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06421A - 페디오코커스 악시딜락티시 pmc48 또는 그의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및 멜라닌 색소 과다 침착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 Google Patents

페디오코커스 악시딜락티시 pmc48 또는 그의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및 멜라닌 색소 과다 침착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06421A
KR20220106421A KR1020210009310A KR20210009310A KR20220106421A KR 20220106421 A KR20220106421 A KR 20220106421A KR 1020210009310 A KR1020210009310 A KR 1020210009310A KR 20210009310 A KR20210009310 A KR 20210009310A KR 20220106421 A KR20220106421 A KR 202201064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mc48
pediococcus
composition
skin
lactisi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93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42861B1 (ko
Inventor
송호연
서훈희
김수경
Original Assignee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0093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2861B1/ko
Publication of KR202201064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64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28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28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microorganisms other than algae or fungi, e.g. protozoa or bacteria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35Bacteria or derivatives thereof, e.g. probio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66Microorganisms or materials therefrom
    • A61K35/74Bacteria
    • A61K35/741Probiotics
    • A61K35/744Lactic acid bacteria, e.g. enterococci, pediococci, lactococci, streptococci or leuconosto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4Skin, i.e. galenical aspects of topical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9/00General protective or antinoxious agents
    • A61P39/06Free radical scavengers or antioxid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skin health and hair or coa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2Stabilizers
    • A61K2800/522Antioxidants; Radical scaveng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Toxic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Bird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페디오코커스 악시딜락티시 PMC48(Pediococcus acidilactici PMC48) 또는 그의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및 멜라닌 색소 과다 침착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페디오코커스 악시딜락티시 PMC48 또는 그의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및 멜라닌 색소 과다 침착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Composition for skin whitening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use in preventing or treating disorders of Melanin Hyperpigmentation containing Pediococcus acidilactici PMC48 strain a culture medium thereof as an active ingredient}
본 발명은 페디오코커스 악시딜락티시 PMC48(Pediococcus acidilactici PMC48) 또는 그의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및 멜라닌 색소 과다 침착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멜라닌은 태양광선 중 유해한 자외선으로부터 생체를 보호하는 중요한 수단으로 동물, 식물 및 미생물에 널리 존재하는 페놀류의 고분자 물질로 자외선, 건조, 극한온도 등에 대한 생존 능력을 높여주지만, 과도한 멜라닌 생성은 인체에 기미, 주근깨, 검버섯을 형성하고 피부노화를 촉진시키며, 악성 흑색종의 피부암 유발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더욱이 멜라닌은 화학적 물리적으로 매우 안정한 물질이어서, 일단 생성된 색소는 피부에 커다란 손상 없이 단기간에 분해하여 제거하기가 거의 불가능하기 때문에 이를 방지 및 치료하기 위한 방법으로 피부미백제로서 멜라닌의 합성을 저해하는 물질을 사용하고 있다. 또한, 식품에서는 채소, 과일, 생선 등의 갈변화 현상을 일으켜 품질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Bell and Weeler, 1986; Chen et al., 1991; Lerner and Fitzpatrick, 1950). 멜라닌은 표피 기저층에 존재하는 멜라노사이트의 세포 내 멜라노솜(melanosome)에서 티로시나아제 효소의 연속적 산화반응으로 생합성된다.
티로시나아제는 멜라닌 생합성과정의 주요 엔자임으로 페놀화합물을 기질로 이용하는 구리 함유 효소이다. 티로신(Tyrosine)은 티로시나아제에 의하여 L-3,4-디하이드록실-L-페닐알라닌(LDOPA)로, L-DOPA를 도파퀴논(dopaquinone)으로 산화가 되고 이것이 다시 5,6-디히드록시 인돌, 인돌 5,6-퀴논으로 산화되어 최종적으로 중합에 의해 멜라닌이 생합성 된다(Lopez et al., 1992).
티로시나아제 저해물질로 알려진 것에는 아스코르브산(ascorbic acid), 누룩산(kojic acid, Lee et al., 2006), 하이드로퀴논(hydroquinone, Fitton and Goa, 1991;Parvez et al., 2006), 벤조산(benzoic acid), 레티노이드(retinoid), 알부틴(arbutin, Maeda and Fukuda, 1996) 등이 있는데, 특히 하이드로퀴논(hydroquinone)과 알부틴(arbutin)은 강한 미백효과를 가지고 있으나 제품 안정성 및 경제성 등의 문제로 사용에 어려움이 있다(Ando et al., 1993; Masuda et al., 1996).
본 발명자들은 부작용이 없고 비용이 저렴하여 안정성이 우수한 항산화 및 피부 미백용 조성물을 개발하기 위하여 예의 노력한 결과, 전통발효식품으로부터 유래한 페디오코커스 악시딜락티시 PMC48(Pediococcus acidilactici PMC48)가 멜라닌 분해 활성, 멜라닌 생합성 억제 효과 및 DPPH 라디칼 소거 효과가 있음을 확인한 후,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페디오코커스 악시딜락티시 PMC48(Pediococcus acidilactici PMC48) 또는 그의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용 또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는 페디오코커스 악시딜락티시 PMC48(Pediococcus acidilactici PMC48) 또는 그의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용 또는 피부 미백용 피부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페디오코커스 악시딜락티시 PMC48(Pediococcus acidilactici PMC48) 또는 그의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용 또는 피부 미백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페디오코커스 악시딜락티시 PMC48(Pediococcus acidilactici PMC48) 또는 그의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멜라닌 색소 과다 침착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배양액"은 균주를 배양하여 수득된 배양액 자체, 그의 농축물, 또는 동결건조물 또는 배양액로부터 균주를 제거하여 수득된 배양 상층액, 그의 농축물 또는 동결건조물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페디오코커스 악시딜락티시 PMC48(Pediococcus acidilactici PMC48) 또는 그의 배양액은 세포 독성 없이 안전하게 멜라닌을 분해하고, 멜라닌 생합성에 관여하는 티로시나제를 억제할뿐만 아니라 DPPH 라디칼 소거하여 우수한 항산화 또는 피부 미백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페디오코커스 악시딜락티시(P. acidilactici) PMC48의 분자계통학적 위치를 나타내는 계통 발생적 분지도(phylogenomic tree)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P. acidilactici PMC48의 멜라닌분해 활성 실험 결과를 나타낸다. 도 2A-D는 한천 웰 확산법(agar well diffusion method), 및 도 2E-H는 시험관 액체배지 방법(tube broth method)에 의한 측정 결과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P. acidilactici PMC48의 멜라닌 생합성 억제 실험 결과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따른 P. acidilactici PMC48의 DPPH 라디칼 소거 실험 결과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5에 따른 P. acidilactici PMC48의 미백 활성 실험 결과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6에 따른 P. acidilactici PMC48의 세포 독성 실험 결과를 나타낸다.
이하, 발명의 구체적인 구현예에 따른 페디오코커스 악시딜락티시 PMC48 또는 그의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및 멜라닌 색소 과다 침착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발명의 하나의 예시로서 제시되는 것으로, 이에 의해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서 구현예에 대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포함" 또는 "함유"라 함은 어떤 구성 요소(또는 구성 성분)를 별다른 제한 없이 포함함을 지칭하며, 다른 구성 요소(또는 구성 성분)의 부가를 제외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제1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페디오코커스 악시딜락티시 PMC48(Pediococcus acidilactici PMC48) 또는 그의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용 또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페디오코커스 악시딜락티시 PMC48는 서열번호 1에 기재된 염기서열을 갖는 16s rRNA 유전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페디오코커스 악시딜락티시 PMC48는 수탁번호 KCCM14441BP로 기탁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페디오코커스 악시딜락티시 PMC48 외에도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향료 및 담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린싱,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유연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아이 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포옴, 클렌징 워터, 팩, 스프레이 또는 파우더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제2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페디오코커스 악시딜락티시 PMC48(Pediococcus acidilactici PMC48) 또는 그의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용 또는 피부 미백용 피부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외용제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페디오코커스 악시딜락티시 PMC48는 서열번호 1에 기재된 염기서열을 갖는 16s rRNA 유전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외용제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페디오코커스 악시딜락티시 PMC48는 수탁번호 KCCM14441BP로 기탁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외용제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피부외용제는 크림, 겔, 연고, 피부 유화제, 피부 현탁액, 경피전달성 패치, 약물 함유 붕대, 로션, 또는 그 조합일 수 있다. 상기 피부외용제는 통상 화장품이나 의약품 등의 피부외용제에 사용되는 성분, 예를 들면 수성성분, 유성성분, 분말성분, 알코올류, 보습제, 증점제, 자외선흡수제, 미백제, 방부제, 산화방지제, 계면활성제, 향료, 색제, 각종 피부 영양제, 또는 이들의 조합과 필요에 따라서 적절하게 배합될 수 있다. 상기 피부외용제는, 에데트산이나트륨, 에데트산삼나트륨, 시트르산나트륨, 폴리인산나트륨, 메타인산나트륨, 글루콘산 등의 금속봉쇄제, 카페인, 탄닌, 벨라파밀, 감초추출물, 글라블리딘, 칼린의 과실의 열수추출물, 각종생약, 아세트산토코페롤, 글리틸리틴산, 트라넥삼산 및 그 유도체 또는 그 염등의 약제, 비타민 C, 아스코르브산인산마그네슘, 아스코르브산글루코시드, 알부틴, 코지산, 글루코스, 프룩토스, 트레할로스 등의 당류등도 적절하게 배합할 수 있다.
제3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페디오코커스 악시딜락티시 PMC48(Pediococcus acidilactici PMC48) 또는 그의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용 또는 피부 미백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건강기능식품에 있어서, 상기 페디오코커스 악시딜락티시 PMC48는 서열번호 1에 기재된 염기서열을 갖는 16s rRNA 유전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건강기능식품에 있어서, 상기 페디오코커스 악시딜락티시 PMC48는 수탁번호 KCCM14441BP로 기탁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건강기능식품'이란, 상기 페디오코커스 악시딜락티시 PMC48을 음료, 차류, 향신료, 껌, 과자류 등의 식품소재에 첨가하거나, 캡슐화, 분말화, 현탁액 등으로 제조한 식품으로, 이를 섭취할 경우 건강상 특정한 효과를 가져오는 것을 의미하나, 일반 약품과는 달리 식품을 원료로 하여 약품의 장기 복용 시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 등이 없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지는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일상적으로 섭취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높은 항산화 효과 및 피부 미백 효과를 기대할 수 있어 매우 유용하다.
본 발명에 따른 건강기능식품은 페디오코커스 악시딜락티시 PMC48을 식품에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성분의 혼합량은 그의 사용 목적(예방 또는 개선용)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건강기능식품 중의 상기 페디오코커스 악시딜락티시 PMC48의 양은 전체 식품 중량의 0.1 내지 90 중량부로일 수 있다. 그러나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양은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유효성분은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건강기능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건강기능식품의 종류 중 음료 조성물은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은 포도당, 과당과 같은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스, 슈크로스와 같은 디사카라이드, 및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과 같은 폴리사카라이드,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감미제로서는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과 같은 천연 감미제나, 사카린, 아스파르탐과 같은 합성 감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건강식품 조성물은 또한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또는 그 조합을 함유할 수 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또한, 천연 과일쥬스, 과일쥬스 음료,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 또는 그 조합을 함유할 수 있다.
제4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페디오코커스 악시딜락티시 PMC48(Pediococcus acidilactici PMC48) 또는 그의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멜라닌 색소 과다 침착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약제학적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페디오코커스 악시딜락티시 PMC48는 서열번호 1에 기재된 염기서열을 갖는 16s rRNA 유전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약제학적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페디오코커스 악시딜락티시 PMC48는 수탁번호 KCCM14441BP로 기탁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약제학적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멜라닌 색소 과다 침착 질환은 기미, 주근깨, 노인성 색소반 또는 일광흑색증(solar lentigines)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약제학적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희석제 또는 담체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희석제는 유당, 옥수수 전분, 대두유, 미정질 셀룰로오스, 또는 만니톨, 활택제로는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탈크, 또는 그 조합일 수 있다. 상기 담체는 부형제, 붕해제, 결합제, 활택제, 또는 그 조합일 수 있다. 상기 부형제는 미결정 셀룰로오즈, 유당, 저치환도 히드록시셀룰로오즈, 또는 그 조합일 수 있다. 상기 붕해제는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칼슘, 전분글리콜산 나트륨, 무수인산일수소 칼슘, 또는 그 조합일 수 있다. 상기 결합제는 폴리비닐피롤리돈, 저치환도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즈,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즈, 또는 그 조합일 수 있다. 상기 활택제는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이산화규소, 탈크, 또는 그 조합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제학적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 제형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경구 투여 제형은 과립제, 산제, 액제, 정제, 캅셀제, 건조시럽제, 또는 그 조합일 수 있다. 비경구 투여 제형은 주사제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한국전통효식품에서 멜라닌 분해 미생물의 동정
국내 각지에서 20 여종의 전통발효식품(고추장, 된장, 간장, 요거트, 치즈, 김치, 짱아찌 등)을 확보하여 미생물을 분리하였다. MRS(BD, 288210) 한천을 이용하여 총 252 종의 분리주를 배양하였으며, 제품별 및 형태별 중복 분리주를 제외하고는 49 종의 미생물을 수확하였다. 멜라닌을 분해할 수 있는 미생물을 멜라닌-함유 한천 배지와 함께 한천 웰 확산법을 사용하여 49 종의 미생물 중 깻잎 김치에서 유래한 분리물 PMC48을 최종 선발하여 동정 분석하였다. 상기 분리된 PMC48를 16S rRNA 유전자 서열을 사용하여 NCBI(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 참조 서열 데이터베이스와 비교한 결과, 페디오코커스 악시딜락티시(Pediococcus acidilactici) DSM 20284와 99.47%의 높은 상동성을 가지는 신규한 미생물로 동정되었다. 분리된 균주의 분석된 16S rRNA 염기서열은 서열번호 1과 같으며, 분자계통학적 위치를 나타내는 계통 발생적 분지도(phylogennmic tree)는 도 1과 같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균주를 페디오코커스 악시딜락티시(Pediococcus acidilactici) PMC48라 명명하였으며, 2021. 01. 11. 한국미생물보존센터(Korean Culture Center of Microorganism)에 수탁번호 KCCM14441BP로 기탁하였다.
실시예 2. P. acidilactici PMC48의 멜라닌분해 활성 확인
멜라닌 분해를 측정하기 위하여 한천 웰 확산법(agar well diffusion method) 및 시험관 액체배지 방법(tube broth method)을 적용하였다. 100 μl의 페디오코커스 악시딜락티시(P. acidilactici) PMC48 배양액을 0.2mg/ml 멜라닌을 함유하는 변형된 한천(Sigma Chemical Co., USA)에 첨가하였다. 20mM의 알부틴 및 하이드로퀴논을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24 시간 배양 후, 각 구멍 근처의 투명 영역을 확인하였다. 그 다음, 100μl의 P. acidilactici PMC48의 배양 및 배양 여과액을 0.2mg/ml 멜라닌 함유 10ml 변형된 브로스(Sigma Chemical Co.)에 첨가하였다. 20mM의 알부틴 및 하이드로퀴논을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37 ℃에서 72 시간 동안 진탕(120rpm)하면서 배양하고, 원심분리 후에 멜라닌의 양을 육안으로 확인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에 따른 P. acidilactici PMC48 배양액 및 배양 여과액의 경우 한천 웰 확산법을 통해 배양물 주변에 투명한 영역이 형성되어 균주가 멜라닌을 직접 분해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또한 시험관 액체배지 방법을 통해 멜라닌을 분해하여 멜라닌을 감소시킬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한편, 알부틴 및 하이드로퀴논의 경우 멜라닌 분해 효과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도 2).
실시예 3. P. acidilactici PMC48의 멜라닌 생합성 억제 효과 확인
P. acidilactici PMC48의 티로시나제 억제 효과는 L-3,4-디하이드록실-L-페닐알라닌(LDOPA)을 사용하는 티로시나제 억제제 실험을 수행하여 측정하고, 이를 대표적인 티로시나제 억제제인 알부틴의 효과와 비교하였다. 버섯 티로시나제(2,000 U/ml) (Sigma Chemical Co.)를 포함하는 0.05 M 인산염 완충액 수용액 15 μl를 96-웰 마이크로 플레이트에 255 μl의 0.1 M 인산 나트륨 완충액, 및 15 μl의 P. acidilactici PMC48 배양 여과액 함유하는 270μl 혼합물의 총 부피로 첨가하였다. 분석 혼합물을 30분 동안 37℃에서 배양하였다. 배양 후, 15μl의 10mM L-DOPA(Sigma Chemical Co.)를 96-웰 플레이트에 추가로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에서 생성된 도파크롬의 양을 마이크로 플레이트 판독기를 사용하여 490nm(OD490)에서 분광 광도계로 측정하였다. 티로시게나제 활성 (%)은 다음 방정식을 사용하여 계산하였다:
[(샘플 + 티로시나제) - (샘플 단독)] / (티로시나제) × 100.
그 결과, P. acidilactici PMC48 배양액은 알부틴 및 하이드로퀴논과 마찬가지의 티로시나제 억제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도 3).
실시예 4. P. acidilactici PMC48의 항산화 효과 확인
P. acidilactici PMC48의 항산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DPPH 라디칼 소거 실험을 수행하였다. 다양한 농도(1.56% 내지 100%)의 P. acidilactici PMC48(20μl)을 100mM Tris-HCl 완충액 (80μl, pH 7.4)과 혼합한 다음 100 μl의 100μM DPPH을 포함하는 에탄올(최종 농도 50μM)에 첨가하였다. 격렬하게 진탕한 후, 상기 혼합물을 30분 동안 실온의 어두운 곳에 두었다. 생성된 용액의 흡광도를 517 nm에서 분광 광도계로 측정하고,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은 대조군(0 % P. acidilactici PMC48)에 대한 백분율로 나타내었다. 그 결과, P. acidilactici PMC48 배양액의 DPPH 라디칼 소거 효과는 18.5%(p<0.01)인 것으로 확인되었다(도 4).
실시예 5. P. acidilactici PMC48의 미백 활성 확인
B16F10(Mus musculus skin melanoma) 세포를 한국세포주은행(Korean Cell Line Bank, KCLB)에서 입수하였다. 상기 세포를 2mM L-글루타민, 10 % 열-불활성화 소 태아 혈청(GIBCO) 및 1 %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이 보충된 DMEM(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GIBCO, USA)에서 37℃, 5% CO2로 완전히 가습된 공기 하에 배양하고, 주 2회 계대배양하였다. 본 연구에서 멜라닌 함량을 멜라닌생성의 지표로 사용하였다. 멜라닌 함량의 추정은 Bilodeau 등(2001)의 수정된 방법을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B16F10 세포를 6-웰 디쉬에 플레이팅하고 100 nM α-MSH의 존재 하에 24 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그 다음, 세포를 3.12% 농도의 P. acidilactici PMC48 배양 여과액 및 1 또는 2 mM의 알부틴과 함께 72 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PBS로 2회 세척한 후, 샘플을 100μl의 1N NaOH에 용해시켰다. 상기 샘플을 60℃에서 1시간 동안 배양하고 혼합하여 멜라닌을 가용화시켰다. 405 nm에서의 흡광도를 합성 멜라닌의 표준 곡선과 비교하였다. 그 결과, P. acidilactici PMC48 균주에 의하여 α-MSH(α-melanocyte-stimulating hormone)에 의해 활성화된 멜라닌 세포 B16F10에서 멜라닌의 양이 현저히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도 5).
실시예 6. P. acidilactici PMC48의 세포 독성 확인
B16F10의 세포 생존력 분석은 3-(4,5-디메틸티아졸-2-일)-2,5-디페닐테트라졸리움 브로마이드(MTT)를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B16F10를 96-웰 플레이트에 시딩하고, 24시간 동안 P. acidilactici 배양 여과액(1.56, 3.12, 6.25, 및 12.5%)에 노출시켰다. 그 다음, MTT 용액을 각 웰에 추가하였다. 세포내 탈수소효소에 의해 생성된 MTT의 불용성 유도체를 에탄올*?*DMSO(1:1 혼합 용액)으로 용해시켰다. 570nm에서 각 웰의 흡광도는 마이크로 플레이트 리더를 사용하여 판독하였다. 세균 배양 여과액 처리군의 MTT 양을 대조군과 비교하였다. 측정된 MTT의 더 높은 상대적인 양은 배양 여과액이 B16F10 세포에 대해 세포 독성이 없음을 나타낸다. 그 결과, P. acidilactici PMC48 균주는 세고 독성이 없는 안전한 균주임이 입증되었다(도 6).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 KCTC14441BP 20210111
<110> Soonchunhyang University Industry Academy Cooperation Foundation <120> Composition for skin whitening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use in preventing or treating disorders of Melanin Hyperpigmentation containing Pediococcus acidilactici PMC48 strain a culture medium thereof as an active ingredient <130> DP-2020-0326 <160> 1 <170> KoPatentIn 3.0 <210> 1 <211> 1577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diococcus acidilactici PMC48 <400> 1 taatatgaga gtttgatctt ggctcaggat gaacgctggc ggcgtgccta atacatgcaa 60 gtcgaacgaa cttccgttaa ttgattatga cgtgcttgca ctgaatgaga ttttaacacg 120 aagtgagtgg cggacgggtg agtaacacgt gggtaacctg cccagaagca ggggataaca 180 cctggaaaca gatgctaata ccgtataaca gagaaaaccg cctggttttc ttttaaaaga 240 tggctctgct atcacttctg gatggacccg cggcgcatta gctagttggt gaggtaacgg 300 ctcaccaagg cgatgatgcg tagccgacct gagagggtaa tcggccacat tgggactgag 360 acacggccca gactcctacg ggaggcagca gtagggaatc ttccacaatg gacgcaagtc 420 tgatggagca acgccgcgtg agtgaagaag ggtttcggct cgtaaagctc tgttgttaaa 480 gaagaacgtg ggtgagagta actgttcacc cagtgacggt atttaaccag aaagccacgg 540 ctaactacgt gccagcagcc gcggtaatac gtaggtggca agcgttatcc ggatttattg 600 ggcgtaaagc gagcgcaggc ggtcttttaa gtctaatgtg aaagccttcg gctcaaccga 660 agaagtgcat tggaaactgg gagacttgag tgcagaagag gacagtggaa ctccatgtgt 720 agcggtgaaa tgcgtagata tatggaagaa caccagtggc gaaggcggct gtctggtctg 780 taactgacgc tgaggctcga aagcatgggt agcgaacagg attagatacc ctggtagtcc 840 atgccgtaaa cgatgattac taagtgttgg agggtttccg cccttcagtg ctgcagctaa 900 cgcattaagt aatccgcctg gggagtacga ccgcaaggtt gaaactcaaa agaattgacg 960 ggggcccgca caagcggtgg agcatgtggt ttaattcgaa gctacgcgaa gaaccttacc 1020 aggtcttgac atcttctgcc aacctaagag attaggcgtt cccttcgggg acagaatgac 1080 aggtggtgca tggttgtcgt cagctcgtgt cgtgagatgt tgggttaagt cccgcaacga 1140 gcgcaaccct tattactagt tgccagcatt cagttgggca ctctagtgag actgccggtg 1200 acaaaccgga ggaaggtggg gacgacgtca aatcatcatg ccccttatga cctgggctac 1260 acacgtgcta caatggatgg tacaacgagt cgcgaaaccg cgaggtttag ctaatctctt 1320 aaaaccattc tcagttcgga ctgtaggctg caactcgcct acacgaagtc ggaatcgcta 1380 gtaatcgcgg atcagcatgc cgcggtgaat acgttcccgg gccttgtaca caccgcccgt 1440 cacaccatga gagtttgtaa cacccaaagc cggtggggta accttttagg agctagccgt 1500 ctaaggtggg acagatgatt agggtgaagt cgtaacaagg tagccgtagg agaacctgcg 1560 gctggatcac ctccttt 1577

Claims (15)

  1. 페디오코커스 악시딜락티시 PMC48(Pediococcus acidilactici PMC48) 또는 그의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용 또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페디오코커스 악시딜락티시 PMC48는 서열번호 1에 기재된 염기서열을 갖는 16s rRNA 유전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페디오코커스 악시딜락티시 PMC48는 수탁번호 KCCM14441BP로 기탁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유연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아이 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포옴, 클렌징 워터, 팩, 스프레이 또는 파우더로 제형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5. 페디오코커스 악시딜락티시 PMC48(Pediococcus acidilactici PMC48) 또는 그의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용 또는 피부 미백용 피부외용제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페디오코커스 악시딜락티시 PMC48는 서열번호 1에 기재된 염기서열을 갖는 16s rRNA 유전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인, 피부외용제 조성물.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페디오코커스 악시딜락티시 PMC48는 수탁번호 KCCM14441BP로 기탁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인, 피부외용제 조성물.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외용제는 크림, 겔, 연고, 피부 유화제, 피부 현탁액, 경피전달성 패치, 약물 함유 붕대, 로션, 또는 그 조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인, 피부외용제 조성물.
  9. 페디오코커스 악시딜락티시 PMC48(Pediococcus acidilactici PMC48) 또는 그의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용 또는 피부 미백용 건강기능식품.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페디오코커스 악시딜락티시 PMC48는 서열번호 1에 기재된 염기서열을 갖는 16s rRNA 유전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인, 건강기능식품.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페디오코커스 악시딜락티시 PMC48는 수탁번호 KCCM14441BP로 기탁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인, 건강기능식품.
  12. 페디오코커스 악시딜락티시 PMC48(Pediococcus acidilactici PMC48) 또는 그의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멜라닌 색소 과다 침착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페디오코커스 악시딜락티시 PMC48는 서열번호 1에 기재된 염기서열을 갖는 16s rRNA 유전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인, 약제학적 조성물.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페디오코커스 악시딜락티시 PMC48는 수탁번호 KCCM14441BP로 기탁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인, 약제학적 조성물.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멜라닌 색소 과다 침착 질환은 기미, 주근깨, 노인성 색소반 또는 일광흑색증(solar lentigine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인, 약제학적 조성물.
KR1020210009310A 2021-01-22 2021-01-22 페디오코커스 악시딜락티시 pmc48 또는 그의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및 멜라닌 색소 과다 침착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KR1024428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9310A KR102442861B1 (ko) 2021-01-22 2021-01-22 페디오코커스 악시딜락티시 pmc48 또는 그의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및 멜라닌 색소 과다 침착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9310A KR102442861B1 (ko) 2021-01-22 2021-01-22 페디오코커스 악시딜락티시 pmc48 또는 그의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및 멜라닌 색소 과다 침착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6421A true KR20220106421A (ko) 2022-07-29
KR102442861B1 KR102442861B1 (ko) 2022-09-14

Family

ID=826067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9310A KR102442861B1 (ko) 2021-01-22 2021-01-22 페디오코커스 악시딜락티시 pmc48 또는 그의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및 멜라닌 색소 과다 침착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286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7172A (ko) * 2021-02-16 2022-08-23 주식회사 종근당바이오 피부 미백, 콜라겐 생성, 항산화 및/또는 항균 활성을 갖는 더마코커스 속 기능성 신규 균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3559B1 (ko) * 2023-03-08 2023-05-18 (주)바이오시엠 피부 과색소침착을 개선하는 화장품 조성물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4668B1 (ko) * 2015-07-27 2016-06-30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겨우살이의 발효된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또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1796955B1 (ko) * 2016-07-20 2017-11-13 인코스(주) 유산균을 이용한 지유 및 필발 복합발효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90043738A (ko) * 2017-10-19 2019-04-29 주식회사 삼성인터네셔널 기미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01992B1 (ko) * 2018-06-20 2019-07-19 재단법인 발효미생물산업진흥원 면역 활성, 항바이러스 활성 및 프로바이오틱스 특성을 갖는 페디오코커스 애시디락티시 srcm102607 균주 및 이의 용도
KR20200129695A (ko) * 2019-05-09 2020-11-18 재단법인 환동해산업연구원 해방풍 추출물의 유산균 발효물, 그 제조방법 및 용도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4668B1 (ko) * 2015-07-27 2016-06-30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겨우살이의 발효된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또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1796955B1 (ko) * 2016-07-20 2017-11-13 인코스(주) 유산균을 이용한 지유 및 필발 복합발효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90043738A (ko) * 2017-10-19 2019-04-29 주식회사 삼성인터네셔널 기미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01992B1 (ko) * 2018-06-20 2019-07-19 재단법인 발효미생물산업진흥원 면역 활성, 항바이러스 활성 및 프로바이오틱스 특성을 갖는 페디오코커스 애시디락티시 srcm102607 균주 및 이의 용도
KR20200129695A (ko) * 2019-05-09 2020-11-18 재단법인 환동해산업연구원 해방풍 추출물의 유산균 발효물, 그 제조방법 및 용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7172A (ko) * 2021-02-16 2022-08-23 주식회사 종근당바이오 피부 미백, 콜라겐 생성, 항산화 및/또는 항균 활성을 갖는 더마코커스 속 기능성 신규 균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2861B1 (ko) 2022-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854379A1 (en)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centella asiatica adventitious root extract as effective ingredient for skin whitening and wrinkle reduction
KR101811034B1 (ko) 율피 효소 분해물의 발효물을 포함하는 미백용 조성물
KR102442861B1 (ko) 페디오코커스 악시딜락티시 pmc48 또는 그의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및 멜라닌 색소 과다 침착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KR102553057B1 (ko) 피부 유래 유산균을 포함하는 항산화, 항염 및 미백용 조성물
KR20210108911A (ko) 로즈마리 이온성 액체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또는 미백용 조성물
KR101453258B1 (ko) 발효홍삼, 동과자 및 아피오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미용증진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KR102365655B1 (ko) 콩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주름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20160090098A (ko) 다량의 폴리페놀 성분을 함유하는 연자방 추출물을 이용한 항노화 및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1429117B1 (ko) 복숭아 꽃받침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1863895B1 (ko) 노루궁뎅이버섯 균사체를 이용하여 발효시킨 초석잠 추출물의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JP3818483B2 (ja) 経口用メラニン生成抑制組成物及び美白効果を有する食品
KR20200074361A (ko) 황기를 발효시킨 황기 발효물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및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
KR20190083265A (ko) 발효된 선복화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탄력 증진 또는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20190077156A (ko) 흰점박이꽃무지유충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20424B1 (ko) 백합 추출물 및 삼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름 개선 및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1551106B1 (ko) 참새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20140117168A (ko) 효소처리 타나까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KR20220057360A (ko) 히비스커스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용 개선용 조성물
KR20210069823A (ko) 화장품에 이용가능한 미백 기능성 새싹삼 발효추출물
JP7477129B2 (ja) 皮膚外用剤
KR101873244B1 (ko) 발아 오미자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방지 및 항염 조성물
KR102239470B1 (ko) 항산화 활성이 증진된 발효 흑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2226346B1 (ko) 백미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2495402B1 (ko) 버크홀데리아 비에트나미엔시스 균주 및 그의 모발 또는 두피 상태 개선 용도
JP4136206B2 (ja) 化粧料、医薬部外品、医薬品、食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