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46630A - 지실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가려움증 완화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지실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가려움증 완화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46630A
KR20000046630A KR1019980063327A KR19980063327A KR20000046630A KR 20000046630 A KR20000046630 A KR 20000046630A KR 1019980063327 A KR1019980063327 A KR 1019980063327A KR 19980063327 A KR19980063327 A KR 19980063327A KR 20000046630 A KR20000046630 A KR 200000466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quantity quantity
composition
fruit
histam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633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성욱
최영호
Original Assignee
성재갑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재갑,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성재갑
Priority to KR10199800633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46630A/ko
Publication of KR200000466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46630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5Rutaceae (Rue family)
    • A61K36/752Citrus, e.g. lime, orange or lem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04Antipruri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mixed solvents, e.g. 70% EtO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10General cosmetic us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rd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 가려움의 주된 기전인 히스타민(histamine)의 유리를 억제하여 벌레물림이나 여러 피부 질환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가려움증을 완화시켜주며, 더불어 알러젠 반응에 대한 억제 능력이 우수한 지실(枳實; ponciri fructus) 추출물을 함유한 여러 가지 피부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를 위하여 지실 추출물이 조성물 내에 0.01∼10 중량% 포함되어 히스타민 유리 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가려움증 예방 및 완화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지실 추출물을 함유한 조성물은 히스타민 유리 억제 효과가 우수하여 피부 가려움증 예방 및 완화에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지실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가려움증 완화용 조성물
[산업상 이용분야]
본 발명은 피부 가려움의 주된 기전인 히스타민(histamine)의 유리를 억제하여 벌레물림이나 여러 피부 질환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가려움증을 완화시켜주며, 더불어 알러젠 반응에 대한 억제 능력이 우수한 지실(枳實; ponciri fructus) 추출물을 함유한 여러 가지 피부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
가려움증(itch)은 긁고 싶어지는 피부의 느낌으로 정의된다. 이는 여러 가지 피부병의 호발하는 증세이며, 몇몇 환자에게는 매우 심각한 증세로 나타나기도 한다.
지금까지 밝혀진 바에 의하면 가려움증을 감지하는 특정한 수용기는 없으며, 국부적인 통증과 같이 상피세포나 진피와 표피사이의 간극(dermo-epidermal junction)에 존재하는 불특정한 자율 신경 말단에 의한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가려움증은 매우 국소적인 피부의 물리적인 자극에 의해 생산되며, 대규모의 자극은 가려움증의 인지를 못하게 하는 억제자로서 작용된다. 긁는 행위는 유수화(myelination)된 'A' 섬유세포를 통한 중앙 억제 기전(central inhibitory mechanism)을 활성화시킴으로써 가려움을 누그러뜨리는 하나의 반응 현상이다.
통증과 같이 가려움증은 척수(spinal cord)의 배측(dorsal horn)을 통한 유수화되지 않은 유해 수용기(nociceptor) 'C' 섬유세포의 느린 흐름을 통하여 전달된다. 통증을 전달하는 유해 수용기와 가려움증을 전달하는 유해 수용기가 동일한지 아닌지는 아직은 논쟁상에 있다. 일단은 가려움증과 통증은 동일한 뉴런(neuron)을 따라 전달되는 것으로 보여진다.
그러나 중앙신경계에서의 상이한 흥분과 억제 기전에 의해 그들은 완전히 다른 감각으로 느껴지게 된다. 가려움증의 감지는 주로 배측(dorsal horn)의 실질적인 교양질(膠樣質 : gelatinosa)에 위치한 흥분 및 억제 신경류(neuronal circuit)에 의한 중앙 조절에 의하며, 오피오이드(opioid)계에 의해 이루어진다.
모르핀(morphine)류의 경뇌막외(硬腦膜外) 흡수(morphine epidural) 후의 극심한 가려움증은 잘 알려진 현상으로, 이는 날옥손(naloxone)에 의하여 길항작용(antagonization)될 수 있으며, 이는 중앙신경계에 μ-오피오이드 수용체가 존재하기 때문이다.
염증성 피부질환에서의 가려움증은 히스타민 프로티에이즈(histamine protease), 인터루킨-2(interleukin-2), 섭스탄스 피(substance P), 오피오이드 펩타이드 등의 경우도 그 자체로는 중개체로서의 역할을 하지는 못하지만 히스타민의 활동을 강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히스타민은 이들 중 가려움증과 통증을 매개하는 가장 잘 알려진 물질로서 주로 비만세포(mast cell)로부터 유리되며, 높은 친화력을 갖는 에프씨입실론알Ⅰ알파(FCεRⅠα) 수용체의 교차결합(crosslinking)에 의해 유리된다. 또한 히스타민은 에프씨입실론Ⅰ알파 수용체와는 별도로 섭스탄스 피, 스템 셀 팩터(stem cell factor : c-kit ligand), 바소액티브 인테스티널 펩타이드(vasoactive intestinal peptide) 등의 염증 매개체에 의해서도 피부 비만 세포로부터 유리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에서와 같이 현재까지 알려진 가려움증의 발생기전을 토대로 하여 잘 알려진 히스타민의 유리억제를 가려움증 억제 기전의 주된 메카니즘으로 하여 여러 가지 천연물을 대상으로 연구하여 인공적으로 가려움증 유발물질을 첨가한 쥐에서 히스타민의 유리를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지실(枳實) 추출물을 발견한 것이며, 이를 함유한 피부 가려움증 완화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지실 추출물을 조성물내에 0.01∼10 중량% 포함한 가려움증의 예방 및 완화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에서 지실 추출물은 a)지실을 정제하고 분말화하는 단계; b) 분말화된 지실을 추출 용매로 상온에서 냉침하여 추출하는 단계; c) 추출 원액을 여과하는 단계; d) 여과된 추출 원액을 농축하는 단계; 및 e) 농축된 추출 원액을 동결건조하여 건조분말로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제조된다.
또한 상기에서 추출 용매가 정제수,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글리세롤,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메틸아세테이트, 에틸아세테이트, 벤젠, 헥산, 디에틸에테르, 디클로로메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 종 이상 선택된다.
본 발명의 지실(枳實)은 폰시루스 트리폴리아타(poncirus trifoliata)이며, 탱자나무의 채익지 않은 열매로서 생약명은 폰시리 프룩투스(ponciri fructus)이다. 산지는 한국, 중국, 일본이며, 성상은 대부분 반구형이며, 지름은 1∼4 cm 정도이다.
지실의 외면은 녹갈색 또는 갈색이며, 거칠고 오목한 작은 점이 많으며, 내면은 더러운 흰색 또는 회갈색으로서 중심부로부터 방사상으로 8∼16 개의 작은 방으로 이루어지며, 각 방은 말라서 황갈색을 띄며 오목하게 들어가고 간혹 덜익은 씨가 들어있다. 또한 지실은 향기가 있으며 맛이 쓰다.
지실의 대표적인 주성분은 정유(精油)로서 (+)-리모넨(limonene), 리날로올(linalool), 시트랄(citral) 등이 있으며, 주로 과피(果皮)에 함유된 플라보노이드(flavonoids)류로서 헤스페리딘(hesperidin), 네오헤스페리딘(neohesperidin), 나링긴( naringin), 폰시린(poncirin) 등이 있으며, 쿠마린(coumarin)류로서 움벨리페론(umbilliferone), 아우랍텐(auraptene), 시트롭텐(citroptene), 임페라토린(imperatorin), 이소임페라토린(isoimperatorin), 이소폰시마린(isoponcimarin) 등이 있다. 또한 기타 물질로서 시트릭산(citric acid), (-) 시네프핀(synephrine) 등이 있다.
지실의 약리 작용은 적출장관 운동억제 작용 및 항알러지 작용이 있으며, 응용 측면에서는 방향성 고미 건위약, 한방에서 배농산(排膿散), 사역산(四逆散) 등에 배합된다.
지실의 확인 시험은 지실 추출물 분말 0.5 g에 메탄올 10 ㎖를 넣고 2 분간 끓인 다음 여과한 여액 5 ㎖에 마그네슘 분말(Mg powder) 및 염산 1 ㎖를 넣고 방치할 때 자색이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한다(K.P.Ⅲ).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이 지실을 추출하고, 이 추출물을 전신세정제(body cleanser), 세안제, 비누, 크림 등의 조성물에 포함시켜 가려움증 및 알러지 유발에 대한 완화력 평가를 실시한 결과 지실 추출물을 함유한 조성물들이 피부발적 등의 부작용이 나타나지 않으면서 가려움증 완화 효과는 우수한 것을 알아내었다.
또한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에 기재된 전신 세정제, 세안제, 비누, 크림 또는 기초 화장품으로서의 폼 클렌징, 로션, 에센스 조성물 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피부용 조성물에 적용된다.
이러한 결과에 의하여 지실 추출물을 함유한 조성물에 있어서, 과지방을 함유하지 않은 일반적인 제품의 베이스를 기본으로 하며, 각각의 조성물 내에 지실 추출물 건조 분말을 0.01∼10 중량% 포함하는 가려움증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을 보다 용이하게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전신세정제, 세안제 및 비누는 전신세정제, 세안제 및 비누 베이스에 지실 추출물을 함유시키며, 효과를 상승시키고, 염증을 억제할 수 있는 물질인 살리실산(salicylic acid), 글리치레티닉 산(glycyrrhetinic acid) 등을 첨가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향료, 색소, 살균제, 산화방지제, 방부제, 보습제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점증제, 무기염류, 합성 고분자 물질 등을 물성 개선을 위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크림은 일반적인 수중유형(oil/water)의 베이스에 지실 추출물을 함유시키고 향료, 색소, 산화방지제, 방부제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물성개선을 위하여 합성 또는 천연 소재를 사용할 수가 있다.
이하의 실시예와 비교예에 의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단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지실 추출물의 제조
지실을 정제하고, 분말화하여 10 배량의 추출용매에서 5 일간 냉침한 후 추출 원액을 여과, 농축 및 동결 건조하여 지실 추출물 건조 분말을 얻었다.
이때 사용한 추출 용매는 정제수,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글리세롤,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메틸아세테이트, 에틸아세테이트, 벤젠, 헥산, 디에틸에테르, 디클로로메탄 중에서 하나 또는 2 종류 이상을 혼합하여 추출에 사용하였다.
지실 추출물의 히스타민 유리 억제력 평가 실험
히스타민 유리 억제력 평가를 위한 실험 동물 쥐는 sprague-dawley(male, 6 주 생)이며, 히스타민 유리 유발 물질로는 컴파운드 48/80(compound 48/80)을 사용하였다. 실험 동물의 등 부분의 피부에 주사할 4 위치를 선정하고 각 위치에 컴파운드 48/80과 여러 농도의 지실 추출물을 4 위치 중 두 위치에, 나머지 두 위치에는 컴파운드 48/80만을 주사하였다.
지실 추출물은 추출 용매로서 물과 70 % 에탄올을 사용하여 각각 1.0 중량%, 0.1 중량%, 0.01 중량%, 0.0001 중량% 의 농도로 조성물 내에 포함시켰다.
주사된 실험동물의 꼬리 부분에 히스타민을 염색하는 시약인 3 % 에반스 블루(Evans blue)를 200 ㎕ 정맥주사한 후 1 시간 동안 방치하였으며, 그 후 치사시켜 표피를 벗겨내고 푸르게 염색된 부분만을 칼로 잘라내고 1 N KOH 용액 1 ㎖ 에 담그고 37 ℃에서 장시간 반응시켜서 조직을 녹여내었다. 여기에 0.6 M 인산용액(phosphoric acid)과 아세톤을 5 : 13 의 중량비로 혼합한 용액을 9 ㎖ 가하고, 원심분리하여 조직 잔여물을 제거하고 상등액을 620 ㎚에서 스펙트로포토미터(spectrophotometer)로 측정하여 식 1에 따라서 억제율을 구하엿다.
[식 1]
억제율(%) = [(A - B) / A] x 100
상기식에서,
A 는 추출물 미첨가시의 에반스 플루에 염색된 히스타민의 양이고, B 는 추출물 첨가시의 에반스 블루에 염색된 히스타민의 양이다.
상기 억제율 계산 방법에 의한 시험 결과는 하기 표 1과 같다.
[표 1]
지실 추출물 농도(%) 1 0.1 0.01 0.001
물추출물의 억제율(%) 99.07 71.34 46.21 12.54
에탄올(70 %)의 억제율(%) 91.76 77.93 47.89 13.26
실시예 2∼5, 비교예 1∼4
전신 세정의 제조
전신 세정제 베이스(수분 포함)와 지실 추출물의 건조분말을 하기 표 2의 조성비로 혼합기에서 교반, 가열, 냉각 등의 과정을 거쳐서 조성 물질이 균일하게 혼합하여 전신 세정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표 2]
구 분원료(중량%)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N-라우릴-L-글루타민산 트리에탄올아민(30 % 수용액) 20 20 20 20 20 20 20 20
N-라우릴메틸타우린나트륨(30 % 수용액) 10 10 10 10 10 10 10 10
라우린산트리에탄올아민 10 10 10 10 10 10 10 10
미리스틴산트리에탄올아민 10 10 10 10 10 10 10 10
라우릴이미다졸리니움베타인 5 5 5 5 5 5 5 5
프로필렌글리콜 5 5 5 5 5 5 5 5
지실 추출물(물 추출물) 10 1 0.1 0.01 0.001 0.0001 0 20
정제수 23 32 32.90 32.99 33 33 33 33
향 료(외삽)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색 소(외삽)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금속이온봉쇄제,방부제(외삽)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전신 세정제 조성물의 국부 도포에 의한 히스타민 유리 억제 실험
상기 실시예, 비교예에서 제조된 전신 세정제 조성물들에 대한 가려움증 예방 및 치료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실험동물(sprague-dawley) 등 부위의 지정된 위치에 각 조성물을 1 일 2 회씩 3 일간 도포하고 30 분 방치한 뒤 씻어내고 그 위치에 컴파운드 48/80을 주사하고, 3 % 에반스 블루 시약을 실험동물의 꼬리부분에 정맥 주사하였다. 1 시간 방치후 치사시켜 염색된 부위를 추출하여 히스타민 유리 억제율을 계산식 2 에 의하여 평가하였다.
[계산식 2]
히스타민 유리 억제율(%) = (C- D) / C x 100
C 는 조성물을 첨가하지 않은 부위의 에반스 블루 염색량이고, D 는 세안액을 첨가한 부위의 에반스 블루 염색량이다.
히스타민의 유리 억제율은 20 % 이상의 결과가 있어야 가려움증 완화 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였고, 그 결과는 표 3에 나타내었다.
[표 3]
구 분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히스타민 유리 억제율(%) 98.4 81.3 53.4 21.2 5.43 0.00 0.00 99.6
제조 작업성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불량
상기 표 2, 3 에서와 같이 지실 추출물을 함유한 전신 세정제가 지실 함유하지 않은 전신 세정제보다 히스타민 유리 억제력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실 추출물 0.01 중량% 미만을 첨가할 때는 억제력이 다소 낮게 나타났으며, 10 중량%를 초과한 첨가는 억제력은 우수하지만 제조상에 어려움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전신 세정제 조성물 내에서의 지실 추출물 함량은 0.01∼10 중량% 범위 내에서 히스타민 유리 억제력 및 작업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6∼9, 비교예 5∼8
세안제의 제조
세안제 베이스(수분 포함)와 지실 추출물의 건조분말을 하기 표 4의 조성비로 호모믹서(homo mixer)에서 교반, 가열, 냉각 등의 과정을 거쳐서 조성 물질이 균일하게 혼합된 세안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표 4]
구분원료(중량%) 실시예 6 실시예 7 실시예 8 실시예 9 비교예 5 비교예 6 비교예 7 비교예 8
글리세린 5 5 5 5 5 5 5 5
모노알킬포스페이트 40 40 40 40 40 40 40 40
50% 수산화나트륨수용액 15 15 15 15 15 15 15 15
미리스틴산 5 5 5 5 5 5 5 5
지실 추출물 10 1 0.1 0.01 0.001 0.0001 0 20
정 제 수 25 34 34 34.99 34.999 34.9999 35 15
향 료(외삽)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색 소(외삽)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세안제 조성물의 국부 도포에 의한 히스타민 유리 억제 실험
상기에서 제조된 세안제 조성물들에 대한 가려움 증 예방 및 치료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실시예 2∼6 과 같이 히스타민 유리 억제율을 평가하였다.
히스타민의 유리 억제율은 20 % 이상의 결과가 있어야 가려움증 완화 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였고, 그 결과는 표 5에 나타내었다.
[표 5]
구 분 실시예 6 실시예 7 실시예 8 실시예 9 비교예 5 비교예 6 비교예 7 비교예 8
히스타민 유리 억제율(%) 97.6 78.3 50.2 23.1 8.13 0.00 0.00 99.8
제조 작업성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불량
상기 표 4, 5 에서와 같이 지실 추출물을 함유한 세안제가 지실 함유하지 않은 세안제보다 히스타민 유리 억제력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실 추출물 0.01 중량% 미만을 첨가할 때는 억제력이 다소 낮게 나타났으며, 10 중량%를 초과한 첨가는 억제력은 우수하지만 제조상에 어려움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세안제 조성물 내에서의 지실 추출물 함량은 0.01∼10 중량% 범위 내에서 히스타민 유리 억제력 및 작업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10∼13, 비교예 9∼12
비누의 제조
비누 베이스(수분 및 각종 첨가제 포함)와 지실 추출물의 건조분말을 하기 표 6의 조성비로 혼합기에서 잘 혼합한 후, 비누 제조기에서 압출, 절단, 형타하여 고형 비누 조성물을 제조하였으며, 상기의 지실 추출물을 일반 비누 뿐만 아니라 통상의 비누 제조 방법에 의하여 합성 비누와 복합비누에도 포함하여 제조할 수 있었다.
[표 6]
구분원료(중량%) 실시예 10 실시예 11 실시예 12 실시예 13 비교예 9 비교예 10 비교예 11 비교예 12
비누 베이스(수분 13 % 포함) 90 99 99.90 99.99 99.999 99.9999 100 80
지실 추출물 10 1 0.1 0.01 0.001 0.0001 0 20
향 료(외삽)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색 소(외삽)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산화방지제(외삽)(EDTA)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비누 조성물의 국부 도포에 의한 히스타민 유리 억제 실험
상기에서 제조된 비누 조성물들에 대한 가려움 증 예방 및 치료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실시예 2∼6 과 같이 히스타민 유리 억제율을 평가하였다.
히스타민의 유리 억제율은 20 % 이상의 결과가 있어야 가려움증 완화 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였고, 그 결과는 표 7에 나타내었다.
[표 7]
구 분 실시예 10 실시예 11 실시예 12 실시예 13 비교예 9 비교예 10 비교예 11 비교예 12
히스타민 유리 억제율(%) 88.9 54.8 31.7 20.1 4.13 0.00 0.00 95.8
제조 작업성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불량
상기 표 6, 7 에서와 같이 지실 추출물을 함유한 비누가 지실 함유하지 않은 비누보다 히스타민 유리 억제력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실 추출물 0.01 중량% 미만을 첨가할 때는 억제력이 다소 낮게 나타났으며, 10 중량%를 초과한 첨가는 억제력은 우수하지만 제조상에 어려움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비누 조성물 내에서의 지실 추출물 함량은 0.01∼10 중량% 범위 내에서 히스타민 유리 억제력 및 작업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14∼17, 비교예 13∼16
크림의 제조
크림 베이스인 유성성분, 수성성분, 계면활성제 등의 조합물과 지실 추출물의 건조분말을 하기 표 8의 조성비로 혼합기에서 잘 유화시키고, 탈기, 여과, 냉각하여 크림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조성에는 첨가제로서 방부체, 킬레이트제, 향료 및 색소가 첨가되었으며, 적은 양의 유성성분이 존재하도록 처방은 수중유형(oil/water)으로 제조하였으며, 상기의 지실 추출물을 세안제, 폼 클렌징, 로션, 에센스 등의 기초 화장품에 첨가하여 가려움증 예방 및 치료제로서 제조할 수 있었다.
[표 8]
구분원료(중량%) 실시예 14 실시예 15 실시예 16 실시예 17 비교예 13 비교예 14 비교예 15 비교예 16
스테아린산 8 8 8 8 8 8 8 8
스테아릴알코올 4 4 4 4 4 4 4 4
스테아린산부틸 6 6 6 6 6 6 6 6
프로필렌글리콜 5 5 5 5 5 5 5 5
모노스테아린산글리세린 2 2 2 2 2 2 2 2
수산화칼륨 0.40 0.40 0.40 0.40 0.40 0.40 0.40 0.40
지실 추출물 10 1 0.1 0.01 0.001 0.0001 0 20
정 제 수 64.60 73.60 74.50 74.59 74.599 74.5999 74.60 54.60
향 료(외삽)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색 소(외삽)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방 부 제(외삽)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크림 조성물의 국부 도포에 의한 히스타민 유리 억제 실험
상기에서 제조된 크림 조성물들에 대한 가려움 증 예방 및 치료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실시예 2∼6 과 같이 히스타민 유리 억제율을 평가하였다.
히스타민의 유리 억제율은 20 % 이상의 결과가 있어야 가려움증 완화 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였고, 그 결과는 표 9에 나타내었다.
[표 9]
구 분 실시예 14 실시예 15 실시예 16 실시예 17 비교예 13 비교예 14 비교예 15 비교예 16
히스타민 유리 억제율(%) 99.8 84.7 65.7 45.4 20.1 0.00 0.00 99.9
제조 작업성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불량
상기 표 8, 9 에서와 같이 지실 추출물을 함유한 크림이 지실 함유하지 않은 크림보다 히스타민 유리 억제력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실 추출물 0.01 중량% 미만을 첨가할 때는 억제력이 다소 낮게 나타났으며, 10 중량%를 초과한 첨가는 억제력은 우수하지만 제조상에 어려움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크림 조성물 내에서의 지실 추출물 함량은 0.01∼10 중량% 범위 내에서 히스타민 유리 억제력 및 작업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발명의 지실 추출물을 0.01∼10 중량% 포함한 조성물은 히스타민 유리 억제 효과가 우수하여 피부 가려움증 예방 및 완화에 사용될 수 있다.

Claims (3)

  1. 지실 추출물이 함유되어 히스타민 유리 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피부 가려움증 예방 및 완화용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실 추출물이 조성물 내에 0.01∼10 중량% 포함되는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실 추출물이
    a) 정제한 지실을 분말화하는 단계;
    b) 분말화된 지실을 정제수,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글리세롤,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메틸아세테이트, 에틸아세테이트, 벤 젠, 헥산, 디에틸에테르, 디클로로메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 종 이상 선택되는 추출 용매로 상온에서 냉침하여 추출하는 단계;
    c) 추출 원액을 여과하는 단계;
    d) 여과된 추출 원액을 농축하는 단계; 및
    e) 농축된 추출 원액을 동결건조하여 건조분말로 제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제조되는 조성물.
KR1019980063327A 1998-12-31 1998-12-31 지실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가려움증 완화용 조성물 KR2000004663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63327A KR20000046630A (ko) 1998-12-31 1998-12-31 지실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가려움증 완화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63327A KR20000046630A (ko) 1998-12-31 1998-12-31 지실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가려움증 완화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6630A true KR20000046630A (ko) 2000-07-25

Family

ID=195699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63327A KR20000046630A (ko) 1998-12-31 1998-12-31 지실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가려움증 완화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46630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9133A (ko) * 2002-07-22 2004-01-31 황기출 한약재를 이용한 한방엑기스
KR100526992B1 (ko) * 2002-08-21 2005-11-09 주식회사 렉스진바이오텍 탱자 추출발효물 및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감염 질환의치료용 조성물
WO2015002393A1 (ko) * 2013-07-03 2015-01-08 바이오스펙트럼(주) 감귤 미성숙과 추출물, 또는 시네프린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피부질환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20180120660A (ko) * 2016-06-16 2018-11-06 이경애 탱자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진균 및 항균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9133A (ko) * 2002-07-22 2004-01-31 황기출 한약재를 이용한 한방엑기스
KR100526992B1 (ko) * 2002-08-21 2005-11-09 주식회사 렉스진바이오텍 탱자 추출발효물 및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감염 질환의치료용 조성물
WO2015002393A1 (ko) * 2013-07-03 2015-01-08 바이오스펙트럼(주) 감귤 미성숙과 추출물, 또는 시네프린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피부질환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US10130670B2 (en) 2013-07-03 2018-11-20 Biospectrum, Inc. Composition for treating or preventing inflammatory skin disease, comprising, as active ingredient, immature citrus fruit extract, or synephrine or salt thereof
KR20180120660A (ko) * 2016-06-16 2018-11-06 이경애 탱자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진균 및 항균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3190809A (ja) 肌荒れ防止改善剤
KR20070079596A (ko) 피부질환 치료 보조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101189989B1 (ko) 문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323998B1 (ko) 금화규꽃 추출물 및 히비스커스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980008238A (ko) 5α-리덕타아제의 활성 억제작용과 프로피오니박테리움아크네스에 항균작용을 갖는 조성물
KR101862646B1 (ko) 약용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보습용 비누 조성물
AU576133B2 (en) Skin regenerating cosmetic composition
JPH09118611A (ja) 化粧料
KR20190010482A (ko) 플로로탄닌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백모 방지 및 흑모 촉진용 조성물 및 제품
KR20000046630A (ko) 지실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가려움증 완화용 조성물
KR100564225B1 (ko) 사간, 청피, 지유, 사상자, 오미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무좀,습진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2221627B1 (ko) 붉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JP2000191513A (ja) アガリクス茸抽出液を含有する皮膚洗浄料
JPH06305978A (ja) チロシナーゼ阻害剤、美白化粧品および変色防止剤
KR102379698B1 (ko) 왕불유행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 또는 재생용 조성물
Shakeena et al. Formulation and evaluation of aloe vera gel shampoo
KR20150011644A (ko) 항산화, 미백 및 항염용 한방 화장료 조성물
KR102177613B1 (ko) 민들레, 금은화 및 들깨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슬리밍 화장료 조성물
KR20010081417A (ko) 사상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가려움증 완화용 조성물
JP2001151659A (ja) プロテアーゼ阻害剤およびそれを配合した皮膚外用剤
KR101816816B1 (ko) 금은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관신생, 미백 및 항염용 조성물
KR101790250B1 (ko) 약용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비누 조성물
KR100331675B1 (ko) 피부외용제
JPH0667817B2 (ja) アスパラガスサポニン含有化粧品組成物
KR102366234B1 (ko) 데스모디움 스컥스(Desmodium sequax Wall) 유래의 피부 주름 개선효과를 보이는 용매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