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19501Y1 - 더블데크 비데오 카셋트 레코더의 기록 및 재생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더블데크 비데오 카셋트 레코더의 기록 및 재생 제어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19501Y1
KR0119501Y1 KR2019930014809U KR930014809U KR0119501Y1 KR 0119501 Y1 KR0119501 Y1 KR 0119501Y1 KR 2019930014809 U KR2019930014809 U KR 2019930014809U KR 930014809 U KR930014809 U KR 930014809U KR 0119501 Y1 KR0119501 Y1 KR 011950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audio
deck
input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1480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4608U (ko
Inventor
박희문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2019930014809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19501Y1/ko
Publication of KR95000460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460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1950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19501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527Audio or video recording; Data buffering arrangemen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527Audio or video recording; Data buffering arrangements
    • G11B2020/10537Audio or video recording
    • G11B2020/10546Audio or video recording specifically adapted for audio data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90Tape-like record carriers

Abstract

이 고안은 더블데크 비데오 카셋트 레코더의 기록 및 재생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오디오 입출력 스위치부에서 입력되는 하아파이 오디오신호를 처리하여 제1 및 제2 프리앰프에 제공하고, 상기 제1 및 제2 프리앰프에 의해 증폭된 상기 제1 및 제2 테이프의 하이파이 오디오신호를 처리하여 상기 오디오 입출력 스위치에 제공하는 한 개의 하이파이신호 처리부만 사용하므로, 이 고안에서는 한 개의 하아파이신호 처리부만으로도 동작가능하도록 기록, 재생 및 더빙모드시 각 모드제어 및 데크선택을 위한 제어스위치부를 구비하여 하이파이신호를 처리한다. 따라서, 하이파이 더블데크 비데오 카셋트 레코더에 적용된다.

Description

더블데크 비데오 카셋트 레코더의 기록 및 재생 제어장치
제1도는 종래 기술에 따른 더블데크 비데오 카셋트 레코더의 기록 및 재생장치의 블럭도,
제2도는 이 고안에 따른 더블데크 비데오 카셋트 레코더의 기록 및 재생 제어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럭도,
제3도는 제2도에 따른 기록, 재생 및 더빙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마이크로 컴퓨터 20:오디오 입출력 스위치부
30,30A,30B:하이파이신호 처리부 40,50:리니어신호 처리부
45,55:고정헤드 60,70:프리앰프
65,75:회전헤드 SW1~SW6:스위치
이 고안은 더블데크 비데오 카셋트 레코더의 기록 및 재생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더블데크를 사용하는 비데오 카셋트 레코더에서 하이파이(High Fidelity) 신호 처리부를 하나만 사용하고, 기록 또는 재생시 데크선택을 위한 복수개의 스위치를 이용함으로써, 기록과 재생 및 더빙 동작을 수행하는 더블데크 비데오 카셋트 레코더의 기록 및 재생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디오신호를 기록하는 방식에는 리니어(Llnear) 기록방식과 하이파이 기록 방식이 있다.
리니어 기록방식은 수십 KHz의 주파수에 음성신호를 더해서 고정헤드를 이용해 테이프의 오디오 트랙에 기록하는 바이어스(Bias)기록방식이다.
하이파이방식은 오디오신호를 주파수변조하고, 주파수변조된 오디오신호를 회전헤드를 이용해 테이프의 비데오 트랙에 기록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고밀도이고 음질이 향상되어 현재 지향하는 기록 방식이다.
제1도는 종래의 더블데크 비데오 카셋트 레코더의 기록 및 재생장치의 블록도를 나타낸 것으로서, 각 데크에 하이파이신호 처리부(30A),(30B)가 별도로 구성되어 있다.
외부에서 입력되는 신호를 어느 하나의 데크에 기록하고자 할 때는, 우선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예컨데, 데크 1에 오디오신호를 기록할 경우, 오디오 입출력 스위치부(20)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마이크로 컴퓨터의 제어에 의해 라인이나 튜너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를 선택하고, 기록하고자 하는 데크를 선택한다. 오디오 입출력 스위치부(20)는 출력단자(OUT1)를 통해 선택된 신호를 데크 1의 하이파이신호 처리부(30A)의 입력단자(IN)로 출력한다. 하이파이신호 처리부(30A)는 입력된 신호를 주파수 변조하여 데크 1의 프리앰프(60)에 출력한다. 상기 프리앰프(60)는 신호를 증폭하고, 증폭된 신호는 회전헤드(65)에 의해서 테이프의 비데오 트랙에 자기기록된다.
또한, 리니어방식 비데오 카셋트 레코더에서도 사용가능한 호환성을 확보하기 위해 오디오 입출력 스위치부(20)에서 선택된 외부 입력신호는 동시에 리니어 기록방식으로도 기록된다. 이때, 리니어기록을 위해서, 오디오 입출력 선택 스위치부(20)에서 선택된 외부입력신호는 데크 1의 하이파이신호 처리부(30A)를 거쳐 데크 1의 리니어신호 처리부(40)에 입력되어 리니어기록을 위한 신호처리가 수행되고, 리니어 방식으로 처리된 신호는 고정헤드(45)에 의해 테이프의 오디오 트랙을 자기기록된다.
데크 2에 오디오신호를 기록하고자 할 경우, 오디오 입출력 스위치부(20)는 선택된 외부입력신호를 출력단자(OUT2)를 통해 데크2의 하이파이신호 처리부(30B)의 입력단자(IN)로 출력한다. 하이파이신호 처리부(30b)는 입력된 신호를 주파수 변조하여 프리앰프(70)에 출력하고, 프리앰프(70)는 주파수 변조된 신호를 증폭하며, 회전헤드(75)에서는 이 신호를 데크 2 테이프의 비데오 트랙에 기록한다.
외부입력신호는 하이파이방식으로 기록되는 동시에 데크 1에 신호를 기록하는 경우와 유사하게 리니어 방식으로도 기록된다. 따라서, 상기 오디오 입출력 스위치부(20)의 출력단자(OUT2)를 통해서 출력되는 신호는 리니어신호 처리부(50)에 의해 신호처리되고, 고정헤드(55)에 의해 데크 2 테이프의 오디오 트랙에 기록된다.
또한, 재생시에는 데크 1 또는 데크 2의 선택 및 비데오 카셋트 레코더의 신호 기록방식에 따라 하이파이신호를 재생할것인지 리니어신호를 재생할 것인지를 선택하여야 한다.
테크 1의 하이파이신호를 재생할 경우, 프리앰프(60)는 비데오 테이프에서 픽엎되는 하이파이 오디오신호를 증폭하여 하이파이신호 처리부(30A)로 출력한다. 하이파이신호 처리부(30A)는 재생될 신호를 복조하고 출력단자(OUT)를 통해 오디오 입출력 스위치부(20)의 입력단자(IN1)에 출력하면, 오디오 입출력 스위치부(20)는 데크 1의 하이파이 오디오신호를 최종 출력한다.
데크 2의 하이파이신호를 재생할 경우도 데크 1의 하이파이신호를 재생한 경우와 유사하게 데크 2의 비데오 테이프로부터 픽엎된 신호는 데크 2의 프리앰프(70)와 하이파이신호 처리부(30B)를 거쳐 처리되고, 하이파이신호 처리부(30B)에서 복조된 신호는 출력단자(OUT)를 통해 오디오 입출력 스위치부(20)의 입력단자(IN2)로 출력된다. 따라서, 오디오 입출력 스위치부(20)는 데크 2의 하이파이 오디오신호를 최종 출력한다.
한편, 데크 1의 리니어신호를 재생할 경우, 데크 1 테이프의 오디오 트랙에서 픽엎되는 리니어 오디오신호는 데크 1의 리니어신호 처리부(40)에서 처리되어 오디오 입출력 스위치부(20)로 출력되고, 상기 오디오 입출력 스위치부(20)에 출력하면, 오디오 입출력 스위치부(20)는 리니어 오디오 신호를 외부로 최종 출력한다.
그리고 데크 2의 리니어신호를 재생할 경우는 데크 1의 리니어신호를 재생할 경우와 유사하게 테크 2 테이프의 오디오 트랙에서 픽엎되는 리니어 오디오신호를 데크 2의 리니어신호 처리부(50)에서 처리하여 오디오 입출력 스위치부(20)에 출력하면, 오디오 입출력 스위치부(20)는 리니어 신호를 최종 출력한다.
더빙할 경우, 데크 1은 테이프의 신호를 재생하고, 데크 2에서는 데크 1의 신호를 기록하는 동작을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데크 1의 테이프에서 픽엎된 신호는 프리앰프(60)를 거쳐 하이파이신호 처리부(30A)에 입력된다. 여기에서 재생동작은 상술한 데크 1의 재생동작과 동일하다. 오디오 입출력 스위치부(20)는 입력단자(IN1)로 입력된 재생 신호를 최종출력하는 동시에 데크 2의 하이파이신호 처리부(30B)의 입력단자(IN)로 출력한다. 하이파이신호 처리부(30B)는 입력된 신호를 주파수 변조하고, 주파수변조된 신호는 프리앰프(70)에서 증폭되며, 주파수변조되고 증폭된 데크 1신호는 데크 2의 회전헤드(75)에 의해 테이프의 비데오 트랙에 자기기록된다.
그러나, 이와같이 하이파이신호 처리부를 각각의 데크에 대해 별도로 사용하는 종래의 더블데크 비데오 카셋트 레코더의 기록 및 재생장치는, 더빙시 데크 1의 비데오 테이프의 신호를 픽엎하고 데크 1의 하이파이신호 처리부에서 복조하여 오디오 입출력 스위치부에 출력하면, 오디오 입출력 스위치부는 데크 1의 신호를 데크 2에 기록하기 위해 제 2 출력단자를 선택하고 데크 1의 신호를 데크 2의 하이파이신호 처리부에 출력한다. 데크 2의 하이파이신호 처리부는 신호를 주파수 변조하고, 데크 2의 프리앰프는 주파수 변조된 신호를 증폭하여 데크 2 헤드에 출력하면 데크 2 헤드는 테이프에 자기기록하는 과정을 수행하게 되는데, 더빙하기 위한 데크 1의 신호를 바로 기록하지 못하고 복조해서 다시 변조하여 기록하는 이중성이 있고, 각 데크에서 하이파이신호 처리부를 별도로 사용하므로 비용이 많이 드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 고안의 목적은 각 데크에 별도로 사용되던 하이파이신호 처리부를 하나만 사용하고, 마이크로 컴퓨터에 의해 제어되는 복수개의 스위치를 구비함으로써, 기록과 재생 및 더빙 동작이 가능한 더블데크 비데오 카셋트 레코더의 기록 및 재생 제어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이 고안에 따른 더블데크 비데오 카셋트 레코더의 기록 및 재생 제어장치의 특징은, 튜너 또는 외부라인을 통해 입력되는 리니어 오디오신호를 제1 및 제2리니어 신호처리부에 제공하여 상기 신호처리부가 리니어 오디오 신호를 제1 및 제2 테이프의 오디오 트랙에 각각 기록하도록 하고, 상기 제1 및 제2 테이프에서 각각 픽엎되어 상기 신호처리부에서 처리된 리니어 오디오신호를 외부로 출력하기 위한 오디오 입출력 스위치부와, 상기 오디오 입출력 스위치부에서 제공되는 또 다른 하이파이 오디오신호를 증폭하여 제1 및 제2 테이프의 비데오 트랙에 기록하고, 상기 비데오 테이프들에서 픽엎되는 하이파이 오디오신호들을 증폭하기 위한 제1 및 제2 프리앰프를 구비한 더블데크 비데오 카셋트 레코더의 기록 및 재생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입출력 스위치부에서 입력되는 하이파이 오디오신호를 주파수 변조하여 상기 제1 및 제2 프리엠프에 제공하고, 상기 제1 및 제2 프리앰프에 의해 증폭된 상기 제1 및 제2 테이프의 하이파이 오디오신호를 복조하여 상기 오디오 입출력 스위치부에 제공하는 한 개의 하이파이 신호처리수단과; 제1 제어신호에 의해 동작되어 상기 제1 및 제2 리니어신호 처리부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선택하여 상기 오디오 입출력 스위치부에 제공하는 제1스위치와, 제2 제어신호에 의해 동작되어 기록시 상기 하이파이신호 처리수단에서 처리된 하이파이 오디오신호를 상기 제1 및 제2 프리앰프에 제공하는 제2스위치와, 제3 제어신호에 의해 동작되어 재생시 상기 제1 및 제2 프리앰프에서 출력되는 하아파이 오디오신호를 상기 하아파이신호 처리수단에 제공하는 제3스위치와, 제4 제어신호에 의해 동작되어 제1 테이프의 신호를 제2 테이프에 더빙할시에는 제1 프리앰프에서 출력되는 하아파이 오디오신호를 제2 프리앰프에 제공하고, 외부입력신호를 제2 테이프에 기록시에는 상기 제2 스위치의 일측단자를 경유한 하아파이 오디오신호를 제2 프리앰프에 제공하는 제4 스위치로 된 제어스위칭수단과; 상기 스위치들과 오디오 입출력 스위치부와 제1 및 제2 리니어 신호처리부, 제 1 및 제2 프리앰프들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마이크로 컴퓨터로 구성된 점에 있다.
이하, 이 고안에 따른 더블데크 비데오 카셋트 레코더의 기록 및 재생 제어장치의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는 이 고안에 따른 더블데크 비데오 카셋트 레코더의 기록 및 재생 제어장치의 블록도이다.
여기에서, 마이크로 컴퓨터(10)는 입력된 키가 어떤 모드인지 판단하고, 그에 따른 제어신호(C0),(C01)를 오디오 입출력 스위치부(20)에 출력한다. 마이크로 컴퓨터(10)는 입력된 키가 기록모드로 판단되며 제어신호(C0)를 로우상태로 오디오 입출력 스위치부(20)에 출력하고, 제어신호(C01)를 출력하여 오디오 입출력 스위치부(20)로 입력되는 라인 또는 튜너의 신호를 선택하도록 제어하며, 오디오 입출력 스위치부(20)는 선택된 외부입력신호를 출력단자(OUT1),(OUT2),(OUT3)를 통해 출력한다.
그리고, 마이크로 컴퓨터(10)는 재생모드로 판단되면 제어신호(C0)를 하이상태로 오디오 입출력 스위치부(20)에 출력하고, 제어신호(C01)의 로우 또는 하이신호에 따라 오디오 입출력 스위치부(20)가 리니어 오디오신호 또는 하이파이 오디오신호를 선택하여 선택된 오디오신호를 출력단자(OUT)로 최종출력할 수 있도록한다.
상기 오디오 입출력 스위치부(20)의 출력단자(OUT2),(OUT3)에는 데크 1 및 2의 리니어 오디오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리니어신호 처리부(40),(50)가 각각 연결되어 있고, 각각의 리니어신호 처리부(40),(50)에는 신호를 데크 1 및 데크 2의 데이프에 기록하기 위한 데크 1 및 데크 2의 고정헤드(45),(55)가 연결되어 있다. 여기에서, 오디오 입출력 스위치부(20)의 입력단자(IN2)에 연결된 스위치(SW1)의 일측단자(a)에는 리니어신호 처리부(40)가 연결되어 있고, 타측단자(b)에는 리니어신호 처리부(50)가 연결되어 있다.
상기 오디오 입출력 스위치부(20)의 출력단자(OUT1)에는 이 출력단자(OUT1)를 통해 출력되는 신호를 변조하기 위해 하이파이신호 처리부(30)의 입력단자(IN)가 연결되어 있고, 오디오 입출력 스위치부(30)의 입력단자(IN1)에는 하이파이신호 처리부(30)에서 복조된 재생신호를 입력하기 위해 하아파이신호 처리부(30)의 출력단자(OUT)가 연결되어 있다.
상기 하이파이신호 처리부(30)에서 변조된 오디오신호를 기록하기 위해 하이파이신호 처리부(30)에 연결된 데크 선택 스위치(SW2)의 일측단자(a)에는 데크1의 프리앰프(60)가 연결되어 있고, 스위치(SW2)의 타측단자(b)에는 스위치(SW4)를 거쳐 데크 2의 프리앰프(70)가 연결되어 있다. 상기 프리앰프(70)에 연결된 스위치(SW4)는 기록을 위해 타측단자(b)는 스위치(SW2)의 타측단자(b)에 연결되어 있고, 일측단자(a)는 더빙을 위해 데크 1의 프리앰프(60)에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데크 1 데크 2의 프리앰프(60),(70)에는 각각의 회전헤드(65),(75)가 연결되어 있다.
재생시 데크를 선택하기 위해 하이파이신호 처리부(30)에 연결된 스위치(SW3)의 일측단자(a)는 데크 1의 프리앰프(60)에 연결되어 있고, 타측단자(b)는 데크 2의 프리앰프(70)에 연결되어 있다.
하이파이신호 처리부(30)에 연결된 헤드 스위칭 인(Head Switching In)의 테크 선택을 위한 스위치(SW5)의 일측단자(a)는 데크 1의 서보제어장치(도시되지 않았음)에 연결되어 있고, 스위치(SW5)의 타측단자(b)는 데크 2의 서보제어장치(도시되지 않았음)에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재생 및 더빙모드시, 스위치(SW6)는 마이크로 컴퓨터(10)의 제어에 의해 헤드와 홀센서의 조립오차를 보정하기 위하여 오디오 헤드 스위치 펄스를 미세 보정하여 파형에서 불연속적인 부분을 제거시킴으로써, 스위치의 노이즈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헤드 스위치 출력의 데크 선택을 위해 하이파이신호 처리부(30)에 연결된 상기 스위치(SW6)의 일측단자(a)는 데크 1의 프리앰프(60)에 연결되어 있고, 스위치(SW6)의 타측단자(b)는 데크 2의 프리앰프(70)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10)의 제어신호(C1~C6)가 로우상태이면 스위치(SW1~SW6)는 일측단자(a)로 접속되고. 제어신호(C1~C6)가 하이상태이면 스위치(SW1~SW6)는 타측단자(b)로 접속된다. 마이크로 컴퓨터(10)의 제어신호(C7),(C8)가 하이상태이면 리니어신호 처리부(40),(50)가 동작되고, 제어신호(C9),(C10)가 하이상태이면 프리앰프(60),(70)가 동작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이 고안의 동작을 설명한다.
우선, 비데오 카셋트 레코더가 기록모드일 때, 마이크로 컴퓨터(10)의 제어신호(C0)는 로우상태가되어 오디오 입출력 스위치부(20)에 인가된다. 마이크로 컴퓨터(10)의 제어신호(C01)는 로우 또는 하이상태로 오디오 입출력 스위치부(20)에 인가되어 라인 또는 튜너신호중 한 신호를 선택하도록 하고, 선택된 신호는 오디오 입출력 스위치부(20)의 출력단자(OUT1),(OUT2),(OUT3)를 통해 하이파이신호 처리부(30) 및 리니어신호 처리부(40),(50)에 각각 출력된다.
이때, 기록을 위한 데크선택이 있어야 한다. 만약, 라인 또는 튜너의 신호를 데크 1에 기록한다면, 마이크로 컴퓨터(10)의 제어신호(C2)가 로우상태로 발생되므로 스위치(SW2)는 일측단자(a)에 스위칭된다. 그리고, 제어신호(C7),(C9)가 하이상태이므로 데크 1의 리니어신호 처리부(40)와 데크 1의 프리앰프(60)가 동작된다.
따라서, 리니어신호 처리부(40)로 인가된 신호는 그에 의해 신호처리된 뒤 고정헤드(45)에 의해 데크 1 테이프의 오디오트랙에 기록된다. 이와 동시에 하이파이신호 처리부(30)에 인가된 신호도 하이파이 방식으로 기록될 수 있는바, 하이파이신호 처리부(30)는 입력된 신호를 주파수 변조하고, 주파수변조된 신호를 기록단자(REC)를 통해 스위치(SW2)에 출력시킨다. 스위치(SW2)는 일측단자(a)로 스위칭되어 하이파이신호 처리부(30)의 출력신호를 데크 1의 프리앰프(60)에 제공한다. 기록신호는 데크 1의 프리앰프(60)에서 증폭되어 회전헤드(65)에 의해 테이프의 비데오 트랙에 기록된다.
한편, 데크 2에 기록하고자 할 경우 마이크로 컴퓨터(10)는 제어신호(C2),(C4)를 하이상태로 발생시켜 스위치(SW2),(SW4)를 각각 타측단자(b)에 접속시킨다. 오디오 입출력 스위치부(20)에서 선택된 외부입력신호는 데크 2의 리니어신호 처리부(50)에서 신호처리되어 데크 2의 고정헤드(55)에 의해 테이프의 오디오 트랙에 기록된다. 또한, 스위치(SW2),(SW4)가 타측단자(b)에 접속되어 있으므로, 상기 스위치(SW2)를 통해 입력되는 하이파이신호 처리부(30)의 신호는 스위치(SW4)를 경유하여 데크 2의 프리앰프(70)에 제공된다. 프리앰프(70)에 입력된 신호는 증폭되고, 증폭된 신호는 회전헤드(75)에 의해 테이프의 비데오 트랙에 기록된다.
다음, 비데오 카셋트 레코더가 재생모드일 때, 마이크로 컴퓨터(10)의 제어신호(C0)는 하이상태가 되어 오디오 입출력 스위치부(20)에 인가됨으로써, 오디오 입출력 스위치부(20)가 재생모드로서 동작할 수 있게되고, 마이크로 컴퓨터(10)의 제어신호(C01)는 로우 도는 하이상태로 오디오 입출력 스위치부(20)에 인가되어 리니어 오디오신호 또는 하이파이오디오신호를 선택하여 재생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제어신호(C1)는 리니어 신호를 재생하기 위한 데크선택 스위치(SW1)를 제어하고, 제어신호(C3)는 하이파이신호를 재생하기 위한 데크 선택 스위치(SW3)을 제어하며, 제어신호(C5),(C6)는 헤드 스위칭 타임을 위한 스위치(SW5),(SW6)를 제어한다.
비데오 카셋트 레코더가 하이파이 신호 기록방식이 불가능한 기기일 때는 리니어신호만 재생할 수 있으므로 마이크로 컴퓨터(10)의 제어신호(C01)는 로우상태로 오디오 입출력 스위치부(20)에 인가된다.
데크 1의 리니어 오디오신호를 재생할 경우, 마이크로 컴퓨터(10)는 제어신호(C7)를 하이상태로 발생시켜 데크 1의 리니어신호 처리부(40)만 동작된다. 따라서, 데크 1의 헤드(45)는 테이프의 오디오 트랙에서 재생신호를 픽엎하고, 리니어신호 처리부(40)에서 처리된 신호는 스위치(SW1)로 출력된다. 여기에서 스위치(SW1)는 제어신호(C1)가 로우상태이므로 일측단자(a)로 접속되어 리니어신호 처리부(40)의 출력신호를 오디오 입출력 스위치부(20)의 입력단자(IN2)로 제공한다. 오디오 입출력 스위치부(20)는 리니어신호인 재생신호르 최종출력한다.
데크 2의 리니어 오디오신호를 재생할 경우, 마이크로 컴퓨터(10)는 제어신호(C8)를 하이상태로 발생시켜 데크 2의 리니어신호 처리부(50)만 동작되도록 한다. 재생할 신호는 데크 2의 고정헤드(55)에 의해 픽엎되어 리니어신호 처리부(50)에서 처리된다. 스위치(SW1)는 제어신호(C1)가 하이상태이므로 타측단자(b)로 접속되어 리니어신호 처리부(50)에서 처리된 신호를 오디오 입출력 스위치부(20)에 제공하고, 오디오 입출력 스위치부(20)는 입력단자(IN2)를 통해 입력된 리니어 신호를 출력한다.
비데오 카셋트 레코더가 하이파이 신호 기록방식이 가능한 기기일 때는 하이파이신호만 재생할 수 있으므로 제어신호(C01)는 하이상태로 오디오 입출력 스위치부(20)에 인가된다.
데크 1의 하이파이 오디오신호를 재생할 경우, 마이크로 컴퓨터(10)는 제어신호(C9)를 하이상태로 발생시켜 데크 1의 프리앰프(60)만 동작되도록 한다. 데크 1의 테이프에 기록된 하이파이신호가 헤드(65)에 의해 픽엎되고, 픽엎된 하이파이신호는 프리앰프(60)에서 증폭된다. 그리고, 마이크로 컴퓨터(10)의 제어신호(C3)가 로우상태로 발생되므로 스위치(SW3)는 일측단자(a)로 스위칭되어 프리앰프(60)의 신호를 하이파이신호 처리부(30)의 재생단자(PB)에 제공한다. 하이파이신호 처리부(30)는 재생단자(PB)로 입력된 신호를 복조하여 출력단자(OUT)를 통해 오디오 입출력 스위치부(20)의 입력단자(IN1)로 출력한다. 오디오 입출력 스위치부(20)는 하이파이신호인 재생신호를 최종출력한다.
데크 2의 하이파이 오디오신호를 재생할 경우는 데크 1의 하이파이 오디오신호를 재생하는 경우와 유사하다. 마이크로 컴퓨터(10)에서 발생시크는 제어신호(C10)가 하이상태이므로 데크 2의 프리앰프(70)만 동작되고, 스위치(SW3)는 제어신호(C3)가 하이상태이므로 타측단자(b)에 접속된다. 다라서, 데크 2의 회전헤드(75)는 테이프의 비데오 트랙에서 하이파이신호를 픽엎하고, 데크 2의 프리앰프(70)는 이 신호를 증폭한다. 스위치(SW3)는 데크 2의 프리앰프(70)의 출력신호를 하이파이신호 처리부(30)의 재생단자(PB)에 제공한다. 하이파이신호 처리부(30)는 재생단자(PB)로 입력된 신호를 복조하여 오디오 입출력 스위치부(20)로 출력하면, 오디오 입출력 스위치부(20)는 하이파이신호를 최종 출력한다.
다음, 더빙모드 즉 데크 1의 테이프의 신호를 데크 2의 테이프에 복재할 경우를 설명한다.
마이크로 컴퓨터(10)의 제어신호(C0)는 하이상태로 오디오 입출력 스위치부(20)에 인가되고, 제어신호(C01)는 인가되지 않는다. 그리고, 마이크로 컴퓨터(10)는 프리앰프(60),(70)가 동작되도록 하이상태의 제어신호(C1),(C10)를 발생하고, 스위치(SW3)(SW4)가 일측단자(a)에 접속되도록 로우상태의 제어신호(C3),(C4)를 발생한다. 우선, 데크 1의 헤드(65)에서 픽엎된 하이파이신호는 데크 1의 프리앰프(60)에 의해 증폭되고, 스위치(SW3)는 일측단자(a)에 접속되어 있으므로 데크 1의 프리앰프(60)에서 증폭된 신호를 하이파이신호 처리부(30)의 재생단자(PB)에 제공해준다. 하이파이신호 처리부(30)는 재생단자(PB)로 입력된 신호를 주파수 복조하여 오디오 입출력 스위치부(10)로 출력하고, 오디오 입출력 스위치부(20)는 이 신호를 출력한다.
이와 동시에 스위치(SW4)는 데크 1의 프리앰프(60)에서 증폭된 기록신호를 데크 2의 프리앰프(70)로 제공한다. 데크 2의 프리앰프(70)에 출력된 데크 1의 신호는 증폭되고, 증폭된 신호는 헤드(75)에 의해 테이프의 비데오 트랙에 기록된다.
상기 재생모드 및 더빙모스시, 스위치(SW6)는 마이크로 컴퓨터(10)의 제어신호(C6)에 의해 헤드와 홀센서의 조립 오차를 보정하기 위하여 오디오 헤드 스위치 펄스를 미세보정하여 파형에서 불연속적인 부분을 제거시킴으로써, 스위치의 노이즈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제3도는 이 고안에 따른 더블데크 비데오 카셋트 레코더의 기록 및 재생 제어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재생 또는 기록키가 입력되면 마이크로 컴퓨터(10)는 비데오 카셋트 레코더가 어떤 모드 상태인지 판별하게 된다. 눌러진 키가 기록키이면 프로그램은 단계(S110)에서 단계(S120)로 진행된다.
마이므로 컴퓨터(10)는 오디오 입출력 스위치부(20)가 입력되는 라인 또는 튜너신호중 한신호를 선택하도록 제어하고(S120), 제 1 또는 제2 테크에 기록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단계(S130)를 진행한다.
단계(S130)는 오디오 입출력 스위치부(20)에서 선택된 외부입력신호를 리니어방식 및 하이파이 방식으로 기록한다. 리니어기록을 위해서 오디오 입출력 스위치부(20)에서 출력된 외부입력신호는 데크 1 또는 데크 2의 리니어신호 처리부(40),(50)에서 신호처리되어 데크 1 또는 데크 2의 고정헤드(45),(55)에 의해 테이프에 기록된다. 그리고 하이파이 방식으로 기록하기 위해서 오디오 입출력 스위치부(20)에서 선택된 외부입력신호는 하이파이신호 처리부(30)에서 주파수 변조되고 스위치(SW2)에 의해 데크 1 또는 데크 2의 프리앰프(60),(70)에 제공되어 테이프에 기록된다. 여기에서 데크 2의 프리앰프(70)에 기록할 때는 스위치(SW4)를 경유하게 되는데, 스위치(SW4)는 제어신호(C4)에 의해 스위치(SW2)를 통해서 입력되는 하이파이신호 처리부(30)의 출력신호를 데크 2의 프리앰프(70)에 제공한다.
데크 1 또는 데크 2의 테이프에 외부라인 또는 튜너의 방송신호를 계속 기록할 경우에는 프로그램은 단계(S150)에서 단계(S140)로 진행되고, 기록이 완료되면 프로그램은 종료된다(S150).
한편, 현재 눌러진키가 재생기일 경우, 마이크로 컴퓨터(10)는 비데오 카셋트 레코더가 하이파이신호 기록방식이 가능한 기기인지 먼저 판단한 후(S220)에 하이파이신호 기록방식이 가능한 기기이면 하이파이신호를 재생하도록 제어하고(S230), 하이파이신호 기록방식이 불가능하면 리니어신호를 재생하도록 제어한다(S240).
하이파이신호를 재생하는 경우(S230), 마이크로 컴퓨터(10)는 스위치(SW3)가 데크 1의 프리앰프(60) 또는 데크 2의 프리앰프(70)를 선택하도록 제어하고, 선택된 프리앰프의 신호가 하이파이신호 처리부(30)에 제공되어지도록 한다. 하이파이신호 처리부(30)는 입력된 신호를 복조하여 오디어 입출력 스위치부(20)로 출력하고, 오디오 입출력 스위치부(20)는 이 재생신호를 외부로 출력한다. 제1 또는 제2 테이프의 하이파이 오디오 신호를 계속 재생할 경우 프로그램은 단계(S234)에서 단계(S233)로 진행되고, 재생이 완료되면 프로그램은 종료된다(S34).
리니어신호를 재생하는 경우(S240)는, 마이크로 컴퓨터(10)의 제어신호에 따라서 스위치(SW1)는 데크 1 또는 데크 2의 리니어신호 처리부(40),(50)의 신호를 선택하여 오디오 입출력 스위치부(20)에 제공한다. 오디오 입출력 스위치부(20)는 입력된 리니어신호를 외부로 최종 출력한다(S242). 제1 도는 제2 테이프의 리니어 오디오 신호를 계속 재생할 경우 프로그램은 단계(S244)에서 단계(S243)로 진행되고, 재생이 완료되면 프로그램은 종료된다(S244).
마지막으로, 데크 1은 테이프에 기록된 신호를 재생하고, 데크2는 데크 1의 신호를 테이프에 기록하는 경우 마이크로 컴퓨터(10)는 다음과 같은 프로그램을 수행한다.
데크 1의 테이프에서 픽엎된 신호는 상기 데크 1 재생과정과 동일하며, 동시에 마이크로 컴퓨터(10)는 스위치(SW4)가 데크 1의 프리앰프(60) 신호를 데크 2의 프리앰프(70)에 제공하도록 제어한다. 마이크로 컴퓨터(10)는 프리앰프(70)가 데크 1의 신호를 제공받아 증폭하도록 하며, 헤드에 의해 데크 2의 테이프에 데크 1의 신호가 기록되도록 한다(S330). 제1 데크에서 계속 재생동작을 하고, 제2데크에서도 계속 기록동작을 하고 있다면, 프로그램은 단계(S350)에서 단계(S33)로 진행되고, 재생 및 기록동작이 완료되면 프로그램은 종료된다(S340,S350)
이상에서와 같이 이 고안에 따른 더블데크 비데오 카셋트 레코더의 기록 및 재생 제어장치에 의하면, 데크선택을 위한 스위치를 이용하여 하이-파이 주파수변조 기록 및 재생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더빙시 데크 1의 신호를 주파수 복조하고 다시 변조하여 데크 2에 기록하는 이중성을 없애고 데크 2의 프리앰프에 바로 기록할 수 있으며, 하이파이신호 처리부를 하나만 사용할 수 있어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튜너 또는 외부라인을 통해 입력되는 리니어 오디오신호를 제1 및 제2 리니어 신호처리부에 제공하여 상기 신호처리부가 리니어 오디오 신호를 제1 및 제2 테이프의 오디오 트랙에 각각 기록하도록 하고 상기 제1 및 제2 테이프에서 각각 픽엎되어 상기 신호처리부체서 처리된 리니어 오디오신호를 외부로 출력하기 위한 오디오 입출력 스위치부와, 상기 오디오 입출력 스위치부에서 제공되는 또 다른 하이파이 오디오신호를 증폭하여 제1 및 제2 테이프의 비데오 트랙에 기록하고 상기 비데오 테이프들에서 픽엎되는 하이파이 오디오신호들을 증폭하기 위한 제1 및 제2 프리앰프를 구비한 더블데크 비데오 카셋트 레코더의 기록 및 재생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입출력 스위치부에서 입력되는 하아파이 오디오신호를 주파수 변조하여 상기 제1 및 제2 프리앰프에 제공하고, 상기 제1 및 제2 프리앰프에 의해 증폭된 상기 제1 및 제2 테이프의 하아파이 오디오신호를 복조하여 상기 오디오 입출력 스위치부에 제공하는 한 개의 하아파이 신호처리수단과; 제1 제어신호에 의해 동작되어 상기 제1 및 제2 리니어신호 처리부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선택하여 상기 오디오 입출력스위치부에 제공하는 제1 스위치와, 제2 제어신호에 의해 동작되어 기록시 상기 하이파이신호 처리수단에서 처리된 하이파이 오디오신호를 상기 제1 및 제2 프리앰프에 제공하는 제2 스위치와, 제3 제어신호에 의해 동작되어 재생시 상기 제1 및 제2 프리앰프에서 출력되는 하아파이 오디오신호를 상기 하이파이신호 처리수단에 제공하는 제3 스위치와, 제4 제어신호에 의해 동작되어 제1 테이프의 신호를 제2 테이프에 더빙할시에는 제1 프리앰프에서 출력되는 하이파이 오디오신호를 제2 프리앰프에 제공하고, 외부입력신호를 제2 데이프에 기록시에는 상기 제2 스위치의 일측단자를 경유한 하이파이 오디오신호를 제2 프리앰프에 제공하는 제4 스위치로 된 제어스위칭수단과; 상기 스위치들과 오디오 입출력 스위치부와 제1 및 제2 리니어 신호처리부, 제1 및 제2 프리앰프들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마이크로 컴퓨터로 구성된 더블데크 비데오 카셋트 레코더의 기록 및 재생 제어장치.
KR2019930014809U 1993-07-31 1993-07-31 더블데크 비데오 카셋트 레코더의 기록 및 재생 제어장치 KR011950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14809U KR0119501Y1 (ko) 1993-07-31 1993-07-31 더블데크 비데오 카셋트 레코더의 기록 및 재생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14809U KR0119501Y1 (ko) 1993-07-31 1993-07-31 더블데크 비데오 카셋트 레코더의 기록 및 재생 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4608U KR950004608U (ko) 1995-02-18
KR0119501Y1 true KR0119501Y1 (ko) 1998-08-01

Family

ID=193605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14809U KR0119501Y1 (ko) 1993-07-31 1993-07-31 더블데크 비데오 카셋트 레코더의 기록 및 재생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1950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4608U (ko) 1995-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19501Y1 (ko) 더블데크 비데오 카셋트 레코더의 기록 및 재생 제어장치
US5296977A (en) Digital recording/reproducing method in which digital control codes are simultaneously recorded/reproduced with analog info to enhance analog recording/reproduction
KR100223179B1 (ko) 8mm 비데오카세트레코더(VCR)의 오디오더빙장치
KR100301025B1 (ko) 디지털/아날로그 겸용 브이씨알의 기록 포맷과 심층 기록/재생장치
KR0166699B1 (ko) Vtr에서 헤드로의 기록전류 공급장치
KR200152170Y1 (ko) 더블 헤드 오디오 카세트 리코더
KR100208719B1 (ko) 자기 기록 재생장치에서 오디오 믹싱회로
KR910003018B1 (ko) 더블데크 카세트 테이프 레코더의 더빙회로
KR0178740B1 (ko) 특수재생데이타의 위치정보 기록/검출장치 및 방법
JPS61216147A (ja) オ−デイオ装置
KR0181040B1 (ko) 디지탈 브이씨알의 오디오 신호 기록/재생 장치
KR970003253Y1 (ko) 브이씨알(vcr)복합제품의 오디오 장치
KR100266563B1 (ko) 디지탈/아날로그 동시 기록재생장치
KR100223173B1 (ko) 8mm 비데오카세트레코더(VCR)의구간자동반복 재생장치
KR0170143B1 (ko) 브이 씨 알의 스틸 재생 장치
KR200156034Y1 (ko) 하이파이 vcr의 오디오 잡음 제거장치
KR950003561B1 (ko) 브이씨알(vcr)의 오디오 더빙 장치
JPH0247023B2 (ko)
KR100253552B1 (ko) 시스템 콘트롤 정보 기록 및 재생시스템
KR920008552Y1 (ko) 브이씨알의 오디오 더빙회로
KR940022452A (ko) 더블데크 카세트 레코더의 양면 동시 녹음 장치
JPH02179188A (ja) 磁気記録再生装置
JPS61273742A (ja) 磁気記録再生装置
JPS6129475A (ja) ビデオ編集装置
KR19980060701A (ko) 다중 오디오 신호 기록/재생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22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