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08060A - 컨베이어용 팰릿 - Google Patents

컨베이어용 팰릿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08060A
KR19990008060A KR1019970707584A KR19970707584A KR19990008060A KR 19990008060 A KR19990008060 A KR 19990008060A KR 1019970707584 A KR1019970707584 A KR 1019970707584A KR 19970707584 A KR19970707584 A KR 19970707584A KR 19990008060 A KR19990008060 A KR 199900080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pallet
adjacent
pallets
e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7075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스테르마이에르죄르그
보르쉐스페테르
엥겔케베른바르트
Original Assignee
로버트피.헤이터
오티스엘리베이터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버트피.헤이터, 오티스엘리베이터캄파니 filed Critical 로버트피.헤이터
Publication of KR199900080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8060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00Component part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08Carrying surfaces
    • B66B23/10Carrying belts

Landscapes

  • Escalators And Moving Walkways (AREA)
  • Branching, Merging, And Special Transfer Between Conveyors (AREA)
  • Chain Conveyers (AREA)
  • Structure Of Belt Conveyor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Intermediate Stations On Conveyors (AREA)

Abstract

컨베이어용 팰릿은 제 1 커넥터와, 제 2 커넥터와, 인저한 팰릿의 커넥터를 결합하는 링크를 포함한다. 상기 링크는 인접한 팰릿의 커넥터가 아치형 통로를 통하여 서로에 대해 이동되게 한다. 인접한 팰릿에 대한 이러한 배치는 인접한 팰릿이 굴곡 통로를 이동할 때 인접한 팰릿 사이에서 변화되는 거리를 수용하는 팰릿 사이의 연결로 나타난다.

Description

컨베이어용 팰릿
에스컬레이터와 이동 보도와 같은 승객용 컨베이어는 널리 공지되어 있으며, 사람들을 이송하는데 매우 효과적이다. 에스컬레이터는 사람들을 건물의 한 층으로부터 다른 층으로 수직이동시키는데 전형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이동 보도는 통상적으로 사람들을 한 위치에서 다른 위치로 선형 패턴으로 수평이동시키는데 사용된다. 이동 보도를 위한 용도는 엘리베이션 체인지(elevation change)를 필요로 하며 그 결과, 엘리베이션에 필요로 하는 체인지를 제공하기 위하여 이동 통로에 굴곡부를 갖는다.
후자의 용도가 보다 널리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통로의 선형부와 굴곡부를 횡단할 수 있는 팰릿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엘리베이션 체인지에 대한 필요사항은 짧은 팰릿의 사용을 조장한다. 짧은 팰릿은 굴곡부에서 작은 반경을 수용한다. 그러나, 짧은 팰릿은 주어진 길이의 보행에 요구되는 팰릿의 수를 증가시키기 때문에 비용을 증가시키게 된다.
전형적인 이동 보도는 트러스와, 구동 스프로켓과, 아이들러 스프로켓과, 한쌍의 팰릿 체인과, 상기 팰릿 체인에 부착되고 그 사이에서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복수개의 팰릿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구동 스프로켓은 대향 단부에 아이들러 스프로켓을 포함하는 연속 루프를 통하여 이들을 구동하는 팰릿 체인과 결합된다. 상기 팰릿 체인은 연속적으로 결합된 체인 링크와, 한상의 롤러 트랙을 올라타는 복수개의 롤러를 포함한다.
종래의 팰릿은 2가지 방법중 하나의 방법에 의해 팰릿 체인에 연결된다. 첫번째 방법은 팰릿의 전방 엣지를 따라 차축(axle)상에 배치된 한쌍의 견인 휠(puller wheel)을 사용하는 것이다. 상기 차축은 팰릿의 전방 엣지를 위한 지지체를 제공하며, 팰릿 체인을 갖는 팰릿을 이동하기 위하여 팰릿 체인과 결합된다. 상기 휘일은 팰릿 체인과 일체형일 수도 있으며, 분리된 트랙에 올라탈 수도 있다. 팰릿의 후방 엣지는 한쌍의 트레일러 롤러를 갖는 제 2 차축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트레일러 롤러는 한쌍의 트레일러 롤러에 올라타며, 팰릿 체인과는 단단히 결합되지 않는다. 분리된 트레일러 롤러 트랙은 팰릿 조립체가 스프로켓 주위로 갈 때, 이동 통로의 곡률반경을 수용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방법은 복잡함을 더하게 하고, 트레일러 롤러에 요구되는 부가적인 롤러 트랙으로 인하여 이동 보도의 비용을 증가시키게 된다.
두번째 방법은 스프로켓의 곡률반경을 수용하기 위하여 트레일러 롤러가 아니라 미끄럼 블럭장치를 사용하는 것이다. 이러한 장치에 있어서, 팰릿의 후방 엣지상의 부하는 인접한 팰릿의 전방 엣지상에서 슬롯과 결합하는 블럭이나 핀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슬롯은 팰릿상에 수직 부하를 지지할 동안 핀이나 블럭이 축방향으로 이동되게 한다. 핀이나 블럭의 축방향 이동은 이들이 스프로켓 주위로 이동될 때 팰릿이 서로에 대해 이동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방법은 미끄럼 블럭장치에 의해 허용되는 이동량에 대한 실질적인 제한으로 인하여 상당한 반경방향 칫수를 갖는 스프로켓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문제점은 2체인 링크를 연장시키는 짧은 팰릿에 의해 더욱 강조된다.
종래의 과학자나 엔지니어는 진동과 소음을 최소화하는 내구성 장치를 제공하면서 비용 또한 최소화된 컨베이어를 개발하려고 노력하였다.
본 발명은 컨베이어용 팰릿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이러한 컨베이어를 위한 팰릿에 관한 것이다.
도 1 은 팰릿 체인을 갖는 팰릿과, 롤러와, 점선으로 도시된 롤러 트랙의 측면도.
도 2 는 도 1 의 선 2-2 을 따른 단면도.
본 발명에 따르면, 승객 컨베이어용 팰릿은 제 1 커넥터와, 제 2 커넥터와, 제 1 커넥터를 인접한 팰릿의 제 2 커넥터에 결합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결합수단은 커넥터가 서로에 대해 아치형 통로를 통해 이동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커넥터는 팰릿의 한쪽 엣지를 따라 배치된 차축이며, 제 2 커넥터는 팰릿의 다른쪽 엣지를 따라 배치된 핀이다. 상기 차축은 핀과 차축이 서로의 주위에서 회전할 수 있게 하는 링크에 의해 인접한 팰릿의 핀과 결합된다. 상기 팰릿은 차축에 인접한 제 1 오목부와 핀에 인접한 제 2 오목부를 갖는 지지구조를 포함한다. 상기 오목부들은 핀과 차축 사이의 상대적 이동을 위한 공간을 제공한다.
팰릿이 통로의 굴곡부를 통하여 이동하기 때문에, 핀은 인접한 팰릿의 차축 사이의 거리가 감소되도록 이들이 연결되는 차축 주위에서 회전한다. 이러한 인접한 차축 사이의 이격거리의 감소는 굴곡부를 따라 이동할 때 팰릿의 곡률반경을 수용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장점은 간단하다는 것이며, 또한 각각의 팰릿상에서의 트레일러 롤러와 부가적인 롤러 트랙 세트의 사용에 비해 최소 경비의 운동학적 배치를 제공한다는 점이다. 또 다른 장점으로는 미끄럼 블럭형 배치를 사용하는 승객용 컨베이어에 비해 내구성이 높다는 점이다. 그 결과, 마모 접촉은 최소화되며, 진동이 감소된다. 또한 통로의 굴곡부에서 인접한 팰릿 사이의 이격이 최소화된다.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과 다른 목적 및 특징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하기의 양호한 실시예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인식될 것이다.
도 1 및 도 2 에는 승객용 컨베이어(12)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승객용 컨베이어(12)는 팰릿 조립체를 형성하기 위하여 연속적으로 연결되는 복수개의 팰릿(14)과, 팰릿 체인(16)과, 롤러 트랙(18)과, 스프로켓(22)을 포함한다.
각각의 팰릿(14)은 지지 프레임(24)과, 발판(26)과, 한쌍의 롤러 차축(28)과, 한쌍의 핀(32)을 포함한다. 상기 지지 프레임(24)은 작동중 팰릿(14)에 의해 이송되는 부하를 지지하는 단단한 구조를 제공한다. 상기 발판(26)은 지지 프레임(24)에 부착되며, 컨베이어를 올라타는 승객을 위한 면(34)을 형성한다. 롤러 차축(28)의 쌍은 팰릿(14)의 전방 엣지상에 배치되며, 이들 각각은 롤러(36)와 결합된다. 각각의 핀(32)은 팰릿(14)의 후방 엣지로부터 돌출되는 연장부(38)에 의해 지지 프레임(24)에 연결된다.
상기 팰릿 체인(16)은 서로 이격되고 복수개의 체인 링크(42)에 의해 상호연결되는 복수개의 롤러(36)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개의 롤러(36)는 견인 롤러(44)와 아이들러 롤러(46)를 포함한다. 상기 견인 롤러(44)는 팰릿(14)의 롤러 차축(28)과 결합된다. 상기 아이들러 롤러(46)는 인접한 견인 롤러(44) 사이에 위치되어 인접한 체인 링크(42)의 대향 단부에 연결된다.
롤러 트랙(18)은 승객용 컨베이어(12)의 길이를 따라 연장되며 복수개의 롤러(36)를 위한 통로를 한정한다.
스프로켓(22)은 승객용 컨베이어(12)의 단부에 위치되며, 이송 루프내에서 팰릿 조립체와 팰릿 체인(16)을 회전시키는 수단을 제공한다. 상기 스프로켓(22)은 방사외향으로 연장되는 복수개의 기어(48)를 제공하며, 이러한 기어(48)는 종래 방법에 의해 체인 링크(42)와 결합되어 팰릿 체인(16)을 회전시키므로써 팰릿 조립체를 회전시킨다.
인접한 팰릿(14)은 한쌍의 링크(52)를 통하여 연결된다. 각각의 링크(52)는 한쪽 팰릿(14)의 롤러 차축(28)과 인접한 팰릿(14)의 핀(32)과 결합된다. 상기 링크(52)는 차축(28)과 핀(32) 주위로 회전 운동이 허용된다.
승객용 컨베이어(12)의 작동중, 팰릿 조립체는 서술한 바와 같이 견인 롤러(44)를 통하여 팰릿(14)과 결합되는 팰릿 체인(16)에 의해 무한 루프를 통하여 견인된다. 선형인 루프 부분에 있어서, 인접한 팰릿(14)은 도 2 에서 좌측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위치된다. 한쪽 팰릿(14)의 핀(32)은 인접한 팰릿(14)의 롤러 차축(28)의 바로 아래에 위치되며, 링크(52)는 일반적으로 팰릿(14)상의 승객 부하에 기인한 링크(52)상의 부하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수직으로 동작된다. 체인 링크(42)는 정렬되며, 견인 롤러(44)를 분리시키는 거리(l4)는 견인 롤러(44)와 아이들러 롤러(46) 사이의 거리(l1)와 거리(l2)의 총합과 동일하다. 롤러 차축(28)의 중심으로부터 핀(32)의 중심까지 측정한 상기 팰릿(14)의 거리(l3)는 일정하다.
팰릿 조립체가 루프의 굴곡부내로 이동하면, 여러개의 운동 이벤트가 발생된다. 첫째로, 인접한 체인 링크(42)는 더 이상 정렬되지 않으며, 그 주위로 이동할 때 굴곡부의 반경에 근접하게 된다. 둘째로, 팰릿 체인(16)의 곡률반경의 결과로 인하여, 인접한 체인 링크(42)의 대향 단부는 선형부보다는 굴곡부에서 서로에 대해 적게 이격된다. 체인 링크(42)의 거리(l1, l2)가 변하지 않기 때문에, 또한 팰릿(14)이 단단하고 거리(l3)가 변하지 않기 때문에, 인접한 견인 롤러(28) 사이의 거리(l4)의 단축은 수용을 요구한다.
팰릿 조립체가 스프로켓(18) 주위로 이동될 때 길이(l4)에서의 변화의 수용은 롤러 차축(28)과 핀(32)과 링크(52)의 배치에 의해 제공된다. 팰릿(14)이 스프로켓(18)상에 이동할 때, 연결된 핀(32)과 롤러 차축(28)은 아치형 통로를 통하여 서로에 대해 회전하게 된다. 도 1 의 우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팰릿(14)의 핀(32)은 후방 팰릿(14)의 지지 프레임(24)의 전방 엣지내의 오목부(54)내로 이동되며, 후방 팰릿(14)의 롤러 차축(28)은 전방 팰릿(14)의 후방 엣지내의 대응의 오목부(56)내로 이동된다. 상기 오목부(54, 56)는 롤러 차축(28)과 핀(32)에 의해 요구되는 완전한 범위의 상대적 이동을 적절히 허용하는 크기를 갖는다.
롤러 차축(28)과, 핀(32)과, 링크(54)는 인접한 팰릿이 굴곡된 통로를 통하여 이동되게 하고 이와 동시에 인접한 팰릿 사이에 강고한 연결을 제공하는 방식으로 인접한 팰릿을 연결하는데 매우 편리하고 효과적인 수단이다. 커넥터 사이의 아치형의 상대적 이동을 생성하기 위하여 다른 형태의 커넥터와 결합수단이 사용될 수 있으므로 거리(l4)의 단축을 수용할 수 있다. 또한, 링크는 금속과 같은 단단한 재료로 형성되거나 보다 탄성인 재료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 및 도 2 에서 컨베이어는 단지 2개의 체인 링크의 길이만 연장시키는 팰릿을 갖는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본 기술분야의 숙련자라면 본 발명은 3개 이상의 체인 링크를 연장시키는 팰릿을 갖는 컨베이어에도 적용할 수 있음을 인식해야 한다. 많은 수의 링크를 사용하는 것은 부가적인 링크의 비용 증가를 희생하면서 스프로켓 주위로 이동 [그 결과 칫수(l4) 변화가 적게 된다]하는 팰릿 체인과 관련된 폴리곤 효과(poligon effect)를 감소시킨다.
본 발명은 양호한 실시예를 참조로 서술되었지만, 본 기술분야의 숙련자라면 첨부된 청구범위로부터의 일탈없이 본 발명에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해질 수 있음을 인식해야 한다.

Claims (10)

  1. 팰릿 체인에 연결되어 이에 의해 구동되는 복수개의 인접한 팰릿을 갖는 컨베이어용 팰릿에 있어서,
    팰릿의 제 1 엣지에 배치된 제 1 커넥터와,
    상기 제 1 엣지에 대향하며 팰릿의 제 2 엣지상에 배치되는 제 2 커넥터와,
    결합수단에 의해 연결된 제 1 커넥터와 제 2 커넥터가 아치형 통로를 통하여 서로에 대해 이동될 수 있도록 인접한 팰릿의 제 2 커넥터와 제 1 커넥터를 결합시키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용 팰릿.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커넥터는 차축이며, 상기 차축은 팰릿 체인에 고정되어 함께 이동되며, 상기 제 2 커넥터는 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용 팰릿.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는 선형부와 굴곡부를 갖는 복수개의 팰릿을 위한 통로를 포함하며, 인접한 팰릿의 제 1 커넥터와 제 2 커넥터 사이의 상대적 이동은 통로의 굴곡부에서 인접한 팰릿의 제 1 커넥터 사이의 거리가 통로의 선형부에서 인접한 팰릿의 제 1 커넥터 사이의 거리보다 짧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용 팰릿.
  4. 제 1 항에 있어서, 인접한 팰릿의 제 2 커넥터와 제 1 커넥터를 결합하는 수단은 제 1 커넥터 주위로 회전하기 위해 제 1 커넥터와 결합되고 제 2 커넥터 주위로 회전하기 위해 제 2 커넥터와 결합되는 링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용 팰릿.
  5. 제 1 항에 있어서, 지지 프레임을 부가로 포함하며, 상기 지지 프레임은 제 1 및 제 2 커넥터의 상대적 이동중 제 1 커넥터가 인접한 팰릿의 제 2 오목부를 통하여 이동하고 인접한 팰릿의 제 2 커넥터가 제 1 오목부를 통하여 이동되도록 팰릿의 제 1 엣지를 따른 제 1 오목부와 팰릿의 제 2 엣지를 따른 제 2 오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용 팰릿.
  6. 팰릿 체인에 연결되어 이에 의해 구동되는 복수개의 인접한 팰릿을 가지며, 상기 팰릿 체인은 복수개의 연속적으로 결합된 체인 링크를 포함하며, 복수개의 팰릿은 2개 이상의 체인 링크가 인접한 팰릿을 분리시키도록 팰릿 체인에 연결되는 컨베이어에 있어서,
    각각의 팰릿은 ,
    팰릿의 제 1 엣지에 배치된 제 1 커넥터와,
    제 2 커넥터가 인접한 팰릿의 제 1 커넥터에 인접하게 되도록 상기 제 1 엣지에 대향하며 팰릿의 제 2 엣지상에 배치되는 제 2 커넥터와,
    결합수단에 의해 연결된 제 1 커넥터와 제 2 커넥터가 아치형 통로를 통하여 서로에 대해 이동될 수 있도록 인접한 팰릿의 제 2 커넥터와 제 1 커넥터를 결합시키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커넥터는 차축이며, 상기 차축은 팰릿 체인에 고정되어 함께 이동되며, 상기 제 2 커넥터는 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는 선형부와 굴곡부를 갖는 복수개의 팰릿을 위한 통로를 포함하며, 인접한 팰릿의 제 1 커넥터와 제 2 커넥터 사이의 상대적 이동은 통로의 굴곡부에서 인접한 팰릿의 제 1 커넥터 사이의 거리가 통로의 선형부에서 인접한 팰릿의 제 1 커넥터 사이의 거리보다 짧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9. 제 6 항에 있어서, 인접한 팰릿의 제 2 커넥터와 제 1 커넥터를 결합하는 수단은 제 1 커넥터 주위로 회전하기 위해 제 1 커넥터와 결합되고 제 2 커넥터 주위로 회전하기 위해 제 2 커넥터와 결합되는 링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10. 제 6 항에 있어서, 지지 프레임을 부가로 포함하며, 상기 지지 프레임은 제 1 및 제 2 커넥터의 상대적 이동중 제 1 커넥터가 인접한 팰릿의 제 2 오목부를 통하여 이동하고 인접한 팰릿의 제 2 커넥터가 제 1 오목부를 통하여 이동되도록 팰릿의 제 1 엣지를 따른 제 1 오목부와 팰릿의 제 2 엣지를 따른 제 2 오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KR1019970707584A 1995-04-28 1996-04-08 컨베이어용 팰릿 KR1999000806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8/430,949 1995-04-28
US08/430,949 US5595278A (en) 1995-04-28 1995-04-28 Pallet for a convey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8060A true KR19990008060A (ko) 1999-01-25

Family

ID=237097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707584A KR19990008060A (ko) 1995-04-28 1996-04-08 컨베이어용 팰릿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5595278A (ko)
EP (1) EP0822918B1 (ko)
JP (1) JPH11504305A (ko)
KR (1) KR19990008060A (ko)
CN (1) CN1088036C (ko)
AU (1) AU696745B2 (ko)
BR (1) BR9608084A (ko)
DE (1) DE69605783T2 (ko)
ES (1) ES2142058T3 (ko)
MY (1) MY112507A (ko)
TW (1) TW329419B (ko)
WO (1) WO199603394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525827C2 (de) * 1995-07-15 1998-05-14 Kone Oy Palettenkörper für Rollsteige
DE19958709C2 (de) * 1999-12-06 2001-10-25 Kone Corp Verfahren und Einrichtung zur Reduzierung des Polygoneffektes im Umlenkbereich von Personenförderanlagen
JP2005510432A (ja) * 2001-04-27 2005-04-21 コネ コーポレイション 歩行者輸送システムの逆転領域における多角形効果の低減方法および低減装置
DE10308417B4 (de) * 2003-02-27 2006-03-09 Kone Corp. Rollsteig
FI116218B (fi) * 2004-02-02 2005-10-14 Kone Corp Liukukäytävän tai vastaavan paletin kytkentäjärjestely
ES2265293B1 (es) * 2005-07-28 2008-02-16 Thyssenkrupp Norte, S.A. Pasillo movil.
ES2277796B1 (es) * 2006-12-29 2009-05-01 Thyssenkrupp Norte, S.A. Conjunto de paletas para un sistema de transporte para desplazamiento de pasajeros/mercancias.
ES2298091B1 (es) * 2007-10-17 2009-06-12 Thyssenkrupp Elevator (Es/Pbb) Ltd. Pasillo movil.
CA2915577A1 (en) * 2013-07-26 2015-01-29 Inventio Ag Moving-walkway plate of a moving walkway
EP3511284B1 (en) 2018-01-10 2021-09-15 Otis Elevator Company Moving walkway
EP3511282B1 (en) 2018-01-15 2020-07-22 Otis Elevator Company Moving walkway
EP3623336B1 (en) 2018-09-14 2021-10-27 Otis Elevator Company Conveyance element for a people conveyor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6314A (en) * 1889-07-02 Stairway
US739141A (en) * 1903-04-10 1903-09-15 Edwin Baltzley Traveling stairway.
GB510029A (en) * 1938-03-25 1939-07-26 William Sebastian Graff Baker Improvements relating to conveyors and moving platforms
DE2248406A1 (de) * 1972-10-03 1974-04-11 Deutsche Bundesbahn Reisegepaeck-foerderband
GB1546384A (en) * 1975-03-22 1979-05-23 Dunlop Ltd Platform conveyors
DE3213322A1 (de) * 1982-04-06 1984-02-09 O & K Orenstein & Koppel Ag, 1000 Berlin Rollsteig
DE3337611C2 (de) * 1983-10-15 1985-12-12 O & K Orenstein & Koppel Ag, 1000 Berlin Rollsteigsystem
US5033606A (en) * 1988-12-16 1991-07-23 Mitsubishi Jukogyo Kabushiki Kaisha Conveyor having pivotally connected step units
DE69028089T2 (de) * 1989-09-07 1997-01-23 Masao Kubota Beförderungsmaschine
JPH0784317B2 (ja) * 1990-03-19 1995-09-1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乗客コンベア
US5137135A (en) * 1991-03-13 1992-08-11 Otis Elevator Company Escalator step chain roller
US5293982A (en) * 1993-01-12 1994-03-15 Otis Elevator Company Step chain plug-in ax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83087A (zh) 1998-05-27
BR9608084A (pt) 1999-02-23
EP0822918A1 (en) 1998-02-11
CN1088036C (zh) 2002-07-24
US5595278A (en) 1997-01-21
DE69605783T2 (de) 2000-07-27
ES2142058T3 (es) 2000-04-01
WO1996033941A1 (en) 1996-10-31
AU5536896A (en) 1996-11-18
EP0822918B1 (en) 1999-12-22
TW329419B (en) 1998-04-11
MY112507A (en) 2001-06-30
JPH11504305A (ja) 1999-04-20
DE69605783D1 (de) 2000-01-27
AU696745B2 (en) 1998-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76367B1 (en) Device for conveyance along assembly lines and the like
KR19990008060A (ko) 컨베이어용 팰릿
US6527099B2 (en) Belt drive back up device for escalator drive
AU2001292771B2 (en) Escalator drive machine with drive belts for simultaneously propelling handrail and conveyor surface
US4232783A (en) Step link for transportation apparatus
EP3511282B1 (en) Moving walkway
JPH07187030A (ja) トラックアセンブリ
US4852718A (en) Conveyor system
EP0141519B1 (en) A moving staircase with a curved conveyor passage
EP0647585B1 (en) Escalator step chain support apparatus
KR100214868B1 (ko) 승객용콘베이어의 가이드기구
CZ176195A3 (en) Driving system for arc-shape escalator
WO2010074669A1 (en) Moving skirt mechanism for chain driven passenger conveyors
US5758760A (en) Continuous haulage system
EP0683120A1 (en) Conveyor for continuous haulage system
EP0593787B1 (en) Driving mechanism in coupled conveying apparatus
US3682289A (en) Apparatus for guiding a conveyor
US6050196A (en) Storage conveyor system for carrier car
US4732266A (en) Bearing construction for mounting carriers on an endless chain elevator
CN107352376B (zh) 乘客输送装置
US3150757A (en) Moving sidewalk
KR100396610B1 (ko) 맨콘베이어용 핸드레일 구동 장치
JPH08145125A (ja) 可変速搬送チェーン
US6659897B2 (en) Chain drive assembly
PL349138A1 (en) Hoisting device for lifting running rollers of track-laying vehic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