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7026A - 엘리베이터 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00017026A KR20000017026A KR1019990031792A KR19990031792A KR20000017026A KR 20000017026 A KR20000017026 A KR 20000017026A KR 1019990031792 A KR1019990031792 A KR 1019990031792A KR 19990031792 A KR19990031792 A KR 19990031792A KR 20000017026 A KR20000017026 A KR 2000001702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ge
- hoistway
- boarding
- elevator
- fire detector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021—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the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being independent of the system
- B66B5/024—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the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being independent of the system where the abnormal operating condition is caused by an accident, e.g. fir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1—Arrangement of controller, e.g. location
- B66B11/002—Arrangement of controller, e.g. location in the hoistway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3/00—Applications of devices for indicating or signalling operating conditions of elevato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87—Devices facilitating maintenance, repair or inspection tas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의 설계가 자유롭고, 화재검지기의 보수점검작업이 간단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얻기 위해서, 탑승 케이지가 승강로의 정상부에 있을 때에, 탑승 케이지로부터 미치는 범위의 승강로 내에 화재 검지기를 설치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탑승 케이지를 구동하는 장치를 승강로 내에 설치한 엘리베이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건물설계의 자유도를 증가시키고 아울러 건물공간을 효율적으로 또한 경제적으로 이용하는 해결책으로서, 감아올리는 기계의 모터를 포함하는 구동기계장치를 승강로 내에 설치하는 트랙션 구동의 엘리베이터 장치가 보급되는 중이다 (일본국 특개평 8-208152호 공보).
이 종류의 엘리베이터 장치는 방재의 관점에서 승강로에 화재 검지기를 설치할 필요성이 있어, 화재 검지기를 승강로 천정벽 근방에 부착하며, 대향하는 승강로벽에 승차장측으로 통하는 점검구를 설치하여 건물 내에서 상기 화재 검지기를 보수 점검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이 점검구는 방화구획을 구성하기 위해, 통상은 승강로와 방화 철판덮개로 닫혀 있고, 승차장측의 천장에는, 상기 점검구로 통하는 점검용 천장덮개를 설치한다.
그러나, 승강로벽에 점검구 및 방화 철판덮개를 설치하고, 승차장측 천장에 점검용 천장덮개를 설치한 경우, 건물의 설계의 자유도가 저해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화재 검지기의 보수점검을 위해서는, 점검용 천장덮개를 열고, 그 후에, 방화 철판덮개를 벗겨야 하므로, 보수점검작업이 귀찮아졌다.
본 발명의 목적은, 건물의 설계가 자유롭고, 화재 검지기의 보수점검작업이 간단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탑승 케이지를 구동하기 위한 장치 및 화재 검지기의 보수점검작업을 동시에 행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탑승 케이지가 승강로의 최상위치에 있을 때에, 탑승 케이지로부터 미치는 범위의 승강로 내에 화재 검지기를 설치한 것이다.
또, 화재 검지기의 근처에 탑승 케이지를 구동하기 위한 장치를 배치한 것이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탑승 케이지에 승차하여 화재 검지기 및 탑승 케이지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의 보수점검을 동시에 행할 수 있고, 또한, 이것들의 보수점검을 위한 점검구, 방화 철판덮개 및 점검용 천장덮개를 건물에 설치할 필요가 없으며, 그 결과, 건물의 설계를, 점검구나 점검용 천장덮개에 좌우하지 않고 자유롭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보수점검시에 방화 철판덮개 및 점검용 천장덮개의 2개의 덮개를 개폐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보수점검은 간단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주요부 개략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탑승 케이지가 최상층 위치에 정지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주요부 개략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주요부 개략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의 별도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주요부 개략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의 다른 별도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주요부 개략 측면도,
도 7은 엘리베이터 장치 전체의 전원 계통도,
도 8은 제어회로도의 전체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의 또 하나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주요부 개략 사시도,
도 10은 탑승 케이지가 최상층 위치에 정지한 상태의 정면도,
도 11은 도 10의 평면도,
도 12는 전기반의 정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의 또 하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주요부 개략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의 또 하나의 별도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주요부 개략 사시도,
도 15는 탑승 케이지가 승강로 상부위치에 정지한 별도의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16은 본 발명에 의한 보수·점검시의 안전회로,
도 17은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의 화재관제운전의 플로우챠트,
도 18은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의 다른 화재관제운전의 플로우챠트,
도 19는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의 다른 인버터장치의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탑승 케이지 3 : 카운터 웨이트
4a,4b : 가이드 레일 5a,5b: 웨이트 가이드 레일
6 : 감아올리기 로프 7a,7b : 전향 풀리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도 1, 도 2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승강로(1) 내를 승강하는 탑승 케이지(2)과 카운터 웨이트(3)는, 각각 세워져 설치된 한 쌍의 케이지 가이드 레일(4a, 4b) 및 한 쌍의 웨이트 가이드 레일(5a, 5b)에 의해 안내되어 승강한다. 이들 탑승 케이지(2)과 카운터 웨이트(3)는 감아올리기 로프(6)에 의해 매달려 있다.
탑승 케이지(2)은 그 저부의 폭방향의 양측에 지지한 로프 홈을 설치한 전향 풀리(7a, 7b)에 상기 감아올리기 로프(6)를 감아 걸어서 지지되어 있다. 또한, 카운터 웨이트(3)는 그 상부에 지지한 로프 홈을 설치한 전향 풀리(8)에 상기 감아올리기 로프(6)를 감아 걸어서 지지되어 있다.
이와 같이 감아 걸어진 감아올리기 로프(6)는 승강로(1)의 상부에 배치된 구동기계장치(9)의 트랙션 시브(traction sheave)(10)에 감아 걸어져 트랙션(traction) 구동된다.
이 감아올리기 로프(6)의 일단은 승강로(1) 내의 카운터 웨이트(3)의 통로보다 윗쪽에 위치하는 고정수단(11)에 고정되어 있다. 고정수단(11)으로부터의 감아올리기 로프(6)는 카운터 웨이트(3)의 전향 풀리(8)까지 하강하고, 전향풀리(8)를 감아서 회전하면 트랙션 시브(10)까지 상승한다. 트랙션 시브(10)에 감아 걸어진 감아올리기 로프(6)는 탑승 케이지(2)의 저부로 향하여 다시 하강하고, 탑승 케이지(2)의 전향 풀리(7a, 7b)를 경유하여, 케이지 가이드 레일(4a)의 상부의 고정수단(12)까지 상승한다. 여기서 감아올리기 로프(6)의 타단이 고정된다.
웨이트 가이드 레일(5a, 5b)의 상단부에는 기계토대 프레임(13)이 적재 고정되어 있다. 이 기계토대 프레임(13)은 기계토대(13a), 한 쌍의 종기둥(13b, 13c) 및 한 쌍의 종기둥(13b, 13c) 사이를 윗쪽에서 연결하는 보조부재(13d)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기계토대(13a)에는 구동기계장치(9) 및 감아올리기 로프(6)의 한편 단부의 고정수단(11)을 부착하여 고정되고, 각각의 수직하중을 견지(堅持)하고 있다. 또한, 종기둥(13b, 13c)의 상단부는, 승강로(1)의 최상부 위치에 있는 건물 대들보(미도시)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좌우의 종기둥(13b, 13c)을 연결하는 보조부재(13d)에는, 지주 쇠장식물(14)을 통해 상기 구동기계장치(9)의 상부가 지지되어, 구동기계장치(9)의 수평방향 하중을 지탱하고 있다.
한편, 건물의 최상층의 승차장의 문(15a, 15b)의 옆에는, 엘리베이터 장치를 구동하는 장치의 일부인 제어장치(16)를 수납한 전기반(電氣盤)(17)이 배치되어 있다. 전기반(17)에는 문(17a)이 있어, 이 문(17a)을 여는 것에 의해 내부가 점검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게다가, 승강로(1)의 정상부에는, 화재 검지기의 하나인 예컨대, 연기 감지기(18)가, 설치용 부재(18a)를 통해 상기 보조부재(13d)에 고정되어 있다.
탑승 케이지(2)의 천정에는, 탑승 케이지(2)이 승강로(1)의 정상부에 위치하였을 때, 상기 연기 감지기(18)와 대향하는 위치에 점검구(2a)가 설치된다. 이 점검구(2a)는 사람이 외부로 나가지 않도록 통상은 커버로 닫혀져 자물쇠로 채워져 있다.
방재 시스템의 점검시에, 건물의 모든 화재 검지기의 작동의 확인이 행해진다. 이때, 탑승 케이지(2)을 승강로 정상부에 정지시켜, 점검구(2a)를 열면, 연기 감지기(18)를 눈으로 볼 수 있기 때문에, 탑승 케이지 내에서 또는 점검구(2a)에서 몸을 내밀어 작동시험 툴을 연기 감지기(18)에 대는 것에 의해 작동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탑승 케이지(2)로부터 연기 검출기(18)의 작동시험을 행할 수 있기 때문에, 건물측에 점검구나 방화문을 설치할 필요가 없고, 또한, 시험원은 탑승 케이지(2)로부터 미치는 범위에서 작업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안전을 확보할 수 있다.
한편, 연기 감지기(18)의 신호는 신호선(18b), 중계단자대(18c) 및 신호선(18d)을 통해 방재센터(미도시)에 접속된다.
전기반(17)에는, 엘리베이터 장치 구동용의 전원이 인입되기 때문에, 이 전원의 인입작업시에, 연기 감지기(18)와 방재센터와의 신호선(18d)을 전기반(17) 안에 혹은 근방에 부설해 두는 것에 의해, 연기 감지기(18)를 설치하고, 신호선(18b)을 중계단자대(18c)에 접속하는 작업만으로, 연기 감지기(18)의 설치배선작업을 종료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주로프(6)의 일단과 연기 감지기(18)가 기계토대 프레임(13)에 지지되어 있지만, 감아올리기 로프(6)의 양단을 각각 승강로(1)의 정상부의 건물 대들보(미도시) 등의 고정수단에 직접 고정하고, 연기 감지기(18)를 케이지 가이드 레일(4a)(4b)에 부착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본 실시예는 웨이트 가이드 레일(5a)의 정상부에 기계토대 프레임(13)을 고정하고, 이 기계토대 프레임(13)에 구동기계장치(9)를 지지시킨 구성이지만, 기계토대 프레임(13)을 사용하지 않고 구동기계장치(9)를 승강로 정상부에 지지시킬 수 있다.
즉,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감아올리기 로프(6)의 일단을, 웨이트 가이드 레일(5a)의 정상부에 설치판(19)을 통해 고정한다. 설치판(19)으로부터의 감아올리기 로프(6)는 카운터 웨이트(3)에 설치되어 있는 전향 풀리(8)까지 하강하고, 전향 풀리(8)를 감아서 회전시키면 구동기계장치(9)의 트랙션 시브(10)측으로 상승하여, 트랙션 시브(10)의 로프 홈에 감아서 회전시킨다. 다음에, 감아올리기 로프(6)는 탑승 케이지(2)의 저부측으로 하강하고, 그래서 한 쌍의 전향 풀리(7a)(7b)를 경유하여, 케이지 가이드 레일(4a)의 최상부의 고정수단(미도시)까지 상승한다. 여기서 감아올리기 로프(6)의 타단이 고정된다. 한편, 구동기계장치(9)는 케이지 가이드 레일(4b)의 정상부에, 또한 연기 감지기(18)는, 설치용 부재(18a)를 통해 같은 케이지 가이드 레일(4b)에 고정되고, 연기 감지기(18)는 구동기계장치(9)보다도 윗쪽에 위치한다.
상기 구성 이외의 구성은 상기 실시예와 동일하고, 설명이 없는 부호는 도 1, 도 2와 같은 기호는 동일부품을 나타내기 때문에,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4는 구동기계장치(9)와 연기 감지기(18)의 지지 및 가이드 레일이 상기 실시예와 다른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1, 도 2와 같은 기호는 동일부품을 나타내기 때문에,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탑승 케이지(2)과 카운터 웨이트(3)는 승강로 내에 세워져 설치된 한 쌍의 공통의 가이드 부재(19a, 19b)에 의해서 안내되어 있고, 이들 가이드 부재(19a, 19b)는 단면 コ자형을 하고, 그 개구부를 마주보도록 설치하고 있다. 그리고, 각 가이드 부재(19a, 19b)의 단면 コ자형의 한편의 다리를, 탑승 케이지(2)을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20a, 20b)로서 이용하고, 다른 한편의 다리를, 카운터 웨이트(3)를 안내하는 웨이트 가이드 레일(21a, 21b)이라고 하고 있다.
탑승 케이지(2)과 카운터 웨이트(3)는 감아올리기 로프(6)에 의해 매달려 있다. 감아올리기 로프(6)의 일단은 탑승 케이지(2)의 하부에 연결하고, 타단은 카운터 웨이트(3)에 연결하여, 트랙션 시브(10)에 두레박식으로 감아서 걸려 있다.
트랙션 시브(10)를 갖는 구동기계장치(9)는 기계토대(13a)에 적재 고정되고, 이 기계토대(13a)는 コ자형의 가이드 부재(19a, 19b)의 윗쪽부분에 고정되어 있다.
연기 감지기(18)는 설치용 부재(18a)를 통해 가이드 부재(19a)의 윗쪽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탑승 케이지(2)의 천정에는, 상기 각 실시예와 같은 위치에 점검구(2a)가 설정되어 있고, 보수점검작업은 상기 실시예와 동일하다.
이상의 각 실시예는, 탑승 케이지(2)과 카운터 웨이트(3)를 감아올리기 로프(6)에 의해 매달고, 이 감아올리기 로프(6)를 트랙션 시브(10)로 구동하는 소위 트랙션 구동식의 엘리베이터 장치이지만, 도 5에 나타내는 유압식의 엘리베이터 장치에 관해서도 적용할 수 있다.
즉, 탑승 케이지(2)은 탑승 케이지를 삽입하도록 설치된 한 쌍의 케이지 가이드 레일(4a, 4b)을 따라 주행이 안내되고, 유압잭(22)에 의해서 승강 구동된다. 유압잭(22)은 실린더(22a)와 그 내부에 압유(壓油)를 급배(給排)하는 것에 의해 돌출입하는 플런저(plunger)(22b)로 구성되고, 승강로(1)의 피트 저부에 세워져 설치되어 있다. 플런저(22b)의 상단은 탑승 케이지(2)을 지지하는 케이지 프레임(2b)에 연결되어 있다.
연기 감지기(18)는 설치용 부재(18a)를 통해 케이지 가이드 레일(4a, 4b)의 윗쪽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탑승 케이지(2)의 천정에는, 각 실시예에서 설명한 점검구(2a)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연기 감지기(18)의 보수점검작업도 각 실시예와 같이 행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각 실시예는, 탑승 케이지(2)의 천정에 점검구(2a)를 설치하고, 탑승 케이지(2)이 최상층에 정지하였을 때에 점검구(2a)와 대향하는 승강로내 설치기기를 이용하여 연기 감지기(18)를 설치하여, 천정의 점검구(2a)에서 연기 감지기(18)의 보수점검을 행하는 것이다.
그러나, 도 6에 나타내는 실시예와 같이, 점검구(2c)를 탑승 케이지(2)의 측벽을 형성하는 측판에 형성하고, 이 점검구(2c)에서 점검할 수 있는 위치의 승강로내 설치기기, 예컨대 웨이트 가이드 레일(5a(5 b))에 설치용 부재(18a)를 통해 연기 감지기(18)를 설치하도록 해도 좋다.
이상의 각 실시예 중, 탑승 케이지(2)의 천정에 점검구(2a)를 설치하고, 이것을 열어 연기 감지기(18)의 보수점검을 행하는 구성에 있어서, 이 점검구(2a)는 탑승 케이지 천정에 설치한 구출구와 겸용해도 좋다. 그러나, 구출구는 탑승 케이지 내에서 여는 것은 가능하지 않지만, 외부에서 열쇠없이 여는 것이 가능한 것이고, 상기 점검구(2a)는 탑승 케이지 내에서 열쇠를 사용하여 여는 것이다. 이 때문에, 점검구(2a)와 구출구를 겸용할 때는, 탑승 케이지 내에서 열쇠를 사용하여 여는 것이 가능한 동시에 외부에서는 열쇠를 사용하지 않고 여는 것이 가능한 구성으로 할 필요가 있다.
더욱, 이상의 각 실시예에서는, 가이드 레일(4a, 4b, 5a, 5b) 또는 기계토대 프레임(13)등, 승강로내 설치기기를 이용하여 연기 감지기(18)를 설치하는 구성을 설명하였지만, 상기 이외의 승강로내 설치기기를 이용하여 연기 감지기(18)를 설치해도 좋다. 또한, 화재 검지기로서, 발연(發煙)을 검출하는 연기 감지기(18)를 일례로서 설명하였지만, 발화 또는 발열을 검출하는 열 검지기를 사용해도 좋다.
그런데, 상기 각 실시예는 화재 검지기의 중계단자대를 포함시켜, 탑승 케이지(2)의 구동을 제어하는 장치 및 홀 호출, 케이지 호출에 따라서 운전지령을 발하는 장치 등을 승차장의 옆에 설치한 전기반(17) 내에 수납하고 있지만, 수납되는 장치 등이 많아지면, 전기반(17)의 깊이 치수가 커져 승차장벽에서 돌출하여 의장상에 있어서 바람직하지 못한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탑승 케이지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 중 감아 올리는 기계의 모터를 회전 제어하는 인버터장치 및 트랜스박스를 승강로 내에 설치하고, 승강로 외의 전기반(17)에는, 엘리베이터 장치의 전원공급 브레이커(breaker)보다 얇은 기기만을 수납하는 것에 의해, 화재 검지기의 보수점검과 같이 각 장치의 보수점검을 행할 수 있고, 승차장측의 전기반을 승차장벽에서 돌출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하, 엘리베이터 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장치 중 감아 올리는 기계의 모터를 회전 제어하는 인버터장치 및 트랜스박스를 화재검지기와 같이 승강로 내에 설치한 다른 실시예를 도 7∼도 12에서 설명한다.
탑승 케이지(2), 카운터 웨이트(3), 트랙션 시브(10)를 구비한 구동기계장치(9)의 설치 및 이들에 감아서 걸어진 감아올리기 로프(6)의 루팅은 상기 실시예에서 설명한 종류이기 때문에,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7,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동기 장치(9)는 인버터장치(30)의 출력에 의해 회전 제어된다. 인버터장치(30)의 동력전원은 건물전원(100)에서 브레이커(31a)를 통해 전원 공급된다. 트랜스박스(32) 내의 트랜스(32a)는 벡터 제어회로(33)와 속도지령회로(34a)와 운전회로(34b)용의 전원 트랜스이고, 트랜스(32b)는 홀측 기기(35)용의 전원 트랜스이며, 트랜스(32c)는 케이지 상측 박스(2g)용 전원 트랜스이다. 트랜스박스(32) 내의 트랜스(32a, 32b, 32c)의 일차측에는 보호용의 브레이커(31b)가 설치되어 있다.
트랜스(32a)의 2차측에는 단락보호용으로서 퓨즈(36a, 36b)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트랜스(32b)의 2차측에는 퓨즈(36c), 트랜스(32c)의 2차측에는 퓨즈(36d)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탑승 케이지(2)의 조명전원은 건물조명전원(101)으로부터 브레이커(31c)를 통해, 테일 코드(tail code)(2e)를 개재하여 공급된다. 케이지 상측 박스(2g)에는, 케이지 도어(2c, 2d)(도 9)를 제어하는 회로, 조명을 점등하는 회로 및 케이지 호출 입력·응답등(應答燈)을 제어하는 회로 등이 수납되어 있다. 케이지 상측 박스(2g)의 회로구성은 본 발명에 직접 관계가 없기 때문에 생략한다. 케이지 상측 박스(2g)에는 트랜스박스(32)내의 트랜스(32c)로부터 테일 코드(2e)를 개재하여 전원공급되어 있다.
도 8에 있어서, 구동기 장치(9)에는, 브레이크(9a)와 회전속도를 검출하는 속도 검출기(9b)가 구비되어 있다. 구동기 장치(9)는 인버터장치(30)의 출력에 의해 회전 제어된다.
인버터장치(30)의 구성은 건물전원의 교류를 직류로 변환하는 정류기(30a), 회생전력을 저항기에서 흡수하는 회생전력 흡수회로(30b), 정류기(30a)의 출력을 평활하는 콘덴서(30c), 직류에서 교류로 변환하는 인버터(30d), 인버터(30d)에 펄스폭 신호 pw를 주는 벡터 제어회로(33)와 교류전류를 검출하는 전류 검출기(30e)로 구성되어 있다. 회생전력 흡수회로(30b)는 저항(30g)과 스위칭소자(30f)로 구성되어 있다. 저항(30g)은 교환이 필요없는 것과 인버터장치의 소형화를 위해, 인버터장치(30)의 외부에 설치되어 있다.
인버터(30d)의 출력은 속도 검출기(9b)의 신호 sps와 전류 검출기(30e)의 전류신호 is를 귀환신호로서 속도 지령회로(34a)의 속도신호 spc에 따라 벡터 제어회로(33)의 펄스폭 신호 pw에 의해 펄스형의 교류전압을 구동기 장치(9)에 인가하여 회전제어를 한다.
브레이크(9a)는 콘택터(31k)의 온/오프로 열거나, 닫거나 한다. 브레이크회로용 전원(운전회로전원(34e))은 도 7에 나타내는 속도 지령회로(34a), 운전회로(34b)용의 전원과 공용이다. 인버터장치(30)의 입력전력은 건물전원(100)으로부터 브레이커(31a) 및 전원을 온/오프하는 콘택터(31j)를 개재하여 전원 공급된다.
운전회로(34b)의 입력신호는 호출 입력신호(34b1), 연기 감지기 입력신호(34b2) 및 도시하지 않은 케이지 위치신호, 안전 회로신호 등이 있다. 또한, 운전회로(34b)는 홀 버튼 점등신호(34b3), 케이지 문 개폐신호(34b4)를 출력하는 기능과 콘택터(31j, 31k)를 개폐하는 기능과 브레이커(31a, 31c)를 트립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또한, 운전회로(34b)는 긴급시에는 피난을 재촉하는 안내를 방송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속도지령회로(34a)는 운전회로(34b)의 신호 sp에 의해 출발층에서 목적층까지의 속도신호 spc를 발생한다. 긴급시에는, 속도지령회로(34a)는 운전회로(32b)로부터의 가장 가까운 층 정지 지령을 받아, 탑승 케이지(2)을 긴급 정지시킨다.
상기 구성의 탑승 케이지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의 기기의 배치를 도 9, 도 10에 나타낸다. 탑승 케이지(2)과 카운터 웨이트(3)는 각각 안내하는 케이지 가이드 레일(4a, 4b) 및 웨이트 가이드 레일(5a, 5b)을 따라 승강로를 주행한다. 탑승 케이지(2)과 카운터 웨이트(3)를 각 가이드 레일에 안내 지지하는 케이지 가이드와 카운터 웨이트 가이드는 도시하지 않는다. 또한 각 가이드 레일은 승강로의 벽 또는 건물 대들보에 의해 지지되지만, 이것도 도시하지 않는다.
한편, 도 1에 나타내는 실시예와 같은 부호는 같은 물건을 나타내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구동기 장치(9)는 기계토대 프레임(13)에 고정되어 있지만, 이 구동기 장치(9)의 상부에는, 인버터장치(30)가 종기둥(13b, 13c)에 고정되어 있다. 더욱, 인버터장치(30)의 윗쪽부분에는, 건물측에 통지하는 연기 감지기(18)가 엘리베이터 장치의 운전제어용의 연기 감지기(24)와 동시에 설치용 부재(18a)에 설치되고, 종기둥(13b, 13c)에 연결된 보조부재(13e)에 고정되어 있다. 이들 연기 감지기(18, 24)는 한데 합쳐서 건물측에의 통지와 운전제어에 사용해도 좋다. 트랜스박스(32)는 고정부재(32d)에 의해 케이지 가이드 레일(4b)의 윗쪽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그 상부에는 회생전력 흡수회로(30b)의 저항(30g)이 배치되어 있다. 23a, 23b는 과속을 검출하는 조속기(調速機)의 상하 풀리, 23c는 조속기용 로프를 나타낸다. 승강로 위쪽부분에 있는 조속기용 풀리(23a)는 고정부재(23d)에 의해 가이드 레일(4b)에 고정되어 있다.
탑승 케이지(2)의 천정에는, 연기 감지기(18, 24)의 점검과 인버터장치(30)의 점검을 행하기 위한 점검구(2a)가 설치되어 있다. 점검구(2a)에서 작업자가 케이지 천정에 승차하면, 트랜스박스(32)나 저항(30g)의 보수점검을 행할 수 있다.
한편, 건물의 최상층의 승차장 문(15a, 15b)의 옆에는 탑승 케이지 구동용의 제어장치의 일부를 수납한 전기반(17)이 배치되어 있다. 전기반(17)의 정면에는 문(17a)이 있어, 여는 것에 의해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부의 점검 및 브레이커(31a, 31b, 31c)의 온/오프가 가능하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탑승 케이지(2)이 최상층의 위치에 정지하였을 때, 점검구(2a)의 위치는 탑승 케이지(2)의 천정에서 손을 내밀어, 인버터장치(30)의 점검 및 부품교환에 안성마춤인 높이이며, 또한 인버터장치(30)측과의 거리 L이 작은 것이 알맞다. 인버터장치(30)가 고장났을 때에, 용이하게 유니트 교환작업할 수 있기 위해서는, 탑승 케이지(2)이 최상층에 정지하였을 때에, 인버터장치(30)의 하단이 탑승 케이지(2)의 천장의 위치보다 높은 위치가 알맞다.
또한, 연기 감지기(18, 24)의 위치는 점검구(2a)에서 몸을 내밀지 않고, 케이지 내에서 연기 감지기의 작동확인용 툴(건물 내의 연기 감지기의 작동확인용 툴과 같음)을 연기 감지기에 대고, 시험할 수 있는 위치가 알맞은 것은 상기 실시예와 동일하다. 작업자는 탑승 케이지(2)을 최상층에 정지시켜, 케이지 내의 조작반 내의 정지 스위치(미도시)를 눌러, 점검구(2a)를 열쇠를 사용하여 열고, 케이지 내의 안에서 작동시험을 한다. 점검구(2a)에는, 덮개를 열면 엘리베이터 장치를 정지시키는 안전 스위치(미도시)가 설치되어 있다.
그런데, 연기 감지기(18, 24)의 장착 쇠장식물(18a)을 기계토대 프레임(13)의 일부에 고정하였지만, 승강로(1)의 천정에 고정하도록 해도 좋다.
상기한 설명은 탑승 케이지(2)에 연기 감지기(18, 24)용의 점검구(2a)를 설치한 예이지만, 점검구(2a)가 없더라도 작업원은 안전하게 보수점검작업을 할 수 있다. 즉, 작업원이 케이지 천정에 승차하여, 거기에 설치된 운전용 조작박스의 저속상승 운전버튼을 누르면서 저속상승운전을 하고, 연기 감지기(18, 24)에 대향하는 위치에서, 저속상승 운전버튼으로부터 손을 떼어 탑승 케이지(2)을 정지시켜, 보수점검작업을 하는 것이다.
다음에, 승강로의 상부에 인버터장치(30)와 트랜스박스(32)를 설치하는 이점을 설명한다. 도 11에 있어서, 탑승 케이지(2)의 케이지 문(2c, 2d)에 대면하여 승강로(1)의 승강구에 승차장 문(15a, 15b)이 있다. 승차장 문(15a)의 옆에 전기반(17)이 설치되어 있다. 전기반(17)은 세로 치수가 승차장 문(15a, 15b) 정도로, 또한 폭이 약 400∼500mm, 두께가 100∼150mm의 소형, 박형으로 되어 있다.
탑승 케이지(2)에는, 케이지 위치검출기용 포지테크터(2f)와 테일 코드(2e)가 설치되어 있다. 전향 풀리(7b)의 좌측에는, 웨이트 가이드 레일(5a, 5b)이 배치되어 있다. 트랙션 시브(10)는 전향 풀리(7b)에 매우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23a는 조속기용 풀리이며, 탑승 케이지(2)의 비상방지(미도시)를 작동시키기 위해서는, 케이지 가이드 레일(4b)의 근방에 배치해야 한다. 도 11에서 분명한 바와 같이, 최상층 승차장에 소형으로 박형의 전기반(17)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제어장치의 일부를 분할 설치할 필요가 있다.
이것을 본 실시예에 의하면, 구동기 장치(9)의 상부에 인버터장치(30), 조속기용 풀리(23a)의 상부에 트랜스박스(32)와 저항(30g)을 배치하는 것에 의해 해결한 것이다.
전기반(17)은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부에,
① 설치작업의 단계에서, 공급전원을 분리하기 위한 브레이커(31a, 31b, 31c)
② 회로보호를 하는 퓨즈(36a, 36b, 36c, 36d)
③ 인버터장치(30)의 공급전원을 온/오프하기 위한 콘택터(31j)
③ 보안장치인 브레이크(9a)를 열거나 닫거나 하기 위한 콘택터(31k)
④ 속도지령회로(34a)
⑤ 설치공사단계에서 파손할 가능성이 있는 운전지령회로(34b)가 수납되어 있다. 이들 기기의 두께는 100∼150mm이하이며, 브레이커 및 콘택터보다 두꺼운 전원 트랜스(32a, 32b, 32c)는 승강로 내에 설치된다.
기기배치의 형편에 의해, 브레이커 및 콘택터와 동등한 두께의 트랜스이면, 전기반(17)내에 수납해도 좋다.
이와 같이, 구동기 장치(9) 및 제어회로의 거의가 승강로(1) 내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어떠한 원인으로, 기기가 발화·발연한 경우의 영향도는 승강로 정상부에 따로 설치한 기계실 내에 구동기 장치 및 제어장치를 설치한 종래의 엘리베이터 장치보다 크다는 것은 명백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 9에 나타내는 연기 감지기(18)는 건물측의 방재용, 연기 감지기(24)는 엘리베이터 장치용 연기 감지기이며,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 장치용 연기 감지기(24)의 입력신호(34b2)는 운전회로(34b)에 입력된다.
한편, 도 9에 있어서는, 인버터장치(30)를 구동기 장치(9)의 상부에 배치한 예를 나타내었지만,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저항(30g)을 구동기 장치(9) 위에 배치하고, 케이지 가이드 레일(4b)에 인버터장치(30)를 고정 쇠장식물(30m)로 고정하여, 트랜스박스(32)를 고정 쇠장식물(32d)에 의해 고정해도 좋다. 또한,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트랜스박스(32)를 구동기 장치(9) 위에 배치하고, 케이지 가이드 레일(4b)에 저항(30g)을 쇠장식물(30n)에 의해 고정하여, 인버터장치(30)를 쇠장식물(30m)로 고정해도 좋다.
한편, 엘리베이터 장치에 있어서는,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탑승 케이지(2)의 과상승방지로서, 강제 정지시키는 파이널 리미트 스위치(final limit switch)(40)와 윗쪽 방향에의 운전을 저지하는 업 리미트 스위치(up limit swithch)(41)가 탑내(塔內) 고정의 브래켓(bracket)(42)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리미트 스위치(40, 41)를 작동시키는 캠(43)이 탑승 케이지(2)에 설치된다. 탑승 케이지(2)이, 최상층을 지나치면 업 리미트 스위치(41)가 작동하여, 윗쪽 방향에의 운전지령을 차단한다. 또 윗쪽방향으로 과상승한 경우는 파이널 리미트 스위치(40)가 작동하여, 탑승 케이지(2)을 완전히 정지시키고, 재기동할 수 없는 안전 시스템이 법에 규정되어 있다. 탑승 케이지(2)의 천정과 승강로 천정과의 거리 LU가 소정간격 예컨대 1. 5m으로 되었을 때에 작동하는 안전 리미트 스위치(44)를 업 리미트 스위치(41)의 아래쪽에 설치한다. 다음에, 이 안전 리미트 스위치(44)를 사용한 시퀀스회로를 도 16에서 설명한다. 도 16에 있어서, (+)(-)는 회로의 전원을 나타낸다. 45는 상승방향의 운전을 허가하는 릴레이를 나타낸다. 46은 통상운전에서는, 닫혀 있는 스위치이다.
탑승 케이지(2)의 천장에서 작업원이 저속상승운전할 때에, 스위치(46)를 개로(開路)한다. 작업원이 저속상승운전 중에, 상기 저속상승 운전버튼으로부터 손을 떼는 것을 잊었을 때에, 리미트 스위치(44)가 강제 개로되면, 릴레이(45)가 오프하여, 탑승 케이지(2)은 상승방향운전을 중지한다. 작업원은 탑승 케이지(2)의 천정과 승강로 천정의 안전거리 LU가 확보되기 때문에, 연기 감지기(18, 24)의 작동확인시험 및 인버터장치(30)의 점검을 안전하게 행할 수 있다.
다음에, 연기 감지기(24)를 사용한 엘리베이터 장치의 화재관제운전에 관해서 도 17의 플로우챠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하기의 기능은 운전회로(34b)에 구비되어 있다.
(1) 탑승 케이지가 주행중(P1)에, 연기 감지기가 작동(P7)하고, 또한 목적층에 감속 개시(P8)한 경우는 목적층에 착상(着床)(P9)하여, 문을 열고, 승객에게 「아주 급히, 하차하여 주십시오」의 경보를 방송(P4)하고, 승객을 피난시킨 후에, 문을 닫고 브레이커(31a와 31c)를 강제 트립(trip)(P5)하여, 엘리베이터 장치의 기기에의 전원공급을 완전 차단해서, 피해의 확대방지를 도모한다.
(2) 탑승 케이지가 주행중(P1)에, 연기 감지기가 작동(P7)하고, 또한 목적층에 감속 개시(P8)하고 있지 않은 경우는, 가장 가까운 층에 정지하는 지령을 발생(P11)하여, 가장 가까운 층에 착상(P12)후, 문을 열어, 승객에게「아주 급히, 하차하여 주십시오」의 경보를 방송(P4)하고, 문을 닫고 브레이커(31a와 31c)를 강제 트립(P5)하여, 엘리베이터 장치의 기기에의 전원공급을 차단한다.
(3) 탑승 케이지가 주행중(P1)에, 연기 감지기가 작동(P7)하고 있지 않은 경우는, 목적층까지 주행하고, 착상후, 다음 목적층으로 주행을 개시(P10)한다.
(4) 탑승 케이지가 주행중(P1)이 아니고, 문을 닫고 정지(P2)중인 경우에, 연기 감지기가 작동(P6)한 경우도, 케이지 내에 승객이 있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문을 열어, 승객에게「아주 급히, 하차하여 주십시오」의 경보를 방송(P4)하고, 문을 닫고 브레이커(31a, 31c)를 강제 트립(P5)하여, 엘리베이터 장치의 기기에의 전원공급을 차단한다.
(5) 탑승 케이지가 주행중(P1)이 아니고, 문을 닫고 정지(P2)중인 경우에, 연기 감지기가 작동(P6)하고 있지 않은 경우는, 정상운전으로 된다.
(6) 탑승 케이지가 주행중(P1)이 아니고, 문이 닫혀 있지 않고 정지(P2)중이 아닌 상태에서, 연기 감지기가 작동(P3)한 경우는, 다시 문을 열어, 승객에게「아주 급히, 하차하여 주십시오」의 경보를 방송(P4)하고, 문을 닫고 브레이커(31a, 31c)를 강제 트립하여(P5), 엘리베이터 장치의 기기에의 전원공급을 차단한다.
(7) 탑승 케이지가 주행중(P1)이 아니고, 문이 닫혀 있지 않고 정지(P2)중이 아닌 상태에서, 연기 감지기가 작동하고 있지 않은 경우는 정상운전으로 된다.
엘리베이터 장치의 화재관제운전에 사용한 연기 감지기 입력신호(34b2)(도2)는 엘리베이터 장치용 연기 감지기(24)의 신호이지만, 건물용 연기 감지기(18)의 신호를 사용해도 좋다.
또한, 도 17의 플로우챠트에서는, 탑승 케이지 주행중(P1)에, 연기 감지기가 작동(P7)한 경우는, 가장 가까운 층에 정지하는 지령을 발생(P11)하여, 가장 가까운 층에 착상(P12)시키었지만, 도 18의 플로우챠트와 같이, 목적층에 착상(P9)시킨 후에, 문을 열어, 승객에게「아주 급히, 하차하여 주십시오」라고 경보를 방송(P4)하고, 승객이 내린 후에 문을 닫고, 브레이커(31a, 31c)를 트립(P5)해도 좋다.
또한, 도 17, 도 18의 플로우챠트에서는, 문을 닫고 브레이커(31a, 31c)를 트립(P5)하여 엘리베이터 장치 기기에의 전원공급을 차단하였지만, 문이 닫힐 때까지를 화재관제운전으로 하고, 그 후는 연기 감지기의 신호에 의해, 건물측의 관리인의 판단으로 엘리베이터 장치에의 전원공급을 차단하도록 해도 좋다.
이상의 각 실시예의 인버터장치(30)는 전력을 저항에서 소비하는 제어방식으로 설명하였지만,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출력전압 제어회로(30h)의 펄스폭신호 pwv에 의해 출력전압을 제어하여, 전력을 회생하는 회로(30j)를 구비한 인버터장치(30)라도 좋다. 이와 같이 한 경우는, 도 8, 도 9, 도 13, 도 14의 저항(310g)은 없게 된다.
또한,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인버터장치(30)에는, 속도지령회로(34a)를 포함하지 않지만, 인버터장치(30)에 속도지령회로(34a) 및 운전회로(34b)의 기능의 일부를 포함해도 좋다.
본 발명의 화재관제운전은 이용객의 안전을 제일로 한 것이고, 연소방지는 건물전체의 방재 시스템에 삽입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엘리베이터 장치 기기의 배치를 적절하게 한 것에 의해, 건물공간의 효율적 이용과 종래와 동등한 설치 공사성 및 보수성의 유지의 양립을 도모할 수 있다.
Claims (12)
- 탑승 케이지가 승강로의 최상위치에 있을 때에, 탑승 케이지로부터 미치는 범위의 승강로 내에 화재 검지기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 탑승 케이지가 승강로의 최상위치에 있을 때에, 탑승 케이지로부터 미치는 범위의 승강로내 설치기기에 화재 검지기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 승강로 상부의 승강로내 설치기기에 설치한 화재 검지기에 대향하여 탑승 케이지에 점검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 승강로 내에 세워져 설치된 가이드 레일을 따라 승강하는 탑승 케이지와, 이 탑승 케이지를 매달은 감아올리기 로프와, 이 감아올리기 로프를 감아 걸어서 트랙션 구동하는 트랙션 시브와, 이 트랙션 시브를 가지고 상기 승강로의 상부에 설치된 구동기계장치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동기계장치의 윗쪽에 화재 검지기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 승강로 내에 세워져 설치된 가이드 레일을 따라 승강하는 탑승 케이지와, 이 탑승 케이지를 매달은 감아올리기 로프와, 이 감아올리기 로프를 감아 걸어서 트랙션 구동하는 트랙션 시브와, 이 트랙션 시브를 가지고 상기 승강로의 상부에 설치된 구동기계장치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동기계장치의 윗쪽에 화재 검지기를 설치하고, 또한 상기 탑승 케이지의 상기 화재 검지기에 대향하는 위치에 점검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화재 검출기의 작동에 의해, 적어도 주행 중의 탑승 케이지를 가장 가까운 층에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화재관제운전.
- 제 1 항 내지 제 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화재 검출기의 작동에 의해, 승객에게 피난이 필요한 경고를 방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화재관제운전.
-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화재 검출기의 작동에 의해, 탑승 케이지 정지 후에, 엘리베이터 장치에의 전원공급을 차단하는 브레이커를 트립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화재관제운전.
- 승강로 정상부에 화재 검출기를 설치하는 동시에, 화재 검출기의 근방에 구동기계장치를 설치하고, 또한 이 구동기계장치의 윗쪽 위치에 인버터장치를 배치하며, 탑승 케이지가 최상층에 위치하였을 때에 상기 인버터장치의 하단이 탑승 케이지 천정보다 윗쪽에 위치하도록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 제 9 항에 있어서,상기 탑승 케이지의 상기 인버터장치에 가까운 위치에 점검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 승강로 내에 구동기계장치와 인버터장치 또는 저항기를 배치하고, 승강로의 외부 승차장 근방에 전기반을 설치하며, 이 전기반 내에는 적어도 엘리베이터 장치의 전원공급을 차단하는 브레이커를 배치하고, 브레이커보다 두꺼운 트랜스를 승강로 내의 인버터장치에 접근시켜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 승강로 정상부에 화재 검출기를 설치하는 동시에, 화재 검출기의 근방에 탑승 케이지를 구동하는 구동기계장치 및 엘리베이터의 운전을 제어하는 인버터장치와 트랜스박스와 저항을 설치하고, 탑승 케이지가 최상층에 위치하였을 때에 상기 인버터장치와 트랜스박스와 저항이 탑승 케이지 천장보다 윗쪽에 위치하도록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90031792A KR100647829B1 (ko) | 1998-08-11 | 1999-08-03 | 엘리베이터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10-226696 | 1998-08-11 | ||
JP10-246742 | 1998-09-01 | ||
KR1019990031792A KR100647829B1 (ko) | 1998-08-11 | 1999-08-03 | 엘리베이터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00017026A true KR20000017026A (ko) | 2000-03-25 |
KR100647829B1 KR100647829B1 (ko) | 2006-11-23 |
Family
ID=196060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90031792A KR100647829B1 (ko) | 1998-08-11 | 1999-08-03 | 엘리베이터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647829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0921587A (zh) * | 2019-11-21 | 2020-03-27 | 国网天津市电力公司 | 检修舱及电力检修车 |
CN114104898A (zh) * | 2020-08-26 | 2022-03-01 | 奥的斯电梯公司 | 电梯烟雾和火灾检测系统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73595B1 (ko) * | 2012-06-29 | 2014-03-20 |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 로프 장력 감지기능을 갖춘 전기자동차용 견인식 배터리 자동교환시스템 |
KR101402676B1 (ko) * | 2012-06-29 | 2014-06-11 |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 클램핑장치의 과상승 방지기능을 갖춘 전기자동차용 견인식 배터리 자동교환시스템 |
KR101935260B1 (ko) * | 2018-05-28 | 2019-01-04 | 삼성넥스텍(주) | 엘리베이터용 화재감지기의 설치 및 점검 구조물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597357A (ja) * | 1991-10-04 | 1993-04-20 | Mitsubishi Electric Corp | エレベーターかご装置 |
JPH0672680A (ja) * | 1992-08-26 | 1994-03-15 | Mitsubishi Electric Corp | エレベータの防煙装置 |
JPH09142754A (ja) * | 1995-11-17 | 1997-06-03 | Hitachi Ltd | エレベータの運行制御装置 |
KR19980074061A (ko) * | 1997-03-21 | 1998-11-05 | 이종수 | 화재경보장치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
-
1999
- 1999-08-03 KR KR1019990031792A patent/KR100647829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0921587A (zh) * | 2019-11-21 | 2020-03-27 | 国网天津市电力公司 | 检修舱及电力检修车 |
CN110921587B (zh) * | 2019-11-21 | 2024-09-17 | 国网天津市电力公司 | 电力检修车 |
CN114104898A (zh) * | 2020-08-26 | 2022-03-01 | 奥的斯电梯公司 | 电梯烟雾和火灾检测系统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647829B1 (ko) | 2006-11-2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140224591A1 (en) | Elevators and elevator arrangements with maintenance cabinet in landing wall | |
KR100302557B1 (ko) |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 | |
CN108861902B (zh) | 电梯的电流切断装置 | |
JP2004504997A (ja) | エレベータケージ内に組込まれた駆動プーリ式駆動機械を備えたエレベータケージ | |
KR100647829B1 (ko) | 엘리베이터 장치 | |
JP3603606B2 (ja) | エレベータ装置 | |
JP2012025558A (ja) | エレベータ制御装置 | |
JP2000072352A (ja) | エレベータ火災管制装置 | |
KR100975758B1 (ko) | 엘리베이터 구조운전 회로 | |
JP2013199348A (ja) | 巻胴式エレベータの非常時運転装置 | |
JP3255005B2 (ja) | エレベーターの制御装置 | |
JPH11322217A (ja) | エレベータ駆動装置 | |
JP7147900B1 (ja) | エレベータ | |
AU2019348253B2 (en) | Control system assembly for MRL-elevator | |
KR100809373B1 (ko) | 엘리베이터 자동 구조운전 회로 | |
JP2007254096A (ja) | エレベーター装置 | |
JP2019043739A (ja) | マシンルームレスエレベータ | |
CN1135205C (zh) | 电梯装置 | |
JP4248660B2 (ja) | エレベータの保守装置 | |
JP2001002340A (ja) | エレベータのブレーキ解放装置 | |
JP2000143115A (ja) | エレベーターの故障時救出運転装置 | |
JP2001080834A (ja) | エレベータ装置及びそのエレベータ制御装置の保守点検方法 | |
JPH0624664A (ja) | エレベーターの非常救出運転装置 | |
KR200429753Y1 (ko) | 엘리베이터 자동 구조운전 회로 | |
US20240286869A1 (en) | Elevator arrangement and method of operating elevato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11019 Year of fee payment: 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