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8689B1 - 수상 구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상 구조 시스템 - Google Patents

수상 구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상 구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8689B1
KR102568689B1 KR1020220167474A KR20220167474A KR102568689B1 KR 102568689 B1 KR102568689 B1 KR 102568689B1 KR 1020220167474 A KR1020220167474 A KR 1020220167474A KR 20220167474 A KR20220167474 A KR 20220167474A KR 102568689 B1 KR102568689 B1 KR 1025686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cue
unit
location information
water
external fo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674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태
Original Assignee
김경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태 filed Critical 김경태
Priority to KR10202201674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86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86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868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9/02Lifeboats, life-raft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life-sav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9/08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9/22Devices for holding or launching life-buoys, inflatable life-rafts, or other floatable life-saving equip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1/00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 B63H21/21Control means for engine or transmission, specially adapted for use on marine vess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상 구조 장치는, 내부에 소정의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수면에 부유하도록 구비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와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추진부; 상기 몸체부에 결합되며, 외력을 인가받아 외력 감지 신호를 생성하는 감지부; 상기 몸체부에 내장되며, 상기 감지부와 통신 연결되어 상기 외력 감지 신호를 제공받도록 마련되고, 상기 외력 감지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추진부를 구동시키는 추진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상 구조 시스템은, 구조 대상자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인 구조 위치 정보를 생성하도록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상 구조 장치; 상기 수상 구조 장치와 유무선 통신 가능하도록 마련되면서, 임의의 위치 좌표를 나타내는 정보인 위치 정보 및 상기 수상 구조 장치의 구동 제어를 진행하는 제어 정보 중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를 입력받도록 마련되면서, 상기 구조 위치 정보를 수집하도록 구비되는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위치 정보를 수집하도록 구비되는 서비스 서버; 상기 서비스 서버와 통신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위치 정보를 수집하도록 구축되면서, 구조 대상자를 구조하기 위한 구조 기관에 구축되는 구조 기관 서비스 서버; 상기 구조 기관 서비스 서버와 통신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위치 정보를 출력하도록 마련되는 구조 기관 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 정보는, 상기 구조 위치 정보; 상기 수상 구조 장치의 목적 지점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인 목적 지점 위치 정보; 및 상기 수상 구조 장치의 복귀 지점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인 복귀 지점 위치 정보; 중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수상 구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상 구조 시스템{A Device for water rescue and system for water rescu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수상 구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상 구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상에서의 익수자에 대한 신속한 구조 진행 및 다수의 익수자에 대한 동시 구조를 진행할 수 있는 수상 구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상 구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수상레저 활동이 활발해지고, 수상활동의 종류가 다양해짐에 따라 수상조난 사고로 인해 다치거나 목숨을 잃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다. 근해에서의 사고보다 원해 또는 심해에서의 사고의 경우 사고로 인해 목숨을 잃을 확률은 더욱 더 증가한다. 이러한 조난 사고가 발생하였을 때는 신속한 구조 및 사고 위치를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 필수 요건이다.
근해에서의 사고의 경우 익수자의 구조요청을 확인하고 위치를 파악하는 것이 비교적 쉬우나, 원해에서의 사고의 경우 익수자의 구조요청을 확인하고 위치를 파악하는 것이 어렵고, 파악하더라도 긴급한 구조가 이루어지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종래의 구조요청 장치 중 하나로서 보빈(bobbin)을 이용한 조난 알림 장치는 수상조난 시에 물을 감지하여 동작하는 방식을 이용한다. 주로 구명조끼 등에 결합되어 사용되며, 익수자가 착용하고 있던 조난 알림 장치의 보빈이 물과 접촉하면 동작을 개시하고 구조요청 신호를 발생한다.
그러나, 보빈을 이용한 조난 알림 장치는 습기가 많은 환경 또는 비가 오는 날 등 기상조건의 변화로 인해 공기 중의 수분과 반응하여 오작동할 확률이 높은 문제가 있다. 또한, 보빈을 이용한 조난 알림 장치는 수상조난 상황에서 보빈이 작동하지 않는 에러에 대비하기 위해 수동으로 당기는 방아쇠를 포함하는데, 익수자가 익수되어 의식이 존재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익수자가 방아쇠를 찾고 조작하는 것이 어려워 보빈이 작동하지 않는 경우에 대한 대비가 실질적으로 이루어지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더불어, 조난 사고 시 구조를 요청하는 종래의 장치들은 위급상황을 외부에 알리고 수면에 떠서 사고 위치를 표시할 수 있으나, 해상 상태에 따라 위급상황을 알리는데 어려움이 발생하며, 육지에서 거리가 상당히 멀거나 깊은 수심에서 사고가 발생한 경우 구조요청 신호의 전달 거리를 확보하기 어려운 문제가 존재한다.
아울러, 다수의 익수자가 발생한 경우에는, 종래의 환형 튜브나 레스큐캔으로는 1인 구조만 가능하여, 익수자의 수와 대응하는 구조자들이 있어야 하거나, 구조자가 여러 번 입수하여 수상 익수자들을 구해야 하는 문제점 또한 존재하고 있다.
KR 10-0339056 B1 (2002.06.07)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육지와의 거리에 크게 구애받지 않고 원격지에서도 익수자에 대한 구조활동 진행 뿐만 아니라, 의식이 존재하지 않은 익수자에 대한 안전한 구조활동 및 다수의 익수자에 대한 구조활동을 진행할 수 있는 수상 구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상 구조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상 구조 장치는, 내부에 소정의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수면에 부유하도록 구비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와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추진부; 상기 몸체부에 결합되며, 외력을 인가받아 외력 감지 신호를 생성하는 감지부; 상기 몸체부에 내장되며, 상기 감지부와 통신 연결되어 상기 외력 감지 신호를 제공받도록 마련되고, 상기 외력 감지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추진부를 구동시키는 추진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추진부는, 상기 몸체부의 양 측단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몸체부는, 양 측단부가 동일한 방향을 향해 연장 형성되는 형상을 보유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감지부는, 상기 몸체부의 양 측단부에 각각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1 감지부; 상기 몸체부의 양 측단부 사이의 구역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2 감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에서 생성하는 외력 감지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추진 신호를 생성할 때, 기 설정된 기준 압력값 이상의 외력을 나타내는 외력 감지 신호를 수신받았을 때에 한해, 상기 추진부를 제어하는 추진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감지부를 통해 생성된 외력 감지 신호가 나타내는 외력이, 상기 제 1 감지부를 통해 생성된 외력 감지 신호가 나타내는 외력을 초과하는 경우에 상기 추진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추진부를 가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수상 구조 장치는, 상기 몸체부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수상 구조 장치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의 익수자를 향해 발사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구명 유닛을 포함하는 팽창 구명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팽창 구명부는, 기 설정된 기준치를 넘어서는 수압이 가해지는 경우, 부피가 팽창되도록 구비되는 구명 유닛; 및 상기 몸체부 내부에 수용되며, 팽창되지 않은 상태의 상기 구명 유닛을 특정 방향으로 격발시키도록 구비되는 격발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수상 구조 장치는, 외부로부터 임의의 위치 좌표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를 입력받도록 마련되면서, 상기 몸체부에 수용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추진부를 제어하는 추진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상 구조 시스템은, 구조 대상자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인 구조 위치 정보를 생성하도록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상 구조 장치; 상기 수상 구조 장치와 유무선 통신 가능하도록 마련되면서, 임의의 위치 좌표를 나타내는 정보인 위치 정보 및 상기 수상 구조 장치의 구동 제어를 진행하는 제어 정보 중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를 입력받도록 마련되면서, 상기 구조 위치 정보를 수집하도록 구비되는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위치 정보를 수집하도록 구비되는 서비스 서버; 상기 서비스 서버와 통신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위치 정보를 수집하도록 구축되면서, 구조 대상자를 구조하기 위한 구조 기관에 구축되는 구조 기관 서비스 서버; 상기 구조 기관 서비스 서버와 통신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위치 정보를 출력하도록 마련되는 구조 기관 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 정보는, 상기 구조 위치 정보; 상기 수상 구조 장치의 목적 지점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인 목적 지점 위치 정보; 및 상기 수상 구조 장치의 복귀 지점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인 복귀 지점 위치 정보; 중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수상 구조 장치는, 상기 수상 구조 장치를 구성하는 추진부가 최초 가동된 시간을 나타내는 정보인 출동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서비스 서버 측으로 제공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출동 정보 및 상기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위치 정보가 나타내는 위치와 가장 근접한 위치에 있는 최근접 구조 기관을 탐색한 이후, 상기 최근접 구조 기관에 구축되는 구조 기관 서비스 서버 측으로 구조 요청을 진행하는 정보인 구조 요청 정보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상 구조 장치는, 외력 감지 신호를 기반으로 추진부를 구동 시킬 수 있도록 하여, 보다 간편한 추진 제어를 진행할 수 있어, 사용자가 익수자를 구조한 상태에서도 간편한 제어를 진행할 수 있음에 따라 현저히 향상된 사용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상 구조 장치는, 서로 다른 구역에 독립적으로 형성되는 감지부들을 통해, 사용자의 단독 운행 및 익수자를 구조한 상태를 직관적으로 판단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음에 따라, 보다 명확한 구조 상태 판단 및 현저히 향상된 작동 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상 구조 장치는, 기준 압력값 이상의 외력을 감지하였을 때, 추진 신호를 생성하여 추진부를 가동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상 구조 장치의 구동 안정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상 구조 장치는, 기준 압력값 이상의 외력을 감지하였을 때, 추진 신호를 생성하여 추진부를 가동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상 구조 장치의 구동 안정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상 구조 장치는, 사용자 단독으로 수상 구조 장치를 사용 중인 경우와, 사용자와 익수자가 동시에 사용 중인 경우를 외력 감지 신호 기반으로 구분할 수 있어 보다 명확한 구조 상태 확인 및 이를 기반으로 추진부를 가동시킬 수 있어 보다 안정적인 구조활동을 진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상 구조 장치는, 팽창 구명부를 통해, 다수의 익수자에 대한 구조활동을 진행할 수 있어, 구조 효율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상 구조 장치는, 격발 유닛을 통해, 구명 유닛을 원거리를 향해 발사 시킬 수 있도록 운용할 수 있어, 원거리에 있는 익수자에 대한 구조활동을 보다 신속하게 진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상 구조 장치는, 통신부를 통해 외부와의 통신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원격지에서도 수상 구조 장치의 이동 위치를 설정할 수 있어, 보다 정확한 위치에 수상 구조 장치가 신속하게 도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구조 성공률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상 구조 시스템은, 수상 구조 장치를 통한 초동 조치 이후, 외부 구조 기관과의 통신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보다 신속한 후속 조치를 진행할 수 있어, 신속한 구조 활동을 진행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상 구조 시스템은, 수상 구조 장치의 출동 정보와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가장 가까운 거리에 위치하는 최근접 구조 기관으로 출동 요청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신속한 후속 조치를 진행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상 구조 장치를 도시한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상 구조 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상 구조 장치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사용 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상 구조 장치를 구성하는 팽창 구명부를 도시한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상 구조 장치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사용 상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상 구조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이외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상 구조 장치를 도시한 부분 분해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상 구조 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상 구조 장치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사용 상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상 구조 장치를 구성하는 팽창 구명부를 도시한 부분 확대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상 구조 장치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사용 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상 구조 장치는, 몸체부(100), 추진부(200), 감지부(300), 제어부(400), 통신부(500) 및 팽창 구명부(60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상기 몸체부(100)는 내부에 소정의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수면에 부유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몸체부(100)는, 양 측단부가 동일한 방향을 향해 연장 형성되는 형상을 보유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추진부(200)는, 상기 수상 구조 장치의 추진력을 제공하기 위해 구비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추진부(200)는 상기 몸체부(100)와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이 마련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추진부(200)는, 상기 몸체부(100)의 양 측단에 구비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감지부(300)는 상기 몸체부에 형성되며, 외부로부터 외력을 인가받아 외력 감지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비된다.
특히, 외력 감지 신호를 기반으로 추진부를 구동시킬 수 있도록 하여, 보다 간편한 추진 제어를 진행할 수 있어, 사용자(P1)가 익수자(P2)를 구조한 상태에서도 간편한 제어를 진행할 수 있음에 따라 현저히 향상된 사용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감지부(300)는 제 1 감지부(310) 및 제 2 감지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상기 제 1 감지부(310)는 상기 몸체부(100)의 양 측단부에 각각 형성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덧붙여, 상기 제 1 감지부(310)는 상기 사용자(P1)가 익수자(P2)를 향해 신속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사용자가 몸체부(100) 양 측단을 파지한 상태로 이동할 수 있게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몸체부(100)의 양 측단부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 1 감지부(310)는 상기 추진부(200)와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구비되면서, 상기 추진부(200) 전단에 구비되어 상기 추진부(200)에 사용자가 외력을 가하더라도 작동이 진행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상기 추진부(200)의 가동에 의한 상기 익수자(P2)에 대한 직접 구조를 진행하는 사용자(P1) 또는 익수자(P2)에 대한 안전사고를 최소화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감지부(320)는 상기 몸체부의 양 측단부 사이의 구역에 형성되면서,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는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 1 감지부(310)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2 감지부(320)는 사용자(P1)가 익수자(P2)를 구조한 상태로 상기 수상 구조 장치의 추진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상기 수상 구조 장치의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 상기 몸체부(100)의 양 측단에 형성되는 추진부(200)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술한 위치에 형성되는 제 2 감지부(320)를 파지하여 상기 수상 구조 장치의 추진을 진행할 수 있어, 보다 안정적인 추진 제어를 진행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제 1 감지부(310)에서 외력을 감지하여 외력 인가 신호를 생성하는 상기 외력의 기준값과 상기 제 2 감지부(320)에서 외력을 감지하여 외력 인가 신호를 생성하는 상기 외력의 기준값은 서로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수상 구조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각종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구비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몸체부(100)에 내장되며, 상기 감지부와 통신 연결되어 상기 외력 감지 신호를 제공받도록 마련되고, 상기 외력 감지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추진부를 구동시키는 추진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비된다.
특히,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감지부(300)에서 생성하는 외력 감지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추진 신호를 생성할 때, 기 설정된 기준 압력값 이상의 외력을 나타내는 외력 감지 신호를 수신받았을 때에 한해, 상기 추진부를 제어하는 추진 신호를 생성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제 2 감지부(320)를 통해 생성된 외력 감지 신호가 나타내는 외력이, 상기 제 1 감지부(310)를 통해 생성된 외력 감지 신호가 나타내는 외력을 초과하는 경우에 상기 추진 신호를 생성하게 된다.
즉, 사용자 단독으로 수상 구조 장치를 사용 중인 경우와, 사용자(P1)와 익수자(P2)가 동시에 사용 중인 경우를 외력 감지 신호 기반으로 구분할 수 있어 보다 명확한 구조 상태 확인 및 이를 기반으로 추진부를 가동시킬 수 있어 보다 안정적인 구조활동을 진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통신부(500)는 외부로부터 임의의 위치 좌표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를 입력받도록 마련되면서, 상기 몸체부에 수용되도록 마련되며, 상기 위치 정보의 입력을 위해, 별도의 사용자 단말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상기 익수자(P2)에 대한 직접 구조를 진행하는 사용자(P1)가 아닌 육상에 있는 다른 사용자(미도시)가 상기 수상 구조 장치에 대한 원격 조정을 진행할 수 있다.
덧붙여, 상기 익수자(P2)에 대한 직접 구조를 진행하지 않고도, 원격지에서도 상기 수상 구조 장치의 추진 제어를 진행할 수 있도록 하여, 의식이 존재하는 익수자(P2)에 대한 구조를 신속하게 진행할 수 있다.
특히, 상기 통신부(500)를 통해 외부와의 통신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원격지에서도 수상 구조 장치의 이동 위치를 설정할 수 있어, 보다 정확한 위치에 수상 구조 장치가 신속하게 도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구조 성공률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추진부를 제어하는 추진 신호를 생성하도록 마련된다.
특히, 상기 위치 정보는, 상기 수상 구조 장치의 목적 지점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인 목적 지점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팽창 구명부(600)는 상기 수상 구조 장치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있는 다수의 익수자를 동시에 구조하기 위해 구비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팽창 구명부(600)는 구명 유닛(610), 격발 유닛(620) 및 커버 부재(63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명 유닛(61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부 내부에 교체 가능하도록 수용되며, 상기 수상 구조 장치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의 익수자를 향해 발사 가능하도록 마련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구명 유닛(610)은 설정된 기준치를 넘어서는 수압이 가해지는 경우, 부피가 팽창되도록 구비되어 수면에 부유할 수 있도록 마련되며, 상기 구명 유닛(610)의 신속한 부피 팽창을 진행하기 위해, CO2 카트리지가 내장될 수 있으며, 팽창된 상태의 상기 구명 유닛(610)을 통해 익수자가 상기 구명 유닛을 파지한 상태로 구조를 대기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격발 유닛(620)은 상기 몸체부(100) 내부에 수용되며, 팽창되지 않은 상태의 상기 구명 유닛을 특정 방향으로 격발시키도록 마련된다.
덧붙여, 커버 부재(630)는 상기 팽창 구명부(600)는 상기 구명 유닛(610)의 외부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커버 부재(630)는 상기 몸체부(100)에 힌지 결합되어 별도의 동력 수단을 이용하여 전동 개폐되도록 구동될 수 있으며, 상기 동력 수단의 오작동 시 수동으로 개폐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상술한 상기 팽창 구명부(600)를 통해, 다수의 익수자에 대한 구조활동을 진행할 수 있어, 구조 효율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상 구조 시스템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상 구조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상 구조 시스템은, 수상 구조 장치(1000), 사용자 단말기(2000), 서비스 서버(3000), 구조 기관 서비스 서버(4000) 및 구조 기관 단말기(500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상기 수상 구조 장치(1000)는 구조 대상자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인 구조 위치 정보를 생성하도록 마련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이 마련될 수 있으며,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상 구조 장치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0)는 상기 수상 구조 장치(1000)와 유무선 통신 가능하도록 마련된다.
특히,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0)는 임의의 위치 좌표를 나타내는 정보인 위치 정보 및 상기 수상 구조 장치의 구동 제어를 진행하는 제어 정보 중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를 입력받도록 마련되면서, 상기 구조 위치 정보를 수집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덧붙여, 상기 위치 정보는, 상기 구조 위치 정보 뿐만 아니라, 상기 수상 구조 장치의 목적 지점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인 목적 지점 위치 정보 및 상기 수상 구조 장치의 복귀 지점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인 복귀 지점 위치 정보 중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비스 서버(3000)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0)와 통신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0)로부터 상기 위치 정보를 수집하도록 구비된다.
다음으로, 상기 구조 기관 서비스 서버(4000)는, 상기 서비스 서버(3000)와 통신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서비스 서버(3000)를 통해 수집된 상기 위치 정보를 수집하도록 구축된다.
이때, 상기 구조 기관 서비스 서버(4000)는 해양 경찰, 소방서 등과 같은 구조 대상자를 구조하기 위한 구조 기관에 구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조 기관 단말기(5000)는 상기 구조 기관 서비스 서버(4000)와 통신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특히, 상기 구조 기관 단말기(500)는 상기 구조 기관 서비스(4000)에서 수집된 상기 위치 정보를 제공받아 출력하도록 마련된다.
아울러, 상기 수상 구조 장치(1000)는, 상기 수상 구조 장치를 구성하는 추진부가 최초 가동된 시간을 나타내는 정보인 출동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서비스 서버 측으로 제공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서비스 서버(3000)는, 상기 출동 정보 및 상기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위치 정보가 나타내는 위치와 가장 근접한 위치에 있는 최근접 구조 기관을 탐색하도록 구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서비스 서버(3000)는 상기 최근접 구조 기관에 구축되는 구조 기관 서비스 서버(4000) 측으로 구조 요청을 진행하는 정보인 구조 요청 정보를 생성하여 전송하여 신속한 출동 요청을 진행할 수 있다.
즉, 수상 구조 장치를 통한 초동 조치 이후, 외부 구조 기관과의 통신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보다 신속한 후속 조치를 진행할 수 있어, 신속한 구조 활동을 진행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덧붙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상 구조 시스템은, 수상 구조 장치의 출동 정보와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가장 가까운 거리에 위치하는 최근접 구조 기관으로 출동 요청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신속한 후속 조치를 진행할 수 있는 효과 또한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상 구조 시스템을 구성하는 사용자 단말기와 구조 기관 단말기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상 구조 시스템을 구성하는 사용자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먼저,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0)와 상기 구조 기관 단말기는 서로 동일한 구성을 취하고 있음에 따라 발명의 간결한 기재를 위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0)를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상 구조 시스템을 구성하는 사용자 단말기(2000)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0)는 입력부와, 센싱부와, 무선통신부와, 출력부와, 메모리부와, 인터페이스부와, 전원공급부와,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구성요소 모두가 필수 구성요소인 것은 아니며, 상술한 구성요소보다 많은 구성요소에 의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0)들이 구현될 수도 있고,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에 의해서도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0)들이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상기 입력부는 영상 신호 입력을 위한 카메라 또는 영상 입력부, 오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마이크로폰 또는 마이크(microphone) 또는 오디오 입력부,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예를 들어, 터치패드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에서 수집한 음성 데이터나 이미지 데이터는 분석되어 사용자의 제어명령으로 처리될 수 있다.
센싱부는 이동통신 단말기 내 정보, 이동통신 단말기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부는 근접센서(proximity sensor), 조도 센서(illumination sensor), 터치 센서(touch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자기 센서(magnetic sensor), 중력 센서(G-sensor), 자이로 센서(gyroscope sensor), 모션 센서(motion sensor), RGB 센서, 적외선 센서(IR 센서:infrared sensor), 지문인식 센서(finger scan sensor), 초음파 센서(ultrasonic sensor), 광 센서(optical sensor, 예를 들어, 카메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는 않으며, 사용자의 동작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라면 모두 적용 가능하다.
출력부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 음향 출력부, 햅틱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는 터치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스크린(touch screen)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스크린(touch screen)은, 사용자 단말기(2000)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부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사용자 단말기(2000)와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는 상술한 사용자 단말기(2000)에 연결되는 다양한 종류의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0)에서는, 상기 인터페이스부에 외부 기기가 연결되는 것에 대응하여, 연결된 외부 기기와 관련된 적절할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사용자 단말기(20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사용자 단말기(2000)의 기본적인 기능(예를 들어, 전화 착신, 발신 기능, 메시지 수신, 발신 기능)을 위하여 출고 당시부터 사용자 단말기(2000)상에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응용 프로그램은, 메모리부에 저장되고, 사용자 단말기(2000) 상에 설치되어, 제어부에 의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0)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제어부는 상기 서비스와 관련된 동작 외에도, 통상적으로 사용자 단말기(20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메모리부에 저장된 응용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메모리부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하여, 전술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는 상기 서비스의 구동을 위하여, 사용자 단말기(200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서로 조합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전원공급부는 제어부의 제어 하에서,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사용자 단말기(200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들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전원공급부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는 내장형 배터리 또는 교체가능한 형태의 배터리가 될 수 있다.
무선통신부는 사용자 단말기(2000)와 무선 통신 제공 플랫폼 간의 무선 통신 또는 사용자 단말기(2000)와 사용자 단말기(2000)가 위치한 네트웍간의 무선 통신을 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통신부는 이동통신 모듈, 근거리통신 모듈 및 위치정보 모듈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통신 모듈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에서,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신호, 화상 통화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근거리통신 모듈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위치정보 모듈은, 사용자 단말기(2000)의 위치(또는 현재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써,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 또는 WiFi(Wireless Fidelity) 모듈이 있다.
덧붙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0)는 휴대폰, 스마트폰, 노트북 컴퓨터,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 태블릿 PC, 워치형 단말기, 글래스형 단말기(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덧붙여, 상기 구조 기관 단말기의 경우, 도면에는 특별히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동일한 구성을 보유하고 있음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위주로 설명하여, 발명의 설명의 간결한 기재를 위해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상 구조 시스템을 구성하는 서비스 서버와 구조 기관 서비스 서버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먼저, 상기 서비스 서버(3000)와 상기 구조 기관 서비스 서버(4000)는 서로 동일한 구성을 취하고 있음에 따라 발명의 간결한 기재를 위해, 상기 서비스 서버(3000)를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수상 구조 장치, 상기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구조 기관 서비스 서버 중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과 무선 통신하도록 구성된 이동 통신 모듈과, 상기 사용자 단말기들을 통해 취득되는 각종 정보들을 저장 및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서비스 서버(3000)를 거쳐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상술한 정보들을 제공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app)의 구동 및 실행을 담당하는 실행모듈과,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각종 정보를 분석하는 데이터 분석모듈과, 상기 정보의 누적 및 관리를 진행하는 관리모듈과, 전술한 구성요소들을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을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다양한 변형 또는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100 : 몸체부
200 : 추진부
300 : 감지부
310 : 제 1 감지부
320 : 제 2 감지부
400 : 제어부
500 : 통신부
600 : 팽창 구명부
1000 : 수상 구조 장치
2000 : 사용자 단말기
3000 : 서비스 서버
4000 : 구조 기관 서비스 서버
5000 : 구조 기관 단말기
P1 : 사용자
P2 : 익수자

Claims (10)

  1. 내부에 소정의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수면에 부유하도록 구비되며, 양 측단부가 동일한 방향을 향해 연장 형성되는 형상을 보유하도록 마련되는 몸체부(100);
    상기 몸체부의 양측단의 끝단부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추진부(200);
    상기 추진부로부터 전단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어 상기 몸체부의 양측단부에 각각 형성되고, 외력을 인가받아 외력 감지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제 1 감지부(310)를 갖고, 상기 제 1 감지부 사이에서 상기 몸체부 상에 형성되고, 상기 제 1 감지부 보다 높은 외력을 인가받아 외력 감지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제 2 감지부(320)을 갖는 감지부(300);
    상기 몸체부에 내장되며, 상기 감지부와 통신 연결되되, 상기 제 2 감지부를 통해 생성된 외력 감지 신호가 나타내는 외력이, 상기 제 1 감지부를 통해 생성된 외력 감지 신호가 나타내는 외력을 초과하는 경우에 추진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추진부를 가동시키는 제어부(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 구조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감지부에서 생성하는 외력 감지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추진 신호를 생성할 때, 기 설정된 기준 압력값 이상의 외력을 나타내는 외력 감지 신호를 수신받았을 때에 한해, 상기 추진부를 제어하는 추진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 구조 장치.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상 구조 장치는,
    상기 몸체부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수상 구조 장치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의 익수자를 향해 발사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구명 유닛을 포함하는 팽창 구명부(6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 구조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 구명부(600)는,
    기 설정된 기준치를 넘어서는 수압이 가해지는 경우, 부피가 팽창되도록 구비되는 구명 유닛(610); 및
    상기 몸체부 내부에 수용되며, 팽창되지 않은 상태의 상기 구명 유닛을 특정 방향으로 격발시키도록 구비되는 격발 유닛(6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 구조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상 구조 장치는,
    외부로부터 임의의 위치 좌표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를 입력받도록 마련되면서, 상기 몸체부에 수용되는 통신부(50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추진부를 제어하는 추진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 구조 장치.
  9. 구조 대상자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인 구조 위치 정보를 생성하도록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상 구조 장치(1000);
    상기 수상 구조 장치와 유무선 통신 가능하도록 마련되면서, 임의의 위치 좌표를 나타내는 정보인 위치 정보 및 상기 수상 구조 장치의 구동 제어를 진행하는 제어 정보 중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를 입력받도록 마련되면서, 상기 구조 위치 정보를 수집하도록 구비되는 사용자 단말기(2000);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위치 정보를 수집하도록 구비되는 서비스 서버(3000);
    상기 서비스 서버와 통신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위치 정보를 수집하도록 구축되면서, 구조 대상자를 구조하기 위한 구조 기관에 구축되는 구조 기관 서비스 서버(4000);
    상기 구조 기관 서비스 서버와 통신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위치 정보를 출력하도록 마련되는 구조 기관 단말기(5000);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 정보는 상기 구조 위치 정보; 상기 수상 구조 장치의 목적 지점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인 목적 지점 위치 정보; 및 상기 수상 구조 장치의 복귀 지점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인 복귀 지점 위치 정보; 중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수상 구조 장치(1000)는 상기 수상 구조 장치를 구성하는 추진부가 최초 가동된 시간을 나타내는 정보인 출동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서비스 서버 측으로 제공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서비스 서버(3000)는 상기 출동 정보 및 상기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위치 정보가 나타내는 위치와 가장 근접한 위치에 있는 최근접 구조 기관을 탐색한 이후, 상기 최근접 구조 기관에 구축되는 구조 기관 서비스 서버 측으로 구조 요청을 진행하는 정보인 구조 요청 정보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 구조 시스템.
  10. 삭제
KR1020220167474A 2022-12-05 2022-12-05 수상 구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상 구조 시스템 KR1025686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67474A KR102568689B1 (ko) 2022-12-05 2022-12-05 수상 구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상 구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67474A KR102568689B1 (ko) 2022-12-05 2022-12-05 수상 구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상 구조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8689B1 true KR102568689B1 (ko) 2023-08-18

Family

ID=878016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67474A KR102568689B1 (ko) 2022-12-05 2022-12-05 수상 구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상 구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868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9056B1 (ko) 2000-07-24 2002-06-07 조성우 무인 원격 구명선
KR200392304Y1 (ko) * 2005-05-27 2005-08-19 이동민 익수자 구조용 소형 무선조종보트
KR20150001199U (ko) * 2013-09-11 2015-03-20 박훈근 가스 팽창식 튜브가 구비된 무인 구명보트
KR101790080B1 (ko) * 2016-06-29 2017-10-26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물놀이용 안전 튜브장치
KR102081618B1 (ko) * 2018-09-21 2020-02-27 주식회사 엔젤몬스터즈 수상 인명 구조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9056B1 (ko) 2000-07-24 2002-06-07 조성우 무인 원격 구명선
KR200392304Y1 (ko) * 2005-05-27 2005-08-19 이동민 익수자 구조용 소형 무선조종보트
KR20150001199U (ko) * 2013-09-11 2015-03-20 박훈근 가스 팽창식 튜브가 구비된 무인 구명보트
KR101790080B1 (ko) * 2016-06-29 2017-10-26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물놀이용 안전 튜브장치
KR102081618B1 (ko) * 2018-09-21 2020-02-27 주식회사 엔젤몬스터즈 수상 인명 구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30058B2 (en) Visual-assist robots
KR101061443B1 (ko) 전자 기기,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기능 수행 방법
US20170038792A1 (en) Modular smart necklace
CA3083733C (en) Methods and systems for evaluating compliance of communication of a dispatcher
KR101941904B1 (ko) 다기능 스마트 헬멧
US9640199B2 (en) Location tracking from natural speech
CN106781261A (zh) 一种旅游用综合定位呼救系统
KR20200030917A (ko) 지오펜스와 인공 지능을 활용한 해상 인명 구조 시스템 및 그의 처리 방법
JP6671078B2 (ja) 移動体
Ţepelea et al. Smartphone application to assist visually impaired people
KR102568689B1 (ko) 수상 구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상 구조 시스템
KR20050049455A (ko) 조난신호 송출장치
US20210118276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terminal device, method for controlling terminal device, and control program
KR102050674B1 (ko) 구조 골든타임 최단화를 위한 3s 플랫폼 시스템
CN108769424B (zh) 终端落水保护方法、装置、存储介质及移动终端
KR20180010637A (ko) 재난 구조 장치
US11087613B2 (en) System and method of communicating an emergency event
CN218122970U (zh) 一种云端讲解器
CN107025758A (zh) 一种儿童安全监护系统及使用方法
KR102506972B1 (ko) 교통 시설물 위치 알림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교통 시설물 위치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TWM444463U (zh) 可用於野外求生之照明裝置
KR200394768Y1 (ko) 조난신호 송출장치
KR102421245B1 (ko) 조난자 상태 모니터링을 위한 인명구조용 키트
KR20200102172A (ko) 지오펜스와 인공 지능을 활용한 해상 인명 구조 시스템
KR102448955B1 (ko) 해상인명구조용 무선 경보신호기 및 이를 이용한 해상인명구조 경보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