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25235A - 이동통신 교환기에서 액티브/스탠드바이 로컬 링크 pba간 프레임 펄스를 자동으로 동기시켜 주는 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교환기에서 액티브/스탠드바이 로컬 링크 pba간 프레임 펄스를 자동으로 동기시켜 주는 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25235A
KR20000025235A KR1019980042234A KR19980042234A KR20000025235A KR 20000025235 A KR20000025235 A KR 20000025235A KR 1019980042234 A KR1019980042234 A KR 1019980042234A KR 19980042234 A KR19980042234 A KR 19980042234A KR 20000025235 A KR20000025235 A KR 200000252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pulse
pba
active
local link
source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422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규호
최승혁
김배형
Original Assignee
김영환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환,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환
Priority to KR10199800422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25235A/ko
Publication of KR200000252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5235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7/00Arrangements for synchronising receiver with transmitter
    • H04L7/02Speed or phase control by the received code signals, the signals containing no special synchronisation information
    • H04L7/033Speed or phase control by the received code signals, the signals containing no special synchronisation information using the transitions of the received signal to control the phase of the synchronising-signal-generating means, e.g. using a phase-locked loo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4Backbone network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교환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액티브 로컬 링크 PBA에서 출력되는 프레임 펄스와 스탠드바이 로컬 링크 PBA에서 출력되는 프레임 펄스의 동기를 맞춰주는 이동통신 교환기에서 액티브/스탠드바이 로컬 링크 PBA간 프레임 펄스를 자동으로 동기시켜 주는 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교환기에서 액티브/스탠드바이 로컬 링크 PBA간 프레임 펄스를 자동으로 동기시켜 주는 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의하면, 스탠드바이 상태에 있는 로컬 링크 PBA가 액티브 상태에 있는 로컬 링크 PBA에서 발생하는 프레임 펄스를 입력한 후, 계속해서 자신의 프레임 펄스와 동기를 맞춰 줌으로써, 절체동작 수행시 데이터 전송 에러 현상을 막아줄 수 있다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이동통신 교환기에서 액티브/스탠드바이 로컬 링크 PBA간 프레임 펄스를 자동으로 동기시켜 주는 장치 및 그 제어방법
본 발명은 이동통신 교환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액티브(Active) 로컬(Local) 링크(Link) PBA(Print Board Assembly; 이하 PBA라 칭함.)에서 출력되는 프레임 펄스(Frame Pulse)와 스탠드바이(Standby) 로컬 링크 PBA에서 출력되는 프레임 펄스의 동기를 맞춰주는 이동통신 교환기에서 액티브/스탠드바이 로컬 링크 PBA간 프레임 펄스를 자동으로 동기시켜 주는 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로컬 링크 PBA는 액티브 로컬 링크 PBA와 스탠드바이 로컬 링크 PBA 각각 다른 사이드에 장착되어 동작되는데, 액티브 로컬 링크 PBA와 스탠드바이 로컬 링크 PBA는 절체동작을 통해 액티브/스탠드바이 동작을 변경해서 수행함으로, 한쪽의 로컬 링크 PBA가 고장시에도 정상적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해준다.
또한, 액티브 로컬 링크 PBA 및 스탠드바이 로컬 링크 PBA에서 출력되는 프레임 펄스는 TSW(Time Switch)의 트렁크 보드(Trunk Board)에 장착된 버퍼 메모리(Buffer Memory)의 동작시작점을 결정하게 됨으로, 데이터 전송시 송신시점의 타이밍을 맞춰주는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종래 이동통신 교환기의 프레임 펄스 공급장치는, 액티브 로컬 링크 PBA 및 스탠드바이 로컬 링크 PBA에 각각 2개씩의 위상동기루프(Phase Lock Loop; 이하 PLL이라 칭함.)이 장착되어 클럭(Clock)을 공급하게 되는데, 첫 번째 PLL은 32.768MHz 망동기 클럭을 인가받아 19.44MHz의 클럭을 생성하고, 두 번째 PLL은 첫 번째 PLL에서 출력한 19.44MHz의 클럭을 인가받아 16.384MHz의 클럭을 생성하게 된다.
그러면, 액티브 로컬 링크 PBA 및 스탠드바이 로컬 링크 PBA에 각각 장착되어 있는 프레임 펄스 생성부는 두 번째 PLL에서 출력한 16.384MHz의 클럭을 입력하여 프레임 펄스를 생성한 후 트렁크 보드로 출력하게 된다.
그러나, 액티브 로컬 링크 PBA에 장착된 PLL과 스탠드바이 로컬 링크 PBA에 장착된 PLL은 각각의 PLL 내부에 장착된 증폭기 및 전압제어 오실레이터 등의 내부장치 특성에 따라 록(Lock)되는 속도가 다르게 되고, 이로인해 양쪽 PLL에 기반해서 발생되는 액티브 로컬 링크 PBA의 프레임 펄스 위치와 스탠드바이 로컬 링크 PBA의 프레임 펄스 위치 사이에는 많은 차이가 발생하게 되는데, 최고 14㎲까지의 간격이 발생된다.
따라서, 액티브 로컬 링크 PBA와 스탠드바이 로컬 링크 PBA가 절체동작을 수행할 때, 각각의 로컬 링크 PBA에서 발생되는 프레임 펄스가 상이하게 발생되기 때문에, 데이터 송신시점의 타이밍이 틀려지게 됨으로 TSW의 트렁크 보드에 장착된 버퍼 메모리의 동작 시작점이 틀려져서 데이터 전송 에러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스탠드바이 상태에 있는 로컬 링크 PBA는 액티브 상태에 있는 로컬 링크 PBA에서 발생하는 프레임 펄스를 입력한 후, 계속해서 자신의 프레임 펄스와 동기를 맞춰 주는 동작을 수행하여, 절체동작 수행시 스탠드바이 로컬 링크 PBA가 액티브 상태가 되더라도 동일한 프레임 펄스를 공급해 줄 수 있도록 하는 이동통신 교환기에서 액티브/스탠드바이 로컬 링크 PBA간 프레임 펄스를 자동으로 동기시켜 주는 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 이동통신 교환기에서 액티브/스탠드바이 로컬 링크 PBA간 프레임 펄스를 자동으로 동기시켜 주는 장치는,
절체동작 수행시 액티브/스탠드바이 동작을 변경해서 수행하며, 프레임 펄스를 생성하여 TSW의 트렁크 보드로 전송하는 A측 로컬 링크 PBA 및 B측 로컬 링크 PBA로 구성된 프레임 펄스 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A측 로컬 링크 PBA는 망동기 클럭인 32MHz를 입력하여 19MHz 클럭으로 변환시켜 출력하는 제 1 PLL과; 상기 제 1 PLL에서 출력한 19MHz 클럭을 입력하여 16MHz 클럭으로 변환시켜 출력하는 제 2 PLL과; 액티브/스탠드바이 절체 동작이 이루어졌는가를 감시하여 절체동작이 이루어지면 절체신호를 출력하는 제 1 액티브 절체 감시부와; 액티브 절체신호가 입력되면 지연신호를 출력하고, 스탠드바이 절체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B측 로컬 링크 PBA에서 생성한 프레임 펄스 소스신호를 입력받아 출력하는 제 1 지연 카운터부와; 상기 제 1 지연 카운터부에서 지연신호가 공급되면 자신이 생성한 프레임 펄스 소스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 1 지연 카운터부에서 상대편 프레임 펄스 소스신호가 공급되면 그 신호를 입력하여 통과시키는 제 1 로드 생성부와; 상기 제 2 PLL에서 출력한 16MHz 클럭과 상기 제 1 로드 생성부에서 출력한 프레임 펄스 소스신호를 입력받아 프레임 펄스를 생성하고, 이후 트렁크 보드로 공급하는 제 1 프레임 펄스 생성부로 구성되고,
상기 B측 로컬 링크 PBA는 망동기 클럭인 32MHz를 입력하여 19MHz 클럭으로 변환시켜 출력하는 제 3 PLL과; 상기 제 3 PLL에서 출력한 19MHz 클럭을 입력하여 16MHz 클럭으로 변환시켜 출력하는 제 4 PLL과; 액티브/스탠드바이 절체 동작이 이루어졌는가를 감시하여 절체동작이 이루어지면 절체신호를 출력하는 제 2 액티브 절체 감시부와; 액티브 절체신호가 입력되면 지연신호를 출력하고, 스탠드바이 절체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A측 로컬 링크 PBA에서 생성한 프레임 펄스 소스신호를 입력받아 출력하는 제 2 지연 카운터부와; 상기 제 2 지연 카운터부에서 지연신호가 공급되면 자신이 생성한 프레임 펄스 소스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 2 지연 카운터부에서 상대편 프레임 펄스 소스신호가 공급되면 그 신호를 입력하여 통과시키는 제 2 로드 생성부와; 상기 제 4 PLL에서 출력한 16MHz 클럭과 상기 제 2 로드 생성부에서 출력한 프레임 펄스 소스신호를 입력받아 프레임 펄스를 생성하고, 이후 트렁크 보드로 공급하는 제 2 프레임 펄스 생성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교환기에서 액티브/스탠드바 이 로컬 링크 PBA간 프레임 펄스를 자동으로 동기시켜 주는 장치의구성을 나타낸 기능블록도,
도 2 는 도 1 에 따른 이동통신 교환기에서 액티브/스탠드바이 로컬 링크 PBA간 프레임 펄스를 자동으로 동기시켜 주는 장치중 제 1 지연 카운터부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회로도,
도 3 은 도 1 에 따른 이동통신 교환기에서 액티브/스탠드바이 로컬 링크PBA간 프레임 펄스를 자동으로 동기시켜 주는 장치중 제 1 로드 생성부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회로도,
도 4 는 도 1 에 따른 이동통신 교환기에서 액티브/스탠드바이 로컬 링크 PBA간 프레임 펄스를 자동으로 동기시켜 주는 장치중 제 1 프레임 펄스 생성부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회로도,
도 5 는 도 1 에 따른 이동통신 교환기에서 액티브/스탠드바이 로컬 링크 PBA간 프레임 펄스를 자동으로 동기시켜 주는 장치중 제 2 지연 카운터부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회로도,
도 6 은 도 1 에 따른 이동통신 교환기에서 액티브/스탠드바이 로컬 링크 PBA간 프레임 펄스를 자동으로 동기시켜 주는 장치중 제 2 로드 생성부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회로도,
도 7 은 도 1 에 따른 이동통신 교환기에서 액티브/스탠드바이 로컬 링크 PBA간 프레임 펄스를 자동으로 동기시켜 주는 장치중 제 2 프레임 펄스 생성부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회로도,
도 8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교환기에서 액티브/스탠드바이 로컬 링크 PBA간 프레임 펄스를 자동으로 동기시켜 주는 장치에서 최초 A측 로컬 링크 PBA가 액티브 상태일때의 동작과정을 나타낸 동작플로우챠트,
도 9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교환기에서 액티브/스탠드바이 로컬 링크 PBA간 프레임 펄스를 자동으로 동기시켜 주는 장치에서 최초 B측 로컬 링크 PBA가 액티브 상태일때의 동작과정을 나타낸 동작플로우챠트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0 : A측 로컬 링크 PBA 1100 : 제 1 PLL
1200 : 제 2 PLL 1300 : 제 1 액티브 절체 감시부
1400 : 제 1 지연 카운터부 1410 : 카운터
1420 : 플립플롭 1430 : 앤드 게이트
1500 : 제 1 로드 생성부 1510 : 소스신호 생성부
1511 : 플립플롭 1512 : 오어 게이트
1513 : 플립플롭 1520 : 액티브 로드 생성부
1521 : 플립플롭 1522 : 오어 게이트
1523 : 인버터 1524 : 오어 게이트
1530 : 로드 소스 선택부 1531 : 앤드 게이트
1532 : 멀티플렉서 1600 : 제 1 프레임 펄스 생성부
1610 : 카운터 1620 : 플립플롭
1630 : 인버터 1640 : 오어 게이트
1650 : 플립플롭 2000 : B측 로컬 링크 PBA
2100 : 제 3 PLL 2200 : 제 4 PLL
2300 : 제 2 액티브 절체 감시부 2400 : 제 2 지연 카운터부
2410 : 카운터 2420 : 플립플롭
2430 : 앤드 게이트 2500 : 제 2 로드 생성부
2510 : 소스신호 생성부 2511 : 플립플롭
2512 : 오어 게이트 2513 : 플립플롭
2520 : 액티브 로드 생성부 2521 : 플립플롭
2522 : 오어 게이트 2523 : 인버터
2524 : 오어 게이트 2530 : 로드 소스 선택부
2531 : 앤드 게이트 2532 : 멀티플렉서
2600 : 제 2 프레임 펄스 생성부 2610 : 카운터
2620 : 플립플롭 2630 : 인버터
2640 : 오어 게이트 2650 : 플립플롭
이하, 상술한 내용을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통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교환기에서 액티브/스탠드바이 로컬 링크 PBA간 프레임 펄스를 자동으로 동기시켜 주는 장치를 나타낸 기능블록도로서, A측 로컬 링크 PBA(1000)는 제 1 PLL(1100)과, 제 2 PLL(1200)과, 제 1 액티브 절체 감시부(1300)와, 제 1 지연 카운터부(1400)와, 제 1 로드 생성부(1500) 및 제 1 프레임 펄스 생성부(1600)로 구성되고, B측 로컬 링크 PBA(2000)는 제 3 PLL(2100)과, 제 4 PLL(2200)과, 제 2 액티브 절체 감시부(2300)와, 제 2 지연 카운터부(2400)와, 제 2 로드 생성부(2500) 및 제 2 프레임 펄스 생성부(2600)로 구성된다.
도 2 는 상기 제 1 지연 카운터부(1400)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회로도이고, 도 3 은 상기 제 1 로드 생성부(1500)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회로도이며, 도 4 는 상기 제 1 프레임 펄스 생성부(1600)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회로도이다.
또한, 도 5 는 상기 제 2 지연 카운터부(2400)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회로도이고, 도 6 은 상기 제 2 로드 생성부(2500)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회로도이며, 도 7 은 상기 제 2 프레임 펄스 생성부(2600)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회로도이다.
이때, 상기 A측 로컬 링크 PBA(1000)내에 장착된 제 1 PLL(1100) 및 B측 로컬 링크 PBA(2000)에 장착된 제 3 PLL(2100)은 망동기 클럭인 32MHz를 입력한 후 19MHz 클럭으로 변환시켜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A측 로컬 링크 PBA(1000)에 장착된 제 2 PLL(1200) 및 상기 B측 로컬 링크 PBA(2000)에 장착된 제 4 PLL(2200)은 19MHz 클럭을 입력하여, 16MHz 클럭으로 변환시킨 후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A측 로컬 링크 PBA(1000)에 장착된 제 1 액티브 절체 감시부(1300) 및 상기 B측 로컬 링크 PBA(2000)에 장착된 제 2 액티브 절체 감시부(2300)는 액티브/스탠드바이 절체 동작이 이루어졌는가를 감시하여, 절체동작이 이루어지면 절체신호를 제 1 지연 카운터(Counter)부(1400) 및 제 2 지연 카운터부(2400)로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A측 로컬 링크 PBA(1000)에 장착된 제 1 지연 카운터부(1400) 및 상기 B측 로컬 링크 PBA(2000)에 장착된 제 2 지연 카운터부(2400)는 액티브 절체신호가 입력되면 지연신호를 출력하고, 스탠드바이 절체신호가 입력되면 상대편 로컬 링크 PBA에서 생성한 프레임 펄스 소스신호를 입력받아 출력하는 역할을 하며, 도 2, 도 5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운터(1410, 2410), 플립플롭(1420, 2420) 및 앤드 게이트(1430, 2430)로 구성된다.
상기 제 1, 2 지연 카운터부(1400, 2400)내에 장착된 상기 다수개의 카운터(1410, 2410)는 상기 제 1 액티브 절체 감시부(1300) 및 제 2 액티브 절체 감시부(2300)에서 출력한 절체신호를 입력하여 소정 시간마다 출력하기 위해 카운팅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제 1, 2 지연 카운터부(1400, 2400)내에 장착된 상기 플립플롭(1420, 2420)은 다수개의 상기 카운터(1410, 2410)를 통과한 절체신호를 입력하여 절체신호가 액티브 절체신호이면 로우신호를 출력하고, 절체신호가 스탠드바이 절체신호이면 하이신호를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제 1, 2 지연 카운터부(1400, 2400)내에 장착된 상기 앤드 게이트(1430, 2430)는 상대편 로컬 링크 PBA의 프레임 펄스 생성부 및 상기 플립플롭(1420, 2420)의 신호 출력단에 접속되어, 상기 플립플롭(1420, 2420)을 통해 로우신호가 출력되면 지연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플립플롭(1420, 2420)을 통해 하이신호가 출력되면 상대편 프레임 펄스 생성부에서 출력한 프레임 펄스 소스신호를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A측 로컬 링크 PBA(1000)에 장착된 제 1 로드(Load) 생성부(1500) 및 상기 B측 로컬 링크 PBA(2000)에 장착된 제 2 로드 생성부(2500)는 자신의 지연 카운터부에서 지연신호가 공급되면 자신이 생성한 프레임 펄스 소스신호를 출력하고, 자신의 지연 카운터부에서 상대편 프레임 펄스 소스신호가 공급되면 그 신호를 입력하여 통과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제 1, 2 로드 생성부(1500, 2500)는 도 3, 도 6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스신호 생성부(1510, 2510)와, 액티브 로드 생성부(1520, 2520)와, 로드 소스 선택부(1530, 2530)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 1, 2 로드 생성부(1500, 2500)내에 장착된 상기 소스신호 생성부(1510, 2510)는 프레임 펄스 소스신호를 생성하는 역할을 하고, 다수개의 플립플롭(1511, 2511), 오어 게이트(1512, 2512) 및 플립플롭(1513, 2513)으로 구성된다.
상기 소스신호 생성부(1510, 2510)내에 장착된 상기 다수개의 플립플롭(1511, 2511)은 광에서 추출한 소스신호를 입력하여 50nsec 지연된 소스신호와 200nsec 지연된 소스신호를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소스신호 생성부(1510, 2510)내에 장착된 오어 게이트(1512, 2512)는 상기 다수개의 플립플롭(1511, 2511)에서 출력한 50nsec 지연된 소스신호와 200nsec 지연된 소스신호를 입력하여 폭이 줄어든 소스신호를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소스신호 생성부(1510, 2510)내에 장착된 플립플롭(1513, 2513)은 상기 오어 게이트(1512, 2512)에서 출력한 폭이 줄어든 소스신호를 입력한 후 리타임시켜 프레임 펄스 소스신호를 생성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제 1, 2 로드 생성부(1500, 2500)내에 장착된 상기 액티브 로드 생성부(1520, 2520)는 전원 온 직후 소정의 횟수까지는 자신이 생성한 프레임 펄스 소스신호를 출력하다가 소정의 횟수가 지나면 상기 소스신호 생성부(1510, 2510)에서 출력한 프레임 펄스 소스신호를 출력하는 역할을 하고, 플립플롭(1521, 2521), 오어 게이트(1522, 2522), 인버터(1523, 2523) 및 오어 게이트(1524, 2524)로 구성된다.
상기 액티브 로드 생성부(1520, 2520)내에 장착된 상기 플립플롭(1521, 2521)은 전원 온 직후 소정의 횟수까지 프레임 펄스 소스신호를 출력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액티브 로드 생성부(1520, 2520)내에 장착된 오어 게이트(1522, 2522) 및 인버터(1523, 2523)는 시스템 에러 발생시 플레임 펄스 신호를 다시 동기시키기 위한 동기신호를 통과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액티브 로드 생성부(1520, 2520)내에 장착된 오어 게이트(1524, 2524)는 시스템 정상동작시 상기 소스신호 생성부(1510, 2510)에서 출력한 프레임 펄스 소스신호를 통과시키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제 1, 2 로드 생성부(1500, 2500)내에 장착된 로드 소스 선택부(1530, 2530)는 액티브 상태시 상기 액티브 로드 생성부(1520, 2520)에서 출력한 프레임 펄스 소스신호를 출력하고 스탠드바이 상태시 자신의 지연 카운터부에서 출력한 프레임 펄스 소스신호를 출력하는 역할을 하며, 앤드 게이트(1531, 2531) 및 멀티플렉서(1532, 2532)로 구성된다.
상기 로드 소스 선택부(1530, 2530)내에 장착된 앤드 게이트(1531, 2531)는 상기 액티브 로드 생성부(1520, 2520)내에 장착된 플립플롭(1521, 2521)의 신호 출력단에 접속되어, 전원 온 직후 상기 플립플롭(1521, 2521)에서 출력한 프레임 펄스 소스신호를 통과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로드 소스 선택부(1530, 2530)내에 장착된 멀티플렉서(1532, 2532)는 자신의 지연 카운터부내에 장착된 앤드 게이트(1430, 2430)의 신호 출력단, 액티브 로드 생성부(1520, 2520)내에 장착된 오어 게이트(1524, 2524)의 신호 출력단 및 상기 앤드 게이트(1531, 2531)의 신호 출력단에 접속되어, 전원 온 직후 소정 횟수까지는 상기 앤드 게이트(1531, 2531)에서 출력한 프레임 펄스 소스신호를 통과시키고, 액티브 상태시에는 액티브 로드 생성부(1520, 2520)내에 장착된 오어 게이트(1524, 2524)에서 출력한 프레임 펄스 소스신호를 통과시키며, 스탠드바이 상태시에는 자신의 지연 카운터부내에 장착된 앤드 게이트(1430, 2430)에서 출력한 프레임 펄스 소스신호 통과시키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A측 로컬 링크 PBA(1000)에 장착된 제 1 프레임 펄스 생성부(1600) 및 상기 B측 로컬 링크 PBA(2000)에 장착된 제 2 프레임 펄스 생성부(2600)는 상기 제 4 PLL(2200)에서 출력한 16MHz 클럭과 상기 제 2 로드 생성부(2500)에서 출력한 프레임 펄스 소스신호를 입력받아 프레임 펄스를 생성하고, 이후 트렁크 보드로 공급하는 역할을 하며, 도 4, 도 7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개의 카운터(1610, 2610), 플립플롭(1620, 2620), 인버터(1630, 2630), 오어 게이트(1640, 2640) 및 플립플롭(1650, 2650)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 1, 2 프레임 펄스 생성부(1600, 2600)내에 장착된 다수개의 카운터(1610, 2610)는 상기 로드 소스 선택부(1530, 2530)내의 멀티플렉서(1532, 2532)에서 출력한 프레임 펄스 소스신호를 입력하여 카운팅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제 1, 2 프레임 펄스 생성부(1600, 2600)내에 장착된 플립플롭(1620, 2620), 인버터(1630, 2630) 및 오어 게이트(1640, 2640)는 상기 카운터(1610, 2610)에서 출력한 프레임 펄스 소스신호를 입력하여 한클럭만 로우가 되는 신호를 생성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제 1, 2 프레임 펄스 생성부(1600, 2600)내에 장착된 플립플롭(1650, 2650)은 한클럭만 로우가 되는 프레임 펄스 소스신호를 입력한 후 리타임시켜서 최종적인 프레임 펄스 신호를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이동통신 교환기에서 액티브/스탠드바이 로컬 링크 PBA간 프레임 펄스를 자동으로 동기시켜 주는 방법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8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교환기에서 액티브/스탠드바이 로컬 링크 PBA간 프레임 펄스를 자동으로 동기시켜 주는 장치에서 최초 A측 로컬 링크 PBA가 액티브 상태일때의 동작과정을 나타낸 동작플로우챠트이고, 도 9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교환기에서 액티브/스탠드바이 로컬 링크 PBA간 프레임 펄스를 자동으로 동기시켜 주는 장치에서 최초 B측 로컬 링크 PBA가 액티브 상태일때의 동작과정을 나타낸 동작플로우챠트로서, 여기서 S는 스텝(STEP)을 나타낸다.
먼저, 최초 상기 A측 로컬 링크 PBA(1000)가 액티브 상태일 때의 동작과정을 도 8 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A측 로컬 링크 PBA(1000)의 제 1 로드 생성부(1500)내에 장착된 액티브 로드 생성부(1520)는 전원이 온되는가의 여부를 판단한다(S1).
한편, 상기 제 1 단계(S1)에서 전원이 온되면(YES), 상기 제 1 로드 생성부(1500)의 액티브 로드 생성부(1520)내에 장착된 다수개의 플립플롭(1521)은 프레임 펄스 소스신호를 자가 생성하여 상기 로드 소스 선택부(1530)로 출력시킨다. 그리고, 상기 로드 소스 선택부(1530)내에 장착된 앤드 게이트(1531)는 상기 플립플롭(1521)에서 생성한 프레임 펄스 소스신호를 상기 멀티플렉서(1532)로 통과시킨다. 그러면, 상기 로드 소스 선택부(1530)내에 장착된 멀티플렉서(1532)는 상기 액티브 로드 생성부(1520)내의 플립플롭(1521)에서 자가 생성한 프레임 펄스 소스신호를 선택하여 상기 제 1 프레임 펄스 생성부(1600)로 출력하고, 상기 제 1 프레임 펄스 생성부(1600)는 전원 온 직후 상기 플립플롭(1521)에서 자가 생성한 프레임 펄스 소스신호를 이용하여 프레임 펄스를 생성하게 된다(S2).
또한, 상기 제 1 로드 생성부(1500)내에 장착된 액티브 로드 생성부(1520)는 소정 횟수를 카운팅하여 소정 횟수가 지났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S3), 소정 횟수가 지나지 않으면(NO), 계속해서 자가 생성한 프레임 펄스 소스신호를 상기 로드 소스 선택부(1530)내에 장착된 앤드 게이트(1531)로 출력시킨다. 따라서, 상기 제 1 로드 생성부(1500)의 액티브 로드 생성부(1520)내에 장착된 플립플롭(1521)에서 프레임 펄스 소스신호를 자가 생성하는 과정은 전원 온 직후에 소정 횟수까지만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상기 제 3 단계(S3)에서 소정 횟수가 지나면(YES), 상기 A측 로컬 링크 PBA(1000)는 액티브 상태이므로 프레임 펄스 신호를 생성하여 타임스위치(1)를 통해 트렁크 보드(2)로 출력하는 정상적인 액티브 동작울 수행한다(S4).
이때, 상기 제 4 단계(S4)를 도 2, 도 3, 도 4 를 참조하여 하기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 1 로드 생성부(1500)의 소스신호 생성부(1510)내에 장착된 다수개의 플립플롭(1511)은 광에서 추출한 소스신호를 입력하여 50nsec 지연된 소스신호와 200nsec 지연된 소스신호를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 제 1 로드 생성부(1500)의 소스신호 생성부(1510)내에 장착된 오어 게이트(1512)는 상기 플립플롭(1511)에서 출력한 50nsec 지연된 소스신호와 200nsec 지연된 소스신호를 입력하여 폭이 줄어든 소스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상기 제 1 로드 생성부(1500)의 소스신호 생성부(1510)내에 장착된 플립플롭(1513)은 상기 오어 게이트(1512)에서 출력한 폭이 줄어든 소스신호를 입력한 후 리타임시켜 프레임 펄스 소스신호를 생성하고, 이후 생성된 프레임 펄스 소스신호를 상기 액티브 로드 생성부(1520)내에 장착된 오어 게이트(1524)로 출력한다.
한편, 상기 제 1 로드 생성부(1500)의 액티브 로드 생성부(1520)내에 장착된 오어 게이트(1524)는 상기 소스신호 생성부(1510)에서 출력한 프레임 펄스 소스신호를 상기 로드 소스 선택부(1530)내에 장착된 멀티플렉서(1532)로 통과시킨다.
이때, 상기 제 1 지연 카운터부(1400)내에 장착된 플립플롭(1420)은 자신이 액티브 상태이므로 상기 앤드 게이트(1430)로 지연신호인 로우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앤드 게이트(1430)는 상기 플립플롭(1420)에서 출력한 지연신호를 상기 제 1 로드 생성부(1500)의 상기 로드 소스 선택부(1530)내에 장착된 멀티플렉서(1532)로 통과시킨다.
그리고, 상기 제 1 로드 생성부(1500)의 상기 로드 소스 선택부(1530)내에 장착된 멀티플렉서(1532)는 상기 앤드 게이트(1430)를 통해 지연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액티브 로드 생성부(1520)내의 오어 게이트(1524)에서 출력한 프레임 펄스 소스신호를 선택하여 상기 제 1 프레임 펄스 생성부(1600)로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 제 1 프레임 펄스 생성부(1600)내에 장착된 다수개의 카운터(1610)는 상기 로드 소스 선택부(1530)내의 멀티플렉서(1532)에서 출력한 프레임 펄스 소스신호를 입력하여 카운팅하고, 이후 카운팅한 프레임 펄스 소스신호를 상기 플립플롭(1620)으로 출력한다.
한편, 상기 제 1 프레임 펄스 생성부(1600)내에 장착된 플립플롭(1620), 인버터(1630) 및 오어 게이트(1640)는 상기 카운터(1610)에서 출력한 프레임 펄스 소스신호를 입력하여 한클럭만 로우가 되는 신호를 생성한다.
또한, 상기 제 1 프레임 펄스 생성부(1600)내에 장착된 플립플롭(1650)은 상기 오어 게이트(1640)를 통과한 한클럭만 로우가 되는 프레임 펄스 소스신호를 입력한 후 리타임시켜서 최종적인 프레임 펄스 신호를 생성하게 된다.
한편, 상기 B측 로컬 링크 PBA(2000)는 자신이 현재 스탠드바이 상태이므로, 액티브 상태의 A측 로컬 링크 PBA(1000)에서 출력한 프레임 펄스 신호와 자신의 프레임 펄스 신호의 동기를 맞추는 동작을 수행한다(S5).
이때, 상기 제 2 단계(S2)를 도 5, 도 6, 도 7 을 참조하여 하기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 2 지연 카운터부(2400)내에 장착된 플립플롭(2420)은 자신이 스탠드바이 상태이므로 상기 앤드 게이트(2430)로 하이신호를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 앤드 게이트(2430)는 상기 플립플롭(2420)에서 하이신호가 출력되면, 상기 A측 로컬 링크 PBA(1000)에서 출력한 프레임 펄스 소스신호를 입력하여 상기 제 2 로드 생성부(2500)의 상기 로드 소스 선택부(2530)내에 장착된 멀티플렉서(2532)로 통과시킨다(S5-1).
한편, 상기 로드 소스 선택부(2530)내에 장착된 멀티플렉서(2532)는 상기 제 2 지연 카운터부(2400)내의 앤드 게이트(2430)에서 프레임 펄스 소스신호가 출력되면, 이를 선택하여 상기 제 2 프레임 펄스 생성부(2600)로 출력한다(S5-2).
그러면, 상기 제 2 프레임 펄스 생성부(2600)내에 장착된 다수개의 카운터(2610)는 상기 로드 소스 선택부(2530)내의 멀티플렉서(2532)에서 출력한 A측 로컬 링크 PBA의 프레임 펄스 소스신호를 입력하여 카운팅하고, 이후 카운팅한 프레임 펄스 소스신호를 상기 플립플롭(2620)으로 출력한다. 또한, 상기 제 2 프레임 펄스 생성부(2600)내에 장착된 플립플롭(2620), 인버터(2630) 및 오어 게이트(2640)는 상기 카운터(2610)에서 출력한 A측 로컬 링크 PBA의 프레임 펄스 소스신호를 입력하여 한클럭만 로우가 되는 신호를 생성한다. 한편, 상기 제 2 프레임 펄스 생성부(2600)내에 장착된 플립플롭(2650)은 상기 오어 게이트(2640)를 통과한 한클럭만 로우가 되는 A측 로컬 링크 PBA(1000)의 프레임 펄스 소스신호를 입력한 후 리타임시켜서, 최종적인 프레임 펄스 신호를 생성하게 된다(S5-3).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B측 로컬 링크 PBA(2000)내에 장착된 제 2 프레임 펄스 생성부(2600)는 상기 A측 로컬 링크 PBA(1000)의 프레임 펄스 소스신호를 통해 프레임 펄스를 생성하므로 자동으로 동기가 맞춰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A측 로컬 링크 PBA(1000) 및 B측 로컬 링크 PBA(2000)내에 장착된 제 1, 2 액티브 절체 감시부(1300, 2300)는 액티브 절체동작이 수행되었는가를 각각 판단한다(S6). 이때, 상기 제 6 단계(S6)에서 액티브 절체동작이 수행되면(YES), 상기 A측 로컬 링크 PBA(1000)는 스탠드바이 상태로 절체되고, 상기 B측 로컬 링크 PBA(2000)는 액티브 상태로 절체된다. 그러나, 상기 제 6 단계(S6)에서 액티브 절체동작이 수행되지 않으면(NO), 상기 제 4 단계(S4)로 리턴한다.
그러면, 상기 B측 로컬 링크 PBA(2000)는 프레임 펄스 신호를 생성한 후 타임스위치(1)를 통해 트렁크 보드(2)로 출력하는 액티브 동작을 수행한다(S7).
이때, 상기 제 7 단계(S7)를 도 5, 도 6, 도 7 을 참조하여 하기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B측 로컬 링크 PBA(2000)에 장착된 제 2 액티브 절체 감시부(2300)는 액티브 절체신호를 상기 제 2 지연 카운터부(2400)내에 장착된 다수개의 카운터(2410)로 출력하고, 상기 카운터(2410)는 액티브 절체신호를 입력하여 소정 시간마다 출력하기 위해 카운팅한다.
한편, 상기 제 2 지연 카운터부(2400)내에 장착된 플립플롭(2420)은 다수개의 상기 카운터(2410)를 통해 카운팅된 액티브 절체신호를 입력하여 상기 앤드 게이트(2430)로 로우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상기 제 2 지연 카운터부(2400)내에 장착된 앤드 게이트(2430)는 상기 플립플롭(2420)에서 출력한 지연신호를 상기 제 2 로드 생성부(2500)의 상기 로드 소스 선택부(2530)내에 장착된 멀티플렉서(2532)로 통과시킨다.
한편, 상기 제 2 로드 생성부(2500)의 소스신호 생성부(2510)내에 장착된 다수개의 플립플롭(2511)은 광에서 추출한 소스신호를 입력하여 50nsec 지연된 소스신호와 200nsec 지연된 소스신호를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 제 2 로드 생성부(2500)의 소스신호 생성부(2510)내에 장착된 오어 게이트(2512)는 상기 플립플롭(2511)에서 출력한 50nsec 지연된 소스신호와 200nsec 지연된 소스신호를 입력하여 폭이 줄어든 소스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상기 제 2 로드 생성부(2500)의 소스신호 생성부(2510)내에 장착된 플립플롭(2513)은 상기 오어 게이트(2512)에서 출력한 폭이 줄어든 소스신호를 입력한 후 리타임시켜 프레임 펄스 소스신호를 생성하고, 이후 생성된 프레임 펄스 소스신호를 상기 액티브 로드 생성부(2520)내에 장착된 오어 게이트(2524)로 출력한다.
한편, 상기 제 2 로드 생성부(2500)의 액티브 로드 생성부(2520)내에 장착된 오어 게이트(2524)는 상기 소스신호 생성부(2510)에서 출력한 프레임 펄스 소스신호를 상기 로드 소스 선택부(2530)내에 장착된 멀티플렉서(2532)로 통과시킨다.
이때, 상기 제 2 로드 생성부(2500)의 상기 로드 소스 선택부(2530)내에 장착된 멀티플렉서(2532)는 상기 앤드 게이트(2430)를 통해 지연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액티브 로드 생성부(2520)내의 오어 게이트(2524)에서 출력한 프레임 펄스 소스신호를 선택하여 상기 제 2 프레임 펄스 생성부(2600)로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 제 2 프레임 펄스 생성부(2600)내에 장착된 다수개의 카운터(2610)는 상기 로드 소스 선택부(2530)내의 멀티플렉서(2532)에서 출력한 프레임 펄스 소스신호를 입력하여 카운팅하고, 이후 카운팅한 프레임 펄스 소스신호를 상기 플립플롭(2620)으로 출력한다.
한편, 상기 제 2 프레임 펄스 생성부(2600)내에 장착된 플립플롭(2620), 인버터(2630) 및 오어 게이트(2640)는 상기 카운터(2610)에서 출력한 프레임 펄스 소스신호를 입력하여 한클럭만 로우가 되는 신호를 생성한다.
또한, 상기 제 2 프레임 펄스 생성부(2600)내에 장착된 플립플롭(2650)은 상기 오어 게이트(2640)를 통과한 한클럭만 로우가 되는 프레임 펄스 소스신호를 입력한 후 리타임시켜서 최종적인 프레임 펄스 신호를 생성하게 된다.
한편, 상기 A측 로컬 링크 PBA(1000)는 스탠드바이 상태로 절체되므로, 액티브 상태의 B측 로컬 링크 PBA(2000)에서 출력한 프레임 펄스 신호와 자신의 프레임 펄스 신호의 동기를 맞추는 동작을 수행한다(S8).
이때, 상기 제 8 단계(S8)를 도 2, 도 3, 도 4 를 참조하여 하기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A측 로컬 링크 PBA(1000)에 장착된 제 1 액티브 절체 감시부(1300)는 스탠드바이 절체신호를 상기 제 1 지연 카운터부(1400)내에 장착된 다수개의 카운터(1410)로 출력하고, 상기 카운터(1410)는 스탠드바이 절체신호를 입력하여 소정 시간마다 출력하기 위해 카운팅한다. 한편, 상기 제 1 지연 카운터부(1400)내에 장착된 플립플롭(1420)은 다수개의 상기 카운터(1410)를 통해 카운팅된 스탠드바이 절체신호를 입력하여 상기 앤드 게이트(1430)로 하이신호를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 앤드 게이트(1430)는 상기 플립플롭(1420)에서 하이신호가 출력되면, 상기 B측 로컬 링크 PBA(2000)에서 출력한 프레임 펄스 소스신호를 입력하여 상기 제 1 로드 생성부(1500)의 상기 로드 소스 선택부(1530)내에 장착된 멀티플렉서(1532)로 통과시킨다(S8-1).
한편, 상기 로드 소스 선택부(1530)내에 장착된 멀티플렉서(1532)는 상기 제 1 지연 카운터부(1400)내의 앤드 게이트(1430)에서 프레임 펄스 소스신호가 출력되면, 이를 선택하여 상기 제 1 프레임 펄스 생성부(1600)로 출력한다(S8-2).
그러면, 상기 제 1 프레임 펄스 생성부(1600)내에 장착된 다수개의 카운터(1610)는 상기 로드 소스 선택부(1530)내의 멀티플렉서(1532)에서 출력한 B측 로컬 링크 PBA의 프레임 펄스 소스신호를 입력하여 카운팅하고, 이후 카운팅한 프레임 펄스 소스신호를 상기 플립플롭(1620)으로 출력한다. 또한, 상기 제 1 프레임 펄스 생성부(1600)내에 장착된 플립플롭(1620), 인버터(1630) 및 오어 게이트(1640)는 상기 카운터(1610)에서 출력한 B측 로컬 링크 PBA의 프레임 펄스 소스신호를 입력하여 한클럭만 로우가 되는 신호를 생성한다. 한편, 상기 제 1 프레임 펄스 생성부(1600)내에 장착된 플립플롭(1650)은 상기 오어 게이트(1640)를 통과한 한클럭만 로우가 되는 B측 로컬 링크 PBA(1000)의 프레임 펄스 소스신호를 입력한 후 리타임시켜서, 최종적인 프레임 펄스 신호를 생성하게 된다(S8-3).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A측 로컬 링크 PBA(1000)내에 장착된 제 1 프레임 펄스 생성부(1600)는 상기 B측 로컬 링크 PBA(2000)의 프레임 펄스 소스신호를 통해 프레임 펄스를 생성하므로 자동으로 동기가 맞춰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A측 로컬 링크 PBA(1000) 및 B측 로컬 링크 PBA(2000)내에 장착된 제 1, 2 액티브 절체 감시부(1300, 2300)는 계속해서 액티브 절체동작이 수행되었는가를 각각 판단한다(S9). 이때, 상기 제 9 단계(S9)에서 액티브 절체동작이 수행되면(YES), 상기 A측 로컬 링크 PBA(1000)는 다시 액티브 상태로 절체되고, 상기 B측 로컬 링크 PBA(2000)는 스탠드바이 상태로 절체되며, 절체동작이 수행되지 않으면(NO) 다시 상기 제 7 단계(S7)로 리턴한다.
한편, 최초 상기 B측 로컬 링크 PBA(2000)가 액티브 상태일 때의 동작과정(S10∼S90)은 도 9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에서 설명한 최초 A측 로컬 링크 PBA(1000)가 액티브 상태일 때의 동작과정(S1∼S9)에서 최초 B측 로컬 링크 PBA(2000)가 액티브 상태이고 최초 A측 로컬 링크 PBA(1000)는 스탠드바이 상태임을 전제로 하여 설명한다면 동일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교환기에서 액티브/스탠드바이 로컬 링크 PBA간 프레임 펄스를 자동으로 동기시켜 주는 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의하면, 스탠드바이 상태에 있는 로컬 링크 PBA가 액티브 상태에 있는 로컬 링크 PBA에서 발생하는 프레임 펄스를 입력한 후, 계속해서 자신의 프레임 펄스와 동기를 맞춰 줌으로써, 절체동작 수행시 스탠드바이 로컬 링크 PBA가 액티브 상태가 되더라도 동일한 프레임 펄스를 공급해 줄 수 있기 때문에, 데이터 송신 타이밍이 항상 동일함으로 데이터 전송 에러 현상을 막아줄 수 있다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Claims (13)

  1. 절체동작 수행시 액티브/스탠드바이 동작을 변경해서 수행하며, 프레임 펄스를 생성하여 타임 스위치의 트렁크 보드로 전송하는 A측 로컬 링크 PBA 및 B측 로컬 링크 PBA로 구성된 프레임 펄스 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A측 로컬 링크 PBA는 망동기 클럭인 32MHz를 입력하여 19MHz 클럭으로 변환시켜 출력하는 제 1 PLL과; 상기 제 1 PLL에서 출력한 19MHz 클럭을 입력하여 16MHz 클럭으로 변환시켜 출력하는 제 2 PLL과; 액티브/스탠드바이 절체 동작이 이루어졌는가를 감시하여 절체동작이 이루어지면 절체신호를 출력하는 제 1 액티브 절체 감시부와; 액티브 절체신호가 입력되면 지연신호를 출력하고, 스탠드바이 절체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B측 로컬 링크 PBA에서 생성한 프레임 펄스 소스신호를 입력받아 출력하는 제 1 지연 카운터부와; 상기 제 1 지연 카운터부에서 지연신호가 공급되면 자신이 생성한 프레임 펄스 소스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 1 지연 카운터부에서 상대편 프레임 펄스 소스신호가 공급되면 그 신호를 입력하여 통과시키는 제 1 로드 생성부와; 상기 제 2 PLL에서 출력한 16MHz 클럭과 상기 제 1 로드 생성부에서 출력한 프레임 펄스 소스신호를 입력받아 프레임 펄스를 생성하고, 이후 트렁크 보드로 공급하는 제 1 프레임 펄스 생성부로 구성되고,
    상기 B측 로컬 링크 PBA는 망동기 클럭인 32MHz를 입력하여 19MHz 클럭으로 변환시켜 출력하는 제 3 PLL과; 상기 제 3 PLL에서 출력한 19MHz 클럭을 입력하여 16MHz 클럭으로 변환시켜 출력하는 제 4 PLL과; 액티브/스탠드바이 절체 동작이 이루어졌는가를 감시하여 절체동작이 이루어지면 절체신호를 출력하는 제 2 액티브 절체 감시부와; 액티브 절체신호가 입력되면 지연신호를 출력하고, 스탠드바이 절체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A측 로컬 링크 PBA에서 생성한 프레임 펄스 소스신호를 입력받아 출력하는 제 2 지연 카운터부와; 상기 제 2 지연 카운터부에서 지연신호가 공급되면 자신이 생성한 프레임 펄스 소스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 2 지연 카운터부에서 상대편 프레임 펄스 소스신호가 공급되면 그 신호를 입력하여 통과시키는 제 2 로드 생성부와; 상기 제 4 PLL에서 출력한 16MHz 클럭과 상기 제 2 로드 생성부에서 출력한 프레임 펄스 소스신호를 입력받아 프레임 펄스를 생성하고, 이후 트렁크 보드로 공급하는 제 2 프레임 펄스 생성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교환기에서 액티브/스탠드바이 로컬 링크 PBA간 프레임 펄스를 자동으로 동기시켜 주는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A측 로컬 링크 PBA내에 장착된 제 1 지연 카운터부 및 B측 로컬 링크 PBA내에 장착된 제 2 카운터부는, 상기 제 1 액티브 절체 감시부 및 제 2 액티브 절체 감시부에서 출력한 절체신호를 입력하여 소정 시간마다 출력하기 위해 카운팅하는 다수개의 제 1 카운터와; 다수개의 상기 제 1 카운터를 통과한 절체신호를 입력하여 절체신호가 액티브 절체신호이면 로우신호를 출력하고, 절체신호가 스탠드바이 절체신호이면 하이신호를 출력하는 제 1 플립플롭과; 상대편 로컬 링크 PBA의 프레임 펄스 생성부 및 상기 제 1 플립플롭의 신호 출력단에 접속되어, 상기 제 1 플립플롭을 통해 로우신호가 출력되면 지연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 1 플립플롭을 통해 하이신호가 출력되면 상대편 프레임 펄스 생성부에서 출력한 프레임 펄스 소스신호를 출력하는 제 1 앤드 게이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교환기에서 액티브/스탠드바이 로컬 링크 PBA간 프레임 펄스를 자동으로 동기시켜 주는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A측 로컬 링크 PBA내에 장착된 제 1 로드 생성부 및 B측 로컬 링크 PBA내에 장착된 제 2 로드 생성부는, 프레임 펄스 소스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소스신호 생성부와; 전원 온 직후 소정의 횟수까지는 자신이 생성한 프레임 펄스 소스신호를 출력하다가, 소정의 횟수가 지나면 상기 소스신호 생성부에서 출력한 프레임 펄스 소스신호를 출력하는 액티브 로드 생성부와; 액티브 상태시 상기 액티브 로드 생성부에서 출력한 프레임 펄스 소스신호를 출력하고, 스탠드바이 상태시 자신의 지연 카운터부에서 출력한 프레임 펄스 소스신호를 출력하는 로드 소스 선택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교환기에서 액티브/스탠드바이 로컬 링크 PBA간 프레임 펄스를 자동으로 동기시켜 주는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신호 생성부는, 광에서 추출한 소스신호를 입력하여 50nsec 지연된 소스신호와 200nsec 지연된 소스신호를 출력하는 다수개의 제 2 플립플롭과; 상기 다수개의 제 2 플립플롭에서 출력한 50nsec 지연된 소스신호와 200nsec 지연된 소스신호를 입력하여 폭이 줄어든 소스신호를 출력하는 제 1 오어 게이트와; 상기 제 1 오어 게이트에서 출력한 폭이 줄어든 소스신호를 입력한 후 리타임시켜 프레임 펄스 소스신호를 생성하는 제 3 플립플롭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교환기에서 액티브/스탠드바이 로컬 링크 PBA간 프레임 펄스를 자동으로 동기시켜 주는 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액티브 로드 생성부는, 전원 온 직후 소정의 횟수까지 프레임 펄스 소스신호를 출력시키는 제 4 플립플롭과; 시스템 에러 발생시 플레임 펄스 신호를 다시 동기시키기 위한 동기신호를 통과시키는 제 2 오어 게이트 및 제 1 인버터와; 시스템 정상동작시 상기 소스신호 생성부에서 출력한 프레임 펄스 소스신호를 통과시키는 제 3 오어 게이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교환기에서 액티브/스탠드바이 로컬 링크 PBA간 프레임 펄스를 자동으로 동기시켜 주는 장치.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 소스 선택부는, 상기 액티브 로드 생성부내에 장착된 제 4 플립플롭의 신호 출력단에 접속되어, 전원 온 직후 상기 제 4 플립플롭에서 출력한 프레임 펄스 소스신호를 통과시키는 제 2 앤드 게이트와; 자신의 지연 카운터부내에 장착된 제 1 앤드 게이트의 신호 출력단, 액티브 로드 생성부내에 장착된 제 3 오어 게이트의 신호 출력단 및 상기 제 2 앤드 게이트의 신호 출력단에 접속되어, 전원 온 직후 소정 횟수까지는 상기 제 2 앤드 게이트에서 출력한 프레임 펄스 소스신호를 통과시키고, 액티브 상태시에는 액티브 로드 생성부내에 장착된 제 3 오어 게이트에서 출력한 프레임 펄스 소스신호를 통과시키며, 스탠드바이 상태시에는 자신의 지연 카운터부내에 장착된 제 1 앤드 게이트에서 출력한 프레임 펄스 소스신호 통과시키는 멀티플렉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교환기에서 액티브/스탠드바이 로컬 링크 PBA간 프레임 펄스를 자동으로 동기시켜 주는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A측 로컬 링크 PBA내에 장착된 제 1 프레임 펄스 생성부 및 상기 B측 로컬 링크 PBA내에 장착된 제 1 프레임 펄스 생성부는, 상기 로드 소스 선택부내에 장착된 멀티플렉서의 신호 출력단에 접속되어, 상기 로드 소스 선택부내의 멀티플렉서에서 출력한 프레임 펄스 소스신호를 입력하여 카운팅한 후 출력하는 다수개이 제 2 카운터와; 상기 제 2 카운터에서 출력한 프레임 펄스 소스신호를 입력하여 한클럭만 로우가 되는 신호를 생성하는 제 5 플립플롭, 제 2 인버터 및 제 4 오어 게이트와; 한클럭만 로우가 되는 프레임 펄스 소스신호를 입력한 후 리타임시켜서 최종적인 프레임 펄스 신호를 출력하는 제 6 플립플롭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교환기에서 액티브/스탠드바이 로컬 링크 PBA간 프레임 펄스를 자동으로 동기시켜 주는 장치.
  8. 최초 상기 A측 로컬 링크 PBA가 액티브 상태일때의 액티브/스탠드바이간 프레임 펄스를 동기시켜 주는 방법은,
    상기 A측 로컬 링크 PBA의 제 1 로드 생성부내에 장착된 액티브 로드 생성부에서 전원이 온되는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제 1 단계에서 전원이 온되면, 상기 제 1 로드 생성부내에 장착된 액티브 로드 생성부에서 프레임 펄스 소스신호를 자가 생성하여 출력하는 제 2 단계와; 상기 제 1 로드 생성부내에 장착된 액티브 로드 생성부에서 소정 횟수가 지났는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 3 단계와; 상기 제 3 단계에서 소정 횟수가 지나면, A측 로컬 링크 PBA에서 정상적인 액티브 동작을 수행하므로 프레임 펄스를 생성한 후 트렁크 보드로 전송시키는 제 4 단계와; B측 로컬 링크 PBA에서 스탠드바이 동작을 수행하여 A측 로컬 링크 PBA의 프레임 펄스와 동기를 맞추는 제 5 단계와; 액티브 절체동작이 수행되는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 6 단계와; 상기 제 6 단계에서 액티브 절체동작이 수행되면, B측 로컬 링크 PBA에서 액티브 동작을 수행하여 프레임 펄스를 생성하고, 이후 트렁크 보드로 전송시키는 제 7 단계와; A측 로컬 링크 PBA에서 스탠드바이 동작을 수행하여 B측 로컬 링크 PBA의 프레임 펄스와 동기를 맞추는 제 8 단계와; 다시 액티브 절체동작이 수행되었는가의 여부를 판단하여, 액티브 절체동작이 수행되지 않으면 상기 제 7 단계를 수행하고, 액티브 절체동작이 수행되면 상기 제 4 단계를 수행하는 제 9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교환기에서 액티브/스탠드바이 로컬 링크 PBA의 프레임 펄스를 동기시켜 주는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 5 단계는, B측 로컬 링크 PBA의 제 2 지연 카운터부에서 A측 로컬 링크 PBA에서 출력한 프레임 펄스 소스신호를 입력하여 제 2 로드 생성부로 출력하는 제 5-1 단계와; 제 2 로드 생성부에서 A측 로컬 링크 PBA의 프레임 펄스 소스신호를 통과시키는 제 5-2 단계와; 제 2 프레임 펄스 생성부가 제 2 로드 생성부에서 출력한 프레임 펄스 소스신호를 입력하여 A측 로컬 링크 PBA의 프레임 펄스 신호와 동기가 맞는 프레임 펄스 신호를 생성하는 제 5-3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교환기에서 액티브/스탠드바이 로컬 링크 PBA의 프레임 펄스를 동기시켜 주는 방법.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 8 단계는, A측 로컬 링크 PBA의 제 1 지연 카운터부에서 B측 로컬 링크 PBA에서 출력한 프레임 펄스 소스신호를 입력하여 제 1 로드 생성부로 출력하는 제 8-1 단계와; 제 1 로드 생성부에서 B측 로컬 링크 PBA의 프레임 펄스 소스신호를 통과시키는 제 8-2 단계와; 제 1 프레임 펄스 생성부가 제 1 로드 생성부에서 출력한 프레임 펄스 소스신호를 입력하여 B측 로컬 링크 PBA의 프레임 펄스 신호와 동기가 맞는 프레임 펄스 신호를 생성하는 제 8-3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교환기에서 액티브/스탠드바이 로컬 링크 PBA의 프레임 펄스를 동기시켜 주는 방법.
  11. 최초 상기 B측 로컬 링크 PBA가 액티브 상태일때의 액티브/스탠드바이간 프레임 펄스를 동기시켜 주는 방법은,
    상기 B측 로컬 링크 PBA의 제 2 로드 생성부내에 장착된 액티브 로드 생성부에서 전원이 온되는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 10 단계와; 상기 제 10 단계에서 전원이 온되면, 상기 제 2 로드 생성부내에 장착된 액티브 로드 생성부에서 프레임 펄스 소스신호를 자가 생성하여 출력하는 제 20 단계와; 상기 제 2 로드 생성부내에 장착된 액티브 로드 생성부에서 소정 횟수가 지났는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 30 단계와; 상기 제 30 단계에서 소정 횟수가 지나면, B측 로컬 링크 PBA에서 프레임 펄스를 생성하여 트렁크 보드로 전송시키는 제 40 단계와; A측 로컬 링크 PBA에서 스탠드바이 동작을 수행하여 B측 로컬 링크 PBA의 프레임 펄스와 동기를 맞추는 제 50 단계와; 액티브 절체동작이 수행되는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 60 단계와; 상기 제 60 단계에서 액티브 절체동작이 수행되면 A측 로컬 링크 PBA에서 액티브 동작을 수행하여 프레임 펄스를 생성하고, 이후 트렁크 보드로 전송시키는 제 70 단계와; B측 로컬 링크 PBA에서 스탠드바이 동작을 수행하여 A측 로컬 링크 PBA의 프레임 펄스와 동기를 맞추는 제 80 단계와; 다시 액티브 절체동작이 수행되었는가의 여부를 판단하여, 액티브 절체동작이 수행되지 않으면 상기 제 70 단계를 수행하고, 액티브 절체동작이 수행되면 상기 제 40 단계를 수행하는 제 90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교환기에서 액티브/스탠드바이 로컬 링크 PBA의 프레임 펄스를 동기시켜 주는 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 50 단계는, A측 로컬 링크 PBA의 제 1 지연 카운터부에서 B측 로컬 링크 PBA에서 출력한 프레임 펄스 소스신호를 입력하여 제 1 로드 생성부로 출력하는 제 50-1 단계와; 제 1 로드 생성부에서 B측 로컬 링크 PBA의 프레임 펄스 소스신호를 통과시키는 제 50-2 단계와; 제 1 프레임 펄스 생성부가 제 1 로드 생성부에서 출력한 프레임 펄스 소스신호를 입력하여 B측 로컬 링크 PBA의 프레임 펄스 신호와 동기가 맞는 프레임 펄스 신호를 생성하는 제 50-3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교환기에서 액티브/스탠드바이 로컬 링크 PBA의 프레임 펄스를 동기시켜 주는 방법.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 80 단계는, B측 로컬 링크 PBA의 제 2 지연 카운터부에서 A측 로컬 링크 PBA에서 출력한 프레임 펄스 소스신호를 입력하여 제 2 로드 생성부로 출력하는 제 80-1 단계와; 제 2 로드 생성부에서 A측 로컬 링크 PBA의 프레임 펄스 소스신호를 통과시키는 제 80-2 단계와; 제 2 프레임 펄스 생성부가 제 2 로드 생성부에서 출력한 프레임 펄스 소스신호를 입력하여 A측 로컬 링크 PBA의 프레임 펄스 신호와 동기가 맞는 프레임 펄스 신호를 생성하는 제 80-3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교환기에서 액티브/스탠드바이 로컬 링크 PBA의 프레임 펄스를 동기시켜 주는 방법.
KR1019980042234A 1998-10-09 1998-10-09 이동통신 교환기에서 액티브/스탠드바이 로컬 링크 pba간 프레임 펄스를 자동으로 동기시켜 주는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0002523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2234A KR20000025235A (ko) 1998-10-09 1998-10-09 이동통신 교환기에서 액티브/스탠드바이 로컬 링크 pba간 프레임 펄스를 자동으로 동기시켜 주는 장치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2234A KR20000025235A (ko) 1998-10-09 1998-10-09 이동통신 교환기에서 액티브/스탠드바이 로컬 링크 pba간 프레임 펄스를 자동으로 동기시켜 주는 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5235A true KR20000025235A (ko) 2000-05-06

Family

ID=195534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42234A KR20000025235A (ko) 1998-10-09 1998-10-09 이동통신 교환기에서 액티브/스탠드바이 로컬 링크 pba간 프레임 펄스를 자동으로 동기시켜 주는 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25235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70267A (ja) * 1994-08-30 1996-03-12 Fujitsu Ltd 位相差抑圧方式
JPH1098454A (ja) * 1996-09-25 1998-04-14 Nec Corp クロック信号供給部の構成方式
KR19990020659U (ko) * 1997-11-27 1999-06-15 김영환 이동통신 시스템 기지국의 이중화 시간/주파수 생성 카드의 출력 신호동기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70267A (ja) * 1994-08-30 1996-03-12 Fujitsu Ltd 位相差抑圧方式
JPH1098454A (ja) * 1996-09-25 1998-04-14 Nec Corp クロック信号供給部の構成方式
KR19990020659U (ko) * 1997-11-27 1999-06-15 김영환 이동통신 시스템 기지국의 이중화 시간/주파수 생성 카드의 출력 신호동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55840A (en) Method of compensating a phase of a system clock in a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pparatus employing the same and system clock generator
US492644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cision time distribution in telecommunication networks
EP0456258B1 (en) Network synchronization unit for a telephone exchange
CA2125450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witching of duplexed clock system
US5686849A (en) Circuit for clock signal extraction from a high speed data stream
KR20000025235A (ko) 이동통신 교환기에서 액티브/스탠드바이 로컬 링크 pba간 프레임 펄스를 자동으로 동기시켜 주는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0152226B1 (ko) 시스템 클럭 발생기
US6462592B1 (en) Clock signal converting apparatus of a transmission system
JP3253514B2 (ja) Pll回路におけるクロック生成回路
JP3132657B2 (ja) クロック切替回路
JP2949310B2 (ja) クロック供給装置及び通信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JP2000196462A (ja) パラレル/シリアル変換回路及びこれを有する同期多重伝送装置
JP3485449B2 (ja) クロック分周切替回路
KR0164110B1 (ko) 시스템 클럭 분배 장치
JP3930641B2 (ja) 現用系・予備系切替方法および切替装置
KR950009242B1 (ko) 고안정도의 광 씨.에이.티.브이(catv)의 분배센터용 종속클럭 발생회로
KR950010917B1 (ko) 클럭 리커버리가 불필요한 비트동기 회로
KR100280210B1 (ko) 에이티엠 교환 시스템에서의 클럭 발생/분배 장치 및 방법
JP3274062B2 (ja) ビット位相同期回路
KR20000020587A (ko) 클럭동기장치의 미세위상차 제어회로 및 방법
KR910005530B1 (ko) 디지탈 신호 변환기용 동기 및 시스템 클럭 발생장치
KR100257253B1 (ko) 교환기의 망동기 장치
KR100328761B1 (ko) 광통신 시스템의 시스템 클럭 유니트 스위칭 장치
KR960000133B1 (ko) 비트동기의 과도현상 제거회로
KR20000025508A (ko) 신디사이저를 이용한 시스템클럭 생성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