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60260A - 탈곡장치 - Google Patents

탈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60260A
KR20000060260A KR1019990008406A KR19990008406A KR20000060260A KR 20000060260 A KR20000060260 A KR 20000060260A KR 1019990008406 A KR1019990008406 A KR 1019990008406A KR 19990008406 A KR19990008406 A KR 19990008406A KR 20000060260 A KR20000060260 A KR 200000602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reshing
barrel
shaft
drive shaft
s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84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88317B1 (ko
Inventor
배종식
Original Assignee
이웅
성원정밀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웅, 성원정밀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웅
Priority to KR10199900084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88317B1/ko
Publication of KR200000602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02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83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831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7/00Threshing apparatus
    • A01F7/02Threshing apparatus with rotating tools
    • A01F7/06Threshing apparatus with rotating tools with axles in line with the feeding direction ; Axial threshing machines
    • A01F7/062Threshing apparatus with rotating tools with axles in line with the feeding direction ; Axial threshing machines with a rotating cag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01F12/56Driving mechanisms for the threshing par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Threshing Machine Elements (AREA)

Abstract

탈곡성능이 향상되고 탈곡속도가 증가된 탈곡장치를 제공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볏짚을 일차로 탈곡하는 제 1탈곡통과, 볏짚이 이송되는 방향으로 동일축선을 가지고 배열되어 회전하는 제 2탈곡통과, 상기 제 1,2탈곡통과 동일축선을 가지고 회전하는 제 3탈곡통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제 1탈곡통, 제 2탈곡통, 제 3탈곡통의 회전속도는 증가하는 방향으로 구성된 탈곡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제 1탈곡통은 제 1샤프트에 장착되고, 상기 제 2탈곡통은 제 2샤프트에 장착되고, 상기 제 1,2샤프트는 원동기에 의해 구동되는 제 1 구동축에 의해 각각 다른 회전비율로 구동되고, 상기 제 3탈곡통은 상기 제 1 구동축과 연동하여 회전하는 제 2구동축에 의해 회전하는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탈곡장치{A threshing device}
본 발명은 콤바인(combine) 또는 수확기(harvester)의 탈곡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탈곡장치의 탈곡성능을 개선하고, 작업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탈곡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작물인 벼나 보리 및 밀의 수확시 이와같은 작물을 베면서 낱알들과 짚단들을 서로 분리시켜 수거할 수 있도록 된 탈곡장치는, 상기와 같은 작물을 베면서 낱알들과 짚단들을 서로 분리시켜주는 탈곡장치와, 여러 조작장치들을 구비하여 운전자가 조작할 수 있는 통상 기계장치부로 크게 구성되어지고, 여기서 상기 탈곡장치는 베어진 작물들을 이송체인에 의해 어느정도 가압 및 이송하면서 낱알들과 짚단들을 분리시켜줌과 더불어, 분리된 낱알들을 수거하고 짚단들을 배출시켜주는 여러가지 장치들과, 작업도중 이상상황 예를들면, 작물이 과도하게 공급되거나 배출이 원할하게 배출되지 않는 경우 이를 해소하기 위한 상기와 같은 여러가지 장치들을 해제할 수 있는 조립장착된 잠금기구 등으로 이루어진 탈곡부로 구성된다.
종래의 탈곡장치는 농작물을 이송하는 이송부에 탈곡을 위한 하나의 탈곡통이 장착되어 있고, 탈곡통의 출구쪽에는 탈곡통에 걸린 짚단을 반송처리하는 반송처리통이 장착되어있었다.
그런데 이러한 탈곡장치의 탈곡통을 저속으로 회전시켜 탈곡할 경우 탈곡되지 않은 미탈곡짚단이 발생하고, 고속으로 회전시킬 경우에는 이삭이 부서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2중구조로 탈곡하는 탈곡장치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고, 이는 도 1에 도시되고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2중구조 탈곡장치는 2개의 급통이 장착된 2중탈곡급통으로 전방과 후방으로 2개로 분리되어, 전방의 급통(150)은 곡립의 손상됨을 방지하기 위해 저속으로 회전하고 후방 급통(110)은 전방에서 탈곡하지 못한 나머지 곡물을 급속회전시켜 탈곡하는 구조를 채택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2중구조의 탈곡장치에 있어서도 벼가 젖어서 건조가 덜 된 경우나, 작물의 수분함량이 높은경우나, 볏짚사이에 낱알이 섞여 있는 경우에는 처리되지 않고 볏짚과 함께 배출되는 문제점이 있고,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후방급통을 고속회전시키는 데는 이삭이 부서지고, 미탈립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곡물의 탈곡성능 및 탈곡 정도(精度)를 향상시킬 수 있는 탈곡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탈곡처리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탈곡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탈곡장치의 개략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탈곡장치의 개략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0: 제 1구동축20: 제 2구동축
50: 탈곡부51, 52, 53: 제 1, 2, 3 탈곡통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3차 탈곡처리가 가능한 탈곡통을 채택한다.
즉, 저속의 1차탈곡통과, 중속의 2차탈곡통과, 고속의 3차탈곡통으로 구성된 탈곡통을 제공한다.
상기 제 1,2차 탈곡통은 원동기에 의해 구동되는 소정의 구동축에 의해 다른 회전비로 접속되어 회전하고, 제 3차 탈곡통은 상기 구동축에 의해 소정회전비율로 회전력을 전달받는 다른 구동축에 의해 회전된다.
반송처리통은 제 3차처리통에 연계하여 급치에 걸린 볏짚을 분리해낼 수 있도록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탈곡장치의 개략부분사시도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탈곡장치는 미도시된 원동기의 구동으로 회전하는 제 1구동축(10)과, 상기 제 1구동축과 소정의 회전비율로 연동하여 회전하는 제 2구동축(20)과, 상기 제 1,2구동축에 의해 회전하는 탈곡부(50)로 구성되어 있다. 탈곡부(50)는 선별망(60)에 소정간격으로 이격되어 있다.
탈곡부(50)는 제 1 탈곡통(51)과, 제 2탈곡통(52)과, 제 3탈곡통(53)이 동일축선(axis)(c)를 중심으로 각 개별적으로 회전하도록 샤프트(55)(56)(57)에 장착되어 배열되어 있고, 각 탈곡통에는 탈곡을 위한 급치(59)가 소정간격으로 배열되어 형성되어 있다.
제 1구동축(10)에는 적어도 2개의 기어(11)(1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2개의 기어에는 상기 동일축선(c)을 갖는 2개의 샤프트(55)(56)에 소정회전비율로 기어결합하고 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2개의 샤프트는 저속회전을 하는 제 1탈곡통을 회전시키는 제 1샤프트(55)와, 중속회전을 하는 제 2샤프트(56)로 구성되어 있고, 제 1샤프트(55)와 제 2샤프트(56)는 동일축선(c)을 가지고 제 1샤프트(55)의 내부에 제 2샤프트가 장착되어 있어 하나의 구동축(10)에 의하여 서로 다른 회전속도를 가지는 탈곡통을 구동할 수 있게된다.
한편, 제 1구동축(10)과 연동하는 제 2구동축(20)은 탈곡부(50)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반대쪽 단부근방에는 제 3탈곡통과 벨트결합하여 제 3탈곡통을 회전시키고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탈곡통의 회전속도는 약 520rpm정도이고, 제 2탈곡통의 회전속도는 640rpm이고, 제 3탈곡통의 회전속도는 약 640-800rpm정도가 되도록 제 1구동축(10)과 각 샤프트(55)(56)의 기어결합비를 세팅하고, 제 2구동축(20)의 벨트풀리(21)의 사이즈를 세팅하면된다.
한편, 여기서 제 3차 탈곡통(53)은 별도의 모터에 의해 구동될 수 있음은 물론이고, 무단변속벨트로 장착하여, 회전속도를 증감시킬 수 있다.
참고로 1차탈곡통 및 2차탈곡통의 길이는 35cm이고, 3차탈곡통의 길이는 15cm정도로 한다.
한편, 여기서 제 3탈곡통(53)과 연계하여 배열된 반송처리통(70)은 통상의 것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변화와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이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는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들어 급치의 배열이나 배치, 탈곡통의 길이, 구동방식 등은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고, 이런 것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닌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변화와 변형이 본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게 됨은 첨부된 청구범위를 통해서 알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탈곡장치는 3중으로 처리함으로써, 제 3차탈곡 처리시 고속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볏짚속에 끼워져 있거나 수분이 함유된 볏짚인 경우에는 거의 완전하게 이삭을 분리해 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2중구조의 탈곡장치에서는 작업처리속도 즉, 볏짚의 이송속도가 1.4m/sec정도이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1.6m/sec로 향상될 수 있고, 보다 향상된 처리능력을 보유하게 된다.

Claims (6)

  1. 볏짚을 일차로 탈곡하는 제 1탈곡통과, 볏짚이 이송되는 방향으로 동일축선을 가지고 배열되어 회전하는 제 2탈곡통과, 상기 제 1,2탈곡통과 동일축선을 가지고 회전하는 제 3탈곡통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제 1탈곡통, 제 2탈곡통, 제 3탈곡통의 회전속도는 증가하는 방향으로 구성된 탈곡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탈곡통은 제 1샤프트에 장착되고, 상기 제 2탈곡통은 제 2샤프트에 장착되고, 상기 제 1,2샤프트는 원동기에 의해 구동되는 제 1 구동축에 의해 각각 다른 회전비율로 구동되는 탈곡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탈곡통, 제 2탈곡통, 제 3탈곡통의 회전속도는 각각 대략 520rpm, 640rpm, 640-800rpm인 탈곡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3탈곡통은 상기 제 1 구동축과 연동하여 회전하는 제 2구동축에 의해 회전하는 탈곡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3탈곡통의 회전속도는 작물의 상태에 따라 무단변속이 가능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곡장치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3탈곡통은 상기 제 1,2탈곡통과 다른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곡장치
KR1019990008406A 1999-03-12 1999-03-12 탈곡장치 KR1002883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8406A KR100288317B1 (ko) 1999-03-12 1999-03-12 탈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8406A KR100288317B1 (ko) 1999-03-12 1999-03-12 탈곡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0260A true KR20000060260A (ko) 2000-10-16
KR100288317B1 KR100288317B1 (ko) 2001-04-16

Family

ID=195764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8406A KR100288317B1 (ko) 1999-03-12 1999-03-12 탈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8831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8868A (ko) * 2021-01-05 2022-07-12 주식회사 반석산업 땅콩탈곡기
KR20220098867A (ko) * 2021-01-05 2022-07-12 주식회사 반석산업 다기능 콩탈곡기
KR20220002185U (ko) * 2021-03-05 2022-09-14 허정규 땅콩 탈곡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97523B (zh) * 2019-05-05 2021-07-16 山西省农业科学院旱地农业研究中心 玉米籽粒环剥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8868A (ko) * 2021-01-05 2022-07-12 주식회사 반석산업 땅콩탈곡기
KR20220098867A (ko) * 2021-01-05 2022-07-12 주식회사 반석산업 다기능 콩탈곡기
KR20220002185U (ko) * 2021-03-05 2022-09-14 허정규 땅콩 탈곡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88317B1 (ko) 2001-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54758A (en) Self-propelling harvester thresher
US5556337A (en) Self-propelling harvester thresher
US10327386B2 (en) Header for an agricultural harvester with independent sub-system drives
KR100288317B1 (ko) 탈곡장치
JP4610573B2 (ja) コンバイン
US6974384B2 (en) Tailings conveyor with rotary impellers disposed and rotatable at progressively faster speeds for threshing and conveying tailings through the conveyor and method of operation of the same
CN110832986A (zh) 升运器及收获机
CN107912134B (zh) 自走式秸秆揉丝机以及秸秆收割处理设备
JP2009022203A (ja) コンバイン
US5772503A (en) Crop feeding apparatus for rotating concave threshing mechanism
JP4012427B2 (ja) 汎用コンバインのスクリュー型扱胴を有する脱穀装置
CN217905226U (zh) 一种剥皮机传动系统及茎穗兼收玉米收获机
CN2472474Y (zh) 一种自走式稻麦收割机
JP2007252214A (ja) 脱穀機
JP3601048B2 (ja) 脱穀装置
JP4080924B2 (ja) コンバイン
JPH07222518A (ja) 脱穀機
JP5102636B2 (ja) コンバイン
JPH0730016U (ja) 脱穀装置
JP3285445B2 (ja) 脱穀機の扱胴
JP2004089109A (ja) コンバインの脱穀制御装置
JP2821734B2 (ja) 脱穀機における扱胴
JP2005095074A (ja) 普通型コンバイン
JP4051308B2 (ja) コンバイン
CN114793637A (zh) 一种剥皮机传动系统及茎穗兼收玉米收获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