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5260B1 - 엘리베이터용 화재감지기의 설치 및 점검 구조물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용 화재감지기의 설치 및 점검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5260B1
KR101935260B1 KR1020180060128A KR20180060128A KR101935260B1 KR 101935260 B1 KR101935260 B1 KR 101935260B1 KR 1020180060128 A KR1020180060128 A KR 1020180060128A KR 20180060128 A KR20180060128 A KR 20180060128A KR 101935260 B1 KR101935260 B1 KR 1019352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detector
elevator
rail
check
mou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01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용학
황민
김도현
Original Assignee
삼성넥스텍(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넥스텍(주) filed Critical 삼성넥스텍(주)
Priority to KR10201800601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52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52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52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06Monitoring devices or performance analysers
    • B66B5/0018Devices monitoring the operating condition of the elevator system
    • B66B5/0025Devices monitoring the operating condition of the elevator system for maintenance or rep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43Devices enhancing safety during maintenance
    • B66B5/005Safety of maintenance personn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87Devices facilitating maintenance, repair or inspection tasks

Landscapes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엘리베이터용 화재감지기의 설치 및 점검 구조물은, 엘리베이터의 내측벽에 설치된 레일부, 화재감지기를 거치하며, 레일부를 따라 상하 이동하는 거치부, 및 거치부를 레일부를 따라 상하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엘리베이터에는 외측벽과 내측벽을 관통하는 점검홀이 형성되고, 점검홀을 통해 레일부를 따라 하부로 이동한 화재감지기를 점검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용 화재감지기의 설치 및 점검 구조물 {INSTALLING AND INSPECTING STRUCTURE OF FIRE DETECTOR FOR ELEVATOR}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용 화재감지기의 설치 및 점검 구조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화재감지기가 설치된 엘리베이터의 승강로 상부까지 가지 않고서도 엘리베이터의 승강로 외부에서 화재감지기를 설치 및 점검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용 화재감지기의 설치 및 점검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국가화재안전기준 중 "자동화재탐지설비 및 시각경보장치의 화재안전기준(NFSC 203)"에 의거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의 승강로에도 화재감지기 설치를 강제하고 있는 법안이 2015. 01. 23. 자로 개정고시되었다.
기계실이 있는 구조에서는 기계실의 상부에 화재감지기가 설치되어 점검이 용이하지만, 기계실이 없는 구조에서는 화재감지기의 설치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지 못하다. 실예로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로의 내부에 설치된 화재감지기를 점검하기 위해서는 승강기 카(car)를 타고 상부로 올라가서 화재감지기를 설치하고 점검해야 하므로 유지보수에 상당한 어려움이 있다.
또한, 승강기 카의 상부에 작업자가 올라가서 점검을 해야 하므로 위험성이 높고, 점검 중에는 운행이 불가능하여 엘리베이터를 이용하려는 사람들이 점검이 완료될 때까지 오랜 시간동안 기다려야 하는 등 많은 불편함을 주고, 건물 내에 입주한 업체가 원활하게 업무를 볼 수 없다는 불편함이 있다.
종래의 엘리베이터용 화재감지기 설치 및 점검 구조(한국특허출원 제10-1999-0031792호 참조)를 보면 점검자가 승강기 카를 타고 화재감지기가 위치한 상부까지 이동한 후에 승강기 카로부터 나와 화재감지기를 점검하였다.
따라서, 화재감지기를 점검하는데 안전 상의 문제가 있으며, 운행 중에는 점검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어왔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전하면서도 용이하게 화재감지기를 설치 및 점검할 수 있고, 운행 중에도 화재감지기를 설치 및 점검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용 화재감지기의 설치 및 점검 구조물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화재감지기를 레일을 통해 승강기 카의 상부인 작동 위치까지 상승시키고, 또한 엘리베이터의 하부의 점검 위치까지 이동시켜 점검함으로써, 안전하면서도 용이하게 화재감지기를 설치 및 점검할 수 있고, 운행 중에도 화재감지기를 설치 및 점검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용 화재감지기의 설치 및 점검 구조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화재감지기의 설치 및 점검 구조물은, 엘리베이터용 화재감지기의 설치 및 점검 구조물은, 엘리베이터의 내측벽에 설치된 레일부, 화재감지기를 거치하며, 레일부를 따라 상하 이동하는 거치부, 및 거치부를 레일부를 따라 상하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엘리베이터에는 외측벽과 내측벽을 관통하는 점검홀이 형성되고, 점검홀을 통해 레일부를 따라 하부로 이동한 화재감지기를 점검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안전하면서도 용이하게 화재감지기를 설치 및 점검할 수 있고, 운행 중에도 화재감지기를 설치 및 점검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용 화재감지기의 설치 및 점검 구조물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 은 종래의 엘리베이터용 화재감지기의 점검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및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화재감지기의 설치 및 점검 구조물의 사시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화재감지기의 이동 경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내지 7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화재감지기에 작동 전원이 공급되는 과정을 설명한 도면이다.
도 8 내지 1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화재감지기가 점검홀을 통해 점검되는 과정을 설명한 도면이다.
도 1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화재감지기가 점검홀을 통해 점검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도 1 내지 12 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화재감지기의 설치 및 점검 구조물을 설명한다. 도 1 은 종래의 엘리베이터용 화재감지기의 점검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및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화재감지기의 설치 및 점검 구조물의 사시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화재감지기의 이동 경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내지 7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화재감지기에 작동 전원이 공급되는 과정을 설명한 도면이다. 도 8 내지 1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화재감지기가 점검홀을 통해 점검되는 과정을 설명한 도면이다. 도 1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화재감지기가 점검홀을 통해 점검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우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화재감지기는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의 승강로에 설치되는 화재감지기일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기계실이 없는 구조에서는 화재감지기의 설치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지 못하다.
구체적으로,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경우는 승강로(20)의 내부에 설치된 화재감지기(135)를 점검하기 위해서는, 점검자(215)가 승강기 카(190)를 타고 화재감지기(135)가 설치된 승강로(20)의 상부로 올라간 후, 승강기 카(190)의 내부에서 나와 승강기 카(190)의 상단에 올라간다. 이후 점검자는 화재감지기 테스트기(137)를 이용하여 화재감지기(135)를 점검해야 하며, 또한 화재감지기(35)를 동일한 방식으로 설치하므로 화재감지기(135)의 유지보수가 상당히 어렵다.
뿐만 아니라, 화재감지기(135)를 점검하는 동안에는 엘리베이터의 사용이 불가능하므로, 건물 내의 엘리베이터 사용자는 점검이 완료될 때까지 기다려야 하며, 건물 내의 입주 업체는 업무를 원활하게 진행할 수 없다.
이러한 문제점을 고려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화재감지기의 설치 및 점검 구조물은 다음과 같은 구성 및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화재감지기의 설치 및 점검을 용이하게 하여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고 있다. 물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화재감지기의 설치 및 점검 구조물은 경우에 따라서는 기계실이 있는 엘리베이터의 승강로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화재감지기의 설치 및 점검 구조물의 각 구성을 살펴본다.
도 2 내지 12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화재감지기의 설치 및 점검 구조물(200)은, 레일부, 거치부, 화재감지기(130), 구동부, 전원제공부, 점검부, 작동 표시부 및 감시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엘리베이터용 화재감지기의 설치 및 점검 구조물(200)은, 엘리베이터가 설치되는 건물의 최상층부에 설치될 수 있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최상층부가 아닌 다른 층에도 설치될 수도 있다.
레일부는 엘리베이터의 내측벽(10)에 설치되어 화재감지기(130)가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부재이다. 이러한 레일부를 엘리베이터에 설치하는 형태를 보면, 엘리베이터의 시공 시에 엘리베이터의 내측벽(10)을 따라 수직으로 레일 설치홈(35)을 형성하고, 이 레일 설치홈(35)에 레일부를 수용시키면서 설치하고, 추가적으로 레일 설치홈(35)을 커버부재(37)로 가릴 수 있다. 이때 화재감지기는 레일 설치홈 내에서 상하 이동할 수 있다.
다르게는, 레일 설치홈(35)을 형성하지 않고, 엘리베이터의 내측벽(10)을 따라 수직으로 레일부를 부착하면서 설치할 수도 있으며, 설치 방법은 상황에 맞게 선택할 수 있다.
레일부는 엘리베이터의 내측벽(10)을 따라 연장된 수직 레일부(33) 및 수직 레일부(33)의 상단부로부터 엘리베이터의 내측으로 수평하게 연장된 수평 레일부(3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수평 레일부(30)는 곡선 형상을 지닐 수 있다.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레일부의 형상 하에서, 화재감지기(130)는 수직 레일부(33)를 따라 상방으로 이동하고, 이후 수평 레일부(30)를 따라 수평으로 이동하면서 엘리베이터의 내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렇게 화재감지기(130)가 수평 레일부(30)를 따라 엘리베이터의 내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화재감지기(130)는 엘리베이터의 승강기 카(190)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고, 승강기 카(190)의 내부 및 엘리베이터의 다른 부분에서 발생한 화재를 좀 더 정확하고 신속하게 감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수평 레일부(30)는 엘리베이터의 내측 중앙까지 연장될 수 있고, 그에 따라 화재감지기(130)는 엘리베이터의 내측 중앙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규정 상 화재감지기(130)는 승강로(20)의 천장으로부터 600mm 이격되어 설치되어야 하고, 승강로(20)의 내측벽(10)(또는 수직벽)으로부터 600mm 이격되어 설치되어야 하는바 이러한 규정을 고려하여 수평 레일부(30)는 엘리베이터(또는 승강로(20))의 내측 중앙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규정은 언제든지 변경이 될 수 있는바, 화재감지기(130)의 설치 위치가 이러한 수치에 반드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화재감지기(130)를 점검할 시에는 화재감지기(130)는 수평 레일부(30) 및 수직 레일부(33)를 따라 하방으로 이동하여 점검을 받을 수 있다.
추가적으로, 레일부는 단면이 "ㄷ"자 형상일 수 있으며, 하부와 한 쌍의 측면 가이드부로 외형이 구성될 수 있으며, 측면 가이드부를 따라 돌출 형태의 레일이 형성될 수 있다. 후술할 구동 롤러(60)의 롤러홈은 이 레일에 물리면서 레일부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거치부는 화재감지기(130)가 거치되는 부재이며, 거치된 화재감지기(130)를 상하로 이동시키기 위해서 거치부는 레일부를 따라 상하 이동할 수 있다. 즉, 화재감지기(130)는 거치부에 거치된 상태로 상하로 이동하면서 작동되거나 점검받을 수 있다.
이러한 거치부는 화재감지기(130)가 거치되는 거치 브라켓(40)과, 거치 브라켓(40)에 연결되며, 전술한 레일부를 따라 이동하는 롤러부를 포함한다. 롤러부는 하나 이상의 구동 롤러(60)와 구동 롤러(60)가 장착되는 롤러 장착 프레임(50)을 포함할 수 있다. 롤러 장착 프레임(50)이 거치 브라켓(40)과 연결됨으로써, 거치 브라켓(40)에 거치된 화재감지기(130)는 이동을 할 수 있다.
또한, 거치부는 거치 브라켓(40)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전원 접속부(45, 47)를 포함하며, 이 전원 접속부(45, 47)는 후술할 전원 제공부의 전원 공급 라인(115, 117)에 접속됨으로써 화재감지기(130)에 전원이 제공될 수 있다. 전원 제공부에서 제공하는 전원은 전원 접속부(45, 47)를 지나 화재감지기(130)로 전달됨으로써 화재감지기(130)에 동작에 필요한 전원이 제공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거치부는 후술할 구동부의 구동 와이어 부재(80)와 연결되는 와이어 연결 프레임(70)을 포함할 수 있고, 이 와이어 연결 프레임(70)은 롤러 장착 프레임(50)에 결속될 수 있다. 또한, 거치 브라켓(40)은 와이어 연결 프레임(70)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는바, 거치 브라켓(40)은 와이어 연결 프레임(70)에 대하여 회동가능할 수 있다. 이러한 회동 가능성으로 후술할 화재감지기(130)의 점검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구동 와이어 부재(80)가 와이어 연결 프레임(70)에 연결되는 형태는 다양할 수 있으나, 일 형태로서 구동 와이어 부재(80)의 양 단이 각각 와이어 연결 프레임(70)의 양 단부에 연결되어 구동 와이어 부재(80)와 와이어 연결 프레임(70)이 하나의 폐곡선을 형성할 수 있다.
화재감지기(130)는 승강기 카(190) 및 엘리베이터의 소정 공간에서 발생한 화재를 감지하는 감지기로서, 화재가 발생할 경우 이를 감지하여 화재가 발생했음을 알리는 감지기이다. 이러한 화재감지기(130)로는 열을 감지하는 열감지기와 연기를 감지하는 연기감지기가 있을 수 있으나, 그 종류에는 제한이 없다.
이러한 화재감지기(130)는 거치부에 거치되어 레일부를 따라 상하로 이동할 수 있으며, 상부로 이동하면서 수평 레일부(30)의 자유단에 도착하여 작동할 수 있고, 반대로 수직 레일부(33)를 따라 하강하여 점검받을 수 있다.
구동부는 화재감지기(130)를 거치하는 거치부가 레일부를 따라 상하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부재로서, 거치부를 이동시킴으로써 궁극적으로 화재감지기(130)를 수평 레일부(30)의 자유단부인 작동 위치와 수직 레일부(33)의 하부인 점검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구동부는, 구동 모터(100), 하부 구동 풀리(95), 상부 구동 풀리(90), 구동 와이어 부재(80) 및 상하 스위치(220)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 모터(100)는 구동 와이어 부재(80)를 당기는 힘을 제공하는 모터로서, 후술할 점검부 근처에 설치될 수 있으나 설치 위치에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
하부 구동 풀리(95)는 구동 모터(100)로부터 구동력을 제공 받아 회전하며, 또한 하부 구동 풀리(95)의 풀리홈에는 구동 와이어 부재(80)가 놓여있는바, 구동 모터(100)에 의해 하부 구동 풀리(95)가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구동 와이어 부재(80)는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당겨질 수 있다. 이렇게, 구동 와이어 부재(80)가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당겨짐에 따라 화재감지기(130)는 레일부를 따라 상부 및 하부로 이동할 수 있다.
상부 구동 풀리(90)는 상부인 수평 레일부(30)의 자유단부에 설치될 수 있으며, 구동 와이어 부재(80)는 레일부를 따라 연장되면서 상부 구동 풀리(90)의 풀리홈에 놓여있을 수 있다.
다시 말해서, 구동 와이어 부재(80)는 양 단이 와이어 연결 프레임(70)의 양 단부에 연결되고, 구동 와이어 부재(80)의 일단과 타단 사이의 부분은 상부 구동 풀리(90) 및 하부 구동 풀리(95)에 걸칠 수 있다. 즉, 구동 와이어 부재(80)는 와이어 연결 프레임(70)과 함께 하나의 폐곡선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형태 하에서, 구동 모터(100)가 하부 구동 풀리(95)를 회전시키면 하부 구동 풀리(95)의 풀리홈에 놓여진 구동 와이어 부재(80)는 일방향으로 당겨지고, 그에 따라 화재감지기(130)를 거치한 거치부는 레일부를 따라 하방으로 이동하여 관리자가 있는 점검 위치로 올 수 있다.
반대로, 구동 모터(100)가 하부 구동 풀리(95)를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하부 구동 풀리(95)의 풀리홈에 놓여진 구동 와이어 부재(80)는 타방향으로 당겨지고, 그에 따라 화재감지기(130)를 거치한 거치부는 레일부를 따라 올라가면서 작동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도 11 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구동 모터(100)의 양 방향 회전을 제어하기 위해 상하 스위치(220)가 포함될 수 있으며, 상하 스위치(220)에서 상승 버튼을 누르면 구동 모터(100)는 화재감지기(130)가 레일부를 따라 올라가도록 하여 화재감지기(130)를 작동 위치(또는 설치 위치)로 이동하게 한다.
또한, 상하 스위치(220)에서 하강 버튼을 누르면 구동 모터(100)는 화재감지기(130)가 레일부를 따라 하강하도록 하여 화재감지기(130)를 점검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구동 와이어 부재(80) 및 상부 구동 풀리(90)는 레일부의 내측에 위치하여 외부로부터 차단됨으로써 전체 구조물의 미관을 개선시킬 수 있다.
전원 제공부는 화재감지기(130)에 전원을 공급하여 화재감지기(130)가 작동할 수 있도록하는 부재로서, 이러한 전원 제공부는 전원부(110) 및 전원부(110)가 제공하는 전원을 화재감지기(130)에 공급하는 전원 공급 라인(115, 117)을 포함할 수 있다.
전원 공급 라인(115, 117)은 일단이 전원부(110)에 접속될 수 있고, 타단은 상부로 연장되면서 수평 레일부(30)의 자유단부까지 연장될 수 있다. 한편, 전원 공급 라인(115, 117)의 타단은 전원 커버(120)로 덮여있을 수 있다.
도 5 내지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구조 하에서, 화재감지기(130)를 거치한 거치부는 수평 레일부(30)의 자유단부에 도달하게 되고, 전술한 바와 같이 거치부의 전원 접속부(45, 47)는 전원 공급 라인(115, 117)의 타단과 접속함으로써, 화재감지기(130)에 전원이 제공될 수 있다.
이때, 거치부의 전원 접속부(45, 47)와 전원 공급 라인(115, 117)의 타단은 서로 다른 극성을 가지는 자성체를 포함하거나, 다르게는 거치부의 전원 접속부(45, 47)와 전원 공급 라인(115, 117)의 타단 중에서 어느 하나는 금속 부분을 포함하고 다른 하나는 자성체를 포함함으로써, 거치부의 전원 접속부(45, 47)와 전원 공급 라인(115,117)의 타단의 결속이 보장될 수 있다.
한편, 도 8 내지 1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부(110)는 후술할 점검홀(140) 부근에 위치할 수 있으며, 하부로 이동한 화재감지기(130)를 점검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원부(110)에는 점검 단자(113)가 있을 수 있으며, 거치부에는 점검 접속부(43)가 형성될 수 있다. 하부로 이동한 거치부의 점검 접속부(43)와 전원부(110)의 점검 단자(113)를 접속시킴으로써 화재감지기(13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고, 동시에 화재감지기(130)가 정상 작동이 가능한지를 확인할 수 있다.
점검부는 건물의 최상층부 엘리베이터의 하부에 위치하 할 수 있으며, 하부로 내려온 화재감지기(130)의 상태를 점검하는 부분으로서, 점검부에는 외측벽과 내측벽(10)을 관통하는 점검홀(140)이 존재함으로써 점검자가 점검홀(140)을 통해 내부에 위치한 화재감지기(130)를 확인 및 점검할 수 있다.
또한, 점검부는 점검홀(140)에 설치된 점검 프레임(150) 및 점검 프레임(150)에 설치되어 점검홀(140)을 개폐하는 방화 커버(18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방화 커버(180)는 엘리베이터의 승강로(20)와 외부 사이에 기밀을 유지하여 방화구획을 설정할 수 있으며, 방화 커버(180)의 재질로는 철판 내지 내연 재료 등이 있을 수 있다. 관리자는 점검시에 방화 커버(180)를 개방하여 화재감지기(130)를 점검하고, 점검이 완료될 경우 방화 커버(180)를 닫아 방화구획을 설정할 수 있다.
한편, 화재감지기(130)의 점검 방식을 보면, 화재감지기(130)를 거치한 거치부가 점검홀(140)의 위치까지 내려온 후(도 8 및 9 참조), 거치 브라켓(40)이 와이어 연결 프레임(70)에 대하여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점을 이용하여, 거치 브라켓(40)을 와이어 연결 프레임(70)에 대하여 외측으로 90도 회동시킨다(도 10 및 11 참조).
이럴 경우, 거치 브라켓(40)의 점검 접속부(43)는 전원부(110)의 점검 단자(113)와 접하게 되어 화재감지기(130)에는 전원이 공급되며, 이를 통해 화재감지기(130)가 작동하는지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이러한, 점검부는 엘리베이터 도어의 측방에서 도어의 높이 사이에 위치할 수 있으며, 그 결과 점검자 내지 관리자는 사다리나 의자를 이용하지 않고도 점검홀(140)에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다.
또한, 관리자는 엘리베이터의 외부에서 내부에 위치한 화재감지기(130)를 점검할 수 있는바, 관리자가 승강기 카(190)를 타고 올라가 화재감지기(130)를 점검할 필요가 없으며, 점검을 위한 소정의 공간으로 이동하여 화재감지기(130)를 점검할 필요가 없다.
아울러, 승강기 카(190)의 운행 중에도 화재감지기(130)를 설치 및 점검할 수 있어 설치 및 점검의 효율성을 보장할 수 있다.
반면에, 종래의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의 경우에는 승강로의 내부에 설치된 화재감지기를 점검하기 위해서는 승강기 카를 타고 상부로 올라가서 화재감지기를 설치하고 점검해야 하므로 유지보수가 상당히 어려우며 안전사고의 위험성이 있다.
또한, 승강기 카를 타고 상부를 가지 않더라도 상부에 설치된 화재감지기를 점검하기 위해서 화재감지기가 설치된 높이까지 이동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어왔다.
그러나, 본 발명의 경우는 점검자가 승강기 카(190) 등을 타고 화재감지기(130)의 작동 위치까지 올라갈 필요가 없으며, 화재감지기(130)를 점검자가 있는 위치까지 이동시킬 수 있는바, 안전하고 편리하게 화재감지기(130)를 점검할 수 있으며, 승강기 카(190)의 운행 중에도 화재감지기(130)를 설치 및 점검할 수 있다.
작동 표시부는 화재 감지기의 작동 여부, 화재 감지기의 점검 결과 및 화재 발생 여부를 표시하는 부재로서, 점검 프레임(150) 상에 표시등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9 및 1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 표시부의 일 형태인 표시등은 운전 표시등(160), 정지 표시등(165) 및 비상 표시등(170)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작동을 위해 상부로 이동한 거치부의 전원 접속부(45, 47)와 전원 공급 라인(115, 117)이 접속되고, 그 결과 화재감지기(130)에 전원이 정상적으로 공급될 경우 운전 표시등(160)에는 불이 들어올 수 있다. 따라서, 운전 표시등(160)에 불이 들어온 것을 통해 화재감지기(130)가 작동 중임을 알 수 있다.
또한, 점검을 위해 하부로 이동한 거치부의 점검 접속부(43)와 전원부(110)의 점검 단자(113)를 접속시킴으로써 화재감지기(13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고, 운전 표시등(160)에는 불이 들어올 수 있다. 따라서, 운전 표시등(160)에 불이 들어온 것을 통해 화재감지기(130)가 정상임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점검을 위해 화재감지기(130)가 하부로 내려올 경우 거치부의 전원 접속부(45, 47)와 전원 공급 라인(115, 117)의 타단은 분리되어 화재감지기(130)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아 정지 표시등(165)에 불이 들어올 수 있다. 따라서, 정지 표시등(165)에 불이 들어온 것을 통해 화재감지가 수행되지 않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평소보다 좀 더 주의를 기울여서 화재 발생 여부를 체크할 수 있다.
또한, 작동 위치에 있는 화재감지기(130)가 화재를 감지할 경우 비상 표시등(170)에 불이 들어온다. 따라서, 건물에 화재가 발생했음을 알 수 있어 화재 발생 신고, 외부로의 대피 등 신속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
이렇게, 작동 표시부에 들어오는 불빛을 통해 화재감지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지, 화재감지기(130)가 점검 중인지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어, 그에 따른 대비를 할 수 있다.
감시부는 승강로(20) 상에 설치된 화재감지기(130)의 상태를 점검하는 부재로서, CCTV와 같은 영상 감시부가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감시부는 화재감지기(130)가 정상 작동 위치까지 도달했는지 여부, 화재감지기(130)가 전원 공급 라인(115, 117)과 접속이 잘되었는지 여부를 감시할 수 있으며, 영상 감시부가 채택될 경우 전술한 감시 사항을 영상 정보로 점검자 등에게 제공할 수 있다.
점검자는 관리센터의 모니터를 통해 또는 휴대하는 영상 기기를 통해 감시부가 전송하는 영상 정보를 받아볼 수 있으며, 그에 따라 화재감지기(130)를 수시로 점검할 수 있다.
이러한 감시부는 승강로(20)의 상부 또는 내측벽(10)으로부터 돌출된 브라켓에 설치되어 화재감지기(130)를 감시하거나, 레일부로부터 분기된 브라켓에 설치되어 화재감지기(130)를 감시할 수도 있다. 그러나, 감시부의 설치 형태에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며, 화재감지기(130)를 감시할 수 있다면 어느 형태나 적용될 수 있다.
한편, 감시부는 화재감지기(130)가 작동 위치에 있을 때뿐만 아니라, 상하 이동 중에 있을 때도 화재감지기(130)를 감시할 수 있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도 12 에 도시되어 있듯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화재감지기의 설치 및 점검 구조물은, 승강기 카(190)를 타고 승강로(20)의 상부로 이동할 필요 없이, 건물 내 승강로(20)의 외부에서 점검홀(140)을 통해 화재감지기(130)를 점검할 수 있다. 따라서, 화재감지기(130)에 대한 점검이 편리하며, 화재감지기(130)를 점검하는 데 있어서 위험성을 줄이고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점검자로 남성뿐만 아니라 여성 점검자(210)도 손쉽게 방화 커버(180)를 열고 점검홀(140)을 통해 화재감지기(130)를 점검할 수 있다.
또한, 화재감지기(130)를 점검하는 동안에도 엘리베이터를 운행할 수 있는바 승객들이 점검 완료시까지 대기할 필요가 없고, 상하층으로 물자를 운반하는 작업이 중단되지 않는다. 따라서, 건물 내에서 원활하게 승객을 이동시킬 수 있고, 물자를 적시에 운반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내측벽 20: 승강로
30: 수평 레일부 33: 수직 레일부
35: 레일 설치홈 37: 커버부재
40: 거치 브라켓 43: 점검 접속부
45, 47: 전원 접속부 50: 롤러 장착 프레임
60: 구동 롤러 70: 와이어 연결 프레임
80: 구동 와이어 부재 90: 상부 구동 풀리
95: 하부 구동 풀리 100: 구동 모터
110: 전원부 113: 점검 단자
115, 117: 전원 공급 라인 120: 전원 커버
130, 135: 화재감지기 137: 화재감지기 테스트기
140: 점검홀 150: 점검 프레임
160: 운전 표시등 165: 정지 표시등
170: 비상 표시등 180: 방화 커버
190: 승강기 카
200: 엘리베이터용 화재감지기의 설치 및 점검 구조물
210: 여성 점검자 215: 점검자
220: 상하 스위치

Claims (12)

  1. 엘리베이터의 내측벽을 따라 수직으로 형성된 레일 설치홈에 수용되어 설치된 레일부;
    화재감지기를 거치하며, 상기 레일부를 따라 상하 이동하는 거치부; 및
    상기 거치부를 상기 레일부를 따라 상하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엘리베이터에는 외측벽과 내측벽을 관통하는 점검홀이 형성되고, 상기 점검홀을 통해 상기 레일부를 따라 하부로 이동한 상기 화재감지기를 점검하고,
    상기 점검홀은 건물의 최상층부에 위치한 엘리베이터 도어의 측방에 위치하고,
    상기 화재감지기는 상기 레일 설치홈 내에서 상하 이동하는 엘리베이터용 화재감지기의 설치 및 점검 구조물.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부는,
    상기 엘리베이터의 내측벽을 따라 연장된 수직 레일부; 및
    상기 수직 레일부의 상단부로부터 상기 엘리베이터의 내측으로 수평하게 연장된 수평 레일부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용 화재감지기의 설치 및 점검 구조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재감지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제공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원 제공부는,
    전원부; 및
    일단이 상기 전원부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레일부의 자유단부까지 연장되어 상기 화재감지기에 전원을 제공하는 전원 공급 라인을 포함하는 엘리베이터용 화재감지기의 설치 및 점검 구조물.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는,
    상기 화재감지기가 거치되는 거치 브라켓; 및
    상기 거치 브라켓에 형성되며, 상기 전원 공급 라인의 타단과 접속됨으로써 상기 화재감지기에 상기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접속부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용 화재감지기의 설치 및 점검 구조물.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접속부와 상기 전원 공급 라인의 타단은 서로 다른 극성을 가지는 자성체를 포함하거나, 다르게는 상기 전원 접속부와 상기 전원 공급 라인의 타단 중에서 어느 하나는 금속 부분을 포함하고 다른 하나는 자성체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전원 접속부와 상기 전원 공급 라인의 타단은 결속되는 엘리베이터용 화재감지기의 설치 및 점검 구조물.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에는 점검 접속부가 형성되고,
    상기 전원부에는 점검 단자가 형성되고,
    상기 점검 접속부와 상기 점검 단자가 접속되어, 하부로 이동한 상기 화재감지기에 전원이 공급됨으로써 상기 화재감지기의 정상 작동 여부를 점검하는 엘리베이터용 화재감지기의 설치 및 점검 구조물.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는,
    상기 화재감지기가 거치되는 거치 브라켓;
    상기 거치 브라켓에 연결되며, 상기 레일부를 따라 이동하는 롤러부; 및
    상기 거치 브라켓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와이어 연결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거치 브라켓이 90도 회동하면서 상기 점검 접속부와 상기 점검 단자가 접속되어, 하부로 이동한 상기 화재감지기에 전원이 공급되는 엘리베이터용 화재감지기의 설치 및 점검 구조물.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는,
    상기 화재감지기가 거치되는 거치 브라켓;
    상기 거치 브라켓에 연결되며, 상기 레일부를 따라 이동하는 롤러부; 및
    상기 거치 브라켓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와이어 연결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양단이 각각 상기 와이어 연결 프레임에 연결된 구동 와이어 부재;
    상기 구동 와이어 부재가 놓이는 풀리홈을 구비한 상부 구동 풀리; 및
    상기 상부 구동 풀리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구동 와이어 부재가 놓이는 풀리홈을 구비한 하부 구동 풀리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 와이어 부재를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당김에 따라 상기 화재감지기는 상기 레일부를 따라 상하 이동하는 엘리베이터용 화재감지기의 설치 및 점검 구조물.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점검홀을 개폐하는 방화 커버를 더 포함하는 엘리베이터용 화재감지기의 설치 및 점검 구조물.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점검홀을 통해 상기 거치부에 상기 화재감지기를 거치한 후, 상기 레일부를 따라 상기 화재감지기를 작동 위치까지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화재감지기를 설치하는 엘리베이터용 화재감지기의 설치 및 점검 구조물.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재감지기를 감시하는 감시부를 더 포함하는 엘리베이터용 화재감지기의 설치 및 점검 구조물.
KR1020180060128A 2018-05-28 2018-05-28 엘리베이터용 화재감지기의 설치 및 점검 구조물 KR1019352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0128A KR101935260B1 (ko) 2018-05-28 2018-05-28 엘리베이터용 화재감지기의 설치 및 점검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0128A KR101935260B1 (ko) 2018-05-28 2018-05-28 엘리베이터용 화재감지기의 설치 및 점검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5260B1 true KR101935260B1 (ko) 2019-01-04

Family

ID=650179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0128A KR101935260B1 (ko) 2018-05-28 2018-05-28 엘리베이터용 화재감지기의 설치 및 점검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526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54050A (zh) * 2019-05-17 2019-07-26 快意电梯股份有限公司 电梯机房消防监控系统
KR102143336B1 (ko) 2019-04-02 2020-08-11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화재발생시의 승강기정보 표시시스템
KR102438397B1 (ko) * 2021-12-01 2022-08-31 김재명 불꽃감지기 설치용 거치대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7829B1 (ko) * 1998-08-11 2006-11-23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엘리베이터 장치
JP2007026034A (ja) * 2005-07-15 2007-02-01 Satoru Yazaki 火災報知器取付具
JP2007257455A (ja) * 2006-03-24 2007-10-04 Nohmi Bosai Ltd 感知器の移動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7829B1 (ko) * 1998-08-11 2006-11-23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엘리베이터 장치
JP2007026034A (ja) * 2005-07-15 2007-02-01 Satoru Yazaki 火災報知器取付具
JP2007257455A (ja) * 2006-03-24 2007-10-04 Nohmi Bosai Ltd 感知器の移動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3336B1 (ko) 2019-04-02 2020-08-11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화재발생시의 승강기정보 표시시스템
CN110054050A (zh) * 2019-05-17 2019-07-26 快意电梯股份有限公司 电梯机房消防监控系统
KR102438397B1 (ko) * 2021-12-01 2022-08-31 김재명 불꽃감지기 설치용 거치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5260B1 (ko) 엘리베이터용 화재감지기의 설치 및 점검 구조물
JP5660594B2 (ja) エレベータの運転制御装置
JP2009541182A (ja) エレベータかごの上にオーバヘッドクリアランスを維持する格納式停止装置
JP2007168962A (ja) エレベータ装置
CN114728758B (zh) 电梯控制系统和电梯控制方法
JP2015044674A (ja) エレベータ用案内システム
EP1281654B1 (en) Elevator maintenance mode switching device
CN109812172B (zh) 防火门控制装置与系统
JP2003089490A (ja) エレベータ用防災装置
JP2007099399A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JP3603606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2021514914A (ja) リフト設備、前記リフト用のガイドレール、前記設備を監視するためのキット、およびその監視と使用のための方法
CN205527137U (zh) 具有自动救援功能的电梯
CN109850710A (zh) 电梯的厅门安全装置、电梯的厅门安全装置的驱动方法以及电梯
JP4946153B2 (ja) エレベータの煙感知器点検装置
CN212334331U (zh) 一种基于ups不间断电源的升降机逃生用门控装置
JP4265920B2 (ja) エレベータの運転制御装置
KR102224389B1 (ko) 엘이디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대피안내장치
KR20140127115A (ko) 엘리베이터 안전관리 시스템
JP4387522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CN114104898A (zh) 电梯烟雾和火灾检测系统
JP2000318948A (ja) エレベーター装置
CN113184657A (zh) 一种具有自动报警功能的电梯事故警报装置
JP2005247454A (ja) エレベータの乗場表示器点検装置
KR20130129156A (ko) 엘리베이터 상태 감시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