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08719B1 - 자기 기록 재생장치에서 오디오 믹싱회로 - Google Patents

자기 기록 재생장치에서 오디오 믹싱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08719B1
KR100208719B1 KR1019960009205A KR19960009205A KR100208719B1 KR 100208719 B1 KR100208719 B1 KR 100208719B1 KR 1019960009205 A KR1019960009205 A KR 1019960009205A KR 19960009205 A KR19960009205 A KR 19960009205A KR 100208719 B1 KR100208719 B1 KR 1002087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dio
signal
recording
heads
t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092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67098A (ko
Inventor
최경환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600092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08719B1/ko
Publication of KR9700670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670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87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871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527Audio or video recording; Data buffering arrangemen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11B15/026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by using processor, e.g. microcompute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11B15/12Masking of heads; circuits for Selecting or switching of heads between operative and inoperative functions or between different operative functions or for selection between operative heads; Masking of beams, e.g. of light beams
    • G11B15/125Masking of heads; circuits for Selecting or switching of heads between operative and inoperative functions or between different operative functions or for selection between operative heads; Masking of beams, e.g. of light beams conditioned by the operating function of the apparatu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 G11B27/031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 G11B27/032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on tapes

Abstract

자기 기록 재생장치에 있어서, 기록 재생시 동시에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소정의 각도 및 단차를 가지도록 드럼상에 헤드를 4개이상 장착하고 크로스토크를 줄이기 위해 기록채널과 재생채널이 분리되도록 설계하며, 기록앰프에 의해 오디오 영역만을 편집하도록 하되, 제어신호를 이용하여 오디오 영역에서만 기록하고 믹서에 의해 오디오를 믹싱하여 출력토록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자기 기록 재생장치에서 오디오 믹싱회로
제1도는 기존의 헤드의 구성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로터리 트랜스 구조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랙의 기록/재생 순서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채널 처리 회로도.
제5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4도의 타이밍도.
제6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로도.
본 발명은 테이프를 매체로 하여 기록/재생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존 기록되어 있는 오디오를 지우지 않고 새로운 음성 또는 새로운 오디오를 함께 기록하여 재생할 수 있는 자기 기록 재생장치에서 오디오 믹싱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야외에서 촬영을 하여 집에서 동일 테이프에 음성을 편집하고자 할 때, 기존에 기록된 오디오를 지우고 새로운 오디오를 새로이 기록해야 한다. 그러므로 야외의 현장 오디오(주로 음성)와 새로운 오디오(주로 배경음악)를 동일 테이프상에 동시에 기록 재생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단지, 기존의 장치들로써 배경음악을 동시에 기록할 수 있는 방법은 더빙(Dubbing)을 통하여 새로운 테이프를 제작하는 것이나, 이때의 문제점은 전문가들이 사용하는 믹서기 그리고 재생장치와 기록장치가 각각 한 대씩 필요하게 되며, 동일 테이프에서 편집이 불가능하고, 더빙을 통하여 편집을 하여야 하기 때문에, 아나로그의 경우 화질 및 음질의 열화도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단 한 대의 기록 재생장치로써 화질 및 음질의 열화가 없이 기존의 오디오와 함께 새로운 오디오 또는 새로운 음성을 기록할 수 있는 회로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자기기록 재생장치에 있어서, 기록 재생이 동시에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소정의 각도 및 단차를 가지도록 드럼상에 헤드를 4개 이상 장착하고 크로스토크를 줄이기 위해 기록채널과 재생채널이 분리되도록 설계하며, 기록앰프에 의해 오디오 영역만을 편집하도록 하되, 제어신호를 이용하여 오디오 영역에서 만 기록하고 믹서에 의해 오디오를 믹싱하여 출력토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헤드의 구성도로서, 제1도에서 (a)는 기준헤드에 대한 취부각도를 나타내며, (b)는 단차(취부높이)를 나타내고, (c)는 상기 (a)와 (b)의 관계를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Tp(Track Pitch)가 10um일 때, A HD를 기준헤드로 설정할 시 (c)에서 A헤드와 B, C, D헤드의 관계를 가진다. 여기서 C HD는 D HD와의 각도관계가 제1도(a)와 같이 θ일 때 단차와 에지버스각의 관계를 살펴보면, Tp = x(단차) + Tp * θ / 180의 관계를 가지며, x =Tp - Tp * θ / 180이 된다.
만약 θ = 45도라고 하면 x = 10 - 10 * 45/180 = 7.5um가 된다.
B HD는 A HD와의 각도관계가 180도이므로 2 * Tp = y + 배속 * Tp의 관계를 가지며, y = 0um가 된다.
D HD는 B HD와의 각도관계가 45도이므로 Tp = z + 45/180의 관계를 가지며, z = 7.5um가 된다.
이때 트랙에서의 헤드의 관계는 먼저 처음 180도 정도동안은 소정의 시간차를 가지고, A와 C헤드가 테이프상에 위치하게 되며, 이때 C헤드는 제1도(c)와 같이 2번 트랙을 재생하고, A헤드는 1번 트랙에 기록을 실시하게 된다. 그 다음에 180Degree 동안은 소정의 시간차를 가지고, B와 D헤드가 테이프상에 위치하게 되며, 이때 D헤드는 3번 트랙을 재생하고, B헤드는 2번 트랙에 기록을 행하게 된다.
제2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로타리 트랜스의 채널구조도로서, 평판형(a) 및 실린더형(b) 모두 기록재생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채널인 A와 C, 그리고 B와 D는 크로스토크를 줄이기 위하여 각각 B와 C채널을 사이에 두어 분리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제3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랙의 기록 재생방법 및 순서를 나타내는 것으로, 테이프에 기록되어 있는 트랙의 순서가 1, 2, 3, 4, 5, 6, 7, 8…순으로 되어 있을 때, 인서트 믹스 더빙키(insert mix dubbing)가 입력된 후 처음 시작되는 트랙(1,2번 트랙)에서는 재생만 하게 되며, 그 다음부터는 소정의 시간 간격을 두고 재생과 기록이 동시에 이루어지게 된다.
제4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채널 블록도로서, 기록용헤드인 A, B헤드(HD1, HD2)와, 재생용헤드인 C, D헤드(HD3, HD4)와, 상기 A, B헤드(HD1, HD2)에 연결되는 로터리 트랜스(R/T1, R/T2)와, 상기 C, D헤드(HD3, HD4)에 연결되는 로터리 트랜스(R/T3, R/T4)와, 상기 A, B, C, D헤드(HD1-HD4)의 HID단의 채널선택신호에 의해 기록/재생채널이 선택되는 채널선택부(400)와, 상기 A, B헤드(HD1, HD2)에 의해 테이프에 기록될 변조부에 변조된 오디오 영역만의 기록을 위해 오디오 인에이블단(AUDIO-EN)의 신호에 의해 테이프로 기록될 신호를 증폭하는 기록증폭기(401)와, 상기 C, D헤드(HD3, HD4)로부터 재생된 신호를 증폭하는 재생증폭기(403)로 구성된다.
제5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4도의 동작타이밍도로서, (5a)는 테이프의 해당 트랙에서 오디오, 비디오 기록 예시도이고, (5b)는 채널 선택 제어신호 파형이고, (5c)는 기록증폭기(401)에 인가되는 오디오 인에이블단(AUDIO-EN)이 파형이다.
제6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로도로서, 제1, 2오디오신호(AAI1, 2) 또는 제1오디오신호(AAI1)와 재생오디오신호를 믹싱하는 믹서(601)와, 상기 제2오디오신호 또는 재생오디오신호를 입력 선택신호단(INPUT-SEL)의 신호에 의해 선택하는 스위치(SW1)와, 상기 제1오디오신호(AAI1) 또는 상기 믹서(601)의 출력을 선택하는 스위치(SW2)와, 상기 스위치(SW2)에서 선택된 오디오신호를 테이프에 기록하기 위해 처리하는 기록 오디오 프로세서(600)와, 상기 스위치(SW1)로 제공할 테이프로부터 재생되는 오디오신호를 처리하는 재생 오디오 프로세서(603)와, 선택에 따라 기록/재생 채널선택신호(HID), 오디오 영역만 편집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재생 오디오신호를 증폭토록 하는 인에이블신호(AUDIO-EN)발생하고, 상기 스위치(SW1)에서 제2오디오신호(AAI2)와 재생오디오신호를 선택하기 위한 입력 선택단(INPUT-SEL)과 상기 믹서(601)에서 믹싱된 신호와 상기 제1오디오신호(AAI1)를 선택하기 위한 제어신호(MIX-CTL)를 발생하는 마이콤(611)로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구체적 일실시예를 제1도-제6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제3도의 트랙의 기록/재생순서에 따라 제4도의 기록 또는 재생을 위한 채널 선택회로에 의해 이루어지는데, 이는 마이콤(611)에서 발생하는 채널선택제어신호단(HID)의 신호에 따라 선택부(400)의 스위칭을 A, B헤드(HD1, HD2) 또는 C, D헤드(HD3, HD4)를 선택하느냐에 따라 (5b)와 같이 기록 및 재생채널이 선택된다. 그리고 (5c)와 같이 마이콤(611)에서 발생되는 오디오 인에이블단(AUDIO-EN)의 신호에 의해 기록증폭기(401)를 인에이블하여 (5a)와 같이 1트랙내에 오디오영역(AUDIO)과 비디오영역(VIDEO)이 있을 때 믹스 더빙 모드가 되면, 상기 믹스 더빙키 입력된 후 두 번째 트랙에서부터 오디오(AUDIO)의 영역을 표시해주는 오디오 인에이블단(AUDIO-EN)의 신호를 마이콤(611)로부터 입력받아 오디오영역(AUDIO)에만 기록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오디오영역(AUDIO)의 기록 관계를 인서트모드에 대해 제6도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외부 입력의 마이콤(611)에서 믹서제어단(MIX-CTL)으로 “로우”, 입력 선택단(INPUT-SEL)으로 “로우”신호가 발생될 시 스위치(SW1)는 제2오디오입력단(AAI2)의 입력을 선택하고, 스위치(SW2)는 제1오디오입력단(AAI1)의 입력이나 재생오디오 프로세서(603)의 출력을 선택하더라도 상기 스위치(SW2)에서 믹서(601)의 출력을 선택치 않으므로 기록 오디오 프로세서(600)에서 처리하여 오디오 인에이블단(AUDIO-EN)의 출력에 따라 기록증폭기(401)에서 증폭되도록 되어 있다.
외부입력에서 또다른 외부 입력이나 재생신호를 선택할 시 마이콤(611)의 믹스제어단(MIX-CTL)의 출력에 의해 스위치(SW2)는 믹서(601)의 출력을 선택토록 고정하고, 입력 선택단(INPUT-SEL)의 “하이” 또는 “로우”에 따라 제2오디오입력단(AAI2)의 입력 또는 재생오디오프로세서(603)의 출력을 선택하여 믹서(601)에서 믹싱하여 기록오디오 프로세서(600)에서 처리한 후 오디오 인에이블단(AUDIO-EN)의 신호의 기록증폭기(401)에서 기록신호가 증폭되어 채널선택단(HID)의 신호에 따라 테이프 기록토록 되어 있되, 본 발명은 이미 기록된 신호에 중첩 기록하는 것이 아니라 재생을 한 후 새로운 신호와 믹싱을 하여 다시 기록함으로써, 이 테이프를 재생할 때에는 두가지 음이 재생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단 한 대의 기록 재생장치로서 화질 및 음질의 열화없이 종래의 오디오와 함께 새로운 오디오 또는 새로운 음성을 기록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2)

  1. 자기 기록 재생장치에 있어서, 기록용헤드인 A, B헤드(HD1, HD2)와, 재생용헤드인 C, D헤드(HD3, HD4)와, 상기 A, B헤드(HD1, HD2), C, D헤드(HD3, HD4)로부터 크로스토크를 줄이기 위해 기록 또는 재생채널이 분리되는 로터리 트랜스(R/T1, R/T2)와, 상기 A, B, C, D헤드(HD1-HD4)의 HID단의 채널선택신호에 의해 기록/재생채널이 선택되는 채널선택부(400)와, 상기 A, B헤드(HD1, HD2)에 의해 테이프에 기록될 변조부에 변조된 오디오 영역만의 기록을 위해 오디오 인에이블단(AUDIO-EN)의 신호에 의해 테이프로 기록될 신호를 증폭하는 기록증폭기(401)와, 상기 C, D헤드(HD3, HD4)로부터 재생된 신호를 증폭하는 재생증폭기(403)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기록 재생장치에서 오디오 믹싱회로.
  2. 자기 기록 재생회로에 있어서, 제1, 2오디오신호(AAI1, 2) 또는 제1오디오신호(AAI1)와 재생오디오신호를 믹싱하는 믹서(601)와, 상기 제2오디오신호 또는 재생오디오신호를 입력 선택신호단(INPUT-SEL)의 신호에 의해 선택하는 스위치(SW1)와, 상기 제1오디오신호(AAI1) 또는 상기 믹서(601)의 출력을 선택하는 스위치(SW2)와, 상기 스위치(SW2)에서 선택된 오디오신호를 테이프에 기록하기 위해 처리하는 기록 오디오 프로세서(600)와, 상기 스위치(SW1)로 제공할 테이프로부터 재생되는 오디오신호를 처리하는 재생 오디오 프로세서(603)와, 선택에 따라 기록/재생 채널선택신호(HID), 오디오 영역만 편집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재생 오디오신호를 증폭토록 하는 인에이블신호(AUDIO-EN)발생하고, 상기 스위치(SW1)에서 제2오디오신호(AAI2)와 재생오디오신호를 선택하기 위한 입력 선택단(INPUT-SEL)과 상기 믹서(601)에서 믹싱된 신호와 상기 제1오디오신호(AAI1)를 선택하기 위한 제어신호(MIX-CTL)를 발생하는 마이콤(611)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기록 재생장치에서 오디오 믹싱회로.
KR1019960009205A 1996-03-29 1996-03-29 자기 기록 재생장치에서 오디오 믹싱회로 KR1002087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09205A KR100208719B1 (ko) 1996-03-29 1996-03-29 자기 기록 재생장치에서 오디오 믹싱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09205A KR100208719B1 (ko) 1996-03-29 1996-03-29 자기 기록 재생장치에서 오디오 믹싱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7098A KR970067098A (ko) 1997-10-13
KR100208719B1 true KR100208719B1 (ko) 1999-07-15

Family

ID=194544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09205A KR100208719B1 (ko) 1996-03-29 1996-03-29 자기 기록 재생장치에서 오디오 믹싱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08719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7098A (ko) 1997-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07061B1 (ko) 브이씨알 내장 디스크 재생장치
KR100208719B1 (ko) 자기 기록 재생장치에서 오디오 믹싱회로
JPH07312020A (ja) 記録再生装置
KR100301025B1 (ko) 디지털/아날로그 겸용 브이씨알의 기록 포맷과 심층 기록/재생장치
KR940004590B1 (ko) 8mm VCR의 오디오 편집장치
KR200156034Y1 (ko) 하이파이 vcr의 오디오 잡음 제거장치
KR950003561B1 (ko) 브이씨알(vcr)의 오디오 더빙 장치
RU2020612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многоканальной магнитной записи и синхронного воспроизведения звуковых сигналов
JPH0544083B2 (ko)
KR930004338B1 (ko) 음성신호 더빙 제어회로
KR0119501Y1 (ko) 더블데크 비데오 카셋트 레코더의 기록 및 재생 제어장치
KR20000002069U (ko) 디지털 브이씨알의 기록/재생 장치
KR100225359B1 (ko) 비디오 카세트 재생변속시 가이드밴드로 인한 노이즈보상회로
KR910005613Y1 (ko) 카세트 테이프 레코더의 기능 선택회로
JP2656920B2 (ja) 回転ヘツド型記録装置
KR0181040B1 (ko) 디지탈 브이씨알의 오디오 신호 기록/재생 장치
JP3348435B2 (ja) Pcmオーディオ信号の記録再生装置
JPH0714105A (ja) デジタル磁気記録再生装置
JPH05970Y2 (ko)
JPH02179188A (ja) 磁気記録再生装置
JPH07320394A (ja) 記録再生装置
JPS5914120A (ja) 磁気録音再生装置
JP2001110138A (ja) データ記録再生装置
JPH0479071A (ja) 音声信号記録装置
JPH04247303A (ja) 音声信号再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33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