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6245B1 - 포스포릴콜린 유사기 함유 단량체 기반의 가교 결합 공중합체, 역상 에멀젼 및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포스포릴콜린 유사기 함유 단량체 기반의 가교 결합 공중합체, 역상 에멀젼 및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6245B1
KR101266245B1 KR1020110015972A KR20110015972A KR101266245B1 KR 101266245 B1 KR101266245 B1 KR 101266245B1 KR 1020110015972 A KR1020110015972 A KR 1020110015972A KR 20110015972 A KR20110015972 A KR 20110015972A KR 101266245 B1 KR101266245 B1 KR 1012662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rylate
group
methacrylate
reverse phase
phosphorylcho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59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96711A (ko
Inventor
이매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씨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씨아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씨아이
Priority to KR10201100159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6245B1/ko
Priority to PCT/KR2012/000416 priority patent/WO2012099384A2/ko
Publication of KR201200967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67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62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6245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3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containing phosphorus, selenium, tellurium or a metal
    • C08F230/02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containing phosphorus, selenium, tellurium or a metal containing phosphor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55Phosphorus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52Amides or imides
    • C08F220/54Amides, e.g. N,N-dimethylacrylamide or N-isopropylacrylamide
    • C08F220/56Acrylamide; Methacrylam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4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containing boron, silicon, phosphorus, selenium, tellurium or a metal;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43/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onomers containing phosphoru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이온성 단량체, 비이온성 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 포스포릴콜린 유사기 함유 단량체 및 가교 결합제를 포함하는 신규 가교 결합 공중합체, 이의 역상 에멀젼 및 상기 가교 결합 공중합체 또는 역상 에멀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가교 결합 공중합체는 2-아크릴아미도-2-메틸프로판-술폰산(2-acrylamido-2-methylpropane-sulphonic acid, AMPS)가 같은 음이온성 단량체 및 2-하이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 등과 같은 비이온성 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 외에 포스포릴콜린 유사기 함유 단량체를 포함하고 있어서, 기존의 하이드록시알킬 아크릴레이트/알칼리금속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또는 하이드록시알킬 아크릴레이트/나트륨 2-아크릴아미도-2-메틸프로판술포네이트 공중합체가 가지는 증점 및/또는 유화 안정성 특성 외에 추가적으로 향상된 보습력 및 우수한 생체 적합성을 나타낸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가교 결합 공중합체는 화장료 조성물, 특히 피부 케어용 조성물 또는 헤어 케어용 조성물 내에서 증점제, 유화 안정화제 및 보습제로서의 기능을 동시에 발휘한다.

Description

포스포릴콜린 유사기 함유 단량체 기반의 가교 결합 공중합체, 역상 에멀젼 및 화장료 조성물{Crosslinked copolymer based on monomer containing phosphorylcholine-like group, inverse emulsion, and cosmetic composition}
본 발명은 포스포릴콜린 유사기 함유 단량체 기반의 가교 결합 공중합체, 역상 에멀젼 및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증점제 및/또는 유화 안정화제로서 뿐만 아니라 보습제로도 사용될 수 있는 포스포릴콜린 유사기 함유 단량체 기반의 신규 가교 결합 공중합체, 이의 역상 에멀젼 및 상기 가교 결합 공중합체 또는 역상 에멀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 보호 또는 모발 보호에 적용되는 퍼스널 케어 제품 또는 화장품들은 일반적으로 로션, 크림, 겔 등과 같은 제형으로 제조되며, 이러한 모든 제품에는 유동성을 개질시키고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증점제 및/또는 유화 안정화제가 사용된다.
이와 같은 목적으로 쓰이는 증점제는 크게 천연 제품과 합성 폴리머로 나눌 수 있다. 천연 제품인 구아 검 (Guar gum)이나 옥수수 전분 등은 가격 변동, 공급 문제점 및 일정한 품질 유지의 어려움 등으로 인하여 산업적으로 이용하는 데에 단점이 있다.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합성 폴리머는 산성 작용기를 포함하는 분말 형태 등의 고체로 존재하기 때문에 증점 효과를 얻기 위하여 먼저 용매에 분산시켜야 하며, pH 의존성이 있기 때문에 사용시 산성 작용기의 중화가 요구된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안정한 에멀젼을 생성하기 위하여 장시간의 교반이 필요하며, 응집과 응고를 방지하기 위한 주의가 요구된다. 이들의 점도는 6.5 이상의 pH 조건에서 발현되며, 사용 상태에 따라 용해가 어려워지는 단점이 있다.
위와 같이 고형 분말 합성 폴리머가 갖는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연속상이 오일인 역상 에멀젼형으로 제조된 증점제가 개발되어 왔다. 상기 역상 에멀젼형으로 제조된 증점제는 화장품 등에 급속하게 혼용되고, 합성 폴리머와 다르게 중성 pH로 존재하므로 산성 작용기를 중화시키는 공정이 불필요 하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 역상 에멀젼 내에 함유된 폴리머는 일반적으로 하이드록시알킬 아크릴레이트/알칼리금속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또는 하이드록시알킬 아크릴레이트/나트륨 2-아크릴아미도-2-메틸프로판술포네이트 공중합체이다. 이들은 이미 중성화되어 있으며, 예컨대 1%의 농도로 물에 용해되는 경우, pH는 일반적으로 6 이상으로 관찰된다.
한편, 포스포릴콜린 유사기 함유 중합체는 생체막에 유래하는 인지질 유사구조에 기인하는 것으로서, 혈액성분 불활성화, 생체물질 비흡착성 등의 생체 적합성, 방오성, 보습성 등에 있어서 우수한 성질을 가지는 것이 알려져 있다. 그리고, 이들의 기능을 살린 생체관련재료의 개발을 목적으로 한 포스포릴콜린 유사기 함유 중합체의 합성 및 그 용도에 관한 연구개발이 활발히 행하여지고 있다. 이러한 포스포릴콜린 유사기 함유 중합체에는 포스포릴콜린 유사기 함유 단량체가 포함되는데, 이 중 2-(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2'-(트리메틸암모니오)에틸포스페이트[2-(methacryloyloxy)ethyl-2'-(trimethylammonio)ethylphosphate, 2-메타클리로일옥시에틸포스폴린콜린이라고도 함, 이하, MPC로 약칭함]에는 세포벽 구성 성분인 포스파티딜콜린(Phosphatidyl choline)과 구조적으로 유사한 포스포릴콜린 유사기가 존재하여 우수한 생체 적합성과 뛰어난 보습성을 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배경하에서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종래의 하이드록시알킬 아크릴레이트/알칼리금속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또는 하이드록시알킬 아크릴레이트/나트륨 2-아크릴아미도-2-메틸프로판술포네이트 공중합체가 가지는 증점 또는 유화 안정성 특성 외에 추가적으로 우수한 생체 적합성, 향상된 보습력, 적절한 영양 공급 등의 특성을 가지는 포스포릴콜린 유사기 함유 단량체 기반의 신규 가교 결합 공중합체를 제공하는데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증점제 및/또는 유화 안정화제로서 뿐만 아니라 보습제로도 사용될 수 있는 역상 에멀젼을 제공하는데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피부 케어용 또는 헤어 케어용 등의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데에 있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음이온성 단량체, 비이온성 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 하기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적어도 1종의 포스포릴콜린 유사기 함유 단량체, 및 2개 이상의 불포화 에틸렌 결합기을 가진 적어도 1종의 가교 결합제를 포함하는 가교결합 중합체로서, 상기 음이온성 단량체, 비이온성 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 및 포스포릴콜린 유사기 함유 단량체는 상기 가교 결합제에 의해 가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스포릴콜린 유사기 함유 단량체 기반의 가교 결합 공중합체를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1013047269-pat00001
화학식 (1)에서 X는 2가의 유기잔기를 나타내고, Y는 탄소수 1∼6의 알킬렌옥시기를 나타내고, Z는 수소원자 또는 R5-O-CO-(여기서, R5는 탄소수 1∼10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1∼10의 히드록시알킬기를 나타낸다)를 나타낸다. 또, R1은 수소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고, R2, R3 및 R4는 동일 또는 다른 기로서, 수소원자, 탄소수 1∼6의 탄화수소기 또는 히드록시 탄화수소기를 나타낸다. m은 0 또는 1이고, n은 2∼4의 정수이다.
이때, 상기 음이온성 단량체는 2-아크릴아미도-2-메틸프로판-술폰산(2-acrylamido-2-methylpropane-sulphonic acid, AMPS)이고, 상기 비이온성 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는 메틸 아크릴레이트(methyl acrylate), 에틸 아크릴레이트(ethyl acrylate), 프로필 아크릴레이트(propyl acrylate), 부틸 아크릴레이트(butyl acrylate), 2-에틸 헥실 아크릴레이트(2-ethyl hexyl acrylate), 라우릴 아크릴레이트, 스테아릴 아크릴레이트, 벤질 아크릴레이트, 페녹시에틸 아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 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글리콜 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프로필 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부틸 아크릴레이트, 4-하이드록시부틸 아크릴레이트, 메틸 메타크릴레이트(methyl methacrylate), 에틸 메타크릴레이트(ethyl methacrylate), 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 2-에틸 헥실 메타크릴레이트(2-ethyl hexyl methacrylate), 라우릴 메타크릴레이트, 스테아릴 메타크릴레이트, 벤질 메타크릴레이트, 페녹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 메타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글리콜 메타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2-hydroxyethyl methacrylate), 2-하이드록시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2-hydroxypropyl methacrylate), 2-하이드록시부틸 메타크릴레이트(2-hydroxybutyl methacrylate), 4-하이드록시부틸 메타크릴레이트, 스티렌(styrene), 메틸스티렌, 클로로메틸스티렌, 부타디엔(butadiene), 이소프렌(isoprene), 염화비닐(vinyl chloride), 염화비닐리덴(vinylidene chloride), 아크릴로니트릴(acrylonitrile), 메타크릴로니트릴(methacrylonitrile), 메틸비닐 에테르, 부틸비닐 에테르, 비닐 아세테이트(vinyl acetate), 비닐 프로피오네이트(vinyl propionate), 비닐 부티레이트(vinyl butyrate), 비닐 카프로레이트(vinyl caprolate), p-클로로 스티렌(p-chloro styrene), 이소프로필 스티렌(isopropyl styrene), 및 비닐 톨루엔(vinyl toluen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 이상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가교 결합 공중합체에서 다양한 pH에서의 신뢰성 있는 증점 효과, 유화 안정성, 보습성 및 생체 적합성의 관점에서 상기 음이온성 단량체인 2-아크릴아미도-2-메틸프로판-술폰산은 적어도 일부 또는 전부가 염의 형태로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비이온성 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는 2-하이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 등과 같은 하이드록시기 함유 (메타)아크릴레이트인 것이 바람직하고, 포스포릴콜린 유사기 함유 단량체는 2-(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2'-(트리메틸암모니오)에틸포스페이트[2-(methacryloyloxy)ethyl-2'-(trimethylammonio)ethylphosphate]인 것이 바람직하며, 가교 결합제는 N,N-메틸렌-비스-아크릴아마이드(N,N-methylene-bis-acrylamide), 트리메틸올프로판 디알릴 에테르(trimethylolpropane diallyl ether),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알릴 에테르(trimethylolpropane triallyl ether), 디알릴 펜타에리쓰리톨 에테르(diallyl pentaerythritol ether), 트리알릴 펜타에리쓰리톨 에테르(triallyl pentaerythritol ether), 테트라알릴 펜타에리쓰리톨 에테르(tetraallyl pentaerythritol ether), 디알릴 수크로오스 에테르(diallyl sucrose ether), 트리알릴 수크로오스 에테르(triallyl sucrose ether), 및 테트라알릴 수크로오스 에테르(tetraallyl sucrose ether)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물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연속상인 유상에 분산상인 수상이 미세한 입자 형태로 분산되어 있는 유중 수적 형태의 에멀젼으로서, 상기 수상은 전술한 가교 결합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상 에멀젼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유상은 유상 매질 및 유중 수적형 유화제(W/O 형 유화제)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역상 에멀젼은 바람직하게는 수중 유적형 유화제(O/W 형 유화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술한 가교 결합 공중합체 또는 전술한 역상 에멀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에서 상기 가교 결합 공중합체 또는 역상 에멀젼은 화장료 조성물에 증점 효과 및 유화 안정성에서 생체 적합성과 보습성을 부여하므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케어용 또는 헤어 케어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교 결합 공중합체는 2-아크릴아미도-2-메틸프로판-술폰산(2-acrylamido-2-methylpropane-sulphonic acid, AMPS)가 같은 음이온성 단량체 및 2-하이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 등과 같은 비이온성 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 외에 포스포릴콜린 유사기 함유 단량체를 포함하고 있어서, 기존의 하이드록시알킬 아크릴레이트/알칼리금속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또는 하이드록시알킬 아크릴레이트/나트륨 2-아크릴아미도-2-메틸프로판술포네이트 공중합체가 가지는 증점 및/또는 유화 안정성 특성 외에 추가적으로 향상된 보습력 및 우수한 생체 적합성을 나타낸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가교 결합 공중합체는 화장료 조성물, 특히 피부 케어용 조성물 또는 헤어 케어용 조성물 내에서 증점제, 유화 안정화제 및 보습제로서의 기능을 동시에 발휘한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가교 결합 공중합체
본 발명의 일 측면은 화장료 조성물에 증점 효과, 유화 안정성, 보습력 및 생체 적합성을 부여하는 포스포릴콜린 유사기 함유 단량체 기반의 신규 가교 결합 공중합체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포스포릴콜린 유사기 함유 단량체 기반의 가교 결합 공중합체는 음이온성 단량체, 비이온성 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 포스포릴콜린 유사기 함유 단량체 및 가교 결합제를 포함하고, 상기 음이온성 단량체, 비이온성 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 및 포스포릴콜린 유사기 함유 단량체가 가교 결합제에 의해 가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음이온성 단량체 및 비이온성 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
본 발명에 따른 가교 결합 공중합체에서 음이온성 단량체는 2-아크릴아미도-2-메틸프로판-술폰산(2-acrylamido-2-methylpropane-sulphonic acid, AMPS)이다. 상기 음이온성 단량체인 2-아크릴아미도-2-메틸프로판-술폰산은 증점 효과 및 유화 안정성 등의 관점에서 일부 또는 전부가 염의 형태로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2-아크릴아미도-2-메틸프로판-술폰산의 염의 형태로는 알칼리 금속염(예를 들어 리튬염, 나트륨염, 칼륨염 등), 암모늄염, 또는 아미노 알콜염 등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교 결합 공중합체에서, 비이온성 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는 메틸 아크릴레이트(methyl acrylate), 에틸 아크릴레이트(ethyl acrylate), 프로필 아크릴레이트(propyl acrylate), 부틸 아크릴레이트(butyl acrylate), 2-에틸 헥실 아크릴레이트(2-ethyl hexyl acrylate), 라우릴 아크릴레이트, 스테아릴 아크릴레이트, 벤질 아크릴레이트, 페녹시에틸 아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 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글리콜 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프로필 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부틸 아크릴레이트, 4-하이드록시부틸 아크릴레이트, 메틸 메타크릴레이트(methyl methacrylate), 에틸 메타크릴레이트(ethyl methacrylate), 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 2-에틸 헥실 메타크릴레이트(2-ethyl hexyl methacrylate), 라우릴 메타크릴레이트, 스테아릴 메타크릴레이트, 벤질 메타크릴레이트, 페녹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 메타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글리콜 메타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2-hydroxyethyl methacrylate), 2-하이드록시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2-hydroxypropyl methacrylate), 2-하이드록시부틸 메타크릴레이트(2-hydroxybutyl methacrylate), 4-하이드록시부틸 메타크릴레이트, 스티렌(styrene), 메틸스티렌, 클로로메틸스티렌, 부타디엔(butadiene), 이소프렌(isoprene), 염화비닐(vinyl chloride), 염화비닐리덴(vinylidene chloride), 아크릴로니트릴(acrylonitrile), 메타크릴로니트릴(methacrylonitrile), 메틸비닐 에테르, 부틸비닐 에테르, 비닐 아세테이트(vinyl acetate), 비닐 프로피오네이트(vinyl propionate), 비닐 부티레이트(vinyl butyrate), 비닐 카프로레이트(vinyl caprolate), p-클로로 스티렌(p-chloro styrene), 이소프로필 스티렌(isopropyl styrene), 및 비닐 톨루엔(vinyl toluen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 이상으로 구성되며, 이 중 증점 효과, 유화 안정성, 상업적 입수 용이성, 경제성 등의 관점에서 2-하이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프로필 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부틸 아크릴레이트, 4-하이드록시부틸 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2-hydroxyethyl methacrylate), 2-하이드록시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2-hydroxypropyl methacrylate), 2-하이드록시부틸 메타크릴레이트(2-hydroxybutyl methacrylate), 4-하이드록시부틸 메타크릴레이트 등과 같은 하이드록시기 함유 (메타)아크릴레이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가교 결합 공중합체 내에서 상기 음이온성 단량체 대 비이온성 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의 중량비는 크게 제한되지 않으며, 증점 효과 및 유화 안정성 등의 관점에서 99:1 내지 50:50인 것이 바람직하고, 95:5 내지 70:3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b) 포스포릴콜린 유사기 함유 단량체
본 발명에 따른 가교 결합 공중합체는 적어도 1종의 포스포릴콜린 유사기 함유 단량체를 포함한다. 상기 포스포릴콜린 유사기 함유 단량체는 하기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이다.
[화학식 (1)]
Figure 112011013047269-pat00002
화학식 (1)에서 X는 2가의 유기잔기를 나타내고, Y는 탄소수 1∼6의 알킬렌옥시기를 나타내고, Z는 수소원자 또는 R5-O-CO-(여기서, R5는 탄소수 1∼10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1∼10의 히드록시알킬기를 나타낸다)를 나타낸다. 또, R1은 수소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고, R2, R3 및 R4는 동일 또는 다른 기로서, 수소원자, 탄소수 1∼6의 탄화수소기 또는 히드록시 탄화수소기를 나타낸다. m은 0 또는 1이고, n은 2∼4의 정수이다.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포스포릴콜린 유사기 함유 화합물로는, 예를 들면, 2-((메타)아크릴로일옥시)에틸-2'-(트리메틸암모니오)에틸포스페이트, 3-((메타)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2'-(트리메틸암모니오)에틸포스페이트, 4-((메타)아크릴로일옥시)부틸-2'-(트리메틸암모니오)에틸포스페이트, 5-((메타)아크릴로일옥시)펜틸-2'-(트리메틸암모니오)에틸포스페이트, 6-((메타)아크릴로일옥시)헥실-2'-(트리메틸암모니오)에틸포스페이트, 2-((메타)아크릴로일옥시)에틸-2'-(트리에틸암모니오)에틸포스페이트, 2-((메타)아크릴로일옥시)에틸-2'-(트리프로필암모니오)에틸포스페이트, 2-((메타)아크릴로일옥시)에틸-2'-(트리부틸암모니오)에틸포스페이트, 2-((메타)아크릴로일옥시)프로틸-2'-(트리메틸암모니오)에틸포스페이트, 2-((메타)아크릴로일옥시)부틸-2'-(트리메틸암모니오)에틸포스페이트, 2-((메타)아크릴로일옥시)펜틸-2'-(트리메틸암모니오)에틸포스페이트, 2-((메타)아크릴로일옥시)헥실-2'-(트리메틸암모니오)에틸포스페이트, 2-(비닐옥시)에틸-2'-(트리메틸암모니오)에틸포스페이트, 2-(알릴록시)에틸-2'-(트리메틸암모니오)에틸포스페이트, 2-(p-비닐벤질옥시)에틸-2'-(트리메틸암모니오)에틸포스페이트, 2-(p-비닐벤조일옥시)에틸-2'-(트리메틸암모니오)에틸포스페이트, 2-(스티릴옥시)에틸-2'-(트리메틸암모니오)에틸포스페이트, 2-(p-비닐벤질)에틸-2'-(트리메틸암모니오)에틸포스페이트, 2-(비닐옥시카르보닐)에틸-2'-(트리메틸암모니오)에틸포스페이트, 2-(알릴옥시카르보닐)에틸-2'-(트리메틸암모니오)에틸포스페이트, 2-(아크릴로일아미노)에틸-2'-(트리메틸암모니오)에틸포스페이트, 2-(비닐카르보닐아미노)에틸-2'-(트리메틸암모니오)에틸포스페이트, 2-(알릴옥시카르보닐아미노)에틸-2'-(트리메틸암모니오)에틸포스페이트, 2-(부테로일옥시)에틸-2'-(트리메틸암모니오)에틸포스페이트, 2-(크로토노일옥시)에틸-2'-(트리메틸암모니오)에틸포스페이트, 에틸-(2'-트리메틸암모니오 에틸포스포릴에틸)프말레이트, 부틸-(2'-트리메틸암모니오 에틸포스포릴에틸)프말레이트, 히드록시에틸-(2'-트리메틸암모니오 에틸포스포릴에틸)프말레이트, 에틸-(2'-트리메틸암모니오 에틸포스포릴에틸)프말레이트, 부틸-(2'-트리메틸암모니오 에틸포스포릴에틸)프말레이트, 히드록시에틸-(2'-트리메틸암모니오 에틸포스포릴에틸)프말레이트 등이 있고, 이들은 단독 또는 혼합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의 포스포릴콜린 유사기 함유 화합물 중에서 "((메타)아크릴로일옥시)에틸" 등은 아크릴로일옥시에틸과 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 등을 모두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교 결합 공중합체에 사용되는 포스포릴콜린 유사기 함유 단량체의 종류는 크게 제한되지 않으나, 입수성 및 생체 적합성의 점에서 2-(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2'-(트리메틸암모니오)에틸포스페이트[2-(methacryloyloxy)ethyl-2'-(trimethylammonio)ethylphosphate, 2-메타클리로일옥시에틸포스폴린콜린(2-methacryloyloxyethylphosphorylcholine)이라고도 함, 이하, MPC로 약칭함]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가교 결합 공중합체 내에서 포스포릴콜린 유사기 함유 단량체의 함량은 크게 제한되지 않으나, 증점 효과, 유화 안정성, 보습성 및 생체 적합성의 관점에서 음이온성 단량체 및 비이온성 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를 합한 총 중량의 100 중량부 당 0.1~2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0.5~10 중량부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포스포릴콜린 유사기 함유 단량체의 함량이 음이온성 단량체 및 비이온성 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를 합한 총 중량의 100 중량부 당 0.1 중량부 미만인 경우 가교 결합 공중합체의 보습성 및 생체 적합성이 미비할 염려가 있고, 포스포릴콜린 유사기 함유 단량체의 함량이 음이온성 단량체 및 비이온성 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를 합한 총 중량의 100 중량부 당 20 중량부를 초과하면 가교 결합 공중합체의 증점 효과가 원하는 수준에 이르지 못할 염려가 있다.
(c) 가교 결합제
본 발명에 따른 가교 결합 공중합체는 2개 이상의 불포화 에틸렌 결합기를 가진 적어도 1종의 가교 결합제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가교 결합제는 음이온성 단량체, 비이온성 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 및 포스포릴콜린 유사기 함유 단량체를 가교 결합시켜 네트워크 구조를 형성하고, 본 발명에 따른 가교 결합 공중합체가 넓은 pH 범위 및 염의 존재하에서 안정적인 증점 효과 및/또는 유화 안정화 효과를 가지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교 결합 공중합체에서 가교 결합제는 음이온성 단량체, 비이온성 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 및 포스포릴콜린 유사기 함유 단량체에 포함된 불포화 에틸렌 결합기와 첨가 중합 반응에 의해 결합할 수 있는 것이라면 그 종류는 크게 제한되지 않으며, 구체적으로 에틸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ethylene glycol diacrylate), 에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프로필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propylene glycol diacrylate), 프로필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propylene glycol dimethacrylate), 부틸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butylene glycol diacrylate), 부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butylene glycol dimethacrylate), 헥실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hexylene glycol diacrylate), 헥실렌 클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hexylene glycol dimethacrylate), 디에틸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diethylene glycol diacrylate), 디에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di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트리에틸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triethylene glycol diacrylate), 트리에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tri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테트라에틸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tetraethylene glycol diacrylate), 테트라에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tetra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알릴 아크릴레이트(allyl acrylate), 알릴 메타크릴레이트(allyl methacrylate), 메타알릴 아크릴레이트(methallyl acrylate), 알릴 에타크릴레이트(allyl ethacrylate), 에타알릴 아크릴레이트(ethallyl acrylate), 메타알릴 메타크릴레이트(methallyl methacrylate), 디알릴 프탈레이트(diallyl phthalate), 디알릴 말레이트(diallyl maleate), 디알릴 석시네이트(diallyl succinate), 트리아릴 포스페이트(triallyl phosphate), 디알릴 옥살레이트(diallyl oxalate), 디알릴말로네이트(diallyl malonate), 디알릴 시트레이트(diallyl citrate), 디알릴 푸마레이트(diallyl fumarate), 디알릴 옥시아세테이트, 디알릴 우레아, 디비닐 벤젠(divinyl benzene), 트리비닐 벤젠(trivinyl bezene), 비닐 크로토네이트(vinyl crotonate), N,N-메틸렌-비스-아크릴아마이드(N,N-methylene-bis-acrylamide), 트리메틸올프로판 디알릴 에테르(trimethylolpropane diallyl ether),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알릴 에테르(trimethylolpropane triallyl ether), 디알릴 펜타에리쓰리톨 에테르(diallyl pentaerythritol ether), 트리알릴 펜타에리쓰리톨 에테르(triallyl pentaerythritol ether), 테트라알릴 펜타에리쓰리톨 에테르(tetraallyl pentaerythritol ether), 디알릴 수크로오스 에테르(diallyl sucrose ether), 트리알릴 수크로오스 에테르(triallyl sucrose ether), 및 테트라알릴 수크로오스 에테르(tetraallyl sucrose ether)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물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중 증점 효과, 유화 안정성, 가교 결합 중합체의 제조 과정에서의 반응성 등의 관점에서 N,N-메틸렌-비스-아크릴아마이드(N,N-methylene-bis-acrylamide), 트리메틸올프로판 디알릴 에테르(trimethylolpropane diallyl ether),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알릴 에테르(trimethylolpropane triallyl ether), 디알릴 펜타에리쓰리톨 에테르(diallyl pentaerythritol ether), 트리알릴 펜타에리쓰리톨 에테르(triallyl pentaerythritol ether), 테트라알릴 펜타에리쓰리톨 에테르(tetraallyl pentaerythritol ether), 디알릴 수크로오스 에테르(diallyl sucrose ether), 트리알릴 수크로오스 에테르(triallyl sucrose ether), 및 테트라알릴 수크로오스 에테르(tetraallyl sucrose ether)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물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가교 결합 공중합체 내에서 가교 결합제의 함량은 크게 제한되지 않으나, 다양한 pH 및 염의 조건하에서 증점 효과 및/또는 유화 안정성 효과를 신뢰성 있게 발휘하는 관점에서 음이온성 단량체 및 비이온성 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를 합한 총 중량의 100 중량부 당 0.01~1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0.02~2 중량부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가교 결합제의 함량이 음이온성 단량체 및 비이온성 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를 합한 총 중량의 100 중량부 당 0.01 중량부 미만인 경우 가교 결합 공중합체가 넓은 pH 범위에서 원하는 수준의 증점 효과를 발휘하지 못할 염려가 있고, 가교 결합제의 함량이 음이온성 단량체 및 비이온성 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를 합한 총 중량의 100 중량부 당 10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가교 결합 공중합체의 일부 또는 전부가 물에 용해되지 않아 증점제로서의 용도로 사용하는데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포스포릴콜린 유사기 함유 단량체 기반의 가교 결합 공중합체는 일반적인 자유 라디칼 중합 반응을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침전 중합, 에멀젼 중합, 벌크 중합, 용액 중합, 겔 중합 등에 의해 제조가 가능하며, 이중 에멀젼 중합, 특히 화장료 조성물에서의 사용성 및 분산성의 관점에서 유상을 연속상으로 하고 분산상인 수상에 단량체들을 포함하는 역상 에멀젼 중합이 바람직하다.
역상 에멀젼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화장료 조성물에 증점 효과, 유화 안정성, 보습력 및 생체 적합성을 부여하는 포스포릴콜린 유사기 함유 단량체 기반의 신규 가교 결합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역상 에멀젼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역상 에멀젼은 연속상인 유상에 분산상인 수상이 미세한 입자 형태로 분산되어 있는 유중 수적 형태를 가지며, 상기 수상은 전술한 본 발명의 가교 결합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역상 에멀젼은 바람직하게는 수중 유적형 유화제(O/W 형 유화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역상 에멀젼에서 유상은 연속상으로 존재하며 유상 매질과 유중 수적형 유화제(W/O 형 유화제)를 포함한다. 상기 유상 매질은 물과 혼합되기 어려운 소수성 유기 용제로서 그 종류가 크게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미네랄 오일, 파라핀과 같은 탄화수소(예를 들어 C12~C16의 이소파라핀), 하이드로제네이티드 폴리데센(hydrogenated polydecene)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있으며, 유중 수적형 유화제 존재하에서 수상과의 유화성 등을 고려할 때 하이드로제네이티드 폴리데센(hydrogenated polydecene)인 것이 바람직하다. 역상 에멀젼 내에서 유상 매질의 함량은 역상 에멀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10~40 중량%, 바람직하게는 15~30 중량%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역상 에멀젼은 유중 수적형 유화제(W/O 형 유화제)를 포함하는데, 유중 수적형 유화제는 일반적으로 유상에 포함된다. 유중 수적형 유화제는 에멀젼 내의 유상과 수상의 안정화에 기여하여 상 분리 현상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역상 에멀젼을 안정화시켜 역상 에멀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등을 제조할 때 다른 물질과의 상용성을 증진시켜준다. 유중 수적형 유화제(W/O 형 유화제)는 친수성 친유성 균형값(hydrophilic lipophilic balance, 이하 HLB)이 9 이하를 만족하는 것이라면 공지된 상업적 유화제 등 그 종류가 크게 제한되지 않으며, HLB가 4~6인 것이 바람직하다. 유중 수적형 유화제는 예를 들어 소르비탄 모노라우레이트(Sorbitan monolaurate), 소르비탄 모노팔미테이트(Sorbitan monopalmitate), 소르비탄 모노스테아레이트(Sorbitan monostearate), 소르비탄 트리스테아레이트(Sorbitan tristearate), 소르비탄 모노올리에이트(Sorbitan monooleate), 소르비탄 세스퀴올리에이트(Sorbitan sesquioleate), 글리세릴 라우레이트(Glyceryl laurate),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Glyceryl stearate), 글리콜 스테아레이트(Glycol stearate), 레시틴(Lecithin), 폴리에틸렌글리콜-30 디폴리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PEG-30 Dipolyhydroxystearate), 폴리에틸렌글리콜-4 디라우레이트 (PEG-4 dilaurate), 및 폴리에틸렌글리콜-8 디올리에이트(PEG-8 dioleat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수상과 유상에 대한 유화 능력을 고려할 때 소르비탄 모노올리에이트(Sorbitan monooleate)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외에도 유중 수적형 유화제로 Steareth-2, Oleth-2, Ceteth-2,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와 슈크로스 코코에이트의 혼합물(Sorbitan stearate and sucrose cocate), 메틸 글루코오스 세스퀴스테아레이트(Methyl glucose sesquistearat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역상 에멀젼 내에서 유중 수적형 유화제의 함량은 역상 에멀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1~10 중량%, 바람직하게는 2~6 중량%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역상 에멀젼은 수상을 포함하는데, 수상은 크게 수상 매질과 전술한 본 발명의 가교 결합 공중합체를 포함한다. 수상 매질은 일반적으로 물 또는 물과 다른 친수성 용매의 혼합 용액으로 이루어진다. 역상 에멀젼 내에서 수상 매질의 함량은 역상 에멀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10~40 중량%, 바람직하게는 15~30 중량%이다. 또한, 역상 에멀젼 내에서 가교 결합 공중합체의 함량은 역상 에멀젼 총 중량을 기준으로 20~60 중량%, 바람직하게는 30~50 중량%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역상 에멀젼은 추가적으로 수중 유적형 유화제(O/W 형 유화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수중 유적형 유화제는 일반적으로 수상에 포함되고, HLB가 10 이상을 만족하는 것이라면 공지된 상업적 유화제 등 그 종류가 크게 제한되지 않으며, HLB가 11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2 이상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수중 유적형 유화제는 예를 들어 폴리소르베이트 20(Polysorbate 20), 폴리소르베이트 40(Polysorbate 40), 폴리소르베이트 60(Polysorbate 60), 폴리소르베이트 80(Polysorbate 80), 지방산 또는 지방 알코올의 폴리에틸렌글리콜 에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7 올리베이트(PEG-7 olivate), 폴리에틸렌글리콜-8 라우레이트(PEG-8 laurate), 폴리에틸렌글리콜-60 알몬드 글리세라이드(PEG-60 almond glyceride), 폴리에틸렌글리콜-20 메틸글루코오스세스퀴스테아레이트(PEG-20 methyl glucose sesquistearate), 및 폴리에틸렌글리콜-100 스테아레이트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역상 에멀젼의 상 안정성 관점에서 폴리소르베이트 80(Polysorbate 80)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중 지방산 또는 지방 알코올의 폴리에틸렌글리콜 에테르 형태의 수중 유적형 유화제로는 Laureth-7, Laureth-23, Steareth-20, Steareth-21, Steareth-100, Ceteareth-20, Ceteth-10, Ceteth-20, Isoceteth-20, Oleth-10, Oleth-20 등이 있다. 이외에도 수중 유적형 유화제로 폴리에틸렌글리콜-7 글리세릴 코코에이트(PEG-7 glyceryl cocoate), 스테아르아마이드 MEA(Stearamide MEA), 세테아릴 글루코사이드(Cetearyl glucoside), 폴리글리세릴-3 메틸글루코오스 디스테아레이트(Polyglyceryl-7 methylglucose distearat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역상 에멀젼 내에서 수중 유적형 유화제의 함량은 역상 에멀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1~10 중량%, 바람직하게는 2~6 중량%이다. 본 발명에서 수중 유적형 유화제는 중합에 의한 역상 에멀젼 제조 과정에서 중합 반응 전에 수상 매질에 첨가될 수도 있고, 중합 반응 후의 에멀젼에 첨가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역상 에멀젼은 상기의 물질 이외에도 역상 에멀젼 중합 과정에서 유입되는 중합 촉매, 착화제(complexing agents), 반응 개시제 (initiate agents) 및 연쇄 반응 제한제(chain-limiting agents)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합 촉매로는, 예컨대 AIBN 등이 사용될 수 있는데, 그 함량은 역상 에멀젼 총중량을 기준으로 0.01~0.05 중량%이다. 상기 착화제로서는 예컨대 EDTA (ethylene-diamine tetraacetic acid), NTA(nitrilotriacetic acid), CyDTA (1,2-cyclo-hexadiamine tetraacetic acid) 등이 사용될 수 있고, 반응 개시로는 중아황산나트륨(Sodium bisulfite)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공지의 연쇄반응 제한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착화제, 반응 개시제 및 연쇄 반응 제한제는 고분자 중합 반응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물질로 그 총 함량은 역상 에멀젼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약 0.01~ 0.1 중량%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역상 에멀젼은 역상 에멀젼 중합에 의해 제조되는데, 이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수상 매질인 물에 음이온성 단량체, 비이온성 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 포스포릴콜린 유사기 함유 단량체, 및 가교 결합제를 첨가하고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으로 pH를 약 3~7로 조절하여 수상을 제조한다. 또한, 수상과 별도로 유상 매질인 하이드로제네이티드 폴리데센(hydrogenated polydecene) 등에 유중 수적형 유화제를 첨가하고 교반하여 유상을 제조한다. 중합 반응기에 유상 및 수상을 투입하고 호모믹서 등으로 유화시킨 후 불활성 기체로 퍼지하고 중합 촉매 및 반응 개시제를 투입하고 반응온도를 약 20~50℃로 유지하면서 약 0.5~2시간 동안 중합반응시킨다. 중합반응 완료 후 반응 생성물을 약 60~65℃로 승온시키고 약 2~10시간 동안 숙성시킨다. 숙성된 반응 생성물을 약 45~55℃로 냉각하고 여기에 수중 유적형 유화제를 첨가하고 교반하여 역상 에멀젼을 수득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교 결합 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역상 에멀젼의 제조는 바람직하게는 질소, 이산화탄소, 또는 헬륨 등과 같은 불활성 가스 분위기하에서 행해진다. 또한 중합 촉매는 통상의 라디칼 촉매라면 그 종류가 크게 제한되지 않으며, 구체적으로 아조비스이소부틸로니트릴(Azobisisobutylonitrile, AIBN), 아조비스디메틸발레로니트릴(Azobisdimethylvaleronitrile) 등과 같은 아조 촉매, 벤조일퍼옥사이드(Benzoyl peroxide), 라우로일퍼옥사이드(Lauroyl peroxide), 포타지움퍼설페이트(Potassium persulfate) 등과 같은 과산화물 촉매 등이 있다. 상기 중합 개시제의 상업적인 상품으로는 Dupont사의 Vazo 52, Vazo 64, Vazo 67, Vazo 88 등이 있다. 또한,중합 촉매와 함께 반응 개시를 위해 레독스 시스템(Redox system)을 사용하는데, 레독스 시스템은 중아황산나트륨(Sodium bisulfite), 중황산나트륨(Sodium bisulfate), 제이철 설페이트[iron(Ⅱ) sulfate)와 같은 환원제로 구성된다.
화장료 조성물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전술한 가교 결합 공중합체 또는 이의 역상 에멀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화장료 조성물은 인체를 청결, 미화하여 매력을 더하고 용모를 밝게 변화시키거나 피부, 모발의 건강을 유지 또는 증진하기 위하여 인체에 사용되는 물품으로서, 세정제, 목욕 용제와 같은 개인 위생 관리 물품을 포함하는 광의의 개념이다.
본 발명의 가교 결합 공중합체 또는 이의 역상 에멀젼은 화장료 조성물의 일 성분으로 첨가되며 증점제, 유화 안정제, 및 보습제로서의 역할을 하며 화장료 조성물에 우수한 생체 적합성을 부여한다. 본 발명의 가교 결합 공중합체 또는 이의 역상 에멀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구체적으로 피부 케어용 또는 헤어 케어용의 용도로 사용될 수 있는데, 피부 케어용으로 사용되는 경우 향상된 피부 흡수성, 발림성(도포성), 보습성 등을 보이며, 헤어 케어용으로 사용되는 경우 향상된 용해성 및 손상 모발의 보호 효과 등을 보인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 내의 가교 결합 공중합체 함량은 화장료 조성물의 용도 및 제형에 따라 다양한 범위를 가질 수 있으며, 사용감(예를 들어 발림성), 보습감 등의 관점에서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02~5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0.1~2 중량%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화장료 조성물 내의 역상 에멀젼 함량도 화장료 조성물의 용도 및 제형에 따라 다양한 범위를 가질 수 있으며, 사용감(예를 들어 발림성), 보습감 등의 관점에서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1~1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0.5~5 중량%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케어용 화장료 조성물은 수상 매질 및 상기의 가교 결합 공중합체(또는 역상 에멀젼) 외에 유상 매질로서 고급 지방산, 고급 알코올, 탄화 수소 등을 더 포함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에스테르, 실리콘, 음이온 계면활성제, 양이온 계면 활성제, 양성 계면 활성제, 비이온 계면 활성제, 수용성 고분자, 피막제, 자외선 흡수제, 금속 이온 봉쇄제, 저급 알코올, 다가 알코올, 당, 아미노산, 유기 아민, 고분자 에멀전, pH 조정제, 피부 영양제, 비타민, 산화 방지제, 산화 방지 조제, 향료 등을 적당히 배합하고, 공지의 방법에 의해 화장수, 에센스, 린스, 로션, 왁스 등 목적으로 하는 다양한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헤어 케어용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의 가교 결합 공중합체(또는 역상 에멀젼) 외에 적절한 캐리어, 계면활성제, 향료, 유백제(opacifier), 결합보조제(combing aids), 단백질, 에어로졸 촉진제(aerosol propellents), 겔화제(gelling agent) 등 통상의 첨가제를 1종 이상 포함할 수 있고, 샴푸, 린스, 헤어 고정용 왁스, 헤어 케어용 컨디셔너 등을 포함한 각종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다만,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명확히 설명하는 것일뿐, 본 발명의 보호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1. 포스포릴 유사기 함유 단량체 기반의 가교 결합 공중합체 및 이의 역상 에멀젼의 제조
제조예 1.
수상 혼합 탱크에 물 1003g을 투입하고 여기에 2-하이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 102g, 2-아크릴아미도-2-메틸프로판-술폰산(2-acrylamido-2-methylpropane-sulphonic acid, AMPS) 1642g, 및 MPC 9.5g을 투입한 후 수상 혼합 탱크의 온도를 20℃ 이하로 유지하면서 내용물을 교반에 의해 용해시켰다. 이후, 수상 혼합 탱크에 가교 결합제로 N,N-메틸렌-비스-아크릴아마이드(N,N-methylene-bis-acrylamide) 0.62g을 투입하고 교반한 후, 50%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약 357.5g을 투입하여 내용물의 pH를 약 5.0으로 조정하여 수상을 제조하였다. 또한, 수상의 제조와 별도로 유상 혼합 탱크에 하이드로제네이티드 폴리데센(hydrogenated polydecene, 상품명 : Nexbase 2006) 1100g 및 Span 80(Sorbitan monooleate, KAO사 제품) 162g을 투입하고 교반하여 유상을 제조하였다.
제조한 유상 및 수상을 반응기에 투입하고 반응기의 온도를 20℃ 이하로 유지하면서 호모믹서를 이용하여 5000 rpm의 속도로 30분간 유화시켰다. 유화 후 반응기를 질소로 퍼지(purge)하고, 중합 반응 촉매로 라디칼 촉매인 아조비스이소부틸로니트릴(AIBN) 1.44g을 이소프로판올 10g에 녹인 용액을 반응기에 1분간 투입하였다. 또한, 레독스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반응 개시제로 아황산나트륨(Sodium bisulfate) 1.25g을 물 10g에 녹인 용액을 1시간 동안 투입하면서 중합 반응시켰다. 반응 개시제의 투입에 의한 중합 반응은 발열 반응으로 중합 반응 완료 후 반응기의 온도는 약 60℃이었고, 상기 온도에서 반응 생성물을 약 2시간 동안 숙성시켰다. 숙성 후 반응기의 온도를 50℃로 냉각하고 여기에 Polysorbate 80 (상품명 : Tween 80) 125g을 투입하고 교반하여 가교 결합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역상 에멀젼을 수득하였다. 수득한 역상 에멀젼은 미황색이고, 역상 에멀젼을 3%의 농도로 희석한 수용액의 점도[브룩크필드 RVT 점도계(Brookfield RVT Viscometer)의 스핀들 No.6으로 5 rpm 및 25℃의 조건에서 측정함)는 약 132,000 센티포이즈(centipoise, 이하 cP)이었다.
제조예 2.
수상 제조시 MPC 19.1g을 투입한 점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가교 결합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역상 에멀젼을 수득하였다. 수득한 역상 에멀젼은 미황색이고, 역상 에멀젼을 3%의 농도로 희석한 수용액의 점도[브룩크필드 RVT 점도계(Brookfield RVT Viscometer)의 스핀들 No.6으로 5 rpm 및 25℃의 조건에서 측정함)는 약 130,000 센티포이즈(centipoise, 이하 cP)이었다.
제조예 3.
수상 제조시 MPC 38.2g을 투입한 점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가교 결합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역상 에멀젼을 수득하였다. 수득한 역상 에멀젼은 미황색이고, 역상 에멀젼을 3%의 농도로 희석한 수용액의 점도[브룩크필드 RVT 점도계(Brookfield RVT Viscometer)의 스핀들 No.6으로 5 rpm 및 25℃의 조건에서 측정함)는 약 141,000 센티포이즈(centipoise, 이하 cP)이었다.
비교 제조예 1.
수상 제조시 MPC를 투입하지 않은 점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가교 결합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역상 에멀젼을 수득하였다. 수득한 역상 에멀젼은 미황색이고, 역상 에멀젼을 3%의 농도로 희석한 수용액의 점도[브룩크필드 RVT 점도계(Brookfield RVT Viscometer)의 스핀들 No.6으로 5 rpm 및 25℃의 조건에서 측정함)는 약 122,000 센티포이즈(centipoise, 이하 cP)이었다.
2. 피부 케어용 조성물의 제조 및 이의 상 안정성, 발림성 , 보습성 평가
(1) 피부 케어용 조성물의 제조
실시예 1.
제조예 1에서 제조한 역상 에멀젼을 포함하는 크림 제형의 피부 케어용 조성물을 표 1에서 보이는 조성비로 제조하였다.
성분 성분 함량(중량%)
시클로메티콘 10.0
제조예 1의 역상 에멀젼 0.8
Montanov™ 68 2.0
세트아르 알코올(Cetearyl alcohol) 1.0
보존제 0.65
라이신 0.025
디소듐 EDTA(disodium EDTA) 0.05
잔탄검 0.2
글리세롤 3.0
잔량
실시예 2.
제조예 1에서 제조한 역상 에멀젼 대신 제조예 2에서 제조한 역상 에멀젼을 사용한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크림 제형의 피부 케어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제조예 1에서 제조한 역상 에멀젼 대신 제조예 3에서 제조한 역상 에멀젼을 사용한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크림 제형의 피부 케어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제조예 1에서 제조한 역상 에멀젼 대신 비교 제조예 1에서 제조한 역상 에멀젼을 사용한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크림 제형의 피부 케어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2) 피부 케어용 조성물의 상 안정성 평가
실시예 1~3 및 비교예 1에서 제조한 피부 케어용 조성물을 -5℃에서 1일, 45℃에서 1일간 교대로 저장하는 것을 1주기로 하여 총 5주기 동안 저장 후 상 분리 여부를 육안으로 관찰하여 상 안정성을 평가하였고,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상 안정성 평가 결과
표 2에서 평가 기준은 다음과 같다.
○ : 유상과 수상의 분리가 전혀 관찰되지 않음
△ : 유상과 수상의 분리가 약간 관찰됨
× : 유상과 수상의 분리가 명확하게 관찰됨
(3) 피부 케어용 조성물의 발림성 및 보습성 평가
실시예 1~3 및 비교예 1에서 제조한 피부 케어용 조성물을 피부에 도포하였을 때의 도포감(발림성), 도포 후 피부의 촉촉한 느낌이 유지되는 정도(보습성)에 관하여 패널 테스트를 수행함으로써 피부 케어용 조성물의 발림성 및 보습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표 3 및 표 4에 나타내었다.
도포감(발림성)
패널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PJH 10 10 10 5
MJL 10 10 10 8
LSY 10 10 10 5
LMI 10 10 8 8
SSM 8 8 10 8
PYS 10 10 10 8
HYA 10 10 10 10
KJH 8 10 10 5
YSS 10 10 8 8
KJK 10 10 10 5
(10: 아주 좋음/ 8: 좋음/ 5: 보통/ 3: 나쁨/ 1: 아주 나쁨)
도포 후 피부의 촉촉한 느낌이 유지되는 정도(보습성)
패널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PJH 10 10 10 8
MJL 10 10 10 5
LSY 10 10 10 3
LMI 10 10 10 5
SSM 10 10 10 5
PYS 10 10 8 8
HYA 8 10 10 5
KJH 10 10 10 8
YSS 10 10 10 3
KJK 10 10 10 3
(10: 아주 좋음/ 8: 좋음/ 5: 보통/ 3: 나쁨/ 1: 아주 나쁨)
3. 헤어 케어용 조성물의 제조 및 이의 모발 컨디셔닝 효과 평가
(1) 헤어 케어용 조성물의 제조
실시예 4.
물 40.05g을 혼합조에 넣고 가온하면서 제조예 1에서 제조한 역상 에멀젼 0.8g을 넣은 다음, 프로필렌글리콜 1g을 넣고 75℃로 가온하였다.
소듐 라우릴 술페이트(Sodium lauryl sulfate) 18g, 소듐 라우레스 술페이트(Sodium laureth sulfate) 17g, 코코지방산 디에탄올아마이드(Cocofatty acid diethanolamide) 2.5g, 코카미도 프로필 베타인(Cocamido propyl betain) 8g, 소이아미도프로필아민 옥사이드(Soyamidopropylamine oxide) 3g, 세티아릴 알코올(Cetearyl alcohol) 0.5g, 디소듐 코코암포디아세테이트(Disodium Cocoamphodiacetate) 2g, 에틸렌 글리콜 디스티아레이트(Ethylene glycol distearate) 0.6g, 폴리글리세릴-2 카프레이트(Polyglyceryl-2 caprate) 2g, 시클로펜타실록산 (및) 디메티코놀(Cyclopentasiloxane and Dimethiconol) 0.5g, 디메티콘(Dimethicone) 1g 및 테트라소듐 EDTA(Tetrasodium EDTA) 0.05g을 상기 혼합조에 투입하여 75℃에서 균일하게 될 때까지 30분 정도 혼합한 후 45℃로 냉각하였다.
이어서 알란티온(Alantion) 0.05g, 메틸 클로로이소티아졸리논 & 메틸 이소티아졸리논(Methyl chloroisothiazolinone & Methyl isothiazolinone) 0.05g, DL-판테놀(DL-Panthenol) 0.1g, 시트르산 0.5g 및 향성분(Fragrance) 0.3g을 상기 혼합조에 투입하여 45℃에서 균일하게 될 때까지 혼합함으로써, 헤어 케어용 조성물 100g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5.
제조예 1에서 제조한 역상 에멀젼 대신 제조예 2에서 제조한 역상 에멀젼을 사용한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4와 동일한 방법으로 헤어 케어용 조성물 100g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6.
제조예 1에서 제조한 역상 에멀젼 대신 제조예 3에서 제조한 역상 에멀젼을 사용한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4와 동일한 방법으로 헤어 케어용 조성물 100g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제조예 1에서 제조한 역상 에멀젼 대신 비교 제조예 1에서 제조한 역상 에멀젼을 사용한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4와 동일한 방법으로 헤어 케어용 조성물 100g을 제조하였다.
(2) 헤어 케어 조성물의 모발 컨디셔닝 효과 평가
실시예 4~6 및 비교예 2에서 제조한 각각의 헤어 케어용 조성물을 머리에 도포 후 머리를 감을 때의 느낌, 젖은 상태의 빗질, 건조 후 빗질, 모발의 볼륨감, 모발의 윤기 등에 관하여 패널 테스트를 수행함으로써 헤어 케어 조성물의 모발 컨디셔닝 효과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5 내지 표 9에 나타내었다.
감을 때의 느낌
패널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비교예 2
PJH 10 10 10 5
MJL 8 10 8 5
LSY 10 10 10 5
LMI 10 10 10 8
SSM 10 10 10 8
PYS 10 10 10 8
HYA 10 10 10 5
KJH 8 10 10 8
YSS 10 10 10 5
KJK 10 10 10 5
(10: 아주 좋음/ 8: 좋음/ 5: 보통/ 3: 나쁨/ 1: 아주 나쁨)
젖은 상태의 빗질
패널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비교예 2
PJH 10 10 10 5
MJL 10 10 10 3
LSY 8 10 10 5
LMI 8 10 10 8
SSM 10 10 10 5
PYS 10 10 10 3
HYA 10 10 10 5
KJH 10 10 10 5
YSS 10 10 10 5
KJK 8 10 8 8
(10: 아주 좋음/ 8: 좋음/ 5: 보통/ 3: 나쁨/ 1: 아주 나쁨)
건조 후 빗질
패널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비교예 2
PJH 10 10 8 5
MJL 10 10 10 8
LSY 10 10 10 5
LMI 10 10 10 3
SSM 10 10 8 5
PYS 10 10 10 3
HYA 8 10 10 3
KJH 10 10 10 5
YSS 10 10 10 5
KJK 8 10 10 5
(10: 아주 좋음/ 8: 좋음/ 5: 보통/ 3: 나쁨/ 1: 아주 나쁨)
모발의 볼륨감
패널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비교예 2
PJH 10 10 10 3
MJL 10 10 10 5
LSY 10 10 8 5
LMI 10 10 10 3
SSM 10 10 10 3
PYS 10 10 10 5
HYA 8 10 10 5
KJH 8 10 10 5
YSS 10 10 10 8
KJK 10 10 10 8
(10: 아주 좋음/ 8: 좋음/ 5: 보통/ 3: 나쁨/ 1: 아주 나쁨)
모발의 윤기
패널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비교예 2
PJH 10 10 10 5
MJL 8 10 10 5
LSY 10 10 10 5
LMI 10 10 10 8
SSM 10 10 10 8
PYS 10 10 10 3
HYA 8 10 10 3
KJH 10 10 10 3
YSS 10 10 10 5
KJK 10 10 10 5
(10: 아주 좋음/ 8: 좋음/ 5: 보통/ 3: 나쁨/ 1: 아주 나쁨)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을 상기의 실시예를 통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반드시 여기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주와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의 본질적인 범주를 벗어나지 않고서도 많은 변형을 실시하여 특정 상황 및 재료를 본 발명의 교시내용에 채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본 발명을 실시하는데 계획된 최상의 양식으로서 개시된 특정 실시 태양으로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에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 속하는 모든 실시 태양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20)

  1. 음이온성 단량체, 비이온성 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 및 포스포릴콜린 유사기 함유 단량체가 가교 결합제에 의해 가교 결합된 가교결합 중합체로서,
    상기 음이온성 단량체는 2-아크릴아미도-2-메틸프로판-술폰산(2-acrylamido-2-methylpropane-sulphonic acid, AMPS)이고,
    상기 비이온성 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는 메틸 아크릴레이트(methyl acrylate), 에틸 아크릴레이트(ethyl acrylate), 프로필 아크릴레이트(propyl acrylate), 부틸 아크릴레이트(butyl acrylate), 2-에틸 헥실 아크릴레이트(2-ethyl hexyl acrylate), 라우릴 아크릴레이트, 스테아릴 아크릴레이트, 벤질 아크릴레이트, 페녹시에틸 아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 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글리콜 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프로필 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부틸 아크릴레이트, 4-하이드록시부틸 아크릴레이트, 메틸 메타크릴레이트(methyl methacrylate), 에틸 메타크릴레이트(ethyl methacrylate), 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 2-에틸 헥실 메타크릴레이트(2-ethyl hexyl methacrylate), 라우릴 메타크릴레이트, 스테아릴 메타크릴레이트, 벤질 메타크릴레이트, 페녹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 메타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글리콜 메타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2-hydroxyethyl methacrylate), 2-하이드록시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2-hydroxypropyl methacrylate), 2-하이드록시부틸 메타크릴레이트(2-hydroxybutyl methacrylate), 4-하이드록시부틸 메타크릴레이트, 스티렌(styrene), 메틸스티렌, 클로로메틸스티렌, 부타디엔(butadiene), 이소프렌(isoprene), 염화비닐(vinyl chloride), 염화비닐리덴(vinylidene chloride), 아크릴로니트릴(acrylonitrile), 메타크릴로니트릴(methacrylonitrile), 메틸비닐 에테르, 부틸비닐 에테르, 비닐 아세테이트(vinyl acetate), 비닐 프로피오네이트(vinyl propionate), 비닐 부티레이트(vinyl butyrate), 비닐 카프로레이트(vinyl caprolate), p-클로로 스티렌(p-chloro styrene), 이소프로필 스티렌(isopropyl styrene), 및 비닐 톨루엔(vinyl toluen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포스포릴콜린 유사기 함유 단량체는 2-(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2'-(트리메틸암모니오)에틸포스페이트[2-(methacryloyloxy)ethyl-2'-trimethylammonio)ethylphosphate]이고,
    상기 음이온성 단량체 대 비이온성 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의 중량비는 99:1 내지 50:50이고,
    상기 가교결합제는 N,N-메틸렌-비스-아크릴아마이드(N,N-methylene-bis-acrylamide), 트리메틸올프로판 디알릴 에테르(trimethylolpropane diallyl ether),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알릴 에테르(trimethylolpropane triallyl ether), 디알릴 펜타에리쓰리톨 에테르(diallyl pentaerythritol ether), 트리알릴 펜타에리쓰리톨 에테르(triallyl pentaerythritol ether), 테트라알릴 펜타에리쓰리톨 에테르(tetraallyl pentaerythritol ether), 디알릴 수크로오스 에테르(diallyl sucrose ether), 트리알릴 수크로오스 에테르(triallyl sucrose ether), 및 테트라알릴 수크로오스 에테르(tetraallyl sucrose ether)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스포릴콜린 유사기 함유 단량체 기반의 가교 결합 공중합체.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음이온성 단량체인 2-아크릴아미도-2-메틸프로판-술폰산은 적어도 일부 또는 전부가 염의 형태로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스포릴콜린 유사기 함유 단량체 기반의 가교 결합 공중합체.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2-아크릴아미도-2-메틸프로판-술폰산의 염의 형태는 알칼리 금속염, 암모늄염, 또는 아미노 알콜염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스포릴콜린 유사기 함유 단량체 기반의 가교 결합 공중합체.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교 결합 공중합체 내에서 포스포릴콜린 유사기 함유 단량체의 함량은 음이온성 단량체 및 비이온성 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를 합한 총 중량의 100 중량부 당 0.1~20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스포릴콜린 유사기 함유 단량체 기반의 가교 결합 공중합체.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교 결합 공중합체 내에서 가교 결합제의 함량은 음이온성 단량체 및 비이온성 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를 합한 총 중량의 100 중량부 당 0.01~10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스포릴콜린 유사기 함유 단량체 기반의 가교 결합 공중합체.
  8. 삭제
  9. 연속상인 유상에 분산상인 수상이 미세한 입자 형태로 분산되어 있는 유중 수적 형태의 에멀젼으로서,
    상기 수상은 제 1항, 제 3항, 제 4항, 제 5항 및 제 7항 중 어느 한 항의 가교 결합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상 에멀젼.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역상 에멀젼 내에서 가교 결합 공중합체의 함량은 역상 에멀젼 총 중량을 기준으로 30~6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상 에멀젼.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유상은 유상 매질로 하이드로제네이티드 폴리데센(hydrogenated polydecene)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상 에멀젼.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유상은 유중 수적형 유화제를 포함하고, 상기 유중 수적형 유화제는 소르비탄 모노라우레이트(Sorbitan monolaurate), 소르비탄 모노팔미테이트(Sorbitan monopalmitate), 소르비탄 모노스테아레이트(Sorbitan monostearate), 소르비탄 트리스테아레이트(Sorbitan tristearate), 소르비탄 모노올리에이트(Sorbitan monooleate), 소르비탄 세스퀴올리에이트(Sorbitan sesquioleate), 글리세릴 라우레이트(Glyceryl laurate),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Glyceryl stearate), 글리콜 스테아레이트(Glycol stearate), 레시틴(Lecithin), 폴리에틸렌글리콜-30 디폴리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PEG-30 Dipolyhydroxystearate), 폴리에틸렌글리콜-4 디라우레이트 (PEG-4 dilaurate), 및 폴리에틸렌글리콜-8 디올리에이트(PEG-8 dioleat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상 에멀젼.
  13. 제 9항에 있어서, 수중 유적형 유화제(O/W 형 유화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상 에멀젼.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수중 유적형 유화제는 폴리소르베이트 20(Polysorbate 20), 폴리소르베이트 40(Polysorbate 40), 폴리소르베이트 60(Polysorbate 60), 폴리소르베이트 80(Polysorbate 80), 지방산 또는 지방 알코올의 폴리에틸렌글리콜 에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7 올리베이트(PEG-8 olivate), 폴리에틸렌글리콜-8 라우레이트(PEG-8 laurate), 폴리에틸렌글리콜-60 알몬드 글리세라이드(PEG-60 almond glyceride), 폴리에틸렌글리콜-20 메틸글루코오스세스퀴스테아레이트(PEG-20 methyl glucose sesquistearate), 및 폴리에틸렌글리콜-100 스테아레이트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상 에멀젼.
  15. 제 1항, 제 3항, 제 4항, 제 5항 및 제 7항 중 어느 한 항의 가교 결합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케어용 조성물 또는 헤어 케어용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17.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 내의 가교 결합 공중합체 함량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2~5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18. 제 9항의 역상 에멀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케어용 조성물 또는 헤어 케어용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20.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 내의 역상 에멀젼 함량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1~1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110015972A 2011-01-20 2011-02-23 포스포릴콜린 유사기 함유 단량체 기반의 가교 결합 공중합체, 역상 에멀젼 및 화장료 조성물 KR1012662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5972A KR101266245B1 (ko) 2011-02-23 2011-02-23 포스포릴콜린 유사기 함유 단량체 기반의 가교 결합 공중합체, 역상 에멀젼 및 화장료 조성물
PCT/KR2012/000416 WO2012099384A2 (ko) 2011-01-20 2012-01-18 포스포릴콜린 유사기 함유 단량체 기반의 가교 결합 공중합체, 역상 에멀젼 및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5972A KR101266245B1 (ko) 2011-02-23 2011-02-23 포스포릴콜린 유사기 함유 단량체 기반의 가교 결합 공중합체, 역상 에멀젼 및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6711A KR20120096711A (ko) 2012-08-31
KR101266245B1 true KR101266245B1 (ko) 2013-05-22

Family

ID=468865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5972A KR101266245B1 (ko) 2011-01-20 2011-02-23 포스포릴콜린 유사기 함유 단량체 기반의 가교 결합 공중합체, 역상 에멀젼 및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624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56745A1 (ko) * 2016-09-22 2018-03-29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수용성 증점제
KR101970307B1 (ko) * 2017-03-31 2019-04-18 이기현 엔진오일 기능 향상제 조성물
CN114015516B (zh) * 2021-11-19 2024-02-23 烟台新时代健康产业日化有限公司 一种用于油包水型物质的清洗剂及其制备、使用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07132B1 (ko) 1996-07-31 2001-09-24 우노 마사야스 가용화제, 유화제 및 분산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07132B1 (ko) 1996-07-31 2001-09-24 우노 마사야스 가용화제, 유화제 및 분산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6711A (ko) 2012-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30322B2 (ja) 水溶性ポリマーおよびそれの用途
DE60020098T2 (de) Flüssige polymerdispersionen, ihre herstellung und verwendung
JP5528118B2 (ja) (メタ)アクリル酸/(メタ)アクリル酸アルキルエステル共重合体および、それを配合した化粧料
JP2922176B2 (ja) 少なくとも90%中和した架橋ポリ(2−アクリルアミド−2−メチルプロパンスルホン酸)で安定化したゲル化水中油型超微小エマルション及びその調製方法並びにその応用
JP2002205915A (ja) 酸性の化粧用、医薬用及び皮膚用剤
JP2000234085A (ja) 会合性増粘剤および増粘組成物
JP3708531B2 (ja) 増粘剤及びこれを配合した化粧料
BRPI0117227B1 (pt) Composições cosméticas, farmacêuticas e dermatológicas contendo polímero obtenível por copolimerização via radicais livres de mistura de monômeros
KR20140007433A (ko) 아크릴산 풍부 amps 고분자의 알칼리 팽윤성 에멀젼을 이용하는 화장품 제제 증점 방법
KR101266245B1 (ko) 포스포릴콜린 유사기 함유 단량체 기반의 가교 결합 공중합체, 역상 에멀젼 및 화장료 조성물
CN102917686B (zh) 自可逆反相胶乳,及其在化妆品组合物中作为增稠剂的用途
KR20100133111A (ko) 안정한 역상 에멀젼
KR20120031879A (ko) 유화 조성물
WO2014077173A1 (ja) 水中油型乳化組成物
JP2007534641A (ja) 頭髪化粧料におけるn−ビニルカプロラクタムに基づくポリマーの使用
JP6948176B2 (ja) 化粧料
JP2012144534A (ja) ホスホリルコリン単位を含む架橋共重合体及びそれを含む化粧料組成物
KR101249687B1 (ko) 포스포릴콜린 유사기 함유 단량체 기반의 가교 결합 공중합체, 역상 에멀젼 및 화장료 조성물
JP4233918B2 (ja) ポリマー粒子
JP4424677B2 (ja) 増粘剤
JP2007126394A (ja) 多層型化粧料
JP4133740B2 (ja) 頭皮頭髪用組成物
KR20180035623A (ko) 증점제 및 안정화제의 기능을 하는 분말 형태의 새로운 반 상호 침투성 격자형 중합체
JP2007039360A (ja) 皮膚化粧料
CN111031997A (zh) 用于除去皮肤上的化妆品的包含疏水性聚合物的组合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