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26568A - 저소모 전력용 단일 위상 래치 회로 - Google Patents

저소모 전력용 단일 위상 래치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26568A
KR20000026568A KR1019980044160A KR19980044160A KR20000026568A KR 20000026568 A KR20000026568 A KR 20000026568A KR 1019980044160 A KR1019980044160 A KR 1019980044160A KR 19980044160 A KR19980044160 A KR 19980044160A KR 20000026568 A KR20000026568 A KR 200000265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verter buffer
buffer circuit
clock signal
signal
latch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441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선
이상웅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800441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26568A/ko
Publication of KR200000265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6568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3/00Circuits for generating electric pulses; Monostable, bistable or multistable circuits
    • H03K3/02Generat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ircuit or by the means used for producing pulses
    • H03K3/353Generat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ircuit or by the means used for producing pulses by the use, as active elements, of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internal or external positive feedback
    • H03K3/356Bistable circuits
    • H03K3/3562Bistable circuits of the master-slave type
    • H03K3/35625Bistable circuits of the master-slave type using complementary field-effect transisto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3/00Circuits for generating electric pulses; Monostable, bistable or multistable circuits
    • H03K3/01Details
    • H03K3/012Modifications of generator to improve response time or to decrease power consumption

Landscapes

  • Logic Circuits (AREA)
  • Manipulation Of Pul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소모 전력용 단일 위상 Q 래치 회로에 관한 것으로, 래치 회로는 제 1 및 제 2의 3 상 인버터 버퍼와 인버터 버퍼를 포함하고 있다. 제 1 및 제 2의 3 상 인버터 버퍼의 제어 신호로 사용되는 클럭 신호가 하이 레벨이 되면 제 1의 3 상 인버터 버퍼와 인버터 버퍼가 인에이블되어 동작되고, 클럭 신호가 로우 레벨이 되면, 상기 피드백되는 제 2의 3 상 인버터 버퍼와 인버터 버퍼 만이 인에이블되어 동작된다. 따라서 클럭 신호가 비활성화되면, 상기 제 1의 인버터 버퍼가 디세이블됨으로서 전력 소모를 막을 수 있다.

Description

저소모 전력용 단일 위상 래치 회로(SINGLE PHASE LATCH CIRCUIT FOR LOW POWER CONSUMPTION)
본 발명은 래치(latch) 회로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 저소모 전력용 단일 위상(single phase)의 출력 신호 Q 래치 회로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의 래치 회로는 메모리(memory)의 구성 요소로서, 클럭(clock)이 인에이블(enable)되었을 때 입력은 출력으로 보내고, 클럭이 디세이블(disable)되는 경우에는 이전의 값을 계속 유지한다.
따라서 이전의 값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트랜스미션 게이트(4)와 제 2 인버터 버퍼 회로(8)로 구성된 피드백(feedback) 회로가 필요하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래치 회로(10)는 제 1 및 제 2 트랜스미션 게이트(2, 4)와 제 1 및 제 2 인버터 버퍼(6, 8)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제 1 트랜스미션 게이트(2)는 클럭 신호(CK)에 응답해서 입력 신호(D)를 상기 제 1 인버터 버퍼(6)의 입력 단으로 전달한다.
상기 제 1 인버터 버퍼(6)는 상기 제 1 트랜스미션 게이트(2)의 출력 신호를 받아서 이를 반전하여 출력한다.
상기 제 2 트랜스미션 게이트(4)는 상기 클럭 신호(CK)의 반전된 클럭 신호( )에 응답해서 상기 제 2 인버터 버퍼(8)의 출력 신호를 받아들여서 상기 제 1 인버터 버퍼(6)의 입력 단으로 전달한다.
그리고 상기 제 2 인버터 버퍼(8)는 상기 제 1 인버터 버퍼(6)의 출력 신호를 피드백(feedback)하고, 그리고 상기 제 2 트랜스미션 게이트(2)의 입력 단으로 반전하여 출력한다.
그리고 상기 래치 회로(10)의 인에이블(enable)/디세이블(disable)에 따른 경로는 도 2/도3의 10a/10b로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도 4는 도 1의 래치 회로(10)를 피드백으로 인한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하여 고안된 래치 회로(20)이다.
상기 래치 회로(20)는 도 1에 도시된 래치 회로(10)의 트랜스미션 게이트(4)와 인버터 버퍼(8)를 3 상 인버터 버퍼(30)로 구비하여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줄인 저전력 설계용이다.
상기 3 상 인버터 버퍼(30)는 인버터 버퍼(32)와 PMOS트랜지스터들(34, 36) 및 NMOS 트랜지스터들(38, 40)로 구비된다.
그러나 이 구조는 단일 위상의 제 2 출력 신호(QB)를 기본으로 하여 구비된 것으로, 단일 위상의 제 1 출력 신호(Q)는 상기 출력 신호(QB)에 인버터 버퍼를 추가하여 구비해야 한다. 따라서 추가되는 인버터 버퍼로 인하여 전력 손실이 발생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단일 위상의 출력 신호 Q를 기본 출력으로 하는 저소모 전력용 래치 회로를 구현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래치 회로의 구성을 도시한 회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래치 회로에서 동작이 디세이블된 경우를 나타내는 회로도;
도 3은 도 1에 도시한 래치 회로에서 동작이 인에이블된 경우를 나타내는 회로도;
도 4는 종래 기술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저소모 전력용 래치 회로의 구성을 도시한 회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3 상 인버터 버퍼의 상세한 구성을 도시한 회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소모 전력용 래치 회로의 구성을 도시한 회로도; 그리고
도 7은 도 6에 도시한 제 1 및 제 2의 3 상 인버터 버퍼의 상세한 구성을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0 : 래치 회로 110 : 제 1의 3 상 인버터 버퍼
112, 120 : 인버퍼 버퍼 114, 116 : PMOS 트랜지스터
118, 132 : NMOS 트랜지스터 30 : 제 2의 3 상 인버터 버퍼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특징에 의하면, 저소모 전력용 래치 회로에 있어서: 입력 신호를 받아들이고 클럭 신호가 활성화될 때, 상기 입력 신호를 반전하여 출력하는 제 1의 3 상 인버터 버퍼 회로와; 상기 제 1의 3 상 인버터 버퍼 회로의 출력 신호를 받아서 이를 반전하여 출력하는 인버터 버퍼 회로 및; 상기 클럭 신호의 반전된 클럭 신호에 응답해서 상기 인버터 버퍼의 출력 신호를 피드백하고, 상기 인버터 버퍼 회로의 입력 신호로 반전하여 출력하는 제 2의 3 상 인버터 버퍼 회로를 포함한다.
이 특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클럭 신호가 비활성화되면, 상기 제 1의 3 상 인버터 버퍼 회로가 디세이블되어 전력 소모를 줄인다.
이 특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의 3 상 인버터 버퍼 회로는: 소스 단자가 전원 전압을 인가하고 게이트 단자가 상기 반전된 클럭 신호를 받아들이는 제 1 PMOS 트랜지스터와; 소스 단자가 상기 제 1 PMOS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단자에 연결되고 게이트 단자가 상기 입력 신호를 받아들이며, 드레인 단자가 상기 출력 신호를 출력하는 제 2 PMOS 트랜지스터와; 드레인 단자가 상기 제 2 PMOS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단자에 연결되고, 게리트 단자가 상기 입력 신호를 받아들이는 제 1 NMOS 트랜지스터 및; 드레인 단자가 상기 제 1 NMOS 트랜지스터의 소스 단자에 연결되고 게이트 단자가 상기 클럭 신호를 받아들이며 소스 단자가 접지되는 제 2 NMOS 트랜지스터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클럭 신호가 하이 레벨이 되면 제 1의 3 상 인버터 버퍼와 인버터 버퍼가 인에이블되어 동작되고, 클럭 신호가 로우 레벨이 되면, 상기 피드백되는 제 2의 3 상 인버터 버퍼와 인버터 버퍼가 인에이블되어 동작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소모 전력용 래치 회로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래치 회로(100)는 제 1 및 제 2의 3 상 인버터 버퍼(110, 130)와 인버터 버퍼(12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제 1의 3 상 인버터 버퍼(110)는 클럭 신호(CK)에 응답해서 입력 신호(D)를 반전하여 출력한다.
상기 인버터 버퍼(120)는 상기 제 1의 3 상 인버터 버퍼(110)의 출력 신호를 받아서 이를 반전하여 단일 위상 출력 신호(Q)를 출력한다.
그리고 상기 제 2의 3 상 인버터 버퍼(130)는 반전된 클럭 신호( )에 응답해서 상기 인버터 버퍼(120)의 출력 신호를 상기 인버터 버퍼(120)의 입력 단으로 피드백(feedback)한다.
따라서 상기 클럭 신호(CK)가 하이 레벨(high level)이 되면 즉, 로직 1이면 제 1의 3 상 인버터 버퍼(110)와 인버터 버퍼(120)가 인에이블(enable)되어 동작되고, 상기 클럭 신호(CK)가 로우 레벨(low level)이 되면, 상기 피드백되는 제 2의 3 상 인버터 버퍼(130)와 인버터 버퍼(120)가 인에이블(enable)되어 동작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및 제 2의 3 상 인버터 버퍼(110, 13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버터 버퍼(112)와 제 1 내지 제 2 PMOS 트랜지스터(114, 116) 및 제 1 및 제 2 NMOS 트랜지스터(118, 132)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PMOS 트랜지스터(114)는 소스 단자가 전원 전압(Vdd)을 인가하고 게이트 단자가 상기 반전된 클럭 신호( )를 받아들인다.
제 2 PMOS 트랜지스터(116)는 소스 단자가 상기 제 1 PMOS 트랜지스터(114)의 드레인 단자에 연결되고 게이트 단자가 입력 신호(A)를 받아들이며, 드레인 단자가 출력 신호(Y)를 출력한다.
상기 제 1 NMOS 트랜지스터(118)는 드레인 단자가 상기 제 2 PMOS 트랜지스터(116)의 드레인 단자에 연결되고, 게이트 단자가 상기 입력 신호(A)를 받아들인다.
그리고 상기 제 2 NMOS 트랜지스터(132)는 드레인 단자가 상기 제 1 NMOS 트랜지스터(118)의 소스 단자에 연결되고 게이트 단자가 상기 클럭 신호(CK)를 받아들이며 소스 단자가 접지(ground)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래치 회로는 클럭 신호가 비활성화되면, 상기 제 1의 인버터 버퍼의 동작이 중지됨으로서 전력 소모를 막을 수 있다.

Claims (3)

  1. 저소모 전력용 래치 회로에 있어서:
    입력 신호를 받아들이고 클럭 신호가 활성화될 때, 상기 입력 신호를 반전하여 출력하는 제 1의 3 상 인버터 버퍼 회로와;
    상기 제 1의 3 상 인버터 버퍼 회로의 출력 신호를 받아서 이를 반전하여 출력하는 인버터 버퍼 회로 및;
    상기 클럭 신호의 반전된 클럭 신호에 응답해서 상기 인버터 버퍼의 출력 신호를 피드백하고, 상기 인버터 버퍼 회로의 입력 신호로 반전하여 출력하는 제 2의 3 상 인버터 버퍼 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치 회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럭 신호가 비활성화되면, 상기 제 1의 3 상 인버터 버퍼 회로가 디세이블되어 전력 소모를 줄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치 회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의 3 상 인버터 버퍼 회로는:
    소스 단자가 전원 전압을 인가하고 게이트 단자가 상기 반전된 클럭 신호를 받아들이는 제 1 PMOS 트랜지스터와;
    소스 단자가 상기 제 1 PMOS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단자에 연결되고 게이트 단자가 입력 신호를 받아들이며, 드레인 단자가 출력 신호를 출력하는 제 2 PMOS 트랜지스터와;
    드레인 단자가 상기 제 2 PMOS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단자에 연결되고, 게이트 단자가 상기 입력 신호를 받아들이는 제 1 NMOS 트랜지스터 및;
    드레인 단자가 상기 제 1 NMOS 트랜지스터의 소스 단자에 연결되고 게이트 단자가 상기 클럭 신호를 받아들이며 소스 단자가 접지되는 제 2 NMOS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치 회로.
KR1019980044160A 1998-10-21 1998-10-21 저소모 전력용 단일 위상 래치 회로 KR2000002656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4160A KR20000026568A (ko) 1998-10-21 1998-10-21 저소모 전력용 단일 위상 래치 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4160A KR20000026568A (ko) 1998-10-21 1998-10-21 저소모 전력용 단일 위상 래치 회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6568A true KR20000026568A (ko) 2000-05-15

Family

ID=195548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44160A KR20000026568A (ko) 1998-10-21 1998-10-21 저소모 전력용 단일 위상 래치 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2656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58786B2 (en) 2004-05-15 2008-04-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ntrol signal generator, latch circuit, flip flop and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ons of the flip-flop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58786B2 (en) 2004-05-15 2008-04-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ntrol signal generator, latch circuit, flip flop and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ons of the flip-flop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20418B1 (en) Self-timed pipelined datapath system and asynchronous signal control circuit
US20060017483A1 (en) Pulse-based high-speed low-power gated flip-flop circuit
US6563357B1 (en) Level converting latch
US6621306B2 (en) Random logic circuit
KR970013732A (ko) 멀티파워를 사용하는 데이타 출력버퍼
KR100896177B1 (ko) 고속 플립플롭
US6339343B1 (en) Data I/O buffer control circuit
US5789956A (en) Low power flip-flop
KR100446303B1 (ko) Mtcmos용 클럭드 스캔 플립플롭
JP3632819B2 (ja) 半導体装置の入力バッファ
US6160422A (en) Power saving clock buffer
KR20000026568A (ko) 저소모 전력용 단일 위상 래치 회로
KR970031312A (ko) 3-상태회로의 출력 안정화회로
KR100486119B1 (ko) 고속대칭 버퍼형 반도체집적회로의 전압레벨 쉬프터
US6970018B2 (en) Clocked cycle latch circuit
JP3789251B2 (ja) レジスタ回路及びラッチ回路
KR100314732B1 (ko) 논리합회로를이용한상태머신
KR19990002136A (ko) 어드레스 천이 검출회로
KR100333696B1 (ko) 스탠바이전류감소를위한입력버퍼
JP3769310B2 (ja) 入力回路
KR100457336B1 (ko) 더블 에지 트리거 플립 플롭 회로
KR100244415B1 (ko) 고속으로 동작하는 단일 또는 이중 에지 트리거 플립플롭 회로
KR100541802B1 (ko) 반도체 칩 및 이 칩들을 구비한 시스템
KR100446284B1 (ko) 누설전류를 방지할 수 있는 양방향 입출력버퍼
KR100211078B1 (ko) 하프 래치 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