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30037A - 플라스틱 기판의 플립 칩 접속용 이방성 전도성 접착제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플라스틱 기판의 플립 칩 접속용 이방성 전도성 접착제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30037A
KR20000030037A KR1019990007942A KR19990007942A KR20000030037A KR 20000030037 A KR20000030037 A KR 20000030037A KR 1019990007942 A KR1019990007942 A KR 1019990007942A KR 19990007942 A KR19990007942 A KR 19990007942A KR 20000030037 A KR20000030037 A KR 200000300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der
flip chip
adhesive
anisotropic conductive
conductive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79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05750B1 (ko
Inventor
임명진
백경욱
Original Assignee
윤덕용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덕용,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윤덕용
Priority to KR10199900079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05750B1/ko
Priority to US09/506,708 priority patent/US6238597B1/en
Priority to JP2000065022A priority patent/JP3675285B2/ja
Publication of KR200000300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00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57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575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30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 H05K3/32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 H05K3/321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by conductive adhesives
    • H05K3/323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by conductive adhesives by applying an anisotropic conductive adhesive layer over an array of pa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9/00Adhesive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e.g. glue sticks
    • C09J9/02Electrically-conducting adhes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63/00Adhesives based on epoxy resin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epoxy resi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00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 H01B1/20Conductive material dispersed in non-conductive organic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00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 H01B1/20Conductive material dispersed in non-conductive organic material
    • H01B1/22Conductive material dispersed in non-conductive organic material the conductive material comprising metals or allo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50Assembly of semiconductor devic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ne of the subgroups H01L21/06 - H01L21/326, e.g. sealing of a cap to a base of a contain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4/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Methods or apparatus related thereto
    • H01L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4/26Layer connectors, e.g. plate connectors, solder or adhesive laye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4/27Manufacturing metho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4/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Methods or apparatus related thereto
    • H01L24/80Methods for connecting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bodies using 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 H01L24/81Methods for connecting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bodies using 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using a bump connec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10Bump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15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ump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16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ump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bump connector
    • H01L2224/161Disposition
    • H01L2224/16151Disposition the bump connector 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 H01L2224/16221Disposition the bump connector 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 H01L2224/16225Disposition the bump connector 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the item being non-metallic, e.g. insulating substrate with or without metallis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26Layer connectors, e.g. plate connectors, solder or adhesive laye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31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layer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32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layer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layer connector
    • H01L2224/321Disposition
    • H01L2224/32151Disposition the layer connector 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 H01L2224/32221Disposition the layer connector 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 H01L2224/32225Disposition the layer connector 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the item being non-metallic, e.g. insulating substrate with or without metallis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73Means for bonding being of different types provided for in two or more of groups H01L2224/10, H01L2224/18, H01L2224/26, H01L2224/34, H01L2224/42, H01L2224/50, H01L2224/63, H01L2224/71
    • H01L2224/732Location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73201Location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n the same surface
    • H01L2224/73203Bump and layer connectors
    • H01L2224/73204Bump and layer connectors the bump connector being embedded into the layer connec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80Methods for connecting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bodies using 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 H01L2224/83Methods for connecting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bodies using 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using a layer connector
    • H01L2224/8319Arrangement of the layer connectors prior to mounting
    • H01L2224/83192Arrangement of the layer connectors prior to mounting wherein the layer connectors are disposed only on another item or body to be connected to the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6Polymers
    • H01L2924/078Adhesive characteristics other than chemical
    • H01L2924/0781Adhesive characteristics other than chemical being an ohmic electrical conductor
    • H01L2924/07811Extrinsic, i.e. with electrical conductive fill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2Fillers; Particles; Fibers; Reinforcement materials
    • H05K2201/0203Fillers and particles
    • H05K2201/0206Materials
    • H05K2201/0209Inorganic, non-metallic particl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2Fillers; Particles; Fibers; Reinforcement materials
    • H05K2201/0203Fillers and particles
    • H05K2201/0206Materials
    • H05K2201/0239Coupling agent for particl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613Details of electrical connections of non-printed components, e.g. special leads
    • H05K2201/10621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ir electrical contacts
    • H05K2201/10674Flip chi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Wire Bonding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폭시수지를 주성분으로 하고 전도성 물질, 비전도성 물질, 커플링제 및 경화제를 혼합하여 일정한 열팽창계수를 갖는 플라스틱 기판의 플립칩 접속용 고신뢰성 이방성 전도성 접착제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종전의 이방성 전도성 필름이 갖고 있는 전기적 전도성과 솔더 플립칩의 하부충전재료 (underfill)의 기계적 신뢰성 향상기능을 동시에 갖는다. 본 발명은 플라스틱으로 된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 PCB) 위에 이방성 전도성 접착제 (Anisotropic Conductive Adhesive; ACA)를 도포하고 플립 칩을 플라스틱 기판에 접속한 후 열과 압력에 의해 플립 칩과 플라스틱 기판을 접속시킴으로써 간단한 접속공정과 높은 생산성, 저렴한 가격을 구현할 수 있는 새로운 ACA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Description

플라스틱 기판의 플립 칩 접속용 이방성 전도성 접착제의 제조방법 {Manufacturing Method for Anisotropic Conductive Adhesive for Flip Chip Interconnection on an Organic Substrate}
본 발명은 에폭시수지를 주성분으로 하고 전도성 물질, 비전도성 물질, 커플링제 및 경화제를 혼합하여 일정한 열팽창계수를 갖는 플라스틱 기판의 플립칩 접속용 고신뢰성 이방성 전도성 접착제(Anisotropic Conductive Adhesive, 이하 ACA라 한다.)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급속히 발전하고 있는 반도체기술은 백만 개 이상의 셀(cell) 집적, 비메모리 소자의 경우 많은 입출력(Input/Output; I/O) 핀 개수, 큰 다이 크기, 많은 열 방출, 고전기적 성능 등의 경향으로 발전하고 있다. 그러나 반도체 기술의 급속한 발전에도 불구하고 전자 패키지 기술은 이를 뒷받침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 실정이다. 전자 패키지기술은 최종전자 제품의 성능, 크기, 가격, 신뢰성 등을 결정하는 중요한 기술중의 한 분야로서 특히 고전기적 성능, 극소형/고밀도, 저 전력, 다기능, 초고속 신호 처리, 영구적 신뢰성을 추구하고 있으며, 최근의 전자제품에 있어 극소형 패키지 부품은 컴퓨터, 정보통신, 이동통신, 고급 가전제품 등의 필수 부품으로서 플립칩(Flip Chip) 기술은 스마트 카드(smart cards), 액정표시장치(LC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DP) 등의 디스플레이(Display) 패키징, 컴퓨터, 휴대용 전화기, 통신시스템(Communication system) 등에 폭 넓게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플립칩 기술은 기존의 솔더(Solder)를 이용한 접속 공정에서 저가, 극미세 전극 피치 가능, 무용제(fluxless) 공정의 환경 친화적인 공정, 저온 공정 등의 장점을 가지는 전도성 접착제를 이용한 접속으로 대체해 가고 있다.
전도성 접착제의 종류는 이방성 전도성 필름/접착제(Anisotropic Conductive Flim/Adhesive)와 등방성 전도성 접착제(Isotropic Conductive Adhesive) 등의 제품이 있으며 기본적으로 니켈(Ni), 금/폴리머(Au/polymer), 은(Ag) 등의 도전성 입자들과 열경화성, 열가소성의 절연수지(insulating resin)로 구성되어 있다. 보다 신뢰성 있고 낮은 저항값, 높은 접착력을 가지는 전도성 접착제를 이용하여 상호접속(interconnection)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도전 입자의 크기와 분포, 함량, 변형량의 최적치 등을 알아야 하고, 보다 낮은 온도에서 빠른 시간 내에 경화 가능한 접착제 수지의 개발과 접착제 제조공정 그리고 이러한 접착제를 이용한 저가의 플립 칩 공정 개발을 위해서 이방성 전도성 접착제의 개발이 필요하다.
이방성 전도성 접착제는 필름 형태와 페이스트(paste) 형태가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플라스틱 기판과 칩의 플립 칩 접속공정을 위한 접착제의 제조공정의 간편성을 위해 페이스트 형태의 접착제를 개발하는데 주안점을 두고있다.
현재까지 뚜렷하게 전도성 접착제를 이용한 플립 칩 기술이 표준화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전도성 접착제 개발의 선두 주자인 히타치나 소니사의 일본회사, 다국가간 연구 콘소시움을 통해 체계적으로 연구해 나가고 있는 유럽의 대학, 각국의 관련 회사 연구소들은 자사제품의 표준화를 통한 세계시장 선점을 위해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다. 특히 전자 패키징 기술은 전자제품의 제조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 중의 하나이며, 사용재료의 선택 및 공정, 재료 개발이 중요해지고 있는 상황에서 환경 친화적인 제품의 경향에 발맞추어 기존의 솔더 접속을 대체할 전기 도전과 신뢰성을 확보한 접속재료의 사용이 필요하게 되어 더욱 새로운 전도성 접착제의 사용이 주목을 받고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종래기술로는 (1)No-flow underfill technology, (2)Conventional ACA 등이 있으나 (1)은 이미 솔더가 형성되어 있는 칩을 기판에 접속시킬 때 하부충전재가 형성되는 기술로서 도전성 입자를 함유하고 있지 않고, (2)는 ACA 내에 도전입자만 있어서 보통 열팽창계수가 커서 고신뢰성을 갖지 못하는 측면에서 본 발명과 다른 기술이다.
본 발명은 에폭시수지를 주성분으로 하고 전도성 물질, 비전도성 물질, 커플링제 및 경화제를 혼합하여 일정한 열팽창계수를 갖는 플라스틱 기판의 플립칩 접속용 고신뢰성 이방성 전도성 접착제의 제조하여 종래 이방성 전도성 필름이 갖고 있는 전기적 도전성과 솔더 플립 칩의 하부충전재료의 기계적 신뢰성 향상기능을 동시에 갖는 새로운 이방성 전도성 접착제를 제공하고자 한다. 즉, 플라스틱으로 된 인쇄회로기판(PCB) 기판 위에 본 발명의 ACA를 도포하고 칩을 정렬한 후 열과 압력에 의해 플립 칩을 접속시켜 간단한 접속공정과 높은 생산성, 저렴한 가격을 구현할 수 있는 ACA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이방성 전도성 접착제의 제조공정을 나타낸 공정도.
도 2는 비도전성 입자들의 함량에 따른 이방성 전도성 접착제가 경화된 후 열팽창계수의 거동을 나타낸 그래프.
도 3은 이방성 전도성 접착제를 플라스틱 기판에 분산시키고 범프(bump)가 형성된 칩과 기판을 정렬시킨 후 고온압착시키는 플립 칩 접속 공정도.
도 4는 이방성 전도성 접착제에 의해 기판과 범프가 형성된 칩의 부착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전도성 물질 2 : 비 전도성 물질
3 : 기판 4 : 칩
본 발명의 이방성 전도성 접착제는 액상의 에폭시수지를 접착제 주성분으로 하고 전도성 물질(1)과 비전도성 물질(2)을 상온에서 3시간 동안 혼합하고, 커플링제 및 경화제를 첨가하여 1시간 동안 상온에서 믹싱(mixing)하여 제조하며 그 제조공정은 도 1과 같다. 에폭시수지는 비스페놀 에프형(Bisphenol F type)을 사용함으로써 기존의 에폭시수지를 이용한 접착제/필름과는 달리 여러 종류의 에폭시수지를 사용하지 않으며, 점도(viscosity)를 조절하기 위해 솔벤트를 사용하지 않는다. 전도성 물질(1)은 솔더(Solder), 금(Au)이 코팅된 폴리스티렌(Polystyrene) 고분자, 은(Ag) 분말 또는 니켈(Ni) 분말을 직경 5-10㎛로 하여 6-20wt%를 사용하고, 에폭시수지의 기계적 물성을 조절하기 위해 사용하는 비전도성 물질(2)은 알루미나 (Al2O3) 분말, 베릴리아(BeO) 분말, 실리콘 카바이드(SiC) 분말 또는 실리카(SiO2) 분말을 직경 0.1-1㎛로 하여 30-50 wt%를 사용한다. 이때 전도성 물질(1)의 크기는 비전도성 물질(2)의 크기보다 커야 하는데 이는 접착제내의 전도성 입자가 칩(4)의 범프와 기판(3)의 전극사이에 접촉하여 전도성을 부여하기 위해서이다. 한편 비전도성 물질(2)은 접착층의 칩(4)의 범프와 기판(3)의 전극이 접촉한 부위에 열팽창계수와 같은 물성에 영향을 미친다. 그리고 전도성 물질(1)과 비전도성 물질(2)의 혼합물이 액상의 에폭시수지 내에서 균일하게 분산시키고 침전을 방지하기 위해서 에폭시계 커플링제(coupling agent)로 3-글리시딜옥시 프로필 트리메톡시 실란(3-glycidyloxy propyl trimethoxy silane), 2-(3,4-에폭시시클로헥실)-에틸 트리메톡시 실란(2-(3,4-epoxycyclohexyl)-ethyl trimethoxy silane) 또는 3-글리시딜옥시 프로필 메틸 디에톡시 실란(3-glycidyloxy propyl methyl diethoxy silane)을 3-5 wt% 첨가하고, 에폭시수지의 열적 경화를 위해 일본 Asia Ciba사에서 상품으로 시판중인 HX3941 HP 또는 HX3748 HP인 이미다졸계의 경화제를 에폭시수지 중량당 30-50wt% 첨가하여 제조한다.
이하 본 발명을 다음의 실시예와 시험예, 적용예에 의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 >
본 발명의 이방성 전도성 접착제의 제조방법은 도 1에 나타낸 공정을 이용하였다. 비스페놀 에프 형의 액상 에폭시수지를 주성분으로 사용하고, 전도성 물질(1)은 기계적 강도와 전기적 전도도 및 자기장에 의한 정렬 가능성이 우수한 니켈 분말을 직경 5㎛로 하여 6wt% 사용하고, 비전도성 물질(2)은 직경 1㎛ 실리카(SiO2) 분말을 10wt% 사용하여 상온에서 3시간 동안 혼합하였다. 그런 다음 커플링제로 3-글리시딜옥시 프로필 트리메톡시 실란 3wt% 첨가하고, 에폭시수지의 열적 경화를 위해서 이미다졸(imidazole)계의 일종이며 시중에 상품명 HX3941 HP(일본 Asia Ciba사)으로 시판되는 경화제를 에폭시수지 중량당 50wt% 비율로 첨가하여 1시간 동안 상온에서 기계적인 믹싱을 통하여 제조한다. 믹싱 과정중 접착제 안에 기포가 많이 발생하는데 이를 제거하기 위하여 진공으로 흡입시켰다.
< 실시예 2 >
전도성 물질(1)로 직경 5㎛ 니켈 분말 10wt%와 비전도성 물질(2)로 직경 1㎛ 실리카(SiO2) 분말을 50wt% 혼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하여 이방성 전도성 접착제를 제조하였다.
< 실시예 3 >
전도성 물질(1)로 직경 5㎛ 니켈 분말 15wt%와 비전도성 물질(2)로 직경 1㎛ 실리카(SiO2) 분말을 45wt% 혼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하여 이방성 전도성 접착제를 제조하였다.
< 실시예 4 >
전도성 물질(1)로 직경 5㎛ 니켈 분말 20wt%와 비전도성 물질(2)로 직경 1㎛ 실리카(SiO2) 분말을 40wt% 혼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하여 이방성 전도성 접착제를 제조하였다.
< 시험예 >
비전도성 물질(2)의 혼합량에 따른 경화 후의 접착제 열팽창계수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전도성 물질(1)로 니켈 분말의 함량을 10wt%로 고정하고 비전도성 물질(2)로 실리카(SiO2) 분말의 함량을 0-60wt%로 변화시키고 그 외 물질 및 사용량은 상기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에 의해 이방성 전도성 접착제를 제조 및 경화시켰다. 그런 다음 TMA(Thermo Mechanical Analysis)로 상온에서 250℃까지 분당 5℃의 속도로 승온하면서 초기시편의 길이 변화를 측정하는 방법에 의해 접착제의 열팽창계수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실리카의 함량이 10wt% 첨가되면서 낮은 열팽창계수를 나타내기 시작해서 실리카의 함량이 50-60wt% 일 때 가장 낮은 열팽창계수를 나타내었다. 즉, 전도성 물질(1)인 니켈 분말의 함량을 10wt% 사용할 때, 비전도성 물질(2)인 실리카 분말의 함량 50wt%이 최적특성을 나타낸다.
< 적용예 > 플립 칩 공정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한 이방성 전도성 접착제(ACA)를 이용하여 도 3의 순서에 따라 범프된 칩(Bumped chip)(4)을 플라스틱 기판(3) 위에 접속하였다. 먼저 접착제가 플라스틱 기판(3)위에서 잘 분산되도록 플라스틱 기판의 온도를 80℃로 유지한 후 이방성 전도성 접착제를 플라스틱 기판(3) 위에 분산시키고 칩(4)의 범프와 기판(3) 위의 전극끼리 정렬시킨 후 플립 칩 본더를 사용하여 150℃에서 열압착시켜 5분 이내에 접착제를 경화시켜 칩(4)의 범프와 기판(3)의 전극을 접속하였다. 이때 접착제는 플라스틱 기판(3) 위에 분배(dispensing)시 스크린 프린팅이 가능한 점도인 200,000 ~ 400,000 센티포이즈(CP)를 유지하기 위해서 에폭시수지의 솔벤트를 제거하여 도포 작업성을 높였다.
본 발명의 이방성 전도성 접착제는 기존의 이방성 전도성 필름(ACF)과 비슷한 전기적 성능을 가지며 하부충전재료를 사용한 플립 칩의 기계적 성질, 빠른 경화성, 도포와 스크린 특성, 전도성 입자와 비전도성 입자를 포함하는 이방성 전도성 접착제로서 제조공정이 간단하고 저가형 플립칩, 칩크기실장(Chip Size Packaging; CSP) 시장에 적용 가능하다. 또한 관련 부품 실장기술에 응용할 수 있다.

Claims (5)

  1. 이방성 전도성 접착제에 있어서, 에폭시수지를 접착제 주성분으로 하여 전도성 물질(1)과 비전도성 물질(2)을 상온에서 3시간 동안 혼합하고, 이에 커플링제 및 경화제를 첨가하여 1시간 동안 상온에서 믹싱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기판의 플립칩 접속용 고신뢰성 이방성 전도성 접착제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커플링제는 3-글리시딜옥시 프로필 트리메톡시 실란(3-glycidyloxy propyl trimethoxy silane), 2-(3,4-에폭시시클로헥실)-에틸 트리메톡시 실란(2-(3,4-epoxycyclohexyl)-ethyl trimethoxy silane) 또는 3-글리시딜옥시 프로필 메틸 디에톡시 실란(3-glycidyloxy propyl methyl diethoxy silane)을 3-5 wt%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기판의 플립 칩 접속용 이방성 전도성 접착제의 제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경화제는 이미다졸계 HX3941 HP 또는 HX3748 HP를 에폭시 중량당 30-50wt%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기판의 플립 칩 접속용 이방성 전도성 접착제의 제조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전도성 물질은 솔더(Solder), 금(Au)이 코팅된 폴리스티렌 (Polystyrene) 고분자, 은(Ag) 분말 또는 니켈(Ni) 분말을 직경 5-10㎛로 하고 10-20wt%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기판의 플립 칩 접속용 이방성 전도성 접착제의 제조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비전도성 물질은 알루미나(Al2O3) 분말, 베릴리아(BeO) 분말, 실리콘 카바이드(SiC) 분말 또는 실리카(SiO2) 분말을 직경 0.5-1㎛로 하고 40-50wt%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기판의 플립 칩 접속용 이방성 전도성 접착제의 제조방법.
KR1019990007942A 1999-03-10 1999-03-10 플라스틱 기판의 플립 칩 접속용 이방성 전도성 접착제의 제조방법 KR1003057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7942A KR100305750B1 (ko) 1999-03-10 1999-03-10 플라스틱 기판의 플립 칩 접속용 이방성 전도성 접착제의 제조방법
US09/506,708 US6238597B1 (en) 1999-03-10 2000-02-18 Preparation method of anisotropic conductive adhesive for flip chip interconnection on organic substrate
JP2000065022A JP3675285B2 (ja) 1999-03-10 2000-03-09 プラスチック基板のフリップチップ接続用異方性伝導性接着剤の製造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7942A KR100305750B1 (ko) 1999-03-10 1999-03-10 플라스틱 기판의 플립 칩 접속용 이방성 전도성 접착제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0037A true KR20000030037A (ko) 2000-06-05
KR100305750B1 KR100305750B1 (ko) 2001-09-24

Family

ID=195761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7942A KR100305750B1 (ko) 1999-03-10 1999-03-10 플라스틱 기판의 플립 칩 접속용 이방성 전도성 접착제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6238597B1 (ko)
JP (1) JP3675285B2 (ko)
KR (1) KR100305750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3624A (ko) * 2001-11-26 2003-06-02 신도 덴시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반도체장치 및 반도체장치의 ic 장착방법
KR100398314B1 (ko) * 2001-07-19 2003-09-19 한국과학기술원 고접착력 3층 구조 aca 필름
KR100411619B1 (ko) * 2001-08-13 2003-12-18 송기영 콘덴서 마이크로폰의 구조 및 그 제조 방법
KR100418031B1 (ko) * 2001-05-11 2004-02-14 엘지전자 주식회사 표시장치
KR100456064B1 (ko) * 2001-07-06 2004-11-08 한국과학기술원 극미세 피치 cog 기술용 이방성 전도성 필름
KR100709249B1 (ko) * 2005-09-30 2007-04-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1376190B1 (ko) * 2012-05-29 2014-03-19 주식회사 케이씨씨 전자 패키징용 비전도 폴리머 접합물질 및 이를 이용한 전자 패키징용 필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20491A1 (en) * 2000-04-04 2002-02-21 Price David M. High speed flip chip assembly process
EP1328373A2 (en) * 2000-10-24 2003-07-23 Nanopierce Technologies Inc. Method and materials for printing particle-enhanced electrical contacts
KR100398315B1 (ko) * 2001-02-12 2003-09-19 한국과학기술원 고주파 패키지용 플립 칩 접속을 위한 전도성 접착제의 제조방법
US6847747B2 (en) * 2001-04-30 2005-01-25 Intel Corporation Optical and electrical interconnect
KR100477914B1 (ko) * 2001-12-28 2005-03-18 제일모직주식회사 이방성 도전 접착제용 수지 조성물
US6962200B2 (en) 2002-01-08 2005-11-08 Halliburton Energy Services, Inc.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consolidating proppant in subterranean fractures
KR100484449B1 (ko) * 2002-02-25 2005-04-22 한국과학기술원 고출력 모듈 접속용 저 전기 저항/고 임계전류밀도 이방성전도성 접착제조성물
US6691780B2 (en) 2002-04-18 2004-02-17 Halliburton Energy Services, Inc. Tracking of particulate flowback in subterranean wells
US6942824B1 (en) 2002-05-22 2005-09-13 Western Digital (Fremont), Inc. UV curable and electrically conductive adhesive for bonding magnetic disk drive components
US8518304B1 (en) 2003-03-31 2013-08-27 The Research Foundation Of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Nano-structure enhancements for anisotropic conductive material and thermal interposers
KR20060123285A (ko) * 2003-11-10 2006-12-01 헨켈 코포레이션 저-k 유전재료-함유 반도체 소자와 함께 사용되는 전자패키징 재료
US20050173116A1 (en) 2004-02-10 2005-08-11 Nguyen Philip D. Resin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ing resin compositions to control proppant flow-back
US7211547B2 (en) 2004-03-03 2007-05-01 Halliburton Energy Services, Inc. Resin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ing such resin compositions in subterranean applications
CN1308409C (zh) * 2004-05-31 2007-04-04 宝山钢铁股份有限公司 耐磨环氧树脂胶粘剂
US7299875B2 (en) 2004-06-08 2007-11-27 Halliburton Energy Services, Inc. Methods for controlling particulate migration
US20060035036A1 (en) * 2004-08-16 2006-02-16 Telephus Inc. Anisotropic conductive adhesive for fine pitch and COG packaged LCD module
US7081675B2 (en) * 2004-08-16 2006-07-25 Telephus Inc. Multilayered anisotropic conductive adhesive for fine pitch
US7757768B2 (en) 2004-10-08 2010-07-20 Halliburton Energy Services, Inc. Method and composition for enhancing coverage and displacement of treatment fluids into subterranean formations
US7883740B2 (en) 2004-12-12 2011-02-08 Halliburton Energy Services, Inc. Low-quality particulate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improved low-quality particulates
JP5030196B2 (ja) * 2004-12-16 2012-09-19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回路接続用接着剤
US7673686B2 (en) 2005-03-29 2010-03-09 Halliburton Energy Services, Inc. Method of stabilizing unconsolidated formation for sand control
US7318474B2 (en) 2005-07-11 2008-01-15 Halliburton Energy Services, Inc.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controlling formation fines and reducing proppant flow-back
EP1760437A1 (en) 2005-09-06 2007-03-07 Sensirion AG A method for manufacturing detector devices
US8613320B2 (en) 2006-02-10 2013-12-24 Halliburton Energy Services, Inc. Compositions and applications of resins in treating subterranean formations
US7819192B2 (en) 2006-02-10 2010-10-26 Halliburton Energy Services, Inc. Consolidating agent emulsions and associated methods
US7926591B2 (en) 2006-02-10 2011-04-19 Halliburton Energy Services, Inc. Aqueous-based emulsified consolidating agents suitable for use in drill-in applications
US7665517B2 (en) 2006-02-15 2010-02-23 Halliburton Energy Services, Inc. Methods of cleaning sand control screens and gravel packs
CN101395975B (zh) * 2006-03-14 2012-06-13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电子部件安装结构体及其制造方法
JP5252473B2 (ja) * 2006-10-19 2013-07-31 独立行政法人産業技術総合研究所 導電パターン形成フィルムと、そのための導電パターン形成方法及び導電パターン形成装置
US7934557B2 (en) 2007-02-15 2011-05-03 Halliburton Energy Services, Inc. Methods of completing wells for controlling water and particulate production
JP5085306B2 (ja) * 2007-12-21 2012-11-28 株式会社東芝 アンダーフィル用樹脂組成物、プリント回路板、及び電子機器
JP5422921B2 (ja) * 2008-05-28 2014-02-19 デクセリアルズ株式会社 接着フィルム
US20100123258A1 (en) * 2008-11-14 2010-05-20 Myung Jin Yim Low Temperature Board Level Assembly Using Anisotropically Conductive Materials
US9041228B2 (en) * 2008-12-23 2015-05-26 Micron Technology, Inc. Molding compound including a carbon nano-tube dispersion
US7762329B1 (en) 2009-01-27 2010-07-27 Halliburton Energy Services, Inc. Methods for servicing well bores with hardenable resin compositions
US20100252783A1 (en) * 2009-04-07 2010-10-07 Syh-Tau Yeh Ambient-curable anisotropic conductive adhesive
KR101025620B1 (ko) * 2009-07-13 2011-03-30 한국과학기술원 초음파 접합용 이방성 전도성 접착제 및 이를 이용한 전자부품 간 접속방법
DE102009053255A1 (de) * 2009-11-06 2011-05-12 Technische Universität Berlin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Anordnung
KR101294593B1 (ko) * 2011-04-13 2013-08-09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전도성 접착제 및 그 제조방법
CN102391807A (zh) * 2011-07-06 2012-03-28 上海上大瑞沪微系统集成技术有限公司 一种快速固化各向异性导电胶的制备方法
CN103074030B (zh) * 2011-10-25 2016-07-20 上海本诺电子材料有限公司 Led用有机硅双马来酰亚胺导电胶粘剂
CN103074021B (zh) * 2011-10-25 2016-07-20 上海本诺电子材料有限公司 Led用有机硅双马来酰亚胺-环氧导电胶粘剂
JP5965185B2 (ja) * 2012-03-30 2016-08-03 デクセリアルズ株式会社 回路接続材料、及びこれを用いた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KR101401574B1 (ko) 2012-05-30 2014-06-11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하이브리드 필러를 이용한 전도성 접착제 및 이의 제조방법
EP2679156B1 (en) 2012-06-28 2019-10-02 Roche Diabetes Care GmbH Device for monitoring at least one body function of a us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CN102766426A (zh) * 2012-07-03 2012-11-07 烟台德邦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半导体芯片封装用的导电胶及其制备方法
US9777197B2 (en) 2013-10-23 2017-10-03 Sunray Scientific, Llc UV-curable anisotropic conductive adhesive
US9365749B2 (en) 2013-05-31 2016-06-14 Sunray Scientific, Llc Anisotropic conductive adhesive with reduced migration
CN103666355B (zh) * 2013-11-26 2015-12-09 青岛文创科技有限公司 一种导电银胶
CN104277753A (zh) * 2014-10-29 2015-01-14 桂林理工大学 一种能够室温固化的导电胶黏剂的制备方法
US9633883B2 (en) 2015-03-20 2017-04-25 Rohinni, LLC Apparatus for transfer of semiconductor devices
US10141215B2 (en) 2016-11-03 2018-11-27 Rohinni, LLC Compliant needle for direct transfer of semiconductor devices
US10504767B2 (en) 2016-11-23 2019-12-10 Rohinni, LLC Direct transfer apparatus for a pattern array of semiconductor device die
US10471545B2 (en) 2016-11-23 2019-11-12 Rohinni, LLC Top-side laser for direct transfer of semiconductor devices
US10062588B2 (en) 2017-01-18 2018-08-28 Rohinni, LLC Flexible support substrate for transfer of semiconductor devices
US20180248090A1 (en) * 2017-02-27 2018-08-30 Rohinni, LLC Semiconductor Device Circuit Apparatus Bonded with Anisotropic Conductive Film and Method of Direct Transfer for Making the Same
CN110430814B (zh) 2017-03-21 2022-04-26 豪夫迈·罗氏有限公司 医疗设备和用于制造医疗设备的方法
US10410905B1 (en) 2018-05-12 2019-09-10 Rohinni,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direct transfer of multiple semiconductor devices
US11094571B2 (en) 2018-09-28 2021-08-17 Rohinni, LLC Apparatus to increase transferspeed of semiconductor devices with micro-adjustment
CN112466765A (zh) * 2020-11-26 2021-03-09 安徽光智科技有限公司 焦平面阵列倒装互连工艺方法及焦平面阵列探测器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23380A (ja) * 1990-01-30 1991-10-02 Oki Electric Ind Co Ltd 異方性導電接着剤
JP2500819B2 (ja) * 1991-07-31 1996-05-29 住友ベークライト株式会社 異方導電フィルム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8031B1 (ko) * 2001-05-11 2004-02-14 엘지전자 주식회사 표시장치
KR100456064B1 (ko) * 2001-07-06 2004-11-08 한국과학기술원 극미세 피치 cog 기술용 이방성 전도성 필름
KR100398314B1 (ko) * 2001-07-19 2003-09-19 한국과학기술원 고접착력 3층 구조 aca 필름
KR100411619B1 (ko) * 2001-08-13 2003-12-18 송기영 콘덴서 마이크로폰의 구조 및 그 제조 방법
KR20030043624A (ko) * 2001-11-26 2003-06-02 신도 덴시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반도체장치 및 반도체장치의 ic 장착방법
KR100709249B1 (ko) * 2005-09-30 2007-04-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1376190B1 (ko) * 2012-05-29 2014-03-19 주식회사 케이씨씨 전자 패키징용 비전도 폴리머 접합물질 및 이를 이용한 전자 패키징용 필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05750B1 (ko) 2001-09-24
JP3675285B2 (ja) 2005-07-27
JP2000309768A (ja) 2000-11-07
US6238597B1 (en) 2001-05-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05750B1 (ko) 플라스틱 기판의 플립 칩 접속용 이방성 전도성 접착제의 제조방법
KR100456064B1 (ko) 극미세 피치 cog 기술용 이방성 전도성 필름
CN101322233B (zh) 使用超声振动在电气器件之间结合的方法
Chang et al. Characteristic study of anisotropic-conductive film for chip-on-film packaging
US20030017327A1 (en) High adhesion triple layered anisotropic conductive adhesive film
JP2001011503A (ja) 新規な導電性微粒子、および該微粒子の用途
KR19990022881A (ko) 반도체 장치, 반도체 탑재용 배선 기판 및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JP2009027173A (ja) フリップチップパッケージの製造方法
WO2013129437A1 (ja) 接続体の製造方法、及び異方性導電接着剤
JP3516379B2 (ja) 異方導電フィルム
JP3966686B2 (ja) 接続材料
US6514560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conductive adhesive for high frequency flip chip package applications
CN108864979A (zh) 一种芯片封装用导电胶水及其制备方法
KR100484449B1 (ko) 고출력 모듈 접속용 저 전기 저항/고 임계전류밀도 이방성전도성 접착제조성물
JP3183272B2 (ja)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733975B1 (ko) 실리콘 중간체를 포함하는 이방성 도전성 필름
JP3422243B2 (ja) 樹脂フィルム
JP3991269B2 (ja) 導電性ペースト及びそれを用いた半導体装置
KR20110131018A (ko) 이방성 도전 필름용 도전 입자 및 이를 포함하는 이방성 도전 필름
JPH11219982A (ja) 導電粒子及びそれを用いた異方性導電接着剤
CN217405124U (zh) 新型异方性导电膜
JP2004269626A (ja) 接着剤、接着剤の製造方法及び電気装置
Ohsono et al. The development of a new resin with high mechanical strength at a high temperature for TCP's
Matsuda et al. Interconnection technologies of anisotropic conductive films and their application to flexible electronics
KR100821962B1 (ko) Acf/ncf 용액을 이용한 웨이퍼 레벨의 플립칩패키지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72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30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