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50623A - 케익형 떡류의 제조방법 및 그 제품 - Google Patents

케익형 떡류의 제조방법 및 그 제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50623A
KR20000050623A KR1019990000623A KR19990000623A KR20000050623A KR 20000050623 A KR20000050623 A KR 20000050623A KR 1019990000623 A KR1019990000623 A KR 1019990000623A KR 19990000623 A KR19990000623 A KR 19990000623A KR 20000050623 A KR20000050623 A KR 200000506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ke
rice
materials
powder
hou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06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염초애
Original Assignee
서진모
염초애
이숙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진모, 염초애, 이숙미 filed Critical 서진모
Priority to KR10199900006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50623A/ko
Publication of KR200000506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0623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DTREATMENT, e.g. PRESERVATION, OF FLOUR OR DOUGH, e.g. BY ADDITION OF MATERIALS; BAKING; BAKERY PRODUCTS; PRESERVATION THEREOF
    • A21D13/00Finished or partly finished bakery products
    • A21D13/80Pastry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sewhere, e.g. cakes, biscuits or cooki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ereal-Derived Products (AREA)
  • Confectione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케익형 떡류의 제조방법 및 그 제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멥쌀 및/또는 찹쌀을 가루로 빻은 쌀분말에 각종의 부재료를 소정의 순서대로 넣어 조리한후 일정한 형태의 케익모양으로 제조하는 새로운 방법에 관한 것으로, 우리 고유의 떡을 보다 생활에 밀접화 시켜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생일이나 기타 축하행사에 필수적인 종래의 케익대신 전혀 새로운 형태의 질감 및 용도를 가지는 케익형 떡을 제공하고 또 나아가서는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한 케익형 떡을 서양의 케익이나 쵸코렛 대신 사용함으로써 우리 고유의 떡종류를 계승발전시켜 각종 다양한 용도로 활용될 수 있음은 물론 일정기간 보존될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은 케익형 떡을 개발하고, 일상 생활에 널리 보급, 제품화시키고 우리 문화의 세계화 및 전통음식의 국제화를 가져오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케익형 떡류의 제조방법 및 그 제품{korean traditional rice cake models for celebration and its recipe thereof}
본 발명은 케익형 떡류의 제조방법 및 그 제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멥쌀 및/또는 찹쌀을 가루로 빻은 쌀분말에 각종의 부재료를 소정의 순서대로 넣어 조리한후 일정한 형태의 케익형으로 제조하는 새로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떡류의 제조방법에 있어 통상적인 과정을 살펴보면 원료를 일정시간 침지시킨후 탈수시켜 분쇄 및 배합등의 공정을 거쳐 증자 및 병도 시킨후 제품으로 성형화 하는 것이다.
그러나 일반가정에서 증자 및 병도등의 공정을 시행하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을 뿐만이 아니라 제품성형후 일장기간이 경과하면 굳어지는 단점이 있기 때문에 떡이 한국의 대표적인 전통식품임에도 불구하고 우리의 일상생활에 있어 명절등을 제외하고는 햄버거나 기타 패스트 푸드처럼 그리 널리 일상화 음식으로 통용되고 있지 않았던 것이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등을 보다 효과적으로 해소하고 또 우리 고유의 떡을 보다 생활에 밀접화 시켜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하기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생일이나 기타 축하행사에 필수적인 종래의 케익대신 전혀 새로운 형태의 케익형 떡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의 방법으로 제조된 케익과 같이 부드러운 질감을 가지며 새로운 용도를 가진 케익형 떡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의 방법으로 제조된 케익형 떡을 서양의 케익이나 쵸코렛 대신 사용함으로써, 여러가지 행사를 축하하기 위한 다양한 용도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고 일정기간 보존 가능한 새로운 개념의 케익형 떡을 개발하여 우리 고유의 떡종류를 일상 생활에 널리 보급, 이용하고자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한 케익형 떡류의 제조방법 및 그 제품에 있어서 사용되는 부재료와 장식재료 및 케익형 떡의 색상 및 크기에 따라 각종 다양한 용도로 이용되어 질수 있는 것이다.
즉 예를 들면 각종 부재료를 선택적으로 사용함에 따라 다양한 이색편을 형성하는 다양한 색상의 축하용 케익떡, 귤병밤 케익떡, 잡과병 케익떡, 물호박 케익떡 등의 각종 제품으로 제품화 될 수 있음을 그 특징으로 하고 본 발명에 따른 케익형 떡류의 제조방법 및 그 제품은 다음에서와 같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되, 기재된 바의 실시예등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케익형 떡류의 제조방법은 대략 다음의 과정을 필수공정으로 한다.
<제 1공정 : 원료의 전처리 공정>
이는 본 발명의 주재료에 대한 원료의 침지, 탈수, 분쇄공정을 일컫는 것으로 멥쌀 및 찹쌀등은 깨끗이 씻어 8∼12시간 가량 물에 담가 충분히 불린후 건져낸다.
이때 초기 침지온도는 여름에는 20∼25℃에서 8시간, 겨울에는 상온에서 12시간 정도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침지수의 량은 원료무게의 1∼2배가 적당하다.
충분히 침지시킨후 쌀을 건져 물기를 뺀 후 쌀에 소금을 적당량 넣고 곱게 빻아둔다.
이 때 소정의 저작감을 가져오기 위하여 20 mesh(841μm, Chung Gye Industrial co.)정도로 분쇄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1O∼1OO mesh 이내로 하여 케익형 떡류를 제조하여도 무방하다.
<제 2공정 :원료의 혼합 균질화공정>
곱게 빻은 가루를 고운 체에 내린후 일정량의 설탕물을 끓여 식힌 시럽종류를 넣은 후 손으로 골고루 비벼 잘 섞은후 이를 다시 체에 잘 내린다.
이때 시럽의 농도는 기호와 보관 일수에 따라 농도를 달리 하여 적절하게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별도의 보존제를 첨가시킬 경우에는 먹는 사람의 기호에 비중을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3공정 :부재료의 가공공정>
각종 케익류의 종류와 사용되는 부재료의 특성에 따라 적당한 부재료의 가공공정을 거친다.
<제 4공정 : 제품성형공정>
설탕시럽과 잘 섞어든 원료의 분말을 일정한 성형틀에 넣고 떡류의 특성에 따른 부재료를 섞거나 해당 제품의 성형에 필요한 공정을 거쳐 다음공정을 준비한다.
<제 5공정 : 증자 및 병도공정>
증자 및 병도 공정을 거치기 위하여 성형틀을 이동시키거나 또는 스팀을 이용하기도 하며, 일정시간 증숙시킨다.
일반적으로 20∼40분 가량 푹 찌도록 하며 고온의 스팀사용시에는 시간을 단축하여도 무방하고 증자시간이 길수록 떡의 점도가 상승하는 효과를 가져온다.
<제 6공정 :냉각 및 식품 냉동공정>
성형틀과 증숙된 케익형 떡을 분리해 낸후 실온에서 냉각시켜 즉시 시식 가능하도록 하거나 또는 포장공정 전단계의 식품 냉동공정을 거친다.
<제 7공정 : 장식공정>
저온 냉각시킨 케익형 떡위에 부재료등을 장식처리하기 위하여서는 소정의 익반죽절차를 거쳐 별도로 증숙시킨 재료를 얹어서 장식하거나 또는 동시에 성형틀 위에 얹어 증숙 및 병도공정을 동시에 시행하기도 한다.
<제 8공정 : 포장공정>
냉동 또는 냉장 보관의 유형에 적절한 포장공정을 병행하여 제품의 완성도를 높인다.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한 각종 케익형 떡류의 제조방법 및 그 제품은 다음과 같은 형태의 실시예 1,2,3,4 에 따른 것으로, 보다 구체적인 케익형 떡류의 제조방법 및 그 제품의 내역은 다음과 같다.
<실시예 1 : 이색편 케익떡>
쌀 5 컵을 깨끗이 물에 10∼12 시간 가량 침지시킨후 건져서 물기를 제거하고 소금 1 큰술을 넣어 분쇄시킨후 고운 체에 잘 내려서 멥쌀가루 10 컵을 만든다.
오미자즙 또는 식홍을 넣어 색깔이 고르게 섞이도록 잘 섞은 후 체에 곱게 내려서 분홍빛의 떡가루를 만든다.
여기에 물 1 컵에 설탕 1 컵을 넣어 끓여서 식힌 시럽을 골고루 뿌린후 물이 잘 내려지도록 비벼가면서 다시 체에 내려 고운 가루(가)를 만든다.
상기와 같은 공정으로 만든 멥쌀가루 5 컵에 코코아 가루 1 큰술을 잘 섞은후, 물 ½ 컵과 설탕 ½ 컵을 넣고 끓여 식힌 시럽을 넣어 잘 섞어서 고운 체에 거른후 코코아 색이 나는 고운 가루(나)를 만든다.
일정형의 형틀에 (가)의 가루를 3 등분하고,(나)의 가루를 2 등분 한후 5단의 색분리대를 만들어 성형시킨후 일정온도로 증숙시킨다.
골고루 김이 오른후 20 분 정도 더 증숙시키고 형틀의 가장자리에 1∼5mm 정도의 간격이 형성되면 성형틀을 분리해 낸후 실온 또는 급속 냉각시킨다.
멥쌀 또는 찹쌀가루 2 컵을 삼등분 하여 각각 오미자즙, 쑥가루, 코코아가루를 섞은 후 익반죽하여 분홍색 꽃과 쑥색 꽃잎을 만든다.
코코아 섞은 것을 얇게 빚어 증숙시킨후 성형시켜둔 케익형 떡위에 꽃과 꽃잎을 예쁘게 장식하고 코코아 섞은 것을 가늘게 비벼서 축하의 글씨형태로 장식한다.
<실시예 2 : 잡과병 케익떡>
쌀 5 컵을 깨끗이 물에 10∼12 시간 가량 침지시킨후 건져서 물기를 제거하고 소금 1 큰술을 넣어 분쇄시킨후 고운 체에 잘 내려서 멥쌀가루 10 컵을 만든다.
여기에 물 ⅔ 컵에 황설탕 ⅔ 컵을 넣어 끓여서 식힌 시럽을 골고루 뿌린후 물이 잘 내려지도록 비벼가면서 다시 체에 내려 고운 가루(가)를 만든다.
부재료로서 밤은 껍질을 깨끗이 벗겨 6 등분하고, 대추는 씨를 중심으로 돌려 깎기를 한후 4∼5 등분으로 썰어 각각 황설탕 시럽에서 졸인다.
꽂감은 씨를 빼고 굵은 채로 썰고, 호두는 속껍질을 벗기고 일정 크기로 썰고, 잣은 고깔을 때어 놓고, 귤껍질은 꿀과 설탕시럽에 졸여 놓는다.
(가)의 가루에 상기의 부재료를 넣고 골고루 섞은 후 일정형의 형틀에 넣어 성형시킨후 일정온도로 증숙시킨다.
골고루 김이 오른후 20 분 정도 더 증숙시키고 형틀의 가장자리에 1∼5mm 정도의 간격이 형성되면 성형틀을 분리해 낸후 실온 또는 급속 냉각시키고 케익형 떡위에 상기의 밤, 대추, 귤껍질을 졸여서 만든 부재료로 예쁘게 장식한다.
<실시예 3 : 귤병밤 케익떡>
쌀 5 컵을 깨끗이 물에 10∼12 시간 가량 침지시킨후 건져서 물기를 제거하고 소금 1 큰술을 넣어 분쇄시킨후 고운 체에 잘 내려서 멥쌀가루 10 컵을 만든다.
여기에 물 1 컵에 설탕 ½ 컵을 넣어 끓여서 식힌 시럽을 골고루 뿌린후 물이 잘 내려지도록 비벼가면서 다시 체에 내려 고운 가루(가)를 만든다.
부재료로서 귤껍질 300g 은 깨끗이 씻어 하루동안 말려서 물 1½C 컵과 설탕시럽 1 컵을 넣고 졸인 후 귤병을 만들고 밤 300g 은 껍질을 깨끗이 벗겨 밤의 형태가 나도록 납작납작하게 썰어 황설탕 시럽에서 졸인다.
거피 팥 300g 을 10∼12 시간 가량 침지시켜 충분히 불린 후 여러번 문질러서 껍질이 벗겨지도록 깨끗이 씻고 뜨거운 스팀으로 푹 찐후 뜨거울 때 소금을 넣고 으깨어서 체에 내려 팥고물을 만든다.
일정형의 형틀에 (가)의 가루를 3 등분하여 두되 그 사이에 귤병과 밤을 골고루 넣고, 그위에 (가)의 가루를 얹은 후 팥고물을 넣고, 또 (가)의 가루를 얹은후 귤병과 밤을 넣고, 또 (가)의 가루를 얹은 후 팥고물을 넣어 , 3 단의 분리대를 만들어 성형시킨후 일정온도로 증숙시킨다.
골고루 김이 오른후 20 분 정도 더 증숙시키고 형틀의 가장자리에 1∼5mm 정도의 간격이 형성되면 성형틀을 분리해 낸후 실온 또는 급속 냉각시키고 케익형 떡위에 상기의 귤병과 밤을 졸여서 만든 부재료로 예쁘게 장식한다.
<실시예 4 : 물호박 케익떡>
쌀 5 컵을 깨끗이 물에 10∼12 시간 가량 침지시킨후 건져서 물기를 제거하고 소금 1 큰술을 넣어 분쇄시킨후 고운 체에 잘 내려서 멥쌀가루 10 컵을 만든다.
여기에 물 1 컵에 설탕 1 컵을 넣어 끓여서 식힌 시럽을 골고루 뿌린후 물이 잘 내려지도록 비벼가면서 다시 체에 내려 고운 가루(가)를 만든다.
부재료로서 밤호박 700g 은 속을 긁어 내고 길이 5 cm, 폭 2∼3 cm, 두께 1cm로 약간 도톰하게 썰며, 이때 호박의 형태를 따라 썰되 두께는 일정하여야 한다.
거피 녹두 350g 을 10∼12 시간 가량 침지시켜 충분히 불린 후 여러번 문질러 서 껍질이 벗겨지도록 깨끗이 씻고 뜨거운 스팀으로 푹 찐후 뜨거울 때 소금을넣고 으깨어서 체에 내려 녹두고물을 만든다.
일정형의 형틀에 녹두고물은 놓은후 (가)의 가루를 3 등분하여 두고 밤호박 썬것을 골고루 펴 넣고, 그위에 (가)의 가루를 얹은 후 녹두고물을 넣고, 또 (가)의 가루를 얹은 후 밤호박 썬 것을 넣고, 또 (가)의 가루를 얹은 후 녹두고물을 넣어, 6 단의 분리대를 만들어 성형시킨후 일정온도로 증숙시킨다.
골고루 김이 오른후 20 분 정도 더 증숙시키고 형틀의 가장자리에 1∼5mm 정도의 간격이 형성되면 성형틀을 분리해 낸후 실온 또는 급속 냉각시킨다.
멥쌀가루 2 컵을 삼등분 하여 각각 오미자즙, 쑥가루, 코코아가루를 섞은 후 익반죽하여 분홍색 꽃과 쑥색 꽃잎을 만든다.
코코아 섞은 것을 얇게 빚어 증숙시킨후 성형시켜둔 케익형 떡위에 꽃과 꽃잎을 예쁘게 장식하고 코코아 섞은 것을 가늘게 비벼서 축하의 글씨형태로 장식한다. 이때 멥쌀가루대신 찹쌀가루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한 케익형 떡류의 제조방법 및 그 제품은 각종 다양한 제품등으로 제품화될 수 있으며, 각종 축하 케익류의 사용 용도에 따라 일반 소비자가 선택적으로 원료 및 부재료의 종류, 배합비율, 색깔, 맛의 종류 및 보존 시기등을 충분히 고려하여 자유자재로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으로 상기에 기재된 바의 실시예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한 케익형 떡류의 제조방법 및 그 제품의 경우, 기존 우리 고유의 떡을 보다 생활에 밀접화 시켜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생일이나 기타 축하행사에 필수적인 종래의 케익대신 전혀 새로운 형태의 케익형 떡을 서양의 케익이나 쵸코렛 대신 사용함으로써, 고유의 떡종류를 일상 생활에 널리 보급하고 나아가서는 우리 전통식품의 보존 및 조리법의 변화에 기여하고 또 새로운 맛과 형태의 변화를 추구함으로써 우리 전통식품의 세계화에 기여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원료의 전처리 공정으로써 주재료의 침지, 탈수, 분쇄 공정을 거치기 위해 여름에는 20∼25℃에서 8시간, 겨울에는 상온에서 12시간 정도로 침지시키며 침지수의 량은 원료무게의 1∼2배로 하고, 소정의 저작감을 가져오기 위하여 10∼100mesh 정도로 분쇄하고,
    원료의 혼합 균질화 공정으로써 가루를 고운 체에 내린후 시럽종류를 넣고 다시 체에 잘 내리되, 시럽의 농도를 기호와 보관 일수에 따라 달리 하며 별도의 보존제를 첨가시킬 수도 있으며,
    부재료의 특성에 따른 가공공정과 제품성형공정을 거치고 20∼40분 가량의 증자 및 병도 공정과 냉각 및 식품 냉동공정을 거친후,
    별도의 장식공정 및 포장공정을 병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익형 떡류의제조방법
  2. 원료의 전처리 공정으로써 주재료의 침지, 탈수, 분쇄 공정을 거치기 위해 여름에는 20∼25℃에서 8시간, 겨울에는 상온에서 12시간 정도로 침지시키며 침지수의 량은 원료무게의 1∼2배로 하고, 소정의 저작감을 가져오기 위하여 10∼100 mesh 정도로 분쇄하고, 원료의 혼합 균질화 공정으로써 가루를 고운 체에 내린후 시럽종류를 넣고 다시 체에 잘 내리되, 시럽의 농도를 기호와 보관 일수에 따라 달리 하며 별도의 보존제를 첨가시킬 수도 있으며,
    부재료의 특성에 따른 가공공정과 제품성형공정을 거치고 20∼40분 가량의 증자 및 병도 공정과 냉각 및 식품 냉동공정을 거친후,
    별도의 장식공정 및 포장공정을 병행하여 제조됨을 특징으로 하는 케익형 떡류제품
  3. 제 2항에 있어서, 다양하게 제품화될 수 있고 케익류의 사용 용도에 따라 원료 및 부재료의 종류, 배합비율, 색깔, 맛의 종류 및 보존 시기등을 달리하여 선택 활용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케익형 떡류제품
  4. 제 2항에 있어서, 고유의 떡을 서양의 케익이나 쵸코렛 대신 사용할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익형 떡류제품의 용도
  5. 멥쌀 또는 찹쌀가루와 오미자즙, 쑥가루, 코코아가루등을 섞고, 익반죽하여 꽃과 꽃잎장식을 만들고,
    코코아가루를 섞어 증숙시킨 것을 길게 비벼서 축하의 글씨 장식재료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익형 떡류의 제조방법
KR1019990000623A 1999-01-12 1999-01-12 케익형 떡류의 제조방법 및 그 제품 KR2000005062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0623A KR20000050623A (ko) 1999-01-12 1999-01-12 케익형 떡류의 제조방법 및 그 제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0623A KR20000050623A (ko) 1999-01-12 1999-01-12 케익형 떡류의 제조방법 및 그 제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0623A true KR20000050623A (ko) 2000-08-05

Family

ID=195711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0623A KR20000050623A (ko) 1999-01-12 1999-01-12 케익형 떡류의 제조방법 및 그 제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50623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6412B1 (ko) * 2002-10-10 2004-08-30 최정환 간식용 떡케익 및 그 제조방법
KR100869406B1 (ko) * 2008-03-04 2008-11-21 백석문화대학 산학협력단 즉석 인절미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한 인절미
WO2009054691A2 (en) * 2007-10-26 2009-04-30 Cj Cheiljedang Corp. Premix composition of glutinous rice cake for baking in microwave oven and a preparation method thereof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89841A (ja) * 1985-06-14 1986-12-19 Matsuya Seika Kk もち入り飴の製造法
KR940005392A (ko) * 1992-06-13 1994-03-21 클라우스 슈바이쩌, 한스-요하힘 노이바우어 대전방지 피복물을 함유한 열밀봉성 필름 및 필름 라미네이트,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용도
KR950009031A (ko) * 1993-09-02 1995-04-21 프랑크 엠 사죠백 보유된 시일 어샘블리
KR20000031729A (ko) * 1998-11-06 2000-06-05 박병안 쌀케익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89841A (ja) * 1985-06-14 1986-12-19 Matsuya Seika Kk もち入り飴の製造法
KR940005392A (ko) * 1992-06-13 1994-03-21 클라우스 슈바이쩌, 한스-요하힘 노이바우어 대전방지 피복물을 함유한 열밀봉성 필름 및 필름 라미네이트,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용도
KR950009031A (ko) * 1993-09-02 1995-04-21 프랑크 엠 사죠백 보유된 시일 어샘블리
KR20000031729A (ko) * 1998-11-06 2000-06-05 박병안 쌀케익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6412B1 (ko) * 2002-10-10 2004-08-30 최정환 간식용 떡케익 및 그 제조방법
WO2009054691A2 (en) * 2007-10-26 2009-04-30 Cj Cheiljedang Corp. Premix composition of glutinous rice cake for baking in microwave oven and a preparation method thereof
WO2009054691A3 (en) * 2007-10-26 2009-06-18 Cj Cheiljedang Corp Premix composition of glutinous rice cake for baking in microwave oven and a preparation method thereof
US20100255161A1 (en) * 2007-10-26 2010-10-07 Cj Cheiljedang Corp. Premix composition of glutinous rice cake for baking in microwave oven and a preparation method thereof
US8753701B2 (en) * 2007-10-26 2014-06-17 Cj Cheiljedang Corp. Premix composition of glutinous rice cake for baking in microwave oven and a preparation method thereof
KR100869406B1 (ko) * 2008-03-04 2008-11-21 백석문화대학 산학협력단 즉석 인절미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한 인절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538802B (zh) 一种佛手夹心软糖及其制备方法
KR100736013B1 (ko) 누룽지 초코스낵과 누룽지 초코파이 및 이의 제조방법
CN108719532A (zh) 一种珍珠奶茶的加工方法
KR101823735B1 (ko) 이미지가 드로잉된 떡 케이크의 제조방법
US20100068371A1 (en) Stable, tasty, and attractive gourmet culinary item based upon air-dried and genuine caviar and method of making
KR100532033B1 (ko) 쌀 씨리얼, 쌀 강정 및 그 제조 방법
KR20000050623A (ko) 케익형 떡류의 제조방법 및 그 제품
CN101444316A (zh) 组合坚果及其加工方法
CN103494260A (zh) 一种果味黑芝麻糊
KR100701596B1 (ko) 가래떡편을 파열(破裂)시켜 뻥튀기 쌀떡과자를 제조하는방법
KR101810364B1 (ko) 배 절편의 착색방법
KR101953021B1 (ko) 배를 이용한 타르트 제조방법
CN102986804B (zh) 一种七彩果蔬茯苓夹饼及其制备方法
CN101507463B (zh) 一种营养小南瓜的加工方法
KR101592202B1 (ko) 감귤한과의 제조방법
US6455089B1 (en) Method for producing macaroni-type articles
KR101927849B1 (ko) 자색 고구마를 포함하는 한과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한과
KR101357461B1 (ko) 커피한과의 제조방법
KR101988984B1 (ko) 배건과를 이용한 떡 제조방법
CN111227078A (zh) 一种食用方便的纯天然果脯复合饮料(茶)的制备方法
KR20020083057A (ko) 혼합강정(떡, 과실맛 젤리 또는 시럽, 해조류)의 제조방법
KR100594381B1 (ko) 기능성혼합약과의 제조방법 및 제조된 기능성 혼합약과
KR102501823B1 (ko) 천년초 추출액 함유 즉석 고추장의 제조방법
RU2798014C1 (ru)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кондитерского изделия
CN112219929A (zh) 银耳红薯冻米糖及其制作工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