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4438U - 차량용 현가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현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4438U
KR20000014438U KR2019980027745U KR19980027745U KR20000014438U KR 20000014438 U KR20000014438 U KR 20000014438U KR 2019980027745 U KR2019980027745 U KR 2019980027745U KR 19980027745 U KR19980027745 U KR 19980027745U KR 20000014438 U KR20000014438 U KR 2000001443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air spring
shock absorber
axle
faste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774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창원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201998002774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14438U/ko
Publication of KR2000001443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4438U/ko

Links

Abstract

리프 스프링을 적용한 현가장치에 에어 스프링을 병행하여 적용함으로써 승차감과 주행안정성 및 차체의 내구성을 동시에 향상시키는 차량용 현가장치를 제공할 목적으로,
차체의 길이방향으로 길이가 서로 다른 스프링 판을 겹쳐서 이루어지는 리프 스프링(1)이 프레임(2)과 액슬(3) 사이에 고정되고, 적당한 감쇄력을 갖는 쇽 업소버(4)가 상기 프레임(2)과 액슬(3) 사이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차량용 현가장치에 있어서,
상기 쇽 업소버(4)는 상단에 상측 마운팅 브라켓(5)이 구성되어 프레임(2)의 측면에 형성된 쇽 업소버 브라켓(7)의 하단면에 체결되고, 그 하단에는 하측 마운팅 브라켓(6)이 구성되어 리프 스프링(1)의 중앙부를 사이에 두고 액슬(3)에 체결될 수 있도록 이루어지며, 이 쇽 업소버(4)의 안쪽으로 상기 프레임(2)과 액슬(3) 사이에 에어 스프링(13)이 장착되며, 이 에어 스프링(13)은 그 상,하측으로 에어 스프링 플레이트(14,15)가 구성되고, 상측 에어 스프링 플레이트(14)는 상기 프레임(2)의 하단면과 이 프레임(2)의 측면에 형성된 에어 스프링 마운팅 플레이트(16)의 하단면에 걸쳐 체결되며, 하측 에어 스프링 플레이트(15)는 액슬(15)의 상단면에 체결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용 현가장치
본 고안은 차량용 현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도시형 버스등에 장착되어 승차감 및 조종안정성의 향상은 물론 내구성을 향상시키며, 부수적으로 휠 팬(WHEEL PAN)부의 구조변경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차량용 현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가장치는 차량의 전,후륜과 차체 사이에 구성되어 차량의 조타에 의한 진로의 수정이나 코스에의 추종이 쉽도록 하여 조종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주행 중 노면으로부터 받는 진동과 충격등의 외압이나 횡풍 등에 의해 그 진로의 이탈 없이 신속하게 평형상태로 되돌아가도록 하여 승차감과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장치로서, 크게 독립식 현가장치와 일체식 현가장치로 분류된다.
상기 일체식 현가장치 중에서 리프 스프링을 적용한 현가장치는, 도 3과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차체의 길이방향으로 길이가 서로 다른 스프링 판을 겹쳐서 이루어지는 리프 스프링(51)이 프레임(52)과 액슬(53) 사이에 고정되고, 적당한 감쇄력을 갖는 쇽 업소버(54)가 상기 프레임(52)과 액슬(53) 사이에 설치되어 이루어진다.
따라서 차량의 주행시 상기 리프 스프링(51)은 노면조건과 부하중량에 의해서 완충기능을 수행하고, 쇽 업소버(54)는 노면조건으로부터 발생되는 진동을 약화시키도록 작동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차량용 현가장치는 승객을 운송하는 도시형 버스 등에 적용하기에는 노면조건이나 부하중량에 대한 완충작용이 미흡하여 승차감 및 조종안정성이 떨어지고, 특히 도심의 지하철 공사구간이나 노후된 도로여건을 고려해 볼 때 주행 중 노면으로부터 받는 진동과 충격등의 외압에 대한 차체, 샤시, 프레임 등의 내구성이 약하여 상품경쟁력이 떨어지는 등의 문제점 등을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차량용 현가장치 중에서 리프 스프링을 적용한 현가장치에 에어 스프링을 병행하여 적용함으로써 승차감과 주행안정성 및 차체의 내구성을 동시에 향상시키는 차량용 현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현가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3은 종래의 차량용 현가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B-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리프 스프링 2:프레임 3:액슬
4:쇽 업소버 5,6:상,하측 마운팅 브라켓
7:쇽 업소버 브라켓 8:스프링 아이 11:샥클
13:에어 스프링 16:에어 스프링 마운팅 플레이트
17:휠 팬(WHEEL PAN) 18:차실 바닥
이를 실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현가장치는 차체의 길이방향으로 길이가 서로 다른 스프링 판을 겹쳐서 이루어지는 리프 스프링이 프레임과 액슬 사이에 고정되고, 적당한 감쇄력을 갖는 쇽 업소버가 상기 프레임과 액슬 사이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차량용 현가장치에 있어서,
상기 쇽 업소버는 상단에 상측 마운팅 브라켓이 구성되어 프레임의 측면에 형성된 쇽 업소버 브라켓의 하측면에 체결되고, 그 하단에는 하측 마운팅 브라켓이 구성되어 리프 스프링의 중앙부가 일체로 장착됨과 동시에 액슬에 체결될 수 있도록 이루며, 이 쇽 업소버의 내측으로 상기 프레임과 액슬 사이에 에어 스프링이 장착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에어 스프링은 그 상,하측으로 에어 스프링 플레이트가 구성되고, 상측 에어 스프링 플레이트는 상기 프레임의 하단면과 이 프레임의 측면에 형성된 에어 스프링 마운팅 플레이트의 하단면에 걸쳐 체결되며, 하측 에어 스프링 플레이트는 액슬의 상단면에 체결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상기한 리프 스프링과 에어 스프링을 병행하여 이루어지는 차량용 현가장치는 노면조건이나 부하중량에 대한 완충작용이 리프 스프링과 더불어 에어 스프링에 의해 동시에 이루어지게 됨으로 미세한 진동의 흡수는 물론, 공기압의 컨트롤에 의해 차고를 일정하게 되며, 상기 리프 스프링과 쇽 업소버가 동일 축선상에 구성됨으로 이를 장착하기 위한 차체 하부의 점유공간이 줄어들어 휠 팬부의 형상을 변형하기에 용이하게 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구성 및 작용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현가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로서, 본 고안은 차체의 길이방향으로 길이가 서로 다른 스프링 판을 겹쳐서 이루어지는 리프 스프링(1)이 프레임(2)과 액슬(3) 사이에 고정되고, 적당한 감쇄력을 갖는 쇽 업소버(4)가 상기 프레임(2)과 액슬(3) 사이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리프 스프링(1)의 양단은 스프링 아이(8)로 구성되어 프런트측 선단이 샥클 핀(9)에 의해 프레임(2)의 전측 브라켓(10)에 장착되고, 리어측 선단은 샥클(11)에 의해 상기 프레임(2)의 후측 브라켓(12)에 장착된다.
상기 쇽 업소버(4)는 상단에 상측 마운팅 브라켓(5)이 구성되어 상기 프레임(2)의 측면 상측에 형성된 쇽 업소버 브라켓(7)의 하단면에 체결된다.
또한, 상기 쇽 업소버(4)의 하단에는 하측 마운팅 브라켓(6)이 구성되며, 이는 리프 스프링(1)의 중앙부를 사이에 두고 액슬(3)의 상면에 체결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쇽 업소버(4)의 내측으로 상기 프레임(2)과 액슬(3) 사이에는 에어 스프링(13)이 장착되며, 이 에어 스프링(13)은 그 상,하측으로 에어 스프링 플레이트(14,15)가 구성된다.
상기 에어 스프링 플레이트(14,15) 중에서 상측 에어 스프링 플레이트(14)는 상기 프레임(2)의 하단면과 이 프레임(2)의 측면에 형성된 에어 스프링 마운팅 플레이트(16)의 하단면에 걸쳐 체결되고, 그 하측 에어 스프링 플레이트(15)는 액슬(3)의 상면에 체결되어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한 차량용 현가장치는 리프 스프링(1)과 에어 스프링(13)을 병행하여 이루어짐으로 주행 중 노면으로부터 받는 진동과 충격등의 외압에 대한 완충작용이 리프 스프링(1)과 더불어 에어 스프링(13)에 의해 동시에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리프 스프링(1)은 쇽 업소버(4)와 동일 축선상에 구성됨으로 상기 노면으로부터의 외압을 1차적으로 리프 스프링(1)에서 흡수하고, 2차적으로 쇽 업소버(4)에서 흡수하며, 또한 상기 쇽 업소버(4)는 감쇄력에 의해 상기 리프 스프링(1)의 진동을 억제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에어 스프링(13)은 공기의 탄성을 이용하여 상기 노면으로부터의 외압을 흡수함은 물론 작은 진동까지 흡수하게 된다.
또한, 상기 에어 스프링(13)은 컨트롤 밸브(미도시)에 의해 공기압 조절이 가능하며, 이에 따라 차고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구성과 작용에 의해 본 고안은 상기 리프 스프링(1)과 쇽 업소버(4) 및 에어 스프링(13)에 의해 노면으로부터의 외압을 3차에 걸쳐 작은 진동까지도 흡수함으로 승차감 향상은 물론 내구성이 높아지며, 차고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됨으로 조종안정성이 향상된다.
한편, 부가적으로 상기 리프 스프링(1)과 쇽 업소버(4)를 동일 축선상에 장착함으로써 이를 장착하기 위한 차체 하부의 점유공간이 줄어들게 되고, 따라서 휠 팬(17)부의 형상을 변형하여 차실 바닥(18)을 종래 보다 더 넓게 사용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현가장치는 상기 리프 스프링과 쇽 업소버에 의해 노면으로부터의 외압을 2차적으로 흡수하며, 에어 스프링에 의해 상기 외압을 3차에 걸쳐 작은 진동까지도 흡수함으로써 승차감 향상은 물론 차체, 프레임, 액슬 등의 내구성이 높아지며, 상기 에어스프링의 공기압을 컨트롤 함으로써 차고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조종안정성이 향상된다.
또한, 부가적으로 상기 리프 스프링과 쇽 업소버를 동일 축선상에 장착함으로써 이를 장착하기 위한 차체 하부의 점유공간을 줄일 수 있고, 이에 따라 휠 팬부의 형상을 외측으로 변형하여 차실내의 입석면적을 넓히는 것이 용이하다는 잇점을 갖는 것이다.

Claims (2)

  1. 차체의 길이방향으로 길이가 서로 다른 스프링 판을 겹쳐서 이루어지는 리프 스프링(1)이 프레임(2)과 액슬(3) 사이에 고정되고, 적당한 감쇄력을 갖는 쇽 업소버(4)가 상기 프레임(2)과 액슬(3) 사이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차량용 현가장치에 있어서,
    상기 쇽 업소버(4)는 상단에 상측 마운팅 브라켓(5)이 구성되어 프레임(2)의 측면에 형성된 쇽 업소버 브라켓(7)의 하단면에 체결되고, 그 하단에는 하측 마운팅 브라켓(6)이 구성되어 리프 스프링(1)의 중앙부를 사이에 두고 액슬(3)에 체결될 수 있도록 이루어지며, 이 쇽 업소버(4)의 안쪽으로 상기 프레임(2)과 액슬(3) 사이에 에어 스프링(13)이 장착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현가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에어 스프링(13)은 그 상,하측으로 에어 스프링 플레이트(14,15)가 구성되고, 상측 에어 스프링 플레이트(14)는 상기 프레임(2)의 하단면과 이 프레임(2)의 측면에 형성된 에어 스프링 마운팅 플레이트(16)의 하단면에 걸쳐 체결되며, 하측 에어 스프링 플레이트(15)는 액슬(15)의 상단면에 체결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현가장치.
KR2019980027745U 1998-12-30 1998-12-30 차량용 현가장치 KR20000014438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7745U KR20000014438U (ko) 1998-12-30 1998-12-30 차량용 현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7745U KR20000014438U (ko) 1998-12-30 1998-12-30 차량용 현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4438U true KR20000014438U (ko) 2000-07-25

Family

ID=695065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7745U KR20000014438U (ko) 1998-12-30 1998-12-30 차량용 현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14438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0046884A (ko) 스태빌라이저의 취부구조
KR20000014438U (ko) 차량용 현가장치
KR100187453B1 (ko) 자동차 현가장치의 완충기
KR0180374B1 (ko) 저상 버스용 전륜 독립 현가장치
KR0181625B1 (ko) 자동차 현가장치의 서브 스프링 구조
KR200253064Y1 (ko) 자동차현가장치의롤링보상장치
KR200150838Y1 (ko) 자동차의 2차축 공기 현가장치
KR0140746Y1 (ko) 자동차의 판스 프링형 현가장치
KR200270375Y1 (ko) 자동차용 현가장치
KR200152251Y1 (ko) 차량의 충격흡수장치
KR100192331B1 (ko) 화물트럭용 2축식 현가장치
JP4047145B2 (ja) エアサスペンション構造
KR19980054331U (ko) 차축 현가 장치
KR980007139U (ko) 자동차의 현가 장치
KR200274549Y1 (ko) 차량의 전륜 현가장치
KR101125301B1 (ko) 스트럿 가변 인슐레이터
KR20000016932U (ko) 탄성링크를 이용한 독립식 현가장치
KR19990004996A (ko) 캐빈 서스펜션 구조
KR19980054100A (ko) 자동차의 현가장치
KR19980043190U (ko) 자동차용 쇽 업소버의 장착구조
KR19980054484U (ko) 뒤 현가장치의 쇽 업소버 장착구조
KR19980054334U (ko) 자동차용 스테빌라이저바 고정 구조
KR19980028231U (ko) 시트 댐핑 시스템
KR19980054333U (ko) 자동차용 스테빌라이저바 고정 구조
KR20090062247A (ko) 차량용 판 스프링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