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26120A - 헤드볼트 압입장치 - Google Patents

헤드볼트 압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26120A
KR20000026120A KR1019980043505A KR19980043505A KR20000026120A KR 20000026120 A KR20000026120 A KR 20000026120A KR 1019980043505 A KR1019980043505 A KR 1019980043505A KR 19980043505 A KR19980043505 A KR 19980043505A KR 20000026120 A KR20000026120 A KR 200000261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say
shock absorber
head bolt
cylinder
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435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우진
최문현
Original Assignee
밍 루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밍 루,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밍 루
Priority to KR10199800435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26120A/ko
Publication of KR200000261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6120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9/00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 B23P19/02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for connecting objects by press fit or for detaching same
    • B23P19/027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for connecting objects by press fit or for detaching same using hydraulic or pneumatic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9/00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 B23P19/04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27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the articles being treated, e.g. manufactured, repaired, assembled, connected or other operations covered in the subgroups
    • B23P2700/14Suspension elements of automobile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헤드볼트 압입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 하부의 범퍼 러버가 안착할 수 있도록 쇽 업소버의 로드 장착부에 단을 형성하기 위한 헤드볼트 압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헤드볼트 압입장치는 쇽 업소버를 상하로 리프팅시키기 위한 워크 리프팅 어세이와, 상기 리프팅 어세이를 고정시켜주기 위한 프레임 어세이와, 상기 워크 리프팅 어세이에 의해 상승된 쇽 업소버를 잡아주기 위한 클램핑 어세이와, 상기 클램핑 어세이에 의해 고정된 쇽 업소버의 상부 중심선상에 소재를 위치시키기 위한 워크 피더 어세이와, 상기 워크 피더 어세이에 의해 위치된 소재를 이송 및 척킹하여 압입행정하는 척킹 앤 프레싱 어세이로 구성되어 헤드볼트 압입작업이 쉬워지고 단순 자동화됨으로서 생산효율이 증대되고, 품질의 향상이 이루어지며,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헤드볼트 압입장치
본 발명은 헤드볼트 압입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 하부의 범퍼 러버가 안착할 수 있도록 쇽 업소버의 로드 장착부에 헤드 볼트를 고정시키기 위한 헤드볼트 압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용 쇽 업소버는 바디의 마운터에 고정되는 바, 상기한 마운터에 쇽 업소버를 고정시키기 위해서 쇽 업소버 상단에 헤드볼트가 압입된다.
상기 헤드볼트는 쇽 업소버를 제작시에 제일 마지막 공정에 압입하는 것으로, 로드의 상단에는 자동차의 하부에 있는 범퍼 러버와 연결시키기 위하여 형성되는 나사부와 오일 씰링을 위해 연마 처리된 부분이 있는 데, 이 두 부위를 나누기 위하여 유압 실린더를 이용해 나사 부위의 하단부에 헤드 볼트를 압입하는 것이다.
상기한 헤드 볼트를 압입하는 경우에는 삽입 깊이와 삽입 위치등을 정확하게 조절해야 하는 바, 그 중요성은 이루 말할 수 없다.
그러나, 종래에는 쇽 업소버에 헤드 볼트라는 부품이 장착되지 않았으므로 헤드 볼트를 삽입하기 위한 설비를 필요로 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쇽 업소버에 헤드 볼트를 압입하기 위한 압입장치를 제공하고 나아가서는 압입부위와 척킹부위가 협소한 상태에서도 쇽업소버에 헤드 볼트를 압입할 수 있는 헤드볼트 압입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헤드볼트 압입장치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2 는 도 1의 측면도.
도 3 은 도 1의 평면도.
도 4 내지 도 5 는 본 발명의 이송 및 척킹 행정을 보여주는 척킹 앤 프레싱 어세이의 단면도.
도 6 은 본 발명의 쇽 업소버를 압입하는 행정을 보여주는 척킹 앤 프레싱 어세이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파레트 12 프레임
13 통과홈 14 작업 플레이트
15 자석 16 이송 실린더
17 가이드 18 제1제한 블록
19 제2제한 블록 20 이스케이프 실린더
21 로드레스 실린더 22 척 실린더
23 수직 실린더 24 압박 부재
25 로드 클램프 실린더 26 로드
28 하우징 30 플랜지 커버
32,42 커버 34 푸셔
36 헤드 38 브라켓
40 가이드 로드 44 실린더 로드
46 콜렛 48 조오
50 마그네트 100 척킹 앤 프레싱 어세이
110 워크 피더 어세이 112 클램프 어세이
114 워크 리프팅 어세이 116 프레임 어세이
본 발명의 헤드볼트 압입장치는 쇽 업소버를 상하로 리프팅시키기 위한 워크 리프팅 어세이와, 상기 워크 리프팅 어세이를 고정시켜주기 위한 프레임 어세이와, 상기 워크 리프팅 어세이에 의해 상승된 쇽 업소버를 잡아주기 위한 클램핑 어세이와, 상기 클램핑 어세이에 의해 고정된 쇽 업소버의 상부 중심선상에 소재를 위치시키기 위한 워크 피더 어세이와, 상기 워크 피더 어세이에 의해 위치된 소재를 이송 및 척킹하여 압입행정하는 척킹 앤 프레싱 어세이로 구성된다.
상기 척킹 앤 프레싱 어세이는 상기 쇽 업소버를 잡아주기 위한 콜렛과 조오가 구비되고, 상기 콜렛의 내측에 삽입되어 상기 조오를 압압하는 푸셔와, 압압되는 하중을 측정할 수 있도록 상기 콜렛의 외측에 인디케이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쇽 업소버가 위치 고정된 파레트가 통과하는 프레임과, 상기한 파레트 상면에 위치되도록 프레임에 고정됨과 아울러 쇽 업소버의 로드가 통과되도록 통과홈이 길게 형성된 작업 플레이트와, 상기한 작업 플레이트 상면 중앙부에 고정됨과 아울러 하부 종단에 헤드 볼트를 일시 고정시킬 수 있도록 자석이 설치된 이송 실린더와, 상기한 자석에 피이더로부터 공급되는 헤드볼트를 이송시키도록 설치된 이송 수단과, 상기한 쇽 업소버 로드가 유동되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클램핑 수단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헤드볼트 압입장치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쇽 업소버(S)를 상하로 리프팅시키기 위한 워크 리프팅 어세이(114)와, 상기 리프팅 어세이(114)를 고정시켜주기 위한 프레임 어세이(116)와, 상기 워크 리프팅 어세이(114)에 의해 상승된 쇽 업소버(S)를 잡아주기 위한 클램핑 어세이(112)와, 상기 클램핑 어세이(112)에 의해 고정된 쇽 업소버(S)의 상부 중심선상에 소재를 위치시키기 위한 워크 피더 어세이(110)와, 상기 워크 피더 어세이(10)에 의해 위치된 소재를 이송 및 척킹하여 압입행정하는 척킹 앤 프레싱 어세이(100)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척킹 앤 프레싱 어세이(100)는 상기 쇽 업소버(S)를 잡아주기 위한 콜렛(46)과 조오(48)가 구비되고, 상기 콜렛(46)의 내측에 삽입되어 상기 조오(48)를 압압하는 푸셔(34)와, 압압되는 하중을 측정할 수 있도록 상기 콜렛(46)의 외측에 인디케이터(56)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컨베이어(미도시됨)에 안착됨과 아울러 쇽 업소버(S)가 위치 고정된 파레트(11)가 통과하는 프레임(12)과, 상기한 파레트(11) 상면에 위치되도록 프레임(12)에 고정됨과 아울러 쇽 업소버(S)의 로드가 통과되도록 통과홈(13)이 길게 형성된 작업 플레이트(14)와, 상기한 작업 플레이트(14) 상면 중앙부에 고정됨과 아울러 하부 종단에 헤드볼트(H)를 일시 고정시킬 수 있도록 자석(15)이 설치된 이송 실린더(16)와, 상기한 자석(15)에 피이더(F)로부터 공급되는 헤드볼트(H)를 이송시키도록 설치된 이송 수단과, 상기한 쇽 업소버(S) 로드가 유동하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클램핑 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헤드볼트 압입장치를 보여주는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측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평면도이다.
파레트(10)를 구비하고 쇽 업소버(S)를 상하 상승하강시키기 위한 워크 리프팅 어세이(114)가 프레임 어세이(116)의 내측 하부에 설치되고, 제 1 및 제 2제한블록(18,19)이 구비되고 상기 워크 리프팅 어세이(14)의 상부에서 상승된 쇽 업소버(S)를 가이드(17)를 이용하여 홀딩시키기 위한 클램프 어세이(112)가 설치되며, 또한 상기 클램프 어세이(112)의 연속된 중심선상의 상부에는 상기 프레임 어세이(116)의 외측에 설치된 피이더(F)에 의해 공급되는 소재를 이동시키기 위한 워크 피더 어세이(110)가 설치된다.
계속해서, 상기 워크 피더 어세이(110)의 상부에는 척 앤 프레싱 어세이(100)가 설치되고, 상기 척 앤 프레싱 어세이(100)에는 이송 실린더(16)에 의해 상하로 움직이며 소재를 척킹하기 위한 척 실린더(22)가 구비되어 있다.
이때, 클램프 어세이(112)에 구비된 상기 제 1 및 제 2제한블록(18,19)의 상부에는 가이드(17)에 의해 지지되는 작업 플레이트(14)가 설치되어 있다.
특히, 상기한 작업 플레이트(14) 저면에는 쇽 업소버(S)를 한정함과 아울러 높이를 제한할 수 있도록 높이 보상 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바, 이는 작업 플레이트(14) 저면에 가이드(17)로 결합되어 수평 운동 가능함과 아울러 높이가 상이하여 쇽 업소버(S)의 상승 높이를 각각 제한하는 제1, 2제한 블록(18,19)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이송 수단은 피이더(F)로부터 공급되는 헤드볼트(H)를 이동시켜 공급 위치로 이동시키는 이스케이프 실린더(20)와, 상기한 이송 실린더(16)의 자석(15) 위치로 수평 이동시키는 로드레스 실린더(21)와, 상기한 이송 실린더(11)에 설치되어 승강됨과 아울러 헤드볼트(H)를 그립하도록 척 실린더(22)가 설치된 수직 실린더(23)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한 클램핑 수단은 통과홈(13)을 중심으로 대향 설치됨과 아울러 대향되는 종단에 압박 부재(24)가 설치된 로드 클램프 실린더(25)로 구성되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작용 효과를 살펴보면 컨베이어와 파레트(10)를 타고 쇽 업소버(S)가 이송되면 상기한 작업 플레이트(14)의 통과홈(13)에 쇽 업소버 로드가 위치된다.
쇽 업소버 로드가 통과홈(13)에 위치되면 로드 클램프 실린더(25)가 동작되고, 상기한 로드 클램프 실린더(25)에 연결된 압박 부재(24)가 상기한 쇽 업소버 로드를 그립하게 됨으로써 쇽 업소버의 유동을 방지하게 된다.
쇽 업소버의 로드가 그립되면 상기한 피이더(F)로부터 일정 위치로 공급된 헤드볼트(H)를 이스케이프 실린더(20)가 밀게 되고, 상기한 헤드볼트(H)는 수직 실린더(23)가 하강하면서 척 실린더(22)가 잡게 된다.
상기한 자석(15)에 헤드볼트(H)를 부착시키게 되면 헤드볼트(H)의 직경에 관계없이 헤드볼트(H)를 이송 실린더(16) 저면에 부착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헤드볼트(H)가 자석(15)에 부착되면 상기한 이송 실린더(16)가 하강하게 됨과 아울러 상기한 하강에 의해 쇽 업소버의 로드 상면에 헤드볼트(H)를 결합시키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한 쇽 업소버(S)의 크기가 변경되면 상기한 제1, 2제한 블록(18, 19)을 쇽 업소버(S)에 밀착되도록 이동시키게 되는 바, 예를 들면, 전륜, 후륜 쇽 업소버의 높이가 상이하기 때문에 파레트(10)의 상승 시 정확한 쇽 업소버(S)의 작업 위치를 확보하기 위하여 상기한 제1, 2제한 블록(18, 19)으로 쇽 업소버(S)를 제한하게 되는 것이다.
계속해서, 도 4 내지 도 5 는 본 발명의 이송 및 척킹 행정을 보여주는 척킹 앤 프레싱 어세이의 단면도이고, 도 6 은 본 발명의 쇽 업소버를 압입하는 행정을 보여주는 척킹 앤 프레싱 어세이 단면도이다.
커넥터(50)가 로드(26)의 내측에 종방향으로 삽입되어 상승하강하도록 설치되고, 하우징(28)이 로드(26)의 외측에 결합되며, 상기 로드(26)와 하우징(28)의 상하단부에는 플랜지 상하 커버(30,32)가 끼워져서 하우징(28)과 로드(26)가 분리되지 않고 이동될 수 있도록 고정한다.
상기 커넥터(50)의 하단에는 푸셔(34)가 삽입 고정되고, 그 외측으로는 콜렛(46)이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되며, 상기 푸셔(34)의 하단에 설치됨과 동시에 콜렛(46)의 내측에는 조오(48)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콜렛(46)의 외측에는 실린더 로드(44)와 커버(42)와 헤드(36)가 설치되고, 상기 헤드(36)의 우측으로는 브라켓(38)에 의해 가이드 로드(40)가 설치되어 하우징(28)의 상하 이동시 직진성을 갖도록 도와준다.
그리고, 콜렛(46)의 하단부에는 자석(15)이 설치되고, 자석(15)은 프레스 지그(52)의 내측에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 로드(40)의 하부에는 프레스 지그(52)와 연결되도록 인디케이터(56)가 설치되고, 그 인디케이터(56)의 좌측부에 리니어 게이지(54)가 설치된다.
이때, 쇽 업소버(S)가 파레트(10)에 의해 도착되면 그 파레트(10)가 상승되고 스페이서 실린더가 이동하여 쇽 업소버(S)가 상승되면 로드 클램프 실린더(25)가 전진하여 쇽 업소버(S)를 클램핑 한다. 로드 클램프 실린더(25)에 의해 고정된 워크는 상부에 설치된 이송 실린더(16)가 하강하고 콜렛 실린더가 전진하여 워크를 잡게된다.
그리고, 상부에 설치된 압입 실린더가 하강 이동함과 동시에 인디케이터(56)에 의해 헤드 볼트(H)가 감지되면 이스케이프 실린더가 전진함과 동시에 슬라이드 테이블이 하강하고 척실린더가 전진한다.
다시, 슬라이드 테이블이 상승하고 가이드 실린더가 상승하면 척 실린더가 후진함과 동시에 가이드 실린더가 하강하여 로드레스 실린더(21)의 전진이 이루어지며, 가이드 실린더를 따라 척킹 앤 프레싱 어세이가 상승하강하여 헤드볼트(H)를 압입한 후 로드레스 실린더(21)가 후진하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헤드볼트 압입장치는 쇽업소버의 헤드볼트 압입작업이 단순 자동화됨으로서 생산효율이 증대되고, 품질의 향상이 이루어지며,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쇽 업소버를 상하로 리프팅시키기 위한 워크 리프팅 어세이와,
    상기 리프팅 어세이를 고정시켜주기 위한 프레임 어세이와,
    상기 워크 리프팅 어세이에 의해 상승된 쇽 업소버를 잡아주기 위한 클램핑 어세이와,
    상기 클램핑 어세이에 의해 고정된 쇽 업소버의 상부 중심선상에 소재를 위치시키기 위한 워크 피더 어세이와,
    상기 워크 피더 어세이에 의해 위치된 소재를 이송 및 척킹하여 압입행정하는 척킹 앤 프레싱 어세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볼트 압입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척킹 앤 프레싱 어세이는 상기 쇽 업소버를 잡아주기 위한 콜렛과 조오가 구비되고, 상기 콜렛의 내측에 삽입되어 상기 조오를 압압하는 푸셔와, 압압되는 하중을 측정할 수 있도록 상기 콜렛의 외측에 인디케이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볼트 압입장치.
  3. 쇽 업소버가 위치 고정된 파레트가 통과하는 프레임과, 상기한 파레트 상면에 위치되도록 프레임에 고정됨과 아울러 쇽 업소버의 로드가 통과되도록 통과홈이 길게 형성된 작업 플레이트와, 상기한 작업 플레이트 상면 중앙부에 고정됨과 아울러 하부 종단에 헤드볼트를 일시 고정시킬 수 있도록 자석이 설치된 이송 실린더와, 상기한 자석에 피이더로부터 공급되는 헤드볼트를 이송시키도록 설치된 이송 수단과, 상기한 쇽 업소버 로드가 유동하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클램핑 수단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볼트 압입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한 작업 플레이트 저면에 쇽 업소버를 한정함과 아울러 높이를 제한할 수 있도록 설치된 높이 보상 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볼트 압입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한 높이 보상 수단은 작업 플레이트 저면에 가이드로 결합되어 수평 운동 가능함과 아울러 높이가 상이하여 쇽 업소버의 상승 높이를 각각 제한하는 제1, 2제한 블록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볼트 압입장치.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한 이송 수단은 피이더로부터 공급되는 헤드볼트를 이동시켜 공급 위치로 이동시키는 이스케이프 실린더와, 상기한 이송 실린더의 자석 위치로 수평 이동시키는 이송 실린더와, 상기한 이송 실린더에 설치되어 승강됨과 아울러 헤드볼트를 그립하도록 척 실린더가 설치된 수직 실린더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볼트 압입장치.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한 클램핑 수단은 통과홈을 중심으로 대향 설치됨과 아울러 대향되는 종단에 압박 부재가 설치된 로드 클램프 실린더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볼트 압입장치.
KR1019980043505A 1998-10-17 1998-10-17 헤드볼트 압입장치 KR2000002612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3505A KR20000026120A (ko) 1998-10-17 1998-10-17 헤드볼트 압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3505A KR20000026120A (ko) 1998-10-17 1998-10-17 헤드볼트 압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6120A true KR20000026120A (ko) 2000-05-15

Family

ID=195543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43505A KR20000026120A (ko) 1998-10-17 1998-10-17 헤드볼트 압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26120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8329B1 (ko) * 2004-04-28 2007-08-09 주식회사 만도 쇽업소버의 범퍼러버 삽입기
CN103170844A (zh) * 2013-04-07 2013-06-26 隆昌山川精密焊管有限责任公司 一种贮液筒分总成压装整口辅具
CN111085844A (zh) * 2020-01-07 2020-05-01 煌太阳科技有限公司 一种c-eps高效压装上管柱的装置
CN113478208A (zh) * 2021-06-28 2021-10-08 东风汽车零部件(集团)有限公司襄阳粉末冶金分公司 一种发动机球头球窝自动压装机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55368A (ja) * 1991-12-04 1993-06-22 Mazda Motor Corp 車両用サスペンションの組立方法
JPH05229463A (ja) * 1991-06-19 1993-09-07 Sanyo Mach Works Ltd ショックアブソーバ組立装置
KR19990057214A (ko) * 1997-12-29 1999-07-15 오상수 쇼크업소버의 캡 자동 조립 장치 및 그 방법
KR19990030098U (ko) * 1997-12-29 1999-07-26 오상수 쇽업쇼바의 헤드볼트 가압용 실린더와 콜렛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29463A (ja) * 1991-06-19 1993-09-07 Sanyo Mach Works Ltd ショックアブソーバ組立装置
JPH05155368A (ja) * 1991-12-04 1993-06-22 Mazda Motor Corp 車両用サスペンションの組立方法
KR19990057214A (ko) * 1997-12-29 1999-07-15 오상수 쇼크업소버의 캡 자동 조립 장치 및 그 방법
KR19990030098U (ko) * 1997-12-29 1999-07-26 오상수 쇽업쇼바의 헤드볼트 가압용 실린더와 콜렛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8329B1 (ko) * 2004-04-28 2007-08-09 주식회사 만도 쇽업소버의 범퍼러버 삽입기
CN103170844A (zh) * 2013-04-07 2013-06-26 隆昌山川精密焊管有限责任公司 一种贮液筒分总成压装整口辅具
CN111085844A (zh) * 2020-01-07 2020-05-01 煌太阳科技有限公司 一种c-eps高效压装上管柱的装置
CN113478208A (zh) * 2021-06-28 2021-10-08 东风汽车零部件(集团)有限公司襄阳粉末冶金分公司 一种发动机球头球窝自动压装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5342590U (zh) 一种液压缸头的车用夹具
CN108747413B (zh) 全自动法兰加工流水线
CN112025365B (zh) 采用机器人上下料方式的缸盖毛坯的加工夹具
CN113145734A (zh) 一种标准节主角钢冲孔设备及冲孔加工方法
KR20000026120A (ko) 헤드볼트 압입장치
JP3075456B2 (ja) プレス加工におけるプレートの送り方法及びその機構
CN214080108U (zh) 多通道阀的阀盖组装结构
CN211682482U (zh) 保险杠冲孔及安装雷达支架的一体化工装设备
CN107791010B (zh) 一种密封圈套装机构
CN206952579U (zh) 电子产品金属件用cnc中心定位底座
CN210676560U (zh) 一种五金加工用多孔冲压模具
CN211516532U (zh) 适于挖掘机动臂的搭焊工装
CN210080482U (zh) 用于汽车仪表横梁冲孔的装置
CN110509564B (zh) 一种汽车油管对接插管设备
CN107175528A (zh) 一种基于搬运机器人的铸件锥套的上料机构
CN215469991U (zh) 一种工件外表面自动研磨设备
CN219152268U (zh) 一种螺栓上料装置
CN215200892U (zh) 一种曲轴托架横移装置
KR930010588B1 (ko) 반송가공물의 클램프장치
CN219853064U (zh) 一种磁铁压合治具
CN218461508U (zh) 一种手柄四轴立加液压夹具
CN213104032U (zh) 一种汽车前门开关面板模具
CN218696218U (zh) 一种铸件弹性定位器
CN214067476U (zh) 一种压头机构及镜头组装设备
CN210524533U (zh) 一种立式液压工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