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57909A - 테이프 카세트 - Google Patents

테이프 카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57909A
KR20000057909A KR1020000005366A KR20000005366A KR20000057909A KR 20000057909 A KR20000057909 A KR 20000057909A KR 1020000005366 A KR1020000005366 A KR 1020000005366A KR 20000005366 A KR20000005366 A KR 20000005366A KR 20000057909 A KR20000057909 A KR 200000579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dentification
cassette
plug
tape cassette
t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053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16437B1 (ko
Inventor
사사키카즈오
치바히토미
Original Assignee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이데이 노부유끼
Publication of KR200000579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79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64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643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11B15/04Preventing, inhibiting, or warning against accidental erasing or double record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3/00Record carrier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ccessories, e.g.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 Intermediate medium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ir manufacture
    • G11B23/28Indicating or preventing prior or unauthorised use, e.g. cassettes with sealing or locking means, write-protect devices for discs
    • G11B23/288Protecting disks from being written or overwritte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3/00Record carrier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ccessories, e.g.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 Intermediate medium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ir manufacture
    • G11B23/02Containers; Storing means both adapted to cooperate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means
    • G11B23/04Magazines; Cassettes for webs or filaments
    • G11B23/08Magazines; Cassettes for webs or filaments for housing webs or filaments having two distinct ends
    • G11B23/087Magazines; Cassettes for webs or filaments for housing webs or filaments having two distinct ends using two different reels or cores
    • G11B23/08707Details
    • G11B23/08714Auxiliary featur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3/00Record carrier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ccessories, e.g.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 Intermediate medium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ir manufacture
    • G11B23/28Indicating or preventing prior or unauthorised use, e.g. cassettes with sealing or locking means, write-protect devices for discs
    • G11B23/287Indicating or preventing prior or unauthorised use, e.g. cassettes with sealing or locking means, write-protect devices for discs by mechanical lo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Packaging Of Annular Or Rod-Shaped Articles, Wearing Apparel, Cassettes, Or The Like (AREA)

Abstract

테이프 카세트에서, 오소거 방지 또는 기록 방지 장치는 카세트 본체 또는 케이싱에 제공된 다수의 식별용 검출부와, 상기 식별용 검출부 중 하나 이상을 개폐하기 위한 식별 플러그를 구비한다. 식별용 검출부는 격벽이 없는 단일의 오목부 내에 집합적으로 형성된다.

Description

테이프 카세트{Tape Cassette}
본 발명은 오디오 또는 비디오 신호, 또는 컴퓨터 데이터를 기록하는 테이프 카세트에 관한 것이며, 특히 기록 방지 장치 또는 오기록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20 내지 2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테이프 카세트(101)는 자기 테이프(102)가 권취되는 한 쌍의 회전 가능한 테이프 릴(103,104)과, 테이프 릴(103,104)을 에워싸는 카세트 본체(또는 케이스)(105)를 구비한다. 카세트 본체(105)의 저면 (106)의 한 모서리에는, 자기 테이프(102)에 기록 가능한 기록 가능 상태를 식별하며 기록된 데이터가 오류에 의해 소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오소거 방지 장치(또는 기록 방지 장치)(111)가 제공된다.
오소거 방지 장치(111)는 오소거 방지를 식별하는 검출부(112){카세트 본체(105)의 저면(106)에 형성된 검출부로써 작용함}와, 검출부(112)를 개폐하기 위한 식별 플러그로써 작용하는 오소거 방지 플러그(113)를 포함한다.
검출부(112)는 카세트 본체(105)의 저면(106)에 원형 구멍을 설치함으로서 형성된다.
도 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오소거 방지 플러그(113)는 검출부(112)를 개폐하기 위한 개폐부(114)와, 미끄럼 조작부(115) 및, 로크부(lock portion)(116)를 갖춘다.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오소거 방지 플러그(113)는, 미끄럼 조작부(115)가 카세트 본체(105)의 배면(107)상의 조작용 개구부(108)로부터 돌출된 상태에서 카세트 본체(105) 내에 좌우로 미끄럼 가능하게 부착된다. 따라서, 오소거 방지 플러그(113)는 좌우 방향으로 미끄럼 가능하다.
오소거 방지 플러그(113)는, 미끄럼 조작부(115)가 한 방향으로 미끄럼되도록 조작될 때, 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폐부(114)로 검출부(112)를 폐쇄시키며, 로크부(116)는 검출부(112)의 폐쇄 상태를 유지시키도록 카세트 본체(105) 내부에 제공된 제 1 로크 개구(109) 내에 결합된다.
또한, 오소거 방지 플러그(113)는, 도 23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화살표에 의해 나타낸 A 방향으로 미끄럼 작동될 때, 도 2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폐부(114)에 의해 폐쇄된 검출부(112)를 개방시키며, 로크부(116)는 상기 검출부(112)의 개방 상태를 유지하도록 카세트 본체(105)의 내부에 제공된 제 2 로크 개구(110)로 체결된다.
다음, 오소거 방지 식별을 위한 검출부(112)가 오소거 방지 플러그(113)에 의해 폐쇄된 상태에서, 테이프 카세트(101)가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기록 재생 장치에 장전(裝塡)되면, 기록 재생 장치에 제공된 오소거 검출 부재가 검출부(112)로부터 카세트 본체(105) 내로 도입되는 것이 오소거 방지 플러그(113)에 의해 방지되며, 테이프 카세트(101) 내의 자기 테이프(102)에 기록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검출부(112)가 개방된 상태에서, 테이프 카세트(101)가 기록 재생 장치에 장전되면, 기록 재생 장치에 제공된 오소거 검출 부재가 검출부(112)로부터 카세트 본체(105) 내로 도입되며, 테이프 카세트(101) 내의 자기 테이프(102)에 기록이 불가능해진다, 즉 오소거가 방지된다.
한편, 도 20 내지 도 24에 나타낸 종래의 테이프 카세트(이하, 제 1 포맷 테이프 카세트로 칭함)(101)에 부가하여, 자기 테이프에 고밀도 기록 가능한 테이프 카세트(이하, 제 2 포맷 테이프 카세트로 칭함)가 또한 개발되었다.
도 2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포맷 테이프 카세트(101)와 마찬가지로, 제 2 포맷 테이프 카세트(201)는, 카세트 본체(205) 내에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며 그 주위로 자기 테이프(202)가 권취된 테이프 릴(203,204)을 갖추며, 카세트 본체(205)의 저면(206)의 한 모서리에는, 오소거 방지 장치(211)가 제공된다.
오소거 방지 장치(211)는 오소거 방지 식별 또는 확인용 검출부(212)와, 검출부(212)를 개폐하는 오소거 방지 플러그(213)를 포함한다.
검출부(212)는 카세트 본체(205)의 저면(206)에 원형 구멍을 설치함으로써 형성된다.
오소거 방지 플러그(213)는 제 1 포맷 테이프 카세트(101)의 오소거 방지 플러그(113)과 동일한 방식으로 형성되며, 한 방향으로 미끄럼 작동될 때, 검출부 (212)를 폐쇄시키며, 다른 방향으로 미끄럼 작동될 때, 검출부(212)를 개방시킨다.
제 1 포맷 테이프 카세트(101)의 카세트 본체(105)는 또한 제 2 포맷 테이프 카세트(201)의 카세트 본체(205)로써 사용된다.
제 2 포맷 테이프 카세트(201)의 오소거 방지 식별용 검출부(212)는, 상기 제 1 포맷 테이프 카세트(101)의 오소거 방지 식별용 검출부(112) 근방에, 상기 검출부(212)와 검출부(112) 사이에 소정의 간격(D)을 갖고 형성된다.
최근의 기술 진보에 의한 자기 재료의 개발 및 자기 기록층의 두께의 감소에 기인하여, 상기 제 2 포맷 테이프 카세트(201) 보다 고밀도 기록이 가능한 제 3 포맷 테이프 카세트가 또한 개발되었다.
한편, 제 2 포맷 테이프 카세트(201)의 카세트 본체(205)를 제 3 테이프 카세트의 카세트 본체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야기된다.
(1) 도 2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3 포맷 테이프 카세트(301)의 카세트 본체(305)의 저면(306)에 설치된 제 1 포맷 테이프 카세트용 오소거 방지 식별용 검출부(112)와 제 2 포맷 테이프 카세트용 오소거 방지 식별용 검출부(212) 사이에 제 3 포맷 테이프 카세트용 오소거 방지 식별용 검출부(312)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상기 세 개의 검출부(112,212,312)가 근접되므로, 도 2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세 개의 검출부(112,212,312) 사이의 격벽(321)의 두께(t)가 얇아지며, 이는 성형 공정 중에 불량품을 발생시키며 생산 효율을 감소시킨다. 더욱이, 격벽(321)은 사용 중에 쉽게 파손된다.
(2) 카세트 본체(305)의 제 3 포맷 테이프 카세트용 검출부(312)가 상기 검출부(112,212)로부터 충분히 이격되어 형성되면, 상술한 문제 (1)은 해결된다. 그러나, 상기 카세트 본체(305)의 저면(306)은 자기 테이프 검출 구멍(331), 카세트 위치 결정 구멍(332,333), 기록 포맷 검출 구멍(334) 및, 테이프 단부 검출 구멍(335)과 같은 다양한 구멍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공간적 제약이 따른다. 또한, 제 3 포맷 테이프 카세트용 검출부(312)가 상기 검출부(112,212)로부터 이격되어 형성되는 경우, 기록 재생 장치 유닛의 오소거 검출 부재의 위치도 또한 제 3 포맷 테이프 카세트용 검출부(312)의 위치에 따라 이동되어야만 한다. 재차, 기록 재생 장치 유닛에서, 오소거 검출 부재의 위치의 변화는 또한 공간 제약 및, 비용 문제를 야기시킨다.
상술한 관점으로부터, 제 1, 제 2 및, 제 3 포맷 테이프 카세트용 오소거 방지 식별용 검출부(112,212,312)를 카세트 본체(305)의 단일 공간에 함께 형성하는 것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좁은 영역 내에 근접하게 형성된 다수의 식별용 검출부를 갖는 테이프 카세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테이프 카세트는, 다수의 식별용 검출부로 형성된 카세트 본체와, 하나 이상의 식별용 검출부의 내외로 이동되며 상기 본체 내에 미끄럼 가능하게 배치된 식별 플러그를 구비한다. 식별용 검출부는 하나의 오목부 내에 집합적으로 형성되며, 식별 플러그는 오목부 내의 하나 이상의 식별용 검출부와 직면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테이프 카세트의 상면측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테이프 카세트의 저면측의 사시도.
도 3은 리드가 개방된 상태의 도 1의 테이프 카세트의 사시도.
도 4는 도 1의 테이프 카세트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1의 테이프 카세트의 하반부의 저면측의 사시도.
도 6은 도 1의 테이프 카세트의 식별 플러그의 정면측의 사시도.
도 7은 도 6의 식별 플러그의 배면측의 사시도.
도 8은 도 6 및 도 7의 식별 플러그를 수용하는 테이프 카세트의 주요부의 사시도.
도 9는 테이프 카세트의 주요부 내의 도 6 및 도 7의 식별 플러그의 사시도.
도 10은 제 1 위치의 도 6 및 도 7의 식별 플러그의 부분 파단면도.
도 11은 제 2 위치의 도 6 및 도 7의 식별 플러그의 부분 파단면도.
도 12는 테이프 카세트의 도 6 및 도 7의 식별 플러그의 수직 단면도.
도 13은 실시예에 따른 테이프 카세트의 주요부의 정면도.
도 14는 제 1 작동 상태의 실시예에 따른 테이프 카세트의 주요부의 부분 파단면도.
도 15는 제 2 작동 상태의 실시예에 따른 테이프 카세트의 주요부의 부분 파단면도.
도 16은 제 3 작동 상태의 실시예에 따른 테이프 카세트의 주요부의 부분 파단면도.
도 17은 제 4 작동 상태의 실시예에 따른 테이프 카세트의 주요부의 부분 파단면도.
도 18은 제 1 변형예의 단면도.
도 19는 제 2 변형예의 단면도.
도 20은 종래의 제 1 포맷 테이프 카세트의 상면측의 사시도.
도 21은 종래의 제 1 포맷 테이프 카세트의 저면측의 사시도.
도 22는 도 20 및 도 21의 테이프 카세트의 오소거 방지 플러그의 사시도.
도 23은 제 1 위치의 도 22의 오소거 방지 플러그의 단면도.
도 24는 제 2 위치의 도 22의 오소거 방지 플러그의 단면도.
도 25는 종래의 제 2 포맷 테이프 카세트의 사시도.
도 26은 종래의 제 3 포맷 테이프 카세트의 사시도.
도 27은 도 26의 선 A-A를 따른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1,201,301 : 테이프 카세트 7,102,202 : 자기 테이프
4,105,205,305 : 카세트 본체 5,6,103,104,203,204 : 테이프 릴
5b,6b : 상부 플랜지 5c,6c : 하부 플랜지
41,111,211 : 오소거 방지 장치 42a,42b,42c,112,212 : 검출부
43,113,213 : 오소거 방지 플러그 47,115 : 미끄럼 조작부
도 1 내지 도 19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테이프 카세트(1)를 나타내며, 도 1은 상면측에서 본 사시도이며, 도 2는 저면측에서 본 사시도이며, 도 3은 리드가 개방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저면측에서 본 하반부의 사시도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테이프 카세트(1)는 기록된 정보가 실수로 소거되는 것을 방지하는 수단으로 작용하거나, 카세트 식별 또는 확인 수단으로 작용하는 오소거 방지 장치(또는 기록 방지 장치)(41)를 구비한다. 오소거 방지 장치(41)는 저면측에 형성된다.
본 실시예의 오소거 방지 장치(41)는, (격벽 없이 연속적으로)집합적으로 구성된 세 개의 식별 또는 확인용 검출 부재 또는 검출부(42a 내지 42c)를 구비하는 검출 부재 유닛으로써의 오목부(또는 공동)(42)와, 오목부(42)에 직면하여 위치된 식별 또는 확인 플러그로써의 오소거 방지 플러그(43)를 구비한다.
제 1 식별용 검출부(42a)는 도 20 및 도 21에 나타낸 제 1 포맷 테이프 카세트(101)의 제 1 포맷 검출부(112)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제 2 식별용 검출부(42b)는 도 25에 나타낸 제 2 포맷 테이프 카세트(201)의 제 2 포맷 검출부(212)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제 3 식별용 검출부(42c)는 도 26에 나타낸 제 3 포맷 테이프 카세트(301)의 제 3 포맷 검출부(312)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본 실시예의 오소거 방지 플러그(43)는 오목부(42)의 제 3 검출부(42c)에 직면하는 위치에 설치되며, 검출부를 폐쇄시키기 위해 검출부(42c) 내로 미끄러지도록 배치되거나, 검출부를 개방시키기 위해 검출부(42c) 외부로 미끄러지도록 배치된다.
본 발명의 테이프 카세트(1)는 다음의 3 개의 항목:
I. 전체 카세트의 개략 구조, II. 오소거 방지 수단, III. 변형예에서 상세히 설명된다.
I. 전체 카세트의 개략 구조
테이프 카세트(1)는 상반부(2)와 하반부(3)를 구비하는 카세트 본체(4) 또는 케이싱과, 카세트 본체(4)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한 쌍의 테이프 릴(5,6) 및, 상기 테이프 릴(5,6)에 권취된 자기 테이프(7)를 갖춘다. 상기 카세트 본체(4)의 각각의 상반부(2)와 하반부(3)는 자기 테이프(7)를 갖춘 한 쌍의 테이프 릴(5,6)에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기에 충분한 크기를 갖도록 수지의 사출 성형에 의해 일체 형성된다. 상반부(2)와 하반부(3)는 서로에 대해 돌출된 각각의 개구를 함께 결합시켜 상자형 카세트 본체(4)를 형성한다.
카세트 본체(4)의 상면(4a)은 카세트 본체(4) 내에 권취된 자기 테이프(7)를 시각에 의해 확인하기 위한 투명창(4b)을 갖추고 형성된다.
카세트 본체(4)의 저면(4c)에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테이프 릴(5,6)의 허브(5a,6a)의 부분이 외부로 노출되며, 테이프 릴(5,6)의 회전을 조절하기 위한 허브 결합 구멍(8,9)이 설치된다. 상기 허브 결합 구멍(8,9)은 공급측 테이프 릴(5)과 권취측 테이프 릴(6)에 각각 대응하여 위치되며, 테이프 릴(5,6)의 허브의 외경과 동일한 직경을 갖는 원형 구멍으로 형성된다.
또한, 카세트 본체(4)의 저면(4c)은 발광 소자 삽입 구멍(10)을 갖추고 형성되며, 상기 삽입 구멍을 통해 기록 재생 장치 유닛의 측부의 광 검출 기구의 발광 소자가 상기 카세트 본체(4) 내로 조준된다. 발광 소자 삽입 구멍(10)은 기록 재생 장치 유닛 내에 설치된 발광 소자에 직면하여 위치된 원형 구멍이다. 다시 말하면, 발광 소자 삽입 구멍(10)은 기록 재생 장치 유닛의 테이프 인출 핀이 삽입되는 카세트 본체(4)의 정면 내의 절단된 테이프 인출 오목부(11) 근방에 위치되며, 테이프 릴(5,6) 사이의 중앙부에 설치된다.
또한, 카세트 본체(4)의 저면(4c)은, 기록 재생 장치 유닛에 대한 테이프 카세트의 위치를 설정하기 위해 기록 재생 장치 유닛의 카세트 위치 결정 핀이 삽입되는 카세트 위치 결정 구멍(12,13)을 갖추고 형성된다. 상기 카세트 위치 결정 구멍(12,13)은 테이프 인출 오목부(11)의 좌우측 단부 근방에 각각 원형 구멍 및 타원형 구멍으로 형성된다.
또한, 카세트 본체(4)의 저면(4c)은 기록 포맷 검출 구멍(14)을 갖춘다. 검출 구멍(14)은 하나의 허브 결합 구멍(8) 근방의 카세트 본체(4)의 모서리에 위치되며, 작은 직사각형 블라인드 구멍(blind hole)으로 형성된다. 카세트 본체(4)의 대향 모서리에는, 검출 구멍(15)이 테이프 종류를 식별하기 위해 설치된다. 상기 검출 구멍(15)은 작은 원형 구멍으로 형성된다. 상기 검출 구멍(15)에 인접한 영역에는, 제 1 내지 제 3 검출부(42a 내지 42c)가 단일의 연속 공동에 집합적으로 형성되는 오목부(42)가 형성된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각의 테이프 릴(5,6)은 자기 테이프(7)가 권취되는 원통형 허브(5a 또는 6a)와, 허브(5a 또는 6a)의 하부 단부에 설치된 디스크 형상 하부 플랜지(5b 또는 6b) 및, 허브(5a 또는 6a)의 상부 단부에 설치된 투명한 상부 플랜지(5c,6c)를 갖춘다. 각각의 릴(5 또는 6)은 카세트 본체(4)의 저면(4c) 내에 형성된 대응 허브 결합 구멍(8 또는 9) 내에 설치된 허브(5a 또는 6a)의 상부 단부에 의해 회전 가능하다. 테이프 릴(5,6)의 덜컥거림을 감소시키기 위해, 각각의 테이프 릴(5 또는 6)은 상기 허브(5a 또는 6a)의 회전 중심에서 상반부(2)에 부착된 릴 유지 스프링(16 또는 17)에 의해 축방향으로 압박된다.
자기 테이프(7)는 자기 테이프(7)에 접속된 하나의 단부와 클램퍼(clamper) (18)에 의해 허브(5a 또는 6a)에 고정된 다른 단부를 갖는 투명한 선두 테이프(leader tape)(19)에 의해 각각의 테이프 릴(5 또는 6)에 접속된다. 자기 테이프(7)와 선두 테이프(19)는 한쪽의 면에 점착층을 갖는 투명한 얇은 접속 테이프(20), 소위 스플라이스 테이프(splice tape)에 의해 접속된다.
자기 테이프(7)는 카세트 본체(4)의 테이프 인출 오목부(11)의 양면에 설치되며 테이프 인출 오목부(11)를 가로질러 직선으로 연장되는 반원형 테이프 안내 부재(21,22)에 의해 안내된다.
자기 테이프(7)는, 테이프 카세트(1)가 기록 재생 장치 유닛에 장전되지 않은 상태일 때, 먼지 및 외력으로부터 자기 테이프(7)를 보호하기 위해 전방 리드(23)와 후방 리드(24) 사이로 연장된다. 상기 전방 리드(23)와 후방 리드(24)는, 카세트가 장전되지 않은 상태일 때, 그 사이의 자기 테이프(7)로 테이프 인출 오목부(11)를 피복한다. 카세트가 기록 재생 장치 유닛에 위치될 때, 전방 및 후방 리드(23,24)는 도 1의 화살표에 의해 지시된 A 방향으로 회전되며, 도 3에 나타낸 테이프 인출 오목부(11)의 전방에 자기 테이프(7)를 노출시킨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귀 코일 스프링(25)은 테이프 인출 오목부(11)를 폐쇄시키는 방향으로 전방 리드(23)를 자극한다. 리드 로크(26)는 오목부(11)를 폐쇄시키는 폐쇄 위치로 전방 리드(23)를 록킹시키도록 설계된다.
릴 로크(27)는 테이프 릴(5,6)이 회전 불가능하도록 록킹시킨다. 코일 스프링(28)은 릴 로킹 방향으로 릴 로크(27)를 자극한다.
하반부(3)는 저면의 한 모서리에 오소거 방지 장치(41)를 갖춘다.
플러그 수용 공동(또는 챔버)(29)이 상반부(2) 및 하반부(3)의 카세트 본체(4) 내에 형성된다. 오소거 방지 플러그(43)는 플러그 수용 공동(29) 내에 수용되어 플러그(43)는 상하로 미끄러질 수 있다. 카세트 본체(4)의 배면에는, 오소거 방지 플러그(43)를 외부로부터 조작하기 위한 조작용 창(30)이 형성되며, 또한 오소거 방지 플러그(43)를 기록 가능 위치 및 기록 불가능 위치에 각각 록킹시키기 위한 제 1 및 제 2 로크 창(31,32)이 형성된다.
테이프 릴(5,6), 릴 유지 스프링(16,17), 전방 및 후방 리드(23,24), 복귀 코일 스프링(25), 리드 로크(26), 릴 로크(27), 코일 스프링(28) 및, 오소거 방지 플러그(43)가 조립된 후, 상반부(2) 및 하반부(3)는 스크류 부재(33)에 의해 테이프 카세트로 함께 고정된다.
II. 오소거 방지 수단
본 실시예의 오소거 방지 장치(41)는 오소거 방지 플러그(43)와, 연속적인 단일 오목부(42) 또는 공동으로 함께 형성되는 제 1, 제 2 및, 제 3 검출부(42a, 42b,42c)를 구비한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오목부(42)는 제 1, 제 2 및, 제 3 검출부(42a, 42b,42c)를 일렬로 연속적으로 배치하며 단일 공동으로 일체화시킴으로써 형성된다. 개구(42e)는 오목부(42)의 중앙부에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 3 검출부 (42c)는 제 1 및 제 2 검출부(42a,42b) 사이에 위치된다. 오목부(42)는 저면(42d)을 갖는다. 개구(42e)는 오목부(42)의 저면(42d)의 중앙부에 형성되므로, 제 3 검출부(42c)는 바닥이 없으며, 반면 제 1 및 제 2 검출부(42a,42b)는 바닥이 있다.
오소거 방지 플러그(43)는 제 3 검출부(42c)에 마주하는 위치에서 카세트 본체(4) 내에 설치된다.
개구(42e)를 통해, 하기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오소거 방지 플러그(43)의 연장부(45)는 제 3 검출부(42c) 내로 이동되어 이를 폐쇄시키며, 제 3 검출부(42c) 외부로 이동되어 이를 개방시킨다.
도 6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오소거 방지 플러그(43)는 직사각형 평행 육면체 형상의 본체부(44)와, 본체부(44)의 저면으로부터 돌출된 연장부(폐쇄부) (45)와, 본체부(44)의 전방면에 제공된 미끄럼 가이드(46)와, 미끄럼 가이드(46)의 전방면의 중앙부에 제공된 미끄럼 조작부(47) 및, 미끄럼 가이드(46)의 한 측면으로부터 연장된 로크부(48)를 구비한다.
도 8 및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오소거 방지 플러그(43)는 하반부(3)의 플러그 수용부(29) 내에 삽입된다.
오소거 방지 플러그(43)가 수용부(29) 내에 삽입될 때, 상기 미끄럼 가이드 (42)의 양 측면은 하반부(3)의 하부 벽 부분(3a)과 안내벽(34) 사이에 각각 형성된 미끄럼 안내 슬롯(35) 내로 안내되며, 미끄럼 조작부(47)는 미끄럼 조작용 창(30)을 통해 외부로 노출된다.
미끄럼 조작부(47)가 손톱 등에 의해 수동으로 밀어 내려지면, 로크부(48)의 돌출부(48a)는 오소거 방지 플러그(43)를 밀어 내림 상태로 록킹시키도록 제 1 로크 창(31) 내로 끼워맞춤된다.
오소거 방지 플러그(43)가 밀어 내려진 상태에서,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장부(45)는 플러그 수용부(42)의 저면(42d)의 중앙의 개구(42e)로부터 제 3 검출부(42c) 내로 돌출되며, 연장부(45)의 전방면(45a)은 카세트 본체(4)의 저면(4d)과 동일한 높이가 되므로, 제 3 검출부(42c)는 완전히 폐쇄된다.
도 10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미끄럼 조작부(47)가 수동으로 밀어 올려지면,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로크부(48)의 돌출부(48a)는 밀어 올림 상태에서 오소거 방지 플러그(43)를 록킹시키도록 제 2 로크 창(32) 내에 끼워맞춤된다. 이 상태에서, 연장부(45)는 제 3 검출부(42c) 외부의 상부 위치에 놓이며, 연장부(45)의 전방면(45a)은 오목부(42)의 저면(42d)과 동일한 높이가 된다.
연장부(45)는 오목부(42)의 저면(42d)의 개구(42e) 내에 끼워맞춤되기 위한 크기 및 형상을 가지므로, 그 사이에 어떤 적합하지 않은 간극도 형성되지 않는다.
미끄럼 가이드(46)의 전방면은 조작용 창(30)을 완전히 폐쇄하기 위한 크기를 갖는다.
미끄럼 조작부(47)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반원형 단면 형상을 가지며, 조작부(47)가 카세트 본체(4)의 배면으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하는 높이를 갖는다.
로크부(48)는 외팔보(cantilever)와 같이 미끄럼 가이드(46)의 한 측부로부터 돌출되며, 적합한 탄성도를 갖는다. 로크부(48)의 자유 단부는 제 1 또는 제 2 로크 창(31 또는 32) 내에 결합되기 위해 반원형 결합 돌출부(48a)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돌출부(48a)는 적색 또는 황색과 같은 뚜렷한 색으로 착색되어 돌출부(48a)가 제 1 로크 창(31) 또는 제 2 로크 창(32)에 있는지의 여부 또는 오소거 방지 플러그(43)가 기록 가능 위치 또는 기록 불가능 위치에 있는 지의 여부를 외부로부터 인식하도록 한다. 이 경우, 선택적으로 돌출부(48a)만 착색하거나 전체 오소거 방지 플러그(43)를 착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오소거 방지 플러그(43)는 단일 플라스틱 제품이다. 게다가,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카세트 본체(4)의 조작용 창(30)의 상부 및 하부 에지는 경사면(30a)을 형성하도록 모따기 되어 오소거 방지 플러그(43)의 미끄럼 조작부(47)의 수동 조작을 촉진한다.
본 실시예에 따라 상기와 같이 구성된 테이프 카세트(1)는 하기와 같이 작동된다.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미끄럼 조작부(47)가 조작용 창(30)의 하부 단부에 위치된 REC 측으로 이동되는 상태에서 테이프 카세트(1)가 기록 재생 장치에 장전될 때, 오소거 방지 플러그(43)의 연장부(45)의 하부면은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록 재생 장치 내에 제공된 제 1 오소거 검출 부재(411)에 지지되며, 이에 의해 검출 부재(411)를 테이프 카세트(1)에 기록 가능한 밀어 내림 상태로 유지시킨다.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미끄럼 조작부(47)가 조망용 창(30)의 상부 단부에 위치된 SAFE 측으로 이동되는 상태에서 테이프 카세트(1)가 기록 재생 장치에 장전될 때, 제 1 오소거 검출 부재(411)는 제 3 검출부(42c) 내로 삽입되므로, 상기 테이프 카세트(1)로의 기록이 불가능해진다.
도 16 및 도 17은 기록 재생 장치의 오소거 검출 부재(411)로서 발광부 (411a)와 광 수용부(411b)로 구성된 포토 센서를 사용하는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미끄럼 조작부(47)가 REC 측에 위치된 상태에서 테이프 카세트(1)가 기록 재생 장치에 장전될 때, 발광부(411a)는 제 1 검출부 (42a) 내로 삽입되며, 광 수용부(411b)는 제 2 검출부(42b) 내로 삽입된다. 반면, 오소거 방지 플러그(43)의 연장부(45)는 발광부(411a)와 광 수용부(411b) 사이에 삽입되며, 이에 의해 발광부(411a)로부터 광 수용부(411b)를 향해 방출되는 검출광은 차단되며, 따라서 상기 테이프 카세트(1)로의 기록이 가능해진다.
미끄럼 조작부(47)가 SAFE 측에 있을 때, 오소거 방지 플러그(43)의 연장부 (45)는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발광부(411a)와 광 수용부(411b) 사이의 삽입 위치의 외부에 위치되며, 상기 발광부(411a)로부터 방출된 검출광이 광 수용부(411b)에 도달하는 것을 허용하며, 따라서 테이프 카세트(1)로의 기록이 불가능해진다.
도 14 및 도 15에 나타낸 기록 재생 장치는 테이프 카세트(1)로의 기록 용량이 열악한 테이프 카세트를 수용할 수 있는 소위 하위 호환성 기록 재생 장치를 나타낸다. 이 기록 재생 장치는 제 1 오소거 검출 부재(411)의 한 측부에 제 2 오소거 검출 부재(412)를 가지며 다른 측부에 제 3 오소거 검출 부재(413)를 갖는다.
도 20 및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포맷 테이프 카세트(101)가 기록 재생 장치에 장전될 때, 제 2 오소거 검출 부재(412)는 상기 제 1 포맷 테이프 카세트(101)가 기록 가능 또는 기록 불가능한지 여부를 검출하도록 작동된다. 도 2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포맷 테이프 카세트(201)가 기록 재생 장치에 장전되면, 제 3 오소거 검출 부재(413)는 동일한 방식으로 작동된다.
III. 변형예
도 1 내지 도 17의 실시예에서, 오소거 방지 플러그(43)는 연장부(45)로 제 3 검출부(42c)를 개폐하도록 배치된다. 그러나, 선택적으로,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오소거 방지 플러그(43)는 제 1 검출부(42a)를 개폐하도록 배치되거나,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검출부(42b)를 개폐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서, 오목부(42)는 제 1 내지 제 3 검출부(42a 내지 42c)로 구성된다. 그러나, 오목부(42) 내에 4개 이상의 검출부를 형성하는 것도 또한 가능하다.
식별용 검출부는 다른 조건 또는 테이프 종류 식별을 위한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 따른 테이프 카세트는 제조하기 쉬우며, 검출부를 분리하는 격벽이 없다는 장점이 있다. 오소거 방지 플러그는 검출부 중의 하나로 이동됨으로써 기록 가능 및 불가능 상태를 검출할 수 있다. 테이프 카세트는 도 14 및 도 15에 나타낸 기록 재생 장치의 플런저형(plunger type) 검출 부재와, 도 16 및 도 17에 나타낸 감광형 검출 부재 모두에 사용될 수 있다.
오소거 방지 플러그(43)는 상하로 미끄럼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좌우로 미끄럼 가능한 플러그와 비교할 때, 플러그의 작동 방향을 조작 및 감지하는 것이 더 용이하다.
돌출부를 가지며, 탄성적이며 착색된 로크부는 록킹 및 미끄럼 작동을 용이하게 하며, 시각 확인성을 개선시킨다.

Claims (9)

  1. 다수의 식별용 검출부로 형성된 카세트 본체와,
    상기 식별용 검출부의 하나 이상의 내부 및 외부로 이동하기 위해 상기 카세트 본체 내에 미끄럼 가능하게 배치된 식별 플러그를 구비하며,
    상기 식별용 검출부는 단일 공동 내에 집합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식별 플러그는 오목부 내의 상기 식별용 검출부 중 하나 이상에 직면하는 테이프 카세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용 검출부 중 하나는 오소거 방지를 위한 기록 방지부이며, 상기 식별 플러그는 상기 기록 방지부의 내부 및 외부로 이동되도록 배치되는 테이프 카세트.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용 검출부는 공동 내에 정렬된 제 1, 제 2 및, 제 3 검출부이며, 상기 제 3 검출부는 상기 제 1 및 제 2 검출부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제 3 검출부는 오소거 방지를 위한 기록 방지부인 테이프 카세트.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플러그는, 상기 카세트 본체 내의 상부 위치와 하부 위치 사이에서 상하로 미끄럼 가능하며, 하부 위치의 상기 식별용 검출부 중 하나 이상으로 이동됨으로써 상기 식별용 검출부 중 하나 이상을 폐쇄하며, 상부 위치의 상기 식별용 검출부 중 하나 이상의 외부로 이동됨으로써 상기 식별용 검출부 중 하나 이상을 개방하는 하부 돌출부를 갖추는 테이프 카세트.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카세트 본체는 그의 배면에 형성된 제 1 및 제 2 로크 구멍을 구비하며, 상기 식별 플러그는, 상기 식별 플러그를 상부 위치에 록킹시키기 위해 제 1 로크 구멍 내에 수용되며 상기 식별 플러그를 하부 위치에 록킹시키기 위해 제 2 로크 구멍 내에 수용되는 결합 돌출부로 형성된 전방 단부로 돌출되며 소정의 탄성을 갖는 외팔보 형상의 로크부를 또한 구비하는 테이프 카세트.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제 1 및 제 2 구멍은 상기 카세트 본체의 외측면으로부터 내측면으로 연장되며 상기 결합 돌출부가 내부에 수용될 때, 그를 통해 상기 로크부의 결합 돌출부를 노출시키는 관통 구멍인 테이프 카세트.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부의 결합 돌출부는 착색되는 테이프 카세트.
  8. 제 1 및 제 2 대향 표면과, 카세트 본체의 상기 제 1 표면 내에 각각 개방된 제 1, 제 2 및, 제 3 공간부를 갖는 식별용 공동을 갖는 카세트 본체와,
    상기 식별용 공동의 내부 및 외부로 이동되기 위해 상기 카세트 본체 내에 미끄럼 가능하게 배치된 식별 플러그를 구비하며,
    상기 식별 플러그는 상기 식별용 공동의 공간부 중 하나를 폐쇄하며 나머지 두 공간부는 개방 유지시키는 폐쇄부를 구비하는 테이프 카세트.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용 공동은 구멍을 갖추고 형성된 저면을 갖는 단일의 연장된 연속 공동이며, 상기 식별 플러그는 상기 식별 플러그의 폐쇄부가 공동의 저면에 형성된 구멍을 통해 상기 식별 공동의 공간부 중 하나의 내부 및 외부로 이동되는 방식으로 상기 공동의 바닥의 후방에 형성된 수용 챔버 내에 미끄럼 가능하게 수용되는 테이프 카세트.
KR1020000005366A 1999-02-05 2000-02-03 테이프 카세트 KR10071643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02806799A JP4140114B2 (ja) 1999-02-05 1999-02-05 テープカセット
JP99-28067 1999-02-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7909A true KR20000057909A (ko) 2000-09-25
KR100716437B1 KR100716437B1 (ko) 2007-05-10

Family

ID=122384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5366A KR100716437B1 (ko) 1999-02-05 2000-02-03 테이프 카세트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452746B1 (ko)
EP (1) EP1026685B1 (ko)
JP (1) JP4140114B2 (ko)
KR (1) KR100716437B1 (ko)
CN (1) CN100334649C (ko)
DE (1) DE60014466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58757A (ja) * 2001-05-30 2002-12-13 Fuji Photo Film Co Ltd 記録メディアカートリッジの識別構造
JP2003208774A (ja) * 2002-01-15 2003-07-25 Fuji Photo Film Co Ltd カートリッジ
JP2004014081A (ja) * 2002-06-11 2004-01-15 Fuji Photo Film Co Ltd カートリッジ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47186U (ja) * 1983-09-09 1985-04-03 ティーディーケイ株式会社 磁気テ−プカ−トリツジ
US4660105A (en) * 1985-11-19 1987-04-21 Eastman Kodak Company Cassette recording or non-recording indicating mechanism
JP2979613B2 (ja) * 1990-09-20 1999-11-15 ソニー株式会社 テープカセット
US5239437A (en) * 1991-08-12 1993-08-24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Self identifying universal data storage element
US5371644A (en) * 1991-08-12 1994-12-06 Storage Technology Corporation Self identifying universal data storage element with human intelligible write protect mechanism
US5618005A (en) * 1995-09-13 1997-04-08 Storage Technology Corporation Coaxial reel tape cartridge with reduced tape forces
JP3552424B2 (ja) * 1996-10-08 2004-08-11 ソニー株式会社 記録媒体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0228076A (ja) 2000-08-15
DE60014466D1 (de) 2004-11-11
US6452746B1 (en) 2002-09-17
CN1264126A (zh) 2000-08-23
KR100716437B1 (ko) 2007-05-10
JP4140114B2 (ja) 2008-08-27
DE60014466T2 (de) 2005-10-13
EP1026685A3 (en) 2001-07-18
CN100334649C (zh) 2007-08-29
EP1026685B1 (en) 2004-10-06
EP1026685A2 (en) 2000-08-09
US20020048119A1 (en) 2002-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197444B1 (en) Cassette storing case
US4995029A (en) Optical disk identifying method, manufacture of cartridge-enclosed optical disks, and optical disk cartridges
JPH08500461A (ja) 自己識別式ユニバーサルデータ記憶エレメント
HU216196B (hu) Diszk cartridge
US4734812A (en) Tape cartridge with erasure-preventing indicator plug
EP0533463B1 (en) Disc cartridge with mistaken recording inhibiting mechanism
KR100716437B1 (ko) 테이프 카세트
US7284722B2 (en)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WO2000019429A1 (fr) Bande magnetique en cassette
US5886859A (en) Magnetic disc cartridge
US6866216B2 (en) Cartridge
US5689393A (en) Magnetic disk cartridge having an opening for a magnetic head on a side thereof
JPS61965A (ja) 記録媒体の種類判別装置
JPS6346516B2 (ko)
JP3509305B2 (ja) 記録媒体収納装置
JP3549215B2 (ja) テープカセット
JPH11312348A (ja) 記録再生装置
JPH0621106Y2 (ja) 磁気テープカセット
JPH0935454A (ja) 記録媒体収納体の誤記録防止機構
JPH0617240Y2 (ja) デイスクカ−トリツジ
EP1548737A2 (en) Cartridge for recording medium
JPH09237483A (ja)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JPH0963241A (ja) 磁気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WO2003043005A1 (en) Coded single reel magnetic tape cartridge
JPH0594689A (ja) デイスクカートリツジの誤記録防止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2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