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47004A - 새로운 티로시나제 저해제 - Google Patents

새로운 티로시나제 저해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47004A
KR20000047004A KR1019980063746A KR19980063746A KR20000047004A KR 20000047004 A KR20000047004 A KR 20000047004A KR 1019980063746 A KR1019980063746 A KR 1019980063746A KR 19980063746 A KR19980063746 A KR 19980063746A KR 20000047004 A KR20000047004 A KR 200000470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picatechin
procyanidin
formula
catechin
gal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637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윤형
이승재
장재권
박시용
이현국
배은경
Original Assignee
박인배
해태제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인배, 해태제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인배
Priority to KR10199800637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47004A/ko
Publication of KR200000470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47004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352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e.g. methanthelin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34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treatment with chemicals
    • A23L3/3454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treatment with chemicals in the form of liquids or solids
    • A23L3/3463Organic compounds; Microorganisms; Enzymes
    • A23L3/3481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7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61K8/4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having 6-membered rings or their condensed derivatives, e.g. coumar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프로시아니딘 유도체의 2량체 (dimer) 이상의 중합체의 새로운 용도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화학식 1의 화합물은 티로시나제 (tyrosinase)의 활성을 저해함으로써 멜라닌 생성 억제, 피부 노화 방지, 피부 보호, 미백 기능을 가지는 화장료, 기미, 주근깨, 반점 또는 임신기 과색소 침착 (hyper pigmentation)의 치료제 및 식품의 갈변 억제제 등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식에서 R1, R2및 R' 는 명세서에 정의한 바와 같다.)

Description

새로운 티로시나제 저해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프로시아니딘 유도체의 2량체 (dimer) 이상의 중합체의 새로운 용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화학식 1의 화합물의 티로시나제 (tyrosinase)의 활성 저해제로서의 용도; 멜라닌 생성 억제, 피부 노화 방지, 피부 보호, 미백 기능을 가지는 화장료로서의 용도; 기미, 주근깨, 반점 또는 임신기 과색소 침착 (hyper pigmentation)의 치료제로서의 용도; 및 식품의 갈변 억제제로서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1
(상기 식에서 R1, R2및 R' 는 후술하는 바와 같다.)
멜라닌 (melanin)은 검은 색소와 단백질의 복합체 형태를 가지는 페놀류의 생물 고분자 물질로서. 사과, 감자, 바나나의 잘린 표면이 공기 중에 노출될 때 발생하는 갈변 또는 동물의 외피, 깃털, 피부, 머리, 눈 등에서 관찰된다. 그러나 멜라닌이 과잉 생산되는 경우 피부에 기미, 주근깨 등이 형성되고 피부 노화도 촉진되며, 피부암도 유발될 수 있고, 또한 식품에서는 채소, 과일, 생선 등의 품질을 저하시키는 작용도 한다.
멜라닌은 주로 티로시나제 (tyrosinase)의 작용에 의하여 생합성되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티로시나제는 구리 (Cu)와 결합한 효소로서, 동물, 식물, 미생물 및 사람 등에 넓게 분포되어 있고, 모노하이드록시 또는 디하이드록시 페닐알라닌 (dihydroxy-phenylalanine, DOPA) 등의 페놀 화합물에서 호기적 산화를 촉진시키며, 자외선에 심하게 노출된 피부에 멜라닌 토스 (melanintorth)를 침착시켜 피부의 노화나 손상을 유발시키는 작용을 한다. 또한, 야채 또는 과실류에서도 티로시나제 등과 같은 폴리페놀 옥시다제 (polyphenol oxidase)가 식품의 갈변화 현상을 초래한다.
티로시나제에 의하여 생성이 촉매되는 동물 멜라닌은 노란색-적갈색의 페오멜라닌 (pheomelanin)과 갈색-검은색의 유멜라닌 (eumelanin)으로 구분된다. 이러한 멜라닌의 합성 과정은 티로시나제의 활성 정도에 따라 L-타이로신에서 L-3,4-디하이드록시-페닐알라닌 (DOPA, L-3,4-dihydroxy-phenylalanine)으로 하이드록시화되고, 다시 DOPA에서 도파퀴논 (dopaquinone)으로 산화되며, 도파퀴논은 류코크롬 (leucochrome)으로 산화되고, 류코크롬의 산화에 의하여 도파크롬 (dopachrome)이 생성되며, 도파크롬은 다시 5,6-디하이드록시인돌 (DHI, 5,6-dihydroxyindole)로 전환되고, 이 디하이드록시인돌이 산화적으로 중합되어 단백질과 최종적으로 결합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생체 내에는 도파크롬이 DHI로 전환되는 경로이외에도 도파크롬 토토머라제 (dopachrome tautomerase)가 작용하여 5,6-디하이드록시인돌 카르복실산 (DHICA, 5,6-dihydroxyindole carboxylic acid)으로 전환되는 새로운 경로도 있음이 보고되어 있다.
멜라닌의 생합성 대사는 피부암과의 관련하여 최근 집중적으로 연구되고 있고, 이로부터 다양한 멜라닌 생성 저해제 등이 개발되어 의약품 산업에서 피부 질환 치료제, 화장품 산업에서 기미, 주근깨 등을 예방 및 치료하는 피부 미백제 또는 식품 산업에서 갈변 방지제 등으로 적용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환경문제와 관련하여 그 수요가 급격히 증가되고 있다.
지금까지 멜라닌 생성 저해제의 연구는 주로 티로시나제 저해제를 개발하는 방향으로 집중되어 왔고, 대표적인 티로시나제 저해제로는 티로시나제 활성부위의 구리이온에 대한 킬레이트 형성물질, 퀴논 (quinone)류를 페놀류로 환원시키는 아스코빅산 (ascorbic acid) 등의 환원제 그리고 티로시나제 자체를 변성시키는 비설파이트 (bisulfites) 제제 등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이 티로시나제 저해제가 다양한 미백제 등으로 개발되어 현재 사용되고 있지만, 여러 가지 문제점도 동시에 제기되고 있다. 실제로 기미, 주근깨, 반점 및 임신기 과색소 침착 (hyperpigmentation)과 같은 과잉 색소증 치료에 국부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4-하이드록시아니솔 (4-hydroxyanisole) 및 하이드로퀴논 (hydroquinone) 등은 강력한 멜라닌 생성 저해활성은 있으나 동시에 색소세포의 변성 또는 치사를 유발하고 세포 본래의 기능을 손상시키는 등의 부작용을 나타낸다. 특히 하이드로퀴논 (hydroquinone) 계열의 화합물은 멜라닌 생합성을 저해하는 미백용 크림으로 개발되어 사용되었으나, 세포 독성으로 인한 피부 자극 또는 피부병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현재 일부 국가에서만 사용이 허가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본 발명자들은 천연물로부터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는 티로시나제 저해제를 개발하기 위하여 연구하던 중 포도씨에 폴리페놀인 축합탄닌 (condensed tannin)인 프로안토시아니딘 (proanthocyanidin)이 많이 함유되어 있고 포도씨 분말을 물 또는 유기용매로 추출하여 얻은 포도씨 추출물이 티로시나제 활성을 저해하여 멜라닌 생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함을 확인하고 이를 특허출원한 바 있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 98-51189호).
포도씨 추출물의 폴리페놀인 프로안토시아니딘은 구성단위로 플라반-3-올 (flavan-3-ol)과 플라반-3,4-디올 (flavan-3,4-diol)이 축합(condensation)이나 중합(polymerization)에 의해 결합된 축합형 탄닌(condensed type tannin)의 일종으로 산처리에 의해 시아니딘 (cyanidin), 델피니딘 (delphinidin) 및 펠라르고니딘 (pelargonidin)과 같은 안토시아니딘 (anthocyanidin)으로 변형되며, 2량체 (dimers), 3량체 (trimers), 4량체 (tetramers), 또는 10량체 (decamers)를 구성단위로 하는 고분자의 프로시아니딘 (procyanidin), 프로델피니딘 (prodelphinidin) 및 프로펠라르고니딘 (propelargonidin)과 그들의 이성질체와 같은 물질을 포함한다.
한편 일본 특허출원공개 평6-65085 에서는 차의 폴리페놀 성분을 티로시나제 저해제로 청구하고 있으나, 이는 단량체 구조로서 티로시나제 저해 활성이 낮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자들은 세포 독성으로 인한 피부 자극 등이 없는 티로시나제 저해제를 개발하기 위하여 노력하여 오던 중, 프로안토시아니딘 화합물의 일종인 프로시아니딘 유도체의 2량체 이상의 중합체가 티로시나제 저해 활성이 높을 뿐만 아니라 독성이 없는 안전한 화합물임을 알아 내어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새로운 티로시나제 저해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 은 표 1에 나타낸 프로시아니딘 유도체의 2량체 및 3량체의 구조식을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화합물인 프로시아니딘 B3 및 탄닌 (tannin)과; 본 발명의 화합물 (중합체)의 단량체 중의 하나인 에피카테킨과; 기존의 티로시나제 저해제인 하이드로퀴논의 티로시나제 저해활성을 농도에 따라 비교하여 나타낸 것이고,
+ : 프로시아니딘 B3; ◇ : 탄닌;
△ : 하이드로퀴논; ×: 에피카테킨;
○ : 아부틴 ●: 프로시아니딘 B2 3'-O-갈레이트;
□ : 프로시아니딘 C1
도 3 은 프로시아니딘 B3의 멜라닌 생합성 저해 정도를 스트렙토마이세스 비키니엔시스 (Streptomyces bikiniensis) 균주를 사용하여 조사한 것이고,
도 4 는 탄닌 산 (tannic acid)의 멜라닌 생합성 저해 정도를 스트렙토마이세스 비키니엔시스 균주를 사용하여 조사한 것이고,
도 5 는 카테킨의 멜라닌 생합성 저해 정도를 스트렙토마이세스 비키니엔시스 균주를 사용하여 조사한 것이고,
도 6 은 에피카테킨의 멜라닌 생합성 저해 정도를 스트렙토마이세스 비키니엔시스 균주를 사용하여 조사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티로시나제 저해 활성을 가짐으로 인하여 멜라닌 생성 억제, 피부 노화 방지, 피부 보호, 미백 기능을 가지는 화장료, 기미, 주근깨, 반점 또는 임신기 과색소 침착 (hyper pigmentation)의 치료제 및 식품의 갈변 억제제 등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프로시아니딘 유도체의 2량체 이상의 중합체의 새로운 용도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는 우선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프로시아니딘 유도체의 2량체 (dimer) 이상의 중합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티로시나제 활성 저해제를 제공한다.
화학식 1
상기 식에서, R1, R2, 및 R' 는 서로 같거나 다를 수 있으며,
R1은 수소 (H) 또는 히드록시 (OH)기이고,
R2는 수소 (H), 히드록시 (OH) 또는 갈레이트 (OG)이고,
R' 는 수소 (H) 또는 히드록시 (OH)기이며,
상기 'OG'에서 G 는 하기 화학식 2의 갈로일 (galloyl)기이고,
n 은 2 이상의 정수이다.
화학식 2
티로시나제 저해활성을 가지는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의 예로서 이미 알려진 화합물인 카테킨 또는 에피카테킨의 2량체 및 3량체를 들 수 있는데 이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하기 표 1에서 화합물의 번호는 도 1 에 나타난 번호이다.
화합물 번호
(+)-Catechin 1
(-)-Epicatechin 2
Procyanidin B1 [epicatechin-(4β→8)-catechin] 3
Procyanidin B2 [epicatechin-(4β→8)-epicatechin] 4
Procyanidin B3 [catechin-(4α→8)-catechin] 5
Procyanidin B4 [catechin-(4α→8)-epicatechin] 6
Procyanidin B5 [epicatechin-(4β→6)-epicatechin] 7
Procyanidin B6 [catechin-(4α→8)-catechin] 8
Procyanidin B7 [epicatechin-(4β→6)-epicatechin] 9
Procyanidin B8 [catechin-(4α→6)-epicatechin] 10
Procyanidin C1[epicatechin-(4β→8)-epicatechin-(4β→8)-epicatechin] 11
Procyanidin trimer[epicatechin-(4β→8)-epicatechin-(4β→8)-catechin] 12
Procyanidin trimer[epicatechin-(4β→6)-epicatechin-(4β→8)-epicatechin] 13
Procyanidin trimer[epicatechin-(4β→6)-epicatechin-(4β→8)-catechin] 14
Procyanidin trimer[epicatechin-(4β→8)-epicatechin-(4β→6)-epicatechin] 15
Procyanidin trimer[epicatechin-(4β→8)-epicatechin-(4β→6)-catechin] 16
Epicatechin 3-O-gallate 17
Procyanidin B2 3'-O-gallate [procyanidin dimer monogallate] 18
Procyanidin B2 3-O-gallate 19
Procyanidin B2 3,3'-di-O-gallate 20
Procyanidin B4 3'-O-gallate [procyanidin dimer monogallate] 21
Procyanidin B1 3'-O-gallate 22
Procyanidin trimer gallate[epicatechin-(4β→8)-epicatechin 3-O-gallate-(4β→8)-catechin] 23
또한 상기 표 1에 나타낸 화합물 외에, 티로시나제 저해활성을 가지는 화학식 1의 화합물로서 하기 화학식 3의 탄닌이 있다.
상기 화학식 3의 화합물에서 m은 1 내지 5의 정수이다.
본 발명의 화학식 1의 화합물의 티로시나제 저해 활성을, 버섯 티로시나제 등을 L-디하이드록시페닐알라닌 (L-DOPA) 등과 반응시켜 측정한 흡광도로부터 조사한 결과, 본 발명의 화합물인 프로시아닌 B3, 프로시아니딘 B2 3'-O-갈레이트, 프로시아니딘 C1 및 탄닌은 기존의 하이드로퀴논, 아부틴 및 에피카테킨보다 티로시나제 저해 활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도 2 참조).
또한, 본 발명의 화합물인 프로시아닌 B3 및 탄닌의 멜라닌 생합성 저해 활성을 멜라닌을 생합성하는 미생물인 스트렙토마이세스 비키니엔시스 (Streptomyces bikiniensis) 균주 등을 이용하여 조사한다. 이 때 멜라닌 생성 저해환 (Inhibition zone, mm)의 크기를 측정한 결과, 상기 본 발명의 화합물은 카테킨 및 에피카테킨보다 비교적 크고 깨끗한 저해환을 생성시켰다 (도 3 내지 도 6 참조).
따라서, 본 발명의 화학식 1의 화합물은 티로시나제 활성을 저해하는 멜라닌 생성 억제제로서 기미, 주근깨, 반점 또는 임신기 과색소 침착 등의 예방 및 치료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은 멜라닌 생성 억제, 피부 노화 방지, 피부 보호 또는 미백 기능을 가지는 화장료로도 사용되어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영양크림, 맛사지크림, 엣센스, 팩 등에 첨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은 과일, 야채 및 생선 등의 식품의 갈변을 억제하여 신도도를 높이는 식품 첨가제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약학적 조성물이 치료용 약제로 이용되기 위해서 약제학적 분야에서 공지의 방법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그 자체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carrier), 부형제 (forming agent), 희석제 (diluent) 등과 혼합하여 연고제, 분말, 과립, 정제, 캡슐제 또는 주사제 등의 제형으로 제조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이들은 비경구 또는 경구로 투여되거나 피부에 도포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효 성분의 투여량은 체내에서 활성성분의 흡수도, 불활성화율, 배설속도, 환자의 연령, 성별 및 상태, 치료할 질병의 중증정도 등에 따라 적절히 선택되나, 일반적으로 성인에게 1일에 30 - 300 mg 정도를 사용하나 50 - 200 mg 정도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제형화된 제제는 필요에 따라 약제의 투여를 감시하거나 관찰하는 전문가의 판단과 개인의 요구에 따라 전문화된 투약법을 사용하거나, 일정시간 간격으로 수회 투여하거나 피부에 도포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 제조예 및 실험예에 의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 제조예 및 실험예들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내용이 이들 내용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티로시나제 저해 활성 조사
본 발명의 화합물인 프로시아니딘 B3, 프로시아니딘 B2 3'-O-갈레이트, 프로시아니딘 C1 과 탄닌의 티로시나제 저해 활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버섯 티로시나제 (mushroom tyrosinase, Sigma, E.C. 1.14.18.1)를 사용하여 저해 정도를 측정하였다. 이 때 티로시나제는 1/15 M 인산완충용액 (phosphate buffer, pH 6.8)에 1560 units/mL 농도로 녹여 냉동고에 동결보관하고, 사용시에 빙상에서 녹여 효소원으로 이용하였다. 또한 기질로는 L-3,4-디하이드록시페닐알라닌 (L-3,4-dihydroxyphenyl alanine, L-DOPA)을 차광병에서 1/15M 인산 완충용액에 녹여 사용하였고, 이 용액은 사용직전에 조제하였다.
티로시나제 저해 활성은 티로시나제 (78 units/mL) 0.0625mL, 1/15M 인산 완충용액 1.4615mL를 함께 넣어 25℃에서 5분간 미리 반응 (preincubation)시키고 이에 상기 L-DOPA를 0.476mL 넣어 475nm에서 10분간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즉, 티로시나제 효소와 상기 화합물을 모두 넣은 시료군 (C), 시료 대신 동량의 1/15M 인산 완충용액을 넣은 대조군 (A), 효소 대신 1/15M 인산 완충용액을 넣은 효소 대조군 (D) 그리고 효소 및 시료 대신 1/15M 인산 완충용액을 넣은 공시험군 (B)으로 나누어 실험을 수행하였다. 각 군은 모두 3개씩 (triplicate) 반복하여 실험하였고, 하기 수학식 1로부터 효소 저해율 (%)을 산출하였다. 이 때 대조군으로는 에피카테킨, 코지산 (kojic acid), 하이드로퀴논 (hydroquinone), 아부틴 (arbutin), 4-하이드록시아니솔 (4-hydroxyanisole), 아스코빅산 (ascorbic acid), 레티놀 (retinol) 및 하이드로코티손 (hydrocortison)을 사용하였다.
상기 수학식 1에서,
A : 시료가 없는 대조군의 475nm 에서 흡광도;
B : 시료와 효소가 없는 대조군의 475nm 에서 흡광도;
C : 시료와 효소를 넣은 실험군의 475nm 에서 흡광도;
D : 효소가 없는 대조군의 475nm 에서 흡광도를 나타낸다.
그 결과, 프로시아니딘 B3, 프로시아니딘 B2 3'-O-갈레이트, 프로시아니딘 C1 과 유사구조의 탄닌이 상기 대조군보다 높은 저해 활성을 나타내었다 (도 2 및 표 2 참조).
상기 대조군에서 티로시나제 저해제인 에피카테킨은 본 발명의 화합물의 단량체로서 티로시나제 저해실험을 행한 결과 0.9%이하에서는 효소 티로시나제의 반응 기질이 되어 급속히 갈색으로 착색되어 오히려 갈색물질, 즉 멜라닌 색소를 유발시킬 위험이 있었으며 본 발명의 고분자 (2량체 이상) 구조인 탄닌은 티로시나제에 소량의 농도 (50ppm이하 농도)에서도 티로시나제와 전혀 반응하지 않고 효소 활성을 억제하는 탁월한 효소활성 저해능력을 보였다.
티로시나제 활성에 대한 저해도 (%)
추출 용매 첨가 농도 (μg/mL) 저해도 (%)
프로시아니딘 B3 50 30
프로시아니딘 B2 3'-O-갈레이트 50 37
프로시아니딘 C1 50 45
탄닌 50 50
대조군 (+) 카테킨 20000〈 0
(-) 에피카테킨 갈레이트 9000〉 12
(+) 에피카테킨 10000〉 11
코지산 50 51.0
하이드로퀴논 50 5.0
아부틴 50 7.0
4-하이드록시아니솔 50 3.0
아스코빅산 50 20.0
레티놀 50 4.9
하이드로코티손 50 3.7
〈실시예 2〉 멜라닌 생합성 저해 활성 조사
본 발명의 화합물인 프로시아니딘 B3와 탄닌의 멜라닌 생합성 저해 활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멜라닌 생합성 미생물인 스트렙토마이세스 비키니엔시스 B-1049 (Streptomyces bikiniensis NRRL B-1049)를 사용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스트렙토마이세스 비키니엔시스 균주를 V-8 쥬스 (Cambell Soup Co., USA) 200mL, 포도당 (glucose) 2g, 효모 추출물 (yeast extract) 2g, CaCO31g, 박토 아가 2g과 증류수 800mL을 함유하는 pH 7.2의 파파비자스 VDYA (Papavizas' VDYA(15)) 사면 배지에 접종하고 이를 28℃에서 2주일간 배양한 다음 상기 사면 배양배지 표면에 2mL의 증류수를 가하여 기균사에 형성된 포자를 백금이로 긁어내고 포자 현탁액을 만든 다음, 이 포자 현탁액을 멸균된 시험관에 냉동 보관하였다.
또한, 포도당 1.5%, L-타이로신 0.05%, L-아스파라진 0.1%, K2HPO40.05%, MgSO4·7H2O 0.05%, NaCl 0.05%, FeSO4·7H2O 0.001%, 박토 아가 2% 를 함유하는 타이로신 아가 (ISP No. 7) 배지 조성에 박토 효모 추출물 (Bacto-yeast extract)을 0.2% 로 첨가하여 고체 배지를 만들고 멸균하여 페트리디쉬 (90mm i.d.)당 40 mL로 분주하였다. 이렇게 제작한 아가 플레이트에 각 플레이트당 0.4mL의 상기 스트렙토마이세스 비키니엔시스 포자 현탁액을 가하여 유리 하키 바 (glass hockey bar)로 균일하게 도포하였다. 다음 배지 표면을 건조시키고 이에 50μL의 시료를 적신 8mm 직경의 종이 디스크 (paper disc, Toyo Roshi Kasha Ltd., Japan)를 올려놓아 28℃ 조건에서 48시간 동안 배양함으로 멜라닌 생성 저해환 (inhibition zone, mm)이 생성되도록 하였다. 이 멜라닌 생성 저해환의 크기는 배지의 배면에서 계측하였고, 이 때 대조군으로는 카테킨, 에피카테킨, 코지산, 하이드로퀴논, 아부틴 및 4-하이드로아니솔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의 화합물의에서의 저해환이 비교적 크고 깨끗하게 나타났다 (도 3 내지 도 6, 표 3 참조).
추출 용매 첨가 농도 (%) 저해환 (mm)
프로시아니딘 B3 8 13
탄닌 8 17
대조군 (+) 카테킨 8 0
(-) 에피카테킨 갈레이트 8 8.5
(+) 에피카테킨 8 0
코지산 8 12
하이드로퀴논 1.7 15
아부틴 8 0
4-하이드록시아니솔 8 14
〈제조예 1〉
탄닌을 함유한 화장료 중 유연 화장수 처방예는 다음과 같다.
중량부
탄닌 0.01
글리세린 3.0
부틸렌글리콜 2.0
프로필렌글리콜 2.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1
에탄올 10.0
트리에탄올아민 0.1
방부제 미량
색소 미량
향료 미량
정제수 잔액
계 100.0
〈제조예 2〉
탄닌을 함유한 화장료 중 영양 화장수 처방예는 다음과 같다.
중량부
탄닌 0.01
밀납 4.0
폴리솔베이트 60 1.5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0.5
유동파라핀 5.0
스쿠알란 5.0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5.0
글리세린 3.0
부틸렌글리콜 3.0
프로필렌글리콜 3.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1
트리에탄올아민 0.2
방부제 미량
색소 미량
향료 미량
정제수 잔액
계 100.0
〈제조예 3〉
탄닌을 함유한 화장료 중 영양크림 처방예는 다음과 같다.
중량부
탄닌 0.005
밀납 10.0
폴리솔베이트 60 1.5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0.5
유동파라핀 10.0
스쿠알란 5.0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5.0
글리세린 5.0
부틸렌글리콜 3.0
프로필렌글리콜 3.0
트리에탄올아민 0.2
방부제 미량
색소 미량
향료 미량
정제수 잔액
계 100.0
〈제조예 4〉
탄닌을 함유한 화장료 중 맛사지크림 처방예는 다음과 같다.
중량부
탄닌 0.005
밀납 10.0
폴리솔베이트 60 0.8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0.5
유동파라핀 40.0
스쿠알란 5.0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4.0
글리세린 5.0
부틸렌글리콜 3.0
프로필렌글리콜 3.0
트리에탄올아민 0.2
방부제 미량
색소 미량
향료 미량
정제수 잔액
계 100.0
〈제조예 5〉
탄닌을 함유한 화장료 중 팩의 처방예는 다음과 같다.
중량부
탄닌 0.005
폴리비닐알콜 13.0
소듐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 0.2
알란토인 0.1
노닐페닐에테르 0.3
방부제 미량
색소 미량
향료 미량
정제수 잔액
계 100.0
〈제조예 6∼10〉
탄닌 대신 프로시아니딘 B3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제조예 1∼5와 동일한 처방으로 유연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크림, 맛사지 크림 및 팩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11∼15〉
탄닌 대신 프로시아니딘 3량체 (상기 표 1의 12번 화합물)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제조예 1∼5와 동일한 처방으로 유연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크림, 맛사지 크림 및 팩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16∼20〉
탄닌 대신 프로시아니딘 B2 3'-O-갈레이트 (상기 표 1의 18번 화합물)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제조예 1∼5와 동일한 처방으로 유연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크림, 맛사지 크림 및 팩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피부의 색소 침착 억제
건강한 남녀 20명의 실험 대상자의 양 팔 하박부에 2×2cm2의 부위를 설정하였다. 실험 대상 부위에만 자외선이 조사되도록 알루미늄 호일을 팔에 씌우고 10 cm 거리에서 일본 도시바 주식회사 제 FL20S BLB 램프 및 FL20S E-30 램프를 각 2개 동시에 0.8×107erg/cm3/회로 1일 1회씩 연속 3회 조사하였다. 조사전에 실험 대상 부위를 70% 이소프로필알콜 수용액으로 잘 세척하였다. 조사후 자외선 조사 부위에 탄닌을 함유한 제조예 1∼5의 처방을 1일 3회씩 도포하였다. 3주 도포한 후에 육안으로 색소 침착도를 판정하고, 실험군이 대조군 (기제만 도포)에 비하여 색소 침착을 얼마나 억제하였는가를 현저한 효과, 유효, 무효의 3단계로 평가하였다. 실험 결과, 표 4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유효 이상의 양성 효과가 높게 나타남으로써 탁월하게 색소 침착이 억제되는 효과를 보여주었다.
실험군 현저한 효과 (명) 유효 (명) 무효 (명)
제조예 1 2 11 7
제조예 2 2 12 6
제조예 3 3 13 4
제조예 4 2 13 5
제조예 5 1 13 6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프로시아니딘 유도체 화합물은 기존의 단량체 화합물인 카테킨 또는 에피카테킨에 비하여 티로시나제 활성을 저해하는 정도가 우수하여 멜라닌 생성을 탁월하게 억제하므로 피부 노화 방지, 피부 보호 및 미백 기능을 가지는 화장료, 기미, 주근깨, 반점 또는 임신기 과색소 침착 (hyperpigmentation) 등의 과잉 색소증 치료제 및 식품의 갈변을 억제하는 식품 첨가제 등으로 유용하다.

Claims (7)

  1.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프로시아니딘 유도체의 2량체 (dimer) 이상의 중합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티로시나제 활성 저해제
    화학식 1
    상기 식에서, R1, R2, 및 R' 는 서로 같거나 다를 수 있으며,
    R1은 수소 (H) 또는 히드록시 (OH)기이고,
    R2는 수소 (H), 히드록시 (OH) 또는 갈레이트 (OG)이고,
    R' 는 수소 (H) 또는 히드록시 (OH)기이며,
    상기 'OG'에서 G 는 하기 화학식 2의 갈로일 (galloyl)기이고,
    n 은 2 이상의 정수이다.
    화학식 2
  2. 제 1항에 있어서, 화학식 1의 화합물은
    프로시아니딘 B1 [Procyanidin B1; epicatechin-(4β→8)-catechin];
    프로시아니딘 B2 [epicatechin-(4β→8)-epicatechin];
    프로시아니딘 B3 [catechin-(4α→8)-catechin];
    프로시아니딘 B4 [catechin-(4α→8)-epicatechin];
    프로시아니딘 B5 [epicatechin-(4β→6)-epicatechin];
    프로시아니딘 B6 [catechin-(4α→8)-catechin];
    프로시아니딘 B7 [epicatechin-(4β→6)-epicatechin];
    프로시아니딘 B8 [catechin-(4α→6)-epicatechin];
    프로시아니딘 C1[epicatechin-(4β→8)-epicatechin-(4β→8)-epicatechin];
    프로시아니딘 3량체 [Procyanidin trimer; epicatechin-(4β→8)- epicatechin-(4β→8)-catechin];
    프로시아니딘 3량체 [epicatechin-(4β→6)-epicatechin-(4β→8)- epicatechin];
    프로시아니딘 3량체[epicatechin-(4β→6)-epicatechin-(4β→8)-catechin];
    프로시아니딘 3량체 [epicatechin-(4β→8)-epicatechin-(4β→6)- epicatechin];
    프로시아니딘 3량체[epicatechin-(4β→8)-epicatechin-(4β→6)-catechin];
    프로시아니딘 B2 3'-O-갈레이트(gallate) [procyanidin dimer monogallate];
    프로시아니딘 B2 3-O-갈레이트;
    프로시아니딘 B2 3,3'-di-O-갈레이트;
    프로시아니딘 B4 3'-O-갈레이트 [procyanidin dimer monogallate];
    프로시아니딘 B1 3'-O-갈레이트; 및
    프로시아니딘 3량체 갈레이트 [epicatechin-(4β→8)-epicatechin 3-O-gallate-(4β→8)-catechin]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로시나제 활성 저해제
  3. 제 1항에 있어서, 화학식 1의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3의 탄닌 (tanni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로시나제 활성 저해제
    화학식 3
    상기 화학식 3의 화합물에서 m은 1 내지 5의 정수이다.
  4.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멜라닌 생성 억제, 피부 노화 방지, 피부 보호 및 미백 기능을 가지는 화장료
  5.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멜라닌 생성 억제제용 약학적 조성물
  6. 제 4항에 있어서, 기미, 주근깨, 반점 또는 임신기 과색소 침착 (hyperpigmentation)을 포함하는 과잉 색소증의 치료에 사용되는 약학적 조성물
  7.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과일, 야채 및 생선을 포함하는 식품의 갈변을 억제하는 식품 첨가물
KR1019980063746A 1998-12-31 1998-12-31 새로운 티로시나제 저해제 KR2000004700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63746A KR20000047004A (ko) 1998-12-31 1998-12-31 새로운 티로시나제 저해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63746A KR20000047004A (ko) 1998-12-31 1998-12-31 새로운 티로시나제 저해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7004A true KR20000047004A (ko) 2000-07-25

Family

ID=195703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63746A KR20000047004A (ko) 1998-12-31 1998-12-31 새로운 티로시나제 저해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47004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102349A1 (en) * 2001-06-18 2002-12-27 Lg Household & Health Care Ltd. Compositions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skin wrinkle
KR100439590B1 (ko) * 2001-04-06 2004-07-12 (주)큐티라이프 탄닌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기능성 화장품
KR20200057974A (ko) * 2018-11-19 2020-05-27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물여뀌 추출물에서 분리한 ecg를 이용한 피부 미백용 조성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9590B1 (ko) * 2001-04-06 2004-07-12 (주)큐티라이프 탄닌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기능성 화장품
WO2002102349A1 (en) * 2001-06-18 2002-12-27 Lg Household & Health Care Ltd. Compositions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skin wrinkle
KR20200057974A (ko) * 2018-11-19 2020-05-27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물여뀌 추출물에서 분리한 ecg를 이용한 피부 미백용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ee et al. The effects of areca catechu l extract on anti‐inflammation and anti‐melanogenesis
KR20000034037A (ko) 티로시나제 저해제로서의 포도씨 추출물
KR102253376B1 (ko) 가는갯능쟁이 추출물 또는 계요등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름 개선 또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20010017516A (ko) 새로운 멜라닌 생합성 저해제
KR101201916B1 (ko) 효소반응에 의한 쓴 메밀 새싹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 및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
EP2170331B1 (en) Synergistic combination of proanthocyanidins, gamma-tocotrienol and niacin
WO2010038842A1 (ja) 新規ポリフェノール化合物
KR20220106421A (ko) 페디오코커스 악시딜락티시 pmc48 또는 그의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및 멜라닌 색소 과다 침착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KR100802005B1 (ko) 진세노사이드를 이용한 멜라닌 생합성 저해제
KR100344751B1 (ko) 멜라닌 합성 저해물질 및 그것을 함유하는 조성물
KR20000047004A (ko) 새로운 티로시나제 저해제
KR101458013B1 (ko) 미성숙 잣구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070041927A (ko) 항산화, 항암, 미백 활성을 나타내는 도화 추출물을함유하는 조성물
KR102370528B1 (ko) 레드비트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 블루라이트 차단 및 미백용 가지는 조성물
JPH11323326A (ja) 活性酸素消去剤、皮膚保全剤および変色防止剤
KR102379698B1 (ko) 왕불유행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 또는 재생용 조성물
KR20010084402A (ko) 홍화씨로 부터 추출한 멜라닌 생합성 저해 추출물 및 그추출물을 포함하는 멜라닌 생합성 저해제
KR20220018309A (ko) 괭생이모자반 초음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KR20100020606A (ko)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0542751B1 (ko) 티로시나제 저해활성을 지닌 곰피 추출물 또는 그로부터분리한 플로로탄닌류를 함유하는 조성물
Zhou et al. Green Tea Polyphenols
KR102239470B1 (ko) 항산화 활성이 증진된 발효 흑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WO2002045680A1 (en) Composition for whitening of skin containing protocatechuic aldehyde as an effective component
KR102326592B1 (ko) 드라이아이스를 이용한 천연물의 추출방법 및 이에 따라 수득된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KR20170076643A (ko) 7,8-디하이드록시플라본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노화 예방 및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