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57942A - 엘리베이터 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57942A
KR20000057942A KR1020000005617A KR20000005617A KR20000057942A KR 20000057942 A KR20000057942 A KR 20000057942A KR 1020000005617 A KR1020000005617 A KR 1020000005617A KR 20000005617 A KR20000005617 A KR 20000005617A KR 20000057942 A KR20000057942 A KR 200000579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lley
car
outer periphery
hoistway
drive pull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056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30287B1 (ko
Inventor
하시구치나오키
이노우에마사야
가토구니오
요시카와가즈히로
Original Assignee
다니구찌 이찌로오, 기타오카 다카시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니구찌 이찌로오, 기타오카 다카시,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니구찌 이찌로오, 기타오카 다카시
Publication of KR200000579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79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02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028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35Arrangement of driving gear, e.g. location or support
    • B66B11/0045Arrangement of driving gear, e.g. location or support in the hoistway
    • B66B11/005Arrangement of driving gear, e.g. location or support in the hoistway on the c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65Roping
    • B66B11/008Roping with hoisting rope or cable operated by frictional engagement with a winding drum or shea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카에 권양기를 장착하고, 또 건물의 최상층의 층고에 대응한 높이의 승강로에 설치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를 얻는다.
이렇게 하기 위해 권양기(3)를 카(2)의 승강경로에 직교한 면에 설치하고, 구동활차(4)의 회전축선을 연직방향으로 배치해서 권양기(3)의 높이를 구동활차(4)의 직경치수보다도 낮게 구성한다.
그리고, 권양기(3)를 작동해서 구동활차(4)에 감은 주삭(14)을 통해서 카(2)를 승강한다.
이로써, 카(2)가 건물의 최상층에 정지했을 때의 승강로(1)이 정상부하면까지의 톱클리어런스를 포함한 거리를 단축할 수 있다.
따라서, 승강로(1)의 정상부 하면을 건물에서의 최상층의 충고이하로 할 수가 있어, 엘리베이터 장치의 설치스페이스를 위한 건축비를 저감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장치{ELEVATOR SYSTEM}
본 발명은 카에 설치된 권양기에 의해 카 및 균형추를 연결한 주삭이 구동되는 엘리베이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3은 예를들어, 일본국 실공평 3-48142호 공보에 표시된 종래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개념적으로 표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도면에서, 1은 승강로, 2는 승강로(1)의 일정경로를 승강하는 카, 3는 트랙션식의 권양기로 카(2)의 위틀의 하측에 장착되어서 구동활차(4)의 회전축선이 수평으로 배치되어 있다.
5는 승강로(1)의 다른 일정경로를 승강하는 균형추로 균형축활차(6)가 설치되어 있다.
7은 승강로(1)의 정상부에 고정되어 회전축선이 수평방향으로 배치된 정상부활차, 8은 주삭으로 일단이 고정구(9)에 의해 승강로(1)의 상단부에 연결되어서 하강하고, 균형추활차(6)에 감겨져 상승되고, 정상부활차(7)에 감겨서 하강해서 구동활차(4)에 감기고 상승해서 타단은 고정구(10)에 의해 승강로(1)의 상단부에 연결되어 있다.
종래의 엘리베이터 장치는 상기한 바와같이 구성되고, 권양기(3)가 작동해서 구동활차(4)가 회전해서 주삭(8)을 통해서 카(2) 및 균형추(5)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승강한다.
또, 권양기(3)가 카(2)에 장착되어서, 승강로(1)의 상방에 독립적으로 설치되는 기계실을 생략해서 건물(도시하지 않음)에서의 엘리베이터 장치용 스페이스를 절감하게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엘리베이터 장치에서 권양기(3)가 카(2)에 장착되어 구동활차(4)의 회전축선이 수평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카(2)의 높이가 증가해 카(2)가 건물의 최상층에 정지했을 때의 승강로(1)의 정상부 하면까지의 톱클리어런스를 포함한 거리가 길어진다.
이 때문에 건물에서의 최상층의 충고보다도 승강로(1)의 정상부 하면을 높이 해야 하므로, 엘리베이터 장치의 설치스페이스를 얻기 위해 건축비가 높아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구동활차(4)에 대한 주삭(8)의 거는 각도가 90°를 초과하므로, 구동활차(4)의 직경치수는 주삭(8)직경의 40배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이런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된 것으로, 카에 권양기를 장착하고, 또 건물에서의 최상층의 충고에 대응한 높이의 승강로에 설치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승강로의 각각의 일정경로를 승강하는 카 및 균형추와, 회전축선이 연직방향으로 배치된 구동활차가 설치되고, 구동활차의 직경치수보다도 적은 높이 치수로 구성되어 카의 일정경로에 직교한 면에 설치된 권양기와 카의 권양기 장착면에 설치되어 회전축선이 수평방향으로 배치되고, 또 림면이 카의 단부보다도 돌출해서 배치되어 구동활차의 외주의 양측에 각각 대향해서 배치된 제 1 전향활차 및 제 2 전향활차의 양자와 승강로의 정상부에 고착되어 회전축선이 수평방향으로 배치된 정상부활차와, 일단이 승강로의 상단부에 연결되어서 하강하고, 균형추의 활차에 감겨져서 상승하고, 정상부활차에 감겨져 하강해서 상기 양자의 한쪽 구동활차 및 상기 양자의 다른 쪽에 감겨져 상승하고 타단을 승강로의 상단부에 연결된 주삭이 설치된다.
또, 본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카의 권양기 장착면에 설치되어 회전축선이 연직방향으로 배치되고, 외주의 한쪽이 구동활차의 외주의 한쪽에 대응해서 배치되고, 외주의 다른 쪽에 대응해서 제 1 전향활차 및 제 2 활차의 양자의 한쪽이 배치된 평향활차가 설치된다.
또, 본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병렬로 배치된 여러 개의 주삭을 감은 구동활차가 회전추선을 경사시켜 배치되고, 수직투영면에서 외주의 한쪽이 제 1 전향활차의 외주에 대향하고, 외주의 다른 쪽은 제 1 전향활차측 보다도 카에 접근한 위치에 배치되고, 또 평향활차가 회전축선을 경사시켜서 배치되고, 수직투영면에서 외주의 한쪽이 구동활차의 반제 1 전향활차측의 외주에 대향해서 배치되고, 외주의 다른 쪽은 제 2 전향활차의 외주에 대향해서 배치된다.
또, 본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제 1 전향활차 및 제 2 전향활차가 카와 승강로 벽면사이에 배치되어 그 측면이 수직투영면에서 카의 측면과 중합상태로 배치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을 표시하는 도면으로, 엘리베이터 장치를 개념적으로 표시하는 종단면도.
도 2는 도 1의요부 횡단 평면도.
도 3은 도 1의 요부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를 표시하는 도면으로 엘리베이터 장치를 개념적으로 표시하는 종단면도.
도 5는 도 4의 요부 횡단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3을 표시하는 도면으로, 전술한 도 5의 요부 정면도 상당도.
도 7은 도 6의 저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4를 표시하는 도면으로, 전술한 도 4의 상당도.
도 9는 도 8의 요부 횡단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5를 표시하는 도면으로, 엘리베이터 장치를 개념적으로 표시하는 종단면도.
도 11은 도 10의 요부 횡단 평면도.
도 12는 도 10의 요부 사시도.
도 13은 종래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개념적으로 표시하는 종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승강로 2 : 카
3 : 권양기 4 : 구동활차
5 : 균형추 7 : 정상부활차
12 : 제 1 전향활차 13 : 제 2 전향활차
14 : 주삭 17 : 평향활차
실시의 형태 1
도 1 ~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의 한 예를 표시하는 도면으로, 도 1은 엘리베이터 장치를 개념적으로 표시하는 도면으로, 도 1은 엘리베이터 장치를 개념적으로 표시하는 종단면도, 도 2는 도 1의 요부 횡단 평면도, 도 3은 도 1의 요부 사시도이다.
도면에서, 1은 승강로, 2는 승강로 1의 일정경로를 승강하는 카, 3은 트랙션식의 권양기로 카(2)의 하면, 즉 카(2)의 일정경로에 직교한 면에 설치된 부착암(11)에 장착되어, 회전축선이 연직방향으로 배치된 구동활차(4)가 설치되어, 구동활차(4)에 직경치수보다도 약간 높은 높이치수로 구성되어 있다.
5는 승강로(1)의 다른 일정경로를 승강하는 균형추로 균형추활차(6)가 설치되어 있다.
7은 승강로(1)의 정상부에 고착되어서 회전축선이 수평방향으로 배치된 정상부활차로, 수평투영면에서 측면이 승강로(1)의 벽면을 따라 배치되어 카(2)와 승강로(1)간에 설치되어 있다.
12는 제 1 전향활차로 부착암(11)에 고착되어 회전 회전축선이 수평방향으로 배치되고, 또 림면이 카(2)의 단부보다도 돌출해서 배치된 구동활차(4)의 외주의 한쪽에 대향해서 배치되어 있다.
13은 제 2 전향활차로 부착암(11)에 고착되어서 회전축선이 수평방향으로 배치되고, 또 림면이 카(2)에 단부보다도 돌출해서 배치되어 구동활차(4)의 외주의 다른 쪽에 대향해서 배치되어 있다.
14는 주삭으로, 일단이 고정구(15)에 의해 승강로(1)의 상단부에 연결되어서 하강하고, 균형추활차(6)에 감겨져 상승하고, 정상부활차(7)에 감겨져 하강하고, 제 1 전향활차(12)에 감겨져 구동활차(4)에 감겨져 계속해 제 2 전향활차(13)에 감겨지고, 상승해서 타단은 고정구(16)에 의해 승강로(1)의 상단부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엘리베이터 장치에서, 권양기(3)가 작동되어 구동활차(40가 회전해서 제 1 전향활차(12), 제 2 전향활차(13), 정상부활차(7), 균형추활차(6)에 감겨진 주삭(14)을 통해서 카(2) 및 카(2)이 일정경로에 직교한 면에 설치되고, 구동활차(4)의 회전축선이 연직방향으로 배치되어서 권양기(3)가 구동활차(4)의 직경치수보다도 작은 높이 치수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카(2)의 높이가 낮아져 카(2)의 건물의 최상층에 정지했을 때의 승강로(1)의 정상부 하면 까지의 톱클리어런스를 포함한 거리가 짧아진다.
이 때문에, 승강로(1)의 정상부하면을 건물에서의 최상층의 충고이하로 할 수가 있고, 엘리베이터 장치의 설치 스페이스를 형성하기 위해 건축비가 증가하는 것을 억제할 수가 있다.
또, 제 1 전향활차(12) 및 제 2 전황활차(13)의 양자에서의 주삭(14)의 거는 각도가 90°정도이므로, 상기 양자의 직경치수는 주삭(14)경의 36배 정도로 할 수가 있고, 상기 양자의 높이방향 치수를 단축할 수가 있다.
따라서, 카(2)전체에서의 높이를 낮게 할 수가 있어, 승강로(1)의 전고를 짧게 할 수가 있다.
이 때문에, 상기 양자의 상하방향 치수가 단축됨으로써, 엘리베이터 장치의 설치 스페이스형성을 위한 비용을 절감할 수가 있다.
실시의 형태 2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의 형태의 한 예를 표시하는 도면으로, 도 4는 엘리베이터 장치를 개념적으로 표시하는 종단면도, 도 5는 도 4의 요부횡단 평면도이다.
도면에서 전술한 도 1 ~ 도 3과 같은 부호는 상당하는 부분을 표시하고 17은 카(2)의 하면, 즉 카(2)의 일정경로에 직교한 면에 설치된 평향활차로 부착암(11)에 장착되어 회전축선이 연직방향으로 배치되고, 외주의 한쪽이 구동활차(4)의 외주의 한쪽에 대응해서 배치되어 있다.
12는 제 1 전향활차로 부착암(11)에 고착되어 회전축선이 수평방향으로 배치되고, 또 림면이 카(2)의 단부로부터 돌출해서 배치되어구동활차(4)의 외주의 다른 쪽에 대향해서 배치되어 있다.
13은 제 2 전향활차로 부착암(11)에 고착되어서 회전축선이 수평방향으로 배치되고, 또 림면이 카(2)의 단부보다도 돌출해서 배치되어 편향활차(17)의 외주의 다른 쪽에 대향해서 배치되어 있다.
14는 주삭으로 일단이 고정구(15)에 의해 승강로(1)의 상단부에 연결되어 하강하면서 균형추활차(6)에 감겨서 상승하고, 정상부활차(7)에 감기면서 하강하고, 제 1 전향활차(12)에 감겨서 구동활차(4) 및 편향활차(17)에 감겨져 제 2 전향활차(13)에 감기고, 상승해서 타단은 고정구(16)에 의해 승강로(1)의 상단부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도, 권양기(3)가 카(2)의 일정경로에 직교한 면에 설치되고, 구동활차(4)의 회전축선이 연직방향으로 배치되고, 권양기(3)가 구동활차(4)의 직경치수보다도 작은 높이치수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권양기(3)의 작동에 의해 주삭(14)을 통하여 카(2) 및 균형추 가서도 반대방향으로 승강한다.
따라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나, 도 4 및 도 5의 실시의 형태에서도 도 1 ~ 도 3의 실시의 형태와 같은 작용이 얻어진다.
또, 편향활차(17)가 설치되어 주삭(14)이 감겨진 제 1 전향활차(12) 및 제 2 전향활차(13)가 카(2)의 평면에서 대략 대칭위치에 배치된다.
이 때문에 카(2)의 중심부근을 매달 수가 있으므로 승차감이 향상될 수 있다.
실시의 형태 3
도 6 및 도 7도 본 발명의 다른 실시의 형태의 한 예를 표시하는 도면으로, 도 6은 요부 정면도, 도 7은 도 6의 저면도이다.
또, 도 6 및 도 7이외는 전술한 도 4 및 도 5와 같이 엘리베이터 장치가 구성되어 있다.
도면에서 전술한 도 4 및 도 5와 같은 부호는 상당부분을 표시하고, 4는 병렬로 배치된 다수의 주삭(14)이 감겨진 구동활차로 카(2)의 하면에 설치되어 회전축선이 경사지게 배치되고, 수직투영면에서 외주의 한쪽이 제 1 전향활차(12)의 외주의 하측에 대향하고, 외주의 다른 쪽은 제 1 전향활차(12)측보다도 상승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17은 편향활차로 카(2)의 하면에 설치되어 회전축선이 경사지게 배치되고, 수직투영면에서 외주의 한쪽이 구동활차(4)의 반제 1 전향활차(12)의 외주에 대향해서 배치되고, 외주의 다른 쪽은 제 2 전향활차(13)의 외주의 하측에 대향해서 배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도, 권양기(3)가 카(2)의 일정경로에 직교한 면에 설치되고, 구동활차(4)의 회전축선이 경사해서 배치되어 권양기(3)가 구동활차(4)의 직경치수보다도 적은 높은 치수로 구성되어 있다.
또, 편향활차(17)가 설치되어 주삭(14)이 감겨진 제 1 전향활차(12) 및 제 2 전향활차(3)가 카(2)의 평면에서 대략 대칭위치에 배치된다.
그리고, 권양기(3)의 작동에 의해 주삭(14)을 통해 카(2) 및 균형추(5)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승강한다.
따라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나, 도 6 및 도 7의 실시의 형태에서는 도 4 및 도 5의 실시의 형태와 같은 작용이 얻어진다.
또, 전술한 도 4 및 도 5의 실시의 형태에서는 제 1 전향활차(12)와 구동활차(4)의 사이, 또 편향활차(17)와 제 2 전향활차(13)사이의 림면이 서로 직교상태가 되고, 주삭(14)의 플리트각이 커진다.
그러나, 도 6 및 도 7의 실시의 형태에서는 구동활차(4), 편향활차(17)가 도 6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회전축선을 경사시켜서 배치된다.
이로써, 구동활차(4)와 편향활차(17)사이에 림면이 서로 60°의 각도로 교차해서 주삭(14)에 플리트각이 형성되나, 제 1 전향활차(12)와 구동활차(4)사이, 또 편향활차(17)와 제 2 전향활차(13)사이에서 림면이 서로 60°의 각도로 교차하므로, 주삭(14)의 플리트각이 감소한다.
이 때문에 주삭(14)의 소모가 억제되어, 주삭(14)의 수명을 연장할 수가 있다.
실시의 형태 4
도 8 및 도 9도 본 발명의 다른 실시의 형태의 한 예를 표시하는 도면으로, 도 8은 전술한 도 4 상당도, 도 9는 도 8의 요부 횡단 평면도이다.
또, 도 8 및 도 9이외는 전술한 도 4 및 도 5와 마찬가지로 엘리베이터 장치가 구성되어 있다.
도면에서 전술한 도 4및 도 5와 같은 부호를 상당하는 부분을 표시한다.
12는 제 1 전향활차로 부착암(11)에 고착되어 회전축선이 수평방향으로 배치되고, 카(2)와 승강로(1) 벽면사이에 배치되어, 수직투영면에서 측면이 카(2)의 측면과 중합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13은 제 2 전향활차로 부착암(11)에 고착되어 회전축선이 수평방향으로 배치되고, 카(2)와 승강로(1)벽면사이에 배치되어 수직투영면에서 측면이 카(2)의 측면과 중합상태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도 권양기(3)가 카(2)의 일정경로에 직교한 면에 설치되고, 구동활차(4)의 회전축선이 수직으로 배치되어 권양기(3)가 구동활차(4)의 직경치수보다도 작은 높이치수로 구성되어 있다.
또, 편향활차(17)가 설치되어 주삭(14)이 감겨진 제 1 전향활차(12) 및 제 2 전향활차(13)가 카(2)의 하면에서 거의 대칭위치에 배치된다.
그리고, 권양기(3)의 작동에 의해 주삭(14)을 통해서 카(2) 및 균형추(3)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승강한다.
따라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나, 도 8 및 도 9의 실시의 형태에서도 도 4 및 도 5의 형태와 같은 작용이 얻어진다.
또, 도 8 및 도 9의 실시의 형태에서 제 1 전향활차(12) 및 제 2 전향활차(13)의 양자가 카(2)의 승강로(1)벽면사이에 배치되어 측면이 카(2)의 측면과 중합상태로 배치된다.
이로써, 상기 양자를 위한 상하 방향의 스페이스를 적게할 수가 있다.
따라서, 카(2) 전체에서의 높이를 낮게 할 수가 있고, 승강로(1)의 전고를 짧게 할 수가 있다.
이 때문에, 상기 양자에 의한 상하 방향 치수의 단축에 의해서도 엘리베이터 장치의 설치 스페이스를 형성하기 위해 요하는 건축비를 절감할 수가 있다.
실시의 형태 5
도 10 ~ 도 12도 본 발명의 다른 실시의 형태의 한 예를 표시하는 도면으로, 도 10은 엘리베이터 장치를 개념적으로 표시하는 종단면도, 도 11은 도 10의 요부횡단 평면도, 도 12는 도 10의 요부 사시도이다.
도면에서, 전술한 도 1 ~ 도 3과 같은 부호는 상당부분을 표시하고, 3은 트랙션식의 권양기로, 카(2)의 상면, 즉 카(2)의 일정경로에 직교한 면에 설치된 부착암(11)에 장착되고, 회전축선이 연직방향에 배치된 구동활차(4)가 설치되어 구동활차(4)의 직경치수보다도 작은 높이치수로 구성되어 있다.
12는 제 1 전향활차로, 부착암(11)에 고착되어 회전축선이 수평방향으로 배치되고, 또 림면이 카(2)의 단부에 배치되고, 구동활차(4)의 외주의 한쪽에 대향해서 배치되어 있다.
13은 제 2 전향화차로 부착암(11)에 고착되어서 회전축선이 수평방향으로 배치되고, 또 림면이 카(2)의 단부에 배치되고, 구동활차(4)의 외주의 다른 쪽에 대향해서 배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엘리베이터 장치에서 권양기(3), 제 1 전향활차(12) 및 제 2 전향활차(13)가 카(2)의 상면에 배치되어 있다.
이런 구성에서도 권양기(3)가 카(2)의 소정경로에 직교한 면에 설치되고, 구동활차(4)의 회전축선이 연직방향으로 배치되어 권양기(3)가 구동활차(4)의 직경치수보다도 작은 치수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권양기(3)의 작동에 의해 주삭(14)을 통해서 카(2) 및 균형추(5)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승강한다.
따라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나, 도 10 ~ 도 12의 실시의 형태에서도 도 1 ~ 도 3의 실시의 형태와 같은 작용이 얻어진다.
본 발명은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승강로의 각각의 일정경로를 승강하는 카 및 균형추와 회전곡선이 연직방향으로 배치된 구동활차가 설치되어 구동활차의 직경치수보다도 작은 높이치수로 구성되어서 카의 일정경로에 직교한 면에 설치된 권양기와 카의 권양기 장치면에 설치되어 회전축선이 수평방향으로 배치되고, 또 림면이 카의 단부보다도 돌출해서 배치되고, 구동활차의 외주의 양측에 각각 대향해서 배치된 제 1 전향활차 및 제 2 전향활차의 양자와 승강노의 정상부에 고착되어 회전축선이 수평방향으로 배치된 정상부활차와 일단이 승강로의 상당부에 연결되어서 하강해 균형추의 활차에 감겨서 상승하고, 정상부 활차에 감겨서 하강해서, 상기 양자의 한쪽 구동활차 및 상기 양자의 다른 쪽에 감겨져 상승해서 타단은 승강로의 상단부에 연결된 주삭을 설치한 것이다.
이로써 권양기가 카의 일정경로에 직교한 면에 설치되고, 구동활차의 회전축선이 연직방향으로 배치되어 권양기가 구동활차의 직경치수보다도 작은 높이치수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카의 높이가 낮아져서 카가 건물의 최상층에 정지했을 때의 승강로의 정상부하면까지의 톱클리어런스를 포함한 거리를 짧게 할 수가 있다.
이 때문에 승강로의 정상부하면을 건물에서의 최상층의 층고이하로 할 수가 있고, 엘리베이터 장치의 스페이스때문에 요하는 건축비를 저감하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은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카의 권양기 장착면에 설치되어 회전축선이 연직방향으로 배치되고, 외주의 한쪽이 구동활차의 외주의 한쪽에 대응해서 배치되고, 외주의 다른 족에 대응해서 제 1 전향활차 및 제 2 전향활차의 양자의 한쪽이 배치된 편향활차를 설치한 것이다.
이로써, 권양기가 카의 일정경로에 직교한 면에 설치되고, 구동활차의 회전축선이 연직방향으로 배치되어 권양기가 구동활차의 직경치수보다 작은 높이치수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카의 높이가 낮아져 카가 건물의 최상층에 정지했을 때의 승강로의 정상부하면까지의 톱클리어런스를 포함한 거리를 짧게 할 수가 있다.
이 때문에 승강로의정상부 하면을 건물에서의 최상층의 층고이하로 할 수가 있고, 엘리베이터 장치의 설치 스페이스를 위해 요하는 건축비를 저감하는 효과가 있다.
또, 편향활차가 설치됨으로써, 주삭이 감겨진 제 1 전향활차 및 제 2 전향활차를 카의 평면에서 거의 대칭위치에 배치할 수가 있다.
이 때문에, 카의 중심부근을 매달고 있을 수가 있고, 승차감을 향상하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은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병렬로 배치된 다수의 주삭이 감져져 있는 구동활차를 회전축선을 경사시켜 배치하고, 수직투영면에서 외주의 한쪽이 제 1 전향화차의 외주에 대향하고, 외주의 다른 측은 제 1 전향활차측보다도 카에 접근한 위치에 배치하고, 또 편향활차를 회전축선을 경사해서 배치하고, 수직투영면에서 외주의 한쪽이 구동활차의 반제 1 전향활차측의 외주에 대향해서 배치하고, 외주의 다른 쪽은 제 2 전향활차의 외주에 대향해서 배치한 것이다.
이로써 권양기가 카의 일정경로에 직교한 면에 설치되고, 구동활차의 회전축선이 연직방향으로 배치되어서, 권양기가 구동활차의 직경치수보다도 작은 높이 치수로 구성되고 있다.
따라서, 카의 높이가 낮아져 카가 건물의 최상층에 정지했을 때의 승강로의 정상부하면까지의 톱클리어런스를 포함한 거리를 짧게 할 수가 있다.
이 때문에, 승강로의 정상부하면을 건물에서의 최상층의 충고이라호 할 수가 있고, 엘리베이터 장치의 설치 스페이스때문에 요하는 건축비를 저감하는 효과가 있다.
또, 편향활차가 설치됨으로써 주삭이 감겨진 제 1 전향활차 및 제 2 전향화차를 카의 평면에서 거의 대칭위치에 배치할 수가 있다.
이 때문에 카의 중심부근을 매달수가 있어, 승차감을 향상하는 효과가 있다.
또, 구동활차, 편향활차, 편창활차가 회전축선을 경사시켜서 배치되므로, 제 1 전향활차와 구동활차의 사이, 또 편향활차와 제 2 전향활차사이에서의 주삭의 플리트각이 감소한다.
이 때문에 주삭의 손모가 억제되어 주삭의 수명을 연장하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은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제 1 전향활차 및 제 2 전향활차를 카와 승강로벽면사이에 배치하고, 또 그 측면을 수직투영면에서 카의 측면과 중합상태로 배치한 것이다.
이로써, 권양기가 카의 일정경로에 직교한 면에 설치되고, 구동활차의 회전축선이 면직방향으로 배치되어, 권양기가 구동활차의 직경치수보다도 적은 높이 치수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카의 높이가 낮아져 카가 건물의 최상층에 정지했을 때의 승강로의 정부하면까지의 톱클리어런스를 포함한 거리를 짧게 할 수가 있다.
이 때문에 승강로의 정상부하면을 건물에서의 최상층의 충고이하로 할 수가 있고, 엘리베이터 장치의 설치스페이스때문에 요하는 건축비를 저감하는 효과가 있다.
또, 편향활차가 설치됨으로써, 주삭이 감겨진 제 1 전향활차 및 제 2 전향활차를 카의 평면에서 거의 대칭유치에 배치할 수가 있다.
이 때문에, 카의 중심부근을 매달 수가 있어, 승차감을 향상하는 효과가 있다.
또, 제 1 전향활차 및 제 2 전향화차의 양자가 카와 승강로 벽면사이에 배치되어 측면이 카의 측면과 중합상태로 배치되므로, 상기 양자를 위한 상하방향의 스페이스를 적게할 수가 있다.
따라서, 카전체에서의 높이를 낮게 할 수가 있어 승강로의 전모를 짧게 할 수 있으므로, 상기 양자에 의한 상하방향치수의 단축에 의해서도 엘리베이터 장치의 설치스페이스때문에 요하는 건축비를 저감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승강로의 각각의 일정경로를 승강하는 카 및 균형추와, 회전축선이 연직방향으로 배치된 구동활차가 설치되고, 상기 구동활차의 직경치수보다도 작은 높이치수로 구성되어 상기 카의 상기 일정경로에 직교한 면에 설치된 권양기와 상기 카의 상기 권양기 장착면에 설치되어, 회전축선이 수평방향에 배치되고, 또 림면이 상기 카의 단부보다도 돌출해서 배치되어 상기 구동활차의 외주의 양측에 각각 대향해서 배치된 제 1 전향활차 및 제 2 전향활차의 양자와 상기 승강로의 정상부에 고착되어 회전축선이 수평방향으로 배치된 정상부활차와, 일단이 상기 승강로의 상단부에 연결되어 하강되고, 상기 균형추의 활차에 감겨져 상승하고, 상기 정장부활차에 감겨져 하강해서 상기 양자의 한쪽 상기 구동활차 및 상기 양자의 다른 쪽에 감겨져 상승하고, 타단은 상기 승강로의 상단부에 연결된 주삭을 구비한 엘리베이터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카의 권양기 장착면에 설치되어 회전축선이 연직방향으로 배치되어, 외주의 한쪽이 구동활차의 외주의 한쪽에 대응해서 배치되고, 외주의 다른 쪽에 대응해서 제 1 전향활차 및 제 2 전향활차의 양쪽의 한편이 배치된 편향활차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병렬로 배치된 다수의 주삭을 감은 구동활차가 회전축선을 경사시켜 배치되고, 외주의 한쪽을 제 1 전향활차의 외주에 대향하고, 외주의 다른 쪽을 상기 제 1 전향활차측보다도 카에 접근한 위치에 배치하고, 편향활차가 회전축선을 경사시켜서 배치되고 외주의 한쪽을 상기 구동활차의 반 상기 제 1 전향활차측의 외주에 대향해서 배치하고, 외주의 다른 쪽을 제 2 전향활차의 외주에 대향해서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KR1020000005617A 1999-02-10 2000-02-07 엘리베이터 장치 KR1003302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99-033083 1999-02-10
JP03308399A JP4190641B2 (ja) 1999-02-10 1999-02-10 エレベーター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7942A true KR20000057942A (ko) 2000-09-25
KR100330287B1 KR100330287B1 (ko) 2002-03-27

Family

ID=123768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5617A KR100330287B1 (ko) 1999-02-10 2000-02-07 엘리베이터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2) EP1396460B1 (ko)
JP (1) JP4190641B2 (ko)
KR (1) KR100330287B1 (ko)
CN (1) CN1114557C (ko)
DE (2) DE60010143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010048A2 (de) 2000-07-29 2002-02-07 Alpha Getriebebau Gmbh Aufzugskabine mit einer in diese integrierten treibscheiben-antriebsmaschine
FI118732B (fi) 2000-12-08 2008-02-29 Kone Corp Hissi
DE10104351A1 (de) * 2001-02-01 2002-08-22 Ingenieurgesellschaft Foerder Aufzug mit auf der Aufzugskabine mitfahrender Antriebseinheit und Steuereinheit
US9573792B2 (en) 2001-06-21 2017-02-21 Kone Corporation Elevator
PL206645B1 (pl) 2001-06-21 2010-09-30 Kone Corp Winda
FI119234B (fi) 2002-01-09 2008-09-15 Kone Corp Hissi
US7503433B2 (en) * 2003-04-07 2009-03-17 Chiu Nan Wang Elevator
JPWO2005047161A1 (ja) * 2003-11-17 2007-06-14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装置
ITBO20040396A1 (it) * 2004-06-24 2004-09-24 Sassi Alberto Spa Unita' di movimentazione per ascensori e montacarichi
JP4527485B2 (ja) * 2004-09-29 2010-08-18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のトラクション式巻上機装置
KR100770500B1 (ko) * 2005-06-14 2007-10-25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 장치
JP5026260B2 (ja) * 2006-05-19 2012-09-12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装置
US8692679B2 (en) * 2008-09-30 2014-04-08 Safeworks, Llc Tower elevator alarm system
CN104444713B (zh) * 2014-12-15 2016-07-06 佛山市神风航空科技有限公司 一种小型旋转电梯
US20190248624A1 (en) * 2018-02-15 2019-08-15 Safeworks, Llc Elevator installation method and apparatus
DE102021004070A1 (de) 2021-08-06 2023-02-09 Meik Schröder Maschinenraumloses Aufzugssystem
DE102022001560A1 (de) 2022-05-04 2023-11-09 Meik Schröder Maschinenraumloses Aufzugssystem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640604B1 (fr) * 1988-12-15 1991-03-08 Otis Elevator Co Ascenseur avec machine d'entrainement a adherence embarquee
JPH069178A (ja) 1992-04-09 1994-01-18 Werner Hagel エレベータ
EP0841283B1 (de) * 1996-11-11 2003-04-16 Inventio Ag Aufzugsanlage mit im Aufzugsschacht angeordneter Antriebseinhei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30287B1 (ko) 2002-03-27
DE60031313T2 (de) 2007-05-16
JP2000229772A (ja) 2000-08-22
CN1263042A (zh) 2000-08-16
EP1396460B1 (en) 2006-10-11
DE60031313D1 (de) 2006-11-23
CN1114557C (zh) 2003-07-16
JP4190641B2 (ja) 2008-12-03
EP1028082A2 (en) 2000-08-16
EP1396460A3 (en) 2004-05-19
EP1028082A3 (en) 2001-11-28
DE60010143D1 (de) 2004-06-03
EP1396460A2 (en) 2004-03-10
DE60010143T2 (de) 2005-05-04
EP1028082B1 (en) 2004-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30287B1 (ko) 엘리베이터 장치
KR100330286B1 (ko) 엘리베이터장치
JP2002080178A (ja) エレベータ装置
KR20060058148A (ko) 엘리베이터 장치
JP4110096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2001048451A (ja) エレベーター装置
JP4549616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4934941B2 (ja) エレベータ装置
WO2005121008A1 (ja) エレベータ装置
JP4849431B2 (ja) 機械室レスエレベータ
KR100415749B1 (ko) 엘리베이터 장치
JP4762907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3961718B2 (ja) 機械室レスエレベータ
JPWO2006070437A1 (ja) エレベータ装置
WO2004028948A1 (ja) エレベータ装置
KR20080095841A (ko) 엘리베이터 장치
JPWO2004101419A1 (ja) エレベータ装置
JP4316507B2 (ja) エレベータ装置
EP1736431B1 (en) Elevator apparatus
WO2003093155A1 (fr) Ascenseur
CN108883897B (zh) 电梯装置
JP2000103582A (ja) トラクションエレベータ
WO2005075335A1 (ja) エレベータ装置
JP2000118912A (ja) エレベーター装置
KR100804887B1 (ko) 엘리베이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9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