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2646B1 - 약용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보습용 비누 조성물 - Google Patents

약용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보습용 비누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2646B1
KR101862646B1 KR1020170036201A KR20170036201A KR101862646B1 KR 101862646 B1 KR101862646 B1 KR 101862646B1 KR 1020170036201 A KR1020170036201 A KR 1020170036201A KR 20170036201 A KR20170036201 A KR 20170036201A KR 101862646 B1 KR101862646 B1 KR 1018626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soap
soap composition
composition
sod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62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종철
Original Assignee
배종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종철 filed Critical 배종철
Priority to KR10201700362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26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26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26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9/00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 C11D9/04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containing compounding ingredients other than soaps
    • C11D9/22Organic compounds, e.g. vitamins
    • C11D9/38Products in which the composition is not well defin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7/00Detergent materials or soap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properties
    • C11D17/0008Detergent materials or soap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properties aqueous liquid non soap compositions
    • C11D17/003Colloidal solutions, e.g. gels; Thixotropic solutions or paste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9/00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 C11D9/04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containing compounding ingredients other than soaps
    • C11D9/06Inorganic compounds
    • C11D9/08Water-soluble compounds
    • C11D9/10Salt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9/00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 C11D9/04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containing compounding ingredients other than soaps
    • C11D9/22Organic compounds, e.g. vitamins
    • C11D9/24Hydrocarb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9/00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 C11D9/04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containing compounding ingredients other than soaps
    • C11D9/44Perfumes; Colouring materials; Brightening agents ; Bleaching agents
    • C11D9/442Perfume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9/00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 C11D9/04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containing compounding ingredients other than soaps
    • C11D9/44Perfumes; Colouring materials; Brightening agents ; Bleaching agents
    • C11D9/444Dyes; Pig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9/00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 C11D9/04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containing compounding ingredients other than soaps
    • C11D9/44Perfumes; Colouring materials; Brightening agents ; Bleaching agents
    • C11D9/446Bleaching ag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Dermatology (AREA)
  • Myc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약용식물 추출물을 함유한 보습용 비누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유효성분으로서 천문동 추출물, 돌복숭아잎 추출물 및 조릿대 추출물을 포함을 포함함으로써 보습 기능이 우수하며 미세 기포가 풍부하게 발생하여 노폐물 제거에 효과적인 비누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천문동 추출물, 돌복숭아잎 추출물 및 조릿대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누 조성물은 탁월한 피부 보습력을 가지면서 미세 기포가 풍부하게 형성될 수 있는바, 피부 보습 효과가 극대화된 새로운 기능성 비누 조성물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천문동, 돌복숭아잎 및 조릿대는 식용 가능한 식물로서 이로부터 유래한 추출물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비누 조성물은 장기간 사용에도 안전한 이점을 가진다.

Description

약용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보습용 비누 조성물{A moisturizing soap composition comprising of medicinal plants}
본 발명은 약용식물 추출물을 함유한 보습용 비누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유효성분으로서 천문동 추출물, 돌복숭아잎 추출물 및 조릿대 추출물을 포함을 포함함으로써 보습 기능이 우수하며 미세 기포가 풍부하게 발생하여 노폐물 제거에 효과적인 비누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각종 산업시설이나 자동차 등에서 발생되는 배기가스의 영향으로 대기 오염 및 수질 오염 등의 공해문제가 심각해지고 있으며, 주거환경이 개선됨에 따라 거주공간의 난방효율이 현저하게 향상되어 피부가 건조한 상태로 유지되면서 피부가 거칠어지거나 조기에 노화되는 현상이 발생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피부는 표면에서부터 표피, 진피, 피하조직으로 구성되는데, 표피의 가장 바깥쪽에는 피부의 표피세포가 노화되면서 생겨나는 각질층이 형성된다.
이러한 사람의 피부는 체내의 생리작용에 의한 노폐물을 체외로 배출시키는 기능과 인체에 필요한 산소공급을 위한 피부호흡의 기능을 가진다.
신체에서 분비되는 각종 노폐물이나 피지 등이 피부에 분포되어진 모공이나 피지선 등을 막게 되면, 노폐물 등이 피부의 상피조직 내에 축적되어 피부 상피세포의 비정상적인 각화현상을 초래한다. 또한, 공기 중의 유해한 미생물이 피부표면에 흡착되면서 모공이나 땀구멍 등을 통해 피부 표면에 미생물 등이 침투하게 되면, 이는 바로 피부염증을 일으키게 되는 원인이 되고, 궁극적으로는 피부에 손상을 가져오게 되어 피부미용을 해치게 된다.
따라서 사람의 피부는 항상 인체의 생리작용과 조화를 이룰 수 있도록 깨끗하게 유지시켜 주고 관리해야 하며, 이러한 과정이 선결되면 건강하고 탄력 있는 피부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피부를 청결하게 세척시키고 보호시켜 주기 위한 구체적인 방법 중의 하나가 비누의 사용이다.
일반적으로 비누는 세수 및 세안이나 목욕과정에서 신체의 각질, 노폐물 및 때와 같은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하는 세정제로, 용도에 따라서 세안 및 목욕을 위한 세안용 비누와 옷감 등의 빨래를 위한 세탁용 비누로 크게 나눌 수 있다. 비누에서 기본적으로 요구되는 효능은 우수한 세정력이다. 하지만, 생활이 풍요로워지면서 건강에 대한 관심이 고조됨에 따라, 세정력 이외의 다른 효능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
상기 세안용 비누는 주로 식물성 유지와 계면활성제가 주성분을 이루고 있으며 이들 성분을 기본으로 하여 각각의 기능성 물질을 첨가하여 다양한 종류의 세안용 비누를 만들게 된다.
한편,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미용비누는 대부분 유지와 알카리금속 및 화학약품을 혼합하여 만들어진 것으로, 피부의 세정에 사용할 경우 수용액이 알카리성을 나타내어 피부의 피지 성분이 과다하게 제거되고, 각질층을 연화시켜 피부의 건조 및 거칠어짐을 유발하는 문제가 종종 발생하였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비누에 자연물에서 추출한 생약성분을 함유시키고 있으나, 일반적인 기능추가에 그치고 있으며 실질적으로 피부 개선효과는 크지 않은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자는 기능성 천연 소재로서 비누에 적용할 수 있는 약용식물을 찾고자 연구한 결과, 천문동 추출물, 돌복숭아잎 추출물 및 조릿대 추출물을 특정 배합비로 포함하는 비누 조성물이 피부 보습력을 탁월하게 증대시킬뿐 아니라 미세 기포를 풍부하게 형성함으로써 노폐물 제거에 효과적인 것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한국공개특허 제10-1995-0003432호 한국등록특허 제10-1065608호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천연 약용식물 추출물을 이용하여 장기간 사용에도 인체에 안정하면서 피부 보습력이 우수한 비누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천문동 추출물, 돌복숭아잎 추출물 및 조릿대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누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천문동 추출물, 돌복숭아잎 추출물 및 조릿대 추출물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천문동 추출물, 돌복숭아잎 추출물 및 조릿대 추출물은 1 : 2 : 1의 중량비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전체 비누 조성물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1 내지 10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비누칩, 기포제, 천연지방산, 보습제, 소듐셀룰로오스, 염화나트륨, 색소, 향료, 표백제, 방부제, 항산화제, 변색방지제 및 정제수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비누칩은 소듐팔메이트 및 소듐코코에이트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또는 이들의 혼합물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비누칩은 소듐팔메이트 및 소듐코코에이트가 1:3의 중량비로 혼합된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기포제는 디소듐코코암포디아세테이트, 소듐라우로일사르코시네이트 및 라우릭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을 액상, 크림상, 페이스트상 또는 고체상의 제형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보습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천문동 추출물, 돌복숭아잎 추출물 및 조릿대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누 조성물은 탁월한 피부 보습력을 가지면서 미세 기포가 풍부하게 형성될 수 있는바, 피부 보습 효과가 극대화된 새로운 기능성 비누 조성물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천문동, 돌복숭아잎 및 조릿대는 식용 가능한 식물로서 이로부터 유래한 추출물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비누 조성물은 장기간 사용에도 안전한 이점을 가진다.
본 발명의 비누 사진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천문동 추출물, 돌복숭아잎 추출물 및 조릿대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누 조성물을 제공함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하는 ‘천문동’은 한국 토종 약초로서, 우리나라의 경남, 경북이나, 제주도, 전남, 전북 따뜻한 지역등지에 자생하는 덩굴성 다년초로 땅 속의 뿌리줄기는 짧고 덩이 모양으로 비대하며 뿌리가 사방으로 퍼진다. 줄기는 1~2m 정도로 덩굴져서 자라며 가지가 많이 갈라진다. 잔가지는 가는 잎 모양으로 1~3개씩 모여서 나며 윤채가 있으며 활처럼 휜다. 잎은 짧은 가시처럼 되어 흩어져서 난다. 꽃은 잎겨드랑이에서 1~3개씩 모여 담황색으로 핀다. 꽃잎은 6개이고 선상 타원형이며 3개의 수술과 3개로 갈라진 암술대가 있다. 구형의 장과는 흰색으로 익으며 안에 1개의 종자가 들어있다. 천문동(天門冬)이라는 이름은 하늘의 문을 열어주는 겨울 약초라는 뜻이다. 주요성분은 덩이뿌리에는 아스파라긴, 시토스테롤, 5-메톡시-아스파라긴, 메틸푸르푸랄, 점액질, 스테로이드사포닌이 있다. 동의보감에는 천문동을 오래 복용하면 몸이 가벼워지고 굶주리지 않는다고 하였는데, 겨울 추위도 이겨내고 원기도 돕는다. 또 폐를 보호하므로 숨이 차거나 마른 기침이 낫지 않으며 겨울에 더 심해지는 만성기관지염에 큰 효과가 있다. 또 이뇨는 물론 대소변의 소통도 원활하게 하며, 아울러 강장 효능도 있다고 알려져 있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하는 ‘돌복숭아’는 개복숭아, 산복숭아라고 불리어지고 있으며, 자연상태에서 자라는 야생복숭아로써, 돌복숭아의 크기는 3~4cm 정도에 불과하여 일반 복숭아와는 일단 외관에서부터 큰 차이가 있으며, 그 맛과 성분들에 있어서 현저한 차이가 있으나, 이에 대한 연구는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 특히, 돌복숭아는 일반 복숭아에는 없는 인산칼슘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관절염의 치료에도 탁월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그 식감과 향미가 일반 복숭아와는 완전히 다른 특성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돌복숭아잎 부분을 소재로 사용하였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하는 ‘조릿대’는 학명이 Sasa borealis(Hack.) Makino.이며 대나무 중에서 가장 작은 대나무로서 우리나라 중부 이남 지방의 산에 빽빽하게 무리 지어 흔히 자란다. 조릿대는 동의보감, 본초강목, 신농본초경에 따르면 인삼을 훨씬 능가한다고 할 만큼 놀라운 약성을 지닌 약초이며, 대나무 중에서 약성이 제일 강하여 조릿대 한 가지만 써도 당뇨병, 고혈압, 위궤양 등의 난치병이 완치된 경우가 적지 않다고 한다. 또한, 조릿대는 열을 내리고 독을 풀며, 가래를 없애고 소변을 잘 나오게 하며, 암세포를 억제하는 등의 효과가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조릿대잎 부분을 소재로 사용하였다.
본 발명자는 고보습 기능성을 부여할 수 있는 천연 소재로서 비누에 적용할 수 있는 약용식물을 찾고자 연구하였으며, 그 결과 천문동 추출물, 돌복숭아잎 추출물 또는/및 조릿대 추출물이 피부에 자극이 없으며, 피부 보습력을 탁월하게 향상시킨다는 사실을 최초로 규명하였다.
그러므로 천문동 추출물, 돌복숭아잎 추출물 및 조릿대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본 발명의 조성물은 고보습 기능성을 갖는 비누 조성물 소재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추출 및 분리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천연으로부터 추출 및 분리하여 수득한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정의된‘추출물’은 적절한 용매를 이용하여 약용식물(천문동, 돌복숭아잎, 조릿대)로부터 추출한 것이며, 예를 들어, 상기 약용식물의 조추출물, 극성용매 가용 추출물 또는 비극성용매 가용 추출물을 모두 포함한다.
상기 약용식물(천문동, 돌복숭아잎, 조릿대)로부터 추출물을 추출하기 위한 적절한 용매로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유기용매라면 어느 것을 사용해도 무방하며, 물 또는 유기용매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예를 들어, 정제수(물), 메탄올(methanol), 에탄올(ethanol), 프로판올(propanol), 이소프로판올(isopropanol), 부탄올(butanol) 등을 포함하는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아세톤(acetone), 에테르(ether), 벤젠(benzene), 클로로포름(chloroform),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 메틸렌클로라이드(methylene chloride), 헥산(hexane) 및 시클로헥산(cyclohexane) 등의 각종 용매를 단독으로 혹은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물 또는 에탄올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추출 방법으로는 열수추출법, 냉침추출법, 환류냉각추출법, 용매추출법, 수증기증류법, 초음파추출법, 용출법, 압착법 등의 방법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목적하는 추출물은 추가로 통상의 분획 공정을 수행할 수도 있으며, 통상의 정제 방법을 이용하여 정제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약용식물 추출물의 제조방법에는 제한이 없으며, 공지되어 있는 어떠한 방법도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되는 약용식물(천문동, 돌복숭아잎, 조릿대)은 상기한 열수 추출 또는 용매 추출법으로 추출된 1차 추출물을, 감압 증류 및 동결 건조 또는 분무 건조 등과 같은 추가적인 과정에 의해 분말 상태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1차 추출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박층 크로마토그래피(thin layer chromatography),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등과 같은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추가로 정제된 분획을 얻을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서 약용식물(천문동, 돌복숭아잎, 조릿대)은 추출, 분획 또는 정제의 각 단계에서 얻어지는 모든 추출액, 분획 및 정제물, 그들의 희석액, 농축액 또는 건조물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본 발명에서 세 가지 약제들(천문동, 돌복숭아잎, 조릿대)은 모두를 한꺼번에 넣고 추출할 수도 있고 각각 추출한 후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으나, 유효성분의 효율적 추출과, 약용식물의 혼합 추출 시 부성분의 추출을 최대한 억제하기 위하여 개별 추출 후 혼합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약용식물(천문동, 돌복숭아잎, 조릿대)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조금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천문동, 돌복숭아잎, 조릿대 각각에 중량 대비 5-10배의 물을 첨가하여 100℃ 이상의 온도에서 5~30분간 열처리 하는 것을 반복하여 추출할 수 있다. 이렇게 수득한 추출액을 여과한 뒤 농축 및 동결건조 과정을 거쳐 최종적으로 본 발명의 천문동 추출물, 돌복숭아잎 추출물, 조릿대 추출물 각각을 파우더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건조된 세 가지 약용식물(천문동, 돌복숭아잎, 조릿대)은 모두를 한꺼번에 넣고 추출할 수도 있고 각각 추출한 후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으나 유효성분의 효율적 추출과, 약용식물의 혼합 추출 시 부성분의 추출을 최대한 억제하기 위하여 개별 추출 후 혼합 사용법을 따르는게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천문동 추출물, 돌복숭아잎 추출물 및 조릿대 추출물을 1-2 : 1-2 : 1-2의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천문동 추출물, 돌복숭아잎 추출물, 조릿대 추출물을 1 : 2 : 1의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천문동 추출물, 돌복숭아잎 추출물 및 조릿대 추출물은 비누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10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며, 조성물에 1μg/ml 내지 10000μg/ml의 농도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비누 조성물은 상기 유효성분 이외에 비누칩, 기포제, 천연지방산, 보습제, 소듐셀룰로오스, 염화나트륨, 색소, 향료, 계면활성제, 표백제, 방부제, 항산화제, 변색방지제 및 정제수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비누 조성물은 상기와 같은 유효성분(천문동 추출물, 돌복숭아잎 추출물, 조릿대 추출물)과 함께 비누베이스 조성물을 함유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하는 ‘비누베이스 조성물’은 비누의 기본을 형성하는 구성 물질로 이루어진 조성물로서, 일반적으로 당해 기술 분야에서 사용되는 비누의 구성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누베이스 조성물은 비누칩, 기포제, 보습제, 염화나트륨, 색소, 향료, 표백제, 방부제, 항산화제, 변색방지제 및 정제수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하는 ‘비누칩’이란 일반비누 제조 공정에서 사용하는 원료로 솝 칩(Soap Chip) 또는 솝 누들(Soap Noodle)이라 불리며, 팜이나 코코넛오일이 바로 생산되는 현지(말레이지아나 필리핀 등)항구에 보통은 플랜트 공장을 지어서 비누라는 형태의 덩어리 칩을 생산하는데, 이러한 비누덩어리를 비누칩이라 한다. 비누칩의 성분으로는 소듐팔메이트 또는 소듐코코에이트를 예시할 수 있으며, 이들이 단독 사용되거나 혼합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비누칩은 소듐팔메이트 및 소듐코코에이트가 1:1~4의 중량비로 혼합된 형태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이들이 1:3의 중량비로 혼합된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하는 ‘기포제(foaming agent)’란 안정인 거품을 형성시키기 위해, 용액 또는 원료에 첨가하는 물질로서 용액계의 기포제는 계면활성제의 일종이다. 그 예로는 소듐 라우레이트(sodium laurate), 소듐 코코일 이세티오네이트(sodium cocoyl isethionate), 디소듐코코암포디아세테이트(Disodium cocoamphodiacetate), 소듐라우로일사르코시네이트(Sodium lauroyl sarcosinate), 사르코시아네이트(Sarcosinates), 포타슘라우레이트(Potassium laurate), 라우릭산(Lauric acid) 및 설포숙시네이트(sulfosuccinates), 글루탐산(glutamic acid) 등의 음이온 계면활성제; 코카미도 디에탄올아미드(Cocamido diethanolamide), 알킬 폴리글루코시드(alkyl polyglucoside), 폴리소르베이트 20(polysorbate20), PEG-100 스테아레이트(Stearate) 및 폴리소르베이트 60(Polysorbate 60) 등의 비이온 계면활성제; 및 코코아미도프로필 베타인(Cocoamidopropyl Betaine) 등의 양성계면활성제 등이 있으며, 통상의 기술자가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기포제로 디소듐코코암포디아세테이트, 소듐라우로일사르코시네이트 및 라우릭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하는 ‘천연지방산’이란 천연 유래의 지방산으로 기포제와 함께 사용하는 경우 미세하고 작은 기포가 풍부하게 발생될 수 있도록 하는 기포보조제 역할을 한다. 그 예로는, 미리스틱산(Myristic acid), 팔미틱산(Palmitic acid), 스테아릭산(Stearic acid), 라우릭산(Lauric acid) 등이 있으며, 통상의 기술자가 이를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천연지방산으로는 라우릭산을 사용할 수 있으며, 기포제에 라우릭산의 혼합 사용하는 경우 미세한 작은 기포가 풍부하게 발생하여 피부 과지질, 각질, 화장 잔유물 등의 각종 노폐물과 흡착하는 능력이 커져 매우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하는 ‘보습제’란 피부의 수분 유지력을 높이는 성분으로 갈락토아라비난 (Galactoarabinan), 아르간 오일, 시어버터, 히아루론산, 글리세린 등이 있으며, 통상의 기술자가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보습제로 시어버터, 아르간 오일, 소듐히알루론산 및 글리세린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비누베이스 조성물에 포함되는 구성성분으로서‘소듐셀룰로오스’는 기포제에 함께 첨가 시에는 작은 기포의 유지 시간을 훨씬 길게 가져 갈 수 있어 피부에서 혼합 기포제의 유효 작용이 매우 높아지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비누베이스 조성물에 포함되는 구성성분으로서 ‘염화나트륨’은 비누를 딱딱하게 만들기 위한 고형제의 역할을 한다.
상기에서 언급한 유효성분 및 비누베이스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비누 조성물은 액상, 크림상, 페이스트상 또는 고체상의 제형일 수 있으나, 비누 조성물로 기능할 수 있는 것이면 어떠한 타입의 제형도 포함하는 개념이며 특별히 그 종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약용식물 추출물은 비누 조성물 총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1-10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으며; 비누칩은 비누 조성물 총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60-70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고; 기포제는 비누 조성물 총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1-30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으며; 천연지방산은 비누 조성물 총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1-20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고; 보습제는 비누 조성물 총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1-20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으며; 소듐셀룰로오스는 비누 조성물 총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0.1-10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고; 염화나트륨은 비누 조성물 총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0.1-5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비누 조성물은 통상의 제조방법을 통해 시판될 수 있는 비누 제품으로 제조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a) 비누칩, 기포제, 보습제, 염화나트륨, 색소, 향료, 표백제, 방부제, 항산화제, 변색방지제 및 정제수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비누베이스 조성물에 본 발명의 약용식물 추출물(천문동 추출물, 돌복숭아잎 추출물, 조릿대 추출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배합하여 비누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비누 조성물을 압출(Plodding), 솝바(Soap bar), 절단(Cutting), 형타(Stamping) 공정을 거치는 단계를 통해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a) 단계는 비누칩, 디소듐코코암포디아세테이트, 라우릭산과 적량의 색소 희석액을 넣고 고루 혼합함으로써 색소가 골고루 침적되도록 한 후(이렇게 하는 이유는 파우더 상의 원료인 기포제에 색소가 묻을 경우 색소가 묻은 파우더 상은 파쇄되지 않고 뭉쳐 있어 최종 비누에도 잔존하여 색소 얼룩으로 남아 외관이 좋지 않기 때문임) 파우더 형태의 기포제인 소듐라우로일사르코시네이트를 넣고 혼합되도록 교반한 다음; 순차적으로 보습제인 시어버터, 아르간 오일, 소듐히아루론산, 글리세린를 넣고 균일하게 혼합한 이후; 순차적으로 소듐셀룰로오스, 약용식물 추출물, 염화나트륨, 향료 순으로 투입하고 완전 혼합되도록 고루 교반하여 비누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b) 단계는 상기 a) 단계를 통해 제조된 비누 조성물을 비누 제조기 넣어 스크류가 비누 조성물을 밀어 다공판을 빠져나오면 절단기가 입상(Noodle)을 잘게 잘라주는 과정을 3회 이상 반복한 다음, 마지막에서는 강한 진공을 걸어서 비누 내부의 공기를 완전히 빼내어 밀도를 높이고 공극을 줄이는 과정을 거칠 수 있다. 마지막 단계를 나올 때에는 약 50cm간격으로 긴 바(Bar)형태로 잘라 성형 단계로 넘어간다. 성형단계에서는 바 형태의 비누를 4개의 비누 금형이 하나로 된 성형기로 눌러 성형을 하고, 진공 흡착으로 성형된 비누를 빼내는 공정을 거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단계를 통해 제조된 성형된 비누는 얇은 종이로 감싸는 속지 포장 단계와, 다시 속지 포장을 소박스인 카톤(Carton) 포장 단계를 거쳐 비누 제품으로 완성되어 시판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
약용식물 추출물 준비
<1-1> 천문동 추출물의 제조
본 발명에 사용한 천문동는 2016년 10월 경남 산청군에서 재배, 건조한 지리산약초골(www.jirisangol.com)로 부터 구매하여 사용하였다.
잘게 세절한 천문동에 물을 1:5(w/w)의 중량비로 첨가하여 수침하는 과정을 통해 물이 천문동에 완전히 침지되도록 한 후 100℃이상의 온도에서 5~30분간 열처리 하는 것을 3회 반복하여 여과(100 메쉬)하여 추출하였다. 이렇게 수득한 여과액은 농축 및 동결건조 과정을 거쳐 최종적으로 본 발명의 천문동 추출물을 파우더 형태로 제조하였다.
<1-2> 돌복숭아잎 추출물의 제조
돌복숭아잎은 2016년 10월 전북 장수군 무릉리 야산에서 채취한 것을 물로 깨끗이 세척하여 사용하였다. 세척된 돌복숭아잎은 건조한 뒤, 이후 상기 실시예 <1-1>과 동일한 방식으로 돌복숭아잎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1-3> 조릿대 추출물의 제조
조릿대는 2016년 11월에 천안시 광덕산에서 직접 채취한 것을 물로 깨끗이 세척하여 사용하였다. 세척된 조릿대 잎 부분을 건조한 뒤, 이후 상기 실시예 <1-1>과 동일한 방식으로 조릿대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이렇게 수득한 각각의 추출물은 4℃에서 냉장보관하면서 하기 실험의 시료로 사용하였다.
< 실시예 2>
약용식물 추출물의 피부 자극 평가
본 실험에서는 상기 실시예 1을 통해 제조된 각각의 추출물의 피부 자극 정도(홍반)를 평가하였다.
피검자는 20~30세의 시험 부위에 피부 질환이 없는 사람으로 선정하였으며 총 15명에게 실시하였다. 첩포부위인 상박부를 70% 에탄올로 닦아내고 건조시킨 후, 추출물을 0.1g씩 가하여 인체 상박부에 24시간 첩포하고, 첩포 제거 후 1시간 이내에 피부 반응을 검사하고, 다음날(48시간 후) 다시 검사하였다. 피부반응 판정은 하기 검사기준에 의해 판정하였다. 피부 첩포 시험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피부 자극 평가
추출물 시험자수
(명)
판정결과
- ± + ++ +++
천문동 15 15 0 0 0 0
돌복숭아잎 15 15 0 0 0 0
조릿대 15 15 0 0 0 0
- 반응 없음
± 미약한 양성 반응 (홍반)
+ 양성 반응 (홍반)
++ 강한 양성 반응 (홍반, 부종)
+++ 심한 양성 반응 (홍반, 부종, 수포)
피부 자극 평가에서는 본 발명의 추출물 모두에서 피부 자극의 없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실시예 3>
비누 조성물 제조
하기 표 2의 구성비를 가진 비누 조성물 제조하였다.
비누 조성물
원료명 함량(중량%) 구입처
비누칩 60-70 Pan century, Mumsim mas
기포제 10-30 미원상사, LG생활건강
시어버터 0.1-5 Kalichem
아르간오일 0.1-5 Kalichem
소듐히아루론산 0.1-5 Kalichem
글리세린 0.1-5 LG생활건강
소듐셀룰로오스 0.1-10 보락
약용식물 추출물 1-15 직접 제작
염화나트륨 0.1-5 한주소금
색소 0.0001-0.001 보락
향료 0.5-5 한불화농
정제수 to 100 -
먼저, 비누칩, 일부 기포제와 적량의 색소 희석액을 넣고 고루 혼합함으로써 색소가 골고루 침적되도록 한 후 색소 희석액이 모두 비누칩을 비롯한 기포제에서 침적된 이후에 파우더 상의 기포제를 넣고 고루 혼합되도록 교반하였다. 그 이후 순차적으로 시어버터, 아르간 오일, 소듐히아루론산, 글리세린를 넣고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완전히 혼합된 이후에는 순차적으로 소듐셀룰로오스, 약용식물 추출물, 염화나트륨, 향료 순으로 투입하고 완전 혼합되도록 고루 교반하여 비누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한편, 비누칩은 소듐팔메이트(Sodium palmate/Pan century)와 소듐코코에이트(Sodium cocoate/Mumsim mas)를 사용하였으며, 기포제는 디소듐코코암포디아세테이트(Disodium cocoamphodiacetate, Miconol C2M/미원상사), 소듐라우로일사르코시네이트(Sodium lauroyl sarcosinate, Miamil L95/미원상사) 및 라우릭산(Lauric acid, LG생활건강)을 사용하였다.
참고로, 색소는 보락에서 구입한 Orange No.2(CI 15510)를 0.1% 농도로 희석하여 3%를 사용하였으며(함량 0.003 %), 향료로는 한불화농에서 구입한 상품 Lola를 1.2%의 함량으로 사용하였다.
이후 비누 제조 기계에서 압출(Plodding), 솝바(Soap bar), 절단(Cutting), 형타(Stamping)과정을 거침으로써 최종적인 고형 비누를 제조하였다.
< 실시예 4>
비누 조성물의 작업성 평가
본 발명의 비누 조성물에 포함되는 약용식물 추출물의 첨가 비율에 따른 작업성을 평가하였다. 이를 위해, 비누 제조 과정에서 비누가 기계에 달라붙고 끈적거리는 이형성 상태를 5단계, 즉 매우 우수, 우수, 보통, 불량, 매우 불량으로 구분하여 평가하였다.
비누 조성물에 포함되는 약용식물 추출물의 첨가 비율에 따른 작업성
제조예 천문동 추출물
(단위: 중량%)
돌복숭아잎 추출물
(단위: 중량%)
조릿대 추출물
(단위: 중량%)
작업성
1 0.1 - - 양호
2 0.5 - - 양호
3 1.0 - - 양호
4 10.0 - - 양호
5 15.0 - - 작업안됨
6 - 0.1 - 양호
7 - 0.5 - 양호
8 - 1.0 - 양호
9 - 10.0 - 양호
10 - 15.0 - 작업안됨
11 - - 0.1 양호
12 - - 0.5 양호
13 - - 1.0 양호
14 - - 10.0 양호
15 - - 15.0 작업안됨
상기 천문동, 돌복숭아잎, 조릿대 추출물 각각을 전체 비누 조성물 대비 첨가한 중량%를 의미함
상기 표 3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비누 조성물에 포함되는 약용식물 추출물의 첨가비율이 15% 미만에서는 작업성이 좋은 것으로 보이나, 그 이상이 될 때에는 비누 조성물의 작업성이 떨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실시예 5>
약용식물 추출물의 첨가에 따른 보습력 측정
본 실험에서는 상기 <실시예 1>을 통해 제조된 본 발명의 약용식물 추출물을 각각 단독으로 또는 혼합하여 첨가하여 제조되는 비누 조성물의 경우 피부 보습력을 개선할 수 있는지를 평가하였다.
하기 표 4의 구성비를 가진 비누 조성물을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한 방식으로 하여 제조하였으며, 이들 비누 조성물 각각의 보습력 측정은 성인 여성(19~28세) 5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하기 표 4의 구성으로 제조된 비교예 및 실험군 1~10 각각의 비누의 조성물을 증류수로 희석하여 10% 수용액으로 만들고 이 수용액 5㎖를 취하여 팔 안쪽 측정부위(5㎖×5㎖) 부위에 약 1분간 문질러 충분히 거품을 낸 후 30초간 기다렸다가 흐르는 물로 거품을 제거한 후 타올로 물기를 제거하고 1시간이 경과한 시점에 보습력을 측정하였다.
성인 여성 55명을 11개의 그룹으로 나누어 각 그룹당 5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들의 평균값으로 계산하였다.
보습력 측정기기는 MSA pro; True system 사 (한국)을 사용하였고 시험은 25℃, 상대습도 50%의 항온 항습실에서 실시하였다. 수치가 클수록 보습효과가 큰 것을 의미한다.
보습력 계산방법은 하기와 같다.
보습력(%)=[1+(Mt-Mo)] / Mo×100
Mt: t시간후의 보습력 측정장치
Mo: 세척전의 측정치
약용식물 추출물의 종류별 비누 조성물 제조
조성 실시예(단위: 중량%)
비교예 실험군1 실험군2 실험군3 실험군4 실험군5 실험군6 실험군7 실험군8 실험군9 실험군10
비누칩 70 70 70 70 70 70 70 70 70 70 70
기포제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시어버터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아르간오일 1.5 1.5 1.5 1.5 1.5 1.5 1.5 1.5 1.5 1.5 1.5
소듐히아루론산 3 3 3 3 3 3 3 3 3 3 3
글리세린 5 5 5 5 5 5 5 5 5 5 5
소듐셀룰로오스 3 3 3 3 3 3 3 3 3 3 3
천문동 추출물 - 3 - - 1.5 1.5 - 1 2 1 1
돌복숭아잎 추출물 - - 3 - 1.5 - 1.5 1 1 2 1
조릿대 추출물 - - 3 - 1.5 1.5 1 1 1 2
염화나트륨 0.3 0.3 0.3 0.3 0.3 0.3 0.3 0.3 0.3 0.3 0.3
색소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향료 1.5 1.5 1.5 1.5 1.5 1.5 1.5 1.5 1.5 1.5 1.5
정제수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합계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약용식물 추출물의 종류별 비누 조성물의 보습력 측정
구분 보습력
사용전(세척전) 사용후
비교예 100 74.20
실험군 1 100 78.85
실험군 2 100 84.12
실험군 3 100 81.02
실험군 4 100 80.91
실험군 5 100 80.89
실험군 6 100 84.45
실험군 7 100 82.18
실험군 8 100 82.20
실험군 9 100 98.45
실험군 10 100 83.75
보습력 측정 결과, 상기 표 5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본원발명의 약용식물 추출물을 첨가한 실험군의 경우 무첨가군 대비 모두 시간 경과에 따른 높은 보습력을 보여주었으며, 전반적으로 돌복숭아잎 추출물을 첨가한 실험군들에서 대체적으로 우수한 보습력을 보이며, 특히 실험군 9(천문동 추출물 : 돌복숭아잎 추출물 : 조릿대 추출물 = 1 : 2 : 1의 중량부)의 경우 다른 실험군 대비 두드러지게 우수한 보습력을 나타내었다.
< 실시예 6>
약용식물 추출물의 첨가에 따른 관능 평가
<6-1> 향취 선호도
미리 훈련시킨 20명의 패널 용원에게 상기 <실시예 5>에서 제조한 비교예 및 실험군 1~10의 비누 조성물에 대한 향취 선호도를 1점(아주 나쁘다)에서 5점(아주 좋다)로 하여 실시하였다. 본 발명의 비누 조성물에 대해 1일 1회 세면시에 사용하도록 하여 1주일간 실시하였으며, 패널요원의 연령분포는 20대~30대 여성을 대상으로 하였다.
향취 선호도
질의 항목 아주좋다 좋다 적당하다 나쁘다 아주나쁘다
비교예 5(25%) 13(65%) 2(10%)
실험군 1 12(60%) 7(35%) 1(5%)
실험군 2 2(10%) 8(40%) 10(5%)
실험군 3 12(60%) 8(40%)
실험군 4 3(15%) 10(50%) 7(35%)
실험군 5 10(50%) 9(45%) 1(5%)
실험군 6 12(60%) 8(40%)
실험군 7 10(50%) 10(50%)
실험군 8 13(65%) 7(35%)
실험군 9 2(10%) 10(50%) 8(40%)
실험군 10 13(65%) 7(35%)
그 결과 상기 표 6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약용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누 조성물의 경우 향취 선호도의 경우 ‘좋다’ 및 ‘아주 좋다’라는 의견이 50% 이상임을 알 수 있었다.
<6-2> 피부의 촉촉함 정도
미리 훈련시킨 20명의 패널 용원에게 상기 <실시예 5>에서 제조한 비교예 및 실험군 1~10의 비누 조성물에 대한 피부의 촉촉함의 차이에 대해 1점(아주 나쁘다)에서 5점(아주 좋다)으로 구분하여 평가하였다. 본 발명의 비누 조성물에 대해 1일 1회 세면시에 사용하도록 하여 1주일간 실시하였으며, 패널요원의 연령분포는 20대~30대 여성을 대상으로 하였다. 결과는 하기 표에 나타내었다.
피부의 촉촉함
질의 항목 아주좋다 좋다 적당하다 나쁘다 아주나쁘다
비교예 - - 2(10%) 12(60%) 6(30%)
실험군 1 - 8(40%) 10(50%) 2(10%) -
실험군 2 - 10(50%) 50(50%) - -
실험군 3 - 2(10%) 16(80%) 2(10%) -
실험군 4 1(5%) 9(45%) 10(50%) - -
실험군 5 - 8(40%) 11(55%) 1(5%) -
실험군 6 - 12(60%) 8(40%) - -
실험군 7 - 10(50%) 10(50%) - -
실험군 8 - 13(65%) 7(35%) - -
실험군 9 2(10%) 16(80%) 2(10%) - -
실험군 10 - 12(60%) 8(40%) - -
그 결과 상기 표 7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약용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누 조성물의 경우 비교예와 대비하여 피부의 촉촉함 정도가 확연하게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실험군 9의 경우 ‘아주 좋다’와 ‘좋다’라는 의견이 90% 이상임을 알 수 있어, 다른 실험군 대비 두드러지게 우수한 평가를 얻었다. 이러한 결과는 상기 <실시예 5>에서 보여주는 보습력 측정 결과와도 일치되는 평가 결과이다.
< 실시예 7>
비누 조성물의 기포력 측정
상기 실시예들의 결과를 참고하여 보습력과 향취 선호도가 가장 우수한 실험군을 대상으로 하여 기포력 향상을 위한 추가 실험을 진행하였다.
<7-1> 비누칩 종류에 따른 기포력 평가
본 실험에서는 하기 표 8의 구성비를 가진 비누 조성물을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한 방식으로 하여 제조하였으며, 이들 비누 조성물 각각의 기포력을 측정하였다.
기포력의 측정을 위해 숙련된 실험자가 섭씨 30℃의 상수에 하기 표 8의 구성비를 갖는 본 발명의 비누 조성물 각각을 묻힌 후 손 안에서 10회 굴린 후 양 손을 10회 문지르고 다시 손등을 5회 문지른 후 발생된 기포 양을 비이커에 모아 모아진 거품의 양으로 상대 비교하였으며, 1점(거품이 적게 발생)에서 3점(거품이 많이 발생)까지 구분하여 평가하였다. 이를 3반복 측정하여 평균 값으로 나타내었다.
[기포록 평가 기준]
3점: 거품이 많이 발생한다.
2점: 거품이 중간 정도로 발생한다.
1점: 거품이 적게 발생한다.
비누칩 종류에 따른 비누 조성물
조성 실시예(단위: 중량%)
실험군 11 실험군 12 실험군 13 실험군 14 실험군 15 실험군 16
비누칩 소듐팔메이트 70 - 35 25 17.5 14
소듐코코에이트 - 70 35 45 52.5 56
기포제 10 10 10 10 10 10
시어버터 0.5 0.5 0.5 0.5 0.5 0.5
아르간오일 1.5 1.5 1.5 1.5 1.5 1.5
소듐히아루론산 3 3 3 3 3 3
글리세린 5 5 5 5 5 5
소듐셀룰로오스 3 3 3 3 3 3
천문동 추출물 1 1 1 1 1 1
돌복숭아잎 추출물 2 2 2 2 2 2
조릿대 추출물 1 1 1 1 1 1
염화나트륨 0.3 0.3 0.3 0.3 0.3 0.3
색소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향료 1.5 1.5 1.5 1.5 1.5 1.5
정제수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합계 100 100 100 100 100 100
비누칩 종류에 따른 비누 조성물의 기포력 측정 결과
구분 기포력 평가 점수
실험군 11 2.0
실험군 12 2.3
실험군 13 2.3
실험군 14 2.3
실험군 15 2.7
실험군 16 2.3
그 결과 상기 표 9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실험군 15에서 가장 많은 거품이 발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실험군 11이 가장 적은 거품이 발생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7-1> 기포제 종류에 따른 기포력 평가
본 실험에서는 하기 표 10의 구성비를 가진 비누 조성물을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한 방식으로 하여 제조하였으며, 이들 비누 조성물 각각의 기포력을 측정하였다.
기포력의 측정을 위해 숙련된 실험자가 섭씨 30℃의 상수에 하기 표 10의 구성비를 갖는 본 발명의 비누 조성물 대상으로 하여 상기 실시예 <7-1>과 동일한 방식으로 평가하였다.
기포제 종류에 따른 비누 조성물
조성 실시예(단위: 중량%)
실험군 17 실험군 18 실험군 19 실험군 20 실험군 21 실험군 22
비누칩 70 70 70 70 70 70
기포제 디소듐코코암포디아세테이트 10 - - 3 3 3
소듐라우로일사르코시네이트 - 10 - 3 3 3
라우릭산 - - 10 3 4 5
시어버터 0.5 0.5 0.5 0.5 0.5 0.5
아르간오일 1.5 1.5 1.5 1.5 1.5 1.5
소듐히아루론산 3 3 3 3 3 3
글리세린 5 5 5 5 5 5
소듐셀룰로오스 3 3 3 3 3 3
천문동 추출물 1 1 1 1 1 1
돌복숭아잎 추출물 2 2 2 2 2 2
조릿대 추출물 1 1 1 1 1 1
염화나트륨 0.3 0.3 0.3 0.3 0.3 0.3
색소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향료 1.5 1.5 1.5 1.5 1.5 1.5
정제수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합계 100 100 100 100 100 100
기포제 종류에 따른 비누 조성물의 기포력 측정 결과
구분 기포력 평가 점수
실험군 17 1.3
실험군 18 2.0
실험군 19 2.0
실험군 20 2.3
실험군 21 2.3
실험군 22 2.7
그 결과 상기 표 11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실험군 22에서 가장 많은 거품이 발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실험군 17이 가장 적은 거품이 발생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상기와 같은 결과를 통해 비누칩은 소듐팔메이트와 소듐코코에이트을 1:3으로 혼합하여 사용한 비누칩이 거품 형성에 가장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기포제의 경우도 단일종의 기포제를 사용하기 보다는 디소듐코코암포디아세테이트, 듐라우로일사르코시네이트 및 라우릭산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경우 거품 형성에 더욱 효과적임을 확인하였으며, 특히 이들을 3:3:5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사용하는 경우 거품 형성에 가장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 실시예 8>
비누 조성물의 무름 정도 측정
보통 비누는 목욕탕, 욕실 등의 고온 다습하거나 물과 쉽게 접촉될 수 있는 환경에서 사용되므로 이러한 환경에 지속적으로 놓일 경우 비누 표면에 수증기가 맺히고 물방울로 커져 비누 표면의 무름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실험에서는 본 발명의 비누 조성물의 안정성를 평가하기 위하여, 실험군 11 내지 16의 비누 조성물의 무름성 정도를 측정하였다.
비누 표면의 무름 정도를 고온 다습한 조건(30℃ 및 절대습도 80%)에 상기 7에서 제조한 비누(실험군 11 내지 16)를 24시간 동안 방치한 후 비누 표면에 물기나 물방울이 맺히는 정도를 아래의 기준에 따라 평가하였다.
[비누 표면 무름 정도에 대한 평가 기준]
5: 비누 표면에 수증기가 전혀 생기지 않음
4: 비누 표면의 일부에 수증기기가 생김
3: 비누 표면 전체에 수증기가 생김
2: 비누 표면의 수증기가 일부 물방울로 커짐
1: 비누 표면 전체에 물방울이 맺힘
비누 표면의 무름 정도에 대한 평가 결과
구분 점수
실험군 11 4
실험군 12 4
실험군 13 4
실험군 14 4
실험군 15 5
실험군 16 5
그 결과 상기 표 12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실험군 11~16에서 비누 표면의 무름 정도가 크지 않아 전반적으로 안정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특히 실험군 15 및 실험군 16의 경우 무름 정도가 뚜렷하게 줄어드는 것을 보여준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천문동 추출물, 돌복숭아잎 추출물 및 조릿대 추출물을 1 : 2 : 1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비누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천문동 추출물, 돌복숭아잎 추출물 및 조릿대 추출물은 전체 비누 조성물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1 내지 10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누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비누칩, 기포제, 천연지방산, 보습제, 소듐셀룰로오스, 염화나트륨, 색소, 향료, 계면활성제, 표백제, 방부제, 항산화제, 변색방지제 및 정제수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누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비누칩은 소듐팔메이트 및 소듐코코에이트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또는 이들의 혼합물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누 조성물.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비누칩은 소듐팔메이트 및 소듐코코에이트가 1:3의 중량비로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누 조성물.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기포제는 디소듐코코암포디아세테이트, 소듐라우로일사르코시네이트 및 라우릭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누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을 액상, 크림상, 페이스트상 또는 고체상의 제형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누 조성물.
  10. 제1항 및 제4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보습 효과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누 조성물.
KR1020170036201A 2017-03-22 2017-03-22 약용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보습용 비누 조성물 KR1018626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6201A KR101862646B1 (ko) 2017-03-22 2017-03-22 약용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보습용 비누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6201A KR101862646B1 (ko) 2017-03-22 2017-03-22 약용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보습용 비누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2646B1 true KR101862646B1 (ko) 2018-07-04

Family

ID=629128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6201A KR101862646B1 (ko) 2017-03-22 2017-03-22 약용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보습용 비누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264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7922B1 (ko) 2018-09-17 2019-04-10 (주)에스디생명공학 무궁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CN110025523A (zh) * 2019-04-19 2019-07-19 广州萝薇化妆品有限公司 一种含芦荟叶汁的补水修护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102067756B1 (ko) 2018-12-04 2020-01-17 오상자이엘 주식회사 수산화알루미늄을 함유하는 비누의 제조방법
KR102124400B1 (ko) * 2019-12-17 2020-06-18 주식회사 비앤비코리아 담자균류균사의 액상배양공정에 의한 천문동 및 대두배아의 생물전환산물을 포함하는 미세먼지 세정용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98118A1 (en) * 2001-06-11 2002-12-26 George Edmund D. Cream soap with paste-like consistency
JP2007204423A (ja) * 2006-02-01 2007-08-16 Toyo Ink Mfg Co Ltd ササ抽出物の製造方法及び該抽出物の利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98118A1 (en) * 2001-06-11 2002-12-26 George Edmund D. Cream soap with paste-like consistency
JP2007204423A (ja) * 2006-02-01 2007-08-16 Toyo Ink Mfg Co Ltd ササ抽出物の製造方法及び該抽出物の利用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7922B1 (ko) 2018-09-17 2019-04-10 (주)에스디생명공학 무궁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67756B1 (ko) 2018-12-04 2020-01-17 오상자이엘 주식회사 수산화알루미늄을 함유하는 비누의 제조방법
CN110025523A (zh) * 2019-04-19 2019-07-19 广州萝薇化妆品有限公司 一种含芦荟叶汁的补水修护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102124400B1 (ko) * 2019-12-17 2020-06-18 주식회사 비앤비코리아 담자균류균사의 액상배양공정에 의한 천문동 및 대두배아의 생물전환산물을 포함하는 미세먼지 세정용 화장료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2646B1 (ko) 약용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보습용 비누 조성물
JP4795475B1 (ja) ウメ抽出物を含む剤
CN105726391B (zh) 一种铁皮石斛沐浴露
CN105662923A (zh) 一种含有牡丹籽油的纯天然多效修复变色润唇膏及其制备方法
KR0163118B1 (ko) 유백피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용 세정제 조성물
KR101319997B1 (ko) 분홍바늘꽃 및 구슬꽃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12675B1 (ko) 천연 비누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10028970A (ko) 코코넛 추출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천연 샴푸바 및 이의 제조방법
JPH09118611A (ja) 化粧料
KR102023651B1 (ko)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헤어샴푸 조성물과 이의 제조방법
KR101395218B1 (ko) 산양삼을 포함하는 비누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26080B1 (ko) 비누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비누
JP2000191513A (ja) アガリクス茸抽出液を含有する皮膚洗浄料
CN107955756B (zh) 一种手工皂及其制备方法
CN113278477A (zh) 一种美白保湿滋润抑菌的沐浴皂及其制备方法
KR20230081341A (ko) 한방추출물이 포함된 가는 모발 개선용 샴푸
KR102062822B1 (ko) 탈모개선 비누 첨가조성물을 포함하는 비누 및 그 제조방법
JPH11269496A (ja) 植物エキス配合の石けん
KR101790250B1 (ko) 약용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비누 조성물
KR20100070415A (ko) 산양 산삼 추출물을 첨가한 비누의 제조방법 및 그 추출물
KR20010109227A (ko) 피부병 예방과 치료에 효과적인 비누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H1045559A (ja) 化粧料
KR20040080007A (ko) 핵산을 함유하는 미용비누
KR20160068303A (ko) 음주 후 피부 건조, 피부 트러블 또는 피부 부종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78423B1 (ko) 천연재료를 이용한 기능성 천연 비누 조성물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