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11500A - 긴급상황 시 구조요청시스템 - Google Patents

긴급상황 시 구조요청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11500A
KR20170011500A KR1020150104213A KR20150104213A KR20170011500A KR 20170011500 A KR20170011500 A KR 20170011500A KR 1020150104213 A KR1020150104213 A KR 1020150104213A KR 20150104213 A KR20150104213 A KR 20150104213A KR 20170011500 A KR20170011500 A KR 201700115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signal
data
structure request
wireless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42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백산
최윤호
정우석
채용두
이종영
Original Assignee
(주)사이버텔브릿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사이버텔브릿지 filed Critical (주)사이버텔브릿지
Priority to KR10201501042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11500A/ko
Publication of KR201700115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150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016Personal emergency signalling and security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3/00Non-electrical signal transmission systems, e.g. optical systems
    • G08C23/02Non-electrical signal transmission systems, e.g. optical systems using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wav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3/00Non-electrical signal transmission systems, e.g. optical systems
    • G08C23/04Non-electrical signal transmission systems, e.g. optical systems using light waves, e.g. infrare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긴급상황 시 구조요청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조요청시스템은, 사용자 또는 외부로부터 특정한 입력신호를 수신하는 구조요청입력수신부; 상기 입력신호를 분석하여 구조요청신호 발신여부를 결정하는 제어부; 및 외부로 특정한 구조요청방식의 상기 구조요청신호를 발신하는 구조요청신호발생부;를 포함하며, 상기 구조요청방식은, 무선통신신호를 발신하는 방식, 특정한 광신호를 출력하는 방식, 특정한 주파수를 가지는 음파 출력 방식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재난상황에 처한 사용자가 외부로 적절한 구조요청신호를 발신할 수 있어서, 재난 사고 시의 사람들의 생존율을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긴급상황 시 구조요청시스템 {SYSTEM FOR RESCUE REQUEST}
본 발명은 긴급상황 시 구조요청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재난상황 내 이동단말기 사용자의 구조 가능성을 높일 수 있도록 적절한 구조요청을 수행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다양한 재난상황이 발생하고 있다. 지진, 태풍과 같은 자연재해에 의한 재난상황도 발생하지만, 건물붕괴, 배 침몰 등과 같은 부주의, 부실공사 등에 의한 재난상황도 다수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재난상황이 발생한 경우, 사고 현장 내에 있는 사람 중에서 거동이 가능한 사람들은 보유한 스마트폰 등의 이동단말기로 경찰, 소방대원에게 구조요청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재난상황에 처한 사람이 자연 재해, 추락, 낙사, 매몰 등에 의하여 거동을 할 수 없는 상황인 경우, 직접 이동단말기를 이용하여 신고를 수행하기 어려울 수 있다. 또한, 이동단말기의 일반적인 통신방식(예를 들어, 전화통화, 무선인터넷을 통한 데이터전송)을 이용한 구조요청은 통신 설비가 온전한 지역에서만 가능한 문제가 있다.
따라서,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사용자가 처한 재난상황에 적합한 구조요청신호를 외부로 발신하여, 구조 가능성 및 생존율을 높일 수 있는 구조요청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조요청시스템은, 사용자 또는 외부로부터 특정한 입력신호를 수신하는 구조요청입력수신부; 상기 입력신호를 분석하여 구조요청신호 발신여부를 결정하는 제어부; 및 외부로 특정한 구조요청방식의 상기 구조요청신호를 발신하는 구조요청신호발생부;를 포함하며, 상기 구조요청방식은, 무선통신신호를 발신하는 방식, 특정한 광신호를 출력하는 방식, 특정한 주파수를 가지는 음파 출력 방식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다.
또한, 상기 구조요청입력수신부는, 사용자센싱데이터 또는 외부센싱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센싱데이터 또는 상기 외부센싱데이터를 바탕으로 사용자의 긴급상황 유형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센싱데이터는, 사용자 생체신호데이터 또는 사용자음성데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외부센싱데이터는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외부광데이터, 외부음향데이터, 외부온도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센싱데이터를 분석하여 사용자가 긴급상황인지 여부를 인식한 후, 상기 외부센싱데이터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긴급상황 유형을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전원상태를 측정하여 구조요청발생신호의 출력주기 또는 출력시간간격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전원상태는, 전원 잔존용량 또는 전원 가용시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에게 발생한 상기 긴급상황의 유형을 판단하고, 판단된 상기 긴급상황에 따른 사용자의 생존가능시간을 산출하며, 상기 산출된 전원상태, 상기 생존가능시간 및 상기 긴급상황 유형을 반영하여 상기 구조요청방식의 유형 및 설정사항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조요청신호발생부는, 상기 구조요청방식으로 음파출력방식을 적용하는 경우, 특정한 범위의 고주파수의 초음파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조요청신호발생부는, 상기 구조요청방식으로 광신호 출력방식을 적용하는 경우, 사용자의 주변상황이 특정한 밝기 이하이면, 설정된 주기를 바탕으로 특정한 밝기의 광신호를 구조요청신호로 발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조요청방식으로 상기 무선통신신호 발신방식을 적용하는 경우, 상기 무선통신신호 내에 상황관련데이터를 포함하여 전송하며, 상기 상황관련데이터는, 사용자의 긴급상황발생시점데이터 및 전원상태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조요청방식으로 상기 무선통신신호 발신방식을 적용하는 경우, 상기 무선통신신호 내에 신호수신결과의 송신을 요청하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조요청방식으로 상기 무선통신신호 발신방식을 적용하는 경우, 상기 무선통신신호 내에 발신신호세기데이터를 포함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발신신호세기데이터는 구조인원의 단말기에 의해 수신되어, 측정된 신호세기와 비교하여 떨어진 거리 산출에 이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아래와 같은 다양한 효과들을 가진다.
첫째, 재난상황에 처한 사용자가 외부로 적절한 구조요청신호를 발신할 수 있어서, 재난 사고 시의 사람들의 생존율을 높일 수 있다.
둘째, 사용자가 구조요청을 위한 입력조작을 하지 못하는 상황에서도 구조요청시스템이 사용자상태 또는 주변상황상태를 측정하여 자동으로 구조요청신호를 발신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재난 사고 시에 정신을 잃거나 힘이 빠져서 구조요청을 수행하지 못하는 사람들도 구조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셋째, 구조요청시스템은 사용자가 처한 상황에 가장 부합하는 구조요청방식을 자동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재난 상황 내 사용자의 생존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
넷째, 구조요청시스템이 사용자가 생존 가능한 기간동안 구조요청신호를 발신할 수 있도록 전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섯째, 무선통신신호로 구조요청을 수행하는 경우, 사용자의 구조에 필요한 데이터(예를 들어, 사용자의 생존가능기간, 주변상황데이터, 사용자의 상태데이터 등)를 무선통신신호 내에 포함하여 전송함에 따라 사용자의 생존 확률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조요청시스템의 내부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화재건물 내 사용자의 구조요청시스템이 무선통신신호를 발신하는 예시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구조요청시스템은 이동 단말기 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사용자가 휴대하여 이동하면서 사용할 수 있는 단말기를 말한다. 상기 이동단말기(100)는 일상생활에서 사용되는 스마트폰 등의 일반 이동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고, 무전기(예를 들어, PTT(Push to Talk)서비스 단말기)와 같은 특수 이동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이동 단말기는 셀룰러폰(Cellular phone), 피씨에스폰(PCS phone; 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 phone), 동기식/비동기식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의 이동 단말기, 팜 PC(Palm Personal Computer), 개인용 디지털 보조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폰(Smart phone), 모바일 게임기, 태블릿 PC, PTT(Push to Talk) 단말기 등의 사용자가 이동하면서 사용할 수 있는 단말기는 모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구조요청시스템이 일반 이동단말기 내에서 사용되는 경우, 상기 구조요청시스템은 일반 이동단말기에 설치되는 프로그램에 의해 일반 이동단말기 내의 구성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조요청시스템은, 일반 이동단말기의 구성과 이동단말기에 결합되는 별도 단말기의 구성에 의해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일반 이동단말기, 특수 이동단말기뿐만 아니라, 일반 이동단말기에 별도 단말기가 결합된 형태도 이동 단말기로 표현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구조요청시스템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조요청시스템(100)의 내부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조요청시스템(100)은, 구조요청입력수신부(110); 제어부(120); 및 구조요청신호발생부(130);를 포함한다.
구조요청입력수신부(110)는 사용자 또는 외부로부터 특정한 입력신호를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입력신호는 사용자입력데이터, 사용자센싱데이터, 외부센싱데이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입력데이터는 사용자조작모듈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 데이터일 수 있다. 사용자조작모듈은 사용자가 구조요청시스템(100)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킬 수 있다. 사용자조작모듈은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구조요청시스템(100)은 사용자로부터 특정한 사용자조작모듈을 통해 구조요청신호의 발신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긴급상황(예를 들어, 붕괴된 건물 내에 갇힌 상황 등)에서 상기 구조요청시스템(100)의 이동단말기에 구비된 특정한 버튼을 선택함에 따라 구조요청신호를 발신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센싱데이터는 사용자를 통해 센싱될 수 있는 데이터를 의미한다. 사용자센싱데이터는 사용자생체신호데이터, 사용자음성데이터, 사용자움직임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생체데이터는 사용자의 신체를 통해 측정될 수 있는 다양한 데이터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생체데이터는 사용자의 심박수, 심전도, 피부온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움직임데이터는 단말기의 위치상태 또는 움직임을 통해 파악되는 사용자의 움직임에 대한 정보를 의미한다.
일실시예에서, 사용자생체신호데이터 또는 사용자움직임데이터는 구조요청시스템(100) 내의 센서모듈에 의해서 측정될 수 있다. 센서모듈은 모션 센서, 심박검출센서, 피부온도센서, 심전도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모션 센서는 가속도센서, 자이로센서, 지자기센서 등의 센서 중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이를 이용하여 단말기의 위치나 움직임 등을 감지한다. 모션 센서에 사용될 수 있는 가속도센서는 어느 한 방향의 가속도 변화에 대해서 이를 전기 신호로 바꾸어 주는 소자로서, MEMS(micro-electromechanical systems) 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가속도센서는 중력가속도의 변화를 인식하는 중력센서를 포함한다. 또한, 자이로센서는 각속도를 측정하는 센서로서, 기준 방향에 대해 돌아간 방향을 감지할 수 있다.
모션센서는 사용자의 움직임을 측정하여 사용자의 움직임을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조요청시스템(100)은 모션센서를 통해 특정한 사고현장 내의 단말기를 지니고 있는 사용자가 특정시간 이상 움직이지 않음을 측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후술하는 제어부(120)는 사용자의 현재상태를 예상할 수 있다.
센서모듈은 심박수, 심전도, 피부온도 등을 측정하여 사용자의 현재상태를 측정할 수 있다. 심박검출센서는 감성신호를 수집하기 위해 심장 박동에 의한 혈관 굵기의 변화에 따른 광혈류량의 변화를 측정한다. 피부 온도 센서는 온도 변화에 반응하여 저항값이 변화하는 것에 따라 피부 온도를 측정한다. 센서모듈에 의해 측정되는 데이터는 사용자의 현재상태의 측정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예상 생존기간의 산출에도 이용될 수 있다. 다만, 사용자생체신호데이터를 측정하는 센서모듈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사용자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다양한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음성데이터는 마이크 등의 음성입력모듈을 통해 수신되는 사용자의 음성을 의미한다. 사용자음성데이터는 사용자의 상태 파악에 이용될 수 있다. 일실시예로, 사용자가 긴급상황에서 외치는 음성의 의미를 파악하여 사용자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조요청시스템(100)은 사용자가 "살려주세요!"라고 외치는 음성을 수신할 수 있고, 제어부(120)를 통해 음성의 의미를 인식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일실시예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조요청시스템(100)은 음성입력모듈을 통해 획득된 음성의 파형을 분석하여 사용자의 상태를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조요청시스템(100)은 사용자가 말하는 음성에서 불안감이 나타나는 파형이 나타나면, 사용자가 현재 사고상황에 처해있음을 인식할 수 있다.
상기 외부센싱데이터는 구조요청시스템(100)이 외부로부터 수신하는 데이터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상기 외부센싱데이터는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외부광데이터, 외부음향데이터, 외부온도데이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부센싱데이터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조요청시스템(100) 내의 다양한 구성에 의해 획득될 수 있다.
상기 외부광데이터는 카메라 또는 조도센서에 의해 획득될 수 있다. 외부광데이터는 사용자가 처한 공간의 밝기에 해당하여, 사용자가 처한 상황(예를 들어, 붕괴된 건물 잔해 내에 갇힌 상황 또는 납치되어 암실에 감금된 상황 등)의 판단에 활용될 수 있으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광신호를 구조요청신호로 사용하는 경우에 출력할 광신호의 밝기 또는 세기를 결정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상기 외부음향데이터는 마이크를 통해 획득되는 음향에 해당할 수 있으며, 구조요청시스템(100)은 이를 활용하여 주변상황을 예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변의 음향이 울리는 경우, 구조요청시스템(100)의 제어부(120)는 사용자가 밀폐된 공간 내에 갇혀 있음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외부음향데이터로 불타는 소리를 획득하는 경우, 구조요청시스템(100)의 제어부(120)는 화재상황에 사용자가 처해 있음을 인식할 수 있다.
상기 외부온도데이터는 상기 구조요청시스템(100)(즉, 이동단말기) 주변의 온도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구조요청시스템(100)은 외부온도데이터 측정을 위해 온도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외부온도데이터는 온도를 통해 파악할 수 있는 긴급상황(예를 들어, 화재상황, 냉동고 내에 갇힌 상황 등)을 인식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온도센서에 의해 측정된 온도가 특정 온도 이상인 경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조요청시스템(100)은 사용자가 화재상황에 처해있음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조요청입력수신부(110)는 후술하는 무선통신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 무선통신모듈은 사용자의 긴급상황에서 무선통신망의 상태를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통신모듈은 구조요청시스템(100)이 연결될 수 있는 무선통신망이 존재하는지 탐색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일실시예로, 무선통신모듈은 사용자가 위치하였던 최종 위치정보(예를 들어, 재난상황인 건물 붕괴가 발생하기 전에 사용자가 위치하였던 건물 내 위치)를 측정할 수 있다. 사용자의 최종위치정보는 구조요청시스템(100)의 구조요청방식을 결정하는데 반영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상기 입력신호를 분석하여 구조요청신호 발신여부를 결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일실시예로, 제어부(120)는, 사용자조작모듈을 통해 구조요청신호의 발신을 요청하는 사용자입력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 구조요청신호발신부에 구조요청신호 발신을 요청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일실시예로, 제어부(120)는 획득된 사용자센싱데이터 또는 외부센싱데이터를 분석하여 사용자가 긴급 또는 위급한 상황에 처해 있는지 여부를 인식할 수 있고, 긴급 또는 위급 상황이면 구조요청신호발신부로 구조요청신호 발신을 요청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긴급한 사고상황에서 구조요청시스템(100)을 포함하는 이동단말기를 놓치는 경우나 정신을 잃어서 구조요청시스템(100)을 조작할 수 없는 경우에도 측정된 센싱데이터를 바탕으로 구조요청신호를 발신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사용자센싱데이터 또는 외부센싱데이터를 바탕으로 사용자의 긴급상황 유형을 산출할 수 있다. 즉, 제어부(120)는 사용자센싱데이터 또는 외부센싱데이터에 포함된 다수의 데이터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사용자가 어떠한 긴급상황에 처해있는지 파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조요청시스템(100)은 각 긴급상황 별로 특정한 센싱데이터가 수신되는 종류 또는 수치를 미리 설정할 수 있고, 제어부(120)는 하나 이상의 획득된 센싱데이터의 종류, 수치를 바탕으로 대응되는 긴급상황을 탐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20)는, 특정 수치 이상의 외부온도데이터, 특정한 수치 이상의 피부온도데이터, 특정한 밝기 이상의 외부광데이터가 수신되면, 사용자가 긴급상황 유형 중에서 화재상황에 처해있음을 인식할 수 있다.
다른 일실시예로, 제어부(120)는 사용자센싱데이터와 외부센싱데이터를 종합적으로 판단하는 대신 역할을 구별하여 활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20)는 사용자센싱데이터를 긴급상황에 해당하는지 인식하기 위해 사용자의 상태 측정에 이용할 수 있고, 사용자가 긴급상황인 것으로 판단되면 사용자가 처한 긴급상황의 유형을 인식하기 위해 외부센싱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구조요청시스템(100) 내의 전원상태를 측정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구조요청시스템(100)은 사용자가 구조될 때까지 구조요청신호를 발신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구조요청시스템(100)은 불필요한 전원소비를 줄이고, 전원을 효율적으로 분배하여 사용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120)는 전원공급부 내의 전원상태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전원상태는, 전원 잔존용량 또는 전원 가용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제어부(120)는 구조요청시스템(100)의 전원상태를 바탕으로 구조요청발생신호의 출력주기 또는 출력시간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일실시예로, 제어부(12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특정한 구조요청방식 또는 센싱데이터를 바탕으로 결정된 구조요청방식에 따라 전원 잔존용량의 사용 방안을 자동으로 설정할 수 있다. 즉, 제어부(120)는, 특정한 전원잔존용량이 남아 있는 경우, 특정한 구조요청방식의 조건에 따른 신호 출력주기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후술하는 바와 같이 구조요청신호로 광신호를 출력하는 경우, 제어부(120)는 주변의 밝기에 부합하게 특정한 광신호 세기 또는 밝기를 설정할 수 있고, 상기 광신호 세기 또는 밝기로 광신호를 1회 출력시 소비되는 전력량을 바탕으로 사용자가 생존 상태로 구조될 수 있는 기간동안 구조요청신호를 출력할 수 있는 신호발생주기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사용자가 처한 긴급상황에 따른 사용자의 생존가능기간을 산출할 수 있다. 즉, 제어부(120)는 상기 획득된 사용자센싱데이터 또는 외부센싱데이터를 바탕으로 사용자가 처한 긴급상황(예를 들어, 재난상황)의 유형을 판단할 수 있고, 판단된 유형의 재난상황에서 사용자가 생존할 수 있는 기간을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조요청시스템(100)이 사용자가 붕괴건물 잔해 내에 갇힌 것으로 재난상황을 인식하는 경우, 제어부(120)는 사용자의 신체상태 조건 또는 주변환경상태 조건에 부합하는 사용자가 생존할 수 있는 기간을 산출할 수 있다.
사용자의 생존가능기간은, 구조요청신호를 발신하는 최대기간으로 활용될 수 있다. 구조요청시스템(100)은 사용자가 생존할 수 있는 기간동안 계속해서 구조요청신호를 발신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120)는 상기 산출된 생존가능기간을 구조요청시스템(100)이 전원 분배를 하여 구조요청신호를 발신하여야 하는 최대기간(즉, 신호발신최대기간)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생존가능시간을 산출하여 상기 신호발신최대기간을 결정하는 경우, 제어부(120)는 상기 산출된 전원상태, 상기 생존가능시간 및 상기 긴급상황 유형을 반영하여 상기 구조요청방식의 유형 및 설정사항을 결정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조요청시스템(100)은 현재 전원상태, 긴급상황 유형, 사용자의 긴급상황 유형 내 생존가능기간 등에 따라 상이한 구조요청방식이 이용될 필요가 있으며, 동일한 구조요청방식 내에서도 상이한 설정조건이 적용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동일한 긴급상황 유형이더라도 구조요청시스템(100)의 전원상태 또는 사용자의 상태(예를 들어, 사용자의 생존가능시간)에 따라 구조요청신호를 발생시켜야 하는 기간과 기간 내에 1회 신호 발생 시에 사용할 수 있는 전력량이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20)는 전원상태, 생존가능시간 및 긴급상황 유형을 산출한 후, 이에 부합하는 구조요청방식과 특정한 구조요청방식의 설정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20)는 다음과 같이 수행할 수 있다. 먼저, 제어부(120)는 사용자에게 발생한 상기 긴급상황 또는 재난상황의 유형을 판단할 수 있다. 그 후, 제어부(120)는 판단된 긴급상황 또는 재난상황에 따른 사용자의 생존가능시간을 산출할 수 있고, 제어부(120)는 현재 전원상태를 측정할 수 있다. 그 후, 제어부(120)는 상기 산출된 전원상태, 상기 생존가능시간 및 상기 긴급상황 유형을 반영하여 상기 구조요청방식의 유형 및 설정사항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일실시예로, 후술하는 바와 같이 구조요청방식으로 광신호 출력방식을 적용하는 경우, 사용자의 주변상황이 특정한 밝기 이하이면, 제어부(120)는 설정된 신호발생주기를 바탕으로 특정한 밝기의 광신호를 구조요청신호로 발신할 수 있다. 즉, 구조요청시스템(100)은 구비된 여러 구조요청방식 중에서 사용자 주변의 밝기를 바탕으로 광신호를 구조요청신호로 활용할 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구조요청시스템(100)은 사용자 생존여부를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는 미리 정해진 주기로 주변 밝기 정도에 부합하는 특정한 밝기의 광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일실시예에서, 제어부(120)는 긴급상황이 발생되기 전에 측정된 최종 위치정보를 구조요청방식의 유형 및 설정사항을 결정하는데 반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조요청시스템(100)이 무선통신신호를 통해 구조요청을 수행하는 경우, 사용자의 긴급상황이 구조대원이 진입할 수 있는 외부와 인접하면, 제어부(120)는 발신신호 세기를 낮추어 전력소비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일실시예에서, 제어부(120)는 무선통신모듈에 의해 측정된 무선통신망 상태정보를 반영하여 무선통신신호 탐색 수행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진과 같은 재난상황이 발생함에 따라 무선통신(예를 들어, LTE통신 또는 WLAN) 기반시설이 불능이 될 수 있고, 불능 상태인 무선통신망의 탐색을 수행하는 것은 불필요한 전력 소비를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20)는 무선통신모듈의 무선통신망 탐색결과를 바탕으로 불능 상태인 무선통신망의 탐색을 제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구조요청시스템(100)은 불필요한 전력소비를 줄여 구조요청신호를 발신하는데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음성입력모듈을 통해 수신된 사용자 음성의 의미를 식별할 수 있다. 즉, 제어부(120)는 자동적 수단에 의하여 음성으로부터 언어적 의미 내용을 식별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음성인식 과정은 음성파형을 입력하여 단어나 단어열을 식별하고 의미를 추출하는 처리 과정이며, 크게 음성 분석, 음소 인식, 단어 인식, 문장 해석, 의미 추출의 5가지로 분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구조요청방식으로 무선통신신호 발신방식을 적용하는 경우, 무선통신신호 내에 특정한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 제어부(120)는 상기 무선통신신호 내에 상황관련데이터를 포함하여 전송할 수 있다. 즉, 구조요청시스템(100)은 구조대원에게 사용자의 상황을 전달할 필요가 있으므로, 제어부(120)는 사용자센싱데이터 또는 외부센싱데이터를 통해 파악된 사용자의 상황과 관련된 정보를 무선통신신호에 포함하여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상황관련데이터는, 사용자의 긴급상황발생시점데이터, 전원상태데이터, 사용자의 생존가능시간 등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일실시예로, 상기 구조요청방식으로 상기 무선통신신호 발신방식을 적용하는 경우, 제어부(120)는 상기 무선통신신호 내에 신호수신결과의 송신을 요청하는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구조대원이 구조하러 오고 있음을 인식하지 못하여 두려움을 더 크게 느낄 수 있으므로, 구조요청시스템(100)은 구조대원 등의 타인이 보유한 단말기가 상기 구조요청시스템(100)으로부터 송신된 무선통신신호(예를 들어, 비콘신호)를 수신하면 응답신호를 발신할 것을 요청하는 데이터를 무선통신신호 내에 포함하여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일실시예에서, 상기 구조요청방식으로 상기 무선통신신호 발신방식을 적용하는 경우, 상기 무선통신신호 내에 발신신호세기데이터를 포함하여 전송할 수 있다. 구조대원은 사용자가 발신하는 무선통신신호를 수신하였을 때 얼마나 떨어진 지점에 위치하는 지를 파악하지 못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제어부(120)가 이동단말기에서 발신되는 신호의 세기데이터를 포함하여 전송함에 따라, 다른 단말기는 수신된 무선통신신호의 세기와 무선통신신호 내에 포함되어 전송된 무선통신신호의 세기를 비교하여 떨어진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즉, 무선통신신호 내에 포함된 발신신호세기데이터는 구조인원의 단말기에 의해 수신되어, 측정된 신호세기와 비교하여 떨어진 거리 산출에 이용될 수 있다.
구조요청신호발생부(130)는 외부로 특정한 구조요청방식의 구조요청신호를 발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구조요청방식은, 무선통신신호를 발신하는 방식, 특정한 광신호를 출력하는 방식, 특정한 주파수를 가지는 음파 출력 방식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조요청신호발생부(130)는 상기 다양한 구조요청방식을 수행하기 위해 다양한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 상기 구조요청신호발생부(130)는 무선통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통신모듈은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100)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이동 단말기(100)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통신모듈은 이동통신모듈, 무선 인터넷 모듈, 근거리 통신 모듈 및 위치정보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통신 모듈은 화상통화모드 또는 음성통화모드를 구현하도록 이루어진다. 화상통화모드는 상대방의 영상을 보면서 통화하는 상태를 지칭하고, 음성통화모드는 상대방의 영상을 보지 않으면서 통화를 하는 상태를 지칭한다. 화상통화모드 및 음성통화모드를 구현하기 위하여 이동통신 모듈은 음성 및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송수신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화상통화모드에서는, 이동 단말기가 사용자의 영상을 획득하여 전송하여 사용자의 상태를 외부로 제공할 수도 있고, 사용자의 주변상황 영상을 획득하여 전송하여 외부로 제공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외부의 구조대원 등은 사용자 상태를 파악할 수 있으며, 주변상황 영상을 통해 사용자의 현재위치를 파악하거나 사고의 진행상황을 파악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이동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Wi-Fi Direct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BLE(Bluetooth Low Energy), 비콘(Beacon),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BLE(Bluetooth Low Energy)은 기존의 클래식 블루투스와 패킷의 구성 방식을 달리하고, 연결 절차의 간소화로 보다 빠르게 통신이 가능해진 블루투스 통신방식을 말한다. 상기 BLE는 간단한 센서들로부터 읽어 들인 정보를 보다 빠르고 쉽게 전달할 수 있도록 개선된 프로토콜로 일상생활에 사용되는 물품에 손쉽게 응용을 적용할 수 있다. 상기 BLE(블루투스 4. 0)는 장치가 대략 5m~70m내의 디바이스들과 통신을 할 수 있으며, 배터리 수명에 거의 영향을 끼치지 않는 저전력이어서 전력 낭비를 최소화하여 블루투스를 항상 켤 수 있다.
비콘(Beacon)은 블루투스 4. 0 (BLE-Bluetooth Low Energy) 기반의 프로토콜을 사용해 매우 작은 주파수 시그널을 그들 주위에 전달한다. 상기 비콘은 무선네트워크의 존재를 계속적으로 알리고(Broadcasting) 신호수신장치로 하여금 무선네트워크를 찾아서 참여토록 하여 정보를 전달하는 방식이다.
일실시예로, 사고현장(예를 들어, 붕괴 현장)에서는 이동 통신이나 무선 인터넷의 중계기가 모두 파손될 수 있으므로, 구조요청시스템(100)은, 도 2에서와 같이, 직접 외부 단말기(200)(예를 들어, 구조대원이 보유한 이동 단말기)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Wi-Fi Direct 또는 비콘신호를 활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서와 같이, 화재건물 내의 이동통신 또는 무선인터넷통신 설비가 불능이 되어 사용할 수 없는 경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조요청시스템(100)은 구조대원의 단말기(200)에 직접 전송되면서 구조대원의 단말기(200)에 의해 엑티브센싱이 될 수 있는 비콘신호와 같은 무선통신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일실시예로, 단말기는 사용자의 영상을 획득하여 전송하여 사용자의 상태를 외부로 제공할 수도 있고, 사용자의 주변상황 영상을 획득하여 전송하여 외부로 제공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외부의 구조대원 등은 사용자 상태를 파악할 수 있으며, 주변상황 영상을 통해 사용자의 현재위치를 파악하거나 사고의 진행상황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일실시예로, 상기 구조요청신호발생부(130)는 음향출력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음향출력모듈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음향출력모듈은 구조요청을 위한 음성을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일실시예로, 상기 구조요청신호발생부(130)는, 상기 구조요청방식으로 음파출력방식을 적용하는 경우, 특정한 범위의 고주파수의 초음파를 출력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조작업에 구조견이 투입되는 경우가 많고, 구조견이 들을 수 있는 가청주파수는 사람에 비해 고주파수 영역에서 더 넓은 범위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구조요청신호발생부(130)는 사람보다 청각이 예민하고 청력이 뛰어난 구조견이 인식할 수 있는 고주파수의 음파출력을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일실시예로, 상기 구조요청신호발생부(130)는 광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조명모듈(예를 들어, LED조명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건물 붕괴와 같은 재난상황에 의해 어두운 공간 내에 갇힌 경우, 외부에서 진입하는 구조대원이 붕괴현장 내부에서 흘러나오는 빛을 통해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도록 광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아래와 같은 다양한 효과들을 가진다.
첫째, 재난상황에 처한 사용자가 외부로 적절한 구조요청신호를 발신할 수 있어서, 재난 사고 시의 사람들의 생존율을 높일 수 있다.
둘째, 사용자가 구조요청을 위한 입력조작을 하지 못하는 상황에서도 구조요청시스템이 사용자상태 또는 주변상황상태를 측정하여 자동으로 구조요청신호를 발신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재난 사고 시에 정신을 잃거나 힘이 빠져서 구조요청을 수행하지 못하는 사람들도 구조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셋째, 구조요청시스템은 사용자가 처한 상황에 가장 부합하는 구조요청방식을 자동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재난 상황 내 사용자의 생존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
넷째, 구조요청시스템이 사용자가 생존 가능한 기간동안 구조요청신호를 발신할 수 있도록 전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섯째, 무선통신신호로 구조요청을 수행하는 경우, 사용자의 구조에 필요한 데이터(예를 들어, 사용자의 생존가능기간, 주변상황데이터, 사용자의 상태데이터 등)를 무선통신신호 내에 포함하여 전송함에 따라 사용자의 생존 확률을 높일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 구조요청시스템 110 : 구조요청입력수신부
120 : 제어부 130 : 구조요청신호발생부
200 : 외부단말기

Claims (10)

  1. 긴급상황 발생시 구조요청신호를 외부로 발신하는 구조요청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 또는 외부로부터 특정한 입력신호를 수신하는 구조요청입력수신부;
    상기 입력신호를 분석하여 구조요청신호 발신여부를 결정하는 제어부; 및
    외부로 특정한 구조요청방식의 상기 구조요청신호를 발신하는 구조요청신호발생부;를 포함하며,
    상기 구조요청방식은,
    무선통신신호를 발신하는 방식, 특정한 광신호를 출력하는 방식, 특정한 주파수를 가지는 음파 출력 방식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인, 구조요청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요청입력수신부는,
    사용자센싱데이터 또는 외부센싱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센싱데이터 또는 상기 외부센싱데이터를 바탕으로 사용자의 긴급상황 유형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요청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센싱데이터는,
    사용자 생체신호데이터 또는 사용자음성데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외부센싱데이터는,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외부광데이터, 외부음향데이터, 외부온도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센싱데이터를 분석하여 사용자가 긴급상황인지 여부를 인식한 후, 상기 외부센싱데이터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긴급상황 유형을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요청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전원상태를 측정하여 구조요청발생신호의 출력주기 또는 출력시간간격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전원상태는,
    전원 잔존용량 또는 전원 가용시간를 포함하는, 구조요청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에게 발생한 상기 긴급상황의 유형을 판단하고,
    판단된 상기 긴급상황에 따른 사용자의 생존가능시간을 산출하며,
    상기 산출된 전원상태, 상기 생존가능시간 및 상기 긴급상황 유형을 반영하여 상기 구조요청방식의 유형 및 설정사항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요청시스템.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요청신호발생부는,
    상기 구조요청방식으로 음파출력방식을 적용하는 경우,
    특정한 범위의 고주파수의 초음파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요청시스템.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요청신호발생부는,
    상기 구조요청방식으로 광신호 출력방식을 적용하는 경우,
    사용자의 주변상황이 특정한 밝기 이하이면, 설정된 주기를 바탕으로 특정한 밝기의 광신호를 구조요청신호로 발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요청시스템.
  8.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요청방식으로 상기 무선통신신호 발신방식을 적용하는 경우,
    상기 무선통신신호 내에 상황관련데이터를 포함하여 전송하며,
    상기 상황관련데이터는,
    사용자의 긴급상황발생시점데이터 및 전원상태데이터를 포함하는, 구조요청시스템.
  9.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요청방식으로 상기 무선통신신호 발신방식을 적용하는 경우,
    상기 무선통신신호 내에 신호수신결과의 송신을 요청하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요청시스템.
  10.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요청방식으로 상기 무선통신신호 발신방식을 적용하는 경우,
    상기 무선통신신호 내에 발신신호세기데이터를 포함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발신신호세기데이터는,
    구조인원의 단말기에 의해 수신되어, 측정된 신호세기와 비교하여 떨어진 거리 산출에 이용되는, 구조요청시스템.
KR1020150104213A 2015-07-23 2015-07-23 긴급상황 시 구조요청시스템 KR2017001150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4213A KR20170011500A (ko) 2015-07-23 2015-07-23 긴급상황 시 구조요청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4213A KR20170011500A (ko) 2015-07-23 2015-07-23 긴급상황 시 구조요청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1500A true KR20170011500A (ko) 2017-02-02

Family

ID=581541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4213A KR20170011500A (ko) 2015-07-23 2015-07-23 긴급상황 시 구조요청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1150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7414A (ko) * 2019-05-30 2020-12-09 주식회사 아모텍 위치 추적기의 상황인지 정보를 기반으로 한 위치추적 서비스 제공 방법
CN117156603A (zh) * 2022-05-25 2023-12-01 荣耀终端有限公司 一种求救方法及终端设备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7414A (ko) * 2019-05-30 2020-12-09 주식회사 아모텍 위치 추적기의 상황인지 정보를 기반으로 한 위치추적 서비스 제공 방법
CN117156603A (zh) * 2022-05-25 2023-12-01 荣耀终端有限公司 一种求救方法及终端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28752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an emergency situation
US2021005698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an emergency situation
US10212399B2 (en) Wearable device for generating image signal, and system for controlling same
US8107920B2 (en) Emergency detection and notification system
JP4026758B2 (ja) ロボット
ES2646632B2 (es) Método y aparato para balancear recursos en una arquitectura de automatización y alarma
CN107464406A (zh) 基于可穿戴装置的报警方法、系统及相应的可穿戴装置
CN101124617A (zh) 用于耳聋的人的管理和辅助系统
KR20120050265A (ko) 휴대전화를 매개로 긴급상황을 알리기 위한 시스템
CA3065096C (en) Adaptation of the auditory output of an electronic digital assistant in accordance with an indication of the acoustic environment
KR101019084B1 (ko) 생체 정보 반응형 휴대용 조명등
GB2573039A (en)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communication device to provide alerts
AU2018381093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evaluating compliance of communication of a dispatcher
Ţepelea et al. Smartphone application to assist visually impaired people
CN106504750A (zh) 一种利用声纹识别快速检测火灾现场燃烧物的设备及其方法
KR101569880B1 (ko) 영상 신호 생성을 위한 웨어러블 장치 및 그 제어를 위한 시스템
KR20170011500A (ko) 긴급상황 시 구조요청시스템
KR20160015142A (ko)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긴급시 비상연락방법 및 프로그램
KR102553745B1 (ko) 음성멘트를 이용한 긴급알림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1564347B1 (ko) 긴급 구조 요청 단말 및 긴급 구조 요청 방법
KR102571549B1 (ko) 대화형 고령자 방치 예방장치
CN206895957U (zh) 一种具有紧急求助功能的智能拐杖及智能拐杖系统
CN115633124A (zh) 求助方法、智能终端及存储介质
KR101572807B1 (ko)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영상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그 시스템
US11087613B2 (en) System and method of communicating an emergency ev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