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0421B1 -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 - Google Patents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0421B1
KR950000421B1 KR1019850007039A KR850007039A KR950000421B1 KR 950000421 B1 KR950000421 B1 KR 950000421B1 KR 1019850007039 A KR1019850007039 A KR 1019850007039A KR 850007039 A KR850007039 A KR 850007039A KR 950000421 B1 KR950000421 B1 KR 9500004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sette
tape
recording
mccarthy
outer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500070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2807A (ko
Inventor
세이스께 오오바
쯔또무 미까미
히데유끼 스즈끼
미쯔히로 시마다
다다시 스즈끼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가이샤
오오가 노리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가이샤, 오오가 노리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600028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28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04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04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60Guiding record carrier
    • G11B15/66Threading; Loading; Automatic self-load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3/00Record carrier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ccessories, e.g.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 Intermediate medium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ir manufacture
    • G11B23/02Containers; Storing means both adapted to cooperate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means
    • G11B23/04Magazines; Cassettes for webs or filaments
    • G11B23/08Magazines; Cassettes for webs or filaments for housing webs or filaments having two distinct ends
    • G11B23/087Magazines; Cassettes for webs or filaments for housing webs or filaments having two distinct ends using two different reels or cor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11B15/10Manually-operated control; Solenoid-operated control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11B15/16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by sensing presence, absence or position of record carrier or container
    • G11B15/17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by sensing presence, absence or position of record carrier or container of containe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675Guiding containers, e.g. loading, ejecting cassettes
    • G11B15/6751Guiding containers, e.g. loading, ejecting cassettes with movement of the cassette parallel to its main side, i.e. front loading
    • G11B15/67536Guiding containers, e.g. loading, ejecting cassettes with movement of the cassette parallel to its main side, i.e. front loading of cassette inside drawe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5/00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record carrier employed but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e.g. dictating apparatus; Combinations of such apparatus
    • G11B25/06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record carrier employed but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e.g. dictating apparatus; Combinations of such apparatus using web-form record carriers, e.g. tape
    • G11B25/063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record carrier employed but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e.g. dictating apparatus; Combinations of such apparatus using web-form record carriers, e.g. tape using tape inside container

Landscapes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 Adhesive Tape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Packaging Of Annular Or Rod-Shaped Articles, Wearing Apparel, Cassettes, Or The Like (AREA)
  • Automatic Tape Cassette Chang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
제 1 도는 기록/재생부가 인출위치에 있는 상태를 도시한 본원의 사시도.
제 2 도는 기록/재생부가 인입위치에 있는 상태를 도시한 본원의 사시도.
제 3 도는 기록/재생부가 반 인출위치에 있는 상태를 도시한 본원의 사시도.
제 4 도는 기록/재생부가 인입위치에 있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제 5 도는 기록/재생부가 인출위치에 있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제 6 도는 기록/재생부가 반 인출위치에 있고, 카세트 테이프는 장착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 본원의 측면도.
제 7 도는 기록/재생부와 슬라이드 기구 및 카세트 착탈기구의 사시도.
제 8 도는 카세트 착탈기구의 일부를 분해도시한 사시도.
제 9 도는 전달기구의 일부를 분해도시한 사시도.
제 10 도는 구동부를 일부 절결도시한 사시도.
제 11 도는 카세트 테이프의 압착동작 및 카세트 테이프의 덮개 개방동작을 가리키는 요부확대 측면도.
제 12 도는 카세트 유지부에 카세트 테이프가 삽입된 상태에 있어서의 일부분을 절결 도시한 측면도.
제 13 도는 카세트 유지부에 카세트 테이프가 삽입된 상태에 있어서의 일부분을 절결 도시한 사시도.
제 14 도는 주 프로그램의 일예를 가리키는 흐름도.
제 15 도는 이젝트 프로그램의 일예를 가리키는 흐름도.
제 16 도는 기록/재생위치의 선택 프로그램의 일예를 가리키는 흐름도.
제 17 도는 전원 차단 프로그램의 일예를 가리키는 흐름도.
제 18 도는 본 발명의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에 적합한 카세트 테이프의 일예를 가리키며, 전방면 덮개 개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제 19 도 및 제 20 도는 종래의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의 예를 도시한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 2 : 외측하우징
10 : 기록/재생부 74 : 카세트 테이프
78 : 테이프
[산업상의 이용분야]
본 발명은 카세트 형태의 자기테이프를 사용하는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에 관한 것으로서, 자기테이프에 대한 기록/재생을 행하는데 필요한 기구가 설치된 기록/재생부를 외측하우징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하고, 기록/재생부에 대한 카세트 테이프의 삽입 및 취출은 기록/재생부를 하우징 외측에서 전방 방향으로의 인입 및 인출을 행할 수 있게 함으로서 형상을 보다 얇게 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카세트 테이프가 하우징 외측에서 노출된 상태로 기록/재생 동작을 행할 수 있도록 한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종래의 기술]
근래,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이하, [VTR]이라 칭함) 특히, 가정용 VTR의 보급이 확산되어 있고 이에 수반하여 보다 소형의 VTR을 요구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류의 VTR에는 카세트 테이프에 자기테이프를 사용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이러한 종류의 VTR에는 카세트 테이프를 VTR의 소정의 위치에 장착하기 위한 카세트 적재(loading) 기구가 설치되어진다.
그리고, 종래의 카세트 적재기구의 적재방식은 다음의 2종류로 나눌 수가 있다. 즉, 하나는 상부적재(top loading)방식의 카세트 적재기구이고, 또 하나는 전방적재(front loading)방식의 카세트 적재기구이다.
제 19 도 및 제 20 도는 상기 적재방식의 카세트 적재기구를 각각 갖춘 종래의 VTR을 도시한다.
먼저, 제 19 도에 도시된 VTR(a)에 대하여 설명한다. VTR(a)의 카세트 적재기구는 상부적재방식이다. 도면에 있어서, (b)는 VTR(a)의 외측하우징이며, (c)는 외측하우징(b)의 천장부중에서, 외측하우징(b)내의 소정의 위치에 설치된 도시되지 않은 릴대의 상방향에 대응하는 부분에 형성된 트인구멍이다. (d)는 외측하우징(b)내의 릴대의 상방향으로 상하방향으로의 이동이 가능하게 지지된 카세트 유지니부이고, 카세트 유지부(d)는 삽입된 카세트 테이프(e)를 테이프 릴이 릴대와 걸어맞추어지는 소정의 장착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부재이다. 그리고, 카세트 유지부(d)는 전방면이 개방되고 카세트 테이프(e)를 어느정도의 여유를 가지고 삽입할 수 있을 정도의 공간을 가지고 틀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천정부(f)는 투명판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카세트 유지부(d)는, 제 19 도에 실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외측하우징(b)으로부터 상방향으로 돌출한 위치(이하, 상기 위치를 [이젝트위치]라 함)와 그 천정부(f)가 외측하우징(b)의 트인구멍(c)를 막고 또한, 이것에 삽입된 카세트 테이프(e)를 상기 장착위치에 장착시키는 위치(이하, 이 위치를 [세트위치]라 함)와의 사이를 이동할 수 있도록 지지되어 있다.
이리하여, VTR(a)을 사용할때는, 도시치 않은 이젝트 버튼을 누르므로서 카세트 유지부(d)를 이젝트 위치에 돌출시키고, 여기에 카세트 테이프(e)를 삽입하고, 카세트 유지부(d)를 위로부터 누르도록 하여 세트위치에 집어넣도록 한다.
그리고, 카세트 테이프(e)의 카세트 하우징의 천정부에는 일반적으로 테이프 릴 등을 밖에서 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투명부(g)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카세트 테이프(e)가 VTR(a) 장착위치에 장착된 상태에서도 카세트 유지부(d)의 천정부(f) 및 카세트 테이프(e)의 투명부(g)를 통하여 테이프 릴이나 이것에 감겨진 테이프를 볼 수 있기 때문에 나머지 테이프의 량을 확인할 수 있다.
다음에, 제 20 도에 도시된 VTR(h)에 대하여 설명한다. VTR(h)의 카세트 적재기구는 전방적재방식이다. 도면에 있어서, (i)는 VTR(h)의 외측하우징이며, 외측하우징(i)의 전방 패널(j)에는 카세트 삽입구(k)가 형성되어 있다. (l)은 외측하우징(i)내의 카세트 삽입구(k)의 후방 부분으로의 이동이 자유롭게 배치된 카세트 캐리어이며, 그 외형은 VTR(a)의 카세트 유지부(d)와 대체로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카세트 캐리어(l)는, 도시 않은 안내부재에 의하여 이동 방향이 안내되도록 지지되어 있고, 제 20 도에 점선으로 가리키는 위치 즉, 카세트 삽입구(k)의 바로 뒤의 위치(이하, 이 위치를 [이젝트위치]라 함)와 도면에서 2점 쇄선으로 가리키는 위치 즉, 이젝트 위치로부터 후방방향이고 또한, 아래쪽인 동시에, 이것에 삽입된 카세트 테이프(e)가 소정의 장착위치에 장착되고 또한, 카세트 테이프(e)의 테이프 릴이 도시 않은 릴대와 걸어 맞추어지는 위치(이하 이 위치를 [세트위치]라 함)와의 사이를 상기 도면에서 실선화살표로 가리키는 바와 같이 대략 옆으로 경사지는 L자형의 궤적을 통하여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즉, 카세트 캐리어(l)은, 이젝트 위치로부터 세트위치를 향해 이동될때 일단, 릴대의 상방향의 위치까지 수평방향으로 이동되고, 이어서 그 위치로부터 수직방향으로 하방향으로 이동하게끔 된다.
이리하여, 카세트 캐리어(l)가 이젝트 위치에 도착된 상태에서 카세트 테이프(e)를 카세트 삽입구(k)로부터 외측하우징(i)내에 삽입하면, 카세트 테이프(e)는 카세트 캐리어(1)에 유지됨과 동시에, 카세트 캐리어(l)는 도시않는 이동기구에 의하여 이동궤적을 통하여 이동되어 소정의 장착위치에 장착되게 된다.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점]
종래의 VTR(a)은 카세트 적재방식이 상부적재방식이고, 다른 VTR(h)에는 카세트 적재방식이 전방적재방식이기 때문에, 각각,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우선, VTR(a)은 카세트 테이프(e)의 삽입 및 취출을 행할 때 카세트 유지부(d)가 VTR(a)의 외측하우징(b)으로부터 상방향으로 돌출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외측하우징(b)의 높이에 카세트 유지부(d)의 상하방향으로의 이동 스트로크를 포함시킬 필요는 없다. 따라서, 외측하우징(b)의 형상은 필요한 기구를 배치할 수 있을 만큼만의 최저한의 크기로 충분하기 때문에 VTR을 소형 특히, 얇은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는 잇점이 있다.
그런데, 카세트 유지부(d)가 외측하우징(b)으로부터 상방향으로 돌출하는 이동 스트로크를 가지기 때문에 VTR의 상방향의 공간을 유효하게 이용하는 것이 곤란하고 VTR의 배치장소가 극히 한정을 받는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이러한 종류의 VTR의 상부에는 영상장치등을 배치할 수 없고 또 적당한, 랙의 공간에 넣은 경우에라도 그 공간에는, VTR(a)의 높이에 카세트 유지부(d)의 외측하우징(b) 밖으로의 이동 스트로크 및 외측하우징(b) 밖으로 돌출한 카세트 유지부(d)의 상방향으로 손을 넣는데 충분한 높이를 더한 높이를 필요로 하게 된다. 즉, VTR(a)을 배치하는 랙의 공간으로서 상당히 큰 공간이 필요하게 된다.
한편 VTR(h)은 카세트 테이프(e)를 VTR의 전방면측으로부터 삽입하고, 또 취출할 수가 있기 때문에, VTR 위에 영상장치등을 배치할 수가 있고 또, 랙에 넣을 경우에도 그 공간은 해당 VTR이 들어갈 수 있을 만한 크기만 있으면 충분하다.
그러나, 카세트 적재방식이 전방적재방식이기 때문에 외측하우징(i)의 높이에 카세트 캐리어(l)의 상하방향으로의 이동 스트로크를 포함시킬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종류의 VTR은 그 형상 특히, 높이가 비교적 높아진다는 문제가 있다.
더욱이, 이러한 종류의 VTR에 있어서는, VTR의 소정의 위치에 장착된 카세트 테이프(e)를 VTR의 외부로부터 볼 수가 없기 때문에, 테이프 나머지량을 확인할 수가 없다.
테이프의 나머지량을 VTR에 설치된 테이프 카운터에 표시된 숫자로부터 산출하는 것이 가능하기는 하지만, 기록/재생을 시작할 때 리세트하여 두는 것을 잊었을때는, 그 산출은 불가능하게 된다. 또, 항시 테이프의 길이가 동일한 카세트 테이프를 사용한다고도 할 수 없는데 특히, 소프트 테이프로서 시판되고 있는 카세트 테이프의 테이프의 길이는 생테이프로서 시판되고 있는 카세트 테이프의 테이프의 길이와는 일반적으로 상이한 경우가 많으므로 테이프의 나머지량을 테이프 전체길이의 카운트량으로부터 현재 표시되어 있는 카운트량을 빼고 파악한다고 하는 방법은 실제의 사용에 있어서는 매운 곤란한 일이다.
또, 종래의 VTR(a, h)의 공통된 문제로서, 기록 또는 재생을 행하면서, 카세트 테아프(e)의 라벨면에 기록내용등을 기재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즉, 종래의 VTR에서는 카세트 테이프(e)가 외측하우징 밖으로 노출된 상태에서 기록/재생을 행할 수가 없기 때문에 기록/재생을 행하면서 기록 내용등을 다른 종이에 메모해 두었다가, 카세트 테이프를 VTR으로부터 인출하여 라벨에 상기 내용을 기입하는 방법을 취하지 않을 수가 없었다.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의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는 전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테이프에 대한 기록/재생을 행하는데 필요한 기구가 설치된 기록/재생부를 외측하우징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 설치하고, 상기 기록/재생부를 외측하우징내에 인입위치와, 외측하우징으로의 인출 그리고 카세트 테이프의 장착 및 인출이 행하여지는 인출위치와, 상기 인입위치와 인출위치와의 사이이며 또한 이것에 장착된 카세트 테이프의 적어도 일부가 외측하우징 밖으로 노출되는 반(半) 인출위치와의 사이를 이동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적어도 상기 인입위치와 반 인출위치에서 기록/재생 동작을 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작용]
따라서, 본 발명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는 기록/재생부를 외측하우징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 설치하고, 기록/재생부로의 카세트 테이프의 삽입 및 인출을 행하도록 한 것이기 때문에 외측하우징의 높이에 카세트 유지부의 이동 스트로크를 포함시킬 필요가 없고 더욱이, VTR 위에 영상장치등을 배치할 수도 있다. 더불어, 기록/재생부에 장착된 카세트 테이프가 외측하우징 밖으로 노출된 상태에서의 기록/재생이 가능하기 때문에, 기록/재생을 행하면서 카세트 테이프의 라벨을 기입하는 등의 필요한 작업도 행할 수가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실시예를 통해 이하에 설명한다.
도면에 있어서, (1)은 VTR이며, (2)는 외측하우징이다. 외측하우징(2)은 얇은 상자형으로 형성되고, 그 전방면 패널(3)의 좌측(제 1 도에 있어서 좌측경사 상방향으로 향한 방향을 좌측으로 하고, 우측경사 하방향으로 향한 방향을 우측으로 한다. 또, 상기 도면에 있어서 좌측경사 하방향으로 향한 방향을 전방방향으로 하고, 우측경사 상방향으로 향한 방향을 후방향으로 함.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방향을 가리킬 때에는 상기 방향에 준함.)에 가까이한 부분에, 후술하는 기록/재생부가 설치된 매카샤시(4)를 외측하우징(2)으로부터 인출하기 위한 샤시인출구(5)가 형성되어 있다. (6)은 매카샤시(4)의 전단부에 고정된 가동패널이며, 가동패널(6)은 샤시인출구(5)와 대략 같은 크기로 형성되어 있고, 매카샤시(4)가 제 4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하우징(2)의 내부에 인입위치(이하, 이 위치를 [인입위치]라고 함)에 이동되었을때, 샤시인출구(5)는 제 2 도 및 제 4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패널(6)에 의하여 덮여지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외측하우징(2)의 내부에는 후술하는 각 제어 프로그램이 입력된 기억장치와 제어장치등으로부터의 시스템 콘트롤러 및 VTR(1)의 동작을 제어하는데 필요한 기타의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또, 전방면패널(3)의 우측에 인정한 부분에는 다수의 조작용 버튼이 배치된 조작부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조작부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매카샤시(4)(제 5 도, 제 7 도, 제 11 도등 참고)는 대략 정방향의 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좌우양단부에 설치된 안내레일이 외측하우징(2)에 고정된 안내롤러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걸어맞추어져 외측하우징(2)에 대해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즉, (7, 7')는 매카샤시(4)의 하부면의 좌우양단부 가장자리를 따라서 고정된 안내레일이며, 상기 안내레일(7, 7')은 전후방향으로 바라보았을 때 대략 사각형으로 된 ㄷ자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ㄷ자의 개방부가 서로 외측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8, 8')은 외측하우징(2)의 내부중 상기 샤시인출구(5)의 좌우 양쪽의 개방부 가장자리에 인접한 위치에 2개씩 전후방향으로 어느 정도 이간되어 배치된 안내롤러이며, 이들 안내롤러(8, 8')는 외측하우징(2)에 고정된 롤러축(9, 9')(도면에서는 우측의 것만을 가리키고 있다)의 선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그리하여 매카샤시(4)에 설치된 안내레일(7, 7')의 ㄷ자형 상부의 개방부가 가장자리가 안내롤러(8, 8')와 슬라이드 가능하게 걸어맞추어져 있고, 이것에 의하여, 매카샤시(4)가 외측하우징(2)에 대하여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됨과 동시에, 그 슬라이드 방향이 안내롤러(8, 8')에 의하여 안내되어 외측하우징(2) 밖으로 인출되고 또, 인출된 위치로부터 외측하우징(2)내로 인입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매카샤시(4)에 설치된 기록/재생부(10)(제 7 도 참고)에는 후술하는 카세트 테이프의 자기테이프에 대한 기록/재생을 행하는데 필요한 부재 혹은 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즉, (11, 11')은 매카샤시(4)의 전단부 가장자리에 인접한 부분에서 서로 좌우방향으로 소정의 거리로 이간되어 배치된 릴대이며, 이들 릴대(11, 11')는 도시치 않은 릴측에 회전이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음과 동시에, 각각의 상단부에 걸어맞춤부(12, 12')가 설치되어 있다.
(13, 13')은 매카샤시(4)의 전방부 좌우양단부 가장자리에 인접한 위치에 배치된 위치결정핀이고, 이들중 후방측에 위치하는 (13')의 상단부면으로부터는 원추형상의 삽입부(13'a)가 돌출 설치되어 있다. 상기 위치 결정핀(13, 13')은 기록/재생부(10)에 장착되는 카세트 테이프의 장착의 위치를 정하기 위한 것이다.
(14)는 매카샤시(4)의 후방단부 가장자리에 인접한 위치에 배치된 헤드드럼이며, 회전축 드럼(14a)에는 도시치 않은 비디오 헤드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도면에 있어서는 기록/재생을 행하는데 필요한 기구의 대부분이 생략되어 있지만 실제로는, 매카샤시(4)의 상부면에는, 전술된 부재외에, 오디오 헤드, 콘트롤 헤드 및 전체폭 소거헤드 등의 헤드부재와 자기테이프의 주행 경로를 규제하기 위한 다수의 테이프 안내 포스트, 카세트 테이프로부터 자기테이프 안내 포스트 등에 감기 위한 테이프 적재기구, 자기테이프를 소정의 속도로 주행시키기 위한 캡스턴 및 핀치롤러등이 설치되어 있고 또, 매카샤시(4)의 하부면에는, 상기 헤드드럼의 회전축 드럼(14a)이나 캡스턴, 상기 릴대(11, 11')등을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와 전달 기구 및 서보기구등이 설치되어 있다.
이리하여, VTR(1)은 기록/재생부(10) 그 자체가 외측하우징(2)에 대하여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매카샤시(4)가 외측하우징(2)밖에 인출됨으로서, 제 1 도, 제 3 도, 제 5 도 및 제 6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록/재생부(10)가 외측하우징 밖으로 인출되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 매카샤시(4)를 슬라이드시키는 슬라이드 기구에 대하여 설명한다(제 4 도 내지 제 7 도 참조).
(15)는 외측하우징(2) 내부중 매카샤시(4)의 우측의 측부 가장자리부의 상방향으로부터 약간 우측에 가까이한 위치에 배치된 안내부재이며, 도시치 않은 설치부재에 의하여 외측하우징(2)측에 고정되어 있다. 안내부재(15)는 전후방향을 따라서 연장될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있고, 그 후방단부로부터 약간전방으로 가까이한 위치로부터 전방단부까지의 부분에, 측방향에서 보아 대략 옆으로 쓰러진 J자형상으로 굴곡된 슬릿형태의 안내부(16)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안내부(16)는, 그 후방단부로부터 외측하우징(2)의 전방면 패널(3)에 인접한 위치까지 대략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샤시안내부(16a)와 상기 샤시안내부(16a)의 전방단부로부터 연속하여 외측하우징(2)의 천정부측을 향하여 대략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아암 안내부(16b)로 이루어지고, 샤시안내부(16a)와 아암 안내부 (16b)와의 연속부(16c)는 대략 원호형상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또, 안내부재(15)의 하부면중 전방단부로부터 약간 후방측으로 인접한 위치와 후방단부와의 사이의 부분에는 랙(17)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전술된 안내부재(15)의 안내부(16)는 후술되는 제어핀의 이동방향을 안내하기 위한 것이다.
(18)(제 9 도 참조)은 매카샤시(4)에 설치된 도시 않음 베어링부재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기어축이며, 상기 기어축(18)은 그 선단부가 매카샤시(4)로부터 우측으로 돌출하도록 배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그 선단부에 상기 랙(17)과 맞물린 샤시 이동기어 (19)가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샤시 이동기어(19)는 후술하는 모터에 의하여 회전되도록 되어 있다.
이리하여 매카샤시(4)는 샤시 이동기어(19)가 회전됨에 따라 슬라이드 되게 된다. 즉, 매카샤시(4)가 제 4 도에 가리키는 인입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이동기어(19)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 이동기어(19)가 랙(17)과 맞물리면서 전방으로 이동하고, 이것에 의하여, 매카샤시(4)가 전방방향으로 이동된다. 또, 매카샤시(4)가 제 1 도 및 제 5 도에 도시된 위치(이하, 이 위치를 [인출위치]라 함), 또는 제 3 도 및 제 6 도에 도시된 위치(이하, 이 위치를 [반 인출위치]라 함)에 있는 상태로 샤시 이동기어(19)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 이동기어(19)가 랙(17)과 기어가 맞물리면서 후방향으로 이동되고 이것에 의하여, 매카샤시(4)가 후방향으로 이동된다.
(20)은 카세트 착탈기구(제 8 도 참조)이다. 이 카세트 착탈기구(20)는, 후술하는 카세트 테이프를 상기 기록/재생부(10)의 카세트 장착위치에 장착시키고, 또, 카세트 장착위치로부터 탈착시키기 위한 기구이다.
즉, (21, 22)는 매카샤시(4)의 좌우 양측 가장자리를 따르는 부분의 후단부 가장자리에 인접한 위치에 배치된 주 회전동작아암이며, 그 측면이 서로 평행으로 대응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우측의 주 회전동작아암(21)은 그 전후방향에 있어서의 중간부가 상방향으로 보아 대략 크랭크형상으로 굴곡되어 있음과 동시에, 그 전방부(23)가 상하방향으로 폭이 넓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전방부(23)의 하부에는 주 회전동작아암(21)의 긴쪽 방향을 따라 연장된 긴 구멍(24)이 형성되어 있다. (25)는 전방부(23)의 전방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전방방향으로 돌출된 돌출편이며, 상기 돌출편(25)의 전방단부는 좌측으로 향하여 대략 직각으로 굴곡됨과 동시에, 그 선단부에 스프링 걸어붙임 구멍(26)이 형성되어 있다. 또, (27)는 주 회전동작아암(21)의 좌측의 측면의 중간로부터 약간 후방측으로 인접한 위치로부터 좌측으로 향하여 돌출설치된 규제핀이다.
또, 좌측의 주 회전동작아암(22)은 그 긴쪽 방향에 있어서의 후방부(28)가 상하방향으로 폭이 넓게 형성됨과 동시에, 후방부(28)의 하단부 가장자리중 전방단부에 인접한 위치로부터 상하방향의 폭이 좁은 전방부(29)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전방부(29)의 전단부는 우측을 향하여 직각으로 굴곡되어 있고, 그 굴곡된 부분에 스프링 걸어붙임 구멍(30)이 형성되어 있다. 또, (31)은 후방부(28)의 좌측의 측면으로부터 좌측으로 향하여 돌출설치된 규제핀이다.
(32)는 매카샤시(4)의 상부면의 후단부 가장자리를 따르는 위치의 좌우 양단부에 설치된 지지피스이며, 상기 지지피스(32)의 상단부에는 연동축(33)의 양단부가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그리하여, 상기 좌우의 주 회전동작아암(21, 22)은 그 후단부가 상기 연동축(33)의 양단부에 고정되고 있고, 이것에 의하여 주 회전동작아암(21, 22)은 매카샤시(4)에 상하방향으로 회전동작이 가능하게 지지됨과 동시에, 연동축(33)에 의해서 서로 일체적으로 회전동작되도록 연결되어 있다.
또, (34, 35)는 부 회전동작아암이며, 이들 부 회전동작아암(34, 35)은 각각 전술된 주 회전동작아암(21, 22)과 일체적으로 회전동작되도록 설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우측의 부 회전동작아암(34)과 좌측의 부 회전동작아암(35)는 각각 좌우 대칭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부 회전동작아암(34, 35) 은 전후방향으로 긴 판형상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그 긴쪽 방향으로의 중앙부 즉, 주 회전동작아암(21, 22)의 스프링 걸어붙임 구멍(26, 30)과 대응하는 부분이 상방향에서 보아서 대략 크랭크 형상으로 굴곡되어 있다. 그리고, 굴곡된 부분의 상단부 가장자리에 전방방향으로 향하여 돌출되고, 또한, 스프링 걸어붙임 구멍(36)이 형성된 돌출편(37)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부 회전동작아암(34, 35)중 상기 주 회전동작아암(21, 22)으로부터 돌출설치된 규제핀(27, 31)과 대응하는 위치에는 약간 상방향으로 긴 구멍(38)이 형성되어 있으며, 또 각각의 후단부에는 삽입관통구멍(39)이 형성되어 있다.
이리하여, 우측의 부 회전동작아암(34)은 그 삽입관통구멍(39)에 상기 연동축(33)의 우측단부의 주 회전동작아암(21)이 고정된 부분의 좌측부분이 삽입관통됨으로서 또, 좌측의 부 회전동작아암(35)은 그 삽입관통구멍(39)에 연동축(33)에 회전동작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주 회전동작아암(21, 22)으로부터 돌출설치된 규제핀(27, 31)의 선단부가 부 회전동작아암(34, 35)의 긴 구멍(38)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걸어맞춤됨과 동시에, 우측의 주 회전동작아암(21)의 스프링 걸어붙임 구멍(26)과 우측의 부 회전동작아암(34)의 돌출피스(37)의 스프링 걸어붙임 구멍(36)에 인장스프링(40)의 양단부에 설치된 축이 걸어붙혀지고, 또 좌측의 주 회전동작아암(22)의 스프링 걸어붙임 구멍(30)과 좌측의 부 회전 동작아암(35)의 스프링 걸어붙임 구멍(36)에 인장스프링(40')의 양단부에 설치된 훅이 걸어붙여지게 된다. 이것에 의하여, 부 회전 동작아암(34, 35)과, 주 회전동작아암(21,22)과는 인장스프링(40,40')의 인장력에 의하여 서로 잡아당기어져 맞닿게 됨과 동시에, 주 회전 동작아암(21, 22)의 규제핀(27, 31)이 부 회전동작아암(34, 35)의 긴 구멍(38)의 상단부 가장자리에 맞닿게 됨으로서, 주 및 부 회전동작아암의 서로의 위치관계가 소정의 상태로 지지되도록 되어있다.
(41)은 상기 부 회전동작아암(34, 35)의 각 전방단부에 의하여 지지된 카세트 삽입부이다. 카세트 삽입부(41) 바닥판(42)과 그 좌우 양단부에 배치된 측판(43)으로부터 이루어지고, 좌우 양측판(43)이 부 회전동작아암(34, 35)의 전단부에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바닥판(42)은 그 전후 양단부 가장자리가 사다리형으로 절결됨과 함께, 상기 릴대(11, 11')와 대응하는 부분에 원형의 트인구멍(44, 44')가 형성되어 있다. (45, 45')는 좌우측판(43)의 상단부 가장자리의 전후방향에 있어서의 중앙부로부터 서로 내측을 향하여 연장되도록 설치된 카세트 지지피스이며, 그 전방부는 카세트 삽입부(41)로의 카세트 테이프의 삽입이 용이하게 행해지도록 약간 상방향으로 향하여 꺾여 구부러져 있다.
또, 46(제 9 도 참조)은 매카샤시(4)의 우측 가장자리에 가까운 위치중 상기 사시 이동기어(19)에 근접한 부분에 배치된 아암 회전동작기어이다. 아암 회전 동작기어(46)는 대략 부체형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그 주요부가 매카샤시(4)에 지지된 기어축(47)에 회전동작이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아암 회전동작기어(46)의 우측의 측면중 하단부에 가까운 위치로부터 우측을 향하여 가압핀(48)이 일체적으로 돌출설치되어 있고, 상기 가압핀(48)의 선단부는 상기 우측의 주 회전동작아암(21)에 형성된 긴 구멍(24)에 슬라이드 동작이 가능하게 걸어맞춤되어 있다. 그리고, 아암 회전동작기어(46)는, 상기 샤시 이동기어(19)와 마찬가지로, 후술하는 모터에 의하여 회전동작되도록 되어 있다.
이리하여, 아암 회전동작기어(46)가 회전동작으로서 가압핀(48)이 상하방향으로 이동되기 때문에, 우측의 주 회전동작아암(21)은 가압핀(48)과 걸어맞춤되는 부분이 상하방향으로 눌리므로서 상하방향으로 회전동작 되도록 된다. 이리하여, 좌우의 주 및 부 회전동작아암(21)과 (34) 및 (22)와 (35)가 상하방향으로 회전동작되고, 이것에 의하여, 카세트 삽입부(41)가 제 4 도 및 제 7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핀(42)이 매카샤시(4)의 상부면과 대체로 평행하게 대항되고, 또한 릴대(11, 11')의 걸어맞춤부(12, 12')가 바닥판(42)에 형성된 트인구멍부(44, 44')를 지나서 바닥판(42)보다 상방향으로 돌출된 위치(이하, 이 위치를 [세트위치]라 함)와, 제 1 도 및 제 5 도에 실선으로, 그리고, 제 11 도에 2점 쇄선으로 가리키는 바와 같이, 그 바닥판(42)이 릴대(11, 11')의 상단부로부터 상방향으로 상당히 떨어져서 위치하고, 또한, 전단부가 가동패널(6)의 상단부 가장자리보다 상방향에 위치되는 이치(이하, 이 위치를 [이젝트위치]라 함)와의 사이를 이동하도록 된다.
그리고, 카세트 삽입부(41)가 전술된 바와 같이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은, 카세트 삽입부(41)가 외측하우징(2) 바깥으로 나와 있을때에 한한다. 그리고, 이 조작 타이밍의 제어는 후술하는 제어핀의 상기 안내부재(15)의 안내부(16)와의 걸어맞춤 상태에 의하여 행하여진다.
(49)는 전술된 우측의 주 회전동작아암(21)의 전방부(23)의 우측의 측면부터 우측으로 향하여 돌출된 제어핀이고, 그 선단부는 상기 안내부재(15)의 안내부(16)에 슬라이드 동작이 가능하게 걸어맞춤되어 있다. 상기 제어판(49)은, 매카샤시(4)를 슬라이드 시키는 상기 슬라이드 기구의 동작과, 카세트 착탈기구(20)와의 동작과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다음에, 상기 샤시 이동기어(19) 및 아암 회전동작기어(46)를 구동하기 위한 모터와 그 전달기구에 대하여 설명한다(제 9 도 및 제 10 도 참조).
(50)은 모터이다. 모터(50)는 매카샤시(4)의 하부면중 후단부 가장자리에 가까운 부분에 모터 부착판(51)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고, 매카샤시(4)와 함께 이동하게끔 되어 있다. (52)는 모터축이고, 그 선단부에 출력풀리(53)가 고정되어 있다.
(54)는 매카샤시(4)의 상부면에 설치된 도시하지 않은 베어링부재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풀리축이며, 상기 풀리축(54)의 좌측의 단부부분에 대구경의 전달풀리(55)와 또, 우측의 단부부분에 소구경의 전달풀리(56)가 고정되어 있고, 대구경의 전달풀리(55)와 상기 모터(50)의 출력풀리(53)와의 사이에 무단부 형상(無端狀)의 벨트(57)가 걸쳐져 있다.
(58)은 유성치차기구이다. (59)는 도시하지 않은 베어링부재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회전축이며, 상기 회전축(59)의 좌측단부에 비교적 대구경인 입력풀리(60)가 고정되고, 상기 입력풀리(60)와 상기 소구경인 전달풀리(56)와의 사이에 무단부 형상의 벨트(61)가 걸쳐져 있다. 또, 회전축(59)의 축방향에 있어서의 대략 중앙부에는 태양기어(62)가 고정되어 있다.
(63)은 제 1 피 회전자이며, 상기 제 1 피 회전자(63)는 우측의 단면이 폐쇄된 축방향으로 짧은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내부주위면에 기어치(64)가 형성됨과 함께, 우측단면부의 중앙부에 제 1 출력기어(65)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 1 피 회전자(63)는 상기 회전측(59)중 태양기어(62)가 고정된 위치의 우측부분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이것에 의하여, 기어치(64)가 형성된 내부주위면의 축심부에 태양기어(62)가 배치되어 있다.
또, (66)은 대략 원판형상으로 형성된 제 2 피 회전자이며, 상기 제 2 피 회전자(66)의 좌측의 측면 중앙부에 제 2 출력기어(67)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 2 피 회전자(66)는 상기 회전축(59)중 상기 입력풀리(60)가 고정된 위치와 태양기어(62)가 고정된 위치와의 사이의 부분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68)은 제 2 피 회전자(66)중 그 중심부를 사이로 두고 대략 180°떨어진 위치로부터 우측을 향하여 돌출설치된 핀이고, 상기 핀(68)의 선단부에는, 상기 태양기어(62)와 제 1 피 회전자(63)의 기어치(64)와 치합된 유성기어(69)가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있다.
이리하여 모터(50)가 회전되면, 그 회전력은, 출력풀리(53)-벨트(57)-전달풀리(55)-풀리축(54)-전달풀리(56)-벨트(61)-입력풀리(60)등이 전달경로를 경과하여 회전축(59)에 전달되고, 이것에 의하여 태양기어(62)가 회전된다.
그리고, 태양기어(62)가 회전되면, 유성기어(69)가 회전되는 것이지만, 제 1 피 회전자(63)의 회전이 저지되어 있을 때는 유성기어(69) 그 자체가 태양기어(62)의 둘레를 원궤적을 그리는 것같이 회전이동하기 때문에, 제 2 피 회전자(66)가 회전하게 되고, 또, 제 2 피 회전자(66)의 회전이 저지되어 있을 때에는 유성기어(69)는 그 장소에서 회전만 하는 상태로 되고, 제 1 피 회전자(63)가 회전하게 된다.
(70)은 상기 샤시 이동기어(19)가 고정된 기어축(18)의 좌측단부에 고정된 감속기어이며, 상기 감속기어(70)는 상기 유성치차기구(58)의 제 1 출력기어(65)와 치합되어 있다.
또, (71)은 매카샤시(4)의 상부면에 설치된 도시 않은 베어링부재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기어축이고, 상기 기어축(71)의 좌측단부에는 상기 유성치차기구(58)의 제 2 출력기어(67)와 치합된 대구경의 감속기어(72)가 고정되고, 또, 기어축(71)의 우측단부에는 상기 아암 회전동작기어(46)와 치합된 소구경인 감속기어(73)가 고정되어 있다.
이리하여, 유성치차기구(58)의 제 1 출력기어(65)가 회전됨으로서 샤시 이동기어(19)가 회전되고, 이것에 의하여 매카샤시(4)가 전술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 가능하게 되고, 또, 제 2 출력기어(67)가 회전됨으로서 아암 회전동작기어(46)기 회전동작되고, 이것에 의하여 회전동작아암(21,34 및 22,35)이 전술된 바와 같이 상하방향으로 회전동작하게 된다.
그리하여, 매사샤시(4)의 슬라이드와 회전동작아암(21, 34 및 22, 35)의 회전동작은 1개의 모터(50)에 의하여 행하여지는 것이지만 그 동작제어는 상기 제어핀(49)과 안내부재(15) 및 유성치차기구(58)에 의하여, 다음과 같이 하여 행하여진다.
즉, 제어핀(49)이 안내부(16)의 샤시안내부(16a), 즉, 대략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부분과 걸어맞춤되어 있을때는, 주 회전동작아암(21)의 상하방향으로 이동이 저지되기 때문에, 상기가 주 회전동작아암(21)에 가압핀(48)을 통하여 연결된 아암 회전동작기어(46), 감속기어(72, 73)의 회전이 저지되고 따라서, 유성치차기구(58)의 제 2 출력기어(67)는 그 회전이 저지된 상태로 된다.
이리하여 제어핀(49)이 안내부(16)의 샤시안내부(16a)와 걸어맞춤되어 있을때는, 제 1 출력기어(65)만이 회전되기 때문에, 모터(50)의 회전력을 샤시 이동기어(19)에 확실히 전달하게 된다. 이것에 의하여, 매카샤시(4)가 슬라이드 된다.
또, 제어핀(49)이 안내부(16)의 아암 안내부(16b) 즉, 대략 수직방향을 따라 연장된 부분과 걸어맞춤되고 있을때는 주 회전동작아암(21)의 전후방향으로의 이동이 저지됨으로서 매카샤시(4)의 전후방향으로의 이동이 저지되기 때문에, 렉(17)과 치합된 샤시 이동기어(19), 감속기어(70)의 회전이 저지되고 따라서, 제 1 출력기어(65)는 그 회전이 저지된 상태로 된다.
이리하여, 제어핀(49)이 안내부(16)의 아암 안내부(16b)와 걸어맞춤하고 있을때는, 제 2 출력기어(67)만이 회전되기 때문에, 모터(50)의 회전력은 확실하게 아암 회전동작기어(46)에 전달하도록 된다. 이것에 의하여 (21, 34 및 22, 35)이 회전동작하게 되어 카세트 삽입부(41)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제어핀(49)이 안내부(16)의 연속부(16c)와 걸어맞춤하고 있을때는, 매카샤시(4)의 슬라이드와 회전동작아암(21, 34 및 22, 35)의 회전동작이 같이 행하여진다. 즉, 연속부(16c)의 연장방향은 매카샤시(4)의 슬라이드 방향의 성분과 회전동작아암(21, 34 및 22, 35)의 회전동작방향의 성분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제어핀(49)이 연속부(16c)와 걸어맞춤하고 있을때는 매카샤시(4)의 슬라이드와 회전동작아암(21, 34 및 22, 35)의 회전동작은 어느것이나 완전히 저지되는 일은 없다. 따라서, 제 1, 제 2 출력기어(65, 67)는 연속부(16c)의 상기 각 방향성분의 크기에 따른 량이 회전되고, 해당 방향성분이 없어진 곳에서 회전이 저지된다.
그리고, 모터(50)는 매카샤시(4)를 후방향으로 슬라이드 시킬때 정회전되고, 전방방향으로 슬라이드 시킬때 역회전하게 되어 있다.
또, 안내부(16)의 연속부(16c)는, 매카샤시(4)가 인출위치로 인출될때, 카세트 삽입부(41)가 외측하우징(2)밖으로 나간후에 제어핀(49)이 걸어맞춤되어 시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전술된 바와 같이, 카세트 삽입부(41)의 상하방향 이동은 이것이 외측하우징(2)밖에 나가있는 상태에서 행하여진다.
이리하여, 회전동작아암(21, 34 및 22, 35)은, 매카샤시(4)가 인출위치로 인출되었을때 반대 기록/재생부(10)측으로 회전동작되고, 매카샤시(4)가 인출위치로부터 외측하우징(2)내로 인입되어질 때는 기록/재생부(10)측으로 회전동작된다.
이리하여 매카샤시(4)의 슬라이드와 회전동작아암(21, 34 및 22, 35)의 회전동작은 1개의 모터에 의하여 행하여짐과 동시에, 상기 회전동작이 행해져야할 소정의 동작 타이밍은 제어핀(49)의 안내부(16)에 대한 걸어맞춤상태와 유성치차기구(58)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제어된다.
다음에, VTR(1)에 사용되는 카세트 테이프의 일예(74)를 설명한다(제 12 도, 제 13 도 및 제 18 도 참조).
(75)는 얇은 형태의 상자형상으로 형성된 카세트 하우징이며, 상기 카세트 하우징(75)의 전방면 벽은, 그 좌우 양단부부분에 테이프 출구(76)가 형성됨과 동시에, 테이프 출구(76)와의 사이부분이 사다리꼴 형태로 굴곡됨으로서 테이프 인출용 오목부(77)가 형성된다. (78)은 자기테이프이며, 그 단부부분은 카세트 하우징(75)내에서 회전가능한 상태로 수납된 공급측의 테이프 릴(79)(제 18 도 참조)과 도시하지 않은 감는측의 테이프 릴에 팽팽히 감기어 있고, 그 일부가 상기 테이프 출구(76)로부터 카세트 하우징(75)밖으로 도출됨과 동시에, 상기 테이프 인출용 오목부(77)의 전방방향을 통과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테이프 릴의 하부부에는 상기 릴대(11, 11')의 걸어맞춤축부(12, 12')와 걸어맞춤되는 도시않은 걸어맞춤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고, 카세트 테이프(74)가 상기 기록/재생부(10)의 소정의 카세트 장착위치에 장착되면, 릴대(11, 11')의 걸어맞춤축부(12, 12')가 카세트 하우징(75)의 바닥판에 형성된 도시치 않은 트인구멍을 지나서 상기 걸어맞춤 오목부에 삽입되도록 되어 있다.
(80)은 카세트 하우징(75)의 천정판의 내부면에 지지되기도 하는 릴 가압스프링이며, 테이프 릴은 카세트 테이프(74)가 사용되고 있지 않을때는 릴 가압스프링(80)에 의하여 카세트 하우징(75)의 바닥판에 눌러져 있으며 카세트 테이프(74)가 기록/재생부(10)에 장착되었을때는 릴 가압스프링(80)에 의하여 릴대(11, 11')에 가압되어 있다.
(81)은 카세트 하우징(75)의 천정판중 공급측의 테이프 릴(79)과 대응하는 부분에 형성된 트인구멍에 끼여진 투명한 판이며, 투명한 판(81)을 통하여 카세트 하우징(75)의 내부를 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82)는 카세트 하우징(75)의 천정판중 상기 투명한 판(81)이 배치된 부분과 반대측 부분에 부착된 라벨이며, 해당 카세트 테이프의 기록내용등을 기입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82)은 카세트 하우징(75)의 전방부에 회전동작가능하게 지지된 전방면 덮개이고, 상기 테이프 출구(76) 및 테이프 인출용 오목부(77)가 배치된 테이프 인출용 트인구멍(84)을 개폐하기 위한 것이다 전방면 덮개(83)는 상방향에서 보아서 대략 좌우방향으로 길게 옆으로 쓰러진 ㄷ자형으로 형성되고, 그 좌우양측판(85)으로부터 지지축(86)(도면에서는 한쪽것만을 도시하고 있다)이 서로 내부측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축(86)은 카세트 하우징(75)에 회전동작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한쪽의 지지축(86)중 카세트 하우징(75)의 좌우 양측판부에 형성된 도시치 않은 베어링 구멍에 삽입되어 있고, 이것에 의하여, 전방면 덮개(83)가 카세트 하우징(75)내에 위치하는 부분에는 그 축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돌출된 돌기(87)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88)은 토션 스프링이고, 그 중간의 바퀴형상부(88a)가 상기 돌기(87)가 형성된 쪽의 지지축(86)에 밖으로 끼여짐과 동시에, 한쪽 아암(88b)의 선단부는 카세트 하우징(75)의 천정판의 내부면중 전방단부 가장자리에 가까운 위치에 탄성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토션 스프링(88)의 다른쪽의 아암은 고리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돌기(87)에 밖으로 끼여져 있다.
이리하여 전방면 덮개(83)는, 그 지지축(86)으로부터 돌출설치된 돌기(87)가 토션 스프링(88)에 의하여 카세트 하우징(75)의 후방방향으로 누름으로서, 항시, 제 12 도에 있어서의 시계방향 즉, 상기 테이프 인출용 트인구멍(84)을 폐쇄하는 방향으로의 회전력을 가하고 있다.
그리고, 전방면 덮개(83)는, 토션 스프링(88)에 의한 상기 회전력이 가해짐과 동시에, 그 하단부 가장자리에 형성된 절결부(89)(제 18 도 참조)가 카세트 하우징(75)의 바닥판의 전방단부에 맞닿게 함으로서 테이프 인출용 트인구멍(84)을 폐쇄한 상태가 유지된다.
이리하여, 전방면 덮개(83)는 제 12 도 및 제 13 도에 실선으로 또, 제 11 도 및 제 18 도에 2점 쇄선으로 가리키는 폐쇄위치와 제 11 도 및 제 18 도에 각각 실선으로 가리키는 개방 위치와의 사이를 이동할 수가 있도록 설치되어 있고, 카세트 테이프(74)가 사용되고 있지 않을때는 폐쇄위치에 와 있으며, 카세트 테이프(74)가 상기 기록/재생부(10)에 장착될 때 후술하는 덮개 개방기구에 의하여 개방위치로 이동하게 되고, 그것에 의하여 자기테이프(78)를 인출할 수가 있는 상태로 된다.
이리하여, 카세트 테이프(74)는 이것이 사용될때 기록/재생부(10)의 소정의 장착위치에 장착되는 것이지만, 그 장착은 다음과 같이 하여 행하여진다(제 11 도 참조).
우선, 매카샤시(4)를 인출위치로 인출한다. 이것에 의하여, 회전동작아암(21, 34 및 22, 35)이 반대 기록/재생부(10)측으로 회전동작하기 때문에, 카세트 삽입부(41)가 이젝트 위치에 오게끔 된다.
그래서, 카세트 테이프(74)를 전방면 덮개(83)측으로부터 카세트 삽입부(41)로 삽입한다(제 11 도에 2점 쇄선으로 가리키는 상태). 그리고 카세트 테이프(74)는 카세트 삽입부(41)에 설치된 도시하지 않은 위치결정 부재와 맞닿는 곳까지 삽입된다.
이리하여, 후술하는 조작부에 설치된 소정의 스위치를 조작함으로서 상기 모터(50)가 정회전되기 때문에, 우선 회전동작아암(21,34 및 22,35)이 기록/재생부(10)측으로 회전동작되고 이것에 의하여, 카세트 삽입부(41)가 기록/재생부(10)측으로 이동되어 간다.
그리고, 제어핀(49)이 안내부재(15)의 샤시안내부(16a)와 걸어맞추어지기 전에 즉, 카세트 삽입부(41)가 세트위치에 이르기 전에, 카세트 하우징(75)의 바닥판이 기록/재생부(10)에 설치된 상기 위치 규정판(13, 13')의 상단부면에 맞닿게 된다. 그리고, 카세트 하우징(75)의 바닥판중 전방단부 가장자리와 가까운 부분의 좌우양단부 인접위치에는 도시하지 않는 위치 규정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후방측의 위치 규정 핀(13')의 삽입부(13'a)가 도시하지 않은 위치 규정구멍에 삽입되도록 되어있다.
이리하여 카세트 테이프(74)는, 카세트 하우징(75)이 위치 규정핀(13, 13')의 상단부면에 설치되므로 기록/재생부(10)에 대한 상하방향으로의 위치 규정이 행하여짐과 동시에, 그 위치 규정 구멍에 위치 규정 핀(13')의 삽입부(13a)가 삽입됨으로서 기록/재생부(10)에 대한 전후방향 및 좌우방향의 위치 규정이 행하여진다. 이것에 의하여, 카세트 테이프(74)의 기록/재생부(10)의 소정의 장착위치에 장착되게 된다.
이리하여, 카세트 삽입부(41)는 이것에 정착된 카세트 테이프(74)가 위치 규정 핀(13, 13')에 설치되므로 그것으로부터 하방향으로의 이동이 저지되고, 따라서 부 회전동작아암(34, 35)도 그것으로부터 하방향으로의 회전동작이 저지되게 된다.
이리하여, 카세트 테이프(74)가 소정의 장착위치에 정착된 후에는 주 회전동작아암만이 다시 하방향으로 즉, 제어핀(49)이 안내부재(15)의 샤시 안내부(16a)와 걸어맞춤 될 때까지 회전동작하게 된다.
즉, 제 11 도에 실선으로 가리키는 상태로 된다. 이 상태에 있어서, 주 회전동작아암(21, 22)으로부터 돌출 설치된 상기 규제핀(27, 31)은 부 회전동작아암(34, 35)의 긴 구멍(38)중에 이들의 상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제 11 도에 가리키는 거리(l) 정도 하방향으로 내려간 위치와 걸어맞춤하게 된다.
이리하여, 주 및 부 회전동작아암(21, 34 및 22, 35) 사이에 각각 걸쳐져 있는 인장스프링(40, 40')의 인장력은 더욱 증대되고, 이러한 인장력은, 부 회전동작아암(34, 35), 카세트 삽입부(41) 및 카세트 지지편(45, 45')을 통하여 카세트 테이프(74)의 카세트(75)를 상방향으로부터 누르는 가압력으로서 작용하게 된다.
이리하여, 카세트 테이프(74)는 그 카세트 하우징(75)이 기록/재생부(10)측을 향하여 가압됨으로서, 기록/재생부(10)의 소정의 장착위치에 압착되는 것이다. 이것에 의하여, 카세트 테이프(74)의 소정의 장착위치에 장착된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하여 카세트 테이프(74)의 압착이 행하여지는 사이에, 매카샤시(4)는 제 11 도에 2점 쇄선으로 가리키는 위치(이 위치는 인출위치이다)부터 실선으로 가리키는 위치까지 이동되고 있다.
이리하여, 카세트 테이프(74)는, 매카샤시(4)가 외측하우징(2)내쪽으로 인입될때 인장스프링(40, 40')의 인장력에 의하여 기록/재생부(10)의 소정의 장착위치에 압착하게 된다.
그리고, 기록/재생부(10)에 장착된 카세트 테이프(74)의 이젝트 조작은 다음과 같이 하여 행하여진다. 즉, 후술하는 조작부에 설치된 이젝트 버튼이 눌리어지면, 모터(50)가 역회전하고, 매카샤시(4)는 인입위치 또는 반(半) 인출위치로부터 인출위치를 향하여 이동된다. 그리고, 매카샤시(4)가 제 11 도에 실선으로 가리키는 위치를 경과하면 주 회전동작아암(21, 22)이 반대 기록/재생부(10)측을 향하여 회전동작하기 시작하고, 이것에 설치한 규제핀(27, 31)이 부 회전동작아암(34, 35)의 긴 구멍(38)의 상단부 가장자리에 맞닿게 될때부터 주 및 부 회전동작아암(21, 34 및 22, 35)이 일체적으로 회전동작하게 된다. 이것에 의하여 카세트 삽입부(41)가 반대 기록/재생부(10)측으로 이동되어가기 때문에, 카세트 테이프(74)가 기록/재생부(10)의 장착위치로부터 탈착되었다.
이리하여, 카세트 삽입부(41)가 이젝트 위치에 오면, 카세트 테이프(74)는 그 카세트 하우징(75)의 후방부가 가동패널(6)의 상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상방향으로 위치하도록 되기 때문에, 이것을 카세트 삽입부(41)로부터 용이하게 취출할 수 있게 된다.
다음에 상기 카세트 테이프(74)의 전방면 덮개(83)를 개방하는 덮개 개방기구에 대하여 설명한다(제 7 도 및 제 11 도 내지 제 13 도 참조).
(90)은 덮개 개방부재이다. 상기 덮개 개방부재(90)는 상방향에서 본 형상에 있어서 대략 좌우방향으로 길게 옆으로 쓰러진 ㄷ자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카세트 삽입부(41)의 좌측 양측판부(43)의 후방부에 걸치도록 배치됨과 동시에, 상기 좌우 양측판부(43)에 회전동작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즉, (91)은 카세트 삽입부(41)가 이젝트 위치에 와 있을때 상기 카세트 삽입부(41)의 후단부를 차지하도록 배치되는 기부이며, 상기 기부(91)는 좌우방향으로 길게 판형상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상하방향의 폭은 카세트 삽입부(41)의 측판부(43)의 높이와 거의 동일하게 되고, 그 상부는 상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약간 전방측을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기부(91)의 상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전방부로 연장된 덮개부(92)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 (93)은 지지편이고, 상기 지지편(93)는 기부(91)의 좌우양단부 가장자리의 상부 및 덮개부(92)의 좌우양단부 가장자리와 연속하도록 형성됨과 동시에 전방단부로 진행됨에 따라 상하방향의 폭이 점차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좌우 양 지지편(93)의 전방단부에는 삽입통과구멍(94)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통과구멍(94)에 카세트 삽입부(41)의 좌우 양측판부(43)의 외면으로부터 돌출설치된 핀(95)이 삽입통과되고, 이것에 의하여, 덮게 재방부재(90)가 카세트 삽입부(41)의 전방부에, 상하방향을 향하여 회전동작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96)은 덮개 개방부재(90)에 관계된 토션 스프링이다. 즉, 토션 스프링(96)은, 그 중간의 바퀴형상부(96a)가 상기 카세트 삽입부(41)에 설치된 핀(95)중 우측것의 카세트 삽입부(41)와 덮개 개방부재(91)의 우측 지지편(93)과의 사이 부분에 외측으로 끼워지고, 그 한쪽 아암(96b)의 선단부가 상기 지지편(93)의 내면에 형성된 돌기(97)에 상방향으로부터 맞닿게 되어있다. 또, 토션 스프링(96)의 다른쪽의 아암(96c)의 선단부는 카세트 삽입부(41) 우측의 측판부(43)의 상단부 가장자리에 설치된 돌출편(98)에 후방향으로부터 맞닿게 되어 있다.
이리하여 덮개 개방부재(90)는, 그 우측의 지지편(93)의 돌기(97)가 토션 스프링(96)에 의하여 대략 하방향으로 눌림으로서 항시 늘 제 12 도의 시계방향으로 회전동작력이 가해지고 있다.
(99)는 덮개 개방부재(90)에 설치된 걸어맞춤편이다. 상기 걸어맞춤편(99)는 기부(91)의 하단부 가장자리 좌우양측의 단부로부터 전방방향을 향하여 돌출설치되어 있고, 그 전후방향의 길이는 적어도 카세트 테이프(74)가 카세트 삽입부(41)의 소정의 삽입위치까지 삽입되었을때, 상기 카세트 테이프(74)의 전방면 덮개(83)의 하단부 가장자리 혹은 우측의 측판부(85)의 하단부 가장자리에 확실히, 하방향으로부터 걸어맞춤할 수 있는 정도로 되어 있다.
그런데, 덮개 개방부재(90)의 회전동작지점으로 되는 핀(95)은, 제 12 도에 가리키는 바와 같이, 카세트 삽입부(41)의 좌우 양측판부(43)중, 대략 카세트 삽입부(41)의 소정의 삽입위치까지 삽입된 카세트 테이프(74)의 전방면 덮개(83)의 지지축(86)의 축심과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이리하여, 덮개 개방부재(90)가 제 12 도에 도시된 상태에서 상방향으로 회전동작되면, 그 걸어맞춤편(99)은, 제 12 도에 화살표로 가리키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 방향은, 적어도 그 회전동작의 초기에 있어서 카세트 테이프(74)의 전방 방향으로 향하는 성분을 포함한 방향이다.
이리하여, 덮개 개방부재(90)는 카세트 테이프(74)의 전방면 덮개(83)와 함께 회전동작되고 또한, 덮개 개방부재(90)의 상방향으로의 회전동작은 카세트 테이프(74)는 전방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힘을 부여하면서 행해진다.
(100)은 매카샤시(4)에 설치된 덮개 들어올림부재이다(제 11 도 및 제 13 도에만 도시됨). 상기 덮개 들어올림부재(100)는 상기 덮개 개방부재(90)를 가압하여 상기 덮개 개방부재(90)와 카세트 테이프(74)의 전방면 덮개(83)를 상방향으로 회전동작시키기 위한 것이며, 측방향에서 보아 대략 L자형상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그 상단부 가장자리(101)는 전단부로 진행함에 따라서 점차 매카샤시(4)에 가까워지도록 경사되어 있다. 그리고, 덮개 들어올림부재(100)는 카세트 삽입부(41)가 이젝트 위치부터 기록/재생부(10)를 향하여 이동되어질 때, 덮개 개방부재(90)의 걸어맞춤편(99)의 하부면이 그 상단부 가장자리(101)의 전단부에 가까운 부분에서 맞추어질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이리하여, 카세트 테이프(41)가 기록/재생부(10)에 장착될 때, 그 전방면 덮게(83)는 상기 덮개 개방부재(90) 및 덮개 들어올림부재(100)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개방되는 위치에 이동하게끔 된다.
그리고, 카세트 삽입부(41)가 이젝트 위치에 와 있는 상태에 있어서, 덮개 개방부재(90)는 이것에 덮개 들어올림부재(100)가 맞춤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제 1 도, 제 5 도, 제 12 도 및 제 13 도에 실선으로 가리키는 바와 같이, 또, 제 11 도에 2점 쇄선으로 가리키는 바와 같이, 토션 스프링(96)의 탄발력에 의하여 카세트 삽입부(41)의 후단부를 차지하는 것과 같은 위치에 와 있다.
이리하여, 이젝트 위치에 와 있는 카세트 삽입부(41)에 카세트 테이프(74)를 그 소정의 삽입 위치까지 삽입하면, 카세트 테이프(74)의 전방면 덮개(83)는, 제 12 도 및 제 13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전방면이 덮개 개방부재(90)의 기부(91)의 전방면과 접촉하도록 위치됨과 동시에, 그 하단부 가장자리의 좌우양측의 단부에 덮개 개방부재(90)의 걸어맞춤편(99)이 하방향으로부터 걸어맞추어지고, 또한, 그 상단부에 덮개 개방부재(90)의 덮개부(92)가 덮도록 위치되어 있다. 즉, 이 상태에 있어서, 전방면 덮개(83)는 덮개 개방부재(90)에 포함되도록 된다.
그래서, 카세트 삽입부(41)가 상술한 바와 같이 기록재생부(10)측을 향하여 이동되어 가면, 덮개 개방부재(90)의 걸어맞춤편(99)이 덮개 들어올림부재(100)의 상단부 가장자리(101)에 맞추어지기 때문에, 덮개 개방부재(90)가 토션 스프링(96)의 탄발력에 대항하여 제 12 도에 화살표로 가리키는 방향으로 회전동작한다. 이것에 의하여 전방면 덮개(83)는 그 하단부 가장자리가 덮개 개방부재(90)의 걸어맞춤편(99)에 의하여, 이것도 제 12 도에 화살표로 가리키는 방향으로 가압됨으로서, 개방 위치를 향하여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카세트 테이프(74)가 기록/재생부(10)에 장착되면, 덮개 개방부재(90)는 카세트 테이프(74)의 카세트 하우징(75)에서 약간 상방향으로 위치하도록 되고, 이것에 의하여, 전방면 덮개(83)가 개방되는 위치에 온다.
그런데, 카세트 테이프(74)의 전방면 덮개(83)가 폐쇄위치로부터 개방되는 위치로 이동되어갈 때, 전방면 덮개(83)에 관계된 토션 스프링(88)은 그 탄발력을 증대하도록 변형되고, 이때의 반력이 카세트 하우징(75)을 반대 전방면 덮개(83)측으로 이동하도록 사용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덮개 개방부재(90)의 회전동작지점은, 전방면 덮개(83)와 걸어맞추어지는 부분의 회전동작방향에 카세트 테이프(74)의 전방면을 향하는 성분을 포함시키는 것과 같은 위치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폐쇄위치부터 개방 위치를 향하여 회전동작하는 전방면 덮개(83)에는 덮개 개방부재(90)에 의한 전방방향으로 끌어당겨지는 것과 같은 힘이 가해진다. 따라서, 카세트 하우징(75)이 반대 전방면 덮개(83)측으로 이동되는 일은 없고, 전방면 덮개(83)는 카세트 테이프(74)가 카세트 삽입부(41)의 소정의 삽입 위치에 배치된 상태로 개방 위치로 이동된다.
이리하여 카세트 테이프(74)가 기록/재생부(10)에 장착되면, 카세트 테이프(74)의 테이프 인출용 트인구멍(84)이 개방됨과 동시에, 테이프 인출 오목부(77)와 그 전방 방향을 지나가게 하고 있는 자기테이프(78)와의 사이에, 도시치 않은 테이프 적재기구의 테이프 안내 포스트등이 배치되도록 한다. 이것에 의하여, 자기테이프(78)를 적재할 수 있는 상태로 된다.
다음에, 외측하우징(2)의 전방면 패널(3)에 설치된 조작부의 구성과, 상기 조작부를 조작함으로서 행하여지는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102a, 102b, 102c, 102d, 102e 및 102f는 조작 버튼이며, 기록/재생부(10)의 자기테이프(78)에 대한 동작 모드의 명령은, 이들 모드 버튼(102a 내지 102f)의 어느것인가를 누름으로서 행하여진다. 또, 이들의 모드 버튼(102a 내지 102f)은 매카샤시(4)를 인출위치부터 인입위치에 이동시키기 위한 지령을 행하는 조작 버튼을 겸하고 있다. 즉, 매카샤시(4)가 인출위치에 와 있는 상태에 있어서, 모드 버튼(102a 내지 102f)중의 (102a), (102b), (102c), (102d)를 누름으로서 시스템 콘트롤러에 대해 해당 모드 버튼에 따른 모드의 동작을 행하라는 명령이 행하여짐과 동시에, 매카샤시(4)를 인입위치에 이동시키는 명령이 행하여진다. 이와 같은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구체적인 프로그램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그리고, 모드 버튼(102a 내지 102f)중, (102a)는 재생 버튼, (102b)는 테이프 되감기 버튼, (102c)는 테이프 급송버튼, (102d)는 기록 버튼, (102e)는 정지 버튼, 그리고, (102f)는 휴식 버튼이다.
(103)은 이젝트 버튼이며, 매카샤시(4)가 인출위치 이외의 위치에 와 있는 상태에서, 상기 이젝트 버튼(103)을 누름으로서, 매카샤시(4)가 인출위치에 인출되도록 되어 있다. 이젝트 버튼(103)이 눌리어졌을 때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구체적인 프로그램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104)는 기록/재생 등의 자기테이프(78)에 대한 동작을 매카샤시(4)가 인입위치에 인입된 상태에서 행하든가 혹은, 매카샤시(4)를 반(半) 인출위치로 인출하여 행하든가, 그 어느 것인가를 필요에 따라 선택하기 위한 조작 버튼이고, 매카샤시(4)가 인입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이 위치 선택 버튼(104)이 눌리어지면 매카샤시(4)가 반 인출위치로 이동되고 또, 매카샤시(4)가 반 인출위치에 와 있는 상태에서 이 위치 선택 버튼(104)이 눌리어지면 매카샤시(4)가 인입위치로 이동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위치 선택 버튼(104)이 눌리어졌을 때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구체적인 프로그램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105)는 전원을 공급/차단시키기 위한 조작 버튼이며, 전원이 차단된 상태에서 이 전원 버튼(105)이 눌리어지면 시스템 전체에 전원이 공급되고, 또, 전원이 공급된 상태에서 이 전원 버튼(105)이 눌리어지면 전원이 차단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매카샤시(4)가 인입위치 이외의 위치에 와 있을 때 이 전원 버튼(105)이 눌리어졌을 때는 매카샤시(4)를 인입위치에 이동시킨 후 전원이 차단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전원이 공급된 상태에서 이 전원 버튼(105)이 눌리어졌을 때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구체적인 프로그램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그리고 (106)은 선국 버튼, (107)은 시각표시기이다. 또 도시가 생략되어 있지만, 외측하우징(2)의 전방면패널(3) 및 가동패널(3) 및 가동패널(6)에는, 전술된 것외의 조작 버튼이나 타이머의 설정 버튼등과 같은 조작 수단이 설치되어 있다.
제 14 도는 상기 VTR(1)의 각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일예를 가리키는 것이다. 이하, 이 프로그램을 단계 순으로 추가 설명한다.
단계(1)[개시] : VTR(1)에 전원이 공급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전원 버튼(105)이 눌리어지면, 이 프로그램에 이한 제어가 개시된다. 그리고, 이 프로그램에 의한 제어가 개시될 때는, 전술한 바와 같이, 매카샤시(4)가 인입위치에 와 있다.
단계(2)[카세트가 들어있는가?] : 카세트 삽입부(41)에 카세트 테이프(74)가 들어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그리고 앞의 사용이 종료되었을 때 카세트 테이프(74)가 VTR(1)로부터 취출되어 있으면 [아니오]이며, VTR(1)로부터 취출되어져 있지 않으면 [예]로 된다. 그리고, 카세트 테이프(74)가 들어있는지의 여부의 확인은, 외측하우징(2)내에 설치된 도시치 않은 센서에 의하여 행하여진다. 그리고, 카세트 테이프(74)가 들어 있으면 단계(18)로 진행하고 카세트 테이프(74)가 들어 있지 않으면 단계(3)으로 진행된다.
단계(3)[이젝트 버튼이 눌려졌는가?] : 이젝트 버튼(103)이 눌려졌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눌리어져 있으면 [예]이기 때문에, 이젝트 프로그램을 독출하고, 그것에 따라서 제어를 행하고, 눌리어져 있지 않으면 이젝트 버튼(103)이 눌리어질 때까지 기다린다.
단계(4)[이젝트 프로그램] : 이 프로그램의 내용은 제 15 도에 가리키고 있기 때문에, 상세한 것은 후술하지만, 이 프로그램에 따라서, 매카샤시(4)가 인출위치에 인출된다.
단계(5)[카세트 테이프는 들어갔는가?] : 이젝트 위치에 와 있는 카세트 삽입부(41)에 카세트 테이프(74)가 삽입되었는가의 여부를 확인한다. 카세트 테이프(74)가 삽입되어 있으면 [예]이기 때문에 다음 단계로 진행한다. 그리고, 카세트 삽입부(41)에 카세트 테이프(74)가 삽입된 검출은 도시하지 않은 센서에 의하여 행하여진다.
단계(6)[모드 버튼이 눌려졌는가?] : 모드 버튼(102a, 102b, 102c, 102d)의 어느것이 눌리어졌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예를 들면, 재생 버튼(102a)이 눌리어져 있으면 [예]이기 때문에, 다음 단계로 진행한다.
단계(7)[슬라이드 모터를 정회전시킨다.] : 상기 모드(50)를 정회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것에 의하여 상기한 바와 같이, 카세트 테이프(74)의 기록/재생부(10)로의 장착이 행하여짐과 동시에, 매카샤시(4)가 외측하우징(2)내를 향하여 이동되어간다.
단계(8)[카세트 테이프는 압착되었는가?] : 카세트 테이프(74)가 기록/재생부(10)의 소정의 장착위치에 압착되었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그리고, 압착이 되어 있으면, [예]이기 때문에 다음 단계로 진행한다.
단계(9)[테이프 적재 동작을 개시한다.] : 앞의 단계(8)에 의하여 카세트 테이프(74)의 기록/재생부(10)에 대한 압착 상태가 확인되어 있기 때문에, 도시하지 않는 테이프 적재기구에 의한 자기테이프(78)에 대한 적재 동작이 개시된다. 즉, 테이프 적재 동작은 매카샤시(4)의 인입위치로의 이동의 슬라이드와 평행하게 실행된다. 그리고, 테이프 적재 동작은 도시하지 않은 테이프 적재용의 모터를 적재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서 실행된다.
단계(10)[테이프 적재 동작은 완료되었는가?] : 자기테이프(78)가 기록/재생부(10)의 소정의 테이프 패스를 통과하도록 세트되었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이 테이프 적재 상태의 검출은 도시하지 않는 센서에 의하여 행하여진다. 그리고, 테이프 적재 동작이 완료되어 있으면 [예]이기 때문에 다음 단계로 진행한다.
단계(11)[테이프 적재 모터를 정지한다.] : 상기 단계(9)에 있어서 회전이 개시된 테이프 적재용 모터의 회전을 정지시킨다.
단계(12)[반(半)의 인출위치를 지났는가?] : 매카샤시(4)가 반(半) 인출위치를 지났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이것의 검출은 VTR(1)에 설치된 도시하지 않은 센서에 의하여 행하여진다. 그리고, 매카샤시(4)가 반인출위치를 지났으면 [예]이기 때문에, 다음 단계로 진행한다.
단계(13)[해당 모드 버튼에 의하여 선택된 모드동작을 개시한다] : 상기 단계(6)로 그 눌리어짐이 확인된 모드 버튼의 모드에 따라서, 기록/재생부(10)를 동작시킨다. 예를 들면, 재생 버튼(102a)이 눌리어져 있으면 재생동작이 개시된다. 즉, 기록/재생부(10)에 의한 자기테이프(78)에 대한 기록 재생등의 동작은 매카샤시(4)의 이동이 행하여지고 있는 상태에서 개시된다.
단계(14)[인입위치에 왔는가?] : 매카샤시(4)가 인입위치에 왔는가의 여부를 확인한다. 매카샤시(4)의 위치검출은 VTR(1)에 설치된 도시치 않은 센서에 의하여 행하여진다. 그리고 매카샤시(4)가 인입위치에 와 있으면 [예]이기 때문에, 다음 단계로 진행한다.
단계(15)[슬라이드 모터를 정지한다.] : 상기 단계(7)에 있어서 회전이 개시된 모터(50)의 회전을 정지한다.
단계(16)[모드 버튼이 눌려졌는가?] : 모드 버튼(102a 내지 102f)의 어느 것이 눌려졌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그리고, 모드 버튼이 눌리어지지 않았으면, 계속 그때의 모드의 동작을 행하여 단계(2)로 돌아가고, 모드 스위치가 눌려져 있으면 다음 단계로 진행한다.
단계(17)[해당 모드 버튼에 의하여 선택된 모드의 동작을 개시한다.] : 즉, 단계(16)전에 행하여져 있는 모드의 동작을 정지하고, 앞의 단계(16)로 눌려졌는지를 확인한 모드 버튼의 모드에 따라서, 기록/재생부(10)를 동작시킨다. 예를 들면, 테이프 되감기 버튼(102b)이 눌려져 있으면, 자기테이프(78)의 되감기를 행한다. 그리고, 단계(2)로 돌아간다.
그리고, 상기 단계(2)에 있어서 카세트 테이프(74)가 들어 있는 것이 검출되었을 때는, 단계(18)로 진행한다.
단계(18)[이젝트 버튼이 눌려졌는가?] : 이젝트 버튼(103)이 눌려졌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그리고, 이젝트 버튼(103)이 눌려져 있으면, 단계(4)로 진행하여 이젝트 프로그램에 따른 동작제어를 행하고, 이젝트 버튼(103)이 눌려져 있지 않으면 단계(16)로 진행한다.
다음에, 제 15 도에 가리키는 [이젝트 프로그램]에 대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이 프로그램에 의한 제어는 이젝트 버튼(103)이 눌려지므로서 개시된다.
단계(1)[카세트는 들어있는가?] : 기록/재생부(100)에 카세트 테이프(74)가 장착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단계. 카세트 테이프(74)가 들어 있지 않으면, 테이프 비적재 동작을 행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즉시 매카샤시(4)를 인출위치로 슬라이드 시킬 수가 있다. 따라서, 이 경우는 후술하는 단계(5)로 진행한다. 또, 카세트 테이프(74)가 들어 있으면 다음 단계로 진행한다.
단계(2)[반 인출위치에 와 있는가?] : 매카샤시(4)가 반 인출위치에 와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그리고, 매카샤시(4)가 반 인출위치에 와 있으면, 매카샤시(4)의 슬라이드 동작을 개시하기 전에 테이프 비적재 동작을 행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단계(3)로 진행하고, 매카샤시(4)가 반 인출위치에 와 있지 않으면 단계(8)로 진행한다.
단계(3)[테이프 비적재 동작을 개시한다] : 테이프 적재용의 모터를 테이프 비적재 방향으로 회전하여 테이프 비적재 동작을 행하고 다음 단계(4)로 진행한다.
단계(4)[테이프 비적재는 완료하였는가?] : 테이프 비적재 동작이 완료되었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그리고, 테이프 비적재 동작이 완발명되어 있으면 테이프 적재용의 모터를 정지하여 다음 단계(5)로 진행한다.
단계(5)[슬라이드 모터를 역회전시킨다.] : 모터(50)를 역회전 방향으로 회전하여, 매카샤시(4)를 인출위치에 슬라이드시킨다. 그리고, 다음 단계(6)로 진행한다.
단계(6)[인출위치에 와 있는가?] : 매카샤시(4)가 인출위치에 왔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그리고, 매카샤시(4)가 인출위치에 와 있으면 다음 단계(7)로 진행한다.
단계(7)[슬라이드 모터를 정지한다.] : 모터(50)의 회전을 정지한다. 그리고, 매카샤시(4)가 인출위치에 왔다는 검출은 실제로는 예를 들면, 도시하지 않는 센서에 의하여 카세트 삽입부(41)가 이젝트 위치에 온 것을 검출함으로서 행한다.
단계(8)[인출위치에 와 있는가?] : 상기 단계(2)에 있어서 [반 인출위치에 와 있는가?]의 사이에 대한 답이 [아니오]였을때는, 이번에는 매카샤시(4)가 인출위치에 와 있는가의 여부를 확인한다. 매카샤시(4)가 인출위치에 와 있으면, (이 경우는, 이젝트 버튼(103)의 조작이 잘못된 것임) 이미 이젝트 상태이기 때문에, 상기 제 14 도에 가리키는 프로그램으로 돌아간다. 또, 이 사이에 대한 답이 [아니오]이면, 매카샤시(4)는 인입위치에 와 있기 때문에, 단계(9)로 진행하고, 테이프 비적재 동작을 하면서, 매카샤시(4)의 슬라이드를 행하여야 할 제어가 행해진다.
단계(9)[슬라이드 모터를 역회전한다.] : 이것에 의하여 매카샤시(4)가 인출위치를 향하여 슬라이드 되어간다.
단계(10)[테이프 비적재 동작을 개시한다] : 즉, 매카샤시(4)의 슬라이드 동작과 평행으로 테이프 비적재 동작이 행하여진다.
단계(11)[테이프 동작은 완료했는가?] : 테이프 비적재 동작이 완료되어 있으면, 다음 단계(12)로 진행한다.
단계(12)[테이프 적재 모터를 정지한다] : 테이프 적재용의 모터를 정지하여 단계(6)로 진행한다.
다음에, 제 16 도에 가리키는 [기록/재생위치의 선택 프로그램]에 대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이 프로그램에 의한 제어는 위치 선택 버튼(104)이 눌려지므로서 개시된다.
단계(1)[기록/재생부의 위치는 어디냐?] : 매카샤시(4)의 위치를 확인한다. 그리고, 인입위치 및 반 인출위치 이외의 위치이면, 인입위치와 반 인출위치와의 사이의 이동은 행하지 않는다.
즉, 매카샤시(4)가 인출위치에 와 있는 상태에서 이것의 이동은, 상기 제 14 도에 가리키는 프로그램에 대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필히 인입위치에 이동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인출위치로부터 반 인출위치에의 이동은 할 수 없게끔 되어 있다. 또, 이것들 이외의 위치에 있을 때는 매카샤시(4)가 슬라이드 동작을 하고 있을 때이기 때문에, 이 경우도 인입위치와 반 인출위치와의 사이에 이동은 할 수 없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이 사이에 대한 답이 [인입위치]이면, 단계(2)로 진행되고, 그 답이 [반 인출위치]이면, 단계(5)로 진행한다.
단계(2)[슬라이드 모터를 역회전한다.] : 모터(50)를 역회전방향으로 회전하여 매카샤시(4)를 전방방향으로 이동한다.
단계(3)[반 인출위치에 왔는가?] : 매카샤시(4)가 반 인출위치에 왔는가의 여부를 확인한다 그리고, 매카샤시(4)가 반 인출위치에 와 있으면 단계(4)로 진행한다.
단계(4)[슬라이드 모터를 정지한다.] : 모터(50)를 정지한다.
단계(5)[슬라이드 모터를 정회전한다.] : 상기 단계(1)에 있어서의 답이 [반 인출위치]이며, 모터(50)를 정회전 방향으로 회전하여 매카샤시(4)를 후방향으로 이동한다.
단계(6)[인입위치에 왔는가?] : 매카샤시(4)가 인입위치에 왔는가의 여부를 확인한다. 그리고, 매카샤시(4)가 인입위치에 와 있으면, 상기 단계(4)로 진행한다.
이와 같이, VTR(1)에 있어서는 매카샤시(4)를 필요에 따라 인입위치와 반 인출위치와의 사이를 이동시킬 수가 있다. 따라서, 기록 및 재생중에 테이프 잔량을 눈으로 확인하고 싶을때는, 매카샤시(4)를 반 인출위치에 인출함으로서 기록/재생부(10) 및 이것에 장착된 카세트 테이프(74)의 일부가 외측하우징(2)밖에 노출되기 때문에, 카세트 하우징(75)의 상기 투명판(81)을 통하여 S릴(79)에 감겨진 자기테이프(78)의 량을 볼 수가 있다.
또, 기록/재생중에 카세트 테이프(74)의 라벨(82)에 기록내용이나 그 내용이 기록된 위치의 테이프 카운타에 의한 숫자등을 기입하고 싶을 때도, 매카샤시(4)를 반 인출위치에 인출하면, 그들의 기입을 행할 수가 있다.
그리고, 매카샤시(4)가 반 인출위치에 인출되었을 때는, 외측하우징(2)의 샤시 인출구(5)는, 제 3 도 및 제 6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하부가 카세트 테이프(74)에 의하여 차지함과 동시에, 그 상부가 덮개 개방부재(90)의 기부(91)와 덮개부(92)에 의하여 차지하게 되는 상태로 된다. 따라서, 매카샤시(4)가 반 인출위치에 인출된 상태로 기록/재생동작을 행하도록 하여도, 샤시 인출구(5)로부터 외측하우징(2)의 내부가 전부 보이지 않기 때문에 보기 좋은 상태로 VTR(1)을 사용할 수 있음과 동시에, 테이프 인출구(5)로부터 외측하우징(2)의 내부에 먼지 또는 이물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다음에, 제 17 도에 가리키는 [전원 차단 프로그램]에 대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이 프로그램에 의한 제어는, VTR(1)에 전원이 공급되어 있는 상태에서 전원 버튼(105)이 눌려짐으로서 행하여진다.
단계(1)[인입위치에 와 있는가?] : 매카샤시(4)가 인입위치에 와 있는가의 여부를 확인한다. 그리고 매카샤시(4)가 인입위치에 와 있으면 단계(3)로 진행한다. 그렇지 않으면, 단계(2)로 진행한다.
단계(2)[슬라이드 모터를 정회전하여 인입위치로 이동시킨다] : 매카샤시(4)가 인입된 위치 이외의 위치에 와 있을때는, 모터(50)를 정회전 방향으로 회전하여 매카샤시(4)의 후방향으로 이동을 행하고, 단계(1)로 돌아간다.
단계(3)[전원을 차단한다] : 매카샤시(4)가 인입위치에 와 있으면, 전원을 차단한다.
이와 같이, VTR(1)에 있어서는, 매카샤시(4)가 인입위치 이외의 위치에 와 있는 상태에서 전원을 차단하기 위하여 버튼 조작이 행하였을때는, 매카샤시(4)를 인입위치에 인입시킨후에 전원이 차단된다. 즉, VTR(1)의 모든 동작이 종료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매카샤시(4)가 외측하우징(2)밖으로 인출된 상태에서, 부주의로 전원을 차단하는 조작이 행하여진다 해도, 실제로 전원이 차단되기 전에, 매카샤시(4)는 자동적으로 인입위치 즉, 안전한 위치에 이동된다.
[발명의 효과]
이상의 기재로서 명백해진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는, 테이프에 대한 기록/재생을 행하는데 필요한 기구가 설치된 기록/재생부를 외측하우징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 설치하고, 상기 기록/재생부를 외측하우징내에 인입하게 된 인입위치와, 외측하우징 밖으로 인출되고 또한 카세트 테이프의 장착 및 취출이 행하여지는 인출위치와, 상기 인입위치와 인출위치와의 사이이며 또한 이것에 장착된 카세트 테이프의 적어도 일부가 외측하우징 밖에 노출되는 반 인출위치와의 사이를 이동할 수 있게 함과 동시에, 적어도 상기 인입위치와 반 인출위치에 있어서 기록/재생동작을 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의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는, 카세트 테이프를 기록/재생부의 소정의 장착 위치에 장착시키기 위한 카세트 유지 부재만을 VTR 본체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이 아니라, 기록/재생부 자체를 외측하우징에 대하여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 설치하고, 기록/재생부에 대한 카세트 테이프의 장착 및 인출은, 기록/재생부를 외측하우징으로부터 인출하여 행하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VTR의 외측하우징의 높이에, 카세트 유지부의 상하방향으로의 이동 스트로크를 포함시킬 필요가 없기 때문에, 외측하우징의 형상, 특히 그 높이를 최소한도로 낮출 수가 있다. 그리고, 카세트 유지부가 외측하우징의 상방향으로 돌출하지 않기 때문에, 외측하우징상에 영상 장치등을 배치할 수도 있고, VTR 상방향의 공간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음과 동시에, VTR의 배치 장소가 한정받지 않는다.
또, 본 발명의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는, 기록/재생부를 외측하우징내에 인입하는 위치와, 외측하우징 밖에 인출되고, 또한 카세트 테이프의 장착 및 취출을 행하여 인출위치와, 상기 인입위치와 인출위치와의 사이이며, 또한, 이것에 정착된 카세트 테이프의 적어도 일부가 노출되는 반 인출위치와의 모두 3개의 위치 사이를 이동할 수 있도록 됨과 동시에, 상기 인입위치와 반 인출위치에 기록/재생동작을 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필요에 따라서 기록/재생부를 반 인출위치로 이동하여 기록/재생을 행하며, 기록/재생중에 테이프의 잔량을 볼 수가 있고 또, 카세트 테이프의 라벨면에 기록 내용을 기입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전술된 실시예에 있어서는, 기록/재생부의 카세트 삽입부에 카세트 테이프를 삽입한 후 임의의 모드 스위치가 눌리어졌을 때, 기록/재생부가 인입위치에 이동되도록 하고, 더욱이, 그와 같이 하여 기록/재생부가 인입위치에 이동되어가는 동안에 테이프 적재 동작이 행하도록 하였지만, 이와 같이 함으로써, 카세트 테이프의 장착 및 취출이 기록/재생부를 외측하우징으로부터 인출하여 행하도록 하여도, 그 조작성, 안전성 및 시간적 경제성에 하등에 손상을 주는 일이 없다. 즉, 필요한 모드 스위치를 누르는 하나의 조작에 의하여 기록/재생부가 자동적으로 인입위치에 이동됨과 동시에, 당해 모드 스위치에 의하여 선택된 모드의 동작이 행하여지기 때문에, 그 조작성은, 적어도 종래의 VTR의 조작성에 비교하여 하등 떨어지지 않는다. 또, 필요한 모드 스위치가 눌려졌을 때, 기록/재생부는 자동적으로 인입위치에 이동되기 때문에, VTR을 사용하는 자가, 다시 반 인출위치에 있어서 기록/재생을 행하는데 필요한 조작, 예를 들면,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의 위치 선택 버튼을 누르는 조작을 행하지 않는 한, 기록/재생부는 늘 외측하우징내에 인입된 안전한 상태에 와 있도록 한다. 그리고, 테이프 적재 동작은 기록/재생부가 인입위치를 향하여 인입되어가는 사이에 행하여지는, 다시 말하자면, 테이프 적재 동작이 행하여지고 있는 사이에 기록/재생부의 소정의 이동이 행하여진다. 즉, 통상의 VTR에 있어서는 피할 수 없는 카세트 테이프의 삽입부터 기록/재생이 행하여질 때까지의 테이프 적재 동작에 필요한 기다리는 시간을 기록/재생부의 이동에 이용할 수가 있기 때문에, 종래의 VTR에 비교하여 시간적 경제성이 떨어지지 않는다.
또,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기록/재생부를 슬라이드 시키기 위한 기구가 카세트 테이프를 기록/재생부에 압착시키는 기능를 겸하도록 하고, 더욱이, 기록/재생부의 슬라이드와 카세트 테이프와의 압착 사이에 필요한 순차식 동작 타이밍의 제어나 구동을 유성치차기구를 이용함으로서, 1개의 모터에 의하여 행하도록 하였지만, 이와 같이 함으로서, VTR의 기구를 간략화 할 수가 있음과 동시에, 소형 경량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전원을 차단하기 위한 스위치 조작이 행하였을 때는, 기록/재생부를 인입위치에 이동시킨 후에 전원을 차단하도록 하였지만, 이와 같이 함으로서, VTR의 사용이 끝났을 때는 기록/재생부가 필히 인입위치, 즉 외측하우징내에 인입위치에 와 있도록 할 수가 있다.
그리고,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기록/재생부에 의한 기록/재생동작은, 기록/재생부가 인입위치 및 반인출위치에 있을 때만 아니라, 상기 양 위치의 사이에 있을 때도 행할 수가 있도록 하였지만, 때에 따라서는, 이 기록/재생동작이 기록/재생부가 인입위치 및 반 인출위치에 있을 때만 행하도록 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또,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기록/재생부가 그 슬라이드 방향에 있어서 정지되는 위치를 인입위치와 인출위치 및 반 인출위치의 모두 3개의 위치로 하였지만, 본 발명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에 있어서는, 기록/재생부의 정지위치가 이 3개의 위치에 한정될 필요는 없고, 이 3개의 위치 이외에도, 다시 무엇인가의 정지 목적을 가지는 다른 정지 위치를 설치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Claims (1)

  1. 테이프에 대한 기록/재생을 행하는데 필요한 기구가 설치되고 외측하우징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 설치된 기록/재생부와 ; 상기 기록/재생부를, 외측하우징내로 인입하는 인입위치와, 외측하우징 밖으로 인출되어 카세트 테이프의 장착 및 취출이 행해지는 인출위치와, 상기 인입위치와 상기 인출위치와의 사이이고 장착된 카세트 테이프의 일부가 외측하우징 바깥으로 노출되는 소정의 반 인출위치와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게 하는 슬라이드 기구와 ; 상기 기록/재생부가 상기 소정의 반 위치에 있는 것을 검출하는 센서와 ; 상기 기록/재생부의 위치가 상기 소정의 반 인출위치에 선택되면, 상기 기록/재생부의 위치가 상기 소정의 반 인출위치에 있도록 상기 센서의 검출 출력에 응하여 상기 슬라이드 기구를 제어하는 콘트롤러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소정의 반 인출위치에서 기록/재생동작을 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
KR1019850007039A 1984-09-29 1985-09-25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 KR9500004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6067 1984-09-29
JP59206067A JPS6185661A (ja) 1984-09-29 1984-09-29 テ−プレコ−ダ−
JP84-206067 1984-09-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2807A KR860002807A (ko) 1986-04-30
KR950000421B1 true KR950000421B1 (ko) 1995-01-19

Family

ID=165172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50007039A KR950000421B1 (ko) 1984-09-29 1985-09-25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4706141A (ko)
EP (1) EP0177133B1 (ko)
JP (1) JPS6185661A (ko)
KR (1) KR950000421B1 (ko)
AT (1) ATE46977T1 (ko)
AU (1) AU584357B2 (ko)
CA (1) CA1309496C (ko)
DE (1) DE3573486D1 (ko)
HK (1) HK69894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56896Y2 (ko) * 1985-05-23 1991-12-24
CA1311048C (en) * 1985-05-27 1992-12-01 Shuji Yoshida Apparatus for loading a record medium cassette
JPS61283060A (ja) * 1985-06-07 1986-12-13 Sony Corp カセツトロ−デイング装置
JP2586467B2 (ja) * 1987-01-21 1997-02-26 ソニー株式会社 カセツト装着装置
JP2531171B2 (ja) * 1987-03-26 1996-09-04 ソニー株式会社 磁気記録再生装置
NL8701279A (nl) * 1987-05-29 1988-12-16 Polygram Int Holding Combinatie van magneetbandcassetteapparaat, voorzien van een laadorgaan, en een magneetbandcassette, alsmede magneetbandcassetteapparaat behorende bij een dergelijke combinatie.
DE3728475A1 (de) * 1987-08-26 1989-03-09 Thomson Brandt Gmbh Geraet mit kassetten- ein-/aus-zugsvorrichtung
JPS6473545A (en) * 1987-09-14 1989-03-17 Sony Corp Cassette type magnetic recording and reproducing device
JP2615678B2 (ja) * 1987-10-15 1997-06-04 日本ビクター株式会社 磁気記録/再生装置
US5214548A (en) * 1987-12-09 1993-05-25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Tape cassette loading mechanism in tape player
DE3853638T2 (de) * 1987-12-09 1996-01-25 Mitsubishi Electric Corp Bandkassette-Lademechanismus in einem Bandwiedergabegerät.
GB2219427B (en) * 1988-05-04 1992-11-18 M4 Data Ltd Electric motors
JPH02177163A (ja) * 1988-12-28 1990-07-10 Toshiba Corp カセット装填装置
US5196971A (en) * 1988-12-28 1993-03-23 Kabushiki Kaisha Toshiba Tape loading mechanism for use in magnetic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having tape control features for preventing damage to tape
US5195070A (en) * 1989-07-12 1993-03-16 Hitachi, Ltd. Optical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optical pickup therefor
US5357385A (en) * 1989-08-17 1994-10-18 Victor Company Of Japan, Ltd. Tray-type cassette loading compatible with two different sized cassettes for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JPH0391142A (ja) * 1989-08-31 1991-04-16 Victor Co Of Japan Ltd カセット装着装置
US5289324A (en) * 1989-12-06 1994-02-22 Sony Corporation Cassette holder with means for opening and closing the closure member of a cassette
JPH03286459A (ja) * 1990-03-31 1991-12-17 Toshiba Corp カセット装填装置
JPH03286460A (ja) * 1990-03-31 1991-12-17 Toshiba Corp カセット装填装置
JPH0434755A (ja) * 1990-05-30 1992-02-05 Sony Corp 磁気記録再生装置
JPH04247361A (ja) * 1991-02-04 1992-09-03 Toshiba Corp カセット装填装置
EP0503359A3 (en) * 1991-03-08 1994-09-28 Toshiba Kk Cassette data detecting apparatus of system for mounting a plurality of cassettes
DE69212684T2 (de) * 1991-03-11 1997-01-23 Toshiba Kawasaki Kk Gerät geeignet zum Laden einer Mehrzahl von Kassetten
US5327307A (en) * 1992-04-17 1994-07-05 Datatape Incorporated Magnetic tape cassette recorder having a slidably and tiltably mounted cassette holder and a latch interlock mechanism
JP2551513B2 (ja) * 1992-04-22 1996-11-06 橋本コーポレイション株式会社 Vtrとテレビとの結合装置
JPH05325482A (ja) * 1992-05-19 1993-12-10 Sony Corp テープカセット及び記録再生装置
JP2955510B2 (ja) * 1996-04-12 1999-10-04 池上通信機株式会社 撮像装置のエジェクト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939684B1 (ko) * 1970-01-24 1974-10-28
JPS54107228A (en) * 1978-02-09 1979-08-22 Nec Corp Memory circuit
JPS5680806A (en) * 1979-12-06 1981-07-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Tape recorder
US4347596A (en) * 1980-01-11 1982-08-31 Pioneer Electronic Corporation Disc player apparatus
JPS5952547A (ja) * 1982-09-18 1984-03-27 Hikosaburo Yamagata 切削油の除鉄装置
JPS59142935U (ja) * 1983-03-11 1984-09-25 パイオニア株式会社 オ−トロ−デイングデイスクプレ−ヤ
GB2149187B (en) * 1983-09-24 1986-12-03 Sony Corp Magnetic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JPS613536U (ja) * 1984-06-11 1986-01-10 三洋電機株式会社 カセツトイジエクト機構
JPS6128198U (ja) * 1984-07-20 1986-02-20 三洋電機株式会社 カセツト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177133A1 (en) 1986-04-09
CA1309496C (en) 1992-10-27
KR860002807A (ko) 1986-04-30
DE3573486D1 (en) 1989-11-09
HK69894A (en) 1994-07-29
AU584357B2 (en) 1989-05-25
JPS6185661A (ja) 1986-05-01
US4706141A (en) 1987-11-10
EP0177133B1 (en) 1989-10-04
AU4791085A (en) 1986-04-10
ATE46977T1 (de) 1989-10-15
JPH0510744B2 (ko) 1993-0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00421B1 (ko)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
KR880002053B1 (ko) 테이프 카셋트
US4694360A (en) Tape cassette with concave engagement portion and player with hook engageable therewith
EP0310114A2 (en) Signal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for use with cassette
EP0317370B1 (en) Cassette loading apparatus for digital audio tape recorder
US3860960A (en) Magnetic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with tape extraction
JPH0477385B2 (ko)
JP3033225B2 (ja) テーププレーヤ
EP0357033B1 (en) Tape handling apparatus for recording-reproduction system
US5018030A (en) Cassette loading mechanism of a magnetic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KR0143781B1 (ko) 테이프 카셋트 어댑터
KR20000048050A (ko) 테이프 카세트
KR940001244B1 (ko) 비디오테이프 레코더
JPS6185655A (ja) テ−プレコ−ダ−
KR920002608B1 (ko) 음향재생장치
JPH048515Y2 (ko)
JPH0424493Y2 (ko)
JPH071587B2 (ja) 記録再生装置
JPH02210658A (ja) 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JP3044809B2 (ja) テーププレーヤ
JP2893987B2 (ja) テーププレーヤ
JPH0452842Y2 (ko)
JPH0760549B2 (ja) ビデオテ−プレコ−ダ−
JPH0514983B2 (ko)
JP3048795B2 (ja) 磁気記録再生装置の制御方法及びその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113

Year of fee payment: 11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