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38462A - 인쇄기의 광주사 시스템 - Google Patents

인쇄기의 광주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38462A
KR20000038462A KR1019980053475A KR19980053475A KR20000038462A KR 20000038462 A KR20000038462 A KR 20000038462A KR 1019980053475 A KR1019980053475 A KR 1019980053475A KR 19980053475 A KR19980053475 A KR 19980053475A KR 20000038462 A KR20000038462 A KR 200000384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page
photosensitive belt
signal
optical scan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34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27236B1 (ko
Inventor
이범로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800534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27236B1/ko
Priority to US09/455,519 priority patent/US6166749A/en
Publication of KR200000384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84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72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723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exposing, i.e. imagewise exposure by optically projecting the original image on a photoconductive recording materi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46Colour picture communication systems
    • H04N1/50Picture reproducers
    • H04N1/506Reproducing the colour component signals picture-sequentially, e.g. with reproducing heads spaced apart from one another in the subscanning dir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4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 H04N1/047Detection, control or error compensation of scanning velocity or position
    • H04N1/0473Detection, control or error compensation of scanning velocity or position in subscanning direction, e.g. picture start or line-to-line synchronis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4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 H04N1/113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oscillating or rotating mirrors
    • H04N1/1135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oscillating or rotating mirrors for the main-scan on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4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 H04N1/12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the sheet-feed movement or the medium-advance or the drum-rotation movement as the slow scanning component, e.g. arrangements for the main-scan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24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deleted
    • H04N2201/02406Arrangements for positioning elements within a head
    • H04N2201/02439Positioning metho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4Scanning arrangements
    • H04N2201/047Detection, control or error compensation of scanning velocity or position
    • H04N2201/04701Detection of scanning velocity or position
    • H04N2201/0471Detection of scanning velocity or position using dedicated detec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4Scanning arrangements
    • H04N2201/047Detection, control or error compensation of scanning velocity or position
    • H04N2201/04701Detection of scanning velocity or position
    • H04N2201/04715Detection of scanning velocity or position by detecting marks or the like, e.g. slits
    • H04N2201/04722Detection of scanning velocity or position by detecting marks or the like, e.g. slits on a photoconductive drum or bel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4Scanning arrangements
    • H04N2201/047Detection, control or error compensation of scanning velocity or position
    • H04N2201/04701Detection of scanning velocity or position
    • H04N2201/04732Detecting at infrequent intervals, e.g. once or twice per line for main-scan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4Scanning arrangements
    • H04N2201/047Detection, control or error compensation of scanning velocity or position
    • H04N2201/04701Detection of scanning velocity or position
    • H04N2201/04744Detection of scanning velocity or position by detecting the scanned beam or a reference b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4Scanning arrangements
    • H04N2201/047Detection, control or error compensation of scanning velocity or position
    • H04N2201/04753Control or error compensation of scanning position or velocity
    • H04N2201/04758Control or error compensation of scanning position or velocity by controlling the position of the scanned image area
    • H04N2201/04767Control or error compensation of scanning position or velocity by controlling the position of the scanned image area by controlling the timing of the signals, e.g. by controlling the frequency o phase of the pixel clock
    • H04N2201/04781Controlling the phase of the signals
    • H04N2201/04786Controlling a start time, e.g. for output of a line of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4Scanning arrangements
    • H04N2201/047Detection, control or error compensation of scanning velocity or position
    • H04N2201/04753Control or error compensation of scanning position or velocity
    • H04N2201/04794Varying the control or compensation during the scan, e.g. using continuous feedback or from line to li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acsimile Scanning Arrangements (AREA)
  • Control Or Security For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인쇄기의 광주사시스템이 개시된다. 광주사시스템은 순환운동하는 감광벨트에 대해 그 광주사방향이 상호 나란하게 되도록 설치된 복수개의 광주사유니트와, 광주사유니트 각각으로부터 출사되어 감광벨트를 소정거리 벗어난 위치로부터 상기 감광벨트의 가장자리로 향하는 광을 검출할 수 있도록 배치된 복수개의 광검출기와, 고정된 위치에서 감광벨트에 형성된 인식패턴의 통과를 검출하여 상기 감광벨트의 1회순환에 대한 궤도기준위치 검출신호를 출력하는 인식패턴 식별센서와, 궤도기준위치 검출신호에 동기시켜 선택된 어느 하나의 광검출기로부터 출력되는 펄스신호의 개수를 카운트 하되, 감광벨트상에 설정해 놓은 이미지 기록용 페이지영역이 광주사유니트 각각의 광주사위치를 통과하는 기간 동안에 대응해 설정해 놓은 각 광주사유니트 별 페이지 동기 목표값에 도달할 때 마다 각 광주사유니트별 페이지동기신호들을 출력하는 페이지동기신호 발생부와, 입력되는 페이지동기신호들을 이용하여 상기 광주사유니트 각각의 이미지정보 주사를 제어하는 광주사제어부를 구비한다. 이러한 광주사시스템에 의하면, 선택된 하나의 광검출기의 펄스신호를 카운트하면서 감광벨트상의 페이지영역이 각 광주사유니트의 주사주위를 통과할 때 까지 페이지 동기신호를 발생시켜, 이미지 정보기입을 제어함으로써, 화상정보 기입에러가 줄어든다.

Description

인쇄기의 광주사시스템
본 발명은 인쇄기의 광주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순환되는 감광벨트상에 설정된 페이지영역이 상호 이격 설치된 각 광주사유니트의 주사위치를 통과하는 동안 이미지를 기입할 수 있도록 페이지 동기신호를 발생하는 인쇄기의 광주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 1에 종래 인쇄기의 광주사시스템이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광주사시스템은 롤러들(13)에 의해 순환되는 감광벨트(11)에 대해 광을 주사하는 광주사유니트들(20)(30)(40)(50)과, 주사된 광을 검출할 수 있도록 설치된 광검출기들(25)(35)(45)(55)과, 감광벨트(11)상에 형성된 인식패턴(12)의 통과를 검출하는 인식패턴 식별센서(60)와, 이미지데이터에 대응하는 광이 출사되도록 광주사유니트들(20)(30)(40)(50)을 제어하는 광주사제어부(70)와, 광주사제어부(70)로 페이지동기신호를 출력하는 복수개의 페이지동기신호 발생부(82)(83)(84)(85)를 갖고 있다.
감광벨트(11)상에 인쇄용지 크기로 설정해 놓은 이미지기록용 페이지 영역이 옐로우(Y), 마젠타(M), 시안(C) 및 블랙(K) 색상의 이미지정보를 각각 주사하는 광주사유니트들(20)(30)(40)(50) 각각의 주사위치로 도달하는 시기에 맞추어 이미지 정보에 대응하는 광의 출사가 개시되어야 원하는 이미지를 형성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종래에는 제1 내지 제4 주사제어부(72)(73)(74)(75) 각각은 짝을 이루는 제1 내지 제4 페이지 동기신호 발생부(82)(83)(84)(85)로부터 페이지동기신호를 입력받아 제1 내지 제4광주사유니트(20)(30)(40)(50)의 광주사개시를 결정하였다. 또한, 제1내지 제4 페이지 동기신호 발생부(82)(83)(84)(85) 각각이 개별적으로 짝을 이루는 광검출기들(25)(35)(45)(55)로부터 출력되는 펄스를 입력받도록 접속되어, 카운트된 펄스의 개수가 설정된 값에 도달하면 페이지동기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됐다. 여기서, 광원(61)과 광검출기(62)를 구비하여 검지위치에 도착된 인식패턴(12)에 의해 반사된 광이 수광될 때 인식패턴 식별센서(60)로부터 인식패턴(12)의 도착을 알리는 출력신호가 각 페이지 동기신호 발생부(82)(83)(84)(85)의 카운트 시작 동기신호로 이용된다. 따라서, 인식패턴 식별센서(60)로부터 인식패턴(12)의 도착을 알리는 신호가 각 페이지동기신호 발생부(82)(83)(84)(85)에 입력되면, 페이지동기신호 발생부들(82)(83)(84)(85)은 동시에 각각 접속된 광검출기들(25)(35)(45)(55)로부터 출력되는 펄스신호를 카운트 하면서, 카운트된 펄스수가 펄스카운트 시작시점에서 감광벨트(11)상에 설정된 페이지영역의 선단이 그 주사위치까지 이동하는데 소요되는 시간만큼에 해당하는 목표치에 도달하면 페이지동기신호를 순차적으로 각각 출력한다.
그러나, 이렇게 작동되는 종래의 광주사시스템에서, 가격을 고려하여 적절한 크기의 수광영역을 갖는 광검출기들(25)(35)(45)(55)에 대해 감광벨트(11)가 설정된 궤도에서 그 폭방향으로 많이 이탈되면, 광검출기들(25)(35)(45)(55)의 수광영역이 감광벨트(11)에 의해 가려질 수 있다. 또한, 통상적으로 형상이 고르지 못한 감광벨트(11)의 이음부분(11a)이 광검출기들(25)(35)(45)(55)의 수광영역을 가릴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광검출기들(25)(35)(45)(55)를 향하여 출사된 광이 감광벨트(11)에 차단되어 광검출기들(25)(35)(45)(55)로부터 펄스신호가 출력되지 않는다. 따라서, 광검출기들(25)(35)(45)(55)로부터 라인주사주기마다 출력되어야 하는 펄스가 상기에 언급된 바와 같은 원인에 의해 누락되는 경우에 페이지동기신호의 발생이 지연된다. 그 결과, 감광벨트(11)상에 설정된 페이지영역의 선단이 그 주사위치를 통과한 후에 광주사유니트(20)(30)(40)(50)로부터의 광주사가 개시됨으로써, 실질적인 화상정보 기입오류를 야기시킨다.
또한, 페이지동기신호는 감광벨트(11)상에 설정된 페이지영역의 선단으로부터 종단까지가 광주사위치를 통과하는 동안 유지되어야 하는데, 인식패턴 식별센서(60)로부터 인식패턴(12)의 도착을 알리는 신호에 동기시켜 각 페이지동기신호 발생부들(82)(83)(84)(85)의 카운트가 리셋됨과 동시에 카운트를 시작함으로써, 예컨데, 제4페이지동기신호 발생부(85)의 경우 감광벨트(11)상에 설정된 페이지영역이 제4광주사유니트(50)의 주사위치를 완전히 통과하기 이전에 그 펄스카운트 값이 리셋될 수 있어, 페이지 동기신호의 일부가 누락되는 문제점을 야기시킬 수 있다. 각 광주사유니트(20)(30)(40)(50) 간의 사이 간격을 매우 좁게 설정하면, 이러한 문제점이 발생되지 않을 수 있으나, 각 광주사유니트(20)(30)(40)(50) 사이에 현상기 및 대전기를 배치하여야 하기 때문데 각 광주사유니트 간의 간격을 좁게 하는데는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각 광주사유니트의 광주사시기 제어에 이용하기 위한 페이지 동기신호 발생 에러를 저감하여 화상정보 기입에러를 줄일 수 있는 인쇄기의 광주사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인쇄기의 광주사시스템을 나타내보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인쇄기의 광주사시스템을 나타내보인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광주사시스템의 일부요소의 출력파형을 나타내보인 타이밍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인쇄기의 광주사시스템을 나타내보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111: 감광벨트 11a, 111a: 이음부분
12, 112: 인식패턴 13, 113: 롤러
20, 30, 40, 50, 120, 130, 140, 150: 광주사유니트
25, 35, 45, 55, 125, 135, 145, 155: 광검출기
60, 160: 인식패턴 식별센서 61, 121, 161: 광원
62, 162: 광검출기 70, 170: 광주사제어부
82, 83, 84, 85, 180, 190: 페이지 동기신호 발생부
122: 회전다면경 123: 렌즈유니트
181, 191: 제1카운터부 182, 192: 제2카운터부
183: 신호 합성부 193: 리셋선택부
194: 교번신호 발생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인쇄기의 광주사시스템은 순환운동하는 감광벨트에 대해 그 광주사방향이 상호 나란하게 되도록 설치된 복수개의 광주사유니트와; 상기 광주사유니트 각각으로부터 출사되어 상기 감광벨트를 소정거리 벗어난 위치로부터 상기 감광벨트의 가장자리로 향하는 광을 검출할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입사광에 대응되는 펄스 신호를 출력하는 복수개의 광검출기와; 고정된 위치에서 상기 감광벨트에 형성된 인식패턴의 통과를 검출하여 상기 감광벨트의 1회순환에 대한 궤도기준위치 검출신호를 출력하는 인식패턴 식별센서와; 상기 궤도기준위치 검출신호에 동기시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상기 광검출기로부터 출력되는 펄스신호의 개수를 카운트 하되, 상기 감광벨트상에 설정해 놓은 이미지 기록용 페이지영역이 상기 광주사유니트 각각의 광주사위치를 통과하는 기간 동안에 대응해 설정해 놓은 각 광주사유니트 별 페이지 동기 목표값에 도달할 때 마다 각 광주사유니트별 페이지동기신호들을 출력하는 페이지동기신호 발생부와; 입력되는 페이지동기신호들을 이용하여 상기 광주사유니트 각각의 이미지정보 주사를 제어하는 광주사제어부;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페이지 동기신호 발생부는 선택된 상기 광검출기로부터 출력되는 펄스신호를 카운트 하며, 설정된 목표값에 도달하면 대응하는 광주사유니트의 페이지 동기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궤도기준위치 검출신호가 입력될 때마다 카운트된 값을 출력하고, 카운트를 다시 시작하는 제1카운터부와; 상기 제1카운터부의 최대 카운트값을 초과하는 목표값을 카운트 하여 대응되는 상기 광주사유니트의 페이지 동기신호를 발생할 수 있도록 상기 제1카운터부에서 출력되는 카운트 값을 다운로드 받고, 다운로드 받은 카운트 값에 선택된 상기 광검출기로부터 출력되는 펄스신호의 카운트 값을 계속 누적하면서, 설정된 목표값이 되면 대응하는 광주사유니트의 페이지동기신호를 발생하는 제2카운터부;를 구비한다. 또 다르게는, 상기 페이지동기신호 발생부는 선택된 상기 광검출기로부터 출력되는 펄스신호를 카운트 하면서 설정된 목표값에 도달하면 대응하는 광주사유니트의 페이지 동기신호를 출력하는 제1카운터부와; 선택된 상기 광검출기로부터 출력되는 펄스신호를 카운트 하면서 설정된 목표값에 도달하면 대응하는 광주사유니트의 페이지 동기신호를 출력하는 제2카운터부와; 상기 제1카운터부와 상기 제2카운터부가 상기 궤도기준위치 검출신호가 발생될 때마다 교번으로 어느 하나만 리셋되도록 제어하는 리셋 선택부;를 구비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인쇄기의 광주사시스템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기의 광주사시스템을 나타내보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광주사시스템은 광주사유니트들(120)(130)(140)(150)과, 광검출기들(125)(135)(145)(155)과, 인식패턴 식별센서(160)와, 광주사제어부(170)와, 페이지동기신호 발생부(180)를 갖고 있다.
광주사유니트들(120)(130)(140)(150)은 롤러들(113)에 의해 순환되는 감광벨트(111)에 대하여 광을 주사한다.
각 광주사유니트들(120)(130)(140)(150)은 동일한 요소로 구성되어 있고, 엘로우 색상정보를 주사하는 제1광주사유니트(120)를 보면, 광을 출사하는 광원(121), 일정속도로 회전하는 회전다면경(122) 및 회전다면경(122)에서 편향되는 광을 감광벨트(111)로 집속하는 렌즈유니트(123)를 구비하고 있다. 제1광주사유니트(120)에서, 라인주사주기는 회전다면경(122)의 반사면 하나의 회전에 의해 결정되는 편향각도 범위에 대응하는 라인 하나를 주사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에 해당하고, 회전다면경(122)의 회전속도에 의해 결정된다. 이와는 다르게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각 광주사유니트(120)(130)(140)(150)가 광원과, 입사된 광빔을 회전에 의해 일정각도로 편향시키기 위한 회절패턴이 형성된 스캔디스크를 포함하여 구성되도 된다.
감광벨트(111) 후방에 설치된 광검출기들(125)(135)(145)(155)은 그 수광면으로 입사되는 광을 수광하여 그에 대응하는 펄스신호를 출력한다. 각 광검출기들(125)(135)(145)(155)은 감광벨트(111)를 소정거리 벗어난 위치로부터 감광벨트(111)의 가장자리 사이영역으로 향하여 출사된 광을 수광할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그 수광영역이 가려지지 않으면 광주사유니트(120)(130)(140)(150)의 라인주사 주기 마다 광검출기(125)(135)(145)(155)는 펄스를 출력한다.
감광벨트(111)에 형성된 인식패턴(112)은 감광벨트(111)의 궤도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용도이다. 감광벨트(111)가 1회순환할 때마다, 광원(161)과 광검출기(162)를 갖는 인식패턴 식별센서(160)는 인식패턴(112) 통과에 대응하는 궤도기준위치 검출신호를 출력한다. 인식패턴 식별센서(160)의 검지위치로 인식패턴(112)이 도착한 시기에 광검출기들(125)(135)(145)(155)의 수광영역을 가릴가능성이 있는 감광벨트(111)의 이음부분(111a)이 페이지 동기신호 발생기(180)로 펄스신호를 제공하도록 선택된 제1광검출기(125)와 짝을 이루는 제1광주사유니트(120)의 주사위치부근에 위치되도록 감광벨트(111)상에서의 인식패턴(112) 및 이음부분(111a)의 위치가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페이지 동기신호 발생부(180)는 제1카운터부(181)와, 제2카운터부(182) 및 신호 합성부(183)를 구비하고 있다. 제1카운터부(181)와, 제2카운터부(182) 각각은 감광벨트(111)의 진행방향에 대해 그 주사위치가 선두가 되는 제1광주사유니트(120)와 짝을 이루고 있는 제1광검출기(125)의 출력신호를 공통적으로 입력받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인식패턴 식별센서(160)로부터 인식패턴(112) 도착을 알리는 궤도기준위치 검출신호가 제1카운터부(181)의 카운트 시작을 동기시키기 위한 리셋신호로 이용된다.
제1카운터부(181)는 궤도기준위치 검출신호가 입력될 때마다, 제1광검출기(125)에서 출력되는 펄스신호를 카운트 하면서, 카운트값이 설정된 페이지 동기 목표값에 도달하면, 대응하는 광주사유니트(120)(130)(140)(150)의 페이지동기신호를 출력한다. 그리고, 인식패턴(112) 도착을 알리는 궤도기준위치 검출신호가 입력될 때 마다 제1카운터부(181)는 리셋된다
한편, 감광벨트(111)상에 설정해 놓은 페이지영역(111b)의 선단(111c)이 제1광주사유니트(120)의 주사위치로 제일 먼저 도착하고, 소정시간간격을 두고 순차적으로 제2 내지 제4광주사유니트(130)(140)(150)의 주사위치로 도달한다. 따라서, 감광벨트(111)상에 설정해 놓은 페이지영역(111b)이 각 광주사유니트(120)(130)(140)(150)의 주사위치를 통과할 때 까지에 대응되는 페이지 동기 목표 시작값과 종료값을 보면, 제1광주사유니트(120)에 대응하는 페이지 동기 목표값보다 상대적으로 제4광주사유니트(150)에 대응하는 목표값이 크다. 따라서, 페이지 동기 목표값이 제1카운터부(181)가 궤도기준위치 검출신호에 의해 리셋되기까지 카운트할 수 있는 최대 카운트 값을 초과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제2카운터부(182)는 페이지 동기 목표값이 제1카운터부(181)의 최대 카운트 값을 초과하는 것을 처리할 수 있도록 마련 되어 있다. 상기 제2카운터부(182)는 궤도기준위치 검출신호가 출력될 때 상기 제1카운터부(181)에 누적된 카운트 값을 다운로드 받고, 다운로드 받은 카운트 값에 이후 제1광검출기(125)로부터 입력되는 펄스의 수를 누적하면서 설정된 목표값에 도달하면 대응하는 광주사유니트(120)(130)(140)(150)의 페이지 동기신호를 출력한다.
신호 합성부(183)는 제1카운터부(181)와 제2카운터부(182)에서 출력되는 페이지 동기신호를 취합하여 광주사제어부(170)에 출력한다. 도시된 예에서는, 페이지 동기신호가 액티브 로우로 출력되는 경우에 대한 신호 합성부(183)의 구성예를 보여주고 있다. 즉, 제1주사제어부 내지 제4주사제어부(172)(173)(174)(175) 각각과 그 출력라인이 짝을 이루어 접속된 각 앤드 케이트(184)(185)(186)(187)는 제1카운터부(181)와 제2카운터부(182)에서 액티브 로우로 페이지 동기신호가 출력될 때 마다 액티브 로우의 페이지 동기신호를 대응하는 광주사제어부(170)에 출력한다.
이러한 페이지동기신호 발생부(180)의 신호처리과정을 도 3을 참조하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감광벨트(111)의 길이가 A4용지(210mm×297mm) 3매를 인쇄할 수 있는 크기인 경우, 인식패턴 식별센서(160)로부터 궤도기준위치 검출신호가 제1카운터부(181)에 입력되면, 제1카운터부(181)는 리셋되고, 이후 제1광검출기(125)로부터 입력되는 펄스신호를 카운트한다. 카운트 값이 감광벨트(111)에 설정해 놓은 제1페이지 영역(111b)의 선단(111c)이 제1광주사유니트(120)의 주사위치에 도달하는 시기에 해당하는 목표값(n1에 해당하는 카운트값)에 도달하면, 제1앤드게이트(184)로 로우레벨의 신호를 출력한다. 제1앤드게이트에 출력되는 로우레벨 신호는 카운트 값이 제1페이지 영역(111b)에 대한 제1광주사유니트(120)의 목표종료값(n5)에 도달할 때 까지 계속된다. 한편, 제1광주사유니트(120)에 대응하는 제1페이지 영역(111b)의 로우레벨 페이지 동기신호가 유지되는 동안, 제1페이지 영역(111b)의 선단(111c)이 제2광주사유니트(130)의 광주사위치에 도달하는 시기에 해당하는 목표값(n2에 해당하는 카운트 값)에 카운트 값이 도달하면, 제2앤드게이트(185)로 로우레벨의 신호를 출력한다. 마찬가지 방법으로 제1페이지 영역(111b)이 제3광주사유니트(140)의 광주사위치에 도달하는 시기에 해당하는 목표값(n3에 해당하는 카운트 값)에 도달하면, 제3앤드게이트(186)로 로우레벨의 신호를 출력하고, 제1페이지 영역(111b)이 제4광주사유니트(150)의 광주사위치에 도달하는 시기에 해당하는 목표값(n4에 해당하는 카운트 값)에 도달하면, 제4앤드게이트(187)로 로우레벨의 신호를 출력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감광벨트(111)에 제1페이지 영역(111b) 다음에 후속되어 설정된 제2페이지 영역이 제1광주사유니트(120)의 광주사위치에 도달하는 시기에 해당하는 목표값과 카운트 값이 일치되면, 제1광주사유니트(120)에 대한 제2페이지영역의 로우레벨 페이지동기신호를 출력한다.
한편, 제2페이지 영역 및 제3페이지 영역이 제2광주사유니트 내지 제4광주사유니트(130)(140)(150)의 광주사위치에 도달한 시기에 해당하는 목표값은 제1카운터부(181)에 셋팅되어 있어, 각각에 대한 로우레벨의 페이지 동기신호의 출력이 시작되나, 제2페이지 영역 및 제3페이지 영역의 광주사위치 종료에 해당하는 목표값은 제1카운터부(181)의 최대 카운트값을 초과하고 있다. 제1카운터부(181)의 최대 카운트값을 초과하는 상기 제2페이지 영역 및 제3페이지 영역의 광주사위치 종료에 해당하는 목표값은 제2카운터부(182)에 셋팅되어 있다. 도시된 예에서 제2카운터부(182)의 최종 목표값은 제4광주사유니트(150)의 마지막 페이지 영역 통과에 대응하는 카운트값(n8에 해당)이 된다.
따라서, 인식패턴 식별센서(160)로부터 후속되는 궤도기준위치 검출신호가 입력되면, 제1카운터부(181)는 리셋되며, 앞서와 같은 방법에 의해 각 광주사유니트(120)(130)(140)(150)의 페이지 동기구간에 대응하여 설정된 목표값구간마다 페이지 동기신호를 출력하고, 제2카운터부(182)는 제1카운터부(181)가 리셋될 때 다운로드한 카운트 값에 후속되는 제1광검출기(125)의 펄스신호의 수를 누적하면서, 제2페이지영역 및 제3페이지영역이 각 광주사유니트(130)(140)(150)의 광주사위치를 통과하는 페이지 동기 목표 종료값과 카운트 값이 일치하면, 로우레벨에서 하이레벨로 전환출력하여 페이지동기신호를 종료한다. 결과적으로, 제1카운터부(181)에는 제1페이지 영역 내지 제3페이지 영역에 대한 제1광주사유니트 내지 제4광주사유니트(120)(130)(140)(150)의 페이지동기 시작 목표값과 제1페이지 영역 내지 제3페이지 영역에 대한 제1광주사유니트(120)의 페이지동기 종료 목표값이 셋팅되어 있다. 또한, 제2카운터부(182)에는 제2페이지 영역 내지 제3페이지 영역에 대한 제2광주사유니트 내지 제4광주사유니트(130)(140)(150)의 페이지동기 종료 목표값이 셋팅되어 있다. 설명된 예에서는 감광벨트(111) 1회순환에 대해 제1광주사유니트(120)는 3개의 페이지 영역 모두에 화상정보를 기입할 수 있도록 페이지 영역을 감광벨트(111)에 설정한 경우에 해당하고, 이때에는 제1앤드케이트(184)를 생략하고, 제1카운터부(181)에서 제1주사제어부(171)로 페이지 동기신호를 출력하도록 해도된다. 이와는 다르게 감광벨트(111) 1회순환에 대해 제1광주사유니트(120)가 3번째 페이지 영역의 일부까지만 화상정보를 기입할 수 있도록 페이지 영역을 감광벨트(111)에 설정한 경우에는 제1앤드케이트(184)를 포함시킨 도시된 회로구성을 취하면된다. 신호합성부(183)는 페이지 동기신호가 하이레벨로 출력되도록 하는 경우에는 OR게이트로 대체하면된다.
광주사제어부(170)는 상호 다른 색상의 이미지정보를 각각 받아들이는 제1 내지 제4주사제어부(172)(173)(174)(175)로 되어 있다.
각 주사제어부(172)(173)(174)(175)는 페이지동기신호 발생부(180)에서 짝을 이루는 신호선을 통해 출력되는 페이지 동기신호와, 짝을 이루는 광검출기들(125)(135)(145)(155)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광주사유니트(120)(130)(140)(150)의 광출사를 제어한다. 여기서, 광검출기들(125)(135)(145)(155)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는 라인주사 동기용으로 이용된다.
이하, 광주사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각 광주사유니트(120)(130)(140)(150)는 각 주사제어부(172)(173)(174)(175)에 제어되어 한 라인을 주사하는데 소요되는 라인주사 주기마다 감광벨트(111)를 벗어난 위치로부터 감광벨트(111)내에 설정된 화상정보 기록영역(D)에 못미치는 감광벨트내의 가장자리 영역 까지 광이 출사될 수 있도록 구동된다. 순환되는 감광벨트(111)와 함께 이동하는 인식패턴(112)이 인식패턴 식별센서(160)의 검지위치에 도달하면, 인식패턴 식별센서(160)는 인식패턴(112)의 도착을 알리는 궤도기준위치 검출신호를 출력한다. 인식패턴 식별센서(160)로부터 인식패턴(112)의 도착을 알리는 궤도기준위치 검출신호가 입력되면, 제1카운터부(181)는 현재까지 카운트된 카운트 값을 출력하고, 리셋된 후, 제1광검출기(125)로부터 출력되는 펄스의 수의 카운트를 시작한다. 이때 제2카운터부(182)는 제1카운터부(181)로부터 다운로드 받은 카운트 값에 제1광검출기(125)로부터 출력되는 펄스의 수를 누적하면서 카운트 해 나간다. 제1카운터부(181)와 제2카운터부(182)는 카운트된 값이 내부적으로 설정해놓은 목표값에 도달하면 대응하는 페이지 동기신호를 발생시킨다. 여기서, 제1카운터부(181)와 제2카운터부(182)의 카운트 목표값들은 감광벨트(111)에 설정된 복수의 페이지 영역(111b)이 각 광주사유니트(120)(130)(140)(150)의 주사위치에 도달한 시점에서부터 끝날 때 까지 소요되는 시간에 대응되어 설정된다. 페이지 동기신호 발생부(180)로부터 각 주사제어부(171)(172)(173)(174)와 짝을 이루어 배선된 출력선을 통해 페이지 동기신호는 설정된 페이지 영역(111b)이 그 주사위치를 통과할 때 까지 계속 유지된다.
각 주사제어부(172)(173)(174)(175)는 페이지 동기신호가 입력되면, 해당 광검출기(125)(135)(145)(155)로부터 출력되는 펄스신호를 이용하여 라인주사시기를 동기시켜 가면서, 한페이지 분량의 이미지정보에 대응하는 광신호가 출사될 수 있도록 광주사유니트(120)(130)(140)(150)를 제어한다. 즉, 제1주사제어부(172)에 페이지 동기신호가 입력되면, 곧이어 후속되는 제1광검출기(125)의 수광종료에 대응하는 펄스종료시점을 출사된 광이 감광벨트(111)의 가장자리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하고, 감광벨트(111)의 가장자리로부터 화상정보 기록영역(D)까지 광이 주사되는데 소요되는 시간만큼 광출사를 중단한후, 페이지의 첫 번째 라인에 해당하는 옐로우 색상정보에 대응하는 광이 출사되도록 제1 광주사유니트(120)의 광원(121)을 제어한다. 계속해서 광검출기(125)로부터 다음 펄스가 입력되면 같은 방법으로 페이지의 두 번째 라인에 해당하는 옐로우 색상정보에 대응하는 광이 출사되도록 광원(121)을 제어한다. 이러한 과정은 한페이지의 이미지정보가 감광벨트(111)상에 설정해 놓은 페이지 영역(111b)에 기입될 때 까지 계속된다. 제2광주사유니트 내지 제4광주사유니트들(130)(140)(150)도 상기와 같은 방법에 의해 구동된다.
이러한 동작에 있어서, 감광벨트(111)가 1회순환 완료된 이후에도 감광벨트(111)상에 설정된 페이지 영역이 그 광주사위치를 벗어나지 않은 광주사유니트(130)(140)(150)에 대응하는 페이지 동기신호가 페이지 동기신호 발생부(180)로부터 계속 유지된다. 따라서, 감광벨트(111)상에 설정된 페이지영역(111b)에 원하는 색상정보를 계속해서 기입할 수 있게된다.
이렇게 광주사유니트(120)(130)(140)(150)로부터 주사된 광에 의해 감광벨트(111)에 형성된 정전잠상은 각 광주사유니트(120)(130)(140)(150) 사이에 배치된 현상기(미도시)에 의해 주사된 이미지정보의 색상에 해당하는 현상제로 현상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인쇄기의 광주사시스템을 나타내보인 도면이다. 중복설명을 피하기 위해 도 3에서와 동일기능을 하는 요소는 동일 부재번호로 표기하고, 그 상세설명은 생략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페이지 동기신호를 발생하는 페이지 동기신호 발생부(190)가 도 3에서와 다르다.
페이지 동기신호 발생부(190)는 제1카운터부(191)와, 제2카운터부(192), 신호 합성부(183) 및 리셋선택부(193)을 구비하고 있다.
제1카운터부(191)와 제2카운터부(192)는 앞서에서와 같이 선택된 제1광검출기(125)로부터 출력되는 펄스신호를 입력받아 카운트 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카운트 값이 설정된 목표값에 도달하면 대응하는 광주사유니트(120)(130)(140)(150)의 페이지 동기신호를 출력한다. 단, 제1카운터부(191) 및 제2카운터부(192)는 리셋선택부(193)에 의해 제어되어 인식패턴 식별센서(160)의 궤도기준위치 검출신호가 입력될 때마다 교번으로 리셋되면서 카운트를 개시한다. 따라서, 제1카운터부(191) 및 제2카운터부(192)는 인식패턴 식별센서(160)의 궤도기준위치 검출신호의 입력시점을 기준으로 감광벨트(111)가 2회순환하는 할 때에 대응되는 펄스의 수를 카운트 하고나서 리셋되며, 제1카운터부(191)와 제2카운터부(192)에 카운트 된 값은 감광벨트(111)가 1회순환하는 동안 발생되는 펄스 카운트값 만큼의 차이가 유지된다. 제1카운터부(191)와 제2카운터부(192)에는 각각 감광벨트(111)의 1회순환을 초과하는 페이지 동기 목표값도 설정되어 있다.
리셋선택부(193)는 제1카운터부(191)와 제2카운터부(192)가 궤도기준위치 검출신호가 발생될 때마다 교번으로 어느 하나만 리셋되도록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시된 예에서는, 인식패턴 식별센서(160)가 인식패턴 검지시 궤도기준위치 검출신호를 로우레벨로 출력하고, 로우레벨신호가 리셋신호가 되는 경우에 대한 리셋선택부(193)의 구성예를 보여주고 있다.
리셋선택부(193)는 교번신호 발생부(194)와, 반전기(195) 및 두 개의 OR게이트(196)(197)를 갖는다.
교번신호 발생부(194)는 궤도기준위치 검출신호가 입력될 때마다 하이신호와 로우신호를 교번으로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교번신호 발생부(194)에서 출력되는 신호와 궤도기준위치 검출신호가 제1 OR게이트(196)에 입력된다. 그리고, 교번신호 발생부(194)에서 출력되어 반전기(195)를 통해 반전된 신호와 궤도기준위치 검출신호가 제2 OR게이트(197)에 입력된다. 따라서 궤도기준위치 검출신호가 로우레벨로 입력될 때, 교번신호 발생부(194)에서 하이신호가 출력되면, 제2카운터부(192)만 리셋된다. 그리고 나서, 후속되는 궤도기준위치 검출신호가 로우레벨로 입력되면, 교번신호 발생부(194)에서 로우레벨신호가 출력됨으로써, 제1카운터부(191)만 리셋된다. 리셋신호와 궤도기준위치 검출신호에 대응하는 신호가 하이레벨과 로우레벨중 어느 값을 취하느냐에 따라 그에 맞게 리셋선택부(193)는 궤도기준위치 검출신호가 입력될 때마다 제1카운터부(191)와 제2카운터부(192)를 교번으로 리셋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면 된다.
결과적으로, 제1카운터부(191)와 제2카운터부(192)가 교번으로 감광벨트(111) 1회순환에 대응되는 펄스 카운트수 만큼 차이를 두면서 설정된 목표값에 도달할 때 마다 페이지 동기신호를 출력함으로써, 궤도기준위치 검출신호의 입력시점을 기준으로 페이지 동기구간이 감광벨트(111) 1회순환에 대응하는 펄스 카운트 값을 초과하는 목표값에 대해서도 페이지 동기신호가 누락되지 않고 계속해서 출력될 수 있다.
제1카운터부(191)와 제2카운터부(192)에서 출력되는 신호는 신호합성부(183)를 거쳐 각 주사제어부(172)(173)(174)(175)에 출력된다.
지금까지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인쇄기의 광주사시스템에 의하면, 라인주사 주기마다 수광에 대응되는 펄스의 발생누락이 상대적으로 적은 광검출기의 펄스신호를 카운트하면서 감광벨트상의 페이지영역이 각 광주사유니트의 주사주위를 통과할 때 까지 페이지 동기신호를 발생시켜, 이미지 정보기입을 제어함으로써, 화상정보 기입에러가 줄어든다.

Claims (4)

  1. 순환운동하는 감광벨트에 대해 그 광주사방향이 상호 나란하게 되도록 설치된 복수개의 광주사유니트와;
    상기 광주사유니트 각각으로부터 출사되어 상기 감광벨트를 소정거리 벗어난 위치로부터 상기 감광벨트의 가장자리로 향하는 광을 검출할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입사광에 대응되는 펄스 신호를 출력하는 복수개의 광검출기와;
    고정된 위치에서 상기 감광벨트에 형성된 인식패턴의 통과를 검출하여 상기 감광벨트의 1회순환에 대한 궤도기준위치 검출신호를 출력하는 인식패턴 식별센서와;
    상기 궤도기준위치 검출신호에 동기시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상기 광검출기로부터 출력되는 펄스신호의 개수를 카운트 하되, 상기 감광벨트상에 설정해 놓은 이미지 기록용 페이지영역이 상기 광주사유니트 각각의 광주사위치를 통과하는 기간 동안에 대응해 설정해 놓은 각 광주사유니트 별 페이지 동기 목표값에 도달할 때 마다 각 광주사유니트별 페이지동기신호들을 출력하는 페이지동기신호 발생부와;
    입력되는 페이지동기신호들을 이용하여 상기 광주사유니트 각각의 이미지정보 주사를 제어하는 광주사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기의 광주사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페이지 동기신호 발생부는
    선택된 상기 광검출기로부터 출력되는 펄스신호를 카운트 하며, 설정된 목표값에 도달하면 대응하는 광주사유니트의 페이지 동기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궤도기준위치 검출신호가 입력될 때마다 카운트된 값을 출력하고, 카운트를 다시 시작하는 제1카운터부와;
    상기 제1카운터부의 최대 카운트값을 초과하는 목표값을 카운트 하여 대응되는 상기 광주사유니트의 페이지 동기신호를 발생할 수 있도록 상기 제1카운터부에서 출력되는 카운트 값을 다운로드 받고, 다운로드 받은 카운트 값에 선택된 상기 광검출기로부터 출력되는 펄스신호의 카운트 값을 계속 누적하면서, 설정된 목표값이 되면 대응하는 광주사유니트의 페이지동기신호를 발생하는 제2카운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기의 광주사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페이지동기신호 발생부는
    선택된 상기 광검출기로부터 출력되는 펄스신호를 카운트 하면서 설정된 목표값에 도달하면 대응하는 광주사유니트의 페이지 동기신호를 출력하는 제1카운터부와;
    선택된 상기 광검출기로부터 출력되는 펄스신호를 카운트 하면서 설정된 목표값에 도달하면 대응하는 광주사유니트의 페이지 동기신호를 출력하는 제2카운터부와;
    상기 제1카운터부와 상기 제2카운터부가 상기 궤도기준위치 검출신호가 발생될 때마다 교번으로 어느 하나만 리셋되도록 제어하는 리셋 선택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기의 광주사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주사유니트들중 전진하고 있는 상기 감광벨트상에 설정해 놓은 페이지영역의 선단에 대해 첫 번째로 광을 주사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된 광주사유니트로부터 출사된 광을 수광할 수 있도록 설치된 광검출기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펄스가 상기 페이지동기신호 발생기로 출력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기의 광주사시스템.
KR1019980053475A 1998-12-07 1998-12-07 인쇄기의 광주사 시스템 KR1003272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3475A KR100327236B1 (ko) 1998-12-07 1998-12-07 인쇄기의 광주사 시스템
US09/455,519 US6166749A (en) 1998-12-07 1999-12-07 Optical scanning system for prin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3475A KR100327236B1 (ko) 1998-12-07 1998-12-07 인쇄기의 광주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8462A true KR20000038462A (ko) 2000-07-05
KR100327236B1 KR100327236B1 (ko) 2002-05-09

Family

ID=195616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3475A KR100327236B1 (ko) 1998-12-07 1998-12-07 인쇄기의 광주사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6166749A (ko)
KR (1) KR10032723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09727B2 (ja) * 1999-03-01 2003-05-2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カラー画像形成装置
JP2001209223A (ja) * 2000-01-24 2001-08-03 Nec Niigata Ltd 感光体上のレーザ走査位置ずれ量検出方法及びその補正方法並びにレーザカラー画像形成装置
US6397014B1 (en) * 2000-06-01 2002-05-28 Heidelberg Digital L.L.C. Optical device for indicating the position of a flexible web
US6456309B1 (en) * 2000-07-26 2002-09-24 Xerox Corporation Color image registration based upon belt and raster output scanner synchronization
CA2414205C (en) * 2002-10-15 2008-10-14 Electronic Imaging System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cheque fraud
US8130237B2 (en) * 2004-06-24 2012-03-06 Apple Inc. Resolution independent user interface design
US8068103B2 (en) * 2004-06-24 2011-11-29 Apple Inc. User-interface design
JP4353107B2 (ja) * 2005-02-18 2009-10-28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カラー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08796A (en) * 1991-01-03 1993-05-04 Xerox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verse image registration on photoreceptive belts
US5381167A (en) * 1991-10-24 1995-01-10 Konica Corporation Color image forming apparatus
US5302973A (en) * 1991-12-16 1994-04-12 Xerox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image registration in a single pass ROS system
US5381165A (en) * 1992-11-04 1995-01-10 Xerox Corporation Raster output scanner with process direction registration
US5321434A (en) * 1992-12-16 1994-06-14 Xerox Corporation Digital color printer with improved lateral registration
US5339150A (en) * 1993-03-23 1994-08-16 Xerox Corporation Mark detection circuit for an electrographic printing machine
JP3231883B2 (ja) * 1993-04-05 2001-11-26 株式会社リコー カラー画像形成装置
JPH07168414A (ja) * 1993-12-14 1995-07-04 Fujitsu Ltd カラー印刷装置
DE69520897T2 (de) * 1994-02-03 2001-10-18 Canon Kk Bilderzeugungsgerä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166749A (en) 2000-12-26
KR100327236B1 (ko) 2002-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00444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improved timing for emitting beam detect light beam
US6005243A (en) Synchronous adjustment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in a multiple beam optical system
KR100327236B1 (ko) 인쇄기의 광주사 시스템
JPH07234623A (ja) 静電写真システムにイメージを記録するための装置
US5903377A (en) Scanning apparatus having a cascade scanning optical system
JP2002096502A (ja) 画像形成装置
US9791802B2 (en) Scanning optical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KR100497348B1 (ko) 인쇄기 광주사시스템의 이미지주사 개시시기 조정방법
JP2771157B2 (ja) 光走査装置
KR100304624B1 (ko) 인쇄기의 광주사시스템
JPH05336330A (ja) 画像形成装置
US10139748B2 (en) Laser scanning device for scanning light beam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100213117B1 (ko) 광주사유니트 및 이를 적용한 인쇄기의 광주사시스템
KR100234298B1 (ko) 컬러 인쇄기의 광주사 유니트들의 주사 동기 조정방법
JP2002139690A (ja) 光ビーム走査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US20190243275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that corrects image data,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H11129530A (ja) 多色画像形成装置
JP3753837B2 (ja) 多色画像形成装置
JPH07112229B2 (ja) レ−ザビ−ムプリンタ
JP2002267961A (ja) 画像形成装置
KR100304616B1 (ko) 인쇄기의 광주사시스템
JP2536838B2 (ja) 水平同期信号出力装置
EP0895402A1 (en) Optical scanning system for a printer
JP2020091364A (ja) 画像形成装置
JP2001018444A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13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