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58178A - 초미세조직강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초미세조직강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58178A
KR20000058178A KR1020000009032A KR20000009032A KR20000058178A KR 20000058178 A KR20000058178 A KR 20000058178A KR 1020000009032 A KR1020000009032 A KR 1020000009032A KR 20000009032 A KR20000009032 A KR 20000009032A KR 20000058178 A KR20000058178 A KR 200000581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rrite
steel
less
processing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090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22418B1 (ko
Inventor
토리즈카시로우
우메자와오사무
쯔자키카네아키
나가이코토부
Original Assignee
오카다 마사토시
카가쿠기쥬쯔죠 킨조쿠자이료 기쥬쯔켄큐쇼죠가 대표하는 일본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4669899A external-priority patent/JP3525180B2/ja
Application filed by 오카다 마사토시, 카가쿠기쥬쯔죠 킨조쿠자이료 기쥬쯔켄큐쇼죠가 대표하는 일본국 filed Critical 오카다 마사토시
Publication of KR200000581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81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24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2418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7/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of iron or steel by deformation
    • C21D7/13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of iron or steel by deformation by hot work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2201/00Treatment for obtaining particular effect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2211/00Microstructure comprising significant phases
    • C21D2211/005Ferrite

Abstract

본 출원의 발명은, 초미세조직강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본 발명은 고강도의 용접용 강 등으로서 유용한 초미세조직강을 높은 생산성으로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의 발명은 보다 낮은 변형저항 하에서, 보다 적은 압하량과 특히 느린 냉각속도로, 평균입경 3미크론 이하의 페라이트를 모상으로 하는 초미세조직강을 제조하는 새로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이를 위한 해결수단으로 본 발명은 원료를 용융조제 후에 Ac3점 이상의 온도로 가열하여 오스테나이트화하고, 이어서 Ae3점 이하 Ar3-l50℃, 또는 550℃ 이상의 온도로, 압하율 50% 이상의 압축가공을 가하고, 그 후 냉각하여 평균입경 3㎛ 이하의 페라이트를 모상으로 하는 초미세조직강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압축가공시의 비틀림 속도를 0.001∼10/S의 범위의 것으로 한다.
본 출원의 발명에 의해서 보다 낮은 변형저항하에서 보다 적은 압하량과 특히 느린 냉각속도로 평균입경 3㎛ 이하의 페라이트를 모상으로 하는 초미세조직강을 제조하는 새로운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초미세조직강의 제조방법{Production method of super fine texture steel}
본 출원의 발명은, 초미세조직강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본 발명은 고강도의 용접용 강 등으로서 유용한 초미세조직강을 높은 생산성으로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제어압연-가속냉각기술은 저합금강에 있어서, 미세한 페라이트 (ferrite)를 얻기 위한 유효한 방법이였다. 즉, 오스테나이트(austenite) 미재결정역(未再結晶域)에 있어서의 누적압하율과 그 후의 냉각속도를 제어함에 의해서, 미세한 조직이 얻어지고 있다. 그러나, 얻어지는 페라이트 입경은 기껏 Si-Mn강으로 10㎛, Nb강으로 5㎛가 한계였다. 더욱이, 일본국 특공소 62-39228, 특공소 62-7247호에 기술된 바와 같이, 2상역(2-phase range)도 포함한 Ar1∼Ar3+100℃의 온도역에서 합계 감면율이 75% 이상의 압하를 가하고, 그 후 20K/s 이상으로 냉각함으로써, 3-4㎛ 정도의 페라이트립이 얻어지는 것이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예를 들어 일본 특공평 5-65564호에 기술된 바와 같이, 3㎛ 미만으로 되면 지극히 큰 압하량과 냉각속도(40K/s 이상)를 필요로 한다. 20K/s 이상의 급냉은, 판두께가 얇은 경우에만 성립되는 수단이고, 실제적으로 널리 일반적인 용접구조용강의 제조방법으로서는 성립하기 어렵다. 또한, 강 가공 그 자체에 관해서도, 로울압연으로서는 오스테나이트저온역에서의 50%를 넘는 대압하를 하는 것은 그 변형저항의 크기나 로울의 물어넣는 제한때문에 일반적으로 어렵다. 또한, 미재결정역에서의 누적압하에서는 일반적으로는 70% 이상 필요하지만 강판의 온도저하에 의해 그것도 어렵다.
제어압연강의 변태 페라이트상은 일반적으로 집합조직을 형성하는 것이 알려지고 있고, 강압하의 결과로 얻어진 페라이트상은 적은 경사각입계를 갖게 된다. 즉, 단순한 강가공에서는 집합조직이 형성되어 큰 경사각입계로 이루어지는 페라이트립을 얻는 것은 불가능하다. 따라서, 일본국 특공소 62-39228, 특공소 62-7247호에 표시된 이상의 강한 가공을 하더라도 큰 경사각입계로 되기때문에 미세한 페라이트조직을 얻는 것은 곤란하다.
이러한 상황에 있어서, 본 출원의 발명자들은 Ac3점 이상으로 가열하여 오스테나이트화한 후에 Ar3 이상의 온도로 압하율 50% 이상의 압축가공을 가하고, 계속해서 냉각함에 의해 평균입경 3㎛ 이하의 페라이트를 모상으로 하는 초미세조직강을 얻는 방법을 개발했다(일본국 특원평 9-256682, 특원평 9-256802, 특원평 10-52545). 이 새로운 제조방법에 의해서, 평균입경이 3㎛ 이하로 방향차각 15°이상의 큰 경사각입계에 둘러싸인 페라이트를 모상으로 하는 초미세조직강이 제공가능해졌다.
그러나, 이 새로운 방법에 대하여 실제적으로는 더욱더 개선이 요망도 되고 있었다. 그 하나로는 보다 미세한 조직을 얻는 것이 또한 공업적 견지로부터는 열간가공시의 변형저항은 될 수 있는 한 낮은 것이 바람직한 때문이다. 특히 l패스(pass)로 50% 이상의 가공을 오스테나이트저온역에서 하는 경우, 변형저항이 크고 이것을 될 수 있는 한 저하시키는 것이 바람직한 때문이다. 즉, 평균입경으로 3㎛, 바람직하기로는 2㎛ 이하의 페라이트를 주상(主相)으로 하는 조직을 오스테나이트저온역 가공과 제어냉각으로 얻는 것에 관해서, 보다 낮은 변형저항하에서 보다 적은 압하량과 특히 느린 냉각속도로 얻는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라고 말할 수 있다.
본 출원의 발명은, 이상과 같은 상황하에서 이루어진 것으로, 보다 낮은 변형저항하에서 보다 적은 압하량과 특히 느린 냉각속도로 평균입경 3㎛ 이하, 바람직하기로는 2㎛ 이하의 페라이트를 모상으로 하는 초미세조직강을 제조하는 것이 가능한 새로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하고 있다.
도 l은 앤빌(anvil)압축가공과 비틀림을 도시한 요부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강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대용 SEM사진,
도 3은 비교예로서의 도면대용 SEM사진,
도 4는 페라이트(ferrite)입경과 비커스(vickers)경도와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출원의 발명은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는 것으로서, 우선 제l측면에는 원료 용제후에 Ac3점 이상의 온도로 가열하여 오스테나이트화하고, 이어서 Ae3점 이하 Ar3-l50℃, 또는 550℃ 이상의 온도에서 압하율 50% 이상의 압축가공을 가하고, 그 후 냉각하여 평균입경 3㎛ 이하의 페라이트를 모상으로 하는 초미세조직강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압축가공시의 비틀림 속도를 0.001∼l0/s의 범위의 것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미세조직강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그리고, 본 출원의 발명은 제2측면에는, 이상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평균입경 2㎛ 이하의 페라이트를 모상으로 하는 초미세조직강을 제공하고, 제3측면에는 비뚤어지는 속도를 0.01∼1/s의 범위의 것으로 하는 상기의 제조방법을, 제4측면에는 가공후의 냉각속도를 10K/s 이하로 하는 상기의 제조방법을 더 제공한다.
이하 본발명을 보다 자세하게 설명한다.
위에서 기술한 바와 같은 본 출원의 발명은 발명자의 검토의 결과, 압축가공시에 있어서 온도와 비틀림 속도의 제어가 조직의 미세화와 변형저항의 저하에 극히 유효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Ae3점 이하의 온도에 있어서의 50%를 넘는 강가공-제어냉각에 의해서 페라이트-퍼얼라이트(pearlite)조직을 형성하는 경우, 비틀림 속도가 l/s 이하라도 평균입경 3㎛ 이하, 더욱이 2㎛ 이하의 미세한 페라이트입경이 얻어지는 것을 밝혀내고, 이에 따라서 본 발명이 완성된 것이다.
그리고, 더욱 자세히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관해서 설명하면,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있어서는,
<A>원료의 용제에 의한 Ac3점 이상의 온도로 가열하는 오스테나이트화와,
<B>Ae3점 이하 Ar3점-l50℃, 또는 550℃ 이상의 온도로 압하율 50% 이상의 압축가공
<C>그 후의 냉각
을 기본적인 공정요건으로 하고 있다. 또 여기서, Ae3점은 오스테나이트-페라이트 평형변태점으로 상태도상에서{델타 페라이트(delta ferrite)를 제외함} 페라이트가 존재할 수 있는 최고온도이다. 또한, Ar3점이란 무가공시에 있어서 오스테나이트, 페라이트변태의 개시온도를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방법에있어서 <B> 압축가공시에 비틀림 속도를 0.001∼10/s의 범위로 하고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예시한 상하로 움직이는 앤빌에 의한 평면압축가공에 관해서 도시한 바와 같이, 압축가공에 의한 소재의 두께가 t초의 시간에 의해서 10로부터 1로 변형했다고 하면 비틀림(ε)은,
ε= 1n(10/1)
으로 나타내여지고, 따라서 비틀림 속도는 ε/t, 즉
1n=(l0/1)/t
로 나타내여진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 비틀림 속도는 상기 대로 0.001∼10/s 이고, 적당하기로는 0.0l∼l/s이다.
비틀림 속도가 10/s보다 큰 경우에는 변형저항이 크고, 또 페라이트의 미세화 효과가 적다. 또한, 비틀림 속도가 0.001/s보다 작은 경우에는 가공에 대단이 많은 시간이 걸리게 되고, 따라서 공업적으로는 어느 쪽의 경우에도 불리하다.
압축가공은, 본 발명에 있어서 보다 적당하기로는 도 l에 예시한 앤빌가공방법이 채용된다.
예를 들어, 이 앤빌압축가공의 경우에는 감면율로 1패스 90%를 넘는 강가공도 가능한 방법으로서, 소재(샘플)의 상하에 위치하는 앤빌의 구동속도를 제어함에 의해 압축가공시에 있어 비틀림 속도의 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있어서는, <C> 냉각의 공정에서 냉각속도를 l0K/s 이하로 하는 것이 또한 유효하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의해 평균입경이 3㎛ 이하 더 나아가 2.5㎛ 이하의 페라이트, 그리고 방위차각 15°이상의 큰 경사각입계에 둘러싸인 페라이트를 모상으로 하는 초미세조직강이 제조가능하게 된다. 페라이트-페라이트입계에 있어서의 큰 경사각입계의 비율은 80% 이상이다. 따라서, 용접가능한 고강도의 강이 경제적으로 얻어지게 된다. 이 강의 화학조성에 있어서는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기로는 0.3중량% 이하의 C(탄소)와, Si, Mn, P, S, N 및 불가피적 불순물을 함유하는 Fe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기로는, 중량%로, Si가 2%이하, Mn이 3%이하, P가 0.1%이하, S가 0.02%이하, N이 0.005% 이하로 하는 것이 고려된다.
한편, 중량%으로 3% 이하의 Cr, Ni, Mo, Cu, 또한, Ti : 0.003∼0.l%, Nb : 0.003∼0.05%, V : 0.005∼0.2%가 포함되어 있더라도 좋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비싼 원소인 Ni, Cr, Mo, Cu 등을 쓰는 일없이도 초미세조직를 얻어지고 고강도강을 염가에 제조할 수 있다.
용제를 위한 원료는 상기의 화학조성에 따라 각 원소의 첨가비율이 적정하게 정해진다.
이하에서 실시예를 게시하여 더욱 자세히 본 발명에 관해서 설명한다.
<실시예>
(실시예 1∼5)
(비교예 1)
표 1의 조성의 강(1)을 900℃로 가열하고, 완전히 오스테나이트화한 후에 표 2의 가공온도로 냉각하고, 즉시 압하율 75%로 도 1에 예시한 평면 비틀림 압축가공을 했다. Ae3점은 817℃이다. 포마스터(formaster)로 측정한 Ar3점은 670℃였다. 비틀림 속도와 압축가공후의 냉각속도를 표 2에 나타난 조건으로 행했다. 얻어진 조직에 관해서의 페라이트의 평균입경, 제2상의 종류, 그 체적율(體積卒), 큰경사각입계(방향차각≥l5°)의 비율, 가공시의 평균변형저항을 표 2에 나타냈다. 페라이트립의 방향차각은 전자선후방산란(EBSD)법으로 측정했다. 평균입경의 측정은 직선절단법에 의해서 행했다. 제2상은 주로 퍼얼라이트 및 탄화물이였다.
표 1
강종번호 C Si Mn P S N Al
1 0.15 0.3 1.5 0.02 0.005 0.002 0.04
표 2
실시예 가공온도(℃) 비틀림속도(1/s) 냉각속도(K/s) 평균변태저항(㎏/㎟) 페라이트입경(㎛) 대각입계의비율(%)
1 750 1 10 43 1.9 95
2 750 0.1 10 32 1.8 94
3 750 0.01 10 21 1.8 95
4 750 0.001 10 10 2.6 95
5 750 0.1 2.5 32 2.0 92
비교예
1 750 20 10 50 2.5 95
이상의 실시예 1∼5 및 비교예 1과의 대비로부터 명백하듯이, 비틀림 속도가 0.01∼1/s에서 가장 미세한 페라이트립이 얻어지고, 또한 변형저항에 관해서는 비틀림 속도를 작게 하면 현저한 저하가 확인된다.
또한, 실시예 2 및 5로부터는 냉각속도가 빠른 경우에 페라이트입경의 미세화가 진행하는 것도 알 수 있다.
(실시예 6∼l8)
실시예 1∼5와 같이 하여 표 3의 조건하에서 압축가공을 하여 냉각했다.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냈으며, 이 표에 나타난 결과로부터, 비틀림 속도 0.001∼10/s에서 미세한 페라이트립를 얻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가공온도의 저하가 조직의 미세화에 유효한 것을 알았다.
표 3
실시예 가공온도(℃) 비틀림속도(1/s) 냉각속도(K/s) 평균변태저항(㎏/㎟) 페라이트입경(㎛) 대각입계의비율(%)
6 700 10 10 57 1.5 95
7 700 1 10 49 1.0 95
7 700 0.1 10 39 1.6 95
8 700 0.01 10 28 1.7 95
9 700 0.001 10 17 2.0 95
9 650 10 10 65 0.8 93
10 650 1 10 58 0.6 93
11 650 0.1 10 49 0.8 93
12 650 0.01 10 40 1.4 93
13 650 0.001 10 30 1.9 93
14 600 10 10 86 0.8 85
15 600 1 10 74 0.5 81
16 600 0.1 10 64 0.6 90
17 600 0.01 10 53 0.9 91
18 600 0.001 10 43 1.4 90
(실시예 l9)
(비교예 2∼6)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오스테나이트입경이 l7㎛의 재료에 대하여, 가공온도 750℃, 압하율 75%, 비틀림 속도를 0.l/s, 냉각속도를 10K/s로 했을 때의 단면 SEM상을 관찰했다. 도 2는 이것을 나타낸 사진이다.
또한, 도 3은 비틀림 속도를 10/s로 한 경우의 것이다.
비틀림 속도를 작게 하는 것으로 페라이트입자의 미세화가 도모되는 것을 도면으로 부터 알 수 있다.
또한, 도 4는 같은 방법으로 제조한 미세조직강의 페라이트조직에 관해서 페라이트입경(d)과 비커스경도(Hv)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홀벳치형(hollbetch type)의 직선관계가 인정된다. 도면중의 온도는 가공온도를 나타낸다.
평균입경 2.3㎛의 페라이트입경의 미세조직강의 빅커스경도는 203이고, TS= 3.435Hv의 관계식에 의하면, 인장강도로서는 약 700㎫에 해당한다. 참고로 미소한 한 장력시험편(평행부 길이 3.5㎜×폭 2㎜×두께 0.5㎜)을 제작하고, 크로스 헤드( cross-head)속도 0.13㎜/min에서 인장시험을 했던 바, 인장강도 675㎫이 얻어졌다.
표 4에는 가공온도를 Ae3점(817℃)을 넘는 850℃로 한 경우의 비교예를 게시하고 있다. 페라이트입경은 어느 쪽의 경우도 5㎛을 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표 4
비교예 가공온도(℃) 비틀림속도(1/s) 냉각속도(℃/s) 평균변태저항(㎏/㎟) 페라이트입경(㎛) 대각입계의비율(%)
2 850 10 10 32 5.3 ·
3 850 1 10 27 5.2 ·
4 850 0.1 10 22 5.4 ·
5 850 0.01 10 15 6 ·
6 850 0.001 10 8 6 ·
이상 자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출원의 발명에 의해서 보다 낮은 변형저항하에서 보다 적은 압하량과 특히 느린 냉각속도로 평균입경 3㎛ 이하의 페라이트를 모상으로 하는 초미세조직강을 제조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제공된다.

Claims (4)

  1. 원료용제 뒤에 Ac3점이상의 온도로 가열하여 오스테나이트화하고, 이어서 Ae3점이하 Ar3-l50℃ 또는 550℃ 이상의 온도에서 압하율(壓下卒) 50% 이상의 압축가공을 가하고, 그 후 냉각하여 평균입경 3㎛ 이하의 페라이트(ferrite)를 모상으로 하는 초미세조직강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압축가공때의 비틀림 속도를 0.00l∼10/s의 범위의 것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미세조직강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가공후의 냉각속도를 l0K/s 이하로 함을 특징으로 하는 초미세조직강의 제조방법.
  3. 청구항 1 또는 2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평균입경 2㎛ 이하의 페라이트를 모상으로 하는 초미세조직강.
  4. 제 3항에 있어서, 강의 제조에서 가공후의 냉각속도를 l0K/s 이하로 함을 특징으로 하는 초미세조직강.
KR10-2000-0009032A 1999-02-26 2000-02-24 초미세조직강의 제조방법 KR10052241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9-051799 1999-02-26
JP5179999 1999-02-26
JP99-246698 1999-08-31
JP24669899A JP3525180B2 (ja) 1998-08-31 1999-08-31 超微細組織鋼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8178A true KR20000058178A (ko) 2000-09-25
KR100522418B1 KR100522418B1 (ko) 2005-10-19

Family

ID=263923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9032A KR100522418B1 (ko) 1999-02-26 2000-02-24 초미세조직강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464807B1 (ko)
EP (1) EP1031632B9 (ko)
KR (1) KR100522418B1 (ko)
CN (1) CN1131323C (ko)
DE (1) DE60020421T2 (ko)
TW (1) TW47782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63752B2 (en) 2001-12-14 2006-06-20 Exxonmobil Research And Engineering Co. Grain refinement of alloys using magnetic field processing
US8409367B2 (en) 2008-10-29 2013-04-02 The Hong Kong Polytechnic University Method of making a nanostructured austenitic steel sheet
US8752752B2 (en) 2009-03-09 2014-06-17 Hong Kong Polytechnic University Method of making a composite steel plate
EP3063305B1 (en) * 2013-10-28 2020-12-02 The Nanosteel Company, Inc. Metal steel production by slab casting
US20160122840A1 (en) * 2014-11-05 2016-05-05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ods for processing nanostructured ferritic alloys, and articles produced thereby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23823A (ja) * 1981-12-11 1983-07-23 Nippon Steel Corp 極細粒高強度熱延鋼板の製造方法
US4466842A (en) * 1982-04-03 1984-08-21 Nippon Steel Corporation Ferritic steel having ultra-fine grains and a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JPS59229413A (ja) * 1983-06-10 1984-12-22 Nippon Steel Corp 超細粒フェライト鋼の製造方法
US5200005A (en) * 1991-02-08 1993-04-06 Mcgill University Interstitial free steels and method thereof
KR940011648A (ko) * 1992-11-17 1994-06-21 존 디. 왈턴 전기강의 자기영역 구조 정련을 위한 부채꼴 앤빌 로울러
US6027587A (en) * 1993-06-29 2000-02-22 The Broken Hill Proprietary Company Limited Strain-induced transformation to ultrafine microstructure in steel
JPH10216884A (ja) * 1997-01-31 1998-08-18 Nippon Steel Corp 金属材料の繰り返し横鍛造加工法および成形加工法
CN1121502C (zh) * 1997-09-22 2003-09-17 科学技术厅金属材料技术研究所 超细组织钢及其制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031632A3 (en) 2002-07-31
DE60020421D1 (de) 2005-07-07
EP1031632B1 (en) 2005-06-01
EP1031632B9 (en) 2005-09-07
TW477822B (en) 2002-03-01
US6464807B1 (en) 2002-10-15
EP1031632A2 (en) 2000-08-30
KR100522418B1 (ko) 2005-10-19
DE60020421T2 (de) 2006-05-04
CN1131323C (zh) 2003-12-17
CN1297062A (zh) 2001-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586884A2 (en) Ultra-high-strength steel ba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EP0796921B1 (en) Method of manufacturing thick steel product of high strength and high toughness having excellent weldability and minimal variation of structure and physical properties
EP0709480A1 (en) Steel plate excellent in prevention of brittle crack propagation and low-temperature toughness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plate
KR890003975B1 (ko) 복합조직 열연 고장력 강판 및 이의 제법
JP2876968B2 (ja) 高延性を有する高強度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522418B1 (ko) 초미세조직강의 제조방법
US4407680A (en) Dual-phase steels
EP1083242B1 (en) Method of manufacturing of high strength rolled H-shapes
JPS6239230B2 (ko)
JP2837056B2 (ja) 制御圧延による低炭素当量圧延形鋼の製造方法
KR100526123B1 (ko) 기계적 성질의 편차가 적은 냉간압조용 강 선재의 제조방법
KR970009087B1 (ko) 강인성 후강판의 제조 방법
JP3733727B2 (ja) 圧延のままでフランジ厚み方向の靱性に優れる引張り強さが590MPa級の建築構造用極厚H形鋼の製造方法
JPH0425343B2 (ko)
KR100946051B1 (ko) 용접성이 우수한 고강도 후육강판 제조방법
KR100946049B1 (ko) 결정입 세립화에 의한 고강도강 제조방법
KR100946050B1 (ko) 동적변태를 이용한 페라이트 초세립강의 제조방법
KR100516518B1 (ko) 냉간성형성과 지연파괴 저항성이 우수한 고강도 강과 강가공물의 제조방법
CN114790530B (zh) 一种高塑性超高强钢板及其制造方法
JPS6220820A (ja) 高強度高延性鋼帯の製造方法
JP3525180B2 (ja) 超微細組織鋼の製造方法
KR100946047B1 (ko) 변형유기 동적변태를 이용한 고강도, 고인성 초세립강제조방법
KR100946046B1 (ko) 저탄소 세립형 페라이트강 제조방법
JP3543104B2 (ja) 超微細組織鋼とその製造方法
JPH0353021A (ja) 球状化焼鈍用高炭素鋼材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6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