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10917B1 - 클럭 리커버리가 불필요한 비트동기 회로 - Google Patents

클럭 리커버리가 불필요한 비트동기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10917B1
KR950010917B1 KR1019930026437A KR930026437A KR950010917B1 KR 950010917 B1 KR950010917 B1 KR 950010917B1 KR 1019930026437 A KR1019930026437 A KR 1019930026437A KR 930026437 A KR930026437 A KR 930026437A KR 950010917 B1 KR950010917 B1 KR 9500109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ock
frame
data
input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264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22359A (ko
Inventor
김효중
윤영훈
유강희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한국전자통신연구소
양승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한국전자통신연구소, 양승택 filed Critical 재단법인한국전자통신연구소
Priority to KR10199300264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10917B1/ko
Publication of KR9500223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223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109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091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7/00Arrangements for synchronising receiver with transmitter
    • H04L7/04Speed or phase control by synchronisation signals
    • H04L7/06Speed or phase control by synchronisation signals the synchronisation signals differing from the information signals in amplitude, polarity or frequency or leng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4/00Optical multiplex systems
    • H04J14/02Wavelength-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14/0227Operation, administration, maintenance or provisioning [OAMP] of WDM networks, e.g. media access, routing or wavelength allo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ynchronisation In Digital Transmission Syste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클럭 리커버리가 불필요한 비트동기 회로
제1도는 본 발명의 전체적인 구성도.
제2도는 본 발명의 동작 타이밍도.
제3도는 본 발명의 동작 알고리즘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12 : D플립플롭 13,14 : 프레임 동기 회로
15 : 데이터 선택부 16 : 클럭 선택부
17 : 인버터
본 발명은 PON(Passive Optical Network)구조를 갖는 광가입가로의 데이타 전송시에 수신측에서 데이터와 클럭사이의 비트동기 기능을 수행하는 비트동기 회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광가입자 전송에서는 광수신기에서 클럭리커버리 회로를 통하여 자연스럽게 클럭과 데이터 사이의 동기가 이루어지므로 별도의 비트동기 회로가 필요하지 않았으나 PON구조를 갖는 광가입자로의 데이타 전송시에는 클럭 리커버리가 불가능하므로 이를 대체할 수 있는 비트동기 기술을 필요로 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디지틀 논리회로를 통하여 데이타와 클럭 사이의 비트동기 기능을 수행하는 비트동기 회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외부에서 입력되는 데이타를 외부에서 입력되는 클럭과 이를 반전시킨 클럭을 이용하여 각각 래치하는 제1 및 제2 D플립플롭과, 반전된 클럭과 상기 제1 D플립플롭의 출력데이타를 받아 프레임 동기를 확인하여, 프레임 동기가 확인되면 인 프레임 A신호를 출력하는 제1 프레임 동기 회로와, 입력클럭과 제2 D플립플롭의 출력 데이터를 입력받아 프레임 동기를 확인하여, 프레임 동기가 확인되면 인 프레임을 신호를 출력하는 제2 프레임 동기 회로와,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 동기 회로의 출력인 인 프레임 신호를 선택신호 입력단으로 입력받아 데이타 입력단으로 입력되는 상기 D플립플롭의 출력 데이타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데이터 선택수단, 및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 동기 회로의 출력인 인 프레임신호를 선택신호 입력단으로 입력받아 데이타 입력단으로 입력되는 입력 클럭과 반전된 클럭을 선택하여 출력하는 클럭 선택수단을 구비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비트동기 회로의 전체적인 구성도로서, 도면에서 11, 12는 D플립플롭, 13,14는 프레임 동기 회로 A와 B, 15는 데이터 선택부, 16은 클럭 선택부, 17은 인버터를 각각 나타낸다.
D플립플롭(11,12)은 각각 외부에서 입력되는 데이타를 외부에서 입력되는 클럭(Clock A, Clock B)를 이용하여 래치하는데, D플립플롭(12)에 제공되는 클럭(Clock B)은 외부에서 입력되는 클럭(Clock A)이 인버터(17)에 의해 반전된 클럭이다. 따라서, D플립플롭(11,12)은 상기 클럭(Clock Q, Clock B)에 동기된 입력 데이타(DA,DB)를 각각 출력한다.
프레임 동기 회로A(13)는 반전된 클럭(Clock B)과 D플립플롭(11)의 출력 데이타(DA)를 받아 프레임 동기를 확인하여, 프레임 동기가 확인되면 이 프레임 A(in-fram A)를 하이('High')로 출력한다. 프레임 동기 회로 B(14)는 입력클럭(Clock A)과 D플립플롭(12)의 출력 데이터(DB)를 입력받아 프레임 동기를 확인하여, 프레임동기가 확인되면 인 프레임(in-frame B)를 하이('High')로 출력한다.
데이터 선택부(15)는 프레임 동기 회로 A, B(13,14)의 출력인 인프레임 A, B신호를 선택신호 입력단(S0,S1)으로 입력받아 데이타 입력단으로 입력되는 상기 D플립플롭(11,12)의 출력 데이타를 선택하여 출력한다.
그리고 클럭 선택부(16)는 프레임 동기 회로 A, B(13,14)의 출력인 인 프레임 A, B신호를 선택신호 입력(S0,S1)으로 입력받아 데이타 입력단을 입력되는 입력 클럭과 반전된 클럭을 선택하여 출력한다.
상기 데이터 선택부(15)와 클럭 선택부(16)의 동작은 아래 [표 1]에 도시된 바와 같다.
[표 1]
프레임 동기 회로 A 및 B가 모두 프레임 동기가 되지 않을 경우(인프레임 A,B=모두 로우)는 데이타 선택부(15)와 클럭 선택부(16)은 하이를 출력한다.
그리고 프레임 동기 회로 A(13)는 프레임 동기가 되고, 프레임 동기 회로 B(16)는 프레임 동기가 되지 않을 경우, 데이타 선택부(15)는 데이터 A를, 클럭 선택부는 반전된 클럭인 클럭 B를 출력한다. 이와 반대로 프레임 동기 회로 A(13)는 프레임 동기가 되지 않고, 프레임 동기 회로 B(14)만 프레임 동기가 될 경우에는 데이터 선택부(13)는 데이터 B를, 클럭 선택부(16)는 입력 클럭인 클럭 A를 출력한다.
또한, 프레임 동기 회로 A(13)와 B(14)가 모두 프레임 동기가 될 경우에는 데이터 선택부(15)는 데이터 A를, 클럭 선택부(16)는 반전된 클럭인 클럭 B를 출력한다.
제2도는 본 발명의 동작에 따른 타임 다이아그램을 보여준다. Data(21)은 입력되는 데이터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High' 또는 'LOW'를 의미한다. Clock A(22)는 입력되는 클럭을 의미하며 데이터와 같은 주기를 갖는다. Clock B(23)는 입력된 클럭을 반전시킨 것으로 데이터와 같은 주기를 가지며, 인버터(17)로 부터 출력된다. Data A(24)는 D플립플롭(11)의 출력을 나타내며, 클럭 A의 천이부와 입력 데이터의 천이부가 일치되므로 안정된 데이터의 출력을 기대할 수 없다. Data B(25)는 D플립플롭(12)의 출력을 나타내며, 클럭 B의 천이부와 입력 데이터의 천이부가 일치되지 않으므로 안정된 데이터가 출력된다.
In-frame A(26)은 프레임 동기 회로 A(13)에서 출력되는 인 프레임신호이며, 입력 데이터 A의 출력이 안정되지 못하므로, 역시 안정된 인 프레임 신호를 출력할 수 없다. In-frame B(27)는 프레임 동기 회로 B(14)에서 출력되는 인 프레임신호이며, 안정된 데이터 B가 입력되므로, 역시 안정된 인 프레임 신호를 출력한다. 출력 Data(28)은 데이터 선택부(15)에서의 데이터 출력을 의미하며, 여기에서는 프레임 동기 회로 B(14)가 안정된 인 프레임 신호를 생성하므로 데이터 B가 출력된다. 출력 클럭(29)은 클럭 선택부(16)에서의 클럭 출력을 의미하며, 여기에서는 프레임 동기 회로 B(14)가 언정된 인 프레임신호를 생성하므로 클럭 A가 출력된다.
제3도는 본 발명의 동작에 따른 알고리즘을 나타낸 것이다.
데이터 입력(31)과 클럭 입력(316)이 되면, 입력된 클럭과 같은 위상의 클럭 A(32)와 180도의 위상차를 갖는 클럭 B(37)를 생성한다. D플립플롭을 이용하여 입력 데이터를 클럭 A로 래치(33)하여 데이터 A를 출력(34)하고, 클럭 B로 래치(38)하여 데이터 B를 출력(39)한다. 데이터 A는 프레임 동기 A(35)를 통하여 In-frame 신호 A를 생성하고, 데이터 B는 프레임 동기 B(310)를 통하여 In-frame신호(311)을 생성한다. In-frame신호 A와 B가 모두 'LOW'이면 데이터 출력 'High'(314)이, In-frame신호 A와 B가 모드 'High'이면 데이터 출력 A와 클럭 출력 B(312)이, In-frame신호 A가 'Hihg'이고, B가 'LOW'이면 데이터 출력 A와 클럭 출력 B(313)이 In-frame신호 A가 'LOW'이고 B가 'High'이면 데이터 출력 B와 클럭 출력 A(315)가 선택되어 출력된다.
따라서, 상기와 구성되어 동작하는 본 발명은, PON 구조를 갖는 광가입자로의 데이타 전송에 있어서, 수신측에서 데이터 검출을 용이하게 하고 데이터에 동기된 클럭을 공급함이 가능하고, 데이타와 같은 주기의 클럭을 사용하므로 별도의 고속소자가 필요치 않은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외부에서 입력되는 데이타를 외부에서 입력되는 클럭(Clock A)과 이를 반전시킨 클럭(Clock B)을 이용하여 각각 래치하는 제1 및 제2 D플립플롭(11,12)과, 반전된 클럭(Clock B)과 상기 제1 D플립플롭(11)의 출력 데이타(DA)를 받아 프레임 동기를 확인하여, 프레임 동기가 확인되면 인 프레임 A(in-frame A) 신호를 출력하는 제1 프레임 동기 회로(13)와, 입력클럭(Clock A)과 제2 D플립플롭(12)의 출력 데이타(DB)를 입력받아 프레임 동기를 확인하여, 프레임 동기가 확인되면 인 프레임(in-frame B)를 신호를 출력하는 제2 프레임 동기 회로(14)와,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 동기 회로(13,14)의 출력인 인 프레임 신호를 선택신호 입력단(S0,S1)으로 입력받아 데이타 입력단으로 입력되는 상기 D플립플롭(11,12)의 출력 데이타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데이터 선택수단(15), 및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 동기 회로(13,14)의 출력인 인 프레임 신호를 선택신호 입력간(S0,S1)으로 입력받아 데이타 입력단으로 입력되는 입력 클럭과 반전된 클럭을 선택하여 출력하는 클럭 선택수단(16)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트동기 회로.
KR1019930026437A 1993-12-03 1993-12-03 클럭 리커버리가 불필요한 비트동기 회로 KR9500109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26437A KR950010917B1 (ko) 1993-12-03 1993-12-03 클럭 리커버리가 불필요한 비트동기 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26437A KR950010917B1 (ko) 1993-12-03 1993-12-03 클럭 리커버리가 불필요한 비트동기 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2359A KR950022359A (ko) 1995-07-28
KR950010917B1 true KR950010917B1 (ko) 1995-09-25

Family

ID=193698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26437A KR950010917B1 (ko) 1993-12-03 1993-12-03 클럭 리커버리가 불필요한 비트동기 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1091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4524A (ko) * 2002-01-28 2003-08-0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데이터 전송의 타이밍 동기 회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2359A (ko) 1995-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07264A (en) Digital frequency multiplication and data serialization circuits
KR100730262B1 (ko) 래치 클럭 생성 회로 및 시리얼-패러럴 변환 회로
KR100295121B1 (ko) 클럭 복구 회로
EP0456258B1 (en) Network synchronization unit for a telephone exchange
US5764709A (en) Jitter attenuator
EP0616280A1 (en) Clock switcher circuit
KR950010917B1 (ko) 클럭 리커버리가 불필요한 비트동기 회로
US5200647A (en) High-speed signal multiplexing circuit for multiplexing high-speed signals
CN100349469C (zh) 自动选择同步时钟脉冲源的isdn专用小型交换机
KR100253769B1 (ko) 디지탈데이터의 전송클럭 변환회로
JP2000196462A (ja) パラレル/シリアル変換回路及びこれを有する同期多重伝送装置
JP2970617B2 (ja) フレーム同期回路
US20040090999A1 (en) Singal multiplexing circuit and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transmitter
US6462592B1 (en) Clock signal converting apparatus of a transmission system
KR0129608B1 (ko) 분기 결합 제어장치
KR0174596B1 (ko) 교환시스템의 망동기제어를 위한 클럭수신회로
JP3485449B2 (ja) クロック分周切替回路
KR960000133B1 (ko) 비트동기의 과도현상 제거회로
KR100776456B1 (ko) 광전송시스템의 에이피에스 인터럽트 신호 안정화 장치
KR960000541B1 (ko) 폰(pon) 구조를 갖는 광가입자에 대한 데이터 전송을 위한 비트 동기 회로
JP2929837B2 (ja) 信号同期回路
KR100204062B1 (ko) 저속 데이타 프레임 위상 정렬기
KR19980045818A (ko) 신호 전송 회로
KR920005877B1 (ko) 시스템 프레임 신호 동기회로 및 제어방법
JPH09130235A (ja) ディジタルpll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831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