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29452A - 가용화제,유화제및분산제 - Google Patents

가용화제,유화제및분산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29452A
KR20000029452A KR1019997000416A KR19997000416A KR20000029452A KR 20000029452 A KR20000029452 A KR 20000029452A KR 1019997000416 A KR1019997000416 A KR 1019997000416A KR 19997000416 A KR19997000416 A KR 19997000416A KR 20000029452 A KR20000029452 A KR 200000294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ula
polymer
monomer
ethyl
carbon atom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004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07132B1 (ko
Inventor
시이노다이지로
와키가즈노리
나카바야시노부오
이시하라가즈히코
Original Assignee
우노 마사야스
닛폰 유시 가부시키가이샤
가와사키 마사히로
가가쿠 기쥬츠 신코 지교단
이시하라 가즈히코
나카바야시 노부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노 마사야스, 닛폰 유시 가부시키가이샤, 가와사키 마사히로, 가가쿠 기쥬츠 신코 지교단, 이시하라 가즈히코, 나카바야시 노부오 filed Critical 우노 마사야스
Publication of KR200000294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94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71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7132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3/00Use of substances as emulsifying, wetting, dispersing, or foam-producing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30/00Homopolymers and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containing phosphorus, selenium, tellurium or a metal
    • C08F30/02Homopolymers and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containing phosphorus, selenium, tellurium or a metal containing phosphoru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3/00Use of substances as emulsifying, wetting, dispersing, or foam-producing agents
    • C09K23/14Derivatives of phosphor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3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carbomers, poly(meth)acrylates, or polyvinyl pyrrolid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55Phosphorus compounds
    • A61K8/553Phospholipids, e.g. lecith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41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61K8/815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e.g. (meth)acrylic acid ester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4Skin, i.e. galenical aspects of topical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3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containing phosphorus, selenium, tellurium or a metal
    • C08F230/02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containing phosphorus, selenium, tellurium or a metal containing phosphoru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02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specified groups, e.g. terminal or pendant functional groups
    • C08L101/06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specified groups, e.g. terminal or pendant functional groups containing oxyge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3/00Use of substances as emulsifying, wetting, dispersing, or foam-producing agents
    • C09K23/16Amines or polyamine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37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2Preparations for cleaning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12Preparations containing hair condition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rd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osmetics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 Emulsifying, Dispersing, Foam-Producing Or Wetting Agents (AREA)

Abstract

세제로서 피부에 사용한 경우에 촉촉한 감을 주는 성질을 가지고, 물을 함유하는 용매에 대한 피가용화물, 피유화물 또는 피분산물 농도를 피가용화물, 피유화물 또는 피분산물을 단독으로 사용한 경우의 농도와 비교하여 높게 하든지 또는 유화상태 혹은 분산상태로 균일화할 수 있고, 외관상의 상기 농도를 향상시키는 성질을 갖는 가용화제, 유화제 및 분산제로서, 측쇄에 화학식 1(R1, R2, R3: H, C 1∼4의 알킬기)로 표시되는 기를 갖는 친수성 단량체(a)를 함유하는 단량체 조성물을 중합하여 이루어지는 중합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한다.
(화학식 1)

Description

가용화제, 유화제 및 분산제{SOLUBILIZERS, EMULSIFIERS AND DISPERSANTS}
각종 계면활성제는 세제, 가용화제, 유화제, 분산제로서 여러 분야에서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피가용화물, 피유화물, 피분산물로는 세정대상인 오염, 의약품 분야에 있어서의 유지, 약제, 가공품 등을 들 수 있다.
종래, 고분자 계면활성제로는 폴리옥시에틸렌모노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모노올레에이트,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모노올레에이트,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트리올레에이트, 폴리옥시에틸렌모노라우릴에테르, 폴리비닐피롤리돈,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스, 젤라틴, 아라비아 고무 등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들 고분자 계면활성제를 세제로서 피부에 사용할 경우, 반드시 피부에 좋은 영향을 주지는 않으며, 특히 피부에 촉촉한 느낌을 줄 수는 없다.
의약품 분야에서는, 상기 각종 고분자 계면활성제가 현탁제 또는 유화제로서 사용된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제13판 개정 일본약국방」도쿄 히로카와 서점 발행, 1996).
또한, 약물의 외관상 용해도를 높이기 위해 생물유래의 계면활성제인 알부민, 젤라틴, 전분 또는 한천이 약물운반체로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의약품 개발, 제13권 약물송달법」세사키진 편집, 도라카와 서점 발행(1995년) 제216쪽∼제331쪽). 또, 비생물유래의 계면활성제인 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아미노산 블록 공중합체가 약물운반체로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특개평 6-107565호 공보).
상기 생물유래의 계면활성제는 혼입물에 의해 안전성이 저하된다는 문제가 있다. 상기 비생물유래의 계면활성제는 피가용화물, 피유화물, 피분산물의 성질에 따라서는 가용화력, 유화력, 분산력이 불충분하다는 문제가 있다.
그런데, 2-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포스포릴콜린의 호모중합체, 2-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포스포릴콜린과 친수성 단량체 및/또는 소수성 단량체와의 공중합체가 피부에 대해 보습효과 및 거친 피부 개선효과를 보이고, 화장료로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특개평 5-70321호 공보, 특개평 6-157269호 공보, 특개평 6-157270호 공보, 특개평 6-157271호 공보). 그러나, 이들 중합체가 가용화작용, 유화작용 및 분산작용을 나타낸다는 점에 대해서는 알려져 있지 않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의 목적은 세제로서 피부에 사용한 경우에 촉촉한 느낌을 주는 성질을 가지며, 또 물을 함유하는 용매에 대한 피가용화물, 피유화물 또는 피분산물 농도를 피가용화물, 피유화물 또는 피분산물을 단독으로 사용한 경우의 농도와 비교하여 높게 하거나 또는 유화 상태 또는 분산 상태로 균일화되고, 외관상 상기 농도를 향상시키는 성질을 갖는 가용화제, 유화제 및 분산제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예의검토한 결과, 친수성 단량체의 중합체 및 특정 친수성 단량체와 소수성 단량체를 함유하는 단량체 조성물을 중합하여 이루어지는 중합체가 우수한 가용화제, 유화제 및 분산제가 된다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측쇄에 화학식 1(식중 R1, R2및 R3은 수소원자 또는 탄소수 1∼4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동일 또는 상이한 기라도 된다)로 표시되는 기를 갖는 친수성 단량체(a)를 함유하는 단량체 조성물을 중합하여 이루어지는 중합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가용화제, 유화제 또는 분산제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친수성 단량체(a)로서의 화학식 2(식중 R1, R2및 R3은 수소원자 또는 탄소수 1∼4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동일 또는 상이한 기라도 된다)로 표시되는 2-(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2'-(알킬 치환 또는 무치환 암모니오)에틸포스페이트 100∼20중량%와, 소수성 단량체(b)로서의 화학식 3(식중 R4는 수소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고, R5는 탄소수 4∼8의 알킬기를 나타낸다)으로 표시되는 (메타)아크릴레이트 0∼80중량%로 이루어지는 단량체 조성물을 중합하여 이루어지는 중합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가용화제, 유화제 또는 분산제가 제공된다.
본 발명은 각종 화합물 또는 소재를 가용화, 유화 또는 분산시키는 작용을 갖고, 세제, 도료, 화공품, 의약품 등의 분야에서 이용할 수 있는 가용화제, 유화제 및 분산제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참고예 1에서 행한 중합체 A의 임계 미셀농도 측정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가용화란, 피가용화물을 용매에 용해시켰을 때 투명 또는 반투명의 균일용액이 얻어지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유화란, 액상의 피유화물과 용매를 유화시켰을 때 피유화물이 균일하게 분산되어 유탁액이 얻어지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분산이란, 고체상의 피분산물이 용매중에 균일하게 분산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가용화제, 유화제 및 분산제는 수지, 약물등을 그 단독으로 용매에 용해, 유화 또는 분산시켰을 경우에 비해 용해도나 유화 또는 분산상태를 더욱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한 제로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기를 갖는 친수성 단량체(a), 또한 필요에 따라 소수성 단량체(b)를 함유하는 단량체 조성물을 중합하여 되 중합체를 유효성분으로 한다.
본 발명의 가용화제, 유화제 및 분산제의 원재료가 되는 단량체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측쇄가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기를 갖는 친수성 단량체(a)는 분자중에 중합성의 이중결합을 갖고, 측쇄가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기를 갖는 단량체 등을 바람직하게 들 수 있다.
친수성 단량체(a)로는, 2-(메타)아크릴로일옥시에틸-2'-(트리메틸암모니오)에틸포스페이트, 3-(메타)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2'-(트리메틸암모니오)에틸포스페이트, 4-(메타)아크릴로일옥시부틸-2'-(트리메틸암모니오)에틸포스페이트, 5-(메타)아크릴로일옥시펜틸-2'-(트리메틸암모니오)에틸포스페이트, 6-(메타)아크릴로일옥시헥실-2'-(트리메틸암모니오)에틸포스페이트, 2-(메타)아크릴로일옥시에틸-2'-(트리에틸암모니오)에틸포스페이트, 2-(메타)아크릴로일옥시에틸-2'-(트리프로필암모니오)에틸포스페이트, 2-(메타)아크릴로일옥시에틸-2'-(트리부틸암모니오)에틸포스페이트, 2-(메타)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2'-(트리메틸암모니오)에틸포스페이트, 2-(메타)아크릴로일옥시부틸-2'-(트리메틸암모니오)에틸포스페이트, 2-(메타)아크릴로일옥시펜틸-2'-(트리메틸암모니오)에틸포스페이트, 2-(메타)아크릴로일옥시헥실-2'-(트리메틸암모니오)에틸포스페이트, 2-(비닐옥시)에틸-2'-(트리메틸암모니오)에틸포스페이트, 2-(알릴옥시)에틸-2'-(트리메틸암모니오)에틸포스페이트, 2-(p-비닐벤질옥시)에틸-2'-(트리메틸암모니오)에틸포스페이트, 2-(p-비닐벤조일옥시)에틸-2'-(트리메틸암모니오)에틸포스페이트, 2-(스틸옥시)에틸-2'-(트리메틸암모니오)에틸포스페이트, 2-(p-비닐벤질)에틸-2'-(트리메틸암모니오)에틸포스페이트, 2-(비닐옥시카르보닐)에틸-2'-(트리메틸암모니오)에틸포스페이트, 2-(알릴옥시카르보닐)에틸-2'-(트리메틸암모니오)에틸포스페이트, 2-(아크릴로일아미노)에틸-2'-(트리메틸암모니오)에틸포스페이트, 2-(비닐카르보닐아미노)에틸-2'-(트리메틸암모니오)에틸포스페이트, 2-(알릴옥시카르보닐아미노)에틸-2'-(트리메틸암모니오)에틸포스페이트, 2-(부테로일옥시)에틸-2'-(트리메틸암모니오)에틸포스페이트, 2-(크로토소일옥시)에틸-2'-(트리메틸암모니오)에틸포스페이트, 에틸-(2'-트리메틸암모니오에틸포스포릴에틸)푸마레이트, 부틸-(2'-트리메틸암모니오에틸포스포릴에틸)푸마레이트, 히드록시에틸-(2'-트리메틸암모니오에틸포스포릴에틸)푸마레이트, 에틸-(2'-트리메틸암모니오에틸포스포릴에틸)푸마레이트, 부틸-(2'-트리메틸암모니오에틸포스포릴에틸)푸마레이트, 히드록시에틸-(2'-트리메틸암모니오에틸포스포릴에틸)푸마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입수성 등으로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들 수 있고, 그 중에서도, 2-(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2'-(트리메틸암모니오)에틸포스페이트((이하, MPC라 약기함)=2-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포스포릴콜린)을 바람직하게 들 수 있다. 이들은 사용에 있어서 단독 또는 혼합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가용화제, 유화제 및 분산제의 원재료가 되는 단량체 조성물에 있어서는 필요에 따라 소수성 단량체(b)를 함유시킬 수 있다. 소수성 단량체(b)로는, 예를 들면 (메타)아크릴산, 아코니트산, 이타콘산, 메타콘산, 시트라콘산, 푸마르산, 말레산, 비닐술폰산, 아크릴아미드-2-메틸프로판술폰산, 비닐술폰산 및 이들의 각종 금속염; N,N-디메틸아미노프로필(메타)아크릴아미드, N,N-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N,N-디에틸아미노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및 이들의 각종 4차염; 2-비닐피리딘, 3-비닐피리딘, 4-비닐피리딘, 2-비닐이미다졸, N-메틸-2-비닐이미다졸, N-비닐이미다졸, (메타)아크릴아미드, N-메틸(메타)아크릴아미드, N,N-디메틸(메타)아크릴아미드, N-에틸(메타)아크릴아미드, N-이소프로필(메타)아크릴아미드, N-t-부틸(메타)아크릴아미드, 2-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메타)아크릴산모노글리세롤, N-(트리스(히드록시메틸)메틸)아크릴아미드, 비닐메틸에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N-비닐피롤리돈, N-(메타)아크릴로일피롤리돈, 아크릴로일모르폴린, 말레산이미드, 아세트산비닐, 무수 말레산; 스티렌, 메틸스티렌, 클로로메틸스티렌, 아미노스티렌 등의 스티렌계 단량체;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도데실(메타)아크릴레이트, 세틸(메타)아크릴레이트, 스테아릴(메타)아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각종 모노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글리시딜(메타)아크릴레이트, (메타)아크릴로일옥시에틸트리메톡시실란 등의 반응성 관능기 함유 (메타)아크릴레이트; 2-(메타)아크릴로일옥시에틸부틸우레탄, 2-(메타)아크릴로일옥시에틸벤질우레탄, 2-(메타)아크릴로일옥시에틸페닐우레탄 등의 우레탄 변성 (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비닐에테르, 부틸비닐에테르, 아세트산비닐, 염화비닐, 염화비닐리덴, 에틸렌, 프로필렌, 이소부티렌, 디에틸푸마레이트, 디에틸말레에이트, 아크릴로니트릴, 비닐벤질아민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상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소수성 단량체(b)가 바람직하다.
친수성 단량체(a)와 소수성 단량체(b)의 조합으로는, 부틸메타크릴레이트 또는 2-에틸헥실메타크릴레이트와 상기 MPC와의 조합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 중에서 아세트산비닐, 무수 말레산, 글리시딜(메타)아크릴레이트를 사용한 경우는 중합후에 가수분해 또는 친수성이 부여되는 개환반응을 행하여, 친수성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또, 글리시딜(메타)아크릴레이트, (메타)아크릴로일옥시에틸트리메톡시실란을 사용한 경우는 중합후에 소수성이 부여되는 반응을 행하여 소수성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상기 친수성 단량체(a)의 단량체 조성물중의 함유 비율은 단량체 조성물중의 전 불포화 단량체중에 100∼20중량%, 특히 100∼30중량% 범위가 바람직하다. 20중량% 미만은 얻어지는 중합체의 물에의 용해성이 낮아 바람직하지 않다. 한편, 소수성 단량체(b)의 단량체 조성물중의 함유 비율은 단량체 조성물중의 전 불포화 단량체중 0∼80중량%, 특히 0∼70중량% 범위가 바람직하다. 80중량%를 초과하면 얻어지는 중합체의 물에의 용해성이 낮아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의 가용화제의 유효성분은 상기 단량체 조성물을 중합하여 이루어지는 중합체이다. 중합체의 중량평균분자량은 특히 한정되지 않으며, 바람직하게는 500∼5000000,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0∼150000이다.
상기 중합체는 상기 단량체 조성물을 공지의 용액중합, 괴상중합, 유화중합, 현탁중합 등의 방법을 사용하여 필요에 따라 중합계를 불활성 가스, 예를 들면 질소, 이산화탄소, 헬륨으로 치환 내지 분위기하로 하고, 중합온도 0∼100℃, 중합시간 10분∼48시간의 조건으로 라디칼 중합시키는 방법 등으로 조제할 수 있다. 중합에 있어서는 중합개시제를 사용할 수 있고, 그 중합개시제로는 2,2'-아조비스(2-아미디노프로판)이염산염, 4,4'-아조비스(4-시아노길초산), 2,2'-아조비스(2-(5-메틸-2-이미다졸린-2-일)프로판)이염산염, 2,2'-아조비스(2-(2-이미다졸린-2-일)프로판)이염산염, 2,2'-아조비스이소부틸아미드 이수화물, 과황산암모늄, 과황산칼륨, 과산화벤조일, 디이소프로필퍼옥시디카보네이트, t-부틸퍼옥시-2-에틸헥사노에이트, t-부틸퍼옥시피발레이트, t-부틸퍼옥시디이소부티레이트, 과산화라우로일,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이하 AIBN이라 약기함), 2,2'-아조비스(2,4-디메틸발레로닐트릴), t-부틸퍼옥시네오데카노에이트(상품명「파 부틸 ND」, 일본유지(주)사제, 이하 P-ND라 약기함)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중합개시제에는 각종 레독스계 촉진제를 사용하여도 된다. 중합개시제 사용량은 단량체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해 0.01∼5.0 중량부가 바람직하다.
중합체 정제는 재침전법, 투석법, 한외여과법 등의 일반적인 정제법으로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가용화제 또는 유화제에 의해 가용화 또는 유화되는 피가용화물 또는 피유화물로는, 예를 들면 인도메타신, 시코닌, 히드로코르티존, 에리스로마이신, 아드레아마이신, 에이코산펜탄산에틸(EPA-E), α-토코페롤, 프로스타글란딘류, 생리활성 펩티드, 비타민류, 테트라시클린, 헥사메타존, 디클로로페나미드, 헬레니엔, 디요도스테아르산칼슘, 메타조라미드 등의 약제; 대두유, 올리브유, 홍화기름, 참기름, 경화우지, 유채씨 경화유 등의 유지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분산제에 의해 분산되는 피분산물로는, 예를 들면 프탈로시아닌 등의 유기분체; 카본블랙, 산화티탄 등의 무기 분체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가용화제, 유화제 및 분산제에는 상기 유효성분으로서의 중합체 외에 물에 용해되기 어려운 화합물이나 약물을 물을 주로 하는 수용성 용제에 용해하기 위해 첨가되는 다른 가용화제 및 각종 계면활성제 등을 병용하여도 된다.
본 발명의 가용화제, 유화제 및 분산제는 용해되기 어려운 피가용화물, 유화되기 어려운 피유화물, 분산되기 어려운 피분산물을 종래에 비해 다량으로 가용화, 유화 또는 분산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가용화제, 유화제 및 분산제는 의약품, 배합품, 도료 등의 넓은 범위에 이용할 수 있고, 특히 샴푸, 세안제, 세제등의 세정성분으로 유용하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1
친수성 단량체(a)로서 MPC를 사용하고, 소수성 단량체(b)로서 부틸메타크릴레이트(이하 BMA라 약기함)를 사용하고, 각각 농도가 0.473mol/L 및 1.10mol/L가 되도록, 이들 단량체를 에탄올에 용해혼합하였다. 이 용액에 질소를 2시간 분무하고, 계의 온도를 60℃로 설정하여 중합개시제로서 P-ND를 0.055mol/L가 되게 첨가하였다. 계속하여 60℃로 3시간 교반후, 70℃로 1시간 교반하고, 실온으로 냉각하였다. 이 용액을 투석막(스펙트럼 메디칼 인더스트리즈사제, 상품명「Spectra/por.6, Mw CO.8000」)에 삽입하고, 중합용액의 10배 체적의 에탄올:물=7:3(V/V)을 사용하여 투석조작을 행하고, 1일1회의 용매교환을 7일간 계속함으로써 투석을 행하여 가용화제의 유효성분이 될 수 있는 중합체(이하 중합체 A라 함)를 함유하는 용액을 조제하였다. 얻은 중합체 A의 분자량, 점도, MPC의 함량측정 및 가용화, 유화 및 분산 시험을 다음 방법에 따라 행하였다.
분자량 측정(GPC)
얻은 중합체 A를 함유하는 용액을 0.5중량%의 염화리튬을 함유하는 클로로포름:메탄올=6:4(V/V)에 대해 3중량%가 되도록 용해, 희석하고, 이 용액을 0.5μm의 멤브레인 필터로 여과하여 시료용액으로 하였다.
GPC의 분석조건은 용리액: 0.5중량%의 염화리튬을 함유하는 클로로포름:메탄올=6:4(V/V), 유속: 1ml/분, 시료용액 사용량: 100μl, 칼럼온도: 40℃, 칼럼: 폴리머 라보라트리즈사제 MIXED-C(2개), 검출기: 시차굴절계, 표준물질: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1.00×103∼1.58×106사이의 분자량 기지의 재료 10종을 사용하였다)로 하였다. 100μl의 상기 시료 용액을 주입하였다. 평균분자량(Mw) 및 분자량 분포(Mw/Mn)는 도소사제 인티그레이트 내장의 분자량 계산 프로그램(SC-8020용 GPC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구하였다. 결과를 표 1 및 표 2에 표시한다.
점도 측정
얻은 중합체 A를 함유하는 용액을 에탄올:물=7:3(V/V)으로 최종 농도 10중량%가 되도록 조정하여 (투석에 의한 정제를 끝낸 용액은 그대로 용매희석하고, 건조물의 경우는 용매로 용해하였다), 하룻밤 방치하였다. 다음에 이 용액을 E형 점도계를 사용하여 표 1 및 표 2에 표시한 회전수로 점도를 측정하였다. 측정은 계속 5회 행하고 평균치와 편차를 산출하였다. 결과를 표 1 및 표 2에 표시한다.
MPC 함량 측정(조성비 측정(인 정량 수분측정))
인 정량: 얻은 중합체 A를 함유하는 용액을 풍건한 후, 70℃로 진공건조하여 시료로 하였다. 이 시료 6mg을 10ml의 메스플라스크를 사용하여 증류 에탄올로 정확하게 10ml에 용해희석하였다. 다음에 마이크로 실린지를 사용하여 이 용액을 정확하게 50μl 측정하여 취하고, 세정시험관에 넣어 100℃의 블록히터를 사용하여 용매를 제거하고 상온으로 복귀시켰다. 이 시험관에 0.25ml의 과염소산 용액(70%)을 첨가하고, 유리 구슬로 마개를 하였다. 다음에 시료를 블록히터로 운반하고 180℃, 20분간 가열함으로써 중합체를 분해하고, 상온으로 복귀시켰다. 1.90ml의 증류수, 0.40ml의 1.25%(wt/wt) 몰리브덴산암모늄 용액, 0.40ml의 5%(wt/wt) 아스코르브산 수용액을 가하여 볼텍스 믹서로 교반혼합후, 비등수욕으로 수분간 가열함으로써 발색시켰다. 이 용액의 흡광도를 최대 흡수파장(약 817.8nm)으로 측정하여, 별도로 제작한 인산을 사용한 검량선에서 피검체의 인 농도를 정량하였다.
수분 정량: 얻은 중합체 A를 함유하는 용액을 풍건후, 70℃로 진공건조한 시험시료는 별도의 칼 피셔법에 의해 수분 정량을 행하였다.
이 수분 정량값과 상기 인 정량값에서 정제후의 중합체 A의 조성비를 구하고, MPC의 함유율을 산출하였다. 결과를 표 1 및 표 2에 표시한다.
가용화, 유화, 분산시험
얻은 중합체 A 0.11g에 대해 1.2g의 물을 가하여 용해하고 시료 수용액으로 하였다. 손등에 분말활성탄 0.1g을 얹은 후에 진동낙하시키고, 활성탄이 부착한 손등에 상기 시료 수용액을 얹고 10초간 문지른 후에 유수로 세정하였다. 한편, 손등에 분말활성탄 0.1g을 얹은 후에 진동낙하시키고 상기 시료 수용액을 사용하지 않고 활성탄이 부착한 손등을 10초간 문지른 후에 유수로 세정하였다. 이 두 시험에 의해 손등에 부착한 활성탄에 대한 중합체 A의 세정효과 및 손등을 건조한 후의 촉촉한 감을 평가하였다. 또 분말활성탄 대신 실리콘오일 0.1g을 사용한 경우에도 동일한 시험을 행하였다. 또한 상기 중합체 A를 함유하는 수용액 대신 계면활성제인 1.2g의 폴리옥시에틸렌(20몰) 소르비탄모노올레에이트의 10중량% 수용액을 사용한 경우에 대해서도 동일한 시험을 행하였다.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실시예 1-2∼1-19
표 1 및 표 2에 나타내는 조성의 단량체를 표 1 및 표 2 표시의 중합조건 등에 의해 실시예 1-1과 같이 하기의 정제방법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여 가용화제의 유효성분이 될 수 있는 중합체를 함유하는 용액을 각각 조제하였다. 얻은 용액 및 중합체에 대해 실시예 1-1과 같이 각종 측정 및 시험을 행하였다. 결과를 표 1∼표 3에 나타낸다. 또한 표중의 EHMA는 2-에틸헥실메타크릴레이트를 나타낸다.
정제방법;
1) 투석막(스펙트럼 메디칼 인더스트리즈사제, 상품명「Spectra/por.6, Mw Co.8000」)을 사용하여 에탄올:물=7:3에 대해 7회 투석을 행하여 정제하였다.
2) 디에틸에테르에 의한 재침전, 건조후 투석막(스펙트럼 메디칼 인더스트리즈사제, 상품명「Spectra/por.6, Mw Co.8000」)을 사용하여 에탄올:물=7:3에 대해 7회 투석을 행하고 다시 아세토니트릴에 의한 재침전을 2회 행하여 정제하였다.
3) 투석막(스펙트럼 메디칼 인더스트리즈사제, 상품명「Spectra/por.6, Mw Co.8000」)을 사용하여 에탄올:물=7:3에 대해 7회 투석을 행하고 다시 아세토니트릴에 의한 재침전을 2회 행하여 정제하였다.
4) 디에틸에테르에 의한 재침전, 건조후 투석막(스펙트럼 메디칼 인더스트리즈사제, 상품명「Spectra/por.6, Mw Co.8000」)을 사용하여 에탄올:물=7:3에 대해 7회 투석을 행하여 정제하였다.
5) 아세토니트릴에 의한 재침전을 2회 행하여 정제하였다.
실시예 2-1; (실시예 1-1의 중합체 A에 의한 가용화)
에탄올 1g에 실시예 1-1에서 조제한 중합체 A 0.5g을 용해하고, 다시 인도메타신 0.01g을 가하여 용해한 후, 투석막(스펙트럼 메디칼 인더스트리즈사제, 상품명「Spectra/por.6, Mw Co.8000」)을 사용하여 666ml의 정제수를 20회 교환하여 투석을 행하였다. 그 후 투석처리한 용액을 아세틸셀룰로스제 멤브레인 필터(0.45μm)로 여과하였다. 이 때, 액의 상태를 육안으로 관찰하였다. 결과를 표 4에 표시한다.
실시예 2-2; (실시예 1-1의 중합체 A에 의한 가용화)
물 1g에 실시예 1-1에서 조제한 중합체 A 0.5g을 용해하고, 다시 시코닌 0.01g을 가하여 프로브 타입의 초음파 조사기(스펙트럼 메디칼 인더스트리즈사제, 상품명「ASTRASON, XL2020, Heart Systems」)를 사용하고 10분간 초음파 조사하여 얻은 액체를 아세틸셀룰로스제 멤브레인 필터(0.45μm)로 여과하였다. 이 때, 액의 상태를 육안으로 관찰하였다. 결과를 표 4에 표시한다.
실시예 2-3∼2-14
표 4 표시의 중합체로 되는 가용화제, 유화제, 분산제와, 표 4 표시의 약물인 피가용화물, 피유화물, 피분산물과의 조성을 사용하여 실시예 2-1의 방법(투석법) 혹은 실시예 2-2의 방법(초음파법)으로 액을 조제하였다.
단, 표 4중에 첨가용매의 기재가 있는 실시예 2-5 및 2-6은 에탄올에 첨가하여 표 4 표시 용매의 피리딘(실시예 2-5), 톨루엔(실시예 2-6)을 첨가하여 액을 조제하였다. 다시, 실시예 2-5에서는 멤브레인 필터에 의한 여과를 행하지 않았다. 이 때, 액의 상태를 육안으로 관찰하였다. 결과를 표 4에 표시한다.
표 4의 결과로 본 발명의 가용화제, 유화제 및 분산제는 우수한 가용화작용, 유화작용 및 분산작용을 나타낸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3-1
실시예 1-1에서 조제한 중합체 A의 수용액(농도; 10g/리터)을 세정액으로 사용하여 세정시험기(Terg-O-tometer; (주)우에시마 제작소)에 의해 세정시험을 하기 요령으로 행하였다. 결과를 표 5에 표시한다.
〈세정시험〉
상기 세정시험기의 세정조에 상기 농도로 조제한 세정액을 넣고, 이어서 후술하는 인공오염포 2매 및 재오염시험을 위한 미처리 면포(10×10cm) 2매를 넣고, 세정액온도 40℃에 있어서, 150rpm, 30초에 1회의 반전조건으로 30분간 세정하였다. 이어서, 시험포를 세정액에서 꺼내어 40℃의 탕에 의해 150rpm, 30초에 1회의 반전조건으로 5분간 2회의 린스세정을 행한 후, 시험포를 건조하여 측정용 시험포로 하였다.
세정시험의 측정은 상기 세정시험에 있어서의 세정포, 재오염 시험포, 후술하는 인공오구에 의한 오염포 및 재오염 시험용 미처리 면포(원포)의 계 4종류에 대해 각 포 4개소의 반사율을 컬러 컴퓨터(스가시험기(주)제)에 의해 측정하여 다음 식에 따라 오염포 혹은 원포에 대한 반사율(%)을 구함으로써 행하였다. 반사율은 각 포 4개소의 측정평균치로 하였다. 결과를 표 6에 표시한다.
세정율(%)=(((오염포 세정후의 반사율)-(오염포의 반사율))/((원포의 반사율)-(오염포의 반사율)))×100
재오염율(%)=(((원포의 반사율)-(원포의 재오염 시험후의 반사율))/((원포의 반사율)-(오염포의 반사율)))×100
〈인공오구에 의한 오염포 조제〉
올레산 1.5g, 팔미트산 0.75g, 미리스트산 0.75g, 유채씨 경화유 3.0g, 콜레스테롤 1.0g, 스쿠알란 0.5g, 세틸알콜 1.0g, 유동 파라핀 1.5g, 활성탄 1.75g 및 1,1,1-트리클로로에틸렌 800ml로 되는 인공오구 분산액에 면포(10×10cm) 2매를 넣고, 1분간 침지후, 꺼내어 롤러를 사용하여 교축율 100%로 조정하고 건조하여 오염포를 작성하였다.
비교예 1
세정액으로서 실시예 1-1에서 조제한 중합체 A를 함유하지 않은 1리터 정제수를 사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3-1과 같이 하여 세정시험을 행하였다. 결과는 표 5에 표시한다.
실시예 3-1과 비교예 1의 결과에서 본 발명의 가용화제, 유화제 및 분산제를 함유하는 세정제는 세정율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실시예 3-1은 재오염율이 낮은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4-1∼4-3
표 6 표시의 샴푸 조성물을 조제하고 이하의 평가 방법으로 성능을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6에 표시한다.
〈거품의 크림성 평가〉
20명의 여성(연령 20∼60세)을 패널로 하여 샴푸 조성물 5ml를 사용하여 세발했을 때의 거품의 크림성을 평가하였다. 평가는 거품이 크림같다고 느낀 경우를 2점, 다소 크림같다고 느낀 경우를 1점, 거품이 크림같지 않고 거칠다고 느낀 경우를 0점으로 하여 평균치를 구하고, 평균점 1.5점 이상을 거품의 크림성이 양호하다고 평가하였다.
〈세발시의 손가락 통과 느낌 평가〉
20명의 여성(연령 20∼60세)을 패널로 하여 샴푸 조성물 5ml를 사용하여 세발했을 때의 손가락 통과 느낌(이하, 통지감(通指感)이라 한다)을 평가하였다. 평가는 손가락이 원활하게 통과하여 머리가 걸리지 않는다고 느낀 경우를 2점, 손가락이 원활하게 통과하고 머리가 다소 손가락에 걸린다고 느낀 경우를 1점, 손가락 통과하기가 아주 나쁘다고 느낀 경우를 0점으로 하여 평균치를 구하고, 평균점이 1.5점 이상을 통지감이 양호하다고 평가하였다.
〈세발후의 빗 통과성 평가〉
20명의 여성(연령 20∼60세)을 패널로 하여 샴푸 조성물 5ml를 사용하여 세발하고, 건조했을 때의 빗 통과성(이하, 통즐성(通櫛性)이라 한다)을 평가하였다. 평가는 빗이 원활하게 통과한다고 느낀 경우를 2점, 머리가 다소 빗에 걸린다고 느낀 경우를 1점, 빗 통과가 매우 나쁘다고 느낀 경우를 0점으로 하여 평균치를 구하고, 평균점이 1.5점 이상을 통즐성이 양호하다고 평가하였다.
〈세발후의 콘디셔닝 효과의 평가〉
20명의 여성(연령 20∼60세)을 패널로 하여 샴푸 조성물 5ml를 사용하여 세발하고, 건조했을 때의 콘디셔닝 효과를 평가하였다. 평가는 콘디셔닝 효과가 우수하다고 느낀 경우를 2점, 다소 콘디셔닝 효과가 얻어진다고 느낀 경우를 1점, 콘디셔닝 효과가 얻어지지 않는다고 느낀 경우를 0점으로 하여 평균치를 구하고, 평균점 1.5점 이상을 콘디셔닝 효과가 우수하다고 평가하였다.
〈세발건조후의 머리의 세트성 평가〉
20명의 여성(연령 20∼60세)을 패널로 하여 샴푸 조성물 5ml를 사용하여 세발하고, 건조했을 때의 머리의 세트성을 평가하였다. 평가는 머리의 세트성이 우수하다고 느낀 경우를 2점, 다소 머리의 세트성이 우수하다고 느낀 경우를 1점, 머리의 세트성이 나쁘다고 느낀 경우를 0점으로 하여 평균치를 구하고, 평균점이 1.5점 이상을 머리의 세트성이 우수하다고 평가하였다.
〈세발건조후의 머리의 촉촉한 감의 평가〉
20명의 여성(연령 20∼60세)을 패널로 하여 샴푸 조성물 5ml를 사용하여 세발하고, 건조했을 때의 머리의 촉촉한 감을 평가하였다. 평가는 머리의 촉촉한 감이 우수하다고 느낀 경우를 2점, 다소 머리의 촉촉한 감이 우수하다고 느낀 경우를 1점, 머리의 촉촉한 감이 우수하지 않다고 느낀 경우를 0점으로 하여 평균치를 구하고, 평균점 1.5점 이상을 머리의 촉촉한 감이 우수하다고 평가하였다.
〈조성물의 경시적 안정성〉
표 6 표시의 샴푸 조성물을 여과멸균한 후 -5℃, 25℃ 및 45℃로 1개월간 보존하고, 그 후 육안으로 외관 상태를 ○, △, ×의 3단계로 평가하였다.
○: 안정성이 양호하고 외관은 투명 또는 미탁상태, △: 안정성이 다소 불량하고 외관은 다소 탁하고 또는 착색해 있는 상태, ×: 안정성이 불량하고 외관은 침전물이 존재하고 착색이 현저한 상태.
비교예 2
표 6 표시의 샴푸 조성물을 사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4-1∼4-3과 동일하게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7에 표시한다.
표 6의 결과로, 본 발명의 가용화제, 유화제 또는 분산제는 샴푸 조성물의 세정제로서 사용할 경우, 세발시의 통지감 평가, 세발후의 통즐성 평가, 세발후의 콘디셔닝 효과 평가, 세발건조후의 머리의 세트성 평가, 세발건조후의 머리의 촉촉한 감 평가의 모든 평가가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조성물은 경시 안정성이 양호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5-1∼5-3
표 7 표시의 세안용 조성물을 조제하고, 하기 평가방법으로 성능평가를 행하였다. 결과를 표 7에 표시한다.
〈거품의 크림성 평가〉
20명의 여성(연령 20∼60세)을 패널로 하여 세안용 조성물 5ml를 사용하여 세안했을 때의 거품의 크림성을 평가하였다. 평가는 거품이 크림같다고 느낀 경우를 2점, 다소 크림같다고 느낀 경우를 1점, 거품이 크림같지 않고 거칠다고 느낀 경우를 0점으로 하여 평균치를 구하고, 평균점이 1.5점 이상을 거품의 크림성이 양호하다고 평가하였다.
〈헹군 후의 매끄러운 감 평가〉
20명의 여성(연령 20∼60세)을 패널로 하여 세안용 조성물 5ml를 사용하여 세안하고, 약 40℃의 온수 1리터씩을 사용하여 씻어내리면서 3회 헹군 후의 매끄러운 감을 평가하였다. 평가는 매끄러운 감이 전혀 없다고 느낀 경우를 4점, 매끄러운 감이 거의 없다고 느낀 경우를 3점, 매끄러운 감이 다소 있다고 느낀 경우를 2점, 매끄러운 감이 짙다고 느낀 경우를 1점으로 하여 평균치를 구하고, 평균점 3.0점 이상을 매끄러운 감이 없다고 평가하였다.
〈헹군 후의 산뜻한 감 평가〉
20명의 여성(연령 20∼60세)을 패널로 하여 세안용 조성물 5ml를 사용하여 세안하고, 약 40℃의 온수 1리터씩을 사용하여 씻어내리면서 3회 헹군 후의 산뜻한 감을 평가하였다. 평가는 산뜻한 감이 있다고 느낀 경우를 4점, 산뜻한 감이 다소 있다고 느낀 경우를 3점, 산뜻한 감이 거의 없다고 느낀 경우를 2점, 산뜻한 감이 전혀 없다고 느낀 경우를 1점으로 하여 평균치를 구하고, 평균점이 3.0점 이상을 산뜻한 감이 있다고 평가하였다.
〈세안건조후의 피부의 촉촉한 감 평가〉
20명의 여성(연령 20∼60세)을 패널로 하여 세안용 조성물 5ml를 사용하여 세안하고, 헹군 후의 피부의 촉촉한 감을 평가하였다. 평가는 피부의 촉촉한 감이 우수하다고 느낀 경우를 2점, 다소 피부의 촉촉한 감이 우수하다고 느낀 경우를 1점, 피부의 촉촉한 감이 우수하지 않다고 느낀 경우를 0점으로 하여 평균치를 구하고, 평균점 1.5점 이상을 피부의 촉촉한 감이 있다고 평가하였다.
〈조성물의 경시안정성〉
실시예 4-1∼4-3의 샴푸 조성물의 경시안정성 평가와 동일하게 평가하였다.
비교예 3
표 7 표시의 세안용 조성물을 사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5-1∼5-3과 동일하게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7에 표시한다.
표 7의 결과에서 본 발명의 가용화제, 유화제 또는 분산제는 세안제의 세정제로 사용할 경우, 헹군 후의 매끄러운 감의 평가, 헹군 후의 산뜻한 감의 평가, 세안 건조후의 촉촉한 감의 평가의 모든 평가가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조성물은 경시안정성이 양호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참고예 1(임계 미셀농도의 측정)
실시예 1-1에서 조제한 중합체 A를 사용하여 0.255∼255mg/리터의 각 농도의 수용액을 조제하고, 미리 6.0×10-7mol/리터의 농도로 조제한 필렌 수용액을 등량 각각에 첨가하여 혼합하였다. 이들 용액의 형광 강도를 Ex=384nm의 조건으로 Em(350∼400nm)을 측정하고, 372∼376nm의 피크 1(P-1)과 383∼385nm의 피크 3(P-3)에서 피크비((P-1)/(P-3))를 구하고, 실시예 1-1의 중합체 A의 농도에 대해 플롯하였다. 결과를 도 1에 표시한다. 도 1에 있어서 수직축의 수치는 피크비((P-1)/(P-3))의 값을 나타내고, 수평축 수치는 중합체 A의 농도(mg/l)를 나타낸다.
필렌의 형광강도 피크비((P-1)/(P-3))는 친수성 상태하에서는 약 1.8이고, 소수성 상태하에서는 1.8보다 낮은 값이 된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도 1의 결과에서 실시예 1-1의 중합체 A 수용액은 약 3mg/리터의 농도에서 변극점이 있고 그 이상의 농도에서 피크비((P-1)/(P-3))<1.8이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환언하면, 실시예 1-1의 중합체 A는 약 3mg/리터의 농도 이상으로 미셀을 형성하고 있으며, 중합체가 가용화제, 유화제 또는 분산제로서 이용가능한 계면활성 성능을 갖는 것을 알 수 있다.
참고예 2(생화학적 안전성 시험)
세균을 사용하는 복귀돌연변이 시험
실시예 1-1에서 조제한 중합체 A를 시료로 사용하고 일본후생성 약무국 약심1 제24호(헤이세이원년 9월11일)의 변위원성 시험법에 따라 시험을 실시하였다. 즉, Esherichia coli WP2 uvr A 주 및 Salmonellatyphimurium TA계 4균종을 사용하여 대사활성화를 함유하는 복귀돌연변이 시험을 실시예 1-1에서 조제한 중합체 A가 156∼5000μg/평판의 농도에서 행하였다. 그 결과, 어느 경우에 있어서도 복귀변위 콜로니수 증가는 확인되지 않았다. 이상의 사실에서 중합체 A의 돌연변이 유기성은 음성으로 확인되었다.
배양세균을 사용한 콜로니 형성 저해시험
실시예 1-1에서 조제한 중합체 A를 시료로 사용하여 「의료용구 및 의료재료의 기초적인 생물학적 시험의 가이드 라인」(헤이세이 7년 약기 제99호 별첨)에 기준하여 콜로니 형성저해시험을 행하였다. 즉, MO5배지에 실시예 1-1에서 조제한 중합체 A가 0.5∼2mg/ml 농도가 되게 시료를 조제하고 중국산 햄스터 섬유아세포 V79주 21대째를 사용하여 세포수 50개 이상의 콜로니수를 계측하였다. 그 결과 검체 및 음성대조시험액에 있어서의 콜로니 형성율은 무처리 시험액에 대해 특히 저하는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중합체 A를 함유하는 시료의 콜로니 형성 저해성은 음성으로 확인된다.
발열성 물질 시험
실시예 1-1에서 조제한 중합체 A를 시료로 사용하여 제12개정 일본 약국방 일반시험법에 준거하여 발열성 물질시험을 행하였다. 즉 실시예 1-1에서 조제한 중합체 A 56μg/ml의 생리식염수 용액을 시료로 하여 일본 백색종 숫토끼에 체중 1kg당 10ml의 용량으로 귀 정맥내에 투여후, 1시간 간격으로 3회 체온측정을 행하고, 대조 체온과 비교하였다. 그 결과, 대조 체온과 비교하여 0.6℃ 이상의 체온상승을 나타내는 것은 확인되지 않았다. 이 결과로, 중합체 A는 발열성 시험 음성이라는 것이 확인되었다.
피내반응시험
실시예 1-1에서 조제한 중합체 A를 시료로 사용하여 제12개정일본 약국방 일반시험법에 준거하여 피내반응시험을 행하였다. 즉 실시예 1-1에서 조제한 중합체 A 64μg/ml의 생리식염수 용액을 시료로 하여 일본 백색종 숫토끼의 축주환쪽 피내에 0.2ml씩 10개소 투여하였다. 투여 24시간 후, 48시간 후, 72시간 후 투여부위의 관찰을 행하였다. 그 결과, 국소적 홍반, 부종, 출혈, 괴사 등의 변화는 확인되지 않았다. 이상의 사실에서 중합체 A는 피내반응시험이 음성이라는 것이 확인된다.
급성 독성시험
실시예 1-1에서 조제한 중합체 A를 시료로 사용하여 제12개정 일본약국방 일반시험법에 준거하여 급성 독성시험을 행하였다. 즉, 실시예 1-1에서 조제한 중합체 A 56μg/ml의 생리식염수 용액을 시료로 하여 ddy계 수컷 마우스의 체중 1kg당 50ml의 용량으로 꼬리 정맥내에 1회 투여하였다. 투여후 5일간 관찰을 행한 결과, 마우스에 이상 혹은 사망례는 확인되지 않았다. 이 결과로 검체는 급성 독성시험이 음성이라고 확인된다.
용혈성 시험
실시예 1-1에서 조제한 중합체 A를 시료로 사용하여 제12개정 일본약국방 일반시험법에 준거하여 용혈성 시험을 행하였다. 즉, 실시예 1-1에서 조제한 중합체 A 5μg/ml의 생리식염수 용액 10ml에, 일본 백색종 숫토끼에서 채혈하여 조제한 탈섬유혈 0.1ml를 가하고, 37℃에서 24시간 방치하여 육안에 의해 용혈 정도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용혈이 확인되지 않은 사실로 중합체 A는 용혈성 시험이 음성이라고 확인된다.
급성 독성시험(정맥내 투여)
실시예 1-18에서 조제한 중합체를 시료로 사용하여 마우스에 있어서의 급성 독성시험(정맥내 투여)을 행하였다. 즉, 실시예 1-18에서 조제한 중합체를 200mg/kg의 용량으로 암수 마우스 정맥내에 단회 투여하였던 바, 시험동물에 이상 혹은 사망례는 확인되지 않았다. 따라서, 검체인 마우스에 있어서의 정맥내 단회투여에 의한 치사량은 암수 모두 200mg/kg 이상이라고 확인된다.
피부 감작성 시험
실시예 1-6에서 조제한 중합체를 시료로 사용하여 Maximization법에 따라 몰몬트를 사용하여 피부 감작성 시험을 행하였다. 즉, 미리 감작유도를 피내주사와 폐쇄도포로 행한 몰몬트의 피부에 실시예 1-6에서 조제한 중합체의 5%, 0.5% 또는 0.05% 에탄올 용액을 도포하여 24시간 후, 48시간 후 및 72시간 후의 도포 부위를 Draize법의 평가기준에 따라 피부반응의 채점을 행하고 각 관찰시에 있어서의 감작 양성율을 구하였다. 그 결과, 어느 관찰시간, 어느 농도에 있어서도 감작 양성율은 0%였다. 이상의 사실에서 검체는 피부 감작성을 갖지 않는 것이라고 확인된다.
피부 1차 자극성 시험
실시예 1-18에서 조제한 중합체를 시료로 사용하여 피부 1차 자극시험을 실시하였다. 즉, 건강한 백색 토끼 6마리(12∼16주령, 체중 2.50∼3.11kg)의 등의 털을 깎고 이 부위에 0.5ml의 실시예 1-18에서 조제한 중합체 용액(40% 수용액)을 적하한 2.5×2.5cm의 가제를 첩부하고 이어서 토끼를 코르셋으로 고정하고 1시간 후, 24시간 후, 48시간 후 및 72시간 후의 홍반 및 부종 형성에 대해 평점하였다. 그 결과, 평점 평균은 0.0이고, 시료는 무자극성 물질이라고 확인된다.
급성 독성(경구 투여)
실시예 1-18에서 조제한 중합체를 시료로 사용하여 마우스에 있어서의 급성 독성시험(경구 투여)을 행하였다. 즉, 실시예 1-18에서 조제한 중합체를 5000mg/kg의 용량으로 절식한 암수 마우스의 경구내로 단회 투여하였던 바, 14일간의 관찰기간중에 시험동물의 이상 혹은 사망례는 확인되지 않았다. 따라서, 시료의 마우스에 있어서의 경구 단회 투여에 의한 치사량은 암수 모두 5000mg/kg 이상이라고 생각된다.
이상의 각 시험결과로, 본 발명의 가용화제, 유화제 및 분산제의 유효성분으로서 사용하는 중합체는 생물학적 안정성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Claims (9)

  1. 측쇄에 화학식 1(식중 R1, R2및 R3은 수소원자 또는 탄소수 1∼4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동일 또는 상이한 기라도 된다)로 표시되는 기를 갖는 친수성 단량체(a)를 함유하는 단량체 조성물을 중합하여 이루어지는 중합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용화제.
    (화학식 1)
  2. 제 1 항에 있어서, 친수성 단량체(a)가 화학식 2(식중 R1, R2및 R3은 수소원자 또는 탄소수 1∼4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동일 또는 상이한 기라도 된다)로 표시되는 2-(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2'-(알킬 치환 또는 무치환 암모니오)에틸포스페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용화제.
    (화학식 2)
  3. 친수성 단량체(a)로서의 화학식 2(식중 R1, R2및 R3은 수소원자 또는 탄소수 1∼4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동일 또는 상이한 기라도 된다)로 표시되는 2-(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2'-(알킬 치환 또는 무치환 암모니오)에틸포스페이트 100-20중량%와, 소수성 단량체(b)로서의 화학식 3(식중 R4는 수소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고, R5는 탄소수 4∼8의 알킬기를 나타낸다)으로 표시되는 (메타)아크릴레이트 0∼80중량%로 이루어지는 단량체 조성물을 중합하여 이루어지는 중합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용화제.
    (화학식 2)
    (화학식 3)
  4. 측쇄에 화학식 1(식중 R1, R2및 R3은 수소원자 또는 탄소수 1∼4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동일 또는 상이한 기라도 된다)로 표시되는 기를 갖는 친수성 단량체(a)를 함유하는 단량체 조성물을 중합하여 이루어지는 중합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화제.
    (화학식 1)
  5. 제 4 항에 있어서, 친수성 단량체(a)가 화학식 2(식중 R1, R2및 R3은 수소원자 또는 탄소수 1∼4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동일 또는 상이한 기라도 된다)로 표시되는 2-(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2'-(알킬 치환 또는 무치환 암모니오)에틸포스페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화제.
    (화학식 2)
  6. 친수성 단량체(a)로서의 화학식 2(식중 R1, R2및 R3은 수소원자 또는 탄소수 1∼4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동일 또는 상이한 기라도 된다)로 표시되는 2-(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2'-(알킬 치환 또는 무치환 암모니오)에틸포스페이트 100∼20 중량%와, 소수성 단량체(b)로서의 화학식 3(식중 R4는 수소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고, R5는 탄소수 4∼8의 알킬기를 나타낸다)으로 표시되는 (메타)아크릴레이트 0∼80중량%로 이루어지는 단량체 조성물을 중합하여 이루어지는 중합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화제.
    (화학식 2)
    (화학식 3)
  7. 측쇄에 화학식 1(식중 R1, R2및 R3은 수소원자 또는 탄소수 1∼4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동일 또는 상이한 기라도 된다)로 표시되는 기를 갖는 친수성 단량체(a)를 함유하는 단량체 조성물을 중합하여 이루어지는 중합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제.
    (화학식 1)
  8. 제 7 항에 있어서, 친수성 단량체(a)가 화학식 2(식중 R1, R2및 R3은 수소원자 또는 탄소수 1∼4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동일 또는 상이한 기라도 된다)로 표시되는 2-(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2'-(알킬 치환 또는 무치환 암모니오)에틸포스페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제.
    (화학식 2)
  9. 친수성 단량체(a)로서의 화학식 2(식중 R1, R2및 R3은 수소원자 또는 탄소수 1∼4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동일 또는 상이한 기라도 된다)로 표시되는 2-(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2'-(알킬 치환 또는 무치환 암모니오)에틸포스페이트 100∼20 중량%와, 소수성 단량체(b)로서의 화학식 3(식중 R4는 수소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고, R5는 탄소수 4∼8의 알킬기를 나타낸다)으로 표시되는 (메타)아크릴레이트 0∼80중량%로 이루어지는 단량체 조성물을 중합하여 이루어지는 중합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제.
    (화학식 2)
    (화학식 3)
KR1019997000416A 1996-07-31 1999-01-20 가용화제, 유화제 및 분산제 KR1003071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6-202620 1996-07-31
JP20262096 1996-07-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9452A true KR20000029452A (ko) 2000-05-25
KR100307132B1 KR100307132B1 (ko) 2001-09-24

Family

ID=164603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0416A KR100307132B1 (ko) 1996-07-31 1999-01-20 가용화제, 유화제 및 분산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0947244B1 (ko)
KR (1) KR100307132B1 (ko)
DE (1) DE69732139T2 (ko)
WO (1) WO199800434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26842A (ja) * 1998-07-14 2000-01-25 Nof Corp 帯電防止剤
AU2001274587A1 (en) * 2000-06-22 2002-01-02 Takeda Chemical Industries Ltd. Polymer-containing drug composition
JP2002047188A (ja) * 2000-08-04 2002-02-12 Shiseido Co Ltd β−グルコセレブロシダーゼ遺伝子の発現の低下抑制剤
FR2872514B1 (fr) 2004-07-02 2007-03-02 Oreal Nouveaux copolymeres ethyleniques, compositions les comprenant et procede de traitement
KR101266245B1 (ko) 2011-02-23 2013-05-22 주식회사 케이씨아이 포스포릴콜린 유사기 함유 단량체 기반의 가교 결합 공중합체, 역상 에멀젼 및 화장료 조성물
JP6153679B1 (ja) * 2016-02-18 2017-06-28 スターライト工業株式会社 セルロースナノファイバー分散体、およびセルロースナノファイバー分散体の製造方法
JP6153680B1 (ja) * 2016-03-18 2017-06-28 スターライト工業株式会社 3dプリンタ用造形材料、その製造方法、および三次元造形物
US11566118B2 (en) 2016-02-18 2023-01-31 Starlite Co., Ltd. Nanofiber dispersion, method of producing nanofiber dispersion, powdery nanofibers obtainable from the dispersion, resin composition containing the powdery nanofibers ad molding material for 3D printer using the resin composition
CN108779256B (zh) * 2016-02-18 2021-12-14 日本星光工业株式会社 纳米纤维分散体及其粉体以及3d打印机用造型材料
JP6189558B1 (ja) * 2016-03-18 2017-08-30 スターライト工業株式会社 樹脂組成物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637511B1 (fr) * 1988-10-10 1994-02-11 Coatex Sa Agent de compatibilite pour suspensions aqueuses polypigmentaires dont l'un des pigments est du sulfate de calcium hydrate
CN1048190C (zh) * 1989-06-06 2000-01-12 普拉斯-斯托弗公司 一种矿物和/或填料和/或颜料的水悬浮液和其制备方法
FR2650594B1 (fr) * 1989-08-04 1992-04-03 Coatex Sa Application aux suspensions aqueuses pigmentaires de carbonate de calcium d'un agent polycarboxylique a fonction phosphatee ou phosphonee inhibant l'effet de choc provoque par l'introduction d'un electrolyte sous forme concentree
US5466853A (en) * 1992-07-23 1995-11-14 Nof Corporation Diester monomer, its polymer, water-containing soft contact lens, and processing solution for contact lens
JP3240696B2 (ja) * 1992-07-23 2001-12-17 日本油脂株式会社 ジエステル単量体及びその重合体
GB9226791D0 (en) * 1992-12-23 1993-02-17 Biocompatibles Ltd New materials
JP3990738B2 (ja) * 1993-09-06 2007-10-17 日本ペイント株式会社 水分散剤及び水分散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732139T2 (de) 2005-12-15
WO1998004341A1 (fr) 1998-02-05
DE69732139D1 (de) 2005-02-03
EP0947244B1 (en) 2004-12-29
KR100307132B1 (ko) 2001-09-24
EP0947244A4 (en) 2000-07-12
EP0947244A1 (en) 1999-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571878B2 (ja) 可溶化剤
JP5561872B2 (ja) 水溶性ポリマーを含む化粧料
ES2486667T3 (es) Utilización de copolímeros de pectinato constituidos sobre la base del ácido acriloíl-dimetil-táurico en agentes cosméticos, farmacéuticos y dermatológicos
ES2490217T3 (es) Agentes y medios cosméticos, farmacéuticos y dermatológicos
KR101293347B1 (ko) 알킬 변성 카복실기 함유 수용성 공중합체
KR100307132B1 (ko) 가용화제, 유화제 및 분산제
JP2002205936A (ja) 電解質含有の化粧料、薬剤および皮膚用剤
BRPI0117233B1 (pt) Composições cosméticas, dermatológicas e farmacêuticas contendo tensoativos
US7416739B2 (en) Composition and process for retaining active ingredients
KR20010086408A (ko) 친수성 양쪽성 중합체
GB2128627A (en) Mild cleaning composition
JP4162284B2 (ja) 洗浄剤組成物
JP2004524384A (ja) 液体分散ポリマー組成物、それらの調製およびそれらの使用
JP4808829B2 (ja) 水膨潤性の架橋重合体を含有するw/o型エマルションの増粘剤としての使用、このようなエマルションおよび美容または医薬製剤
KR100874625B1 (ko) 양쪽이온성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화장 조성물
US20030157047A1 (en) Cosmetic composition for removing make-up from and clening the skin
JP4233918B2 (ja) ポリマー粒子
JP4380416B2 (ja) カチオン性ナノ微粒子を含有する化粧料
US7932337B2 (en) Inverse emulsions as thickeners for cosmetics
JP4808300B2 (ja) ポリマーエマルジョン
JP5119874B2 (ja) カチオン性共重合体および毛髪用化粧料
JP4857867B2 (ja) 皮膚用ウォータープルーフ製剤
KR101249687B1 (ko) 포스포릴콜린 유사기 함유 단량체 기반의 가교 결합 공중합체, 역상 에멀젼 및 화장료 조성물
WO2021125219A1 (ja) 水中油型乳化組成物
JP2001031529A5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1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6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1

Year of fee payment: 16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