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62217A - 다수의 전화번호들이 링크된 리스트를 이용한 호 접속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다수의 전화번호들이 링크된 리스트를 이용한 호 접속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62217A
KR20000062217A KR1019990059447A KR19990059447A KR20000062217A KR 20000062217 A KR20000062217 A KR 20000062217A KR 1019990059447 A KR1019990059447 A KR 1019990059447A KR 19990059447 A KR19990059447 A KR 19990059447A KR 20000062217 A KR20000062217 A KR 200000622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connection
directory
processor
directory number
link li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94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흄스마이클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ublication of KR200000622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2217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04M1/274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 H04M1/2745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 H04M1/2749Automatic dialling or redialling systems, e.g. on off-hook or redial on bus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04M1/274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 H04M1/2745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 H04M1/27453Directories allowing storage of additional subscriber data, e.g. meta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7/00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between switching centres
    • H04M7/12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between switching centres for working between exchanges having different types of switching equipment, e.g. power-driven and step by step or decimal and non-decim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이동 통신시스템의 통신 장치(단말기)내에서 다수의 전화번호들이 링크된 리스트를 사용하여 발신 호를 접속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단말기와 같은 통신 장치는 몇몇 디렉토리 번호들이 순차적으로 링크 리스트로 상관되어지는 다수의 디렉토리 번호들을 저장한다. 제1 발신 호 접속은 연속하는 특정 링크 리스트의 디렉토리 번호들과 관련된 제1 디렉토리 번호를 사용하여 개시된다. 그러한 후에 미리 설정된 조건 혹은 사용자 명령이 검출됨에 응답하여 단말기는 제1 발신 호 접속을 중지하고, 관련된 링크 리스트로부터 제2 디렉토리 번호를 검색한다. 이때 상기 단말기는 새로이 검색된 디렉토리 번호를 피호출측 번호(CdPn)로 하여 새로운 발신 호 접속을 개시한다. 후속하여 상기 설정 조건이 검출됨에 응답하여 프로세서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유사한 방법으로 순차적으로 관련된 발신 호 접속을 링크된 디렉토리 번호들중의 나머지 번호들을 이용하여 개시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단말기내에서 관련된 디렉토리 번호들을 사용자가 개별적으로 입력하거나 혹은 선택할 필요가 없다는 편리성이 있으며, 또한 운전중에 사용자가 단말기 내부의 전화번호부를 검색하고, 상대적으로 작은 표시부에 표시되는 정보로부터 자신이 원하는 가입자의 전화번호를 확인함에 따른 위험성을 제거할 수 있다.

Description

다수의 전화번호들이 링크된 리스트를 이용한 호 접속 장치 및 방법 {CALL CONNECTION DEVICE AND METHOD USING LINK LIST OF DIRECTORY NUMBERS}
본 발명은 이동 통신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통신 장치내에서 다수의 전화번호들이 링크된 리스트를 사용하여 발신 호를 접속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이동 통신의 사용은 이동 무선서비스와 관련한 유용성과 시간 및 경제적인 여유의 증가 뿐만 아니라 그러한 사용으로 인한 눈에 두드러지는 편리함 및 혜택에 기인하여 현저하게 증가되고 있다. 현존하는 유선 혹은 평범한 기존의 전화서비스(plain old telephone service) 라인번호들에 더하여, 전형적인 통신 사용자들은 예를 들어, 셀룰라 혹은 개인통신시스템(PCS: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번호, 집 전화번호, 사무실 전화번호, 무선호출기 및/혹은 음성사서함 번호와 관련이 있다. 따라서, 호출자들은 특정 피호출측 가입자와의 음성 접속을 성공적으로 확립하기 위해서는 다수의 상이한 호 접속을 개시하여야 한다.
일예로서, 호출자들은 특정 피호출측 가입자의 라인이 응답하지 않는지를 결정하기 위해서는 그의 사무실 전화번호를 우선적으로 다이얼하게 된다. 이때 피호출측 가입자가 응답하지 않는 경우 호출측 가입자는 상기 피호출측 가입자의 이동 단말기 혹은 PCS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사용하여 동일한 피호출측 가입자로의 호 접속을 개시하게 된다. 이때 단말기의 전원이 오프("turned off")되어 있거나 혹은 서비스 영역 이외에 이동중("traveling outside of the coverage area")임을 나타내는 메시지가 안내되면, 호출측 가입자는 상기 피호출측 가입자의 가정 전화번호를 다이얼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에도 피호출측 가입자가 전화를 받을 수 없다고 통지되거나 혹은 자동응답기에 의해 응답이 있는 경우, 호출자는 마지막으로 상기 피호출측 가입자의 무선호출기/음성사서함 번호를 다이얼하게 된다. 위에서 설명되어진 바와 같이, 호출자는 호 접속을 확립하기 위해 시도함에 있어서 동일한 피호출측 가입자와 관련된 모든 다수의 상이한 전화번호들을 반복적으로 다이얼할 수도 있다. 이러한 다이얼을 위해서 호출자는 피호출측 가입자와 관련이 있는 모든 전화번호들을 암기하고 있어야 할 뿐만 아니라 다이얼하여야 하는데, 이는 호출자에게 매우 번거로운 일이 아닐 수 없다.
비록 단말기와 같은 통신 장치가 내부적으로 전화번호부, 음성 다이얼링 및 단축다이얼링 능력을 갖추었다고 하더라도, 그 장치를 사용하는 호출자는 관련된 모든 전화번호(디렉토리 번호)들을 탐색하고, 다이얼하여야만 한다는 번거로움이 있다. 마찬가지로, 호출자는 특정 피호출측 가입자를 나타내는 각 디렉토리 번호들에 대해 상이한 단축다이얼링 억세스 코드 혹은 음성 활성화 수단을 할당하고, 암기하여야만 한다는 제한이 있다. 게다가, 점점 더 사용자들이 그들의 이동서비스를 운전중에 사용함에 따라 내부 전화번호부를 검색하고, 상대적으로 작은 표시부에 요구되는 정보를 표시하고 선택하는 동작은 매우 성가신 일이며, 위험한 일이 아닐 수 없다.
앞서서 말한 관점에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것이 요구되어진다. 특히, 관련된 디렉토리 번호들을 개별적으로 확인하고 입력할 필요없이 다중 호 접속을 개시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것이 요구되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통신 장치내에서 발신 호 접속을 개시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호출자가 특정 피호출 가입자를 보다 편리하게 호출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운전중에 호출자가 특정 피호출 가입자를 호출할 시 발생하는 위험부담을 제거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단말기와 같은 통신 장치는 몇몇 디렉토리 번호들이 순차적으로 링크 리스트로 상관되어지는 다수의 디렉토리 번호들을 저장한다. 구현 예로서, 단말기내에 저장된 제1 디렉토리 번호는 제2 디렉토리 번호와 상관시키기 위한 포인터와 관련되어진다. 상기 제2 디렉토리 번호는 제3 디렉토리 번호와 상관시키기 위한 포인터와 더 관련되어질 수 있다. 따라서 정해지지 않은 디렉토리 번호들이 하나의 링크 리스트내에 순차적으로 상관되어질 수 있고, 유사하게 유지되어질 수 있다.
제1 발신 호 접속은 연속하는 특정 링크 리스트의 디렉토리 번호들과 관련된 제1 디렉토리 번호를 사용하여 개시된다. 그러한 후에 미리 설정된 조건 혹은 사용자 명령이 검출됨에 응답하여 단말기는 제1 발신 호 접속을 중지하고, 관련된 링크 리스트로부터 제2 디렉토리 번호를 검색한다. 이때 상기 단말기는 새로이 검색된 디렉토리 번호를 피호출측 번호(CdPn)로 하여 새로운 발신 호 접속을 개시한다. 후속하여 상기 설정 조건이 검출됨에 응답하여 프로세서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유사한 방법으로 순차적으로 관련된 발신 호 접속을 링크된 디렉토리 번호들중의 나머지 번호들을 이용하여 개시한다. 일 실시예에서는, 단말기와 관련된 특정 사용자 키가 눌리어질 때 미리 설정된 조건이 검출된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개시된 발신 접속 요청으로부터 특정 호 설정 결과가 생성될 때 상기 설정 조건이 검출된다.
한 견지에서, 본 발명은 단말기내에서 연속적으로 디렉토리 번호들의 링크 리스트를 저장하고, 저장된 디렉토리 번호들을 사용하여 연속적으로 다중 발신 호 접속을 개시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한다.
다른 견지에서, 본 발명은 단말기내에서 관련된 디렉토리 번호들을 개별적으로 입력하거나 혹은 선택할 필요없이 연속하여 다수의 발신 호 접속을 개시하는 장치를 제공한다.
또 다른 견지에서, 본 발명은 단말기내에서 연속적인 디렉토리 번호들의 링크 리스트를 저장하고, 연속적인 발신 호 접속들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상기 단말기내에서 미리 설정된 조건을 검출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한다.
또 다른 견지에서, 본 발명은 단말기내에서 연속적으로 상관되어진 디렉토리 번호들의 링크리스트를 저장하고, 요구되어진 호 접속이 확립될 때까지 상기 디렉토리 번호들을 사용하여 발신 호 접속을 순차적으로 개시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동국(MS)과 공중교환전화망(PSTN)을 인터페이싱하기 위한 공중 육상 이동망 (PLMN)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교시에 따른 디렉토리 번호들의 링크 리스트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 구조의 블록다이아그램.
도 3은 본 발명의 교시에 따른 이동국의 블록다이아그램.
도 4는 이동국내에서 링크리스트 호출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단계들을 나타내는 플로우챠트.
도 5는 링크 리스트 호출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이동국과 서비스 기지국간에 송수신되는 신호들의 순서를 보여주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 중 참조번호들 및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번호들 및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동국(MS: Mobile Station)(단말기) 20과 공중교환전화망(PSTN: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30을 인터페이싱하기 위한 공중 육상 이동망(PLMN: Public Land Mobile Network) 10을 나타내는 다이아그램이다.
통상적인 이동 통신망에서, 특정 지리적인 영역(또한 셀 영역으로 알려진)상에서 무선 범위를 제공하는 기지국 송수신기(BTS: Base Transceiver Station) 40은 발신 호 접속을 개시하기 위해 그곳에 위치된 이동국 20으로부터의 명령을 수신한다. 서비스중인 BTS 40은 사용가능한 트래픽 채널을 할당하고, 요청된 이동국 20으로부터 수신된 피호출측 디렉토리 번호를 관련된 기지국 제어기(BSC: Base Station Controller) 50으로 전송한다. 상기 BSC 50은 수신된 발신 호 명령을 관련된 이동교환기(MSC: Mobile Switching Center) 60으로 전송한다. 상기 MSC 60은 디지트 분석을 수행하여 수신된 디렉토리 번호를 해석하고, 적합한 PSTN 30과 트렁크 접속 70을 행한다. 다이얼된 피호출측 번호가 PSTN 30과 관련된 단말기들중의 하나를 나타내는 경우, 적합한 호 접속이 그곳을 향하여 이루어진다. 예로서, 다이얼된 디렉토리 번호가 유선 가입자 단말기에 대한 것일 경우, PSTN 30은 적합한 유선 단말기 80과 통상적인 유선 접속을 행한다. 다이얼된 디렉토리 번호가 무선호출기와 관련된 경우, PSTN 30은 상기 디렉토리 번호가 무선호출 시스템 90으로 전송되어 관련된 무선호출기 100을 무선호출하도록 한다. 게다가, 다이얼된 디렉토리 번호가 다른 이동국 110을 나타내는 경우, PSTN 30은 호 접속을 관련된 PLMN 120으로 전송한다. 이때 PLMN 120 과 관련된 서비스 BTS(도 1에서는 도시되지 않음)는 필요한 무선 자원을 할당하고, 호출 이동국 20과 피호출 이동국 110간의 음성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유선단말 80, 이동국 110, 무선호출기 100 뿐만 아니라 다수의 통신 장치들과 관련된 디렉토리 번호들 모두는 특정 가입자에게 할당되어질 수 있다. 따라서 그 특정 가입자와의 호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서 호출측 가입자는 개별적으로 그리고 번거롭게도 다수의 상이한 디렉토리 번호를 다이얼하거나 혹은 입력하여야만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교시에 따라 디렉토리 번호들(directory numbers)로 이루어지는 링크 리스트(link list)를 저장하는 데이터 구조의 블록다이아그램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이동국과 관련있는 램(RAM: Random Access Memory) 레지스터 유니트와 같은 메모리 저장 장치는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디렉토리 번호들 200을 저장한다. 본 발명의 교시에 따라, 상기 메모리 저장 장치내에 저장된 제1 디렉토리 번호 210은 제2 디렉토리 번호 220과 더 상관관계를 가진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디렉토리 번호 210을 저장하고 있는 제1 레지스터는 제2 디렉토리 번호 220을 저장하고 있는 제2 레지스터를 식별하기 위한 다음의 레지스터 어드레스 포인터를 더 저장하고 있다. 제1 레지스터내에 다른 레지스터와 상관이 있는 어드레스 포인터를 저장하는 개념은 "링크 리스트(link list)"와 같이 컴퓨터 산업분야에서 또한 잘 알려져 있다. 정보의 한 유니트 혹은 정보의 다른 한 유니트와의 메모리 위치 혹은 메모리 위치를 "링킹(linking)"함에 의해 결정되지 않은 수의 유니트들이 각각의 다른 유니트들과 순차적으로 링크되어지거나 혹은 상관관계를 가질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디렉토리 번호 210을 포함하는 제1 레지스터는 제2 디렉토리 번호 220을 포함하는 제2 레지스터를 식별하기 위한 어드레스 포인터를 더 포함한다. 제2 레지스터는 제3 디렉토리 번호 230을 포함하는 제3 레지스터를 지시한다. 링크 리스트상의 마지막 레지스터 240은 리스트의 마지막을 나타내는 "NIL"값 250을 지시한다. 결과적으로, 각각이 그 자신들의 디렉토리 번호와 관련된 식별 라벨을 포함하는 결정되지 않은 수의 레지스터들은 도시된 바와 같이 연속하여 링크되고 상관관계를 가질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저장 장치 200내의 다른 디렉토리 엔트리(directory entry) 260은 유사한 방법으로 다른 링크 리스트와 관련되어질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교시에 따르면, 제1 디렉토리 번호는 특정 가입자의 사무실 전화(office phone)와 관련이 있을 수 있다. 제2 디렉토리 번호는 상기 특정 가입자의 휴대폰(mobile phone)과 관련이 있을 수 있고, 제3 디렉토리 번호는 상기 특정 가입자의 집 전화(home phone)와 관련이 있을 수 있고, 최종 디렉토리 번호는 상기 특정 가입자의 페이저(pager) 혹은 음성사서함 시스템(voice-mail system)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 결과적으로, 이때 특정 사용자를 나타내는 모든 디렉토리 번호들은 링크 리스트 형태로 연속하여(sequentially) 상관되어지고, 저장되고, 유지되어진다.
도 3은 본 발명의 교시에 따른 이동국 20의 블록다이아그램이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링크 리스트들을 저장하는 저장 장치(storage device) 300은 이동국 20내의 메인 프로세서 310과 결합된다. 상기 프로세서(processor) 310은 서비스 BTS(도 1에서 BTS 40으로 언급됨)와 무선신호들을 통신하기 위한 송신기(Tx: transmitter) 320 뿐만 아니라 수신기(Rx: receiver)(도 3에서는 도시하지 않음)와도 더 결합된다. 상기 프로세서 310은 또한 전형적으로 디스플레이 유니트(display unit) 330과 접속되는데, 이러한 디스플레이 유니트 330으로는 사용자 명령(user instrunctions) 및 호의 상태(call status)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액정표시기(LCD: Liquid Crystal Display)가 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 310에는 도면상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륨 업/다운 키들(volume up/down keys) 330 혹은 메뉴 스크롤 키들(menu scroll keys)이 더 접속된다. 상기 도 3에는 이동국의 동작을 수행하는데 요구되는 모든 회로들 혹은 구성요소들이 포함되어 있지 않다. 대신에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 예를 위한 필수 구성요소들만을 개시하는 블록다이아그램이라는 사실은 당해 분야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라는 사실에 유의하여야 한다.
상기 프로세서 310은 초기에는 관련된 저장 장치 300으로부터 특정 디렉토리 번호를 검색하고, 송신기 320과 통신을 하여 발신 호 접속을 개시한다. 다른 방법으로, 상기 프로세서 310은 사용자 혹은 다른 소스들로부터 직접 상기 디렉토리 번호를 수신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프로세서 310은 다이얼된 혹은 검색된 디렉토리 번호가 상기 저장 장치 300에 이미 저장되어 있는 특정 링크 리스트의 디렉토리 번호들과 관련이 있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상기 디렉토리 번호가 특정 링크 리스트의 디렉토리 번호들과 관련이 없다는 결정에 응답하여 이동국 20은 통상적인 방법으로 나머지 호 접속을 처리한다.
다른 한편, 상기 디렉토리 번호가 특정 링크 리스트의 디렉토리 번호들과 관련이 있다는 결정에 응답하여 상기 이동국 20은 다이얼된 혹은 검색된 디렉토리 번호와 관련이 있는 링크리스트의 디렉토리 번호를 확인하고, 본 발명의 교시에 따른 링크 리스트 호출 동작(link list calling feature)을 활성화한다. 여기서 링크 리스트 호출 동작이란 착신측(피호출측) 가입자를 호출할 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링크 리스트를 사용하여 호출하는 동작을 의미한다. 이러한 후에 상기 프로세서 310은 계속하여 호 및 사용자 입력을 모니터링하여 상기 링크 리스트 호출 동작이 수행되어져야 하는지를 결정한다. 상기 프로세서 310이 미리 설정된 조건 혹은 명령을 검출함에 응답하여, 이동국은 미결정의(pending) 혹은 요청된(requested) 발신 호 접속을 중지하고, 상기 결정된 링크 리스트의 디렉토리 번호들로부터 다음 디렉토리 번호를 검색한다. 이때 상기 프로세서 310은 새로이 검색된 디렉토리 번호를 착신측 디렉토리 번호로서 사용하여 새로운 발신 호 접속을 개시한다.
하나의 구현 예로서, 상기 프로세서 310은 이동국이 미결정의 발신 호 요청을 중지하고 상기 결정된 링크 리스트로부터 다른 디렉토리 번호를 사용하여 새로운 발신 호 접속을 개시하도록 하기 위해 사용자가 상기 업 혹은 다운 방향 키 330을 눌렀는지 여부를 검출한다. 유사한 방법으로, 사용자가 위와 같은 명령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이동국에 접속된 임의의 키, 버튼 혹은 기능이 선택될 수 있다. 다른 구현 예로서, 상기 프로세서 310은 요청된 발신 호 접속이 실패했을 때 자동으로 상기와 같은 검출을 행하는 것으로 할 수도 있다. 상기 프로세서 310은 요청된 호 접속으로부터 비지(busy) 혹은 혼잡(congestion) 신호가 수신되었을 때 실패를 검출한다. 이때 이동국은 특정 착신측 가입자와 관련이 있는 다음의 디렉토리 번호를 자동으로 검색하고, 그것으로부터 새로운 발신 호 접속을 개시한다.
도 4는 이동국 내에서 링크 리스트 호출 동작이 수행되도록 하기 위해 취해지는 단계들을 보여주는 플로우 챠트이다.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발신 호 접속(outgoing call connection)은 통상적인 방법으로 이동국에 의해 400단계에서 개시된다. 발신 호 접속의 통상적인 방법으로는 특정 디렉토리 번호를 직접적으로 다이얼링하거나, 저장된 전화번호 리스트로부터 특정 디렉토리 번호를 선택하거나, 단축 코드(speed code) 혹은 음성 활성화 코드(voice activation code)(혹은 음성 다이얼링 코드)를 통해 특정 디렉토리 번호를 지정하는 것이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후에 이동국과 관련이 있는 프로세서는 410단계에서 지정된 디렉토리 번호가 특정 링크 리스트의 디렉토리 번호들과 상관이 있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상기 지정된 디렉토리 번호가 특정 링크 리스트의 디렉토리 번호들과 상관이 있는지 여부의 결정은 다이얼된 디렉토리 번호와 이전에 저장된 링크 리스트의 디렉토리 번호들을 검색 및 비교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만약 상기 다이얼된 디렉토리 번호가 특정 링크 리스트의 디렉토리 번호들과 관련이 있는 디렉토리 번호들중의 하나가 아니라면(판단 링크 420), 이동국은 통상적인 방법으로 미결정의 나머지 호 요청을 처리한다(580단계).
다른 한편, 만약 상기 다이얼된 디렉토리 번호가 특정 링크 리스트의 디렉토리 번호들과 관련이 있다면(판단 링크 430), 상기 프로세서 310은 요청된 발신 호 접속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졌는지 여부를 440단계에서 결정한다. 만약 호 접속이 아직 이루어지지 않았다면(링크 520), 프로세서 310은 링크 리스트 호출 동작과 관련이 있는 미리 설정된 조건 혹은 사용자 명령이 검출되었는지 여부를 530단계에서 결정한다. 상기 프로세서 310은 사용자가 미리 할당된 키 혹은 버튼을 누르는지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상기 조건을 인지할 수 있다. 이 대신에, 상기 프로세서 310은 또한 비지신호가 요청된 호 접속으로부터 수신되었을 때 상기와 같이 결정할 수도 있다. 미리 설정된 조건이 검출됨에 응답하여(링크 550) 상기 프로세서 310은 560단계에서 상기 결정된 링크 리스트의 디렉토리 번호들로부터 상기 지시된 디렉토리 번호를 검색한다. 일 예로서, 만약 사용자가 볼륨 업 방향키 330을 눌렀다면, 상기 프로세서 310은 상기 결정된 링크 리스트의 디렉토리 번호들내에서 상관관계를 가지는 다음 디렉토리 번호를 검색한다. 유사하게, 만약 사용자가 볼륨 다운 방향키 330을 눌렀다면, 상기 프로세서 310은 상기 결정된 링크 리스트의 디렉토리 번호들내에서 상관관계를 가지는 이전 디렉토리 번호를 검색한다. 적절한 디렉토리 번호가 저장 장치 300으로부터 검색된 후에 상기 프로세서 310은 590단계에서 미결정의 발신 호 접속을 중지하고, 새로이 검색된 디렉토리 번호를 착신측 가입자 번호로서 사용하여 새로운 발신 호 접속을 개시한다. 상기 새로운 발신 호 접속이 개시된 후에 상기 프로세서 310은 호 설정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최초 단계인 440단계로 리턴한다.
지정된 링크 리스트내에 관련이 있는 다음 혹은 이전 디렉토리 번호에 검색을 시도하는 동안에, 상기 프로세서 310은 상기 링크 리스트내에 추가적인 디렉토리 번호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다. 상기 링크 리스트내에 추가적인 디렉토리 번호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됨에 응답하여 상기 프로세서 310은 링크 리스트 호출 동작을 종료할 수 있고(판단 링크 570), 580단계에서 통상적인 방법으로 미결정의 호 접속을 처리한다. 이 대신에, 상기 프로세서 310은 사용자에게 리스트의 종료를 나타내는 명령 혹은 지시를 제공할 수도 있고, 더 나아가서 그러한 명령을 요청할 수도 있다. 그러한 명령은 신호음(beep) 혹은 첨부된 디스플레이 유니트 330상에 디스플레이로서 제공될 수도 있다.
다시 440단계를 참조하면, 요청된 호 접속이 성공적으로 수행된 것으로 결정됨에 응답하여(판단 링크 450), 상기 프로세서 310은 사용자가 링크 리스트 호출 동작을 활성화할 수 있도록 특정 시간동안 타이머를 활성화한다. 다시 말하면, 사용자는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후 이동국이 현재의 호 접속을 중지하고, 관련된 링크 리스트의 디렉토리 번호로부터 상이한 디렉토리 번호를 사용하여 새로운 발신 호 접속을 개시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프로세서 310은 460단계에서 상기 지정된 시간이 만료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만약 호 접속이 미리 지정된 시간동안 이미 성공적으로 수행되었다면(판단 링크 470), 상기 프로세서 310은 링크 리스트 호출 동작을 디스에이블시키고, 통상적인 방법으로 현재 미결정의 호 접속을 처리한다(종료 단계 580). 만약 타이머가 아직 만료되지 않았다면(판단 링크 480), 상기 프로세서 310은 상기 설정된 사용자 명령이 검출되는지 여부를 490단계에서 결정한다.
상기 설정된 사용자 명령이 검출된 것으로 결정되는 경우(판단 링크 510), 상기 프로세서 310은 존재하는 호 접속을 중지하고, 560단계에서 상기 사용자 명령에 따른 디렉토리 번호를 검색하고, 전술한 바와 같은 동작을 수행한다. 그러한 후에 상기 프로세서 310은 600단계에서 새로운 발신 호 접속을 개시한다. 만약, 사용자 명령이 검출되지 않았다면(판단 링크 500), 상기 프로세서 310은 460단계에서 타이머의 만료 상태를 체크하는 동작을 반복한다. 결과적으로, 상기 프로세서 310은 상기 타이머가 만료되거나 혹은 사용자 명령이 검출될 때까지 "루프 테스트(loop test)"를 수행한다.
도 5는 링크 리스트 호출 동작이 수행되도록 하는 이동국(MS) 20과 서비스 기지국 송수신기(BTS) 40간에 송수신되는 신호들의 순서를 나타내는 신호 순서도이다.
상기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이동국 20은 특정 링크 리스트의 디렉토리 번호들과 관련이 있는 착신측 가입자 번호(또한 "목적지 번호(destination number)"혹은 "B번호(B-number)"로서 알려진 번호)로서의 디렉토리 번호를 사용하여 730단계에서 발신 호 접속 개시를 시도한다. 상기 이동국 20은 먼저 억세스 채널(Access Channel)을 통해 서비스 BTS 40으로 착신측 번호(CdPn)을 가지는 발신메시지(Originaing Message)를 송신한다(740단계). 이에 응답하여 서비스 BTS 40은 페이징 채널(Paging Channel)을 통해 다시 이동국 20으로 할당된 트래픽 채널을 이동국에 알려주기 위한 채널 할당 메시지(Channel Assignment Message)를 송신한다(750단계). 호 접속을 시작하기 위해 순방향 트래픽 채널(forward traffic channel)을 할당한 후에 상기 이동국 20은 역방향 트래픽 채널(reverse traffic channel)을 통해 트래픽 프리앰블 데이터(Traffic Preamble Data)의 송신을 시작한다(760단계). 상기 송신된 트래픽 프리앰블 데이터를 수신함에 의해 서비스 BTS 40은 유용한 역방향 트래픽 채널을 확인 및 획득한다(770단계). 이때 상기 이동국 20은 상기 역방향 트래픽 채널을 통해 널 트래픽 채널 데이터(Null Traffic Channel Data)를 송신한다(780단계). 이번에는 서비스 BTS 40은 할당된 순방향 트래픽 채널을 통해 기지국 인증 명령(Base Station Ack Order)을 송신함에 의해 널 트래픽 채널 데이터를 수신하였음을 통보한다(790단계). 이러한 통보가 수신된 후에 상기 이동국 20은 역방향 트래픽 채널을 통해 서비스 요청 메시지(SOI: Service Request Message)를 송신한다(800단계). 이러한 후에 서비스 BTS 40은 요청된 서비스를 위한 필요한 자원을 할당한다(810단계). 자원이 할당되면, 상기 서비스 BTS 40은 순방향 트래픽 채널을 통해 서비스 접속 메시지(Service Connect Message)를 송신한다(820단계). 상기 서비스 접속 메시지에 응답하여 상기 이동국 20은 1차적인 트래픽(primary traffic)(S0) 처리를 시작하고(830단계), 서비스 BTS 40으로 서비스 접속 완료 메시지(Service Connect Completion Message)를 송신함에 의해 이러한 사실을 통보한다(840단계). 결과적으로, 이동국 20과 서비스 BTS 40과의 호 접속이 개시되게 된다(850단계).
본 발명의 교시에 따르면, 상기와 같은 동작을 수행한 후에 이동국 20은 도 4와 관련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링크 리스트 호출 동작이 수행될 필요가 있는지 여부를 860단계에서 판단한다. 이에 따라 이동국 20은 특정 링크 리스트의 디렉토리 번호들로부터 지시된 디렉토리 번호를 검색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결정에 응답하여 이동국 20은 역방향 트래픽 채널을 통해 해제 명령 메시지(Release Order Message)를 송신하여 서비스 BTS 40이 모든 할당된 자원을 해제하도록 명령한다(870단계). 이에 따라 서비스 BTS 40은 할당된 자원을 해제하고, 이동국 20으로 해제 명령(Release Order)을 송신함에 의해 요청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였음을 통보한다. 이러한 후에 이동국 20은 스테이지(STAGE) A(900단계)로 되돌아간다. 상기 스테이지 A에서는 발신 호 접속을 위한 위에서 기술한 바와 같은 신호 송수신 동작이 새로운 착신측 번호로서의 새로이 검색된 디렉토리 번호에 대해 반복하여 이루어진다. 결과적으로, 현존하는 무선 인터페이스 혹은 관련된 무선 메시지의 변형없이 이동국은 본 발명의 교시에 따라 사용자에게 링크 리스트 호출 동작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단말기(이동국)내에서 연속적으로 디렉토리 번호들이 링크된 리스트를 저장하고, 저장된 디렉토리 번호들을 사용하여 연속적으로 다중 발신 호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장치를 제안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단말기내에서 관련된 디렉토리 번호들을 사용자가 개별적으로 입력하거나 혹은 선택할 필요가 없다는 편리성이 있다. 또한 운전중에 사용자가 단말기 내부의 전화번호부를 검색하고, 상대적으로 작은 표시부에 표시되는 정보로부터 자신이 원하는 가입자의 전화번호를 확인함에 따른 위험성을 제거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Claims (19)

  1. 각각이 연속하여 링크되어 있는 다수의 디렉토리 번호들을 저장하기 위한 레지스터와,
    상기 레지스터에 저장된 연속하여 링크된 디렉토리 번호들과 관련이 있는 제1 디렉토리 번호를 가지고 제1 호 접속을 개시하는 프로세서와,
    상기 프로세서와 관련이 있으며, 상기 연속하여 링크된 디렉토리 번호들과 관련이 있는 제2 디렉토리 번호를 사용하여 제2 호 접속을 개시하기 위한 명령을 검출하는 검출기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검출기에 의한 상기 제2 호 접속을 개시하기 위한 명령에 응답하여 상기 제2 디렉토리 번호를 가지고 상기 제2 호 접속을 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지스터는 상기 다수의 디렉토리 번호들 각각에 대한 식별 라벨을 더 저장하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기는 상기 개시된 호 접속이 성공적으로 확립됨에 응답하여 디스에이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와 관계하는 타이머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개시된 호 접속이 성공적으로 확립되고, 상기 타이머가 미리 설정된 값에 도달된 후에 상기 검출기에 의해 검출되는 상기 명령을 무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기는 상기 개시된 제1 호 접속이 실패하였을 때 상기 제2 호 접속을 개시하기 위한 상기 명령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7. 이동통신 네트워크내의 통신 링크를 확립하기 위한 통신 장치에 있어서,
    다수의 레지스터들을포함하고, 각 레지스터들은 제1 디렉토리 번호를 저장하기 위한 제1 메모리 영역과, 상기 제1 디렉토리 번호와 관련이 있는 제2 디렉토리 번호를 저장하기 위한 다른 레지스터의 메모리 어드레스를 저장하기 위한 제2 메모리 영역을 더 포함하는 메모리 저장 장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저장 장치와 관련이 있으며, 상기 제1 디렉토리 번호를 사용하여 제1 호 접속을 개시하고, 미리 설정된 조건에 응답하여 상기 제1 호 접속을 차단하기 위한 결정을 하고, 상기 다른 레지스터에 저장되어 있고 상기 차단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디렉토리 번호와 관련이 있는 상기 제2 디렉토리 번호를 사용하여 상기 제2 호 접속을 개시하는 프로세서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개시된 제1 호 접속이 성공적으로 확립된 후에는 상기 제1 호 접속을 차단하기 위한 상기 결정을 무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와 관련이 있는 타이머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호 접속을 개시한 후에 상기 타이머가 미리 설정된 값에 도달한 후에는 상기 제1 호 접속을 차단하기 위한 상기 결정을 무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된 조건은 상기 개시된 호 접속과 관련이 있는 호 설정이 성공하지 못한 경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12. 이동통신 시스템내의 무선 기지국과의 통신링크를 확립하기 위한 이동국에 있어서,
    다수의 디렉토리 번호들을 저장하기 위한 수단과,
    상기 다수의 디렉토리 번호들중의 몇몇 번호들을 연속하는 링크 리스트와 연속하여 관련시키기 위한 수단과,
    상기 연속하는 링크 리스트와 관련이 있는 제1 디렉토리 번호와 호 접속을 개시하기 위한 수단과,
    상기 개시된 호 접속을 차단하기 위한 미리 설정된 조건을 검출하기 위한 수단과,
    상기 개시된 호 접속의 차단에 응답하여 상기 연속하는 링크 리스트와 관련이 있는 제2 디렉토리 번호와 새로운 호 접속을 개시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국.
  13. 제12항에 있어서, 타이머를 더 포함하며, 상기 검출 수단은 상기 호 접속이 확립된 이후에 상기 타이머가 미리 설정된 값에 도달한 후에 디스에이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국.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수단은 상기 호 접속이 성공적으로 확립된 후에 디스에이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국.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조건은 상기 개시된 호 접속으로부터의 비지 신호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국.
  16. 통신 시스템내의 호 접속을 확립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통신 장치내에 다수의 디렉토리 번호들을 저장하기 위한 단계와,
    상기 다수의 디렉토리 번호들에 연속하는 링크 리스트의 디렉토리 번호들을 상관시키는 단계와,
    새로운 호 접속을 시작하기 위한 미리 설정된 조건을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설정 조건이 검출됨에 응답하여 상기 제1 호 접속을 차단시키는 단계와,
    상기 설정 조건이 검출됨에 응답하여 상기 연속하는 링크 리스트와 관련이 있는 제2 디렉토리 번호를 가지고 제2 호 접속을 개시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개시된 호 접속이 성공적으로 확립된 후에는 상기 검출 단계를 무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호 접속이 성공적으로 확립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와,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경우 만료되는 타이머의 동작을 수행시키는 단계와,
    상기 타이머가 만료된 이후에 상기 설정 조건이 검출되는 경우 검출 결과를 무시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조건을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개시된 호 접속으로부터 비지 신호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19990059447A 1998-12-29 1999-12-20 다수의 전화번호들이 링크된 리스트를 이용한 호 접속장치 및 방법 KR2000006221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9/222,370 US6721577B2 (en) 1998-12-29 1998-12-29 Linked list calling feature within a telecommunications device
US9/222,370 1998-12-2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2217A true KR20000062217A (ko) 2000-10-25

Family

ID=228319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9447A KR20000062217A (ko) 1998-12-29 1999-12-20 다수의 전화번호들이 링크된 리스트를 이용한 호 접속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721577B2 (ko)
KR (1) KR20000062217A (ko)
AU (1) AU741390B2 (ko)
GB (1) GB2347590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5322B1 (ko) * 2001-08-21 2007-07-04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전화기에서 복수의 가입자번호 사용이 가능한 호접속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16675B1 (en) * 1999-09-27 2006-03-21 3Com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elephone service using a wireless personal information device
US6633741B1 (en) * 2000-07-19 2003-10-14 John G. Posa Recap, summary, and auxiliary information generation for electronic books
FR2818072B1 (fr) * 2000-12-11 2004-05-14 Sagem Procede d'appel telephonique et telephone mobile utilisant ce procede
US7373179B2 (en) * 2001-12-13 2008-05-13 At&T Mobility Ii Llc Call queue in a wireless device
EP1349352A1 (en) * 2002-03-28 2003-10-01 Sony International (Europe) GmbH Operation control for contacting a communication party from a mobile phone
CN100407731C (zh) * 2002-09-13 2008-07-30 华为技术有限公司 呼叫号码查找方法
WO2004066605A1 (en) * 2003-01-21 2004-08-05 Nimcat Networks Inc. Call forwarding in a packet switched system with back up terminals
DE10345051B4 (de) * 2003-09-26 2009-04-09 Siemens Ag Verfahren zum Aufbau einer Kommunikationsverbindung in einem direkt kommunizierenden Kommunikationsnetzwerk
KR100691128B1 (ko) 2005-01-26 2007-03-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의 통화불능 대처방법 및 그 이동통신단말기
GB2449937A (en) 2007-06-08 2008-12-10 Claudia Poepperl Providing alternative telephone numbers following a call attemp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42028A (ja) * 1996-07-25 1998-02-13 Kyocera Corp 電話機
KR19980029262A (ko) * 1996-10-25 1998-07-25 김광호 상대방의 다수 전화번호 자동 다이얼링 방법
KR19990075541A (ko) * 1998-03-20 1999-10-15 서평원 전화기에서의 단축 다이얼 방법
KR20000014860A (ko) * 1998-08-25 2000-03-15 윤종용 통신단말기의 발신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36962A (en) * 1982-03-30 1984-03-13 Bell Telephone Laboratories, Incorporated Call coverage arrangement
GB2250400B (en) * 1990-10-19 1995-01-18 David Brown Mcdougall Automatic repertory dialler control systems
WO1992022164A1 (en) * 1991-06-05 1992-12-10 Auto Ex Hunt and seek telephone system
US5371779A (en) * 1992-03-13 1994-12-06 Nec Corporation Call initiating system for mobile telephone units
CA2107453C (en) * 1992-12-29 1997-03-04 Daniel S. Furman Caller directed routing of a telephone call based on a dialed suffix
CA2123041A1 (en) * 1993-06-01 1994-12-02 Charles John Malek Method for locating a user of telephone subscriber equipment
MX9404062A (es) 1993-06-03 1995-01-31 Ericsson Telefon Ab L M Transferencia de llamada dentro del sistema de comunicaciones celulares.
JPH07212448A (ja) * 1993-12-30 1995-08-11 Northern Telecom Ltd マイクロプロセッサ制御電話機を操作する方法
FI118984B (fi) * 1994-04-20 2008-05-30 Sony Corp Viestintäpäätelaite ja sen ohjausmenetelmä
US5600704A (en) * 1994-08-30 1997-02-04 Ericsson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rioritized routing of telephone calls to a subscriber
US5550907A (en) * 1994-12-23 1996-08-27 Lucent Technologies Inc. Personal communication using intelligent terminals
US5802160A (en) * 1996-01-19 1998-09-01 Pilgrim Telephone, Inc. Multi-ring telephone method and system
GB2317073B (en) * 1996-09-05 2001-04-04 Orange Personal Comm Serv Ltd Mobile communications
US5987408A (en) * 1996-12-16 1999-11-16 Nortel Networks Corporation Automated directory assistance system utilizing a heuristics model for predicting the most likely requested number
US6226367B1 (en) * 1997-04-23 2001-05-01 Nortel Networks Limited Calling line identification with location icon
US6125287A (en) * 1997-09-05 2000-09-26 Fujitsu Limited Wireless telephone having an improved user interface
JPH11127234A (ja) * 1997-10-22 1999-05-11 Nec Shizuoka Ltd 無線選択呼出受信機と携帯送受信機
DE19750991A1 (de) * 1997-11-18 1999-05-27 Bosch Gmbh Robert Verfahren zur Anwahl von Rufnummern
US6072867A (en) * 1997-12-02 2000-06-06 Lucent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alling party control
US6188888B1 (en) * 1998-03-30 2001-02-13 Oki Telecom, Inc. Charging unit and wireless telephone having multi-number call forwarding capability
JPH11331414A (ja) * 1998-05-14 1999-11-30 Nec Corp ファクシミリ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42028A (ja) * 1996-07-25 1998-02-13 Kyocera Corp 電話機
KR19980029262A (ko) * 1996-10-25 1998-07-25 김광호 상대방의 다수 전화번호 자동 다이얼링 방법
KR19990075541A (ko) * 1998-03-20 1999-10-15 서평원 전화기에서의 단축 다이얼 방법
KR20000014860A (ko) * 1998-08-25 2000-03-15 윤종용 통신단말기의 발신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5322B1 (ko) * 2001-08-21 2007-07-04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전화기에서 복수의 가입자번호 사용이 가능한 호접속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2347590A (en) 2000-09-06
AU741390B2 (en) 2001-11-29
US20020086710A1 (en) 2002-07-04
US6721577B2 (en) 2004-04-13
AU6550399A (en) 2000-10-19
GB2347590B (en) 2001-03-28
GB9930497D0 (en) 2000-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46007B2 (en) Auto sensing home base station for mobile telephone with remote answering capabilities
KR100206173B1 (ko) 키폰시스템에서 자동 통화 구현방법
KR20000062217A (ko) 다수의 전화번호들이 링크된 리스트를 이용한 호 접속장치 및 방법
US6360109B1 (en) Terminal, automatic recall procedure, and telecommunication system
JPH0650839B2 (ja) 無線電話装置
KR100315693B1 (ko)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통화 요금 계산 장치 및 방법
KR100675164B1 (ko) 이동통신 시스템의 호 연결실패 알림 방법
JPH08223267A (ja) ダイヤリング装置
KR20000016349A (ko) 전화, 팩스기기 및 컴퓨터를 지능망에 연결하는 방법
KR20010017386A (ko) 휴대용 무선전화기의 통화 대기 상태 제어 방법
KR20010059731A (ko) 무선 가입자망 단말기의 발신 전화번호 표시 방법
JP3425031B2 (ja) 位置検索方式
KR100464488B1 (ko) 간이교환기시스템의 내선 직접 호출 방법
JPH08317448A (ja) 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チャネル切替通知方式
JPH07240960A (ja) 電話システム
KR20000027205A (ko) 개인 통신 교환기의 발신 번호 표시 서비스 방법
JPH07336761A (ja) 移動通信システム
JPH08168072A (ja) 圏内復帰通知装置
JP2000197146A (ja) 移動体通信端末
JP2000175241A (ja) 無線端末を収容する構内交換機の無線端末接続方式
JPH10322437A (ja) 移動無線装置
JPH11164364A (ja) 携帯無線電話装置及びその発呼不能表示方法並びにその制御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H0723461A (ja) 携帯型移動端末機を用いる移動通信システム
JPH06252846A (ja)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移動局装置及び無線固定局装置
JP2001045115A (ja) 通信装置および通信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