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48050A - 테이프 카세트 - Google Patents

테이프 카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48050A
KR20000048050A KR1019990056356A KR19990056356A KR20000048050A KR 20000048050 A KR20000048050 A KR 20000048050A KR 1019990056356 A KR1019990056356 A KR 1019990056356A KR 19990056356 A KR19990056356 A KR 19990056356A KR 20000048050 A KR20000048050 A KR 200000480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pe
reel
leader
cartridge
casset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63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키요시쓰구
히라모토다카오
다카야마요시히사
Original Assignee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이데이 노부유끼
Publication of KR200000480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48050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3/00Record carrier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ccessories, e.g.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 Intermediate medium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ir manufacture
    • G11B23/02Containers; Storing means both adapted to cooperate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means
    • G11B23/037Single reels or spool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3/00Record carrier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ccessories, e.g.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 Intermediate medium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ir manufacture
    • G11B23/02Containers; Storing means both adapted to cooperate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means
    • G11B23/04Magazines; Cassettes for webs or filaments
    • G11B23/08Magazines; Cassettes for webs or filaments for housing webs or filaments having two distinct ends
    • G11B23/107Magazines; Cassettes for webs or filaments for housing webs or filaments having two distinct ends using one reel or core, one end of the record carrier coming out of the magazine or cassett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3/00Record carrier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ccessories, e.g.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 Intermediate medium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ir manufacture
    • G11B23/20Record carrier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ccessories, e.g.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 Intermediate medium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ir manufacture with provision for splicing to provide permanent or temporary connections
    • G11B23/26Record carrier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ccessories, e.g.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 Intermediate medium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ir manufacture with provision for splicing to provide permanent or temporary connections of leaders for loading or threading, e.g. to form a temporary connection

Landscapes

  • Replacement Of Web Rolls (AREA)
  • Packaging Of Annular Or Rod-Shaped Articles, Wearing Apparel, Cassettes, Or The Like (AREA)
  • Storage Of Web-Like Or Filamentary Materials (AREA)
  • Impression-Transfer Materials And Handling Thereof (AREA)

Abstract

기록 재생 장치에의 장착을 확실하게 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카트리지(2) 내에 1개의 테이프 릴(3)을 가지고 이 테이프 릴에 테이프형 기록 매체(10)가 감긴 테이프 카세트(1)로서, 상기 테이프형 기록 매체의 감아내기단(卷出端)에 이 테이프형 기록 매체보다 강성(剛性)이 높은 리더 테이프(12)가 접속되고, 상기 리더 테이프의 양측 에지의 최소한 일부에 톱니형부(돌기부)(12b)가 형성되고, 상기 테이프 릴은 허브(4)의 상하에 플랜지부(5, 6)를 가지고, 이 플랜지부의 외주 에지부에 상기 리더 테이프의 돌기부와 맞물리는 이송 톱니(맞물림부)(7, 8)가 형성되고, 상기 테이프 릴의 한 방향으로의 회전에 의해 상기 맞물림부가 상기 돌기부를 보냄으로써 리더 테이프를 카트리지로부터 송출하도록 했다.

Description

테이프 카세트 {TAPE CASSETTE}
본 발명은 신규의 테이프 카세트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테이프 카세트에 있어서, 기록 재생 장치에의 장착을 확실하게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또, 본 발명은 상세하게는, 카트리지 내에 1개의 테이프 릴을 배설하고, 이 테이프 릴에 테이프형 기록 매체를 감고, 이 테이프형 기록 매체의 감아내기단(券出端)에 이 테이프형 기록 매체보다 강성(剛性)이 높은 리더 테이프를 접속하고, 테이프 릴의 한 방향으로의 회전에 의해 리더 테이프를 카트리지로부터 송출하도록 하는 동시에, 리더 테이프의 송출을 확실하게 하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또, 본 발명은 상세하게는, 사용 시에서의 릴대(臺)와 테이프 릴과의 동력 전달에 사용하는 부재와 불사용 시에 테이프 릴을 로크하는 부재를 공통화하여 부품 개수의 삭감을 도모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카트리지 내에 1개의 테이프 릴을 가지고, 이 테이프 릴에 테이프가 감긴 1릴 테이프 카세트가 있다.
종래의 1릴 테이프 카세트에 있어서는, 감기 릴은 기록 재생 장치에 배설되어 있고, 1릴 테이프 카세트가 기록 재생 장치에 장착되면, 감기 릴 쪽으로부터 탄력성이 있는 인출 테이프가 1릴 테이프 카세트 쪽으로 풀려 나오고, 이 인출 테이프의 선단과 테이프의 선단에 접속된 리더 테이프를 맞물리게 하고, 그리고, 인출 테이프를 감기 릴에 감음으로써, 테이프를 카트리지로부터 인출하도록 되어 있었다.
또, 이와 같은 1릴 테이프 카세트에 있어서, 기록 재생 장치에 장착되어 기록 및/또는 재생이 행해질 때에는, 기록 재생 장치에 배설된 릴대와의 사이에서 동력 전달이 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예를 들면, 종래에는 테이프 릴의 하면과 릴대의 상면을 압접(壓接)하기 위한 압접 수단이 형성되어 있었다.
또, 불사용시에는, 멋대로 테이프 릴이 회전 하면, 테이프의 감기가 혼란해져 테이프에 주름이 지거나, 경우에 따라서는 테이프가 얽히거나 하여 테이프에 손상이 발생해 버리므로, 테이프 릴이 멋대로 회전해 버리지 않도록 로크해 둘 필요가 있다. 그래서, 종래에는 테이프 릴에 형성된 로크 수단과 카트리지에 형성된 로크 수단을 맞물리게 하는 가압 수단이 형성되어 있었다.
상기한 종래의 1릴 테이프 카세트에 있어서는, 테이프의 인출을 위해 감기 릴측으로부터 인출 테이프를 풀어 내고, 이 인출 테이프의 선단을 리더 테이프와 맞물리게 하기 위한 기구가 복잡하게 되고, 또, 인출 테이프의 선단과 리더 테이프와의 맞물림에 실패할 가능성이 크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기구가 복잡한 만큼, 1릴 테이프 카세트의 기록 재생 장치에의 출입 시에 동작하는 부품의 개수가 많아지고, 내구성에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1릴 테이프 카세트에 있어서는, 테이프 릴의 하면과 릴대의 상면을 압접시키기 위한 압접 수단과 테이프 릴에 형성된 로크 수단과 카트리지에 형성된 로크 수단을 맞물리게 하는 가압 수단이 각각 별개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부품 개수가 많아져, 코스트 상승의 원인이 되며, 또, 설치 스페이스가 여분으로 필요한 만큼 소형화가 제약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부품 개수가 많다고 하는 것은 고장의 기회도 많다고 하는 것이 된다.
도 1은 도 2 내지 도 7과 함께 본 발명인 테이프 카세트의 실시 형태를 나타낸 것이며, 본 도면은 평면도.
도 2는 종단면도.
도 3은 도 4 내지 도 6과 함께 테이프 안내부를 나타낸 것이며, 본 도면은 정면도.
도 4는 배면도.
도 5는 평면도.
도 6은 저면도.
도 7은 리딩 테이프를 나타낸 정면도.
도 8은 도 9 내지 도 16과 함께 본 발명에 관한 1릴 테이프 카세트가 사용되는 기록 재생 장치의 일예를 나타낸 것이며, 본 도면은 개략 사시도.
도 9는 1릴 테이프 카세트가 기록 재생 장치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 사시도.
도 10은 리딩 테이프의 선단부가 감기 릴에 걸린 상태를 나타낸 개략 평면도.
도 11은 도 10의 XI-XI선에 따르는 단면도.
도 12는 감기 릴의 측면도.
도 13은 리딩 테이프가 감기 릴에 감긴 상태를 나타낸 개략 평면도.
도 14는 도 13의 XIV에서 본 도면.
도 15는 테이프의 패스가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 사시도.
도 16은 테이프가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릴 테이프 카세트(테이프 카세트), 2: 카트리지, 3: 테이프 릴, 10: 테이프(테이프형 기록 매체), 12: 리딩 테이프(테이프), 14: 압축 코일 스프링(가압 수단), 15: 맞물림 돌기(미끄럼 규제 수단), 16: 로크 톱니(피(被)로크 수단), 17: 로크 요부(凹部)(로크 수단), 26: 릴대(臺).
그래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고, 부품 개수를 삭감하여, 간단한 기구로 확실하게 테이프의 송출을 행하는 테이프 카세트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의 테이프 카세트는,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테이프형 기록 매체의 감아내기단에 상기 테이프형 기록 매체보다 강성이 높은 리더 테이프를 접속하고, 상기 리더 테이프의 양측 에지의 최소한 일부에 돌기부를 형성하고, 상기 테이프 릴은 허브의 상하에 플랜지부를 형성하고, 이 플랜지부의 외주 에지부에 상기 리더 테이프의 돌기부와 맞물리는 맞물림부를 형성하고, 상기 테이프 릴의 한 방향으로의 회전에 의해 상기 맞물림부가 상기 돌기부를 보냄으로써 리더 테이프를 카트리지로부터 송출하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테이프 카세트에 있어서는, 테이프 릴의 회전 구동력만으로 리더 테이프를 카트리지로부터 송출할 수 있으므로, 종래의 인출 테이프에 의해 카트리지로부터 인출하는 방법과 비교하여 구조를 현격하게 간단히 할 수 있다.
또, 다른 본 발명의 테이프 카세트는, 테이프 인출구에 대응한 부위를 제외하고 대략 전 주위에 걸쳐 상기 테이프 릴의 축 방향에서의 최소한 일부를 에워싸도록 리더 테이프용 가이드벽을 형성한 것이다.
따라서, 이 다른 본 발명의 테이프 카세트에 있어서는, 테이프 릴을 테이프 풀어내기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리더 테이프가 가이드벽에 접촉하고 그 강성에 의해 테이프 릴의 회전력이 리더 테이프를 풀어 내는 힘이 되어, 리더 테이프가 확실하게 카트리지로부터 풀려 나오게 된다.
또, 다른 본 발명의 테이프 카세트는 테이프 인출구에 대응한 위치에 테이프를 안내하는 테이프 안내부를 형성하고, 상기 테이프 안내부의 테이프와 접촉하는 면에 스토퍼를 돌출 설치하고, 상기 리더 테이프에 당해 리더 테이프가 카트리지 내로 되감겼을 때에 상기 테이프 안내부의 스토퍼와 맞물려 리더 테이프의 카트리지 내에의 과다 인입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공을 형성한 것이다.
따라서, 이 다른 본 발명의 테이프 카세트에 있어서는, 리더 테이프의 카트리지 내에의 과다 인입이 방지되고, 리더 테이프의 선단이 정(定)위치에 위치하고 있게 되므로, 테이프 릴의 회전에 의한 리더 테이프의 풀어내기가 확실하게 행해지게 된다.
또, 다른 본 발명의 테이프 카세트는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테이프형 기록 매체의 감아내기단에 이 테이프형 기록 매체보다 강성이 높은 리더 테이프를 접속하고, 테이프 릴의 한 방향으로의 회전에 의해 리더 테이프를 카트리지로부터 송출하도록 하고, 상기 카트리지의 테이프 인출구 근방에 테이프 릴의 회전에 의해 압출되어 오는 리더 테이프의 선단부를 테이프 인출구 쪽으로 안내하는 테이프 안내부를 형성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테이프 카세트에 있어서는, 리더 테이프의 선단부가 카트리지 내로 깊게 끌려 들어와 버린 경우라도, 테이프 릴의 한 방향으로의 회전에 의해 리더 테이프의 선단부가 테이프 안내부로 안내되어 테이프 인출구 쪽으로 인도되므로, 리더 테이프의 송출을 확실하게 할 수 있다.
또, 다른 본 발명의 테이프 카세트는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테이프 릴의 하면에 형성되어 릴대와 압접됨으로써, 면 방향으로의 미끄럼이 규제되는 미끄럼 규제 수단과, 상기 테이프 릴을 릴대와 압접되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가압수단과, 상기 테이프 릴의 하면에 형성된 피(被)로크 수단과, 카트리지의 내저면(內底面)에 형성되어 상기 피로크 수단과 맞물리는 로크 수단을 형성하고, 불사용 시에는 상기 가압 수단에 의해 상기 피로크 수단과 상기 로크 수단이 맞물리고, 사용 시에는 릴대의 상기 미끄럼 규제 수단과의 압접에 의해 테이프 릴의 하면이 카트리지의 내저면으로부터 이간(離間)되어 상기 피로크 수단과 상기 로크 수단과의 맞물림이 풀리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테이프 카세트에 있어서는, 사용 시에 있어서의 릴대와 테이프 릴과의 동력 전달에 사용하는 부재인 가압 수단을 불사용 시에 테이프 릴을 로크하는 부재로서도 사용함으로써, 부품의 공통화을 도모하고 부품 개수의 삭감을 도모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테이프 카세트의 실시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도시한 실시 형태는 본 발명을 데이터 기억용 테이프 카세트로서 적용한 것이다.
1릴 테이프 카세트(1)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평면 형상으로 직사각형의 상자형을 한 카트리지(2)를 구비한다.
카트리지(2) 내에는 테이프 릴(3)이 회전 가능하게 수납되어 있다. 테이프 릴(3)은 통형을 한 허브(4)와 이 허브(4)의 상하로 일체로 형성된 원판형을 한 플랜지부(5, 6)로 이루어진다. 상하의 플랜지부(5, 6)의 외주 에지부에는 전 주위에 걸쳐 단차부(段差部)가 형성되고, 상부 플랜지부(5)의 단차부 하면 및 하부 플랜지부(6)의 단차부 상면에는 각각 이송 톱니(7, 7, … 및 8, 8, …)가 주위 방향으로 나란히 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하의 플랜지부(5와 6)와의 사이의 부분 중 단차부로부터 안 쪽 부분이(9)이, 예를 들면, 자기 테이프 등의 테이프형 기록 매체, 즉, 테이프(10)를 감는 테이프 감기부가 되고, 단차부의 부분(11)이 리더 테이프(12)를 감는 리더 테이프 감기부가 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테이프 감기부(9)의 상하 폭 T는 리더 테이프 감기부(11)의 상하 폭 U보다 작게 형성되고, 또한, 테이프(10)의 폭 t보다 약간 크게 형성되어 있다. 또, 리더 테이프 감기부(11)의 상하 폭 U는 리더 테이프(12)의 후술하는 무톱니부(缺齒部)를 제외하는 부분의 폭 u보다 약간 크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허브(4)의 상단면에는 요부(凹部)(4a)가 형성되고, 카트리지(2)의 상면벽 하면의 상기 요부(4a)에 대응한 위치에는 돌기(13)가 형성되고, 압축 코일 스프링(14)이 상기 요부(4a)와 카트리지(2)의 상면벽과의 사이에서 압축되고, 이 압축 코일 스프링(14)의 상단부는 상기 돌기(13)에 밖에서 끼워져 있다. 이에 따라, 테이프 릴(3)은 하방으로 힘이 가해지고 있다.
또, 상기 허브(4)의 하면에는 그 중심에 중심공(4b)이 형성되는 동시에, 이 중심공(4b)을 중심으로 하여 방사형으로 연장되는 맞물림 돌기(15, 15, …)가 형성되어 있다.
카트리지(2)의 하면벽에는 릴대 삽입구(2a)가 형성되고, 이 릴대 삽입구(2a)로부터 후술하는 릴대가 카트리지(2) 내에 삽입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하부 플랜지부(6)의 외주 에지부 하면에는 로크 톱니(16, 16, …)가 주위 방향으로 나란히 하도록 형성되고, 카트리지(2)의 하면벽의 이 로크 톱니(16, 16, …)에 대향한 위치에 이 로크 톱니(16, 16, …)가 맞물리는 로크 요부(17, 17, …)가 형성되어 있다. 형상은 톱니 또는 사다리꼴로 하여 맞물리기 쉽게 하는 것은 용이하게 고려되며, 도면에 구애되지 않는다.
카트리지(2)의 한 측면벽(2b)의 단부(端部)에는 테이프 인출구(18)가 형성되고, 이 테이프 인출구(18)는 회동 가능한 리드(18a)에 의해 개폐되도록 되어 있다.
카트리지(2) 내의 상기 테이프 인출구(18) 근처에 테이프 안내부(19)가 형성된다. 이 테이프 안내부(19)는 테이프 인출구(18)에 근접한 측면벽(2c)에 근접하고, 또한 이 측면벽(2c)과 대략 병행으로 가까운 상태에서 형성되고, 면이 상기 측면벽(2c)과 대향한 주면부(19a)를 가진다. 이 주면부(19a)는 일단부가 테이프 인출구(18)에 근접하고, 타단부가 상기 측면벽(2c)의 길이 방향에서의 중앙부로부터 약간 테이프 인출구(18)와 반대측으로 떨어진 부분에 대응한 위치까지 연장되어 있고, 그 중간부로부터 약간 타단부측으로 접근한 부분(19b)(이하, 「테이프 압접면(壓接面)」이라고 함)이 테이프 릴(3)의 리더 테이프 감기부(11) 내에 위치하고 있다. 주면부(19a) 중 테이프 압접면(19b)의 테이프 인출구(18) 측단으로부터 일단가지의 사이 부분의 상하 양측 에지의 테이프 릴(3)에 대향한 측에는 서로 개구부가 상하에서 대향한 요부 안내부(19c, 19c)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주면부(19a)의 상하 폭 U는 상기 릴 테이프(12)의 상하 폭 u보다 약간 크게 형성되고, 또, 상측의 요부 안내부(19c)의 개구단과 하측의 요부 안내부(19c)의 개구단과의 사이의 간격 T는 상기 테이프(10)의 상하 폭 t보다 약간 크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테이프 안내부(19)의 주면부(19a) 중, 요부 안내부(19c, 19c)가 형성된 부분의 길이 방향 및 높이 방향에서의 대략 중간 위치에 스토퍼(21)가 돌출 설치되어 있다(도 3 내지 도 6 참조). 이 스토퍼(21)는 그 선단이 테이프 인출구(18)측으로 변위하도록 경사져 있고, 그 테이프 인출구(18)측의 면(21a)이 걸림면이 되고, 이 걸림면(21a)과 반대측의 면(21b)이 미끄럼면으로 되어 있다.
카트리지(2) 내에서 테이프 릴(3)의 리더 테이프 감기부(11)의 바로 외측을 에워싸도록 리더 테이프용 가이드벽(20)이 형성되어 있다. 이 가이드벽(20)은 카트리지(2)의 상면벽으로부터 늘어뜨려져 있고, 리더 테이프 감기부(11)의 상하 폭의 대략 중간부까지 외측을 피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리더 테이프용 가이드벽(20)은 대략 전 주위에 걸쳐 형성되어 있고, 일단은 상기 테이프 안내부(19)의 일단부 근방에서, 또, 타단은 테이프 안내부(19)의 타단부에 근접한 위치에서 끝나 있다.
그리고, 상기 테이프 릴(3)의 허브(4)에는, 먼저 테이프(10)가 테이프 감기부(9)에서 감기고, 그리고, 이 테이프(10)의 선단에 리더 테이프(12)가 연결되고, 이 리더 테이프(12)가 리더 테이프 감기부(11)에 감긴다. 그리고, 테이프(10 및 12)가 완전히 카트리지(2) 내에 감긴 상태에서, 리더 테이프(12)의 선단부에 형성된 걸림공(12a)이 상기 테이프 안내부(19)의 스토퍼(21)의 걸림면(21a)과 맞물려, 그 이상 카트리지(2) 내에 감기지 않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스토퍼(21)의 높이 Q는 리더 테이프(12)의 두께 R과 동일하거나 또는 크게(Q≥R) 형성되어, 스토퍼(21)와 걸림공(12a)이 확실하게 맞물리도록 되어 있다.
특히, 리더 테이프(12)는 그 강성과 탄성이 커, 걸림공(12a)이 형성된 부분 이외의 부분이 스토퍼(21) 형성부를 통과할 때에는, 상하 방향에서의 중앙부가 테이프 릴(3) 쪽으로 돌출하도록 휘어 탄성이 높아지므로, 걸림공(12a)이 스토퍼(21)와 대응했을 때에, 상기 휨이 되돌아와, 걸림공(12a)이 스토퍼(21)에 확실하게 맞물린다.
또한, 카트리지(2) 내에서, 테이프 안내부(19)의 테이프 인출구(18) 측단부에 근접하여 테이프 가이드 핀(2d)이 형성되어 있다.
테이프(10)의 폭 t는 테이프 릴(3)의 테이프 감기부(9)의 상하 폭 T보다 약간 작고, 또, 리더 테이프(12)의 폭 u는 테이프 릴(3)의 테이프 감기부(9)의 상하 폭 T보다 크고, 또한, 리더 테이프 감기부(11)의 상하 폭 U보다 약간 작게 형성되어 있다. 리더 테이프(12)는, 예를 들면, 폴리카보네이트수지, ABS수지, 염화 비닐 등에 의해 형성되고, 강성 및 탄성 모두 테이프(10) 그것들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리더 테이프(12)의 상하 양측 에지에는 톱니형부(돌기부)(12b, 12b)가 형성되고, 또, 리더 테이프(12)의 선단부(12c)는 끝이 가늘어지는 3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톱니형부(12b, 12b)에는 일정 간격으로 무톱니부(缺齒部)(12d, 12d, …)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선단부의 무톱니부(12d, 12d, …)가 형성됨에 따라 선단부(12c) 후단의 상하 양단부에는 맞물림 에지(12e, 12e)가 형성된다.
그리고, 리더 테이프(12)가 리더 테이프 감기부(11)에 감긴 상태에서, 플랜지부(5 및 6)에 형성된 이송 톱니(7, 7, … 및 8, 8, …)가 리더 테이프(12)의 톱니형부(12b, 12b)와 맞물려 있다.
그리고, 상기 1릴 테이프 카세트(1)에서, 불사용 시에는 테이프 릴(3)은 압축 코일 스프링(14)에 의해 하방으로 힘이 가해져 하부 플랜지부(6)가 카트리지(2)의 내저면에 억눌리고, 하부 플랜지(6) 하면의 외주 에지부에 형성된 로크 톱니(16, 16, …)가 카트리지(2)의 내저면에 형성된 로크 요부(17, 17, …)와 맞물려, 테이프 릴(3)이 멋대로 회전해 버리지 않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 도 8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서, 상기한 1릴 테이프 카세트(1)를 사용하는 기록 재생 장치(22)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록 재생 장치(22)의 바깥 상자(22a)의 한 측면에 카세트 출입구(23)가 형성되고, 이 카세트 출입구(23)로부터 상기 1릴 테이프 카세트(1)의 출입이 행해진다.
바깥 상자(22a) 내에 형성된 도시하지 않은 섀시의 상기 카세트 출입구(23)에 인접한 위치에 카세트 장착부(24)가 형성되어 있다. 카세트 장착부(24)에는 승강 가능하게 형성된 릴대 베이스(25)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릴대 베이스(25)에 릴대(26)가 지지되어 있고, 이 릴대(26)는 릴대 모터(27)에 의해 정역(正逆) 회전되도록 되어 있다. 릴대(26)의 상면에는 그 중심에 릴 맞물림축(26a)이 돌출 설치되고, 이 릴 맞물림축(26a)을 중심으로 하여 방사형으로 연장되는 맞물림 돌기(28, 28, …)가 형성되어 있다. 이 맞물림 돌기(28, 28, …)는 테이프 릴(3)의 상기 맞물림 돌기(15, 15, …)와 맞물리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릴대(26)와 릴대 모터(27)와의 사이에는 도시하지 않은 클러치 기구가 끼워져 있고, 일정 이상의 부하가 걸렸을 때에는, 릴대(26)와 릴대 모터(27)와의 사이에서 미끄럼이 발생하도록 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릴대 베이스(25)는 승강 가능하게 되어 있다. 릴대 베이스(25)의 서로 반대측에 있는 2개의 측면에 대향하여 슬라이드 캠(29, 29)이 도 8의 화살표 A, B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설되어 있다. 각 슬라이드 캠(29)에는 그 이동 방향으로 이간되어 2개의 캠 슬릿(30, 30)이 형성되어 있고, 이들 캠 슬릿(30)은 경사부(30a)와 이 경사부(30a)의 하단에 연속된 하부 수평부(30b)와 상기 경사부(30a)의 상단에 연속된 상부 수평부(30c)로 이루어진다. 또, 슬라이드 캠(29, 29)의 하면에는 랙(29a, 29a)이 형성되어 있다.
승강 모터(31)에 의해 회전되는 동시에 동기축(32)에 의해 서로 연결된 2개의 피니언(33, 33)이 배설되며, 이 피니언(33, 33)이 슬라이드 캠(29, 29)의 랙(29a, 29a)과 맞물려 있다.
그리고, 릴대 베이스(25)의 슬라이드 캠(29, 29)에 대향한 측면에는 각각 슬라이드 캠(29, 29)의 이동 방향으로 이간된 도시하지 않은 2개의 맞물림 핀이 돌출 설치되고, 이 맞물림 핀이 슬라이드 캠(29, 29)의 캠 슬릿(30, 30, …)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맞물려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릴대 베이스(25)에 상기 릴대 모터(27)가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승강 모터(31)가 구동되면, 피니언(33, 33)이 회전되고, 이 피니언(33, 33)에 의해 랙(29a, 29a)이 보내져 슬라이드 캠(29, 29)이 이동된다. 그리고, 슬라이드 캠(29, 29)이 그 화살표 B 방향측의 이동단(移動端)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릴대 베이스(25)의 맞물림 핀은 캠 슬릿(30, 30, …)의 하부 수평부(30b, 30b, …)와 맞물려 있고, 릴대 베이스(25)는 이동 범위의 최하단으로 하강한 위치에 있다. 이 상태로부터 슬라이드 캠(29, 29)이 화살표 A 방향으로 이동하면, 릴대 베이스(25)의 맞물림 핀은 캠 슬릿(30, 30, …)의 경사부(30a, 30a, …)를 거쳐 상부 수평부(30c, 30c, …)에 달하고, 이에 따라 릴대 베이스(25)는 이동 범위의 최상단에 위치한다.
상기 1릴 테이프 카세트(1)가 카세트 출입구(23)로부터 기록 재생 장치(22) 내로 삽입되면, 승강 모터(31)가 구동되어 릴대 베이스(25)가 상승하고, 릴대(26)가 릴대 삽입구(2a)로부터 카트리지(2) 내로 삽입되고, 이 릴대(26)의 상면이 허브(4)의 하면과 접하여 이를 상방으로 누르므로, 테이프 릴(3)은 압축 코일 스프링(14)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약간 상방으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테이프 릴의 로크 톱니(16, 16, …)와 카트리지(2)의 로크 요부(17, 17, …)와의 맞물림이 풀려, 테이프 릴(3)의 로크가 해제된다(도 11 참조). 또, 이와 동시에, 테이프 릴(3)이 압축 코일 스프링(14)에 의해 릴대(26)에 압접되고, 릴대(26)의 릴 맞물림축(26a)이 허브(4) 하면의 중심공(4b)과 맞물려 테이프 릴(3)의 중심 내기가 행해지고, 또한, 허브(4) 하면의 맞물림 돌기(15, 15, …)와 릴대(26) 상면의 맞물림 돌기(28, 28, …)가 맞물리고, 이에 따라 릴대(26)와 테이프 릴(3)이 일체적으로 회전하도록 연결된다.
그리고, 테이프 릴(3)과 릴대(26)를 일체적으로 회전하도록 연결하는 수단은, 상기한 맞물림 돌기(15, 15, …)와 맞물림 돌기(28, 28, …)와의 맞물림에 한정되지 않고, 맞물림 돌기(15, 15, …) 또는 맞물림 돌기(28, 28, …) 중 어느 한쪽을 마찰계수가 높은 면에 따라 치환(置換)해도 되며, 또는 테이프 릴(3)과 릴대(26)의 맞대기면을 함께 마찰계수가 높은 면에 따라 형성하고, 이들 2개의 면을 압접시킴으로써 테이프 릴(3)과 릴대(26)를 일체적으로 회전하도록 연결하게 해도 된다.
카세트 장착부(24)의 반대측에는 감기 릴(34)이 도시하지 않은 모터에 의해 회전되도록 배설되어 있다. 감기 릴(34)은 원통형을 한 허브(35)와 이 허브(35)의 상하 양단부로부터 돌출된 플랜지부(36, 37)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상부 플랜지부(36)의 하면에는 서로 180°이간된 위치에 훅(38, 38)이 형성되어 있다. 이 훅(38)은 돌기형을 하고 있으며, 플랜지부(36)의 내주 에지로부터 외주 에지에 걸쳐 감기 방향, 즉, 도 10에 있어서의 화살표 C 방향으로 오목한 원호를 그리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하부 플랜지부(37) 상면의 상기 훅(38, 38)에 대향한 위치에도 이 훅(38, 38)과 동일한 훅(39, 39)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훅(38, 38)의 하면과 훅(39, 39)의 상면과의 사이의 간격은 상기 테이프 릴(3)의 테이프 감기부(9)의 상하 폭 T와 대략 동일하게, 또, 플랜지부(36과 37)와의 사이의 간격은 상기 테이프 릴(3)의 리더 테이프 감기부(11)의 상하 폭 U와 대략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리더 테이프(12)의 무톱니부(12d)의 길이(1)는 되감기 시에 감기 릴(34)이 상기 훅(38, 38, 39, 39)을 도피하기 위해 필요한 길이이며, 훅(38, 39)의 선단(38a, 39a)으로부터 기단(基端)(38b, 39b)까지의 길이 이상인 것이 필요하며, 또, 맞물림 에지(12e)로부터 제2 무톱니부(12d2)의 선단까지의 길이 L'는 맞물림 에지(12e, 12e)가 훅(38, 39)에 맞물리고, 다음의 훅(38, 39)이 톱니형부(12b, 12b)에 충돌하지 않기 위해 필요한 길이이며, 1<L'<1<2πD(다만, D는 허브(35)의 직경)일 필요가 있다. 또, 제2 무톱니부(12d2)로부터 이후의 무톱니부(12d)의 형성 피치 L은, 톱니형부(12b)가 훅(38, 38, 39, 39)에 충돌하지 않도록, 1/2πD와 동일하거나 약간 작게 형성된다. 즉 L≒1/2πD(다만, L>1/2πD를 포함하지 않음)가 된다.
상기한 감기 릴(34)과 기록 재생 장치(22)에 장착된 1릴 테이프 카세트(1)의 테이프 릴(3)과는 동일 높이에 위치된다.
그리고, 1릴 테이프 카세트(1)의 테이프 인출구(18)와 감기 릴(34)과의 사이에는 3개의 리더 테이프 가이드(40, 41, 42)가 배설된다. 양측의 테이프 가이드(40, 42)는 고정 가이드이며, 이 2개의 테이프 가이드(40, 42)의 사이에 배치된 중간 테이프 가이드(41)는 회동 가능하게 배설되어 있다.
1릴 테이프 카세트(1)의 테이프 인출구(18)에 근접하여 위치하는 리더 테이프 가이드(40)는, 면 방향이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주면부(40a)와 이 주면부(40a)의 후술하는 헤드 드럼에 대향하는 면의 상하 양측 에지에 서로 개구부가 상하로 대향하도록 형성된 요부 안내부(40b, 40b)를 구비한다. 그리고, 요부 안내부(40b, 40b)는 그 폭이 1릴 테이프 카세트(1)의 테이프 인출구(18)에 근접함에 따라 커지도록 형성되고, 테이프 인출구(18)로부터 풀려 나온 리더 테이프(12)의 선단부(12c)가 요부 안내부(40b, 40b)에 삽입되기 쉽게 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주면부(40a)의 상하 폭 U는 상기 리더 테이프(12)의 상하 폭 u보다 약간 크게 형성되고, 또, 상측의 요부 안내부(40b)의 개구단과 하측의 요부 안내부(40b)의 개구단과의 사이의 간격 T는 테이프(10)의 폭 t보다 약간 크게 형성되어 있다.
감기 릴(34)에 근접하여 위치하는 리더 테이프 가이드(42)는, 면 방향이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주면부(42a)와 이 주면부(42a)의 후술하는 헤드 드럼에 대향하는 면의 상하 양측 에지에 서로 개구부가 상하로 대향하도록 형성된 요부 안내부(42b, 42b)를 구비한다. 그리고, 요부 안내부(42b, 42b) 중간의 중간 테이프 가이드(41)측 단부는 끝으로 감에 따라 폭이 커지도록 형성되고, 이에 따라, 중간 테이프 가이드(41)로부터 송출되어 오는 리더 테이프(12)의 선단부(12c)가 요부 안내부(42b, 42b)에 삽입되기 쉽게 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주면부(42a)의 상하 폭 U는 상기 리더 테이프(12)의 상하 폭 u보다 약간 크게 형성되고, 또, 상측의 요부 안내부(42b)의 개구단과 하측의 요부 안내부(42b)의 개구단과의 사이의 간격 T는 테이프(10)의 폭 t보다 약간 크게 형성되어 있다.
중간 테이프 가이드(41)는 면 방향이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주면부(41a)와 이 주면부(41a)의 후술하는 헤드 드럼에 대향하는 면의 상하 양측 에지에 서로 개구부가 상하로 대향하도록 형성된 요부 안내부(41b, 41b)를 구비한다. 그리고, 요부 안내부(41b, 41b)의 1릴 테이프 카세트(1)측에 위치한 테이프 가이드(40)측의 단부는 끝으로 감에 따라 폭이 커지도록 형성되고, 이에 따라, 1릴 테이프 카세트(1)측의 테이프 가이드(40)로부터 송출되어 오는 리더 테이프(12)의 선단부(12c)가 요부 안내부(41b, 41b)에 삽입되기 쉽게 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주면부(41a)의 상하 폭 U는 상기 리더 테이프(12)의 상하 폭 u보다 약간 크게 형성되고, 또, 상측의 요부 안내부(41b)의 개구단과 하측의 요부 안내부(41b)의 개구단과의 사이의 간격 T는 테이프(10)의 폭 t보다 약간 크게 형성되어 있다.
이 중간 테이프 가이드(41)는 길이 방향에서의 중앙보다 약간 감기 릴(34)측에 접근한 위치가 도시하지 않은 섀시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주면부(41a) 중 회동 지점부(41c)로부터 카세트 장착부(24)측의 부분이 절결(切缺)되어 절결부(41d)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절결부(41d)의 상하 폭 T는 테이프(10)의 폭 t보다 약간 크게 형성되어 있다.
도시하지 않은 섀시의 카세트 장착부(24)와 감기 릴(34)과의 사이에서, 또한, 상기 리더 테이프 가이드(40, 41, 42)의 요부 안내부(40b, 40b, 41b, 41b, 42b, 42b)가 형성된 측의 면(이하, 이 면을 「정면」이라고 하고, 반대측의 면을「이면」이라고 함)에 대향한 위치에 헤드 드럼(43)이 배치되고, 이 헤드 드럼에 도시하지 않은 회전 헤드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리더 테이프 가이드(40 및 42)의 정면측에 근접하여 고정 테이프 가이드(44, 44)가 배치되어 있다.
또, 중간 테이프 가이드(41)의 절결부(41d)가 형성된 부분의 이면측에 인출 가이드(45, 45) 및 핀치 롤러(46)가 배설되어 있다. 인출 가이드(45, 45)에는 각각 경사 가이드(45a, 45a)와 회전 가이드(45b, 45b)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카세트 장착부(24) 근방에는 개폐 부재(47)가 배설되어 있다.
또, 감기 릴(34) 근방의 고정 테이프 가이드(44)와 헤드 드럼(43)과의 사이의 위치에 캡스턴(48)이 배설되어 있다.
또한, 리더 테이프 가이드(42) 이면의 감기 릴(34) 측단에 근접하여 리더 테이프(12)용의 고정 테이프 가이드(49)가 배설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1릴 테이프 가세트(1)를 사용한 기록 또는 재생은 다음과 같이 하여 행해진다.
1릴 테이프 카세트(1)가 장착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슬라이드 캠(29, 29)은 도 8에서의 화살표 B 방향측의 이동단에 위치하고 있으며, 따라서, 릴대 베이스(25)는 도시하지 않은 맞물림 핀이 슬라이드 캠(29, 29)의 캠 슬릿(30, 30, …)의 하부 수평부(30b, 30b, …)와 맞물린 이동 범위의 최하단으로 하강된 상태에 있다. 그래서, 카세트 출입구(23)로부터 1릴 테이프 카세트(1)가 기록 재생 장치(22) 내로 삽입되어 카세트 장착 위치(24)에 장착되면, 승강 모터(31)가 구동되고, 슬라이드 캠(29, 29)이 화살표 A 방향으로 이동되어, 릴대 베이스(25)가 상승한다. 그리고, 슬라이드 캠(29, 29)이 화살표 A 방향측의 이동단에 달하면, 릴대 베이스(25)는 도시하지 않은 맞물림 핀이 캠 슬릿(30, 30, …)의 상부 수평부(30c, 30c, …)와 맞물린 상태가 되어, 이동 범위의 최상단에 달한다.
릴대 베이스(25)가 이동 범위의 최상단에 달하면, 릴대(26)가 릴대 삽입구(2a)로부터 카트리지(2) 내로 삽입되고, 테이프 릴(3)을 카트리지(2)에 대하여 약간 상승시켜 상기한 바와 같이 로크를 해제하는 동시에, 릴대(26)의 맞물림 돌기(28, 28, …)와 테이프 릴(3)의 맞물림 돌기(15, 15, …)가 맞물린다. 그리고, 이 사이에, 리드 개폐 부재(47)에 의해 리드(18a)가 개방 위치로 회동되어, 테이프 인출구(18)가 개방된다.
이어서, 릴대 모터(27)가 구동되어, 릴대(26)를 통해 테이프 릴(3)이 테이프 송출 방향, 즉, 도 10에서 화살표 D 방향으로 회전된다.
테이프 릴(3)이 화살표 D 방향으로 회전되면, 이송 톱니(7, 7, … 및 8, 8, …)가 톱니형부(12b, 12b)를 보내므로 리더 테이프(12)는 카트리지(2)로부터 풀려나오는 방향의 힘을 받고, 이에 따라, 리더 테이프(12)는 카트리지(2)의 테이프 인출구(18)로부터 풀려나간다.
그리고, 리더 테이프(12)를 카트리지(2)로부터 송출하는 수단은, 톱니형(12b, 12b)과 이송 톱니(7, 7, …, 8, 8, …)에 의해 구성되는 수단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그 밖의 수단, 예를 들면, 리더 테이프에 그 길이 방향으로 형성한 다수의 구멍과 테이프 릴에 형성되고 상기 구멍에 맞물리는 돌기에 의해 구성되는 수단이라도 된다.
리더 테이프(12)가 카트리지(2)로부터 풀려 나오면, 이 리더 테이프(12)는 리더 테이프 가이드(40, 41, 42)에 의해 차례로 가이드되어 감기 릴(34)로 향해 이동되어 간다. 그리고, 리더 테이프(12)의 선단부(12)가 감기 릴(34)의 플랜지부(36과 37) 사이에 달하면, 그것이 도시하지 않은 검출 수단(예를 들면, 반사 센서와 리더 테이프(12)에 형성한 구멍에 의해 구성됨)에 의해 검출되어 리더 테이프(12)의 이송이 정지되고, 감기 릴(34)이 도 10에서 화살표 C 방향으로 회전을 개시한다. 그리고,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감기 릴(34)의 한쌍의 훅(38, 39)의 선단(38a, 39a)에 의해 리더 테이프(12)의 맞물림 에지(12e, 12e)가 걸리고, 감기 릴(34)의 화살표 C 방향으로의 회전에 의해, 리더 테이프(12)의 선단부(12c)는 훅(38, 39)의 기부(38b, 39b)와 맞물린 상태가 된다. 이에 따라, 리더 테이프(12)는 감기 릴(34)의 회전에 의한 감는 힘을 받아, 그 허브(35)에 감겨진다. 이 때, 상기 (1), (L') 및 (L)이 상기한 바와 같이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톱니형부(12b, 12b, …)가 감기 릴(34)의 훅(38, 38, 39, 39)과 완충되어 버리는 일이 없다.
그리고, 감기 릴(34)에 의해 감겨져 테이프(10)가 감기 릴(34)의 가까이까지 인출되어 가면, 중간 테이프 가이드(41)가 시계 회전 반대 방향, 즉, 화살표 E 방향으로 회동하여, 절결부(41d)가 형성된 부분이 인출 가이드(45, 45) 및 핀치 롤러(46)와 헤드 드럼(43)과의 사이의 위치로부터 도피한 상태가 된다(도 16 참조). 그리고, 중간 테이프 가이드(41)의 상기 회동 시, 절결부(41d)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 중간 테이프 가이드(41)가 테이프(10)와 완충되어 버리는 일이 없다.
중간 테이프 가이드(41)가 상기한 바와 같이 회동되면, 인출 가이드(45, 45) 및 핀치 롤러(46)가 각각 도 16에 점선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이동하고, 인출 가이드(45, 45)에 의해 테이프(10)가 인출되어 헤드 드럼(43)에 감기고, 또, 핀치 롤러(46)가 테이프(10)를 사이에 두고 캡스턴(48)에 압접된다.
그리고, 테이프(10)가 핀치 롤러(46)와 캡스턴(48)에 의해 정속(定速)으로 주행되는 동시에 감기 릴(34)에 감겨지고, 이 사이에 헤드 드럼(43)에 배설된 도시하지 않은 회전 헤드가 테이프(10)를 헬리컬 스캔(helical scan)하여, 테이프(10)에 대한 데이터의 기입(기록) 또는 판독(재생)이 행해진다.
그리고, 테이프(10)의 정속 주행은 핀치 롤러와 캡스턴에 의한 수단에 의하지 않아도 되며, 예를 들면, 감기 릴(34)의 구동 모터(도시하지 않음)의 테이프 텐션 컨트롤에 의해 테이프(10)를 정속으로 안정되게 주행시킬 수 있다.
그리고, 테이프(10)의 고속 주행, 즉, FF(빨리 보내기) 및 REW(되감기)는, 도 13에 나타낸 상태, 즉, 테이프(10)가 헤드 드럼(43), 고정 테이프 가이드(44, 44), 인출 가이드(45, 45), 핀치 롤러(46), 캡스턴(48)과 접하지 않은 상태에서, 또한, 테이프 릴(4)로부터 감기 릴(34)까지 대략 직선형의 패스를 형성하여 행하도록 하여, 테이프(10)에의 손상이 최소가 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테이프(10)에 대한 데이터의 기입(기록) 또는 판독(재생)이 종료되면, 인출 가이드(45, 45) 및 핀치 롤러(46)가 원래의 위치(도 13 참조)로 되돌아가고, 이어서, 중간 테이프 가이드(41)가 시계 회전 반대 방향, 즉, 화살표 E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동하여, 다른 리더 테이프 가이드(40 및 42)와 일렬로 나란히 한 상태가 된다.
이어서, 테이프 릴(3)이 테이프 감기 방향, 즉, 도 10에 나타낸 화살표 D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여, 테이프(10)를 감아간다. 이에 따라, 테이프(10)는 테이프 릴(3)의 테이프 감기부(9)에 감겨진다.
그리고, 테이프(10)가 테이프 감기부(9)에 모두 감기면, 이번에는 리더 테이프(12)가 리더 테이프 감기부(11)로 톱니형부(12b, 12b, …)가 이송 톱니(7, 7, … 및 8, 8, …)와 맞물리면서 감겨진다.
그리고, 테이프 릴(3)에 의한 감기 속도는, 리더 테이프(12)의 선단부(12c)가 감기 릴(34)과의 맞물림으로부터 이탈된 곳에서 감속되고, 이 선단부(12c)가 카트리지(2) 내로 들어가 걸리는 바로 앞에서 토크 컨트롤을 하여, 감기 토크를 작게 하도록 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리더 테이프(12)의 걸림공(12a)이 테이프 안내부(19)의 스토퍼(21)의 걸림면(21a)에 걸려, 테이프(10, 12)의 감기가 종료된다. 상기한 테이프 릴(3)에 의한 감기 토크의 컨트롤에 의해 스토퍼(21)와 걸림공(12a)과의 맞물림이 확실하게 행해진다.
그리고, 어떤 순간에, 걸림공(12a)이 스토퍼(21)에 걸리지 않는 일이 일어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는, 리더 테이프(12)가 소정 위치보다 더욱 카트리지(2) 내로 감겨들어가 버리게 된다. 그와 같은 경우라도, 테이프 릴(3)이 화살표 D 방향으로 회전하면, 리더 테이프(12)는 그 톱니형부(12b, 12b, …)가 테이프 릴(3)의 이송 톱니(7, 7, … 및 8, 8, …)에 의해 보내지기 때문에, 리더 테이프용 가이드벽(20)에 억눌리고, 그리고, 그 탄성에 의해 송출 방향으로의 힘을 받아 송출 방향으로 이동해 가며, 그 선단부(12c)가 테이프 안내부(19)의 테이프 압접면(19b)에 압접되면서 그 상하 양측 에지부가 요부 안내부(19c, 19c)에 맞물려 간다. 이와 같이 하여 리더 테이프(12)는 확실하게 카트리지(2)로부터 송출되어 가게 된다.
그리고, 도시하지 않은 이젝트 버튼이 눌려지면, 리드(18a)가 닫혀 테이프 인출구(18)가 폐색되고, 그리고, 1릴 테이프 카세트(1)가 카세트 출입구(23)로부터 배출된다.
상기한 1릴 테이프 카세트(1)에서는, 테이프 릴(3)의 회전 구동력만으로 리더 테이프(12)를 송출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의 감기측으로부터 인출 테이프가 리더 테이프(12)를 인출하기 위해 보내져 오는 방식의 것과 비교하여 현격하게 구조가 간단하게 된다.
리더 테이프(12)의 걸림공(12a)과 테이프 안내부(19)의 스토퍼(21)와의 맞물림이 벗어난 경우라도, 테이프 릴(3)을 송출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리더 테이프(12)의 선단부(12c)가 테이프 릴(3)의 대략 전 주위를 에워싸도록 형성한 리더 테이프용 가이드벽(20)에 따라 이동하여 그 상하 양측 에지부가 확실하게 테이프 안내부(19)의 요부 안내부(19c, 19c)로 들어가게 된다.
또, 상기 기록 재생 장치(22)에서는, 이 기록 재생 장치(22)에 장착된 1릴 테이프 카세트(1)의 테이프 릴(3)의 높이와 기록 재생 장치(22)에 배설된 감기 릴(34)의 높이를 동일하게 하는 동시에, 먼저 리더 테이프(12)를 감기 릴(34)에 감은 후에, 인출 가이드(45, 45) 및 핀치 롤러(46)를 이동시켜 테이프 버스를 형성하도록 했으므로, 테이프 릴(3)로부터 감기 릴(34)까지의 리더 테이프(12)의 송출 경로를 대략 직선 상에 구성할 수 있어, 리더 테이프(12)의 송출 기구를 단순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나아가, 송출 경로가 직선형으로 되기 때문에, 리더 테이프(12)의 이송 부하(負荷)가 작고, 또, 저온이라도 리더 테이프(12)의 강성 변화에 따르는 영향을 받기 어렵다.
또한, 리더 테이프(12)의 선단부(12c) 형상을 감기 릴(34)의 회전에 따라 자동적으로 이 감기 릴(34)에 감을 수 있도록 형성했으므로, 테이프 로딩을 간단하게 또한 확실하게 할 수 있다.
또, 중간 테이프 가이드(41)를 회동 가능하게 하고, 또, 테이프(10)를 도피하기 위한 절결부(41d)를 형성하고, 리더 테이프(12)를 감기 릴(34)에 감은 후에, 상기 중간 테이프 가이드(41)를 회동시키고, 또한, 그 뒤쪽에 배치한 인출 가이드(45, 45) 및 핀치 롤러(46)를 이동시켜 테이프(10)의 패스를 형성하도록 했으므로, 리더 테이프(12)가 헤드 드럼(43), 회전 헤드, 고정 테이프 가이드(44, 44), 인출 가이드(45, 45), 핀치 롤러(46), 캡스턴(48) 등의 중요한 부품에 접촉하지 않아, 리더 테이프(12)가 테이프(10)의 주행 경로 상에 있는 상기 중요한 부품에 나쁜 영향을 주는 일이 없다.
그리고, 상기 기록 재생 장치(22)에서는, 회전 헤드를 채용하고 있지만, 이는 고정 헤드라도 상관없다.
또, 상기한 실시 형태에서 나타낸 각부의 형상 및 구조는, 모두 본 발명을 실시하는 데 있어서 행하는 구체화의 그저 일예를 나타낸 것에 불과하고, 이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한정적으로 해석되는 일이 있어서는 안된다.
이상 기재한 바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테이프 카세트는, 카트리지 내에 하나의 테이프 릴을 구비하고, 이 테이프 릴에 테이프형 기록 매체를 포함하는 테이프가 감긴 테이프 카세트로서, 테이프 릴의 하면에 형성되어 릴대와 압접됨으로써 면 방향으로의 미끄럼이 규제되는 미끄럼 규제 수단과, 상기 테이프 릴을 릴대와 압접되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가압 수단과, 상기 테이프 릴의 하면에 형성된 피로크 수단(실시 형태에서의 로크 톱니(16)에 상당함)과, 카트리지의 내저면에 형성되고 상기 피로크 수단과 맞물리는 로크 수단(실시 형태에서의 로크 요부(17)에 상당함)을 구비하고, 불사용 시에는 상기 가압 수단에 의해 상기 피로크 수단과 상기 로크 수단이 맞물리고, 사용 시에는 릴대의 상기 미끄럼 규제 수단과의 압접에 의해 테이프 릴의 하면이 카트리지의 내저면으로부터 이간되어 상기 피로크 수단과 상기 로크 수단과의 맞물림이 풀리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테이프 카세트에서는, 사용 시에 있어서의 릴대와 테이프 릴과의 동력 전달에 사용하는 부재인 가압 수단을 불사용 시에 테이프 릴을 로크하는 부재로서도 사용함으로써, 부품의 공통화를 도모하고 부품 개수의 삭감을 도모할 수 있다.
청구항 2에 기재한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미끄럼 규제 수단을 테이프 릴 하면의 중심부로부터 방사형으로 연장되는 맞물림 돌기로 했으므로, 릴대로부터 테이프 릴에의 동력 전달이 보다 확실하게 행해진다.
청구항 3에 기재한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미끄럼 규제 수단을 마찰 계수가 높은 면으로 했으므로, 미끄럼 규제 수단을 간단히 형성할 수 있다.

Claims (15)

  1. 카트리지 내에 1개의 테이프 릴을 가지고, 상기 테이프 릴에 테이프형 기록 매체가 감긴 테이프 카세트로서,
    상기 테이프형 기록 매체의 감아내기단(卷出端)에 상기 테이프형 기록 매체보다 강성(剛性)이 높은 리더 테이프가 접속되고,
    상기 리더 테이프의 양측 에지의 최소한 일부에 돌기부가 형성되고,
    상기 테이프 릴은 허브의 상하에 플랜지부를 가지고, 상기 플랜지부의 외주 에지부에 상기 리더 테이프의 돌기부와 맞물리는 맞물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테이프 릴의 한 방향으로의 회전에 의해 상기 맞물림부가 상기 돌기부를 보냄으로써 리더 테이프를 카트리지로부터 송출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카세트.
  2. 카트리지 내에 1개의 테이프 릴을 가지고 상기 테이프 릴에 테이프형 기록 매체가 감기고, 상기 테이프형 기록 매체의 감아내기단에 상기 테이프형 기록 매체보다 강성이 높은 리더 테이프가 접속되고, 테이프 릴의 한 방향으로의 회전에 의해 리더 테이프를 카트리지로부터 송출하도록 한 테이프 카세트로서,
    테이프 인출구에 대응한 부위를 제외하고 대략 전 주위에 걸쳐 상기 테이프 릴의 축 방향에서의 최소한 일부를 에워싸도록 리더 테이프용 가이드벽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카세트.
  3. 카트리지 내에 1개의 테이프 릴을 가지고 상기 테이프 릴에 테이프형 기록 매체가 감기고, 상기 테이프형 기록 매체의 감아내기단에 상기 테이프형 기록 매체보다 강성이 높은 리더 테이프가 접속되고, 테이프 릴의 회전에 의해 리더 테이프를 카트리지에 대하여 출입시키도록 한 테이프 카세트로서,
    테이프 인출구에 대응한 위치에 테이프를 안내하는 테이프 안내부를 형성하고,
    상기 테이프 안내부의 테이프와 접촉하는 면에 스토퍼를 돌출 형성하고,
    상기 리더 테이프에는, 당해 리더 테이프가 카트리지 내로 되감겼을 때에 상기 테이프 안내부의 스토퍼와 맞물려 리더 테이프의 카트리지 내로의 과다 인입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카세트.
  4. 카트리지 내에 1개의 테이프 릴을 형성하고, 상기 테이프 릴에 테이프형 기록 매체를 감고, 상기 테이프형 기록 매체의 감아내기단에 상기 테이프형 기록 매체보다 강성이 높은 리더 테이프를 접속하고, 테이프 릴의 한 방향으로의 회전에 의해 리더 테이프를 카트리지로부터 송출하도록 하는 동시에,
    상기 카트리지의 테이프 인출구 근방에 테이프 릴의 회전에 의해 압출(押出)되어 오는 리더 테이프의 선단부를 테이프 인출구 쪽으로 안내하는 테이프 안내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카세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 안내부는,
    테이프 릴의 회전에 의해 압출되어 오는 리더 테이프의 선단부가 압접(壓接)되는 압접면과,
    상기 테이프 압접면과 테이프 인출구와의 사이에 위치하는 동시에, 리더 테이프의 측에지부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맞물려 지지하는 요부(凹部) 안내부를 가지고,
    테이프 릴의 회전에 의해 압출되어 오는 리더 테이프의 선단부가 테이프 압접면에 압접됨으로써 요부 안내부 쪽으로 힘이 가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카세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 압접면은 테이프 릴의 리더 테이프 감기부 내로 약간 들어가 위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카세트.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 안내부에 리더 테이프의 선단부와 맞물리는 스토퍼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카세트.
  8. 제5항에 있어서,
    요부 안내부 사이의 위치에 리더 테이프의 선단부와 맞물리는 스토퍼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카세트.
  9. 제6항에 있어서,
    요부 안내부 사이의 위치에 리더 테이프의 선단부와 맞물리는 스토퍼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카세트.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돌기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스토퍼가 리더 테이프의 선단부에 형성된 걸림공과 맞물리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카세트.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돌기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스토퍼가 리더 테이프의 선단부에 형성된 걸림공과 맞물리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카세트.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돌기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스토퍼가 리더 테이프의 선단부에 형성된 걸림공과 맞물리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카세트.
  13. 카트리지 내에 하나의 테이프 릴을 구비하고, 상기 테이프 릴에 테이프형 기록 매체를 포함하는 테이프가 감긴 테이프 카세트로서,
    테이프 릴의 하면에 형성되고, 릴대(臺)와 압접됨으로써 면(面) 방향으로의 미끄럼이 규제되는 미끄럼 규제 수단과,
    상기 테이프 릴을 릴대와 압접되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가압 수단과,
    상기 테이프 릴의 하면에 형성된 피(被)로크 수단과,
    카트리지의 내저면(內底面)에 형성되어 상기 피로크 수단과 맞물리는 로크 수단을 구비하고,
    불사용 시에는 상기 가압 수단에 의해 상기 피로크 수단과 상기 로크 수단이 맞물리고, 사용 시에는 릴대의 상기 미끄럼 규제 수단과의 압접에 의해 테이프 릴의 하면이 카트리지의 내저면으로부터 이간되어 상기 피로크 수단과 상기 로크 수단과의 맞물림이 풀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카세트.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 규제 수단이 테이프 릴 하면의 중심부로부터 방사형으로 연장되는 맞물림 돌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카세트.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 규제 수단이 마찰 계수가 높은 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카세트.
KR1019990056356A 1998-12-11 1999-12-10 테이프 카세트 KR2000004805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0353476A JP2000182352A (ja) 1998-12-11 1998-12-11 テープカセット
JP98-353476 1998-12-1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8050A true KR20000048050A (ko) 2000-07-25

Family

ID=184311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6356A KR20000048050A (ko) 1998-12-11 1999-12-10 테이프 카세트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5) US6505788B1 (ko)
EP (1) EP1008990A3 (ko)
JP (1) JP2000182352A (ko)
KR (1) KR20000048050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18224B2 (en) * 2001-04-26 2003-09-0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stabilizing a data tape cartridge for transport
US6439489B1 (en) 2001-07-20 2002-08-27 Benchmark Storage Innovations, Inc. Tape cartridge leader for single reel tape cartridges having increased flexibility for improved performance
US7168648B2 (en) 2001-10-05 2007-01-30 Quantum Corporation Performance tape cartridge leader for single reel tape cartridges
JP2004086931A (ja) * 2001-11-01 2004-03-18 Sony Corp テープリールおよびこれを備えたテープカートリッジ
JP2003203456A (ja) * 2001-12-28 2003-07-18 Fuji Photo Film Co Ltd 記録テープカートリッジ
US6915982B2 (en) * 2003-06-02 2005-07-12 Imation Corp. Single reel data storage tape cartridge with internal tape guide
US7481389B2 (en) * 2005-05-10 2009-01-27 Quantum Corporation Center reel lock storage device
JP2007310944A (ja) * 2006-05-17 2007-11-29 Fujifilm Corp リーダーテープ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6410665A (ko) 1963-09-13 1965-03-15
US3655145A (en) * 1969-12-02 1972-04-11 Teletype Corp Cartridge, case and web
DE2009485B1 (de) * 1970-02-28 1971-05-19 Licentia Gmbh Kassette mit auf eine Spule gewickeltem Aufzeichnungsträger sowie Aufzeichnungs- und/oder Wiedergabegerät hierfür
US3797776A (en) 1970-03-06 1974-03-19 Victor Company Of Japan Automatic tape loading type magnetic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US3797777A (en) 1970-04-08 1974-03-1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Tape reel and tape reel storing magazine
US3662972A (en) * 1970-05-08 1972-05-16 Eastman Kodak Co Magazine for a reel of film or the like
US3744736A (en) 1970-06-29 1973-07-10 Licentia Gmbh Recording and/or playback device having tape-type record carriers which are wound on a reel
GB1416743A (en) 1971-12-01 1975-12-0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Tape reel and tape magazine
US3809218A (en) 1972-01-24 1974-05-07 Newell Ind Pliable tape record and reel therefor
US4168811A (en) 1978-07-31 1979-09-25 Interdyne Company Reel to retain a tape leader strip in wound position
US4477851A (en) 1982-06-07 1984-10-16 Microtek Storage Corporation Magnetic data storage and drive apparatus
US4555077A (en) 1983-11-25 1985-11-26 Electronic Processors, Inc. Tape cartridge
US5261626A (en) * 1992-02-10 1993-11-16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Magnetic tape cartridge having self docking leader block
US5255040A (en) * 1992-06-29 1993-10-19 Eastman Kodak Company Film cassette and leader
US5876240A (en) 1997-04-01 1999-03-02 The Whitaker Corp Stacked electrical connector with visual indicators
EP0927421B1 (en) 1997-04-03 2003-07-02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Cassette having at least one axially movable reel and having blocking means for blocking an axial movement of the re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0182352A (ja) 2000-06-30
EP1008990A2 (en) 2000-06-14
US20010045480A1 (en) 2001-11-29
US20010042806A1 (en) 2001-11-22
US6505788B1 (en) 2003-01-14
US20010045482A1 (en) 2001-11-29
US6722598B2 (en) 2004-04-20
US20010045481A1 (en) 2001-11-29
EP1008990A3 (en) 2000-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80002053B1 (ko) 테이프 카셋트
KR950000421B1 (ko)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
KR910004049Y1 (ko) 카세트 테이프 레코더
US5315462A (en) Cartridge loading device having side-locking mechanism
JPH0477385B2 (ko)
US6433953B1 (en)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KR20000048050A (ko) 테이프 카세트
GB2263809A (en) A dual chassis video tape deck.
JP2001126440A (ja) テープ媒体カートリッジおよびテープミニカートリッジアダプタ
JP2000182354A (ja) テープカセット
JP2000182300A (ja) 記録再生装置
JP2000182301A (ja) テープカセット用記録再生装置及びテープカセット
JP2000182353A (ja) テープカセット
JP2000182299A (ja) 記録再生装置
US6762903B2 (en) Tape drive
JPH0213379B2 (ko)
JPS62184677A (ja) テ−プカセツト
JP3044809B2 (ja) テーププレーヤ
JPS6244Y2 (ko)
US6404583B1 (en) Magnetic tape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JPS5858739B2 (ja) テ−プロ−デイング装置
KR100211875B1 (ko) 브이씨알의 메인브레이크장치
JP3008528B2 (ja) テーププレーヤ
JP2672590B2 (ja) テープレコーダ装置
JP3057288B2 (ja) テープローディング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