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43298A - 브이씨알의 더빙장치 - Google Patents

브이씨알의 더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43298A
KR20000043298A KR1019980059651A KR19980059651A KR20000043298A KR 20000043298 A KR20000043298 A KR 20000043298A KR 1019980059651 A KR1019980059651 A KR 1019980059651A KR 19980059651 A KR19980059651 A KR 19980059651A KR 20000043298 A KR20000043298 A KR 200000432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head
audio
dubbing
vc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96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행영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10199800596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43298A/ko
Publication of KR200000432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43298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11B15/026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by using processor, e.g. microcompu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anagement Or Editing Of Information On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브이씨알에 관한 것으로, 브이씨알의 더빙시 영상신호만을 기록/재생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 취향에 따라 오디오신호를 보존함과 더불어 영상신호의 교체가 이루어져, 브이씨알 더빙의 사용자 선택폭을 증대시킬 수 있는 브이씨알의 더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기존 오디오신호는 보존하고 비디오 신호만 더빙하기 위한 키 신호를 인식하여 시스템을 총괄 제어하기 위한 마이컴; 전폭 소거헤드의 앞단에서 오디오 신호를 재생하기 위한 재생헤드; 재생헤드로부터 인식되는 신호중 음향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복조부; 및 상기 복조부에서 검출된 음향신호를 {(재생헤드와 오디오 알피헤드와의 거리) / 브이씨알 테이프 속도}만큼 지연 출력시키기 위한 신호 지연부로 이루어져, 일반 브이씨알의 편집시에 오디오신호는 그대로 유지하고 영상신호만을 편집할 수 있도록 하여, 가정용 브이씨알의 기능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얻는다.

Description

브이씨알의 더빙장치
본 발명은 브이씨알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브이씨알의 더빙시 영상신호만을 기록/재생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 취향에 따라 오디오신호를 보존함과 더불어 영상신호의 교체가 이루어져, 브이씨알 더빙의 사용자 선택폭을 증대시킬 수 있는 브이씨알의 더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브이씨알에는 전폭소거 헤드(Full Erase Head)가 구비되어, 브이씨알을 통한 녹화기능 수행시 사용되고 있다. 상기한 전폭소거 헤드는 브이씨알 테이프에 기록된 영상신호 및 음향신호를 포함한 컨트롤 트랙의 신호를 약 100KHz로 소거하고 있다. 그러면 이와 같은 기능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브이씨알 헤드의 배치 및 신호의 기록순서를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한 브이씨알 헤드는, 전폭 소거헤드(70)와, 비디오 알피헤드(90 : Video R/P Head)와, 오디오 소거헤드(76)와, 오디오 알피헤드(78)와, 동시재생헤드(80 : Audio Simultaneous PB Head)와, 콘트롤 트랙 소거헤드(88)와, 콘트롤 알피헤드(82)와, 어드레스 트랙 소거헤드(86) 및 어드레스 알피헤드(84)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비디오 알피헤드(90)의 주사각은 헤드드럼의 주사 방향(74)에 의거 형성되고 있다.
이하, 상기 구성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가 브이씨알을 통해 녹화를 수행하고자 할 경우, 마이컴(미도시함)의 제어하에 상기 전폭 소거헤드(70)는 대략 100KHz의 정현파에 의해 테이프에 기록된 신호 즉, 영상신호 및 음향신호 그리고 콘트롤 신호를 모두 소거한다.
또한 전폭 소거기능과 더불어 상기 비디오 알피헤드(90)는 현재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데이프 전폭에 걸쳐 주사하여 비디오 트랙을 형성하므로서, 비디오의 기록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오디오 소거헤드(76)는 상기 테이프로 오디오 신호의 기록 직전에 약 100KHz의 정현파로 소거하는데, 이는 오디오 트랙 내에 비도이 트랙이 들어오면 방해음으로 재생되기 때문에 오디오 기록 직전에 상기한 주파수로 소거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한 오디오 소거헤드(76)의 사용방법과는 달리, 전자 편집이나 오디오 신호의 단독교체 등의 경우 전폭 소거헤드(70)를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오디오 소거헤드(76)를 사용한다. 그리고 오디오 소거헤드(76)를 통해 테이프 상의 음향신호가 제거되면, 상기 오디오 알피 헤드(78)에 의해 현재 녹화하고자 하는 음향신호를 테이프로 입력한다.
오디오 알피 헤드(78) 보다 뒷 쪽에 설치된 동시재생 헤드(80)는 사용자 선택에 의해 동작되되, 이는 테이프에 기록된 오디오 신호를 직후의 위치에서 픽업해 모니터하기 위해 사용하고 있으며, 이상 설명된 영상신호 및 음향신호의 기록/재생과는 달리 시스템 제어신호의 소거 및 기록은 컨트롤 소거헤드(88) 및 컨트롤 알피헤드(82)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다.
즉, 상기 전폭 소거헤드(70)로부터 테이프 상의 신호를 모두 소거함과 동시에, 컨트롤 신호를 상기 컨트롤 소거헤드(88)가 다시 소거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소거기능이 수행된 후 이어서 컨트롤 알피 헤드(82)에 의해 컨트롤 신호의 기록을 수행하며, 컨트롤 신호의 재생 또한 컨트롤 알피 헤드(82)로부터 수행되고 있는 것이다.
컨트롤 알피 헤드(82)의 컨트롤 신호 기록/재생과 동시에, 상기 컨트롤 신호의 어드레스 부분만을 소거 또는 기록이 수행되는데, 이는 어드레스 소거헤드(86)와 어드레스 알피 헤드(84)가 담당하고 있다.
이와 같이 브이씨알에 구비된 다수 헤드로부터 영상신호를 포함한 음향신호 내지 컨트롤 신호를 소거/재생을 수행하고 있지만, 사용자 선택에 의해 제어되는 헤드는 극히 한정되어 있다. 예컨대, 현재 시스템으로서는 영상신호와 음향신호를 모두 더빙할 수 있는 전폭 소거헤드가 구비됨과 더불어, 영상신호는 그대로 사용하되 음향신호만을 더빙할 수 있도록 오디오 소거헤드를 구비하고 있다. 그러나 때로는 음향신호를 그대로 사용하되 영상신호를 더빙하고자 할 경우가 발생하는데, 이 때 사용자는 브이씨알에 기록된 음향신호를 다른 곳에 기록해 놓고, 전폭 소거헤드를 통해 테이프에 기록된 모든 기록신호를 지우고, 사용자 취향에 맞는 영상신호를 녹화한 후, 상기 음향신호를 다시 브이씨알 테이프에 녹음하게 된다. 결국, 브이씨알 시스템의 기능성 한계로 인한 사용자의 더빙편집이 불편하게 이루어지고 있어, 시스템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브이씨알 편집에 있어서 음향신호는 그대로 사용하되 영상신호만 더빙가능하도록 한 브이씨알의 더빙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관점에 따른 브이씨알의 더빙장치는, 기존 오디오신호는 보존하고 비디오 신호만 더빙하기 위한 키 신호를 인식하여 시스템을 총괄 제어하기 위한 마이컴; 전폭 소거헤드의 앞단에서 오디오 신호를 재생하기 위한 재생헤드; 재생헤드로부터 인식되는 신호중 음향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복조부; 및 상기 복조부에서 검출된 음향신호를 {(재생헤드와 오디오 알피헤드와의 거리) / 브이씨알 테이프 속도}만큼 지연 출력시키기 위한 신호 지연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브이씨알의 기록 내지 재생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을 일실시예로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도 2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도 2에 사용된 마이컴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재생헤드 12 : 복조부
14 : 신호지연부 16 : 마이컴
20 : 발진부 22 : 변조부
24 : 오디오 알피헤드 26 : 오디오 소거헤드
28 : 전폭 소거헤드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브이씨알의 더빙장치를 일실시예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4는 도2에 사용되는 마이컴의 제어 흐름도를 나타낸 플로우챠트이다. 먼저 도 2 및 도 3을 참조한 브이씨알 더빙장치는, 전폭 소거헤드(28)와, 오디오 알피 헤드(24)와, 오디오 소거헤드(26)와, 상기 전폭 소거헤드(28)의 앞단에 구비되어 오디오 신호의 소거전에 재생을 위한 재생헤드(10)와, 상기 재생헤드(10)에서 재생된 신호를 음향신호만을 복조시키기 위한 복조부(12)와, 상기 복조부(12)에서 검출된 음향신호를 소정 시간 딜레이시키기 위한 신호지연부(14)와, 더빙기능을 총괄제어하기 위한 마이컴(16)과, 상기 마이컴(16)으로부터 비디오 더빙 제어신호를 인가받아 소정 주파수로 발진시키기 위한 발진부(20)와, 상기 발진부(20)의 출력주파수와 상기 신호지연부(14)에서 검출된 음향신호를 변조시키기 위한 변조부(22) 및 상기 마이컴(16)으로 사용자 선택에 따른 더빙모드를 입력하기 위한 키입력부(18)로 구성된다.
이하, 상기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예컨대, 사용자가 브이씨알 테이프에 이미 저장되어 있던 음향신호를 유지하고 영상만을 교체하고자 할 경우, 상기 키입력부(18)를 통해 영상편집 모드에 상응한 키신호를 입력한다(단계 2). 상기 키신호는 마이컴(16)에서 인식하여 비디오 더빙을 위한 다수의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이는 브이씨알의 일반적인 녹화기능을 수행하도록 브이씨알 메카니즘을 제어함과 더불어, 재생헤드(10)로부터 녹화되기 전 음향신호를 재생토록 하고(단계 4), 전폭 소거헤드(28)를 통해 브이씨알 테이프에 기록된 모든 신호 즉, 영상신호와 음향신호 그리고 컨트롤 신호를 포함한 컨트롤 어드레스 신호를 소거하도록 한다(단계 5). 또한 마이컴(16)은 일반녹화기능을 통해 외부 비디오 신호를 녹화하도록 제어하는 것이다(단계 6).
따라서 영상편집 모드시에는 음향신호의 재생, 전폭 소거, 영상신호 기록이 동시에 이루어지는데, 상기 재생헤드(10)와 전폭 소거헤드(28) 및 브이씨알 헤드(미부호)가 순차적으로 배열되어 있음에 따라, 음향신호를 먼저 재생한 후 모든 기록신호를 소거함과 더불어, 이 후 브이씨알 헤드를 통해 영상신호를 기록하는 것이다.
이 때, 상기 재생헤드(10)를 통한 음향재생은 복조부(12)를 거쳐 음향신호만을 복조시키고 신호지연부(14)에 의해 소정 시간동안 시간지연이 되도록 한다(단계 7). 이는 음향신호의 소거를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영상신호만을 녹화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마이컴(16)은 오디오 소거헤드(26)로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브이씨알 헤드를 통해 영상신호의 기록 후에 오디오 트랙의 신호만을 소거하도록 한다(단계 8).
한편, 마이컴(16)은 상기 발진부(20)로 제어신호를 인가하여 신호지연부(14)에서 소정 시간동안 지연된 재생헤드(10)의 재생신호를 특정 주파수 예컨대, 50 - 100KHz와 중첩되도록 하고 있다. 그리하여 신호지연부(14)에서 출력되는 음향신호는 변조부(22)를 거쳐 오디오 알피헤드(24)로 전송된다(단계 9).
여기서 상기한 신호지연부(14)의 지연시간은 재생헤드(10)의 위치에서 오디오 알피헤드(24)의 거리를 T (Cm)로 가정할 때, 그리고 상기 브이씨알이 VHS규격의 표준 즉, 테이프의 진행속도가 3.34 Cm/S일 때, 상기한 지연시간은 T/3.34 Sec가 되는 것이다. 이는 현재 테이프의 위치에서 재생한 음향신호를 동일 위치에 기록하기 위한 것으로, 중간에 전폭 소거에 따른 음향재생의 지연인 것이다.
이상 설명된 바와 같이, 브이씨알의 전폭 소거헤드 앞단에 재생헤드를 구비함과 더불어, 상기 재생헤드에서 검출되는 오디오 신호를 소정 시간 지연할 수 있는 신호지연부를 구비하므로서, 일반 브이씨알의 편집시에 오디오신호는 그대로 유지하고 영상신호만을 편집할 수 있도록 하여, 가정용 브이씨알의 기능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얻는다.
이상, 본 발명을 상기한 실시예를 들어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인 브이씨알의 더빙장치는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고, 당업자의 통상의 지식범위내에서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하다.

Claims (1)

  1. 오디오 알피 헤드(24);
    오디오 소거헤드(26);
    브이씨알 헤드드럼 및
    전폭 소거헤드(28)가 순차적으로 구비된 가정용 브이씨알의 더빙장치에 있어서,
    기존 오디오신호는 보존하고 비디오 신호만 더빙하기 위한 키 신호를 인식하여 시스템을 총괄 제어하기 위한 마이컴(16);
    상기 전폭 소거헤드(28)의 앞단에서 오디오 신호를 재생하기 위한 재생헤드(10);
    상기 재생헤드(10)로부터 인식되는 신호중 음향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복조부(12); 및
    상기 복조부(12)에서 검출된 음향신호를 {(재생헤드(10)와 오디오 알피헤드(24)와의 거리) / 브이씨알 테이프 속도}만큼 지연 출력시키기 위한 신호 지연부(14)를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이씨알의 더빙장치.
KR1019980059651A 1998-12-28 1998-12-28 브이씨알의 더빙장치 KR2000004329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9651A KR20000043298A (ko) 1998-12-28 1998-12-28 브이씨알의 더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9651A KR20000043298A (ko) 1998-12-28 1998-12-28 브이씨알의 더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3298A true KR20000043298A (ko) 2000-07-15

Family

ID=195665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9651A KR20000043298A (ko) 1998-12-28 1998-12-28 브이씨알의 더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4329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6110377A (ja) テレビジヨン信号の記憶方法およびこの方法を実施したビデオコーダ
KR100195304B1 (ko) 자기 기록 및 재생 장치
KR20000043298A (ko) 브이씨알의 더빙장치
KR0126465Y1 (ko)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에서 재생시 자동 소거 장치
KR100220593B1 (ko) 하이파이 오디오 신호의 더빙기능을 갖는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
KR100271182B1 (ko) 고화질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의 자기테이프 기록 신호 소거방법
KR970003253Y1 (ko) 브이씨알(vcr)복합제품의 오디오 장치
KR100285769B1 (ko) 영상신호의 중첩기록방법
JPH0896305A (ja) 磁気記録再生装置
KR19990035045A (ko) 오디오 데이터 저장 기능을 가지는 브이씨알 및 그 제어 방법
KR0119501Y1 (ko) 더블데크 비데오 카셋트 레코더의 기록 및 재생 제어장치
JPH0614269Y2 (ja) キユ−信号記録再生装置
KR970007943A (ko) 재생하면서 테이프를 지우는 시스템
JPH08249758A (ja) 磁気記録再生装置
KR19990032465U (ko) Vcr의 오디오 신호 더빙 장치
JPH05137106A (ja) 磁気記録再生装置
KR19990046842A (ko) 브이씨알의 외부입력 신호 녹화 모드 오에스디 화면 배경색제어방법
JPS6129475A (ja) ビデオ編集装置
JPH08223521A (ja) 磁気記録再生装置
JPS61192002A (ja) 磁気記録再生装置
KR19990019211A (ko) 비디오테이프레코더의 사용자음성 기록제어장치
JPS61269207A (ja) 磁気記録再生装置
JPH0870435A (ja) 映像信号再生装置
JPS63296485A (ja) 磁気記録再生装置
KR19990035047A (ko) 브이씨알의 녹화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