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99092A - 히비스커스꽃과 아사이베리를 발효한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히비스커스꽃과 아사이베리를 발효한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99092A
KR20170099092A KR1020160021033A KR20160021033A KR20170099092A KR 20170099092 A KR20170099092 A KR 20170099092A KR 1020160021033 A KR1020160021033 A KR 1020160021033A KR 20160021033 A KR20160021033 A KR 20160021033A KR 20170099092 A KR20170099092 A KR 201700990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ctobacillus
skin
extract
fermented
hibisc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10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성준
김기문
전경남
이진성
김수정
박아영
이지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리아코스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리아코스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리아코스팩
Priority to KR10201600210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99092A/ko
Publication of KR201700990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9092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microorganisms other than algae or fungi, e.g. protozoa or bacter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2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 A61K2800/28Rubbing or scrubbing compositions; Peeling or abrasive compositions; Containing exfoli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5Products or compounds obtained by fermentation, e.g. yoghurt, beer, wi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히비스커스꽃과 아사이베리를 발효한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발효를 통해 생리활성 증진 효과를 가질 뿐 아니라 항산화, 미백, 각질개선 및 피부결 개선 효과가 우수한 발효 추출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히비스커스꽃과 아사이베리를 발효한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The composition for skin improvement, containing the extract of fermented Hibiscus flower and Acai Berry}
본 발명은 히비스커스꽃과 아사이베리를 발효한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발효를 통해 생리활성 증진 효과를 가질 뿐 아니라 항산화, 미백, 각질개선 및 피부결 개선 효과가 우수한 발효 추출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외부의 자극으로부터 우리의 몸을 보호하고 있는 인체를 구성하는 기관들 중 가장 큰 기관으로서, 내부의 수분 및 유용성 성분의 피부 밖으로의 유출을 막아주는 장벽기능, 온도조절기능, 배설기능, 호흡기능 등 다양한 생리적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피부는 표피, 진피, 피하지방층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피부의 최외각층인 표피는 외부환경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사람의 피부색은 크게 멜라닌의 양, 헤모글로빈, 카로틴 등에 의해 결정되는데, 이 중에서 멜라닌이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한다. 멜라닌(Melanin)은 피부의 표피층에 존재하는 색소로서, 자외선으로 인한 피부 손상을 막아주며, 피부 생체 내에 생겨난 유해산소 및 프리라디칼 등을 잡아주는 등 외부 유해인자로부터 피부를 보호해주는 유용한 역할을 수행한다. 피부 조직에서는 자외선으로부터 몸을 보호하기 위해 멜라닌을 합성하지만 멜라닌은 외부의 여러 요인에 의해 합성이 촉진되며, 스트레스, 피부 노화 등에 의해 각질층의 탈락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결국 노후화된 각질이 정상적으로 탈락되지 않게 되면 피부가 활성을 잃고, 피부표면에 남아 기미, 주근깨 등의 색소 침착이 일어나 피부톤이 어두워지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색소 침착현상을 막아주기 위해서는 멜라닌 색소의 합성을 저해하거나 묵은 각질층을 제거해 줄 필요가 있다. 그러나, 피부 미백 효과를 얻기 위해 한 과정만 저해하여 효과를 얻고자 하는 방법이 일반적으로 연구되고 있기 때문에 아직 뛰어난 미백 효과를 나타내지도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충분한 미백효과를 얻기 위하여 멜라닌의 생합성을 억제하며 동시에 묵은 각질의 탈락을 촉진하는 성분의 개발이 필요하다.
한편, 생체 외부로부터 유입되거나, 생체 내에서 발생하는 활성 산소는 생체의 노화를 촉진시키거나, 암을 발생시키는 등 많은 문제의 원인이 된다. 따라서 활성 산소에 의한 산화를 억제하는 항산화 물질에 대한 개발 및 연구가 많이 이루어 지고 있다. 항산화 물질은 동, 식물계에 널리 분포되어 있으며 과일과 채소에 많은 페놀성 화합물, 플라보노이드, 토코페롤, 비타민 C, 셀레늄 등이 알려져 있다. 다만, 천연에 존재하는 항산화 물질은 피부 적용 시 실질적으로 충분한 효과를 기대할 수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항산화력이 뛰어나고 가격이 저렴한 합성 항산화제가 많이 사용되고 있으나, 인체 부작용 등 안전성에 대한 우려로 그 사용이 제한된다.
발효(fermentation)란 미생물이 분비하는 효소에 의해 유기물을 분해하는 과정을 말한다. 또한 미생물이 에너지를 얻는 과정에서 유용한 물질을 내는 것도 발효이다. 한국인은 이러한 발효와 친숙한데 예로부터 김치를 비롯하여 된장, 청국장 등의 전통 발효식품이 대표적이다. 이러한 발효과정은 무산소호흡을 하는 미생물들로 유기물을 완전히 분해 시키고 다른 종류의 유기물을 만들어 내기도 하여 적은 양의 에너지를 생성시킨다. 피부의 항상성이 깨지면서 발생한 피부 노화, 색소 침착, 탄력 저하 등 여러 가지 문제가 발생된다. 따라서 피부 여러 현상을 개선할 수 있으며 생체에 안전하며 무엇보다 기존의 항산화, 미백, 각질개선 및 피부결 개선 효과가 있는 물질보다 효과가 강화된 원료의 개발이 절실히 필요하다.
* 선행기술문헌 *
대한민국등록특허 제 10-10477785호
이에, 본 발명자들은 히비스커스꽃과 아사이베리 혼합 발효추출물이 자유 라디칼을 소거하여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며 피부 바깥쪽에 있는 각질층의 제거를 촉진하고 멜라닌합성 저해하여 미백 효과를 나타냄과 더불어, 피부 밝기 개선으로 인한 피부결 개선 효과를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히비스커스꽃과 아사이베리 혼합 발효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미백, 각질제거 및 피부결 개선용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은 자유 라디칼을 소거하여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며, 피부 바깥쪽에 있는 각질층의 제거를 촉진하여 자극 없이 피부의 미백효과를 증진하는 효과와 더불어, 피부 밝기 개선으로 인한 피부결 개선 효과를 확인하였고, 히비스커스꽃과 아사이베리 혼합 발효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히비스커스꽃과 아사이베리 혼합 발효추출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서 0.001 ~ 90.0중량%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성물은 스킨류, 로션류, 에센스류, 크림류, 팩류, 파운데이션류 및 메이크업베이스류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히비스커스꽃과 아사이베리 혼합 발효추출물이 자유 라디칼을 소거하여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며, 피부 바깥쪽에 있는 각질층의 제거를 촉진하여 자극 없이 피부의 미백효과를 증진하는 효과와 더불어, 피부 밝기 개선으로 인한 피부결 개선 효과를 나타냄으로써 화장료 조성물에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은 히비스커스꽃과 아사이베리 혼합 발효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항산화, 미백, 각질개선 및 피부결 개선 활성을 나타내고, 피부를 투과하여 흡수되는 능력이 우수하고, 피부 재생, 주름 개선, 탄력 증진, 항산화, 미백, 각질개선 및 피부결 개선 효과를 상승시키려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이용되는 히비스커스꽃(서아프리카가 원산지인 로젤:Roselle, Hibiscus sabdariffa L.)은 아욱과의 한해살이 풀로서 항산화 활성에 뛰어난 효능을 보이는 안토시아닌과 프로토카테규산 등의 물질이 많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 이용되는 아사이베리(acai berry, Euterpe oleracea Mart.)는 나무의 열매로 브라질 아마존 열대 우림 지역에서 대부분 자생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아사이베리 나무는 최대 성장 높이가 25m에 달하며 자웅동체이며 주요 가지에 잔가지 형태로 자라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아사이베리 열매의 형태는 둥근 1에서 직경 1.4 cm에 어두운 보라색이며 주로 7 월과 12월 사이에 수확한다고 한다. 아사이베리 열매는 항산화 활성이 우수하고 페놀 화합물의 함량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주요 폴리 페놀 구성 성분은 anthocyanins, proanthocyanidins, 기타 플라보노이드류와 lignans 등이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그 중 폴리페놀화합물에 주로 플라보노이드가 발견되었다. 또한 유기산과 비타민 C가 풍부하여 미백 및 각질 개선에 도움이 된다.
한편, 상기 히비스커스꽃과 아사이베리 혼합 발효추출물 함량은 각 0.001 ~ 90.0중량%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조성물의 함량이 0.001중량 %미만일 경우 피부 개선 효과가 미미하며 90.0 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피부자극이 있고 그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유효성분은 히비스커스꽃과 아사이베리 혼합 발효추출물 이외에 화장품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하여, 예컨대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함유제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항산화 효과'라 함은 세포내 대사 또는 자외선의 영향으로 인한 산화적 스트레스에 따라 반응성이 높은 자유 라디칼(free radical) 또는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ROS)에 의한 세포의 산화를 억제하는 것을 말하며, 자유 라디칼 또는 활성산소종을 제거하여 이로 인한 세포의 손상이 감소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미백 효과라 함은 멜라노사이트 생성, 배출된 멜라닌의 흑화 과정을 막거나 티로시나제 (Tyrosinase) 의 활성을 억제하여 멜라닌의 합성을 억제하는 효과를 갖거나, 생성된 흑색 멜라닌의 환원을 촉진하여 최초의 엷은 색의 멜라닌으로 되돌아가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각질 개선이라 함은 노화된 각질을 제거하기 위해 피부 바깥쪽에 있는 각질층을 제거하거나, 각질 주기를 정상화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피부결 개선 효과'라 함은 노화, 스트레스 등의 영향으로 피부 표면이 거칠어지는 것을 억제 또는 저해함으로써 피부 표면을 매끄럽게 하고, 광택을 부여하며, 피부 톤을 밝게 개선하는 것을 말한다.
이하, 실시 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 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예1> 히비스커스꽃, 아사이베리 혼합 추출물 제조
환류냉각관을 부착시킨 둥근 플라스크에 히비스커스꽃, 아사이베리 열매 100 g의 시료에 증류수 1 L를 넣고 80℃의 수욕조 상에서 3 시간씩, 3회 반복 추출하여 얻은 추출물을 여과지로 여과하여 제조 하였고, 하기 발효 원료 및 실험예의 시료로 사용하였다.
<실시예2> 히비스커스꽃, 아사이베리 혼합 효모발효 추출물 제조
Saccharomyces cerevisiae 균을 YM 고체 배지에서 25℃ 내지 50℃ 온도 에서 24시간 활성화시킨 후, 한 콜로니를 따서 멸균된 YM 액체 배지에 접종한 후 25℃ 내지 50℃ 온도 배양기에서 24시간 진탕배양시켜 종균으로 사용한다.
히비스커스꽃과 아사이베리 혼합 추출물이 1 내지 90 중량%가 함유된 액체 배지에 미리 배양된 Saccharomyces cerevisiae 균을 107~108 CFU/ml 농도가 되도록 첨가한 후 25℃ 내지 50℃온도에서 18시간 내지 120시간 배양하여 발효를 시켜 발효물을 제조하였다.
발효를 종료하기 위해 100℃에서 40분간 열을 가하여 균의 기능상실을 유도하였다.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침전물을 제거하고 상등액을 채취하거나, 여과된 상등액을 사용하였다.
<실시예3> 히비스커스꽃과 아사이베리 혼합 유산균 발효 추출물 제조
Lactobacillus paracasei 균을 MRS 고체 배지에서 25℃ 내지 50℃ 온도 에서 24시간 활성화시킨 후, 한 콜로니를 따서 멸균된 MRS 액체 배지에 접종한 후 25℃ 내지 50℃ 온도 배양기에서 24시간 진탕배양시켜 종균으로 사용한다.
히비스커스꽃과 아사이베리 혼합추출물이 1 내지 90 중량%가 함유된 액체 배지에 미리 배양된 Lactobacillus paracasei 균을 107~108 CFU/ml 농도가 되도록 첨가한 후 25℃ 내지 50℃온도에서 18시간 내지 120시간 배양하여 발효를 시켜 발효물을 제조하였다.
발효를 종료하기 위해 100℃에서 40분간 열을 가하여 균의 기능상실을 유도하였다.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침전물을 제거하고 상등액을 채취하거나, 여과된 상등액을 사용하였다
<실험예1> 항산화 활성 측정
히비스커스꽃과 아사이베리 혼합 발효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DPPH (2.2-diphenyl-1-picryl hydrezyl) 라디칼 소거능을 사용하였다. 0.4 mM DPPH(2.2-diphenyl-1-picryl hydrezyl) 용액을 에칠 알콜에 녹여 여과한 후 즉시 사용하였다. 제조된 DPPH 용액과 시료 용액을 1:1로 혼합하여 격렬하게 섞은 후, 상온 암소에 10 분간 방치하였다. Microplate reader (BioTek, USA)를 이용하여 51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한 후, 하기 수학식 1을 통해 DPPH 라디칼 제거율(%)을 산출하였다. 이때 라디칼을 제거하는 양성 대조군(positive control)으로 0.1 mg/ml의 아스코르브산(ascorbic acid)을 사용하였다.
표 1 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2, 실시예 3의 히비스커스꽃과 아사이베리 혼합 발효 추출물을 비교해 볼 때, 실시예 1가 비슷한 수준의 항산화 활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수학식 1]
DPPH 라디칼 제거율(scavenging, %) = (A - B) / A x 100
상기 식에서, A는 공시험액에서 얻은 흡광도이고, B는 검액에서 얻은 흡광도임.
2단 발효 용해물의 항산화 활성
농도(%) 항산화력 (%)
As 1mg/ml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1 90.6 26.5 28.6 27.1
10 59.8 60.2 61.3
<실험예 2> 피부주름 개선 효과
<2-1> 콜라겐 생합성 평가
시료에 대한 Fibroblast 세포 내에서 새로 생성되는 collagen 양을 측정하기 위해 procollagen assay를 실시하였다. 콜라겐 생성에 관여하는 세포주의 하나인 Fibroblast를 젠타마이신 (50ug/mL)과 10% Fetal bovine serum(FBS, Welgene, Korea)을 포함한 Dulbecco's modified essential medium (DMEM Welgene, Korea)에 37℃, 5 % CO2 incubator에서 배양하였다. 2x105농도의 Fibroblast 세포를 6 well plate에 접종하여 24시간 동안 배양한 후 배지를 제거하고 PBS로 세척한 후, UV 312nm 파장에서 12.5mJ로 조사하였다. 그 후, DMEM배지에 시료를 농도 별로 처리하여 48-72시간 동안 추가 배양하였다. Ascorbic acid 200 UM을 positive control로, UV(+)군을 Negative control로, 배지만 처리한 그룹을 control로 사용하여 시료의 결과와 비교하였다. 시료 처리 후 48-72시간 동안의 배양이 끝난 후 배지를 수거하였고, 수거한 배지는 Procollagen Type-I C-Peptide(PIP) EIA kit(Takara Bio Inc. MK101)를 이용하여 새로 생성된 콜라겐 양을 측정하였다. Antibody-POD conjugate solution 100ul를 각 well에 첨가하고, sample 이나 standard를 20ul씩 넣은 뒤 잘 섞어서 37℃에서 3시간 방치하였다. 반응이 끝나면 내용물을 제거한 뒤 PBS 400ul로 4번 세척하였다. 제거 후 기질용액 100ul를 첨가하여 실온에서 15분간 반응시킨 뒤 stop solution 100ul 첨가하여 부드럽게 섞어주었다, microplate reader(BioTek, USA)를 이용하여 45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한 후 표준 농도곡선을 작성하여 콜라겐 양을 산정하였다(표 2).
표 2 에 나타난 바와 같이 히비스커스꽃과 아사이베리 혼합발효 추출물의 자외선에 의한 자극에 의한 항주름 활성을 살펴 본 결과 실시예 2, 실시예 3의 히비스커스꽃과 아사이베리 혼합 발효 추출물의 경우 실시예1의 추출물보다 우수한 콜라겐 합성능을 보임으로써 자외선에 의한 항노화 및 주름 개선의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2단 발효 용해물의 자외선에 의한 자극에 의한 콜라겐 생합성
농도(%) 콜라겐 합성 (%)
UV(-) UV(+) As 200uM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1 100 46 66 47 70 71
10 53 85 84
<2-2> MMP-1 저해 평가
Collagen을 분해하는 효소는 그 종류가 다양하며 가장 많이 알려져 있는 것이 collagen type I을 분해하는 MMP-1(Matrix metalloproteinase I, collagenase)으로 이를 측정하기 위해 MMP-1 assay를 실시하였다. 시료에 대한 Fibroblast 세포 내에서 새로 생성되는 collagen 양을 측정하기 위해 procollagen assay를 실시하였다. 콜라겐 생성에 관여하는 세포주의 하나인 Fibroblast를 젠타마이신 (50ug/mL)과 10% Fetal bovine serum(FBS, Welgene, Korea)을 포함한 Dulbecco's modified essential medium (DMEM Welgene, Korea)에, 37℃, 5 % CO2 incubator에서 배양하였다. 2x105농도의 Fibroblast 세포를 6 well plate에 접종하여 24시간 동안 배양한 후 배지를 제거하고 PBS로 세척한 후, UV 312nm 파장에서 12.5mJ로 조사하였다. 그 후, DMEM배지에 시료를 농도 별로 처리하여 48시간 동안 추가 배양하였다. Ascorbic acid 200uM을 positive control로, UV(+)군을 Negative control로, 배지만 처리한 그룹을 control로 사용하여 시료의 결과와 비교하였다. 시료 처리 후 48시간 동안의 배양이 끝난 후 배지를 수거하였다. 수거한 배지는 MMP-1 측정 키트(RPN 2610, Amersham Bioscience, UK)를 이용하여 ELISA reader로 45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Anti-MMP1 antibody로 코팅된 96 well plate에 buffer를 well 하나에 첨가하여 blank로 삼고, 배지 중에 유리된 샘플과 표준액 100ul를 각각의 well에 넣는다, 실온에서 shaking 없이 2시간 동안 반응시킨다. Washing buffer로 well을 가득 채워서 3회 반복해서 세척 한 후 물기를 완전히 제거한다. 100ul peroxide conjugate를 첨가하고, 실온에서 shaking 없이 2시간 동안 반응시킨다. Washing buffer로 well을 가득 채워서 30분간 shaking 하면서 반응시킨다. 100ul 1M H2SO4로 반응을 중지시킨 후 microplate reader(BioTek, USA)를 이용하여 45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비교 하였다(표 3).
표 3 에 나타난 바와 같이 히비스커스꽃과 아사이베리 혼합 발효추출물의 자외선에 의한 자극에 의한 항주름 활성을 살펴본 결과, 실시예 2, 실시예 3 의 2히비스커스꽃과 아사이베리 혼합 발효추출물의 경우 실시예 1의 히비스커스꽃과 아사이베리 혼합 추출물보다 우수한 MMP-1 활성이 저해활성을 확인하였고, 이는 콜라겐 생합성 결과(표 2)와 일치하는 양상을 보인다.
2단 발효 용해물의 자외선에 의한 자극에 의한 MMP-1 활성 저해도
농도(%) MMP-1 (% of control)
UV(+) As 200uM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1 100 70 90 63 68
10 78 49 49
<실험예 3> 세포 활성(Cell proliferation) 효과
피부 각화세포인 케라티노사이트를 포도당 4.5 g/L, 10% 혈청, 1% 항생제가 함유된 DMEM 배지에 접종하여 50㎖ T-플라스크에 37℃에서 배양하였다. 5% CO 2 조건하에서 24시간 배양한 후, 0.02% EDTA가 함유된 0.05% 트립신(Trypsin)을 처리하여 세포를 분리한 다음, 50㎖ T-플라스크에 접종하여 48시간 배양하고 이를 다시 1×104/웰(well)이 되게 96웰에 접종하여 12시간 배양하였다. 배양후 각각의 웰에 실시예 2, 실시예 3의 히비스커스꽃, 아사이베리 발효추출물을 0.002%, 0.01 %, 0.02 %, 0,05 %, 0.1 % 농도가 되도록 첨가하였다. 히비스커스꽃, 아사이베리 발효추출물을 의 첨가 후 24시간, 48시간, 72시간에 걸쳐 각각 농도에서의 세포 활성정도를 MTT법으로 측정하여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농도 Cell viability (%)
0.002% 0.01% 0.02% 0.05% 0.1%
대조군 100
실시예 1 89.1 91.4 92.6 92.0 98.5
실시예 2 108.1 104.7 114.3 117.8 113.5
실시예 3 97.5 100.8 101.5 102. 109
상기의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2, 실시예 3의 히비시스커스꽃과 아사이베리 혼합 발효 추출물은 대조군보다 세포활성 효과가 우수하고, 특히 0.002 ~ 0.1 % 농도 범위에서 세포활성이 농도에 비례해서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4> 미백효과
세포주 배양
실험에 사용한 세포는 B16-F10 세포주로 murine melanocyte이며 멜라닌을 합성하는 세포주이다. 멜라닌 생성을 저해하는 실험을 하기 위해서 히비스커스꽃, 아사이베리 추출물을 농도 별로 (0.1mg/ml, 0.5mg/ml, 1mg/ml, 1.5mg/ml)로 12시간 처리 후 CCK-8 assay solution을 50ul 넣은 후 37℃ CO2 인큐베이터 (incubator)에서 3시간 반응 후 450nm 파장에서 값을 확인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5에 나타내었다.
0.10% 0.50% 1%
Control 100
MSH 1uM 280.4
Arbutin 0.01% 171.6
실시예 1 350.4 328.2 280.0
실시예 2 323.4 266.0 185.4
실시예 3 250.8 220 208.5
멜라닌을 합성하는 세포주 B16-F10 세포주에 대한 세포독성
먼저 배양한 세포에 농도별(0.1%, 0.5%, 1.0 %) 실시예 2, 3의 히비스커스꽃과 아사이베리 혼합 발효 추출물을 처리 후 24시간 경과 후 CCK-8 assay solution을 50ul씩 넣고 37℃ CO2 인큐베이터 (incubator) 에서 3시간 반응 후 OD450nm의 파장에서 OD값을 확인한다. 또한 네거티브 콘트롤(negative control)로 세포와 CCK-8 solution과 반응시킨 OD값 및 CCK-8 assay solution이 들어간 농도별 OD값을 표 6에 나타내었다.
0.10% 0.50% 1.00 %
실시예 1 98.4 92.1 88.1
실시예 2 100.3 101.9 100.3
실시예 3 99.2 102.1 100.4
<실험예 5> 각질 제거 효과
10명의 건강한 성인 남, 여(30 ~ 40세 사이)을 대상으로 하여 워싱오일로 세척하여 도포전 피부 밝기 정도인 L값(Lvalue)을 측정하고, 실시예 1인 히비스커스꽃과 아사이베리 추출물, 실시예 2, 실시예 3의 히비스커스꽃과 아사이베리 혼합 발효 추출물 및 콘트롤 (control) 을 정하여, 각각 1일 3회씩 도포하였다. 그 후 계속해서 도포하면서 이틀 간격으로 피부 밝기 정도인 L값(L-value)을 측정하고, 이 실험을 일주일간 실시하였다. L 값이 높아지는 것은 각질이 제거되는 정도를 보여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7에 나타내었다.
사용전 1회 2회
무도포 50.22 50.15 50.19
실시예 1 50.19 55.11 59.57
실시예 2 50.89 65.12 66.46
실시예 3 50.38 60.52 61.32
<실험예 6> 피부첩포시험
과거력상 피부자극에 과민반응을 보인 적이 없으며, 현재 피부병 내지 피부 알러지 증상이 없는 20 - 30대 여성 20명을 대상으로 본 발명의 피부안전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인체 피부 첩포시험을 하였다. 우선 시험 부위를 70% 에탄올로 닦아낸 뒤 건조시켰다. 준비된 시험물질을 15㎍씩 핀챔버 (Finn chamber, 100 x 10,EPITEST, 핀란드) 내에 적하시킨 후 시험대상자의 전박 (forearm) 안쪽 부위에 밀폐 첩포하였다. 24시간 동안첩포하고 첩포를 제거한 후 펜으로 시험부위를 표시하였다. 표시 후 각각 1시간 및 24시간 후에 확대경 (8MC-150, DAZOR, 미합중국)을 이용하여 시험 부위를 관찰하여 홍반 및 부종 유무를 관찰하였다. 피부반응은 국제접촉피부염연구회 (ICDRG, International Contact Dermaitis Research Group)의 규정에 따라 판정하고, 수학식 2에 따라 평균피부반응도(mean response rate)를 구하였다. 표 8은 피부반응 평가기준을 나타내고, 표 9 는 평균피부반응도 결과를 나타낸다.
* 피부반응의 평가 기준 및 점수 *
기호 점수 평가기준
- 0 무반응
± 0.5 희미한또는가벼운홍반
+ 1 경계가뚜렷하거나약한홍반부종및구진
++ 2 뚜렷한홍반구진및소수포
+++ 3 심한홍반및대수포기피형성
[수학식2]
평균피부반응표 = (점수Ⅹ 반응수 Ⅹ 100 Ⅹ1/2) / [3(최대점수) Ⅹ 총피검자수 (n)]
시험물질 1시간후 24시간후 반응도(%)(n=20)
± + ++ ± + ++
무도포 - - - - - - 0.00
15% 글리세린 - - - - - - 0.00
실시예 1 - - - - - - 0.00
실시예 2 - - - - - - 0.00
실시예 3 - - - - - - 0.00
<실시예4> 유연화장수(스킨로션)
하기의 표 10과 같이 상기 히비스커스꽃과 아사이베리 혼합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유연화장수를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원료명 중량%
히비스커스꽃과 아사이베리 혼합 발효 추출물 (실시예2) 10
글리세린 3.0
부틸렌글리콜 2.0
프로필렌글리콜 2.0
카복시비닐폴리머 0.1
피이지-12 노닐페닐에테르 0.2
폴리솔베이트80 0.4
에탄올 10
트리에탄올아민 0.1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정제수 to 100
<실시예5> 밀크로션(유액)
하기의 표 11과 같이 상기 히비스커스꽃과 아사이베리 혼합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밀크로션을 수상과 유상은 각각 75℃에 가열 후 5분간 유화시켜 냉각 탈포하여 제조하였다.
원료명 중량%
히비스커스꽃과 아사이베리 혼합 발효 추출물 (실시예2) 10
스쿠알란 5.0
밀납 4.0
폴리솔베이트60 1.5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1.5
유동파라핀 0.5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5.0
글리세린 3.0
부틸렌글리콜 3.0
프로필렌글리콜 3.0
카복시비닐폴리머 0.1
트리에탄올아민 0.2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정제수 to 100
<실시예6> 영양크림
하기의 표 12와 같이 상기 히비스커스꽃과 아사이베리 혼합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영양크림은 수상과 유상은 각각 75℃에 가열 후 5분간 유화시켜 냉각 탈포하여 제조하였다.
원료명 중량%
히비스커스꽃과 아사이베리 혼합 발효 추출물 (실시예2) 10
밀납 10.0
폴리솔베이트60 1.5
피이지 60 경화피마자유 2.0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0.5
유동파라핀 10.0
스쿠알란 5.0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5.0
글리세린 5.0
부틸렌글리콜 3.0
프로필렌글리콜 3.0
트리에탄올아민 0.2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정제수 to 100

Claims (5)

  1. 히비스커스꽃과 아사이베리 혼합 발효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비스커스꽃과 아사이베리를 발효한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 추출물은 효모 또는 유산균을 이용하여 발효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비스커스꽃과 아사이베리를 발효한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 균주는 Galactomyces , Saccharomyces cerevisiae , Schizosaccharomyces ellipsoids, Saccharomyces boulardii , Bifidobacterium longum , Lactobacillus paracasei , Lactobacillus bifidus, Lactobacillus acidophilus, Lactobacillus casei , Lactobacillus bulgaricus, Lactobacillus rhamnosus , Lactobacillus plantarum , Lactobacillus reuteri, Lactobacillus confusus , Lactobacillus fermentum , Lactobacillus brevis, Leuconostoc citreum , Leuconostoc mesenteroides , Leuconostoc sp , Pediococcus acidilactici , Pediococcus pentosaseus 중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비스커스꽃과 아사이베리를 발효한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히비스커스꽃과 아사이베리 혼합 발효추출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서 0.001 ~ 90.0중량%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비스커스꽃과 아사이베리를 발효한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5. 제 1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스킨류, 로션류, 에센스류, 크림류, 팩류, 파운데이션류 및 메이크업베이스류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비스커스꽃과 아사이베리를 발효한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160021033A 2016-02-23 2016-02-23 히비스커스꽃과 아사이베리를 발효한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7009909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1033A KR20170099092A (ko) 2016-02-23 2016-02-23 히비스커스꽃과 아사이베리를 발효한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1033A KR20170099092A (ko) 2016-02-23 2016-02-23 히비스커스꽃과 아사이베리를 발효한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9092A true KR20170099092A (ko) 2017-08-31

Family

ID=597610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1033A KR20170099092A (ko) 2016-02-23 2016-02-23 히비스커스꽃과 아사이베리를 발효한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9909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0629A (ko) * 2019-01-21 2020-07-29 주식회사 브라이언스랩 금화규꽃 추출물 및 히비스커스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0629A (ko) * 2019-01-21 2020-07-29 주식회사 브라이언스랩 금화규꽃 추출물 및 히비스커스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56898B1 (ko) 유산균발효 혼합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 피부 보습, 항산화, 항염, 피부장벽 강화 및 피부흡수 기능을 개선한 섭취 가능한 화장료 조성물
KR100964018B1 (ko) 발효 푸코잔틴 제조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195365B1 (ko) 쌀배아 발효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개선용 보습화장료 조성물
KR101452770B1 (ko) 유산균 발효액을 함유하는 항산화, 미백 및 주름개선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20160092569A (ko) 효모, 유산균 2단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주름개선, 보습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1336804B1 (ko) 버섯을 이용한 전복 버섯 발효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KR101825704B1 (ko) 커피 실버스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80112284A (ko) 다마스크 장미꽃 및 블루베리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090111719A (ko) 대추 발효액을 함유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1820854B1 (ko) 매실, 매엽 및 매근의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1645476B1 (ko) 흑효모 발효를 통해 비타민 c 함량이 증가된 산자나무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09486B1 (ko) 다단복합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노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76656B1 (ko) 락토바실러스 속 복합균주를 활용한 청보리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노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55206B1 (ko) 장뇌삼 발효액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257448B1 (ko) 흑다시마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90036688A (ko) 포도, 오렌지, 사과, 레몬 및 라임을 발효하여 만든 과일 발효액 콤플렉스를 함유하는 피부 각질 박리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56263B1 (ko) 커피 실버스킨 및 커피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10121775A (ko) 금꿩의다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43976B1 (ko) 흑효모 발효 발아녹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70099092A (ko) 히비스커스꽃과 아사이베리를 발효한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10122448A (ko) 지리터리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57435B1 (ko) 피부 주름 예방 또는 개선용 누에고치 발효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20057360A (ko) 히비스커스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용 개선용 조성물
KR101207560B1 (ko) 빗죽이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60122379A (ko) 동치미 원료를 이용한 복합발효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