를 형성하는 구성이 연마 작업에 방해가 되지 않아 작업성이 악화되지 않는다.
청구항 3 의 발명에서는 예컨대 머플러실의 흡입 통로로의 입구를 측방쪽으로 개구시킨 경우 입구에는 그 직경분만큼 고저차가 생겨 액체 저장 공간의 용적이 감소되버린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흡입 통로로의 입구는 머플러실에서 상측 또는 하측 중 어느 한 일측쪽으로 개구되어 있다. 따라서, 입구에서 고저차가 생기지 않아 보다 큰 용적의 액체 저장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 은 압축기의 종단면도이다.
도 2 는 도 1 의 A-A 선 단면도이다.
도 3 은 도 1 의 B-B 선 단면도이다.
도 4 는 다른 예의 흡입 머플러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 는 또다른 예의 흡입 머플러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 은 종래의 흡입 머플러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 하우징을 구성하는 프론트 하우징 12 : 실린더 블럭
13 : 리어 하우징 21a : 압축실
24 : 흡입실 38 : 머플러실
38b : 액체 저장 공간 39 : 흡입 통로
40 : 입구 51 : 외부 냉매 회로
(발명의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을 차량 공조장치를 구성하는 피스톤식 압축기의 흡입 머플러 구조에서 구체화시킨 일 실시형태에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압축기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론트 하우징 (11) 은 실린더 블럭 (12) 전단에 접합 고정되어 있다. 리어 하우징 (13) 은 실린더 블럭 (12) 후단에 밸브 ·포트 형성체 (14) 를 통해 접합 고정되어 있다. 크랭크실 (15) 은 프론트 하우징 (11) 과 실린더 블럭 (12) 에 둘러싸여 구획 형성되어 있다. 상기 프론트 하우징 (11), 실린더 블럭 (12) 및 리어 하우징 (13) 이 압축기의 하우징을 구성한다.
구동축 (16) 은 크랭크실 (15) 을 통과하도록 프론트 하우징 (11) 과 실린더 블럭 (12)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게 가설 지지되어 있다. 구동축 (16) 은 도시되지 않은 외부 구동원으로서의 차량 엔진에 마찬가지로 도시되지 않은 전자 클러치 등의 클러치 기구를 통해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구동축 (16) 은 차량 엔진의 기동시에 클러치 기구의 접속으로 회전 구동된다.
경사판 (18) 은 크랭크실 (15) 에서 구동축 (16) 에 일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실린더 보어 (21) 는 실린더 블럭 (12) 에 관통 형성되어 있다. 실린더 보어 (21) 는 도 3 에 점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축선 (L) 주변에 동일 간격으로 복수개가 형성되어 있다. 단두형의 피스톤 (22) 은 각 실린더 보어 (21) 에 수용되어 있다. 압축실 (21a) 은 실린더 보어 (21) 내에서 피스톤 (22) 선단면과 밸브 ·포트 형성체 (14) 의 전단면으로 구획 형성되어 있다. 피스톤 (22) 은 슈 (23) 를 통해 경사판 (18) 의 외주부에 걸려 있고, 경사판 (18) 의 회전 운동으로 실린더 보어 (21) 내에서 전후 왕복 운동된다.
흡입실 (24) 은 리어 하우징 (13) 중심부에 토출실 (25) 은 리어 하우징 (13) 에서 흡입실 (24) 외측에 각각 구획 형성되어 있다. 흡입실 (24) 과 토출실 (25) 은 각각 밸브 ·포트 형성체 (14) 를 사이에 두고 압축실 (21a) 에 인접되어 있다. 압축실 (21a) 과 흡입실 (24) 을 연통하는 흡입 포트 (26), 흡입 포트 (26) 를 개폐하는 흡입밸브 (27), 압축실 (21a) 과 토출실 (25) 을 연통하는 토출 포트 (28) 및 토출 포트 (28) 를 개폐하는 토출밸브 (29) 는 각각 밸브 ·포트 형성체 (14) 에 형성되어 있다.
흡입실 (24) 의 냉매 가스는 피스톤 (22) 의 복동 동작으로 흡입 포트 (26) 및 흡입밸브 (27) 를 통해 압축실 (21a) 로 흡입된다. 압축실 (21a) 로 흡입된 냉매 가스는 피스톤 (22) 의 왕복 동작으로 소정의 압력까지 압축된 후 토출 포트 (28) 및 토출밸브 (29) 를 통해 토출실 (25) 로 토출된다.
상기 압축기에서 흡입실 (24) 과 토출실 (25) 은 외부 냉매 회로 (51) 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외부 냉매 회로 (51) 는 응축기 (52), 팽창밸브 (53) 및 증발기 (54) 를 구비하고 있다. 압축기는 차량 공조장치의 냉동 회로 중에서 응축기 (52), 팽창밸브 (53) 및 증발기 (54) 보다도 낮은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그것은 압축기가 차량의 낮은 위치에 있는 차량 엔진에 의해 구동되는 관계때문이다.
이어서, 본 실시형태의 흡입 머플러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 도 3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머플러 하우징 (35) 은 주조나 단조에 의해 제작되고, 리어 하우징 (13) 후단에 접합 고정되어 있다. 상기 프론트 하우징 (11), 실린더 블럭 (12), 리어 하우징 (13) 및 머플러 하우징 (35) 은 축선 L 방향으로 연장된 도시되지 않은 관통볼트로 체결되어 있다. 머플러 형성부 (36) 는 머플러 하우징 (35) 후단면에서 거의 상반 부분에 팽출 형성되어 있다. 머플러 커버 (37) 는 머플러형성부 (36) 상단에 접합 고정되어 있다. 머플러실 (38) 은 머플러 형성부 (36) 와 머플러 커버 (37) 에 걸쳐 구획 형성되어 있다. 머플러실 (38) 은 머플러 커버 (37) 측방에 형성된 통과구멍 (37a) 을 통해 외부 냉매 회로 (51) 에 접속되어 있다.
통로 형성부 (36a) 는 기둥형상을 하며 머플러 형성부 (36) 에서 머플러실 (38) 내저면으로부터 일체적으로 세워서 설치되어 있다. 통로 형성부 (36a) 는 머플러실 (38) 내저면으로부터 축선 (L) 과 직교방향으로 상승되어 있다. 통로 형성부 (36a) 는 그 측방이 머플러실 (38) 의 내측벽면 (38a) 에 의해 이어져 지지되어 예컨대 기초부만 머플러 형성부 (36) 에 지지되는 강도의 약함이 해소된다. 통로 형성부 (36a) 의 상승단부는 머플러 형성부 (36) 와 머플러 커버 (37) 의 접합 라인 (S) 에 이르는 높이로, 접합 라인 (S) 을 넘어 상측 (머플러실 (38) 에서 머플러 커버 (37) 측의 공간) 으로 돌출되지는 않는다.
흡입 통로 (39) 는 흡입실 (24) 과 머플러실 (38) 을 연통한다. 흡입 통로 (39) 는 서로 직교하는 직선형 제 1 통로 (39a) 와 제 2 통로 (39b) 로 구성되어 있다. 제 1 통로 (39a) 는 축선 (L) 위치에서 리어 하우징 (13) 과 머플러 하우징 (35) 에 형성되고 흡입실 (24) 로 연통되어 있다. 제 2 통로 (39b) 는 통로 형성부 (36a) 의 축심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제 2 통로 (39b) 는 통로 형성부 (36a) 의 수평면인 상단면에서 머플러실 (38) 에 개구되고 이 개구는 머플러실 (38) 의 흡입 통로 (39) 로의 입구 (40) 를 이루고 있다. 요컨대, 머플러실 (38) 의 흡입 통로 (39) 로의 입구 (40) 는 머플러실 (38) 에서 머플러 형성부 (36) 와 머플러 커버 (37) 의 접합 라인 (S) 위에 배치되어 있으며, 머플러실 (38) 의 용적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접합 라인 (S) 보다도 하측 영역 (머플러 형성부 (36) 측 공간으로, 이후에 액체 저장 공간 (38b) 로 한다) 은 상기 입구 (40) 하측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외부 냉매 회로 (51) 로부터의 흡입 냉매 가스는 통과구멍 (37a), 머플러실 (38) 및 흡입 통로 (39) 를 통해 흡입실 (24) 로 유입되며 상술한 압축 사이클로 공급된다. 머플러실 (38) 은 외부 냉매 회로 (51) 에서 흡입실 (24) 로의 흡입 냉매 가스의 통과 단면적을 통과구멍 (37a) 과 흡입 통로 (39) 사이에서 확대시킨다. 흡입 냉매 가스의 압력 맥동은 머플러실 (38) 에 의한 팽창형 머플러 작용으로 감쇠되고 이 압력 맥동에서 기인하여 외부 냉매 회로 (51) 의 배관 등에 발생하는 진동이나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압축기는 외부 냉매 회로 (51) 보다도 낮은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차량 정지중 (압축기도 정지상태에 있다) 에는 외부 냉매 회로 (51) 의 액상 냉매가 고저차로 압축기로 유입된다. 외부 냉매 회로 (51) 의 증발기 (54) 측으로부터의 액상 냉매는 통과구멍 (37a) 을 통해 머플러실 (38) 로 유입되지만, 접합 라인 (S) 부근, 요컨대 흡입 통로 (39) 로의 입구 (40) 부근까지는 액체 저장 공간 (38b) 에 저장되어 흡입실 (24) 로 이동하는 일은 없다. 액체 저장 공간 (38b) 의 용적 이상으로 액상 냉매가 유입되어 액상면 높이가 접합 라인 (S) 을 넘으면 이 오버플로우분은 입구 (40) 에서 흡입 통로 (39) 를 통해 흡입실 (24) 로 이동된다. 그리고, 차량 정지가 장시간에 걸치면 압축기의 다음 회의 기동시에는 흡입실 (24), 머플러실 (38) 및 흡입 통로 (39) 가 액상 냉매로 채워진 상태가 된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 압축기가 기동되면 흡입실 (24) 의 액상 냉매가 압축실 (21a) 에 흡입되어 액체 압축 상태가 되며 토출실 (25) 로 배출된다. 흡입실 (24) 의 액상 냉매가 압축실 (21a) 에 흡입되면 그 흡입량에 따라 머플러실 (38) 의 액상 냉매가 흡입 통로 (39) 를 통해 흡입실 (24) 로 이동된다. 따라서, 머플러실 (38) 의 액상 냉매의 액상면 높이가 저하된다. 압축기가 기동하면 증발기 (54) 로부터의 냉매 가스가 머플러실 (38) 로 유입되지만, 액상 냉매가 흡입 통로 (39) 의 입구 (40) 를 막고 있어 흡입실 (24) 로 이동하는 일은 없다.
그리고, 머플러실 (38) 의 액상 냉매의 액상면 높이가 접합 라인 (S) 을 밑돌면 흡입 통로 (39) 로의 입구 (40) 가 머플러실 (38) 상부의 냉매 가스층에 대해 직접 개방되고, 그 이후에 머플러실 (38) 에서 흡입실 (24) 로 이동되는 냉매는 가스 액체를 혼합한 것도 가스상이 되고 압축실 (21a) 에서의 액체 압축 상태는 해소된다. 액체 저장 공간 (38b) 에 잔류된 액상 냉매는 차량 엔진이나 압축기가 발하는 열을 받아 기화되어 가스 상태에서 흡입실 (24) 로 이동된다.
상기 구성의 본 실시형태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나타낸다.
(1) 상술한 바와 같이 머플러실 (38) 에서 액체 저장 공간 (38b) 의 액상 냉매는 액상 상태로 흡입실 (24) 로 이동되는 것이 거의 없으며 머플러실 (38) 의 액상 냉매 전부가 액상 상태로 흡입실 (24) 로 이동되는 도 6 에 나타낸 종래 기술과 비교하여 신속하게 액체 압축 상태에서 이탈시킬 수 있다. 따라서, 액체 압축에 수반되는 진동이나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액상 냉매는 압축기 운전 중에도 냉방 부하가 작다는 등의 이유로 증발기 (54) 에서 완전히 기화되지 않은 것이 머플러실 (38) 로 유입되는 일이 있다. 그러나, 머플러실 (38) 로 유입된 액상 냉매는 액체 저장 공간 (38b) 에 일단 저장되고, 가열에 의한 기화를 거처 가스형이 된 후에 흡입실 (24) 로 이동되게 된다. 따라서, 액체 압축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 액체 압축에 수반되는 진동이나 소음을 피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도 3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머플러실 (38) 의 흡입 통로 (39) 로의 입구 (40) 와 통과구멍 (37a) 을 수평방향으로 이격하여 배치하고, 외부 냉매 회로 (51) 로부터의 액상 냉매가 통과구멍 (37a) 에서 입구 (40) 로 직접 낙하하지 않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것은 차량 정지시간이 짧아 외부 냉매 회로 (51) 로부터의 액상 냉매 유입량이 적은 경우, 요컨대 액체 저장 공간 (38b) 을 오버플로우하지 않을 정도의 유입량의 경우에도 말할 수 있다.
(2) 통로 형성부 (36a) 는 머플러실 (38) 에 접합 라인 (S) 까지 연재되어 있으며, 머플러실 (38) 의 흡입 통로 (39) 로의 입구 (40) 는 접합 라인 (S) 부근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머플러실 (38) 에서 보다 많은 (절반 이상) 용적을 액체 저장 공간 (38b) 으로 할 수 있어 상기 (1) 효과가 보다 유효하게 나타난다.
또한, 접합 라인 (S) 을 넘어 통로 형성부 (36a) 를 상승 연재시키면 다른 액체 저장 공간 (38b) 의 용적 증대를 달성할 수 있다. 그러나 접합 라인 (S) 을 넘은 통로 형성부 (36a : 입구 (40) 를 형성하는 구성) 는 머플러 형성부 (36) 에서 머플러 커버 (37) 와의 접합면을 연마 처리할 때에 그 연마작업에 방해가 되어 작업성이 악화된다. 이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접합 라인 (S) 을 넘는 높이의 통로 형성부 (36a) 를 머플러 형성부 (36) 와 별개로 제작하고 접합면의 연마 처리 후에 머플러 형성부 (36) 에 대해 고정하면 된다. 그러나, 이 경우 머플러 형성부 (36) 와 별체의 통로 형성부 (36a) 는 부품수를 증가시켜 압축기의 조립 공정수가 증가된다.
(3) 예컨대 후술한 도 4 의 다른 예에 나타낸 바와 같이 머플러실 (38) 의 흡입 통로 (39) 로의 입구 (40) 를 측방쪽으로 개구시킨 경우 입구 (40) 에는 그 직경분만큼 고저차가 생겨 액체 저장 공간 (38b) 의 용적이 감소된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에서 제 2 통로 (39b) 는 통로 형성부 (36a) 의 수평면인 상단면에서 머플러실 (38) 에 개구되어 있다. 요컨대, 흡입 통로 (39) 로의 입구 (40) 는 머플러실 (38) 에서 상측쪽으로 개구되어 있다. 따라서, 입구 (40) 에서 고저차가 생기지 않아 보다 큰 용적의 액체 저장 공간 (38b) 을 확보할 수 있다.
(4) 머플러 하우징 (35) 은 압축기의 하우징 (11 ∼ 13) 과 별개로 제작되어 있다. 따라서, 머플러 하우징 (35) 형상의 자유도가 높아져 예컨대 상술한 일체의 통로 형성부 (36a) 를 머플러실 (38) 내에서 형성하는 조형도 쉬워진다.
(5) 상기 (4) 에 덧붙여 머플러 하우징 (35) 은 압축기의 하우징 (11 ∼ 13) 에 접합 고정되어 있다. 흡입 머플러 구조가 일체화된 압축기는 그 취급이 쉬워져 차량에 대한 부착도 쉽게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취지에서 이탈되지 않는 범위에서 아래 태양에서도 실시할 수 있다.
도 4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실시형태의 머플러실 (38) 을 하측에 오프세트 배치하고, 제 1 통로 (39a) 를 머플러실 (38) 에 직접 접속시킨다. 이 경우 머플러실 (38) 의 제 1 통로 (39a : 흡입 통로 (39)) 로의 입구 (40) 는 내측벽면 (38a) 에서 개구되고, 머플러실 (38) 에서 입구 (40) 의 하측 영역에는 「↑↓」 로 범위를 나타낸 액체 저장 공간 (38b) 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실시형태 (1) 와 동일한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입구 (40) 는 접합 라인 (S) 의 앞측 (머플러 형성부 (36) 측) 에서 머플러실 (38) 에 개구되어 있으며, 머플러 형성부 (36) 에서 머플러 커버 (37) 와의 접합면을 연마 처리할 때에 입구 (40) 를 형성하는 구성 (내측벽면 (38a)) 이 그 연마 작업에 방해가 되지는 않는다. 또한, 도 4 에 나타낸 기술에서는 머플러 커버 (37) 가 머플러 형성부 (36) 후단에 접합 고정되어 있다. 이렇게 하면 머플러 커버 (37) 에 의해 축선 (L) 과 직교방향으로 압축기를 대형화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머플러 형성부 (36) 는 머플러 하우징 (35) 후단면에 거의 하반 부분에 팽출 형성되어 있다. 머플퍼 커버 (37) 는 머플러 형성부 (36) 하단에 접합 고정되어 있다. 제 1 통로 (39a) 는 머플러 하우징 (35) 에서 머플러실 (38) 상측에 이르고 머플러실 (38) 의 제 1 통로 (39a : 흡입 통로 (39)) 로의 입구 (40) 는 머플러실 (38) 의 수평면인 내천면에서 하측쪽으로 개구되어 있다. 따라서, 머플러실 (38) 에서 입구 (40) 의 하측 영역, 요컨대 머플러실 (38) 모든 영역이 액체 저장 공간 (38b) 이 된다. 그 결과 더 큰 액체 저장 공간 (38b) 을 확보할 수 있으며 압축기를 더 신속하게 액체 압축 상태에서 이탈시킬 수 있다. 또, 입구 (40) 는 접합 라인 (S) 의 앞측 (머플러 형성부 (36) 측) 에서 머플러실 (38) 에 개구되어 있으며, 머플러 형성부 (36) 에서 머플러 커버 (37) 와의 접합면을 연마 처리할 때에 입구 (40) 를 형성하는 구성 (머플러실 (38) 의 내천면) 이 그 연마 작업에 방해가 되지는 않는다.
리어 하우징 (13) 이 머플러 하우징 (35) 을 겸하도록 구성하는 것, 요컨대 머플러 형성부 (36) 를 리어 하우징 (13) 에 형성하는 것. 이렇게 하면 압축기를 구성하는 부품 점수를 저감시킬 수 있다.
통로 형성부 (36a) 를 머플러 형성부 (36) (머플러 하우징 (35)) 와 다른 관체로 구성하는 것. 이렇게 하면 흡입 통로 (39) 의 형상 자유도가 늘어난다.
통로 형성부 (36a) 를 접합 라인 (S) 보다도 상측 (머플러 커버 (37) 측의 공간) 으로 돌출시키는 것. 이렇게 하면 보다 많은 액체 저장 공간 (38b) 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서 파악할 수 있는 기술적 사상에 대해 기재한다.
(1) 상기 액체 저장 공간 (38b) 은 머플러실 (38) 의 용적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항에 기재된 흡입 머플러 구조.
이렇게 하면 액체 압축에 수반되는 진동이나 소음을 저감시키는 효과를 높일 수 있다.
(2) 머플러 하우징 (35) 은 압축기의 하우징 (11 ∼ 13) 과 별개로 제작되어 있는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또는 상기 (1)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흡입 머플러 구조.
이렇게 하면 머플러 하우징 (35) 형상의 자유도가 높아진다.
(3) 머플러 하우징 (35) 은 압축기의 하우징 (11 ∼ 13) 에 접합 고정되어 있는 상기 (2) 에 기재된 흡입 머플러 구조.
이렇게 하면 흡입 머플러 구조가 일체화된 압축기는 그 취급이 쉬워져 차량에 대한 부착도 쉽게 할 수 있다.
상기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머플러실에서 액체 저장 공간의 액상 냉매는 액상 상태로 흡입실로 이동되는 것이 거의 없으며 머플러실의 액상 냉매의 거의 전부가 액상 상태로 흡입실로 이동되는 도 6 에 나타낸 종래 기술과 비교하여 신속하게 액체 압축 상태에서 이탈시킬 수 있다. 따라서, 액체 압축에 수반되는 진동이나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Claims (3)

  1. 하우징에는 압축실과 흡입실이 인접하여 구획 형성되고 냉매 가스의 흡입실에서 압축실로의 흡입, 흡입 냉매 가스의 압축 및 압축이 다 된 냉매 가스의 압축실로부터의 토출을 하는 구성의 압축기에서,
    상기 흡입실과 외부 냉매 회로 사이에는 머플러실이 배치되며 머플러실과 흡입실은 흡입 통로를 사이에 두고 연통되고, 머플러실에는 흡입 통로로의 입구보다도 하측 영역에 액체 저장 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 머플러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머플러실은 머플러 하우징과 머플러 하우징에 접합 고정된 머플러 커버에 걸쳐 구획 형성되고, 흡입 통로는 머플러 하우징 또는 머플러 커버 중 어느 한 일측을 경유하여 머플러실에 이르며 머플러실의 흡입 통로로의 입구를 형성하는 구성은 머플러 하우징과 머플러 커버의 접합 라인을 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 머플러 구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머플러실의 흡입 통로로의 입구는 상측 또는 하측 중 어느 한 일측쪽으로 개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 머플러 구조.
KR1020000001977A 1999-03-01 2000-01-17 압축기의 흡입 머플러 구조 KR1003473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9-052493 1999-03-01
JP11052493A JP2000249059A (ja) 1999-03-01 1999-03-01 圧縮機の吸入マフラ構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2480A true KR20000062480A (ko) 2000-10-25
KR100347390B1 KR100347390B1 (ko) 2002-08-03

Family

ID=129162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1977A KR100347390B1 (ko) 1999-03-01 2000-01-17 압축기의 흡입 머플러 구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488481B1 (ko)
EP (1) EP1033492A1 (ko)
JP (1) JP2000249059A (ko)
KR (1) KR100347390B1 (ko)
CN (1) CN1269468A (ko)
BR (1) BR000097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0375A (ko) * 2019-01-21 2020-07-29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압축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02054A (ja) * 2000-12-28 2002-07-19 Zexel Valeo Climate Control Corp 圧縮機
JP4759771B2 (ja) * 2001-02-21 2011-08-31 株式会社ヴァレオジャパン 圧縮機
KR100687638B1 (ko) * 2002-08-29 2007-02-27 한라공조주식회사 압축기
KR100687639B1 (ko) 2002-09-02 2007-02-27 한라공조주식회사 압축기
US6705843B1 (en) 2002-10-17 2004-03-16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NVH and gas pulsation reduction in AC compressor
KR100922427B1 (ko) * 2003-04-23 2009-10-16 한라공조주식회사 전동 사판식 압축기
US6935848B2 (en) 2003-05-19 2005-08-30 Bristol Compressors, Inc. Discharge muffler placement in a compressor
JP2005042624A (ja) * 2003-07-22 2005-02-17 Calsonic Kansei Corp 圧縮機
US7150603B2 (en) * 2004-08-31 2006-12-19 Halla Climate Control Corporation Compressor
US7181926B2 (en) 2005-05-23 2007-02-27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Oil separator and muffler structure
US10830491B2 (en) 2018-02-02 2020-11-1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Noise suppression system for air conditioning compressor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05608A (ko) 1975-03-13 1976-09-18 Sentoraru Jidosha Kogyo Kk
JPS5395730A (en) 1977-02-01 1978-08-22 Toshiba Corp Golf training machine
IT1179810B (it) 1984-10-31 1987-09-16 Aspera Spa Gruppo motocompressore ermetico per circuiti frigoriferi
JP3550623B2 (ja) 1993-11-12 2004-08-04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往復動型圧縮機
US5556260A (en) 1993-04-30 1996-09-17 Kabushiki Kaisha Toyoda Jidoshokki Seisakusho Multiple-cylinder piston type refrigerant compressor
US5496156A (en) * 1994-09-22 1996-03-05 Tecumseh Products Company Suction muffler
KR100222924B1 (ko) * 1996-07-12 2000-01-15 배길성 밀폐형 왕복동식 압축기
BR9604126A (pt) * 1996-08-21 1998-05-26 Brasil Compressores Sa Amortecedor de sucção para compressor hermético
KR19980027501U (ko) * 1996-11-16 1998-08-05 박병재 자동차의 연료탱크 구조
US5850743A (en) 1996-11-13 1998-12-22 Tecumseh Products Company Suction accumulator assembly
KR100207792B1 (ko) * 1997-02-24 1999-07-15 윤종용 밀폐형 압축기
KR100210091B1 (ko) * 1997-03-14 1999-07-15 윤종용 압축기의 소음감쇠장치
KR100269951B1 (ko) * 1997-11-05 2000-10-16 배길성 압축기의 흡입 머플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0375A (ko) * 2019-01-21 2020-07-29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압축기
WO2020153664A1 (ko) * 2019-01-21 2020-07-30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압축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47390B1 (ko) 2002-08-03
EP1033492A1 (en) 2000-09-06
CN1269468A (zh) 2000-10-11
JP2000249059A (ja) 2000-09-12
BR0000975A (pt) 2000-10-31
US6488481B1 (en) 2002-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47390B1 (ko) 압축기의 흡입 머플러 구조
US7704059B2 (en) Compressor having a helmholtz type resonance chamber with a lowermost end connected to a gas passage
KR101165947B1 (ko) 가변용량형 사판식 압축기
KR100659570B1 (ko) 압축기
KR100723811B1 (ko) 사판식 압축기
JP2006077766A (ja) 多気筒往復圧縮機
JP2005509802A (ja) 密閉型圧縮機
JP2587085Y2 (ja) ピストン式圧縮機の吸入リード弁機構
KR20130092876A (ko) 가변용량형 사판식 압축기
JP3932659B2 (ja) 圧縮機における冷媒吸入構造
KR100457483B1 (ko) 압축기에서의 맥동 억제 구조
KR101205221B1 (ko) 가변용량형 사판식 압축기
EP1085207A2 (en) Compressor having structure for suppressing pulsation
WO2004088139A1 (ja) 往復動型圧縮機
JP3858513B2 (ja) 圧縮機
JP3446586B2 (ja) 圧縮機
JP3983052B2 (ja) 気体圧縮機
JPH05202848A (ja) ピストン型圧縮機における冷媒ガス吸入構造
JPH0932780A (ja) 圧縮機
KR101123743B1 (ko) 압축기
KR100983330B1 (ko) 맥동압 저감구조를 가지는 사판식 압축기
KR100858096B1 (ko) 맥동압 저감구조를 가지는 압축기
KR0128916Y1 (ko) 저소음 냉장고
KR100487862B1 (ko) 압축기용 어큐뮤레이터의 스크린 홀더
KR101261136B1 (ko) 압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