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52403A - 데이터에의 정보 매립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데이터에의 정보 매립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52403A
KR20000052403A KR1019990054383A KR19990054383A KR20000052403A KR 20000052403 A KR20000052403 A KR 20000052403A KR 1019990054383 A KR1019990054383 A KR 1019990054383A KR 19990054383 A KR19990054383 A KR 19990054383A KR 20000052403 A KR20000052403 A KR 200000524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nge
information
still picture
degree
content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43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84959B1 (ko
Inventor
요시우라히로시
에찌젠이사오
아라이다까오
기무라히로유끼
다께우찌도시후미
모리야마요시아끼
스가야가즈미
오기노아끼라
Original Assignee
가나이 쓰토무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가네오 이토
파이오니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나이 쓰토무,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가네오 이토, 파이오니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나이 쓰토무
Publication of KR200000524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24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49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495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9/00Image co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00General purpose image data processing
    • G06T1/0021Image watermarking
    • G06T1/0085Time domain based watermarking, e.g. watermarks spread over several imag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00General purpose image data processing
    • G06T1/0021Image watermarking
    • G06T1/0028Adaptive watermarking, e.g. Human Visual System [HVS]-based watermar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46Embedding additional information in the video signal during the compression process
    • H04N19/467Embedding additional information in the video signal during the compression process characterised by the embedded information being invisible, e.g. watermar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5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 H04N19/503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involving temporal prediction
    • H04N19/51Motion estimation or motion compens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6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transform coding
    • H04N19/61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transform coding in combination with predictive co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e.g.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of a video stream to network bandwidth; Processing of multiplex streams
    • H04N21/2389Multiplex stream processing, e.g. multiplex stream encrypting
    • H04N21/23892Multiplex stream processing, e.g. multiplex stream encrypting involving embedding information at multiplex stream level, e.g. embedding a watermark at packet lev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3Generation or processing of protective or descriptive data associated with content; Content structuring
    • H04N21/835Generation of protective data, e.g. certificates
    • H04N21/8358Generation of protective data, e.g. certificates involving watermar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1/00General purpose image data processing
    • G06T2201/005Image watermarking
    • G06T2201/0065Extraction of an embedded watermark; Reliable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Editing Of Facsimile Originals (AREA)
  • Image Processing (AREA)
  • Television Systems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 Character Input (AREA)

Abstract

콘텐트의 질의 열화를 억제하고, 매립 정보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워터 마크 (water mark) 정보의 매립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시계열적으로 배열된 복수의 정지 화상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동화상 데이터에 워터 마크 정보를 매립하는 경우, 주목 프레임 중의 상기 프레임의 분할에 의해 생긴 각 화상 블럭 마다 동화상적 성질을 나타내는 이동 벡터를 검출하고, 이동량에 따라 각 블럭 마다의 화소 변경율의 지정 규칙을 선택하고, 정지 화상적 성질을 나타내는 각 블럭 내의 화상의 상태에 따라 결정되는 휘도 변경 허용 화소 중에서 상기 규칙으로 지정된 개수의 화소를 선택하여 그 선택 화소에 워터 마크 정보가 되는 휘도의 변경 처리를 실시한다.

Description

데이터에의 정보 매립 방법 및 장치{CONTROL METHOD AND APPARATUS FOR EMBEDDING INFORMATION IN DATA}
본 발명은 정보 매립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디지털화된 정지 화상 또는 동화상 등의 콘텐트 정보에 복사 제어 정보나 저작권 정보 등의 정보를 매립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화상이나 음악 등이 콘텐트가 디지털화되어, 기억 매체 또는 통신 네트워크를 거쳐 유통되어 왔다. 이와 같은 디지털화된 콘텐트 정보의 저작권을 보호하기 위해서, 콘텐트 정보에 인간의 시청각으로는 알 수 없을 정도의 변경을 가하는 형태로 복사 제어 정보나 저작권 정보를 매립함으로써, 데이터 처리 장치를 이용한 콘텐트 정보의 복사 회수의 제한, 또는 부정 복사된 콘텐트 정보로부터 저작권의 특정을 가능하게 하는 전자 워터 마크 (water mark) 기술이 중요시되고 있다.
전자 워터 마크 기술의 실용화에는, 다음의 두 개의 요구를 만족할 필요가 있다.
(1) 콘텐트 정보의 열화 억제:
예를 들면, 화상 데이터를 대상으로 한 전자 워터 마크 정보의 매립시, 화상에 부가된 변경이 콘텐트의 감상을 방해하지 않도록 할 것. 즉, 콘텐트 정보의 일부에 부가된 변경이 인간의 시청각에는 보이지 않도록 할 것.
(2) 내구성의 향상:
화상 처리나 음성 처리를 부가해도 매립 정보, 즉 콘텐트 정보에 부가된 변경이 열화하기 어려울 것.
상기 조건을 만족하기 위해서는, 콘텐트의 성질에 따라, 콘텐트의 변경 개소와 변경의 정도 또는 강도를 최적화할 필요가 있다. 이하, 콘텐트 정보로서 대표적인 화상을 예로 들어, 종래의 전자 워터 마크 기술을 분석한다.
화상 데이터의 경우, 일반적으로, 화상의 상태 변화가 비교적 평탄한 영역에서는, 화소 (픽셀)의 상태치 (휘도 또는 색)에 부적절한 변경을 부가하면, 변경 개소에 부자연스런 것이 보이게 된다. 그러나, 피사체의 에지 부분과 같이 화소치의 변경이 많은 부분에서는 화소에 비교적 큰 변경을 부가해도 인간의 눈에는 보이지 않다고 하는 성질이 있다. 이 성질에 착안하여, 예를 들면 정보 처리 학회 논문지, Vol.38, No.12, 1997, 제2640줄에서 2647줄에서는, 워터 마크 정보를 매립해야 하는 화상 프레임의 휘도 변경을 분석함으로써 피사체의 에지 부분을 특정하고, 화소치의 변경이 눈에 보이기 어려운 상기 에지 부분에는 큰 변경을 부가하고, 화소치의 변경이 눈에 보이는 경우에는 변경을 부가하지 않든지, 부가한다고 해도 변경의 정도를 작게 하는 에지 보존형 전자 워터 마크 기술이 제안되고 있다.
전자 워터 마크 정보의 매립 대상은 정지 화상에 한하지 않고, 동화상도 대상이 된다. 동화상 데이터는, 시계열적으로 배열된 복수의 정지 화상 프레임으로 구성되어 있고, 동화상의 감상중에 프레임의 송신을 중지함으로써 개별의 프레임을 정지 화상으로서 감상하는 경우가 있다.
상기 이유로부터, 동화상을 대상으로 한 전자 워터 마크 정보의 매립시에는, 화상치의 변경 개소가 정지 화상 상태에서도 동화상 상태에서도 눈에 보이지 않도록 할 필요가 있고, 정지 화상으로서의 성질과 동화상으로서의 성질의 양쪽을 고려하여, 변경 화소와 변경 정도를 최적화하는 것이 요망된다. 그러나, 동화상을 대상으로 한 전자 워터 마크 정보의 매립에 관한 종래 기술은, 예를 들면, 1995년 Symposium on Cryptography and Information Security, 31-G에서 보고된 방식에서는, 정지 화상으로서의 성질만이 고려되고 있다. 또, 1995년 Symposium on Cryptography and Information Security, 31-F에서 보고된 방식에서는, 동화상으로서의 성질만이 고려되고 있고, 정지 화상 성질과 동화상적 성질의 양쪽을 고려하여 화상치의 변경 개소와 변경 강도를 최적화한 예는 아직 제안되고 있지 않다.
또, 화상치 변경이 눈에 보이기 쉬운 것은, 예를 들면 휘도 변경과 같은 하나의 성질만으로 결정되는 것이 아니고, 색변경과 같이 휘도 이외의 설정에 의해서도 다르게 된다. 따라서, 정지 화상 또는 동 화상에 워터 마크 정보를 매립하는 경우, 이들 복수의 성질을 고려하여, 변경 개소와 변경의 정도, 즉 변경 강도를 최적화할 필요가 있지만, 종래의 전자 워터 마크 기술은 화상의 하나의 성질에 의존하여 화소치 변경을 최적화하고 있고, 복수의 성질을 고려한 최적화 기술은 제안도 공지도 되어 있지 않다.
본 발명의 제1 목적은, 워터 마크 정보의 매립 대상이 되는 콘텐트 정보가 구비된 복수의 성질에 기초하여 변경 개소 및/또는 변경 강도를 최적화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제2 목적은, 특히 동화상적 성질과 정지 화상적 성질의 양쪽에 기초하여 변경 개소 및/또는 변경 강도를 최적화한 동화상에의 워터 마크 정보 매립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제3 목적은 상기 정보 매립 방법을 실시하는 컴퓨터 프로그램과, 그 방법의 실시에 의해 얻어지는 콘텐트 정보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제1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1 형태에 의한 정보 매립 방법은, 워터 마크 정보의 매립 대상이 되는 콘텐트 정보가 구비된 정보의 성질에 대해서, 각각의 성질에 의존한 변경 개소와 변경 정도 중 적어도 하나를 구하는 단계와, 상기 각 성질에 의존하여 구해진 복수조의 변경 개소 및 변경 정도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상기 콘텐트 정보에 따라 상기 콘텐트의 분할인 서브 콘텐트 각각에 대해 한 조의 변경 개소와 변경 정도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선택된 변경 개소와 변경 정도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서, 상기 콘텐트 정보에 워터 마크 정보가 되는 변경을 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인 특징에서는, 상기 워터 마크 정보의 매립 대상이 되는 콘텐트 정보를 복수의 단계로 분할하고, 각 정보 블럭 마다 상기 복수조의 변경 개소 및 변경 정도 중 적어도 하나를 구하고, 상기 각 정보 블럭 마다 한 조의 변경 개소와 변경 정도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한다. 또, 상기 선택 단계에서는, 변경이 눈에 보이지 않는 것을 우선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면 성질 마다 선택한 복수조의 변경 개소에 대한 논리합(AND) 연산 결과를 최종적인 변경 개소로 하고, 변경 개소의 개수가 최소가 되도록 하면 좋다. 반대로, 변경 결과의 내구성을 우선하는 경우는, 성질 마다 선택한 복수조의 변경 개소의 논리합(OR) 연산 결과를 최종적인 변경 개소로 하고, 변경 개소의 수가 최대가 되도록 하면 좋다.
상기 제1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의한 정보 매립 방법은, 워터 마크 정보의 매립 대상이 되는 콘텐트 정보가 구비된 제1 성질에 의존하여 변경 개소 및/또는 변경 정도를 구하는 제1 단계와, 상기 콘텐트 정보가 구비된 상기 제1 성질과는 다른 제2 성질에 의존하여, 상기 제1 단계에서 구한 변경 개소 및/또는 변경 정도 중 적어도 일부를 수정하는 제2 단계와, 상기 수정된 변경 개소 및/또는 변경 정도에 따라서 상기 콘텐트 정보에 워터 마크 정보가 되는 변경을 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한 정보 매립 방법은, 워터 마크 정보의 매립 대상이 되는 콘텐트 정보가 구비된 제1 성질에 의존하여, 미리 준비된 복수의 규칙 중 하나를 선택하는 제1 단계와, 상기 콘텐트 정보가 구비된 제2 성질에 의존하여, 상기 콘텐트 정보의 변경 개소 후보를 구하는 제2 단계와, 상기 제1 단계에서 선택한 규칙에 기초하여 상기 변경 개소 후보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변경 개소를 선택하는 제3 단계와, 상기 선택된 변경 개소에서 상기 콘텐트 정보의 상태를 변경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복수의 규칙 각각을 상기 콘텐트 정보의 하나의 성질에 따라서 변경 개소 및/또는 변경 정도를 규정하는 내용으로 하고, 상기 콘텐트 정보의 다른 성질에 의존하여 선택된 하나의 규칙을 적용함으로써, 상기 콘텐트 정보가 구비한 복수의 성질을 고려한 형태로 변경 개소 및/또는 변경 정도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제2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복수의 정지 화상 프레임으로 구성된 동화상 데이터의 일부에 변경을 가함으로써 워터 마크 정보를 매립하는 정보 매립 방법은, 처리 대상이 되는 정지 화상 프레임으로부터 검출된 정지 화상적 성질에 의존하여 변경 개소와 변경 정도 중 적어도 하나의 후보를 구하는 제1 단계와, 상기 처리 대상이 되는 정지 화상 프레임과 다른 하나의 정지 화상 프레임에 포함되는 화상 간의 관계로부터 검출된 동화상적 성질에 의존하여, 변경 개소와 변경 정도 중 적어도 하나의 후보를 구하는 제2 단계와, 상기 제1 및 제2 단계에서 구한 복수의 변경 개소와 변경 정도 중 적어도 하나의 후보로부터 상기 정지 화상 프레임에 적용되는 변경 개소와 변경 정도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는 제3 단계와, 상기 선택된 변경 개소와 변경 정도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서, 상기 처리 대상이 되는 정지 화상 프레임에 워터 마크 정보가 되는 화소의 변경을 가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2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의하면, 복수의 정지 화상 프레임으로 구성된 동화상 데이터의 일부에 변경을 가함으로써 워터 마크 정보를 매립하는 정보 매립 방법은, 상기 각 정지 화상 프레임이 구비된 정지 화상적 성질에 의존하여 변경 개소와 변경 정도 중 적어도 하나를 구하는 제1 단계와, 상기 정지 화상 프레임 간의 관계로부터 구한 동화상적 성질에 의존하여, 상기 제1 단계에서 구한 변경 개소 및/또는 변경 정도 중 적어도 일부를 수정하는 제2 단계와, 상기 수정된 변경 개소와 변경 정도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서, 상기 정지 화상 프레임에 워터 마크 정보가 되는 화소 변경을 가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2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또 다른 형태에 의하면, 복수의 정지 화상 프레임으로 구성된 동화상 데이터의 일부에 변경을 가함으로써 워터 마크 정보를 매립하는 정보 매립 방법은, 처리 대상이 되는 정지 화상 프레임과 다른 하나의 정지 화상 프레임에 포함되는 화상 간의 관계로부터 검출된 동화상적 성질에 의존하여, 미리 준비한 복수의 규칙 중 하나를 선택하는 제1 단계와, 상기 처리 대상이 되는 정지 화상 프레임으로부터 검출된 정지 화상적 성질에 의존하여, 상기 선택 단계에서 선택된 규칙을 이용하여 상기 정지 화상 프레임에서의 변경 개소 및/또는 변경 정도를 구하는 제2 단계와, 상기 구해진 변경 개소 및/또는 변경 정도로 상기 정지 화상 프레임의 화소 상태를 변경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인 특징에서는, 상기 각 정지 화상을 복수의 화상 블럭으로 분할하고, 각 화상 블럭 마다 상술한 일련의 처리 단계를 실행한다. 또, 정지 화상적 성질로서는, 예를 들면 각 정지 화상 프레임 내 또는 각 화상 블럭 내의 휘도의 변동을 고려하면 좋다. 동화상적 성질로서는, 동화상의 이동량, 즉 정지 화상 프레임 간의 이동 벡터의 크기를 고려하면 좋다.
본 발명에 의한 정보 매립 장치는, 상술한 각 단계를 프로그램 처리에 의해 실행하는 프로세서와, 처리 대상이 되는 콘텐트 정보와 그 외 데이터를 격납하기 위한 기억 장치를 포함한다. 이 구체적인 구성은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예에 의해 한 층 명확하게 된다.
본 발명의 그 외 목적, 특성 및 장점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다음의 실시예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자 워터 마크 정보 매립을 실시하기 위한 하드웨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전자 워터 마크 정보 매립을 나타내는 기능 블럭도.
도 3은 도 2에서의 정지 화상 간 이동 검출 루틴(22)의 상세를 나타내는 플로우챠트.
도 4는 정지 화상간 이동 검출 루틴(22)에 의한 블럭 마다의 이동 검출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도 2에서의 규칙 선택 루틴(23)이 구비된 규칙 선택의 판정 기준을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정보 매립 규칙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도 2에서의 변경 개소 결정 루틴(24)의 상세를 나타내는 플로우챠트.
도 8은 정보 매립 규칙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전자 워터 마크 정보 매립을 나타내는 기능 블럭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전자 워터 마크 정보 매립을 나타내는 기능 블럭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간단한 설명>
1 : 동화상 데이터
2 : 중앙 처리 장치
3 : 기억 장치
20 : 제어 루틴
22 : 정지 화상 간 이동 검출 루틴
23 : 규칙 선택 루틴
24 : 변경 개소 결정 루틴
25 : 화소 상태의 변경 루틴
31 : 동화상 파일
32 : 규칙 파일
33 : 사용 규칙 파일
34 : 매립 정보 파일
35 : 정보 매립 동화상 파일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콘텐트 정보로서 화상을 고려한다. 동화상 데이터는 시계열적인 복수의 정지화상 프레임으로 구성되어 있고, 각 정지 화상 프레임 화소의 일부에 변경을 가함으로써, 동화상에 워터 마크 정보를 매립할 수 있다. 이하에 기술한 실시예에서는, 각 정지화상 프레임으로부터 선택된 특정의 화소에 대해, 인간의 눈에 위화감을 주지 않는 범위에서 변경한다. 이들 변경은 인간의 눈에 의해 판독 불가능한 상태로 하여 보안을 확보하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워터 마크 정보의 매립을 실시하기 위한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내고, 인용 부호 1은, 워터 마크 정보의 매립 대상이 되는 동화상 데이터, 워터 마크 정보, 후술하는 각종 규칙 등의 데이터를 입력하고, 워터 마크 정보가 매립된 동화상을 출력하기 위한 입출력 장치, 2는 중앙 처리 장치 (프로세서), 3은 상기 입출력 장치로부터 입력된 동화상 데이터나 워터 마크 정보가 매립된 동화상 데이터를 축적하기 위한 기억 장치를 나타낸다. 상기 기억 장치(3)는 워터 마크 정보의 매립 장치에 필요한 동화상 데이터 이외에, 중앙 처리 장치가 이용하는 각종 데이터, 규칙, 프로그램 등의 축적에도 이용된다. 실제의 응용에서는, 프로그램이나 계산기 데이터를 축적하기 위한 기억 장치는, 큰 기억 용량을 요하는 화상 축적용 기억 장치와는 별개로 준비되지만, 여기에서는 간단화하기 위해 하나의 기억 장치로서 나타내고 있다.
중앙 처리 장치(2)는 동화상을 구성하는 각각의 정지 화상 프레임에 대해 시간축상에서 소정 프레임이 벗어나 나타나는 후속 프레임과 비교함으로써 피사체의 이동, 즉 동화상으로서의 성질을 검출하고, 각 프레임의 화상이 구비된 정지 화상으로서의 성질과, 상기 이동 검출로 얻어진 동화상적 성질의 양쪽에 기초하여 워터 마크 정보의 매립 위치의 선택과 그 위치의 화소치의 변경량을 결정한다.
도 2는 상기 중앙 처리 장치(2)가 실행하는 프로그램 동작을 통해 실현되는 본 발명의 전자 워터 마크 정보 매립의 제1 실시예를 기능 블럭도로 나타낸다.
기능 블럭(20∼25)은 상기 중앙 처리 장치(2)가 실행하는 처리 루틴 즉 프로그램, 기능 블럭(31∼35)은 기억 장치(3) 내에 형성된 데이터 파일을 나타내고 있고, 예를 들면 31은 복수의 정지 화상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동화상 데이터가 격납된 동화상 파일, 32는 도 5에서 예시한 복수의 규칙을 기억하기 위한 규칙 파일, 33은 상기 각 정지 화상 프레임을 분할하여 얻어지는 소정 사이즈의 화상 블럭 마다 적용해야 할 규칙을 기억하기 위한 사용 규칙 파일, 34는 동화상을 구성하는 각 정지 화상에 매립해야 할 워터 마크 정보를 기억하기 위한 매립 정보 파일, 35는 워터 마크 정보가 매립된 동화상 데이터를 격납하기 위한 정보 매립 동화상 파일이다.
또, 21은 유저에 의해 입출력 장치(1)로부터 입력된 예를 들면 DVD 기록이나 서버로부터 배달된 규칙 데이터, 워터 마크 정보를 각각 상기 파일(31, 32, 34)에 기입하면서, 유저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정보 매립 화상 파일(35)로부터 워터 마크 정보 매립 완료 동화상 데이터를 판독하고, 이를 입출력 장치(1)의 표시 화면에 출력하기 위한 입출력 루틴이고, 20은 상기 입출력 루틴과, 동화상을 구성하는 각 정지 화상 프레임 마다 후술하는 정지 화상 간 이동 검출 루틴(22), 규칙 선택 루틴(23), 변경 개소 결정 루틴(24) 및 화소 상태의 변경 루틴(25)을 순차적으로 기동하여 워터 마크 정보의 매립을 실현하는 제어 루틴을 나타낸다.
정지 화상 간 이동 검출 루틴(22)은 워터 마크 정보의 매립 대상으로서 주목중인 각 정지 화상 (이하, 주목 프레임이라고 함)에 대해 시간축 상에서 K 프레임 후 (K는 양의 정수)에 나타나는 정지 화상 (이하, 참조 프레임이라고 함)과 비교하여, 상기 주목 프레임 중에 포함되는 피사체의 이동을 검출한다. 이 이동 검출 처리는, 도 3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주목 프레임을 소정 사이즈, 예를 들면 16 화소×8화소(=128화소)의 복수의 화상 블럭으로 분할되고, 각 화상 블럭 마다 참조 블럭 간의 이동 벡터를 구한다. 여기에서 참조 프레임은 본래 방향이어도 과거 방향이어도 좋다. 주목 프레임과 참조 프레임 사이의 프레임 간격을 나타내는 파라미터 K의 값 (예를 들면, K=10)은 본 시스템의 이용자가 임의로 지정할 수 있다.
규칙 선택 루틴(23)은 정지 화상 간 이동 검출 루틴(22)으로부터, 각 화상 블럭 마다의 이동 벡터를 수신하고, 이 이동 벡터의 크기에 따라서, 규칙 집합 파일(32)에 기억되어 있는 복수의 규칙 중 하나를 선택하고, 블럭별 적용 규칙으로서 사용 규칙 파일(33)에 기억된다. 예를 들면, 이동 벡터의 크기를 보고, 도 6과 같은 규칙 테이블을 참조하여 해당 규칙을 선택하여 사용 규칙 파일(33)에 들어간다.
변경 개소 결정 루틴(24)은 도 7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주목 프레임에 포함되는 정지 화상을 분석하고, 각 화상 블럭 마다의 변경 용이도를 구한 후, 상기 변경 용이도와 사용 규칙 파일(33)로부터 취출한 적용 규칙에 따라서, 주목 프레임 내의 각 화상 블럭 마다의 휘도 변경 개소 (화소)와 변경량을 결정한다.
변경 루틴(25)은 상기 변경 개소 결정 루틴(24)로부터 주목 프레임의 각 화상 블럭 마다의 휘도 변경 개소 (화소)와 변경량을 받아, 삽입 정보 파일(34)에서 지정된 워터 마크 정보(비트)에 따라서, 상기 화상 블럭 내의 지정 화소의 상태 (휘도)를 변경한다.
예를 들면, 상기 동화상을 구성하는 각 정지 화상이 720×480 화소로 이루어진 경우, 이를 16×8 화소 단위로 분할하면, 1프레임이 45×60(=2700)개의 블럭으로 분할된다. 상기 프레임에 매립된 워터 마크 정보를 6비트 정보 (수치 0∼63로 표시되는 64 종류의 문자 코드)로 한 경우, 각 비트에 450개의 블럭을 할당할 수 있다.
하나의 프레임을 구성하는 상기 2700개의 블럭을 N개의 문자 코드와 대응한 N 그룹으로 분할하고, 각 블럭 내에서 2700/N개의 블럭을 상기 6비트 정보로 할당하면 1 비트당 450/N 개의 블럭을 할당할 수 있다.
워터 마크 정보를 구성하는 비트 패턴의 각 비트를 정지 화상 프레임 내의 서로 이산된 위치 관계에 있는 복수의 화상 블럭과 미리 대응하여 두고, 예를 들면 어느 비트 위치에 비트 정보 "1"를 기입하는 경우는, 상기 비트 위치와 대응한 복수의 화상 블럭에서, 상기 변경 개소 결정 루틴(24)이 지정하는 화상 위치에서 휘도를 지정량 만큼 밝게 하고, 비트 정보 "0"를 기입하는 경우는, 상기 결정 루틴(24)이 지정하는 화소 위치에서 휘도를 지정량 만큼 어둡게 함으로써, 각 프레임에 N개의 문자 코드를 워터 마크 정보로서 매립할 수 있다.
프레임 내의 화상의 상태에 따라서는, 휘도의 변경이 허여되지 않는 블럭에서도 나오지만, 각 비트에 블럭 내에서 서로 이산된 위치 관계에 있는 복수의 화상 블럭을 할당하여 두면, 확률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블럭에서 휘도 변경이 가능하게 되고, 워터 마크 정보를 확실하게 삽입할 수 있다.
상술한 화상 블럭과 비트 정보와의 대응 관계는, 그 관계를 미리 파일화하여 삽입 정보 파일(35)에 기억하여 두고, 변경 루틴(25)이 상기 삽입 정보 파일(35)을 참조함으로써 각 파일 마다의 기입 정보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하여 둔다.
또, 워터 마크 정보는 상기 6비트 정보 대신에 임의 비트, 예를 들면 8비트 정보를 적용하여도 좋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각 비트와 화상 블럭을 대응하는 대신에, 예를 들면 상기 6비트 정보로 표기할 수 있는 64종류의 각 문자 코드와 화상 블럭을 대응하여 두고, 문자 코드의 유무에 따라서 대응하는 화상 블럭의 화소 상태를 변화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각 화소의 휘도 상태가 예를 들면 0∼127의 128 계조인 경우, 변경 개소로서 지정된 각 화소에 대해서, 휘도의 계조를 지정량만큼 변경하는 대신에, 각 화소의 휘도 변경은 1계조로 고정하여, 휘도 변경하는 화소수를 상기 지정량에 따라서 가변으로 하도록 해도 좋다.
도 3은 정지 화상 간 이동 검출 루틴(22)의 상세 플로우 챠트를 나타낸다.
여기에서 필요로 하는 이동 검출은 예를 들면 닛께이 BP 출판 센터 발행의 「디지털 화상 압축의 기초」, pp44-47, 1996년에 나타낸 공지의 기술에 의해 실현할 수 있다. 이동 검출의 결과는, 이동 벡터와 피사체 화상의 차분의 최소 이승합으로 나타내고, 이들 양쪽의 값을 사용함으로써 화상의 이동에 따른 정밀한 정보 삽입 제어가 가능하게 되지만, 설명을 간략화하기 위해서 여기에서는 이동 검출 결과를 이동 벡터로 대표시켜, 최소 이승합에 대해서는 생략한 설명으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이동 검출은 이동 벡터 만으로 한정해야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동화상 파일(31)로부터 주목 프레임으로부터 K 프레임 만큼 뒤에 위치한 후 프레임을 참조프레임으로서 취출하고 (단계 221), 주목 프레임을 16화소×8화소의 블럭으로 분할한다(단계 222). 상기 주목 프레임의 최초 블럭에 주목하고(단계 223), 주목 블럭과 상기 후 프레임 사이의 이동을 검출하고, 구한 이동 벡터를 규칙 선택 루틴(23)에 도입한다(단계 224). 다음에, 주목 프레임의 전 분할 블럭을 처리할지의 여부를 판정하고(단계 225), 전 분할 블럭을 처리 완료의 경우는 이 루틴을 종료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는, 다음의 블럭을 주목 블럭으로 하여(단계 226), 이동 벡터 검출 단계 224를 반복한다.
상기 정지 화상 간 이동 검출의 결과, 도 4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주목 프레임의 각 블럭(220a)과 대응하여 이동 벡터(220b)를 나타내는 이동 벡터 테이블(220)이 형성되고, 그 내용이 검출 루틴(22)으로부터 규칙 선택 테이블(23)에 부여된다.
규칙 선택 루틴(23)은 예를 들면 도 5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이동 벡터의 크기에 따라 선택해야 할 워터 마크 강도 지정 테이블을 특정하는 복수의 판정 기준 R1, R2, R3..를 갖고, 주목 프레임 내의 각 블럭 마다 상기 이동 검출 루틴(22)에서 검출된 이동 벡터량(절대치)과 대응한 규칙(도 5)을 상기 규칙 집합 파일(32)로부터 취출하고, 화상 블럭과 대응시켜 사용 규칙 파일(33)에 기억한다.
규칙 집합 파일(32)에 준비된 규칙 (강도 지정 테이블; 320)은 예를 들면 도 6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정지 화상에서의 블럭의 변경 용이도(320a)와 블럭 내 변경율(320b)의 관계를 정의하고 있다. 상기 변경 용이도(320a)는 각 블럭 마다에 어느 정도 까지 휘도 변경해도 눈에 보이지 않는지를 나타내고 있고, 여기에서는, 각 블럭에서 허용되는 휘도 변경량의 1화소 당 평균치, 즉 1화소당 전술한 128 계조 중 어느 계조 만큼의 휘도 변경이 허용되는지로 나타낸다. 또, 상기 블럭내 변경율(320b)은 1 블럭 내의 몇 %의 화소 (픽셀)를 변경할지를 나타낸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정지 화상 프레임의 하나의 블럭에서 상태 변경 가능한 화소 후보가 복수개 보인 경우, 이들 복수개의 화소 후보 중에서 상기 변경율로 지저된 개수의 화소가 휘도 변경의 대상 화소로서 선택된다. 따라서, 상기 변경율은 변경 화소의 위치와 블럭 내에서의 화소의 변경 정도를 동시에 지정하고 있다.
판정 기준 R1, R2, R3...은 이동 벡터가 큰 블럭일수록, 동일한 용이도에 대하여 블럭내 변경율이 높은 규칙을 적용하도록, 이동 벡터와 규칙과의 관계 (강도 지정 테이블(320))을 기술하고 있다.
도 7은 변경 개소 결정 루틴(24)의 상세 플로우챠트를 나타낸다.
먼저, 주목 프레임의 각 블럭에 대해, 예를 들면 다음의 순서로, 변경 용이도를 구한다(단계 241). 각 주목 프레임에 대해서 예를 들면 전자 정보 통신 학회 논문지 D-2, 제J79-D-2권, 제8호, 제1347-1353줄에 기재된 특성을 갖는 화상 필터링에 의하고, 인간의 눈에는 지각할 수 없는, 콘텐트의 참조에 방해가 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의 노이즈 제거(화소치 변경) 처리를 실시하고, 필터링 후의 화상과 원래의 화상과의 차를 얻음으로써, 변경량을 나타내는 화상 데이터 (이하, 차 화상 프레임이라고 함)을 생성한다. 상기 필터링은 콘텐트의 참조에 방해가 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의 화상 처리이기 때문에, 상기 차 화상 프레임은 주목 프레임에 대해 허용되는 화소치 변경의 후보 위치와 변경량을 나타내고 있다. 여기에서, 상기 차 화상 프레임을 주목 프레임과 동일하게 복수의 블럭으로 분할하고, 각 블럭 마다 화소치 (휘도의 변경량)의 누적치를 구하고, 이것을 블럭 화소수로 분할함으로써, 각 블럭의 1화소당 평균적인 휘도 변경량, 즉 도 6에서 나타낸 변경 용이도(320a)를 구한다.
다음에, 상기 차 프레임의 각 블럭에서, 화소치가 큰 화소 (픽셀)부터 순서대로 화소를 선택함으로써 픽셀의 변경 용이 순서를 구한다(단계 242). 블럭 내의 두 개의 화소 p1, p2에 대해 동일한 휘도량으로 변경을 가한 경우, 만약 p1 쪽이 p2보다도 변경 용이 순서라 높으면, p1 쪽이 p2 보다 휘도 변경이 눈에 띄지 않는다.
이 상태에서, 주목 프레임의 최초 블럭에 주목하여 (단계 243), 사용 규제 파일(33)로부터 상기 주목 블럭과 대응하는 규칙 (테이블(320))을 판독하고, 상기 규칙에 따라 상기 단계 241에서 이미 산출한 최초의 블럭의 변경 용이도(320a)와 대응하는 블럭내 변경율(320b)를 구한다(단계 244). 이에 의해, 상기 주목 블럭 내의 128개의 픽셀 중 어느 픽셀을 변경할지를 결정한다. 다음에, 상기 주목 블럭의 128개의 픽셀 중에서, 단계 242에서 구한 변경 용이 순서가 높은 것부터 순서대로, 상기 블럭 내 변경률(320b)에서 나타낸 개수의 픽셀을 선택하여, 변경 루틴(25)에 지시한다(단계 245). 그 후, 주목 프레임의 모든 블럭에 대해서 처리 완료의 여부를 판정하고(단계 246), 전 블럭을 처리 완료한 경우에는 그 루틴을 종료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는 주목 프레임 내의 다음 블럭을 주목 블럭으로 하여(단계 247), 변경율 결정 단계(244)으로 되돌아간다.
변경 루틴(25)에서는, 삽입 정보 파일(34)을 참조하여 상기 주목 블럭에 기입해야 할 워터 마크 정보를 특정하고, 상기 주목 블럭 내의 128개의 픽셀 중 상기 변경 개소 결정 루틴(24)로부터 지시된 픽셀에 대해 상기 워터 마크 정보에 대응한 휘도 변경을 행한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픽셀의 휘도의 변경량을 1계조로 고정하고, 주목 블럭 내에서의 휘도 변경 픽셀의 개수를 변경시킴으로써, 변경량을 제어하고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각 픽셀의 휘도 변경을 가변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동화상을 구성하는 정지 화상 프레임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이동 벡터 (동화상적 성질)에 의존하여 적용 규칙을 선택하고, 정지 화상 프레임 내의 각 블럭에 포함되는 피사체의 상태 (정지 화상적 성질)에 의존하여 결정되는 휘도 변경 가능한 픽셀군 중에서 휘도 변경해야 할 픽셀을 상기 적용 규칙에 기초하여 결정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워터 마크 정보를 삽입하기 위한 화소 상태의 변경 위치 및 변경량의 결정시, 동화상과 정지 화상의 양 쪽의 성질을 반영시켜 두고, 화질 열화를 억제하여 정보의 내성을 향상한 워터 마크 정보의 매립이 가능하게 된다.
도 8은 도 6에 나타낸 규칙(320)의 변경예를 나타낸다.
이 예에서는, 블럭의 변경 용이도(320a)와 대응하여, 블럭 내 변경율(320b) 외에, 픽셀 마다의 휘도 변경량(320c)를 정의하여 둠으로써, 휘도 변경이 눈에 보이지 않는 이동이 있는 프레임에서는, 변경 픽셀수를 증가시키는 것만이 아니라, 개별의 픽셀의 변경량도 증가한 형태로 워터 마크 정보가 매립되도록 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전자 워터 마크 정보 매립의 제2 실시예를 기능 블럭 도로 나타낸다.
기능 블럭(20∼28)은 중앙 처리 장치(2)가 실행하는 처리 루틴(프로그램), 기능 블럭(31∼37)은 기억 장치(3) 내에 형성된 데이터 파일을 나타내고 있고, 도 2에서 설명한 제1 실시예와 공통하는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혀 둔다. 제1 실시예에서는, 규칙 집합 파일(32)에 복수의 규칙을 준비하고, 주목 프레임의 각 블럭 마다 이동 벡터에 따라 적용 규칙을 선택하도록 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모든 블럭에 대해 미리 사용 규칙 파일(33)에 격납하여 둔 하나의 규칙(320)을 적용한다.
변경율 1의 결정 루틴(26)은 정지 화상 간의 이동 검출 루틴(22)으로부터 받은 주목 프레임 내의 각 블럭의 이동 벡터의 크기에 의존하여, 주목 블럭 마다의 블럭 내 변경율을 결정하고, 그 결과를 변경율 1 파일(36A)에 기억시킨다. 상기 블럭 내 변경율의 결정은 이동 벡터가 커짐에 따라 변경율이 높게 되도록 미리 이동 벡터의 크기와 변경률의 관계를 정의한 변환 테이블을 참조함으로써 실현할 수 있다.
정지 화상 분석 루틴(27)은 도 2에서 설명한 변경 개소와 양의 결정 루틴(24)과 동일한 처리에 의해 각 블럭의 변경 용이도(320a)를 산출하고, 사용 규칙 파일(33)에 준비된 규칙(320)에 따라 주목 블럭 내의 변경율(320b)을 결정하고, 그 결과를 변경율 2 파일(36B)에 기억시킨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와 같이 동일한 주목 블럭에 대해서, 동화상적 성질인 이동 벡터에 따라서 결정한 변경율 1과, 정지 화상적 성질인 변경 용이도에 따라 결정한 변경율 2 중 한쪽을, 변경율 결정 루틴(28)에 의해 선택한다. 변경율 결정 루틴(28)은, 예를 들면 휘도 변경 후의 화질을 우선으로 한 경우, 이를 위해, 상기 두 개의 변경율 중 값이 작은 쪽을 선택하여, 이를 변경율 파일(37)에 기억한다. 만약, 매립 후의 워터 마크 정보의 내성을 우선한 경우는, 상기 두 개의 변경율 중 값이 큰 쪽을 선택하면 좋다.
변경 개소 결정 루틴(24')은 제1 실시예에서의 변경 개소 결정 루틴(24)과 동일한 방법으로, 주목 블럭 내의 휘도 변경 가능 픽셀을 구하고, 사용 규칙 파일(33)의 적용 규칙 대신에, 상기 변경율 파일(37)에 설정된 변경율을 사용하여, 변경 용이 순서가 높은 픽셀부터 순서대로 소정 개수의 픽셀을 선택하여, 이를 휘도 변경의 대상 픽셀로서 변경 루틴(25)에 통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실시예는, 동화상적 성질인 이동 벡터에 의해 결정된 제1 변경율과, 정지화상적 성질인 화상 상태에 의해 결정된 제2 변경율 중 한 쪽을 선택적으로 사용함으로써, 화질 열화의 억제와 정보의 내성을 향상한 워터 마크 정보의 매립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전자 워터 마크 정보 매립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내는 기능 블럭도이다.
기능 블럭(20∼29)은 중앙 처리 장치(2)가 실행하는 처리 루틴(프로그램), 기능 블럭(31∼37)은 기억 장치(3) 내에 형성된 데이터 파일을 나타내고 있고, 도 2, 도 9에서 설명한 제1, 제2 실시예와 공통하는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힌다.
정지 화상 분석 루틴(27)은 제2 실시예와 동일하게, 프레임의 정지 화상적 성질에 기초하여, 각 블럭 마다의 변경율을 결정하고, 변경율 2 파일(36B)에 기억한다. 변경율 조정 루틴(29)은 정지 화상 간 이동 검출 루틴(22)으로부터 받은 각 블럭 마다의 이동 벡터에 의존하여, 상기 변경율 2 파일(36B)로부터 판독한 변경율 2의 값을 증감하고, 적용 변경율로서 변경율 파일(37)에 기억한다. 변경 개소 결정 루틴(24')는 상기 변경율 파일(37)에 기억된 변경율을 적용하여, 제2 실시예와 동일하게 휘도 변경의 대상 픽셀을 결정하여, 이를 변경 루틴(25)에 통지한다.
상기 제3 실시예에서는, 정지 화상적 성질에 의해 결정된 변경율 2를 동화상적 성질인 이동 벡터에 따라서 조정함으로써, 최종적인 적용 변경율을 구하고, 휘도 변경 픽셀을 결정하고 있다.
이상의 제1 내지 제3 실시예에서는, 동화상을 대상으로 하여, 동화상적 성질과 정지 화상적 성질 양쪽을 반영하여, 워터 마크 정보의 매립 위치를 결정하는 정보의 매립 방법에 대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으 아니고, 예를 들면 정지 화상을 대상으로 한 워터 마크 정보의 매립시의 휘도 변동과 색 변동과 같이, 콘텐트가 구비된 다른 두 개의 성질에 기초하여 정보의 매립 위치를 결정하는 다른 실시예, 음성으로 대표되는 화상 이외의 다른 콘텐트에도 적용 가능하다. 상기 각 실시예에서의 워터 마크 정보 매립 실행 프로그램(루틴)은 반도체 메모리, CD-ROM, 광 메모리와 같은 기록 매체에 격납될 수 있다. 대신에 이 프로그램은 외부의 소스로부터 네트워크와 같은 전송 매체를 통해 본 실시 장치의 메모리에 로드될 수 있다. 또, 상술한 각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방법이 중앙 처리 장치(2)에 의한 소프트웨어(루틴(20∼29)의 실행에 의해 실현되고 있지만, 이들의 소프트웨어가 갖는 기능의 일부는 전용화된 하드웨어로 실현해도 좋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특징은 상기 실시예에 특정된 워터 마크 정보 매립 방법에 따라서, 정지 화상 데이터, 동화상 데이터, 음성 데이터와 같은 콘텐트 정보에 매립된 워터 마크 정보를 기록한 CD나 DVD와 같은 콘텐트 매체를 포함한다. 워터 마크 정보는 콘텐트의 복사 금지, 한번 복사 허가, 또 콘텐트의 사용 특약 등의 콘텐트 관리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특정된 매립 정보를 포함하는 콘텐트는 배달원으로부터 전송 매체를 거쳐 배달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콘텐트가 구비된 복수의 성질에 기초하여, 상태의 변경 개소 및/또는 변경 정도를 최적화함으로써, 화질, 음질과 같은 콘텐트 가치의 열화를 억제하고, 매립 정보의 내구성을 높인 워터 마크 정보의 매립이 가능하게 된다. 또, 본 발명을 시계열적으로 배열된 복수의 정지 화상 프레임으로 구성된 동화상 데이터에 적용한 경우, 화소 상태의 변경 개소 및/또는 변경양을 최적화할 수 있기 때문에, 화질의 열화를 표면화하지 않고, 내구성 있는 워터 마크 정보의 매립이 가능하게 된다.

Claims (22)

  1. 워터 마크 정보의 매립 대상이 되는 콘텐트 정보가 구비된 복수의 성질에 대해, 각각의 성질에 의존한 상태의 변경 개소와 변경 정도 중 적어도 하나를 구하는 단계와;
    상기 각 성질에 의존하여 구해진 복수조의 변경 개소 및 변경 정도 중 적어도 하나 중에서, 상기 콘텐트 정보에 따라 분할 콘텐트 정보를 나타내는 서브콘텐트 정보 각각에 대해 적용되는 하나의 변경 개소와 하나의 변경 정도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선택된 변경 개소와 변경 정도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서, 상기 콘텐트 정보에 워터 마크 정보가 되는 변경을 가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정보 매립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워터 마크 정보의 매립 대상이 되는 콘텐트 정보를 복수의 블럭으로 분할하고, 각 정보 블럭 마다 상기 복수조의 변경 개소 및 변경 정도를 구하고, 상기 각 정보 블럭 마다 그 블럭의 콘텐트 정보에 따라 한 조의 변경 개소와 변경 정도를 선택하는 정보 매립 방법.
  3. 워터 마크 정보의 매립 대상이 되는 콘텐트 정보가 구비된 제1 성질에 의존하여 변경 개소와 변경 정도 중 적어도 하나를 구하는 제1 단계와;
    상기 콘텐트 정보가 구비된 상기 제1 성질과는 다른 제2 성질에 의존하여, 상기 제1 단계에서 구한 변경 개소 및/또는 변경 정도 중 적어도 일부를 수정하는 제2 단계와;
    상기 수정된 변경 개소와 변경 정도에 따라서, 상기 콘텐트 정보에 워터 마크 정보가 되는 변경을 가하는 제3 단계
    를 포함하는 정보 매립 방법.
  4. 워터 마크 정보의 매립 대상이 되는 콘텐트 정보가 구비된 제1 성질에 의존하여, 미리 준비된 복수의 규칙 중 하나를 선택하는 제1 단계와;
    상기 콘텐트 정보가 구비된 제2 성질에 의존하여, 상기 콘텐트 정보의 변경 개소 후보를 구하는 제2 단계와;
    상기 변경 개소 후보 중에서 상기 제1 단계에서 선택한 규칙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변경 개소를 선택하는 제3 단계와;
    상기 선택된 변경 개소에서 상기 콘텐트 정보의 상태를 변경하는 제4 단계
    를 포함하는 정보 매립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워터 마크 정보의 매립 대상이 되는 콘텐트 정보를 복수의 블럭으로 분할하고, 각 정보 블럭 마다 상기 복수의 규칙 중 하나를 선택하고, 상기 각 정보 블럭 마다 상기 변경 개소 후보를 구하고, 상기 선택된 규칙에 따른 변경 개소의 선택을 행하는 정보 매립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규칙이 상기 콘텐트 정보의 변경의 용이도를 나타내는 제1 파라미터와 변경율의 관계를 정의하고 있고,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제2 단계에서 구해진 변경 개소 후보에 기초하여 상기 변경의 용이도를 나타내는 제1 파라미터 값을 산출하고, 상기 변경 개소 후보 중에서 상기 선택된 규칙이 나타내는 상기 제1 파라미터값과 대응하는 변경율에 따른 개수의 변경 개소를 선택하는 정보 매립 방법.
  7. 복수의 정지 화상 프레임으로 구성된 동화상 데이터의 일부에 변경을 가함으로써 워터 마크 정보를 매립하는 정보 매립 방법에 있어서,
    처리 대상이 되는 정지 화상 프레임으로부터 검출된 정지 화상적 성질에 의존하여 변경 개소와 변경 정도 중 적어도 하나의 후보를 구하는 제1 단계와;
    상기 처리 대상이 되는 정지 화상 프레임과 다른 하나의 정지 화상 프레임에 포함되는 화상 간의 관계로부터 검출된 동화상적 성질에 의존하여, 변경 개소와 변경 정도 중 적어도 하나의 후보를 구하는 제2 단계와;
    상기 제1 및 제2 단계에서 구한 복수의 변경 개소와 변경 정도 중 적어도 하나의 후보로부터 상기 정지 화상 프레임에 적용되는 변경 개소와 변경 정도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는 제3 단계와;
    상기 선택된 변경 개소와 변경 정도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서, 상기 처리 대상이 되는 정지 화상 프레임에 워터 마크 정보가 되는 화소의 변경을 가하는 제4 단계
    를 포함하는 정보 매립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각 정지 화상 프레임을 복수의 화상 블럭으로 분할하고, 각 화상 블럭 마다 상기 제1, 제2, 제3, 제4 단계를 실행하는 정보 매립 방법.
  9. 복수의 정지 화상 프레임으로 구성된 동화상 데이터의 일부에 변경을 가함으로써 워터 마크 정보를 매립하는 정보 매립 방법에 있어서,
    상기 각 정지 화상 프레임이 구비된 정지 화상적 성질에 의존하여 변경 개소와 변경 정도 중 적어도 하나를 구하는 제1 단계와;
    상기 정지 화상 프레임 간의 관계로부터 구한 동화상적 성질에 의존하여, 상기 제1 단계에서 구한 변경 개소 및/또는 변경 정도 중 적어도 일부를 수정하는 제2 단계와;
    상기 수정된 변경 개소와 변경 정도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서, 상기 정지 화상 프레임에 워터 마크 정보가 되는 화소 변경을 가하는 제3 단계
    를 포함하는 정보 매립 방법.
  10. 복수의 정지 화상 프레임으로 구성된 동화상 데이터의 일부에 변경을 가함으로써 워터 마크 정보를 매립하는 정보 매립 방법에 있어서,
    처리 대상이 되는 정지 화상 프레임과 다른 하나의 정지 화상 프레임에 포함되는 화상 간의 관계로부터 검출된 동화상적 성질에 의존하여, 미리 준비한 복수의 규칙 중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처리 대상이 되는 정지 화상 프레임으로부터 검출된 정지 화상적 성질에 의존하여, 상기 선택 단계에서 선택된 규칙을 이용하여 상기 정지 화상 프레임에서의 변경 개소 및/또는 변경 정도를 구하는 단계와;
    상기 구해진 변경 개소 및/또는 변경 정도로 상기 정지 화상 프레임의 화소 상태를 변경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정보 매립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각 정지 화상 프레임을 복수의 화상 블럭으로 분할하고, 각 화상 블럭 마다 상기 복수의 규칙 중 하나를 선택하고, 상기 각 화상 블럭 마다 상기 변경 개소 후보를 구하고, 상기 선택된 규칙에 따른 변경 개소의 선택을 행하는 정보 매립 방법.
  12. 워터 마크 정보의 매립 대상이 되는 콘텐트 정보가 구비된 복수의 성질에 대해, 각각의 성질에 의존한 상태 변경 개소와 변경 정도 중 적어도 하나를 구하기 위한 수단과,
    상기 각 성질에 의존하여 구해진 복수조의 변경 개소 및 변경 정도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상기 콘텐트 정보에 따라 상기 콘텐트 정보에 적용되는 하나의 변경 개소와 변경 정도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수단과,
    상기 선택된 변경 개소와 변경 정도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서, 상기 콘텐트 정보에 워터 마크 정보가 되는 변경을 가하기 위한 수단
    을 포함하는 정보 매립 장치.
  13. 복수의 정지 화상 프레임으로 구성된 동화상 데이터의 일부에 변경을 가함으로써 워터 마크 정보를 매립하는 정보 매립 방법에 있어서,
    처리 대상이 되는 정지 화상 프레임과 다른 하나의 정지 화상 프레임에 포함되는 화상간의 관계로부터 검출된 동화상적 성질에 기초하여, 미리 준비한 복수의 규칙 중에서 후보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처리 대상이 되는 정지 화상 프레임으로부터 검출된 정지 화상적 성질에 기초하여, 상기 정지 화상 프레임에서의 변경 개소 및/또는 변경 정도 후보를 구하는 단계;
    상기 선택 규칙 후보를 이용하여 상기 구해진 변경 개소 및/또는 변경 정도 후보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변경 개소 및/또는 변경 정도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변경 개소 및/또는 변경 정도로 상기 정지 화상 프레임의 화소 상태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보 매립 방법.
  14. 제1항에 따른 방법에 의해 얻어진 워터 마크 정보 매립 콘텐트 정보를 저장하는 축적 매체.
  15. 제9항에 따른 방법에 의해 얻어진 워터 마크 정보 매립 콘텐트 정보를 저장하는 축적 매체.
  16. 제10항에 따른 방법에 의해 얻어진 워터 마크 매립 콘텐트 정보를 저장하는 축적 매체.
  17. 제1항에 따른 방법에 의해 생성된 워터 마크 정보를 포함하는, 재생 판독 가능 매체 상의 콘텐트 정보.
  18. 제9항에 따른 방법에 의해 생성된 워터 마크 정보를 포함하는, 재생 판독 가능 매체 상의 콘텐트 정보.
  19. 제10항에 따른 방법에 의해 생성된 워터 마크 정보를 포함하는, 재생 판독 가능 매체 상의 콘텐트 정보.
  20. 콘텐트 정보에 워터 마크 정보를 매립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 상의 컴퓨터 프로그램에 있어서,
    상기 콘텐트 정보가 구비한 복수의 성질 각각에 의존한 상태의 변경 개소와 변경 정도 중 적어도 하나를 구하기 위한 프로그램 섹션과;
    상기 각 성질에 의존하여 구해진 복수의 변경 개소와 변경 정도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상기 콘텐트 정보에 따라 분할 콘텐트 정보를 나타내는 서브콘텐트 정보 각각에 대해 하나의 변경 개소와 하나의 변경 정도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프로그램 섹션과;
    상기 선택된 하나의 변경 개소와 하나의 변경 정도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서 상기 콘텐트 정보에 워터 마크 정보가 되는 변경을 가하기 위한 프로그램 섹션
    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21. 복수의 정지 화상 프레임으로 구성된 동화상 데이터의 일부에 변경을 가함으로써 워터 마크 정보를 매립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에 있어서,
    상기 각 정지 화상 프레임이 구비한 정지 화상적 성질에 기초하여, 변경 개소와 변경 정도 중 적어도 하나를 구하기 위한 제1 프로그램 섹션과;
    상기 정지 화상 프레임 간의 관계로부터 구한 동화상적 성질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프로그램 섹션의 실행에 의해 구해진 변경 개소와 변경 정도 중 적어도 하나의 적어도 일부를 수정하기 위한 제2 프로그램 섹션과;
    상기 수정된 변경 개소와 변경 정도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서, 상기 정지 화상 프레임에 워터 마크 정보가 되는 화소 변경을 실시하기 위한 제3 프로그램 섹션
    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22. 복수의 정지 화상 프레임으로 구성된 동화상 데이터의 일부에 변경을 가함으로써 워터 마크 정보를 매립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 상의 컴퓨터 프로그램에 있어서,
    처리 대상이 되는 정지 화상 프레임과 다른 하나의 정지 화상 프레임에 포함되는 화상간의 관계로부터 검출된 동화상적 성질에 기초하여, 미리 준비된 복수의 규칙 중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프로그램 섹션과;
    상기 처리 대상이 되는 정지 화상 프레임으로부터 검출된 정지 화상적 성질에 기초하여, 상기 정지 화상 프레임에서의 변경 개소 및/또는 변경 정도를, 상기 선택 규칙을 이용하여, 구하기 위한 프로그램 섹션과;
    상기 구해진 변경 개소 및/또는 변경 정도로 상기 정지 화상 프레임의 화소 상태를 변경하기 위한 프로그램 섹션
    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KR10-1999-0054383A 1998-12-03 1999-12-02 데이터에의 정보 매립 방법과 장치, 콘텐츠 정보 저장용 기록 매체, 및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KR1003849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98-343888 1998-12-03
JP34388898A JP3698901B2 (ja) 1998-12-03 1998-12-03 情報埋込み方法および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2403A true KR20000052403A (ko) 2000-08-25
KR100384959B1 KR100384959B1 (ko) 2003-05-22

Family

ID=183650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4383A KR100384959B1 (ko) 1998-12-03 1999-12-02 데이터에의 정보 매립 방법과 장치, 콘텐츠 정보 저장용 기록 매체, 및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6711276B1 (ko)
EP (1) EP1006730A3 (ko)
JP (1) JP3698901B2 (ko)
KR (1) KR100384959B1 (ko)
CN (1) CN1196329C (ko)
CA (1) CA2291383C (ko)
HK (1) HK1030706A1 (ko)
RU (1) RU2219582C2 (ko)
SG (1) SG80664A1 (ko)
TW (1) TW45575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29924B1 (en) 1996-05-16 2001-05-08 Digimarc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watermarking video images
WO2000060589A1 (en) * 1999-04-06 2000-10-12 Kwan Software Engineering, Inc. System and method for digitally marking a file with a removable mark
WO2001031630A1 (fr) * 1999-10-29 2001-05-03 Sony Corporation Procede et appareil de traitement de donnees, et programme de stockage de supports
JP2001358935A (ja) * 2000-06-16 2001-12-26 Sharp Corp 電子情報埋込み装置および電子情報埋込み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取可能な記録媒体
JP3587168B2 (ja) * 2001-01-23 2004-11-10 日本ビクター株式会社 電子透かし情報埋め込み装置、埋め込み方法、電子透かし情報再生装置及び再生方法
US7043051B2 (en) * 2001-02-21 2006-05-09 Lg Electronics Inc. Proprietary watermark system for secure digital media and content distribution
US20040125130A1 (en) * 2001-02-26 2004-07-01 Andrea Flamini Techniques for embedding custom user interface controls inside internet content
US7058201B2 (en) * 2001-03-28 2006-06-06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embedding watermark into digital image
KR100493284B1 (ko) * 2001-05-11 2005-06-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미디어의 복제 제어 방법 및 시스템
JP3861624B2 (ja) * 2001-06-05 2006-12-20 ソニー株式会社 電子透かし埋め込み処理装置、および電子透かし埋め込み処理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3861623B2 (ja) * 2001-06-05 2006-12-20 ソニー株式会社 電子透かし埋め込み処理装置、および電子透かし埋め込み処理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US7392394B2 (en) * 2001-12-13 2008-06-24 Digimarc Corporation Digital watermarking with variable orientation and protocols
US7392392B2 (en) * 2001-12-13 2008-06-24 Digimarc Corporation Forensic digital watermarking with variable orientation and protocols
US7567721B2 (en) * 2002-01-22 2009-07-28 Digimarc Corporation Digital watermarking of low bit rate video
DE10211982B4 (de) * 2002-03-18 2004-05-06 Mediasec Technologies Gmbh Verfahren zur Markierung eines Datensatzes
US7424128B2 (en) * 2002-04-10 2008-09-09 Pioneer Corporation Electronic watermark embedding apparatus, electronic watermark embedding method, record medium having electronic watermark and manufacturing method of record medium
US7606388B2 (en) * 2002-05-14 2009-10-2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ontents border detection apparatus, monitoring method, and contents location detection method and program and storage medium therefor
JP2004064582A (ja) * 2002-07-31 2004-02-26 Hitachi Ltd 放送コンテンツ著作権保護システム
US7577841B2 (en) * 2002-08-15 2009-08-18 Digimarc Corporation Watermark placement in watermarking of time varying media signals
US20040064702A1 (en) * 2002-09-27 2004-04-01 Yu Hong Heather Methods and apparatus for digital watermarking and watermark decoding
JP4023324B2 (ja) 2003-02-04 2007-12-1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透かし埋め込み及び画像圧縮部
US8812852B2 (en) * 2003-03-19 2014-08-19 Sony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marking digital content
KR100948381B1 (ko) * 2003-05-15 2010-03-22 삼성전자주식회사 인간시각시스템을 이용한 영상 워터마킹 방법
US7657750B2 (en) * 2003-11-24 2010-02-02 Pitney Bowes Inc. Watermarking method with print-scan compensation
US7446891B2 (en) * 2003-11-24 2008-11-04 Pitney Bowes Inc. Fragile watermark for detecting printed image copies
US7995246B2 (en) * 2003-11-24 2011-08-09 Pitney Bowes Inc. Detecting printed image copies using phase-space-encoded fragile watermark
TWI288873B (en) * 2004-02-17 2007-10-21 Mitsubishi Electric Corp Method for burying watermarks, method and device for inspecting watermarks
US20060020802A1 (en) * 2004-07-23 2006-01-26 Pitney Bowes Incorporated Tonal compensation for graphic security features
US7551751B2 (en) * 2004-08-30 2009-06-23 Pitney Bowes Inc. Watermarking images with wavepackets encoded by intensity and/or phase variations
US7643181B2 (en) * 2004-12-14 2010-01-05 Pitney Bowes Inc. Method and system for printing an original image and for determining if a printed image is an original or has been altered
FR2887389A1 (fr) * 2005-06-21 2006-12-22 Thomson Licensing Sa Appareil et procede d'affichage d'images
FR2890517A1 (fr) * 2005-09-08 2007-03-09 Thomson Licensing Sas Procede et dispositif d'affichage d'images
CN101326806B (zh) 2005-12-05 2011-10-19 汤姆逊许可证公司 用于在编码内容中插入水印的方法和系统
WO2009005494A1 (en) * 2007-06-29 2009-01-08 Thomson Licensing Volume marking with low-frequency
JP5493709B2 (ja) 2009-03-13 2014-05-14 株式会社リコー 映像編集装置
CN108024114B (zh) * 2017-11-23 2020-01-14 华南理工大学 一种基于标志位参数修改的大容量无损hevc信息隐藏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06202B2 (ja) 1993-03-31 1999-06-14 日立ソフトウエア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文字図形入力方法
US5659726A (en) * 1995-02-23 1997-08-19 Sandford, Ii; Maxwell T. Data embedding
AU2435297A (en) * 1996-04-02 1997-11-07 Theodore G Handel Data embedding
US5970140A (en) * 1996-05-08 1999-10-19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Modular error embedding
DE69734207T2 (de) 1996-07-16 2006-06-14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Detektion eines eingebetteten wasserzeichens in einem informationssignal
US5848155A (en) * 1996-09-04 1998-12-08 Nec Research Institute, Inc. Spread spectrum watermark for embedded signalling
JP3686741B2 (ja) 1997-02-19 2005-08-24 富士通株式会社 画像データへの識別情報埋め込み方法,識別情報が埋め込まれた画像データからの識別情報抽出方法,画像データへの識別情報埋め込み装置,識別情報が埋め込まれた画像データからの識別情報抽出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可読媒体
JPH10290456A (ja) 1997-04-14 1998-10-27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動画像符号化方法及び装置
JPH10290406A (ja) 1997-04-16 1998-10-27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説明表示方法及び画面表示システム及び画面表示端末
US5960081A (en) * 1997-06-05 1999-09-28 Cray Research, Inc. Embedding a digital signature in a video sequence
DE69822950T2 (de) * 1997-09-03 2009-09-24 Hitachi, Ltd. Verfahren und System zum Einbetten von Information in Dat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711276B1 (en) 2004-03-23
TW455759B (en) 2001-09-21
JP3698901B2 (ja) 2005-09-21
CN1270474A (zh) 2000-10-18
EP1006730A2 (en) 2000-06-07
EP1006730A3 (en) 2004-12-08
CN1196329C (zh) 2005-04-06
AU6179299A (en) 2000-06-15
CA2291383C (en) 2004-01-20
AU735422B2 (en) 2001-07-05
RU2219582C2 (ru) 2003-12-20
HK1030706A1 (en) 2001-05-11
JP2000175019A (ja) 2000-06-23
KR100384959B1 (ko) 2003-05-22
SG80664A1 (en) 2001-05-22
CA2291383A1 (en) 2000-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84959B1 (ko) 데이터에의 정보 매립 방법과 장치, 콘텐츠 정보 저장용 기록 매체, 및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KR100332033B1 (ko) 콘텐츠에의 정보 매립 방법 및 시스템
US7499565B2 (en) Method of watermarking for binary images
JP5237563B2 (ja) 像様透かしの位置の決定方法、プリント作成システム、及び透かしと共に可変データを印刷する方法
EP0901102B1 (en) Watermark embedding method and system
CN109949199B (zh) 基于二维预测误差直方图自适应扩展的可逆信息隐藏方法
JP2003209678A (ja) 情報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US7660429B2 (en) Error diffusion halftone watermarking
JP4541632B2 (ja) 電子透かし埋め込み装置、その方法及び記録媒体
JP3599621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記憶媒体
JP2005192001A (ja) 電子透かし埋め込み方法および電子透かし埋め込み装置
Atta et al. Advanced image steganography based on exploiting modification direction and neutrosophic set
JP3762655B2 (ja) 情報埋め込み装置、検出装置、データ処理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JP2004048219A (ja) 電子透かし情報の挿入方法
KR20010007261A (ko) 영상 처리 장치, 영상 처리 방법 및 저장 매체
JP2002027245A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記憶媒体
JP5422948B2 (ja) 映像データ送信サーバ、映像データ送信システム及び映像データ送信方法
JP4411791B2 (ja) 電子透かし埋め込み処理装置及び方法、電子透かし検出処理装置及び方法、並びに記憶媒体
JP2002344720A (ja) 電子透かし埋め込み処理装置、および電子透かし埋め込み処理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H09247449A (ja) 画像処理装置及び方法
JP4607771B2 (ja) 画像処理方法、画像処理装置、コンピュータが実行するためのプログラム、及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JP2007143188A (ja) 二値画像用電子透かし方法
Wu et al.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digital cameras to derive audio information from the TVs on trai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31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