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23553A - 단열성 용기 - Google Patents

단열성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23553A
KR20000023553A KR1019990041997A KR19990041997A KR20000023553A KR 20000023553 A KR20000023553 A KR 20000023553A KR 1019990041997 A KR1019990041997 A KR 1019990041997A KR 19990041997 A KR19990041997 A KR 19990041997A KR 20000023553 A KR20000023553 A KR 200000235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er cylinder
paper cup
heat insulating
insulating container
cup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19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시카야유키히로
구시다야스히로
시미즈히데키
야마가타가쓰히로
무카이미네오
오타요시히사
고미야야스토요
와타나베가쓰히로
오쿠시타마사타카
이시이요시노리
하기와라아키라
히다카가즈히로
야마다가즈키
Original Assignee
기타지마 요시토시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0277081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0103479A/ja
Priority claimed from JP10277079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0103477A/ja
Priority claimed from JP10296339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0118519A/ja
Priority claimed from JP30997798A external-priority patent/JP3773366B2/ja
Priority claimed from JP04576999A external-priority patent/JP3544883B2/ja
Priority claimed from JP04576899A external-priority patent/JP3340692B2/ja
Application filed by 기타지마 요시토시,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기타지마 요시토시
Publication of KR200000235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3553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 B65D81/386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drinking cups or like containers
    • B65D81/3869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drinking cups or like containers formed with double walls, i.e. holl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0External fittings
    • B65D25/205Means for the attachment of labels, cards, coupon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or peripheral walls of curved or partially-curved cross-section made by winding or bending paper without folding along defined lines
    • B65D3/0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or peripheral walls of curved or partially-curved cross-section made by winding or bending paper without folding along defined lines characterised by shape
    • B65D3/06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or peripheral walls of curved or partially-curved cross-section made by winding or bending paper without folding along defined lines characterised by shape essentially conical or frusto-con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or peripheral walls of curved or partially-curved cross-section made by winding or bending paper without folding along defined lines
    • B65D3/2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or peripheral walls of curved or partially-curved cross-section made by winding or bending paper without folding along defined lines with double walls; with walls incorporating air-chambers; with walls made of laminate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3/00Decoration means, markings, information elements, contents indicators
    • B65D2203/02Lab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우수한 단열성을 갖는 단열성 용기는 몸통부의 어느 장소를 손으로 잡더라도 내용물의 열이 전해지기 어렵다.
본 발명의 단열성 용기는 윗쪽개구 가장자리에 외향 컬부를 갖는 종이컵 본체와, 윗쪽 및 아래쪽 모두 개구하고 있고 아래쪽개구 가장자리에 내향 컬부를 갖는 종이제인 외통으로 이루어져, 외통은 그 윗쪽개구내면이 종이컵 본체에 있어서의 외향 컬부 바로 아래의 측벽바깥둘레에 접촉함과 동시에, 그 아래쪽개구 가장자리의 내향 컬부가 종이컵 본체의 하부의 측벽바깥둘레에 접촉하는 크기로서, 종이컵 본체에 외통을 씌우고 외통의 윗쪽개구내면을 종이컵 본체에 있어서의 외향 컬부 바로 아래의 측벽바깥둘레에 접착하여 양자를 일체로 함으로써, 단열성 용기를 형성하고, 종이컵 본체와 외통의 사이의 공극이 외통의 아래쪽개구 가장자리의 내향 컬부의 근방에서 최대로 되어있으며, 상기 외통은 외측으로 되는 면의 대략 전체에 걸쳐 미세한 엠보스가공을 실시하여 이루어지는 판지로써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단열성 용기{HEAT INSULATING CONTAINER}
본 발명은, 인스턴트라면 등의 즉석식품을 넣은 컵 형상의 용기에 관하여, 특히 끓는 물을 부어 그대로 먹을 수 있는 단열성이 우수한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 종류의 컵 형상을 한 단열성 용기로서는, 발포 폴리스틸렌 등의 플라스틱제가 많이 사용되고 있지만, 이들은 폐기한 경우에 공해문제가 된다는 점에서, 이를 대신하는 것으로, 예컨대 일본 실용공개평4-45212호 공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이컵 본체와 외통(outer cylinder)에 의해서 몸통부(barrel)를 2중단열용의 공극을 형성한 종이제의 단열성 용기가 제안되어 있다.
종래의 기술에서 서술한 일본 실용공개평4-45212호 공보에 기재된 단열성 용기는, 통상의 종이컵에 대하여 테이퍼의 다른 바닥 없는 외통을 조합시킨 간단한 구성에 의해 단열효과를 갖는 컵을 얻을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단열용의 공극이 아래쪽으로 갈수록 커지기 때문에, 통상적으로 들고 있는 형태에서는 양호한 단열효과를 발휘한다. 그렇지만, 상부쪽으로 가깝게 들고 있는 상태가 오래 계속되면, 단열효과를 발휘하는 공극(gap)이 없거나 또는 좁기 때문에, 점점 뜨겁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행해진 것으로서, 그 목적으로 하는 곳은, 몸통부의 어느 장소를 손으로 잡더라도 내용물의 열이 전해지기 어려운 우수한 단열성을 갖는 용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제1타입의 단열성 용기의 일례를 나타내는 것으로, 왼쪽 반 및 오른쪽 반을 각각 단면도와 정면도로 나타내는 개략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관한 제2타입의 단열성 용기의 일례를 나타내는 것으로, 왼쪽 반 및 오른쪽 반을 각각 단면도와 정면도로 나타내는 개략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관한 제3타입의 단열성 용기의 일례를 나타내는 것으로, 왼쪽 반 및 오른쪽 반을 각각 단면도와 정면도로 나타내는 개략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관한 제3타입의 단열성 용기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왼쪽 반 및 오른쪽 반을 각각 단면도와 정면도로 나타내는 개략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관한 제4의 타입의 단열성 용기의 일례를 나타내는 것으로, 왼쪽 반 및 오른쪽 반을 각각 단면도와 정면도로 나타내는 개략구성도,
도 6은, 도 5의 좌측위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일부확대도,
도 7은, 외통을 형성하기 위한 블랭크를 나타내는 전개도,
도 8은, 도 5에 나타내는 단열성 용기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왼쪽 반 및 오른쪽 반을 각각 단면도와 정면도로 나타내는 개략구성도,
도 9는, 도 5에 나타내는 단열성 용기의 별도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왼쪽 반 및 오른쪽 반을 각각 단면도와 정면도로 나타내는 개략구성도,
도 10은, 도 5에 나타내는 단열성 용기의 또 다른 별도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왼쪽 반 및 오른쪽 반을 각각 단면도와 정면도로 나타내는 개략구성도,
도 11은, 본 발명에 관한 제5의 타입의 단열성 용기의 일례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12는, 도 11에 나타내는 단열성 용기를 구성하는 종이 컵 본체의 측면도,
도 13은, 도 11에 나타내는 단열성 용기를 구성하는 외통의 측면도,
도 14는, 도 11에 나타내는 단열성 용기의 개략구성도,
도 15는, 도 13의 외통의 오른쪽상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일부확대도,
도 16은, 도 13의 외통을 제작하는 데 사용되는 맨드릴의 측면도,
도 17은, 도 16에 있어서의 A 부분의 확대단면도,
도 18은, 도 16의 맨드릴에 의해 외통의 위끝단부분에 테이퍼를 붙이는 모양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19는, 본 발명에 관한 제5의 타입의 단열성 용기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왼쪽 반 및 오른쪽 반이 각각 측면도와 단면도를 나타내는 개략구성도,
도 20은, 도 19의 단열성 용기에 있어서의 외통의 오른쪽상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일부확대도,
도 21은, 도 14에 나타낸 단열성 용기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왼쪽 반 및 오른쪽 반을 각각 측면도와 단면도로 나타내는 개략구성도,
도 22는, 도 14에 나타낸 단열성 용기의 별도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왼쪽 반 및 오른쪽 반을 각각 측면도와 단면도로 나타내는 개략구성도,
도 23은, 도 14에 나타낸 단열성 용기의 또 다른 별도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왼쪽 반 및 오른쪽 반을 각각 측면도와 단면도로 나타내는 개략구성도,
도 24는, 본 발명에 관한 제6의 타입의 단열성 용기의 일례를 나타내는 것으로, 왼쪽 반 및 오른쪽 반이 각각 측면도와 단면도를 나타내는 개략구성도,
도 25는, 도 24에 나타내는 단열성 용기를 구성하는 종이 컵 본체에 있어서의 위끝단부분의 굽힘가공의 형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26은, 본 발명에 관한 제6의 타입의 단열성 용기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왼쪽 반 및 오른쪽 반이 각각 측면도와 단면도를 나타내는 개략구성도,
도 27은, 도 26에 나타내는 단열성 용기를 구성하는 외통의 오른쪽상부를 나타내는 확대설명도,
도 28은, 도 27에 나타내는 외통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일부확대도,
도 29는, 도 36에 나타내는 단열성 용기의 외통을 제작하는 데 사용되는 맨드릴의 측면도,
도 30은, 도 29에 있어서의 A 부분의 확대단면도,
도 31은, 도 29의 맨드릴에 의해 외통의 위끝단부분에 테이퍼를 붙이는 모양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32는, 본 발명에 관한 제6의 타입의 단열성 용기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왼쪽 반 및 오른쪽 반이 각각 측면도와 단면도를 나타내는 개략구성도,
도 33은, 도 26에 나타낸 단열성 용기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왼쪽 반 및 오른쪽 반을 각각 측면도와 단면도로 나타내는 개략구성도,
도 34는, 도 26에 나타낸 단열성 용기의 별도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왼쪽 반 및 오른쪽 반을 각각 측면도와 단면도로 나타내는 개략구성도,
도 35는, 도 26에 나타낸 단열성 용기의 또 다른 별도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왼쪽 반 및 오른쪽 반을 각각 측면도와 단면도로 나타내는 개략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0: 단열성 용기 2, 20: 종이컵 본체
3, 30: 중공 원통형의 외통 4, 7, 21, 31: 몸통부
5: 바닥 판 6,23: 외향 컬부
8,32: 내향 컬부 9, 10, 11: 공극
20,24: 돌출조 25: 볼록형상부
33: 오목돌기 34: 위 끝단부
35: 부각부분 40: 맨드릴
41: 홈 42: 릴리이프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관한 제1타입의 단열성 용기는, 윗쪽개구 가장자리에 외향 컬부를 갖는 종이컵 본체와, 윗쪽 및 아래쪽 모두 개구하고 있고 아래쪽개구 가장자리에 내향 컬부를 갖는 종이제인 외통으로 이루어져, 외통은 그 윗쪽개구내면이 종이컵 본체에 있어서의 외향 컬부 바로 아래의 측벽바깥둘레에 접촉함과 동시에, 그 아래쪽개구 가장자리의 내향 컬부가 종이컵 본체의 하부의 측벽바깥둘레에 접촉하는 크기로서, 종이컵 본체에 외통을 씌우고 외통의 윗쪽개구내면을 종이컵 본체에 있어서의 외향 컬부 바로 아래의 측벽바깥둘레에 접착하여 양자를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단열성 용기를 형성하고, 종이컵 본체와 외통의 사이의 공극이 외통의 아래쪽개구 가장자리의 내향 컬부의 근방에서 최대로 되어있고 상기 외통이 외측으로 되는 면의 대략 전체에 걸쳐 미세한 엠보스가공을 실시하여 이루어지는 판지로써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관한 제2타입의 단열성 용기는, 윗쪽개구 가장자리에 외향 컬부를 갖는 종이컵 본체와, 윗쪽 및 아래쪽 모두 개구하고 있고 아래쪽개구 가장자리에 내향 컬부를 갖는 종이제의 외통으로 이루어지며, 외통은 그 윗쪽개구내면이 종이컵 본체에 있어서의 외향 컬부 바로 아래의 측벽바깥둘레에 접촉함과 동시에 그 아래쪽개구 가장자리의 내향 컬부가 종이컵 본체의 하부의 측벽바깥둘레에 접촉하는 크기로서, 종이컵 본체에 외통을 씌워 외통의 윗쪽개구내면을 종이컵 본체에 있어서의 외향 컬부 바로 아래의 측벽바깥둘레에 접착하여 양자를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단열성 용기를 형성하고, 상기 외통이 인쇄하는 문자나 모양이 외측으로 부각부분을 형성하도록 엠보스가공을 실시하여 이루어지는 판지로써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관한 제3타입의 단열성 용기는, 윗쪽개구 가장자리에 외향 컬부를 갖는 종이컵 본체와, 윗쪽 및 아래쪽 모두 개구하고 있고 아래쪽개구 가장자리에 내향 컬부를 갖는 종이제의 외통으로 이루어지며, 외통의 몸통부윗쪽부근에는 안쪽으로 움푹 패인 횡괘선이 둘레방향으로 설치되어 있고, 그 외통을 종이컵 본체에 씌워 외통의 횡괘선의 안쪽면을 종이컵 본체의 몸통부윗쪽부근의 측벽바깥둘레면에 접착하여 양자를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단열성 용기를 형성하고, 종이컵 본체와 외통의 사이에 공극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관한 제4의 타입의 단열성 용기는, 윗쪽개구 가장자리에 외향 컬부를 갖는 종이컵 본체와, 윗쪽 및 아래쪽 모두 개구하고 있고 아래쪽개구 가장자리에 내향 컬부를 갖는 종이제의 외통으로 이루어지며, 외통의 상부에는 윗쪽개구 가장자리가 안쪽으로 접혀져 접을 부분이 형성되어 있고, 외통은 그 상부의 접을 부분이 종이컵 본체에 있어서의 외향 컬부 바로 아래의 측벽바깥둘레면에 접촉함과 동시에 그 아래쪽개구 가장자리의 내향 컬부가 종이컵 본체의 하부의 측벽바깥둘레면에 접촉하는 크기로서, 외통을 종이컵 본체에 씌워 외통의 접을 부분의 아래쪽부근의 안쪽면을 종이컵 본체의 몸통부윗쪽부근의 측벽바깥둘레면에 접착하여 양자를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단열성 용기를 형성하고, 종이컵 본체와 외통의 사이에 공극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관한 제5의 타입의 단열성 용기는, 윗쪽개구 가장자리에 외향 컬부를 갖는 위쪽이 넓은 종이컵 본체와, 윗쪽 및 아래쪽 모두 개구하고 있어 아래쪽개구 가장자리에 내향 컬부를 갖는 위쪽이 넓은 종이제의 외통으로 이루어지며, 외통은 몸통부의 위끝단부분이 전체둘레에 걸쳐 안쪽에 닫는 방향으로 굽혀져 있고, 그 외통을 종이컵 본체에 씌워 외통의 위끝단부분의 선단을 종이컵 본체에 있어서의 외향 컬부의 안쪽에 닿게 하거나 파고들게 한 상태로 하고, 외통에 있어서의 위끝단부분과 내향 컬부의 적어도 어느 하나에 종이컵 본체에 접착하여 양자를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단열성 용기를 형성하고, 종이컵 본체와 외통의 사이에 공극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관한 제6의 타입의 단열성 용기는, 윗쪽개구 가장자리에 외향 컬부를 갖는 위쪽이 넓은 종이컵 본체와, 윗쪽 및 아래쪽 모두 개구하고 있어 아래쪽개구 가장자리에 내향 컬부를 갖는 위쪽이 넓은 종이제의 외통으로 이루어지며, 종이컵 본체의 외향 컬부에 인접하는 위끝단부분이 전체둘레에 걸쳐 외측방향으로 더욱 넓어지도록 굽혀져 있고, 외통을 종이컵 본체에 씌워 외통의 위끝단부분의 선단을 종이컵 본체에 있어서의 외향 컬부의 안쪽에 닿게 하거나 파고들게 한 상태로 하고, 외통에 있어서의 위끝단부분과 내향 컬부의 적어도 어느 하나에 종이컵 본체에 접착하여 양자를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단열성 용기를 형성하고, 종이컵 본체와 외통의 사이에 공극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외통에 있어서는, 그 위끝단부분이 전체둘레에 걸쳐 안쪽에 닫는 방향으로 굽혀져 있도록 구성하여도 좋은 것이다.
「발명의 실시형태」
(제1타입)
우선 처음에, 도 1을 참조하면서 제1타입의 단열성 용기의 실시형태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단열성 용기의 일례를 나타내는 것으로, 왼쪽 반 및 오른쪽 반을 각각 단면도와 정면도로 나타내는 개략구성도이며, 동 도면의 단열성 용기(heat insulating container : 1)는, 종이컵 본체(cup body : 2)와 윗쪽 및 아래쪽 모두 개구한 중공 원통형의 외통(outer cylinder : 3)으로 구성되어 있다.
종이컵 본체(2)는, 내면 혹은 안팎 양면에 폴리에틸렌 등의 합성 수지를 코팅한 종이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통상의 종이컵과 같이 몸통부(4)의 아래쪽으로 바닥판(5)을 단단히 감고 있음과 동시에 윗쪽개구 가장자리에 외향 컬부(outwardly curled portion : 6)가 형성된 것이다.
한편, 중공 원통형의 외통(3)은 지단체(紙單體 :single paper) 혹은 한면 또는 양면에 폴리에틸렌 등의 합성 수지를 코팅한 종이로 이루어져 있고, 몸통부(7)의 아래쪽개구 가장자리에 내향 컬부(8)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외통(3)은 그 몸통부(7)가 종이컵 본체(2)의 몸통부(4)보다 끝이 조금 넓어지는 테이퍼를 갖는 것으로, 그 윗쪽개구내면이 종이컵 본체(2)에 있어서의 외향 컬부(6) 바로 아래의 측벽바깥둘레에 접촉함과 동시에 그 아래쪽개구 가장자리의 내향 컬부(8)가 종이컵 본체(2)의 아래쪽의 측벽바깥둘레에 접촉하는 크기라고 되어 있다. 그리고, 도시한 바와 같이 외통(3)은 외측으로 되는 면의 전체에 걸쳐 엠보스가공(embossing process)을 실시한 판지(paperboard)로써 형성되어 있다. 이 엠보스가공으로서는, 배표면모양의 바탕을 비롯하여 적당한 요철모양이면 된다. 또한 속이 되는 면에까지 깊게 요철이 형성되어 있더라도 상관없다.
그리고 종이컵 본체(2)에 상기 구성의 외통(3)을 씌워, 외통(3)의 윗쪽개구내면을 종이컵 본체(2)에 있어서의 외향 컬부(6) 바로 아래의 측벽바깥둘레면에 유탁액계접착제 등의 수단으로 접착하여 양자를 일체로 함으로써, 도 1의 단열성 용기(1)가 형성되어 있다. 또 사용형태에 의해서는, 외통(3)의 아래쪽개구 가장자리에 형성된 내향 컬부(8)의 부분도 종이컵 본체(2)의 아래쪽의 측벽바깥둘레면에 접착함으로써, 종이컵 본체(2)와 외통(3)의 결합을 보다 확실한 것으로 하여도 좋다.
상기 구성의 단열성 용기(1)에 있어서는, 테이퍼가 다른 종이컵 본체(2)의 몸통부(4)와 외통(3)의 몸통부(7)의 사이에 공극(9)이 형성되고, 이 공극(9) 부분이 단열작용을 행하기 때문에, 예컨대 뜨거운 물을 넣은 경우, 내측의 몸통부(4)의 열이 외측의 몸통부(7)로 전해지는 것이 방지된다. 그리고 내용물은 종이컵 본체 (2)의 아래의 쪽에 긴 시간 들어가 있게 되는데, 종이컵 본체(2)와 외통(3) 사이의 공극(9)이 외통(3)의 아래쪽개구 가장자리의 내향 컬부(8)의 근방으로 최대, 즉 공극(9)은 아래쪽으로 갈수록 커지고 있기 때문에 양호한 단열효과를 발휘한다. 더구나, 외통 (3)의 외측면은 전체에 걸쳐 엠보스가공이 실시되고 평평한 상태가 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손으로 잡기 쉬울 뿐만 아니라 외통(3)자체가 열을 가지더라도 그 열이 손에 전해지기 어렵게 되어 있다. 또한, 엠보스가공에 의해 외통(3)에 요철모양이 형성되므로, 외관적으로 디자인상의 효과를 부여할 수 있게 된다.
또, 상기의 예로서는 엠보스가공에 의한 요철모양을 외통에 있어서의 몸통부의 대략 전면에 걸쳐 형성하였지만, 요철모양을 형성하지 않은 부분을 일부에 남겨도 좋다. 예컨대, 손으로 가지는 영역을 고려하여 몸통부의 상하에 띠형상으로 남겨도 좋고, 또한 디자인을 고려하여 제품명의 부분 등을 모양형상으로 남기더라도 좋다.
또한, 종이컵 본체(2)의 몸통부(4)에, 둘레방향으로서 내면측 또는 외면측으로 돌출하는 돌출조를 형성하여, 뜨거운 물을 부을 때의 목표가 되는 주입기준선을 마련하여도 좋다.
(제2타입)
다음에 도 2를 참조하면서 제2타입의 단열성 용기의 실시형태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관한 단열성 용기의 일례를 나타내는 것으로, 왼쪽 반 및 오른쪽 반을 각각 단면도와 정면도로 나타내는 개략구성도이며, 동 도면의 단열성 용기(1)는, 종이컵 본체(2)와 윗쪽 및 아래쪽 모두 개구한 중공 원통형의 외통(3)으로 구성되어 있다.
종이컵 본체(2)는, 내면 혹은 안팎 양면에 폴리에틸렌 등의 합성 수지를 코팅한 종이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통상의 종이컵과 같이 몸통부(4)의 아래쪽으로 바닥판(5)을 단단히 감고 있음과 동시에 윗쪽개구 가장자리에 외향 컬부(6)가 형성된 것이다.
한편, 중공 원통형의 외통(3)은 지단체 혹은 한 면 또는 양면에 폴리에틸렌 등의 합성 수지를 코팅한 종이로 이루어져 있고, 몸통부(7)의 아래쪽개구 가장자리에 내향 컬부(8)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외통(3)은 그 몸통부(7)가 종이컵 본체(2)의 몸통부(4)보다 끝이 조금 넓어지는 테이퍼를 갖는 것으로, 그 윗쪽개구내면이 종이컵 본체(2)에 있어서의 외향 컬부(6) 바로 아래의 측벽바깥둘레에 접촉함과 동시에 그 아래쪽개구 가장자리의 내향 컬부(8)가 종이컵 본체(2)의 아래쪽의 측벽바깥둘레에 접촉하는 크기로 되어 있다. 그리고 도시한 바와 같이 외통(3)은, 인쇄하는 문자나 모양이 외측으로 부각부분(9)을 형성하도록 엠보스가공을 실시하여 이루어지는 판지로써 형성되어 있다. 이 엠보스가공은, 인쇄한 문자나 모양이 손으로 만지거나 눈으로 보더라도 튀어나와 있는 것을 알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겉으로 돌출되어 있는 것은 물론, 속에서는 홈부를 형성하는 깊이로 실시되고 있다.
그리고, 종이컵 본체(2)에 상기 구성의 외통(3)을 씌워, 외통(3)의 윗쪽개구내면을 종이컵 본체(2)에 있어서의 외향 컬부(6) 바로 아래의 측벽바깥둘레면에 유탁액계접착제 등의 수단으로 접착하여 양자를 일체로 함으로써, 도 2의 단열성 용기(1)가 형성되어 있다. 또 사용형태에 따라서는, 외통(3)의 아래쪽개구 가장자리에 형성된 내향 컬부(8)의 부분도 종이컵 본체(2)의 아래쪽의 측벽바깥둘레면에 접착함에 의해, 종이컵 본체(2)와 외통(3)의 결합을 보다 확실한 것으로 하여도 좋다.
상기 구성의 단열성 용기(1)에 있어서는, 테이퍼가 다른 종이컵 본체(2)의 몸통부(4)와 외통(3)의 몸통부(7)의 사이에 공극(10)이 형성되고, 이 공극(10)의 부분이 단열작용을 다하기 때문에 예컨대 뜨거운 물을 넣은 경우, 내측의 몸통부 (4)의 열이 외측의 몸통부(7)에 전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내용물은 종이컵 본체(2)의 아래의 쪽에 긴 시간 담겨져 있게 되는데, 종이컵 본체(2)와 외통(3) 사이의 공극(10)이 외통(3)의 아래쪽개구 가장자리의 내향 컬부(8)의 근방으로 최대, 즉 공극(10)은 아래쪽으로 갈수록 커지므로 양호한 단열효과를 발휘한다. 더구나, 외통(3)은 문자나 모양이 부각부분(9)으로서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가 되어 있기 때문에, 그들 부분으로서 단열효과가 높아져 열이 손에 전해지기 어렵게 되어 있다.
또, 엠보스가공에 의해 부각부분(9)은, 모든 문자나 모양의 부분에 대하여 형성할 필요는 없고, 강조하고 싶은 문자나 모양에만 형성하면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외통(3)을 손으로 잡는 영역을 고려하여, 바깥둘레전체에 걸쳐 부각부분 (9)이 분포하도록 문자나 모양을 디자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종이컵 본체(2)의 몸통부(4)에, 둘레방향으로서 내면측 또는 외면측에 돌출하는 돌출조를 형성하고, 뜨거운 물을 부을 때의 목표가 되는 주입기준선을 설치하여도 좋다.
(제3타입)
다음에 도 3∼도 4를 참조하면서 제3타입의 단열성 용기의 실시형태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관한 단열성 용기의 일례를 나타내는 것으로, 왼쪽 반 및 오른쪽 반을 각각 단면도와 정면도로 나타내는 개략구성도이며, 동 도면의 단열성 용기(1)는, 종이컵 본체(2)와 윗쪽 및 아래쪽 모두 개구한 중공 원통형의 외통(3)으로 구성되어 있다.
종이컵 본체(2)는, 내면 혹은 안팎 양면에 폴리에틸렌 등의 합성 수지를 코팅한 종이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통상의 종이컵과 같이 몸통부(4)의 아래쪽에 바닥판 (5)을 단단히 감고 있음과 동시에 윗쪽개구 가장자리에 외향 컬부(6)가 형성된 것이다.
한편, 중공 원통형의 외통(3)은 지단체 혹은 한 면 또는 양면에 폴리에틸렌 등의 합성 수지를 코팅한 종이로 이루어져 있고, 몸통부(7)의 아래쪽개구 가장자리에 내향 컬부(8)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외통(3)은 그 몸통부(7)가 종이컵 본체(2)의 몸통부(4)보다 끝이 조금 넓어지는 테이퍼를 갖는 것으로, 그 몸통부윗쪽부근에는 안쪽에 움푹 패인 횡괘선(9)이 둘레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횡괘선(9)의 안쪽면이 종이컵 본체(2)의 몸통부윗쪽부근의 측벽바깥둘레면에 접촉함과 동시에 몸통부(7)의 아래쪽개구 가장자리의 내향 컬부(8)가 종이컵 본체(2)의 아래쪽의 측벽바깥둘레에 접촉하는 크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종이컵 본체(2)에 상기 구성의 외통(3)을 씌워 외통(3)의 횡괘선(9)의 내측면을 종이컵 본체(2)의 몸통부윗쪽부근의 측벽바깥둘레면에 유탁액계접착제 등의 수단으로 접착하여 양자를 일체로 하는 것에 의해, 도 3의 단열성 용기(1)가 형성되어 있다. 또, 사용형태에 따라서는 외통(3)의 아래쪽개구 가장자리에 형성된 내향 컬부(8)의 부분도 종이컵 본체(2)의 아래쪽의 측벽바깥둘레면에 접착함에 의해, 종이컵 본체(2)와 외통(3)의 결합을 보다 확실한 것으로 하여도 좋다.
상기 구성의 단열성 용기(1)에 있어서는, 종이컵 본체(2)의 몸통부(4)와 외통(3)의 몸통부(7)의 사이에 공극(10)이 형성되어, 이 공극(10)의 부분이 단열작용을 한다. 더구나, 외통(3)의 몸통부윗쪽부근에는 안쪽에 움푹 패인 횡괘선(9)을 설치하여 두었기 때문에, 아래쪽에서 이 횡괘선(9)까지 공극(10)이 어느 정도의 간격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단열성 용기(1)에 예컨대 뜨거운 물을 넣은 경우, 내측의 몸통부(4)의 열이 외측의 몸통부(7)에 전해지는 것이 넓은 범위에 걸쳐 방지되고, 이 종류의 용기에 있어서 통상 손으로 어떤 장소를 잡더라도 뜨거워지는 일이 없다.
도 4는 제3타입의 단열성 용기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왼쪽 반 및 오른쪽 반을 각각 단면도와 정면도로 나타내는 개략구성도이다. 이 도 4에 표시되는 단열성 용기(1)는, 도 3에 나타낸 것으로 대략 같은 구성을 하고 있지만, 외통(3)의 몸통부윗쪽부근에 설치하는 둘레방향의 횡괘선(9)이 불연속으로 되어 있는 점이 다르고, 도 4의 단열성 용기(1)로서는, 횡괘선(9)을 6개에 분할한 형태로 되어 있다. 이 단열성 용기(1)도 종이컵 본체(2)에 상기 구성의 외통(3)을 씌워, 외통(3)의 횡괘선(9)의 안쪽면을 종이컵 본체(2)의 몸통부윗쪽부근의 측벽바깥둘레면에 유탁액계접착제 등의 수단으로 접착하여 양자를 일체로 함으로써 조립되고, 도 3의 단열성 용기(1)와 동일한 단열작용을 발휘한다.
또한 종이컵 본체(2)의 몸통부(4)에, 둘레방향으로서 내면측 또는 외면측에 돌출하는 돌출조를 형성하여, 뜨거운 물을 부을 때의 목표가 되는 주입기준선을 설치하여도 좋다. 종이컵 본체(2)에 주입기준선을 설치한 경우에는, 횡괘선(9)을 주입기준선보다도 윗쪽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주입기준선까지 부어진 뜨거운 물의 열이 횡괘선(9)을 통해 외통(3)의 몸통부(7)에 직접 전해지는 것이 방지된다.
(제4의 타입)
다음에, 도 5∼도 10을 참조하면서 제4의 타입의 단열성 용기의 실시형태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관한 단열성 용기의 일례를 나타내는 것으로, 왼쪽 반 및 오른쪽 반을 각각 단면도와 정면도로 나타내는 개략구성도이며, 동 도면의 단열성 용기(1)는, 종이컵 본체(2)와 윗쪽 및 아래쪽 모두 개구한 중공 원통형의 외통(3)으로 구성되어 있다.
종이컵 본체(2)는, 내면 혹은 안팎 양면에 폴리에틸렌 등의 합성 수지를 코팅한 종이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통상의 종이컵과 같이 몸통부(4)의 아래쪽으로 바닥판(5)을 단단히 감고 있음과 동시에 윗쪽개구 가장자리에 외향 컬부(6)가 형성된 것이다.
한편, 중공 원통형의 외통(3)은 지단체 혹은 한 면 또는 양면에 폴리에틸렌 등의 합성 수지를 코팅한 종이로 이루어져 있고, 몸통부(7)의 아래쪽개구 가장자리에 내향 컬부(8)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외통(3)은 그 몸통부(7)가 종이컵 본체(2)의 몸통부(4)보다 끝이 조금 넓어지는 테이퍼를 갖는 것으로, 도 6에 확대하여 나타낸 바와 같이, 그 상부에는 윗쪽개구 가장자리가 안쪽으로 접혀 접을 부분(9)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접을 부분(9)이 종이컵 본체(2)의 몸통부윗쪽부근의 측벽바깥둘레면에 접촉함과 동시에 몸통부(7)의 아래쪽개구 가장자리의 내향 컬부(8)가 종이컵 본체(2)의 아래쪽의 측벽바깥둘레면에 접촉하는 크기라고 되어 있다.
그리고, 종이컵 본체(2)에 상기 구성의 외통(3)을 밑에서부터 씌워, 외통(3)의 접을 부분(9)의 아래쪽부근의 안쪽면을 종이컵 본체(2)의 몸통부윗쪽부근의 측벽바깥둘레면에 유탁액계 등의 접착제(10)로 접착하여 양자를 일체로 함으로써, 도 5의 단열성 용기(1)가 형성되어 있다. 또 사용형태에 의해서는, 외통(3)의 아래쪽개구 가장자리에 형성된 내향 컬부(8)의 부분도 종이컵 본체(2)의 아래쪽의 측벽바깥둘레면에 접착함에 의해, 종이컵 본체(2)와 외통(3)의 결합을 보다 확실한 것으로 하여도 좋다.
외통(3)은, 부채형상의 블랭크를 두루 감아 양단부분을 맞붙이는 것으로 중공 원통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아래쪽개구 가장자리의 내향 컬부(8)는 종이컵 본체(2)의 외향 컬부(6)와 같이 하여 형성된다. 한편, 윗쪽개구 가장자리의 접을 부분(9)은 블랭크의 끝가장자리를 안쪽으로 접어 형성되지만, 이 경우 도 7(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블랭크(blank : B)의 위끝단가장자리에 따라 재봉질뜸에서 접는 선(a)을 형성해 놓으면, 접음 가공이 용이하고 또한 확실하게 행해질 수 있다. 또한 도 7(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위끝단가장자리에 소정간격으로 흠집(b)을 내두면, 간단하게 접을 수 있다.
상기 구성의 단열성 용기(1)에 있어서는, 종이컵 본체(2)의 몸통부(4)와 외통(3)의 몸통부(7) 사이에 공극(11)이 형성되어, 이 공극(11)의 부분이 단열작용을 한다. 더구나, 외통(3)의 상부안쪽에는 접을 부분(9)을 설치해 두기 때문에, 용기 (1)의 하부에서는 물론, 상부에 있어서도 공극(11)이 어느 정도의 간격으로 형성되게 된다. 따라서, 단열성 용기(1)에 예컨대 뜨거운 물을 넣은 경우, 내측의 몸통부 (4)의 열이 외측의 몸통부(7)에 전해지는 것이 넓은 범위에 걸쳐 방지되어, 이 종류의 용기에 있어서 통상 잡는 어느 곳을 잡더라도 뜨거워지는 일이 없다.
도 8은 도 5에 나타낸 단열성 용기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왼쪽 반 및 오른쪽 반을 각각 단면도와 정면도로 나타내는 개략구성도이다. 이 도 8에 표시되는 단열성 용기(1)는, 도 5에 나타낸 것과 대략 같은 구성을 하고 있지만, 인쇄하는 문자나 모양이 외측으로 부각부분(12)을 형성하도록 엠보스가공을 실시하여 이루어지는 판지로써 외통(3)을 형성한 점이 다르다. 이 부각부분(12)은, 모든 문자나 모양의 부분에 대하여 형성할 필요는 없고, 강조하고 싶은 문자나 모양에만 형성하여도 좋다. 이 단열성 용기(1)도, 종이컵 본체(2)에 상기 구성의 외통(3)을 씌워, 외통(3)의 접을 부분(9)의 아래쪽부근의 안쪽면을 종이컵 본체(2)의 몸통부윗쪽부근의 측벽바깥둘레면에 유탁액계 등의 접착제(10)로 접착하여 양자를 일체로 하는 것에 의해 조립된다. 그리고 도 5의 단열성 용기(1)와 동일한 단열작용을 발휘하지만, 특히 부각부분(12)에서는 공극(11)이 넓기 때문에 단열작용이 커진다.
도 9는 도 5에 나타낸 단열성 용기의 별도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왼쪽 반 및 오른쪽 반을 각각 단면도와 정면도로 나타내는 개략구성도이다. 이 도 9에 표시되는 단열성 용기(1)는, 도 5에 나타낸 것으로 대략 같은 구성을 하고있지만, 외측으로 되는 면의 전체에 걸쳐 미세한 엠보스가공을 실시하여 이루어지는 판지로써 외통(3)을 형성한 점이 다르다. 이 단열성 용기(1)도, 종이컵 본체(2)에 상기 구성의 외통(3)을 씌워, 외통(3)의 접을 부분(9)의 아래쪽부근의 안쪽면을 종이컵 본체(2)의 몸통부윗쪽부근의 측벽바깥둘레면에 유탁액계 등의 접착제(10)로 접착하여 양자를 일체로 하는 것에 의해 조립된다. 그리고, 도 5의 단열성 용기(1)와 동일한 단열작용을 발휘하지만, 종이컵 본체(2)와 외통(3) 사이의 공극(11)에 의한 단열효과가 발휘되는 것에 더하여, 외통표면의 미세한 요철에 의해 잡기 쉬울 뿐만 아니라 손에 열이 전해지기 어렵고, 전체적으로 단열효과가 한층 더 뛰어나게 된다. 또한 도 9의 예로서는 엠보스가공에 의한 요철모양을 외통에 있어서의 몸통부의 전면에 걸쳐 형성하였지만, 요철모양을 형성하지 않은 부분을 일부에 남겨도 좋다. 예컨대, 손으로 잡는 영역을 고려하여 몸통부의 상하에 띠형상으로 남겨도 좋고, 또한 디자인을 고려하여 이름의 부분 등을 모양형상으로 남겨도 좋다.
도 10은 도 5에 나타낸 단열성 용기의 또 다른 별도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왼쪽 반 및 오른쪽 반을 각각 단면도와 정면도로 나타내는 개략구성도이다. 이 도 10에 표시되는 단열성 용기(1)는, 도 5에 나타낸 것으로 대략 같은 구성을 하고있지만, 외측으로 되는 면의 대략 전체에 걸쳐 미세한 엠보스가공을 실시함과 동시에, 인쇄하는 문자나 모양이 외측으로 부각부분(12)을 형성하도록 엠보스가공을 실시하여 이루어지는 판지로써 외통(3)을 형성한 점이 다르다. 이 부각부분(12)은, 모든 문자나 모양 부분에 대하여 형성할 필요는 없고, 강조하고 싶은 문자나 모양에만 형성하여도 좋다. 이 단열성 용기(1)도, 종이컵 본체(2)에 상기 구성의 외통(3)을 씌워, 외통(3)의 접을 부분(9)의 아래쪽부근의 안쪽면을 종이컵 본체(2)의 몸통부윗쪽부근의 측벽바깥둘레면에 유탁액계 등의 접착제(10)로 접착하여 양자를 일체로 하는 것에 의해 조립된다. 그리고 도 5의 단열성 용기(1)와 동일한 단열작용을 발휘하지만, 특히 부각부분(12)에서는 공극(11)이 넓기 때문에 단열작용이 커지며, 또한 외통표면의 미세한 요철에 의한 단열작용도 가해져, 전체적으로 단열효과가 한층 더 뛰어나게 된다. 또, 도 10의 예에서는 엠보스가공에 의한 요철모양을 외통에 있어서의 몸통부의 전면에 걸쳐 형성하였지만, 요철모양을 형성하지 않은 부분을 일부에 남겨도 좋다. 예컨대, 손으로 잡는 영역을 고려하여 몸통부의 상하에 띠형상으로 남겨도 좋고, 또한 디자인을 고려하여 부각부분(12)이 되는 곳을 남기도록 하여도 좋다.
그리고, 종이컵 본체(2)의 몸통부(4)에, 둘레방향으로서 내면측 또는 외면측에 돌출하는 돌출조를 형성하여, 뜨거운 물을 부을 때의 목표가 되는 주입기준선을 설치하여도 좋다. 이 경우, 맞붙이기 위한 접착제(10)의 위치는 주입기준선보다도 윗쪽이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설명한 도 5, 도 6, 도 8∼도 10의 단열성 용기에 있어서는, 내면측에 돌출하는 돌출조(20)를 종이컵 본체(2)에 형성한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제5의 타입)
다음에 몇가지 예를 들면서 본 발명에 관한 제5의 타입의 단열성 용기의 실시형태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11∼도 14는 본 발명에 관한 단열성 용기의 일례를 나타낸 것으로, 도 11은 단열성 용기의 외관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12는 종이컵 본체의 측면도, 도 13은 외통의 측면도, 도 14는 왼쪽 반 및 오른쪽 반이 각각 측면도와 단면도를 나타내는 개략구성도이며, 도 11에 나타내는 단열성 용기(10)는, 도 12에 나타내는 종이컵 본체(20)와, 도 13에 나타내는 윗쪽 및 아래쪽 모두 개구한 중공 원통형의 외통(30)을 조합하여 구성되어 있다.
종이컵 본체(20)는, 내면 혹은 안팎 양면에 폴리에틸렌 등의 합성 수지를 코팅한 종이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통상의 종이컵과 같이, 부채형상의 블랭크를 둥글린 몸통부(21)의 아래쪽으로 원형상의 바닥판(22)을 단단히 감고 있음과 동시에 윗쪽개구 가장자리에 외향 컬부(23)를 형성한 것이다. 그리고 도시한 예에서는, 종이컵 본체(20)의 몸통부(21)의 윗쪽 가까운 위치에, 내면측에 돌출하는 폭이 좁은 돌출조(24)를 둘레방향으로 형성해두고, 이 돌출조(24)는 뜨거운 물을 부을 때의 목표가 되는 주입기준선의 역할을 하게 되어 있다. 또한 종이컵 본체(20)의 몸통부 (21)의 중간정도에는, 외면측에 돌출하는 둘레방향의 볼록형상부(25)로 이루어지는 보강리브를 형성해둔다. 또한 이들 돌출조(24)나 볼록형상부(25)는, 종이컵 본체 (20)와 외통(30)을 조합하기 전에, 숫틀·암틀을 사용하여 종이컵 본체(20)에 형성되는 것이다.
한편, 중공 원통형의 외통(30)은, 지단체 혹은 한 면 또는 양면에 폴리에틸렌 등의 합성 수지를 코팅한 부채형상의 종이로 이루어져 있고, 몸통부(31)의 아래쪽개구 가장자리에 내향 컬부(32)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종이컵 본체(20)도 외통(30)도 모두 위가 넓어지지만, 이밖에 외통(30)은 그 몸통부(31)가 종이컵 본체 (20)의 몸통부(21)보다 끝이 조금 넓어지는 테이퍼를 갖고 있다. 그리고 외통(30)의 몸통부윗쪽부근에는 안쪽에 움푹 패인 오목형돌기(33)가 둘레방향으로 설치되고 있고, 이 오목형돌기(33)의 안쪽면이 종이컵본체(20)의 몸통부윗쪽부근의 측벽바깥둘레면에 접촉하거나 아주 극소하게 떨어져 있음과 동시에, 몸통부(31)의 아래쪽개구 가장자리의 내향 컬부(32)가 종이컵 본체(20)의 아래쪽의 측벽바깥둘레에 접촉하는 크기라고 되어 있다. 또한 도 15에 확대하여 나타낸 바와 같이, 외통(30)의 위끝단부분(34)은 전체둘레에 걸쳐 안쪽에 닫는 방향으로 테이퍼형상으로 굽혀져 있고, 그 앞단이 종이컵 본체(20)의 외향 컬부(23)의 안쪽에 접촉하는 크기로 되어 있다. 또한, 이 위끝단부분(34)의 왜곡은, 테이퍼형상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만곡상태로 굽혀져 있어도 좋다.
상기와 같은 외통(30)에 있어서, 그 오목형돌기(33)는 블랭킹기로 판지로부터 블랭크를 뚫을 때에 동시에 형성되지만, 위끝단부분(34)의 테이퍼나 왜곡은 도 16에 나타내는 것 같은 구조의 맨드릴(40)을 사용하여 붙일 수 있다. 이 맨드릴 (40)은, 부채형상의 블랭크를 주위에 감아 내향 컬부(32)를 형성할 때에 사용하는 것이지만, 이 컬 형성시와 동시에 위끝단부분(34)에 테이퍼를 덧붙인 것 혹은 위끝단부분(34)을 만곡상태로 할 수 있다. 즉, 맨드릴(40)은, 도 16 및 그 일부확대도인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최대 지름측에 폭이 1 mm, 깊이가 대략 2 mm에서 20∼30도의 각도로 기울어진 홈(groove : 41)을 전체둘레에 걸쳐 설치하고, 또한 블랭크를 감을 때에 오목형돌기(33)가 찌부러지지 않도록 릴리프부(42)를 설치한 구조로 해둔다. 그리고, 제1 컬 공정으로써 컬형을 외통(30)의 하부에 꽉 누르는 힘을 이용하여,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통(30)의 위끝단부분(34)을 맨드릴(40)의 기울어진 홈(41)에 밀어 넣고, 그 상태로 제2 컬공정으로써 내향 컬부(32)를 형성한다. 컬부 형성공정 후, 외통(30)을 맨드릴(40)로부터 빼면, 외통(30)의 위끝단부분(34)이 전체둘레에 걸쳐 안쪽에 테이퍼형상으로 굽힌 형태가 된다. 혹은, 홈(41)의 형상 및 홈(41)에의 밀어 넣는 힘을 적당하게 설치함으로써 위끝단부분 (34)을 만곡형상에 굽힌 형태로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종이컵 본체(20)에 상기 구성의 외통(30)을 씌워서 집어넣고, 외통 (30)의 위끝단부분(34)의 선단을 종이컵 본체(20)에 있어서의 외향 컬부(23)의 안쪽에 닿게 하거나 파고들게 한 상태로 하여, 미리 종이컵 본체(20)의 외향 컬부 (23)의 아래쪽부근의 몸통부바깥둘레면에 도포한 유탁액계접착제 등의 수단에 의해, 외통(30)의 위끝단부분(34)을 종이컵 본체(20)에 있어서의 외향 컬부(23)의 안쪽에 접착하여 양자를 일체화로 하는 것에 의해, 도 11 및 도 14에 나타내는 단열성 용기(10)가 형성되어 있다. 혹은, 외통(30)의 오목형돌기(33)의 안쪽면을 종이컵 본체(20)의 몸통부윗쪽부근의 측벽바깥둘레면에 유탁액계접착제 등의 수단으로 접착하고 양자를 일체로 하여도 좋다. 또한 사용형태에 따라서는, 외통(30)의 아래쪽개구 가장자리에 형성된 내향 컬부(32)의 부분도 종이컵 본체(20)의 아래쪽의 측벽바깥둘레면에 접착하고, 종이컵 본체(20)와 외통(30)의 결합을 보다 확실하게 하여도 좋다. 또한 외통(30)의 위끝단부분(34)의 선단을 종이컵 본체(20)에 있어서의 외향 컬부(23)의 안쪽으로 충분히 파고들게 하도록 하는 경우는, 외통(30)에 있어서의 내향 컬부(32)의 부분을 종이컵 본체(20)의 아래쪽의 측벽바깥둘레면에 접착하기만 하여도 고정할 수가 있다.
종래의 기술에서 상술한 단열성 용기와 같이 외통(30)의 위끝단가장자리의 지름과 종이컵 본체(20)의 외향 컬부 바로 아래의 지름을 대략 같게 하면, 외통 (30)에 오목형돌기(33)를 설치한 경우 이것이 안쪽에 돌출하기 때문에, 종이컵 본체(20)에 외통(30)을 씌우는 경우에 완전히는 꽂아 넣을 수는 없고, 외통(30)의 하부가 종이컵 본체(20)의 하부로부터 비어져 나오게 된다. 그래서, 상기의 예에서는 오목형돌기(33)에 적당한 만큼만 외통(30)의 내경을 크게 하여 꽂을 수 있게 함과 동시에, 위끝단부분의 전체둘레에 걸쳐 안쪽에 닫는 방향으로 테이퍼를 붙이거나, 혹은 만곡형상으로 구부린 상태로 해둠으로써, 종이컵 본체(20)의 외향 컬부(23)에 외통(30)의 위끝단부분(34)이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여, 순조롭게 꽂아지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외통(30)의 위끝단이 느슨해지는 경우가 없어, 외관불량을 일으킬 일이 없다.
상기 구성의 단열성 용기(10)에 있어서는, 종이컵 본체(20)의 몸통부(21)와 외통(30)의 몸통부(31) 사이에 공극이 형성되고, 이 공극의 부분이 단열작용을 한다. 더구나, 외통(30)의 몸통부윗쪽부근에는 안쪽에 움푹 패인 오목형돌기(33)를 설치해두기 때문에, 아래쪽에서 이 오목형돌기(33)가 있는 곳까지 공극이 어느 정도의 간격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단열성 용기(10)에 예컨대 뜨거운 물을 넣은 경우, 내측의 몸통부(21)의 열이 외측의 몸통부(31)에 전해지는 것이 넓은 범위에 걸쳐 방지되고, 이 종류의 용기에 있어서 통상 잡게 되는 어떤 장소를 잡더라도 뜨거워지는 일이 없다.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종이컵 본체(20)의 몸통부(21)에는 외면측으로 돌출하는 둘레방향의 볼록형상부(25)로 이루어지는 보강리브를 형성해두기 때문에, 이 볼록형상부(25)에 의해 종이컵 본체(20)의 강도가 높아짐과 동시에, 외통(30)의 몸통부(31)가 안쪽으로 휘어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손으로 잡은 경우에 종이컵 본체(20)의 몸통부(21)와 외통(30)의 몸통부(31) 사이의 공극이 좁아지는 것이 방지된다.
도 19는 본 발명에 관한 제5의 타입의 단열성 용기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왼쪽 반 및 오른쪽 반이 각각 측면도와 단면도를 나타내는 개략구성도이며, 이 예의 단열성 용기(10)는 도 12에 나타낸 것과 같은 종이컵 본체(20)와, 도 13에 나타낸 것과는 다른 형상의 외통(30)을 조합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 예에서 사용한 외통(30)은, 도 13의 외통(30)에 있어서의 둘레방향의 오목형돌기(33)를 설치하고 있지 않다. 그리고, 도 20에 확대하여 나타낸 바와 같이, 외통(30)의 위끝단부분(34)이 전체둘레에 걸쳐 안쪽에 닫는 방향으로 만곡상태로 굽혀져 있고, 그 앞단이 외향 컬부의 안쪽에 접촉하는 크기로 되어 있다. 또한, 이 위끝단부분(34)은 만곡형상으로 하는 대신에, 먼저 설명한 예와 같이 테이퍼형상으로 굽힌 것이라도 좋다. 이 위끝단부분(34)의 왜곡은,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맨드릴을 사용하여 내향 컬부(32)의 컬 형성 공정시에 만들어진다.
그리고, 종이컵 본체(20)에 상기 구성의 외통(30)을 씌워서 집어넣고, 외통 (30)의 위끝단부분(34)의 선단을 종이컵 본체(20)에 있어서의 외향 컬부(23)의 안쪽에 닿게 하거나 파고들게 한 상태로 하여, 미리 종이컵 본체(20)의 외향 컬부 (23)의 아래쪽부근의 몸통부바깥둘레면에 도포한 유탁액계접착제 등의 수단에 의해, 외통(30)의 위끝단부분(34)을 종이컵 본체(20)에 있어서의 외향 컬부(23)의 안쪽에 접착하여 양자를 일체화로 하는 것에 의해, 도 19에 나타내는 단열성 용기 (10)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사용형태에 의해서는, 외통(30)의 아래쪽개구 가장자리에 형성된 내향 컬부(32)의 부분도 종이컵 본체(20)의 아래쪽의 측벽바깥둘레면에 접착하고, 종이컵본체(20)와 외통(30)의 결합을 보다 확실하게 하여도 좋다. 또한 먼저 설명한 예와 같이 외통(30)의 위끝단부분(34)의 선단을 종이컵 본체(20)에 있어서의 외향 컬부(23)의 안쪽으로 충분히 파고들도록 하는 등의 경우는, 외통 (30)에 있어서의 내향 컬부(32)의 부분을 종이컵 본체(20)의 아래쪽의 측벽바깥둘레면에 접착하는 것만으로도 고정할 수가 있다.
이 구성의 단열성 용기(10)에 있어서는, 종이컵 본체(20)의 몸통부(21)와 외통(30)의 몸통부(31)의 사이에 공극이 형성되고, 이 공극 부분이 단열작용을 한다. 따라서, 단열성 용기(10)에 예컨대 뜨거운 물을 넣은 경우, 내측의 몸통부(21)의 열이 외측의 몸통부(31)에 전해지는 경우가 넓은 범위에 걸쳐 방지되어, 이 종류의 용기에 있어서 통상 잡는 어떤 장소를 잡더라도 뜨거워지는 일이 없다. 또한 이 예에서도 종이컵 본체(20)의 몸통부(21)에 외면측에 돌출하는 둘레방향의 볼록형상부 (25)로 이루어지는 보강리브를 형성해두기 때문에, 이 볼록형상부(25)에 의해 종이컵 본체(20)의 강도가 높아짐과 동시에, 외통(30)의 몸통부(31)가 안쪽으로 휘어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손으로 잡은 경우에 종이컵 본체(20)의 몸통부(21)와 외통(30)의 몸통부(31) 사이의 공극이 좁아지는 것이 방지된다.
도 21은 도 14에 나타낸 단열성 용기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왼쪽 반 및 오른쪽 반을 각각 측면도와 단면도로 나타내는 개략구성도이다. 이 도 21에 표시되는 단열성 용기(10)는, 도 14에 나타낸 것으로 대략 같은 구성을 하고 있지만, 인쇄하는 문자나 모양이 외측으로 부각부분(35)을 형성하도록 엠보스가공을 실시하여 이루어지는 판지로써 외통(30)을 형성한 점이 다르다. 이 부각부분(35)은, 모든 문자나 모양의 부분에 관해서 형성할 필요는 없고, 강조하고 싶은 문자나 모양에만 하여도 좋다. 이러한 구성의 단열성 용기(10)는 도 14의 단열성 용기(10)와 동일한 단열작용을 발휘하지만, 특히 부각부분(35)으로서는 공극이 넓기 때문에 단열작용이 커진다.
도 22는 도 14에 나타낸 단열성 용기의 별도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왼쪽 반 및 오른쪽 반을 각각 측면도와 단면도로 나타내는 개략구성도이다. 이 도 22에 표시되는 단열성 용기(10)는, 도 14에 나타낸 것으로 대략 같은 구성을 하고있지만, 외측으로 되는 면 전체에 걸쳐 미세한 엠보스가공을 실시하여 이루어지는 판지로써 외통(30)을 형성한 점이 다르다. 이러한 구성의 단열성 용기(10)는 도 14의 단열성 용기(10)와 동일한 단열작용을 발휘하지만, 종이컵 본체(20)와 외통(30) 사이의 공극에 의한 단열효과가 발휘되는 것에 더하여, 외통(30)의 표면의 미세한 요철에 의해 잡기 쉬울 뿐 아니라 손에 열이 전해지기 어렵고, 전체적으로 단열효과가 한층 더 뛰어나게 된다. 또, 도 22의 예에서는 엠보스가공에 의한 요철모양을 외통에 있어서의 몸통부의 전면에 걸쳐 형성하였는데, 요철모양을 형성하지 않은 부분을 일부에 남긴 형태로 하여도 좋다. 예컨대 손으로 잡는 영역을 고려하여 몸통부의 상하에 띠형상으로 남기더라도 좋고, 또한 디자인을 고려하여 이름의 부분 등을 모양형상으로 남겨도 좋다.
도 23은 도 14에 나타낸 단열성 용기의 또 다른 별도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왼쪽 반 및 오른쪽 반을 각각 측면도와 단면도로 나타내는 개략구성도이다. 이 도 23에 표시되는 단열성 용기(10)는, 도 14에 나타낸 것으로 대략 같은 구성을 하고 있지만, 외측으로 되는 면의 대략 전체에 걸쳐 미세한 엠보스가공을 실시함과 동시에, 인쇄하는 문자나 모양이 외측으로 부각부분(35)을 형성하도록 엠보스가공을 실시하여 이루어지는 판지로써 외통(30)을 형성한 점이 다르다. 이 부각부분(35)은, 모든 문자나 모양의 부분에 대하여 형성할 필요는 없고, 강조하고 싶은 문자나 모양에만 형성하여도 좋다. 이러한 구성의 단열성 용기(10)는 도 14의 단열성 용기(10)와 동일한 단열작용을 발휘하지만, 특히 부각부분(35)으로서는 공극이 넓기 때문에 단열작용이 커지고, 또한 외통(30)의 표면의 미세한 요철에 의한 단열작용도 더해져, 전체적으로 단열효과가 한층 더 뛰어나게 된다. 또한, 도 23의 예에서는 엠보스가공에 의한 요철모양을 외통에 있어서의 몸통부의 전면에 걸쳐 형성하였지만, 요철모양을 형성하지 않은 부분을 일부에 남긴 형태로서도 좋다. 예컨대 손으로 가지는 영역을 고려하여 몸통부의 상하에 띠형상으로 남겨도 좋고, 또한 디자인을 고려하여 부각부분(35)이 되는 곳을 남기도록 하여도 좋다.
도 21∼도 23에 나타낸 각 단열성 용기도, 도 14의 단열성 용기(10)와 같이 종이컵 본체(20)에 이 구성의 외통(30)을 씌워서 집어넣고, 외통(30)의 위끝단부분 (34)의 선단을 종이컵 본체(20)에 있어서의 외향 컬부(23)의 안쪽에 닿게 하거나 파고들게 한 상태로 하여, 미리 종이컵 본체(20)의 외향 컬부(23)의 아래쪽부근의 몸통부바깥둘레면에 도포한 유탁액계접착제 등의 수단에 의해, 외통(30)의 위끝단부분(34)을 종이컵 본체(20)에 있어서의 외향 컬부(23)의 안쪽에 접착하여 양자를 일체화로 하는 것에 의해 조립된다. 혹은, 외통(30)의 오목형돌기(33)의 안쪽면을 종이컵 본체(20)의 몸통부윗쪽부근의 측벽바깥둘레면에 유탁액계접착제 등의 수단으로 접착하고 양자를 일체로 하여도 좋다. 또한 외통(30)의 아래쪽개구 가장자리에 형성된 내향 컬부(32) 부분도 종이컵 본체(20)의 아래쪽의 측벽바깥둘레면에 접착하여도 좋다. 또한 외통(30)의 위끝단부분(34)의 선단을 종이컵 본체(20)에 있어서의 외향 컬부(23)의 안쪽으로 충분히 파고들도록 하는 등의 경우는, 외통(30)에 있어서의 내향 컬부(32)의 부분을 종이컵 본체(20)의 아래쪽의 측벽바깥둘레면에 접착하는 것만으로 고정할 수 있다.
또 상술의 각 예에서는, 뜨거운 물을 부을 때의 목표가 되는 주입기준선으로서, 종이컵 본체(20)의 몸통부(21)의 윗쪽집합의 위치로써 내면측에 돌출하는 폭이 좁은 돌출조(24)를 둘레방향으로 형성하였으나, 이 돌출조(24)는 외면측으로 돌출시켜 놓아도 상관없다. 또한 어느 쪽의 경우도, 맞붙이기 위한 접착제의 위치는 주입기준선보다도 윗쪽이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술한 복수의 예중, 외통(30)의 몸통부윗쪽부근에 오목형돌기(33)를 설치한 것은, 몸통부(31)의 이음매를 남겨 전체둘레에 걸쳐 띠형상으로 연속적으로 오목형돌기(33)를 형성하였지만, 이 오목형돌기(33)는 불연속상태로 설치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오목형돌기의 형상으로서는 띠형상 말고도, 원형상이나 타원형상을 비롯하여 그 외 임의의 형상으로도 된다.
(제6의 타입)
다음에 몇가지 예를 들면서, 본 발명에 관한 제6의 타입의 단열성 용기의 실시형태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24는 본 발명에 관한 제6의 타입의 단열성 용기의 일례를 나타내는 것으로, 왼쪽 반 및 오른쪽 반이 각각 측면도와 단면도를 나타내는 개략구성도이며, 도 24에 나타내는 단열성 용기(10)는 종이컵 본체(20)와 윗쪽 및 아래쪽 모두 개구한 중공 원통형의 외통(30)을 조합하여 구성되어 있다.
종이컵 본체(20)는, 내면 혹은 안팎 양면에 폴리에틸렌 등의 합성 수지를 코팅한 종이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통상의 종이컵과 같이 부채형상의 블랭크를 둥글린 몸통부(21)의 아래쪽으로 원형상의 바닥판(22)을 단단히 감고 있음과 동시에 윗쪽개구 가장자리에 외향 컬부(23)를 형성한 것이다. 또한 도시한 종이컵 본체(20)는, 몸통부(21)의 윗쪽 가까운 위치에, 내면측에 돌출하는 폭이 좁은 돌출조(24)를 둘레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 돌출조(24)는 뜨거운 물을 부을 때의 목표가 되는 주입기준선의 역할을 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종이컵 본체(20)의 몸통부(21)의 중간정도에는, 외면측에 돌출하는 둘레방향의 볼록형상부(25)로 이루어지는 보강리브를 형성해둔다. 또한 이들 돌출조(24)나 볼록형상부(25)는, 종이컵 본체(20)와 외통 (30)을 조합하기 전에, 숫틀·암틀을 사용하여 종이컵 본체(20)로 형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종이컵 본체(20)는 외향 컬부(23)에 인접하는 위끝단부분(26)이 전체둘레에 걸쳐 외측방향으로 더욱 넓어지도록 굽혀져 있다. 이 위끝단부분(26)의 왜곡은, 외향 컬부(23)의 컬 형성 공정시와 동시에 형성된다.
도 24의 종이컵 본체(20)에서는 도 25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몸통부(21)와 테이퍼가 다른 직선(a)을 사용한 형상에 따라 위끝단부분(26)에 굽힘가공을 실시하고 있지만, 이밖에 도 2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곡률(R)의 하나의 곡선(b)(곡률 R)을 사용한 형상으로서도 좋고, 혹은 도 25(c)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곡률 R1, R2의 2개의 곡선 c, d를 잇는 형상으로서도 좋다. 넓히는 치수는, 개구부의 둘레길이에 더하여, 종이의 두께, 평량(坪量) 및 신장도에 의해 변화하지만, 컬이 망가지지 않을 정도로 해야한다. 구체적으로는, 지름방향으로 0.1∼2.0 mm, 바람직하게는 0.1∼1.0 mm 정도이다.
한편, 중공 원통형의 외통(30)은, 지단체 혹은 한 면 또는 양면에 폴리에틸렌 등의 합성 수지를 코팅한 부채형상의 종이로 이루어져 있고, 몸통부(31)의 아래쪽개구 가장자리에 내향 컬부(32)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종이컵 본체(20)도 외통 (30)도 모두 위가 넓어지는 형태지만, 이밖에 통(30)은 그 몸통부(31)가 종이컵 본체 (20)의 몸통부(21)보다 끝이 조금 넓어지는 테이퍼를 갖고 있다. 그리고, 외통(30)의 몸통부위끝단이 종이컵 본체(20)에 있어서의 외향 컬부(23)의 안쪽에 접촉함과 동시에, 몸통부(31)의 아래쪽개구 가장자리의 내향 컬부(32)가 종이컵 본체(20)의 아래쪽의 측벽바깥둘레에 접촉하는 크기라고 되어 있다.
그리고 종이컵 본체(20)에 상기 구성의 외통(30)을 씌워서 집어넣고, 외통 (30)의 위끝단부분(34)의 선단을 종이컵 본체(20)에 있어서의 외향 컬부(23)의 안쪽에 닿게 하거나 파고들게 한 상태로 하여, 미리 종이컵 본체(20)의 외향 컬부 (23)의 아래쪽부근의 몸통부바깥둘레면에 도포한 유탁액계접착제 등의 수단에 의해, 외통(30)의 위끝단부분(34)을 종이컵 본체(20)에 있어서의 외향 컬부(23)의 안쪽에 접착하여 양자를 일체화로 함으로써, 도 24에 나타내는 단열성 용기(10)가 형성되어 있다. 사용형태에 따라서는, 외통(30)의 아래쪽개구 가장자리에 형성된 내향 컬부(32)의 부분도 종이컵 본체(20)의 아래쪽의 측벽바깥둘레면에 접착하고, 종이컵 본체(20)와 외통(30)의 결합을 보다 확실하게 하여도 좋다. 또한 외통(30)의 위끝단부분(34)의 선단을 종이컵 본체(20)에 있어서의 외향 컬부(23)의 안쪽으로 충분히 파고들도록 하는 등의 경우는, 외통(30)에 있어서의 내향 컬부(32)의 부분을 종이컵 본체(20)의 아래쪽의 측벽바깥둘레면에 접착하는 것만으로도 고정할 수가 있다.
상기 구성의 단열성 용기(10)에 있어서는, 종이컵 본체(20)의 몸통부(21)와 외통(30)의 몸통부(31)의 사이에 공극이 형성되어, 이 공극의 부분이 단열작용을 한다. 더구나, 종이컵 본체(20)의 외향 컬부(23)에 인접하는 위끝단부분(26)이 전체둘레에 걸쳐 외측방향으로 더욱 넓어지도록 굽혀져 있기 때문에, 아래쪽에서 윗쪽까지 공극이 어느 정도의 간격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단열성 용기(10)에 예컨대 뜨거운 물을 넣은 경우, 내측의 몸통부(21)의 열이 외측의 몸통부(31)에 전해지는 것이 넓은 범위에 걸쳐 방지되어, 이 종류의 용기에 있어서 통상 잡는 어떤 장소를 잡더라도 뜨거워지는 일이 없다. 또한 상기 예에서는, 종이컵 본체(20)의 몸통부 (21)에 외면측에 돌출하는 둘레방향의 볼록형상부(25)로 이루어지는 보강리브를 형성해두기 때문에, 이 볼록형상부(25)에 의해 종이컵 본체(20)의 강도가 높아짐과 동시에, 외통(30)의 몸통부(31)가 안쪽으로 휘어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손으로 잡은 경우에 종이컵 본체(20)의 몸통부(21)와 외통(30)의 몸통부 (31) 사이의 공극이 좁아지는 것이 방지된다.
도 26은 본 발명에 관한 제6의 타입의 단열성 용기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왼쪽 반 및 오른쪽 반이 각각 측면도와 단면도를 나타내는 개략구성도이며, 이 예의 단열성 용기(10)는, 도 23에 나타낸 것과 같은 종이컵 본체(20)와, 도 23에 나타낸 것과는 다른 형상의 외통(30)을 조합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 예에서 사용한 외통(30)은, 도 23의 외통(30)의 구성에 더하여 몸통부윗쪽부근에 안쪽에 움푹 패인 오목형돌기(33)를 둘레방향으로 설치하고 있다. 이 오목형돌기(33)의 안쪽면이 종이컵 본체(20)의 몸통부윗쪽부근의 측벽바깥둘레면에 접촉하거나 아주 조금 떨어져 있음과 동시에, 몸통부(31)의 아래쪽개구 가장자리의 내향 컬부(32)가 종이컵 본체(20)의 아래쪽의 측벽바깥둘레에 접촉하는 크기라고 되어 있다. 또한 도 27에 확대하여 나타낸 바와 같이, 외통(30)의 위끝단부분(34)은 전체둘레에 걸쳐 안쪽에 닫는 방향으로 테이퍼형상으로 굽혀져 있고, 그 앞단이 종이컵 본체(20)의 외향 컬부(23)의 안쪽에 접촉하는 크기로 되어 있다. 또, 이 위끝단부분(34)의 왜곡은 테이퍼형상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도 28과 같이 만곡상태로 굽혀져 있어도 좋다.
상기와 같은 외통(30)에 있어서, 그 오목형돌기(33)는 블랭킹기에 의해 판지로부터 블랭크를 뚫을 때에 동시에 형성되지만, 위끝단부분(34)의 테이퍼나 왜곡은 도 29에 나타내는 것 같은 구조의 맨드릴(40)을 사용하여 만들어진다. 이 맨드릴 (40)은, 부채형상의 블랭크를 주위에 감아 내향 컬부(32)를 형성할 때에 사용하는 것이지만, 이 컬 형성시와 동시에 위끝단부분(34)에 테이퍼를 덧붙인 것 혹은 위끝단부분(34)을 만곡상태로 할 수 있다. 즉 맨드릴(40)은, 도 29 및 그 일부확대도인 도 3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최대 지름측에 폭이 1 mm, 깊이가 대략 2 mm에서 20∼30도의 각도로 기울어진 홈(41)을 전체둘레에 걸쳐 설치하여, 또한 블랭크를 감을 때에 오목형돌기(33)가 찌부러지지 않도록 릴리프부(42)를 설치한 구조로서 해둔다. 그리고 제1컬공정으로써 컬형을 외통(30)의 하부로 꽉 누르는 힘을 이용하여, 도 3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통(30)의 위끝단부분(34)을 맨드릴(40)의 기울어진 홈(41)에 밀어 넣어, 그 상태로 제2컬공정으로써 내향 컬부(32)를 형성한다. 컬부 형성공정 후, 외통(30)을 맨드릴(40)로부터 빼면, 외통(30)의 위끝단부분(34)이 전체둘레에 걸쳐 안쪽에 테이퍼형상으로 굽혀진 형태가 된다. 혹은, 홈(41)의 형상 및 홈(41)에의 밀어 넣는 힘을 적당하게 설정해둠으로써 위끝단부분(34)을 만곡형상으로 굽혀진 형태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종이컵 본체(20)에 상기 구성의 외통(30)을 씌워서 집어넣고, 외통 (30)의 위끝단부분(34)의 선단을 종이컵 본체(20)에 있어서의 외향 컬부(23)의 안쪽에 닿게 하거나 파고들게 한 상태로 하여, 미리 종이컵 본체(20)의 외향 컬부 (23)의 아래쪽부근의 몸통부바깥둘레면에 도포한 유탁액계접착제 등의 수단에 의해, 외통(30)의 위끝단부분(34)을 종이컵 본체(20)에 있어서의 외향 컬부(23)의 안쪽에 접착하여 양자를 일체화로 함으로써, 도 26에 나타내는 단열성 용기(10)가 형성되어 있다. 혹은, 외통(30)의 오목형돌기(33)의 안쪽면을 종이컵 본체(20)의 몸통부윗쪽부근의 측벽바깥둘레면에 유탁액계접착제 등의 수단으로 접착하고 양자를 일체로서도 좋다. 사용형태에 따라서는, 외통(30)의 아래쪽개구 가장자리에 형성된 내향 컬부(32)의 부분도 종이컵 본체(20)의 아래쪽의 측벽바깥둘레면에 접착하고, 종이컵 본체(20)와 외통(30)의 결합을 보다 확실하게 하여도 좋다. 또한 외통(30)의 위끝단부분(34)의 선단을 종이컵 본체(20)에 있어서의 외향 컬부(23)의 안쪽으로 충분히 파고들도록 하는 등의 경우는, 외통(30)에 있어서의 내향 컬부(32)의 부분을 종이컵 본체(20)의 아래쪽의 측벽바깥둘레면에 접착하는 것만으로 고정할 수가 있다.
상기 구성의 단열성 용기(10)에 있어서는, 종이컵 본체(20)의 몸통부(21)와 외통(30)의 몸통부(31)의 사이에 공극이 형성되어, 이 공극의 부분이 단열작용을 한다. 더구나, 외통(30)의 몸통부윗쪽부근에는 안쪽에 움푹 패인 오목형돌기(33)를 설치해두기 때문에, 아래쪽에서 이 오목형돌기(33)의 곳까지 공극이 어느 정도의 간격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단열성 용기(10)에 예컨대 뜨거운 물을 넣은 경우, 내측의 몸통부(21)의 열이 외측의 몸통부(31)에 전해지는 것이 넓은 범위에 걸쳐 방지되어, 이 종류의 용기에 있어서 통상 잡는 어떤 장소를 잡더라도 뜨거워지는 일이 없다. 또한 이 예에 있어서도, 종이컵 본체(20)의 몸통부(21)에는 외면측에 돌출하는 둘레방향의 볼록형상부(25)로 이루어지는 보강리브를 형성해두기 때문에, 이 볼록형상부(25)에 의해 종이컵 본체(20)의 강도가 높아짐과 동시에, 외통(30)의 몸통부(31)가 안쪽으로 휘어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손으로 잡은 경우에 종이컵 본체(20)의 몸통부(21)와 외통(30)의 몸통부(31) 사이의 공극이 좁아지는 것이 방지된다.
도 32는 본 발명에 관한 제6의 타입의 단열성 용기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왼쪽 반 및 오른쪽 반이 각각 측면도와 단면도를 나타내는 개략구성도이며, 이 예의 단열성 용기(10)는, 도 26에 나타낸 것과 같은 종이컵 본체(20)와, 도 26에 나타낸 것과는 다른 형상의 외통(30)을 조합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 예에서 사용한 외통(30)은, 몸통부윗쪽부근에 안쪽에 움푹 패인 오목형돌기(33)를 둘레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는 점은 도 26의 것과 동일하지만, 외통(30)의 위끝단부분은 안쪽에 닫는 방향으로 굽혀져 있지는 않고, 똑바로 되어 있는 상태이다. 몸통부윗쪽부근에 오목형돌기(33)를 설치한 외통(30)을 사용하는 경우, 이 부분이 안쪽으로 돌출되기 때문에, 위끝단부분(34)이 종이컵 본체(20)에 있어서의 외향 컬부(23)의 안쪽에 접촉하지 않는 점이 생각되지만, 종이컵 본체(20)에 있어서의 위끝단부분(26)의 외측방향으로의 왜곡이 큰 경우나, 외통(30)의 오목형부분 (33)의 안쪽에의 함몰이 작은 경우는, 이 예와 같이 외통(30)의 위끝단부분(34)이 똑바른 상태이어도 좋다.
도 33은 도 26에 나타낸 단열성 용기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왼쪽 반 및 오른쪽 반을 각각 측면도와 단면도로 나타내는 개략구성도이다. 이 도 33에 표시되는 단열성 용기(10)는, 도 26에 나타낸 것으로 대략 같은 구성을 하고 있지만, 인쇄하는 문자나 모양이 외측으로 부각부분(35)을 형성하도록 엠보스가공을 실시하여 이루어지는 판지로써 외통(30)을 형성한 점이 다르다. 이 부각부분(35)은, 모든 문자나 모양의 부분에 대하여 형성할 필요는 없고, 강조하고 싶은 문자나 모양에만 형성하여도 좋다. 이러한 구성의 단열성 용기(10)는 도 26의 단열성 용기(10)와 동일한 단열작용을 발휘하지만, 특히 부각부분(35)으로서는 공극이 넓기 때문에 단열작용이 커진다.
도 34는 도 26에 나타낸 단열성 용기의 별도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왼쪽 반 및 오른쪽 반을 각각 측면도와 단면도로 나타내는 개략구성도이다. 이 도 34에 표시되는 단열성 용기(10)는, 도 26에 나타낸 것으로 대략 같은 구성을 하고 있지만, 외측으로 되는 면의 전체에 걸쳐 미세한 엠보스가공을 실시하여 이루어지는 판지로써 외통(30)을 형성한 점이 다르다. 이러한 구성의 단열성 용기(10)는 도 26의 단열성 용기(10)와 동일한 단열작용을 발휘하지만, 종이컵 본체(20)와 외통 (30) 사이의 공극에 의한 단열효과가 발휘되는 점에 더하여, 외통(30)의 표면의 미세한 요철에 의해 잡기 쉬울 뿐 아니라 손에 열이 전해지기 어렵고, 전체적으로 단열효과가 한층 더 뛰어나게 된다. 또, 도 34의 예에서는 엠보스가공에 의한 요철모양을 외통에 있어서의 몸통부의 전면에 걸쳐 형성하였는데, 요철모양을 형성하지 않은 부분을 일부 남긴 형태라도 좋다. 예컨대, 손으로 잡는 영역을 고려하여 몸통부의 상하에 띠형상으로 남겨도 좋고, 또한 디자인을 고려하여 제품명의 부분 등을 모양형상으로 남겨도 좋다.
도 35는 도 26에 나타낸 단열성 용기의 또 다른 별도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왼쪽 반 및 오른쪽 반을 각각 측면도와 단면도로 나타내는 개략구성도이다. 이 도 35에 나타내는 단열성 용기(10)는, 도 26에 나타낸 것과 대략 같은 구성을 하고 있으나, 외측으로 되는 면의 거의 전체에 걸쳐서 미세한 엠보스가공을 실시함과 동시에, 인쇄하는 문자나 모양이 외측으로 부각부분(35)을 형성하도록 엠보스가공을 실시하여 이루어지는 판지로 해서 외통(30)을 형성한 점이 다르다. 이 부각부분(35)은 모든 문자나 모양의 부분에 대하여 형성할 필요는 없고 강도하고 싶은 문자나 모양만으로 하여도 좋다. 이와 같은 구성의 단열성 용기(10)는 도 26의 단열성 용기(10)와 같은 단열작용을 발휘하는데, 특히 부각부분(35)에서는 공극이 넓어지기 때문에 단열작용이 커지고, 또한 외통(30)의 표면의 미세한 요철에 의한 단열작용도 가해져 전체적으로 단열효과가 한층 더 우수한 것으로 된다. 또, 도 35의 예에서는 엠보스가공에 의한 요철모양을 외통에 있어서의 몸통부의 전면에 걸쳐 형성하였지만, 요철모양을 형성하지 않은 부분을 일부 남긴 형태로도 좋다. 예컨대, 손으로 잡는 영역을 고려하여 몸통부의 상하에 띠형상으로 남겨도 좋고, 또한 디자인을 고려하여 부각부분(35)이 되는 곳을 남기도록 하여도 좋다.
도 33∼도 35에 나타낸 각 단열성 용기도, 도 26의 단열성 용기(10)와 같이 종이컵 본체(20)에 이 구성의 외통(30)을 씌워서 집어넣고, 외통(30)의 위끝단부분 (34)의 선단을 종이컵 본체(20)에 있어서의 외향 컬부(23)의 안쪽에 닿게 하거나 파고들게 한 상태로 하여, 미리 종이컵 본체(20)의 외향 컬부(23)의 아래쪽부근의 몸통부바깥둘레면에 도포한 유탁액계접착제 등의 수단에 의해, 외통(30)의 위끝단부분(34)을 종이컵 본체(20)에 있어서의 외향 컬부(23)의 안쪽에 접착하여 양자를 일체화로 하는 것에 의해 조립된다. 혹은, 외통(30)의 오목형돌기(33)의 안쪽면을 종이컵 본체(20)의 몸통부윗쪽부근의 측벽바깥둘레면에 유탁액계접착제 등의 수단으로 접착하고 양자를 일체로서도 좋다. 또한 외통(30)의 아래쪽개구 가장자리에 형성된 내향 컬부(32)의 부분도 종이컵 본체(20)의 아래쪽의 측벽바깥둘레면에 접착하여도 좋다. 또한 외통(30)의 위끝단부분(34)의 선단을 종이컵 본체(20)에 있어서의 외향 컬부(23)의 안쪽으로 충분히 파고들도록 하는 등의 경우는, 외통(30)에 있어서의 내향 컬부(32)의 부분을 종이컵 본체(20)의 아래쪽의 측벽바깥둘레면에 접착하는 것만으로 고정할 수 있다.
또 상술의 각 예에서는, 뜨거운 물을 부을 때의 목표가 되는 주입기준선으로서, 종이컵 본체(20)의 몸통부(21)의 윗쪽집합의 위치로써 내면측에 돌출하는 폭이 좁은 돌출조(24)를 둘레방향으로 형성하였지만, 이 돌출조(24)는 외면측으로 돌출되어 있어도 상관없다. 또한 어느 쪽의 경우도, 맞붙이기 위한 접착제의 위치는 주입기준선보다도 윗쪽이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외통(30)의 몸통부윗쪽부근에 오목형돌기(33)를 설치하는 경우, 이 오목형돌기(33)는 몸통부(31)의 이음매를 남겨 전체둘레에 걸쳐 띠형상으로 연속상태로 형성하여도 좋고, 불연속상태로 설치하도록 하여도 좋다. 그리고 불연속적으로 설치하는 경우, 오목형돌기의 형상으로서는 띠형상 외에, 원형상이나 타원형상을 비롯하여 그 외 임의의 형상으로도 좋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효과를 나타낸다.
청구항 1에 기재의 단열성 용기는, 외측으로 되는 면의 전체에 걸쳐 엠보스가공을 실시하여 이루어지는 판지로써 상기 외통을 형성하였기 때문에, 종이컵 본체와 외통의 사이의 공극에 의한 단열효과가 발휘되는 것에 더하여, 외통표면의 요철에 의한 단열작용도 가해져, 단열효과가 한층 더 우수한 것이 된다. 또한 외통의 표면에 엠보스가공에 의한 요철이 있으므로, 손으로 잡기 쉬울 뿐 아니라, 그 요철의 모양에 의해 디자인면에서도 종래에 없는 의장을 부여한 것을 얻을 수 있다.
청구항 2에 기재의 단열성 용기는, 인쇄하는 문자나 모양이 외측으로 부각부분을 형성하도록 엠보스가공을 실시한 판지로써 상기 외통을 형성하였기 때문에, 종이컵 본체와 외통의 사이의 공극에 의한 단열효과가 발휘되는 것에 더하여, 외통표면의 부각부분에 의한 단열작용도 가해져, 단열효과가 한층 더 우수한 것이 된다. 또한 외통의 표면에 인쇄하는 문자나 모양이 돌출된 상태가 되기 때문에, 그 요철에 의해 문자나 모양이 강조된다고 하는 디자인면에서도 우수한 의장을 부여한 것을 얻을 수 있다.
청구항 3 및 청구항 4에 기재의 단열성 용기는, 윗쪽개구 가장자리에 외향 컬부를 갖는 종이컵 본체와, 윗쪽 및 아래쪽 모두 개구하고 있어 아래쪽개구 가장자리에 내향 컬부를 갖는 종이제의 외통으로 이루어지며, 외통의 몸통부윗쪽부근에는 안쪽에 움푹 패인 횡괘선이 둘레방향으로 설치되고 있고, 그 외통을 종이컵 본체에 씌워 외통의 횡괘선의 안쪽면을 종이컵 본체의 몸통부윗쪽부근의 측벽바깥둘레면에 접착하여 양자를 일체로 함으로써 형성되고, 종이컵 본체와 외통의 사이에 공극이 형성되어 있는 구성으로 하였기 때문에, 아래쪽에서 외통의 횡괘선의 곳까지 단열용의 공극이 어느 정도의 간격으로 형성된다는 점에서, 몸통부의 어느 장소를 손으로 잡더라도 내용물의 열이 전해지기 어렵다는 단열성에 우수한 것이 된다.
청구항 5에 기재의 단열성 용기는, 윗쪽개구 가장자리에 외향 컬부를 갖는 종이컵 본체와, 윗쪽 및 아래쪽 모두 개구하고 있어 아래쪽개구 가장자리에 내향 컬부를 갖는 종이제의 외통으로 이루어지며, 외통의 상부에는 윗쪽개구 가장자리가 안쪽으로 접어지고 접을 부분이 형성되어 있고, 외통은 그 상부의 접을 부분이 종이컵 본체에 있어서의 외향 컬부 바로 아래의 측벽바깥둘레면에 접촉함과 동시에 그 아래쪽개구 가장자리의 내향 컬부가 종이컵 본체의 하부의 측벽바깥둘레면에 접촉하는 크기로서, 외통을 종이컵 본체에 씌우고 외통의 접을 부분의 아래쪽부근의 안쪽면을 종이컵 본체의 몸통부윗쪽부근의 측벽바깥둘레면에 접착하여 양자를 일체로 하는 것에 의해 형성되고, 종이컵 본체와 외통의 사이에 공극이 형성되어 있는 구성으로 하였기 때문에, 몸통부의 하부에서 상부에 달하는 넓은 범위에 걸쳐 단열용의 공극이 어느 정도의 간격으로 형성된다는 점에서, 몸통부의 어느 장소를 손으로 잡더라도 내용물의 열이 전해지기 어렵다는 단열성에 우수한 것이 된다.
또한 청구항 6 및 청구항 8에 기재의 단열성 용기는, 인쇄하는 문자나 모양이 외측으로 부각부분을 형성하도록 엠보스가공을 실시한 판지로써 외통을 형성함으로써, 외통의 표면에 인쇄하는 문자나 모양이 부각부분에 의해 돌출된 상태가 되기 때문에, 단열작용이 양호하게 될 뿐만 아니라, 그 요철에 의해 문자나 모양이 강조된다고 하는 디자인면에서도 우수한 의장을 부여한 것이 된다.
또한 청구항 7 및 청구항 8에 기재의 단열성 용기는, 외측으로 되는 면의 대략 전체에 걸쳐 미세한 엠보스가공을 실시하여 이루어지는 판지로써 외통을 형성함으로써, 외통의 표면에 엠보스가공에 의한 요철이 있는 것으로, 손으로 잡기 쉬울 뿐 아니라 열이 손에 전해지기 어렵고, 더구나 그 요철의 모양에 의해 디자인면에서도 종래에 없는 의장을 부여한 것을 얻을 수 있다.
청구항 9에 기재의 단열성 용기는, 윗쪽개구 가장자리에 외향 컬부를 갖는 위쪽이 넓은 종이컵 본체와, 윗쪽 및 아래쪽 모두 개구하고 있어 아래쪽개구 가장자리에 내향 컬부를 갖는 위쪽이 넓은 종이제의 외통으로 이루어지며, 외통은 몸통부의 위끝단부분이 전체둘레에 걸쳐 안쪽에 닫는 방향으로 굽혀져 있고, 그 외통을 종이컵 본체에 씌워 외통의 위끝단부분의 선단을 종이컵 본체에 있어서의 외향 컬부의 안쪽에 닿게 하거나 파고들게 한 상태로 하여, 외통에 있어서의 위끝단부분과 내향 컬부의 적어도 어느 하나에 종이컵 본체에 접착하다 양자를 일체로 함으로써 형성되고, 종이컵 본체와 외통의 사이에 공극이 형성되어 있는 구성으로 하였기 때문에, 몸통부의 하부에서 상부에 달하는 넓은 범위에 걸쳐 단열용의 공극이 어느 정도의 간격으로 형성된다는 점에서, 몸통부의 어느 장소를 손으로 잡더라도 내용물의 열이 전해지기 어렵다는 단열성에 우수한 것이 된다. 그리고, 종이컵 본체와 외통의 조립에 있어서는, 외통의 위끝단부분이 안쪽에 테이퍼 형상 혹은 만곡형상으로 굽혀져 있고, 종이컵 본체의 외향 컬부의 안쪽에 접촉하거나 파고들기 때문에, 외향 컬부의 아래쪽에 충돌하는 것이 방지된다는 점에서, 외통을 종이컵 본체에 순조롭게 꽂을 수 있어, 외관불량이 생기는 일이 없다.
또한 청구항 10 및 청구항 11에 기재의 단열성 용기는, 외통의 형상을, 그 몸통부윗쪽부근에 안쪽에 움푹 패인 오목형돌기를 둘레방향으로 설치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아래쪽에서 이 오목형돌기가 있는 곳까지 공극이 어느 정도의 간격으로 형성되어, 손으로 잡은 경우에 오목형돌기가 지지하는 역할을 하여 공극이 좁아지는 것이 방지된다는 점에서, 단열효과가 한층 더 우수한 것이 된다.
또한 청구항 14에 기재의 단열성 용기는, 인쇄하는 문자나 모양이 외측으로 부각부분을 형성하도록 엠보스가공을 실시한 판지로써 외통을 형성함으로써, 외통의 표면에 인쇄하는 문자나 모양이 부각부분에 의해 돌출된 상태가 되기 때문에, 단열작용이 양호하게 될 뿐만 아니라, 그 요철에 의해 문자나 모양이 강조된다고 하는 디자인면에서도 우수한 의장을 부여한 것이 된다.
또한 청구항 15에 기재의 단열성 용기는, 외측으로 되는 면의 대략 전체에 걸쳐 미세한 엠보스가공을 실시하여 이루어지는 판지로써 외통을 형성함으로써, 외통의 표면에 엠보스가공에 의한 요철이 있는 것으로, 손으로 잡기 쉬울 뿐 아니라 열이 손에 전해지기 어렵고, 더구나 그 요철의 모양에 의해 디자인면에서도 종래에 없는 의장을 부여한 것을 얻을 수 있다.
청구항 16 및 청구항 17에 기재의 단열성 용기는, 윗쪽개구 가장자리에 외향 컬부를 갖는 위쪽이 넓은 종이컵 본체와, 윗쪽 및 아래쪽 모두 개구하고 있어 아래쪽개구 가장자리에 내향 컬부를 갖는 위쪽이 넓은 종이제의 외통으로 이루어지며, 종이컵 본체의 외향 컬부에 인접하는 위끝단부분이 전체둘레에 걸쳐 외측방향으로 더욱 넓어지도록 굽혀져 있고, 외통을 종이컵 본체에 씌워 외통의 위끝단부분의 선단을 종이컵 본체에 있어서의 외향 컬부의 안쪽에 닿게 하거나 파고들게 한 상태로 하여, 외통에 있어서의 위끝단부분과 내향 컬부의 적어도 어느 하나에 종이컵 본체에 접착하여 양자를 일체로 함으로써 형성되어, 종이컵 본체와 외통의 사이에 공극이 형성되어 있는 구성으로 하였기 때문에, 몸통부의 하부에서 상부에 달하는 넓은 범위에 걸쳐 단열용의 공극이 어느 정도의 간격으로 형성된다는 점에서, 몸통부의 어느 장소를 손으로 잡더라도 내용물의 열이 전해지기 어렵다는 단열성에 우수한 것이 된다. 그리고 종이컵 본체와 외통의 조립에 있어서는, 종이컵 본체의 위끝단부분이 외측으로 넓어지며, 외통의 위끝단이 종이컵 본체의 외향 컬부의 안쪽에 접촉하거나 파고들기 때문에, 외향 컬부의 아래쪽에 충돌하는 것이 방지된다는 점에서, 외통을 종이컵 본체에 순조롭게 꽂을 수 있어 외관불량이 생기는 일이 없다.
또한 청구항 18 및 청구항 19에 기재의 단열성 용기는, 외통의 형상을, 그 몸통부윗쪽부근에 안쪽에 움푹 패인 오목형돌기를 둘레방향으로 설치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아래쪽에서 이 오목형돌기의 곳까지 공극이 어느 정도의 간격으로 형성되어, 손으로 잡은 경우에 오목형돌기가 지지하는 역할을 하여 공극이 좁아지는 것이 방지된다는 점에서, 단열효과가 한층 더 우수한 것이 된다.
또한 청구항 22에 기재의 단열성 용기는, 인쇄하는 문자나 모양이 외측으로 부각부분을 형성하도록 엠보스가공을 실시한 판지로써 외통을 형성함으로써, 외통의 표면에 인쇄하는 문자나 모양이 부각부분에 의해 돌출된 상태가 되기 때문에, 단열작용이 양호하게 될 뿐만 아니라, 그 요철에 의해 문자나 모양이 강조된다고 하는 디자인면에서도 우수한 의장을 부여한 것이 된다.
또한 청구항 23에 기재의 단열성 용기는, 외측으로 되는 면의 대략 전체에 걸쳐 미세한 엠보스가공을 실시하여 이루어지는 판지로써 외통을 형성함으로써, 외통의 표면에 엠보스가공에 의한 요철이 있는 것으로, 손으로 잡기 쉬울 뿐 아니라 열이 손에 전해지기 어렵고, 더구나 그 요철의 모양에 의해 디자인면에서도 종래에 없는 의장을 부여한 것을 얻을 수 있다.

Claims (23)

  1. 윗쪽개구 가장자리에 외향 컬부를 갖는 종이컵 본체와,
    윗쪽 및 아래쪽 모두 개구하고 있어 아래쪽개구 가장자리에 내향 컬부를 갖는 종이제의 외통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외통은 그 윗쪽개구내면이 종이컵 본체에 있어서의 외향 컬부 바로 아래의 측벽바깥둘레에 접촉함과 동시에 그 아래쪽개구 가장자리의 내향 컬부가 종이컵 본체의 하부의 측벽바깥둘레에 접촉하는 크기를 갖고,
    상기 종이컵 본체에 외통을 씌워 외통의 윗쪽개구내면을 종이컵 본체에 있어서의 외향 컬부 바로 아래의 측벽바깥둘레에 접착하여 양자를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단열성 용기를 형성하고, 상기 종이컵 본체와 상기 외통 사이의 공극이 외통의 아래쪽개구 가장자리의 내향 컬부의 근방으로 최대로 되어있으며,
    상기 외통은 외측면의 대략 전체에 걸쳐 미세한 엠보스가공을 실시하여 이루어지는 판지로써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성 용기.
  2. 윗쪽개구 가장자리에 외향 컬부를 갖는 종이컵 본체와,
    윗쪽 및 아래쪽 모두 개구하고 있어 아래쪽개구 가장자리에 내향 컬부를 갖는 종이제의 외통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외통은 그 윗쪽개구내면이 종이컵 본체에 있어서의 외향 컬부 바로 아래의 측벽바깥둘레에 접촉함과 동시에 그 아래쪽개구 가장자리의 내향 컬부가 종이컵 본체의 하부의 측벽바깥둘레에 접촉하는 크기를 갖고,
    상기 종이컵 본체에 외통을 씌워 외통의 윗쪽개구내면을 종이컵 본체에 있어서의 외향 컬부 바로 아래의 측벽바깥둘레에 접착하여 양자를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단열성 용기를 형성하고, 상기 종이컵 본체와 상기 외통 사이의 공극이 외통의 아래쪽개구 가장자리의 내향 컬부의 근방으로 최대로 되어있으며,
    상기 외통은 인쇄하는 문자나 모양이 외측으로 부각부분을 형성하도록 엠보스가공을 실시하여 이루어지는 판지로써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성 용기.
  3. 윗쪽개구 가장자리에 외향 컬부를 갖는 종이컵 본체와,
    윗쪽 및 아래쪽 모두 개구하고 있어 아래쪽개구 가장자리에 내향 컬부를 갖는 종이제의 외통으로 이루어지며,
    외통의 몸통부윗쪽부근에는 안쪽에 움푹 패인 횡괘선이 둘레방향으로 설치되고 있고, 그 외통을 종이컵 본체에 씌워 외통의 횡괘선의 안쪽면을 종이컵 본체의 몸통부윗쪽부근의 측벽바깥둘레면에 접착하여 양자를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단열성 용기를 형성하고, 상기 종이컵 본체와 외통의 사이에 공극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성 용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외통의 몸통부윗쪽부근에 설치하는 둘레방향의 횡괘선을 불연속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성 용기.
  5. 윗쪽개구 가장자리에 외향 컬부를 갖는 종이컵 본체와,
    윗쪽 및 아래쪽 모두 개구하고 있어 아래쪽개구 가장자리에 내향 컬부를 갖는 종이제의 외통으로 이루어지며,
    외통의 상부에는 윗쪽개구 가장자리가 안쪽으로 접어지고 접을 부분이 형성되어 있고, 외통은 그 상부의 접을 부분이 종이컵 본체에 있어서의 외향 컬부 바로 아래의 측벽바깥둘레면에 접촉함과 동시에 그 아래쪽개구 가장자리의 내향 컬부가 종이컵 본체의 하부의 측벽바깥둘레면에 접촉하는 크기를 갖고,
    외통을 종이컵 본체에 씌우고 외통의 접을 부분의 아래쪽부근의 안쪽면을 종이컵 본체의 몸통부윗쪽부근의 측벽바깥둘레면에 접착하여 양자를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단열성 용기를 형성하고, 종이컵 본체와 외통의 사이에 공극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성 용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외통은 인쇄하는 문자나 모양이 외측으로 부각부분을 형성하도록 엠보스가공을 실시한 판지로써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성 용기.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외통은 외측으로 되는 면의 대략 전체에 걸쳐 미세한 엠보스가공을 실시하여 이루어지는 판지로써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성 용기.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외통은 외측으로 되는 면의 대략 전체에 걸쳐 미세한 엠보스가공을 실시함과 동시에, 인쇄하는 문자나 모양이 외측으로 부각부분을 형성하도록 엠보스가공을 실시하여 이루어지는 판지로써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성 용기.
  9. 윗쪽개구 가장자리에 외향 컬부를 갖는 위쪽이 넓은 종이컵 본체와,
    윗쪽 및 아래쪽 모두 개구하고 있어 아래쪽개구 가장자리에 내향 컬부를 갖는 위쪽이 넓은 종이제의 외통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외통은 몸통부의 위끝단부분이 전체둘레에 걸쳐 안쪽에 닫는 방향으로 굽혀져 있고, 그 외통을 종이컵 본체에 씌워 외통의 위끝단부분의 선단을 종이컵 본체에 있어서의 외향 컬부의 안쪽에 닿게 하거나 파고들게 한 상태로 하여, 외통에 있어서의 위끝단부분과 내향 컬부의 적어도 어느 하나에 종이컵 본체에 접착하고 양자를 일체로 함으로써, 단열성 용기를 형성하고, 종이컵 본체와 외통의 사이에 공극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성 용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외통의 몸통부윗쪽부근에 안쪽에 움푹 패인 오목형돌기가 둘레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성 용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외통의 몸통부윗쪽부근에 설치하는 둘레방향의 오목형돌기를 불연속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성 용기.
  12. 제 9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종이컵 본체의 몸통부에 그 내면측 또는 외면측에 돌출하는 둘레방향의 돌출조로 이루어지는 주입기준선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성 용기.
  13. 제 9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종이컵 본체의 몸통부에 그 외면측에 돌출하는 둘레방향의 철(볼록)형상부로 이루어지는 보강리브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성 용기.
  14. 제 9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외통에 있어서의 인쇄된 문자나 모양의 부분이 외측으로 부각부분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성 용기.
  15. 제 9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외통에 있어서의 외측면의 대략 전체에 걸쳐 미세한 엠보스가공이 실시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성 용기.
  16. 윗쪽개구 가장자리에 외향 컬부를 갖는 위쪽이 넓은 종이컵 본체와,
    윗쪽 및 아래쪽 모두 개구하고 있어 아래쪽개구 가장자리에 내향 컬부를 갖는 위쪽이 넓은 종이제의 외통으로 이루어지며,
    종이컵 본체의 외향 컬부에 인접하는 위끝단부분이 전체둘레에 걸쳐 외측방향으로 더욱 넓어지도록 굽혀져 있고, 외통을 종이컵 본체에 씌워 외통의 위끝단부분의 선단을 종이컵 본체에 있어서의 외향 컬부의 안쪽에 닿게 하거나 파고들게 한 상태로 하여, 외통에 있어서의 위끝단부분과 내향 컬부의 적어도 어느 하나에 종이컵 본체에 접착하여 양자를 일체로 함으로써 단열성 용기를 형성하고, 종이컵 본체와 외통의 사이에 공극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성 용기.
  17. 제 16 항에 있어서, 외통의 위끝단부분이 전체둘레에 걸쳐 안쪽에 닫는 방향으로 굽혀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성 용기.
  18. 제 16 항 또는 제 17 항에 있어서, 외통의 몸통부윗쪽부근에 안쪽에 움푹 패인 오목형돌기가 둘레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성 용기.
  19. 제 18 항에 있어서, 외통의 몸통부윗쪽부근에 설치하는 둘레방향의 오목형돌기를 불연속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성 용기.
  20. 제 16 항 내지 제 1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종이컵 본체의 몸통부에 그 내면측 또는 외면측에 돌출하는 둘레방향의 돌출조로 이루어지는 주입기준선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성 용기.
  21. 제 16 항 내지 제 2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종이컵 본체의 몸통부에 그 외면측에 돌출하는 둘레방향의 철(볼록)형상부로 이루어지는 보강리브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성 용기.
  22. 제 16 항 내지 제 2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외통에 있어서의 인쇄된 문자나 모양의 부분이 외측으로 부각부분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성 용기.
  23. 제 16 항 내지 제 2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외통에 있어서의 외측면의 대략 전체에 걸쳐 미세한 엠보스가공이 실시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성 용기.
KR1019990041997A 1998-09-30 1999-09-30 단열성 용기 KR2000002355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77079 1998-09-30
JP10277081A JP2000103479A (ja) 1998-09-30 1998-09-30 断熱性容器
JP277081 1998-09-30
JP10277079A JP2000103477A (ja) 1998-09-30 1998-09-30 断熱性容器
JP10296339A JP2000118519A (ja) 1998-10-19 1998-10-19 断熱性容器
JP296339 1998-10-19
JP30997798A JP3773366B2 (ja) 1998-10-30 1998-10-30 断熱性容器
JP309977 1998-10-30
JP2107199 1999-01-29
JP21071 1999-01-29
JP45769 1999-02-24
JP04576999A JP3544883B2 (ja) 1999-02-24 1999-02-24 断熱性容器
JP04576899A JP3340692B2 (ja) 1999-01-29 1999-02-24 断熱性容器
JP45768 1999-02-2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3553A true KR20000023553A (ko) 2000-04-25

Family

ID=275639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1997A KR20000023553A (ko) 1998-09-30 1999-09-30 단열성 용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20000023553A (ko)
CN (1) CN1156385C (ko)
SG (1) SG7518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117163B (zh) * 2000-12-14 2012-06-27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微波炉用纸杯
DE102008064505B4 (de) * 2008-12-22 2017-02-02 Michael Hörauf Maschinenfabrik GmbH & Co. KG Verfahren zum Herstellen von geklebten Hülsen
DE102011078479A1 (de) * 2011-06-30 2013-01-03 Ptm Packaging Tools Machinery Pte. Ltd. Becher aus einem Papiermaterial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Bechers aus Papiermaterial
CN109625521A (zh) * 2019-01-17 2019-04-16 湖北克拉弗特实业有限公司 一种双层容器
CN110281575A (zh) * 2019-04-22 2019-09-27 武汉丽诺工贸有限公司 一种纸杯的制作工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56385C (zh) 2004-07-07
CN1249261A (zh) 2000-04-05
SG75184A1 (en) 2000-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64400A (en) Multi-layered insulated cup formed from folded sheet
US5205473A (en) Recyclable corrugated beverage container and holder
US20130043263A1 (en) Cup Sleeve
KR101019527B1 (ko) 전자레인지용 종이컵, 전자레인지 대응 종이컵 및 그 제조방법
KR20000023553A (ko) 단열성 용기
JP3340692B2 (ja) 断熱性容器
JP4259707B2 (ja) 断熱性容器
JP4162167B2 (ja) 断熱性容器
JP3544883B2 (ja) 断熱性容器
JP3248718B2 (ja) 紙製断熱カップ
JP3773366B2 (ja) 断熱性容器
JP4189941B2 (ja) 断熱性容器
JP3967129B2 (ja) 断熱紙容器
JP2001031152A (ja) 断熱容器
JP4097807B2 (ja) 断熱性容器
JP2001097355A (ja) 断熱カップ
JPH11342982A (ja) 取手付き断熱容器
JP2000344281A (ja) 断熱容器
JP2000177724A (ja) 断熱性紙カップ
JPS6122813Y2 (ko)
JPH03504956A (ja) パッキングコンテナー
JP2000118519A (ja) 断熱性容器
JP2000109046A (ja) 断熱性紙カップ
JP3671463B2 (ja) 断熱カップ
JP2002154560A (ja) 紙カップ用簡易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51207

Effective date: 200611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