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7402A - 디스크 드라이브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크 드라이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7402A
KR20000017402A KR1019990034352A KR19990034352A KR20000017402A KR 20000017402 A KR20000017402 A KR 20000017402A KR 1019990034352 A KR1019990034352 A KR 1019990034352A KR 19990034352 A KR19990034352 A KR 19990034352A KR 20000017402 A KR20000017402 A KR 200000174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
lowering
floppy disk
raising
susp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43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시미즈히로히코
구마가이히데아키
Original Assignee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이데이 노부유끼
Publication of KR200000174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7402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1/00Head arrangement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1/02Driving or moving of heads
    • G11B21/022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indexed part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 G11B21/025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indexed part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of rotating discs

Landscapes

  • Supporting Of Heads In Record-Carrier Devices (AREA)
  • Feeding And Guiding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장치는, 헤드상승 및 하강아암이 슬라이드판에 의해 헤드서스펜션 내로 삽입될 때 헤드상승 및 하강아암의 캠홈과 고정된 가이드축에 의한 캠작동에 의해, 헤드상승 및 하강아암이 슬라이드판의 피벗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제안된 것이므로, 따라서 헤드는 플로피디스크 상에서, 헤드언로딩위치에서 헤드로딩위치로 소프트 랜딩(soft landing)을 행하게 된다.

Description

디스크 드라이브장치{Disk drive apparatus}
본 발명은 예를 들면 플로피디스크(floppy disk)와 같은 디스크형 기록매체를 기록 및 재생하기에 적합한 디스크 드라이브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기 디스크형 기록매체에 대한 헤드의 소프트랜딩(soft landing)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있어서, 도 8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록용량(1∼2MB)의 소용량의 플로피디스크 드라이브에서는 도 76∼도 80에 나타낸 소용량의 플로피디스크 카트리지(FDC)가 사용되었다. 그 소용량의 플로피디스크 카트리지(FDC)가 로드(load)될 때, 카트리지의 센터코어구멍(center core hole)(6)에 삽입된 디스크테이블(23)상에 플로피디스크(1)의 센터코어를 척(chuck)에 고정하여 스핀들모터(21)에 의해 플로피디스크(1)를 200∼250rpm의 저속으로 회전시킨다. 로딩하는 동안 개방된 디스크 카트리지의 한쌍의 헤드삽입구멍(7)내에 상하 한쌍의 자기헤드를 삽입하여 플로피디스크(1)의 상하양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한쌍의 자기헤드(28, 29)를 헤드이송장치에 의해 플로피디스크(1)의 중심으로부터 확장되는 방사선((radial line)인 스캔닝센터(scanning center)에 따라서 화살표(a, b)로 나타낸 방향으로 찾기(seek) 및 트랙킹(tracking)이 실행되는 동안 플로피디스크(1)상에 데이터를 기록 및/또는 재생한다.
본 발명의 출원인은 기록용량을 100MB이상으로 증대한 도 73∼도 75에 나타낸 바와 같은 테이프에 있어 대용량의 플로피디스크 카트리지(HFDC)를 이미 개발하였다. 이 대용량의 플로피디스크 카트리지(HFDC)에 있어서, 플로피디스크(1)를 3600rpm이상의 고속으로 회전구동하면서 플라잉헤드(flying head)인 한쌍의 자기헤드를 에어필름(air film)상에 플로피디스크(1)의 상하양면에서 마이크론(micron)의 순서의 거리로 부상(float)(즉, 헤드가 플라잉하는 상태)시켜서 데이터를 고밀도로 기록 및/또는 재생하도록 되어 있다.
이 고밀도의 플로피디스크 카트리지(FHDC)에 사용되는 플로피디스크(1)에 관해서는 고속회전 및 고밀도기록에 의해 데이터트랙폭을 저감할 수 있지만, 헤드표면의 조도(roughness)를 향상시킬 필요가 있으며, 또한 플로피디스크 상의 자성층을 더 얇게 하여 헤드의 접촉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자성파우더(magnetic powder)의 크기를 0.1μm, 도포층을 0.2μm정도로 현저하게 작고 얇게 해야만 한다.
종래의 소용량의 플로피디스크 드라이브(FDD)에 있어서, 소용량의 플로피디스크 카트리지(FDC)는 카트리지홀더 내에 삽입되어 트리거레버(trigger lever)에 의해 카트리지홀더의 잠금(lock)이 해제될 경우에, 그 카트리지홀더에 의해 소용량의 플로피디스크 카트리지(FDC)를 상승위치인 언로딩(unloading)위치에서 하강위치인 로딩(loading)위치로 고속으로 로드하여 플로피디스크(1)를 디스크테이블(23)상에 고정시킴과 동시에 상하 한쌍의 자기헤드(28, 29)를 플로피디스크(1)의 상하양면에 충격적으로 랜드(land)(접지)하고 있다. 소용량의 플로피디스크 카트리지(FDC)의 플로피디스크(1)의 자성층의 도포두께가 매우 크기 때문에, 상하 한쌍의 자기헤드(28, 29)가 그 플로피디스크(1)의 상하양면에 충격적으로 랜드될지라도 그 자성층은 심각한 손상을 받을 염려가 없으며, 안전에 관한 특별한 문제가 없다.
그러나, 100MB이상의 기록용량을 갖는 대용량의 플로피디스크 카트리지(HFDC)를 사용하는 플로피디스크(1)는 매우 얇은 자성도포층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로딩 시에 상하 한쌍의 자기헤드(27, 28)가 플로피디스크(1)의 상하양면에 충격적으로 랜드하는 경우가 발생되면, 상기 디스크에 얇게 도포된 자기층이 심각한 손상을 받게 되고, 품질 및 내구성에 큰 문제점을 초래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드라이브장치는, 캐리지(carriage) 내의 서스펜션(suspension)을 거쳐 지지되는 헤드를, 디스크형 기록매체로의 데이터 기록 및 재생이 가능한 헤드로딩위치와 데이터 기록 및 재생이 불가능한 헤드언로딩위치 사이에서, 상승 및 하강시키기 위한 헤드상승 및 하강기구를 갖추어 구성되며, 서스펜션의 길이방향에 대해 대략 직각으로 배치된 헤드상승 및 하강아암과; 헤드상승 및 하강아암의 일단부가 피벗축을 거쳐서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부착되는 슬라이드판과; 서스펜션의 길이방향에 대략 평행하도록 배치되고, 헤드상승 및 하강아암의 타단부에 형성된 캠홈이 체결되는 고정된 가이드축과;를 갖추어 구성되며, 여기서 슬라이드판의 슬라이드동작에 의해 캠홈을 가이드축에 대해서 슬라이드시킴으로써, 헤드상승 및 하강아암이 서스펜션의 길이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에서부터 서스펜션 내로 삽입되고 서스펜션으로부터 배출되며, 헤드상승 및 하강아암을 캠홈에 의해 중심으로써의 피벗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킴으로써, 헤드는 헤드상승 및 하강아암에 의해 헤드로딩위치와 헤드언로딩위치 사이에서 상승 및 하강된다.
캐리지(carriage) 내의 제 1 및 제 2 서스펜션을 거쳐서 지지되는 제 1 및 제 2헤드를, 디스크형 기록매체로의 데이터 기록 및 재생이 가능한 헤드로딩위치와 데이터 기록 및 재생이 불가능한 헤드언로딩위치 사이에서, 상승 및 하강시키기 위한 헤드상승 및 하강기구를 갖추어 구성된 디스크 드라이브장치는, 디스크의 반경방향으로 캐리지를 운반하기 위한 운반수단과; 제 1 및 제 2서스펜션의 길이방향에 대해서 대략 직각으로 배치되는 제 1 및 제 2헤드상승 및 하강아암과; 제 1 및 제 2헤드상승 및 하강아암의 일단부가 피벗축을 거쳐서 자유롭게 회전되도록 부착되는 슬라이드판과; 서스펜션의 길이방향에 대략 평행하게 배치되고, 제 1 및 제 2헤드상승 및 하강아암의 타단부에 형성된 제 1 및 제 2캠홈이 체결되는 고정된 가이드축과;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여기서 슬라이드판의 슬라이드 동작에 의해 제 1 및 제 2캠홈을 가이드축에 대해 슬라이드시킴으로서, 헤드상승 및 하강아암이 서스펜션의 길이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에서부터 서스펜션 사이로 삽입되고 이들 서스펜션으로부터 배출되며, 제 1 및 제 2 캠홈에 의해 중심으로써의 상기 피벗축을 중심으로 제 1 및 제 2헤드상승 및 하강아암을 회전시킴으로써, 제 1 및 제 2헤드가 제 1 및 제 2헤드상승 및 하강아암에 의해 상기 헤드로딩위치와 헤드언로딩위치 사이에서 상승 및 하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캐리지 내의 제 1 및 제 2서스펜션을 거쳐서 지지되는 제 1 및 제 2헤드를, 디스크형 기록매체로의 데이터 기록 및 재생이 가능한 헤드로딩위치와 데이터 기록 및 재생이 불가능한 헤드언로딩위치 사이에서, 상승 및 하강시키기 위한 헤드상승 및 하강기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디스크 드라이브장치는, 제 1 및 제 2서스펜션의 사이에서 제 1 및 제 2서스펜션의 길이방향에 대략 직각으로 배치되는 제 1 및 제 2 헤드상승 및 하강아암과; 제 1 및 제 2헤드상승 및 하강아암이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피벗축과; 서스펜션의 길이방향에 대략 평행하게 배치되며, 제 1 및 제 2헤드상승 및 하강아암의 타단부에 각각 형성된 제 1 및 제 2캠홈에 체결되는 축부재(axis member)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제 1 및 제 2헤드상승 및 하강아암과 축부재는 서스펜션의 길이방향에 대략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하며, 그로 인해 축부재는 제 1 및 제 2캠홈이, 피벗축을 중심으로 상기 제 1 및 제 2헤드상승 및 하강아암을 회전시키도록 하여 그로 인해 제 1 및 제 2헤드를 헤드로딩위치와 헤드언로딩위치 사이에서 상승 및 하강시키도록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디스크 드라이브장치는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헤드 서스펜션(suspension)에서 대략 우측으로 배치된 헤드상승 및 하강아암(head raising and lowering arm)을 삽입 및 배출시킴으로써, 헤드 서스펜션과 대략 평행하게 배치된 고정된 가이드축(guide shaft)에 따라서 헤드상승 및 하강아암의 캠홈을 슬라이드(slide)시키고, 이 캠홈에 의해 상기 헤드상승 및 하강아암은 슬라이드판의 피벗축(pivot shaft)을 중심으로 회전되고, 이 헤드상승 및 하강아암에 기인하여 헤드는 헤드로딩위치와 헤드언로딩위치사이에서 상승 및 하강하게 되므로, 헤드의 상승 및 하강을 캠동작에 의해 자유롭게 제어할 수 있고, 상기 헤드는 헤드로딩위치에서 부드럽게 랜드(land)하는 것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이 자기층의 필름두께가 매우 얇은 플로피디스크의 기록 및/또는 재생을 허용하는 100MB이상의 기록용량을 갖는 대용량의 플로피디스크 드라이브에 적용될지라도, 플로피디스크와 플라잉헤드(flying head)의 자성층에 있어 손상의 위험을 피할 수 있고, 고품질과 높은 내구성의 플로피디스크 드라이브장치를 생산할 수 있다.
헤드상승 및 하강아암의 캠홈이 체결된 고정가이드축이 카트리지의 가이드주축이므로, 부품과 조립단계의 수의 감소에 기인하여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헤드상승 및 하강아암이 서스펜션의 길이방향에 따른 스랜트(slant)상에 삽입 및 배출됨으로써, 헤드상승 및 하강아암이 서스펜션 내에 삽입될 경우에는 상기 헤드상승 및 하강아암은 헤드에 근접하게 되고, 헤드상승 및 하강아암이 서스펜션내에 배출될 경우에는 상기 헤드상승 및 하강아암은 헤드에서 멀어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헤드상승 및 하강아암은 카트리지와 동기를 유지하는 동안 서스펜션내에 쉽게 삽입된다.
도 1a∼1d는 대용량의 플로피디스크 드라이브의 일실시예에 있어서의 헤드상승 및 하강기구의 동작을 설명하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헤드상승 및 하강기구의 동작을 설명하는 헤드철회상태의 일부 절단된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헤드상승 및 하강기구의 동작을 설명하는 헤드 언로딩상태(head unloading state)의 일부 절단된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헤드상승 및 하강기구의 동작을 설명하는 헤드 로딩상태(head loading state)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헤드상승 및 하강기구의 동작을 설명하는 디스크인(disk-in)상태의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헤드상승 및 하강기구의 동작을 설명하는 배출초기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헤드상승 및 하강기구의 동작을 설명하는 배출중기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헤드상승 및 하강기구의 동작을 설명하는 배출완료기간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9a∼9b는 본 발명의 헤드상승 및 하강기구의 헤드 언로딩상태의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10a∼10b는 본 발명의 헤드상승 및 하강기구의 데이터기록 및 재생의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헤드상승 및 하강기구전체의 평면도이다.
도 12는 배출모터를 제거한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헤드상승 및 하강기구의 요부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헤드상승 및 하강기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요부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헤드상승 및 하강기구의 헤드로딩시의 동작을 설명하는 평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헤드상승 및 하강기구의 헤드언로딩시의 동작을 설명하는 평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헤드상승 및 하강기구의 헤드언로딩시의 카트리지 잠금동작을 설명하는 평면도이다.
도 18은 배출모터의 측면도이다.
도 19a∼19c는 본 발명의 배출모터의 동작을 설명하는 측면도이다.
도 20a∼20b는 본 발명의 배출모터의 강제된 수동배출시의 동작을 설명하는 측면도이다.
도 21a∼21b는 본 발명의 헤드상승 및 하강기구의 제 3슬라이드판(slide plate)의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22a∼22b는 본 발명의 헤드상승 및 하강기구에 부속되는 락아암(lock arm)의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헤드상승 및 하강기구의 래치해제(latch release)동작을 설명하는 평면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래치기구의 래치동작을 설명하는 평면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래치기구의 흡착력 및 박리력(剝離力)(peeling force)사의 관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6는 본 발명의 래치기구의 다른 실시예의 래치해제동작을 설명하는 평면도이다.
도 27은 도 26의 래치기구의 래치동작을 설명하는 평면도이다.
도 28은 도 26는 본 발명의 래치기구의 또다른 실시예의 래치해제동작을 설명하는 평면도이다.
도 29는 도 28의 래치기구의 래치동작을 설명하는 평면도이다.
도 30은 본 발명의 헤드상승 및 하강기구에 부속된 슬라이드(slide)기구를 설명하는 평면도이다.
도 31은 본 발명의 슬라이드기구에 따른 헤드상승 및 하강기구의 슬라이드상태를 설명하는 평면도이다.
도 32a∼32b는 본 발명의 헤드상승 및 하강기구에 부속된 캠기어와 판스프링을 설명하는 평면도이다.
도 33은 본 발명의 대용량의 플로피디스크 드라이브의 초기의 드라이브삽입시의 헤드로딩을 설명하는 플로우챠트이다.
도 34는 데이터기록 및/또는 재생후의 헤드언로딩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우챠트이다.
도 35는 데이터기록 및/또는 재생후의 헤드언로딩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우챠트이다.
도 36은 디스크인(disk-in)상태에서 대기시에 데이터기록 및/또는 재생이 실행되는 때의 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우챠트이다.
도 37은 트리거레버(trigger lever)와 제 1슬라이드판사이의 관계를 설명하는 평면도이다.
도 38은 도 37의 요부의 평면도이다.
도 39는 본 발명의 대용량의 플로피디스크 드라이브의 트리거레버의 락편(lock piece)의 배치를 설명하는 단면측면도이다.
도 40은 본 발명의 트리거레버의 평면도이다.
도 41은 본 발명의 트리거레버의 저면도이다.
도 42는 본 발명의 트리거레버의 트리거레버 복귀스프링의 일시정지체결부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43은 본 발명의 일시정지체결부에서의 스프링의 일시정지의 초기화를 설명하는 평면도이다.
도 44는 본 발명의 스프링의 일시정지종료를 설명하는 평면도이다.
도 45는 현재의 트리거레버를 설명하는 평면도이다.
도 46은 현재의 트리거레버의 락편의 배치를 설명하는 단면측면도이다.
도 47은 본 발명을 적용하는 대용량의 플로피디스크 드라이브의 외관의 사시도이다.
도 48은 상기 드라이브의 상하의 커버(cover) 및 프론트패널(front panel)을 분해한 사시도이다.
도 49는 상기 드라이브의 상하의 커버를 제거한 상태의 일부절단도이다.
도 50은 상기 드라이브의 카트리지홀더를 제거한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51은 상기 드라이브의 평면도이다.
도 52는 상기 드라이브의 하부 커버를 제거한 하면도이다.
도 53은 상기 드라이브의 카트리지로딩기구에 있어서의 언로딩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54a∼54c는 상기 드라이브의 카드리지로딩기구에 있어서의 로딩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55는 상기 드라이브의 선형 액츄에이터를 설명하는 평면도이다.
도 56은 도 58에서 라인(A-A)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7은 도 56에서 라인(B-B)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8은 도 57에서 라인(C-C)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9a∼59b는 가이드주축 부착장치의 구성의 부분절단된 평면도이다.
도 60은 가이드주축 부착장치의 구성의 사시도이다.
도 61은 헤드조립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62는 도 61의 평면도이다.
도 63은 도 62의 측면도이다.
도 64는 헤드조립의 회전지지기구를 나타내는 부분절단된 평면도이다.
도 65는 도 64의 부분절단도이다.
도 66은 도 64의 상부헤드아암을 상방으로 회전시킬 때의 단면도이다.
도 67은 도 64의 상부헤드아암을 정위치로 복귀시킬 때의 측면도이다.
도 68은 도 64의 구성의 사시도이다.
도 69는 상하 자기헤드사이의 카트리지의 제거 및 삽입을 설명하는 측면도이다.
도 70은 상하 자기헤드사이에 삽입된 카트리지의 기록 및 재생을 설명하는 측면도이다.
도 71a∼71b는 트랙서보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2는 트랙서보를 설명하는 플로피디스크의 설명도이다.
도 73은 대용량의 플로피디스크 카트리지의 사시도이다.
도 74는 도 73의 평면도이다.
도 75는 도 74의 평면도이다.
도 76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소용량의 플로피디스크 카트리지의 사시도이다.
도 77은 도 76의 구성의 사시도이다.
도 78은 도 76의 평면도이다.
도 79는 도 76의 하면도이다.
도 80은 도 76의 단면도이다.
도 8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소용량의 플로피디스크 카트리지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플로피디스크 2. 센터코어
3,4. 셸 5. 카트리지
6.센터코어구멍 7. 헤드삽입구멍
8. 셔터 9. 위치결정용 기준구멍
10. 오목부 15. 클리닝시트
16. 리프터 18. 셔터슬라이드오목부
21. 스핀들모터 22. 스핀들
23. 디스크테이블 24. 자기시트
25. 카트리지 27. 헤드아암
28,29. 자기헤드 30. 판스프링
46. 카트리지삽입구 56. 카트리지홀더
41. 섀시 57,334,351. 슬라이드판
59. 모터기판 60. 주기판
61. 스위치기판 62. 외부 인터페이스부
63. 인터페이스기판 64. 위치결정용 기준핀
65. 높이기준핀 66. 카트리지삽입 검출스위치
67. 오소거방지 검출스위치 68. 소용량 검출스위치
69. 대용량 검출스위치 70. 배출스위치
80. 배출모터 81. 배출구동핀
82. 배출캠 83. 배출아암
84. 트리거레버 85. 지지핀
86. 잠금부 87. 랙
89. 카트리지오삽입방지용 레버 101, 102. 자기헤드
111. 캐리지 114. 가이드 주축
182. 서스펜션 331. 헤드상승 및 하강기구
332, 333. 헤드상승 및 하강아암 335. 가이드축
336. 피벗축 339,340. 캠홈
이하, 본 발명에 적용된 대용량의 플로피디스크 카트리지 및 대용량의 플로피디스크 드라이브의 실시의 형태를 소용량의 플로피디스크 카트리지 및 소용량의 플로피디스크 드라이브와 비교하여 다음의 순서로 설명한다.
(1) 소용량의 플로피디스크 카트리지 및 소용량의 플로피디스크 드라이브에 대한 설명
(2) 대용량의 플로피디스크 카트리지에 대한 설명
(3) 대용량의 플로피디스크 드라이브에 대한 개요설명
(4) 선형 액츄에이터에 대한 설명
(5) 가이드주축을 설치하는 부재에 대한 설명
(6) 헤드조립에 대한 설명
(7) 트랙킹서보에 대한 설명
(8) 헤드상승 및 하강기구에 대한 설명
(9) 래치기구에 대한 설명
(10) 슬라이드기구에 대한 설명
(11) 동작모드에 대한 설명
(12) 트리거레버에 대한 설명
(1) 소용량의 플로피디스크 카트리지 및 소용량의 플로피디스크 드라이브에 대한 설명
우선, 도 76∼도 80을 참조하여 설명을 시작한다. 직경 3.5인치의 자기시트(magnetic sheet)로 이루는 플로피디스크(1)를 스테인레스(stainless)판으로 이루는 원형센터코어(2)의 외주에 접착한 구조를 갖는 소용량의 플로피디스크를 사용하는 소용량의 플로피디스크 카트리지(FDC)에 있어서, 그 플로피디스크의 기록용량은 1∼2MB(메가바이트)이다.
이 소용량의 플로피디스크 카트리지(FDC)는 합성수지로 형성된 상하셀(3, 4) 각각에 의해 샌드위치모양으로 삽입된 평평한 구조를 갖는다. 그 구조는 대략 정방형을 갖는 카트리지(5)를 구성하고, 상기 플로피디스크(1)는 상기 카트리지(5)내에서 상기 플로피디스크(1)를 자유롭게 회전시키도록 수납되어 있다.
플로피디스크(1)의 센터코어(2)는 하부셀(4)의 중앙에 형성된 센터코어구멍(6)내에 느슨하게 체결되어 있다. 카트리지(5)의 전단면(5a)과 센터코어구멍(6)사이의 상하의 셸(shell)(3, 4)에 카트리지센터(P1)를 따라서 상하 한쌍의 직사각형의 헤드삽입구멍(7)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전단면(5a)은 도 78에서 화살표로 나타내어져 있는 방향으로써 이후에 설명될 소용량의 플로피디스크 드라이브의 삽입측에 카트리지(5)의 끝단의 면이다. 셔터(shutter)(8)는 상하의 헤드삽입구멍(7)을 각각 개폐하기 위하여 상하 한쌍의 수평판(8a, 8b)과 전단수직판(8c)을 갖는다. 셔터슬라이드오목부(18)는 대략 U자형으로, 상기 카트리지(5)의 상하양면(5e, 5f)과 전단면(5a)의 외측에 형성되어 있다. U자형의 단면을 갖는 셔터(8)는 셔터슬라이드오목부(18)에 설치됨으로써, 상기 셔터(8)는 화살표(c, d)로 나타낸 방향 즉, 도 78에서 화살표(a)로 나타낸 삽입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전단면(5a)을 따라서 자유롭게 슬라이드될 수 있다. 상기 셔터(8)는 셔터(8)에 내장된 셔터스프링(8d)에 의해 닫힌 커버상태의 위치까지 화살표(c)로 나타낸 방향으로 자연스럽게 슬라이드된다. 좌우 한쌍의 위치결정용의 기준구멍(9)은 카트리지(5)의 하부셸(4)을 통하여 카트리지(5)의 후면단(5d)보다 전면단(5a)에 더 가까운 위치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위치결정용의 기준구멍(9)중의 하나는 완전한 원형을 가지는 반면에, 다른 하나는 타원형을 가진다. 카트리지(5)의 각각의 좌우 양면(5b, 5c)상에, 각각 반원형을 갖는 좌우 한쌍의 오목부(10)는 하부셸(4)의 전단면(5a)에 근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카트리지(5)의 전단면(5a)과 우측면(5b)사이의 코너(11a)에는 부정확한 삽입을 방지하기 위하여 경사면(1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경사면(12)은 상하 셸(3, 4)전체를 45°의 각도로 커트(cut)하는 소위 c면이다. 카트리지(5)의 후면단(5d)과 좌측면(5c)사이의 코너(11b)에는 소저장용량의 플로피디스크(1)에 기록된 데이터의 잘못된 소거방지용의 라이트프로텍터(write protector)가 설치되어 있다. 카트리지의 후면단(5d)과 우측면(5b)사이의 코너(11c)에는 저장용량식별구멍(14)이 형성되어 있다.
상하 한쌍의 클리닝시트(cleaning sheet)(15)는 각각 상하 셸(3, 4)의 내벽면(3b, 4b)에 접착성의 접착물질을 사용함으로써 놓여져 있다. 각각의 상하 클리닝시트(15)는 마피(horseshoe)형태로 재단된 직포(織佈)로 구성되어 있다. 리프터(16)는 내벽면(3a, 4a)의 일측(또는 양측)에 접착등에 의해 부착되어 있다. 상기 리프터(16)는 상하 클리닝시트(15)를 플로피디스크(1)의 상하 각각의 위치로부터 플로피디스크(1)의 상하양면과 탄성적으로 접촉하도록 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따라서, 상기 플로피디스크(1)는 상하 클리닝시트(15)에 의해 샌드위치모양으로 삽입되어 카트리지(5)의 하면(5f)에서 대략 H1/2의 높이의 디스크면위치에서 회전구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하 한쌍의 셔터구멍(8e)은 셔터(8)의 상하 수평판(8a, 8b)에서 상하 셸(3, 4) 각각에 형성되어 있는 헤드삽입구멍(7)에 대면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카트리지(5)의 후단면(5d)을 우회하는 형태를 갖는 레벨부착오목부(17)는 카트리지의 각각의 상하 셸(3, 4)의 상하면(5e, 5f)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8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저장용량의 플로피디스크 드라이브(FDD) 즉, 소용량의 플로피디스크 카트리지(FDC)를 기록 및/또는 재생하는 소용량의 플로피디스크 드라이브의 플로피디스크내부에는 스핀들모터(21)의 스핀들(22)에 의해 회전구동되는 디스크테이블(23)과 짐벌판에 의해 헤드아암(27)과 카트리지(26)의 상하대향면(도시하지 않음)에 각각 부착된 상하 한쌍의 자기헤드(28, 29)와 같은 구성이 이루어져 있다. 또한, 척크(chuck)용의 자기시트(24)를 포함하는 구성과 소용량의 플로피디스크(FD)의 회전구동핀(25)이 디스크테이블(23)의 상부면에 부착되어 있다. 헤드아암(27)은 판스프링(30)을 통하여 카트리지(26)의 헤드아암장착대(26a)의 상부에 설치되어 헤드아암(27)이 화살표(e, f)로 나타낸 상부 및 하부방향으로 각각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헤드아암(27)은 도시하지 않은 헤드압착스프링에 의해 도 81에서 화살표(f)로 나타낸 하부방향으로 자연스럽게 회전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26)는 도 81에서 화살표(a, b)로 나타낸 방향으로 선형 액츄에이터에 의해 수평으로 구동됨으로써, 상하 자기헤드(28, 29)는 일체로 동시에 같은 방향으로 수평이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하부의 자기헤드(29)는 도시하지 않은 기계적인 베이스에 따라 높이기준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부의 자기헤드(28)는 2개의 헤드위치사이에서 도시하지 않은 상부의 자기헤드 상승 및 하강기구에 의해 각각 화살표(e, f)로 나타낸 방향으로 상승하거나 또는 하강하도록 이동될 수 있다. 이들 위치중의 하나는 일점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하부의 자기헤드(29)위의 소정의 높이에 있는 헤드언로딩위치(head unloading position)이다. 다른 위치는 도 81에서 실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하부의 자기헤드(29)상에 플로피디스크(1)를 압착하는 헤드로딩위치이다.
소용량의 플로피디스크 드라이브(FDD)내에 소용량의 플로피디스크 카트리지(FDC)의 로드(load)를 시작하기 전에, 상부의 자기헤드(28)는 도 81에서 일점쇄선으로 나타낸 헤드언로딩위치에서 도 81에서 화살표(e)로 나타낸 방향으로 상승되어있다. 소저장용량의 플로피디스크 카트리지(FDC)는 도시하지 않은 카트리지로딩기구의 내부에서 일점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하부의 자기헤드(29)보다 높고 상부의 자기헤드(28)보다 낮은 카트리지 언로딩위치에 화살표(a)로 나타낸 방향으로 수평으로 삽입된다. 소용량의 플로피디스크 카트리지(FDC)는 실선으로 나타낸 카트리지로딩위치까지 평행운동하는 카트리지로딩기구에 의해 수직으로 하강한다. 결과적으로, 카트리지로딩위치로 하강된 소용량의 플로피디스크 카트리지(FDC)는 소용량의 플로피디스크 드라이브(FDD)의 내부에 도시하지 않은 4개의 카트리지위치결정핀상에 수평으로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소저장용량의 플로피디스크 카트리지(FDC)는 상하의 자기헤드(28, 29)에 의해 어떤 간섭없이 로드될 수 있다.
소저장용량의 플로피디스크 카트리지(FDC)는 화살표(a)로 나타낸 방향의 로딩위치에서 수평으로 삽입되기 때문에, 소저장용량의 플로피디스크 카트리지(FDC)의 셔터(8)는 소용량의 플로피디스크 드라이브(FDD)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셔터개폐기구에 의해 도 78 및 도 79에 나타낸 닫힌 커버위치로부터 도 80에 나타낸 개방된 커버위치까지 셔터스프링(8d)에 의해 발생된 힘을 저장하는 방향인 화살표(d)로 나타낸 방향으로 슬라이드된다. 그리고, 상하의 셔터구멍(8e)은 카트리지(5)의 상하 헤드삽입구멍(7)에 수직으로 겹쳐놓여지고, 이 상하 헤드삽입구멍(7)이 열리는 동시에, 상하의 자기헤드(28, 29)사이에서 상하 셔터구멍(8e)과 헤드삽입구멍(7)이 삽입된다. 셔터개폐기구자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다.
상기 소용량의 플로피디스크 카트리지(FDC)가 도 81에서 실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화살표(g)로 나타낸 방향으로 카트리지언로딩위치로부터 카트리지로딩위치까지 수직하방으로 이동될 때에, 소용량의 플로피디스크(FD)의 센터코어(2)는 디스크테이블(23)의 자기시트(24)상에 척크되어 스핀들(22)이 센터코어(2)의 중심구멍(2a)과 중심구멍(2a)하방의 위치에서 상호 체결된다. 동시에, 디스크테이블(23)상의 회전구동핀(25)은 센터코어(2)의 편심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회전구동핀체결구멍(2b)과 하방에서 상호 체결된다. 또한, 상기 소저장용량의 플로피디스크 카트리지(FDC)가 도 81에서 화살표(g)로 나타낸 방향으로 카트리지언로딩위치로부터 카트리지로딩위치까지 수직하방으로 이동될 때에, 헤드아암(27)은 도 81에서 화살표(f)로 나타낸 방향으로 헤드언로딩위치로부터 헤드로딩위치까지 헤드가압스프링에 의해 하방으로 회전하게 되는 동시에, 따라서 상부의 자기헤드(28)는 화살표(f)로 나타낸 방향으로 헤드언로딩위치로부터 헤드로딩위치까지 하방으로 이동된다. 결과적으로, 상하 헤드(28, 29)는 상대적으로 화살표(e, f)로 나타낸 방향으로 상하의 셔터구멍(8e)과 상하의 헤드삽입구멍(7)에 삽입된다. 또한, 상하 헤드(28, 29)는 상대적으로 카트리지(5)내의 플로피디스크(1)의 상하 양면에 압착된다.
상하 헤드(28, 29)가 이 상태에 있을 때에, 소용량의 플로피디스크 드라이브(FDD)내에 소용량의 플로피디스크 카트리지(FDC)를 로드하기 위한 동작이 완료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디스크테이블(23)은 스핀들모터(21)에 의해 회전구동되고, 상기 센터코어(2)는 회전구동핀(25)에 의해 회전구동된다. 결과적으로, 플로피디스크(1)는 카트리지(5)내에서 전형적으로 200∼250rpm 범위의 저속회전으로 회전구동된다. 이 상태에서, 플로피디스크(1)는 상하 클리닝시트(15)와 각각 접촉을 유지하는 상하양면과 회전구동됨으로써, 플로피디스크(1)의 상하양면은 상하 클리닝시트(15)에 의해 자동적으로 클리닝된다. 또한, 카트리지(26)와 헤드아암(27)은 도 81에서 화살표(a, b)로 나타낸 방향으로 일체로 선형 액츄에이터에 의해 수평으로 구동함으로써, 상하 한쌍의 자기헤드(28, 29)가 플로피디스크(1)를 화살표(a, b)로 나타낸 방향으로 스캔(scan)하여 상기 플로피디스크(1)의 데이터를 기록 및/또는 재생하기 위한 소위 찾기 및 트랙킹동작을 행하게 된다. 선형 액츄에이터자체는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것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플로피디스크(1)의 기록 또는 재생동작이 실행된 후에, 소용량의 플로피디스크 카트리지(FDC)를 소용량의 플로피디스크 드라이브(FDD)의 외부로 언로드하기 위한 동작은 상술된 로딩처리동작의 역동작으로 행하는 것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특히, 상기 소용량의 플로피디스크 카트리지(FDC)가 카트리지로딩기구에 의해 도 81에서 실선으로 나타낸 카트리지로딩위치로부터 도 81에서 1점쇄선으로 나타낸 카트리지언로딩위치까지 평행운동으로 화살표(h)로 나타낸 방향으로 수직상승될 때, 센터코어(2)는 디스크테이블(23)에서 상부방향으로 이탈되는 동시에, 헤드아암(27)은 헤드로딩위치로부터 헤드언로딩위치까지 화살표(e)로 나타낸 방향으로 헤드압착용 스프링에 의해 발생되는 힘에 저항하여 회전된다. 그것에 의해, 상부의 자기헤드(28)는 도 81에서 실선으로 나타낸 로딩위치로부터 언로딩위치까지 화살표(e)로 나타낸 방향으로 상승하게 되고, 상하의 자기헤드(28, 29)는 각각 카트리지(5)로부터 상하의 방향으로 이탈된다. 그리고, 소용량의 플로피디스크 카트리지(FDC)가 언로딩위치로부터 소용량의 플로피디스크 드라이브(FDD)의 외부로 화살표(b)로 나타낸 방향에서 수평으로 압출될 때, 셔터(8)는 도 80에 나타낸 개방된 커버위치로부터 도 78 및 도 79에 나타낸 닫힌 커버위치까지 셔터스프링에 의해 화살표(c)로 나타낸 방향으로 슬라이드된다. 결과적으로, 셔터(8)의 상하 수평판(8a, 8b)에 의해 상기 카트리지(5)의 상하 헤드삽입구멍(7)이 닫히게 된다.
(2) 대용량의 플로피디스크 카트리지에 대한 설명
후술하는 대용량의 플로피디스크 드라이브(HFDD)에 의해 구동되는 기록 및/또는 재생용의 대용량의 플로피디스크 카트리지(HFDC)를 도 73∼7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소용량의 플로피디스크 카트리지(FDC)와 같이, 대용량의 플로피디스크(HFD)는 센터코어(2)와 상기 센터코어(2)의 외주에 부착된 플로피디스크(1)로 이루어진 구조를 갖는다. 상기 플로피디스크(1)는 직경 3.5인치를 갖는 자기시트로 이루어지는 반면에 상기 센터코어(2)는 스테인레스 디스크형판으로 이루어진다. 대용량의 플로피디스크(HFD)는 합성수지에 의해 형성된 상하 셸(3, 4)로 구성된 카트리지(5)내에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수납되어 있다. 대기록용량의 플로피디스크(HFD)의 기록용량을 100MB이상, 더 좋게는 300∼700MB범위의 소망의 값으로 증가시키기 위해서, 이 대용량의 플로피디스크(HFD)의 상하양면에 있어서의 자성막의 두께는 서브마이크론(sub-micron)의 상태까지 얇아지고, 대용량의 플로피디스크(HFD)의 회전속도는 3600rpm이상의 값으로 설정될 것이다.
대용량의 플로피디스크 카트리지(HFDC)는 이하에 설명되는 대용량의 플로피디스크 드라이브(HFDD)에 있어서의 기록용량이 1∼2MB인 소용량의 플로피디스크 카트리지(FDC)와의 호환성을 갖도록 하고, 대용량의 플로피디스크 카트리지(HFDC)의 카트리지(5)의 외형적인 크기 및 두께가 소기록용량을 갖는 플로피디스크 카트리지(FDC)의 카트리지의 외형적인 크기 및 두께와 대략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후술하는 대용량의 플로피디스크 드라이브(HFDD)내의 대용량의 플로피디스크 카트리지(HFDC)와 소용량의 플로피디스크 카트리지(FDC)를 서로 식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대용량의 플로피디스크 카트리지(HFDC)상의 라이트프로텍터(write protector)(13)와 기록용량식별구멍(14)의 배치를 서로 반전시키는 동시에, 대기록용량식별구멍(19)이 완전한 원형을 갖는 위치결정기준구멍(9)중의 하나의 근방위치에서의 대용량의 플로피디스크 카트리지(HFDC)상에 새롭게 형성되어 있다. 대용량의 플로피디스크 카트리지(HFDC)의 경우에, 셔터(8)의 평면형태를 대략 T자형으로 구성하여 카트리지(5)의 내부유효면적의 증대 등을 도모하는 동시에, 잘못된 카트리지삽입방지용 홈(20)이 카트리지(5)의 상부면(5e)에서 전단면(5a)의 일단측의 코너(11a)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홈(20)은 소용량의 플로피디스크 카트리지(FDC)상에 설치된 잘못된 카트리지삽입방지용의 경사면(12)에 대응한다. 또한, 대용량의 플로피디스크 카트리지(HFDC)에 있어서의 플로피디스크(1)의 센터코어(2)에 형성되어 있는 회전구동핀체결홈(2b)은 소용량의 플로피디스크 카트리지(FDC)에 있어서의 플로피디스크(1)의 센터코어(2a)에 형성되어 있는 회전구동핀체결홈(2b)보다 충분히 크게 형성되어 있다는 것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3) 대용량의 플로피디스크 드라이브에 대한 개요설명
다음으로, 도 47∼도 54를 참조하여 대용량의 플로피디스크 드라이브(HFDD)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제공된 대용량의 플로피디스크 드라이브(HFDD)는 두꺼운 금속판으로 이루어진 섀시(chassis)(41)를 갖는 일반적인 디스크드라이브이다. 상기 섀시(41)의 상하에는 각각 두께가 얇은 금속판으로 이루어진 상하의 커버(42, 43)가 위치되어 섀시(41)로부터 자유롭게 착탈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들 구성요소의 전단측상에는 성형부품(플라스틱성형품)으로 구성된 프론트패널(44)이 섀시(41)로부터 자유롭게 착탈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 전체는 평평한 입방체형태를 갖는 드라이브본체(45)를 형성한다. 프론트패널(44)의 상단측상에는 장원형태(oblong shape)를 갖는 카트리지삽입구(46)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카트리지삽입구(46)의 내측에는 개폐커버(47)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개폐커버(47)는 내부방향으로 오픈한다. 상기 프론트패널(44)의 하부측상의 좌우측에는 배출버튼(48)과 발광표시부(49)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발광표시부(49)는 드라이브의 동작상태를 나타낸다.
스핀들모터(51)는 드라이브본체(45)내부의 프론트패널(44)측상의 위치에 있어서의 섀시(41)상부에 배치되어 있다. 디스크테이블(53)은 스핀들(52)의 회전자의 상부면에 있어서의 스핀들모터(51)상부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디스크테이블(53)의 상부에는 척크(chuck)용의 자기시트(54)와 회전구동핀(55)과 같은 구성요소가 설치되어 있다. 프론트패널(44)의 측에 있어서의 섀시(41)의 상부에는 카트리지홀더(56)와 슬라이드판(57)을 포함하는 카트리지로딩기구(58)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슬라이드판(57)은 카트리지홀더(56)를 언로딩위치와 로딩위치사이에서 평행운동에 의해 도 53의 화살표(h)와 도 54의 화살표(g)로 나타낸 상하방향으로 구동하기 위해 사용된다. 그리고, 후단측 즉, 프론트패널(44)의 반대측에 있어서의 섀시(41)상부에는 선형 액츄에이터(103)가 설치되어 있다. 후술되는 바와 같이, 선형 액츄에이터(103)는 플라잉헤드조립을 구성하는 상하 한쌍의 자기헤드(101, 102)를 이송하기 위해 사용된다. 스핀들모터(51) 및 상하 한쌍의 자기헤드(101, 102)는 플로피디스크(1)를 기록 및/또는 재생하기 위한 스캐닝위치(찾기 및 트랙킹위치)인 스캐닝센터(P2)상에 배치되어 있다는 것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섀시(41)의 하부에는 모터기판(59), 주기판(60) 및 스위치기판(61)과 같은 복수의 회로기판이 수평형태로 나사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섀시(41)의 후단에는 외부 인터페이스부(62)를 포함하는 인터페이스기판(63)이 수평형태로 나사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섀시(41)의 상부에서 카트리지홀더(56)의 4개의 코너의 하부위치에는 상하 한쌍의 위치결정용 기준핀(64)과 한쌍의 높이기준핀(65)이 수평형태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 위치결절용 기준핀(64)은 또한 높이기준핀으로서 겸용하여 사용된다. 스위치기판(61)에 장착된 푸시스위치로 이루어진 카트리지삽입 검출스위치(66), 오소거방지 검출스위치(67), 소용량 검출스위치(68) 및 대용량 검출스위치(69)가 상기 섀시(41) 및 슬라이드판(57)을 관통하여 카트리지홀더(56)의 하부에 노출되어 있다. 또한, 배출버튼(48)에 의해 스위치온된 배출스위치(70)는 스위치기판(61)의 전단부(프론트패널(44)측의 단부)의 하부면에 장착되어 있다.
상기 섀시(41)는 수평의 베이스판(41a)과, 그 베이스판(41a)의 좌우측 각각에 수직형상으로 상부로 확장되는 좌우측판부(41b)를 포함하고 있다. 스핀들모터(51)는 섀시(41)의 베이스판(41a)의 하부에 있어서의 모터기판(59)상에 3개의 스패이서(spacer)를 통하여 나사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스핀들모터(51)의 상부에 장착된 디스크테이블(53)은 베이스판(41a)내에 형성된 개구(72)를 통하여 베이스판(41a)의 상부에 돌출되어 있다. 카트리지홀더(56)는 수평의 천장판(56a)과 그 천장판(56a)의 좌우양측상에 수직형상으로 하부로 확장되는 좌우양측판부(56b)와 그 좌우양측판부(56b)의 하단에서 내측으로 수평하게 굴곡되어 형성된 한쌍의 베이스판(56c)과를 포함하고, 전체적으로 평평한 U자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대용량의 플로피디스크 카트리지(HFDC) 또는 소용량의 플로피디스크 카트리지(FDC)는 카트리지홀더(56)로부터 도 49에서 화살표(a, b)로 나타낸 방향으로 수평으로 삽입 및 꺼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카트리지홀더(56)의 천정판(56a)의 영역을 후단측 즉, 프론트패널(44)에 마주보는 측의 중앙으로 절단하여 헤드삽입개구(73)가 형성되어 있다. 섀시(41)의 경우에서와 같이, 상기 슬라이드판(57)은 베이스판(57a)의 좌우측상에서 수직형상으로 상부로 확장되는 좌우양측판(57b)과 수평베이스판(57a)을 갖는다. 상기 슬라이드판(57)은 합계 4개의 핀 즉, 위치결정기준핀(64)과 높이기준핀(65)과 체결되어 베이스판(57a)에 형성되는 4개의 가이드홈(74)에 따라서 자유롭게 슬라이드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슬라이드판(57)은 섀시(41)의 베이스판(57a)상에 도 50에 나타낸 언로딩위치(P11)와 로딩위치(P12)와의 사이에 화살표(a, b)로 나타낸 방향으로 자유롭게 슬라이드되도록 설계되어 있다.
카트리지로딩기구(58)는 4개의 가이드핀(75), 4개의 경사가이드홈(76), 한쌍의 좌우가이드돌기(77) 및 좌우 한쌍의 수직가이드홈(78)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4개의 가이드핀(75)은 카트리지홀더(56)의 좌우양측판(56b)의 전단 및 후단에 있어서의 예를 들면 염색처리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상기 4개의 경사가이드홈(76)은 슬라이드판(57)의 좌우양측판(57b)에 형성되고 상기 4개의 가이드핀(75)이 상기 4개의 경사가이드홈(76)과 체결되어 상기 4개의 가이드핀(75)은 상기 4개의 경사가이드홈(76)을 따라 자유롭게 슬라이드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좌우 한쌍의 가이드돌기(77)는 카트리지홀더(56)의 좌우양측판(56b)의 길이방향으로 대략 중심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좌우 한쌍의 수직가이드홈(78)은 섀시(41)의 좌우양측판(41b)상에 각각 형성되고 좌우 한쌍의 가이드돌기(77)가 상기 좌우 한쌍의 수직가이드홈(78)과 체결되어 상기 좌우 한쌍의 가이드돌기(77)는 도 54 및 도 53의 화살표(g, h)의 방향 즉, 상하의 방향으로 좌우 한쌍의 수직가이드홈(78)을 따라서 자유롭게 슬라이드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슬라이드판(57)은 슬라이드판(57)과 섀시(41)사이에 설치된 풀(pull)코일스프링(79)에 의해 앞방향 즉 화살표(b)로 나타낸 방향으로 자연스럽게 슬라이드된다. 기어모터로 구성된 배출모터(80)는 섀시(41)의 베이스판(41a)의 후단측 즉, 프론트패널(44)의 반대측의 일부분에 설치되어 있다. 배출캠(82)은 배출모터(80)에 부착되어 있고, 배출구동핀(81)은 상기 배출캠(82)의 편심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동핀(81)은 슬라이드판(57)의 좌우양측판(56b)중의 하나의 후단에서 후방으로 돌출되는 배출아암(83)을 구동한다. 셔터개폐레버로서 겸용하여 사용되는 트리거레버(84)는 섀시(41)의 베이스판(41a)에 있어서의 배출모터(80)의 프론트측위치(즉, 프론트패널(44)측상의 위치)내에 설치되고, 상기 트리거레버(84)는 도 50의 실선으로 나타낸 잠금(lock)위치와 도 50의 1점쇄선으로 나타낸 잠금해제(lock-release)위치와의 사이에서 지지핀(85)을 중심으로 화살표(i, j)로 나타낸 방향으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기 트리거레버(84)는 도시하지 않은 회전촉진수단에 의해 잠금위치까지 화살표(i)로 나타낸 방향으로 회전된다. 상기 트리거레버(84)는 슬라이드판(57)에 형성된 잠금부(86)를 잠그고 그 잠금부(86)를 잠금상태로부터 해제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카트리지로딩기구(58)에 따르면, 도 50 및 도 5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라이드판(57)이 풀코일스프링(79)에 의해 발생된 힘에 저항하여 언로딩위치(P11)까지 화살표(A)로 나타낸 후방으로 슬라이드될 때, 상기 슬라이드판(57)은 슬라이드판(57)의 잠금부(86)와 체결된 트리거레버(84)에 의해 잠겨지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상태에 있어서, 카트리지홀더(56)의 4개의 가이드핀(75)은 슬라이드판(57)의 4개의 경사가이드홈(76)에 의해 화살표(h)로 나타낸 상방으로 압상되고, 좌우 한쌍의 가이드돌기(77)가 좌우 한쌍의 수직가이드홈(78)에 의해 가이드되어 상기 카트리지홀더(56)는 카트리지삽입구(46)와 동일한 높이의 상승위치인 언로딩위치(P13)까지 평행운동에 의해 상방으로 이동하도록 구동된다. 그리고, 상기 트리거레버(84)가 도 50의 실선으로 나타낸 잠금위치로부터 도 50의 1점쇄선으로 나타낸 잠금해제위치까지 화살표(j)로 나타낸 방향으로 회전될 때, 상기 슬라이드판(57)은 상기 트리거레버(84)에 의한 잠금상태로부터 해제되어 상기 슬라이드판(57)이 도 53에 나타낸 언로딩위치(P11)로부터 전방의 로딩위치(P12)까지 화살표(b)로 나타낸 방향으로 풀코일스프링(79)에 의해 슬라이드된다. 카트리지홀더(56)의 4개의 가이드핀(75)은 슬라이드판(57)의 4개의 경사가이드홈(76)에 의해 화살표(g)로 나타낸 하방으로 압하된다. 또한, 좌우 한쌍의 가이드돌기(77)가 각각 좌우 한쌍의 수직가이드홈(78)에 의해 가이드되는 동안에, 카트리지홀더(56)는 언로딩위치(P13)의 하방에 설정된 하강위치인 도 54a의 실선으로 나타낸 로딩위치(P14)까지 화살표(g)방향으로 평행운동에 의해 하방으로 운동하도록 구동된다. 그 때에, 도 5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섀시(41)의 베이스판(41a)에 설치된 슬라이드판(57)에 형성되어 있는 랙(rack)(87)과 체결되어 있는 댐퍼(88)의 댐핑효과에 기인하여 슬라이드판(57)은 저속으로 화살표(b)로 나타낸 방향으로 슬라이드된다는 것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그러므로, 상기 카트리지홀더(56)는 언로딩위치로부터 로딩위치까지 조용하게 하방으로 이동하도록 구동된다. 그리고, 배출모터(80)에 의해 배출캠(82)이 도 54a에서 나타낸 위치로부터 1회전하도록 구동될때, 배출구동핀(81)은 도 54b 및 도 54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라이드판(57)의 배출아암(83)에 의해 걸리게 되고, 상기 슬라이드판(57)을 풀코일스프링(79)에 의해 발생된 힘에 저항하여 언로딩위치(P12)로부터 언로딩위치(P12)후방의 로딩위치(P11)까지 화살표(a)로 나타낸 방향으로 슬라이드하도록 구동시킨다. 상기 카트리지홀더(56)는 도 54a에서 나타낸 로딩위치(P14)로부터 도 53에서 나타낸 로딩위치(P13)까지 화살표(h)로 나타낸 방향으로 평행이동에 의해 구동되고, 상기 슬라이드판(57)은 도 50의 1점쇄선으로 나타낸 잠금해제위치로부터 실선으로 나타낸 잠금위치까지 화살표(i)로 나타낸 방향으로 자동복귀되는 상기 트리거레버(84)에 의해 상기 언로딩위치(P13)에서 다시 자동적으로 잠겨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4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카트리지홀더(56)의 천정판(56a)의 후단측의 일단부에는 카트리지 오삽입방지용 레버(89)가 설치되어 있고, 이 카트리지 오삽입방지용 레버(89)는 지지핀(90)을 중심으로 화살표(k, m)로 나타낸 방향으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카트리지 오삽입방지용 레버(89)는 카트리지 오삽입방지용 레버(89)와 천정판(56a)사이에 설치된 풀코일스프링(91)에 의해 방향(k)으로 회전하게 된다. 또한, 판스프링에 의해 구성된 좌우 한쌍의 카트리지압착용 스프링(92)은 각각 카트리지홀더(56)의 천정판(56a)의 좌우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상술된 구성을 갖는 대용량의 플로피디스크 카트리지를 구동하는 플로피디스크 드라이브(HFDD)는 하부커버(43)에 의해 감춰진 컴퓨터와 같은 장치의 내부섀시내에 부착되어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섀시(41)전체가 4개의 절연체(93)에 의해 그 하부커버(43)상에 탄성적으로 지지되어서 대용량의 플로피디스크 카트리지를 구동하는 플로피디스크 드라이브(HFDD)에 외부진동과 같은 간섭에 대하여 내진성이 실현되도록 한다.
상술된 대용량의 플로피디스크 드라이브(HFDD)의 구성에 있어서, 대용량의 플로피디스크 카트리지(HFDC) 또는 소용량의 플로피디스크 카트리지(FDC)는 카트리지삽입구(46)를 통하여 선택적으로 삽입될 수 있는 동시에, 대용량의 플로피디스크(HFD)와 소용량의 플로피디스크(FD)를 선택적으로 기록 및 재생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특히, 도 49, 도 50 및 도 53에서 1점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대용량의 플로피디스크 카트리지(HFDC) 또는 소용량의 플로피디스크 카트리지(FDC)는 카트리지삽입구(46)를 통하여 언로딩위치(P13)로 상승되어 있는 카트리지홀더(56)의 내부에 화살표(a)로 나타낸 방향으로 삽입될 경우, 상기 트리거레버(84)는 이 카트리지(5)의 전단면(5a)에서 잠금위치로부터 잠금해제위치까지 화살표(j)로 나타낸 방향으로 회전된다. 회전하는 동안에, 상기 트리거레버(84)에 의해 셔터는 셔터스프링에 의해 발생되는 힘에 저항하여 커버개방위치로 이동된다.
트리거레버(84)가 잠금해제위치까지 화살표(j)의 방향으로 회전하는 순간에, 대용량의 플로피디스크 카트리지(HFDC) 또는 소용량의 플로피디스크 카트리지(FDC)는 카트리지홀더(56)에 의해 도 54에 나타낸 언로딩위치(P13)로부터 로딩위치(P14)까지 화살표(g)로 나타낸 하방으로 이동하도록 구동된다. 로딩위치(P14)에서, 대용량의 플로피디스크 카트리지(HFDC) 또는 소용량의 플로피디스크 카트리지(FDC)는 수평으로 로드된다.
대용량의 플로피디스크 카트리지(HFDC) 또는 소용량의 플로피디스크 카트리지(FDC)가 카트리지삽입구(46)를 통하여 정확하게 삽입될 경우, 카트리지오삽입방지용 레버(89)가 오삽입방지용 홈(20)에 삽입되거나 경사면(12)에 의해 화살표(m)의 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대용량의 플로피디스크 카트리지(HFDC) 또는 소용량의 플로피디스크 카트리지(FDC)의 삽입을 허용한다는 것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한편, 대용량의 플로피디스크 카트리지(HFDC) 또는 소용량의 플로피디스크 카트리지(FDC)가 카트리지삽입구(46)를 통하여 부정확하게 삽입될 경우, 카트리지오삽입방지용 레버(89)는 대용량의 플로피디스크 카트리지(HFDC) 또는 소용량의 플로피디스크 카트리지(FDC)의 삽입을 금지시킨다. 대용량의 플로피디스크 카트리지(HFDC) 또는 소용량의 플로피디스크 카트리지(FDC)는 상하를 뒤집어 삽입하거나 전후가 바뀌어 삽입될 때에 부정확하게 삽입된다라고 말할 수 있다.
그리고, 로딩위치(P14)에서 로드된 대용량의 플로피디스크 카트리지(HFDC) 또는 소용량의 플로피디스크 카트리지(FDC)는 4개의 위치결정기준핀(64)과 높이기준핀(65)상의 좌우 한쌍의 카트리지압착용 스프링(92)에 의해 수평으로 압착되어서 위치결정되고, 카트리지삽입검출스위치(66)에 의해 로딩완료상태가 검출되는 동시에, 오소거방지검출스위치(67)에 의해 데이터소거방지의 유무가 검출되고, 플로피디스크(1)의 기록용량은 대용량의 검출스위치(69) 또는 소용량의 검출스위치(68)에 의해 검출된다. 그리고, 대용량의 플로피디스크(HFD) 또는 소용량의 플로피디스크(FD)의 센터코어(2)가 카트리지(5)의 센터코어구멍(6)내에 하방에서 삽입된 디스크테이블(53)상의 마그네트시트(24)에 의해 척크(chuck)되고, 상기 센터코어(2)의 센터구멍(2a)은 스핀들(52)과 체결된다. 동시에, 회전구동핀체결구멍(2b)은 회전구동핀(25)과 체결된다. 그리고, 스핀들모터(51)에 의해 대용량의 플로피디스크(HFD) 또는 소용량의 플로피디스크(FD)는 대용량의 플로피디스크 카트리지(HFDC) 또는 소용량의 플로피디스크 카트리지(FDC)에 대한 소정의 회전속도로 회전구동하게 되는 동시에, 선형 액츄에이터(103)에 의해 상하 한쌍의 자기헤드(101, 102)가 스캔닝센터(P2)에 따른 화살표(a, b)로 나타낸 방향으로 이송되는 동안에 대용량의 플로피디스크(HFD) 또는 소용량의 플로피디스크(FD)의 데이터를 기록 및/또는 재생하는 동작이 실행된다.
소용량의 플로피디스크 카트리지(FDC)의 소용량의 플로피디스크(FD)의 경우에 있어서는, 회전구동핀(55)과 센터코어(2)의 회전구동핀체결구멍(2b)과의 체결관계를 이용하는 위치결정기능에 의해 상하 한쌍의 자기헤드(101, 102)에 따른 소용량의 플로피디스크(FD)의 원주상의 위치가 결정되고, 스핀들모터(51)에 의해 소용량의 플로피디스크(FD)가 200∼250rpm범위의 저속회전으로 회전구동된다. 그리고, 상하 한쌍의 자기헤드(101, 102)는 데이터를 기록 및/또는 재생하기 위하여 소용량의 플로피디스크(FD)의 상하양측면과 접촉하도록 된다. 한편, 대용량의 플로피디스크 카트리지(HFDC)의 소용량의 플로피디스크(HFD)의 경우에 있어서는, 센터코어(2)의 회전구동핀체결구멍(2b)이 더 크게 형성되어 있으므로써, 회전구동핀(55)은 회전구동핀체결구멍(2b)과 느슨하게 체결되어 있다. 따라서, 대용량의 플로피디스크 카트리지(HFDC)의 소용량의 플로피디스크(HFD)상의 원주상의 위치는 회전구동핀(25)을 사용함으로써 소용량의 플로피디스크 카트리지(FDC)의 경우와 같이 결정되지는 않는다. 대신에, 후술되는 트랙킹서보시스템에 의해 원주상의 위치결정을 위한 트랙킹이 실행되는 동안에, 스핀들모터(51)에 의해 대용량의 플로피디스크(HFD)가 최소한 3,600rpm의 고속회전으로 회전구동된다. 상하 한쌍의 자기헤드(101, 102)는 그 대용량의 플로피디스크(HFD)의 상하양측면에 발생되는 에어필름에 의해 서브마이크론오더(sub-micron order)의 거리에서 그 상하양측면의 상부에 부상되는 소위 플라잉현상인 비접촉상태로 되어 100MB이상의 기억용량(고밀도)으로 데이터의 기록 및/또는 재생을 행한다.
대용량의 플로피디스크(HFD) 또는 소용량의 플로피디스크(FD)에 데이터를 기록 및/또는 재생한 후에 배출버튼(48)을 누른 경우에, 배출스위치(70)가 ON으로 스위치되어 배출모터(80)에 의해 배출캠(82)을 회전구동하도록 한다. 결과적으로, 대용량의 플로피디스크 카트리지(HFDC) 또는 소용량의 플로피디스크 카트리지(FDC)는 카트리지홀더(56)에 의해 도 12a에서 나타낸 로딩위치(P14)로부터 도 53에서 나타낸 언로딩위치(P13)까지 화살표(h)로 나타낸 상방으로 이동하도록 구동된다. 그리고, 대용량의 플로피디스크 카트리지(HFDC) 또는 소용량의 플로피디스크 카트리지(FDC)는 도 50에서 1점쇄선으로 나타낸 잠금해제위치로부터 동일한 도면에서 실선으로 나타낸 잠금위치까지 화살표(i)로 나타낸 방향으로 회전되는 트리거레버(84)에 의해 카트리지삽입구(46)로부터 도 53에서 1점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화살표(b)로 나타낸 방향으로 추출된다. 그와 동시에, 셔터스프링에 의해 셔터가 닫힌 커버위치로 이동된다.
(4) 선형 액츄에이터에 대한 설명
다음으로, 도 55∼58을 참조하여 선형 액츄에이터(103)를 설명한다. 선형 액츄에이터(103)는 플라잉헤드구조를 형성하는 상하 한쌍의 자기헤드(101, 102)를 스캐닝센터(scanning center)(P2)를 따라서 화살표(a, b)로 나타낸 방향으로 이송하는 자기헤드이송기구이다. 상기 선형 액츄에이터(103)는 좌우 한쌍의 코일(104)과, 좌우 한쌍의 마그네트판(105) 및 상하 한쌍의 요크(106, 107)를 포함하여 폐자로(closed magnetic path)를 형성한 자기회로(108)와를 갖춘 음성코일모터(109)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후술되는 바와 같이, 상하 한쌍의 자기헤드(101, 102)는 합성수지 등으로 이루어진 카트리지(111)에 의해 상하 한쌍의 헤드아암(112, 113)을 통하여 지지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11)는 섀시(41)의 베이스판(41a)상에 스캐닝센터(P2)와 평행하게 설치된 가이드주축(114) 및 가이드부축(115)에 의해 가이드되는 동안, 스캐닝센터(P2)에 따른 화살표(a, b)로 나타낸 방향으로 자유롭게 슬라이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상기 가이드주축(114)은 도 5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캐닝센터(P2)에 대한 축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오프셋되어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카트리지(111)의 좌우측상에 일체로 형성된 코일베이스(116)에 좌우 한쌍의 코일(104)이 수평형태로 접착제(117)로 접착되어 있다. 한편, 좌우 한쌍의 자기회로(108)는 수평형태로, 상하간격이 떨어져 수평으로 배치된 상하 한쌍의 요크(106, 107)의 길이방향의 양단을 수직으로 결합하는 것에 의해 각을 이룬 폐자로를 형성한다. 마그네트판(105)은 상부요크(106)의 하부면 또는 하부요크(107)의 상부면에 그 자체의 자력에 의해 밀착결합된 것이다. 좌우 한쌍의 자기회로(108)는 섀시(41)의 베이스판(41a)상에 스캐닝센터(P2)와 평행한 수평형태로 설치되어 있다. 스캐닝센터(P2)와 직각을 이루도록 배치된 좌우 한쌍의 코일(104)이 좌우 한쌍의 자기회로(108)의 하부요크(107) 또는 상부요크(106)의 외주에 비접촉형태로 삽입되어 있다. 좌우 한쌍의 코일(104)은 도 49에 나타낸 휘어진 프린트기판(118)을 통하여 주기판(6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들 좌우 한쌍의 코일(104)을 통하여 제어전류가 인가될 경우, 좌우 한쌍의 자기회로(108)에 의해 좌우 한쌍의 코일(104)로 추진력이 발생되어 카트리지(111)를 가이드주축(114) 및 가이드부축(115)을 따라 화살표(a, b)로 나타낸 방향으로 이송하는 것이다(소위 찾기 및 트랙킹동작).
(5) 가이드주축을 장착하는 부재에 대한 설명
도 55, 59, 60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이드주축(114)을 섀시(41)상에 장착하기 위한 가이드주축장착부재(121)는 작은 직경의 테이퍼축부(taper shaft)(122)와 목귀부(chamfer)(123)를 포함한다. 상기 테이퍼축부(122)는 가이드주축(114)의 일단(114a)에 동일한 축중심으로 형성되는 반면에, 상기 목귀부(123)는 가이드주축(114)의 타단(114b)의 외주상에 형성되어 있다. 그 가이드주축(114)의 전단고정위치에는 섀시(41)의 베이스판(41a)에서 상방으로 수직상으로 확장되어 스캐닝센터(P2)에 대하여 직각으로 배치된 절단부분(124)이 형성되어 있고, 그 절단부분(124)에 가이드주축(114)의 테이퍼축부(122)가 삽입되는 가이드주축 베어링구멍(12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주축 베어링구멍(125)은 테이퍼주축(122)의 최소직경과 최대직경의 대략 평균의 직경으로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주축(114)의 후단고정위치에는 섀시(41)의 베이스판(41a)의 후단에서 상방의 수직상으로 확장되어 스캐닝센터(P2)에 대하여 직각으로 형성되도록 배치된 측벽인 후측판(41c)이 배치되어 있다. 이 후측판(41c)에는 그 상단에서 하방의 수직상으로 절단되어 가이드주축베어링홈(126)이 형성되어 있고, 또한 그 가이드주축베어링홈(126)에는 V자형 테이퍼면(127)이 형성되어 있다. 그 후측판(41c)의 배면(프론트패널(44)에서는 그 반대측상의 면)에는 판스프링(128)이 좌우 한쌍의 위치결정용 장부촉(dowel)(130)과 1개 또는 복수의 나사(131)에 의해 부착되어 상기 판스프링(128)이 후면의 후방의 위치에서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그 판스프링(128)의 중앙상부측에는 가이드주축(114)의 센터(P114)에 관하여 각도(θ1)로 경사진 압축부분(129)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주축(114)을 섀시(41)상의 스캐닝센터(P2)와 평행한 수평형태로 설치할 때에는 도 59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이드주축(114)의 테이퍼축(122)을 가이드주축베어링구멍(125)내의 화살표(n)로 나타낸 방향으로 삽입하고, 그 가이드주축(114)의 후단(114b)을 가이드주축베어링구멍(125)내의 화살표(o)로 나타낸 방향으로 삽입한다.
그리고, 판스프링(128)이 좌우 한쌍의 위치결정용 장부촉(dowel)구멍(132)에 의해 섀시(41)의 후측판부(41c)의 좌우 한쌍의 위치결정용 장부촉(130)에 배면측에서 체결되고, 그 판스프링(128)의 구멍(133)을 통하여 각각의 후방으로부터 좌우 한쌍의 나사로 삽입된 좌우 한쌍의 나사(131)가 후측판부(41c)상에 형성되어 있는 좌우 한쌍의 나사멈춤구멍(134)에 부착되어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판스프링(128)은 나사에 의해 화살표(n)로 나타낸 방향으로 후측판부(41c)의 후면에 고정되어 있다. 그렇게 함으로써, 상기 판스프링(128)의 압축부분(129)이 가이드주축(114)의 후단(114a)상의 목귀부(123)의 축중심(P114)에 관하여 경사진 방향 즉, 화살표(p)로 나타낸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저항하여 압축되고, 가이드주축(114)의 목귀부(123)에 있어서의 압축부분(129)에 의해 화살표(p)로 나타낸 방향으로 압축력(FP)이 가해지게 된다. 그 압축력(FP)의 수평방향의 성분(Fn)에 의해 가이드축(114)이 축방향 즉, 화살표(n)로 나타낸 방향으로 가압된다. 결과적으로, 가이드주축(114)의 테이퍼축(122)이 웨지(wedge)작용에 의해 가이드주축베어링구멍(125)으로 삽입된다. 동시에, 압축력(FP)의 수직방향의 성분(F0)에 의해 가이드축(114)이 축방향에 수직인 방향 즉, 화살표(o)로 나타낸 방향으로 가압된다. 동일한 특징으로써, 가이드주축(114)의 후단(114)이 웨지작용에 의해 가이드주축베어링구멍(125)의 테이퍼면(127)에 가압된다. 결과적으로, 가이드주축(114)은 섀시(41)상에 고정된다. 또한, 테이퍼축(122)과 테이퍼면(127)의 자동정합(self-aligning)작용에 의해 스캐닝센터(P2)에 대한 가이드주축(114)의 평행도가 매우 정밀하게 조정되도록 한다.
상술된 구조를 갖는 가이드주축설치부재(121)에 의하면, 섀시(41)의 후측판부(41c)의 배면에 하나 또는 복수의 나사(131)를 사용하는 판스프링(128) 및 가압부분(129)을 포함하는 단일 부품을 고정하는 바와 같이 소수의 부품만을 사용하는 특히, 소규모의 조립처리만을 실행함으로써, 가이드주축(114)은 매우 정밀하게 그리고 극히 간단하게 섀시(41)에 부착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그 가격이 매우 저감될 수 있으며, 생산성이 매우 향상될 수 있다.
(6) 헤드결합에 대한 설명
도 61∼도 70을 참조하여 헤드결합(110)을 설명한다. 헤드결합(110)의 카트리지(111)는 합성수지 또는 알루미늄과 마그네슘등의 경금속과 같은 고체물질로 이루어져 있다. 플라이닝(flying)헤드구조에 의해 구성된 상하 한쌍의 자기헤드(101, 102)는 각각 상하 한쌍의 헤드아암(112, 113)에 의해 카트리지(111)의 전단에 부착되어 있다. 상하 한쌍의 헤드아암(112, 113)은 성형부품인 합성수지 또는 알루미늄과 마그네슘등의 경금속과 같은 고체물질로 이루어진 아암베이스(arm base)(181)와 판스프링과 같은 탄성물질로 이루어진 서스펜션(suspension)(182)을 포함한다. 상기 서스펜션(182)은 나사(183)를 사용하는 나사고정방법이나 아웃서트(outsert)형성방법에 의해 일체의 구성으로 아암베이스(181)의 선단에 결합되어 있다. 상하 한쌍의 헤드베이스(184)는 상하 한쌍의 헤드아암(112, 113)의 서스펜션(182)의 선단의 수직으로 대향하는 면에 장착되어 있다. 상하 한쌍의 헤드베이스(184)의 수직으로 대향하는 면에는 칩형태를 갖는 상하 한쌍의 자기헤드(101, 102)가 짐벌판(도시생략)을 통하여 부착되어 있다. 상하 한쌍의 자기헤드(101, 102)에 있어서의 아암베이스(181)의 길이(L11)가 상하 한쌍의 헤드아암(112, 123)의 전체길이(L12)의 1/3의 길이로 설정되어 있다. 대용량의 플로피디스크 카트리지(HFDC) 또는 소용량의 플로피디스크 카트리지(FDC)가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전술된 바와 같이 대용량의 플로피디스크 카트리지(HFDC)로부터 화살표(a, b)로 나타낸 방향으로 로드 및 언로드될 때는 거의 하부의 자기헤드(102)를 상하로 이동시킬 필요가 없다. 따라서, 하부의 자기헤드(102)를 지지하는 하부헤드아암(113)의 아암베이스(181)는 카트리지(111)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나사를 사용함으로서 카트리지(111)에 고정될 수 있다. 그러나, 대기록용량의 플로피디스크 카트리지(HFDC) 또는 소용량의 플로피디스크 카트리지(FDC)가 대용량의 플로피디스크 드라이브(HFDD)로부터 화살표(a, b)로 나타낸 방향으로 로드 및 언로드될 때는 상부의 자기헤드(101)를 이들 카트리지(HFDC, FDC)와의 간섭을 피할 수 있도록 상하로 이동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이유로, 상부의 자기헤드(101)를 지지하는 상부의 헤드아암(112)의 아암베이스(181)는 카트리지(111)와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아암베이스(181)는 회전지지기구(186)에 의해 도 63에서 화살표(e, f)로 나타낸 방향 즉, 각각의 상하방향으로 자유롭게 회전될 수 있다.
또한, 회전지지기구(186)는, 이 기구(186)와 일체로 형성되는 한쌍의 좌우 지지핀(187)을 갖추어 구성된다. 지지핀(187)은 상측 헤드아암(112)의 아암베이스(181)의 후단의 좌우측에서 스캐닝 센터(P2)에 대해 직각인 회전중심선(P21)에 형성되는 원통형 축이다. 좌우 지지핀(187)은 상측 자기헤드 부착대(magnet head mounting)(185)의 좌우측에 일체로 형성된 V형 지지핀 체결홈(188)에 상측에서부터 체결된다. 비틀림코일스프링(191)의 코일(191a)이 판형금속이나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스프링 베어링(189) 상에 수평으로 형성된 스프링 지지아암(190)내에 수평으로 삽입된다. 비틀림코일스프링(191)은 자연적으로 회전을 야기하는 수단으로써 기능한다. 스프링 베어링(189)과 비틀림 코일스프링(191)은 아암 베이스(181) 상에 형성된 개구(192)내로 삽입된다. 스프링 베어링(189)이 나사(193)에 의해 상측 자기헤드 부착대(185) 상에 상방으로부터 고정됨으로써, 비틀림코일스프링(191)을 좌우 한쌍의 지지핀(187) 사이의 공간에 근접한 상태로 세트한다. 스프링접촉용 리브(194)는, 스프링접촉용 리브(194)가 개구(192)의 거의 중앙부에 비틀림 코일스프링(191)의 하측부를 가로지르는 방식으로, 아암베이스(181)와 일체로 형성된다. 비틀림코일스프링(191)의 가동단부(191b)는 스프링력에 대항하여, 스프링접촉용 리브(194)에 대하여 하측으로 압착되는 한편, 비틀림코일스프링(191)의 고정단부(191c)는 스프링 베어링에 대하여 상측으로 압착된다.
상기 구성을 갖는 회전지지기구(186)에 의하면, 비틀림코일스프링(191)에 의해 전체 아암베이스(181)가 화살표(r)로 표시된 하측방향으로 이동되며, 좌우 지지핀(187)이 좌우 한쌍의 V형 홈(188)에 대하여 화살표(r) 방향으로 압착된다. 따라서, 좌우 지지핀(187)을 중심으로 화살표(r)로 표시되는 하측방향으로 회전력이 아암베이스(181)에 인가된다. 이 구성에서, 아암베이스(181)가 상측 자기헤드 부착대(185)의 전단 (자기헤드(101) 측)의 상단에 일체로 형성된 좌우 한쌍의 수평기준면(195)에 대해 화살표(f) 방향으로 압착되어 그 위에 고정된다. 따라서, 좌우 지지핀((187)이 좌우의 V형 홈(188)의 2개의 접촉점(P22)에 확고하고 안정한 상태로 접촉된 상태에서, 상측 헤드아암(112)이 좌우의 지지핀(187)을 중심으로 화살표(e, f)로 표시된 상하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아암베이스(181)가 비틀림코일스프링(191)에 의해 화살표(f)방향으로 발생된 힘에 의해 리턴되어 좌우의 수평기준면(195)에 접촉하게 되더라도, 좌우의 지지핀(187)이 좌우의 V형 홈(188)의 2개의 접촉점(P22) 상에서 부유하는 문제점은 발생하지 않는다. 즉, 좌우 한쌍의 지지핀(187)의 지지부에 잡음이 발생하는 문제점은 절대 없으며, 아암 베이스(181)가 지지핀(187)의 주위로 화살표(e, f)방향으로 고정밀도로 회전된다. 또한, 캐리지(carriage)(111)와 상측 헤드 아암(112)과의 사이에는 판스프링 등의 비틀림 및 트위스트에 대한 불안정 요소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비틀림코일스프링(191)에 의해 발생된 스프링력을 초과하는 과도한 외력이 화살표(v)로 표시되는 상측방향으로 인가되지 않는다면 비틀림 및 트위스트에 대한 자유도가 원칙적으로 존재하지 않는다. 그 결과, 상측 자기헤드(101)의 롤링의 악영향이 효과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 또한, 캐리지(111)에 대한 상측 헤드아암(112)의 서스펜션(suspension)(182)의 설치정밀도를 확보할 수 있다. 더욱이, 과도한 외력에 의해, 좌우 한쌍의 지지핀(187)이 좌우 한쌍의 V형 홈(188)에서 상방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수단으로써, 좌우 한쌍의 지지핀(187)을 상측으로부터 누르는 좌우 한쌍의 지지핀 누름판(206)이 나사(207)에 의해 상측자기헤드 부착대(185)의 좌우 양측에서 나사로 조여지도록 구성된다.
판스프링 등으로 이루어지는 치우침 세팅 스프링(aside setting spring)(197)의 전단측은, 회전지지기구(186) 상의 상측 자기헤드 부착대(185)의 전단측의 일측에 형성된 스프링 체결홈(196) 내로 삽입되어 고정된다. 아암베이스(181) 전체는 치우침 세팅 스프링(197)의 후단에 의해 화살표(w)로 표시된 치우침 방향으로 슬라이드된다. 하나의 지지핀(187)의 말단면 (또는 하나의 V-형 홈(188)의 측면)에 일체로 형성된 피벗(198)은 하나의 V-형 홈(188)의 측면 (또는 하나의 지지핀(187)의 말단면)에 대항해서 탄성적으로 가압된다. 따라서, 상측 헤드아암(112)의 화살표 (e, f)방향으로의 회전이 스무스하게 행해지더라도, 상측 헤드아암(112)내의 서스펜션(182)의 전단에 의해 지지되는 상측 자기헤드(101)의 플로피디스크(1)의 원주방향에서의 위치정밀도를 확보할 수 있다. 즉, 플로피디스크(1)에 대한 상측 자기헤드(101)의 위치 정밀도는 높은 신뢰도로 확보될 수 있다. 또한, 각 헤드아암(112, 113)에 강성부재로 이루어진 아암베이스(181)를 이용함으로써, 서스펜션(182)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다. 따라서, 트래킹서보에 대해 악영향을 갖는 서스펜션(182)의 진동공진점이 높은 위치로 유지될 수 있으며, 상하측 자기헤드(101, 102)의 공진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긴 서스펜션(182)이 캐리지(carriage) (111)에 직접 부착되는 헤드아암의 경우, 서스펜션(182)의 스프링정수가 더욱 완만하게 된다. 따라서, 플로피디스크 드라이브(HFDD)의 자세가 변할 경우, 서스펜션(182) 무게의 영향에 의해, 플로피디스크(1)에 대한 상하측 자기헤드(101, 102)의 높이도 변하게 되고, 플로피디스크 드라이브(HFDD)는 외부로부터의 진동에 더욱 민감하게 된다. 그러나, 서스펜션(182)을 짧게 함으로써, 이러한 문제점을 상당부분 해결할 수 있다.
한쌍의 좌우 슬라이드 아암(199)은, 상측 헤드아암(112)내의 아암 베이스(181)의 전단, 즉 상측 자기헤드(101)측의 말단의 좌우측에 일체로 형성된다. 도 49에 도시된 바와같이, 좌우측 슬라이드아암(199)은, 카트리지 홀더(56)의 천정판(56a)의 후단측의 중앙부를 스캐닝센터(P2)를 따라 절결하여 형성된 헤드삽입용 개구(73)의 좌우측 에지의 상부에 장착됨으로써, 좌우측 슬라이드 아암(199)은 화살표(a, b) 방향으로 자유롭게 슬라이드된다.
따라서, 이 대용량의 플로피 디스크(HFDD)에 의하면, 대용량의 플로피 디스크 카트리지(HFDC)나 소용량 플로피디스크 카트리지(FDC)의 언로딩 상태에서, 카트리지 홀더(56)가 도 53에 도시된 언로딩위치(P13)까지 화살표(h)방향으로 상승될때, 상측 헤드아암(112)의 좌우측 슬라이드 아암(199)이 카트리지 홀더(56)에 의해 화살표(h)방향으로 상측으로 눌리게 되며, 따라서 도 66 및 도 69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측 헤드아암(112)의 아암 베이스(181)는, 좌우 지지핀(187)을 중심으로 비틀림코일스프링(191)에 의해 생긴 힘에 대항하여 화살표(e) 방향으로 상측으로 회전되며, 서스펜션(182)과 상측 자기헤드(101)는, 대용량의 플로피디스크 카트리지(HFDC)나 소용량 플로피디스크 카트리지(FDC)가 각각 화살표(a, b) 방향으로 삽입 또는 배출될때 간섭되지 않는 높은 위치까지 화살표(f) 방향으로 후퇴한다. 반면, 하측 자기헤드(102)는 초기에, 대용량의 플로피디스크 카트리지(HFDC)나 소용량 플로피디스크 카트리지(FDC)의 화살표(a 또는 b) 방향으로의 삽입 또는 제거에 의해 간섭되지 않는 낮은 위치로 설정된다.
다음으로, 대용량의 플로피디스크 카트리지(HFDC)나 소용량의 플로피디스크 카트리지(FDC)의 로딩작동이 완료된 상태에서, 카트리지 홀더(56)는 도 54a에 도시된 로딩위치(P14) 까지 화살표(g) 방향으로 하강된다. 이 상태에서, 우선, 도 69 및 도 70에 도시된 바와같이, 하측 자기헤드(102)는, 대용량의 플로피디스크 카트리지(HFDC)나 소용량의 플로피디스크 카트리지(FDC)의 하측헤드 삽입공(7) 내로 상측으로 삽입되어, 그 플로피디스크(1)의 하면에 접촉된다. 그후, 카트리지 홀더(56)가 상측 헤드아암(112)의 좌우 슬라이드 아암(199)의 최하측 위치보다 낮은 위치까지 화살표(g)방향으로 하강된다. 또한, 도 65, 도 67 및 도 70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측 헤드아암(112)의 아암 베이스(181)가 좌우의 지지핀(188)을 중심으로 하여 비틀림코일스프링(191)에 의해 화살표(f) 방향으로 하강 회전되어, 좌우 수평기준면(195)에 접촉되어 고정된다. 그후, 상측 자기헤드(101)는 상측 헤드아암(112)의 서스펜션(182)에 의해, 대용량의 플로피디스크 카트리지(HFDC)나 소용량의 플로피디스크 카트리지(FDC)의 상측 헤드삽입공(7) 내로 하방으로 삽입되어, 이 플로피디스크(1)의 상면에 접촉하게 된다. 상기 설명된 회전지지기구(186)는, 상하의 서스펜션(182)의 플로피디스크(1)에 대한 거리, 평행도 및 평면도를 높은 정밀도로 제어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상하측 서스펜션(181)은 비틀림이나 트위치스 등의 불안정한 요소를 갖지 않는다. 따라서, 특별히 플로피디스크(1)가 적어도 3,600rpm의 높은 회전속도로 회전구동되는 대용량의 플로피디스크 카트리지(HFDC)의 경우와, 상하의 자기헤드(101, 102)가 플로피디스크(1)의 상면과 하면에서 각각 에어필름에 의해 분리되어 100MB이상의 데이터를 고밀도로 기록 및/또는 재생할 경우, 상하의 자기헤드(101, 102)는, 상하 서스펜션(182) 하중의 밸런스에 의해, 각각 플로피디스크(1)의 상면과 하면의 상측 및 하측의 안정한 높이로 높은 안정도로 부상할 수 있으며, 상하 자기헤드(101, 102)의 불규칙한 롤링은 야기하지 않는다. 동시에, 플로피디스크(1)에 대해 약간의 면 진동이 발생되는 경우에도, 상하 자기헤드(101, 102)는 스무스한 스캐닝으로 구동될 수 있으므로, 데이터의 플로피디스크(1)에 대한 기록 및/또는 재생을 안정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하측 헤드아암(113)도 상측 헤드아암(112)과 동일하게 회전지지기구(186)에 의해, 하측 헤드아암(113)이 상하방향 (화살표(e, f)방향)으로 자유롭게 회전될 수 있도록, 캐리지(111)에 부착될 수 있다.
(7) 트래킹서보에 대한 설명
도 71 및 도 72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발명의 대용량 플로피디스크 드라이브(HFDD)에 장착된 대용량의 플로피디스크 카트리지(HFDC)의 대용량 (상위) 플로피디스크(1)에 대해서 트래킹 서보가 행해진다.
도 71에 도시된 바와같이, 트래킹 서보는, 각 서보프레임에 대해 서보작동을 행하는 매립형 서보방식을 채용하고, 그로 인해 포맷정보가 서보영역 내에 기입된다. 이 포맷정보는 일반적으로 대용량의 플로피디스크(1)의 포맷이나 버전차를 대용량의 플로피디스크 드라이브(HFDD)에 통지하는데 이용되며, 이것은 서보영역(SA) 내에 기록되어 있다.
도 72에 도시된 바와같이, 대용량의 플로피디스크(1)는, 사용자 데이터기록/재생영역 내에 형성되는 트랙(TRUi, TRUi-1, …, TRUk, …TRUm-1, TRum)과, 사용자 데이터기록/재생영역 외측의 외주 위치에 형성되는 엠프티 트랙(empty track) (TRE0, TRE2, …, TREi-1)과, 사용자 데이터기록/재생 영역 외측의 내주위치에 형성되는 엠프티 트랙 (TREm+1, …, TREn-1, TREn)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들 트랙은 반경방향으로 놓여있다.
대용량의 플로피디스크(1)의 내주방향에는, 다수의 서보프레임 (SF1, SF2, …, SF8, …, SFn)이 형성되어 있다. 서보프레임의 수(h)는 보통 100이다. 따라서, 대용량의 플로피디스크(1)의 기록 및/또는 재생 시에, 정보가 서보프레임(SF1, SF2, …SF8, …, SFn)에서 독출됨으로써, 높은 정밀도로 트랙킹을 행하게 된다.
(8) 헤드상승 및 하강기구에 대한 설명
이하에는, 도 1 내지 도 17에 도시된 바와같이, 이 대용량의 플로피디스크 드라이브(HFDD)에는, 한쌍의 상하 서스펜션(182)을 거쳐서 캐리지(111)에 지지되는 한쌍의 상하 자기헤드(101, 102)를, 디스크형 기록매체인 플로피디스크(1)의 상하면에 접촉되는 헤드로딩위치와, 디스크(1)의 상하면의 상하로 이동되는 헤드언로딩 위치와의 사이에서, 상승 및 하강시키는 헤드상승 및 하강 기구(331)가 조립되어 있다.
이 헤드상승 및 하강기구(331)는 도 5 ∼ 도 11에 도시된 바와같이, 수평으로 로드되는 대용량의 플로피디스크 카트리지(HFDC) 및 소용량의 플로피디스크 카트리지(FDC)의 카트리지(5)의 외주인 전단면(5a) 보다 훨씬 후방위치에서 섀시(41) 상의 로딩위치에 선택적으로 배치된다.
이 헤드상승 및 하강기구(331)에서, 상기 카트리지 로딩기구(58)의 슬라이드판(57)은 제 1의 슬라이드판(이하, 제 1 슬라이드판 칭함)으로 구성되고, 한쌍의 상하 헤드상승 및 하강아암(332, 333)이 제 2 슬라이드판(334) 상에 장착된다.
한쌍의 상하 헤드상승 및 하강아암(332, 333)은 한쌍의 상하 서스펜션(182)의 길이방향인 스캐닝센터(P2)에 직각으로 한쌍의 상하 서스펜션(182) 내측으로 (사이로) 수직으로 삽입된다. 스캐닝센터위치(P2)와 평행한 고정된 가이드축(335)이 상하 한쌍의 서스펜션(182) 사이에 수평으로 조립되고, 수평 피벗축(336)이 가이드축(335)의 측부위치에 제 2슬라이드판(334) 상에 가이드축(335)에 평행하게 조립된다.
가이드축(335)은 도 59 및 도 60에 도시된 바와같이, 캐리지(111)의 가이드 주축(114)의 선단에 동심상으로 일체로 형성되고, 피벗축(336)은 제 2의 가이드판(334)에서 절단된 지지부(334a)에 조립된다. 피벗축(336)이 상하 한쌍의 헤드상승 및 하강아암(332, 333)의 일단(332a, 333a)에 형성된 축삽입공(337, 338) 내에 삽입되고, 이들 상하의 헤드상승 및 하강아암(332, 333)이 피벗축(336)을 중심으로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화살표(A, B)의 상하측방향으로 대칭적으로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캠홈(339, 340)이, 상하 한쌍의 헤드상승 및 하강아암(332, 333)의 타단(332b, 333b)측에, 길이방향으로 수평으로 형성되고, 가이드축(335)이 축방향에 직교하는 한쌍의 상하 캠홈(339, 340) 내로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삽입된다. 한쌍의 상하의 헤드상승 및 하강아암(332, 333)을 화살표(A, B)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한쌍의 상하 캠작용부(339a, 340a)가, 한쌍의 상하 캠홈(339, 340)의 피벗축(336) 측의 단부에 상하로 대칭적으로 굴곡된 형상으로 형성된다.
한쌍의 상하 헤드상승 및 하강아암(332, 333)의 길이방향의 중간부에는, 수평으로 굴곡된 서스펜션 뒷면판(suspension backing plate)(332c, 333c)이 한쌍의 상하 자기헤드(101, 102)측에 이들 아암의 상측에지와 저면에지에 직각으로 일체로 형성된다. 상측 자기헤드(101)를 상승 및 하강시키는 하나의 헤드상승 및 하강아암(333)은 가이드축(335)과 피벗축(336)에 따라서 전/후방향인 화살표(C, D) 방향으로 자유롭게 슬라이드되도록 형성된다. 하측 자기헤드(102)를 상승 및 하강시키는 다른 편의 헤드상승 및 하강아암(333)이 제 1의 헤드상승 및 하강아암(332)의 앞측 (화살표(a) 측)에 배치됨으로써, 다른 편의 헤드상승 및 하강아암(332)의 화살표(C, D)방향의 슬라이딩이 금지된다. 구체적으로, 다른 편의 헤드상승 및 하강아암(333)의 하단에지에 형성된 슬릿(341)이, 제 2의 슬라이드판(334)의 지지편(334a)의 일부에 형성된 수직의 가이드편(342)에 화살표(A, B)방향으로 자유롭게 슬라이드되도록 체결되고, 그 결과, 이 다른 편의 헤드상승 및 하강아암(333)의 화살표(C, D)방향의 슬라이딩을 금지하게 된다. 한편의 헤드상승 및 하강아암(332)의 하측에지에서 굽혀진 수평 스프링스톱부(horizontal spring stop)(343)와 제 2의 슬라이드판(334)으로부터 절결된 스프링스톱부(345)와의 사이에, 슬라이드 푸쉬수단인 풀코일스프링(pull coil spring)(345)이 걸리고, 이 풀코일스프링(345)에 의해, 헤드상승 및 하강아암(332)은 가이드축(335)과 피벗축(336)에 따라 화살표(C)방향으로 슬라이드 되도록 눌려진다. 도 14, 도 30 및 도 31에 도시된 바와같이, 제 2의 슬라이드판(334)에 부착된 회전수단인 그립 코일스프링(grip coil spring)(346)에 의해, 헤드상승 및 하강아암(332)이 화살표(A)방향, 즉 상방으로 실패없이 회전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 그립코일스프링(346)이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이 제 2 슬라이드판(334)은 섀시(241) 상에서 한쌍의 가이드핀(347) 및 가이드홈(348)에 의해 안내되고, 스캐닝센터(P2)에 대해 경사진 경사방향인 슬라이드센터(P334)에 따라서 화살표(E, F)방향으로 형성된다. 이 제 2슬라이드판(334)의 슬라이딩에 의해 한쌍의 상하 헤드상승 및 하강아암(332, 333)이 상하 서스펜션(182)의 내측에(사이에) 화살표(E, F) 방향에서 삽입 및 배출된다.
도 9 내지 도 21에 도시된 바와같이, 제 1 슬라이드판(57)과 동방향인 화살표(a, b)방향으로 자유롭게 슬라이드되도록 형성된 제 3슬라이드판(351)이 제 1슬라이드판(57)과 제 2슬라이드판(334)과의 사이에 배치된다. 제 3슬라이드판(351)과 제 2슬라이드판(334)은, 2세트 기어인 랙(rack)(352)과 피니언(pinion)(353), 피니언(354)과 랙(355)으로 구성된 방향변환수단(356)과 연동된다. 제 2슬라이드판(334)은, 제 3 슬라이드판(351)의 화살표(a, b)방향의 슬라이딩과 동기로, 화살표(C, D) 방향으로 슬라이드되도록 구성된다. 이 제 3슬라이드판(351)은 섀시(41)에 부착되어 있는 트리거레버(84)의 보스(84a)와 높이기준핀(65)의 기부에서 한쌍의 가이드홈(357)에 의해 자유롭게 슬라이드되도록 체결된다.
도 9 내지 도 21에 도시된 바와같이, 가드 모터를 갖춘 배출모터(80)에 의해 제 1 및 제 3의 슬라이드판(57, 351)을 선택적으로 구동하는 구동기구(361)가 배출캠(82)의 배출구동핀(81)과, 제 1 슬라이드판(57)의 배출아암부(83)와, 제 3슬라이드판(351)에 부착된 성형부품인 전달아암(362)과를 갖추어 구성된다.
이 전달아암(362)은 제 3의 슬라이드판(351)의 후단 (화살표(a)방향에서 후단부)에 형성된 아암지지부재(351a)에 화살표(a, b)방향에 대하여 직각으로 수평으로 조립되어, 화살표(G, H)방향으로 자유롭게 회전하게 된다. 이 전달아암(362)의 외측에지에서 후방측(화살표(a)방향측)으로 돌출된 아암부(363)에, 배출구동핀(81)이 화살표(b)방향에서 선택적으로 접촉되도록 구성된다.
이 아암부(363)의 외측에 직각으로 일체 형성된 핀(364)이 제 1의 슬라이드판(57)의 배출아암부(83)에 화살표(d)방향에서 접촉하게 구성된다. 긴 스트로크를 갖는 풀코일스프링(367)이, 이 아암부(363)의 내측에 직각으로 일체 형성된 스프링스톱부(365)와, 후방 (화살표(a)방향측)을 향해 충분한 위치에서 섀시(41) 상에 형성된 스프링스톱부(366)와의 사이에 걸쳐진다. 이 풀코일스프링(367)은 전달아암(362)을 거쳐서 제 3의 슬라이드판(351)을 화살표(a)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는 동시에, 전달아암(362)을 상방인 화살표(G)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한다. 풀코일스프링(367)은, 헤드상승 및 하강기구(331) 전체를 화살표(E)방향으로 슬라이드하게 하는 슬라이딩수단을 형성한다. 링크수단인 돌기(368)가, 제 1 슬라이드판(57)의 배출아암(83)의 내측에, 화살표(b)방향으로 선단(83a)에서 화살표(b)방향으로 간격져 떨어진 위치에 형성되며, 이 돌기(368)가 전달아암(362)의 접촉부(369)와 화살표(a)방향에서 접촉하게 된다.
우선, 상기 구성을 갖는 헤드상승 및 하강기구(331)의 동작을 대용량의 플로피디스크 카트리지(HFDC)의 경우에 설명하면, 카트리지가 언로딩 상태일 때, 캐리지(111)의 상측헤드아암(112)은 상기와 같이 언로딩위치로 상승 복귀된 카트리지홀더(56)에 의해 도 69에 도시된 상승된 철회위치까지 화살표(e)방향으로 상승되고, 상측자기헤드(101) 및 서스펜션(182)이, 서스펜션(182)의 탄성복귀력에 대항해서 도 2에 도시된 상승된 철회위치까지 화살표(A) 방향으로 눌린다. 이 카트리지 언로딩상태에서, 도 9에 도시한 바와같이, 제 3의 슬라이드판(351) 풀코일스프링(367)에 의해 이 화살표(a) 방향으로 슬라이드되고, 제 2의 슬라이드판(324)이 방향변환수단(356)을 거쳐서 화살표(E) 방향으로 슬라이드되고, 도 1d에 도시된 바와같이, 헤드상승 및 하강기구(331)의 한쌍의 상하 헤드상승 및 하강아암(332, 333)이 한쌍의 상하 서스펜션(182) 사이의 가장 깊은 부분까지 화살표(E)방향으로 삽입된다. 가이드축(335)은, 이들 한쌍의 헤드상승 및 하강아암(332, 333)의 한쌍의 캠홈(339, 340) 내로 화살표(E)방향으로 삽입된다. 이들 캠홈(339, 340)의 최심부에 형성된 한쌍의 캠작용부(339a, 340a)가 가이드축(335)의 상하로 체결됨으로써, 이들 상하 한쌍의 헤드상승 및 하강아암(332, 333)이 피벗축(336)을 중심으로 외측인 화살표(A)방향으로 상하로 대칭적으로 회전된다. 이때, 서스펜션(182)은, 하측 헤드상승 및 하강아암(333)의 서스펜션 뒷면판(333c)의 하측인 화살표(A) 방향으로 조금 눌려진다.
상기 설명된 바와같이, 대용량의 플로피디스크 카트리지(HFDC)가 도 53에 도시한 카트리지 홀더(56) 내에서 화살표(a)방향에서부터 내측으로 눌리고, 제 1 슬라이드판(57)이 언로딩위치(P11)에서 로딩위치(P12)까지 화살표(b) 방향으로 슬라이드 되고, 대용량의 플로피디스크 카트리지(HFDC)가 언로딩 위치(P13)에서 도 54에 도시된 로딩위치(P14)까지 화살표(g)방향으로 하측으로 눌려지는 카트리지 로딩상태로 될 경우, 도 3에 도시한 바와같이 서스펜션(182)이 상측 헤드상승 및 하강아암(332)의 서스펜션 뒷면판(332c)과 접촉된다. 이 상태에서, 한쌍의 상하 자기헤드(101, 102)는 플로피디스크(1)의 상하양면의 상측 및 하측에 위치되는 헤드 언로딩위치로 유지된다. 따라서, 카트리지 로딩동작에 의해, 한쌍의 상하 자기헤드(101, 102)가 플로피디스크(1)의 상하 양면과 접촉하게될 위험이 전혀 없다.
그 후, 후술하는 바와같이, 데이터 기록 또는 재생의 코맨드신호가 호스트 컴퓨터로부터 입력되는 경우, 재 3 슬라이드판(351)은 후술하는 바와같이 배출모터(80)에 의해 도 10에 도시한 바와같이 화살표(b) 방향으로 슬라이드 구동되고, 제 2 슬라이드판(334)이 방향변환수단(356)을 거쳐서 화살표(F) 방향으로 안전속도로 슬라이드되고, 한쌍의 상하 헤드상승 및 하강아암(332, 333)이 도 1c, 도 1b 및 도 1a에 도시된 바와같이, 한쌍의 상하 서스펜션(182)으로부터 화살표(F)방향으로 안전속도로 배출된다. 이때, 한쌍의 상하 헤드상승 및 하강아암(332, 333)의 한쌍의 캠홈(339, 340)은 가이드축(335)로부터 화살표(F)방향으로 배출되고, 한쌍의 상하 헤드상승 및 하강아암(332, 333)이 피벗축(336)을 중심으로 내측으로 화살표(B) 방향으로 상하 대칭적으로 회전되어 닫힌다.
이러한 것이 발생하면, 한쌍의 상하 서스펜션(182)은 한쌍의 상하 헤드상승 및 하강아암(332, 333)에 동기로 이들의 탄성복귀력에 의해 내측으로 화살표(B)방향으로 안정속도로 닫히며, 한쌍의 상하 자기헤드(101, 102)가 플로피디스크(1)의 상하양면에 화살표(B)방향에서 상하 대칭적으로 안전속도로 근접하게 된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같이, 한쌍의 상하 헤드상승 및 하강아암(332, 333)의 상하 한쌍의 서스펜션 뒷면판(332c, 333c)이 상하 한쌍의 서스펜션(182)에서 화살표(F)방향으로 안전하게 배출된 경우에는, 도 1a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한쌍의 상하 자기헤드(101, 102)가 플로피디스크(1)의 상하면에 접촉된 헤드로딩위치로 안전속도로 화살표(B) 방향으로 닫힌다. 이 헤드로딩동작은 소프트 랜딩 (soft landing) 동작이다.
이 소프트랜딩동작이 왼료된 후에, 호스트 컴퓨터로부터의 코맨드에 의해 플로피디스크(1)로의 데이터 기록 및/또는 재생이 행해진다. 이 데이터의 기록 및/또는 재생 후에 카트리지가 배출될 경우, 또한 제 1 슬라이드판(57)이 도 54에 도시된 로딩위치에서 도 53에 도시한 언로딩위치까지 화살표(a) 방향으로 슬라이드 복귀되는 경우, 제 1 슬라이드판(57)의 배출아암부(83)의 내측에 형성된 돌기(368)는, 상기 설명된 바와같이, 도 20a, 20b에 도시된 바와같이 전달아암(362)의 접촉부(369)에 화살표(a) 방향에서 접촉하게 되고, 이것이 동일한 방향으로 눌린다. 도 9에 도시된 바와같이, 제 3슬라이드판(351)이 전달아암(362)과 함께 화살표(a)방향으로 슬라이드되고, 제 2슬라이드판(334)가 방향변환수단(356)을 거쳐서 화살표(E) 방향으로 슬라이드 구동된다. 그 결과, 도 1a, 도 1b, 도 1c, 도 1d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같이, 헤드상승 및 하강기구(331)의 상하 한쌍의 헤드상승 및 하강아암(332, 333)이 상하 한쌍의 서스펜션(182)의 내측으로 화살표(C)방향에서부터 다시 삽입되고, 상하 한쌍의 서스펜션(182)이 이들의 탄성복귀력에 대항해서 화살표(A)방향으로 떨어지도록 다시 눌리고, 상하 한쌍의 자기헤드(101, 102)가 다시 언로딩위치까지 언로딩된다.
(9) 래치기구에 대한 설명
다음에는, 도 9 ∼ 도 17, 도 23 및 도 24에 도시된 바와같이, 이 대용량의 플로피디스크 드라이브(HFDD)에 래치기구(381)가 조립된다. 상기 설명된 헤드로딩 상태에서, 래치기구(381)는, 상기 설명된 헤드상승 및 하강기구(331)의 한쌍의 상하 헤드상승 및 하강아암(332, 333)이 한쌍의 상하 서스펜션(182)의 내측으로부터 화살표(F)방향으로 완전히 배출된 경우, 이들 한쌍의 상하 헤드상승 및 하강아암(332, 333)를 기계적으로 유지한다. 따라서, 헤드상승 및 하강기구(331)의 상하 한쌍의 헤드상승 및 하강아암(332, 333)는 플로피디스크(1)로의 데이터기록 및/또는 데이터재생을 하는 동안 상하 한쌍의 자기헤드(101, 102)와 불규칙적으로 접촉하지 않게 된다.
이 래치기구(381)는, 상기 선형 액츄에이터(103)의 최상부에 부착된 요크누름판(147)의 전단측의 측부에서 일체로 형성되는 카트리지 홀더(382) 상에 길이방향에서 수평으로 부착된 플런저 솔레노이드인 플런저(383)와, 이 홀더(382) 상에 피벗축(384)을 거쳐서 화살표(I, J) 방향으로 거의 90°의 회전각으로 자유롭게 회전되도록 부착된 그의 C자형의 회전아암(385)과, 이 회전아암(385)의 선단에서 핀(386)을 거쳐서 일정각도 내에서 자유롭게 회전되도록 부착된 흡착편(387)을 갖추어 구성된다. 필요하다면, 회전아암(385)을 화살표(J)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그립코일스프링(388) 등과 같은 회전가세수단이 예를들어 피벗축(384)의 외주 등에 부착된다. 회전아암(385)에 의해 래치되는 헤드상승 및 하강기구(331)의 피래치부재(390)가 제 2 슬라이드판(334) 상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지만, 공간적인 관계를 고려할때, 2세트의 기어(352, 353, 354, 355)로 이루어진 방향변환수단에 의해 제 2슬라이드판(334)에 기계적으로 연결되는 제 3 슬라이드판(351) 상으로 굽혀지게 하강된다.
이 래치기구(381)가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경우, 도 9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하 한쌍의 자기헤드(101, 102)가 헤드 로딩상태에 있을 때에는, 상기 설명된 바와같이, 제 3 슬라이드판(351)이 화살표(a)방향으로 슬라이드되고, 제 2의 슬라이드판(334)을 화살표(C) 방향으로 슬라이드 구동함으로써 상하 한쌍의 헤드상승 및 하강아암(332, 333)이 상하 한쌍의 서스펜션(182)의 내측으로 화살표(E)방향에서 삽입된다. 이때, 도 16에 도시된 바와같이, 피래치부재(390)는 래치기구(381)의 회전아암(385)을 그립코일스프링(388)에 대항해서 래치해제위치까지 화살표(I) 방향으로 탈출하게 한다.
플런저(383)의 코일(383a)은 이 대용량의 플로피디스크 드라이브(HFDD)에 의해 전압이 가해진다. 전원이 공급된다. 그후, 제 3슬라이드판(351)이 도 10에 도시한 바와같이 화살표(b)방향으로 슬라이드 구동되고, 한쌍의 상하 헤드상승 및 하강아암(332, 333)이 서스펜션(182)의 내측에서부터 화살표(D)방향으로 배출되고, 한쌍의 상하 자기헤드(101, 102)의 헤드 로딩상태가 화살표(F)방향으로 제 2슬라이드판(334)의 슬라이딩에 의해 상기 설명된 바와같이 실행된다. 제 3 슬라이드판(351)에 의해 화살표(b)방향으로 이동되면, 그와 동시에 회전아암(385)이 그립코일스프링(345)에 의해 래치위치까지 화살표(J)방향으로 회전되고, 흡착편(387)이 플런저(383)에 흡착되고, 회전아암(385)이 도 15에 도시된 바와같이, 래치위치에서 잠겨진다. 따라서, 래피부재(390)의 화살표(a) 방향으로의 이동이 금지되고, 제 3 슬라이드판(351)에 기계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제 2슬라이드판(334)이 화살표(F)방향에서 슬라이드위치에서 잠겨지고, 한쌍의 상하 자기헤드(101, 102)의 헤드 로딩상태가 안전하게 유지된다. 플런저(383)의 코일(383a)의 통전이 중단되는 경우, 상기한 헤드 로딩상태의 래치가 해제된다.
이하에서, 회전아암(385)을 사용하는 래치기구(381)의 중요사항을 설명하면, 래치기구(381)는, 도 26 및 도 27에 도시된 바와같이, 흡착편(387)이 제 3슬라이드판(351)에 직접 부착되더라도 헤드 로딩상태를 유지하는 기능을 한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제 3슬라이드판(351)에 대해 작용하는 풀코일스프링(367)의 스프링 반발력이 플런저(383)에 대해 직접적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플런저(383)의 흡착력을 크게 해야만 했다.
그러나, 도 23 및 도 24에 도시한 바와같이, 거의 C형인 회전아암(385)이 거의 90°로 회전하고 플런저(383)에서 흡착하는 방식에서는, 회전아암(385)이 흡착되는 방향과, 제 3슬라이드판(351)에 대해 작동하는 풀코일스프링(367)의 스프링력의 방향과의 사이에 하나의 각도가 유도될 수 있다. 그 결과,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런저(383)에 흡착편(387)이 흡착되는 흡착력(F)과, 풀코일스프링(367)에 의해 흡착편(387)이 플런저(383)로부터 떨어져 나가는 박리력(peeling force)(F') 사이의 관계가 유지되고, 도 25에 도시된 바와같이, 흡착력(F)이 박리력(F')보다 작게 되는 것이 좋다 (F<F'). 흡착력(F)이 감소될 수 있다면, 플런저(383)의 코일(383a)을 통전시키는데 필요한 전류가 감소될 수 있으며, 따라서 전력감축을 얻게 되며, 플런저(383)에 의한 발열도 억제되고, 플런저(383)를 소형화함으로써, 스페이스를 절약할 수 있다.
도 25의 수학식의 경우, F는 흡착력이고, F1은 흡착편(387)에 대해 작동하는 회전반경(R1)의 모멘트이고, F2는 피래치부재(390)이 회전아암(385)을 누르는 회전반경(R2)의 모멘트이고, F'는 풀코일스프링(367)의 스프링력에 의한 박리력이다.
만일 이들 모멘트를 정리하면, 우리는,
R1×F1 = R2×F2
또는 F1 = F/sinfθ, F2 = F'×sinθ' 이며, 따라서
F' = (R1/R2)×(1/sinθ×cosθ')×F
로 된다. 따라서, θ가 90°에서 0°으로 근접하게 될때, F>F'의 관계는 회전아암(385)의 회전중심에서 부터 반경(R1, R2)에 의해 결정된다.
도 23 및 도 24에 도시한 래치기구(381)에서는, 회전아암(385)이 그립코일스프링(388)에 의해서, 플런저(383)에 의해 흡착되는 방향으로 회전되지만, 도 28 및 도 29에 도시한 바와같이, 피래치부재(390)가 회전아암(385)에 형성된 연결용 구멍(391) 내에서 원활히 움직이도록 체결되고, 이 피래치부재(390)와 회전아암(385)이 원활히 움직이도록 기계적으로 결합되더라도, 제 3의 슬라이드판(351)의 화살표(a, b)방향의 슬라이딩에 의해 피래치부재(390)에 의해 회전아암(385)이 화살표(I, J)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이 구성에 의해, 도 23 및 도 24에 도시한 그립코일스프링(388)을 생략할 수도 있고, 부품수와 조립공정수를 줄일 수 있다.
(10) 슬라이드기구의 설명
다음에는, 대용량의 플로피디스크 카트리지(HFDC)가 카트리지로딩 및 배출 시에 헤드상승 및 하강기구(331)의 상측 헤드상승 및 하강아암(332)과 간섭하지 않고, 이들 부재를 파손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도 5∼도 7, 도 30 및 도 31에 도시한 바와같은 슬라이드기구(401)가 이 대용량의 플로피디스크 드라이브(HFDD)에 조립된다.
이 슬라이드기구(401)에서는, 제 1 슬라이드판(57)에 형성된 랙(402)에 의해 회전되는 캠기어(403)가 섀시(41) 상에서 자유롭게 회전되도록 부착되고, 판스프링(405)의 일단부의 원통형부(405a)가 섀시(41) 상에 설치된 원통형부재 체결부(404)의 외주에 자유로이 회전되도록 체결되고, 이 판스프링(405a)의 중간부가 캠기어(403)와 일체로 형성된 거의 초승달모양의 캠(403a)의 화살표(b) 방향에서 체결되고, 이 판스프링(405)의 일단부(405b)가 상측 헤드상승 및 하강아암(332)에 일체로 형성된 판스프링(406)에 화살표(a)방향에서 체결된다. 상측 헤드상승 및 하강아암(332)이 풀코일스프링(345)에 의해 화살표(b) 방향으로 슬라이드된다.
이 슬라이기구(401)에 의하면, 도 5에 도시한 카트리지 로딩상태에서, 도 30에 도시한 바와같이, 캠기어(403)는 제 1의 슬라이드판(57)이 화살표(b) 방향으로 슬라이딩에 의해, 랙(402)에 의해 화살표(K) 방향으로 최초의 위치로 회전되고, 판스프링(405)이 원통형 부재 체결부(404)를 중심으로 특정각도 내에서 자유롭게 회전된다. 상측헤드상승 및 하강아암(332)은 풀코일스프링(345)에 의해 가이드축(335)과 피벗축(336)에 따라 화살표(b) 방향으로 슬라이드되고, 서스펜션 뒷면판(333c)이 대용량의 플로피디스크 카트리지(HFDC)의 전단부(5a)의 상부와 중첩되는 위치까지 화살표(b)방향으로 이동된다.
도 6, 도 7 및 도 31에 도시한 바와같이, 대용량의 플로피디스크 카트리지(HFDC)가 배출되고, 제 1슬라이드판(57)이 화살표(a)방향으로 슬라이드될때, 랙(402)이 캠기어(403)를 화살표(M)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캠(403)이 판스프링(405)을 화살표(a)방향으로 누르고, 이 판스프링(405)이 원통형부(405a)를 중심으로 화살표(N)방향으로 회전된다. 판스프링(405)이 상측 헤드상승 및 하강아암(332)의 판스프링 체결부(406)를 화살표(a)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누르고, 상측 헤드상승 및 하강아암(332)이 풀코일스프링(345)에 대항해서 가이드축(335)과 피벗축(335)을 따라서 화살표(a) 방향으로 슬라이드된다. 상측 헤드상승 및 하강아암(332)의 서스펜션 뒷면판(333c)이 대용량의 플로피디스크 카트리지(HFDC)의 전단부(5a)에서 화살표(a)방향으로 끌어당겨진다. 따라서, 이 슬라이드구동 후에, 대용량의 플로피디스크 카트리지(HFDC)가 로딩위치에서 언로딩위치로 배출되는 경우, 대용량의 플로피디스크 카트리지(HFDC)는 상측 헤드상승 및 하강아암(332)을 간섭하지 않고 안전하게 배출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한쌍의 상하 헤드상승 및 하강아암(332, 333)을 제 2의 슬라이드판(334)에 의해 트래킹센터(P2)에 대해서 경사진 슬라이딩센터(P334)에 따라서 화살표(E, F)방향으로 슬라이드하는 방식에서, 한쌍의 상하 서스펜션(182)의 내측으로 한쌍의 상하 헤드상승 및 하강아암(332, 333)을 삽입함으로써 한쌍의 서스펜션 뒷면판(332c, 333c)이 상하 한쌍의 자기헤드(101 102)에 근접할 수 있고, 이들 한쌍의 상하 헤드상승 및 하강아암(332, 333)에 의해 한쌍의 상하 서스펜션(182)의 자기헤드 근방위치가 화살표(A, B)방향으로 상승 및 하강될 수 있다. 한쌍의 상하 자기헤드(101, 102)의 헤드로딩위치와 헤드언로딩위치와의 사이에서의 상승 및 하강구동이 정확히 행해질 수 있으며, 상당히 유효하다.
이하에는, 도 18∼도 20을 참고하여, 배출모터(80)에 의해 구동기구(361)를 거쳐서 제 1 및 제 3의 슬라이드판(57, 351)의 선택적 구동에 대해 설명하면, 도 18에 도시한 바와같이, 우선 배출모터(80)의 배출캠(82)의 출력핀인 배출구동핀(81)이 초기위치(PP)에서 초기화되고, 상기와 같이, 디스크 카트리지가 배출될 경우에는, 이 초기위치(PP)에서부터 화살표(O)방향인 시계방향으로 360° 회전되어 초기위치(PP)에서 정지된다. 상기 설명된 바와같이 헤드로딩 시에는, 이 배출구동핀(81)은 초기위치(PP)에서 헤드로딩 완료위치(PH)까지 화살표(O) 방향으로 회전되고, 이 위치에서 정지된다. 또한, 후술되는 슬립(sleep)모드에서는, 헤드로딩 완료위치(PH)에서 초기위치(PP)까지 화살표(P) 방향으로 한번 복귀한 후, 다시 헤드로딩 완료위치(PH)까지 화살표(O) 방향으로 회전되는 정/역회전 동작을 행한다.
다음에는, 도 19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설명된 바와같이 대용량의 플로피디스크 카트리지(HFDC)가 로딩위치로 로드되고, 도 50에 도시된 카트리지 삽입검출스위치(디스크인(disk in) 스위치)(66)가 디스크인을 검출하고, 스핀들 모터(52)가 회전된다. 헤드로딩하는 동안, 배출구동핀(81)이 도 19a 에 도시된 초기위치(PP)에서 도 19c에 도시된 헤드로딩 완료위치(PH)까지 화살표(O)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도 19b에 도시된 바와같이, 이 배출구동핀(81)이 전달아암(362)의 아암부(363)를 화살표(O) 방향으로 누른다. 제 3 슬라이드판(351)이 전달아암(362)을 거쳐서 도 10 및 도 15에 도시한 바와같이 화살표(b) 방향으로 슬라이드되고, 상기한 헤드로딩이 행해진다. 이 경우, 도 20에 도시한 바와같이, 전달아암(362)의 핀(364)이 제 1슬라이드판(57)의 배출캠(83)의 하면(83b)에 화살표(G) 방향에서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아암부(363)은 화살표(G) 방향에서 탈피할 수 없으며, 제 3의 슬라이드판(351)은 배출구동핀(81)에 의해 화살표(b)방향으로 실패없이 슬라이드된다.
다음으로, 후술하는 슬립모드에서는, 도 20a에 도시된 헤드로딩 완료상태에서, 제 3 슬라이드판(351)이 화살표(a)방향으로 슬라이드되고, 상기한 헤드언로딩이 행해지며, 전달아암(362)의 아암부(363)가 도 20에서 단일 점선으로 표시된 바와같이 배출구동핀(81)의 하측으로 화살표(a) 방향에서 삽입된다. 이 슬립모드 (헤드 언로드상태)에서 헤드 로딩상태로의 복귀가 있을때, 도 19c에 도시한 바와같이, 배출구동핀(81)이 헤드로딩 완료위치(PH)에서 초기위치(PP)까지 화살표(P)방향으로 1회 역회전한다. 그러면, 배출구동핀(81)은, 전달아암(362)의 아암부(363)가 풀코일스프링(367)의 회전력에 대항해서 화살표(H)방향으로 회전되는 동안, 초기위치(PP)로 되돌아간다. 도 19a에 도시된 바와같이, 배출구동핀(81)이 화살표(P)방향으로 통과하여 초기위치(PP)로 되돌아가기 직전에, 전달아암(362)의 아암부(363)가 풀코일스프링(367)의 회전력에 의해 도 19a에 도시된 바와같이 화살표(G)방향으로 복귀된다. 그 후, 배출구동핀(81)이 초기위치(PP)에서 헤드로딩 완료위치(PH)까지 화살표(O)방향으로 다시 회전되는 경우, 도 19b에 도시된 바와같이, 배출구동핀(81)에 의해 전달아암(362)의 아암부(363)가 화살표(b) 방향으로 눌리고, 제 3 슬라이드판(351)이 화살표(b) 방향으로 슬라이드되고, 헤드로딩이 행해진다.
이 대용량의 플로피디스크 드라이브(HFDD)에서는, 도 15 ∼ 도 17 및 도 22에 도시된 바와같이, 헤드언로딩 시에 한쌍의 상하 자기헤드(101, 102)를 플로피디스크(1)의 최외주 위치에서 잠그고, 헤드로딩이 완료될때 잠금을 해제하는데 락아암(411)이 사용되고 있다. 이 락아암(411)은 성형부품으로 형성된다. 그 일단(411a)의 하면에 일체로 형성된 피벗핀(412)은 섀시(41)에 대해 화살표(Q, R)방향으로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부착된다. 그 중앙부의 상면에 일체로 형성된 연결핀(413)은 제 3슬라이드판(351)의 선단(화살표(a) 방향의 단부)에 형성된 화살표(a, b)방향에 대해서 직각의 연결홈(414) 내로 자유롭게 슬라이드되도록 체결된다. 락아암(411)의 타단(411b)은 선형 액츄에이터(103)의 한편의 코일받이(coil receptacle)(116)에 화살표(Q, R)방향으로 자유롭게 접촉 또는 분리되도록 구성된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같이, 헤드 로딩상태에서 전원이 단절되는 경우, 플런저(383)가 OFF로 스위치되고,제 3슬라이드판(351)은 풀코일스프링(367)에 의해 화살표(a) 방향으로 슬라이드된다. 락아암(411)은 연결홈(414)과 연결핀(413)을 거쳐서 피벗핀(412)을 중심으로 화살표(Q)방향으로 큰 각도로 회전되고, 그 타단(411b)은 하나의 코일받이(116)를 화살표(a)방향으로 누른다. 그후, 캐리지(111)가 화살표(a)방향으로 슬라이드되고, 한쌍의 상하 자기헤드(101, 102)가 플로피디스크(1)의 최외주 위치까지 화살표(a)방향으로 슬라이드되고, 이 락아암(411)이 이 위치에서 잠겨진다.
헤드로딩 시에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같이, 제 3의 슬라이드판(351)이 화살표(b)방향으로 슬라이드될때, 락아암(411)은 연결핀(413)과 연결홈(414)을 거쳐서 피벗핀(412)을 중심으로 화살표(Q)방향으로 큰 각도로 회전되고, 그 타단(411b)이 화살표(b)방향으로 멀리 이동한다. 따라서, 캐리지(111)의 잠금이 해제되고, 플로피디스크(1)의 시크동작이, 한쌍의 상하 자기헤드(101, 102)에 의해 행해질수 있다.
(11) 동작모드에 대한 설명
다음에는, 이 대용량 플로피디스크 드라이브(HFDD)에 있어서의 동작모드를 설명한다.
우선 도 15에 도시된 바와같이, 대용량의 플로피디스크 카트리지(HFDC)의 로딩이 완료되고 스핀들모터(51)가 ON으로될때, 제 3슬라이드판(351)이 배출모터(80)에 의해 구동기구(361)를 거쳐 화살표(b)방향으로 슬라이드되고, 제 2슬라이드판(334)이 방향변환수단(356)을 거쳐 화살표(D)방향으로 슬라이드되고, 한쌍의 상하 헤드상승 및 하강아암(332, 333)이 한쌍의 서스펜션(182)의 내측으로부터 화살표(F)방향으로 배출되고, 한쌍의 상하 자기헤드(101, 102)가 플로피디스크(1) 상에 헤드로딩된다. 동시에, 래치기구(381)의 회전아암(385)는 화살표(J)방향으로 회전되고, 플런저(383)는 헤드잠금상태가 래치되도록 흡착된다.
다음에 도 16에 있어서, 플로피디스크(1)에의 데이터의 기록 및/또는 재생이 왼료된 후에 헤드언로딩이 행해지는 경우, 선형 액츄에이터(103)의 보이스 코일모터(109)를 거쳐 전류가 흐르고, 캐리지(111)가 플로피디스크(1)의 최외주측으로 화살표(a)방향으로 슬라이드 된다. 그후, 래치기구(381)의 플런저(383)의 통전(energization)이 OFF로 스위치되고, 제 3슬라이드판(351)이 풀코일스프링(367)에 의해 화살표(a)방향으로 슬라이드되고, 헤드상승 및 하강기구(331)의 한쌍의 상하 헤드상승 및 하강아암(332, 333)이 한쌍의 상하 서스펜션(182)의 내측으로 화살표(E)방향에서 삽입되고, 한쌍의 상하 자기헤드(101, 102)가 플로피디스크(1)의 상하측으로 헤드언로딩된다. 캐리지(111)도 플로피디스크(1)의 최외주 위치측으로 슬라이드되어 잠겨진다.
다음으로, 도 17에 있어서, 헤드 로딩상태에서 전류가 단절되면, 래치기구(381)의 플런저(383)의 통전이 OFF되고, 제 3슬라이드판(351)이 풀코일스프링(367)에 의해 화살표(a) 방향으로 슬라이드되고, 캐리지(111)가 락아암(411)에 의해 플로피디스크(1)의 최외주측으로 화살표(a) 방향으로 슬라이드된다. 캐리지(111)가 화살표(a) 방향으로 슬라이드하는 동시에, 한쌍의 상하 헤드상승 및 하강아암(332, 333)이 한쌍의 상하 서스펜셔(182)의 내측으로 화살표(E)방향에서 삽입되므로, 한쌍의 상하 자기헤드(101, 102)는 이들 한쌍의 상하 헤드상승 및 하강아암(332, 333)에 의해 헤드언로딩 위치에서 확실하게 눌려서 멀어진다.
마지막으로, 도 17 및 도 20에서는, 헤드 로딩상태에서 호스트컴퓨터 (퍼스널 컴퓨터)가 끊긴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호스트컴퓨터가 헤드 로딩상태에서 끊긴 경우, 배출 스위치는 더이상 작동하지 않고, 대용량의 플로피디스크 카트리지(HFDC)는 배출모터(80)에 의해 더이상 배출되지 않는다. 따라서, 제 1 슬라이드판(57)이 화살표(a)방향으로 수동조작에 의해 배출되는 강제배출(forced eject)이 행해진다. 그후, 도 20a에 도시된 바와같이, 제 3의 슬라이드판(351)의 돌기(368)가 전달아암(362)의 접촉부(369)에 접촉되고, 이것이 화살표(a) 방향으로 눌려진다. 도 20b에 도시된 바와같이, 전달아암(362)은 화살표(H) 방향으로 회전하지만, 아암부(363)는 섀시(41)에 접촉하게 되어 더이상의 회전이 불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전달아암(362)은 화살표(a)방향으로 슬라이드되고, 제 3슬라이드판(351)이 화살표(a)방향으로 슬라이드된다. 래치기구(381)의 회전아암(385)이 화살표(I)방향으로 강제로 회전되고, 흡착편(387)이 강제로 플런저(383)로부터 분리된다. 제 3슬라이드판(351)이 풀코일스프링(367)에 의해 화살표(a) 방향으로 슬라이드되고, 한쌍의 상하 자기헤드(101, 102)가 헤드언로딩된다.
다음으로, 이 대용량의 플로피디스크 드라이브(HFDD)에서는, 전력소비의 억제, 플로피디스크(1) 및 한쌍의 상하 자기헤드의 헤드칩의 마모억제를 도모하기 위해서, 데이터의 기록 및/또는 재생이 행해질 때 이외에는, 헤드로드된 상태가 해제되고, 헤드 언로드된 상태가 유지된다. 이 동작을 도 33 ∼ 도 36의 플로우챠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34에 도시한 플로우챠트는, 데이터의 기록 및/또는 재생 후의 헤드언로딩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이 데이터 기록 및/또는 재생이 완료되면, 한쌍의 상하 자기헤드(101, 102)는 패트롤시크(patrol seek)를 행한다 (패트롤시크란 헤드가 1분동안 수개의 트랙을 이동하는 동작이다). 3분 경과 후에, 호스트 컴퓨터로부터 코맨드 (아이들(idle) 코맨드, 스탠바이(standby) 코맨드 또는 슬립(sleep) 코맨드)가 보내지고, 한쌍의 상하 자기헤드(101, 102)는 플로피디스크(1)의 최외주로 이동하고, 래치기구(381)의 플런저(383)의 통전은 일시적으로 OFF로 스위치되고, 헤드상승 및 하강기구(331)의 헤드 로딩상태의 유지가 해제(래치해제) 된다. 그후 한쌍의 상하 자기헤드(101, 102)는 이 헤드상승 및 하강기구(331)에 의해 헤드언로딩된다.
이때의 플로우챠트가 도 35에 도시된다. 헤드상승 및 하강기구(331)의 헤드 로딩상태의 유지를 해제하기 위해 호스트컴퓨터로부터 보내지는 코맨드로는, 상기한 아이들 코맨드, 스탠바이 코맨드 및 슬립 코맨드의 3개의 코맨드가 있으며, 이들 코맨드에 의해 드라이브 모드는 다음의 3가지 유형으로 나뉘게 된다는 것에 주의하면 된다.
아이들 코맨드 : 이 모드에서, 헤드언로딩이 행해지지만, 스핀드모터(51)가 회전하거나 전류가 회로에 공급되며, 다음의 코맨드에 의해 동작이 행해질 수 있다
스탠바이 코맨드 : 이 모드에서, 헤드언로딩이 행해지고 스핀들모터(51) 또한 정지되지만, 회로에는 전류가 공급되고, 다음 코맨드에 의해 동작이 행해질 수 있다.
슬립 모드: 이 모드에서, 헤드언로딩이 행해지고, 스핀들모터(51)가 정지되고, 회로로의 전류공급이 OFF로 스위치되며, 리셋 코맨드 만이 유효하게 될 것이다.
상기 코맨드 중 어느 것이 호스트 컴퓨터에 의해 보내지며, 이들 모든 코맨드의 경우 헤드로딩은 해제된다.
다음으로, 도 36에 도시된 플로우챠트는, 데이터 기록 및/또는 재생 후 3분간 패트롤시크를 행하지 않고 호스트 컴퓨터로부터 코맨드가 보내질때, 헤드상승 및 하강기구(331)의 헤드 로딩상태가 즉시로 해제되는 경우를 나타낸다. 이 모드는 플로피디스크(1)와 한쌍의 상하 자기헤드(101, 102)의 마모를 억제하기 위해 훨씬 더 유용하다. 그러나, 어떤 경우, 데이터 기록 및/또는 재생을 다시 행하는 타이밍에 의해서는 액세스가 지연될 수도 있다.
다음에는, 도 36에 도시된 플로우챠트에서, 데이터 기록 및/또는 재생 후에 한쌍의 상하 자기헤드(101, 102)를 헤드언로딩한 때에, 디스크인(disk-in) 상태에서 다시금 데이터기록 및/또는 재생을 행하는 경우에, 데이터의 기록 및/또는 재생 코맨드가 보내지며, 도 20에 도시된 바와같이, 배출모터(80)가 화살표(P)방향으로 역회전하고, 배출구동핀(81)이 초기위치(PP)로 되돌아간다. 그후, 배출모터(80)가 정회전하고, 헤드상승 및 하강기구(331)가 배출구동핀(81)에 의해 헤드로딩동작을 행하고, 래치기구(281)에 의해 이 상태가 유지된다.
(12) 트리거레버에 대한 설명
다음에는, 도 37∼도 45를 참고하여, 트리거레버(84)를 설명한다. 트리거레버(84)는, 도 37∼도 42에 도시된 바와같이, 성형부품으로 구성된다. 트리거레버(84)의 기부에는 원통형 보스(84a)가 일체로 형성되고, 이 보스부(84a) 상의 중심에 원호형 락편(lock piece)(84c)이 아암부(84b)의 중앙부의 한쪽 측면에 일체로 형성되고, 아암부(84b)의 선단부(84d)가 디스크카트리지의 셔터의 개폐조작을 행한다.
종래 기술의 트리거레버(84)에서는, 도 45에 도시된 바와같이, 그립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진 트리거레버 복귀스프링(421)이 보스(84a)의 외주에 삽입되고, 일 단부(421b)가 아암(84b)과 일체로 형성된 스프링스톱부(422)와 체결된 상태에서, 보스(84a)가 섀시(41)상의 피벗핀(피벗축)(85)에 카트리지 삽입검출 복귀레버스프링(421)과 함께 삽입되어 조립되고, 피벗핀(85)의 상단에 스톱 와셔(stop washer)(423)가 부착되며, 트리거레버 복귀스프링(421)의 타단부(421b)가 섀시(41)의 스프링스톱부(424)에 체결되어 있었다. 그러나, 이 구성에 의하면, 트리거레버 복귀스프링(421)은, 트리거레버(84)가 섀시(41) 상에 조립될때, 쉽게 떨어지고, 조립공정을 쉽게 행할 수 없으며, 생산성이 저하된다.
따라서, 이 대용량의 플로피디스크 드라이브(HFDD)에서는, 도 40 ∼도 44에 도시된 바와같이, 원통형 보스(84a)의 외경 치수가 종래 기술에서보다 크게 만들어지며, 링형 홈으로 이루어진 코일 체결부(425)가 보스(84a)의 내주 상에 동심적으로 형성되며, 스프링 누름부(426)는 이 코일체결부(425)의 일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한쌍의 스프링 체결부(427, 428)가 코일 체결부(425) 외주의 두개의 위치에서 일체로 형성되며, 그로인해 트리거레버 복귀스프링(421)의 일시정지 체결부(429)를 구성하게 되는 것이다.
트리거레버(84)가 섀시(41) 상에 조립될때에는, 도 42∼도 44에 도시된 바와같이, 트리거레버 복귀스프링(421)의 코일(421a)이 코일 체결부(425)와 체결되어서 스프링누름부(426)에 의해 눌려지고, 트리거레버 복귀스프링(421)은, 트리거레버 복귀스프링(421)의 양단부(421b, 421c)를 한쌍의 스프링체결부(427, 428)에 체결함으로써, 트리거레버(84)내에 일시적으로 안전하게 유지된다.
이 트리거레버 복귀스프링(421)과 함께 트리거레버(84)를 삽입하고, 피벗핀(85)의 상단에 스톱와셔(423)를 부착하고, 스프링 체결부(428) 중 하나에서 트리거레버 복귀스프링(421)의 타단부(421c)를 제거하고, 그것을 섀시(41)의 스프링 체결부(424)와 체결함으로써, 조립을 간단하고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따라서, 트리거레버(84)와 트리거레버 복귀스프링(421)을 섀시(41)에 대해 조립 및 분리하는 작업을 훨씬 더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생산성을 향상할 수 있다. 보스(84a)의 외주가 원통형 부재 체결부(404)에 형성되고, 도 30 및 도 32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의 판스프링(405)의 원통형 부(405a)가 원통형부재 체결부(430)에 체결된다.
종래의 기술에 의하면, 도 46에 도시된 바와같이, 트리거레버(84)의 락편(84c)은 섀시(41)와 제 1슬라이드판(57) 사이의 스페이스(431) 내에 조립되었다. 대용량의 플로피디스크 드라이브(HFDD)에서는, 도 39에 도시한 바와같이, 기록용량의 증가로 인해, 섀시(41)의 하측에 형성되는 회로수납공간 내에 조립되는 회로기판의 회로밀도 및 기판의 두께는 필연적으로 본 발명의 장치보다 커야 한다. 따라서, 대용량의 플로피디스크 드라이브(HFDD)에서는, 섀시(41) 하측의 회로기판의 수납공간(432)의 두께(H1)는 본 발명의 플로피디스크 드라이브의 수납공간의 두께(H2) 보다 필연적으로 크게 구성된다. 트리거레버(84)의 락편(84c)가 본 발명의 플로피디스크 드라이브의 경우와 같이, 섀시(41)와 제 1슬라이드판(57) 사이의 스페이스(431)에 배치된 경우, 섀시(41)의 하측의 회로기판의 수납공간(432)의 두께가 증가하는 만큼 (H1- H2= X) 드라이브본체의 두께가 증가되었으며, 드라이브 본체의 두께를 1인치로 형성하는 것은 불가능했다. 따라서,트리거레버(84)의 락편(84c)을 섀시(41)와 제 1슬라이드판(57) 사이의 스페이스(431) 내에 조립하는 것이 곤란하였다.
그러나, 이 대용량의 플로피디스크 드라이브(HFDD)에서는, 도 39에 도시된 바와같이, 트리거레버(84)의 락편(84c)은 제 1슬라이드판(57)의 상부에 평행하게 배치된다. 이러한 구성을 이용하게 되면, 대용량의 플로피디스크 드라이브(HFDD)에서는, 섀시(41)의 하측의 기판 수납공간(432)의 두께가 증가하더라도 섀시(41)와 제 1슬라이드판(57) 사이의 스페이스(431)이 제거되거나 또는 상당히 감소될 수 있으며, 따라서 드라이브본체의 두께가 증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1인치의 두께를 달성할 수 있게 된다. 더욱이, 트리거레버(84)의 락편(84c)이 제 1슬라이드판(57)의 상부에 배치되므로, 트리거레버(84)의 조립 및 분리가 용이하고, 생산성의 향상으로 인해 저비용화를 실현할 수 있다.
상기에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기서 제시된 기술적 개념에 기초하기만 하면 다양한 수정이 가능하다. 예를들어, 본 발명은 플로피디스크 카트리지와 플로피디스크 드라이브에 한정되지 않으며, 각종 디스크형 기록매체에 기록 및/또는 재생이 행해지는 각종 디스크드라이브에 적용될 수도 있다.

Claims (8)

  1. 캐리지 내의 서스펜션을 거쳐 지지되는 헤드를, 디스크형 기록매체로의 데이터 기록 및 재생이 가능한 헤드로딩위치와 데이터 기록 및 재생이 불가능한 헤드언로딩위치 사이에서, 상승 및 하강시키기 위한 헤드상승 및 하강기구를 갖추어 구성되는 디스크 드라이브장치에 있어서,
    상기 서스펜션의 길이방향에 대해 대략 직각으로 배치된 헤드상승 및 하강아암과,
    상기 헤드상승 및 하강아암의 일단부가 피벗축을 거쳐서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부착되는 슬라이드판과,
    상기 서스펜션의 길이방향에 대략 평행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헤드상승 및 하강아암의 타단부에 형성된 캠홈이 체결되는 고정된 가이드축과,를 갖추어 구성되며,
    여기서 상기 헤드상승 및 하강아암은, 상기 슬라이드판의 슬라이드조작에 의해 상기 캠홈을 상기 가이드축에 대해서 슬라이드시킴으로서, 상기 서스펜션의 길이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에서부터 상기 서스펜션 내로 삽입되고 서스펜션으로부터 배출되며, 상기 헤드는, 상기 헤드상승 및 하강아암을 상기 캠홈에 의해 중심으로써의 상기 피벗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헤드상승 및 하강아암에 의해 상기 헤드로딩위치와 헤드언로딩위치 사이에서 상승 및 하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드라이브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축은 상기 캐리지의 가이드 주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드라이브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상승 및 하강아암이 상기 서스펜션 내로 삽입될 때는 상기 헤드상승 및 하강아암이 상기 헤드에 근접하게 되고, 상기 헤드상승 및 하강아암이 상기 서스펜션에서 배출될 때에는 상기 헤드상승 및 하강아암이 상기 헤드에서 멀어지게 이동되도록, 상기 헤드상승 및 하강아암을 상기 서스펜션의 길이 방향에 대해서 비스듬하게 삽입하는 슬라이드판을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드라이브장치.
  4. 캐리지 내의 제 1 및 제 2 서스펜션을 거쳐 지지되는 제 1 및 제 2헤드를, 디스크형 기록매체로의 데이터 기록 및 재생이 가능한 헤드로딩위치와, 데이터 기록 및 재생이 불가능한 헤드언로딩위치 사이에서, 상승 및 하강시키기 위한 헤드상승 및 하강기구를 갖추어 구성된 디스크 드라이브장치에 있어서,
    디스크의 반경방향으로 상기 캐리지를 운반하기 위한 운반수단과,
    상기 제 1 및 제 2서스펜션의 길이방향에 대해서 대략 직각으로 배치되는 제 1 및 제 2헤드상승 및 하강아암과,
    상기 제 1 및 제 2헤드상승 및 하강아암의 일단부가 피벗축을 거쳐서 자유롭게 회전되도록 부착되는 슬라이드판과,
    상기 서스펜션의 길이방향에 대략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 1 및 제 2헤드상승 및 하강아암의 타단부에 형성된 제 1 및 제 2캠홈이 체결되는 고정된 가이드축과,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여기서 상기 헤드상승 및 하강아암은, 상기 슬라이드판의 슬라이드 조작에 의해 상기 제 1 및 제 2캠홈을 상기 가이드축에 대해 슬라이드시킴으로서, 상기 서스펜션의 길이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에서부터 상기 서스펜션 사이로 삽입되고 이들 서스펜션으로부터 배출되며, 상기 제 1 및 제 2헤드는, 상기 제 1 및 제 2 캠홈에 의해 중심으로써의 상기 피벗축을 중심으로 제 1 및 제 2헤드상승 및 하강아암을 회전시킴으로써, 제 1 및 제 2헤드상승 및 하강아암에 의해 상기 헤드로딩위치와 헤드언로딩위치 사이에서 상승 및 하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드라이브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축은 상기 캐리지의 가이드 주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드라이브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헤드상승 및 하강아암이 상기 서스펜션 내에 삽입될 때에는 상기 제 1 및 제 2헤드상승 및 하강아암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헤드에 근접하게 되고, 상기 제 1 및 제 2헤드상승 및 하강아암이 상기 서스펜션으로부터 배출될 때에는 제 1 및 제 2헤드상승 및 하강아암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헤드로부터 멀어지게 이동하도록, 상기 제 1 및 제 2헤드상승 및 하강아암을 상기 서스펜션의 길이방향에 대해 비스듬하게 삽입 및 배출하기 위한 슬라이드판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드라이브장치.
  7. 캐리지 내의 제 1 및 제 2서스펜션을 거쳐서 지지되는 제 1 및 제 2헤드를, 디스크형 기록매체로의 데이터 기록 및 재생이 가능한 헤드로딩위치와 데이터 기록 및 재생이 불가능한 헤드언로딩위치 사이에서, 상승 및 하강시키는 헤드상승 및 하강기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디스크 드라이브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서스펜션의 사이에서 상기 제 1 및 제 2서스펜션의 길이방향에 대략 직각으로 배치되는 제 1 및 제 2 헤드상승 및 하강아암과,
    상기 제 1 및 제 2헤드상승 및 하강아암이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피벗축과,
    상기 서스펜션의 길이방향에 대략 평행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 1 및 제 2헤드상승 및 하강아암의 타단부에 각각 형성된 제 1 및 제 2캠홈과 체결되는 축부재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 1 및 제 2헤드상승 및 하강아암과 상기 축부재는 상기 서스펜션의 길이방향에 대략 교차하는 방향을 향해 상대적으로 이동하며, 그로 인해 상기 축부재는 상기 제 1 및 제 2캠홈이, 상기 피벗축을 중심으로 상기 제 1 및 제 2헤드상승 및 하강아암을 회전시키도록 하여 그로 인해 상기 제 1 및 제 2헤드를 헤드로딩위치와 헤드언로딩위치 사이에서 상승 및 하강시키도록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드라이브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헤드상승 및 하강아암 내에 형성된 캠홈은, 상기 서스펜션의 길이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신장하는 제 1 및 제 2헤드상승 및 하강아암의 일단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드라이브장치.
KR1019990034352A 1998-08-21 1999-08-19 디스크 드라이브장치 KR2000001740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3617098A JP3885377B2 (ja) 1998-08-21 1998-08-21 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
JP98-236170 1998-08-2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7402A true KR20000017402A (ko) 2000-03-25

Family

ID=169968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4352A KR20000017402A (ko) 1998-08-21 1999-08-19 디스크 드라이브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243237B1 (ko)
EP (1) EP0982728A3 (ko)
JP (1) JP3885377B2 (ko)
KR (1) KR20000017402A (ko)
CN (1) CN124877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29573B2 (en) 2005-11-07 2009-05-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Slide apparatus of slide-type portable terminal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73268A (ja) * 1998-03-18 1999-10-08 Sony Corp 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
JP2005174515A (ja) * 2003-12-15 2005-06-30 Hitachi Maxell Ltd 情報記録媒体、作成方法および情報記録法方法、装置
JP3930874B2 (ja) * 2004-07-28 2007-06-13 Tdk株式会社 磁気記録装置
JP6491170B2 (ja) * 2016-11-29 2019-03-27 Necプラットフォームズ株式会社 制動装置
CN113414343B (zh) * 2021-06-21 2022-01-18 江苏威雅仕不锈钢制品有限公司 一种锚链链环生产智能弯环成型装备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36371A (ja) * 1982-08-23 1984-02-28 Mitsubishi Electric Corp フレキシブルデイスク記憶装置の磁気ヘツド移動装置
US4663682A (en) * 1983-11-29 1987-05-05 Dma Systems Corporation Apparatus for loading and unloading a magnetic head assembly on a magnetic recording surface
JPH0320941Y2 (ko) * 1985-01-29 1991-05-07
JPS61198479A (ja) * 1985-02-27 1986-09-02 Mitsubishi Electric Corp 磁気ヘツド移動装置
JPS6252773A (ja) * 1985-08-30 1987-03-07 Toshiba Corp フロツピ−デイスク装置
JPH0668873B2 (ja) * 1986-03-31 1994-08-31 株式会社東芝 磁気ヘツド支持機構
US4887176A (en) * 1988-08-03 1989-12-12 Eastman Kodak Company Double-sided magnetic recording device supporting two transducers in fixed relation
US5243480A (en) * 1990-07-27 1993-09-07 Mitsumi Electric Co., Ltd. Floppy disk drive
JP3264801B2 (ja) * 1995-09-13 2002-03-11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磁気記録再生装置のヘッド移送機構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29573B2 (en) 2005-11-07 2009-05-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Slide apparatus of slide-type portable termi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982728A2 (en) 2000-03-01
JP2000067540A (ja) 2000-03-03
JP3885377B2 (ja) 2007-02-21
CN1248772A (zh) 2000-03-29
EP0982728A3 (en) 2002-01-02
US6243237B1 (en) 2001-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66918A (en) Loading mechanism for disk cartridges with vibration reducing mechanism
JP2850431B2 (ja) 記録媒体駆動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電子機器
US5513055A (en) Motor support assembly for a disk drive
KR20000017402A (ko) 디스크 드라이브장치
JPH06349218A (ja) 光磁気ディスク装置
JP2000067544A (ja) 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
JP2001093244A (ja) 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
JP2001093246A (ja) 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
JP2001093245A (ja) 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
JP2000067541A (ja) 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
JP2000067543A (ja) 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
JP2000067503A (ja) 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
JP2000067542A (ja) 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
JP2000067502A (ja) 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
JP2000100033A (ja) ディスクチャッキング装置と大容量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
JP2002008329A (ja) 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
KR940007515B1 (ko) 기록 재생 장치
JP3800755B2 (ja) ディスク装置
US20010033443A1 (en) Large capacity disk drive
JP2000030426A (ja) 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
JP2001118351A (ja) 大容量フロッピーディスク・ドライブ
JP2001118352A (ja) 大容量フロッピーディスク・ドライブ
JP2000311457A (ja) 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
JP2001143357A (ja) 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の開閉扉機構
JPH06349138A (ja) 光磁気ディスク装置および光ディス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