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43334A - 피부 진정 및 보습 유지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피부 진정 및 보습 유지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43334A
KR20050043334A KR1020030078186A KR20030078186A KR20050043334A KR 20050043334 A KR20050043334 A KR 20050043334A KR 1020030078186 A KR1020030078186 A KR 1020030078186A KR 20030078186 A KR20030078186 A KR 20030078186A KR 20050043334 A KR20050043334 A KR 200500433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moisturizing
composition
weight
soot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81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록
Original Assignee
이경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경록 filed Critical 이경록
Priority to KR10200300781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43334A/ko
Publication of KR200500433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3334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74Biologic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75Anti-irrita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 감촉성이 우수한 수용성 보습 물질인 소듐 히아루로네이트, 친수성 보습제, 천연 진정 성분, 이를 안정화시키기 위한 안정화제 및 잔량으로서 정제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보습 및 진정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실질적인 보습 및 보습 유지 효과가 우수하며 동시에 안정성 및 사용감이 우수하다.
피부 보습용 조성물은 우수한 피부 수분율 증대 효과를 주며 동시에 피부 불완전함, 예컨대 충혈, 자외선 및 적외선 유발의 열홍반, 여드름, 피부 염증, 자외선 노출, 아토피 등의 피부 트러블 및 필링, 레이저 피부 관리 후 자극받은 피부의 진정, 개선에 도움을 주며, 특히 피부 자극 측면의 안정성이 우수한 피부 보습 및 진정용 국부 조성물로의 활용을 제시한다.

Description

피부 진정 및 보습 유지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Cosmetic formulation with excellent effect for skin soothing and moisturizing maintenance}
본 발명은 보습 및 진정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수용성 보습 물질인 소듐 히아루로네이트, 친수성 보습제, 천연 진정 성분, 이를 안정화시키기 위한 안정화제 및 잔량으로서 정제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보습 및 진정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인체는 약 72% 정도의 수분을 함유하고 있어 피부를 촉촉하게 유지시켜 주며 부드럽게 보호해 주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피부에서의 수분 유지란 건강한 피부를 지니기 위해 매우 중요한 요인이며 피부의 시간 경과에 따른 저항력 약화에 대응할 수 있는 가장 기본적인 요인일 것이다. 수분은 각질층에 적당하게 유지되어 피부의 탄력이나 유연성을 유지하는데 중요하며, 정상적인 피부는 약 30% 정도의 수분이나 수용성 성분을 함유하고 있다.
수분은 각질층 내에서 크게 두가지 형태로 존재하는데 하나는 결합수(bound water)이고 하나는 자유수(free water)이다. 결합수는 각질층 내에 이온류, 아미노산 및 단백질 등과 분자 상태로 결합되어 있는 것을 말하며, 이중 건조되어 고화된 각질층에 보통 존재하고 있는 물을 1차 결합수라 하며 각질층에 5% 정도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또한, 각질층과 매우 빠르게 결합하지만 건조한 상태에서도 잘 떨어지지 않는 형태로 존재하며 비교적 강하게 결합된 상태로 있는 물 분자를 2차 결합수라고 부른다. 따라서, 각질층에 수분이 결합하여 그 수분이 결합수로서, 특히 2차 결합수 형태로서 존재할 때 외부의 습도가 낮은 건조한 상태에서도 수분이 각질층에 결합되어 피부가 촉촉하게 유지된다.
그러나, 요즘과 같이 환경의 변화나 생활 패턴의 변화에 따른 냉/난방의 인위적인 온도 조절, 사회 생활에서 발생되는 각종 스트레스와 환경 오염으로 인한 피부 스트레스, 새로운 화장 습관으로 인해 뽀송뽀송한 피부 감촉을 원하는 잦은 세안, 및 연령 증가에 따른 노화 등의 원인으로 인하여 각질층의 수분이 감소하여 피부가 건조해지고 표면이 거칠게 되며 심지어는 갈리지기까지 한다.
따라서, 보습 물질은 피부 보호를 목적으로 하는 제품에서 가장 중요하고 필수적인 요소이다. 일반적으로 보습 물질이라 하면 피부의 수분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효과적인 물질을 말하는 것으로, 크게는 수분을 유지시키기 위해 관련된 성분이나 피부의 수분을 끌어당기는 물질을 휴멕턴트(humectant), 수분을 공급 및 저장하는 물질을 보습제(moisturizer)라 하여 구분하여 사용한다.
일반적으로 보습을 목적으로 응용하고 있는 물질에는 피부 각질층의 구성성분인 NMF 성분들, 생체 유사 고분자물, 표피의 폐쇄를 통한 보습을 위한 피지 성분들, 각질층 구성성분인 세포 간지질 성분들 및 가장 일반적이며 효과가 큰 다가 알콜 등이 있다.
이러한 보습을 목적으로 하는 물질들이 다수 존재하고 이에 대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어 왔으나, 피부보호용 화장료 조성물에 적용시에는 장기 사용에 따른 피부에서의 작용 기전의 이해 부족, 피부에서의 안전성 확보, 무겁고 끈적이는 사용감, 실질적인 보습효과 부족 및 적용 안정성 등의 문제점으로 인하여 그 적용이 제한되어 왔다.
다수의 선행 기술들이 제안되었으나 여러 보완점들이 지적되고 있다. 많은 발명가들은 다수의 보습인자를 조합하고 이를 미세다중 구조화시켜 피부 침투 및 보존성을 개선시킴으로써 보습효과를 증진시키는데 주력하게 되었으나, 이러한 방법은 지질 베이스와 같은 막으로 캡슐화시켜야 하거나 마이크로플루다이져라는 고가의 장비를 사용해야 하는 단점이 있었으며, 또한 계면활성제가 다량 함유되는 에멀젼에서는 계면활성제에 의해 리포좀 구조가 파괴되므로 다양한 계면활성제가 사용되고 있는 화장품 분야에서는 경제성 및 안정화 등이 문제점으로 거론되었다(대한민국 특허공개 99-70313호). 또한 일반적인 친수성 보습제의 사용은 보습력 증진에만 주력한 것으로 자극 완화기능, 피부 활성물질의 보존성 및 항균효과 등에는 거의 미비한 한계가 있었다.
특히 근래에 유해 피부 환경에 의해 피부 노화의 촉진, 피부 트러블의 발생, 지나친 피부 건조 및 아토피, 피부 과민화 현상이 발생하고 있으며, 특히 스트레스에 의한 피부 트러블도 많이 발생하고 있다. 특히 피주 건조, 아토피 등의 피부 트러블의 경우 피부의 외관 상태가 좋지 않은 상태가 되며, 특히 피부를 치료하는 과정에 있어서도 피부의 외관은 자극되고 민감한 상태가 되며, 외부의 노출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피부 건조에 대한 보습 작용이 우수하여, 피부를 진정시키고 개선하여 주는 피부 국부 적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수분 결합능이 뛰어나고 피부 보습막을 형성하여 피부 보습력을 극대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피부세포와 친화성이 있어 저자극이면서 자극 완화기능 및 피부 개선효과가 있고, 피부 젖음성을 개선하여 피부 각질층 내부로의 피부 활성물질의 침투성 및 보존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피부 국부 적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하기의 조성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국부 적용시 피부 보습 및 진정 효과를 제공하는 피부 보호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A) 소듐 히아루로네이트 성분을 전체 조성물의 0.05 내지 5 중량% 함유
(B) 다음의 친수성 보습제 성분들 중에서 2가지 이상 성분을 전체 조성물의 5 내지 80 중량% 함유 ;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등의 폴리올계 화합물, 글리세린, 솔비톨, 말리톨, 아미노산, 피롤리돈카르복실산 나트륨, 요소, 유산 및 콜라겐
(C) 다음의 천연 진정 성분들 중에서 1가지 이상 성분들을 전체 조성물의 0.05 내지 약 10 중량% 함유 ; 칸데릴라 왁스, 알파비사보롤, 알로에베라, 만지스타, 구갈, 콜라추출물, 녹차 추출물, 은행 추출물, 해초 추출물, 라벤더, 카모마일, 티트리
(d) 다음의 안정화제 중에서 1가지 이상 성분들을 전체 조성물의 0.01 내지 약 0.5 중량% 함유하는 액체 캐리어를 잔량 함유 ; 양이온 계면 활성제, 음이온 계면 활성제, 양쪽성 계면 활성제, 쯔비터 이온 계면 활성제,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
본 조성물은 피부 건조에 의한 민감성 피부, 내외부 피부 건조 및 자극에 의한 피부 트러블에 대한 보습 및 진정 효과를 부여하며, 자외선 유발의 열홍반, 여드름, 피부 염증, 아토피 등의 진정 효과에도 뛰어난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은 또한 다양한 임의의 성분들을 함유할 수 있다. 여기에 조성물의 필수 및 바람직한 성분 및 조성물 제조 및 용도가 하기에 상세히 기술되어 있다 :
소듐 히아루로네이트(Sodium Hyaluronate)는 히아루론산(Hyaluronic Acid)의 나트륨이다. 히아루론산은 피부 진피의 중요한 성분으로 수분 흡수 능력과 커다란 분자 구조로 인해 진치가 더 풍부하고, 적절한 유연성을 가지며, 팽창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글리코스아미노글리칸(Glycosaminoglycane) 성분이다. 히아루론산이 피부에 적용되었을 때 진피 결합조직의 세포간 기질이 물을 잡는 방법과 비슷안 방법으로 점성의 탄력이 있는 막을 형성한다. 더욱이 수분을 보유하는 능력은 거친 피부 표면에 즉시 부드러움을 주고, 피부 외관을 현저하게 개선시킨다. 소듐 히아루로네이트는 자체 무게의 1,800배에 해당하는 수분과 결합하는 능력이 있다. 특히 소듐 히아루로네티트는 피부의 초기 보습 능력을 크게하는 특징이 있지만 상대적으로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보습 능력이 떨어지는 면이 있어서 함량을 전첸 조성물에 대해 5 중량 % 이상 함유시키는 것은 큰 효과가 없으며, 조성물의 점도가 상승시키는 면이 있다.
친수성 보습제 성분으로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등의 폴리올계 화합물, 글리세린, 솔비톨, 말리톨, 아미노산, 피롤리돈카르복실산 나트륨, 요소, 유산 및 콜라겐 중에서 2가지 이상의 성분을 사용함으로서 피부 보습력을 더욱 상승시키는 효과를 주며, 동시에 소듐 히아루로네이트의 장기 보습 특성을 증대시키는 역할을 한다. 특히 피부의 젖음 특성을 개선시켜 활성 성분의 피부 침투를 증대시켜 유효 조성물 성분의 효과를 높이게 된다. 전체 조성물에 대해 5중량% 이하로 함유시에는 보습 특성이 낮아지게 되며, 80중량% 이상이 함유시에는 피부 착용감이 저하된다.
천연 진정 성분으로 칸데릴라 왁스, 알파비사보롤, 알로에베라, 만지스타, 구갈, 콜라추출물, 녹차 추출물, 은행 추출물, 해초 추출물, 라벤더, 카모마일, 티트리 중에서 1가지 이상의 성분을 사용함으로서 피부의 진정 효과를 상승시켜 주며, 동시에 식물성 추출물의 친유성 성분들이 피부로 침투하여 피부의 진정과 보습에 효과를 주며 피부를 실질적으로 개선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친수성 보습제 성분이 주로 피부 각질층의 보습 효과를 증대시키고 피부 표면의 젖음성을 높이는 역할을 하는데 반해, 천연 보습 진정 성분들의 친유성 성분들은 피부로 침투하여 피부의 실질적인 보습력을 증대시키는 역할을 한다. 식물성 추출물 성분이 10 중량% 이상 함유시에는 피부 침투 측면의 효율성이 실질적으로 저하되므로 전체 조성물의 0.05 내지 약 10 중량%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안정화제로 양이온 계면 활성제, 음이온 계면 활성제, 양쪽성 계면 활성제, 쯔비터 이온 계면 활성제,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계면 활성제는 소듐히아루로네이트, 친수성 보습제, 천연 진정 성분의 혼합을 안정적으로 하며, 동시에 천연 진정 성분의 피부 침투를 증대시키는 역할을 한다.
안정화제를 포함하는 액체 캐리어는 주로 순수 정제수가 주 성분이며, 다른 미용 성분들을 함유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유용한 국부용 조성물은 종래기술에 공지된 다양한 유형의 제품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이것에는 로숀, 크림, 겔, 스프레이, 페이스트, 파우더, 무스, 및 화장품 (예, 반고형 또는 액체 메이크업, 파운데이션, 아이메이크업, 염색 또는 비염색된 립트리트먼트 등) 이 포함되나 이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제품형은 용액, 에어졸, 에멀션, 겔 및 리포좀을 포함하는 다양한 유형의 캐리어를 함유할 수 있으나 이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에 서술된 소듐 히아루로네이트, 친수성 보습제, 천연 진정 성분, 안정화제를 포함한 친수성 캐리어 외에 본 발명의 목적에 부합되는 다른 조성물들을 동시에 함유할 수 있으며, 추가로 함유될 수 있는 대표적인 성분들의 분류는 다음과 같다.
피부 보호 및 활성제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피부보호 및 활성제를 전체 조성물의 0.1 중량% 내지 10 중량%의 비율로 함유 할 수 있으며, 대표적인 피부보호 및 활성제들로는 니아신아미드, 레티놀, 레티날, 레티닐 팔미테이트, 레티닐 프로피오네이트, 아스코르브산, 토코페놀 및 유도체 및 이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 등이 있다. 피부 보호 및 활성제는 피부 노화 및 UV 조사 등의 유해 환경에 의한 피부 손상으로부터 피부의 재생을 돕고 피부를 보호 개선시키는 효과를 갖는데 유용하다.
미백 성분
본 발명은 하나이상의 피부 미백 성분을 전체 조성물의 0.1 중량% 내지 10 중량%의 비율로 함유 할 수 있으며, 대표적인 피부 미백 성분들로는 닥나무추출물, 감초추출물, 코직산, 아르부틴, 아스코르브산 및 그 유도체 및 이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 등이 있다.
자외선 차단제
본 발명은 하나이상의 자외선 차단 성분을 전체 조성물의 0.5 중량% 내지 10 중량%의 비율로 함유할 수 있으며, 대표적인 자외선 차단제들로는 디옥시벤젠, 메칠안트라닐레이트, 벤조페논-4, 옥틸살리실레이트, 트리에탄올아민살리실레이트, 시녹세이트, 옥시벤존, 옥토크릴렌, 디갈로일트리올레이트, 파라디메칠안식향산아밀, 디에탄올아민파라메톡시신나메이트, 옥틸메톡시신나메이트, 파라아미노안식향산, 글리세릴파바, 에칠디히드록시프로필파바, 옥틸디메칠파바, 2-페닐벤조이미다졸-5-설폰산, 호모살레이트, 드로메트리졸, 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 옥틸트리아존, 3-(4-메칠벤질리덴)-캄파 등이 있다.
사용되는 일광차단제 또는 일광 차폐제의 정확한 량은, 선택된 일광차단제와, 목적하는 일광 보호 지수 (SPF)에 따라 가변이다.
더욱더 상술의 유효성분에 더하여 유지류등의 기제성분외 필요에 따라 공지의 보습제, 방부제, 산화방지제, 킬레이트제, pH조정제, 향료, 착색제등 여러가지 첨가제를 병용할 수 있다.
AHA / BHA
본 발명은 하나이상의 알파히드록시산(AHA: α-Hydroxy Acid) 및(또는) 베타히드록시산(BHA: β-Hydroxy Acid)을 전체 조성물의 0.5 중량% 내지 10 중량%의 비율로 함유할 수 있다.
알파히드록시산(AHA: α-Hydroxy Acid)은 카르복시산(Carboxylic acid)의 α 위치에 있는 탄소에 알코올기(Alcohol group) 또는 히드록시기(Hydroxy group)를 첨가한 화합물로 각질 세포의 이온결합 에너지를 낮추어 과각질을 제거하거나 새로운 세포의 형성을 촉진하여 피부가 노화되면서 길어지는 각질화과정의 주기를 짧게 하여 피부 세포의 활성을 촉진시켜 피부를 개선하는 것이다. 또한, 섬유아세포(Fibroblast)에 의한 콜라겐(Collagen)과 엘라스틴(Elastin)의 생성을 촉진하여 피부를 탄력있고, 부드럽게 하고 진피의 중요한 세포외 기질 성분인 뮤코폴리사카라이드(Mucopolysaccharide)의 생성을 촉진하여 피부보습을 증진시킨다.
알파히드록시산은 발효우유나 효소반응에 의해 얻어지는 젖산(Lactic acid, MW=90.08), 레몬이나 오렌지등 과일에 다량 함유되어 있는 구연산(Citric acid, MW=210.14), 사과, 포도, 딸기 등에 다량 함유된 사과산(Malic acid, MW=130.98) 및 포도에서 얻어지는 주석산(Tartaric acid, MW=150.09)등이 있으며, 특히, 젖산은 세포재생 효과, 수분조절 효과 및 과각질 제거 효과가 우수하며 AHA중에서는 피부 자극이 낮은 특징이 있다.
사탕수수에서 얻어지는 글리콜릭산(Giycolic acid, MW=76.05)은 AHA 중 분자량이 가장 작아 피부 침투가 빨라 효과는 좋으나 피부에서의 자극을 유발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베타히드록시산(BHA: β-Hydroxy Acid)은 카르복시산(Carboxylic acid)의 β위치에 있는 탄소에 알코올기(Alcohol group) 또는 히드록시기(Hydroxyl group)가 붙여진 구조를 가진 화합물로 분자량(105-194)이 AHA(76.1-210.1)보다 커서 피부 내부로 쉽게 침투되지 않아 피부 자극이 적으나 AHA에 비해 피부 보습 효과, 세포 재생 효과, 미백효과, 주름 개선 효과, 피부 탄력 효과 등이 다소 떨어지는 특징이 있다.
하나 이상의 AHA 및(또는) BHA 성분을 사용하면 조성물의 보습 특성 및 천연 진정 성분의 피부 침투 효과를 증대시키는 효과를 준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범주내에 있는 구현예를 더 상세히 기술하고 증명하는 것이다. 실시예는 단지 설명을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주내에 벗어남이 없이 많은 변형이 가능하다.
실시예 1-5 및 비교예 1-5
피부 진정 및 보호 조성물은 에멀션의 통상적인 배합 기술을 사용하여 하기 성분으로 부터 제조된다.
분류 성분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이미다졸리디닐우레아 0.03 0.03 0.03 0.03 0.03
계면활성제 글리세릴모노스테아레이트 0.02 - - 0.02 -
헥사글리세릴모노스테아레이트 0.01 0.02 - - 0.01
베타인 - 0.01 0.03 0.01 0.02
소듐히아루로네이트 1 1 1 1 1
친수성보습제 폴리에틸렌글리콜 5 - 5 - -
프로필렌글리콜 - 5 - 8 9
글리세린 10 10 - 5 -
솔비톨 - - 5 - 3
하이드로라이지드콜라겐 - - 5 2 3
천연성분 알로에베라 1 - 1 0.5 1
녹차추출물 1 1 - 0.5 0.5
카모마일 - 1 1 1 0.5
캠퍼 - - - - -
진저 - - - - -
분류 성분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비교예5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이미다졸리디닐우레아 0.03 0.03 0.03 0.03 0.03
계면활성제 글리세릴모노스테아레이트 - - - 0.02 -
헥사글리세릴모노스테아레이트 - 0.02 - - 0.01
베타인 - 0.01 0.03 0.01 0.02
소듐히아루로네이트 1 - 1 1 1
친수성보습제 폴리에틸렌글리콜 5 - - - -
프로필렌글리콜 - 5 - 8 9
글리세린 10 10 - 5 -
솔비톨 - - - - 3
하이드로라이지드콜라겐 - - 5 2 3
천연성분 알로에베라 1 - 1 - -
녹차추출물 1 1 - - -
카모마일 - 1 1 - -
캠퍼 - - - - 1
진저 - - - - 1
수분 보유능 평가 실험
각질층 내의 수분보유능을 측정하여 보습력을 평가하기 위해서 상기 실시예 1 - 5 및 비교예 1-5 에 대한 수분보유능(Water Holding Capacity Test) 시험을 하기와 같이 실시하였다. 피시험자 20명을 대상으로 하여 수분량 측정기인 Skicon-200을 사용하였으며 정확한 실험을 위해 항온조 25℃, 50% 상대습도를 유지하면서 평가하였다. 피부도포량을 피부 9cm2당 시료 0.03g으로 하여 피부에 도포하고, 도포 후 즉시(0초, 30초, 60초, 120초) 및 1시간 후(0초, 30초, 60초, 90초, 120초)와 5시간 후(0초, 30초, 60초, 90초, 120초)에 각각의 전기전도도(Conductance)를 측정하여 수분보유능을 측정한 후, 그의 변화량으로 각 실험에 대해 평가하였다.
수분보유능(W.H.C.) = (30, 60, 90, 120초시 전기전도도의 합)/(0, 30, 60, 90, 120초시 전기전도도의 합) x 100
구 분 무도포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W.H.C(%) 도포후즉시 33.61 31.56 33.43 33.25 32.57 32.53
1시간 후 28.84 32.38 34.81 35.49 34.39 34.71
△W.H.C -4.77 0.82 1.38 2.24 1.82 2.18
무도포 대비 △W.H.C - 5.59 6.15 7.01 6.59 6.96
구 분 무도포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비교예 5
W.H.C(%) 도포후즉시 33.72 33.53 33.62 32.57 32.23 33.49
1시간 후 28.95 33.21 33.14 32.13 32.01 33.22
△W.H.C -4.77 -0.32 -0.48 -0.44 -0.22 -0.27
무도포 대비 △W.H.C - 4.45 4.19 4.33 4.55 4.50
구 분 무도포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W.H.C(%) 도포후즉시 33.61 31.56 33.43 33.25 32.57 32.53
5시간 후 26.34 32.12 34.51 35.02 34.05 34.33
△W.H.C -7.27 0.56 1.08 1.77 1.48 1.8
무도포 대비 △W.H.C - 7.83 8.35 9.04 8.75 9.70
구 분 무도포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비교예 5
W.H.C(%) 도포후즉시 33.72 33.53 33.62 32.57 32.23 33.49
5시간 후 26.34 32.45 31.25 31.11 30.02 30.58
△W.H.C -7.38 -1.08 -2.37 -1.46 -2.21 -2.91
무도포 대비 △W.H.C - 6.19 4.9 5.81 5.06 4.36
실시예 1-5 의 경우 비교예 1-5 에 비해 수분 보유능이 우수한 결과를 나타 내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실시예 1-5의 경우 5시간 경과 후에도 1시간 후에 비해 우수한 수분 보유능을 유지하는 결과를 보였다.
항염증 효과 : 실시예 1 - 5 및 비교예 1 - 5 로부터의 조성물의 항염증 효과와 관련하여, 열홍반 진정효과와 관련된 수치인 모세혈관 혈행 감소치, 자외선 유발 홍반 진정 효과와 관련된 모세혈관 혈행 감소치를 하기의 표에 나타내었다.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열홍반 진정효과와 관련된모세혈관 혈행 감소치(mW/cm.℃) 0.81 0.77 0.82 0.75 0.73
자외선 유발 홍반 진정 효과와 관련된 모세혈관 혈행 감소치(mW/cm.℃) 0.68 0.72 0.71 0.68 0.71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비교예5
열홍반 진정효과와 관련된모세혈관 혈행 감소치(mW/cm.℃) 0.21 0.31 0.18 0.15 0.02
자외선 유발 홍반 진정 효과와 관련된 모세혈관 혈행 감소치(mW/cm.℃) 0.24 0.25 0.19 0.14 0.03
본 발명의 함염증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서 상기 실시예 1 - 5 및 비교예 1 - 5 의 조성물을 지원자를 대상으로 측정하여 실제 소비자가 얻게되는 효과를 측정하는 생체내 (in vivo) 실험을 실시하였다. 피부에 가해지는 자극의 종류에 따라 다른 염증에 대한 진정효과를 측정하고자 적외선에 과다노출에 의해 유발되는 열홍반(Thermic erythema)과 자외선에 과다노출로 유발되는 홍반(Actinic erythema) 억제에 대해 본 발명 조성물의 효과를 실험하였다. 자원자는 나이 21세에서 60세 사이의 여성 20명으로 구성된 패널과, 나이 18세에서 29세 사이의 남자 10명과 여자 10명으로 구성된 패널로 나뉘어 실험에 참가하였다.
항염 효과에 의한 염증 진정효과는 피하모세혈관혈행(Cutaneous microcirculation), 피부홍반색 및 피부온도를 측정하여 이를 계수화 하였다. 피하모세혈관 혈행은 열전도계측장치(Hematron)로 측정하였는데 모세혈관이 수축하면 전도도는 감소하고 팽창하면 증가하게 된다. 염증의 감소는 팽창된 모세혈관의 수축으로 부기(부종)가 가라않게 되는 것이 지표가 된다. 한편 피부 홍반색은 미놀타(Minolta) CR300 크로마미터를 사용하여 측정하였으며 피부온도는 역시 헤마트론 (Hematron)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열홍반의 유발을 위해 사용된 적외선조사 장치는 IR Phillips 250 S이었으며 조사강도 70mW/㎠ 로 30분간 50cm의 거리에서 조사하여 열홍반을 유발하였다. 조사부위는 14㎠ 이었다. 자외선 조사는 제논(Xenon) 램프가 장착된 UV 조사장치 (SUNTEST/ORIGINAL HANAU)를 사용하여 100W 강도로 4㎠ 부위에 조사하였다. 각 자원자 개인별 최소염증유발 조사량(MED: Minimal Erythemal Dose)을 결정한 뒤에 조사하였다. 본 발명 조성물에 의한 염증진정효과는 자외선을 조사한 후 24시간 후 측정하였다.
폐쇄첩포검사 (Human closed patch test)
인체 첩포 시험은 일차자극물질 (Primary Irritants)을 검색하기 위한 방법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Matsumura et al, 1995), 피부과적으로는 알레르기성 접촉피부염의 진단을 위한 진단용 첩포시험(Diagnostic patch test)을 의미한다.
건강한 성인 남, 여 각 30명의 등 부위에, 키트(Finn chamber)를 이용하여 40㎕를 넣은 뒤, 이를 테이프(scanpore tape)로 피부에 고정하였다. 24시간 후에 이를 피부에서 떼어내고, 다시 4시간 후 그 결과를 판정하였다. 홍반과 부종의 정도를 숫자로 나타내었다. 판정기준은 국제접촉피부염 연구위원회 (International Contact Dermatitis Research Group;ICDRG)의 기준에 따랐으며(Wooding et al, 1967; Rietschell, 1982; Fischer & Maibach, 1984; Aberer et al, 1993), 다음과 같다.
(판정기준)
0= 발적없음
1= 발적(erythema)
2= 발적 및 구진(papules)
3= 발적, 구진 및 소수포(vesicles)
4= 심한 부종 및 소수포
자극도(%) = (양성반응을 나타내는 반응도/자체모집단의 반응도) ×100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폐쇄첩포검사의자극도 (%) 1.01 1.07 1.11 1.03 0.95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비교예5
폐쇄첩포검사의자극도 (%) 2.35 2.68 4.53 4.32 27.67
열홍반 진정효과
실시예 1 - 5 및 비교예 1 - 5 의 조성물 각각에 대하여 40명의 지원자들에 대한 모세혈관 혈행 감소치의 평균값을 측정한 결과, 실시예 1 - 5 의 경우에는 모세혈관혈행의 감소치가 최소 0.73 mW/cm.℃ 이상으로 나타남으로써 본 발명의 조성물에 의한 열홍반 완화 효과가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참고로 열전도도 차이는(△T) 0.1 mW/cm.℃ 이상이면 신뢰하는 수준이다.
비교예 1 - 4 의 경우에는 모세혈관혈행의 감소치가 0.15-0.31 mW/cm.℃로 실시예에 비해 낮은 수치를 나타내었으며, 비교예5의 경우에는 0.03 mW/cm.℃로 열홍반 진정 효과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외선 유발 홍반 진정효과
실시예 1 - 5 및 비교예 1 - 5 의 조성물 각각에 대하여 40명의 지원자들에 대한 모세혈관 혈행 감소치의 평균값을 측정한 결과, 실시예 1 - 5 의 경우에는 모세혈관혈행의 감소치가 최소 0.68 mW/cm.℃ 이상으로 나타남으로써 본 발명의 조성물에 의한 자외선 유발 홍반 진정효과가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참고로 열전도도 차이는(△T) 0.1 mW/cm.℃이상이면 신뢰하는 수준이다.
비교예 1 - 4 의 경우에는 모세혈관혈행의 감소치가 0.14-0.25 mW/cm.℃로 실시예에 비해 낮은 수치를 나타내었으며, 비교예5의 경우에는 0.02 mW/cm.℃로 자외선 유발 홍반 진정 효과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피부 안정성에 대한 효과
실시예 1 - 5 및 비교예 1 - 5 의 조성물 각각에 대하여 60명의 지원자들에 대한 폐쇄첩포검사의 자극도(%) 를 측정한 결과, 실시예 1 - 5 의 경우에는 자극도가 최대 1.11% 이상으로 나타남으로써 본 발명의 조성물에 의한 피부 안정성 효과가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비교예 1 - 4 의 경우에는 폐쇄첩포검사의 자극도(%)가 실시예에 비해 크게 나타나 피부 안정성이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비교예 5의 경우에는 자극도가 27.67%로 매우 크게 나타났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개별적인 구현예가 기재됨으로써, 본 발명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화와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의 숙련된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본 발명의 범위 밖의 모든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보호될 것이다.
본 발명은 실질적인 피부 보습 및 진정 효과가 우수한 조성물을 제시하여 피부 건조에 의한 피부 불완전함, 예컨대 충혈, 피부 자극, 피부 트러블, 피부 과민화, 아토피 등의 자극받은 피부의 보습, 진정, 개선에 도움을 주며, 특히 피부 자극 측면의 안정성이 우수한 피부 국부 적용 조성물로의 활용을 제시한다.

Claims (3)

  1. 하기의 조성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국부 적용시 피부 보습 및 진정 효과를 제공하는 피부 보호 조성물 :
    (A) 소듐 히아루로네이트 성분을 전체 조성물의 0.05 내지 5 중량% 함유
    (B) 다음의 친수성 보습제 성분들 중에서 2가지 이상 성분을 전체 조성물의 5 내지 80 중량% 함유 ;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등의 폴리올계 화합물, 글리세린, 솔비톨, 말리톨, 아미노산, 피롤리돈카르복실산 나트륨, 요소, 유산 및 콜라겐
    (C) 다음의 천연 진정 성분들 중에서 1가지 이상 성분들을 전체 조성물의 0.05 내지 약 10 중량% 함유 ; 칸데릴라 왁스, 알파비사보롤, 알로에베라, 만지스타, 구갈, 콜라추출물, 녹차 추출물, 은행 추출물, 해초 추출물, 라벤더, 카모마일, 티트리
    (d) 다음의 안정화제 중에서 1가지 이상 성분들을 전체 조성물의 0.01 내지 약 0.5 중량% 함유하는 액체 캐리어를 잔량 함유 ; 양이온 계면 활성제, 음이온 계면 활성제, 양쪽성 계면 활성제, 쯔비터이온 계면활성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2. 제 1 항에 있어서, 하나이상의 AHA(Alpha Hydroxy Acid) 성분 또는 AHA 유도체 성분이 전체 조성물의 0.1 중량% 내지 10 중량%의 비율로 함유된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하나이상의 BHA(Beta Hydroxy Acid) 성분 또는 BHA 유도체 성분이 전체 조성물의 0.1 중량% 내지 10 중량%의 비율로 함유된 조성물
KR1020030078186A 2003-11-06 2003-11-06 피부 진정 및 보습 유지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KR2005004333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8186A KR20050043334A (ko) 2003-11-06 2003-11-06 피부 진정 및 보습 유지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8186A KR20050043334A (ko) 2003-11-06 2003-11-06 피부 진정 및 보습 유지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3334A true KR20050043334A (ko) 2005-05-11

Family

ID=372440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8186A KR20050043334A (ko) 2003-11-06 2003-11-06 피부 진정 및 보습 유지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43334A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0392B1 (ko) * 2008-11-10 2011-06-09 (주)아모레퍼시픽 유기농 식물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121949B1 (ko) * 2011-12-19 2012-03-21 라미화장품 주식회사 수분 함량을 높인 화장품 스팀 크림의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50130198A (ko) * 2014-05-13 2015-11-23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칸데릴라 왁스 함유 나노에멀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60112103A (ko) 2015-03-18 2016-09-28 최지연 클렌징과 보습 효과가 동시에 작용하는 이중 기능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
CN106176265A (zh) * 2016-09-12 2016-12-07 深圳仁心仁德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能够调节皮肤水油平衡的护肤喷雾及其制备方法
KR20180086674A (ko) 2017-01-23 2018-08-01 민연홍 핑거루트를 포함하는 피부 미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180086676A (ko) 2017-01-23 2018-08-01 민연홍 히비스커스를 포함하는 피부 미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200029981A (ko) * 2018-09-11 2020-03-19 심재덕 아토피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00090629A (ko) 2019-01-21 2020-07-29 주식회사 브라이언스랩 금화규꽃 추출물 및 히비스커스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0392B1 (ko) * 2008-11-10 2011-06-09 (주)아모레퍼시픽 유기농 식물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121949B1 (ko) * 2011-12-19 2012-03-21 라미화장품 주식회사 수분 함량을 높인 화장품 스팀 크림의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50130198A (ko) * 2014-05-13 2015-11-23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칸데릴라 왁스 함유 나노에멀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60112103A (ko) 2015-03-18 2016-09-28 최지연 클렌징과 보습 효과가 동시에 작용하는 이중 기능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
CN106176265A (zh) * 2016-09-12 2016-12-07 深圳仁心仁德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能够调节皮肤水油平衡的护肤喷雾及其制备方法
KR20180086674A (ko) 2017-01-23 2018-08-01 민연홍 핑거루트를 포함하는 피부 미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180086676A (ko) 2017-01-23 2018-08-01 민연홍 히비스커스를 포함하는 피부 미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200029981A (ko) * 2018-09-11 2020-03-19 심재덕 아토피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00090629A (ko) 2019-01-21 2020-07-29 주식회사 브라이언스랩 금화규꽃 추출물 및 히비스커스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66464B2 (en) Cosmetic composition to accelerate repair of functional wrinkles
KR0166576B1 (ko) 킬레이트화제를 함유하는 광보호조성물
CN106860088B (zh) 一种美白祛疤护肤品及其制备方法
DE69928005T2 (de) Kosmetische und dermatologische zusammensetzung enthaltend einen wirkstoff zur stimulierung der synthese des hsp 32 proteins in der haut und verfahren zur kosmetischen behandlung
KR102212787B1 (ko) 미백 기능의 필링제 조성물
CN110623882A (zh) 一种美白祛斑面膜及其制备方法
KR20050103903A (ko) 노화되거나 환경에 손상된 피부를 치료하기 위한 국소적조성물 및 치료 방법
KR20050043334A (ko) 피부 진정 및 보습 유지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KR102233140B1 (ko) 저분자 히알루론산을 함유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30107386A (ko) 달팽이 발효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화장료
KR101189991B1 (ko) 백련초 추출물, 자작나무 수액, 엑스트라 버진 올리브 오일및 폴리올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US20040043047A1 (en) Cosmetic or dermatological compositions containing at least one substance for increasing the functionality and/or expression of the CD44 membrane receptors of skin cells
KR101101403B1 (ko) 자가 발열 피부 활성 화장료 조성물
KR102252668B1 (ko) 탄력 개선 및 미백 기능의 필링제 조성물
KR100840988B1 (ko) 알긴산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조성물
JP2971549B2 (ja) 化粧料
KR20020016960A (ko) 마치현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Nash et al. Maintenance of healthy skin: Cleansing, moisturization, and ultraviolet protection
KR20110026237A (ko) 해바라기씨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세정제 조성물
KR20050097578A (ko) 대추 추출물 및 호두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화장료 조성물
KR20050098583A (ko) 옥죽 파우더를 함유하는 피부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20050051069A (ko) 양성 특성의 안전한 피부 각질 제거용 조성물
US20230201094A1 (en) Personal Care Compositions
KR100879093B1 (ko) 글루코노락톤 또는 글루카로락톤을 함유하는 피부 진정용 조성물
KR100289671B1 (ko) 송이 추출물과 삭카라이드 이소머레이트를 함유한 피부 화장료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