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22774A - 맨콘베어용 난간 구동 장치 - Google Patents

맨콘베어용 난간 구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22774A
KR20000022774A KR1019990036039A KR19990036039A KR20000022774A KR 20000022774 A KR20000022774 A KR 20000022774A KR 1019990036039 A KR1019990036039 A KR 1019990036039A KR 19990036039 A KR19990036039 A KR 19990036039A KR 20000022774 A KR20000022774 A KR 200000227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rail
chain
sprocket
handrail drive
tee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60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96610B1 (ko
Inventor
이마이이찌로
Original Assignee
니시무로 타이죠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시무로 타이죠,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filed Critical 니시무로 타이죠
Publication of KR200000227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27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66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661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00Component part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02Driving gear
    • B66B23/04Driving gear for handr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1/00Kinds or type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Landscapes

  • Escalators And Moving Walkways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난간 구동 스프로켓(50)을 구비한 맨콘베어용 난간 구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스프로켓(50)에는 계단1단분에 상당하는 계단 체인(53)의 링크수의 홀수배의 톱니가 나있다. 또한 스프로켓(50)은 차축(56) 부분에 상당하는 톱니(58)가 차축(56)에 간섭하지 않도록 제거된다. 무단상의 난간 체인(62)이 난간 구동 스프로켓(50)과 동축으로 회전하는 제2스프로켓(61)에 감겨 체인(62)의 구동력이 난간 구동 휠(63)을 통해서 난간 벨트(64)에 전달된다. 이와 같이 배치함으로써 긴 난간 구동 체인과 중간 아이들러가 필요없어져 구조가 단순한 난간 구동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맨콘베어용 난간 구동 장치{HANDRAIL DRIVING APPARATUS FOR MAN CONVEYER}
본 발명은 맨콘베어용 난간 구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1 내지 도3은 종래의 맨콘베어용 난간 구동 장치를 나타낸다. 본체 프레임(1)은 맨콘베어의 본체를 구성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트러스라고 불린다. 이 본체 프레임(1) 내에 계단(2)이 좌우 상하단에 설치된 전후방 휠 가이드 레일(3a, 3b, 4a, 4b)을 따라 주행 가능하게 배설되어 있다. 이 계단(2)은 1스텝당 6링크 정도로 각각 구성된 좌우의 계단 체인의 각 1개의 링크를 각각 관통하는 차축을 통해서 다수의 단이 무단의 콘베어 상으로 서로 연결되어 있다.
본체 프레임(1)의 상계측 수평부 내의 단부 인근에 계단 구동기(5)가 설치되어 있다. 이 계단 구동기(5)는 모터, 감속 기어 장치와 좌우 계단 체인 구동 스프로켓(도시하지 않음)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난간 벨트(6)는 무단벨트로 되고 좌우의 난간 외주를 거쳐 본체 프레임(1) 내에 도입되고 있다. 이 좌우의 난간 벨트(6)는 이하에 설명하는 난간 구동 장치에 의해 구동되고 계단(2)과 동기하여 이동한다.
종래의 맨콘베어용 난간 구동 장치는 각 구성이 좌우 대칭으로 본체 프레임(1) 내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여기서는 그 한쪽의 것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상술한 계단 구동기(5)를 구성하는 계단 체인 구동 스프로켓에 대해서, 그것과 동축에서 일체로 회전하는 난간 스프로켓(7)이 설치되어 있다. 이 난간 스프로켓(7)과 제 1난간 구동 체인(8)을 통해 연동하는 중계 아이들러(9)가 본체 프레임(1)의 수평부 내의 경사부 인근의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중계 아이들러(9)의 내측 스프로켓(9a)에 제1난간 구동 체인(8)이 감겨 있다.
중계 아이들러(9)는 제2난간 구동 체인(10)이 감겨 있는 외측 스프로켓(9b)을 더 갖는다. 이 제2난간 구동 체인(10)은 외측 스프로켓(9b)에 감긴 후, 본체 프레임(1)의 경사부 내에 배치된 아이들러(11)에 감긴다. 이어서 체인(10)이 올려지고 이어서 스프로켓(13)과 중간 아이들러(14)에 각각 감긴다. 스프로켓(13)은 난간 벨트(6)의 상면을 따라 일직선 상으로 일련 배치된 복수개(여기서는 4개)의 난간 구동 휠(12)에 대하여 각각 동축으로 설치되어 있다. 제2 난간 구동 체인(10)은 더 아래로 내려져 텐셔너(15)의 텐션 롤러(15a)에 감긴 후 중계 아이들러(9)로 돌아온다.
중계 아이들러(9)에는 수평 방향으로 돌출한 텐션 조정 스터드(9c)가 설치된다. 이 스터드(9c)를 조작하여 중계 아이들러(9)를 난간 구동 스프로켓(7)의 반대 측으로 부세함으로써, 제1난간 구동 체인(8)의 신축이 조정된다. 또 텐셔너(15)는 아래쪽으로 텐션 조정 스터드(15b)를 구비한다. 이 스터드(15b)를 조작하여 텐셔너(15)를 아래로 당김으로써 제2난간 구동 체인(10)의 신축을 조정한다.
종래의 맨콘베어용 난간 구동 장치에서는 계단 구동기(5)의 계단 체인 구동 스프로켓과 동축에서 일체로 난간 구동 스프로켓(7)이 회전 구동함에 따라, 제1난간 구동 체인(8)을 통해 연동하여 중계 아이들러(9)가 회전하고, 나아가 제2난간 구동 체인(10)이 연동하여 각 난간 구동 휠(12)을 회전시켜 난간 벨트(6)를 마찰 구동한다. 또한 각 난간 구동 휠(12)에 대해 하측으로부터 난간 벨트(6)를 끼우고 구름 휠(16)이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각 난간 구동 휠(12)에 난간 벨트(6)를 부세함으로써, 난간 구동 휠(12)의 마찰 구동력을 확실하게 난간 벨트(6)에 전달한다.
그런데 근년에는 난간 구동 장치의 응용이 다양해지면서, 맨콘베어를 옥외에 설치하거나, 고양정의 맨콘베어가 요구되고 있다.
이에 따라 난간 벨트(6)가 빗물이나 주행 저항의 증대로 인해 구동기에 대해 미끌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필연적으로 구동력의 증대가 요구되어지고 있다.
이와 같은 요구에 대하여 상술한 이동 난간 구동 장치의 난간 구동 휠(12)과 구름 휠(16)과의 난간 벨트(6)에 대한 부세력의 증가가 기대된다.
그러나 이 방법은 난간 벨트(6)나 난간 구동 휠(12) 및 구름 휠(16)의 단수명화를 초래하여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쌍을 이루는 난간 구동 휠(12)과 구름 휠(16)의 수를 늘려 구동력의 증대를 도모하는 방법이 일반적으로 채용된다.
도4는 상기한 방법을 채용한 종래의 맨콘베어용 난간 구동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즉 도1에 나타낸 종래예의 4쌍의 난간 구동 휠(12)과 구름 휠(16)에 더해서 4쌍의 난간 구동 휠(22)과 구름 휠(26)이 추가로 설치되어 있다. 제2난간 구동 체인(20)이 중계 아이들러(9), 아이들러(11)에 감기고, 이어서 배치되는 4개의 난간 구동 휠(12)의 스프로켓(13) 및 그들의 중간 아이들러(14)에 감긴다. 계속해서 중간 아이들러(27, 28)에 감기고, 이어서 배치되는 4개의 난간 구동 휠(22)의 스프로켓(23) 및 중간 아이들러(24)에 감기고, 마지막으로 아래쪽의 텐셔너(15)의 텐션 롤러(15a)에 감겨 도는 구성이다.
상기한 배치에 의하면, 도1에 나타낸 종래 장치와 마찬가지로 계단 구동기(5)가 회전함에 따라 난간 구동 스프로켓(7)과 난간 제1구동 체인(8)과 중계 아이들러(9)와 제2난간 구동 체인(20)이 연동하여 회전한다. 이에 따라 4개씩 합계8개의 난간 구동 휠(12, 22)이 회전하여 구름 휠(16, 26)과 함께 난간 벨트(6)를 마찰 구동한다. 이와 같이 해서 그 난간 구동 휠과 구름 휠의 개수의 증가분 만큼 난간 벨트의 구동력을 증대할 수 있다. .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맨콘베어용 난간 구동 장치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난간 구동 휠과 구름 휠의 개수를 증가시키면 제2난간 구동 체인(20)이 매우 길어야 하고, 또한 중간 아이들러(27, 28)가 필요하게 된다. 그 결과 난간 구동 장치의 구성이 복잡해짐과 동시에 다수의 아이들러와 스프로켓을 동일선 상으로 맞추어야 하므로, 설치 및 보수 점검 작업이 수고로워지게 된다.
이것을 해결하기 위해서, 일본국 특개평9-86846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동력원으로서 계단 체인을 갖춘 난간 구동 장치가 또한 제안된다.
연속하는 계단의 1단분에 상당하는 수개의 링크에 대하여 2개의 전방 휠을 갖는 차축이 삽입되는 관통공을 1개 갖는 계단 체인이 제공된다. 각 관통공은 인근 핀의 중심에 위치하고, 각 계단은 관통공을 관통하는 차축에 고정된다. 이 구조로 인해, 계단 체인으로부터 동력을 얻기 위해 설치되는 스프로켓은 이 차축과 링크의 연결을 간섭하는 부분의 스프로켓의 톱니를 미리 제거해 둘 필요가 있다.
그러나 체인이 스프로켓의 다수개의 톱니에 물리는 상계 반전부의 경우에는 톱니의 제거는 문제가 안된다. 그러나 직선 상으로 주행하는 체인에 물리는 스프로켓의 톱니를 제거하면, 스프로켓과 체인이 물리는 조건이 악화됨으로써 원활하게 동력 전달을 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구조가 간소하고, 재구성 및 보수 작업이 용이하며, 계단 체인으로부터 원활하게 동력을 전달 받아 효율적으로 난간 벨트를 구동할 수 있는 맨콘베어용 난간 구동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1은 종래의 맨콘베어용 난간 구동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2는 도1의 II-II 선을 따른 단면도.
도3은 종래의 난간 구동 장치의 측면도.
도4는 종래의 난간 구동 장치의 정면도.
도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난간 구동 장치의 정면도.
도6은 도5의 VI-VI선을 따른 단면도.
도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난간 구동 장치의 정면도.
도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난간 구동 장치의 정면도.
본 발명의 목적은 일련으로 배치된 계단이 각각 고정되고 상기 계단의 주행을 안내하도록 적어도 1개의 휠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복수의 차축과, 연속하는 상기 계단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차축을 고정해서 전계단을 관통하게 하도록 연속하는 다수의 링크가 무단상으로 서로 연결되어 되는 적어도 1개의 계단 체인을 구비한 맨콘베어의 적어도 일측에 설치되는 맨콘베어용 난간 구동 장치로서,
맨콘베어의 일측의 상기 계단 체인과 맞물려서 상기 계단 체인을 구동하며, 톱니수가 계단 1단분에 상당하는 링크수의 홀수배이고, 또한 상기 차축을 간섭하지 않도록 톱니 중에서 상기 차축에 대응하는 위치의 1개 이상의 톱니를 제거한 구조의 난간 구동 스프로켓과,
상기 난간 구동 스프로켓과 동축으로 배치되어 일체로 회전하는 제2 스프로켓과,
상기 제2 스프로켓에 감기는 난간 구동 체인 및
상기 난간 구동 체인에 의해 구동되는 난간
을 구비한 난간 구동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난간 구동 스프로켓을 통해 맨콘베어의 계단을 구동하는 계단 체인으로부터 난간 구동 체인과 난간 벨트를 구동하는 힘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긴 난간 구동 체인이나 중간 아이들러가 불필요해져, 장치의 구조가 단순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구동 장치는 맨콘베어의 중간부의 어디에도 배치할 수 있어, 맨콘베어의 상계부의 구성을 간단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동일한 구조의 난간 구동 장치를 몇대 설치하는 것만으로도 소망하는 난간 구동력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바람직하게는 난간 구동 장치는 계단을 안내하여 난간 구동 스프로켓을 지나게 하는 한쌍의 가이드레일을 더 구비하고, 그 하나의 가이드레일은 주행하는 계단의 진행로측에, 다른 하나의 가이드레일은 주행하는 계단의 귀환로 측에, 서로 간의 최단 거리가 난간 구동 스프로켓의 피치원의 직경과 거의 동일하도록 배치된다.
이와 같이 하여 난간 구동 스프로켓이 진행로 및 귀환로측의 난간 체인과 맞물림으로써 계단 체인으로부터 확실하게 구동력을 얻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서, 더욱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진행로 측의 가이드레일에 대해서 상기 가이드레일의 난간 구동 스프로켓 방향의 내측 단면이 난간 구동 스프로켓의 외측면보다 더 외측으로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계단 구동 기구와 난간 구동 기구가 서로 간섭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한다.
상기 구성에 더하여, 난간 구동 장치는 계단 체인 너머로 난간 구동 장치의 대향하는 측에 배치되는 적어도 1개의 가이드판을 가져도 좋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계단 체인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여 계단 체인으로부터 확실하게 구동력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일련으로 배치된 계단이 각각 고정되고 상기 계단의 주행을 안내하도록 적어도 1개의 휠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복수의 차축과, 연속하는 상기 계단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차축을 고정해서 전계단을 관통하게 하도록 연속하는 다수의 링크가 무단상으로 서로 연결되어 되는 적어도 1개의 계단 체인을 구비한 맨콘베어의 적어도 일측에 설치되는 맨콘베어용 난간 구동 장치로서,
맨콘베어의 일측의 상기 계단 체인과 맞물려서 상기 계단 체인을 구동하며, 톱니수가 계단 1단분에 상당하는 링크수의 홀수배이고, 또한 상기 차축을 간섭하지 않도록 톱니 중에서 상기 차축에 대응하는 위치의 1개 이상의 톱니를 제거한 구조의 난간 구동 스프로켓과,
상기 난간 구동 스프로켓과 동축으로 배치되어 일체로 회전하는 제2 스프로켓 및
상기 제2 스프로켓에 감기는 난간 구동 체인으로 구성된 복수의 군과,
각군에서 난간 구동 체인으로 구동되는 난간
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군이 서로 간섭하지 않도록 인접하는 난간 구동 스프로켓의 각각의 중심간의 거리가 계단 1단분의 피치의 1/2의 홀수배가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콘베어용 난간 구동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난간 구동 스프로켓의 어느 하나라도 항상 계단 체인과 맞물리게 됨으로써 소망하는 구동력을 안정되게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일련으로 배치된 계단이 각각 고정되고 상기 계단의 주행을 안내하도록 적어도 1개의 휠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복수의 차축과, 연속하는 상기 계단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차축을 고정해서 전계단을 관통하게 하도록 연속하는 다수의 링크가 무단상으로 서로 연결되어 되는 적어도 1개의 계단 체인을 구비한 맨콘베어의 적어도 일측에 설치되는 맨콘베어용 난간 구동 장치로서,
적당한 위치에 배치된 한 쌍의 치차와,
일측으로 계단 체인과 맞물리는 복수의 톱니를 가지고, 그 톱니수가 계단 체인의 계단1단분에 상당하는 링크수의 정수배이며, 톱니 중 차축에 대응하는 위치의 1개 이상의 것은 차축에 간섭하지 않도록 제거하고, 다른 면에는 회전 구동을 위해 치차와 맞물리는 복수의 톱니를 갖는 무단상의 양면 톱니 벨트와,
상기 치차의 하나와 동축으로 배치되어 일체로 회전하는 제2 스프로켓과,
상기 제2 스프로켓에 감긴 난간 구동 체인 및
상기 난간 구동 체인으로 구동되는 난간
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간 구동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무단상의 톱니 난 벨트로부터 난간 구동 체인과 난간 벨트를 구동하는 힘을 얻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종래의 긴 난간 구동 체인이나 중간 아이들러가 필요없게 되어, 장치의 구성이 단순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구동 장치는 맨콘베어의 임의의 위치에 배치될 수 있으므로, 맨콘베어의 상계부의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다. 또한 동일 구조의 난간 구동 장치를 몇대 배치함으로써 소망하는 난간 구동력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바람직하게는 계단 체인 너머로 무단상의 양면 톱니 벨트의 대향하는 측에 가이드판을 설치하여 무단상의 양면 톱니 벨트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계단 체인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여 계단 체인으로부터 확실하게 구동력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그 외의 특징은 첨부한 도면을 따른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항을 참조하면 보다 명백해질 것이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맨콘베어의 일측에 난간 구동 장치가 설치되는 것으로 본 발명의 난간 구동 장치를 나타냈지만, 맨콘베어의 폭 방향의 다른 측에 동일한 장치를 더 설치하여도 좋다. 난간 구동 장치는 맨콘베어의 일측에만 설치될 수도 있다.
도5 및 도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난간 구동 장치를 나타낸다. 난간 구동 스프로켓(50)은 맨콘베어의 본체 프레임(1)에 설치된 베이스(51)의 축(52)에 회전 자재로 지지되어 있다.
이 난간 구동 스프로켓(50)은 직선상의 계단 체인(53)과 맞물리도록 된 인벌루트 톱니(54)를 갖는 핀 기어형으로, 그 톱니수는 계단1단분의 피치를 구성하는 계단 체인(53)의 링크수의 홀수배로 설정된다. 난간 구동 스프로켓(50)에 설치된 톱니 중, 가상의 톱니(58)는 각 계단(55)의 전방 휠(56)의 차축(57)이 관통하는 스프로켓 부분으로써, 제거되어 있다. 예를 들면, 계단 체인(53)의 6링크가 계단1단을 구성하고 있으면, 그 3배인 18개를 톱니수로 한다. 그 배수가 너무 크면 난간 구동 스프로켓(50)이 커져, 결과적으로 맨콘베어 자체가 대형이 되므로 1~5배가 현실적이며, 여기서는 톱니수를 계단 1단분의 링크수의 3배로 하고 있다.
계단(55)을 안내하고 지지하는 가이드레일(59)은 상측 레일(59)의 진행로측 직선부와 하측 레일(59)의 귀환로측 직선부의 거리가 이 계단 피치의 3배의 톱니수를 갖는 난간 구동 스프로켓(50)의 피치원 직경과 동일 치수가 되게 설치된다. 전방 휠(56)의 하중을 받는 가이드레일(59)의 주행면의 폭(60)이 난간 구동 스프로켓(50)의 외측의 위치까지 나오게 설정하여 난간 구동 스프로켓(50)이 가이드레일(59)을 간섭하지 않게 한다.
또한 난간 구동 스프로켓(50)의 위치는 진행로측의 맞물림부(70)로부터 귀환로측의 맞물림부(71)까지의 거리가 계단 체인(53)의 l링크 길이의 정수배가 되게 설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배치함으로써 진행로측 및 귀환로측의 계단 체인(53)과 난간 구동 스프로켓(50)이 상시 맞물리게 된다.
난간 구동 스프로켓(50)에는 동축에서 일체로 회전하고, 난간 벨트(64)를 계단과 동일 속도로 주행하게 하는 톱니수를 갖는 제2 스프로켓(61)이 설치되어 있다. 이 스프로켓(61)에 난간 구동 체인(62)이 감기어 도1에 나타낸 종래예와 동일한 구조의 난간 구동 휠(63)을 회전시켜 난간 벨트(64)를 주행시키고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제1 실시예의 맨콘베어용 난간 구동 장치의 운전에서, 난간 구동 스프로켓(50)이 이동하는 계단 체인(53)과 맞물려 회전하고, 이 난간 구동 스프로켓(50)과 동축에서 일체로 회전하는 제2 스프로켓(61)에 의해 난간 구동 체인(62)이 구동한다. 난간 구동 체인(62)의 구동에 의해 난간 구동 휠(63)이 회전하여 난간 벨트(64)를 구동한다.
계단 체인(53)의 전방 휠(56)의 차축이 스프로켓(50)에 물리는 부분의 난간 구동 스프로켓(50)의 톱니를 제거하였다고 해도(58부분), 홀수개의 톱니(58)가 스프로켓에서 제거되었으므로 맞물림부(70, 71)의 양측이 동시에 맞물림 상태가 악화되는 일이 없다. 즉 맞물림부(70, 71)의 일측 이상의 맞물림 조건이 양호하므로, 스프로켓(50)이 슬립하는 일이 없어 구동력을 확실하게 전달할 수 있다.
또한 계단 체인(53) 너머로 난간 구동 스프로켓(50)의 대향하는 측에 1쌍의 가이드판(81)을 배치함으로써, 계단 체인(53)이 구동 스프로켓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여, 보다 확실한 맞물림을 실현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도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2 실시예의 맨콘베어용 난간 구동 장치는 난간 벨트(64)의 구동력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도5 및 도6에 나타낸 구조의 난간 구동 장치를 2쌍 병설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경우, 인접하는 난간 구동 스프로켓(50)이 서로 간섭하는 일이 없도록, 스프로켓(50)의 중심간 거리(65)를 계단 피치의 l/2의 거리의 홀수배로 한다. 이에 따라 진행로측과 귀환로측에서 동시에 맞물림이 해제되는 일이 없어 확실하게 큰 구동력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구조적으로는 형태가 복잡한 체인을 설치하거나 중간 아이들러를 추가할 필요가 없다. 또한 맨콘베어의 구조를 간소하게 하여 보수 점검시에 손볼 곳도 적어져, 보수 점검에 소요되는 시간이 단축된다.
또한 제2 실시예에서도, 계단 체인(53) 너머로 난간 구동 스프로켓(50)의 대향하는 측에 가이드판(81)을 설치함으로써 계단 체인(53)이 스프로켓(50)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여 보다 확실한 맞물림을 실현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맨콘베어용 난간 구동 장치를 도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베이스(90)가 맨콘베어의 본체 프레임(l)에 설치된다. 베이스(90)에 고정되는 축(91)과 계단 체인(53)을 따라 이동 가능한 축(92)이 설치된다. 1쌍의 치차(73, 74)가 축(91, 92)에 각각 회전 자재로 연결된다. 벨트(78)의 내면에 형성되어 치차(73, 74)와 맞물리는 내부 톱니(76)를 갖는 무단상의 양면 톱니 벨트(78)가 치차(73, 74)에 감기며, 인벌루트 톱니(77)가 벨트(78)의 외면에 형성되어 귀환로 측을 주행하는 계단 체인(53)과 맞물린다.
이 양면 톱니 벨트(78)는 도5 및 도6에 나타낸 제1 실시예의 난간 구동 스프로켓(50)과 마찬가지로, 차축(57)이 관통하는 계단 체인(53)의 부분과 맞물리는 벨트(78)의 부분에 상당하는 톱니(79)가 제거되어 있다. 그러나 양면 톱니 벨트(78)는 직선 부분의 수개의 인벌루트 톱니(77)가 계단 체인(53)과 맞물리므로, 벨트가 계단 체인(53)으로부터 이탈하는 일이 없다. 양면 톱니 벨트(79)의 톱니수는 홀수이어도 좋고, 짝수이어도 좋다.
또 고정된 치차(73)에는 난간 구동 스프로켓(50)과 마찬가지로, 축(91)에 동축에서 일체로 회전하고, 계단(55)과 동일 속도로 난간 벨트(64)를 구동하는 톱니수를 갖는 제2 난간 스프로켓(80)이 설치되어 있다. 이 제2 스프로켓(80)에 난간 구동 체인(62)이 감기어, 난간 구동 휠(63)을 회전시켜 난간 벨트(64)를 구동한다.
제3 실시예의 맨콘베어용 난간 구동 장치의 작동을 설명하면, 이동하는 계단 체인(53)과 양면 톱니 벨트(78)의 직선부의 톱니가 맞물려 작동하여, 치차(73, 74)가 제 2 스프로켓과 동시 회전한다. 이와 같이 해서 제2 스프로켓(80)이 난간 구동 체인을 구동하여 난간 구동 휠(63)을 회전하게 함으로써 난간 벨트(64)를 구동한다.
상기한 작동 중에는 벨트(78)와 체인(53)의 맞물리는 부분의 톱니(79)를 제거한 것에 영향을 받고 있지 않는데, 상술한 대로 양면 톱니 벨트(78)의 인벌루트 톱니(77)의 직선부의 수개의 톱니가 계단 체인과 맞물리므로 맞물림이 완전히 해제되는 일이 없다.
또한 상기한 제3 실시예에 있어서도, 계단 체인(53) 너머로 양면 톱니 벨트(78)의 대향 측에 가이드판(81)을 설치함으로써, 벨트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보다 신뢰성 있는 맞물림을 보장할 수 있다.
상기한 설명은 본 발명의 난간 구동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정신과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고도 다양한 변형과 수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구조가 간소하고, 재구성 및 보수 작업이 용이하며, 계단 체인으로부터 원활하게 동력을 전달 받아 효율적으로 난간 벨트를 구동할 수 있는 맨콘베어용 난간 구동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7)

  1. 일련으로 배치된 계단이 각각 고정되고 상기 계단의 주행을 안내하도록 적어도 1개의 휠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복수의 차축과, 연속하는 상기 계단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차축을 고정해서 전계단을 관통하게 하도록 연속하는 다수의 링크가 무단상으로 서로 연결되어 되는 적어도 1개의 계단 체인을 구비한 맨콘베어의 적어도 일측에 설치되는 맨콘베어용 난간 구동 장치로서,
    맨콘베어의 일측의 상기 계단 체인과 맞물려서 상기 계단 체인을 구동하며, 톱니수가 계단 1단분에 상당하는 링크수의 홀수배이고, 또한 상기 차축을 간섭하지 않도록 톱니 중에서 상기 차축에 대응하는 위치의 1개 이상의 톱니를 제거한 구조의 난간 구동 스프로켓과,
    상기 난간 구동 스프로켓과 동축으로 배치되어 일체로 회전하는 제2 스프로켓과,
    상기 제2 스프로켓에 감기는 난간 구동 체인 및
    상기 난간 구동 체인에 의해 구동되는 난간
    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간 구동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단이 상기 난간 구동 스프로켓을 지나는 것을 안내하는 1쌍의 가이드레일을 더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레일 중 하나는 주행하는 계단의 진행로측에, 다른 하나는 주행하는 계단의 귀환로 측에 배치되며,
    상기 가이드레일 간의 최단 거리는 상기 난간 구동 스프로켓의 피치원의 직경과 거의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간 구동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적어도 진행로 측의 상기 가이드레일은 상기 가이드레일의 난간 구동 스프로켓 방향의 내측 단면이 난간 구동 스프로켓의 외측면보다 더 외측으로 위치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간 구동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단 체인 너머로 상기 난간 구동 스프로켓의 대향하는 측에 배치되어, 상기 계단 체인이 난간 구동 스프로켓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적어도 1개의 가이드판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간 구동 장치.
  5. 일련으로 배치된 계단이 각각 고정되고 상기 계단의 주행을 안내하도록 적어도 1개의 휠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복수의 차축과, 연속하는 상기 계단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차축을 고정해서 전계단을 관통하게 하도록 연속하는 다수의 링크가 무단상으로 서로 연결되어 되는 적어도 1개의 계단 체인을 구비한 맨콘베어의 적어도 일측에 설치되는 맨콘베어용 난간 구동 장치로서,
    맨콘베어의 일측의 상기 계단 체인과 맞물려서 상기 계단 체인을 구동하며, 톱니수가 계단 1단분에 상당하는 링크수의 홀수배이고, 또한 상기 차축을 간섭하지 않도록 톱니 중에서 상기 차축에 대응하는 위치의 1개 이상의 톱니를 제거한 구조의 1개의 난간 구동 스프로켓과,
    상기 난간 구동 스프로켓과 동축으로 배치되어 일체로 회전하는 1개의 제2 스프로켓 및
    상기 제2 스프로켓에 감기는 1개의 난간 구동 체인
    으로 구성된 복수의 군과,
    상기 각군에서 난간 구동 체인에 의해 구동되는 난간
    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군이 서로 간섭하지 않도록 상기 인접하는 난간 구동 스프로켓의 각각의 중심간의 거리가 계단 1단분의 피치의 1/2의 홀수배가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간 구동 장치.
  6. 일련으로 배치된 계단이 각각 고정되고 상기 계단의 주행을 안내하도록 적어도 1개의 휠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복수의 차축과, 연속하는 상기 계단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차축을 고정해서 전계단을 관통하게 하도록 연속하는 다수의 링크가 무단상으로 서로 연결되어 되는 적어도 1개의 계단 체인을 구비한 맨콘베어의 적어도 일측에 설치되는 맨콘베어용 난간 구동 장치로서,
    적당한 위치에 배치된 한 쌍의 치차와,
    일면에는 상기 계단 체인과 맞물리는 복수의 톱니를 갖되, 그 톱니수가 계단1단분에 상당하는 링크수의 정수배이며, 상기 톱니 중 차축에 대응하는 위치의 1개 이상의 것은 차축에 간섭하지 않도록 제거되고, 다른 면에는 회전 구동을 위해 치차와 맞물리는 복수의 톱니를 갖는 무단상의 양면 톱니 벨트와,
    상기 치차 중 하나와 동축으로 배치되어 일체로 회전하는 제2 스프로켓과,
    상기 제2 스프로켓에 감기는 난간 구동 체인 및
    상기 난간 구동 체인에 의해 구동되는 난간
    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간 구동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계단 체인 너머로 무단상의 양면 톱니 벨트의 대향하는 측에 배치되어, 상기 계단 체인이 무단상의 양면 톱니 벨트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1개의 가이드판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간 구동 장치.
KR10-1999-0036039A 1998-09-09 1999-08-28 맨콘베이어용 핸드레일 구동 장치 KR1003966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5564298A JP4072255B2 (ja) 1998-09-09 1998-09-09 マンコンベアの手すり駆動装置
JP98-255642 1998-09-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2774A true KR20000022774A (ko) 2000-04-25
KR100396610B1 KR100396610B1 (ko) 2003-09-02

Family

ID=172815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6039A KR100396610B1 (ko) 1998-09-09 1999-08-28 맨콘베이어용 핸드레일 구동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JP (1) JP4072255B2 (ko)
KR (1) KR100396610B1 (ko)
CN (1) CN1093503C (ko)
DE (1) DE19942930B4 (ko)
SG (1) SG75183A1 (ko)
TW (1) TW49804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63563B2 (ja) * 2008-11-19 2012-10-3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乗客コンベア及びハンドレール駆動装置
JP5237877B2 (ja) * 2009-04-28 2013-07-1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乗客コンベア
CN105947861A (zh) * 2016-07-11 2016-09-21 鑫诺电梯有限公司 一种电动扶梯扶手链条盖板固定装置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964483C (de) * 1954-05-18 1957-05-23 Kurt Rosenbaum Dipl Ing Bandfoerderer mit einer doppel-T-foermigen Mittelschiene
DE1829806U (de) * 1959-06-24 1961-04-20 Orenstein & Koppel Ag Rolltreppe.
US4589539A (en) * 1983-09-15 1986-05-20 Westinghouse Electric Corp. Transportation apparatus having a moving handrail
FR2604987A1 (fr) * 1986-09-26 1988-04-15 Otis Elevator Co Entrainement d'escalier roulant a courroie crantee a double face
JPH07315741A (ja) * 1994-05-25 1995-12-05 Otis Elevator Co マンコンベアのハンドレールドライブ装置
JPH0986846A (ja) * 1995-09-25 1997-03-31 Hitachi Ltd 乗客コンベア
JPH10139338A (ja) * 1996-11-08 1998-05-26 Nkk Corp 乗客コンベヤの手摺り駆動装置
JPH10226480A (ja) * 1997-02-17 1998-08-25 Hitachi Ltd 乗客コンベアのハンドレール駆動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96610B1 (ko) 2003-09-02
SG75183A1 (en) 2000-09-19
JP4072255B2 (ja) 2008-04-09
CN1247157A (zh) 2000-03-15
CN1093503C (zh) 2002-10-30
JP2000086135A (ja) 2000-03-28
TW498048B (en) 2002-08-11
DE19942930B4 (de) 2010-02-11
DE19942930A1 (de) 2000-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677388A (en) Modular drive unit for a conveyor
KR100827048B1 (ko) 에스컬레이터 구동 장치
KR102149073B1 (ko) 수명이 증가된 운반 체인휠 또는 편향 체인휠
JPS6320727B2 (ko)
US7168547B2 (en) Passenger conveyor drive machine
GB2243430A (en)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sprocket means used therein, and passenger conveyer using the same
US4580675A (en) Transportation apparatus
KR100396610B1 (ko) 맨콘베이어용 핸드레일 구동 장치
EP2872434B1 (en) Drive system for passenger conveyor
KR19990008060A (ko) 컨베이어용 팰릿
GB2047646A (en) Drive means for the handrail of a moving staircase or walkway
JPH06227782A (ja) マンコンベアの移動手摺装置
JPS6025335B2 (ja) コンベヤ
US11027946B2 (en) Belt-driven people conveyors
JP5237877B2 (ja) 乗客コンベア
EP3243788B1 (en) Passenger conveyor
JP4326076B2 (ja) マンコンベア
JPS6121458Y2 (ko)
JP4266504B2 (ja) マンコンベア
JP2001341967A (ja) マンコンベア
JP3585407B2 (ja) 乗客コンベア
US20090008216A1 (en) Passenger Conveyor
KR930004745Y1 (ko) 스텝구동을 위한 체인과 액슬장치
JPS582914B2 (ja) イドウテスリベルトソウチ
JPH03223085A (ja) マンコンベヤの移動手摺駆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72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