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49105A - 폴리펩티드 전이금속염 및 폴리펩티드의 항hiv 활성증강법 - Google Patents

폴리펩티드 전이금속염 및 폴리펩티드의 항hiv 활성증강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49105A
KR20000049105A KR1019990703185A KR19997003185A KR20000049105A KR 20000049105 A KR20000049105 A KR 20000049105A KR 1019990703185 A KR1019990703185 A KR 1019990703185A KR 19997003185 A KR19997003185 A KR 19997003185A KR 20000049105 A KR20000049105 A KR 200000491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mino acid
polypeptide
residue
peptide
transition me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7031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쯔모토아키요시
와키미치노리
Original Assignee
야마야 구따루
세이카가쿠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마야 구따루, 세이카가쿠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야마야 구따루
Publication of KR200000491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49105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9/00Peptides having up to 20 amino acids, containing saccharide radicals and having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7/00Peptides having 5 to 20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C07K7/04Linear peptides containing only normal peptide links
    • C07K7/08Linear peptides containing only normal peptide links having 12 to 20 amino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2Antivirals
    • A61P31/14Antivirals for RNA viruses
    • A61P31/18Antivirals for RNA viruses for HIV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4/00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C07K14/435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C07K14/43504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from invertebrates
    • C07K14/43509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from invertebrates from crustac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physics (AREA)
  • Biochemistr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Virology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Zoology (AREA)
  • Toxicology (AREA)
  • Onc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AIDS & HIV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하면, 인간면역부전바이러스(HIV)에 대하여 높은 항바이러스작용을 갖는 식[I]으로 대표되는 폴리펩티드의 전이금속의 신규 염 화합물을 제공한다.
이들 폴리펩티드의 전이금속염 화합물은, 착염을 형성함으로써 통상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산과의 이온성 염에 의한 활성발현보다도, 고도의 항HIV 활성치를 안정적으로 발현한다.
대표적인 폴리펩티드 전이금속염 화합물로서, 하기식(1)의 화합물을 나타낸다.

Description

폴리펩티드 전이금속염 및 폴리펩티드의 항HIV 활성증강법 {Polypeptide transition metal salts and method of enhancing anti-HIV activity of polypeptide}
하기 문헌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래 참게(horseshoe crab)로부터 엔도톡신에 친화성을 나타내고, 항균성을 나타내는 폴리펩티드 2족이 단리보고되어 있다.
예를 들면, Shigenaga 등, J.Bio1.Chem., 265: 21350∼21354(1990); Kawano 등, J.Bio1.Chem., 265: 15365∼15367(1990); Muta 등, J.Biochem., 108: 261∼266(1990); 일본특개평2-167230호 공보; 일본특개평2-152987호 공보; 일본특개평2-53799호 공보; 미국특허 제5068314호(공표 특허공보 평2-500194호); Miyata 등, J.Biochem., 106: 663∼668(1989); Akaji 등, Chem.Pharm.Bu11., 37: 2661∼2664(1989); Tokunaga 및 Iwanaga, 대사, 26:429∼439(1989); Shieh 등, FEBS Lett., 252: 121∼124(1989); Nakamura 등, J.Biol.Chem., 263: 16709∼16713(1988)을 참조.
한개의 족(타키플레신족: tachyplesin family)은, 일본산 참게 타키플레우스(Tachypleus)속에서 단리되고, 타키플레신 I, II 및 III가 동정되어 있다. 다른 일족(폴리페무신족: polyphemusin family)은 미국산 참게 리뮬러스 폴리페무스(Limulus polyphemus)에서 단리되고, 폴리페무신 I 및 II가 동정되어 있다.
또한 타키플레신, 폴리페무신의 양족도, 그램음성 및 그램양성 세균 모두에 대해, 또한 칸디다 알비칸스 같은 진균에 대하여 저농도에서 그 발육을 저해하여, 세균 리포다당과 복합체를 형성하는 것이 밝혀졌다[Shigenaga 등, J.Bio1.Chem., 265: 21350∼21354(1990); Muta 등, J.Biochem., 108: 261∼266(1990)].
또한 타키플레신족의 폴리펩티드는 인플루엔자바이러스, 수포성 구내염 바이러스[Murakami 등, Chemotherapy, 37: 327∼334(1991)] 또는 인간면역부전바이러스 [Morimoto 등, Chemotherapy, 37: 206∼211(1991)]같은 바이러스의 어떤 종에 저해작용을 나타내는 것이 알려져 있다.
한편 고도로 분화된 인간의 생존유지에 관하여, 인간면역부전바이러스(HIV)의 감염에 의해 야기되는 후천성면역부전증후군(AIDS)의 발병에 대하여 예방 또는 치료효과가 기대되는 약제의 개발이 기대되고 있다.
본 발명자등은 이미, 이들 엔도톡신 친화성 폴리펩티드의 구조변환과 항인간면역부전바이러스(항HIV)활성의 상호관계에 관한 연구에 의해, 참게의 폴리펩티드의 공통구조와는 기본적으로 다르며, 일련의 높은 항HIV 활성을 갖는 폴리펩티드군을 발견하여 이하의 문헌 등에 공표했다.
[Nakashima 등, Antimicrob.Agents Chemother., 36: 1249∼1255(1992); Masuda등, Biochem.Biophys.Res.Commun., 189: 845∼850(1992); Tamamura 등, Chem.Pharm.Bul1., 41: 978∼980(1993); Tamamura 등, Biochim.Biophys.Acta, 1163:209∼216(1993); Masuda 등, J.Pharmacobio.Dyn., 15: s-90(1992); 미국특허 제5571892호(PCT 국제공개공보 WO92/04374호); 미국특허 제5449752호(일본국 특허공개공보 특개평5-163298호 공보)]
당초의 참게 유래 폴리펩티드의 기본구조를 본떠서, 아미노산 16∼18잔기로 이루어지는 폴리펩티드의 항HIV 활성발현을 위한 구조요건을 검토한 결과로부터, 본 발명자 등은 다시 최소 필수 구조개념을 중심으로 하는 개량발명을 제출하였다[PCT 국제공개공보 WO95/10534호].
이들 상기 발명에 근거하여 참게의 폴리펩티드를 기준물질로 하여 얻어진 항HIV 활성을 발현하는 리드화합물·폴리펩티드의 구조개념은, 하기 식[I]로서 집약할 수 있다.
[식중 A1은 독립하여 Lys, Arg 및 0rn에서 선택되는 염기성 아미노산 잔기; 상기 염기성 아미노산을 적어도 2개 갖는 펩티드잔기; 상기 염기성 아미노산 잔기 또는 상기 펩티드잔기의 아미노말단 아미노산 잔기의 N-α위치의 수소원자가 아실기 또는 치환티오카바모일기로 치환되어 있는 N-α 치환 아미노산 잔기 또는 N-α 치환펩티드잔기를 나타내고,
A2는 독립하여 Phe, Trp 및 Tyr에서 선택되는 아미노산 잔기를 나타내며,
A3는 독립하여 Arg, Lys 및 Orn에서 선택되는 염기성 아미노산잔기를 나타내고,
A4는 -OH(카르복실기 유래) 또는 -NH2(산아미드기 유래)를 나타내며,
X는 Ala, Val, Leu, Ile, Ser, Met 및 Cys에서 선택되는 1개의 아미노산 잔기의 다음 위치에, A2의 1개의 아미노산이 펩티드결합에 의해 연결된 아미노산2잔기의 펩티드잔기를 나타내고,
Y는 Gly과 A3의 1개의 아미노산 잔기와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아미노산2잔기의 펩티드잔기, 또는 Pro과 D-Arg, D-Lys 및 D-Orn에서 선택되는 1개의 아미노산 잔기와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아미노산2잔기의 펩티드잔기를 나타내며,
Z는 Ala, Val, Leu, Ile, Ser, Met 및 A2로부터 선택되는 1개의 아미노산 잔기의 다음 위치에, Cys이 펩티드결합에 의해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아미노산2잔기의 펩티드잔기를 나타내고,
펩티드결합에 의해 연결된 X-Y-Z 잔기는, 6 위치와 10 위치의 각각의 아미노산 잔기와 펩티드결합을 매개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XZ가 동시에 결실(deletion)되어 Y 잔기가 6 위치와 10위치의 각각의 아미노산 잔기와 펩티드결합을 매개로 직접 결합하여도 좋고, 이 경우 Y의 구성아미노산인 D-Lys, L-Lys, D-Orn 또는 L-Orn의 측쇄 ω-아미노기의 수소원자는 ω-아미노아실기로 치환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 식[I]의 구조를 갖는 경우, 높은 항HIV 활성의 발현 외에 특정부위를 수식하는 것에 의해서도 활성의 저하가 나타나지 않고, 오히려 그 수식에 의해서 기본구조가 갖는 물리·화학적 성질이나 치료 용법의 폭넓은 선택, 예를 들면 친수성, 친유성을 증감시키거나, 특정 조직, 장기, 세포에 선택적으로 집적하는 것 또는 체내에서의 체류시간을 증감시키거나 하는 방법이나 제형의 전개가 가능해지는 폴리펩티드인 것은 이미 개시한 바와 같다. 식[I]에 포함되는 폴리펩티드중, 그 자체로 높은 항HIV 활성을 나타내는 화합물을 표1에 예시한다.
본 발명자는 식[I]로 표시한 폴리펩티드가 항HIV 활성을 특이적으로 나타내는 이유를 밝히는 과정에서 본 폴리펩티드와 전이금속과의 염형성이, 폴리펩티드의 안정적이며 높은 항HIV 활성을 발현유지시킨다고 하는 사실을 알게 되어 본 발명에 이르렀다.
본 발명의 제1의 목적은 항바이러스활성을 나타내는 특정 구조식을 갖는 폴리펩티드의 신규 전이금속염을 제공하는 것이며, 제2의 목적은 그 폴리펩티드를 전이금속염으로 함으로써 생리활성, 특히 항HIV 활성 등의 항바이러스 활성을 증강시키고, 또한 치료제로서 제제학적으로 안정한 활성을 발현하는 방법 및 제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리포다당류, 특히 엔도톡신에 강한 친화성을 나타내는 폴리펩티드의 전이금속염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그 폴리펩티드를 전이금속염으로 함으로써, 폴리펩티드가 갖는 항바이러스 효과(예를 들면 항HIV 효과)를 안정적이며 고도로 발현하는, 활성증강법 및 그 폴리펩티드의 전이금속염을 활성성분으로 하여 이루어지는 바이러스, 특히 HIV의 활동을 저해하기 위한 제약학적 조성물 및 제제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리포다당류, 특히 엔도톡신에 강한 친화성을 나타내며, 식[I]로 표시되는 폴리펩티드의 전이금속염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그 폴리펩티드를 전이금속염으로 함으로써, 폴리펩티드가 갖는 항바이러스 효과(예를 들면 항HIV 효과)를 안정적이면서 고도로 발현하는 활성증강법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1) 하기식
[식중 A1은 독립하여 Lys, Arg 및 0rn에서 선택되는 염기성 아미노산 잔기; 상기 염기성 아미노산을 적어도 2개 갖는 펩티드잔기; 상기 염기성 아미노산 잔기 또는 상기 펩티드잔기의 아미노말단 아미노산 잔기의 N-α위치의 수소원자가 아실기 또는 치환티오카바모일기로 치환되어 있는 N-α 치환아미노산 잔기 또는 N-α 치환펩티드잔기를 나타내고,
A2는 독립하여 Phe, Trp 및 Tyr에서 선택되는 아미노산 잔기를 나타내며,
A3는 독립하여 Arg, Lys 및 Orn에서 선택되는 염기성 아미노산잔기를 나타내고,
A4는 -OH(카르복실기 유래) 또는 -NH2(산아미드기 유래)를 나타내며,
X는 Ala, Val, Leu, Ile, Ser, Met 및 Cys에서 선택되는 1개의 아미노산 잔기의 다음 위치에, A2의 1개의 아미노산이 펩티드결합에 의해 연결된 아미노산2잔기의 펩티드잔기를 나타내고,
Y는 Gly과 A3의 1개의 아미노산 잔기와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아미노산2잔기의 펩티드잔기, 또는 Pro과 D-Arg, D-Lys 및 D-Orn에서 선택되는 1개의 아미노산 잔기와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아미노산2잔기의 펩티드잔기를 나타내며,
Z는 Ala, Val, Leu, Ile, Ser, Met 및 A2로부터 선택되는 1개의 아미노산 잔기의 다음 위치에, Cys이 펩티드결합에 의해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아미노산2잔기의 펩티드잔기를 나타내고,
펩티드결합에 의해 연결된 X-Y-Z 잔기는, 6 위치와 10 위치의 각각의 아미노산 잔기와 펩티드결합을 매개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XZ가 동시에 결실되어 Y 잔기가 6 위치와 10위치의 각각의 아미노산 잔기와 펩티드결합을 매개로 직접결합하여도 좋고, 이 경우 Y의 구성아미노산인 D-Lys, L-Lys, D-Orn 또는 L-Orn의 측쇄 ω-아미노기의 수소원자는 ω-아미노아실기로 치환되어 있어도 좋다]로 표시되는 폴리펩티드화합물과, 전이금속과의 염인 폴리펩티드 전이금속염 화합물 또는 그 폴리펩티드 전이금속염화합물과 산과의 부가염,
(2) (1)의 전이금속과의 염이 착염인 폴리펩티드 전이금속염 화합물 또는 그 폴리펩티드 전이금속염 화합물과 산과의 부가염,
(3) 전이금속이 철족(Fe, Co, Ni), 구리족(Cu, Ag, Au), 아연족(Zn, Cd, Hg) 및 망간족(Mn, Tc, Re)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전이금속인 (1) 또는 (2)의 폴리펩티드 전이금속염 화합물 또는 그 폴리펩티드 전이금속염 화합물과 산과의 부가염,
(4) 하기식
[식중 A1은 독립하여 Lys, Arg 및 0rn에서 선택되는 염기성 아미노산 잔기; 상기 염기성 아미노산을 적어도 2개 갖는 펩티드잔기; 상기 염기성 아미노산 잔기 또는 상기 펩티드잔기의 아미노말단 아미노산 잔기의 N-α위치의 수소원자가 아실기 또는 치환티오카바모일기로 치환되어 있는 N-α 치환아미노산 잔기 또는 N-α 치환펩티드잔기를 나타내고,
A2는 독립하여 Phe, Trp 및 Tyr에서 선택되는 아미노산 잔기를 나타내며,
A3는 독립하여 Arg, Lys 및 Orn에서 선택되는 염기성 아미노산잔기를 나타내고,
A4는 -OH(카르복실기 유래) 또는 -NH2(산아미드기 유래)를 나타내며,
X는 Ala, Val, Leu, Ile, Ser, Met 및 Cys에서 선택되는 1개의 아미노산 잔기의 다음 위치에, A2의 1개의 아미노산이 펩티드결합에 의해 연결된 아미노산2잔기의 펩티드잔기를 나타내고,
Y는 Gly과 A3의 1개의 아미노산 잔기와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아미노산2잔기의 펩티드잔기, 또는 Pro과 D-Arg, D-Lys 및 D-Orn에서 선택되는 1개의 아미노산 잔기와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아미노산2잔기의 펩티드잔기를 나타내며,
Z는 Ala, Val, Leu, Ile, Ser, Met 및 A2로부터 선택되는 1개의 아미노산 잔기의 다음 위치에, Cys이 펩티드결합에 의해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아미노산2잔기의 펩티드잔기를 나타내고,
펩티드결합에 의해 연결된 X-Y-Z 잔기는, 6 위치와 10 위치의 각각의 아미노산 잔기와 펩티드결합을 매개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XZ가 동시에 결실되어 Y 잔기가 6 위치와 10위치의 각각의 아미노산 잔기와 펩티드결합을 매개로 직접 결합하여도 좋고, 이 경우 Y의 구성아미노산인 D-Lys, L-Lys, D-Orn 또는 L-Orn의 측쇄 ω-아미노기의 수소원자는 ω-아미노아실기로 치환되어 있어도 좋다]로 표시되는 폴리펩티드화합물의 항HIV 작용 활성발현법에 있어서, 전이금속과의 염으로 하는 것에 의해 항HIV 작용이 높으며 안정하게 활성을 발현하는 방법,
(5) (1)에 나타내는 폴리펩티드 전이금속염 화합물, 또는 그 폴리펩티드 전이금속염 화합물과 산과의 부가염의 유효량 및 제약학적 담체를 포함하는 제약학적 또는 제제학적 조성물,
(6) 바이러스의 활동을 저해하기 위한 (5)의 조성물,
(7) 환자 체내의 HIV의 활동을 저해하기 위한 (5)의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N-α위치의 수소원자와 치환되는 아실기로서는, 탄소수 2∼18의 아실기를 예로 들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아세틸기, 프로필기, 부틸기, 헥사노일기, 옥타노일기, 데카노일기, 라우로일기, 미리스토일기, 팔미토일기, 스테아로일기, 니코티노일기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상기 N-α위치의 수소원자와 치환되는 치환티오카바모일기의 치환기로서는, 플루오레세인기(fluoresein), 페닐기, 치환페닐기(예를 들면 디메틸아미노페닐아조페닐기 등)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상기 Y의 구성아미노산인 D-Lys, L-Lys, D-Orn 또는 L-Orn의 측쇄 ω-아미노기의 수소원자와 치환되는 ω-아미노아실기로서는, 탄소수 2∼6의 ω-아미노아실기를 예로 들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ω-아미노아세틸기, ω-아미노부티릴기, ω-아미노헥사노일기등을 예로 들 수 있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정의
여기에 규정된 폴리펩티드서열에 있어서, 각 기호는 국제적으로 인정된 3문자 표시에 의한 아미노산 잔기 또는 치환아미노산 잔기를 나타내며, 특별히 표시하지 않는 한 L-체를 나타낸다. 즉 각 기호는 하기 아미노산 또는 치환아미노산의 잔기를 나타낸다.
Ala(알라닌); Arg(아르기닌); Cys(시스테인); Ile(이소로이신); Gly(글리신); Leu(로이신); Ser(세린); Met(메티오닌); Lys(리신); 0rn(오르니틴); Phe(페닐알라닌); Pro(프롤린); Trp(트립토판); Tyr(티로신); Val(발린); DArg(D-아르기닌); DLys(D-리신); DOrn(D-오르니틴); Ac-Arg(N-α-아세틸아르기닌); FTC-Arg(N-α-플루오레세인티오카바모일화 아르기닌); Laur-Arg(N-α-라우로일아르기닌); Myr-Arg(N-α-미리스토일아르기닌); Nicot-Arg(N-α-니코티노일아르기닌); Oct-Arg(N-α-옥타노일아르기닌); Parm-Arg(N-α-팔미토일아르기닌); Parm-Orn(N-α-팔미토일오르니틴); PTC-Arg(N-α-페닐티오카바모일화 아르기닌); ε-N-Ac-DLys (ε-N-ω-아미노아세틸-D-리신) 및 ε-N-But-DLys (ε-N-ω-아미노부티릴-D-리신).
본 발명은 상기 관점에 근거하여 완성되어, 하기식[I]
[식중 A1은 독립하여 Lys, Arg 및 0rn에서 선택되는 염기성 아미노산 잔기; 상기 염기성 아미노산을 적어도 2개 갖는 펩티드잔기; 상기 염기성 아미노산 잔기 또는 상기 펩티드잔기의 아미노말단 아미노산 잔기의 N-α위치의 수소원자가 아실기 또는 치환티오카바모일기로 치환되어 있는 N-α 치환아미노산 잔기 또는 N-α 치환펩티드잔기를 나타내고,
A2는 독립하여 Phe, Trp 및 Tyr에서 선택되는 아미노산 잔기를 나타내며,
A3는 독립하여 Arg, Lys 및 Orn에서 선택되는 염기성 아미노산잔기를 나타내고,
A4는 -OH(카르복실기 유래) 또는 -NH2(산아미드기 유래)를 나타내며,
X는 Ala, Val, Leu, Ile, Ser, Met 및 Cys에서 선택되는 1개의 아미노산 잔기의 다음 위치에, A2의 1개의 아미노산이 펩티드결합에 의해 연결된 아미노산2잔기의 펩티드잔기를 나타내고,
Y는 Gly과 A3의 1개의 아미노산 잔기와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아미노산2잔기의 펩티드잔기, 또는 Pro과 D-Arg, D-Lys 및 D-Orn에서 선택되는 1개의 아미노산 잔기와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아미노산2잔기의 펩티드잔기를 나타내며,
Z는 Ala, Val, Leu, Ile, Ser, Met 및 A2로부터 선택되는 1개의 아미노산 잔기의 다음 위치에, Cys이 펩티드결합에 의해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아미노산2잔기의 펩티드잔기를 나타내고,
펩티드결합에 의해 연결된 X-Y-Z 잔기는, 6 위치와 10 위치의 각각의 아미노산 잔기와 펩티드결합을 매개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XZ가 동시에 결실되어 Y 잔기가 6 위치와 10위치의 각각의 아미노산 잔기와 펩티드결합을 매개로 직접 결합하여도 좋고, 이 경우, Y의 구성아미노산인 D-Lys, L-Lys, D-Orn 또는 L-Orn의 측쇄 ω-아미노기의 수소원자는 ω-아미노아실기로 치환되어 있어도 좋다]로 표시되는 폴리펩티드화합물과, 철족, 구리족, 아연족 및 망간족에서 선택되는 전이금속과의 염을 포함하는 폴리펩티드의 염이며, 전이금속염의 형태가 착염인 폴리펩티드화합물의 염을 제공하고, 그 목적은 높은 항HIV 효과를 나타내는 식[Ⅰ]의 폴리펩티드화합물의 활성을 안정적이며 고도로 발현시키는, 염형성물과 활성증강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하 더욱 상세하게 본 발명의 신규 폴리펩티드 전이금속염 화합물에 관해서 설명한다.
폴리펩티드의 조제
본 발명의 식[Ⅰ]로 나타내는 폴리펩티드는 그 자체가 공지의 방법, 예를 들면 Stewart & Young 피아스화학회사 발행, 록포드, 일리노이주(1984) "고상펩티드합성법"에 기재되어 있는 고상합성기법에 의해서 제조할 수 있다. 식[I]중 A1에 있어서 아미노말단 아미노산 잔기의 N-α 위치의 수소원자가 아실기로 치환되어 있는 N-α-아실아미노산 잔기 또는 N-α-아실펩티드잔기인 경우, 직쇄상의 식[I]의 폴리펩티드를 불용성수지에 결합시킨 폴리펩티드수지로 조제하여, 그 폴리펩티드수지와 아실기에 해당하는 산무수물 또는 카르복실산을 축합제를 사용하여 반응시키고, N 말단아미노기를 아실화하여, N-아실화폴리펩티드수지로 하고, 이어서 불용성수지 및 아미노산의 보호기를 탈리시켜, 직쇄상의 식[I]의 폴리펩티드를 조제한다. 식[Ⅰ]중 A1에 있어서 아미노말단 N-α위치의 수소원자가 치환티오카바모일기로 치환되어 있는 N-α-치환티오카바모일화 아미노산 잔기 또는 N-α-치환티오카바모일화 펩티드잔기인 경우는, 상기 폴리펩티드를 치환이소티오시아네이트화합물과 약알칼리 조건하에 반응시킴으로써 본 발명의 N 말단 N-α-치환티오카바모일화폴리펩티드를 얻을 수 있다.
얻어진 폴리펩티드는, 14위치의 아미노산 잔기의 카르복실 말단은 프리(A4가 -OH에 상당)이거나 또는 산아미드(A4가 -NH2에 상당)로 변환될 수도 있다.
상기 고상합성법에 사용되는 각 아미노산은 특별히 표시하지 않는 한 L체를 나타내고, 8위치의 Y를 구성하는 프롤린과 대칭을 이루는 염기성 아미노산은 D체에 한정된다.
다른 방법으로서, 본 발명의 폴리펩티드는 재조합 DNA기법에 의해 조제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의 폴리펩티드를 코드하는 염기서열의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클론화하여, 잘 알려진 기존의 기술을 사용하여 그 폴리펩티드를 발현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Mniatis등, Molecular Cloning, A Laboratory Mannual, Cold Spring Harbor Laboratory, Cold Spring Harbor, NY, 1991을 참조.
이렇게 하여 얻어진 폴리펩티드는, 폴리펩티드 그 자체를 알려진 단리정제수단, 예를 들면, 추출, 재결정, 각종 크로마토그래피(겔여과, 이온 교환, 분배, 흡착, 역상), 전기영동, 향류 분배 등에 의해 단리정제할 수 있지만, 역상고속액체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방법이 가장 효과적이다.
이들 제법에 의한 구체적 실례는, 이미 개시된 미국특허 제5571892호(국제공개공보 WO92/04374호); 미국특허 제5449752호(일본 특개평5-163298호 공보)및 국제공개공보 WO95/10534호의 명세서를 참조할 수 있다.
식[I]로 표시되는 폴리펩티드는, 분자 내에 Cys 잔기, Arg 잔기, Lys 잔기를 포함하여, 입체구조적 정보에 의해, 최저 1쌍의 Cys 잔기 또는 Arg 잔기가 입체구조의 동일측면에 -SH 측쇄 또는 구아니딘 측쇄를 배좌하는 형을 취하고, 그 측쇄는 전이금속과 안정적으로 착염을 형성하기 쉽다. 그러나 통상 그 폴리펩티드는 산화되어 -S-S 체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더욱 용이하게 전이금속과의 착염을 형성하기 쉽게 하기 위해서, 착염형성에 있어서는, 미리 -SH(환원)체로서 전이금속과의 염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그 환원체의 초산염의 중성수용액에 전이금속의 염, 바람직하게는 전이금속과 유기산 또는 무기산과의 수용성의 염(예를 들면, 아세트산아연)을 적어도 2당량 이상 첨가함으로써 전이금속과의 염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I]로 표시되는 폴리펩티드 전이금속염 화합물은 상당히 강한 염기성을 나타낸다.
이 강한 염기성때문에 산부가에 의해 부가염을 형성한다. 예를 들면 무기산(염산, 브롬화수소산, 인산, 질산, 황산등), 유기카르복실산(아세트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같은 할로겐화초산, 프로피온산, 말레산, 호박산, 사과산, 구연산, 주석산, 살리실산등), 글루쿠론산, 갈락트론산, 글루콘산, 아스코르빈산등의 산성당류, 히알루론산, 콘드로이틴황산류, 알긴산등의 다당황산에스테르를 포함할 수 있는 산성다당, 또는 유기술폰산(메탄술폰산, p-톨루엔술폰산등)등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산의 염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상기 식(I)로 표시되는 폴리펩티드와의 전이금속염은,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할 수 있는 산과의 부가염으로서 제제학적 조성물에 사용할 수 있다.
본 폴리펩티드 전이금속염 화합물의 용도
식[I]로서 표시되는 폴리펩티드의 전이금속염 화합물은, 엔도톡신 결합능력, 항균활성 및 엔도톡신 감작혈구 용혈성을 갖는다. 게다가 본 발명의 폴리펩티드 전이금속염 화합물은 상당히 높은 항바이러스활성을 갖는다. 실시태양으로서, 본 발명의 폴리펩티드 전이금속염 화합물은 항HIV 활성을 갖는다.
본 발명에 의한 약제, 특히 항HIV제는, 유효성분으로서 상기 식[I]로 표시되는 폴리펩티드 전이금속염 화합물 또는 그 폴리펩티드 전이금속염 화합물의 약학적으로 허용할 수 있는 산과의 부가염과, 약제의 투여방법 및 투여형태에 따라서 선택될 수 있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는 의약조성물로서 조제된다.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로서는, Hank's 또는 Ringer's 용액, 생리식염액, 글루코오스 생리염용액, 또는 그들의 혼합액, 및 헤파린화구연산/구연산소다염/포도당용액으로서 알려진 생리적완충액을 예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항HIV 제는, 생체내부 바이러스질환, 또는 생체표면등의 생체외부 바이러스감염부의 치료 또는 소독대상에 따라서, 경구적으로 또는 비경구적으로 투여되어, 그 투여방법에 따라 적당한 약물담체에 의해 분말, 과립, 주사용 또는 내복용 액제, 정제, 좌제, 펫사리(pessaries), 연고, 크림, 에어로졸등의 제제로서 조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항HIV제를, 주사제로 직접 생체에 투여하는 경우에는, 본 발명의 폴리펩티드 또는 그 염을, 인간체중 kg/1일 당 1Omg 내지 5000mg을 생리식염액에 용해하여 점적 정맥주사에 의해 연속적 또는 간헐적으로 투여할 수가 있다.
이하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들에 의해 한정을 받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나타내는 실시예에서, 폴리펩티드(1) 및 폴리펩티드(2)의 전이금속염의 제조예, 및 그 폴리펩티드 전이금속염의 항HIV 활성 검정결과를 기지의 엔도톡신 친화성 폴리펩티드와 함께 나타낸다.
실시예1: 폴리펩티드(1)아연착물염의 조제
하기 식에 나타내는 폴리펩티드(1)는, 미국특허 제5571892호(PCT 국제공개공보 WO92/04374호), 미국특허 제5449752호(일본국 특허공개공보 특개평5-163298호)에 기재한 방법으로 합성조달했다.
1.1 폴리펩티드(1)의 환원체의 조제;
상기 PCT 국제공보등에 따라 조제한 폴리펩티드(1) 아세트산염(10.2mg, 3.37μmo1)을 정제수(0.5ml)에 녹였다. 이 용액에 폴리펩티드(1)에 대하여 50배 당량의 디티오스레이톨(생화학공업(주)제)(26.0mg, 169μmol)을 가하고, 질소가스를 플러시(flush)하여, 질소기류하, 실온에서 2시간 교반했다. 그 환원반응의 진행상황은 HPLC로 추적하여, 완전히 환원이 진행한 것을 확인했다.
환원반응이 완료된 그 반응용액을, 미리 25% 아세트산 수용액으로 평형화시킨 세파덱스 G-25(파인)(파마시아 바이오테크(주)) 칼럼(2.5 x 70cm)에 적용하여, 같은 25% 아세트산 수용액으로 용출하고, 분획(1분획=224적)을 수행했다. 엘만반응[G.L.El1man, Arch.Biochem.Biophys., 82, 70(1959); 티올기의 검출법] 및 플루오레스카민 반응[A.M.Felix등, J.Chromatogr., 89, 361(1974); 아미노기의 형광검출법]으로 양성의 분획번호 26 및 27의 분획부분을 모아, 그 분획용액을 감압농축하여, 10% 아세트산수용액으로 희석후, 그 용액을 동결건조하여, 목적하는 폴리펩티드(1)의 환원체 아세트산염을 얻었다.
수량: 6.8mg(수율 67%)
1.2 폴리펩티드(1)의 환원체의 분석;
1.1에서 얻어진 폴리펩티드(1)의 환원체 아세트산염을 Liu 등의 방법[T.Y.Liu등, J.Biol.Chem., 251, 1936(1976)]에 따라서, 0.2% 트립타민 함유 4M 메탄술폰산 중, 115℃, 24시간의 산가수분해를 행했다. 그 아미노산 조성치는 폴리펩티드(1)의 환원체의 아미노산조성치와 잘 일치했다.
얻어진 폴리펩티드(1)의 환원체 아세트산염의 비선광도[α]20D는 -26.0°(c= 0.09, 1M 아세트산수용액)이었다.
또한 얻어진 폴리펩티드(1)의 환원체 아세트산염은, 하기 조건하에서의 HPLC 분석으로 단일피크를 나타냈다.
<HPLC 분석조건 및 결과>
칼럼: TSK gel ODS-120T(0.46 x 15cm)(도소(주)) + TSK gurd gel ODS-120T(0.32 x 1.5cm) (도소(주))
그라디엔트용리:
용리액: 10% 아세토니트릴/0.1%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A액)
80% 아세토니트릴/0.1%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B액)
그라디엔트조건:
그라디엔트시간 B 액농도 A 액농도
1.0분 O% 10%
29.4분 42% 39.4%
35.0분 100% 80%
온도: 40℃
유속: 0.8ml/분
검출: 220nm 및 280nm
사용량: 5㎕(펩티드농도: lmg/ml)
용출시간: 폴리펩티드(1)의 환원체 아세트산염 19.27분
폴리펩티드(1)의 아세트산염 18.24분
1.3 폴리펩티드(1)환원체와 아연(II)이온과의 착물염의 조제:
1.1에서 얻어진 폴리펩티드(1)의 환원체 아세트산염을, 정제수 또는 1M 아세트산암모늄 완충액(pH7.2)에 용해했다.
이 수용액 또는 완충액에, 폴리펩티드(1)환원체에 대하여 2당량의 아연(II)이온에 상당하는 0.005M 아세트산아연 수용액을 가했다. 최종 펩티드농도는 5 mg/ml이 되도록 조절하여, 폴리펩티드(1)환원체와 아연(II)이온과의 착물용액을 얻었다.
1.4 폴리펩티드(1)환원체와 아연(ⅠⅠ)이온과의 착물염의 이온스프레이 질량분석법에 의한 구조확인:
1.3에서 얻어진 폴리펩티드(1)환원체와 아연(II)이온과의 착물용액의 일부를 취하여, 그 용액을 구조해석의 검체용액으로 하여, 하기조건하에 이온스프레이 질량분석법에 의해 구조분석했다.
<이온스프레이 질량분석조건>
장치: 트리플스테이지 4중극형 질량분석장치 APIIIE 형
(Perkin-Elmer Sciex사 제품; 다까라주조(주) 취급)
샘플주입: Harvard Apparatus syringe infusion pump 22(South Natick, MASS)를 사용하고, 유속 5μl/분으로 주입
오리피스전압(orifice voltage): 130V
매스스펙트럼 범위등: 질량대전하비(m/z) 600-1800
(스텝와이즈 0.5 amu.에서의 양이온모드에 의해 평균 30스캔)
얻어진 데이터의 분석: Macspec 3.22(Sciex)으로 분석
<이온스프레이 질량분석의 결과>
2+ 및 3+의 전하물 상태의 매스값(m/z: 1277.00 및 851.67)이 각각 관찰되었으며, 그 재구성 매스값(m/z: 2552.48)은 환원 폴리펩티드(1) + Zn-4H의 계산 매스값(m/z: 2552.40)에 잘 일치하였다.
즉 환원 폴리펩티드(1)와 아연(II)이온이 펩티드:Zn=1:1의 착물을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찰>
펩티드 또는 단백과 금속착물의 구조를 이온스프레이 질량분석 또는 일렉트로 스프레이 질량분석에 의해 동정할 수 있는 것이 이미 보고되어 있다. 예를 들면 H.E.Witkowska 등의 글루코코르티코이드 수용체(receptor)의 DNA 결합도메인의 아연핑거구조의 분석[J.Amer.Chem.Soc., 117, 3319(1995)], T.W.Hutchens 등의 아연핑거 단백도메인에의 구리 배위구조의 분석[FEBS Lett., 309, 170(1992)] 및 이온스프레이 질량분석법에 관한 우메다의 총설[단백질핵산효소, 36, 1655(1991) ]등을 참조.
이번 실험에 있어서도, 폴리펩티드(1)환원체와 아연(IⅠ) 이온과의 착물 구조가, 이온스프레이 질량분석법에 의해 동정 가능하다는 것이 밝혀졌다.
1.5 폴리펩티드(1)환원체와 아연(II)이온과의 착물염의 자외흡수스펙트럼측정분석에 의한 구조확인:
1.1에서 얻어진 폴리펩티드(1)환원체의 수용액 및 1.3에서 얻어진 폴리펩티드(1) 환원체와 아연(II)이온과의 착물용액의 일부를 취하여, 그 각 용액을 구조해석의 검체용액으로 하여, 하기 조건하에 자외흡수스펙트럼 및 그 차이스펙트럼을 측정하여, 그 분석에 의해 구조분석했다.
<자외흡수스펙트럼측정>
기기: 자외가시분광광도계 Ubest-30(일본분광(주))
측정파장 200-340nm
샘플: 새롭게 조제한 각 검체를 측정튜브에 취한 뒤, 질소가스를
플러시하여, 즉시 측정하였다.
통상의 자외흡수스펙트럼:
대조측: 증류수
검체측: 폴리펩티드(1)환원체 용액 및 폴리펩티드(1)환원체와
아연(II)이온과의 착물용액
자외흡수 차이스펙트럼:
대조측: 폴리펩티드(1)환원체 용액
검체측: 폴리펩티드(1)환원체와 아연(II) 이온과의 착물용액
<자외흡수스펙트럼 측정결과>
통상의 자외흡수스펙트럼:
폴리펩티드(1)환원체용액: 폴리펩티드(1) 구성 아미노산의 Trp에 특징적 흡수인 250-300nm에 큰 흡수 산(peak)이 나타났다. 278nm의 흡수극대와 280nm의 쇼울다(shoulder)를 나타냈지만, 이것은 Trp에 기인하는 특유의 흡수이다.
폴리펩티드(1)환원체와 아연(II)이온과의 착물용액: 250nm 부근에서 200 nm에 걸쳐서, 상기 폴리펩티드(1)환원체 용액의 흡수곡선에, 브로드하게 상승된 흡수곡선이 얻어졌다. 흡수파장을 더욱 명확하게 하기 위해서 하기 차이스펙트럼을 측정했다.
자외흡수차이스펙트럼
215-235nm의 범위를 차이흡수의 산으로 하는 차이스펙트럼이 얻어졌다.
<얻어진 자외흡수스펙트럼의 분석>
상기와 같이 폴리펩티드(1)환원체 용액에 아연(II)이온을 첨가하면, 215-235nm의 범위를 중심으로 하여 브로드하게 자외흡수가 증가하는 것이 관측되었다.
이 관찰결과는, 하기 고찰하는 바와 같이 폴리펩티드(1)환원체와 아연(II)이온과의 용액에 있어서는 폴리펩티드(1)의 환원체의 Cys의 SH기가 아연(II)이온과 메르캅티드결합으로 착물을 형성하고 있는 것을 명시하고 있다.
<고찰>
중금속해독에 관여하는 단백, 메탈로치오네인은, 그 구성 CyS 잔기의 SH기가, 카드뮴(II), 아연(II), 구리(I, II), 수은(II)이온등과 메르캅티드결합으로 착물을 형성하고, 구성되어 아포메탈로치오넨(SH체)에 금속이 메르캅티드결합하면, 각 금속 메르캅티드결합에 특유의 파장범위로 자외흡수가 증가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아연(II)이온과의 메르캅티드 결합체의 경우 220-230nm의 범위를 중심으로 하여 브로드하게 자외흡수가 증가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J.H.R.Kagi와 B.L.Vallee, J.Biol.Chem., 236, 2435(1961); M.Vasak등, Biochemistry, 20, 2852(1981); A.R.Thrower등, J.Biol.Chem., 263, 7037(1988); J.H.R.Kagi등, Environmenta Health Perspectives, 54, 93(1984)등을 참조]. 이 아연(IⅠ)이온의 메르캅티드결합에 의한 브로드한 자외흡수 증대범위(220-230nm)는, 상기 폴리펩티드(1)환원체와 아연(II)이온과의 용액에 있어서 관찰된 차이스펙트럼의 증대파장범위와 일치하고 있다.
즉, 폴리펩티드(1)환원체와 아연(II)이온과의 용액에 있어서는, 폴리펩티드(1)의 환원체의 Cys의 SH기는 아연(ⅠI)이온과 메르캅티드결합을 형성하고 있는 것이 명시되었다.
1.6 폴리펩티드(1)환원체와 아연(II)이온과의 착물염의 항HIV 활성;
1.3에서 얻어진 폴리펩티드(1)환원체와 아연(II)이온과의 착물용액의 일부를 취하여, 그 용액을 항HIV 활성측정의 검체용액으로 하여, 항HIV 활성을 측정했다.
실시예 2: 폴리펩티드(2)아연착물염의 조제
하기 식에 나타내는 폴리펩티드(2)는, PCT 국제공개공보 W095/10534호에 기재한 방법으로 합성조달했다.
2.1 폴리펩티드(2)의 환원체의 조제
상기 PCT 국제공보에 따라서 조제한 폴리펩티드(2)아세트산염(10.0 mg, 3.94μmol)을 정제수(0.5ml)에 녹였다. 이 용액에 폴리펩티드(2)에 대하여 53배 당량의 디티오스레이톨(생화학공업(주)제)(32.0mg, 207.5μmol)을 가하고, 질소가스를 플러시하여, 질소기류하, 실온에서 2시간 교반했다.
그 환원반응의 진행상황은 HPLC로 추적하여, 완전히 환원이 진행한 것을 확인했다.
환원반응이 완료한 그 반응용액을, 미리 25% 아세트산수용액으로 평형화했으며, 세파덱스 G-25(파인)(파마시아 바이오테크(주)) 칼럼(2.5 x 70cm)에 적용하여, 같은 25% 아세트산 수용액으로 용출하여, 분획(1분획= 224적)을 행했다. 엘만반응 및 플루오레스카민반응에 양성인 분획번호 25-27의 분획부분을 모아, 그 분획용액을 감압농축하고, 10% 아세트산수용액으로 희석 후, 그 용액을 동결건조하여, 목적하는 폴리펩티드(2)의 환원체 아세트산염을 얻었다.
수량: 9.8mg (수율 98%)
2.2 폴리펩티드(2)의 환원체의 분석;
2.1에서 얻어진 폴리펩티드(2)의 환원체 아세트산염을 1.2의 폴리펩티드(1)의 경우와 같이, Liu 등의 방법에 따라서, 0.2% 트립타민 함유 4M 메탄술폰산중, 115℃, 24시간의 산가수분해를 행했다. 그 아미노산 조성치는 폴리펩티드(2)의 환원체의 아미노산조성치와 잘 일치했다.
얻어진 폴리펩티드(2)의 환원체 아세트산염의 비선광도[α]20D는 - 23.3° (c=0.04, 1M 아세트산수용액)이었다.
또한 얻어진 폴리펩티드(2)의 환원체 아세트산염은 1.2의 폴리펩티드(1)의 HPLC 분석조건과 마찬가지 조건하에서 HPLC로 분석하여 단일피크를 나타냈다.
<HPLC 분석결과>
용출시간: 폴리펩티드(2)의 환원체 아세트산염 16.14분
폴리펩티드(2)의 아세트산염 15.87분
2.3 폴리펩티드(2)환원체와 아연(II)이온과의 착물염의 조제;
2.1에서 얻어진 폴리펩티드(2)의 환원체 아세트산염을 정제수 또는 1M 아세트산암모늄 완충액(pH7.2)에 용해했다.
이 수용액 또는 완충액에 폴리펩티드(2)환원체에 대하여 1당량의 아연(II)이온에 상당하는 0.005M 아세트산아연수용액을 가했다. 최종의 펩티드농도가 5mg/ml이 되도록 조절하여, 폴리펩티드(2)환원체와 아연(II)이온과의 착물용액을 얻었다.
2.4 폴리펩티드(2)환원체와 아연(II)이온과의 착물염의 이온스프레이 질량분석법에 의한 구조확인:
2.3에서 얻어진 폴리펩티드(2)환원체와 아연(II)이온과의 착물용액의 일부를 취하여, 그 용액을 구조해석의 검체용액으로 하고, 1.4의 폴리펩티드(1)환원체와 아연(II)이온과의 착물용액의 이온스프레이 질량분석의 경우와 동일조건으로 이온스프레이 질량분석법에 의해 구조분석했다.
<이온스프레이 질량분석의 결과>
2+ 및 3+의 전하물 상태의 매스값(m/z:1030.50와 687.34)이 각각 관찰되었으며, 그 재구성 매스값(m/z: 2059.98)은 환원폴리펩티드(2) + Zn-4H의 계산매스값(m/z:2O59.83)에 잘 일치했다.
즉, 환원폴리펩티드(2)와 아연(II)이온이 펩티드:Zn=1:1의 착물을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5 폴리펩티드(2)환원체와 아연(II)이온과의 착물염의 자외흡수스펙트럼 측정분석에 의한 구조확인
2.1에서 얻어진 폴리펩티드(2)환원체의 수용액 및 2.3에서 얻어진 폴리펩티드(2)환원체와 아연(II)이온과의 착물용액의 일부를 취하여, 그 각 용액을 구조해석의 검체용액으로 하고, 1.5의 폴리펩티드(1)의 경우와 마찬가지 조건으로 자외흡수스펙트럼 및 그 차이스펙트럼을 측정했다.
<자외흡수스펙트럼측정>
통상의 자외흡수스펙트럼:
대조측: 증류수
검체측: 폴리펩티드(2)환원체용액 및
폴리펩티드(2)환원체와 아연(II)이온과의 착물용액
자외흡수차이스펙트럼
대조측: 폴리펩티드(2)환원체용액
검체측: 폴리펩티드(2)환원체와 아연(II)이온과의 착물용액
<자외흡수스펙트럼측정결과>
통상의 자외흡수스펙트럼:
폴리펩티드(2)환원체용액: 폴리펩티드(2) 구성아미노산의 Trp에 특징적 흡수인 250-300nm에 큰 흡수의 산을 나타냈다. 278nm의 흡수극대와 280nm의 쇼울더를 나타냈지만, 이것은 Trp에 기인하는 특유의 흡수이다.
폴리펩티드(2)환원체와 아연(II)이온과의 착물용액: 250nm 부근에서 200nm에 걸쳐서 상기 폴리펩티드(2)환원체용액의 흡수곡선에, 간신히 브로드하게 상승된 흡수곡선이 얻어졌다.
자외흡수차이스펙트럼 215-235nm의 범위를 차이흡수의 산으로 하는 차이스펙트럼이 얻어졌다.
<얻어진 자외흡수스펙트럼의 분석>
상기한 바와 같이, 폴리펩티드(2)환원체용액에 아연(II)이온을 첨가하면, 215-235nm의 범위를 중심으로 하여 브로드하게 자외흡수가 증가하는 것이 관측되었다.
즉, 폴리펩티드(2)환원체와 아연(II)이온과의 용액에 있어서는, 폴리펩티드(1)의 환원체의 Cys의 SH기는, 아연(lI)이온과 메르캅티드결합을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6 폴리펩티드(2)환원체와 아연(II)이온과의 착물염의 항HIV 활성;
상기에서 얻어진 폴리펩티드(2)환원체와 아연(II)이온과의 착물용액의 일부를 취하여, 그 용액을 항HIV 활성 측정의 검체용액으로 하여, 항HIV 활성을 측정했다.
실시예 3: 인간면역부전바이러스(HIV)에 대한 항바이러스활성
실시예 1에 의해 조제한 폴리펩티드(1)아연착물, 및 실시예 2에 의해 조제한 폴리펩티드(2)아연착물의 HIV에 대한 항바이러스활성을 이하의 방법에 따라서 시험하여 평가했다.
96 웰 마이크로타이타플레이트(96-well microtiter plate)에, 여러가지 농도의 시험물질과 함께 HIV 감염 MT-4세포(2.5×104세포/구멍(well), 감염다중도(MOI):O.OOl)를 감염직후에 가한다. CO2인큐베이터중, 37℃에서 5일간 배양한 뒤, 생존 세포수를 MTT법[Pauwels등; J.Virol Methods 20, 309∼321(1988)]로 측정했다. 항바이러스활성은, HIV 감염에 의한 세포사를 50% 억제하는 농도(EC50: 5O% effective concentration)로 나타낸다. 한편 시험물질의 MT-4세포에 대한 세포독성을 알기 위해서, 바이러스 비감염세포를 위와 같이 여러가지 농도의 시험물질과 함께 배양을 했다. 세포독성은 시험물질에 의한 50% 세포장해농도(CC50: 50% cytotoxic concentration)로 나타낸다. 또한 CC50와 EC50의 개략비(CC50/EC50)를 유효비(SI)로서 나타내었다.
항HIV 활성측정결과를 다른 화합물의 결과와 더불어 하기 표 2에 나타낸다.
각종화합물의 항HIV 활성
화합물 CC50(㎍/ml) EC50(㎍/ml) SI(CC50/EC50)
폴리펩티드(1) 41.53 0.0047 8928
폴리펩티드(1)+Zn++(2eq) 38.66 0.008 4808
폴리펩티드(1)의 환원체 41.27 0.0052 8011
[폴리펩티드(1)/2eq Zn++] 착염 40.63 0.0013 30683
폴리펩티드(2) 44.60 0.029 1565
폴리펩티드(2)+Zn++(1eq) 38.93 0.033 1172
폴리펩티드(2)의 환원체 41.17 0.040 1034
[폴리펩티드(2)/1eq Zn++]착염 54.63 0.014 4052
Zn++(μM) 0.48 0.15 3
덱스트란황산 >1000 0.68 >1480
AZT(μM) 1.93 0.0011 1716
서열표
서열번호: 1
서열의 길이: 14
서열의 타입: 아미노산
토폴로지: 직쇄상
서열의 종류: 펩티드
서열의 특징
존재위치 : 1
기타 정보:
Xaa는, 독립하여 Lys, Arg 및 Orn에서 선택되는 염기성 아미노산 잔기; 상기 염기성 아미노산을 적어도 2개 갖는 펩티드잔기; 상기 염기성 아미노산 잔기 또는 상기 펩티드잔기의 아미노말단 아미노산 잔기의 N-α 위치의 수소원자가 아실기 또는 치환티오카바모일기로 치환되어 있는 N-α 치환아미노산 잔기 또는 N-α 치환펩티드잔기를 나타낸다.
존재위치: 2
기타 정보:
Xaa는, 독립하여 Phe, Trp 및 Tyr에서 선택되는 아미노산 잔기를 나타낸다.
존재위치: 4
기타 정보:
Xaa는, 독립하여 Phe, Trp 및 Tyr에서 선택되는 아미노산 잔기를 나타낸다.
존재위치: 5, 6
기타 정보:
Xaa는, 독립하여 Arg, Lys 및 Orn에서 선택되는 염기성 아미노산 잔기를 나타낸다.
존재위치: 7
기타 정보:
Xaa는, Ala, Val, Leu, Ile, Ser, Met 및 Cys에서 선택되는 1개의 아미노산 잔기의 다음 위치에, Phe, Trp 또는 Tyr의 1개의 아미노산이 펩티드결합에 의해 연결된 아미노산2잔기의 펩티드잔기를 나타낸다.
존재위치: 8
기타 정보:
Xaa는, Gly와, Arg, Lys 또는 Orn의 1개의 아미노산 잔기와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아미노산2잔기의 펩티드잔기, 또는 Pro와, D-Arg, D-Lys 및 D-Orn에서 선택되는 1개의 아미노산 잔기와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아미노산2잔기의 펩티드잔기를 나타낸다.
존재위치: 9
기타 정보 :
Xaa는, Ala, Val, Leu, Ile, Ser, Met, Phe, Trp 및 Tyr에서 선택되는 1개의 아미노산 잔기의 다음 위치에, Cys가 펩티드결합에 의해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아미노산2잔기의 펩티드잔기를 나타낸다.
존재위치: 7, 8, 9
기타 정보 :
펩티드결합에 의해 연결된 Xaa-Xaa-Xaa 잔기는, 6 위치와 10위치의 각각의 아미노산 잔기와 펩티드결합을 매개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7 위치의 Xaa와 9 위치의 Xaa가 동시에 결락하는 것에 의해 8 위치의 Xaa 잔기가 6 위치와 10 위치의 각각의 아미노산 잔기와 펩티드결합을 매개로 직접 결합하여도 좋으며, 이 경우, 8 위치의 Xaa의 구성아미노산인 D-Lys, L-Lys, D-Orn 또는 L-Orn의 측쇄 ω-아미노기의 수소원자는, ω-아미노아실기로 치환되어 있어도 좋다.
존재위치: 10
기타 정보:
Xaa는 독립하여 Phe, Trp 및 Tyr에서 선택되는 아미노산 잔기를 나타낸다.
존재위치: 11, 12
기타 정보:
Xaa는, 독립하여 Arg, Lys 및 Orn에서 선택되는 염기성 아미노산 잔기를 나타낸다.
존재위치: 14
다른 정보:
Xaa는, 독립하여 Arg, Lys 및 Orn에서 선택되는 염기성 아미노산 잔기를 나타낸다.
서열 :
서열번호: 2
서열의 길이: 18
서열의 타입: 아미노산
토폴로지: 직쇄상
서열의 종류: 펩티드
서열 :
서열번호: 3
서열의 길이: 17
서열의 타입: 아미노산
토폴로지: 직쇄상
서열의 종류: 펩티드
서열:
서열번호: 4
서열의 길이: 18
서열의 타입: 아미노산
토폴로지: 직쇄상
서열의 종류: 펩티드
서열:
서열번호: 5
서열의 길이: 18
서열의 타입: 아미노산
토폴로지: 직쇄상
서열의 종류: 펩티드
서열:

Claims (7)

  1. 하기식
    [식중 A1은 독립하여 Lys, Arg 및 0rn에서 선택되는 염기성 아미노산 잔기; 상기 염기성 아미노산을 적어도 2개 갖는 펩티드잔기; 상기 염기성 아미노산 잔기 또는 상기 펩티드잔기의 아미노말단 아미노산 잔기의 N-α위치의 수소원자가 아실기 또는 치환티오카바모일기로 치환되어 있는 N-α 치환아미노산 잔기 또는 N-α 치환펩티드잔기를 나타내고,
    A2는 독립하여 Phe, Trp 및 Tyr에서 선택되는 아미노산 잔기를 나타내며,
    A3는 독립하여 Arg, Lys 및 Orn에서 선택되는 염기성 아미노산잔기를 나타내고,
    A4는 -OH(카르복실기 유래) 또는 -NH2(산아미드기 유래)를 나타내며,
    X는 Ala, Val, Leu, Ile, Ser, Met 및 Cys에서 선택되는 1개의 아미노산 잔기의 다음 위치에, A2의 1개의 아미노산이 펩티드결합에 의해 연결된 아미노산2잔기의 펩티드잔기를 나타내고,
    Y는 Gly과 A3의 1개의 아미노산 잔기와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아미노산2잔기의 펩티드잔기, 또는 Pro과 D-Arg, D-Lys 및 D-Orn에서 선택되는 1개의 아미노산 잔기와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아미노산2잔기의 펩티드잔기를 나타내며,
    Z는 Ala, Val, Leu, Ile, Ser, Met 및 A2로부터 선택되는 1개의 아미노산 잔기의 다음 위치에, Cys이 펩티드결합에 의해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아미노산2잔기의 펩티드잔기를 나타내고,
    펩티드결합에 의해 연결된 X-Y-Z 잔기는, 6 위치와 10 위치의 각각의 아미노산 잔기와 펩티드결합을 매개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XZ가 동시에 결락하는 것에 의해 Y 잔기가 6 위치와 10위치의 각각의 아미노산 잔기와 펩티드결합을 매개로 직접 결합하여도 좋고, 이 경우, Y의 구성아미노산인 D-Lys, L-Lys, D-Orn 또는 L-Orn의 측쇄 ω-아미노기의 수소원자는 ω-아미노아실기로 치환되어 있어도 좋다]로 표시되는 폴리펩티드화합물과 전이금속과의 염인 폴리펩티드 전이금속염 화합물 또는 그 폴리펩티드 전이금속염 화합물과 산과의 부가염.
  2. 제1항에 있어서, 전이금속과의 염이 착염인 폴리펩티드 전이금속염 화합물 또는 그 폴리펩티드 전이금속염 화합물과 산과의 부가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전이금속이 철족(Fe, Co, Ni), 구리족(Cu, Ag, Au), 아연족(Zn, Cd, Hg) 및 망간족(Mn, Tc, Re)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전이금속인 폴리펩티드 전이금속염 화합물 또는 그 폴리펩티드 전이금속염 화합물과 산과의 부가염.
  4. 하기식
    [식중 A1은 독립하여 Lys, Arg 및 0rn에서 선택되는 염기성 아미노산 잔기; 상기 염기성 아미노산을 적어도 2개 갖는 펩티드잔기; 상기 염기성 아미노산 잔기 또는 상기 펩티드잔기의 아미노말단 아미노산 잔기의 N-α위치의 수소원자가 아실기 또는 치환티오카바모일기로 치환되어 있는 N-α 치환아미노산 잔기 또는 N-α 치환펩티드잔기를 나타내고,
    A2는 독립하여 Phe, Trp 및 Tyr에서 선택되는 아미노산 잔기를 나타내며,
    A3는 독립하여 Arg, Lys 및 Orn에서 선택되는 염기성 아미노산잔기를 나타내고,
    A4는 -OH(카르복실기 유래) 또는 -NH2(산아미드기 유래)를 나타내며,
    X는 Ala, Val, Leu, Ile, Ser, Met 및 Cys에서 선택되는 1개의 아미노산 잔기의 다음 위치에, A2의 1개의 아미노산이 펩티드결합에 의해 연결된 아미노산2잔기의 펩티드잔기를 나타내고,
    Y는 Gly과 A3의 1개의 아미노산 잔기와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아미노산2잔기의 펩티드잔기, 또는 Pro과 D-Arg, D-Lys 및 D-Orn에서 선택되는 1개의 아미노산 잔기와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아미노산2잔기의 펩티드잔기를 나타내며,
    Z는 Ala, Val, Leu, Ile, Ser, Met 및 A2로부터 선택되는 1개의 아미노산 잔기의 다음 위치에, Cys이 펩티드결합에 의해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아미노산2잔기의 펩티드잔기를 나타내고,
    펩티드결합에 의해 연결된 X-Y-Z 잔기는, 6 위치와 10 위치의 각각의 아미노산 잔기와 펩티드결합을 매개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XZ가 동시에 결락하는 것에 의해 Y 잔기가 6 위치와 10위치의 각각의 아미노산 잔기와 펩티드결합을 매개로 직접 결합하여도 좋고, 이 경우, Y의 구성아미노산인 D-Lys, L-Lys, D-Orn 또는 L-Orn의 측쇄 ω-아미노기의 수소원자는 ω-아미노아실기로 치환되어 있어도 좋다]로 표시되는 폴리펩티드 화합물의 항HIV작용 활성발현법에 있어서, 전이금속과의 염으로 함으로써, 항HIV 작용이 높으며 안정한 활성을 발현하는 방법.
  5. 제1항의 폴리펩티드 전이금속염 화합물 또는 그 폴리펩티드 전이금속염 화합물과 산과의 부가염의 유효량 및 제약학적 담체를 포함하는 제약학적 또는 제제학적 조성물.
  6. 바이러스의 활동을 저해하기 위한 제5항에 따른 조성물.
  7. 환자 체내의 HIV의 활동을 저해하기 위한 제5항에 따른 조성물.
KR1019990703185A 1996-10-15 1997-10-15 폴리펩티드 전이금속염 및 폴리펩티드의 항hiv 활성증강법 KR2000004910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9121596 1996-10-15
JP1996-291215 1996-10-1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9105A true KR20000049105A (ko) 2000-07-25

Family

ID=177659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703185A KR20000049105A (ko) 1996-10-15 1997-10-15 폴리펩티드 전이금속염 및 폴리펩티드의 항hiv 활성증강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6329498B1 (ko)
EP (1) EP1016672A4 (ko)
KR (1) KR20000049105A (ko)
CN (1) CN1233257A (ko)
AU (1) AU713591B2 (ko)
CA (1) CA2268011A1 (ko)
HU (1) HUP9904615A3 (ko)
NO (1) NO991772L (ko)
RU (1) RU2179981C2 (ko)
WO (1) WO199801655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570805B (en) 1998-09-01 2004-01-11 Hoffmann La Roche Water-soluble pharmaceutical composition in an ionic complex
CN100366633C (zh) * 2006-04-18 2008-02-06 河北师范大学 棕点湍蛙抗病毒多肽及其在制药中的应用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9115878T2 (de) * 1990-09-11 1996-06-05 Seikagaku Kogyo Co Ltd Neue polypeptide und damit hergestellte anti-hiv medikamente
JP3266311B2 (ja) * 1991-05-02 2002-03-18 生化学工業株式会社 新規ポリペプチドおよびこれを用いる抗hiv剤
ATE177114T1 (de) * 1993-10-14 1999-03-15 Seikagaku Kogyo Co Ltd Polypeptide und daraus hergestellte, gegen hiv wirksame substanz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NO991772L (no) 1999-06-08
HUP9904615A3 (en) 2000-07-28
HUP9904615A2 (hu) 2000-06-28
EP1016672A4 (en) 2001-04-11
WO1998016555A1 (fr) 1998-04-23
AU4572197A (en) 1998-05-11
NO991772D0 (no) 1999-04-14
US6329498B1 (en) 2001-12-11
RU2179981C2 (ru) 2002-02-27
AU713591B2 (en) 1999-12-09
CN1233257A (zh) 1999-10-27
CA2268011A1 (en) 1998-04-23
EP1016672A1 (en) 2000-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53931B1 (en) Transport vectors
KR100208873B1 (ko) 폴리펩타이드 및 그것으로 부터 제조된 항-hiv 제제
JP5307169B2 (ja) CXCR4拮抗活性を有するテンプレート固定βヘアピンペプチド擬似体
US7595298B2 (en) Polypeptides having anti-HIV activity and compositions comprising same
Gunasekera et al. Making ends meet: microwave-accelerated synthesis of cyclic and disulfide rich proteins via in situ thioesterification and native chemical ligation
JPH05163298A (ja) 新規ポリペプチドおよびこれを用いる抗hiv剤
IL299530A (en) Psidine is a conjugated mimetic
SK11242002A3 (sk) Zlúčenina, spôsob prípravy zlúčeniny, farmaceutický prostriedok a spôsob liečenia rakoviny
TWI325430B (en) Aminated complex type sugar chain derivative and its production method
JP3178835B2 (ja) 新規ポリペプチドおよびこれを用いる抗hiv剤
JP2023549229A (ja) トランスフェリン受容体1(TfR1)に特異的な二環式ペプチドリガンド
WO2006101909A2 (en) Combination therapy for treating or preventing diseases
KR20000049105A (ko) 폴리펩티드 전이금속염 및 폴리펩티드의 항hiv 활성증강법
CZ20011700A3 (cs) Benzoxazolové deriváty a léčiva na jejich bázi
CN110551179B (zh) 一种经修饰的抗hiv多肽及其制备方法和用途
EP3692051B9 (en) Anticancer peptides and uses thereof
US20040038871A1 (en) Conjugates of aminodrugs
JP4332618B2 (ja) 抗hiv剤
JPH07252299A (ja) ヒルジン誘導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200101344A (ko) 베타-헤어핀 펩티도미메틱스
WO1998043995A1 (fr) Nouveaux complexes anti-vih et compositions medicamenteuses
JPS6124598A (ja) 〔Nle↑8,Nle↑1↑8〕−h−PTH(1−34)NH↓2
JPH0925240A (ja) 医薬組成物
JPH05331195A (ja) 新規なペプチ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