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43027A - 대기 상태에서 배경 음악의 연주 방법과 배경음악 연주가 가능한 영상 가요 반주기 및 그 배경 음악 데이터 구조를 기록한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대기 상태에서 배경 음악의 연주 방법과 배경음악 연주가 가능한 영상 가요 반주기 및 그 배경 음악 데이터 구조를 기록한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43027A
KR20000043027A KR1019980059330A KR19980059330A KR20000043027A KR 20000043027 A KR20000043027 A KR 20000043027A KR 1019980059330 A KR1019980059330 A KR 1019980059330A KR 19980059330 A KR19980059330 A KR 19980059330A KR 20000043027 A KR20000043027 A KR 200000430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background music
information
accompaniment
recording med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93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23205B1 (ko
Inventor
이달수
Original Assignee
이달수
음정시스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달수, 음정시스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달수
Priority to KR10199800593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23205B1/ko
Publication of KR200000430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430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32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320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 가요 반주기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영상 가요 반주기가 사용 중인 상태 하에서 영상 가요 반주기를 일정 시간 사용하지 아니하고 대기 상태에 있을 때 이를 검출하여 대기 상태에 적합한 배경 음악을 출력 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배경 음악의 연주 방법 및 배경 음악 연주가 가능한 영상 가요 반주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영상 가요 반주기를 사용중 한시적으로 연주 및 키 입력이 없을 때 이를 검출하여 조용한 선율의 배경 음악을 출력하므로 써 흥미를 단절시키지 아니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선곡 입력과 예약 선곡을 반주하는 단계와 상기 선곡을 반주하는 단계에서 선곡 또는 예약된 선곡이 없는 무 선곡 시간을 검출하여 그 시간을 계수 하는 카운트 단계와, 상기 카운트 단계의 적산 시간이 소정의 설정 시간에 도달될 때 영상 가요 반주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기록 매체로부터 배경 음악으로 인덱스된 반주 데이터를 독취하는 배경 음악 데이터 독취 단계와 상기 독취된 배경 음악을 재생하는 출력 단계로 이루어지는 제어 방법과 그 영상 가요 반주 장치 그리고 이 배경 음악을 특정하고 이 배경 음악의 목록 정보를 기록한 인덱스 파일 구조를 갖는 기록 매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대기 상태에서 배경 음악의 연주 방법과 배경 음악 연주가 가능한 영상 가요 반주기 및 그 배경 음악 데이터 구조를 기록한 기록 매체
본 발명은 영상 가요 반주기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영상 가요 반주기가 사용 중인 상태 하에서 영상 가요 반주기를 일정 시간 사용하지 아니하고 대기 상태에 있을 때 이를 검출하여 대기 상태에 적합한 배경 음악을 출력 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배경 음악의 연주 방법 및 배경 음악 연주가 가능한 영상 가요 반주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영상 가요 반주기는 음악 재생을 위한 음원 모듈과, 수천 곡의 반주 데이터와 동 영상 데이터를 저장한 기록 매체와, 가사를 모니터에 표시하기 위한 자막 발생 장치와, 선곡과 기능을 설정하기 위한 조작 패널과 리모콘으로 구성되어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제어 하에 특정의 노래를 영상과 함께 재생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통상의 영상 가요 반주기를 이용하여 사용자는 희망하는 노래를 부를 수 있고, 이러한 노래는 취미나 유희에 적합하다.
종래의 영상 가요 반주기는 매우 다양한 기능을 포함하여 개발이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종래의 영상 가용 반주기는 켜놓은 상태에서 일시적으로 담소를 나누거나 잠시 휴식을 하려 할 때에 반주기는 고유의 기능을 한시적으로 중지한 상태에서 단지 선곡을 요구하는 자막만이 화면 출력되는 단조로움에 의하여 새로운 제품 경쟁력을 가질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동시에 일시적인 담소를 나누려 할 때 상기 선곡을 요구하는 자막은 공연히 사용자에게 선곡을 강요하는 메시지로 전달되어 이야기 분위기를 저해하거나 심리적인 조급함을 유발하는 단점이 있다.
물론 사용자에 따라서는 조용한 음악을 예약 곡으로 선정하여 두고 재생함으로써 이야기를 할 수 있도록 분위기를 조성 할 수도 있겠으나 이 경우에도 반주의 재생 음 레벨이 지나치게 높으며 자막이 재생됨으로써 배경 음악으로써 사용하기에는 불가능한 실정인 것이다. 동시에 배경 음악에 적합한 곡을 일일이 찾아서 예약한다는 것은 매우 번거로운 일이며 현실성이 없다.
상술한 바와 같이 영상 가요 반주기를 사용하는 중간에 일시적으로 재생을 멈추고 대기하는 상황에서 이야기를 나누고자하는 경우는 반주기를 사용해본 사용자라면 누구나 경험이 있을 것이다.
종래의 기술에 의하면 이러한 일시적인 대기 상황에 대하여 조용한 배경 음악을 재생 출력하는 기능이 없어 적절하게 사용자를 배려하고 있지 못한 실정인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기술이 갖는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써 다음과 같은 목적을 갖는다.
본 발명은 영상 가요 반주기를 사용중 한시적으로 연주 및 키 입력이 없을 때 이를 검출하여 조용한 선율의 배경 음악을 출력하므로 써 흥미를 단절시키지 아니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대기 상태에서 배경 음악의 연주 방법 및 배경 음악 연주가 가능한 영상 가요 반주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배경 음악이 자동으로 출력되다가 재차 외부로부터의 키 입력이 있을 때 이를 검출하여 반주기 본래의 기능으로 전환 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 대기 상태에서 배경 음악의 연주 방법 및 배경 음악 연주가 가능한 영상 가요 반주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배경 음악을 자동으로 연주하기 위하여 영상 가요 반주 데이터가 기록된 CD-ROM에 특정 미디 데이터를 배경 음악으로 선정하여 이 데이터의 곡목을 인덱스한 파일로부터 배경 음악을 선곡하도록 하며 대응되는 미디 데이터를 재생 할 수 있도록 배경 음악 데이터 구조를 기록한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선곡 입력과 예약 선곡을 반주하는 단계와 상기 선곡을 반주하는 단계에서 선곡 또는 예약된 선곡이 없는 무 선곡 시간을 검출하여 그 시간을 계수 하는 카운트 단계와, 상기 카운트 단계의 적산 시간이 소정의 설정 시간에 도달될 때 영상 가요 반주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기록 매체로부터 배경 음악으로 인덱스된 반주 데이터를 독취하는 배경 음악 데이터 독취 단계와 상기 독취된 배경 음악을 재생하는 출력 단계로 이루어지는 제어 방법에 의한다.
도1은 본 발명의 배경 음악 연주 제어 방법을 도시한 플로우챠트.
도2는 도1의 제어 방법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실시예로써의 반주기 블록 다이어그램.
도3은 배경 음악 데이터 구조를 도시한 기록 매체의 구성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패널부 20 : CD-ROM 30 : 주제어장치
31 : MPU 32,39 : 컨버터 34 : 제1 전송부
35 : 제2 전송부 37 : 비디오 램 38 : 음원 모듈
311,312,313 : 롬 314 : 램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에 대하여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영상 가요 반주기는 음악 재생을 위한 음원 모듈과, 수천 곡의 노래 데이터와 가사 데이터를 저장한 기록 매체와, 가사를 모니터에 표시하기 위한 자막 발생 장치와, 선곡과 기능을 설정하기 위한 조작 패널과 리모콘으로 구성되어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제어 하에 특정의 노래를 영상과 함께 재생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된 노래 및 가사 데이터는 선곡을 수행하는 외부 입력인 키가 부설된 조작 패널이나 리모콘 입력에 의하여 각 노래 데이터에 대응하는 키값을 입력하는 단계(S1∼S3)와 이 선곡 입력이 이루어지면 마이크로 프로세서가 해당 선곡 데이터를 로드 하여 메모리에 적재하는 단계(S4)와 이 데이터를 영상과 함께 음원 모듈을 통하여 반주 음악으로 재생하는 단계(S5), 동시에 가사 데이터를 오버레이 시켜 모니터에 자막을 디스플레이 하는 과정으로 제어된다.
이때, 본 발명의 제어 방법에 의하면 상기 선곡된 데이터를 재생하는 과정을 제어하는 단계로부터 예약된 선곡이 있는지를 검출하는 예약곡 검출 단계(S2)와, 상기 예약곡이 없는 경우 선곡 버튼 입력이 있는지를 검출하는 단계(S3)와, 상기 선곡 버튼 입력이 없을 때 이 선곡 버튼의 무 입력 시간의 계수를 시작하는 시간 계수 단계(S6)와, 상기 계수된 시간이 소정의 설정된 시간에 도달하는지를 검출하는 시간 비교 단계(S7)와, 설정된 시간에 도달될 때 기록 매체로부터 배경 음악 데이터에 해당하는 미디 파일들을 리스트로써 인덱스한 인덱스 파일을 읽어 이 인덱스된 배경 음악 데이터를 독취하는 데이터 리드 단계(S8)와, 상기 독취된 배경 음악 데이터인 미디 데이터로부터 가사 데이터의 자막 재생을 차단하는 단계(S9)와, 배경 음악이 재생 될 때 사용 중인 볼륨 레벨로부터 설정된 레벨로 볼륨을 재조정하는 볼륨 조절 단계(S10)와, 상기 미디 데이터가 음원 모듈을 통하여 반주음만이 재생되도록 하는 배경 음악 재생 단계(S11)와, 상기 배경 음악 재생 중에 외부 키 입력을 검출하여 외부 키 입력이 검출 될 때 배경 음악의 재생을 중단하고 초기 제어 단계로 인터럽트 되도록 외부키 입력을 검출하는 단계(S12)로 이루어지는 제어 방법을 이루는 것이다.
상기 볼륨 조절 단계(S10)는 사용자가 임의로 설정하여 사용중인 현재의 볼륨 레벨로부터 배경 음악에 적합하도록 사전에 설정된 레벨로 강제 조절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배경 음악 연주 방법을 구체적으로 구현한 실시 예로써의 장치 구성을 이하 좀더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2에 본 발명인 대기 상태에서 배경 음악 연주가 가능한 영상 가요 반주기의 블록 다이어그램이 도시되어 있다.
영상 가요 반주기는 키 입력부 또는 리모콘 입력부에 의하여 외부 키 입력을 검출하는 키 입력부(14)와, 상기 키 입력부의 입력을 검출하여 LED로 이루어지는 디스플레이(11)에 각종 정보를 표시하며 키 입력을 처리하는 중앙처리장치인 MPU(13)와, 인터페이스(12)를 포함하는 패널부(10)가 이루어져 있다.
상기 패널부는 사용자의 제어 요구를 키 입력으로 받아 드려 주제어 장치에 전달하며 주제어 장치의 상태를 사용자에게 보여주기 위한 조작 및 표시 장치로 사용된다.
또한, 기록 매체로써 다수의 반주 정보가 기록된 미디 데이터와, 동영상을 제공하는 영상 데이터와, 상기 미디 데이터 중에서 배경 음악으로 선정된 특정 미디 데이터 파일들의 정보를 기록한 배경 음악 목록 인덱스 파일로 이루어진 CD-ROM(20)을 마련한다.
상기 다수의 미디 데이터는 미디 정보와 자막 정보로 이루어져 있으며 미디 정보는 음원 모듈을 경유하여 해당 악기 음으로 재생되고 가사 정보는 폰트 ROM에 의하여 자막으로 화면에 재생된다.
여기서 상기 미디 데이터 중 배경 음악으로 선정된 미디 파일은 이들 배경 음악 데이터의 목록 정보를 기록한 인덱스 파일로 저장하여 구성한다.
상기 배경 음악에 해당하는 파일들은 상기 배경 음악을 재생하기 위한 일정 시간이 경과되는 조건이 이루어질 때 순차적으로 독취되어 재생될 것이다.
한편, 상기 CD-ROM의 정보를 처리하는 주제어 장치에 대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주제어 장치(30)는 제어에 필요한 소정의 프로그램을 저장한 프로그램 롬(311)과, CD-ROM에 기록되지 아니한 신곡 정보를 한시적으로 기록하는 플래시 롬(312)과, 자막 정보에 대한 폰트를 기억하고 있는 폰트 롬(313)과, 상기 플래시 롬 또는 CD-ROM으로부터 독취된 미디 데이터 및 영상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롬(314)과, 이 독취된 롬의 데이터를 영상으로 재 구성하기 위한 비디오 램(37), 비디오 램의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컨버터(32:DAC), 변환된 아날로그 영상 신호를 NTSC방식에 의하여 모니터에 화상으로 재생하는 엔코더(33)를 통하여 모니터(60)에 동화상의 재생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주제어 장치는 상기 독취된 미디 데이터로부터 해당 악기 음으로 데이터를 처리하여 반주음을 재생하기 위한 음원모듈(38)과 이 음원모듈을 통하여 처리된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컨버터(39)와 이 컨버터를 경유하여 변환된 아날로그 반주 신호를 외부 마이크 입력 신호와 믹싱하는 믹서(39a)를 통하여 스피커(50)로 재생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상기 주제어 장치의 모든 제어는 프로그램 롬(311)의 프로그램에 따라서 마이크로 프로세서(31)에 의하여 관장되며 이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외부 입력단에는 직렬 데이터의 전송과 키 입력 시간의 경과를 누산 출력하는 타이머를 갖는 제1 전송부(34)와 상기 미디 데이터 및 영상 데이터를 독취한 램(314)의 데이터를 상기 음원 모듈로 직렬 전송하기 위한 제2 전송부(35)가 마련된다.
상기 제1 전송부(34)는 상기 외부 키 입력에 대응하여 패널부(10)의 마이크로 프로세서(13)에서 처리된 데이터를 직렬 전송하는 것과, 키 입력 시간을 검출하는 타이머를 갖는다. 이 제1 전송부(34)의 타이머에 의하여 소정의 키 입력이 없는 무입력 시간이 경과 될 때 마이크로 프로세서는 일정 시간 키 입력이 없음을 검출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CD-ROM으로부터 배경 음악으로 분류되어 인덱스된 파일 정보를 읽어 들여 이 파일들의 미디 데이터를 램(314)에 로드 시킨다.
상기 램(314)에 로드된 배경 음악 데이터는 마이크로 프로세서(31)의 제어하에 영상과 반주 음으로 재생된다.
이때 상기 배경 음악 미디 데이터에 있어서 반주 정보는 음원 모듈(38)을 통하여 재생이 이루어지게 되지만 자막 정보는 차단되어 영상에 오버레이 되지 아니하도록 제어하게 된다 .
결국 배경 음악은 자막 정보 없이 반주만으로 재생되는 것이다. 이는 배경 음악에 있어 자막 정보의 재생이 불필요 할 뿐 더러 자막이 있을 경우에는 조용한 배경 음악을 제공하려는 목적에 부합되지 아니하므로 자막의 재생을 배제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배경 음악 재생 중에 외부 키 입력이 있을 경우에는 상기 제1 전송부(34)의 타이머 출력이 차단되고 이에 의하여 마이크로 프로세서는 제1 전송부로 입력되는 키값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검출하여 인터럽트 되어 통상의 반주기가 해당 노래의 미디 데이터를 찾아서 재생하는 것과 같이 본래의 기능으로 복귀된다.
여기서, 상기 제1, 2 전송부(34,35)는 데이터 전송용 칩으로써 직렬 신호를 전송하는 상용 반도체 칩인 DUART/UART 칩을 이용한다.
이상에서 상세하게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패널부와 주제어 장치간에 데이터의 직렬 전송을 이루는 제1 전송부에 의하여 직렬 전송 데이터가 없는 시간을 제1 전송부에 내장된 타이머가 누산하고 이 누산된 대기 시간이 설정된 시간(대략 5분 정도)에 도달 될 때 사용자가 잠시 휴식을 취하고자 하는 대기 상태로 가정하여 마이크로 프로세서는 특정된 배경 음악 데이터를 로드하고 이 배경 음악 데이터의 반주 정보와 동화상 만을 재생 출력하는 새로운 효과를 갖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배경 음악을 출력하는 상기 설정 시간은 가변적으로 설정이 가능하며 상기 배경 음악이 출력되는 시간에는 현재의 사용 볼륨에서 설정된 볼륨 레벨로의 강제적인 볼륨 조절이 동시에 이루어져 배경 음악의 청취를 한결 부드럽고 편안하게 조성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들이 은은하고 감미로운 톤의 배경 음악 하에서 이야기를 주고받거나 조용히 음악을 청취 할 수 있는 등의 새로운 효과를 갖는 매우 우수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10)

  1. 다수의 미디 데이터로된 반주 및 자막 정보와 동 영상 데이터인 화상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기록 매체와 상기 기록 매체의 반주, 자막 및 화상 정보를 선택적으로 독취하여 화상과 반주음으로 재생하고 자막을 오버레이 하여 출력하는 가요 반주기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선곡 입력과 예약 선곡을 반주하는 단계와 상기 선곡을 반주하는 단계에서 선곡 또는 예약된 선곡이 없는 무 선곡 시간을 키 입력이 없는 상태로부터 검출하여 그 시간을 누적 계수 하는 카운트 단계와,
    상기 카운트 단계의 적산 시간이 소정의 설정 시간에 도달될 때 영상 가요 반주를 저장하고 있는 기록 매체로부터 배경 음악으로 인덱스된 반주 데이터를 독취하는 배경 음악 데이터 독취 단계와
    상기 독취된 배경 음악을 재생하는 출력 단계와,
    상기 배경 음악 재생중 외부 키 입력을 검출하여 외부 키 입력이 있을 때 선곡된 반주 데이터를 재생하도록 인터럽트 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 상태에서 배경 음악의 연주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경 음악을 재생하는 출력 단계에서 해당 배경 음악 미디 데이터로부터 자막 정보의 재생은 차단하고 반주 정보만을 재생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 상태에서 배경 음악의 연주 방법.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배경 음악을 재생하는 출력 단계에서 사용중인 볼륨 레벨로부터 배경 음악에 적합하게 설정된 레벨로 볼륨을 강제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 상태에서 배경 음악의 연주 방법.
  4. 다수의 반주 정보를 미디 데이터로 저장하는 기록 매체와, 이 기록 매체의 반주 정보를 외부 조작에 의하여 재생하는 음원 모듈과, 동 영상을 재생하며 가사 정보를 오버레이 하는 영상 엔코더를 포함하며 이들을 제어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갖는 영상 가요 반주기에 있어서,
    상기 외부 조작으로써의 키 입력이 없음을 시간으로 계수 하는 카운터와,
    상기 카운터가 설정 시간에 도달 될 때 발생되는 출력에 의하여 마이크로 프로세서가 상기 기록 매체에 배경 음악으로 분류한 특정의 미디 데이터를 독취하여 재생 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 상태에서 배경 음악 연주가 가능한 영상 가요 반주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가요 반주기는 키 입력부 또는 리모콘 입력부에 의하여 외부 키 입력을 검출하는 키 입력부와, 상기 키 입력부의 입력을 검출하여 LED로 이루어지는 디스플레이에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중앙처리장치인 MPU와, 주제어 장치와 인터페이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패널부(10)와,
    반주 정보와 영상 정보가 저장된 기록 매체로써 CD-ROM(20)과,
    제어에 필요한 소정의 프로그램을 저장한 프로그램 롬과, CD-ROM에 기록되지 아니한 신곡 정보를 한시적으로 기록한 플래시 롬과, 자막 정보에 대한 폰트를 기억하고 있는 폰트 롬과, 상기 플래시 롬 또는 CD-ROM으로부터 독취된 미디 데이터 및 영상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램과, 이 독취된 램의 데이터를 영상으로 재 구성하기 위한 비디오 램, 비디오 램의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컨버터, 변환된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NTSC방식에 의하여 모니터에 화상으로 재생하는 엔코더, 독취된 미디 데이터로부터 해당 악기음으로 데이터를 처리하여 반주음을 재생하기 위한 음원모듈과 이 음원모듈을 통하여 처리된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컨버터와 이 컨버터를 경유하여 변환된 아날로그 반주 신호를 마이크 신호와 믹싱하는 믹서 출력을 재생하는 스피커에 연결하여 이루되,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외부 입력단에는 직렬 데이터의 전송과 키 입력 시간의 경과를 누산 출력하는 타이머를 갖는 제1 전송부와 상기 미디 데이터 및 영상 데이터를 독취한 램의 데이터를 상기 음원 모듈로 직렬 전송하기 위한 제2 전송부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 상태에서 배경 음악 연주가 가능한 영상 가요 반주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송부는 상기 외부 키 입력에 대응하여 패널부의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처리된 데이터를 직렬 전송하는 것과, 키 입력 시간을 검출하는 타이머를 갖으며, 제1 전송부 타이머의 출력에 의하여 마이크로 프로세서는 일정 시간 키 입력이 없음을 검출하고, 상기 CD-ROM으로부터 배경 음악으로 분류된 파일 정보를 읽어들여 이 파일들을 배경 음악으로 재생 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대기 상태에서 배경 음악 연주가 가능한 영상 가요 반주기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배경 음악 미디 데이터에 있어서 반주 정보와 자막 정보중 반주 정보만이 음원 모듈을 통하여 재생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대기 상태에서 배경 음악 연주가 가능한 영상 가요 반주기.
  8. 영상 가요 반주기의 영상 및 반주 정보를 기록한 기록 매체;
    상기 기록 매체의 정보를 선택적으로 재생 출력하는 반주기:
    상기 반주기가 일정한 시간 동안 외부로부터의 키 입력이 없을 때 지정된 배경 음악을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독취하여 재생 하기위하여 기록 매체의 배경 음악 데이터 인덱스 파일을 검색하는 단계에 대응되는 다수의 반주 정보가 기록된 미디 데이터와, 동영상을 제공하는 영상 데이터와, 상기 미디 데이터 중에서 배경 음악으로 선정된 특정 미디 데이터 파일들의 목록 정보를 기록한 인덱스 파일구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 상태에서 배경 음악 연주가 가능한 영상 가요 반주기의 배경 음악 데이터 구조가 기록된 기록 매체.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매체가 CD-ROM인 것을 특징으로하는 대기 상태에서 배경 음악 연주가 가능한 영상 가요 반주기의 배경 음악 데이터 구조가 기록 매체.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매체가 하드 디스크인 것을 특징으로하는 대기 상태에서 배경 음악 연주가 가능한 영상 가요 반주기의 배경 음악 데이터 구조가 기록 매체.
KR1019980059330A 1998-12-28 1998-12-28 대기상태에서배경음악의연주방법과배경음악연주가가능한영상가요반주기 KR1003232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9330A KR100323205B1 (ko) 1998-12-28 1998-12-28 대기상태에서배경음악의연주방법과배경음악연주가가능한영상가요반주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9330A KR100323205B1 (ko) 1998-12-28 1998-12-28 대기상태에서배경음악의연주방법과배경음악연주가가능한영상가요반주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3027A true KR20000043027A (ko) 2000-07-15
KR100323205B1 KR100323205B1 (ko) 2002-07-31

Family

ID=195662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9330A KR100323205B1 (ko) 1998-12-28 1998-12-28 대기상태에서배경음악의연주방법과배경음악연주가가능한영상가요반주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2320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339617B (zh) * 2010-07-22 2014-06-25 英业达股份有限公司 基于计步数据的作曲系统及其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23205B1 (ko) 2002-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8505744A (ja) 記録されたオーディオ・プログラムと共にテキストを表示する装置およびその方法
JP3872855B2 (ja) 楽音再生装置
JP3871382B2 (ja) 楽音再生装置
JP2000207417A (ja) 情報提供装置及び情報提供方法
JP3963503B2 (ja) 楽音再生装置
KR20000043027A (ko) 대기 상태에서 배경 음악의 연주 방법과 배경음악 연주가 가능한 영상 가요 반주기 및 그 배경 음악 데이터 구조를 기록한 기록 매체
JP3963514B2 (ja) カラオケ装置
JP3963504B2 (ja) カラオケ装置
KR100323204B1 (ko) 영상가요반주기의신곡표시방법
KR19990009967A (ko) 가라오케 시스템의 재생 영상 매칭 방법
JP2002218331A (ja) テレビジョン受信装置及び受信方法
JP2000137490A (ja) カラオケ装置
JP3881726B2 (ja) 楽音再生装置
JP3561075B2 (ja) 楽音再生装置
JPH07311584A (ja) カラオケ装置
JP3880112B2 (ja) 楽音発生装置
JP3868544B2 (ja) 楽音再生装置
JP2972073B2 (ja) 映像再生装置
JPH09244676A (ja) 楽音再生装置
JPH1195770A (ja) カラオケ装置及びカラオケ再生方法
JPH07281687A (ja) 映像カラオケ装置
JP3940762B2 (ja) カラオケ装置
KR100561315B1 (ko) 노래반주기의 장르별 최적음역 자동설정장치 및 방법
JP5669026B2 (ja) カラオケ装置
JPH1020869A (ja) 楽音再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