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3998B1 - 금화규꽃 추출물 및 히비스커스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금화규꽃 추출물 및 히비스커스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3998B1
KR102323998B1 KR1020200006223A KR20200006223A KR102323998B1 KR 102323998 B1 KR102323998 B1 KR 102323998B1 KR 1020200006223 A KR1020200006223 A KR 1020200006223A KR 20200006223 A KR20200006223 A KR 20200006223A KR 102323998 B1 KR102323998 B1 KR 1023239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flower
hibiscus
geumhwagyu
alcoh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62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90629A (ko
Inventor
박승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브라이언스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브라이언스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브라이언스랩
Publication of KR202000906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06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39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39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4Products or compounds obtained by lyophilisation, freeze-dry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Der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금화규꽃 추출물 및 히비스커스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등은 피부 미용에 좋은 금화규꽃과 히비스커스 열매(총포)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함으로써, 피부 미용 효과를 개선하며, 사용자의 만족 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금화규꽃 추출물 및 히비스커스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HIBISCUS FLOWER EXTRACTS AND HIBISCUS FRUIT EXTRACTS AND PREPARATION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은 피부미용에 좋은 금화규꽃 추출물 및 히비스커스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인체의 일차 방어막으로서 체내의 기관들을 온도 또는 습도 변화, 자외선 및 공해물질 등 외부환경의 자극으로부터 보호해 주며, 체온조절 등의 생체 항상성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렇게 중요한 피부 역시 인체의 피부 외용 화장품은 통상적으로 피부의 더러움을 깨끗이 제거하는 것, 수분과 미용성분을 효과적으로 피부에 공급하는 것, 피부 생리기능을 회복시켜 주는 것 등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화장품의 기본적인 목적을 더욱 효율적으로 달성하기 위하여, 유동성(rheology)을 이용하여 제품의 사용에 편리성을 부여하거나, 사용감을 개선하거나, 또는 히팅 효과 또는 쿨링 효과를 제공하여 제품 사용 시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이러한 피부에는 여러 가지 물리적 요인, 외부환경적 요인, 감염 등으로 인해 피부의 오염과 건조, 트러블, 색소침착 등의 피부이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피부이상이 반복되면 피부염이나 알러지의 발생과 악화를 야기하기도 한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5-0043334호, 피부 진정 및 보습 유지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국내공개번호 제10-2004-0027283호, 식물성 및 마린 콜라겐펩타이드 제조방법 국내공개번호 제10-2015-0085565호, 식용식물추출액을 포함하는 어린 콜라겐 건조분말 및 이를 혼합하여 제조된 기능성 밀가루
본 발명의 목적은 피부미용에 좋은 금화규꽃 추출물 및 히비스커스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금화규꽃 추출물 및 히비스커스 열매 추출물을 함유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외품 조성물은 금화규꽃 추출물 및 히비스커스 열매 추출물을 함유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또는 의약외품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금화규꽃 추출물과 히비스커스 열매 추출물을 혼합하여 화장료 혼합물을 제조하는 혼합단계; 그리고 상기 화장료 혼합물을 동결건조하여 분말형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는 분말화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금화규꽃 추출물은 상기 금화규꽃을 알코올용매에 넣고 침지하여 금화규꽃 알코올추출물을 마련하는 알코올추출단계; 상기 금화규꽃 알코올추출물과 물을 혼합한 후 가온하여 금화규꽃 열수추출물을 마련하는 열수추출단계; 그리고 상기 금화규꽃 열수추출물을 정제하여 금화규꽃 추출물을 제조하는 분리정제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히비스커스 열매 추출물은 상기 히비스커스 열매를 알코올용매에 넣고 침지하여 히비스커스 알코올추출물을 마련하는 알코올추출단계; 상기 히비스커스 알코올추출물과 물을 혼합한 후 가온하여 히비스커스 열수추출물을 마련하는 열수추출단계; 그리고 상기 히비스커스 열수추출물을 정제하여 히비스커스 열매 추출물을 제조하는 분리정제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금화규꽃 추출물 및 히비스커스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등은 피부 미용에 좋은 금화규꽃과 히비스커스 열매(총포)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함으로써, 피부 미용 효과를 개선하며, 사용자의 만족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제조방법에 따른 금화규꽃 및 히비스커스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금화규꽃 추출물 및 히비스커스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한다.
금화규는 히비스커스(Hibiscus)속에 속하는 일년생 초본식물로써 야생부용이라고도 불리며, 본초강목에 실려있는 약용식물로써, 중국에서 복원이 되어 재배되기 시작하였고, 현재 중국으로부터 국내로 종자가 유입되어 재배가 이루어지고 있다. 금화규는 6월정도 파종한 후 두 세 달이면 1m 70cm까지 성장하며, 그 기간 동안 개화한다. 꽃은 옅은 노란색을 띠며, 꽃을 수확하여 말려서 차로 복용하거나 화장품원료로 사용된다. 금화규의 꽃에는 다양한 생리활성 물질을 함유하고 있는데 특히 열수추출 시 점액질이 나오는데 그 점액질에는 콜라겐성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피부보습에 좋으며, 또 다른 성분인 Hyperoside 성분이 강력한 항염증작용을 하여 트러블 피부에 유용하다.
히비스커스(Hibiscus)는 쌍떡잎식물 아욱목 아욱과 무궁화속에 속하는 식물의 총칭이다. 잎은 어긋나고 길이 9cm 내외로 잎자루가 있으며 넓은 달걀 모양이고 끝이 뾰족하며 불규칙한 톱니가 있다. 잎 표면은 광택이 있으며 진녹색이다. 꽃은 넓은 깔때기형이고, 새가지 윗부분의 겨드랑이에 1개씩 달리며, 작은 꽃 가지가 있다. 꽃받침은 통같이 생기고 끝이 5개로 갈라진다. 꽃잎은 붉고 5개이며, 수술은 통처럼 합쳐져서 끝에 많은 꽃밥이 달린다. 여름부터 가을에 걸쳐 꽃이 피지만 적당한 온도가 유지될 때는 연중 꽃이 핀다. 겨울에는 저온으로 인해 개화가 중지되고, 16℃ 내지 30℃에서 잘 생육하며 5℃ 이상에서 월동하며 광선을 좋아한다. 미국 하와이주에서 3,000종 이상이 개발되었고, 꽃의 색깔은 백색·홍색·자홍색·적색·황색 등이고 겹꽃도 있으며, 꽃의 지름이 10cm 내지 25cm인 것도 있다. 또한, 상기 히비스커스는 인체 유효 생리 활성 물질이 함유되어 있어, 음용 시 노폐물의 배설을 빠르게 배설시키며, 동맥경화, 항암성분, 장염, 기관지염 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히비스커스 사브다리파 추출물 내 피루브산(pyruvic acid)은 DHA(dihydroxyacetone) 와 같이 음용하면 지방분해가 촉진되어 체중감소효과를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단백질 용해 작용을 지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상기 히비스커스는 피부 첩포(patch) 시 단백질을 용해하여 각질을 제거, 피부 재생율을 높이고, 활성산소를 차단하고 억제하여, 피부가 노화되는 것을 막아주고, 풍부한 비타민C 성분에 의해 기미나 주근깨와 같은 피부 트러블을 개선하여 피부 미용에 효과가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서는 히비스커스 열매를 적용하여 식물성 추출물을 얻고 이를 상기 조성물에 적용한다.
상기 금화규꽃 추출물은 금화규꽃 알코올 추출물의 열수 추출물일 수 있다.
상기 히비스커스 열매 추출물은 히비스커스 열매 에탄올 추출물의 열수 추출물일 수 있다.
상기 금화규꽃 추출물과 히비스커스 열매 추출물 각각은 이후 설명하는 조성물의 제조방법에서 설명하는 내용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금화규꽃 추출물과 상기 히비스커스 열매 추출물은 1:10 내지 10:1의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고, 1: 5 내지 5:1의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금화규꽃 추출물과 상기 히비스커스 열매 추출물은 1: 0.5 내지 2의 중량비로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함량의 비율로 상기 금화규꽃 추출물과 상기 히비스커스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경우 보다 보습력을 배가시키고 피부미용효과가 향상되며, 사용자의 만족감을 더욱 향상시킨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는데, 예컨대, 에멀젼, 로션, 크림(수중유적형, 유중수적형, 다중상), 용액, 현탁액(무수 및 수계), 무수 생성물(오일 및 글리콜계), 젤, 마스크, 팩 또는 분말 등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그 유효성분 이외에 화장료 제제에 있어서 수용가능한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화장료 제제에 있어서 수용가능한 담체"란 화장료 제제에 포함될 수 있는 이미 공지되어 사용되고 있는 화합물 또는 조성물이거나 앞으로 개발될 화합물 또는 조성물로서 피부와의 접촉시 인체가 적응 가능한 독성 이상의 독성이 없는 것을 말한다. 상기 담체는 본 발명의 조성물에 그것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약 1 중량 % 내지 약 99.99 중량 %, 구체적으로는 조성물의 중량의 약 50 중량% 내지 약 99 중량 %로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비율은 화장료의 전술한 바의 제형에 따라 또 그것의 구체적인 적용 부위(얼굴이나 손)나 그것의 바람직한 적용량 등에 따라 달라지는 것이기 때문에, 상기 비율은 어떠한 측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한편, 상기 담체로서는 알코올, 오일, 계면활성제, 지방산, 실리콘 오일, 습윤제, 보습제, 점성 변형제, 유제, 안정제, 자외선 차단제, 발색제, 향료 등이 예시될 수 있다. 상기 담체로서 사용될 수 있는 알코올, 오일, 계면 활성제, 지방산, 실리콘 오일, 습윤제, 보습제, 점성 변형제, 유제, 안정제, 자외선 차단제, 발색제, 향료로 사용될 수 있는 화합물/조성물 등은 이미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기 때문에 당업자라면 적절한 해당 물질/조성물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제형에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나, 용액 현탁액, 유탁액,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클렌징, 바디워시, 클렌징 및 스프레이 중에서 선택된 제형을 갖도록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외품 조성물은 금화규꽃 추출물 및 히비스커스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한다.
상기 금화규꽃 추출물과 상기 히비스커스 열매 추출물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 적용비율 등 조성물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위의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므로 그 기재를 생략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의약외품"은 사람이나 동물의 질병을 진단, 치료, 개선, 경감, 처치 또는 예방할 목적으로 사용되는 물품들 중 의약품보다 작용이 경미한 물품들을 의미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약사법에 따르면 의약외품이란 의약품의 용도로 사용되는 물품을 제외한 것으로, 사람ㆍ동물의 질병 치료나 예방에 쓰이는 제품, 인체에 대한 작용이 경미하거나 직접 작용하지 않는 제품 등이 포함된다.
본 발명의 상기 의약외품 조성물은 바디 클렌저, 소독 청결제, 세정제, 주방용 세정제, 청소용 세정제, 치약, 가글제, 물티슈, 세제, 비누, 핸드 워시, 헤어세정제, 헤어 유연제, 가습기 충진제, 마스크, 연고제 및 필터 충진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제형으로 제조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또는 의약외품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금화규꽃 추출물과 히비스커스 열매 추출물을 혼합하여 화장료 혼합물을 제조하는 혼합단계; 그리고 상기 화장료 혼합물을 동결건조하여 분말형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는 분말화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혼합단계는 금화규꽃 추출물과 히비스커스 열매 추출물을 혼합하여 균질화하는 균질화과정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분말화단계는 동결건조의 과정으로 진행될 수 있으며, 영하 40℃ 내지 70℃, 압력 5 mmTorr 내지 30 mmTorr, 그리고 10시간 내지 30시간의 조건으로 동결건조가 진행되는 경우 보다 효율적이면서 유효성분의 손상 없이 동결건조 방식을 통한 분말화가 가능하다.
상기 금화규꽃 추출물은 상기 금화규꽃을 알코올용매에 넣고 침지하여 금화규꽃 알코올추출물을 마련하는 알코올추출단계; 상기 금화규꽃 알코올추출물과 물을 혼합한 후 가온하여 금화규꽃 열수추출물을 마련하는 열수추출단계; 그리고 상기 금화규꽃 열수추출물을 정제하여 금화규꽃 추출물을 제조하는 분리정제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되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금화규꽃 추출물은 전처리단계; 알코올추출단계; 열수추출단계; 그리고 분리정제단계;를 포함한 금화규꽃 추출물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전처리단계는 건조된 금화규꽃을 분쇄하여 준비하는 단계이다. 상기 금화규꽃은 세척 및/또는 건조된 것을 분쇄하여 적용할 수 있다. 특히, 상기 금화규꽃은 그 크기를 약 30 내지 150 메쉬, 구체적으로 약 50 내지 100 메쉬가 되도록 분쇄하여 준비될 수 있다. 상기 분쇄에는 통상 적용되는 분쇄가 적용될 수 있으며 그 방법이나 적용 기기는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알코올추출단계는 상기 금화규꽃을 알코올용매에 넣고 침지하여 알코올추출물을 마련하는 단계이다.
상기 알코올용매는 알코올을 함유하는 용매이고, 상기 알코올은 구체적으로 탄소수 1 내지 5의 알코올 또는 주정이 적용될 수 있고, 상기 알코올과 헥산, 클로로포름, 또는 물의 혼합물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알코올용매는 i) 메탄올, 에탄올, 주정 및 이들의 혼합물과 ii) 물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알코올용매는 무수에탄올을 50 내지 90 중량%로 함유하는 에탄올용매일 수 있다. 상기 알코올용매를 위의 제조방법에 적용하는 경우 보다 효율적으로 콜라겐 등 유용한 성분들을 상기 금화규꽃으로부터 효율적으로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알코올추출단계에서 상기 금화규꽃 분쇄물과 상기 알코올용매는 1: 2 내지 15의 중량비로 적용될 수 있고, 1: 5 내지 11 중량비로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비율로 적용하는 경우 보다 효율적인 추출과정이 진행될 수 있다.
상기 알코올추출단계는 상온(15 내지 28 ℃)에서 진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알코올추출단계는 상온에서 침지 및 방치하는 과정으로 진행될 수 있다. 상기 알코올추출단계는 10 내지 40 시간 동안 진행될 수 있고, 18 내지 30 시간 동안 진행될 수 있다. 상기 알코올추출단계가 10 시간 미만으로 적용되는 경우에는 콜라겐 등의 성분을 충분히 추출하기 어려울 수 있고 40 시간 초과로 적용되는 경우에는 추출의 효율성을 불필요하게 저해할 수 있다.
이렇게 얻어진 알코올추출물은 상기 금화규꽃 분쇄물과 상기 알코올 추출물이 혼재된 것으로 여과처리 없이 그대로 열수추출단계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열수추출단계는 상기 알코올추출물과 물을 혼합한 후 가온하여 열수추출물을 마련하는 단계이다.
상기 물은 정제수, 탈이온수 등이 적용될 수 있고 물의 종류에는 특별한 한정이 없다.
상기 열수추출단계에서 상기 알코올추출물과 상기 물은 1: 1 내지 12의 중량비로 적용될 수 있고, 1: 3 내지 8 중량비로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비율로 적용하는 경우 보다 효율적인 추출과정이 진행될 수 있다.
상기 열수추출단계에서 가온은 60 내지 98 ℃로 진행될 수 있고, 상기 가온은 75 내지 85 ℃로 진행될 수 있다. 이러한 온도의 범위로 가온이 진행되는 경우, 열수추출과정이 보다 효율적으로 적용될 수 있으며, 보다 효율적으로 상기 알코올추출물 등으로부터 유효성분을 열수로 추출해낼 수 있다.
상기 열수추출단계는 10 내지 72시간 동안 진행될 수 있고, 16 내지 30시간 동안 진행될 수 있다. 상기 열수추출단계가 10 시간 미만으로 적용되는 경우에는 콜라겐 등의 성분이 충분히 추출되지 못할 수 있고, 72시간 초과로 진행되는 경우에는 추출의 효율이 떨어질 수 있다.
상기 열수추출단계에서 얻어지는 열수추출물은 이후 과정에서 고형분이 제거되고 분리/정제되어 피부미용에 좋은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금화규꽃 추출물로 제조된다.
상기 분리정제단계는 상기 열수추출물로부터 불필요한 성분들을 제거하여 금화규꽃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상기 분리정제단계는 여과과정이 포함될 수 있다. 또는 선택적으로 상기 분리정제단계는 여과과정, 1차분리정제과정, 그리고 2차분리정제과정이 순차로 진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여과과정은 상기 열수추출물로부터 고형물질을 제거하여 액상추출물을 마련하는 과정이다. 상기 고형물질의 제거는 통상 추출물에서 고형물질을 제거하는 방법이라면 제한없이 적용 가능하며, 예시적으로 필터를 적용한 여과법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필터는 0.3 내지 0.7 um의 여과공을 갖는 것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1차분리정제과정은 상기 액상추출물을 2,000 G 이하의 중력가속도에서 1차원심분리하여 1차정제물을 마련하는 과정이다.
상기 1차분리정제과정에서 적용되는 중력가속도는 2,000 G 이하일 수 있고, 1,500 G 이하일 수 있으며, 1,300 G 이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1차분리정제과정에서 적용되는 중력가속도는 500 G 이상일 수 있고, 800 G 이상일 수 있다.
상기 1차분리정제과정에서 상기 1차원심분리는 1 내지 30분간 진행될 수 있고, 5 내지 20분간 진행될 수 있다. 이러한 범위로 상기 1차분리정제과정의 중력가속도를 적용하는 경우 효율적인 원심분리 과정 적용이 가능하다.
상기 2차분리정제과정은 상기 1차정제물을 10,000 G 이상의 중력가속도에서 2차원심분리하여 2차정제물인 금화규꽃 추출물을 마련하는 과정이다.
상기 2차분리정제과정의 중력가속도는 10,000 G 이상일 수 있고, 30,000 G 이상일 수 있으며, 70,000 G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2차분리정제과정의 중력가속도는 100,000 G 이하일 수 있고, 90,000 G 이하일 수 있으며, 85,000 G 이하일 수 있다. 상기 2차분리정제과정에서 상기 2차원심분리는 30 내지 180분간 진행될 수 있고, 30 내지 90분간 진행될 수 있다. 이렇게 상당히 강한 중력가속도를 적용하여 비교적 긴 시간 동안 원심분리를 적용하는 경우, 식물성 콜라겐 등 피부에 유용한 성분들을 원심분리 과정으로 정제하고 분리해 낼 수 있다.
상기 1차원심분리와 상기 2차원심분리에 적용되는 중력가속도는 1: 30 내지 100 배의 차이가 나도록 적용되는 것이 좋고, 1: 60 내지 90 배의 차이가 나도록 적용되는 것이 좋으며, 1: 75 내지 85 배의 차이가 나도록 적용하는 것이 좋다. 이렇게 1차원심분리와 2차원심분리를 적용하는 경우 보다 효율적으로 상기 액상추출물로부터 콜라겐 등 피부미용에 유용한 성분들을 함유하는 금화규꽃 추출물을 얻을 수 있다.
이렇게 2차원심과정으로부터 얻어지는 콜라겐을 함유하는 금화규꽃 추출물은 액상으로 다수의 층으로 나뉘어진 추출물의 각 층을 분리하고 콜라겐이 함유되어 있는 층을 확인하는 방법으로 얻어질 수 있다. 상기 콜라겐의 함유 여부를 확인하는 방법은 통상 콜라겐 함유 여부를 확인, 검출하는 방법이라면 제한없이 적용 가능하다.
상기 히비스커스 열매 추출물은 상기 히비스커스 열매를 알코올용매에 넣고 침지하여 히비스커스 알코올추출물을 마련하는 알코올추출단계; 상기 히비스커스 알코올추출물과 물을 혼합한 후 가온하여 히비스커스 열수추출물을 마련하는 열수추출단계; 그리고 상기 히비스커스 열수추출물을 정제하여 히비스커스 열매 추출물을 제조하는 분리정제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되는 것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히비스커스 열매 추출물의 제조방법은 전처리단계; 알코올추출단계; 열수추출단계; 그리고 분리정제단계;를 포함하여 식물성 콜라겐을 함유하는 히비스커스 추출물을 제조한다.
상기 전처리단계는 건조된 히비스커스 열매를 분쇄하여 준비하는 단계이다. 상기 히비스커스 열매는 세척 및/또는 건조된 것을 분쇄하여 적용할 수 있다. 특히, 상기 히비스커스 열매는 그 크기를 약 30 내지 150 메쉬, 구체적으로 약 50 내지 100 메쉬가 되도록 분쇄하여 준비될 수 있다. 상기 분쇄에는 통상 적용되는 분쇄가 적용될 수 있으며 그 방법이나 적용 기기는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알코올추출단계는 상기 히비스커스 열매를 알코올용매에 넣고 침지하여 알코올추출물을 마련하는 단계이다.
상기 알코올용매는 알코올을 함유하는 용매이고, 상기 알코올은 구체적으로 탄소수 1 내지 5의 알코올 또는 주정이 적용될 수 있고, 상기 알코올과 헥산, 클로로포름, 또는 물의 혼합물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알코올용매는 i) 메탄올, 에탄올, 주정 및 이들의 혼합물과 ii) 물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알코올용매는 무수에탄올을 50 내지 90 중량%로 함유하는 에탄올용매일 수 있다. 상기 알코올용매를 위의 제조방법에 적용하는 경우 보다 효율적으로 콜라겐 등 유용한 성분들을 상기 히비스커스 열매로부터 효율적으로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알코올추출단계에서 상기 히비스커스 열매 분쇄물과 상기 알코올용매는 1: 2 내지 15의 중량비로 적용될 수 있고, 1: 5 내지 11 중량비로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비율로 적용하는 경우 보다 효율적인 추출과정이 진행될 수 있다.
상기 알코올추출단계는 상온(15 내지 28 ℃)에서 진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알코올추출단계는 상온에서 침지 및 방치하는 과정으로 진행될 수 있다. 상기 알코올추출단계는 10 내지 40 시간 동안 진행될 수 있고, 18 내지 30 시간 동안 진행될 수 있다. 상기 알코올추출단계가 10 시간 미만으로 적용되는 경우에는 콜라겐 등의 성분을 충분히 추출하기 어려울 수 있고 40 시간 초과로 적용되는 경우에는 추출의 효율성을 불필요하게 저해할 수 있다.
이렇게 얻어진 알코올추출물은 상기 히비스커스 열매 분쇄물과 상기 알코올 추출물이 혼재된 것으로 여과처리 없이 그대로 열수추출단계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열수추출단계는 상기 알코올추출물과 물을 혼합한 후 가온하여 열수추출물을 마련하는 단계이다.
상기 물은 정제수, 탈이온수 등이 적용될 수 있고 물의 종류에는 특별한 한정이 없다.
상기 열수추출단계에서 상기 알코올추출물과 상기 물은 1: 1 내지 12의 중량비로 적용될 수 있고, 1: 3 내지 8 중량비로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비율로 적용하는 경우 보다 효율적인 추출과정이 진행될 수 있다.
상기 열수추출단계에서 가온은 60 내지 98 ℃로 진행될 수 있고, 상기 가온은 75 내지 85 ℃로 진행될 수 있다. 이러한 온도의 범위로 가온이 진행되는 경우, 열수추출과정이 보다 효율적으로 적용될 수 있으며, 콜라겐 등 피부미용에 유용한 유효성분을 보다 효율적으로 상기 알코올추출물 등으로부터 열수로 추출해낼 수 있다.
상기 열수추출단계는 10 내지 72시간 동안 진행될 수 있고, 16 내지 30시간 동안 진행될 수 있다. 상기 열수추출단계가 10 시간 미만으로 적용되는 경우에는 콜라겐 등의 성분이 충분히 추출되지 못할 수 있고, 72시간 초과로 진행되는 경우에는 추출의 효율이 떨어질 수 있다.
상기 열수추출단계에서 얻어지는 열수추출물은 이후 과정에서 고형분이 제거되고 분리/정제되어 히비스커스 열매 추출물로 제조된다.
상기 분리정제단계는 상기 열수추출물로부터 불필요한 물질을 제거하여 히비스커스 열매 추출물을 얻는 단계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분리정제단계는 여과과정, 1차분리정제과정, 그리고 2차분리정제과정이 순차로 진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여과과정은 상기 열수추출물로부터 고형물질을 제거하여 액상추출물을 마련하는 과정이다. 상기 고형물질의 제거는 통상 추출물에서 고형물질을 제거하는 방법이라면 제한없이 적용 가능하며, 예시적으로 필터를 적용한 여과법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필터는 0.3 내지 0.7 um의 여과공을 갖는 것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1차분리정제과정은 상기 액상추출물을 2,000 G 이하의 중력가속도에서 1차원심분리하여 1차정제물을 마련하는 과정이다.
상기 1차분리정제과정에서 적용되는 중력가속도는 2,000 G 이하일 수 있고, 1,500 G 이하일 수 있으며, 1,300 G 이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1차분리정제과정에서 적용되는 중력가속도는 500 G 이상일 수 있고, 800 G 이상일 수 있다.
상기 1차분리정제과정에서 상기 1차원심분리는 1 내지 30분간 진행될 수 있고, 5 내지 20분간 진행될 수 있다. 이러한 범위로 상기 1차분리정제과정의 중력가속도를 적용하는 경우 효율적인 원심분리 과정 적용이 가능하다.
상기 2차분리정제과정은 상기 1차정제물을 10,000 G 이상의 중력가속도에서 2차원심분리하여 2차정제물인 히비스커스 열매 추출물을 마련하는 과정이다.
상기 2차분리정제과정의 중력가속도는 10,000 G 이상일 수 있고, 30,000 G 이상일 수 있으며, 70,000 G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2차분리정제과정의 중력가속도는 100,000 G 이하일 수 있고, 90,000 G 이하일 수 있으며, 85,000 G 이하일 수 있다. 상기 2차분리정제과정에서 상기 2차원심분리는 30 내지 180분간 진행될 수 있고, 30 내지 90분간 진행될 수 있다. 이렇게 상당히 강한 중력가속도를 적용하여 비교적 긴 시간 동안 원심분리를 적용하는 경우, 식물성 콜라겐 등의 유효성분을 원심분리 과정으로 정제하고 분리해 낼 수 있다.
상기 1차원심분리와 상기 2차원심분리에 적용되는 중력가속도는 1: 30 내지 100 배의 차이가 나도록 적용되는 것이 좋고, 1: 60 내지 90 배의 차이가 나도록 적용되는 것이 좋으며, 1: 75 내지 85 배의 차이가 나도록 적용하는 것이 좋다. 이렇게 1차원심분리와 2차원심분리를 적용하는 경우 보다 효율적으로 상기 액상추출물로부터 콜라겐 등 유효성분을 충분히 함유하는 히비스커스 열매 추출물을 얻을 수 있다.
이렇게 2차원심과정으로부터 얻어지는 콜라겐을 함유하는 히비스커스 열매 추출물은 액상으로 다수의 층으로 나뉘어진 추출물의 각 층을 분리하고 콜라겐이 함유되어 있는 층을 확인하는 방법으로 얻어질 수 있다. 상기 콜라겐의 함유 여부를 확인하는 방법은 통상 콜라겐 함유 여부를 확인, 검출하는 방법이라면 제한없이 적용 가능하다.
이렇게 제조되는 화장료 조성물 또는 의약외품 조성물은 위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우수한 피부미용 및 보습 효과를 갖는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금화규꽃 추출물은 다음과 같이 제조하였다.
금화규꽃을 세척한 후 건조장치에 넣고 30℃의 온도에서 20시간 내지 30시간동안 건조하였다. 건조된 금화규꽃 100g을 70%무수에탄올 800ml에 넣어 상온에서 24시간동안 추출하였다.
상기 에탄올 추출물을 중량대비 5배의 물에 희석한 후 80℃까지 가온하여 24시간동안 추출을 진행했다.
추출 후 멤브레인필터(0.45㎛, whatman, membrane filter)로 여과하여 금화규꽃 추출물을 얻었다.
추가적으로, 상기 금화규꽃 추출물을 동결건조기에 넣고 분말 형태의 금화규꽃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동결건조기를 이용하여 분말상태로 제조할 시 동결건조조건은 온도 영하 40℃ 내지 70℃, 압력 5 mmTorr 내지 30 mmTorr, 그리고 10시간 내지 30시간으로 적용하였다.
히비스커스열매 추출물은 다음과 같이 제조하였다.
히비스커스열매를 세척한 후 건조장치에 넣고 30℃의 온도에서 20시간 내지30시간동안 건조하였다. 건조된 히비스커스열매 100g을 70%무수에탄올 800ml에 넣어 상온에서 24시간동안 추출을 하였다. 상기 에탄올 추출물을 중량대비 5배의 물에 희석한 후 80℃까지 가온하여 24시간동안 추출하였다. 이 추출물을 멤브레인필터(0.45㎛, whatman, membrane filter)로 여과하였다.
여과하여 얻어진 추출물은 동결건조기에 넣고 분말상태로도 제조하였고, 동결건조조건은 온도 영하 40℃ 내지 70℃, 압력 5 mmTorr 내지 30 mmTorr, 10시간 내지 30시간이 적용되었다.
상기 설명한 과정으로 추출된 금화규꽃 추출물과 히비스커스열매 추출물을 1:1로 혼합하여 균질기(Homogenizer)를 이용하여 균질화시켜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10)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금화규꽃 추출물과 히비스커스 열매 추출물을 혼합하여 화장료 혼합물을 제조하는 혼합단계; 그리고 상기 화장료 혼합물을 동결건조하여 분말형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는 분말화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금화규꽃 추출물은
    상기 금화규꽃을 알코올용매에 넣고 침지하여 금화규꽃 알코올추출물을 마련하는 알코올추출단계; 상기 금화규꽃 알코올추출물과 물을 혼합한 후 가온하여 금화규꽃 열수추출물을 마련하는 열수추출단계; 그리고 상기 금화규꽃 열수추출물을 정제하여 금화규꽃 추출물을 제조하는 분리정제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되고,
    상기 금화규꽃 추출물은,
    상기 알코올추출단계 이전에,
    상기 금화규꽃을 세척 및 건조 후 분쇄하여 준비하는 전처리단계를 더 포함하여 제조되고,
    상기 분리정제단계는,
    상기 금화규꽃 열수추출물로부터 고형물질을 제거하여 금화규꽃 액상추출물을 마련하는 여과단계;
    상기 금화규꽃 액상추출물을 제1 중력가속도에서 1차원심분리하여 금화규꽃 1차정제물을 마련하는 1차분리정제단계; 및
    상기 금화규꽃 1차정제물을 상기 제1 가속도의 30 내지 100 배의 제2 중력가속도에서 2차원심분리하여 금화규꽃 2차정제물인 상기 금화규꽃 추출물을 마련하는 2차분리정제단계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히비스커스 열매 추출물은
    상기 히비스커스 열매를 알코올용매에 넣고 침지하여 히비스커스 알코올추출물을 마련하는 알코올추출단계; 상기 히비스커스 알코올추출물과 물을 혼합한 후 가온하여 히비스커스 열수추출물을 마련하는 열수추출단계; 그리고 상기 히비스커스 열수추출물을 정제하여 히비스커스 열매 추출물을 제조하는 분리정제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되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열수추출단계에서 상기 금화규꽃 알코올추출물과 상기 물은 1: 1 내지 12의 중량비로 적용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9.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열수추출단계에서 가온은 60 내지 98
    Figure 112020005344844-pat00001
    로 진행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단계는 금화규꽃 추출물과 히비스커스 열매 추출물을 혼합하여 균질화하는 균질화과정이 포함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200006223A 2019-01-21 2020-01-16 금화규꽃 추출물 및 히비스커스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239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0007373 2019-01-21
KR1020190007373 2019-01-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0629A KR20200090629A (ko) 2020-07-29
KR102323998B1 true KR102323998B1 (ko) 2021-11-09

Family

ID=718936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6223A KR102323998B1 (ko) 2019-01-21 2020-01-16 금화규꽃 추출물 및 히비스커스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399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6638B1 (ko) * 2020-11-06 2021-07-14 문태식 편백유와 편백수를 함유하는 포 및 그 제조방법
KR102505942B1 (ko) 2020-11-19 2023-03-03 주식회사 더해피트리 금화규 발효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피부 보습 및 탄력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
KR20230111926A (ko) 2022-01-19 2023-07-26 (주)3일애 천연 미세침을 이용한 식물성 콜라겐 함유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2418247B1 (ko) * 2022-02-08 2022-07-06 박성아 천연물질 추출물을 함유하여 슬로우에이징과 맑고 투명한 피부에 효능이 있는 화장품 조성물의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533058A (zh) 2016-01-06 2016-05-04 金艳萍 一种抗疲抗衰芙蓉玫瑰茶及其制备方法
KR101846503B1 (ko) 2016-11-23 2018-05-18 농업회사법인포포나무 주식회사 금화규 및 포포 함유 탈모방지 또는 발모개선용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8913B1 (ko) 2003-05-21 2005-05-11 장부식 식물성 및 마린 콜라겐펩타이드 제조방법
KR20050043334A (ko) 2003-11-06 2005-05-11 이경록 피부 진정 및 보습 유지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KR20150085565A (ko) 2014-01-15 2015-07-24 윤규형 식용식물추출액을 포함하는 어린 콜라겐 건조분말 및 이를 혼합하여 제조된 기능성 밀가루
KR101783469B1 (ko) * 2015-09-07 2017-09-29 청양포포나무농장영농조합법인 금화규로부터 콜라겐을 추출하는 방법
KR20170099092A (ko) * 2016-02-23 2017-08-31 주식회사 코리아코스팩 히비스커스꽃과 아사이베리를 발효한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57528B1 (ko) * 2016-07-01 2018-05-15 에스케이바이오랜드 주식회사 금화규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533058A (zh) 2016-01-06 2016-05-04 金艳萍 一种抗疲抗衰芙蓉玫瑰茶及其制备方法
KR101846503B1 (ko) 2016-11-23 2018-05-18 농업회사법인포포나무 주식회사 금화규 및 포포 함유 탈모방지 또는 발모개선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0629A (ko) 2020-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23998B1 (ko) 금화규꽃 추출물 및 히비스커스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1129428A1 (ja) ウメ抽出物を含む、化粧用組成物
KR20180119550A (ko) 침향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CN107412031B (zh) 含有橘皮素的皮肤外用剂组合物
KR101319997B1 (ko) 분홍바늘꽃 및 구슬꽃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JP2002370922A (ja) 梅抽出物を含む化粧品
KR940001125B1 (ko) 국화추출물을 함유하는 티로시나제 저해제 조성물
KR102073945B1 (ko) 갯괴불주머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가려움증 개선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20160000093A (ko) 발아곡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및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CN105832612A (zh) 一种毛孔细致型安全卸妆油及其制备方法
KR102008485B1 (ko) 침향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20200134929A (ko) 한방복합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JP2009057312A (ja) 抗酸化剤および該抗酸化剤を含む化粧料
JP5291365B2 (ja) ケラチン状態改善剤
KR101068320B1 (ko) 고보습 및 피부정화 효과를 갖는 포레스트 릴렉싱 스킨케어조성물
JP4757157B2 (ja) 皮膚外用剤
KR102047162B1 (ko) 사데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KR102087976B1 (ko) 물푸레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418247B1 (ko) 천연물질 추출물을 함유하여 슬로우에이징과 맑고 투명한 피부에 효능이 있는 화장품 조성물의 제조방법
JP2009007261A (ja) 美白剤および化粧料組成物
JP6655296B2 (ja) 発毛または育毛促進剤
KR20160068303A (ko) 음주 후 피부 건조, 피부 트러블 또는 피부 부종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638536B1 (ko) 7종 천연복합물을 함유하는 피부 진정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85926B1 (ko) 일엽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JP2008247830A (ja) 化粧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