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8598A - 데이터 통신 서비스 시 착신호 안내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데이터 통신 서비스 시 착신호 안내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8598A
KR20000018598A KR1019980036247A KR19980036247A KR20000018598A KR 20000018598 A KR20000018598 A KR 20000018598A KR 1019980036247 A KR1019980036247 A KR 1019980036247A KR 19980036247 A KR19980036247 A KR 19980036247A KR 20000018598 A KR20000018598 A KR 200000185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criber
network subsystem
call
data
data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62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68224B1 (ko
Inventor
김낙구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800362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68224B1/ko
Priority to CN99801500A priority patent/CN1286864A/zh
Priority to DE69934571T priority patent/DE69934571T2/de
Priority to PCT/KR1999/000517 priority patent/WO2000014974A2/en
Priority to EP99941848A priority patent/EP1040671B1/en
Priority to BR9906987-3A priority patent/BR9906987A/pt
Priority to CA002308423A priority patent/CA2308423C/en
Priority to AU55331/99A priority patent/AU732987B2/en
Publication of KR200000185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85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82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822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8Arrangements for placing incoming calls on hold
    • H04M3/4281Arrangements for placing incoming calls on hold when the called subscriber is connected to a data network using his telephone line, e.g. dial-up connection, Internet brow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가. 본 발명의 청구범위가 속하는 기술분야
데이터 통신 서비스 시 착신호 안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나.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데이터 통신 서비스 시 착신호 안내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다.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
가입자 처리 네트웍 서브시스템과, 스위칭 네트웍 서브시스템과, 회선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회선데이터 정합부와 패킷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패킷데이터 정합부를 가지는 데이터 처리 네트웍 서브시스템을 구비하고, 상기 서브시스템은 각각의 프로세서를 구비하여 프로세서간 통신을 수행하는 교환기의 데이터 통신 시 착신호 안내 방법에 있어서, 상기 가입자 처리 네트웍 서브시스템의 프로세서가 데이터 처리 네트웍 서브시스템을 통해 데이터 통신 중인 가입자로의 착신호를 검출하면 상기 데이터 처리 네트웍 서브시스템으로 프로세서간 통신을 통해 상기 가입자로 호가 착신되었음을 알려주는 제1과정과, 상기 데이터 처리 네트웍 서브시스템의 프로세서가 상기 가입자로의 호 착신 알림을 감지하여 데이터 통신 상으로 상기 가입자에게 호가 착신되었음을 안내하는 제2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라. 본 발명의 중요한 용도
데이터 통신 시에 이용한다.

Description

데이터 통신 서비스 시 착신호 안내 시스템 및 방법
본 발명은 교환시스템의 데이터 통신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개인용 컴퓨터의 모뎀을 통해서 데이터 통신 서비스 중인 가입자로 호가 착신되면 상기 컴퓨터 통신 중인 가입자에게 데이터 통신 상으로 호가 착신되었음을 알려주는 데이터 통신 시 호 착신 안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개인용 컴퓨터를 통한 데이터 통신 서비스는 교환기와 개인용 컴퓨터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인 데이터 처리 네트웍 서브시스템(Access Network Subsystem-Data: 이하 "ANS-D"라 한다)을 통해 이루어진다. 어떤 특정 사용자가 개인용 컴퓨터를 통해 데이터 및 인터넷 통신 등의 데이터 통신을 하고 있을 때, 상기 사용자는 자신에게 수신되는 호를 수신할 수 없고, 상기 사용자로 전화를 건 상대방은 비지톤(Busy Tone)만을 계속해서 듣게 된다. 이는 교환기와 ANS-D가 독립적으로 분리되어 있는 장치이기 때문이다.
도1은 종래의 개인용 컴퓨터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교환기와 ANS-D 시스템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1에서 참조된 부호 100은 교환기이고, 100-1은 다른 지역에 있는 교환기이다. 그리고 참조된 부호 200은 ANS-D이고, 300은 인터넷망이다.
상기 교환기 100은 다수의 일반가입자 또는 ISDN 가입자(이하 "가입자"라 한다)와 연결되고, 상기 가입자 1로부터 요구된 호를 같은 교환망에 있는 가입자에게 스위칭 하거나 다른 교환기 100-1의 가입자로 스위칭 한다. 또한 특정 가입자 1이 개인용 컴퓨터의 모뎀(MODEM) 또는 ISDN카드를 통해 데이터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다이얼 번호로 다이얼링하면 교환기 100은 상기 데이터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다이얼 번호를 수신하여 해당 데이터 통신 서비스 서버인 ANS-D 200으로 스위칭한다. ANS-D 200은 상기 교환기 100에서 스위칭된 데이터 통신 서비스 요구를 수신하여 호를 형성하고, 상기 가입자 1의 개인용 컴퓨터로 데이터 통신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러한 데이터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ANS-D 200의 구성과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면, ANS-D 200은 트렁크 정합부 201과 회선데이터 정합부 202와 패킷데이터 정합부 203과 인터넷 정합부 204와 데이터 처리 프로세서 205로 구성된다.
우선, 데이터 처리 프로세서 205는 시스템 주제어부로서의 역할을 하며, 서비스 호 처리, 유지보수 기능을 담당한다. 상기 데이터 처리 프로세서 205는 CAMA센터, 망관리센터, 운용터미널 접속을 위한 1개의 이더넷 포트(Ethernet Port)를 가지며, 호처리 및 유지보수 기능을 위한 제어 경로로 사용되는 버사모듈유럽 버스(Versa Module Europe Bus: 이하 "VME Bus"라 함) 인터페이스를 갖는다.
트렁크 정합부 201은 교환기 100의 트렁크 처리 네트웍 서브시스템과 연결되고, 타임 스위치(Time Switch)가 내장되어 있으며 상기 트렁크 처리 네트웍 서브시스템과 타임 스위치를 통해 상기 가입자로부터의 통화로를 데이터 처리 블록인 회선데이터와 패킷데이터를 해당 채널로 연결한다. 그리고 상기 트렁크 정합부 201은 호 처리 및 유지보수 기능을 위한 제어 경로로 사용되는 VME Bus 인터페이스를 가지며, 이동가입자와의 통화로 연결을 위한 데이터 경로로 사용되는 타임 디비젼 멀티플렉스 버스(Time Division Multiplex Bus: TDM Bus) 인터페이스를 갖는다. 패킷데이터 정합부 203은 패킷서비스 호의 이동단말 또는 ISDN 단말과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호처리 및 유지보수 기능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가지며, 이동가입자와의 통화로 연결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갖는다. 회선데이터 정합부 202는 회선서비스 호의 단말과의 데이터 송수신 및 다른 가입자와의 팩스/모뎀통신을 담당하고, 모뎀 풀(MODEM Fool)이 내장되어 있다. 인터넷 정합부 204는 인터넷망과 정합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포트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포트를 통해 인터넷망 300과 연결되어 패킷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상기 가입자 1이 개인용 컴퓨터를 통해 인터넷 서비스를 요구하면 ANS-D 200의 트렁크 정합부 201은 교환기 100을 통해 상기 인터넷 서비스 요구를 수신하고, 요구된 데이터 통신 서비스의 종류에 따라 회선데이터 정합부 202 또는 패킷데이터 정합부 203으로 스위칭한다. 상기 회선데이터 정합부 202 또는 패킷데이터 정합부 203 중 스위칭된 데이터 정합부는 인터넷 정합부 204로 인터넷망 300과 연결할 것을 요구한다. 인터넷 정합부 204는 상기 회선데이터 정합부 202 또는 패킷데이터 정합부 203의 요구를 받아 인터넷망 300과 연결하고, 상기 인터넷망 300을 통해 가입자 1에 의해 요구된 서버로 연결하여 인터넷 서비스를 상기 가입자 1로 제공한다.
상기와 같이 가입자 1이 데이터 통신 또는 인터넷 통신 서비스를 받고 있을 때, 교환기 100의 가입자 2 또는 다른 교환기 100-1의 가입자 3이 데이터 통신 중인 가입자 1로 전화를 건 경우 교환기 100은 상기 가입자 2 또는 가입자 3으로 비지톤을 송출한다. 이는 교환기 100과 ANS-D 200이 독립적인 장치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가입자 1은 자신에게 수신된 호를 수신할 수 없으며, 상기 가입자 1로 전화한 가입자 2 또는 3은 비지톤(Busy Tone)만을 듣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교환기와 ANS-D의 두 장치가 독립되어 있으므로 음성과 인터넷 서비스를 분리하여 서비스해야 하는 불편한 점이 있었다.
또한 사용자는 데이터 및 인터넷 통신 서비스 중에 착신되는 호를 받을 수 없으며, 발신자는 반복해서 발신을 시도해도 비지톤만 듣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교환기내 인터넷 서비스를 위한 장치를 추가하고, 호처리 및 유지보수 기능을 통합하여 음성과 데이터 통신 서비스를 동시에 서비스 할 수 있고, 데이터 통신 중인 가입자로 호 착신을 알릴 수 있는 데이터 통신 시 호 착신 안내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가입자 네트웍 서브시스템과, 스위칭 네트웍 서브시스템과 트렁크 네트웍 서브시스템을 구비하는 교환기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네트웍 서브시스템과 옵틱 링크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가입자 네트웍 서브시스템에 연결되어 있는 가입자로 데이터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며, 상기 가입자 네트웍 서브시스템 또는 트렁크 네트웍 서브시스템을 통해 상기 가입자로 호가 착신되면 상기 스위칭 네트웍 서브시스템과 가입자 네트웍 서브시스템을 통해 호가 착신되었음을 안내하는 데이터 처리 네트웍 서브시스템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가입자 처리 네트웍 서브시스템과, 스위칭 네트웍 서브시스템과, 회선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회선데이터 정합부와 패킷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패킷데이터 정합부를 가지는 데이터 처리 네트웍 서브시스템을 구비하고, 상기 서브시스템은 각각의 프로세서를 구비하여 프로세서간 통신을 수행하는 교환기의 데이터 통신 시 착신호 안내 방법에 있어서, 상기 가입자 처리 네트웍 서브시스템의 프로세서가 데이터 처리 네트웍 서브시스템을 통해 데이터 통신 중인 가입자로의 착신호를 검출하면 상기 데이터 처리 네트웍 서브시스템으로 프로세서간 통신을 통해 상기 가입자로 호가 착신되었음을 알려주는 제1과정과, 상기 데이터 처리 네트웍 서브시스템의 프로세서가 상기 가입자로의 호 착신 알림을 감지하여 데이터 통신 상으로 상기 가입자에게 호가 착신되었음을 안내하는 제2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도1은 개인용 컴퓨터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일반적인 교환시스템의 블록 구성도.
도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교환시스템의 블록 구성도.
도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통신 서비스 시 착신호 안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2은 본 발명에 따른 교환기의 블록 구성도이다.
이하 도2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교환기는 가입자 처리 네트웍 서브시스템(Access Network Subsystem-Control: 이하 "ANS-C"라 함) 10과, 운영관리 서브 시스템(Operation and Mainterance Subsystem: 이하 "OMS"라 함) 20과, 스위치 네트웍 서브시스템(Switch Network Subsystem: 이하 "SNS"라 함) 30과, 트렁크 처리 네트웍 서브시스템(Access Network Subsystem- Trunk: 이하 "ANS-T"라 함) 40과 데이터 처리 네트웍 서브시스템(Access Network Subsystem-Data)으로 구성된다.
우선, ANS-C 10은 다수의 일반가입자를 연결하는 가입자회로 15와, 다수의 ISDN 가입자를 연결하는 ISDN 가입자회로 16과, 두 개의 옵틱 링크 인터페이스(Optic Link Interface: 이하 "OLI"라 함)을 구비하는 시분할 스위치 및 로컬 데이터 링크(Time Switch and Local Data Link: TSL) 17과 ANS-C 1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가입자 처리 프로세서(Access Network Processor:ANP) 12로 구성되어 가입자 서브시스템으로 일반 가입자 및 ISDN 가입자를 수용하고 번호 수신과 가입자 신호처리 및 집선 기능을 수행한다.
OMS 20은 운용 및 보전을 총괄하는 운용관리 프로세서 21과, 주변장치인 CRT 22와, 디스크 유니트(Disk Unit: DKU) 23과, 마그네틱테이프 유니트(Magnetic Unit:MTU) 24로 구성되어 시스템과의 통신 및 과금 통계 등을 관리하고 집계한다.
SNS 30은 다수의 OLI 32, 33, 34, 35와, 다수의 공간분할 스위치(Space Switch) 36, 37과, ISDN 가입자로 입력되는 패킷데이터를 처리하는 패킷 링크 38과, 프로세서간 통신을 제어하는 IPC 링크 39와 SNS 30의 전반적인 동작을 총괄하는 스위칭 프로세서(Switch Network Processor: SNP) 31로 구성된다. 상기 IPC 링크 39를 통한 프로세서간 통신은 IPC 메시지의 송수신으로 이루어진다. 일반적으로 IPC 메시지 구조는 <표 1>과 같으며, 내용적인 측면과 메시지 사용 용도에 따라 각각 3가지로 분류된다.
Physical Address 2Byte Header
Message Type 1Byte
Message Sequence Number 1Byte
Piggyback Number 1Byte
Destination Address 4Byte
Source Address 4Byte
Signal Identifier 2Byte
Signal Priority 1Byte
Message Length Only 1Byte
Message Content NByte Body
S/W Sumcheck Flag 4Byte Tail
내용적인 측면에서는 물리적 어드레스에서 메시지 랭스 온리(Message Length Only)까지를 메시지 헤더(Message Header), 메시지 컨텐트(Message content)를 메시지 바디(Message Body), 그리고 다음을 소프트웨어 섬체크 플래그(S/W Sumcheck Flag)인 테일(Tail)로 구분한다. 사용 용도 측면으로는 메시지 바디 없이 시스템의 제어를 위해 사용되는 시스템 메시지와 일반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일반 메시지로 분류되며, 일반 메시지는 크기에 따라 78Byte의 쇼트 폼(Short Form)과 254Byte 용 롱 폼(Long Form)이 있다. 상기 <표 1>에서 물리 어드레스(Physical Adderss)는 수신할 프로세서의 물리적 주소를, 메시지 종류(Message Type)는 초기신호로서 메시지의 종류를, 목적지 어드레스(Destination Address)는 수신할 프로세서의 주소를 나타낸 것이다. 그리고 섬체크 플래그는 메시지의 오류체크를 위해 할당된 것이다. 특히, <표 1>에서 실제로 사용자 프로그램에 의해 사용하는 영역은 메시지 컨텐트(Message Content)로서, 크기는 N(<228)Byte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데이터 통신 중인 일반가입자 4로 호 착신 시 가입자 처리 프로세서 12에서 데이터 처리 프로세서 51로 송신되는 IPC 메시지는 메시지 종류에 호 착신 메시지임을 알리기 위한 초기 신호가 삽입되고, 메시지 컨텐트에는 16Byte의 가입자의 번호(Destination Mumber: DN)로 구성된다.
트렁크 처리 네트웍 서브시스템 40은 다른 교환기와 연결되는 국간 중계기로서, 다수의 중계선 유니트(Digital T1 Interface: DTI) 45와, OLI 42, 43을 구비하는 시분할 스위치 및 로컬 데이터 링크(Time Switch and Local Data Link: TSL) 44와, ANS-T 40의 전반적인 동작을 총괄하는 트렁크 처리 프로세서(Access Network Processor: ANP) 41로 구성된다. 상기 트렁크 처리 네트웍 서브시스템 40은 이동교환국(도시하지 않음)과 연결되어 이동단말과 일반 유선가입자 또는 ISDN 가입자와 신호를 인터페이스 한다.
상기 스위치 네트웍 서브시스템 30과 가입자 처리 네트웍 서브시스템 10과 트렁크 처리 네트웍 서브시스템 40은 각각의 OLI를 통해 연결되어 통신을 수행한다.
그리고 데이터 처리 네트웍 서브시스템 50은 스위치 링크 정합부 52와, 회선데이터 정합부 55와 패킷데이터 정합부 56과 인터넷 정합부 57과 데이터 처리 프로세서 51로 구성된다.
상기 스위치 링크 정합부 52는 OLI 53, 54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OLI 53과 스위칭 네트웍 서브시스템 30의 OLI 35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OLI 54는 스위칭 네트웍 서브시스템 30의 OLI 34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스위칭 네트웍 서브시스템 30과 정합하고, 데이터서비스 호 처리 및 통화로를 연결한다. 또한 상기 스위치 링크 정합부 52는 타임 스위치를 내장하고 있어서 이동가입자와 PSTN 가입자로부터 링크를 통해 들어오는 데이터를 패킷과 회선데이터로 구분하여 데이터 처리블록인 회선데이터 정합부 55 또는 패킷데이터 정합부 56으로 스위칭한다. 상기 스위치 링크 정합부 52는 호처리 및 유지보수 기능을 위한 제어 경로로 VME 버스 인터페이스를 가지고, 이동가입자와 PSTN 가입자와의 통화로 연결을 위한 데이터 경로로 사용되는 TDM 버스 인터페이스를 갖는다.
데이터 처리 프로세서 205는 시스템 내 다른 상위 프로세서(도시하지 않음)와 통신을 하며, 서브시스템 내 모든 형의 서비스 호 처리를 제어한다.
회선데이터 정합부 55는 단말과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PPP(Point To Point Protocol)/IP(Internet Protocol)/TCP(Transfer Communication Protocol) 프로토콜을 처리하고, PSTN 가입자 모뎀과의 통신을 위한 모뎀 프로토콜을 처리하며, PSTN 가입자 팩시밀리와의 통신을 위한 FAX 프로토콜을 처리한다.
패킷데이터 정합부 56은 패킷서비스 호의 이동단말과의 데이터 전송용 채널 접속을 위한 호 처리를 담당한다. 또한, 상기 패킷데이터 정합부 56은 패킷 처리 장치의 감시, 통계, 장애 관리한다.
인터넷 정합부 57은 패킷서비스 호의 인터넷 접속을 위한 호 처리를 하고, 단말과의 PPP 접속을 위한 PPP 서버의 역할을 하며, 이더 포트 상태 감시, 통계 장애 관리한다.
먼저,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교환기에서의 인터넷과 연결하기 위한 호 연결 절차를 설명하고, 이하 설명에서 일반가입자와 일반 유선전화를 동일 시 하고 동일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함에 유의한다.
일반가입자가 개인용 컴퓨터로 데이터 통신 또는 인터넷을 연결하고자 할 경우 개인용 컴퓨터내 통신용 에뮬레이터(Emulator)를 활용하여 데이터 통신 및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다이얼번호로 다이얼링 하면 모뎀을 통해 상기 다이얼번호를 교환기 100으로 전송한다. 교환기 100은 상기 호의 번호를 해석하여 가입자회로 15, TSL 17의 OLI 18, OLI 32, 공간분할 스위치 36, OLI 35를 거쳐 ANS-D 200의 스위치 링크 정합부 52를 통해 회선데이터 정합부 55의 모뎀풀(Modem Pool)과 핸드 쉐이킹(Hand Shaking)을 한다.
상기 핸드 쉐이킹이 완료되며 회선데이터 정합부 55의 모뎀풀에서 데이터 처리 프로세서 51로 개인용 컴퓨터와 통신한 내용(통신 비트 레이트, 에러 정정, 압축) 등과 같은 정보를 보내고 개인용 컴퓨터로는 초기 화면을 송출한다.
일반 유선전화 4와 연결되어 있는 개인용 컴퓨터를 통해 가입자는 메뉴화면을 보게된다. 이때, 가입자가 메뉴화면에서 인터넷을 선택하면, 이 정보는 회선데이터 정하부 55를 통해 인터넷 정합부 57로 전송된다. 인터넷 정합부 57은 상기 정보를 전달받아 PPP를 통해 개인용 컴퓨터내 에뮬레이터와 통신을 하게 된다. 이때, 인터넷 정합부 57은 상기 개인용 컴퓨터로 IP(Internet Protocol) 어드레스를 할당해 준다. 개인용 컴퓨터는 상기 IP 어드레스를 입력받아 웹브라우저(Web Browser)를 구동한다. 상기 웹브라우저가 구동되면 가입자가 웹에서 원하는 사이트를 지정하면 인터넷 정합부 57은 인터넷망 300을 통해 사이트를 찾아 연결을 하고 가입자가 웹과 최종 연결된 사이트간에 TCP를 통한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이 일반 유선전화 4를 통해 데이터 통신 또는 인터넷을 하고 있는 가입자로 트렁크 처리 네트웍 서브시스템 40 또는 같은 교환기 100내의 다른 가입자로부터 호가 착신되면 가입자 처리 네트웍 서브시스템 10의 가입자 처리 프로세서 12와 데이터 처리 네트웍 서브시스템 50의 데이터 처리 프로세서 51은 도3의 흐름도를 수행한다.
이하 도3을 참조하여 데이터 통신 또는 인터넷 통신 중인 일반가입자 4에게 호가 착신되었음을 안내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한다.
우선, 301단계에서 가입자 처리 프로세서 12는 가입자 회로 15, ISDN 가입자 회로 16 또는 트렁크 처리 네트웍 서브시스템 40을 통한 다른 교환기의 가입자로부터 호착신이 검출되는지를 검사한다. 이때, 다른 가입자(이하 "발신자"라 함)로부터 상기 일반가입자 4로의 호 착신이 검출되면 가입자 처리 프로세서 12는 303단계로 진행하여 착신자인 일반가입자 4가 통화중인지를 검사한다. 상기 303단계에서 일반가입자 4가 통화중이 아니면 304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일반가입자 4로 링 신호를 송출하고, 상기 일반가입자 4가 통화중이라면 305단계로 진행한다. 305단계로 진행한 가입자 처리 프로세서 12는 상기 일반가입자 4가 데이터 통신 중인지를 검사한다. 상기 가입자 처리 프로세서 12는 상기 일반 가입자 4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있으므로 상기 일반가입자 4의 정보를 검사하여 데이터 통신 중인지를 알 수 있다. 상기 일반가입자 4의 정보를 검사한 결과, 상기 일반가입자 4가 데이터 통신 중이 아니라면 가입자 처리 프로세서 12는 306단계로 진행하여 발신자에게 비지톤을 송출하고, 데이터 통신 중이라면 307단계로 진행하여 발신자에게 대기신호를 송출한다. 이때 발신자는 상기 대기신호를 듣고 상기 일반가입자 4가 데이터 통신을 종료할 때까지 대기해야 한다. 가입자 처리 프로세서 12는 대기신호를 송출한 다음 309단계로 진행하여 호 착신 메시지를 구성하여 TSL 17의 OLI 19, 스위칭 네트웍 서브시스템 30의 OLI 33, IPC 링크 39, OLI 34, ANS-D 200의 OLI 54를 통해 데이터 처리 프로세서 51로 전송한다. 가입자 처리 프로세서 12는 상기 호 착신 메시지를 송신한 다음, 311단계에서 발신자가 호 요구 해제를 요구하는 검사한다. 상기 발신자가 호 요구 해제를 요구하면 가입자 처리 프로세서 12는 모든 과정을 종료하고, 발신자 호 요구 해제 요구가 되지 않으면 313단계로 진행한다. 323단계로 진행한 가입자 처리 프로세서 12는 데이터 통신 종료 알림 메시지가 수신되는지를 주기적으로 검사한다.
데이터 처리 프로세서 51은 320단계에서 상기 가입자 처리 프로세서 12로부터 프로세서간 통신 메시지(이하 "IPC 메시지"라 함)가 수신되는지를 검사한다. 상기 검사 중에 IPC메시지가 수신되면 데이터 처리 프로세서 51은 321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IPC 메시지의 메시지 종류(Message Type)를 검사하여 호 착신 메시지인지를 판단한다. 상기 IPC 메시지의 종류가 호 착신 메시지이면 데이터 처리 프로세서 51은 322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IPC 메시지의 메시지 컨텐트(Message Content)에서 가입자 번호(DN)를 검출한다. 상기 가입자 번호가 검출되면 데이터 처리 프로세서 51은 323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가입자 번호를 가진 일반가입자 4가 현재 어떤 데이터 통신 서비스를 받고 있는지를 검사하고, 325단계에서 회선데이터 서비스인지를 판단한다. 일반가입자 4가 현재 회선데이터 서비스를 받고 있으면 데이터 처리 프로세서 51은 326단계로 진행하여 회선 데이터 정합부 55에 호 착신 알림 메시지를 전송할 것을 요구한다. 만일, 상기 차신자가 일반가입자가 아니라 ISDN 가입자 또는 트렁크 처리 네트웍 서브시스템 40을 통해 연결된 이동단말 가입자라면 패킷데이터 서비스를 받아야 하므로 327단계로 진행하여 패킷데이터 정합부 56에 상기 ISDN 가입자 또는 이동단말 가입자로 호 착신 알림 메시지를 전송할 것을 요구할 것이다. 상기 호 착신 알림 메시지를 전송할 것을 요구받은 회선데이터 정합부 55는 미리 설정되어 있는 호 착신 알림 메시지를 스위치링크 정합부 52의 OLI 53, 스위치 네트웍 서브시스템 30의 OLI 35, 공간분할 스위치 36, OLI 32, 가입자 처리 네트웍 서브시스템 10의 TSL 17의 OLI 18과 가입자회로 15를 통해 상기 데이터 통신 중인 일반가입자 4의 경로를 통해 송신한다. 그리고 패킷데이터 정합부 56이 초 착신 알림 메시지를 전송할 것을 요구받으면 미리 설정되어 있는 호 착신 알림 메시지를 스위칭링크 정합부 52의 OLI 54, OLI 34, 패킷링크 38, OLI 33, OLI 19와 가입자회로 15를 통해 일반가입자 4로 송신한다. 상기 호 착신 알림 메시지를 송신하면 데이터 처리 프로세서 51은 329단계에서 상기 일반가입자 4가 데이터 통신을 종료하는지를 검사한다. 이때, 상기 일반가입자 4가 데이터 통신을 종료하지 않으면 발신자가 호 요구를 해제할 때까지 주기적으로 호 착신 알림 메시지를 전송할 것을 회선데이터 정합부 55 또는 패킷데이터 정합부 56에 요구한다. 그러나 상기 일반가입자 4가 데이터 통신을 종료하면 데이터 처리 프로세서 51은 이를 감지하고 데이터 통신 종료 알림 메시지를 가입자 처리 프로세서 12로 송신한다.
상기 311단계에서 일반가입자 4가 데이터 통신을 종료하기 기다리고 있는 가입자 처리 프로세서 12는 상기 데이터 통신 종료 알림 메시지가 수신되면 304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발신자에게 링신호를 송출한다. 이때, 상기 일반가입자 4가 수화기를 들면 발신자와 통화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서로 독립적인 장치인 데이터 처리 네트웍 서브시스템을 교환기내에 추가함으로써 데이터 통신과 음성 서비스를 같이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가입자가 데이터 통신 중에도 착신된 호를 인지하고, 착신된 호에 바로 응답할 수 있으므로 발신자는 오랫동안 비지톤을 듣지 않아도 되는 이점이 있다.

Claims (7)

  1. 가입자 네트웍 서브시스템과, 스위칭 네트웍 서브시스템과 트렁크 네트웍 서브시스템을 구비하는 교환기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네트웍 서브시스템과 옵틱 링크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가입자 네트웍 서브시스템에 연결되어 있는 가입자로 데이터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며, 상기 가입자 네트웍 서브시스템 또는 트렁크 네트웍 서브시스템을 통해 상기 가입자로 호가 착신되면 상기 스위칭 네트웍 서브시스템과 가입자 네트웍 서브시스템을 통해 호가 착신되었음을 안내하는 데이터 처리 네트웍 서브시스템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통신 시 호 착신 안내 시스템.
  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처리 서브시스템이,
    상기 스위치 네트웍 서브시스템과 옵틱 링크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가입자로부터 데이터 통신 서비스 요구가 수신되면, 상기 데이터 통신 서비스가 회선데이터 서비스인지 패킷데이터 서비인지를 판단하여 해당 데이터 통신 채널로 스위칭하는 스위치 링크 정합부와,
    상기 스위치 링크 정합부와 연결되어 회선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고, 소정의 제어를 받아 회선데이터 통신상으로 상기 가입자에게 호 착신 알림 메시지를 송신하는 회선데이터 정합부와,
    상기 스위치 링크 정합부와 연결되어 패킷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고, 소정의 제어를 받아 패킷데이터 통신상으로 상기 가입자에게 호 착신 알림 메시지를 송신하는 패킷데이터 정합부와,
    상기 회선데이터 정합부 또는 패킷데이터 정합부로부터 소정의 요구를 받아 인터넷망을 통해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인터넷 정합부와,
    상기 가입자 처리 네트웍 서브시스템의 프로세서와 프로세서간 통신을 통해 통신하며, 상기 가입자 처리 네트웍 서브시스템의 프로세서로부터 상기 가입자로의 호 착신을 알리는 호 착신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회선데이터 정합부 또는 패킷데이터 정합부 중 상기 가입자가 서비스 받고 있는 데이터 통신 서비스를 통해 상기 가입자로 호 착신 알림 메시지를 전송할 것을 요구하는 데이터 처리 프로세서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통신 서비스 시 착신호 안내 시스템.
  3.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링크 정합부가,
    스위칭 네트웍 서브시스템과 연결되는 두 개의 옵틱 링크 인터페이스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교환기의 데이터 통신 서비스 시 착신호 안내 시스템.
  4. 가입자 처리 네트웍 서브시스템과, 스위칭 네트웍 서브시스템과, 회선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회선데이터 정합부와 패킷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패킷데이터 정합부를 가지는 데이터 처리 네트웍 서브시스템을 구비하고, 상기 서브시스템은 각각의 프로세서를 구비하여 프로세서간 통신을 수행하는 교환기의 데이터 통신 시 착신호 안내 방법에 있어서,
    상기 가입자 처리 네트웍 서브시스템의 프로세서가 데이터 처리 네트웍 서브시스템을 통해 데이터 통신 중인 가입자로의 착신호를 검출하면 상기 데이터 처리 네트웍 서브시스템으로 프로세서간 통신을 통해 상기 가입자로 호가 착신되었음을 알려주는 제1과정과,
    상기 데이터 처리 네트웍 서브시스템의 프로세서가 상기 가입자로의 호 착신 알림을 감지하여 데이터 통신 상으로 상기 가입자에게 호가 착신되었음을 알리는 호 착신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는 제2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과정은,
    트렁크 처리 네트웍 서브시스템 또는 가입자 처리 네트웍 서브시스템을 통해 소정의 발신자로부터 호가 착신되는지를 검사하는 제1단계와,
    상기 검사 중에 호가 착신되면 해당 착신자가 통화중인지를 검사하는 제2단계와,
    상기 착신자가 통화중이 아니면 상기 착신자에게 링신호를 송출하고, 통화중이면 상기 착신자가 데이터 통신 중인지를 검사하는 제3단계와,
    상기 검사 결과 데이터 통신 중이면 상기 발신자에게 대기 신호를 송출한 다음, 데이터 처리 네트웍 서브시스템의 프로세서로 프로세서간 통신을 통해 호 착신 메시지를 송신한 다음, 상기 데이터 처리 네트웍 서브시스템의 프로세서로부터 데이터 통신 종료 알림 메시지가 수신될 때까지 대기하는 제4단계와,
    상기 대기 중에 데이터 통신 종료 알림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착신자에게 링신호를 송출하는 제5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과정은,
    호 착신 메시지가 수신되는지를 검사하는 제1단계와,
    상기 호 착신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호 착신 메시지로부터 가입자 번호를 검출하고, 해당 가입자가 서비스 받고 있는 데이터 통신 서비스를 검사하는 제2단계와,
    검사 결과, 회선데이터 서비스이면 회선데이터 정합부에 상기 가입자로 호 착신 알림 메시지를 전송할 것을 요구하고, 패킷데이터 정합부에 상기 가입자로 호 착신 알림 메시지를 전송할 것을 요구하는 제3단계와,
    상기 호 착신 알림 메시지를 전송한 다음, 상기 가입자가 데이터 통신을 종료하는지를 검사하는 제4단계와,
    상기 가입자가 데이터 통신을 종료하지 않으면 주기적으로 호 착신 알림 메시지를 전송할 것을 요구하고, 데이터 통신을 종료하면 가입자 처리 네트웍 서브시스템의 프로세서로 데이터 통신 종료 알림 메시지를 송신하는 제5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호 착신 알림 메시지 및 데이터 통신 종료 알림 메시지는 프로세서간 통신 메시지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19980036247A 1998-09-03 1998-09-03 데이터 통신 서비스 시 착신호 안내 시스템 및 방법 KR1002682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6247A KR100268224B1 (ko) 1998-09-03 1998-09-03 데이터 통신 서비스 시 착신호 안내 시스템 및 방법
CN99801500A CN1286864A (zh) 1998-09-03 1999-09-03 数据通信服务过程中用于通知用户呼入的设备和方法
DE69934571T DE69934571T2 (de) 1998-09-03 1999-09-03 Einrichtung und gerät zum informieren an einen teilnehmer eines ankommenden anrufes während des datenkommunikationsdienstes
PCT/KR1999/000517 WO2000014974A2 (en) 1998-09-03 1999-09-03 Device and method for informing subscriber of call incoming during data communication service
EP99941848A EP1040671B1 (en) 1998-09-03 1999-09-03 Device and method for informing subscriber of call incoming during data communication service
BR9906987-3A BR9906987A (pt) 1998-09-03 1999-09-03 Dispositivo e processo para informar a um assinante que está em comunicação de dados, de uma entrada de chamada em um sistema de comutação de um sistema de comunicação de dados.
CA002308423A CA2308423C (en) 1998-09-03 1999-09-03 Device and method for informing subscriber of call incoming during data communication service
AU55331/99A AU732987B2 (en) 1998-09-03 1999-09-03 Device and method for informing subscriber of call incoming during data communication ser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6247A KR100268224B1 (ko) 1998-09-03 1998-09-03 데이터 통신 서비스 시 착신호 안내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8598A true KR20000018598A (ko) 2000-04-06
KR100268224B1 KR100268224B1 (ko) 2000-10-16

Family

ID=195494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6247A KR100268224B1 (ko) 1998-09-03 1998-09-03 데이터 통신 서비스 시 착신호 안내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EP (1) EP1040671B1 (ko)
KR (1) KR100268224B1 (ko)
CN (1) CN1286864A (ko)
AU (1) AU732987B2 (ko)
BR (1) BR9906987A (ko)
CA (1) CA2308423C (ko)
DE (1) DE69934571T2 (ko)
WO (1) WO2000014974A2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1701B1 (ko) * 2000-11-13 2003-10-17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무선 데이터 사용중의 음성 호 착신 통보 방법 및 이를처리하는 방법
KR20030091424A (ko) * 2002-05-28 2003-12-0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셀룰러 통신 시스템의 데이터 통신중 호 대기 서비스 제공방법
KR20040076171A (ko) * 2003-02-24 2004-08-31 삼성전자주식회사 고속 패킷 통신 이동 망과 음성 통신 이동 망간의 교차핸드오프 시스템 및 방법
KR100470028B1 (ko) * 2002-03-20 2005-02-05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무선 인터넷 사용중의 유입 호 서비스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657729A (zh) * 2014-12-01 2016-06-08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终端的处理方法和终端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01246A (en) * 1992-07-29 1994-04-05 At&T Bell Laboratories Data communications equipment security device using calling party directory number
US5513251A (en) * 1993-12-30 1996-04-30 At&T Corp. Method for providing call waiting service
DE69732410D1 (de) * 1996-06-04 2005-03-10 Ericsson Telefon Ab L M Modem mit ip-unterstützung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1701B1 (ko) * 2000-11-13 2003-10-17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무선 데이터 사용중의 음성 호 착신 통보 방법 및 이를처리하는 방법
KR100470028B1 (ko) * 2002-03-20 2005-02-05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무선 인터넷 사용중의 유입 호 서비스 방법
KR20030091424A (ko) * 2002-05-28 2003-12-0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셀룰러 통신 시스템의 데이터 통신중 호 대기 서비스 제공방법
KR20040076171A (ko) * 2003-02-24 2004-08-31 삼성전자주식회사 고속 패킷 통신 이동 망과 음성 통신 이동 망간의 교차핸드오프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86864A (zh) 2001-03-07
AU5533199A (en) 2000-03-27
DE69934571T2 (de) 2007-04-26
CA2308423A1 (en) 2000-03-16
KR100268224B1 (ko) 2000-10-16
EP1040671B1 (en) 2006-12-27
DE69934571D1 (de) 2007-02-08
AU732987B2 (en) 2001-05-03
CA2308423C (en) 2003-10-28
WO2000014974A2 (en) 2000-03-16
EP1040671A1 (en) 2000-10-04
WO2000014974A3 (en) 2000-07-20
BR9906987A (pt) 2000-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2298154A (ja) 電話呼出し自動配給装置とその交換網サービス方法
KR100268224B1 (ko) 데이터 통신 서비스 시 착신호 안내 시스템 및 방법
NO325024B1 (no) Kommunikasjonssystem
KR100250432B1 (ko) 이동 교환기에서의 데이터 서비스 제어 방법
JP3587174B2 (ja) ダイアルアップ接続システムおよびダイアルアップ接続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785000B2 (ja) 着信者情報の収集通知方法
JP3568781B2 (ja) 移動体通信方式
JP2659624B2 (ja) パケット交換通信方式
WO2010032956A2 (ko) 유선전화망을 이용한 호 처리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KR100202988B1 (ko) 전전자 교환기 시스템에 있어서 안내대 호 전환 방법
JP3422217B2 (ja) 呼生起情報の通知方式
KR100434263B1 (ko) 공중교환 전화망의 가입자 장치 연결방법
KR100250668B1 (ko) 안내대를 이용한 스피드콜 서비스 방법
JP2561009B2 (ja) 着信転送方法と装置
JPH0758996B2 (ja) 回線構成方式
KR960008428B1 (ko) 디지틀가입자 회선호 발신처리시 통신로 설정 및 해제 방법
KR0132940B1 (ko) 전전자교환기에서 종합 정보 통신망 비 (isdnb) 채널 패킷호 처리 방법
JP2708542B2 (ja) Isdndチャネルパケット制御端末における呼制御方式
JPH06225357A (ja) 通信システム
JP2001298759A (ja) コンピュータテレフォニー構成の通信装置
JPS6350157A (ja) 複合メデイア通信接続方式
JP2004193927A (ja) メッセージ送出機能付き電話装置
RU2000111557A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для информирования абонента о входящем вызове в процессе предоставления услуги передачи данных
JP2002247197A (ja) データ通信回線に対する着信処理方法、着信処理システム及びras装置
KR20010066162A (ko) 교환기의 패킷 서비스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629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