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47802A - 전기부품 접촉유니트 및 전기부품 접촉유니트를 사용한전기부품 검사용 유니트 - Google Patents

전기부품 접촉유니트 및 전기부품 접촉유니트를 사용한전기부품 검사용 유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47802A
KR20000047802A KR1019990053882A KR19990053882A KR20000047802A KR 20000047802 A KR20000047802 A KR 20000047802A KR 1019990053882 A KR1019990053882 A KR 1019990053882A KR 19990053882 A KR19990053882 A KR 19990053882A KR 20000047802 A KR20000047802 A KR 200000478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unit
electrical component
contactor
pr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38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87518B1 (ko
Inventor
가지와라야스시
Original Assignee
요코다 마코도
가부시키가이샤 엔프라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요코다 마코도, 가부시키가이샤 엔프라스 filed Critical 요코다 마코도
Publication of KR200000478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478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75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7518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6Testing of individual semiconductor devices
    • G01R31/2601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4Housings; Supporting members; Arrangements of terminals
    • G01R1/0408Test fixtures or contact fields; Connectors or connecting adaptors; Test clips; Test socke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6Measuring leads; Measuring probes
    • G01R1/067Measuring probes
    • G01R1/073Multiple prob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asuring Leads Or Probes (AREA)
  • Testing Of Individual Semiconductor Devices (AREA)
  •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nd Detecting Electric Faults (AREA)
  • Liquid Crystal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1 종의 접촉유니트에 의해 복수종류의 전기부품에 대하여 통전 (通電) 하거나 검사를 실행할 수 있어, 범용성이 높고, 유니트 자체를 소형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제조의 수주 (受注) 를 기다리지 않고 재고생산이 가능하여, 납기가 단기간으로 되고, 비용도 저렴한 전기부품 접촉유니트 및 전기부품 접촉유니트를 사용한 전기부품 검사용 유니트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전기부품 접촉유니트는, 전기부품의 접촉용 패드가 배치되어 있는 접촉부분에 탈착이 자유롭게 형성되어 있는 유니트 본체와, 이 유니트 본체에 부착되어 있음과 동시에 유니트 본체가 상기 접촉부분에 장착되면 상기 접촉용 패드에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촉자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전기부품 검사용 유니트는 이 전기부품 접촉유니트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기부품 접촉유니트 및 전기부품 접촉유니트를 사용한 전기부품 검사용 유니트{electric part contact unit and electric part inspect unit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액정표시패널, 전기 루미네센스 패널, 플라스마 디스플레이 패널 또는 반도체 집적회로 (IC) 등의 전기부품에 대해 통전하거나, 표시패널의 표시품위 등의 검사, 혹은 IC 의 동작확인 등의 검사에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는 전기부품 접촉유니트 및 전기부품 접촉유니트를 사용한 전기부품 검사용 유니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정표시패널 또는 플라스마 방전패널 등의 각종 표시패널은 기판상에 다수의 전극부를 구비하고 있다. 이 때문에, 표시패널의 제조공정에 있어서는 구동용 IC 태뷰레이터 (tabulator) 등의 주변회로 접속전의 표시패널에 대해, 표시결함부분 또는 표시품위 등의 검사가 실시된다. 이러한 종류의 표시패널의 표시 혹은 성능 등을 검사할 경우, 표시패널에 구동용의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표시패널 검사용 소켓으로 칭해지는 콘택트부재를 구비한 전기부품 검사용 소켓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종류의 표시패널용 소켓은, 예를 들면 콘택트필름상에 접촉자 패턴을 형성하여 구성한 콘택트부재를 플레이트상에 설치하고, 이 콘택트부재상에 얹어 접촉한한 표시패널과 플레이트를 단면이 대략 U 자형인 클램프부재에 끼움으로써, 표시패널의 기판상의 전극부와 콘택트부재의 접촉자를 원하는 접촉압으로 접촉시키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클램프부재는 표시패널의 뒷면을 가압하는 위치와 표시패널을 탈착가능하게 해방하는 위치 사이를 슬라이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혹은, 표시패널을 끼운 2 장의 플레이트를 비틀어 체결함으로써, 한쪽의 플레이트상 콘택트부재의 접촉자와 표시패널의 기판상의 전극부를 원하는 접촉압으로 접촉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클램프부재를 사용하는 종래의 표시패널 검사용 소켓 및 2 장의 플레이트를 사용하는 표시패널 검사용 소켓에 있어서는, 검사대상이 되는 표시패널의 전극구성 또는 크기가 표시패널의 종류별로 다르므로, 표시패널의 종류별에 대응한 크기 또는 접촉자의 패턴을 구비한 표시패널 검사용 소켓을 각각 준비할 필요가 있다는 불편함이 있었다. 그 때문에, 1 종의 표시패널 검사용 소켓은 그것에 대응하는 동일구성의 표시패널에 만 적용할 수 있어, 범용성이 없다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 종래의 표시패널 검사용 소켓은 적용대상이 되는 표시패널의 구성이 결정되고나서 해당구성에 맞추어 표시패널 검사용 소켓의 설계를 실행할 필요가 어, 수주후부터 제품완성까지의 제작에 장기간을 요하며, 게다가 비용도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래서, 종래부터 1 종의 접촉유니트에 의해 복수종류의 전기부품에 대해 통전하거나 검사를 행할 수 있는 범용성이 높은 접촉유니트의 개발이 요구되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1 종의 접촉유니트에 의해 복수종류의 전기부품에 대해 통전하거나 검사를 행할 수 있어, 범용성이 높고, 유니트 자체를 소형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제조의 수주를 기다리지 않고 재고 생산이 가능하여, 납기가 단기간으로 되고, 비용도 저렴한 전기부품 접촉유니트 및 전기부품 접촉유니트를 사용한 전기부품 검사용 유니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관한 전기부품 접촉유니트를 사용한 전기부품 검사용 유니트의 일실시형태를 나타내고, 표시패널을 얹어놓기 전의 클램프시와 오픈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도 1 에 표시패널을 배치한 상태를 나타낸 동일한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관련하는 전기부품 접촉유니트의 분해사시도.
도 4 는 본 실시형태의 PCB 와 접촉자와 브러시전극의 일실시형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 는 본 실시형태의 브러시전극을 나타내고, (a) 및 (b) 는 각각 브러시전극단체를 나타낸 정면도, (c) 는 접촉자를 부착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6 은 (a) 내지 (e) 는 각각 PCB 의 접속상태를 나타낸 라벨의 평면도.
도 7 은 전기부품 접촉유니트의 조립상태를 나타낸 중앙종단 측면도.
도 8 은 가압부재가 개방상태에 있을 때의 전기부품 접촉유니트를 나타낸 중앙종단 측면도.
도 9 는 가압부재가 이동중에 있을 때의 도 7 과 동일한 도면.
도 10 은 가압부재가 가압상태에 있을 때의 도 7 과 동일한 도면.
도 11 은 표시패널의 접촉용 패드의 배치패턴을 나타낸 부분평면도.
도 12 는 도 11 의 도면부호 12 의 부분확대도.
도 13 은 도 11 의 도면부호 13 의 부분확대도.
도 14 는 전기부품 검사용 유니트의 전체를 나타낸 부분생략 평면도.
도 15 는 접촉자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낸 중앙종단 측면도.
도 16 은 접촉자의 또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낸 도 15 와 동일한 도면.
도 17 은 접촉자의 또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낸 도 15 와 동일한 도면.
도 18 은 전기부품 검사용 유니트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낸 도 7 과 동일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전기부품 접촉유니트 2 …표시패널
3 …접촉유니트 4, 49, 51, 53 …접촉자
5 …접촉용 패드 6 …베이스부재
7 …가압부재 8 …구동수단
14 …전극부재 14a …전극
28a, 28b …브러시전극 31 …슬라이드부재
39 …레버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자는 예의연구하여, 전기부품측에 있어서 그 내부의 전기회로 등에 접속되는 입출력용의 다수의 전극이 소정패턴 배치된 복수의 접촉용 패드에 합쳐져 그룹화되어 있는 전기부품에 대해, 동일구성그룹에 속하는 접촉용 패드에 대해서는 동일구성의 접촉유니트에 의해 외부와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1 종의 접촉유니트에 의해 복수종류의 전기부품에 대해 통전하거나 검사를 행할 수 있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시켰다.
즉, 청구항 1 항에 기재된 전기부품 접촉유니트는 전기부품의 접촉용 패드가 배치되어 있는 접촉부분에 탈착이 자유롭게 형성되어 있는 유니트 본체와, 이 유니트 본체에 부착되어 있음과 동시에 유니트 본체가 상기 접촉부분에 장착되면 상기 접촉용 패드에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촉자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유니트 본체를 전기부품의 접촉부분에 장착하면 전기부품의 접촉용 패드에 접촉자가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되므로, 해당 접촉용 패드 및 접촉자를 통해 전기부품에 대해 통전을 실시할 수 있다. 전기부품의 접촉용 패드의 배치패턴이 동일한 접촉부분에 대해서는 동일구성의 전기부품 접촉유니트에 의해 동일하게 하여 통전을 실시할 수 있다.
또, 청구항 2 항에 기재된 전기부품 접촉유니트는, 청구항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니트 본체가 전기부품의 접촉부분을 협지 혹은 개방함으로써 상기 접촉부분에 탈착이 자유롭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유니트 본체를 전기부품의 접촉부분에 간단하게 탈착시킬 수 있다.
또, 청구항 3 항에 기재된 전기부품 접촉유니트는, 청구항 1 항 또는 청구항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니트 본체는 장척의 전극부재에 대해 길이방향으로 평행이동이 자유롭게 장착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접촉자는 전극부재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장척의 전극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상기 유니트 본체의 평행이동중에도 전극과의 접촉을 유지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복수의 유니트 본체를 장척의 전극부재에 대해 길이방향으로 평행이동이 자유롭게 장착함과 동시에 전기부품의 복수부분의 접촉부분에 대해 접촉자를 접촉용 패드와 접촉시킴으로써, 각 접속부분에 각각 통전을 실시할 수 있다. 또, 1 개의 전극부재에 의해 복수의 접촉유니트에 대해 동시에 통전을 실시할 수 있다.
또, 청구항 4 항에 기재된 전기부품 접촉유니트는, 청구항 1 항 내지 청구항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부품은 평판부의 끝가장자리부의 1 면측에 접촉용 패드를 배치하여 접촉부분을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유니트 본체는 상기 전기부품의 평판부의 접촉부분이 형성되어 있는 면을 지지하는 베이스부재와, 이 베이스부재에 장착되어 있는 가압부재로서 상기 평판부의 접촉부분과 반대측을 베이스부재측에 향해 가압하여 전기부품을 협지하는 가압위치와 상기 평판부의 반대측으로부터 떨어져 전기부품을 개방하는 개방위치와의 사이를 이동이 자유롭게 되어 있는 가압부재와, 이 가압부재를 상기 가압위치와 개방위치 사이를 이동시키는 구동수단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접촉자는 상기 베이스부재에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유니트 본체의 가압부재를 개방위치에 이동시킨 상태에서 유니트 본체의 베이스부재상에 전기부품의 평판부의 접촉부분을 얹어놓아 접촉용 패드를 상기 베이스부재에 장착되어 있는 접촉자에 맞닿게 하고, 이어서 상기 가압부재를 구동수단에 의해 가압위치까지 이동시켜, 전기부품의 접촉부분을 베이스부재와 가압부재에 의해 협지하여, 전기부품의 접촉용 패드와 접촉자를 확실하게 전기적으로 접속시켜, 그 후의 통전에 이용할 수 있다.
또, 청구항 5 항에 기재된 전기부품 접촉유니트는 청구항 4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의 개방위치는 상기 베이스부재에 대해 상기 전기부품을 탈착하는 이동궤적으로부터 물러난 위치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베이스부재에 대한 전기부품의 탈착을 가압부재에 방해받지 않고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 청구항 6 항에 기재된 전기부품 접촉유니트는, 청구항 4 항 또는 청구항 5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가압부재를 상기 가압위치와 개방위치와의 사이를 이동시키는 레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구동수단의 레버에 의해 가압부재를 가압위치와 개방위치와의 사이를 이동시킬 수 있다.
또, 청구항 7 항에 기재된 전기부품 접촉유니트는, 청구항 1 항 내지 청구항 6 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자는 전기부품의 접촉용 패드에 탄력적으로 가압되는 탄력이 부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접촉자는 전기부품의 접촉용 패드에 항상 탄력적으로 가압되게 되어, 양자의 전기적 접속이 확실하게 실시되게 된다.
또, 청구항 8 항에 기재된 전기부품 접촉유니트는, 청구항 7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자에 부여되는 탄력은 접촉자 자신의 탄성, 접촉자를 전극부재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장척의 전극과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브러시전극의 탄성, 접촉자를 전기부품의 접촉용 패드를 향해 가압하는 탄성부재의 탄성의 적어도 하나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접촉자는 어느 한 탄성이 부여됨으로써 전기부품의 접촉용 패드에 항상 확실하게 탄력적으로 가압된다.
또, 청구항 9 항에 기재된 전기부품 접촉유니트는, 청구항 1 항 내지 청구항 8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자는 전기부품의 접촉용 패드에 선단부에 의해 접촉되는 핀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핀 모양의 접촉자는 그 선단부에 의해 전기부품의 접촉용 패드에 확실하게 접속된다.
또, 청구항 10 항에 기재된 전기부품 접촉유니트를 사용한 전기부품 검사용 유니트는, 청구항 1 항 또는 청구항 9 항중 어느 한항에 기재된 전기부품 접촉유니트를 사용하여 전기부품의 도통 (導通) 검사를 실시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상기 각 청구항에 기재된 전기부품 접촉유니트에 통전하는 것과 동일하게 하여 전기부품의 에이징 (aging) 또는 도통 등의 검사 등을 실시할 수 있다.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전기부품 접촉유니트 및 전기부품 접촉유니트를 사용한 전기부품 검사용 유니트의 실시형태를 도 1 내지 도 18 에 의해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14 는 본 발명에 의한 전기부품 접촉유니트 및 이것을 사용한 전기부품 검사용 소켓의 일실시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 은 본 실시형태의 전기부품 접촉유니트 (1) 자체를 나타내고, 도 2 는 본 실시형태의 전기부품 접촉유니트 (1) 에 전기부품의 1 종으로서의 평판형의 표시패널 (2) 을 장착하여 표시패널 (2) 에 대해 도통검사 등을 하는 전기부품 검사용 유니트로서 사용하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이 전기부품 접촉유니트 (1) 는 표시패널 (2) 의 후술하는 접촉용 패드 (5) 가 배치되어 있는 접촉부분 (A) 에 탈착이 자유롭게 형성되어 있는 유니트 본체 (3) 를 구비하고 있다. 이 유니트 본체 (3) 는 표시패널 (2) 의 접촉부분 (A) 을 협지 혹은 개방함으로써 해당 접촉부분 (A) 에 탈착이 자유롭게 형성되어 있다. 또, 유니트 본체 (3) 에는 유니트 본체 (3) 가 상기 접촉부분 (A) 에 장착되면 상기 접촉용 패드 (5) 에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니들핀 모양의 접촉자 (4) 가 부착되어 있다.
액정표시패널로 이루어지는 표시패널 (2) 은 도 11 및 도 12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리기판 (2a) 의 1 면측에 액정표시부 (2b) 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액정표시부 (2b) 의 각변의 외부에는 도시하지 않은 다수의 가는 전극이 변의 길이방향으로 줄지어 설치되어 있으며, 몇 개의 전극이 검사용의 접촉용 패드 (5) 로서 합쳐져 있음과 동시에, 복수의 접촉용 패드 (5) 가 소정의 배치패턴으로 그룹화되어 있다. 도 11 의 도면부호 12 의 접촉용 패드 (5) 의 그룹은 도 12 에 나타낸 바와 같이, 2 개의 홀수열 전극용 패드 (홀) 와, 2 개의 짝수열 전극용 패드 (짝) 와, 1 개의 공통 전극용 패드 (COM) 를 1 열조로 하여 배치되어 있다. 도 11 의 도면부호 13 의 접촉용 패드 (5) 의 그룹은 도 13 에 나타낸 바와 같이, RGB 의 3 개의 칼라전극용 패드를 1 열에 배치함과 동시에 1 개의 공통 전극용 패드 (COM) 를 중앙의 칼라 전극용 패드 (G) 에 대향시켜 배치되고 있다. 이들 검사용 접촉용 패드 (5) 는 검사후에 유리기판 (2a) 과 함께 다수의 가는 전극과 절단분리된다.
상기 유니트 본체 (3) 는 표시패널 (2) 의 평판부의 접촉부분 (A) 이 형성되어 있는 면을 지지하는 베이스부재 (6) 와, 이 베이스부재 (6) 에 장착되어 있는 가압부재 (7) 로서 상기 평판부의 접촉부분 (A) 과 반대측을 베이스부재 (6) 측을 향해 가압하여 표시패널 (2) 을 협지하는 가압위치 (도 1 및 도 2 의 클램프시의 위치) 와 상기 평판부 (A) 의 반대측으로부터 떨어져 표시패널 (2) 을 개방하는 개방위치 (도 1 및 도 2 의 오픈시의 위치) 와의 사이를 이동이 자유롭게 되어있는 가압부재 (7) 와, 이 가압부재 (7) 를 상기 가압위치와 개방위치와의 사이를 이동시키는 구동수단 (8) 을 구비하고 있다.
이 유니트본체 (3) 를 도 3 내지 도 10 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베이스부재 (6) 는 하부의 하부쉘 (9) 과 상부의 상부쉘 (10) 사이에 접촉자 (4) 를 지지하는 프린트서킷보드 (이하, PCB 라 한다) (11) 를 개재시켜, 조임나사 (12) 및 너트 (13) 에 의해 일체적으로 조립된다.
하부쉘 (9) 은 합성수지 등의 절연재료의 일체성형에 의해 거의 직사각형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상면의 중앙부의 좌우방향에는 장척인 판 모양의 전극부재 (14) 가 장착되는 홈 (15) 이 형성되어 있으며, 베이스부재 (6) 는 이 전극부재 (14) 의 길이방향으로 평행이동이 자유롭게 장착되게 된다. 전극부재 (14) 의 상면에는 6 줄의 가는 전극 (14a) 이 길이방향에 평행으로 형성되어 있다. 하부쉘 (9) 의 상면의 홈 (15) 보다 후측 (도 3 의 우측) 에는 전극부재 (14) 에 대해 베이스부재 (6) 를 위치결정하여 고정하기 위한 위치결정 나사 (16) 가 시트 (17) 를 개재시켜 전극부재 (14) 의 후면을 조일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부쉘 (10) 은 합성수지 등의 절연재료의 일체성형에 의해 하면측에 PCB (11) 를 수용하는 오목부를 구비하는 직사각형모양의 상자덮개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전후부에 형성되어 있는 걸어맞춤오목부 (18) (도 3 에서는 앞부분만을 나타낸다) 를 하부쉘 (9) 의 상면에 형성되어 있는 걸어맞춤오목부 (19) 에 걸어맞춰 서로 위치결정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부쉘 (10) 의 상면의 최전부는 표시패널 (2) 을 지지하기 위하여 단부 (20) 로 되고, 실리콘고무 등의 일체성형물로 이루어지는 3 개의 지지용 탄성부재 (21) 가 좌우방향에 소정간격을 두고 뚫어 형성된 장착구멍 (22) 에 각각 장착되어 있다. 또, 해당 단부 (20) 에는 접촉자 (4) 의 선단을 관통돌출시키는 복수의 작은 구멍 (23) 도 형성되어 있다. 상부쉘 (10) 의 상면의 좌우단부에는 구동수단 (8) 을 지지하는 사프트 (25) 를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지지하는 한쌍의 스테이 (24) 가 세워 설치되어 있다.
상기 PCB (11) 는 도 3 내지 도 5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합성수지 등의 절연재료의 일체성형에 의해 거의 직사각형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전단부로부터 2/3 정도의 범위에 상기 전극부재 (14) 의 6 줄의 가는 전극 (14a) 에 대응하는 위치에 죄우 6 쌍의 브러시전극용 관통구멍 (26) 이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후부에 4 개 ×2 열의 합계 8 개의 커넥터용 관통구멍 (27) 이 형성되어 있다. 각 관통구멍 (26, 27) 의 내주면 등에는 통전가능하도록 금속재료가 피복되어 있으며, 또한 접촉용 패드 (5) 의 배치패턴에 대응하여 도 6a 내지 6e 의 라벨 La 내지 Le 에 나타낸 바와 같은 패턴으로, PCB (11) 의 상면에서 프린트전극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도 3 에서는 프린트전극 패턴을 도시하지 않음). 한쪽의 브러시전극용 관통구멍 (26) 에는 도 4 및 도 5 에 나타낸 것과 같은 2 종류의 브러시전극 (28a, 28b) 이 PCB (11) 의 하면측으로부터 장착된다. 각 브러시전극 (28a, 28b) 은 박판금속제이며, 도 4 및 도 5 에 있어서, 장척부 (28c) 의 하측에 돌출되어 있는 2 개의 고정핀 (28d) 을 브러시전극용 관통구멍 (26) 내에 삽입하여 납땜되고, 장척부 (28c) 의 한쪽 단부에 만곡부 (28e) 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상하로 움직일 수 있게 탄성변형하는 탄성접촉부 (28f) 를 통해 상기 전극부재 (14) 의 가는 전극 (14a) 에 탄력적으로 접촉하고, 장척부 (28c) 의 거의 중앙부에 각각 5 개의 대략 Y 자형의 접촉자 연결부 (28g) 가 서로 반 피치 어긋나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니들핀 모양의 각 접촉자 (4) 는 도 6a 내지 6e 의 각 라벨 La 내지 Le 에 나타낸 배선패턴에 따라, 그 후단부를 적절한 브러시전극 (28a, 28b) 의 접촉자 연결부 (28g) 에 협지됨과 동시에 납땜하여 접속된다. 각 접촉자 (4) 의 배치에 방해가 되는 불필요한 접촉자 연결부 (28g) 는 장척부 (28c) 에서 절제된다. 다른쪽의 8 개의 커넥터용 관통구멍 (27) 에는 도 3 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각 L 자형의 커넥터핀 (29) 의 단변부 (29a) 를 관통시켜 납땜하여 접속되고, 장변부 (29b) 를 PCB (11) 의 후부에 세워 설치한 커넥터 지지부 (30) 로부터 후방외부로 관통시키고 있다. 이렇게 형성되어 있는 PCB (11) 는 도 7 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니들핀 모양의 접촉자 (4) 의 선단부의 상향으로 굽혀진 상향 선단부 (4a) 를 각각 상부쉘 (10) 에 뚫어 형성되어 있는 작은 구멍 (23) 에 상향으로 관통시켜 해당 선단부 (4a) 를 노출하도록 하여 조립된다. 각 접촉자 (4) 의 선단부 (4a) 의 하면측은 하부쉘 (9) 에 고착되어 있는 실리콘고무 등의 지지용 탄성부재 (4b) 에 의해 탄력적으로 지지되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각 선단부 (4a) 의 상단면은 상부쉘 (10) 에 고착되어 있는 지지용 탄성부재 (21) 의 상면보다 위에 돌출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가압부재 (7) 는 도 3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합성수지 등의 절연재료의 일체성형에 의해 거의 직사각형틀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는 슬라이드부재 (31) 를 구비하고 있다. 이 슬라이드부재 (31) 의 중앙개구부 (32) 의 좌우변부분에는 상면보다 낮은 단부 (33) 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이 단부 (33) 위에 꼭 실을 정도의크기의 대략 I 자형의 가압판스프링 (34) 이 그 선단측변의 양단부에 형성된 1 쌍의 작은 구멍 (35) 을 상기 단부 (33) 로부터 돌출형성되어 있는 한쌍의 돌기 (36) 에 헐겁게 삽입되어, 해당 돌기 (36) 를 열화고정함으로써 부착되어 있다. 또, 슬라이드부재 (31) 의 전방부분에는 상부쉘 (10) 에 고착시킨 3 개의 지지용 탄성부재 (21) 에 대향하여 표시패널 (2) 를 협지하기 위한 3 개의 가압부 (37) 가 돌출형성되어 있다. 이 가압부 (37) 는 도 1, 도 2 의 클램프시 및 도 10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최전부에 돌출한 위치가 상부쉘 (10) 에 고착시킨 3 개의 지지용 탄성부재 (21) 에서 표시패널 (2) 을 협지하는 가압위치가 되고, 도 1, 도 2 의 오픈시 및 도 8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최후부로 물러난 위치가 표시패널 (2) 의 상부쉘 (10) 에 대한 탈착조작을 자유롭게 실시할 수 있는 개방위치가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슬라이드부재 (31) 는 개방위치에 있을 때는 상부쉘 (10) 에 대해 표시패널 (2) 을 탈착하는 이동궤적으로부터 물러난 위치로 되어 있다. 또, 슬라이드부재 (31) 의 후단하면에도 가압돌기 (38) 가 하향 돌출형성되어 있다. 이 가압돌기 (38) 는 슬라이드부재 (31) 가 상기 물러난 위치에 있을 때는, 상부쉘 (10) 의 너트 (13) 부분에 형성되어 있는 스폿 페이싱부 (13a) 내에 들어가고, 슬라이드부재 (31) 가 상기 가압위치에 있을 때는, 상부쉘 (10) 의 최상부의 상면에 얹혀 표시패널 (2) 을 협지하는 가압력을 발생시킨다.
상기 구동수단 (8) 은 도 1 부터 도 3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프트 (25) 에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장착되는 합성수지 등의 절연재료의 일체성형에 의해 거의 직사각형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는 레버 (39) 를 구비하고 있다. 이 레버 (39) 의 선단부에는 사프트 (25) 에 장착하기 위해 좌우양단부에는 각각 하향으로 열려있는 대략 U 자형의 1 쌍의 보스 (boss) 부 (40a, 40b) 가 형성되어 있고, 중앙부에는 상향으로 열려있는 대략 U 자형의 1 개의 보스부 (41) 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사프트 (25) 는 동일 축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각 보스부 (40a, 41, 40b) 를 좌우방향으로 삽입통과하고 있다. 그리고, 좌측의 보스부 (40a) 의 우측단면과 중앙부의 보스부 (41) 의 좌측단면부분에 맞닿는 위치에 상기 사프트 (25) 에 E 링 (42) 을 각각 장착하여 상기 레버 (39) 를 소정위치에 위치결정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사프트 (25) 의 우단부에는 도 1 내지 도 3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레버 (39) 의 구동력을 슬라이드부재 (31) 에 전달하는 래치스프링 (43) 이 코일부 (43a) 에 의해 헐겁게 삽입되어 있으며, 코일부 (43a) 로부터 도출된 한쪽의 훅부 (43b) 를 상기 가압판스프링 (34) 의 중앙종변부터 하향으로 절곡형성된 절곡변 (34a) 에 뚫어형성되어 있는 작은 구멍 (34b) 에 삽입 통과시켜져 있으며, 코일부 (43a) 로부터 도출된 다른쪽의 걸림단부 (43c) 를 레버 (39) 에 뚫어형성된 홈 (44) 내에 걸려 있다. 이에 의해 레버 (39) 를 도 1, 도 2 의 오픈시 및 도 8 (도 8 내지 도 10 에 있어서 커넥터핀 (29) 및 커넥터 지지부 (30) 는 도시가 생략되어 있다)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으키면, 래치스프링 (43) 에 의해 가압판스프링 (34) 이 슬라이드부재 (31) 와 함께 후방으로 이동되어 개방위치로 이동된다. 또, 레버 (39) 를 도 1, 도 2 의 클램프시 및 도 10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눕히면 래치스프링 (43) 에 의해 가압판스프링 (34) 이 슬라이드부재 (31) 와 함께 전방으로 이동되어 가압위치에 이동된다. 이 레버 (34) 의 이동범위를 규제하기 위하여 상기 한쌍의 스테이 (24) 의 내면 및 레버 (34) 의 한쌍의 보스부 (40a, 40b) 의 바깥방향단부에, 서로 상기 레버 (34) 의 이동범위에 상당하는 중심각을 회전운동시키면 결합되어 그 이상의 회전운동을 저지하는 회전각도 규제돌부 (45a, 45b) 가 형성되어 있다. 또, 레버 (39) 의 중앙부의 보스부 (41) 의 하부는 레버 (39) 를 눕혔을 때 가압판스프링 (34) 을 상부쉘 (10) 의 방향으로 가압하는 돌부 (41a) 로 되어 있다. 또, 레버 (39) 의 상면에는 PCB (11) 의 회로도 또는 형 번호 등을 나타내는 도 6a 내지 6e 의 각 라벨 La 내지 Le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라벨 La) 가 부착되고, 그 표면측은 투명한 라벨커버 (46) 에 의해 덮여져 있다.
다음으로 이렇게 형성되어 있는 전기부품 접촉유니트 (1) 를 사용하여 표시패널 (2) 을 검사하는 전기부품 검사용 유니트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 14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시패널 (2) 보다 큰 직사각형틀 모양의 프레임 (47) 에 대해, 예를 들면 그 장변 (47a) 과 단변 (47b) 에 각각 복수의 전기부품 접촉유니트 (1) 를 장착한 전극부재 (14) 를 고정나사 (48) 로 고착하고, 또한 각 전기부품 접촉유니트 (1) 를 검사하기 위하여 표시패널 (2) 의 접촉용 패드 (5) 의 그룹이 형성되어 있는 접촉부분 (A) 에 위치맞춤하여 위치결정 나사 (16) 를 단단히 조임으로써 소정위치에 고정시킨다. 또, 각 전기부품 접촉유니트 (1) 의 접촉자 (4) 의 배치패턴의 종류 (도 6a 내지 e 의 라벨 La 내지 Le 참조) 도 표시패널 (2) 의 접촉용 패드 (5) 의 그룹에 적합하게 한다. 이에 의해 각 전기부품 접촉유니트 (1) 의 PCB (11) 의 하면에 고착되어 있는 각 브러시전극 (28a, 28b) 의 탄성접촉부 (28f) 가 전극부재 (14) 의 가는 전극 (14a) 에 각각 탄력적으로 접속된다.
다음으로, 각 전기부품 접촉유니트 (1) 의 접촉유니트 (3) 의 구동수단 (8) 이 되는 레버 (39) 를 도 1, 도 2 의 오픈시 및 도 8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부 일으켜, 가압부재 (7) 가 되는 슬라이드부재 (31) 를 개방위치로 이동시킨다. 이 개방위치에서 슬라이드부재 (31) 는 표시패널 (2) 의 상부쉘 (10) 의 단부 (20) 상으로의 탈착조작의 궤적으로부터 완전히 후방으로 물러나 있으므로, 표시패널 (2) 을 슬라이드부재 (31) 에 방해받지 않고 상기 단부 (20) 상에 대해 자유롭게 탈착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3 과 같이 하여 복수의 소정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전기부품 접촉유니트 (1) 의 상부쉘 (10) 의 단부 (20) 상에 표시패널 (2) 을 접촉용 패드 (5) 의 하향으로 함과 동시에 상기 전기부품 접촉유니트 (1) 의 접촉자 (4) 의 위치에 맞추도록 하여 얹어둔다. 이 경우의 위치맞춤은 표시패널 (2) 의 끝가장자리부를 상부쉘 (10) 의 단부 (20) 의 단면에 맞닿게 하여 맞추거나, 도시하지 않은 위치맞춤지그를 사용하여 맞추면 된다. 또, 도 7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시패널 (2) 을 단부 (20) 에 단순히 얹어놓은 상태에서는 전기부품 접촉유니트 (1) 의 접촉자 (4) 의 선단부 (4a) 의 상면에 표시패널 (2) 의 접촉용 패드 (5) 가 얹혀져 양자가 맞닿은 상태에서 지지되게 된다.
다음으로, 구동수단 (8) 의 레버 (39) 를 차례로 눕혀서, 래치스프링 (43) 의 훅부 (43b) 를 샤프트 (25) 를 중심으로 하여 전방측으로 회전운동시켜 가압부재 (8) 인 슬라이드부재 (31) 를 가압판스프링 (34) 과 함께 이동시킨다. 이에 의해 슬라이드부재 (31) 는 도 9 에 나타낸 중간위치를 경과하면서 도 1, 도 2 의 클램프시 및 도 10 에 나타낸 가압위치까지 이동된다. 이 이동시에, 래치스프링 (43) 의 훅부 (43b) 는 마치 상황에 따라 대응하는 스프링처럼 작용하여, 훅부 (43b) 가 슬라이드부재 (31) 와 수직상태의 최대굴곡상태가 되는 도 9 에 나타낸 중간위치를 전방 혹은 후방으로 넘어가면, 슬라이드부재 (31) 를 전방의 가압위치 혹은 후방의 개방위치로 유지하게 된다. 슬라이드부재 (31) 는 가압위치로 향함에 따라 선단부의 3 개의 가압부재 (37) 를 상부쉘 (10) 의 경사면 (20a) 을 전방으로 이동시키고, 또한 표시패널 (2) 의 상면에 얹혀, 후단부의 가압돌기 (38) 를 상부쉘 (10) 의 최상면으로 얹힌다. 그리고, 가압위치에서는 도 10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레버 (39) 의 중앙의 보스부 (41) 의 돌출부 (41a) 가 가압판스프링 (34) 을 통해 슬라이드부재 (31) 를 베이스부재 (6) 인 상부쉘 (10) 을 향해 최대의 가압력을 부여하고, 표시패널 (2) 의 접촉용 패드 (5) 가 형성되어 있는 접촉부분 (A) 을 상부쉘 (10) 과 슬라이드부재 (31) 에 의해 협지고정한다. 이 때, 표시패널 (2) 은 슬라이드부재 (31) 의 3 개의 가압부재 (37) 에 의해 가압되어, 각 접촉자 (4) 의 선단부 (4a) 를 하부쉘 (9) 에 고착되어 있는 지지용 탄성부재 (4b) 의 탄력에 저항하여 가압해 가고, 표시패널 (2) 을 상부쉘 (10) 에 고착되어 있는 지지용 탄성부재 (21) 에 맞닿게 함과 동시에 더욱 가압하여, 표시패널 (2) 을 완전히 협지한다. 이렇게 하여 각 접촉자 (4) 에는 표시패널 (2) 의 접촉용 패드 (5) 에 탄력적으로 가압되는 탄력이 부여되게 된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각 접촉자 (4) 와 접촉용 패드 (5) 의 접촉부에는 니들핀 모양의 접촉자 (4) 자신의 탄성과, 접촉자 (4) 를 전극부재 (14) 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장척의 전극 (14a) 과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브러시전극 (28a, 28b) 의 탄성과, 접촉자 (4) 를 표시패널 (2) 의 접촉용 패드 (5) 에 향해 가압하는 지지용 탄성부재 (4b) 의 탄성과, 가압판스프링 (34) 의 탄성이 합쳐진 탄력으로서 동시에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각 접촉자 (4) 와 표시패널 (2) 의 접촉용 패드 (5) 는 확실하게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다음으로, 표시패널 (2) 에 대한 에이징 또는 통전검사는 2 줄의 각 전극부재 (14, 14) 에 설치되어 있는 복수의 전기부품 접촉유니트 (1) 중의 1 개에 대해서 커넥터핀 (29) 을 통하여 통전하고, 다른 전기부품 접촉유니트 (1) 에는 각 전극부재 (14) 의 전극 (14a) 및 브러시전극 (28a, 28b) 을 통해 통전함으로써 실행된다. 임의의 전기부품 접촉유니트 (1) 에 대해 다른 통전을 실시하는 경우에는, 전극부재 (14) 의 전극 (14a) 과 브러시전극 (28a, 28b) 사이에 도시하지 않은 절연용 필름으로 절연처리를 실시함과 동시에, 해당 전기부품 접촉유니트 (1) 의 커넥터핀 (29) 을 통해 원하는 통전을 실시하게 된다.
이렇게 하여 소정의 검사가 종료한 후에는, 각 전기부품 접촉유니트 (1) 의 레버 (39) 를 일으켜 슬라이드부재 (31) 를 개방위치에 이동시킨 상태에서 표시패널 (2) 이 떼어진다. 이 표시패널 (2) 은 그 후 검사용의 패드였던 접촉용 패드 (5) 의 부분을 절제하여 완성품으로서 이용된다.
상기 접촉용패드가 전기부품 혹은 전기제품의 통전용 패드로서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본 실시형태의 전기부품 접촉유니트 (1) 를 해당 전기부품 혹은 전기제품으로의 통전용 유니트로서 동일하게 하여 탈착시켜 사용할 수 있다.
도 15 내지 도 17 은 접촉자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15 의 접촉자 (49) 는 짧은 핀 (49a) 의 중간부에 플랜지부 (49b) 를 형성한 것으로서, 플랜지부 (49b) 보다 하방의 핀 부분을 지지용 탄성부재 (21) 에 뚫어형성한 작은 구멍 (21a) 에 삽입하고, 플랜지부 (49b) 보다 상방의 핀부분을 상기 접촉자 (4) 의 선단부 (4a) 와 동일하게 하여 상부쉘 (10) 의 단부 (20) 에 뚫어형성한 작은 구멍 (23) 을 관통시켜, 플랜지부 (49b) 를 리드선 (50) 에 의해 소정의 브러시전극 (28a, 28b) 과 접속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접촉자 (49) 에 대해 지지용 탄성부재 (21) 의 탄력이 부여되게 된다.
도 16 의 접촉자 (51) 는 얇은 금속판을 도 16 과 같이 펀칭성형한 것으로서, 선단부를 두갈래로 분기시켜 탄력성이 유지됨으로써, 지지용 탄성부재 (21) 를 생략하도록 한 것이다. 선단부의 하방분기부 (51a) 를 하부쉘 (9) 에 형성한 위치결정 구멍 (52) 에 끼워넣어 위치결정하고, 상방분기부 (51b) 를 상기 접촉자 (4) 의 선단부 (4a) 와 동일하게 하여 상부쉘 (10) 의 단부 (20) 에 뚫어형성한 작은 구멍 (23) 을 관통시켜, 후단부를 소정의 브러시전극 (28a, 28b) 과 납땜하여 접속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접촉자 (51) 에 대해 상방분기부 (51b) 자신의 탄력성에 의해 탄력이 부여되게 된다.
도 17 의 접촉자 (53) 는 작은 코일스프링 (53a) 을 이용하여 형성한 것으로서, 코일스프링 (53a) 의 하방돌기 (53b) 를 하부쉘 (9) 에 형성한 강체형의 단면 대략 L 자형의 스프링 받침 (54) 에 뚫어형성한 작은 구멍 (55) 에 삽입 통과시켜 위치결정하고, 코일스프링 (53a) 의 상방돌기 (53b) 를 상기 접촉자 (4) 의 선단부 (4a) 와 동일하게 하여 상부쉘 (10) 의 단부 (20) 에 형성한 작은 구멍 (23) 을 관통시키고, 또한 스프링 받침 (54) 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어 있는 하방돌기 (53b) 를 리드선 (50) 에 의해 소정의 브러시전극 (28a, 28b) 과 접속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접촉자 (53) 에 대해 코일스프링 (53a) 자신의 탄력성에 의해 탄력이 부여되게 된다.
이렇게 접촉자는 여러가지로 변경할 수 있으며, 설계목적 등에 따라 변경해도 된다.
도 18 은 전극부재 (14) 에 대한 베이스부재 (6) 의 탈착을 용이하게 한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낸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실시형태의 하부쉘 (9) 의 홈 (15) 을 형성하고 있는 부분을 없애고 전방 하부쉘 (9a) 과 후방 하부쉘 (9b) 로 분할하여, 각각을 조임나사 (12) 및 너트 (13) 에 의해 상부쉘 (10) 에 고착하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후방 하부쉘 (9b) 의 내측에는 전방 하부쉘 (9a) 에서 전극부재 (14) 를 협지하기 위한 슬라이드 고정편 (56) 이 장착되어 있어, 위치결정 나사 (16) 에 의해 가압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위치결정 나사 (16) 를 후방으로 빼어두고 전방 하부쉘 (9a) 과 슬라이드 고정편 (56) 사이에 전극부재 (14) 를 넣도록 하여 베이스부재 (6) 를 전극부재 (14) 의 상측으로부터 소정위치에 장착하고, 그 후 위치결정 나사 (16) 를 단단히 조여 슬라이드 고정편 (56) 을 전극부재 (14) 의 후단면에 가압하여 베이스부재 (6) 를 고착한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베이스부재 (6) 가 전극부재 (14) 의 상측으로부터 임의의 위치에서 탈착할 수 있다. 따라서, 전기부품 접촉유니트 (1) 의 교환도 대단히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각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필요에 따라 여러가지로 변경할 수 있다.
이렇게 본 발명의 전기부품 접촉유니트 및 전기부품 접촉유니트를 사용한 전기부품 검사용 유니트는 구성되어 작용하는 것이므로, 1 종의 접촉유니트에 의해 복수종류의 전기부품에 대해 통전하거나 검사를 실시할 수 있어, 범용성이 높고, 유니트 자체를 소형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제조의 수주를 기다리지 않고 재고생산 가능하여, 납기가 단기간으로 되며, 비용도 저렴해진다는 효과를 발휘한다.
구체적으로는, 청구항 1 항에 기재된 전기부품 접촉유니트에 의하면, 유니트 본체를 전기부품의 접촉부분에 장착하면 전기부품의 접촉용 패드에 접촉자가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되므로, 해당 접촉용 패드 및 접촉자를 통해 전기부품에 대해 통전을 실행할 수 있다. 전기부품의 접촉용 패드의 배치패턴이 동일한 접촉부분에 대해서는 동일구성의 전기부품 접촉유니트에 의해 동일하게 하여 통전을 실행할 수 있다.
또, 청구항 2 항에 기재된 전기부품 접촉유니트에 의하면, 상기 유니트 본체가 전기부품의 접촉부분을 협지 혹은 개방함으로써 상기 접촉부분에 탈착이 자유롭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유니트 본체를 전기부품의 접촉부분에 간단하게 탈착시킬 수 있다.
또, 청구항 3 항에 기재된 전기부품 접촉유니트에 의하면, 복수의 유니트 본체를 장척의 전극부재에 대해 길이방향으로 평행이동이 자유롭게 장착함과 동시에, 전기부품의 복수부분의 접촉부분에 대해 접촉자를 접촉용 패드와 접촉시킴으로써 각 접속부분에 각각 통전을 실시할 수 있다. 또, 1 개의 전극부재에 의해 복수의 접촉유니트에 대해 동시에 통전을 실시할 수 있다.
또, 청구항 4 항에 기재된 전기부품 접촉유니트에 의하면, 유니트 본체의 가압부재를 개방위치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유니트 본체의 베이스부재상에 전기부품의 평판부의 접촉부분을 얹어놓아 접촉용 패드를 상기 베이스부재에 장착되어 있는 접촉자에 맞닿게 하고, 이어서 상기 가압부재를 구동수단에 의해 가압위치까지 이동시키고, 전기부품의 접촉부분을 베이스부재와 가압부재에 의해 협지하여, 전기부품의 접촉용 패드와 접촉자를 확실하게 전기적으로 접속시켜, 그 후의 통전에 이용할 수 있다.
또, 청구항 5 항에 기재된 전기부품 접촉유니트에 의하면, 상기 가압부재의 개방위치는 상기 베이스부재에 대해 상기 전기부품을 탈착하는 이동궤적으로부터 물러난 위치로 되어 있으므로, 베이스부재에 대한 전기부품의 탈착을 가압부재에 방해받지 않고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 청구항 6 항에 기재된 전기부품 접촉유니트에 의하면,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가압부재를 상기 가압위치와 개방위치와의 사이를 이동시키는 레버를 구비하므로, 구동수단의 레버에 의해 가압부재를 가압위치와 개방위치와의 사이를 이동시킬 수 있다.
또, 청구항 7 항에 기재된 전기부품 접촉유니트에 의하면, 상기 접촉자는 전기부품의 접촉용 패드에 탄력적으로 가압되는 탄력이 부여되어 있으므로, 접촉자는 전기부품의 접촉용 패드에 항상 탄력적으로 가압되게 되어, 양자의 전기적 접속이 확실하게 실행되게 된다.
또, 청구항 8 항에 기재된 전기부품 접촉유니트에 의하면, 상기 접촉자에 부여되는 탄력은 접촉자 자신의 탄성, 접촉자를 전극부재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장척의 전극과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브러시전극의 탄성, 접촉자를 전기부품의 접촉용 패드를 향해 가압하는 탄성부재의 탄성의 적어도 하나로 되어 있으므로, 접촉자는 어느 탄성이 부여됨으로써 전기부품의 접촉용 패드에 항상 확실하게 탄력적으로 가압된다.
또, 청구항 9 항에 기재된 전기부품 접촉유니트에 의하면, 상기 접촉자는 전기부품의 접촉용 패드에 선단부에 의해 접촉되는 핀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핀 모양의 접촉자는 그 선단부에 의해 전기부품의 접촉용 패드에 확실하게 접속된다.
또, 청구항 10 항에 기재된 전기부품 접속유니트를 사용한 전기부품 검사용 유니트에 의하면, 청구항 1 항 또는 청구항 9 항중 어느 한항에 기재된 전기부품 접촉유니트를 사용하여 전기부품의 도통검사를 실시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각 청구항에 기재된 전기부품 접촉유니트에 통전하는 것과 동일하게 하여 전기부품의 에이징 또는 도통 등의 검사 등을 실시할 수 있다.

Claims (10)

  1. 전기부품의 접촉용 패드가 배치되어 있는 접촉부분에 탈착이 자유롭게 형성되어 있는 유니트 본체와, 이 유니트 본체에 부착되어 있음과 동시에 유니트 본체가 상기 접촉부분에 장착되면 상기 접촉용 패드에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촉자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부품 접촉유니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니트 본체는 전기부품의 접촉부분을 협지 혹은 개방함으로써 상기 접촉부분에 탈착이 자유롭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부품 접촉유니트.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니트 본체는 장척의 전극부재에 대하여 길이방향으로 평행이동이 자유롭게 장착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접촉자는 전극부재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장척의 전극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상기 유니트 본체의 평행이동중에도 전극과의 접촉을 유지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부품 접촉유니트.
  4.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부품은 평판부의 끝가장자리부의 1 면측에 접촉용 패드를 배치하여 접촉부분을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유니트 본체는 상기 전기부품의 평판부의 접촉부분이 형성되어 있는 면을 지지하는 베이스부재와, 이 베이스부재에 장착되어 있는 가압부재로서 상기 평판부의 접촉부분과 반대측을 베이스부재측을 향해 가압하여 전기부품을 협지하는 가압위치와 상기 평판부의 반대측으로부터 떨어져 전기부품을 개방하는 개방위치의 사이를 이동이 자유롭게 되어 있는 가압부재와, 이 가압부재를 상기 가압위치와 개방위치의 사이를 이동시키는 구동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접촉자는 상기 베이스부재에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부품 접촉유니트.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의 개방위치는 상기 베이스부재에 대해 상기 전기부품을 탈착하는 이동궤적으로부터 물러난 위치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부품 접촉유니트.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가압부재를 상기 가압위치와 개방위치 사이를 이동시키는 레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부품 접촉유니트.
  7. 제 1 항 내지 제 6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자는 전기부품의 접촉용 패드에 탄력적으로 가압되는 탄력이 부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부품 접촉유니트.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자에 부여되는 탄력은 접촉자 자신의 탄성, 접촉자를 전극부재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장척의 전극과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브러시전극의 탄성 및 접촉자를 전기부품의 접촉용 패드를 향해 가압 탄성부재의 탄성 중의 적어도 하나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부품 접촉유니트.
  9. 제 1 항 내지 제 8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자는 전기부품의 접촉용 패드에 선단부에 의해 접촉되는 핀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부품 접촉유니트.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전기부품 접촉유니트를 사용하여 전기부품의 검사를 실시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전기부품 접촉유니트를 사용한 전기부품 검사용 유니트.
KR1019990053882A 1998-12-04 1999-11-30 전기부품 접촉유니트 및 전기부품 접촉유니트를 사용한전기부품 검사용 유니트 KR10068751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8-345870 1998-12-04
JP34587098A JP3593464B2 (ja) 1998-12-04 1998-12-04 電気部品接触ユニットおよび電気部品接触ユニットを用いた電気部品検査用ユニッ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7802A true KR20000047802A (ko) 2000-07-25
KR100687518B1 KR100687518B1 (ko) 2007-02-27

Family

ID=183795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3882A KR100687518B1 (ko) 1998-12-04 1999-11-30 전기부품 접촉유니트 및 전기부품 접촉유니트를 사용한전기부품 검사용 유니트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3593464B2 (ko)
KR (1) KR100687518B1 (ko)
TW (1) TW567319B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8713B1 (ko) * 2006-05-04 2007-10-19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유기 el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 장치
KR100768712B1 (ko) * 2006-05-04 2007-10-19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유기 el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 장치
KR102502993B1 (ko) * 2022-04-02 2023-02-23 박병화 반도체 소자 소켓용 홀 성형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96327B2 (ja) 2008-12-22 2013-05-15 山一電機株式会社 半導体装置用ソケット
US11187741B2 (en) * 2018-05-28 2021-11-30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Electrical characteristic measuring device for semiconductor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6772U (ja) * 1993-06-30 1995-01-31 株式会社マックエイト 基板検査装置用プローバー機構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8713B1 (ko) * 2006-05-04 2007-10-19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유기 el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 장치
KR100768712B1 (ko) * 2006-05-04 2007-10-19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유기 el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 장치
KR102502993B1 (ko) * 2022-04-02 2023-02-23 박병화 반도체 소자 소켓용 홀 성형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0171507A (ja) 2000-06-23
TW567319B (en) 2003-12-21
KR100687518B1 (ko) 2007-02-27
JP3593464B2 (ja) 2004-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188840B1 (ko) 도전성 접촉자 유니트
JP2908747B2 (ja) Icソケット
JP2008218013A (ja) 発光装置用ケーブル及びそれを用いた発光装置
JP2002202344A (ja) コンタクトピンモジュールおよびそれを備える検査装置
JP2001076529A (ja) バックライト電源供給ユニットおよびそれ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用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
JP2004294592A (ja) 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
KR100687518B1 (ko) 전기부품 접촉유니트 및 전기부품 접촉유니트를 사용한전기부품 검사용 유니트
JPH0982853A (ja) Icソケット
JP2001273964A (ja) Icソケットおよび半導体装置
US8545236B2 (en) Socket for surface mount module
WO2018155666A1 (ja) Led照明装置
CN108072832A (zh) 一种具有邮票孔的pcb板的测试夹具
JP2001035209A (ja) 車両用灯具のled固定構造
JP2002231349A (ja) クリップ型のコネクター
WO2003088421A1 (en) Mounting of led devices to circuit board or ribbon
JP3281180B2 (ja) Icソケット構造
JPH11237308A (ja) ディスプレイ検査ジグ
KR20220060011A (ko) Pcb 커넥터용 납땜 검사장치
JP2001318107A (ja) 導電性接触子
JP3315088B2 (ja) Icソケット構造及びic装着方法
JPH11307208A (ja) Led専用ソケット
JP2002196707A (ja) Led専用ソケット
JPWO2005015692A1 (ja) コンタクト、及びコネクタ
CN201259462Y (zh) 一种具有导电接触端部的夹持装置
JPH0897260A (ja) プロー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