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59230A - 무인원격구명선 - Google Patents

무인원격구명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59230A
KR20000059230A KR1020000042418A KR20000042418A KR20000059230A KR 20000059230 A KR20000059230 A KR 20000059230A KR 1020000042418 A KR1020000042418 A KR 1020000042418A KR 20000042418 A KR20000042418 A KR 20000042418A KR 20000059230 A KR20000059230 A KR 200000592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feboat
rudder
remote
engine
driv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24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39056B1 (ko
Inventor
조성우
고창두
Original Assignee
조성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성우 filed Critical 조성우
Priority to KR10200000424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39056B1/ko
Publication of KR200000592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92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90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905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9/02Lifeboats, life-raft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life-sav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9/21Boats, rafts, buoys or the like, characterised by signalling means, e.g. lights, refl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2035/006Unmanned surface vessels, e.g. remotely controlled
    • B63B2035/008Unmanned surface vessels, e.g. remotely controlled remotely control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에 빠진 조난자를 구조하는 구명선에 관한 것으로, 무인원격구명선은 자기직립 복원성을 갖는 수밀구조의 선체와, 선체에 설치되어 원격무선조정기로부터의 신호를 감지하는 수신부와, 수신부의 신호를 받아 무인원격구명선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각각 제어부의 신호에 의하여 작동 제어되어 엔진을 구동시키는 엔진구동부와, 배의 방향을 조종하는 방향타를 작동시키는 방향타구동부와, 조난자에게 안내방송을 할 수 있는 스피커와 구명선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램프를 작동시키는 스피커/램프구동부와, 구명튜브를 고정시키고 있는 고정수단을 해제하여 구명튜브를 조난자에게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 고정수단 구동부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라 무선원격조정으로 구명선을 조종하므로써, 악천후나 접근이 힘든 지역내에서 조난자가 발생하면 구조대원없이 조난자를 안전하게 구조할 수 있다.

Description

무인원격구명선{Remote control life boat}
본 발명은 물에 빠진 조난자를 구조하는 구명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구조대원이 투입될 수 없는 악천후나 접근이 힘든지역내에서의 구명선의 신속한 가동이 가능하고, 또한 원격조정할 수 있는 무인원격구명선을 제공하므로써, 구조요원을 위험에 빠뜨리지 않고, 조난자를 신속하고 안전하게 구조할 수 있는 무인원격구명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구명선이라 하면 튜브나 혹은 구조대원이 탑승한 보트로 이루어져 물에 빠진 조난자를 구조하기 위하여 만들어진 것이다. 이러한 구명선은 악천후나 구조대원이 투입될 수 없는 위험한 지역에서는 조난자를 구조하기가 어렵고, 더구나 위험요소들로부터 구조대원까지 위협받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원격무선조종기에 의하여 구명선의 방향 조정 및 속도 제어를 할 수 있는 무인원격구명선을 제공하여 악천후나 구조대원이 투입될 수 없는 위험한 지역에서도 구명선을 가동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물에 빠진 조난자를 신속하고 안전하게 구조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구조대원들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인원격구명선의 작동 구성을 도시한 주요부분의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인원격구명선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무인원격구명선의 통풍구의 침수방지 및 자기직립복원성을 설명하는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무인원격구명선의 추진기관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무인원격구명선의 속도 조종원리를 나타내는 도면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무인원격구명선의 방향 조종원리를 나타내는 도면
도 5c는 본 발명에 따른 무인원격구명선의 구명 로프/튜브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조난자 구조시의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
※ 도면 부호의 간단한 설명 ※
10 : 선체 11 : 스피커
12a : 써치라이트 12b: 경광램프
13 : 통풍구 20 : 엔진(기관)
21 : 소음기 22 : 배기파이프
23 : 엔진 케이싱 24 : 프로펠러
25 : 연료탱크 26 : 제 1서보모터
30 : 제 2서보모터 40 : 방향타
50 : 구명튜브 60 : 스로틀 밸브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무인원격구명선은 자기직립 복원성을 갖는 수밀구조의 선체와, 선체에 설치되어 원격무선조정기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수신부의 신호를 받아 무인원격구명선을 작동 제어하는 제어부와, 각각 제어부에 의해 작동 제어되어 엔진을 구동시키는 엔진구동부와, 배의 방향을 조종하는 방향타를 작동시키는 방향타구동부와, 안내방송을 방송할 수 있고 구명선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스피커/램프구동부와, 구명튜브를 고정한 고정수단을 해제하여 구명튜브를 물위로 배출시키는 고정수단 구동부로 이루어진다.
무인원격구명선은 선체의 무게중심을 정확하고 세밀하게 설계하여 전복되더라도 즉시 복원될 수 있는 자기직립 복원성(오뚜기 기능)을 가지도록 설계하고, 선체 재질은 FRP로 하여 구명선의 중량을 감소시켜 경량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선체는 그 구조에 있어서, 선저 구조는 종늑골 및 횡늑골로 구성되는 단저 종식구조로 형성하여 과도한 변형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선측구조에서 선수부는 종식구조로 형성하는 동시에 선미부는 공작성과 중량경감을 위한 횡식구조로 형성한다. 또한 갑판구조는 단판의 외판, 종늑골 및 보조 횡비임으로 구성되는 종식구조로 형성하고, 격벽구조는 수직 및 수평 보강재와 단판으로 구성되는 평판식 구조로 형성한다.
선체의 중앙에는 통풍구를 설치하는데, 통풍구는 수면위에 남게 되는 부분을 통풍관이 통과하도록 하여 침수를 방지하고, 통풍구 내부로 물이 들어갈 때는 배수파이프와 배수펌프(미도시)에 의해서 물을 배출시키도록 한다.
물론 구명선의 작동시간이나 통풍구의 구조에 따라 유입되는 물의 양은 무시해도 될 것이다.
구명선의 원격조정은 원격무선조정기에서 전송하는 신호를 수신부에서 수신하고, 수신부에서 수신된 제어신호에 따라 제어부에서 엔진구동부와 방향타구동부와 스피커/램프구동부 및 고정수단 구동부를 작동 제어하므로써 이루어진다.
제어부에 의하여 엔진구동부에서 엔진을 구동하고, 스로틀 밸브를 제 1서보모터와 벨트 등의 연결수단으로 연결하여 스로틀 밸브의 개폐를 조절하므로써 구명선의 속도를 조정한다. 이때, 스로틀 밸브와 제 1서보모터의 연결수단은 벨트 이외에도 기어 또는 커넥팅 로드 등의 기타 다양한 연결수단을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고, 서보모터를 제거하고 제어부를 통해 원격조정가능한 솔레노이드 밸브를 스로틀 밸브에 직접 연결하여 스로틀 밸브의 개폐를 조절할 수도 있을 것이다.
여기서 엔진은 예를 들면, 소형선에 적합한 대략 8~8.5마력의 가솔린 엔진을 쓸 수 있지만, 구명선의 무게와 제반사정을 고려하여 적합한 엔진을 장착할 수 있다.
또한, 방향타구동부에서 방향타를 제 2서보모터와 기어 등의 연결수단으로 연결하여 방향타를 조종하므로써 구명선의 방향을 조정한다. 이때, 방향타와 제 2서보모터 사이의 연결수단은 기어 이외에 벨트 등의 다른 연결수단을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고, 서보모터를 제거하고 제어부를 통해 원격조정가능한 솔레노이드 밸브를 방향타에 직접 연결하여 방향타의 회전방향을 조절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제어부에 의한 스피커/램프작동부의 작동제어를 통해 스피커를 통해 조난자에게 안내방송을 방송할 수 있도록 하고, 야간이나 시야가 흐린 경우 램프를 점등시켜 조난자는 물론 구명선을 원격조종하는 구조원이 구명선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써치라이트를 점등시켜 야간의 시야확보를 용이하게 한다.
더 나아가 제어부에 의한 고정수단 구동부의 작동제어를 통해 전기적 신호에 의해 고정수단을 해제하여 구명튜브를 물위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고정수단은 구명튜브를 걸어 고정하는 스프링 스위치나 후크 등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도 있을 것이며, 상기 고정수단은 고정수단 구동부에 의해 작동하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이용하여 해제 또는 고정이 가능하게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작동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무인원격구명선의 선체를 도시한 것이다.
무인원격구명선의 원격조정장치는 조종자용의 원격무선조정기와, 자기직립 복원성을 갖춘 선체(10)에 설치되어 원격무선조정기에서 전송하는 제어신호를 감지하는 수신부(110)와, 수신부(110)를 통해 입력된 제어신호에 따라 명령을 수행하는 제어부(100)와, 이 제어부(100)에 의하여 작동 제어되는 엔진구동부(120)와 방향타구동부(130)와 스피커/램프구동부(140) 및 고정수단 구동부(150)로 이루어진다.
조종자가 원격무선조정기를 조작함에 따라 원격무선조정기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는 무인원격구명선에 설치된 수신부(110)를 통해 제어부(100)로 전달된다. 이에 따라 제어부(100)는 엔진구동부(120)를 제어하여 엔진(20)을 구동하는 한편 스로틀 밸브의 개도를 조절하여 배의 속도를 조종하고, 방향타구동부(130)를 제어하여 제 2서보모터(30)에 연결되어 있는 방향타(40)를 조작함으로써 배의 방향을 조종한다.
또한, 제어부(100)는 스피커/램프구동부(140)를 제어하여 스피커(11)를 작동시킴으로써 조난자에게 안내방송을 하는 한편, 야간이나 시야가 흐린 경우에 경광램프(12b)를 점등시킴으로써 조종자는 물론 조난자가 구명선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써치라이트(12a)를 점등시켜 야간에 구명선의 전방시야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하며, 고정수단 구동부(150)를 제어하여 구명튜브(50)를 고정하고 있는 고정수단를 해제함으로써 구명튜브(50)를 조난자에게 투하한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무인원격구명선의 선체를 도시한 것으로써, 구명선의 선체는 침수방지를 위하여 수밀구조로 밀봉된 FRP선체로 제작하여 소형화하는 동시에 경량화하였다.
또한, 선박 제조업자들에게는 이미 자명한 방식으로 무인원격구명선 선체의 무게중심을 정확하고 세밀하게 잡아 줌으로써, 구명선의 전복시 즉시 복원될 수 있도록 하는 자기직립 복원성(오뚜기 기능)을 무인원격구명선에 부여한다.
이와 함께, 무인원격구명선이 전복되는 과정에서 선박의 내부로 물이 들어오지 못하는 구조로 통풍구(13)를 설계하는 동시에, 선체의 내외부에 침수방지 및 방수처리를 하였다.
상기 엔진구동부(120)에 의해 작동되는 엔진(20)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형선에 적합하고 자기직립 복원성을 위해 경량화한 것으로 8~8.5마력의 4사이클 공냉식 가솔린 엔진으로서, 이와 같은 엔진을 사용하면 무인원격구명선의 선박속도는 5-15노트이고, 구난시에 성인 조난자 두사람 내지 세사람의 몸무게에 해당하는 150 내지 200kg을 견인할 수 있다.
이러한 엔진(20)은 기관실 상부에 설치되는 엔진 케이싱(23)상에 탑재되며, 이에 따라 엔진에 대한 정비 및 보수가 용이해진다.
이어서, 본 발명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조난자 구조시, 조종자가 원격무선조정기(미도시)를 조작하여 제어신호를 보내면 무인원격구명선의 수신부(110)에서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100)로 신호를 출력하고 제어부(100)는 도 5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엔진구동부(120)를 작동시켜 엔진(20)을 시동하는 한편, 제 1서보모터(26)를 작동시켜 제 1서보모터(26)와 벨트 등의 연결수단으로 연결된 스로틀 밸브(60)의 개폐를 조절함으로써 배의 속도를 조종한다.
상기에서 제 1서보모터(26)와 스로틀 밸브(60)의 연결수단은 기어나 커넥터로드 등과 같이 다른 것으로 대체해도 무방하다.
또한, 서보모터를 제거하고 엔진구동부(120)에 의해 작동길이가 제어되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직접 스로틀 밸브(60)에 연결하여 스로틀 밸브(60)의 개도량을 조절할 수도 있다.
그리고 도 5b에서 도시한 것처럼 제어부(100)는 방향타구동부(130)를 작동시켜 제 2서보모터(30)와 연결된 방향타(40)를 제어하여 조난자가 있는 장소로 무인원격구명선의 방향을 조종한다. 여기서 제 2서보모터(30)와 연결된 기어에 의해서 방향타(40)의 방향을 조정하며, 방향타(40)의 움직이는 각은 기어에 의해서 한정되어 있다.
이때, 제 2서보모터(30)와 방향타(40)의 연결수단은 벨트 등과 같이 다른 연결수단으로 대체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서보모터를 제거하고 방향타구동부(130)에 의해 작동길이가 조절되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직접 방향타(40)에 연결하여 방향타(40)의 작동각도를 조절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조종을 통해 무인원격구명선을 조난자 근처까지 진행시킨 다음 조난자에게 신속하게 안전조치사항을 무선 스피커(11)로 방송한다.
이어서, 도 5c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100)는 고정수단 구동부(150)를 작동시켜 고정수단 구동부(150)의 신호에 따라 개폐되는 고정수단을 해제하여 구명튜브(50)를 조난자를 향해 물위로 투하한다. 여기서 고정수단은 구명튜브(50)를 걸어 고정하고 있는 스프링 스위치나 후크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고정수단 구동부(150)에 의해 제어되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이용하여 스프링 스위치나 후크를 해제하여 구명튜브(50)가 조난자를 향해 투하되도록 할 수 있다.
이후,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난자가 구명튜브(50) 안쪽으로 몸을 넣은 것이 확인되면 조종자는 원격무선조종기로 무인원격구명선을 조종하여 조난자를 안전한 곳으로 안내한다.
본 발명은 선체가 수밀구조로 되어 있고 자기직립 복원성(오뚜기 기능)을 갖춘 구명선을 소형화 및 경량화하는 동시에 원격조종 가능하도록 한 무인원격구명선을 제공함으로써, 구조대원이 투입될 수 없는 악천후나 접근이 힘든 지역내에서 구조대원의 투입없이 원거리 무선조종으로 조난자를 안전하고 신속하게 구조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무인원격구명선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속한다 할 것이다.

Claims (3)

  1. 자기직립 복원성을 갖는 수밀구조의 선체(10)와, 상기 선체(10)에 설치되어 원격무선조정기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110)와, 상기 수신부(110)의 신호를 받아 무인원격구명선을 작동 제어하는 제어부(100)와, 각각 상기 제어부(100)에 의해 작동제어되는 엔진을 구동하는 엔진구동부(120)와, 방향타를 작동하는 방향타구동부(130)와, 안내방송용 스피커를 작동시키는 동시에 구명선 위치확인용 램프를 점등시키는 스피커/램프구동부(140)와, 고정수단으로 고정되어 있는 구명튜브(50)를 투하하기 위해 고정수단을 해제하는 고정수단 구동부(15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원격구명선.
  2. 제 1항에 있어서, 엔진의 스로틀 밸브(60)를 상기 엔진구동부(120)에 의해 작동길이가 제어되는 솔레노이드 밸브와 연결하여 상기 스로틀 밸브(60)의 개도량을 조절하므로써 구명선의 속도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원격구명선.
  3. 제 1항에 있어서, 방향타(40)를 상기 방향타구동부(130)에 의해 작동길이가 조절되는 솔레노이드 밸브와 연결하여 방향타(40)의 작동각도를 조절하므로써 구명선의 방향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원격구명선.
KR1020000042418A 2000-07-24 2000-07-24 무인 원격 구명선 KR1003390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2418A KR100339056B1 (ko) 2000-07-24 2000-07-24 무인 원격 구명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2418A KR100339056B1 (ko) 2000-07-24 2000-07-24 무인 원격 구명선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4507U Division KR200224387Y1 (ko) 2000-12-09 2000-12-09 무인원격 구명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9230A true KR20000059230A (ko) 2000-10-05
KR100339056B1 KR100339056B1 (ko) 2002-06-07

Family

ID=196795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2418A KR100339056B1 (ko) 2000-07-24 2000-07-24 무인 원격 구명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3905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2991B1 (ko) * 2007-03-09 2008-02-14 디에스엠이이엔알 주식회사 원격조종 착탈식 수상추진 장치
KR101276882B1 (ko) * 2012-03-27 2013-06-19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인명 구조 선박 및 그의 인명 구조 방법
KR101402618B1 (ko) * 2013-01-22 2014-06-03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자동 항해 무인선을 이용한 해상 구조 방법 및 시스템
KR101587153B1 (ko) * 2014-09-15 2016-01-20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수상에서 동작하는 무인 로봇의 동작 방법 및 수상에서 동작하는 무인 로봇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1373B1 (ko) 2005-10-04 2007-05-23 찬 우 이 선박의 추진장치
US8882555B2 (en) * 2011-04-07 2014-11-11 Anthony C. Mulligan Remote controlled motorized rescue buoy
KR101583813B1 (ko) * 2014-01-18 2016-01-19 기술융합협동조합 다목적 스마트 무인 선박
CN109895977A (zh) * 2017-07-16 2019-06-18 郑州国知网络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无人船的水上救援装置及其方法
KR102568689B1 (ko) 2022-12-05 2023-08-18 김경태 수상 구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상 구조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2991B1 (ko) * 2007-03-09 2008-02-14 디에스엠이이엔알 주식회사 원격조종 착탈식 수상추진 장치
KR101276882B1 (ko) * 2012-03-27 2013-06-19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인명 구조 선박 및 그의 인명 구조 방법
KR101402618B1 (ko) * 2013-01-22 2014-06-03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자동 항해 무인선을 이용한 해상 구조 방법 및 시스템
KR101587153B1 (ko) * 2014-09-15 2016-01-20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수상에서 동작하는 무인 로봇의 동작 방법 및 수상에서 동작하는 무인 로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39056B1 (ko) 2002-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1614B1 (ko) 구명환이 탑재된 무선조종 보트
US6533626B2 (en) On-board device for rescuing a person from the sea enabling a conscious person to rescue himself
KR102081618B1 (ko) 수상 인명 구조장치
CN108583814A (zh) 一种水域救援设备
CN107253516B (zh) 一种基于无人船的智能救援装置及其工作方法
KR100339056B1 (ko) 무인 원격 구명선
CN101549746A (zh) 舷外快速救生系统
KR20160048737A (ko) 간편운전기능을 가지는 인명구조, 환경감시용 드론
RU2718826C1 (ru) Система управления плавучим спасательным устройством с малыми импеллерами на сжатом пневмопотоке на дистанционном управлении
CN104085515A (zh) 救捞装置及救捞方法
CN203921170U (zh) 一种救捞装置
KR200224387Y1 (ko) 무인원격 구명선
RU2718178C1 (ru) Мобильное плавучее спаса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с малыми импеллерами на сжатом пневмопотоке с дистанционным управлением
CN214806076U (zh) 一种自航式水上救生担架
KR20150119587A (ko) 소형선박 자동 복원 시스템
CN108891563B (zh) 失事船舶救生系统
CN207225621U (zh) 充气式智能定位搜救筏
JP3179519U (ja) 小型船舶用緊急脱出装置
CN214524340U (zh) 船用快速释放单人救生舱及其逃生系统
KR200260989Y1 (ko) 무인 인명 구조 보트
CN212401499U (zh) 一种多功能游船
RU2718508C1 (ru) Комплект средств плавучего спасательного устройства с малыми импеллерами на сжатом пневмопотоке с дистанционным управлением
JPS6025880A (ja) 自動遭難者救助装置
KR20150019386A (ko) 무인 원격 구조장치
CN216943497U (zh) 水上消防救援巡逻无人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52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