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7515B1 - 기록 재생 장치 - Google Patents

기록 재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7515B1
KR940007515B1 KR1019900700919A KR900700919A KR940007515B1 KR 940007515 B1 KR940007515 B1 KR 940007515B1 KR 1019900700919 A KR1019900700919 A KR 1019900700919A KR 900700919 A KR900700919 A KR 900700919A KR 940007515 B1 KR940007515 B1 KR 9400075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ording
reproducing apparatus
carriage
disk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7009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702524A (ko
Inventor
도모에 아루가
히데야 요꼬우찌
가즈요시 후지모리
Original Assignee
세이꼬 엡슨 가부시끼가이샤
야마무라 가쯔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이꼬 엡슨 가부시끼가이샤, 야마무라 가쯔미 filed Critical 세이꼬 엡슨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claimed from PCT/JP1989/000906 external-priority patent/WO1990003031A1/ja
Publication of KR9007025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7025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75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751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11B33/12Disposition of constructional parts in the apparatus, e.g. of power supply, of modules
    • G11B33/121Disposition of constructional parts in the apparatus, e.g. of power supply, of modules the apparatus comprising a single recording/reproducing devic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9/00Driving, starting, stopp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Driving both disc and head
    • G11B19/20Driving; Starting; Stopping; Control thereof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22Positioning or locking of single discs
    • G11B17/028Positioning or locking of single discs of discs rotating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22Positioning or locking of single discs
    • G11B17/028Positioning or locking of single discs of discs rotating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 G11B17/0282Positioning or locking of single discs of discs rotating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by means provided on the turntabl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22Positioning or locking of single discs
    • G11B17/028Positioning or locking of single discs of discs rotating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 G11B17/03Positioning or locking of single discs of discs rotating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in containers or tray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4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 G11B17/041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specially adapted for discs contained within cartridges
    • G11B17/043Direct insertion, i.e. without external loading means
    • G11B17/0434Direct insertion, i.e. without external loading means with mechanism for subsequent vertical movement of the disc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9/00Driving, starting, stopp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Driving both disc and head
    • G11B19/20Driving; Starting; Stopping; Control thereof
    • G11B19/2009Turntables, hubs and motors for disk drives; Mounting of motors in the driv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5/00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record carrier employed but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e.g. dictating apparatus; Combinations of such apparatus
    • G11B25/04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record carrier employed but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e.g. dictating apparatus; Combinations of such apparatus using flat record carriers, e.g. disc, card
    • G11B25/043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record carrier employed but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e.g. dictating apparatus; Combinations of such apparatus using flat record carriers, e.g. disc, card using rotating disc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22Rotating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27Rotor cores with permanent magnets
    • H02K1/2706Inner rotors
    • H02K1/272Inner rotors the magnetisation axis of the magnets being perpendicular to the rotor axis
    • H02K1/2726Inner rotors the magnetisation axis of the magnets being perpendicular to the rotor axis the rotor consisting of a single magnet or two or more axially juxtaposed single magne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22Rotating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27Rotor cores with permanent magnets
    • H02K1/2786Outer rotors
    • H02K1/2787Outer rotors the magnetisation axis of the magnets being perpendicular to the rotor axis
    • H02K1/2789Outer rotors the magnetisation axis of the magnets being perpendicular to the rotor axis the rotor consisting of two or more circumferentially positioned magnets
    • H02K1/2791Surface mounted magnets; Inset magne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1/00Synchronous mo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Synchronous genera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 H02K21/12Synchronous mo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Synchronous genera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with stationary armatures and rotating magnets
    • H02K21/22Synchronous mo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Synchronous genera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with stationary armatures and rotating magnets with magnets rotating around the armatures, e.g. flywheel magneto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9/00Motors or generators having non-mechanical commutating devices, e.g. discharge tubes or semiconductor devices
    • H02K29/14Motors or generators having non-mechanical commutating devices, e.g. discharge tubes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speed sens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7/00Motors with rotor rotating step by step and without interrupter or commutator driven by the rotor, e.g. stepping motors
    • H02K37/10Motors with rotor rotating step by step and without interrupter or commutator driven by the rotor, e.g. stepping motors of permanent magnet type
    • H02K37/12Motors with rotor rotating step by step and without interrupter or commutator driven by the rotor, e.g. stepping motors of permanent magnet type with stationary armatures and rotating magnets
    • H02K37/14Motors with rotor rotating step by step and without interrupter or commutator driven by the rotor, e.g. stepping motors of permanent magnet type with stationary armatures and rotating magnets with magnets rotating within the armatur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8Structural association with bearings
    • H02K7/081Structural association with bearings specially adapted for worm gear dri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oving Of Heads (AREA)
  • Rotational Drive Of Disk (AREA)
  • Feeding And Guiding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기록 재생 장치
[도면의 간단한 설명]
제 1 도는 본 발명의 기록 재생 장치의 평면도.
제 2 도는 그 기록 재생 장치에 기록 매체로서의 디스크를 수납하여 되는 자켓을 장전한 상태의 평면도.
제 3 도는 본 발명의 기록 재생 장치의 일부를 생략한 분해사시도.
제 4 도는 자켓의 사시도.
제 5 도, 제 6 도는 자켓을 유지하는 홀더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의 개략측면도.
제 7 도, 제 8 도, 제 9 도는 이젝트 기구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의 종단측면도.
제10도는 자켓을 잘못아여 장전한 상태의 평면도.
제11도는 헤드 로드부의 사시도.
제12도는 헤드 로드부의 단면도.
제13도는 홀더를 뗀 상태의 기록 재생 장치의 평면도.
제14도는 헤드와 캐리지 및 그 구동 기구의 분해사시도.
제15도는 헤드 및 캐리지의 배치 구성을 나타내는 종단 측면도.
제16도는 캐리지 구동용 모터의 배치 구성을 나타내는 종단측면도.
제17도는 제어 기판과 캐리지의 배치 구성을 나타내는 종단정면도.
제18도는 디스크 구동용 모터 및 디스크 처킹기구의 분해사시도.
제19도는 처킹 기구의 평면도.
제20도는 제19도 A-A선 확대단면도.
제21도는 디스크 구동용 모터의 배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제22도는 처킹 기구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23도. 제24도. 제25도는 그 처킹 기구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제26도. 제27도는 처킹 상태의 평면도.
제28도는 처킹 기구의 확대평면도.
제29도, 제30도, 제31도, 제32도는 각각 컴퓨터등의 전자기기에 대한 본 발명의 기록 재생 장치의 배치 구성예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제33도, 제34도, 제35도는 본 발명의 기록 재생 장치를 전자기기에 장착한 상태의 종단정면도.
제36도는 정면도.
제37도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기록 재생 장치를 갖춘 전자기기의 사시도.
제38도는 종래의 기록 재생 장치에 있어서 캐리지부의 단면도.
제39도는 그 요부의 확대도.
제40도는 종래의 기록 재생 장치에 있어서 처킹 기구의 평면도.
제41도는 그 저면도.
제42도는 상기 종래의 처킹 기구를 갖춘 디스크 구동용 모터의 종단면도.
제43도는 그 구동핀부의 확대부.
제44도는 다른 종래예에 있어서 디스크 구동용 모터의 배치 구성을 나타내는 종단면도.
제45도는 종래의 기록 재생 장치의 평면도.
제46도, 제47도는 그 종래의 기록 재생 장치에 있어서 인젝트 기구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의 종단 측면도.
제48도는 종래의 전자기기에 대한 기록 재생 장치의 배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제49도는 그 정면도이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기술분야]
본 발명은 예를들면 컴퓨터나 워드 프로세서등에 사용하는 기록 재생 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프로피 디스크등의 매체에 원하는 정보를 기록하고 재생하는 기록 재생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배경기술]
이런 종류의 기록 재생 장치는 일반적으로 장치 본체 프레임내에 디스크 구동용 모터, 상헤드와 하헤드를 가지는 캐리지, 그 캐리지를 이동하는 캐리지 구동용 모터, 리드 라이트(lead light) 및 모터의 작동을 조절하는 회로를 가지는 회로 기판등을 갖추고, 기록 매체를 장치내에 장전함으로서 기록 혹은 재생을 행하는 것이다. 그리고 최근에는 컴퓨터 등의 소형화 요구에 따른 기록 재생 장치의 소형화, 박형화가 요망되고 있다.
종래, 예를들면 일본 실개소 62-147197호 공보에는 제38도. 제39도에 나타나듯이 기록 재생 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제38도는 종래의 기록 재생 장치의 종단 측면도. 제39도는 그 요부의 확대도이다.
도면에 나타나듯이, 프레임(501)의 도면에서 하면측에서 캐리지 구동용 모터로서의 스핀들 모터(502)를 설치하고, 그 스핀들모터(502)의 상면에 하헤드를 설치한 하캐리지(503)를 배치한다. 그 하캐리지(503)에 회동 지점을 가져 상헤드(506)를 가지는 상캐리지(504)를 설치하고, 하캐리지(503)와 상태리지(504)의 사이에 자켓을 유지시킨다. 그리고 기록 재생 장치로 자켓(J)을 삽입하는 위치와, 기록 재생 위치 사이를 이동하는 홀더(505)를 설치하고, 상헤드를 설치한 상캐리지(504)에 상부 (504a)를 설치하며, 자켓(J)의 삽입 위치와 기록 재생 위치 사이를 이동하는 홀더(505)의 동작과 계합시켜 상캐리지(504)를 자켓(J)에서 떼어놓는 구성이다.
그 때문에 예를 들면, 최신의 랩톱 컴퓨터(lap-top computer)등의 기록 재생 장치는 상술과 같은 박형화 요구에 따르고, 제39도 중의 상캐리지(504)와 기록 재생 장치 외형의 클리어런스(C1), 상헤드(506)와 자켓 (J)의 클리어런스(C2)를 작게 할 필요가 생기고 있다. 그런데 상기의 종래 기술에서는 홀더(505)의 승강량에 의하여 상캐리지(504)의 이동량이 결정되어 있으며, 상캐리지(504)는 하캐리지(503)의 장치부를 중심으로 회동하는 구조이므로, 상캐리지(504)의 지지상부(504a)의 불균형이, 상캐리지(504)선단의 상헤드(506)의 위치에서는 수배로 확대되어 버리고, 자켓(J)과 상헤드(506)의 클리어런스(C2)를 크게 취하도록 하면, 상캐리지(504)가 기록 재생 장치의 소정 치수에서 튀어나와 버리거나, 역으로 기록 재생 장치의 치수가 우선적으로 취해지면 자켓(J)과 상헤드(506)의 클리어런스(2)가 충분하게 취해지지 않고, 자켓(J)에 의하여 상헤드(506)를 파손하여 버리는 등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상기와 같은 기록 재생 장치에 있어서 디스크의 회전 구동 기구는 예를들면 일본 실개소 61-52351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다. 그 구성을 제40도 내지 제43도에 나타낸다. 제40도는 종래의 디스크 회전 구동 장치의 평면도, 제41도는 그 저면도, 제42도는 종단면도, 제43도는 구동핀부의 개략단면도이다.
도면에서 D는 디스크, H는 그 허브이고, 제40도, 제41도에서는 쇄선으로 표시되어 있다. 510은 디스크(D)의 회전 구동축이고, 그 구동축(510)과 일체로 회전하는 회전판(511)에, 처킹 레버 512 를 지점(513)에 의하여 선회지지하고, 그처킹 레버(512)에 설치한 구동핀(514)의 축방향의 가압을 스프링(515)에서, 회동 방향의 가압을 스프링(516)에 의하여 행하고 있다. 그 처킹 레버(512)는 허브(H)를 처킹하는 경우에서 허브(H)가 셋트되면, 허브(H)에 설치한 중심에서 치우친 위치에 있는 회전 구동공(h2)과 구동핀(514)의 위치 관계가 일치하지 않는한 제43도와 같이 허브(H)에 눌려져 처킹 레버(512)가 도면중 화살표(r)방향으로 빠진다. 다음에 제42도에 나타나듯이, 회전 구동축(510)의 단부에 설치된 디스크 구동용 모터(517)의 로터(518)의 회전이 개시됨으로서 구동핀(514)도 회전 구동축(510)과 함께 회전하고, 회전 구동공(h2)과 구동핀(514)이 일치한 것으로 구동핀(514)은 스프링(515)의 힘에 의하여 회전 구동공(h2)내에 돌출한다. 제40도에 나타나듯이 지점(513)에 대한 구동핀(514)의 위치 관계에서 구동핀(514)은 허브(H)를 회전시키는 경우에 도면중 화살표(S) 방향의 힘과 허브(H)를 회전시키는 힘을 발생시키고, 도면중 화살표(S)방향의 힘이 허브(H)이 중심공(h1)의 내측의 2점을 회전 구동축(510)에 가압하는 힘으로 되고, 허브(H)의 중심을 구하면서 회전 구동하는 것이었다. 그리고 디스크(D)에 신호의 기록 재생을 행하는 하헤드(519)는 모터(517)의 프레임(520)과 디스크(D) 사이에 배치되어 있었다.
그 때문에, 상술의 종래 기술에서는 기록 재생 장치를 박형화하도록 한 경우에스 모터(517)의 로터(518)와 하캐리지(512), 하헤드(519), 처킹 기구의 스페이스 등이 두께 방향의 치수를 결정하여 버리고, 장치의 박형화를 하는데에 문제점으로 되어 있었다.
특히, 제43도에 나타나듯이 허브(H)의 처킹시에 허브(H)에 의하여 구동핀(514)이 눌려지고, 도면중 화살표(r)이 방향으로 이동함으로, 무모한 스페이스로 되어 있었다.
니께이 엘렉트로닉스지 1986년 5-5 No.394호에 기재되어 있는 기록 재생 장치는 제44도에 나타나듯이, 기록 매체로서의 디스크(D)와 동축으로 디스크 구동용 모터(525)를 설치하고, 그 모터(525)의 베어링(525a)을 프레임(526)으로 개방한 위치 결정공(526a)과 결합되고, 모터 기판(527)을 프레임(526)에 나사 정지 고정하는 구조이었다.
상하의 헤드(528, 529)를 탑재한 상하의 캐리지(530, 531)를 안내 축(532)에 의하여 안내되고, 도면중 화설표(t) 방향으로 캐리지 구동용 모터로서의 도시하지 않은 스텝 모터에 의하여 이동 위치 결정하는 구조이고, 안내축(532)의 도면중 하면에는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의 제어 및 헤드에서의 신호 변환용의 회로 기판이 장착되어 있었다.
하캐리지(531)는 디스크 구동용 모터(525b)의 로터(525b)의 도면중 상면까지 이동하는 구조이었다.
그때문에, 장치의 두께를 박형화하려한 경우에서, 프레임의 하부에 디스크 구동용 모터를 배치하고 있으므로, 그 모터와 프레임의 양쪽을 얇게 할 필요가 있으며, 박형화로의 대응이 곤란하였다. 또한 캐리지의 하면에 제어 기판을 배치하는 것도. 두께 방향으로 캐리지와 제어 기판이 겹치고, 박형화의 장해로 되어 있었다. 캐리지가 디스크 구동용 모터의 로터 상면까지 들어감으로, 이 부분에서도 두께 방향에 캐리지와 로터가 겹치고, 박형화로의 대응을 할수 없었다.
종래의 기록 재생 장치에 있어서 디스크의 장전 배출기구는 예를들면 하기의 구성이었다. 즉, 제45도는 종래의 기록 재생 장치의 일예를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 제46도, 제47도는 각각 디스크를 수납한 자켓의 장전대기 상태 및 장착 상태의 개략 종단측면도이다.
도면에서, 셔터 개방 레버(535)는 그 일단에 자켓의 셔터(도시않음)에 계합하여 그 셔터를 개방하는 조작핀(536)을 설치하고, 타단을 자켓을 유지하는 홀더(537)에 지점핀(538)에 의하여 회동 가능하게 장치하고, 인장 코일 스프링(539)에 의하여 상기 제45도에서 시계 방향으로 회동 가압한 구성이다. 홀더(537)의 측면에는 복수의 연동 수단인 전동 로울러 핀(537a)이 전동 로울러(537b)를 회동 가능하게 고착 하여 프레임(540)의 홀더 안내 홈(540a)에 계합하고, 홀더 스프링(541)에 의하여 화살표(X1) 방향에 가압되고, 제46도 및 제47도에 나타내는 캠체(542)의 승강 캠부(542a)와 맞닿음 가능하게 위치하고 있다. 그 캠체(542)는 프레임(540)에 설치한 자켓 지지 수단인 자켓 안내 수용부(543)와 위치 규제 수단인 자켓수용 핀(544)의 일부에 지지되고, 화살표(X1,X2) 방향으로 미끄럼 가능하게 배치되며, 캠체 스프링(545)에 의하여 화살표(X1)방향으로 가압되어 있다. 제45도에 나타내는 배출체(546)는 프레임(540)에 설치한 축(547)에 축지지되고, 배출체 스프링(548)에 의하여 제45도에서 반시계방향으로 가압되어 있다. 그 배출체(546)는 자켓(J)의 일부에 맞닿는 당접부(546a)를 구성하고 있으며, 자켓(J)을 끼워빼면 당접부(546a)에 맞닿고, 축(547)을 중심으로 회동한다.
제46도 및 제47도에 나타내는 이젝트 보턴(549)은 캠체(542)의 일부에 고착되고, 프레임(540)에 설치한 화장판(550)과 병설되어 있다.
상기의 구성에서, 제46도에 나타나듯이 자켓(J)을 화장판(550)의 삽입구(550a)에서 화살표(X2)방향으로 삽입하여 가면, 제45도에서 셔터 개방레버(535)에 고착된 조작핀(536)이 자켓(J)의 셔터와 결합하고, 셔터를 열면서 셔터 개방레버(535)가 지점핀(538)을 중심으로 제45도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한다. 자켓(J)을 제46도에서 화살표(X2)방향으로 삽입하면, 배출체(546)의 당접부(546a)에 자켓(J)이 맞닿고, 배출체(546)는 배출체 스프링(548)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축(547)을 중심으로 제45도에서 시계 방향으로 회동을 시작한다. 자켓(J)을 눌러 진행하면, 홀더(537)의 당접부(537d)에 맞닿고, 홀더 스프링(541)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홀더(537)를 화살표(X2)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제46도에 나타나듯이 홀더(537)의 측면에 설치한 복수의 전동 로울러(537b)가 프레임(540)의 안내 홈(540c)에 따라 화살표(Z2) 방향으로 홀더 스프링(541)에 의하여 하강 이동한다.
한편, 그 홀더(537)에 삽입되어 있는 자켓(J)은 프레임(540)에 설치한 자켓수용 핀(544)과, 자켓수용 부(543)에 지지수용되어, 소정의 위치 결정이 이루어지고 제47도와 같이 설치된다. 그리고 그 위치에서 기록재생이 행하여지는 것이다.
다음에, 자켓(J)을 배출하는 경우에는 제47도의 상태에서 이젝트 보턴(549)을 화살표(X2)방향으로 누르면, 캠체(542)의 승강 캠부(542a)가 홀더 (537)의 전동로울러(537b)와 맞닿고, 승강 캠부(542a)에 의하여 자켓(J)을 유지하고 있는 홀더(537)는 화살표(Z1)방향으로 프레임(540)으로 홀더 안내 홈(540c)에 따라 위로 미끄러져 간다. 그러면 배출체(546)는 제45도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배출체 스프링(548)의 가압력에 의하여 회동하고, 그 회동에 의하여 자켓(J)을 화살표(X1)방향으로 배출한다. 이때 셔터 개방 레버(535)도 인장 코일스프링(539)에 의하여 제45도의 실선 위치로 복귀하여 배출 동작이 종료한다.
그런데, 상기 종래의 자켓 장전 배출기구에서는 프레임(540)에 설치된 안내핀으로 안내된 캠체(542)가 자켓 삽입제거 방향으로 이동하여 홀더(537)를 수평으로 자켓 삽입 제거 위치와 기록 재생 장치로 이동되고 있으므로, 캠체(542)가 직선 방향으로 접동하는 것에 의한 부하가 크고, 캠체(542)를 안내하는 안내핀(543, 544)과, 홀더(537)를 수평으로 유지하여 이동하는 지지부가 필요함으로 캠체(542)의 형상도 크게 되고, 캠체를 홀더와 프레임 사이에 배치하지 않으면 안되고 공간적으로도 문제가 있었다.
자케을 잘못 삽입한 경우, 예를들면 자켓을 표리역 또는 전후역의 상태로서 제46도에 있어서 화장판(550)의 삽입구(550a)에서 화살표(X2)방향으로 삽입하여 가면, 셔터 개방레버(535)에 설치한 조작핀(536)이 자켓(J)의 선단면과 맞닿아 셔터 개방레버(535)가 제45도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한다. 삽입을 계속하면, 셔터 개방 레버(535)는 동일한 방향으로 회동한다. 그러면 셔터 개방 레버(535)가 홀더 (537)의 레버 당접부(537e)에 맞닿으면서 홀더(537)를 눌러 진행한다. 이 때문에 상술한 정상 상태에서의 삽입과 같은 궤적을 통하여 같은 장착 동작을 행하여 버리고, 이것에 의하여 장치 내부의 구성 부품을 손상하게 된다. 상술했듯이 캠체(542)는 프레임(540)에 설치한 자켓 지지수단인 자켓 수용부(543)와 위치 규제 수단인 자켓수용 핀(544)의 일부에 지지되고, 화살표(X1, X2)방향에 접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캠체(542)에는 제46도에 나타나듯이 홀더(537)의 측면에 설치한 복수의 로울러(537b)가 캠부(542a)와 맞닿고 있다. 이 때문에 캠체(542)를 접동시키면 접동하는 부분이 많고, 캠체(542)를 안내하는 부품과, 캠체(542)를 유지하는 부품도 필요하게 된다. 캠체(542)를 배치하기 위하여, 프레임(540)과 홀더(537)사이에 간극이 필요하고, 홀더(537)를 평행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형상이 크게 되어 버리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이상과 같이 종래의 기록 재생 장치에서는 특히 소형화(박형화)하는데 여러가지 지장이 있었다.
최근, 컴퓨터에 관련한 각종 전자기기의 외부 기억 장치로서 사용되는 기록 재생 장치로서는 플로피 디스크 드라이브(이하 FDD라 한다),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이하 HDD라한다), 옵티컬 디스크 드라이브(이하 ODD라한다), 테이프 스트리머등이 널리 보급되어 있으며, 그 외체의 크기나 장치 치수등은 기록 매체의 크기에 의하여 거의 표준화되어 있다. 예를들면 FDD에서는 일반적으로 이른바, 3.5인치(8.89cm) 규격, 5.2인치(13.34cm) 규격(일반적으로 5인치(12.7cm) 규격으로 표기되고, 이하 본 명세서에서도 5인치(12.7cm)규격이라 한다), 및 8인치(20.32cm ) 규격의 3종류가 사용되고 있으며, 1대의 전자기기에 사용되는 기록 매체의 크기는 통상 1종류이다. 그 때문에 범용성에 결함이 있었다.
그래서, 당초 사용하고 있는 디스크와 크기가 다른 디스크를 사용하여 기록 재생할 수 있도록 한 기록 재생 장치가 예를들면 일본 실개소 63-11792호 공보에 제안되어 있다. 그 구성을 제48도 및 제49도에 나타낸다.
제48도는 종래의 컴퓨터등의 전자기기에 있어서 기록 재생 장치의 개요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49도는 그 정면도이다.
제48도 및 제49도에 있어서 전자기기의 기록 재생 장치는 당초에 사용되고 있는 예를들면 5인치(12.7cm) 규격의 디스크에 대응하여 표준화된 FDD(이하, 5인치(12.7cm) 규격의 FDD라 한다)의 샤시와 대략 동일의 크기 및 장치 구조로 이루어진 전자 기기 본체(601)의 샤시(602)내에, 최근 소형화의 한 방법을 더듬어 표준화된 예를들면 3.5인치(8.89cm) 규격의 기록 재생 장치(603)를 장치하고 있으며, 샤시(602)의 전면에는 예를 들면 5인치(12.7cm) 규격의 FDD와 대략 동일의 크기로 이루어진 프론트 베젤(604)를 장치하고, 그 프론트 베젤(604)에는 3.5인치(8.89cm) 규격의 디스크를 장착하는 삽입구(604a)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기록 재생 장치(603)의 후방에는 예를들면 5인치 (12.7cm) 규격의 FDD와 동일의 인터페이스 기능을 가지는 중계기판(605)을 갖추고 있으며, 예를들면 5인치(12.7cm) 규격의 FDD를 탑재하여 그 프론트 배젤에 허용되는 개구를 가진 본체(601)로 부터 이루어진 각종 전자기기에서는 5인치(12.7cm) 규격의 FDD로 바꾸어 이 기록 재생 장치가 완전히 치환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종래의 것을 표준화된 예를들면 5인치(12.7cm) 규격의 FDD와 대략 동일의 크기 및 장치 구조로 이루어지고, 마찬가지로 5인치(12.7cm) 규격의 FDD와 동일의 인터페이스 기능을 가지고, 그 5인치(12.7cm) 규격의 FDD보다 소형화된 예를들면 3.5인치(8.89cm) 규격의 기록 재생 장치이고, 예를들면 이미 5인치(12.7cm) 규격의 FDD를 탑재한 각종 전자기기에 있어서는 5인치(12.7cm) 규격의 FDD로 바꾸어 이 기록 재생 장치가 완전하게 치환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으므로, 예를들면 종래부터 사용하고 있는 시스템 이어도 그 기록 재생 장치의 치환을 보면, 종래의 시스템인체로 5인치(12.7cm) 규격의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던 소프트 웨어로 바꾸어 3.5인치(8.89cm) 규격의 기록 매체에 기록된 소프트 웨어의 사용을 가능하게 하고, 초기의 목적은 달성된 것이었지만, 작금의 기술 동향으로 하여 다음과 같은 결점이 되어왔다.
작금의 컴퓨터에 관련한 각종 전자 기기에 대한 기술 진보는 현저한 것이고, 특히 소프트 웨어를 가지고 있는 기술 진보는 그 최첨단을 달리고 있으며, 소프트 하우스를 기반으로 한 사업 전개가 활발하다.
이러한 소프트 하우스를 기반으로 한 사업등은 이른바 두뇌 기반에서 전개되고, 더욱더 기술 진보에 박차가 걸리는 한편, 컴퓨터에 관련한 각종 전자기기, 즉 하드웨어의 기술 개발에는 막대한 개발 투자를 요하거나, 소프트 웨어에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라이프 사이클이 긴것이나, 하드 웨어의 개량은 그런 종류의 고도한 전문기술을 요함으로 쉽게 행할수 없는것도 있으며, 실제의 시스템에서는 소프트 웨어의 기술 진보에 따라 붙을수 없는 하드웨어가 혼재하고 있는 실정이고, 이 불균형이 총합적 시스템의 발전에 큰 지장으로 되어 있으며, 특히 소프트 웨어 기술에 관련하여, 각종 전자기기의 외부 기억장치로서 표준화하여 보급한 FDD, HDD, ODD, 테이프 스트리머 등을 자유자재로 시스템 구성하여, 총합적인 시스템의 확장을 쉽게 행할 수 있는 것이 요구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정황하에 제안된 것이고 기록 재생 장치를 극력 소형화, 특히 박형화하는 것을 제 1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기록 재생 장치를 소형화, 박형화함으로서, 컴퓨터등의 각종 전자기기에 대한 탑재 공간의 삭감 및 각종 전자기기의 기능 향상이나 시스템의 확장을 쉽게 행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적어도 디스크 구동용 모터와, 상헤드와 하헤드를 가지는 캐리지와, 그 캐리지 구동용 모터와, 리드 라이트 및 모터의 작동을 조절하는 회로를 가지는 회로기판과, 장치 본체 프레임을 갖춘 기록 재생 장치를 극력 소형화 하도록 한 것이고,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장치 전체 두께를 20.5mm 이하로 되도록 한 것이다.
상기의 박형화를 위한 수단으로서, 상기 각 구성 부품의 재질이나 배치 구성을 아래와 같이 한 것이다.
예를들면 디스크 구동용 모터의 로터 자석으로서 희토류 자석을 사용한다. 희토류 자석을 사용하면, 종래의 것보다도 적게하여도 종래의 것과 동등 또는 그것 이상의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크 구동용 모터의 외경 혹은, 축방향 길이를 작게 하는것이 가능하게 되고, 특히 디스크 구동용 모터로서 디스크와 동축의 스핀들 모터를 사용하는 경우에 장치 전체를 박형화하는데 유효하다.
상헤드와 하헤드를 가지는 캐리지가 디스크 구동용 모터와 평면쪽으로 겹치지 않게 배치되면, 장치 전체의 두께를 얇게할 수 있다. 회로 기판과 캐리지의 안내축을 평면적으로 비키어 놓아 배치한 경우도 마찬가지다. 캐리지 구동용 모터의 로터 자석으로서 네오지철 보론을 사용하며, 소형화하여도 충분한 토크가 얻어지고, 장치 전체를 박형화할 수 있다.
이상의 구성을 적절히 선택하여 조합시킴으로서, 장치 두께를 보다 박형화할 수 있고, 그와같이 박형화함으로서, 예를들면 컴퓨터등의 전자기기에 본 발명의 기록 재생 장치를 배치하는 경우에 그 배치 공간을 작게할 수 있다. 특히 장치 두께를 20.5 mm 이하로함으로서, 예를들면 종래의 5인치(12.7cm) 규격의 프로피 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이 일반적으로 장치 두께 41mm로 설정된 기존의 기록 재생 장치 대신에 본 발명의 기록 재생 장치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종래 1대의 배치 공간에 2대 이상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이하, 본 발명에 의한 기록 재생 장치를 첨부의 도면에 의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 1 도 내지 제 3 도에서 1은 기록 재생 장치, 2는 장치 본체 프레임이고, 그 프레임(2)은 제 3 도에 나타나듯이 상면 및 전면을 개방한 대략 상자형으로 형성되고, 저면의 대략 중앙부에는 후술하는 디스크 구동용 모터 (M1)를 배치 하기 위한 원형의 개구(3)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하, 편의상 제 3 도에서 화살표 (X1, X2)의 방향을 장치의 전후 방향, 화살표(Y1, Y2)의 방향을 좌우 방향, Z1, Z2의 방향을 상하 방향으로서 설명한다.
상기 프레임(2)은 좌우 1대의 브라켓(4, 4)을 거쳐 도면에 생략한 컴퓨터등의 전자기기에 장착하는 구성이고, 그 각 브라켓(4)은 제 3 도에 나타내는 부착구멍(4a)에 도시하지 않은 나사를 삽통함으로서 프레임(1)에 설치되어 있다. 4b는 전자기기에 대한 나사 정지용의 암나사 구멍이다.
프레임(2)의 전면(정면)에는 제 3 도에 나타나듯이 기록 매체로서의 디스크 (D)를 수용한 자켓(J)(제4도시)의 삽입구(6a)를 가지는 화장판(6)이 그것과 일체로 설치한 계지축(6b)에 의하여 프레임 측면에 설치되고, 그 화장판(6)의 내면측에는 상기의 카트리지 삽입구(6a)를 막는 개폐셔터(7)가 설치되어 있다. 그 셔터(7)는 지지축(7a)을 프레임(2)에 형성한 구멍(8)에 삽통함으로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지지축(7a)에 고정된 나사 코일 스프링(9)에 의하여 상기 삽입구(6a)을 상시 닫는 방향으로 회동 부세되어 있다.
프레임(2)내에는 제 2 도에 나타나듯이 자켓(J)을 수납 유지하는 홀더(10)가 설치되어 있다. 그 홀더(10)는 제 3 도에 나타나듯이 금속등으로 이루어진 판재의 좌우 양측부를 내향하고 대략 ]자형으로 굴곡시킨 구성이고, 그 홀더(10)의 하면측은 좌우 양측부를 제외한 중앙부의 대략 전면이 개구하고 있다. 그 홀더(10)에 자켓(J)를 수납하는데에는 자켓(J)의 좌우 양측변을 상기 ]자형 굴곡부의 내면에 따라 삽입하는 것이고, 홀더(10)의 내면 치수는 자켓(J)의 외형 폭 치수와 거의 동등하게 형성되어 있다.
홀더(10)의 좌우 양측면에는 제 3 도에 나타나듯이 각각 1쌍의 짧은 원통형의 돌출부(10a,10a)가 일체로 형성되고, 그 각 돌출부(10a)에는 로울러(11)가 전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한편, 프레임(2)의 좌우 양 측면에는 상기 4개의 로울러(11)를 거쳐 홀더(10)을 자켓 삽입 제거 위치와 기록 재생 위치에 선택적으로 위치 결정 유지시키기 위한 단부의 안내홈(12)이, 상기 각 로울러(11)에 대응하여 설치되어 있다. 홀더(10)의 좌우 양측부에 형성한 스프링 수용기(10b)와, 상기 각 브라켓(4)에 형성한 스프링 수용기(4c) 사이에는 제 3 도, 제 7 도에 나타나듯이 각각 홀더(10)를 도면에서 항시 경사 전방 아래 방향으로 가압하는 인장 코일 스프링(13)이 설치되고, 홀더(10)의 각 로울러(11)를 제 5 도, 제 6 도에 나타나듯이 상기 단부 안내홈(12)의 상측단부(12a) 또는 하측의 단부(12b)의 각부에 선택적으로 위치 결정 고정하는 구성이다.
홀더(10)에 자켓(J)이 삽입되어 있지 않을때에는 홀더(10)가 자켓 삽입 제거 위치, 즉 제 5 도에 나타나듯이 상기 로울러(11)가 상측의 단부(12a)의 각부에 위치하고, 홀더(10)가 상기 화장판(6)의 자켓 삽입구(6a)와 같은 높이 위치이고, 그 삽입구(6a)를 거쳐 홀더(10)로의 자켓(J)의 삽입이 가능하다.
그 상태에서 홀더(10)에 자켓(J)을 제 5 도 화살표 방향으로 삽입하여 프레임 내측으로 압입하면, 그 자켓(J)과 함께 홀더(10)가 제 5 도에서 우측으로 이동하여 각 로울러(11)가 상측의 단부(12a)에서 제 6 도에 나타나듯이 하측의 단부(12b)에 전동하여 홀더(10)가 소정의 기록 재생 위치, 즉 홀더(10)내의 자켓(J)이 후술하는 디스크 구동용 모터(M1)상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각 로울러(11)는 홀더(10)의 상기 돌출부(10a)에 결합되어 제거가능하게 설치되고, 지금이 다른 로울러를 선택적으로 장착함으로서, 홀더(10)의 프레임(2)에 대한 높이 위치등을 조정할 수 있다.
홀더(10)의 상면에는 제 1 도, 제 2 도에 나타나듯이 자켓 삽입시에 그 자켓(J)의 셔터(J1)를 제 4 도 화살표 방향으로 눌러 움직여 그 셔터를 개방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셔터 개방 레버(15)가 설치되어 있다. 그 셔터 개방 레버(15)는 그것과 일체적으로 설치한 지점핀(15a)을 홀더(10)의 절기편(turnup piece)(10c)에 형성한 구멍(16)에 계합시킴으로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개방 레버(15)의 일단에는 자켓(J)의 상기 셔터(J1)에 계합하여 그 셔터(J1)를 열기 위한 조작 돌출부(15b)가 도면에서 하방향에 일체적으로 설치 되고, 홀더(10)에 자켓 (J)을 삽입했을때, 그 조작 돌출부 (15b)가 셔터(J1)의 모서리부에 맞닿아 개방 레버(15)가 제 1 도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함으로서 셔터(J1)를 열어 구성한다.
상기 셔터 개방 레버(15)의 타단에는 그 레버(15)의 복귀 스프링(17)이 연결되고, 그 복귀 스프링(17)이 타단은 홀더(10)에 축(18a) 주위에 회동 가능하게 장치한 트리거(18)에 연결되고, 그 트리거(18)를 항상 제 1 도에서 시계 방향으로 회동 가압하고 있다.
그 트리거(18)의 일단에는 하방향의 돌출편(18b)이 일체적으로 설치되고, 자켓 장전시에는 그 자켓(J)의 삽입 방향 선단과 맞닿아 상기 복귀스프링(17)에 저항하여 트리거(18)가 제 1 도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되고, 자켓 배출시에는 복귀스프링(17)의 복원력에 의하여, 상기 돌출편(18b) 및 상기 셔터 개방 레버(15)가 제 1 도에서 시계 방향으로 회동하여 자켓을 배출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성이다.
상기 트리거(18)의 타단의 자유 단부(18c)는 제 2 도에 나타내는 자켓 장전시에는 프레임 측면에 형성한 상기 안내홈(12)의 후면측의 내면(12c)에 맞닿고, 자켓 배출시는 제 1 도와 같이 상기 흠부 후면측의 사면(12d)에 맞닿도록 구성되고, 진동등으로 인해 부주의하게 홀더(10)가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홀더(10)의 전방부 상면에는 홀더(10)를 상기 제 6 도의 기록 재생 위치에서 제 5 도의 자켓 삽입 제거 위치로 상승시키기 위한 리프터(20)가 설치되어 있다.
그 리프터(20)는 제 3 도에 나타나듯이, 금속등의 휨길이에 대한 판재의 양단부를 하방향으로 굴곡시킨 구성이고, 그 양단부에 일체로 설치한 단통상의 돌출부(20a)를 제 1 도. 제 2 도에 나타나듯이 프레임 측면에 형성한 오목홈(21)에 계합시킴으로서 회동 가능하게 유지되어 있다. 제 1 도에서 22는 하나의 짧은 원통형의 돌출부(20a)에 삽통하여 프레임 측면에 나사 출입 방지 나사가 있으며, 그것에 의하여 장치가 외부에서의 충격력을 받았을때에 홀더(10)가 상측(제 1 도에서 지면 바로 앞측)으로 빠지지 않도록 하고 있다. 또한 장치 본체 상면에 커버등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상기의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나사를 생략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리프터(20)의 양측에는 제 3 도에 나타나듯이 홀더(10)에 설치한 상기 스프링 수용기(10b)를 거쳐 홀더(10)를 상승 이동시키기 위한 회동 아암 (20b)이, 또 그 한쪽이 회동아암(20b)의 하측에는 리프터(20)를 상기 돌출부(20a)를 중심으로 회동시키기 위한 조작 아암(20c)이 각각 일체로 설치 되어 있다. 그 리프터(20)는 제 7 도 내지 제 9 도에 나타나듯이 상기 조작 아암 (20c)에 오목부(23a)를 거쳐 계합하는 이젝트 아암(23)과, 그것에 설치한 이젝트 버튼(24)을 거쳐 회동조각하는 구성이고, 그 이젝트 버튼(24)은 상기 화장판(6)에 형성한 구멍(6c)에 접동 가능하게 삽동되어 있다. 또한 상기 이젝트 버튼(24)은 교환이 간단하게 행해지도록 도시예에서는 이젝트 아암(23)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구성했지만, 이젝트 아암(23)과 일체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리프터(20)는 홀더(10)가 상기 제 5 도의 자켓 삽입 제거 위치에 있을때는 제 7 도의 상태에 있으며, 이젝트 버튼(24)은 화장판(6)의 구멍(5c)내에 약간 인입한 상태에 있다. 또한, 상기 제 7 도의 상태에서, 홀더(10)의 상기 스프링 수용기(10b)와 리프터 (20)에 형성한 돌출부(20d)와는 맞닿고 있으므로 리프터(20)의 제 7 도에서 시계 방향의 회동이 지지되어 있다.
제 7 도의 상태에서 자켓(J) 을 화장판(6)의 자켓 삽입구(6a)에서 홀더(10)내에 삽입하면, 자켓(J)의 선단이 홀더(10)의 후단부에 설치한 스토퍼(10d)에 맞닿고, 계속하여 자켓을 압입하면 홀더(10)와 함께, 장치 본체 프레임(2)내에 삽입되고, 제 8 도의 기록 재생 위치에 셋트된다. 그때 상기 스프링 수용기(10b)를 거쳐 리프터(20)가 제 7 도에서 시계 방향으로 회동하고 그것에 연동하여 조작아암(20c) 및 이젝트 아암(23)을 거쳐 이젝트 버튼(24)이 제 8 도와 같이 화장판(6)의 전방에 돌출한다.
그 상태에서 기록 재생 조작을 행하고, 그 조작이 종료한 것에서 이젝트 버튼(24)을 누르면, 이젝트 아암(23) 및 조작 아암 (20c)을 거쳐 리프터(20)가 제 8 도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고, 리프터(20)의 회동아암(20b)에 의하여 상기 스프링 수용기 (10b)를 거쳐 홀더(10)가 상승되어 재차 제 7 도의 자켓 삽입 제거 위치로 복귀하는 구성이다.그때, 도시예에서는 홀더(10)에 설치한 상기의 스프링 수용기(10b)를 약간 전방부에 설치함으로서 제 9 도에 나타나듯이 홀더(10)의 후방이 먼저 상승하고, 프레임 측면에 설치한 스토퍼(25)에 맞닿은 후, 이젝트 버튼(24)을 누름으로서 제 7 도의 상태로 복귀하도록 구성되어 있지만, 상기의 스프링 수용기(10b)의 위치를 변경함으로서, 홀더(10)가 전방측에서 먼저 상승되거나, 전후 거의 평행으로 상승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에 홀더(10)의 불용 동작시의 로크에 대하여 설명한다. 홀더(10)의 불용 동작은 자켓(J)을 오삽입하거나, 자켓(J)의 셔터(J1)가 열리지 않는 중에 홀더(10)가 이동하거나, 셔터(J1)가 열리지 않았거나 했을때를 말한다. 제 10도에서 자켓(J)를 상하면 또는 전후방부의 상태에서 화살표 방향으로 삽입하면, 자켓(J)의 삽입 방향 선단이 셔터 개방 레버(15)의 조작 돌출부 (15b)와 맞닿아 셔터 개방 레버(15)는 제10도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조금 회동하지만, 자켓을 더욱 삽입하면 트리거(18)의 하방향 돌출편(18b)에 맞닿기 전에 셔터 개방 레버(15)에 설치한 로크판(15c)이 홀더(10)의 일부인 절기부(10e)와 맞닿는다. 그러면 홀더(10)는 스프링(13)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화살표(f)방향으로 조금 이동하지만, 바로 홀더(10)에 설치된 트리거(18)의 자유단부(18c)가 프레임(2)에 설치한 상기 사면(12d)과 맞닿고, 홀더(10)의 화살표(a)방향으로의 미끄럼이 저지되어, 자켓을 그것이상 삽입할 수 없는 상태로 된다. 이것에 의하여 홀더(10)의 로울러(11)는 제 5 도에 나타내는 상측의 단부(12a)에서 벗어나지 않으므로, 제 6 도의 기록 재생 위치에는 장착되지 않는다. 또한 셔터 개방 레버(15)가 요동되지 않고 어떤 외력에 의해 홀더(10)가 화살표(f)방향으로 요동한 경우에서도 상술의 동작에 의하여, 홀더(10)는 장착되지 않는다. 이것에 의하여 장치 내부에 구성부품을 손상시키는 것이 방지된다.
다음에, 헤드 로드 기구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홀더(10)의 후방에는 제 1 도. 제 11도에 나타나듯이 상헤드(40)와 그 헤드를 유지하는 상캐리지(41)가 설치되고, 홀더(10)의 후부 상면에는 제 1 도. 제 3 도 및 제 11도. 제 12도에 나타나듯이 홀더(10)의 상기 인상 도악에 연동하여 상헤드(40)를 상측으로 퇴피 이동시키기 위한 헤드 로드 아암(30)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상헤드(40)와 상캐리지(4)의 하측에는 후술하는 하헤드(50)와 하캐리지(51)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헤드 로드아암(30)은 제 3 도. 제 12도에 나타나듯이 그것과 일체로 설치한 1대의 돌출핀(30a,30a)을 홀더 상면의 1쌍의 기립편(31)에 형성한 결합공(31a)에 결합됨으로서 상하 회동 가능하게 장치되고, 그 헤드 로드 아암(30)의 거의 중앙부에 조정 나사(32)의 하단을 홀더 상면에 맞닿게 함으로서, 소정 높이 위치에 유지되어 있다. 33은 헤드 로드 아암(30)을 홀더 상면에 맞닿게 하는 방향으로 항상 회동부세하는 나사 코일 스프링이다.
홀더(10)내의 자켓(J)이 기록 재생 위치에 셋트된 상태에서 홀더(10)는 제 12도의 실선 위치에 있으며, 그 상태에서 자켓(J)을 배출할때는 상술하듯이 홀더(10)가 상승하고, 그것과 함께 헤드 로드 아암(30)도 동일 도면의 쇄선에서 나타나듯이 상측으로 평행 이동한다. 그것에 의하여 헤드 로드 아암(30)의 자유 단부(30b)가 상캐리지(41)의 지지상부(41a)에 결합하여 상캐리지(41)와 함께 상헤드(40)를 지지하여 올리고, 상헤드(40)와 자켓(J)사이에 소정의 클리어런스를 확보하는 구성이다. 또한 이때 홀더(10)으 높이에 불균형이 있어도 상기의 조정나사(32)를 회전함으로서, 헤드 로드 아암(30)의 자유단부(30b)가 도면에서 상하 이동하여 상기의 클리어런스를 적절히 조정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제 1 도. 제 3 도에 나타나듯이 헤드 로드 아암(30)의 자유단부(30b)를 평행하게 조정하는 편심핀(34)을 설치하는 것도 있다.
상기 헤드 로드 아암(30)의 근방에는 제 1 도에 나타나듯이 댐퍼(35)가 설치되고 있다. 그 댐퍼(35)는 댐퍼 아암(35a)을 헤드 로드 아암(30)의 일부분(30c)에 결합시킨 구성이고, 그 댐퍼(35)에 의하여 자켓을 상기의 기록 재생 위치에 설치했음때에 상헤드(40)가 디스크(D)에 강하게 맞닿이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다음에 상하의 헤드(40,50) 및 캐리지(41,51)의 구성을, 제13도 내지 제 16도에 의하여 설명한다.
상기의 상헤드(40)를 유지하는 상캐리지(41)는 제 4 도. 제15도에 나타나듯이 하헤드(50)를 유지하는 하케리지(51)상에 배치되고, 그 하캐리지(51)를 캐리지 구동용 모터로서의 스텝 모터(M2)에 의하여 캐리지 안내축(60)에 따라 이동시킴으로서, 상헤드(40)와 하헤드(50)를 상기 기록 재생 위치에 셋트한 디스크에 대하여 지름 방향으로 이동 위치 결정하는 구성이다.
하캐리지(51)의 하면측에는 제15도에 나타나듯이 상기 안내축(60)에 대한 축수부(51a)가 일체로 설치되고, 그 축수부(51a)에 하캐리지(51)의 이동가이드를 위한 소결 메탈(65)이 압입하고 있다. 제14도에 나타내는 하캐리지(51)의 오목부(51b)에는 상기 스텝 모터(M2)에 설치한 리드스크류(61)와 홈과 계합 추적하는 리드핀(62)이 접착 고정하고 있다. 이 리드핀(62)에 예압을 주고, 리드핀(62)이 리드스크류(61)의 홈을 정확하게 추적하도록 리드핀 예압스프링(63)을 나사(64)에 의하여 하캐리지(51)의 암나사공(51c)에 장치하였다. 하캐리지(51)에는 충격등에 의한 힘이 가해졌을때에 리드핀(62)이 리드스크류(61)의 홈에서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부(51d)를 설치하고 있다. 하캐리지(51)의 선단에는 후술하는 디스크 구동용 모터(M1)에서의 자기 누설을 차단 하기 위한 시일드 판(52)과 디스크에 신호의 기록 재생을 행하는 하헤드(50)가, 헤드와 디스크의 양호한 접촉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짐벌(gimbal)구조를 가지는 판스프링으로서 만들어진 집벌(50a)에 장치한 상태에서 접착 고정하고 있다. 하캐리지(51)의 일부에는 하캐리지(51)가 규준 위치로 이동한 것을 검지하기 위한 광센서(도시 않음)를 차단하기 위한 00셔터(53)가 제14도중 화살표(g)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치되어 있다.
상캐리지(41)에는 하헤드(50)와 마찬가지로 상부 짐벌(40a)에 장치한 상헤드(40)를 접착하고 있다. 상캐리지(41)는 자켓(J)을 셋트하거나 이젝트 하는 경우에서, 상기 지지상부(41a)를 상술의 헤드 로드 아암(30)에 의하여 들어올리기 위하여 상캐리지(41)에는 회동 지점으로 되는 1대의 지점부(41b)가 설치되어 있으며, 판스프링에서 만들어진 서스펜션(42)에 의하여 하캐리지(51)에 장치하고 있다. 43은 서스펜션 홀더, 44는 장치 나사로서 하캐리지(51)의 암나사공(51f)에 들어가 있다.
하헤드(50)와 상헤드(40)에 예압을 부여하여 디스크의 접촉압을 얻기 위하여 헤드 로드 스프링(54)을 하캐리지(51)의 스프링 결합부(51e)와 상캐리지(41)의 스프링 결합부(41c) 사이에 걸쳐져 있다. 특히 상캐리지(41)의 스프링 결합부(41c)는 거의 위치가 3위치 있으며, 헤드에 가하는 압력을 미묘하게 조정할 수 있는 구조로 하고 있다. 헤드 로드 스프링(54)의 위치를 상헤드(40)의 지지상부(41a)와 상기 1대의 지점부(41b)를 맺는 3각형의 내부에 위치함으로서, 상부(41a)의 한군데만을 상승시켜도 상캐리지(41)가 기울지 않고 수평으로 상승되도록 되어 있다. 상캐리지 (41)를 상부(41a)에 의하여 들어올린 상태에서 충격이 가해지면 상캐리지(41)의 선단부가 내리게 되고, 지점부(41b)가 뜨게 된다. 극단적인 경우는 하헤드(50) 와 상헤드(40)가 충돌하여 파손하는 것도 고려된다. 이 때문에, 서스펜션(42)을 누르고 있는 서스펜션 홀더(43)에 상캐리지(41)의 지점부(41b)의 압부(43a)를 설치하여 지점부(41b)의 부유를 방지함으로서 내 충격성을 향상하는 구조를 하고 있다. 상하의 헤드(40,50)에서는 제어 회로와 헤드를 접속하기 위한 플랙시블 프린트기판(40b, 50b)이 나와있지만 두께가 얇고 취급성이 좋지 않으므로 하캐리지(51)에 홈부(51g)를 설치하여 안내하고 있다.
하헤드용의 플렉시블 프린트기판(50b)에 대하여 설명하면, 하캐리지(51)에 클램프부(51b)를 설치하여 플렉시블 프린트기판(50b)를 누르고 있다.
상헤드용의 플렉시블 프린트기판(40b)은 상캐리지(41)의 걸림부(41d)에 의하여 플렉시블 프린트기판(40b)을 안내하고, 플렉시블 프린트기판(40b)의 형상을 소정의 형상으로 유지하고 있다.
상기의 캐리지 안내축(60)은 클램프(66)에 의하여, 상술의 프레임(2)에 하면측(후술하는 디스크 구동용 모터의 장치면과 동일방향)에서 나사(67)게 의하여 장치되어 있다. 캐리지를 안내축(60)에 따라 디스크 지름 방향으로 이동위치 결정하기 위한 상기의 스템모터(M2)는, 한스텝에 1B도 회전한다. 리드스크류(61)는 선단부를 프레임(2)에 장치한 피벗(pivot) 축수(68), 중앙부를 같은 프레임(2)에 설치한 메탈 축수(69)에 의하여 안내되고, 추력방향과 방사상방향에 작용하는 힘을 받고 있다. 리드스크류(61)의 선단 및 후단에는 경도가 높은 볼(70,71)을 매입하여 내마모성의 향상을 도모하고 있다.
스텝모터(M2)의 로터자석(로터 마그네트)(72)은 리드스크류(61)에 접착 고정하고 있다. 그 로터자석(72)은 네오지철 보론이 사용되고, 자력이 크므로 지름을 작게하여도 충분한 토크가 얻어짐으로 스템모터의 소형화를 도모하고 있다. 상기 리드스크류(61)에 추력 방향의 예압을 부여하기 위한 추력 스프링(73)은, 스텝모터(M2)의 후단에 셋트하고 있으며, 모터 캡(74)에 의하여 추력을 받고 있다. 스텝모터(M2)의 외측에는 모터클램프(75)가 있으며, 스프링성에 의하여 스템모터(M2)를 프레임(2)에 고정하게 된다.
이러한 구조에서는 캐리지의 위치 조정을 위하여, 스텝모터(M2)를 회전하여 조정을 행하는 방법이 일반적으로 행하여지고 있다. 스템모터(M2)를 회전함으로서 리드스크류(61)도 회전하고, 리드스크류의 홈에 계합하고 있는 리드핀(62)이 이동하여 캐리지의 위치 조정이 행하여지는 것이지만, 모터클램프(75)의 모터(M2)와의 접촉 부분을 볼록형상(75a)으로 하고 있으므로, 스텝모터(M2)가 회전하기 쉽고 조정이 용이하다. 스텝모터(M2)의 플랜지(76)에는 톱니가 절단되어 있으며 지그에 의한 조정이나, 자동화를 쉽게 하고 있다.
또한, 스텝모터의 중심내기는 프레임(2)에 설치한 메탈 축수(69)와 스텝모터(M2)의 플랜지(76)의 결합에 의하여 행하여 지고 있다.
다음에, 제13도 및 제17도에 나타나듯이 프레임(2)에는 상기 캐리지(51)와 거의 동일 면상에 제어기판(80)을 나사 고정하고 있다. 그 제어기판(80)과 상기 캐리지 안내축(60)은 제13도에 나타나듯이 평면에서 엇갈리게 배치되고, 그것에 의하여 캐리지(41,51)를 매우 낮게 위치할 수 있도록 하여 장치의 박형화를 도모하고 있다. 또한 제어기판(80)과 캐리지(51)는 일부 겹치는 부분이 있지만, 이것은 제17도에 나타나듯이 제어기판(80)상의 높이가 높은 부품(80a)과, 캐리지(51)의 겹침을 피하고, 높이가 낮은 부품(80b)과 캐리지(51)의 일부가 겹치는 것이다. 따라서 기본적으로는 기록 재생 장치의 두께방향(제17도에서 상하방향)에서는 제어기판(80)과 캐리지(51)의 겹침을 방지하고 있다.
다음에 디스크를 처킹하고, 회전 구동시키는 디스크 구동용 모터 및 디스크 처킹 기구를 제13도 및 제18도 내지 제21도에 의하여 설명한다.
디스크 구동용 모터(M1)는 본 실시예에서는 스핀들모터를 사용하여 직접 구동을 행하도록 한 것이고, 그 모터(M1)는 그 모터의 제어기판이 실장된 모터기판(81)상에 유지되고, 그 기판(81)을 상기 프레임(2)에 장치함으로서 제13도에 나타나듯이 상기 모터(M1)를 프레임(2)의 상기 개구(3)내에 배치하는 구성이다. 상기의 모터기판(81)상에는 제18도에 나타나듯이 상술한 자켓(J)이 기록 재생 위치에 셋트된 것을 검출하거나, 자켓(J)의 상태를 검출하는 검출 스위치(82a,82b), 기록 재생 장치의 동작 표시용LED를 장치하기 위한 커넥터(83)가 장치되어 있다. 모터기판(81)은 중앙에는 하우징(84) 및 코일이 감긴 고정자(85)가 있으며, 너트판(86)과 3개의 접시 나사(87)에 의하여 끼워 넣어진 구조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다.
하우징(84)에는 메탈 축수(88)를 압입한후 볼베어링 축수(89)가 접착하고 있다. 이들의 축수(88,89)에는 고정자(85)에 대향하는 로터자석(구동 마그네트) (92)을 접착 고정하고, 모터(M1)의 회전속도 검출용의 검출 마그네트(93)와, 디스크 (D)의 허브(H)르 흡인위치 결정하기 위한 처킹 마그네트(94)와, 회전 구동축(91)을 플라스틱 마그네트에 의하여 동시 형성한 로터(90)의 회전 구동축(91)이 축방향의 위치 조정용의 스페이서(95)를 통하여 삽입되어 있다. 상기 로터자석 (92)은 희토류계의 고성능 마그네트를 사용함으로서, 그 로터자석(92) 나아가서는 디스크 구동용 모터(M1) 전체의 지름방향 및 축방향의 소형화 및 박형화가 도모되어 있다.
상기 로터(90)의 상면에는 처킹 마그네트(94)를 성형 고정하고 있지만, 일부 로터면을 볼 수 있는 원호상의 개구부(94a)를 형성하고 있다. 이 개구부(94a)내에는 허브(H)의 구동공(h2)과 결합하여 허브 (H)를 회전 구동 및 중심내기 위한 처킹레버(96)에 설치한 버링(burring) 가공에 의한 지점축부(96a)와 계합하여 처킹레버(96)의 회동지점을 구성하는 지점공(90a)과 처킹레버(96)를 안내 함과 동시에 로터(90)에 장치하기 위한 레버핀(97)을 코킹 고정하는 코킹공(90b)을 설치하고 있다. 처킹 마그네트(94)의 상면에는 허브(H)를 받기 위한 접동성이 좋은 재질의 슬라이드시트(98)를 부착하고 있다. 81a는 상기 모터기판(81)을 프레임(2)에 장치하기 위한 나사이고, 도시예에서는 프레임(2)의 하측에서 3개의 접시나사(81a)에 의하여 장치되어 있다.
제19도에서 처킹 마그네트(94)는 도면에서 다수의 점을 부착한 부분에 착자되어 있으며, 회전구동축(91)의 중심에 대하여 허브(H)의 흡착력이 균일하게 되도록 하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제19도. 제 20도에 나타나듯이 레버핀(97)의 안내지름(97a)보다 처킹 레버(96)의 안내공(96b)의 지름이 어느정도 크게되어 있으며, 처킹레버(96)는 제19도중의 화살표(j)방향으로 필요량이 이동할 수 있다. 한편, 제 20도중의 화살표 (K)방향에는 레버핀(97)과 처킹레버(96)의 근소한 클리어런스밖에 이동하는 것은 가능하지 않고, 처킹레버(96)에 설치한 버링 가공에 의한 지점축수(96a)와, 처킹레버(96)의 회동지점을 구성하기 위한 지점공(90a)의 결합이 해제되지 않는 구조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서, 허브(H)를 제 20도에 나타나듯이 처킹 마그네트(94)에 의하여 슬라이드시트(98)상에 흡착하고, 제19도와 같이 허브(H)와 구동공(h2)과 처킹레버(96)의 위치관계를 맞추어 결합시키고, 허브(H)를 회전 방향 및 반경 방향으로 위치 결정을 행하는 경우, 최초의 허브(H)의 구동공(h1)과 처킹레버의 위치가 합하여 지지 않으므로 허브(H)는 약간 기울지만, 모터(M1)의 회전에 의하여 처킹레버(96)와 허브(H)의 구동공(h2)이 일치하여 허브(H)는 제 20도의 위치에 셋트되는 것이다. 이때의 허브(H)이 기울기를 작게하고, 안정된 처킹을 행하기 위하여는 제 20도에 있어서 처킹레버(96)와 허브(H)의 계합량(ι1)을 0.78mm 이하로 하는 것이 실험상 가장 양호하였다.
제21도에 나타나듯이, 상기 모터(M1)의 로터(90)의 상면(90c)은 프레임(2)의 상면(2d)과 거의 일치하지만 어느정도 낮게 구성되고 있으며, 로터(90)와, 디스크 (D)를 수납한 자켓(J)의 간섭이 방지되어 있다.
제21도에 나타나듯이 모터(M1)의 축수부는 로터(90)에 고정한 회전 구동축(91)이 볼베어링(89), 메탈축수(88)의 중심공에 꽂아 넣어진 구조이므로, 예를들면 외부에서 큰 충격이 가해진 경우에, 회전 구동축(91)이 모터기판(81)과 반대방향 즉 도면에서 상측으로 이동할 염려가 있다. 그 때문에 로터 외주면에 설치한 속도 검출 마그네트(93)를 프레임(2)의 개구(3)의 구멍지름보다 크게 형성하고, 상술의 충격이 가해진 경우에서, 로터(90)가 도면에서 상측으로 이동하여도 속도검출 마그네트(93)가 상기 개구(3)의 모서리부와 접하여 회전 구동축(91) 및 로터(90)의 빠짐을 방지하는 구조이다.
적어도 하측의 캐리지(51)는 모터(M1)의 로터(90)의 외형보다 반경 방향 외측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캐리지(51)가 디스크(D)의 최내주에 이동하여도. 로터(90)와 캐리지 (51)의 두께방향(제21도에서 상하방향)에서의 겹침을 방지하는 구조이다. 특히 도면의 실시예에서는 로터 (90)의 외형은 직경 38mm이고, 캐리지951)가 로터측에 가장 많이 이동한 때의 선단의 위치는 모터(M1)의 중심에서 19.5mm이고, 로터(90)와 캐리지 (51)가 간섭되지 않는다.
또한, 속도검출 마그네트(93)의 외형은 42mm 이고, 캐리지(51)와 부분적으로 두께방향으로 겹치지만, 속도 검출 마그네트(93)는 두께 방향으로 얇게 만들어져 있으며, 상술의 제17도에 있어서 제어기판(80)과 캐리지(51)의 부분적 겹침과 마친가지로, 기록 재생 장치의 두께 방향에 영향을 주는 것은 아니다. 그 결과 실시예에서는 모터기판(81)의 하면에서 로터 상면까지의 두께를 6mm로 하는 것이 가능하였다.
실제 기록 재생 장치 전체의 두께를 결정하는 요소로서는 제18도. 제 20도는 나타나듯이 모터(M1)상에 디스크를 장치한 허브(H)를 흡착하고, 제15도와 같이 디스크와 양호한 접촉을 얻기 위하여, 기록 재생면을 디스크와 대략 동일면에 구성한 상헤드(40)를 배치하고, 상헤드(40)를 지지하는 상캐리지(41)가 있다. 그리고 디스크를 수납한 자켓(J)을 회피할 필요가 있다.
모터(M1)의 두께를 상술하듯이 6mm, 처킹부분의 두께를 0.8mm, 허브(H)에서 디스크면까지의 높이는 대략 1.4mm, 자켓(J)의 두께는 3.3mm(어느것도 Amrican National Standard X3B 8-84-201에 기재되어 있다. 상헤드(40)는 플랙시블 디스크드라이브 장치용으로서 업계에서는 표준화가 이루어져 있으며, 2.7mm이다. 상캐리지(41)는 형상을 만들기 위하여는 적어도 0.5mm 필요하다.
따라서, 장치 전체로서 최소한도 필요한 두께는 모터(M1)의 두께는 6mm, 처킹 부분의 두께0.8mm, 디스크의 두께 1.4mm, 자켓 절반의 두께 1.65mm, 상헤드의 두께 2.7mm, 상캐리지의 두께 0.5mm 를 가한 13.05mm로 된다.
실제로는 각 부분의 공차가 있으며, 간섭을 방지하기 위하여 클리어런스를 취할 필요가 있으며, 외부에서의 잡음을 방지하기 위한 실드등이 부가되기 때문에, 장치 전체의 두께로서는 16mm 정도로 하는 것이 가능하고, 실제로 실시예에서는 그것과동일 정도의 두께를 달성할 수 있었다.
22도 내지 제28도는 처킹 기구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것이고, 상기 실시예와 동일의 기능을 가지는 부재에는 동일 부호를 붙여 재차 설명을 생략한다.
처킹 레버(96)는 제22도에 나타나듯이 그 일단을 처킹 레버핀(99a) 에 의하여 로터(90)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하고 있으며, 처킹 레버(96)의 자유단에는 구동핀(99b) 이 코킹 고정하고 있다. 또 그 처킹 레버(96)는 처킹 마그네트(94)에 설치한 개구부 (94a)에 배치하고 있으며, 그 개구부(94a)에 대응하여 로터 상면에도 개구부가 설치되어 있다.
디스크 (D)를 로터상에 장착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제23도에 나타나듯이 구동핀 (99b)이 슬라이드시트(98)보다도 상측으로 돌출한 상태에 있다. 그 상태에서 디스크(D)의 허브(H)를 슬라이드 시트(98)싱에 처킹 마그네트(94)에 의하여 흡착 유지되면, 통상은 허브(H)에 설치한 구동공(h2)과, 구동핀(99b)의 위치 관계가 일치하는 확율은 작고, 구동핀(99b)은 허브(H)에 눌려져 처킹 레버(96)가 흔들림으로서 하강이동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처킹 레버(96)는 판두께가 0.15mm 정도가 스프링판재가 사용되고 있다.
다음에, 모터 구동 신호에 의하여, 로터(90)가 회전하면, 허브(H)의 구동공(h2)내에 구동핀(99b)이 일치하고, 제25도에 나타나듯이 구동공(h2)과, 구동핀(99b)이 처킹 레버(96)의 복원력에 의하여 돌출한다.
구동핀(99b)은 제26도에 나타나듯이 구동공(h2)의 2면(h2a, h2b)에 맞닿아 결합하므로서, 처킹 레버(96)가 디스크의 회전력에 의하여 도면중 화살표(m)방향으로 회전이동하고, 제27도에 나타나듯이 허브(H)의 중심공(h1)의 2면(h1a, h1b)을 회전 구동축(91)에 가압하고, 허브(H)의 중심내기를 행하는 것이다.
또한, 구동공(h2)과, 구동핀 (96b)이 확실하게 계합하도록, 제28도에 나타나듯이 로터 및 처킹 마그네트(94)에 설치한 원호상의 개구부(94a)의 반경 방향으로 대항하는 내벽면(94a1과 94a2)에 의하여 처킹 레버(96)의 회동 범위를 규제하고 있다. 제23도에 나타나듯이 처킹 레버 핀(99a)은, 처킹 레버(96)의 도면에서 상하방향으로 동작을 규제하도록 0.1mm이하의 클리어런스를 보유하여 처킹 레버(96)를 유지하고 있다. 그리고, 구동핀(99b)의 슬라이드 시트(98) 상면에서의 튀어나온 량(ι1)을, 로터(90)와 처킹 마그네트(94)및 스라이드 시트(98)을 가한 두께(ι1)이하로 함으로서, 처킹시 제24도와 같이 처킹 레버(96)는 로터(90)의 내부에 돌출하지 않고, 허브(H)와 구동핀(99b)의 접동력도 작게할 수 있고, 처킹 기구의 박형화와 함께 처킹시의 허브(H)와 구동핀(99b)의 마찰 손상을 작게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제22도 내지 제28도의 실시예에서도 상기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모터(M1)를 박형화 할수 있고, 나아가서는 기록 재생 장치 전체를 박형화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기록 재생 장치(1)의 각부 구조를 상술하듯이 구성한 것에 의하여, 장치 전체의 두께를 적어도 20.5mm 이하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상기 실시예에서는 상술하듯이 16mm 정도까지 박형화 가능한 것이고, 예를 들면 컴퓨터등의 전자기기로의 배치 공간을 대폭으로 삭감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두께는 20.5mm 이하로 함으로서, 컴퓨터등의 전자기기에 본 발명의 기록 재생 장치(1)를 장착하는 경우에 예를들면 아래와 같이 배치 구성을 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즉, 제29도 내지 제37도는 컴퓨터에 관련한 전자기기에 대한 외부 기억장치로서의 상술의 플로피디스크(FDD)에 의해 기억 재생 장치(1)의 배치 구성을 표시한다.
제29도 제30도 및 제31도. 제32도와 제36도에 있어서, 101은 전자기기의 외부 기억 장치이며 종래부터 사용되고 있는 예를들면 5인차(12.7cm) 규격의 FDD의 샤시와 대략 동일으 크기 및 설치 구조로부터 성취되며, 예를들면 강판 판금가동을부터 이루어진 샤시(102)내에 상술한 바와같이 소형화된 예를들면 3.5인치 (8,89cm) 규격의 FDD를 이용한 기록 재생 장치(1)를 2대 설치하여 샤시(102)의 전면에는 예를들면 5인치 (12.7cm) 규격의 FDD와 대략 동일의 크기로부터 이루어지는 프론트 베젤(104)을 설치하고, 그 프론트 베젤(104)에는 3.5인치(8.89cm ) 규격의 디스크를 장착하는 삽입구(104a)를 2대의 기록 재생 장치(1)에 대응하여 (제29도. 제30도 및 제31도. 제32도에는 도시생략)설치하였다.
그리고 제36도에 잇어서, 상기 프론트 베젤 (104)에는 삽입구(104a)의 대략 중앙 부근에 3.5인치(8.89cm) 규격의 디스크를 삽입 및 제거하는데 적합한 요부(104b)를 갖추고 있으며, 또한 상기 3.5인치(8.89cm)규격의 디스크를 이젝트 조작하는 버튼(116)과 상기 기록 재생 장치(1)의 가동 상태를 표시하는 LED(117)도 갖추고 있다.
프론트 베젤(104)를 샤시(102)의 전면에 설치하는 설치 구조는 먼저 대략 요(凹)문자형으로 구성한 샤시(102)의 저면에 프론트 베젤(104)을 고정하기 위한 프론트 베젤(104)에 고정부를 구성하고, 샤시(102)의 양측면 상단에는 프론트 베젤(104)이 전방으로 기울지 않도록 지지하기 위한 열쇠형의 결합부(102b)를 구성하여, 프론트 베젤(104)에 그 결합부(102b)와 결합부 후크부(104c)를 설치하고, 그 결합부(102b)와 후크부(104c)를 결합한 것으로, 나사(119)에 의하여 프론트 베젤(104)을 샤시(102)의 저면에 고정하고 있다.
또한 상기 기록 재생 장치(1)를 샤시(102)내에 2대 장치하는 상세한 구조에 대하여는 후술하지만, 기록 재생 장치(1)의 양측면 일부에, 대략 수직인 측벽(102a)을 샤시 (102)의 일부에 구성하고, 복수의 나사(106)에 의하여 고정하고 있다.
그리고, 기록 재생 장치(1)의 후방에는 3.5인치(8.89cm)규격의 기록 재생 장치용으로서 표준화되고,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인터페이스 기능과는 다른 예를들면 5인치 (12.7cm) 규격의 FDD와 동일한 인터페이스 기능을 가지는 중계기판을 갖추고 있다.
그 중계기판은 제29도. 제30도. 제32도에 나타내는 내용은 각각 다르게 되어 있으며, 각각의 내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① 제29도에 나타내는 중계기판(105)은 호스트측의 코넥터와 접속하여 신호의 수신 및 전달을 행하는 카드 에지커넥터(107), 전원의 공급을 받는 전원커넥터(108), 상기 2대의 기록 재생 장치(1)에 각각 접속하여 신호의 수신 및 전달을 행하고, 평 케이블(110)의 단부에 배치한 커넥터(109), 상기 2대의 기록 재생 장치(1)에 각각 접속하여 전원의 공급을 행하는 2개의 전원단자(111)를 가지고, 나사(113)에 의하여 샤시 (102)에 고정한다.
중계기판(105)에는 상기 3.5인치(8.89cm) 규격의 기록 재생 장치(1)의 출력 신호의 전류 구동 능력을, 5인치 (12.7cm)규격의 FDD의 전류치에 증대하는 구동 소자(112)를 갖추고 있으며, 상기 3.5인치(8.89cm)규격의 기록 재생 장치(1)의 구동 상태를 선택적으로 설정하거나, 수단을 선택적으로 설정하거나 하기 위한 선택적 설정 수단으로서, 예를들면 복수의 쇼트프러그(114)를 갖추고 있다.
② 제30도에 나타내는 중계기판 (105A)에서 제29도에 나타내는 중계기판(105)과 다른것은 제29도에 나타내는 상기 2대의 기록 재생 장치(1)에 각각 접속하여 전원의 공급을 행하는 2개의 전원단자(111)가 없고, 전원 공급은 평 케이블(110)의 단부에 배치한 2개의 코넥터(109)를 통하여 행하는 것이다.
그리고, 다른 구성에 대하여는 제29도와 같고, 중계기판(105A)은 호스트측의 커넥터와 접속하여 신호를, 수신 및 전달을 행하는 카드에지 커넥터(107), 전원의 공급을 받는 전원 커넥터(108), 상기 2대의 기록 재생 장치(1)에 각각 접속하여 신호의 수신 및 전달을 행함과 동시에 전원 공급을 행하는 평 케이블(110)의 단부에 배치한 2개의 코넥터(109)를 가지고, 나사(113)에 의하여 샤시(102)에 고정한다.
중계기판(105A)에는 상기 3.5인치(8.89cm) 규격의 기록 재생 장치(1)의 출력 신호의 전류 구동 능력을, 5인치(12.7cm)규격의 FDD 전류치로 증대하는 구동소자(112)를 갖추고 있으며, 상기 3.5인치(8.89cm) 규격의 기록 재생 장치(1)의 구동 상태를 선택적으로 설정하거나, 수단을 선택적으로 설정하거나 하기 위한 선택적 설정 수단으로서, 예를들면 복수의 쇼트프러그(114)를 갖추고 있다.
③ 제31도에 나타내는 중계기판(115)에서 제29도 및 제30도에 나타내는 중계기판
(105 및 105A)과 크게 다른것은, 중계기판(115)을 상기 2대의 기록 재생 장치(1)에 대응하여 2개의 구성으로 하고 있으며, 다른 구성에 대하여는 제29도와 같은 구성이고, 제31도에 나타내는 2개의 중계기판(115)은 호스트측의 커넥터와 접속하여 신호의 수신 및 전달을 행하는 카드 에지커넥터(107), 전원의 공급을 받는 전원커넥터(108), 상기 2대의 기록 재생 장치(1)에 각각 접속하여 신호의 수신 및 전달을 행하고, 평 케이블(110)의 단부에 배치한 커넥터(109), 기록 재생 장치(1)에 접속하여 전원의 공급을 행하는 전원단자(111)를 각각 가지고, 그 중계기판(115) 사이에는 부시(118)를 셋트하고, 나사(113)에 의하여 샤시(102)에 고정한다.
또한, 중계기판(115)에는 상기 3.5인치(8.89cm) 규격의 기록 재생 장치(1)의 출력 신호의 전류 구동 능력을 5인치(12.7cm) 규격의 FDD의 전류치로 증대하는 구동소자(112)를 각각 각추고 있으며, 상기 3.5인치(8.89cm) 규격의 기록 재생 장치(1)의 구동 상태를 선택적으로 설정하거나, 수단을 선택적으로 설정하거나 하기 위한 선택적 설정 수단으로서, 예를들면 복수의 쇼트프러그(114)를 각각 갖추고 있다.
④ 제32도에 나타내는 중계기판
(115A)에서 제31도에 나타내는 중계기판(115)과 다른 것은 제31도에 나타내는 기록 재생 장치(1)에 접속하여 전원의 공급을 행하는 전원단자(111)가 없고, 전원 공급은 평 케이블 (110)의 단부에 배치한 커넥터(109)를 통하여 행하는 것이다.
그리고, 다른 구성에 대하여는 제31도와 마찬가지이고, 중계기판(115A)은 호스트측의 커넥터와 접속하여 신호의 수신 및 전달을 행하는 카드 에지커넥터(107), 전원의 공급을 받는 전원 커넥터(108), 기록 재생 장치(1)에 각각 접속하여 신호의 수신 및 전달을 행함과 동시에 전원 공급을 행하는 평케이블(110)의 단부에 배치한 커넥터(109)를 가지고, 그 중계기판(115A)사이에는 부시(118)를 셋트하고, 나사(113)에 의하여 샤시(102)에 고정한다.
또한, 중계기판(115A)에는 상기 3.5인치(8.89cm) 규격의 기록 재생 장치(1)의 출력 신호의 전류 구동 능력을 5인치(12.7cm) 규격의 FDD 의 전류치로 증대하는 구동 소자(112)를 갖추고 있으며, 상기 3.5인치(8.89cm) 규격의 기록 재생 장치(1)의 구동 상태를 선택적으로 설정하거나, 수단을 선택적으로 설정하거나 하기 위한 선택적 설정수단으로서, 예를들면 복수의 쇼트프러그(114)를 갖추고 있다.
다음에, 제33도. 제34도 및 제35도에 의하여 상기3.5인치(8.89cm) 규격의 기록 재생 장치(1)를 샤시(102)에 고정하는 고정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33도. 제34도 및 제35도에서, 상술한 5인치 (12.7cm) 규격의 FDD샤시와 대략 동일의 크기 및 장치 구조로 이루어지고, 예를들면 강판 판금 가공으로 이루어지는 샤시(102)는 기록 재생 장치(1)의 양측면에 대략 일치하도록 그 내측에 예를들면 굽힘 가공등에 의한 대랴 수직인 측벽(102a)을 구성하고, 그 측벽(102a)사이에 상술하듯이 소형화된 3.5인치(8.89cm) 규격의 기록 재생 장치(1)를 2대 장치하고, 복수의 나사(106)에 의하여 고정하고 있다.
측벽(102a)사이에 장치한 2대의 3.5인치(8.89cm) 규격의 기록 재생 장치(1)와 샤시 (102)의 관계를 주목하면, 제33도에서는 샤시(102)의 저면(102c)과 기록 재생 장치(1)의 저면(1b)은 거의 일치하고 있으며, 2대의 3.5인치(8.89cm) 규격의 기록 재생 장치(1)는 중첩 장치하고 있다.
한편, 제34도에서는 기록 재생 장치(1)를 샤시(102)의 내측에 배치하고 있으며, 샤시(102)의 저면(102c)과 상기 기록 재생 장치(1)의 저면(1b)은 샤시(102)의 두께만큼만 다르게 되어 있으며, 2대의 3.5인치(12.7cm) 규격의 기록 재생 장치(1)는 겹쳐 장치하고 있다.
제35도에서는 제34도와 마찬가지로 기록 재생 장치(1)를 샤시 (102)의 내측에 배치하고 있지만, 2대의 3.5인치(8.89cm) 규격의 기록 재생 장치(1)사이에는 공간부 (1a)를 설치하고 있으며 배치가 과밀상태로 되어도 쌍방의 기록 재생 장치(1)가 발하는 전계나 자계등의 잡음이 서로 영향을 주어 기록 재생 장치의 열화를 일으키거나 또는 쌍방의 기록 재생 장치(1)의 자동음 등이 서로 영향을 주어 공명등을 하지 않도록 배려를 하고 있다.
제33도. 제34도 및 제35도에 있어서 3.5인치(8.89cm) 규격의 기록 재생 장치(1)를 샤시(102)에 고정하는 고정 구조는 각각 다르게 되어 있지만, 기록 재생 기능에는 본질적인 차이를 미치지 않는다.
이상과같은 구성에 의하면 예를들면 5인치(12.7cm) 규격의 FDD를 탑재하여 구성한 각종 전자 기기에서, 5인치(12.7cm) 규격의 FDD로 바꾸어 본 발명에 의한 기록 재생 장치(1)가 완전하게 치환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 실시예의 구성상의 특징에 대하여 설명한다.
1) 기록 재생 장치의 설치 대수의 대하여, 상기 실시예에서는 3.5인치(8.89cm) 규격의 기록 재생 장치
(1) 및 중계기판(105), 중계기판(105A), 중계기판(115), 중계기판(105A)를 각각 2대 설치하고, 프론트 베젤(104)에는 2대의 기록 재생 장치(1)에 대응하여 3.5인치(8.89cm) 규격의 디스크를 장착하는 삽입구(104a)를 설치하고 있지만, 당연한 것으로, 각각 2대로 한정되지 안호, 상기 실시예의 구성 내용은 가각 1대 설치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2) 기록 재생 장치의 두께에 대하여, 상술했듯이, 컴퓨터에 관련한 각종 전자 기긱의 외부 기억 장치로서 널리 보급된FDD, HDD, ODD, 테이프 스트리머등의 기록 재생 장치는 그 외체의 크기나 장치 치수 등은 각각의 기록 매체의 크기에 의하여 대략 표준화되어 있으며, FDD를 표준으로서 표준화 되어온 경우도 있어 상기 실시예에서는 설명을 위해 지금까지 FDD를 일예로 하여 설명을 전개하여 왔다.
그래서, 보다 구체적으로 그 표준화된 내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FDD의 출현 당초에서 경쟁적인 각회사와 박형을 목표로 한 기술 활동을 전개하여 왔다. 그결과, 현재 가장 많이 일반적으로 보급하여 있는 FDD는 장치 두께 41mm의 5인치 규격(12.7cm)의 FDD 및 장치 두께 25.4mm (1인치)의 3.5인치(8.89cm) 규격의 FDD이고, 쌍방의 FDD는 기록 재생의 호환성을 가지고 있다.
한편, 작금의 소형화, 박형화를 양호하게 하고, 특히 3.5인치(8.89cm) 규격의 FDD에서는 박형화를 목표로, 현재 가장 많이 일반적으로 보급되어 있는 장치 두께 25.4mm (1인치)의 절반의 기구 두께로 이루어지는 12.7mm (1/2인치)의 FDD개발이 경합, 각종의 큰 문제로 되어 기술 전개가 행하여져 있다.
반면 본 실시예에서는 다른 관점에서 FDD의 기구 두께를 설정한 것이고, 현재 가장 많이 일반적으로 보급되어 있는 장치 두께 41mm의 5인치(12.7mm) 규격의 FDD와 같은 공간내에 3.5인치(8.89cm) 규격의 기록 재생 장치를 2대 설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제33도. 제34도 및 제35도에 나타나듯이 3.5인치(8.89cm) 규격의 기록 재생 장치의 설치구조로서는 3.5인치(8.89cm) 규격의 기록 재생 장치는 FDD와 같이 유니트화된 장치에 한정하지 않지만 바람직한것은 유니트화한 장치이면, 샤시(102)에서 분리하여도 단체의 FDD로서 취급하는 경우가 좋다.
그래서, 현재 가장 많이 일반적으로 보급되어 있는 장치 두께 41mm의 5인치 (15.7cm) 규격의 FDD와 같은 두께로 이루어지는 샤시(102)에 3.5인치(8.89cm) 규격의 기록 재생 장치를 2개 설치하는 경우에, 상술한 제33도에 나타내는 설치구조에서는 3.5인치(8.89cm) 규격의 기록 재생 장치의 두께는 대략 20.5mm가 적당한 두께이고, 제34도에 나타내는 설치구조에서는 샤시(102)의 두께를 4mm 정도로하여 다소의 불균형등을 고려하게 되면, 3.5인치(8.89cm) 규격의 기록 재생 장치의 두께는 대략 18mm가 적절한 두께이다.
그리고 제35도에 나타내는 설치 구조에서는 공간부(1a)를 매우 크게 설치하면, 상술한 전계나 자계등의 잡음 영향이나 작동음등의 영향이 적게되는 것은 당연한 것이지만, 여기에서는 예를들면 공간부(1a)를 4mm 정도. 샤시(102)의 두께를 2mm 정도로하여 다소의 불균형등을 고려하게 되면, 3.5인치(8.89cm) 규격의 기록 재생 장치의 두께는 대략 17mm가 적절한 두께이다.
제35도에서는 도면에서 생략했지만, 상기 공간부(1a)에 상술한 전계나 자계등의 잡음을 차단하기 위한 실드재, 또는 상술한 작동음등을 흡음하여 공명등을 방지하는 흡음재나 예를들면 점탄성을 가지는 댐버재등을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고, 그 목적으로 하는 기능은 더욱 향상된다.
3) 프론트 베젤의 장치방법에 대하여 프론트 베젤(104)의 디스크 삽입구(104a)에서 기록 재생 장치(1)에 디스크를 삽입하는 경우의 쌍방의 위치 관계를 일치시킴으로, 일반적으로 프론트 베젤(104)를 기록 재생 장치(1)에 장치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상술했듯이 본 실시예에서는 샤시(10)의 양측면 상단에 프론트 베젤(104)이 전방으로 기울지 않도록 지지하기 위한 열쇠형의 결합부(102b)를 구성하고, 프론트 베젤(104)에 그 결합부(102b)와 결합하는 후크부(104c)를 설치하고 그 결합부 (102b)와 후크부(104c)를 결합한데에 나사(119)에 의하여 프론트 베젤(104)을 샤시(102)의 저면에 고정하고 있으며, 강고한 고정 구조인 예를들면 핸들링시에 프론트 베젤(104)만을 가지거나 하여도 충분한 강도를 가지고 있으며 변형되지 않는다.
또한, 실시예에서도 프론트 베젤(104)이 전방으로 기울지 않도록 지지하는 보유 수단으로서, 샤시(102)의 양측면 상단에 열쇠형 결합부(102b) 를 구성하여 프론트 베젤(104)에 그 결합부(102b)와 결합하는 후크부(104c)를 설치했지만, 이 결합 형식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들면 샤시(102)에 대하여, 프론트 베젤(104)이 내측에서 결합하는 결합 형식(도시않음)이어도 상관 없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샤시(102)에 프론트 베젤(104)을 장치하여 구성하고 있지만, 그 프론트 베젤(104)을 포함하지 않고 구성하고, 예를들면 컴퓨터등의 각종 전자기기의 외체 케이스에 디스크 삽입구를 형성한 구성이어도 상관없다.
4) 중계기판의 구성에 대하여, 제29도 및 제30도에서는 중계기판 (105 및 105A)을 1개로 구성하고, 제31도 및 제32도에서는 중계기판 (115 및 115A)을 2개로 구성하고 있지만, 기능적인 차이를 가지고 있지 않고, 1개의 구성의 중계기판 (105 및 105A)은 저가격으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고, 2개 구성의 중계기판 (115 및 115A)의 경우는 기록 재생 장치(1)와 조합되어 각각 1대씩으로 분리 가능함으로, 조합의 융통성이 좋다.
한편, 각각의 중계기판(105, 105A, 115, 115A)에는 상기 3.5인치(8.89cm) 규격의 기록 재생 장치(1)의 출력 신호의 전류 구동 능력을, 5인치(12.7cm) 규격의 FDD전류치로 증대하는 구동 소자(112)를 갖추고 있지만, 쌍방의 전류값이 같은 경우에는 그 구동 소자(112)를 갖출 필요는 없다.
5) 중계기판과 기록 재생 장치의 접속에 대하여, 제29도 및 제31도에서는 중계기판(105,115)에서 기록 재생 장치(1)에 전원단자(111)를 통하여 전원 공급을 행하고, 제30도 및 제32도에서는 중계기판 (105A,115A)에서 기록 재생 장치(1)에 평 케이블(110)의 단부에 배치한 커넥터(109)를 통하여 전원 공급을 행하고 있지만, 기능적인 차이를 가지고 있는 것은 아니고, 평 케이블(110)의 단부에 배치한 케넥터(109)를 통하여 전원 공급을 행하는 구조는 저비용으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고, 전원 단자(111)를 통하여 전원 공급을 행하는 경우는 종래부터 표준화 되어 있는 3.5인치(8.89cm) 규격의 기록 재생 장치의 전원 공급 방식과 일치하고 있으므로, 상기 기록 재생 장치(1)가 특수한 회로 구성으로 되지 않고, 조합의 융통성이 좋다.
또한, 상기 일본 실개소 63-11792호 공보에 나타내는 종래예에서는 중계기판과 기록 재생 장치를 커넥터끼리 직접 접속하고 있으며, 쌍방의 정밀한 위치 맞춤이 요구 되어 있었지만, 상기 실시예에서 평 케이블(110)을 거쳐 접속하는 구성으로 하였으므로, 쌍방의 정밀한 위치 맞춤등은 필요치 않고, 기록 재생 장치(1)와 중계기판(105,115) 또는 기록 재생 장치(1)와 중계기판(105A,115A)의 조합을 용이하게 변화시키며, 목적에 따른 조합을 누구라도 할 수 있다.
6) 선택적 조건 설정 수단의 중계기판 배치에 대하여, 제29도의 중계기판(105), 제30도의 중계기판(105A) 및 제31도의 중계기판(115), 제32도의 중계기판(115A)은 3.5인치(8.89cm) 규격의 기록 재생 장치(1)의 구동 상태를 선택적으로 설정(일반적으로 드라이브 셀렉트라 한다)하거나, 그 사양을 선택적으로 설정하거나 하기 위한 선택적 조건 설정 수단으로서, 예를들면 복수의 쇼트프러그(114)를 갖추고 있으며, 상기와 같은 선택적 조건 설정 수단을 제29도 내지 제32도에 나타내는 3.5인치(8.89cm) 규격의 기록 재생 장치(1)에 설치한 경우에는 그 기록 재생 장치(1)는 박형화 되어 있으며 선택 위치의 설정을 좁은 공간중에서 행하지 않을 수 없으므로, 매우 취급성이 나쁘게 되지만, 상기 실시예에서 도시하듯이 상기 선택적 조건 설정 수단을 공간적 스페이스가 많은 중계기판(105,105A 및 115, 115A)에 설치함으로서, 그 조건 설정의 취급성은 매우 좋다.
상기 쇼트프러그(114)는 모두 다른 용도로서, 예를들면 기록 재생 장치(1)의 구동 상태를 전기적으로모니터하는 테스트 단자로서 설정하는 것도 유효하고, 구동 상태를 전기적으로 모니터 하는 테스트 단자에 대하여는 모두 다른 전기적 모니터 수단으로서 공간적 스페이스가 많은 중계기판(105,105A 및 115, 115A)에 예를들면 패턴 랜드 (pattern lands)등을 설치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상기 선택적 조건 설정 수단으로서 복수의 쇼트프러그(114)를 도시 설명했지만, 상기 선택적 조건 설정 수단으로서는 예를들면 슬라이드 스위치 등의 스위칭 수단도 유효하다
상기와 같이 기록 재생 장치(1)의 선택적 구동 상태의 설정, 선택적 사양의 설정이나 구동 상태의 전기적인 모니터 등과 같이 기록 재생 장치(1)를 전기적으로 조절하는 조전 수단을 공간적 스페이스가 많은 중계기판(105, 105A 및 115, 115A)에 설치하면, 그 조절 조건 설정의 취급성은 매우 좋다.
이상, 제29도 내지 제36도에 나타내는 기록 재생 장치의 배치 구성상의 특징에 대하여 서술했지만, 다음에 상기와 같은 배치 구성에서 이루어지는 기록 재생 장치를 예를들면 컴퓨터 등에 넣어 사용하는 경우의 효용에 대하여 제37도에 있어서 컴퓨터 사시도를 일예로 하여 설명한다.
제37도에서 121은 각종 전자기기를 내장하여 전기적인 처리를 행하는 컴퓨터 본체 장치, 122는 그 본체 장치(121)의 지령에 의하여 표시를 행하는 디스플레이, 123은 상기 본체 장치(121)에 지령 입력을 행하는 키보드이다.
상기 본체 장치(121)는 외부 기억 장치로서 2대의 5인치(12.7cm) 규격의 FDD(124)와 1대의 5인치 규격이 HDD(125)를 탑재하고, 다른 외부 기억 장치의 탑재를 가능하게 하는 1대분이 예비 탑재에리어(126)를 갖추고 있다. 그리고 본체 장치(121)는 상기 5인치(12.7cm) 규격의 FDD(124) 또는 5인치 (12.7cm) 규격의 HDD(125)에서 소프트웨어나 데이타 등의 전송을 받고, 데이타등의 전송에 의하여 소정의 처리를 행하는 것이고, 그 처리 기능이나 처리 능력은 스스로 가지는 기능, 능력외에 상기 외부 기억 장치의 기억 용량이나 데이타 전송 속도등에 의존한다.
그래서, 본체 장치(121)의 처리 기능이나 처리 능력의 향상을 목적으로 한 여러가지 연구가 이루어져 있으며, 그 유효한 수단으로서, 본체 장치(121)에 탑재하는 외부 기억 장치의 조합측이 주목된다.
상술하였지만, 각종 전자기기의 외부 기억 장치로서 표준화하여 보급한 FDD, HDD, ODD, 테이프 스트리머등은 그 외체의 크기나 장치 치수, 전기적 접속의 인터페이스등이 각각의 기록 매체 크기에 의하여 거의 표준화 되어 있으며, 한편, 컴퓨터는 일반적으로 그 기능의 확장성을 갖추어 구성되어 있으며, 제37도를 예를들면, 본체 장치(121)에는 그 시스템을 특징으로 하는 최저한의 기능이 표준 구성되어 있으며 목적에 따른 기능 확장이 용이하게 행하여지도록, 예를들면 전자 회로 기판의 증설 슬롯이나 각종 기기로의 접속 기능이 기능 확장용에 미리 준비되어 있으며(도면에 생략), 본체 장치(121)에 탑재하는 외부 기억 장치의 조합 또는 치환은 용이하고, 그 시스템의 구성 목적에 따라 처리 기능이나 처리 능력의 확장을 꾀할 수 있으므로 상술의 종래예와같은 기록 재생 장치도 출현하여 왔지만, 그 설치에는 과제가 남아 있으며, 본 실시예의 기록 재생 장치는 외부 기억 장치의 조합의 자유도를 확대함과 동시에 그 설치에 관한 과제도 해결할 수 있는 것이다.
제37도에 의하여 본체 장치(121)에 탑재하는 외부 기억 장치의 조합 또는 치환 및 그 설치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을 전개한다.
제37도에 나타내는 본체 장치(121)는 매우 일반적인 구성이고, 외부 기억 장치로서 상술하듯이 2대의 5인치 (12.7cm) 규격의 FDD(124)를 탑재하고 있으며, 통상의 사용법으로서 2대의 5인치(12.7cm) 규격의 FDD(124)를 시판 소프트웨어의 로드 또는 복사나 데이타의 백업등을 행하고, 5인치(12.7cm) 규격의 HDD(125)는 다량의 소프트웨어나 데이타를 저장하고 있으며, 본체 장치(121)의 고속 전송을 받고 있다.
여기서 3.5인치(8.89cm) 규격의 기록 매체에 기록된 소프트웨어도 사용 가능하게 기능 확장하는 경우에, 5인치(12.7cm) 규격의 FDD(124)를 제거하고, 그 대신에 3.5인치(8.89cm) 규격의 기록 재생 기구를 가지는 기록 재생 장치를 탑재하는 방법이 취해지지만, 종래예의 기록 재생 장치에서는 5인치(12.7cm) 규격의 FDD(124)를 제거하여 버리면 5인치(12.7cm) 규격의 기록 재생 기능이 완수되지 않게 되어 버렸다.
그래서 본 실시예의 기록 재생 장치에서는 2대의 3.5인치(8.89cm) 규격의 기록 재생 장치를 가지고 있으므로, 다음과 같은 구성이 가능하다.
(1) 2대의 5인치(12.7cm) 규격의 FDD(124)내의 1대를 제거하고, 상술하듯이 소형화한 2대의 3.5인치(8.89cm) 규격의 기록 재생 장치(1)로 치환하여도. 1대의 5인치(12.7cm) 규격의 FDD(124)가 남아 있으므로 5인치(12.7cm) 규격의 기록 재생 기능을 완수할 수 있다. 상기의 예비 탑재에리어(126)는 다른 외부 기억 장치의 탑재에리어로서 남게 된다.
또한, 일반적으로는 HDD가 탑재된 본체 장치에서 FDD는 1대분의 기능이 있으면 좋다.
(2) 비록 5인치(12.7cm) 규격의 HDD(125)가 탑재되어 있지 않은 본체 장치의 경우는 이 부분이 예비의 탑재에리어로 되어 있는 경우가 많고(이 경우에는 상기 예비의 탑재에리어(126)가 없는 경우도 있다). 여기서 상기 실시예의 2대의 3.5 인치(8.89cm) 규격의 기록 재생 장치를 탑재하면, 2대의 5인치(12.7cm) 규격의 FDD(124)는 원래대로 남아 있으므로, 5인치(12.7cm) 규격의 기록 재생 기능에 지장은 없다.
(3) 비록 2대의 5인치(12.7cm) 규격의 FDD(124)밖에 탑재되어 있지 않은 본체 장치에서, 상기 예비의 탑재에리어(126)가 없는 경우에, 5인치(12.7cm) 규격의 FDD(124)를 제거하고, 그 1대를 상기실시예의 2대의 3.5인치(8.89cm) 규격의 기록 재생 장치로 치환하면 1대의 5인치(12.7cm) 규격의 FDD(124)가 그대로 남지만, 다른 외부 기억 장치의 탑재를 가능하게 한다.
(4) 비록 1대의 5인치(12.7cm) 규격의 FDD(124)밖에 탑재되어 있지 않은 본체 장치에서 상기 예비의 탑재에리어(126)가 없는 경우에, 5인치 (12.7cm) 규격의
FDD(124)를 제거하고, 그 1대를 상기 실시예의 2대의 3.5인치(8.89cm) 규격의 기록 재생 장치로 치환하면, 본체 장치에서는 거의 변경을 가하지 않은 2대의 3.5인치(8.89cm) 규격의 기록 재생 장치를 갖춘 것으로 기능 확장할 수 있다.
(5) 당연한 것으로, 2대의 5인치(12.7cm) 규격의 FDD(124)와 1대의 5인치 (12.7cm) 규격의 HDD(125)는 그대로 하여, 상기 예비의 탑재에리어(126)에 상기 실시예의 2대의 3.5인치(8.89cm) 규격의 기록 재생 장치를 탑재하면, 종래부터의 기록 재생 기능에 지장이 없다.
이상과 같이 구성하면, 표준화된 종래부터의 5인치(12.7cm) 규격의 FDD(124)와 대략 동일 크기의 스페이스로 2대의 3.5인치(8.89cm) 규격의 기록 재생 장치를 장착할 수 있으므로, 3.5인치 규격의 기록 매체에 기록된 소프트웨어동 사용 가능하게 기능 확장할 수 있다. 그 경우, 본체 장치(121)의 하드웨어에는 큰 개량이나 변경을 행하지 않고, 종래부터의 기록 재생 장치 기능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고 쉽게 기능 확장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종래부터의 시스템에 기능 확장을 도모하는 경우를 예로서, 설명했지만, 당연한 것으로 신규의 시스템인 경우에는 상술한 여러가지 특징을 발휘하기 쉽고, 또한 실시예에서는 5인치(12.7cm) 규격의 FDD와 3.5인치(8.89cm) 규격의 FDD를 일예로 하여 설명했지만, 당연한 것으로 이 조합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들면 5인치(12.7cm) 규격의 FDD와 3.5인치(8.89cm) 규격의 FDD, 3인치 규격의 FDD와 5인치 규격의 FDD, 마찬가지로 HDD, ODD등에도 적용할 수 있다.
[산업상의 이용가능성]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기록 재생 장치를 종래의 것보다도 현저하게 소형화, 특히 박형화 할 수 있는 것이고, 예를들면 컴퓨터등의 전자기기에 외부 기억 장치로서 사용하는 경우에, 그 배치 공간을 매우 작게할 수 있고, 상기와 같은 전자기기 전체를 소형화할 수 있으며, 전자기기에 대한 기록 재생 장치의 배치의 자유도나 설계 디자인의 자유도를 증대시킬 수 있다. 특히 기록 재생 장치의 두께를 20.5mm 이하로 한 것에 의하여, 상술하듯이 종래 일반적으로 41mm의 두께로 형성되어 있던 5인치 (12.7mm) 규격의 기록 재생 장치로 바꾸어 본 발명에 의한 예를 들면 3.5인치 (8.89cm) 규격의 기록 재생 장치를 2대 장착하는 것도 가능하게 되는 것이고, 이런 종류의 기록 재생 장치의 범용성을 대폭으로 증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예를들면 상술하듯이 5인치(12.7cm) 규격의 기록 매체를 사용한 전자 기기에, 그것과 규격이 다른 예를들면 3.5인치(8.89cm) 규격의 기록 매체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경우, 또는 그 양방의 규격의 기록 매체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경우등에 유효하다. 특히3.5인치(8.89cm)규격의 기록 매체는 5인치 (12.7cm) 규격의 기록 매체에 비교하여, 그 취급의 신뢰성이 좋으므로, 최근 3.5인치(8.89cm) 규격의 기록 재생 장치의 고용량화가 급속하게 도모되고 있으며, 그러한 정황하에서 소프트웨어 기술의 발전에도 본 발명은 좋은 경우이고, 종래의 5인치(12.7cm) 규격의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소프트웨어에서 구성할 수 없도록 한 소프트웨어도 실현 가능하게 된다.
소프트웨어 기술에서 중요한 것은 진보한 새로운 기술이 도입되어도 종래부터 축적되어온 소프트 웨어의 호환성 또는 종래 소프트웨어의 가동을 계속하며 가능하게 하는 것이지만, 거기에 주목하여, 특히 소프트웨어 기술에 관련하여, 각종 전자기기의 외부 기억 장치로서 표준화하여 보급한 FDD, HDD, ODD, 테이프 스트리머등을 자유자재로 시스템 구성하여 종래부터 축적되어온 소프트웨어의 호환성 또는 종래 소프트웨어의 가동을 가능하게 하고, 총합적인 시스템의 확장을 쉽게 행하는 소프트웨어 기술 사업의 전개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예를들면 조앨 시스템의 기능 확장을 목적으로서, 상기 실시예의 기록 재생 장치의 유니트 세일 비지네스(unit sale business), 기록 재생 장치와 소프트웨어 기술의 셋트 세일 비지네스(set sale business), 기록 재생 장치와 다른 외부 기록 장치의 셋트 세일 비지네스 또는 기록 재생 장치와 기능 확장 회로기판등의 셋트 세일 비지네스라고 하는, 큰 자본 투자를 요하지 않고, 또한 고도한 하드웨어의 전문 기술을 요하지 않고 간단하게 하여 값싼 수단으로 총합적인 시스템의 확장을 쉽게 할 수 있는 종래에 없는 소회전할 수 있는 새로운 사업 전개를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Claims (11)

  1. 중심공과 상기 중심공으로부터 치우친 위치에 장방형상의 구동공을 가진 금속성의 디스크 허브를 가짐과 동시에 디스크 카트리지에 수납되는 디스크를 구동하는 디스크 처킹 기구를 구비한 기록 재생 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 허브의 중심공에 결합하는 회전 구동축과, 상기 회전 구동축에 고정되며 상기 디스크 허브의 수용부를 구비하는 회전판과, 상기 디스크 허브를 흡착하는 마그네트와, 상기 회전 구동축으로부터 치우친 위치에 일단이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며 타단에 상기 디스크 허브의 구동공에 결합하여 디스크를 구동하는 구동핀을 구비한 레버와, 로터 자석이 회토류 자석으로 됨과 동시에 상기 회전 구동축에 동일축에 설치되는 상기 회전 구동축을 직접 회전시키는 디스크 구동용 모터와, 상헤드와 하헤드를 유지하는 캐리지와, 상기 디스크 구동용 모터와 평면적으로 중첩됨이 없이 배치되는 캐리지 구동용 모터와, 리트라이트 및 모터의 작동을 조절하는 회로를 가진 회로기판과, 장치 본체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상헤드, 하헤드 및 캐리지가 상기 디스크 구동용 모터와 평면적으로 겹치치 않게 상기 장치 본체 프레임상에 배치되어 있으며, 장치 전체 두께를 20.5mm 이하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재생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 구동용 모터의 로터 자석이 희토류 자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재생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 기판과 캐리지의 안내축이 평면적으로 엇갈리어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재생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지 구동용 모터의 로터 자석이 네오지철 보론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재생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 구동용 모터의 로터 자석이 희토류 자석이고, 상기 회로 기판과 캐리지의 안내축이 평면적으로 엇갈리어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재생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 구동용 모터의 로터 자석이 희토류 자석이고, 상기 캐리지 구동용 모터의 로터 자석이 네오지철 보론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재생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 기판과 캐리지의 안내축이 평면적으로 겹치지 않게 배치되고, 캐리지 구동용 모터의 로터 자석이 네오지철 보론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재생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 구동용 모터의 로터 자석이 희토류 자석이고, 상기 회로 기판과 캐리지의 안내축이 평면적으로 겹치지 않게 배치되고, 상기 캐리지 구동용 모터의 로터 자석이 네오지철 보론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재생 장치.
  9. 중심공과 상기 중심공으로부터 치우친 위치에 장방형상의 구동공을 가진 금속성의 디스크 허브를 가짐과 동시에 디스크 카트리지에 수납되는 디스크를 구동하는 디스크 처킹 기구를 구비한 기록 재생 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 허브의 중심공에 결합하는 회전 구동축과, 상기 회전 구동축에 고정되며 상기 디스크 허브의 수용부를 구비하는 회전판과, 상기 디스크 허브를 흡착하는 마그네트와, 상기 회전 구동축으로부터 치우친 위치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며 타단에 상기 디스크 허브의 구동공에 결합하여 디스크를 구동하는 구동핀을 구비한 레버와, 상기 회전 구동축을 회전시키는 디스크 구동용 모터와, 상헤드와 하헤드를 유지하는 캐리지와, 그 캐리지 구동용 모터와 리트라이트 및 모터의 작동을 조절하는 회로를 가진 회로기판과, 장치 본체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레버는 상기 디스크 허브 하면과 맞닿을 때 상기 디스크 허브에 눌러져 회전 구동축의 축방향으로 후퇴하도록 탄성변형하고, 상기 디스크 허브의 구동공과 구동핀이 일치할때 복원하여 상기 구동공에 결합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재생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는 금속제의 박판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재생 장치.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을, 디스크를 회전 구동하는 스핀들 모터의 로터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재생 장치.
KR1019900700919A 1988-09-05 1989-09-01 기록 재생 장치 KR94000751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95874 1980-10-10
US221864 1980-12-31
US22186488A 1988-09-05 1988-09-05
US2464789A 1989-02-02 1989-02-02
JP24647 1989-02-02
US24647 1989-02-02
US12072889A 1989-05-15 1989-05-15
US12072789A 1989-05-15 1989-05-15
US120727 1989-05-15
JP120728 1989-05-15
JP120727 1989-05-15
US19587189A 1989-07-28 1989-07-28
US19587489A 1989-07-28 1989-07-28
JP195874 1989-07-28
US195871 1989-07-28
JP195871 1989-07-28
US22204089A 1989-08-29 1989-08-29
JP222040 1989-08-29
US222040 1989-08-29
PCT/JP1989/000906 WO1990003031A1 (fr) 1988-09-05 1989-09-01 Dispositif d'enregistrement/reproduction
JP221864 1989-09-05
US120728 1998-07-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702524A KR900702524A (ko) 1990-12-07
KR940007515B1 true KR940007515B1 (ko) 1994-08-18

Family

ID=675386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700919A KR940007515B1 (ko) 1988-09-05 1989-09-01 기록 재생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751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9667B1 (ko) * 2001-04-18 2007-07-1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크 드라이브의 디스크 클램핑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702524A (ko) 1990-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850431B2 (ja) 記録媒体駆動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電子機器
EP0528420B1 (en) Disk loading system
KR940007515B1 (ko) 기록 재생 장치
JPH0944955A (ja) ディスク装置
JP2003151256A (ja) 電子機器、並びに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JP3006594B2 (ja) 記録媒体駆動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電子機器
JP2000311457A (ja) 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
JP2001143419A (ja) 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
JPH06150517A (ja) ディスク駆動装置
JPH0855397A (ja) 磁気ディスク駆動装置
JPH06103731A (ja) 磁気ディスク装置
JP2003151224A (ja) 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JP2000067543A (ja) 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
JP2001093270A (ja) カートリッジ型記録媒体のチャッキング方式、カートリッジ型記録媒体及びこれを用いる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
JP2000322880A (ja) 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及びこれに用いられるインシュレータ
JP2001143418A (ja) 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
JP2000067541A (ja) 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
JP2001093216A (ja) 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
JP2001093256A (ja) カートリッジ型記録媒体及びこれを用いるドライブ装置
JPH06103734A (ja) 磁気ディス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